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40A -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640A
KR20240054640A KR1020220134862A KR20220134862A KR20240054640A KR 20240054640 A KR20240054640 A KR 20240054640A KR 1020220134862 A KR1020220134862 A KR 1020220134862A KR 20220134862 A KR20220134862 A KR 20220134862A KR 20240054640 A KR20240054640 A KR 20240054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ub
group
user
group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곤
윤혜영
심재식
김주성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640A/ko
Priority to PCT/KR2023/010160 priority patent/WO202408536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은, 상기 메신저 상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멤버로 지정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멤버 중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상기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IMPLEMENTING GROUP MESSAGE IN A MESSENGER}
본 개시는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신저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일종이다.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교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개설된 대화방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컨텐츠를 입력 또는 편집하여, 컨텐츠는 대화방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가 단독으로 편집하여, 통상적으로 단일 메시지로 대화방에 표시되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컨텐츠를 편집하여 하나의 메시지로 표현되는 기능은 상용화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되지 않고 있다.
예컨대, 특정인을 축하 또는 위로하기 위해, 대화방의 사용자들은 각각 특정인에 대한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대화방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인은 각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전부 확인하기 위해 대화방에서 화면 이동, 예를 들어 스크롤에 의한 이동을 통해 메시지를 읽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가 혼재된 대화방에서 특정인과 관련된 다량의 메시지를 분리할 수 없어, 대화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 아울러, 특정인 역시 다량의 메시지를 다른 메시지와 분리하여 별도로 분리할 수 없다.
이를 위해,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메시지를 편집하여 공동의 메시지가 단일의 그룹 메시지로 관리되는 기능이 메신저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메신저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은, 상기 메신저 상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멤버로 지정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멤버 중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상기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 식별자 및 그룹 식별자가 상기 대화방 및 상기 그룹 메시지에 각각 부여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대화방 식별자와 연관되어, 상기 그룹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종속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의 제 2 서브 식별자는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의 제 1 서브 식별자와 상이하게 부여되며, 상기 제1 서브 식별자 및 제2 서브 식별자는 상기 그룹 식별자에 연관되어 각 서브 메시지는 상기 그룹 메시지에 종속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의 멤버 정보가 상기 제 1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사용자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 관련된 멤버 정보가 상기 제 2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제 1 그룹 메시지 창 및 제 2 그룹 메시지 창에 각각 표시되며,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 및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에 적용하는 스타일 또는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제2 서브 메시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정된 멤버의 인원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제 3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조회가능한 열람자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람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로 지정되며,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는 상기 열람자에게만 조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공유하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인스트럭션을 구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신저 상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멤버로 지정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고, 상기 멤버 중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이상 사용 감지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메신저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컴퓨팅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사용자에 의한 그룹 메시지 생성 및 서브 메시지 편집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2는 제 2 사용자에 의한 서브 메시지 편집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편집이 종료된 그룹 메시지의 전송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제 1 사용자가 그룹 메시지에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C or combination thereof)"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랩탑(laptop),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예컨대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과 같이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는 서버로 동작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과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0a~100c)은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단말로 지칭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들 또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되어 제공되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신저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신저 제공자,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사이트, 온라인 게임, 포털 사이트, 쇼핑몰 등에서 제공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스턴트 메신저 제공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기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사이트, 온라인 게임 등은 각각 해당 서비스의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사용자들의 커뮤티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신저 서비스는 단순히 인스턴스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광의적으로 다양한 서비스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이 적어도 실현되는 서비스이라면, 상기 서비스는 기본적 형태에 무관하게 메신저 서비스를 구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이 실현되는 메신저 서비스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기본적 형태와 무관하게 상기 메신저 서비스가 구현되는 다양한 서비스에게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사용자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의 각각에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용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에는 메신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용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의 각각에 설치된 클라이언트용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대화방에 참여한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들이 각자의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메시지를 공동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100c)는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100c)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서버(20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소정의 접속 정보(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받은 접속 정보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식별된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 축적, 저장 및 조회하거나, 식별된 사용자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들(100a~100c)와 유사하게,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에서 각자의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그룹 메시지를 공동으로 편집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센서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100c)는 디바이스의 동작 및 기능과 관련된 다른 구성 또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객체 영상, 모션, 생체 형태/신호, 환경 등을 검출하는 다중 센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관련 센서는 디바이스의 2차원 위치, 고도 및 실내 시설물 내의 지점 등을 획득하는 모듈들을 가질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는 예컨대, GPS 센서, 통신 액세스 포인트 기반 위치(주소) 검지 등일 수 있다. 통신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또는 WiFi의 액세스 포인트(중계기, 기지국 등), 비컨(beacon)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객체 영상 관련 모듈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촬영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모션 데이터 관련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기본 검출값을 획득하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생체 데이터 관련 센서는 신체의 일부, 예컨대 손가락 끝단을 센싱하여 지문, 정맥, 혈압, 맥박 등을 취득하거나 눈을 통해 홍채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30)는 압력 감지 센서, 정전식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한 입력 수단(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기계식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또는 기계식 버튼의 입력을 입력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음성,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등을 가질 수 있다.
출력부(14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획득하거나 수신한 정보,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처리된 정보 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예컨대,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60) 또는 외부 요청에 의해 생성되거나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는 입력부(130)를 통해 획득한 정보 등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거나 프로세서(16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본 개시에 따른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및 메신저의 통상적인 기능을 프로세서(160)에서 구현하도록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60)가 상기 방법을 실행하여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생성한 그룹 메시지와 서브 메시지,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그룹 메시지, 상기 메시지들과 관련된 부가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 내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60)는 입력부(130) 및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요청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을 판독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상기 처리된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그룹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수신인을 지정하여 전송하도록 그룹 메시지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그룹 메시지에 포함되는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편집하도록 서브 메시지와 관련된 처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서버 또는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하여 다른 구성 및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다른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서버(2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본 개시에 따른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을 프로세서(230)에 의해 구현하도록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유사하게, 상기 방법을 실행하여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생성한 그룹 메시지와 서브 메시지,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그룹 메시지, 상기 메시지들과 관련된 부가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200) 내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처리된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메신저를 제어하고 메신저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데이터 및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그룹 메시지 및 서브 메시지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60) 및 서버(200)의 프로세서(2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기재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60, 230)라는 용어를 생략하고, 상기 방법의 과정을 수행하는 부재가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또는 서버(200)인 것으로 주로 서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의 해당 단계를 수행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서버(200)도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아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 간의 분산 처리를 통해 상기 방법이 실현되는 점을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402)에서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그룹 메시지가 생성되고 대화방(402)에 제시될 수 있다(S105).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그룹 메시지는, 제 1 사용자가 작성한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메시지는 그룹 메시지 생성과 함께 대화방(402)에 제시되거나 그룹 메시지의 제시 이후 생성되어 대화방(402)에 제시될 수도 있다. 즉, 생성된 그룹 메시지가 대화방(402)에 최초로 제시될 때, 제 1 사용자가 작성한 서브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그룹 메시지가 대화방(402)에 제시된 이후 서브 메시지가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S105 단계는 예컨대,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5 단계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사용자에 의한 그룹 메시지 생성 및 서브 메시지 편집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제 1 사용자는 도 5를 포함한 후속 도면들에서, AA이며, 이하에서는 제 1 사용자 및 AA는 혼용하여 기재될 수도 있다. 후속 도면들은 그룹 메시지(426)를 개설하는 제 1 사용자(AA), 그룹 메시지(426)의 주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당사자, 예를 들어 취업한 Lee 및 다른 사용자들이 단일 대화방(402)에 참여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제 1 사용자(AA)는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404)을 통해 컨텐츠를 입력하여, 입력된 컨텐츠가 포함된 메시지 창(406)이 대화방(402)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는 Lee의 취업 축하를 위한 그룹 메시지(426)를 생성하기 위해, 서비스 메뉴 탭(408)에 의해 서비스 메뉴에 접근하여, 그룹 메시지(426)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메뉴는 예컨대, 서브 메시지(422)와 함께 그룹 메시지(426)의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는 그룹 카드(410)에 대한 메뉴, 메시지에 첨부된 컨텐츠 및 사용자가 다른 경로를 통해 입수한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KEEP(412)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로는 예컨대 대화방(402)과 다른 메신저의 인터페이스, 메신저 외의 다른 서비스 사이트, 사용자 디바이스(100) 등일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그룹 메시지(426) 및 서브 메시지(422)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메뉴가 그룹 카드로 지칭되나,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라면, 메뉴 명칭 및 상기 메뉴에 접근하는 방식 등은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그룹 카드(410)로 접근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AA)의 메신저를 통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 1 사용자(AA)로 하여금, 그룹 메시지(426)를 생성, 관리하고,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편집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의 일부 기능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AA)는 그룹 메시지(426)의 제목,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에 관여할 사용자들, 편집 완료되는 그룹 메시지(426)에 적용되는 그룹 스타일 속성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여하는 사용자들은 그룹 메시지(426)를 구성하는 서브 메시지(422)를 편집하기 위해 지정되는 사용자들, 즉 그룹 메시지(426)의 멤버들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멤버는 대화방(402)에 속한 복수의 참가자들 중에, 제 1 사용자(AA)가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을 위해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일 수 있다. 멤버는 지정된 참가자(또는 지정된 사용자)와 함께, 그룹 메시지(426)를 개설한 제 1 사용자(AA)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1 사용자(AA)가 대화방(402)의 참가자들 중 BB, CC, DD를 멤버로 지정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서브 메시지(422)는 멤버마다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해당 멤버에 의해서만 독립적으로 편집될 수 있고, 이 경우 특정 멤버에 할당된 메시지 내의 컨텐츠, 예컨대 텍스트, 영상 등은 특정 멤버 외 다른 멤버에 의해서는 편집될 수 없다. 대화방(402)에 참가하는 사용자들이 많은 경우, 제 1 사용자(AA)는 스크롤(416)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을 조회하여, 멤버를 지정할 수도 있다. 즉, 제 1 사용자(AA)가 멤버를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각 멤버는 상기 할당된 서브 메시지(422)에 대한 편집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룹 스타일 속성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성, 편집된 서브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간략 메시지들(434, 435) 전부를 커버하여 장식하는 배경 테마(446) 등일 수 있다. 배경 테마는 구체적으로 이미지, 색상 및 음악 등을 포함하는 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경 테마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나열되며, 제 1 사용자(AA)는 나열된 테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 1 사용자(AA)에게 서브 메시지 생성키(418)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의 생성키(418)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AA)에게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편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컨대 카드 메시지 작성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 1 서브 메시지(422)에 적용가능한 스타일(420)을 표시하여, 제 1 사용자(AA)로 하여금 스타일(420)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스타일(420)은 예컨대, 다른 서브 메시지와 구별되도록,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장식하는 이미지, 색상, 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 1 사용자(AA)가 점선 내의 스타일(420)을 선정한 것임을 예시하고 있다.
제 1 서브 메시지(422)는 제 1 사용자(AA)가 컨텐츠 메뉴 키(424)를 이용하여 텍스트, 영상, 이미지, 아이콘 스티커 또는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메시지(422)에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 15의 444에 예시)이 삽입되도록 제 1 서브 메시지(422)가 생성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편집을 종료하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도 17과 유사하게, 제 1 서브 메시지(422)와 관련된 제 1 간략 메시지(434)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예를 들면, 제 1 서브 메시지(422)에 포함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7에 예시된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제 1 사용자(AA)가 선택한 스타일(420) 내에 제 1 서브 메시지(422)로 입력된 텍스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도 17과 유사하게, 복수의 서브 영역(452)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멤버들을 지정하면, 제 1 사용자(AA)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멤버들의 인원수에 상응하는 서브 메시지의 서브 영역(452)을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452)은 설정한 인원수만큼 1차적으로 할당되며,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멤버, 예컨대 제 1 사용자(AA) 및 제 2 사용자(BB)가 제 1 및 제 2 서브 메시지들(422)의 편집을 완료하면, 멤버가 선택한 서브 영역(452 또는 436)은 서브 메시지와 연관된 간략 메시지(434. 435)로 대체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가 임의로 서브 영역(452, 436)을 선정하여, 간략 메시지(434, 435)는 상기 선정된 서브 영역(45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서브 영역은 완료된 그룹 메시지 내에서 서브 메시지(422)가 정렬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되는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정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제 1 사용자(AA)가 서브 영역들(452) 간에 제 1 간략 메시지(434)를 이동시켜 서브 영역(452)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제 1 서브 메시지(422)가 작성된 후, 정렬 위치가 선정되는 것으로 서술되나, 상기 과정들은 역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즉, 제 1 사용자(AA)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정렬 위치가 선정된 후, 해당 위치에 서브 메시지(422)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브 영역(452)은 단순히 멤버의 인원수와 서브 메시지(422)의 편집을 수행한 멤버만을 표시할 뿐,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정렬 위치는 다른 도구, 예컨대 그룹 메시지의 전체 프레임을 조정하는 툴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생성 또는 편집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완료되면, 제 1 사용자(AA)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AA)가 개설한 그룹 메시지(426)를 식별하도록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식별자는 예컨대 제 1 사용자(AA)가 명명한 제목으로 설정되거나 고유 정보로서 그룹 메시지 번호로 생성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대화방(402)을 식별하는 대화방 식별자와 그룹 식별자를 연관시켜, 그룹 메시지를 대화방(402)에 종속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방(402)이 폐쇄되는 경우, 생성 중인 그룹 메시지는 적어도 소멸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AA)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그룹 메시지(426)에 생성될 예정인 다른 멤버의 서브 메시지와 구별되도록, 제 1 서브 식별자를 제 1 서브 메시지(422)에 부여하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 1 서브 식별자를 그룹 식별자와 연관시켜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그룹 메시지(426)에 종속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별로 할당되며 편집가능한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그룹 메시지(426)가 대화방(402)과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편집이 완료되면, 서버(200)는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426)를 대화방(402)과 연계하도록 생성하고, 그룹 메시지(426)를 제 1 메시지로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메시지(426)를 대화방(402)에 소정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대화방(402)에 표시되는 그룹 메시지(426)는 통상적인 메시지 창(406)과 유사하게, 단일의 그룹 메시지 창(427)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간략 메시지(434)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 창(427)을 대화방(40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룹 메시지(426)를 단일의 창으로 표시하도록,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전체 컨텐츠가 대화방(402)에 표시되지 않고,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적어도 일부로 생성된 제 1 간략 메시지(434)가 그룹 메시지 창(42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대표하며, 예컨대,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특징이거나 제 1 간략 메시지(434)의 사이즈에 따라 절단된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컨텐츠량이 적어 제 1 간략 메시지(434)에 전부 삽입되면,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간략 메시지(434)는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생성한 멤버 정보(432)를 제공할 수 있다. 멤버 정보(432)는 서브 식별자와 연관되어 관리되며, 예컨대, 대화방(402)에서 사용하는 멤버의 대화명 또는 프로필 등일 수 있다.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생성한 멤버 정보(432)는 도 9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대화명인 "AA"이고, 제 1 간략 메시지(434)의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이 전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제 1 사용자(AA)가 아닌 멤버 및 대화방(402)의 참가자는 대화방(402)에 제공된 제 1 간략 메시지(434)로 제 1 서브 메시지(422)를 확인할 수 없다. 후술하겠으나, 멤버는 예컨대, 그룹 메시지(426)를 통해 접근되는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멤버의 서브 메시지(422)를 조회할 수 있다.
대화방(402)의 참가자 및 멤버가 그룹 메시지(426)의 개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룹 메시지(426)는 제목 및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에 관여하는 전체 멤버 정보를 포함하는 요약 정보(428)를 그룹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요약 정보(428)는 그룹 식별자와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전체 멤버 정보는 예컨대, 대화방(402)에서 사용하는 멤버의 대화명 또는 프로필 등일 수 있다. 요약 정보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룹 메시지(426)의 제목인 "Lee 취업 축하!!" 및 그룹 메시지(426)에 관여하는 모든 멤버의 대화명 "AA, BB, CC, DD"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룹 메시지의 창(426)의 하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요약 정보(428)는 상술한 예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대화방(402)의 참가자 및 멤버가 그룹 메시지(426)의 진행 상태 및 공유 대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그룹 메시지(426)는 서브 메시지(422)를 생성한 멤버의 멤버 정보, 진행 현황, 편집 완료된 그룹 메시지(426)의 수신인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그룹 식별자와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현재까지 그룹 메시지(426)에 포함되는 서브 메시지(422)를 생성한 멤버 정보(432) 및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된 멤버수는 도 9에서와 같이, 각각 제 1 사용자의 대화명 "AA" 및 "1"이고, 그룹 메시지의 창(426)의 좌상단 에지에 표시될 수 있다. 진행 현황은, 제 1 사용자(AA)에 의해 지정된 각 멤버가 서브 메시지(422)의 작성 및/또는 편집을 완료한 것에 응답하여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을 종료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모든 멤버의 서브 메시지(422)가 생성되지 않더라도, 제 1 사용자(AA)가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을 종료시킬 수 있다.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이 완료됨에 따라,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룹 메시지(426)에 관여한 멤버 정보(432)대신에, 그룹 메시지(426)의 수신인 정보(433)가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된 그룹 메시지 창(447)의 에지 중 적어도 일부(창(447)의 좌상단 에지)에 "LEE만 확인 가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진행 현황은 도 9, 도 13 및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장(430), 종료(438) 또는 카드보기(450)로 표현될 수 있다.
입장(430)은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이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대화방(402)의 참가자 중 그룹 메시지(426)의 멤버로 지정된 사용자에게만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입장(430)으로 표시된 그룹 메시지(426)는 멤버의 서브 메시지의 생성 요청을 접수하는 인터페이스로 기능되며, 멤버의 요청만을 허용하도록 동작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멤버는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입장(430)으로 표시된 그룹 메시지 창(427)을 터치하여, 서브 메시지의 편집 인터페이스로 진입할 수 있다. 멤버 외의 참가자는 입장(430)으로 표시된 그룹 메시지 창(427)를 터치하더라도,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가 멤버 외 참가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멤버는 입장으로 표시된 그룹 메시지 창(427)을 통해 편집 인터페이스로 접근하여, 서브 메시지를 재편집할 수도 있다.
종료(438)는 제 1 사용자의 요청 또는 종료 조건의 충족에 의해, 그룹 메시지를 구성하는 서브 메시지(422)에 대한 편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룹 메시지의 편집 완료에 응답하여, 진행 현황은 그룹 메시지 창(도 13의 427c 참조)을 통해, 입장(430)에서 종료(438)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427c)는 조회가능한 열람자에게만 조회를 허용할 수 있다. 열람자는 대화방(402)의 참가자 중,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일부의 참가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열람자는 도 13에 예시된 종료(438)의 그룹 메시지 창(427c)을 터치하여, 그룹 메시지(427c)를 확인할 수 있다.
카드보기(450)는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이 종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카드보기(450)는 해당 그룹 메시지(426)의 적어도 일부 서브 메시지를 조회하도록 허용된 수신인에게만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상술한 예로 표시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 권한을 갖는 제 2 사용자를 포함하는 다른 멤버의 요청에 의해, 제 2 서브 메시지가 생성되고, 제 2 서브 메시지에 따라 그룹 메시지(426)가 갱신되어 대화방(402)에 제시할 수 있다(S110).
S110 단계는 예컨대, 제 2 사용자를 포함하는 다른 멤버의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와 관련하여,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 2 사용자에 의한 서브 메시지 편집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제 2 사용자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BB로 예시되며, 제 2 사용자 및 BB는 혼용하여 기재될 수도 있다.
그룹 메시지(426)의 멤버인 제 2 사용자(BB)의 요청에 의해, 제 2 사용자(BB)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 2 사용자(BB)의 메신저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사용자는 도 9에 예시된 입장(430)이 가능한 그룹 메시지 창(447)을 통해, 도 10에 예시된 편집 인터페이스로 진입할 수 있다.
편집 인터페이스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간략 메시지(434)가 차지하는 서브 영역과 함께, 차지되지 않는 서브 영역들에 마련된 서브 메시지 생성키들(436)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성키들(436)은 예컨대, 완료된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하여 서브 메시지가 정렬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서브 영역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 2 사용자(BB)가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하여 제 2 서브 메시지(422)의 정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BB)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 1 간략 메시지(434)의 서브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사용자(BB)가 제 1 간략 메시지(434)를 다른 서브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사용자(BB)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간략 메시지(434)가 소멸된 서브 영역에 서브 메시지 생성키(436)를 표시하고, 제 1 간략 메시지(434)가 이동한 서브 영역에 해당하는 생성키(436)를 불활성화하여 소멸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사용자(BB)는 제 1 간략 메시지(434)를 터치하여, 제 1 서브 메시지(422)의 컨텐츠 전부를 열람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BB)는 예를 들면, 복수의 추가 서브 메시지 생성키들(436) 중에서 점선 내의 표시된 생성키(436)를 선택하여, 선택된 생성키(436)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에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사용자(BB)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생성키(436)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사용자(BB)에게 도 8에 예시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BB)는 예컨대, 제 2 서브 메시지에 적용할 스타일(420)을 선택하고, 컨텐츠 메뉴 키(424)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기록된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텍스트, 영상, 이미지, 아이콘 스티커 또는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제 2 서브 메시지의 정렬 위치가 결정된 후, 컨텐츠가 작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과정들은 역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 2 서브 메시지에 포함되는 컨텐츠가 작성된 후, 제 2 서브 메시지의 정렬 위치가 제 2 사용자(BB)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제 2 사용자(BB)가 제 2 서브 메시지의 편집을 종료하면,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메시지와 관련된 제 2 간략 메시지(435)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간략 메시지(435)는, 예를 들면 제 2 서브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제 2 간략 메시지(435)는 제 1 간략 메시지(43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제 2 간략 메시지(435)는 제 2 사용자(BB)가 선택한 스타일 내에 제 2 서브 메시지로 입력된 텍스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기 생성된 제 2 간략 메시지(435)의 정렬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사용자(BB)가 도 11에 예시된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 및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제 2 간략 메시지(435)를 다른 서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서브 영역은 현재 제 2 간략 메시지(435)를 제외한 모든 서브 영역이며, 제 1 간략 메시지(434)의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간략 메시지(435)의 이동에 따른 편집 인터페이스에서의 동작은 도 10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 2 서브 메시지는 완료된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하여 변경된 서브 영역에 해당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BB)가 제 2 간략 메시지(435)의 위치 변경없이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종료한 후, 제 2 사용자(BB)는 제 2 간략 메시지(435)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 2 사용자(BB)가 그룹 메시지 창(446)을 통해 재입장하여, 도 11에 예시된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제 2 간략 메시지(435)를 위치를 다른 서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서브 메시지(422)의 정렬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BB)가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종료한 후, 서버(200)는 제 2 서브 메시지에 기초하여 그룹 메시지(426)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각 멤버의 서브 메시지가 편집될 때마다, 각 서브 메시지에 서브 식별자를 부여하고, 부여된 서브 식별자를 그룹 식별자와 연관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제 2 서브 메시지에 제 2 서브 식별자를 부여하고, 제 1 및 제 2 서브 식별자를 그룹 식별자와 연관하여, 제 1 및 제 2 서브 메시지들을 그룹 메시지(426)에 종속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서브 식별자는 각 서브 메시지를 편집한 멤버 정보와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서버(200)는 신규 서브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화방(402)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그룹 식별자와 연관되는 그룹 메시지(426)의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대화방(402)의 참가자 및 멤버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갱신된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갱신된 상태 정보는 이전 그룹 메시지(426)가 포함된 대화방(402)에 반영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신규 서브 메시지가 생성될 때, 대화방(402)에 종속된 그룹 메시지(426)와 연관하여 새로운 서브 메시지(422)를 편집한 멤버 정보와 진행 현황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 1 서브 메시지(422)만 포함된 그룹 메시지(426)와 별도의 창을 통해, 갱신된 그룹 메시지(426a)를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 1 및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여 갱신된 그룹 메시지(426a)를 대화방(402)과 연계하도록 생성하고, 갱신된 그룹 메시지(426a)를 제 2 메시지로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2 메시지에 포함된 갱신 그룹 메시지(426a)를 대화방(402)에 소정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룹 메시지(426a)는 대화방(402)에서 갱신된 그룹 메시지 창(427a)로 표시될 수 있다. 갱신된 그룹 메시지의 창(427a)은 갱신되는 시점에 따라, 대화방(402)에서 다른 메시지 창(406) 및 이전 그룹 메시지(426)의 시간 순서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갱신된 그룹 메시지의 창(427a)은 도 12에서와 같이, 현재까지 편집된 서브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간략 메시지들(434, 435)을 단일의 창에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갱신된 그룹 메시지 창(427a)에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간략 메시지들(434, 435)은 도 11의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시된 간략 메시지들과 동일한 양의 컨텐츠를 나타내거나, 대화방(402)에 제시되는 갱신 그룹 메시지(427a)의 사이즈에 맞게 상이한 양의 컨텐츠를 나타낼 수도 있다.
제 2 간략 메시지(435)는 제 1 간략 메시지(434)와 마찬가지로,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한 멤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한 멤버의 대화명인 "BB"는 제 2 간략 메시지(435)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갱신된 그룹 메시지(426a)는 갱신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태 정보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한 멤버 정보(432)로서 멤버 "BB"를 추가하여, 그룹 메시지 창(4267)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 메시지에 의해 증가한 멤버수인 "2"가 상태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에 의한 그룹 메시지(426a)의 편집 종료가 없어, 진행 현황은 이전 상태 정보와 동일하도록 "입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대화방(402)의 참가자는 갱신된 그룹 메시지의 창(427a)으로 그룹 메시지의 편집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가자는 상태 정보로 서브 메시지를 편집한 멤버를 알 수 있다. 또한, 참가자는 그룹 메시지창(427a)에서의 스크롤(436)을 작동시켜 복수의 간략 메시지들(434, 435)을 전부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참가자는 현재까지 누적된 서브 메시지들에 포함된 컨텐츠 전부를 볼 수는 없으나, 서브 메시지들의 개략적인 내용 및 해당 서브 메시지를 작성한 멤버를 확인할 수는 있다. 상술한 예는 참가자가 대화방(402)에서 간략 메시지들(434, 435)을 확인하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 참가자가 그룹 메시지 창(426)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면, 간략 메시지들(434, 435)을 전부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멤버의 일원인 제 3 및 제 4 사용자들인 CC, DD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브 메시지들을 편집할 수 있다. 각 서브 메시지들이 편집될 때마다, 서버(200)는 해당 멤버 정보가 부가된 간략 메시지와 변경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대화방(40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멤버가 서브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재편집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서브 메시지의 편집 및 간략 메시지의 생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재편집에 따른 서브 메시지 및 간략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재편집된 서브 메시지에 따라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고, 상술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대화방(402)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AA)의 요청 또는 종료 조건의 발생을 통해,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을 종료시킬 수 있다(S115).
도 13 내지 도 16은 편집이 종료된 그룹 메시지의 전송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제 1 사용자(AA)가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426b)를 종료하는 처리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 예시된 제 1 사용자(AA)의 대화 내용과 같이, 제 1 사용자(AA)는 모든 멤버의 서브 메시지들의 편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메신저의 서비스 메뉴 탭(408) 또는 입장 가능한 그룹 메시지 창(427b)을 통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제 1 사용자(AA)가 도 13에 도시된 서비스 메뉴 탭(408)를 통해 접근되는 그룹 카드(410)의 하위 메뉴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을 종료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그룹 카드(410)의 하위 메뉴는 다양한 기능 및 목록을 구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위 메뉴의 하나인 수신 카드 리스트는 다른 사용자가 개설하여 제 1 사용자를 수신인으로 지정한 그룹 메시지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작성 완료 카드 리스트는 제 1 사용자가 개설하였거나 멤버로 관여하여 적어도 편집이 완료된 그룹 메시지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완료 카드 리스트의 그룹 메시지는 수신인이 지정되거나 미지정된 메시지를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는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 종료를 위해, 진행 중인 그룹 카드 리스트를 선택하고, 진행 중인 그룹 카드 리스트에서 대화방(402)에서 진행 중인 그룹 메시지를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선정된 그룹 메시지와 관련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 1 사용자(AA)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지정 수신인에게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그룹 메시지(426)의 포맷을 미리보기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포맷은 멤버들의 서브 메시지들과 연관된 간략 메시지들(434, 435), 이들의 배열 및 제 1 사용자(AA)가 지정한 배경 테마(4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상기 포맷에 위치된 간략 메시지(434, 435, 444)를 선택하면, 제 1 사용자(AA)는 해당 서브 메시지의 전체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AA)의 요청에 의해, 배경 테마(446)에서 적어도 하나의 간략 메지시의 위치를 재정렬하도록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는 상기 포맷을 확인하고, 예컨대 편집 완료(443)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멤버 전부의 서브 메시지들이 편집된 후에 제 1 사용자가 전체 편집을 종료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멤버 일부만이 편집한 서브 메시지들이 존재하더라도, 제 1 사용자가 전체 편집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시 되지 않았으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 또는 그룹 메시지와 연관된 서브 메시지의 생성 및/또는 편집은 제 1 사용자(AA) 또는 다른 멤버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종료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종료 조건은 예컨대, 마감 기한, 모든 멤버의 최종 편집 완료 등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AA)는 S110 단계의 그룹 메시지 생성 과정에서, 그룹 메시지의 편집의 종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AA)는 그룹 메시지와 연관된 서브 메시지의 생성 및/또는 편집의 종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 1 사용자(AA)는 편집 완료된 그룹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조회할 수신자를 지정하도록, 도 15에 예시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마련된 공유 키(45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룹 메시지의 공유를 위한 수신자의 지정 및 전송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사용자(AA)는 공유 키(450)를 통해 수신자를 지정하지 않고, 나가기 키(445)를 통해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서버(200)는 제 1 사용자(AA)의 종료 요청을 수신하거나 종료 조건의 충족을 검출하면, 서버(200)는 그룹 메시지(426b)의 상태 정보를 편집 종료로 변경하여,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426c)를 대화방(402)에 제 3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방(402)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3 메시지에 포함된 편집 종료의 그룹 메시지(426c)를 종료(438)의 상태 정보가 나타나는 그룹 메시지 창(427c)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종료(438)로 표시되는 그룹 메시지 창(427c)은 조회가능한 열람자에게만 조회가 허용될 수 있다. 열람자는 멤버에만 국한되지 않고, 멤버 아닌 대화방(402)의 참가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사용자(AA)는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을 종료하기 위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열람 권한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방(402)에 참여한 참가자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자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이 종료 조건에 의해 종료되는 경우, 제 1 사용자(AA)는 S110 단계의 그룹 메시지 생성 과정에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열람 권한 기능을 이용하여, 열람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신저의 설정에 따라 열람자의 범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열람자는 도 13에 예시된 종료(438)의 그룹 메시지 창(427c)을 터치하여, 그룹 메시지(426c)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의 요청 또는 메신저의 설정에 의해, 서브 메시지 또는 간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만 열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그룹 메시지에서 조회가능한 메시지의 범위가 열람자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멤버는 간략 메시지와 서브 메시지 전체를 조회할 수 있고, 멤버 아닌 열람자는 간략 메시지로만 제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AA)의 요청에 의해,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427c)를 최종적으로 공유하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제 1 사용자(AA)가 선택한 방식에 의해 그룹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120).
수신자를 지정하기 위해,제 1 사용자(AA)는 예를 들어, 도 13 또는 도 15에 예시된 공유 키(440, 450)를 이용할 수 있다. 메신저는 공유 키(440, 450)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사용자(AA)가 수신인 또는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데 이용하는 지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원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의 일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AA)는 지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를 공유한 수신인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사용자(AA)는 대화방(402)의 전체 또는 일부 참가자, 대화방(402) 외의 제 3 자를 수신인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6은 대화방(402)에 참여하고 있으며 축하 인사를 받을 Lee가 수신인으로 지정되어, 카드 보기(450)의 대상자인 Lee가 그룹 메시지 창(447)에 부기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AA)는 지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지정된 수신인에게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는 그룹 메시지(426~426c)가 표시된 대화방(402)에서 그룹 메시지를 수신인과 공유하는 방식 및 대화방(402) 외의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메시지를 공유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수신인을 포함하는 별도의 대화방, 수신인의 메신저 보관소인 KEEP(412), 수신인의 메일 등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수신자 및 전송 방식을 설정하여 그룹 메시지(445)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인은 그룹 메시지에 포함된 서브 메시지들을 전부 열람할 수 있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인이 대화방(402)의 참가자 Lee이고, 전송 방식이 대화방(402)을 통해 공유인 경우, 공유된 그룹 메시지(445)가 대화방(402)에 그룹 메시지 창(447)으로 표시되더라도, 카드 보기(450)가 표시된 그룹 메시지(446)의 진입은 Lee에게만 허용되어, 서브 메시지의 전체를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Lee는 예컨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15에 예시된 간략 메시지들(434, 435) 및 배경 테마(446)를 갖는 그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각 간략 메시지(434, 435)를 터치하여 서브 메시지의 전체 컨텐츠, 예를 들어 도 8의 제 1 서브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Lee는 대화방(402)의 그룹 메시지(445)를 다운로드하여, 도 15에 예시된 수신 카드 리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 방식의 경우, 그룹 메시지(445)는 다른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더라도, Lee는 상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그룹 메시지(445)의 전체 컨텐츠를 조회할 수 있고, 그룹 메시지(445)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 1 사용자(AA)가 편집 완료(443)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을 종료하고, 그룹 메시지(445)를 공유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다. 다른 예로, 도 15에 예시된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편집 완료(443)가 생략될 수 있다. 이 예에 의하면, 제 1 사용자(AA)는 서브 메시지들을 최종 확인한 후, 공유 키(450)을 통해 수신인 및 전송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S115 및 S120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인 지정 및/또는 전송 방식은 상술한 개시와 달리,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 종료 전에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인 지정 및 전송 방식은 S105 단계에서 예약 설정되거나, S115 단계 이전에 제 1 사용자(AA)에 의해 예약 설정될 수도 있다. 그룹 메시지(426b)의 편집이 종료되면, 제 1 사용자(AA)는 전송 실행 키 등을 터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예약 설정된 수신인 및 전송 방식으로 그룹 메시지(445)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 1 사용자가 그룹 메시지에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기 개설된 그룹 메시지(426)의 편집에 관여하는 현 멤버는 총 4명으로 AA, BB, CC, DD이고, 대화방(402)의 참가자 EE의 요청에 의해, 제 1 사용자인 AA가 EE를 멤버로서 추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 1 사용자는 서비스 메뉴 탭(408) 또는 입장가능한 그룹 메시지(426)를 이용하여 도 17에 예시된 멤버 추가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 멤버 추가 기능은 호스트 편집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멤버 추가와 관련된 추가 인터페이스는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지정된 멤버의 인원수 4명에 할당된 서브 영역들(452)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인터페이스는 서브 영역(452)을 차지하는 간략 메시지들(434, 43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 인터페이스는 대화방(402)에서 멤버로 지정되지 않은 참가자 리스트(454)를 제공하고, 리스트에서 제 1 사용자(AA)에 의해 선택된 EE(음영 표시)를 멤버로 추가할 수 있다.
추가 요청에 의해, 서버(200)는 추가 인터페이스로 하여금 추가 서브 영역(456)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AA)가 완료 키에 의해 멤버 추가를 완료하면, 멤버 EE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 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동일 주제, 예컨대 축하 또는 위로 등과 관련된 복수의 메시지가 대화방(402)에 많은 메시지 창으로 생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시지가 다른 주제의 메시지 창과 혼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간략 메시지들이 단일의 그룹 메시지 창에 포함되어, 참가자는 간략 메시지들을 편의성있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축하 메시지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메시지들이 패키지화된 그룹 메시지로 대화방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됨으로써, 수신인은 서브 메시지를 용이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메시지의 관리 편의성도 증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장치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21)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상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멤버로 지정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멤버 중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상기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대화방 식별자 및 그룹 식별자가 상기 대화방 및 상기 그룹 메시지에 각각 부여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대화방 식별자와 연관되어, 상기 그룹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종속되어 관리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의 제 2 서브 식별자는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의 제 1 서브 식별자와 상이하게 부여되며, 상기 제1 서브 식별자 및 제2 서브 식별자는 상기 그룹 식별자에 연관되어 각 서브 메시지는 상기 그룹 메시지에 종속되어 관리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의 멤버 정보가 상기 제 1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사용자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 관련된 멤버 정보가 상기 제 2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제 1 그룹 메시지 창 및 제 2 그룹 메시지 창에 각각 표시되며,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 및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에 적용하는 스타일 또는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제2 서브 메시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정된 멤버의 인원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제 3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조회가능한 열람자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람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로 지정되며,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는 상기 열람자에게만 조회되도록 설정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공유하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상 사용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비일시적(non-transitory)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인스트럭션을 구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신저 상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멤버로 지정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고,
    상기 멤버 중 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그룹 메시지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대화방 식별자 및 그룹 식별자가 상기 대화방 및 상기 그룹 메시지에 각각 부여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대화방 식별자와 연관되어 상기 그룹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종속되어 관리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의 제 2 서브 식별자는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의 제 1 서브 식별자와 상이하게 부여되며, 상기 제1 서브 식별자 및 제2 서브 식별자는 상기 그룹 식별자에 연관되어 각 서브 메시지는 상기 그룹 메시지에 종속되어 관리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1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제공하는 것은,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의 멤버 정보가 상기 제 1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사용자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된 그룹 메시지를 상기 제 2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대화방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 관련된 멤버 정보가 상기 제 2 메시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각각의 멤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제 1 그룹 메시지 창 및 제 2 그룹 메시지 창에 각각 표시되며,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그룹 메시지 창은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 및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되는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서브 메시지에 적용하는 스타일 또는 상기 그룹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제2 서브 메시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대화방과 연계하도록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메신저에서 제공되는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용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정된 멤버의 인원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고,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제 3 메시지로서 상기 대화방으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태가 편집 종료로 변경됨을 인지하는 것은,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를 조회가능한 열람자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람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로 지정되며, 상기 편집 종료된 그룹 메시지는 상기 열람자에게만 조회되도록 설정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그룹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공유하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상기 그룹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220134862A 2022-10-19 2022-10-19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KR20240054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862A KR20240054640A (ko) 2022-10-19 2022-10-19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PCT/KR2023/010160 WO2024085361A1 (ko) 2022-10-19 2023-07-17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862A KR20240054640A (ko) 2022-10-19 2022-10-19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640A true KR20240054640A (ko) 2024-04-26

Family

ID=907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862A KR20240054640A (ko) 2022-10-19 2022-10-19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4640A (ko)
WO (1) WO20240853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562A (ko) * 2009-05-15 2010-1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자간 컨텐츠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1755343B1 (ko) * 2015-12-15 2017-07-10 최현규 할일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056273A (ko) * 2016-11-18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595850B (zh) * 2020-04-30 2022-11-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装置、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20220097619A (ko) * 2020-12-30 2022-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 기반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문서 편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361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9634B (zh) 基於擴增實境的虛擬對象分配方法及裝置
TWI544428B (zh) 訊息服務系統及用於擴充人員新增操作之方法
US20210352244A1 (en) Simulating real-life social dynamics in a large group video chat
KR101537482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US106647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KR101565665B1 (ko)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서 커뮤니컨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
US9083844B2 (en) Computer-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6209800B (zh) 设备权限共享方法和装置
US105652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1252549B (zh) 表情图片缩略图的位置调整方法及即时通信系统
US11539764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5004145A (zh) 针对远程内容源设备的子显示屏指定
KR101614287B1 (ko) 채팅방 간편 이동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8108012A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US1074079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40015737A (ko)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단말기와 각각의 제어 방법
CN114846433A (zh) 指定子显示屏的基于手势的方法和系统
CN114930280A (zh) 子显示屏通知处理
WO2016153678A1 (en) Video-based social interaction system
KR102136413B1 (ko) 다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TWI589337B (zh) 即時通訊工具服務提供方法、即時通訊工具系統及電腦可讀記錄媒體
WO2023202721A1 (zh) 文件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40054640A (ko) 메신저에서의 그룹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KR20240065706A (ko) 메신저에서의 공통 메시지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팅 디바이스
US1163623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image data with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