KR20240054720A -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 Google Patents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720A
KR20240054720A KR1020220135007A KR20220135007A KR20240054720A KR 20240054720 A KR20240054720 A KR 20240054720A KR 1020220135007 A KR1020220135007 A KR 1020220135007A KR 20220135007 A KR20220135007 A KR 20220135007A KR 20240054720 A KR20240054720 A KR 2024005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p
active air
link
ski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영
차동은
이홍희
변재섭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720A/ko
Priority to DE102023202942.1A priority patent/DE102023202942A1/de
Priority to CN202310325020.5A priority patent/CN117901963A/zh
Publication of KR2024005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최적의 공력 성능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랩이 안정적으로 거동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ACTIVE AIR SKIRT APPARATUS}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공력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고속으로 달릴 때 대기 중의 공기를 압축시켜 난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난류로 인해 차량의 안정성과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에 리어 스포일러를 설치하고 있다. 리어 스포일러는 차량 후방의 기류를 조절하여 차량이 노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게 하는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주행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리어 스포일러는 차량 후방 측에 설치되는데, 디자인의 자유도에 제약이 따르며, 한번 설치하는 경우 디자인을 변경하기 어렵고, 고급 차량에 적용될 경우 리어 스포일러의 설치에 의해 디자인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리어 스포일러가 한정적이고, 추가적인 공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리어 스포일러의 사양이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리어 스포일러를 제외하여 차량의 하부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스포일러 장치가 구비된다.
특히, 차량 하부에서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스커트도 개발되고 있으나, 에어 스커트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주행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게 되고, 노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99314 (2005.10.1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최적의 공력 성능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랩이 안정적으로 거동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가이드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랩; 하우징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기에 연결되며,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기 동작시 하방으로 회전되는 구동링크; 및 플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링크의 회전시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플랩을 하방으로 눌러주도록 거동되어 플랩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종동링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모빌리티의 하부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범퍼커버 내측에 마련되며, 플랩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상단부에서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 마운팅부와, 하단부의 전면에서 범퍼커버에 장착되는 제1 하부 마운팅부와, 하단부의 후면에서 언더커버에 장착되는 제2 하부 마운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플랩을 감싸도록 절곡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플랩이 지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만 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슬릿홀로 이루어지고, 플랩에는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가이드부의 후방으로 설치부가 형성되어 설치부에 구동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힌지부에 종동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링크의 타단과 종동링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가이드부 및 설치부가 복수로 구성되고, 플랩에는 슬라이더가 각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키지를 이루며, 복수의 링키지가 각 설치부와 슬라이더에 각기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링키지는 각 링키지의 구동링크에 연결된 구동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구동기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전면부에 프론트 커버가 장착되고, 프론트 커버는 가이드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에 장착시 가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더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론트 커버는 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커버링부가 형성되고, 커버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구동링크 및 종동링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하우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더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에는 보강리브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후면부에는 구동링크 및 종동링크를 덮도록 형성된 리어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최적의 공력 성능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랩이 안정적으로 거동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모빌리티의 전면부 및 플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후측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하우징의 장착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플랩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플랩의 슬라이더 장착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플랩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모빌리티의 전면부 및 플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후측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하우징의 장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의 플랩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플랩의 슬라이더 장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플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에서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가이드부(110)에 마련되어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랩(200); 하우징(100)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300);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기(300)에 연결되며,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기(300)의 동작시 하방으로 회전되는 구동링크(410); 및 플랩(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링크(4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링크(410)의 회전시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플랩(200)을 하방으로 눌러주도록 거동되어 플랩(200)이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종동링크(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최적의 공력 성능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은 모빌리티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는 가이드부(110)가 형성되어 플랩(200)이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플랩(200)이 하우징(100)의 가이드부(110)에서 상측에 위치될 경우 수납된 상태가 되고, 가이드부(110)에서 하측에 위치될 경우 전개된 상태가 되어 모빌리티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저감시켜 모빌리티의 공력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플랩(200)은 구동기(3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수납 또는 전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구동기(3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며 동작 여부에 따라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기(300)의 경우 제어기의 명령을 입력받아 동작될 수 있으며, 제어기는 모빌리의 주행속도, 모빌리티 전방의 노면 상태 등 주행 환경과 주변 환경에 따라 수납 또는 전개 상태에 따른 명령을 구동기(300)에 전달한다.
구동기(300)에는 구동링크(410)가 연결되고, 구동링크(410)에는 종동링크(420)가 연결되며, 종동링크(420)에는 플랩(200)이 연결됨에 따라, 구동기(300)의 회전 동력 발생시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가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플랩(2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구동링크(410)는 수납 상태시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종동링크(420)는 구동링크(410)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구동기(300)가 동작되어 전개 상태로 전환시 구동링크(410)와 함께 종동링크(420) 회전되되 구동링크(410)가 종동링크(420)를 찍어 눌러주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종동링크(420)에 연결된 플랩(200)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모빌리티의 주행중 플랩(200)에 주행풍이 작용되더라도, 플랩(200)이 전개 위치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플랩(200)의 작동 신뢰도가 향상된다. 즉, 고속 주행시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랩(200)이 안정적으로 거동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모빌리티의 하부에서 차체(A)에 설치되고, 범퍼커버(B) 내측에 마련되며, 플랩(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조절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모빌리티의 하부에서 플랩(200)이 하측으로 전개되어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하우징(100)은 차체(A)에 설치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범퍼커버(B)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상단부에서 차체(A)에 장착되는 상부 마운팅부(120)와, 하단부의 전면에서 범퍼커버(B)에 장착되는 제1 하부 마운팅부(130)와, 하단부의 후면에서 언더커버(C)에 장착되는 제2 하부 마운팅부(140)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상부 마운팅부(120), 제1 하부 마운팅부(130), 제2 하부 마운팅부(140)가 형성되며, 상부 마운팅부(120)의 경우 차체(A)에 볼팅 체결되어 고정되고, 제1 하부 마운팅부(130)의 경우 범퍼커버(B)에 볼팅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2 하부 마운팅부(140)의 경우 언더커버(C)에 볼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은 모빌리티의 하부에서 차체(A), 범퍼커버(B), 언더커버(C)에 각각 체결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우징(100)의 측면부에도 차체(A), 범퍼커버(B), 언더커버(C)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는 플랩(200)을 감싸도록 절곡된 지지부(150)가 형성되어 플랩(200)이 지지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만 거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전면부에 지지부(150)가 형성되며, 지지부(15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지지부(150)의 내측으로 플랩(200)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플랩(200)은 지지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에 따른 거동이 제한되고, 지지부(150)가 연장된 상하방향으로만 거동이 허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된다.
한편, 가이드부(11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슬릿홀로 이루어지고, 플랩(200)에는 가이드부(11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210)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부(110)는 하우징(100)에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슬릿홀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랩(200)의 후면부에는 슬라이더(210)가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더(210)는 가이드부(110)에 마련되어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210)는 일정면적을 가지는 판넬 형태로 형성되어 자체 강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종동링크(420)가 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랩(200)은 슬라이더(210)가 하우징(100)의 가이드부(110)에 삽입되고, 몸체 부분이 지지부(150)에 삽입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만 거동되고, 견고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의 연결 구조는 하기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가이드부(110)의 후방으로 설치부(160)가 형성되어 설치부(160)에 구동링크(41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210)에는 힌지부(211)가 형성되어 힌지부(211)에 종동링크(4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링크(410)의 타단과 종동링크(42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하우징(100)에는 후방으로 설치부(160)가 연장됨으로써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가 플랩(20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링크(410)가 전방으로 회전시 종동링크(420)가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플랩(200)을 찍어 누르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플랩(200)의 슬라이더(210)에는 힌지부(211)가 형성됨에 따라 종동링크(420)가 힌지부(21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렇게, 구동링크(410)의 일단이 하우징(100)의 설치부(16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종동링크(420)의 일단이 플랩(200)의 힌지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링크(410)의 타단과 종동링크(42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됨으로써, 구동기(300)의 동작시 구동링크(410)의 회전에 의해 종동링크(420)가 회전되면서 플랩(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는 플랩(200)의 후방에 위치되고, 구동기(300)의 동작시 구동링크(410)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종동링크(420)를 찍어 눌러주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종동링크(420)에 연결된 플랩(200)이 하방을 향해 강한 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00)의 수납 상태시, 구동링크(410)의 경우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종동링크(420)의 경우 구동링크(410)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300)가 동작되어 전개 상태로 전환시, 구동링크(410)가 전방 및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종동링크(420)가 전방을 향해 이동 및 회전됨에 따라 종동링크(420)가 플랩(200)을 찍어 눌러주게 된다. 이로 인해, 플랩(200)은 하우징(100)에서 강한 힘으로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주행풍이 작용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는 가이드부(110) 및 설치부(160)가 복수로 구성되고, 플랩(200)에는 슬라이더(210)가 각 가이드부(110)에 삽입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0) 및 설치부(160)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플랩(200)의 슬라이더(210)가 각 가이드부(110)에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플랩(200)은 복수의 슬라이더(210)가 하우징(100)의 각 가이드부(110)에 삽입됨으로써 균형있는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키지(400)를 이루며, 복수의 링키지(400)가 각 설치부(160)와 슬라이더(210)에 각기 장착된다.
이로 인해, 링키지(400)는 하우징(100)과 플랩(20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구비된 한 쌍의 설치부(160)와 플랩(200)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더(210)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플랩(200)은 균형있게 상하거동될 수 있고, 한 쌍의 링키지(400)에 견고한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랩(200)을 이동시키는 링키지(400)는 한 쌍이 아니라, 플랩(200)이 요구하는 강성에 따라 설계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링키지(400)는 각 링키지(400)의 구동링크(410)에 연결된 구동축(430)을 매개로 연결되고, 구동기(300)가 구동축(430)에 연결되어 구동축(4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즉, 본 발명에서 플랩(200)은 복수의 링키지(400)가 연결되는데, 복수의 링키지(400)는 하나의 구동축(430)에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동작된다. 여기서, 구동축(430)은 구동기(30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기(300)의 동작시 구동축(430)이 회전되고, 구동축(430)에 연결된 복수의 링키지(400)가 연동되어 동시 회전된다.
이처럼, 하나의 구동기(300)에 연결된 하나의 구동축(430)에 복수의 링키지(400)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복수의 링키지(400)가 일체화되어 동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면부에 프론트 커버(170)가 장착되고, 프론트 커버(170)는 가이드부(11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장착시 가이드부(110)와 함께 슬라이더(210)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론트 커버(170)는 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커버링부(171)가 형성되고, 커버링부(171)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프론트 커버(170)는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100)에 장착시 구동링크(410) 및 종동링크(420)가 오염되지 않도록 전방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한다. 이러한 프론트 커버(170)는 가이드부(11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 장착시 하우징(100)의 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커버(170)에는 커버링부(171)가 형성되고, 커버링부(171)는 하우징(100)에서 절곡되어 하우징(100)에 조립됨에 따라 프론트 커버(170)가 하우징(100)에 견고히 조립된다. 또한, 커버링부(171)에 의해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구동링크(410)와 종동링크(420)의 오염이 방지된다.
특히, 가이드부(110)는 하우징(100)에서 개방되게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170)의 경우 하우징(100)에 장착시 가이드부(110)에 마련된 플랩(200)의 슬라이더(210)에 접촉됨으로써, 슬라이더(210)가 프론트 커버(170)와 가이드부(110) 사이에서 상하 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더(210)에는 별도의 가이더(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가이드부(110)와 프론트 커버(170) 사이에 가이더(213)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론트 커버(170)을 하우징(100)에 장착시 플랩(200)의 슬라이더(210)가 가이드부(110)에 장착됨에 따라 조립 편의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에는 보강리브(21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10)에는 보강리브(212)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210)는 보강리브(212)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고, 가이드부(110)에 지지리브(111)가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더(210)의 접촉 부분의 강성이 보강됨과 더불어 지지리브(111)와 보강리브(212)의 접촉된 상태에서 플랩(200)의 슬라이더(210)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거동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후면부에는 구동링크(410) 및 종동링크(420)를 덮도록 형성된 리어 커버(18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리어 커버(180)는 하우징(100)의 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100)에 장착시 구동링크(410) 및 종동링크(420)가 오염되지 않도록 후방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침투가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0)의 설치부(160)는 구동축(43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설치부(160)에 구동축(430)이 안착된 상태에서 리어 커버(180)의 조립시 구동축(43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축(430) 및 리어 커버(180)의 조립 편의 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부에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최적의 공력 성능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에도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랩(200)이 안정적으로 거동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가이드부
111:지지리브 120:상부 마운팅부
130:제1 하부 마운팅부 140:제2 하부 마운팅부
150:지지부 160:설치부
170:프론트 커버 171:커버링부
180:리어 커버 200:플랩
210:슬라이더 211:힌지부
212:보강리브 213:가이더
300:구동기 400:링키지
410:구동링크 420:종동링크
430:구동축

Claims (12)

  1.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가이드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랩;
    하우징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기에 연결되며,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기의 동작시 하방으로 회전되는 구동링크; 및
    플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링크의 회전시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플랩을 하방으로 눌러주도록 거동되어 플랩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모빌리티의 하부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범퍼커버 내측에 마련되며, 플랩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모빌리티의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단부에서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 마운팅부와, 하단부의 전면에서 범퍼커버에 장착되는 제1 하부 마운팅부와, 하단부의 후면에서 언더커버에 장착되는 제2 하부 마운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플랩을 감싸도록 절곡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플랩이 지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만 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슬릿홀로 이루어지고,
    플랩에는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가이드부의 후방으로 설치부가 형성되어 설치부에 구동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힌지부에 종동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링크의 타단과 종동링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가이드부 및 설치부가 복수로 구성되고,
    플랩에는 슬라이더가 각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키지를 이루며, 복수의 링키지가 각 설치부와 슬라이더에 각기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링키지는 각 링키지의 구동링크에 연결된 구동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구동기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면부에 프론트 커버가 장착되고,
    프론트 커버는 가이드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에 장착시 가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더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는 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커버링부가 형성되고, 커버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구동링크 및 종동링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하우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슬라이더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에는 보강리브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후면부에는 구동링크 및 종동링크를 덮도록 형성된 리어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KR1020220135007A 2022-10-19 2022-10-19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KR2024005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07A KR20240054720A (ko) 2022-10-19 2022-10-19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DE102023202942.1A DE102023202942A1 (de) 2022-10-19 2023-03-30 Aktive Luftschürzenvorrichtung
CN202310325020.5A CN117901963A (zh) 2022-10-19 2023-03-30 主动式空气裙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07A KR20240054720A (ko) 2022-10-19 2022-10-19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720A true KR20240054720A (ko) 2024-04-26

Family

ID=9057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07A KR20240054720A (ko) 2022-10-19 2022-10-19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4720A (ko)
CN (1) CN117901963A (ko)
DE (1) DE1020232029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314A (ko) 2004-04-09 2005-10-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 안정성을 위한 리어 스포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314A (ko) 2004-04-09 2005-10-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 안정성을 위한 리어 스포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202942A1 (de) 2024-04-25
CN117901963A (zh)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083B1 (ko) 차량용 리어 스포일러 장치
RU2400389C1 (ru) Обтекатель
CN104709367B (zh) 用于车辆的后保险杠的扰流板装置
US6447050B1 (en) Convertible vehicle
KR102598528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JP6549696B2 (ja) 車輌の空力性能の変更
US6030028A (en) Device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tailgate
CN106515880A (zh) 用于车辆的后保险杠的可变导流板装置
JP4366681B2 (ja) 折畳み可能なハードトップを備えたキャブリオレ自動車
CN101712273B (zh) 具有挡风板、车顶装置和尾部导流装置的汽车的操纵方法
CN112478004B (zh) 具有后扰流板和增大后扰流板气动效率的气动元件的汽车
CN112478003B (zh) 具有后扰流板和调节后扰流板作用的可动偏转板的汽车
KR101501289B1 (ko) 자동차의 후방부
EP3632715B1 (en) Suspension linkage cover
KR20240054720A (ko) 엑티브 에어 스커트 장치
US20240132166A1 (en) Active air skirt apparatus
CN101138955B (zh) 篷式汽车的车篷
US7229126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two openable covers
US10518815B2 (en) Air deflector assembly for an automatic vehicle
CN113302117A (zh) 扰流器装置、具有扰流器装置的车辆、运行扰流器装置的方法
KR102496673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CN115367004B (zh) 机动车辆的导流设备
EP4339078A1 (en) Car
KR102580920B1 (ko) 레이싱차량용 에어로파츠
KR101463795B1 (ko) 전두부 변형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