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479A -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479A
KR20240054479A KR1020220134457A KR20220134457A KR20240054479A KR 20240054479 A KR20240054479 A KR 20240054479A KR 1020220134457 A KR1020220134457 A KR 1020220134457A KR 20220134457 A KR20220134457 A KR 20220134457A KR 20240054479 A KR20240054479 A KR 2024005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vaccine
linker peptide
vse
immu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진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479A/ko
Publication of KR2024005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1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0011Coronaviridae
    • C12N2770/20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바이러스 백신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링커 펩티드는 바이러스에 부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져,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면역 증강 물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링커로서 사용되어 백신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링커 펩티드를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술에 접목시키면 바이러스 표면에 면역 증강 물질을 부착할 수 있어, 면역 증강된 백신 플랫폼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Surface engineering based adjuvanted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vaccine}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바이러스 백신에 관한 것이다.
돼지 유행성 설사병(porcine epidemic diarrhea: PED)은 원인체인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의 감염에 의하여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되는 돼지의 전염병으로 구토와 수양성 설사가 주요한 증상이다. 또한, 이 질병은 1992년 처음으로 국내에서 발생된 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바 있으며, 포유자돈의 설사병 중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질병으로서, 양돈 농가에 많은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돼지 유행성 설사병을 일으키는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는 주로 소장 융모세포에 증식하여 융모 상피세포를 변성 또는 괴사시켜 융모의 위축과 탈락을 동반하고, 흡수장애를 초래하여 지속적인 수양성 설사를 일으킨다. 돼지의 연령에 상관없이 장염을 일으키며 심한 설사와 탈수 현상을 동반하고 심지어 자돈에서의 치사율은 80~90%에 이른다.
특히, 돼지 유행성 설사병은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방과 차단방역을 통하여 피해를 경감시켜야 하지만, 조직배양상 증식 및 세포변성효과가 미약하여 실험실 내 진단에 최소 일주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감염증과 임상 증상이 동일한 관계로 방역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현재, 돼지 유행성 설사병에 대한 백신은 생독 백신과 사독 백신의 두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두 백신의 효능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수 있겠으나 코로나바이러스 특성상 바이러스 타이터 (titer)가 낮은 이유로 면역 자극이 낮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어쥬번트의 사용이 진행되고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기존의 백신 보다 훨씬 면역력이 좋은 새로운 플랫폼의 백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다른 단백질과 친화성이 높으며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신규 링커 펩티드를 제조하고, 상기 링커 펩티드와 함께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여 면역 증강 물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도입하는 새로운 백신 제조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상기 백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백신 조성물의 우수한 항원성을 검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및 상기 링커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 및 상기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펩티드"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 또는 액상 합성 기술 (US 등록특허 제5,516,891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를 규명하였다. 여기서,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은 바이러스 고유의 항원성은 유지한 상태로, 바이러스의 표면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링커(linker)" 또는 "링커 펩티드(linker peptide)"는 별개의 폴리펩티드 영역을 연결하는 펩티드로서,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과 면역 증강 물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또한 상기 링커 펩티드의 말단, 예를 들어 N-말단 영역은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 내 지질막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도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커 펩티드는 20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1로 구성된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상기 서열과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8% 이상, 가장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단백질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동성"이란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이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한 정도를 의미하는데, 상동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 해당 유전자의 발현 산물 및 단백질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동성은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염기 서열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수(score), 동일성(identity) 및 유사도(similarity) 등의 매개 변수(parameter)들을 계산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구체적으로 BLAST 2.0을 이용하거나, 정의된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하에서 썼던 혼성화 실험에 의해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으며, 정의되는 적절한 혼성화 조건은 해당 기술 범위 내이고,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예컨대, J.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New York, 1989; F.M.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링커 펩티드는 다른 단백질들과 친화성이 높으며, 특히,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될 수 있어 바이러스 표면에 대하여 면역 증강 물질을 연결시켜 기존의 바이러스 백신보다 면역원성이 향상된 백신 조성물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링커 펩티드는 예를 들어, 바이러스, 바이러스 유래 서브 유닛 또는 항원, 바이러스 유사 입자에 면역 증강 물질을 연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커 펩티드는 바이러스 유래 항원과의 결합능을 지님과 동시에 항원 자체로부터 비롯되는 항원성은 유효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바, 백신 조성물로서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및 상기 링커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융합 단백질에도 공히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증강 물질" 또는 "어쥬번트(adjuvant)"는 면역반응 형성에서 면역원을 보조할 수 있는 물질로, 항원의 생물학적 또는 면역학적 반감기 증가; 항원 제공 서열로의 항원 전달 개선; 항원 제공 세포에 의한 항원 프로세싱 및 제공의 개선; 및 면역 조절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유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작과 같은 여러 기작을 통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면역 증강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또는 기타 다른 알루미늄 염, 인산칼슘, DNA CpG 모티프,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콜레라 독소, 대장균 열불활화 독소, 백일해 독소, 뮤라밀 디펩티드, 프로인트 불완전 어쥬반트, MF59, SAF, 면역자극성 복합체, 리포좀, 생체분해성 미소구, 사포닌, 비이온성 블록 공중합체, 뮤라밀 펩티드 유사체, 폴리포스파젠, 합성 폴리뉴클레오티드, 항체의 Fc 영역, 플라젤린(flagellin), IFN-γ, IL-2(interleukin-2) 또는 IL-12(interleukin-12)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Fc 영역, 플라젤린(flagellin) 및 IL-2(interleukin-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융합 단백질 내 링커 펩티드의 N-말단은 바이러스 표면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고, 링커 펩티드의 C-말단은 면역 증강 물질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커 펩티드는 (바이러스 표면 또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링커 펩티드)-(면역 증강 물질)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EDV 및 SARS-CoV-2 등 다양한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백신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 펩티드 및 상기 항원 펩티드의 항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면역 증강 물질로서 IgG의 Fc 유래 단백질을 사용하여, 일 양상에 따른 링커 펩티드에 의해 바이러스 표면에 면역 증강 물질이 부착된 백신 조성물의 증가된 면역원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링커 펩티드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가 결합한 고분자 물질로서, 유전 정보를 코딩하고 있는 DNA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커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구성하는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기재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뿐만 아니라, 상기 서열과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8% 이상, 가장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염기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각 단백질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구성하는 염기 서열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커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돈의 축퇴성(degeneracy)으로 인하여 상기 단백질을 발현시키고자 하는 생물에서 선호되는 코돈을 고려하여, 코딩영역으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코딩영역에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각 단백질들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이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서열로부터 조제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브리드화하여, 상기 단백질과 동일한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문헌(예컨대, J. Sambrook et al., 상동)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끼리, 4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 특히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인 60℃, 1X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X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X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혼성화는 비록 혼성화의 엄격도에 따라 염기 간의 미스매치(mismatch)가 가능할지라도,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상보적 서열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용어, "상보적"은 서로 혼성화가 가능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NA에 관하여, 아데노신은 티민에 상보적이며 시토신은 구아닌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전체 서열에 상보적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동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5℃의 Tm 값에서 혼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혼성화 조건을 사용하고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m 값은 60℃, 63℃ 또는 6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혼성화하는 적절한 엄격도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또는 인핸서와 같은 발현 조절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발현용 벡터일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벡터는 벡터를 함유 하는 숙주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동물세포, 예를 들어, 포유동물 세포에서 작동가능한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합한 프로모터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및 포유동물 세포의 지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며, 예컨대, CMV (Cytomegalovirus) 프로모터, U6 프로모터 및 H1 프로모터, MLV(Murine Leukemia Virus) LTR(Long terminal repeat)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초기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RSV 프로모터, EF1 알파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베타-액틴 프로모터, 인간 IL-2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FN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L-4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림포톡신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GM-CSF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PGK) 프로모터, 마우스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PGK) 프로모터 및 설바이빈 (Survivin) 프로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에서, 전술한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프로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은 핵산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과 다른 핵산 서열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번역을 조절하게 된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본래의 세포가 가지고 있던 것과 다른 종류의 외래 유전자가 있는 DNA사슬 조각 또는 플라스미드가 세포들 사이에 침투되어 원래 세포에 존재하던 DNA와 결합함으로써 세포의 유전형질을 변화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형질전환은 상기 서열번호 1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 서열 및 상기 아미노산 서열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세포 내로 삽입되어 이를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숙주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E.Coli)나 효모 (Yeast)등의 미생물, CHO 세포, F2N 세포, 및 HEK293 세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상은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 및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및 상기 링커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백신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백신"은 생체에 면역을 주는 항원을 함유한 생물학적인 제제로서, 감염증의 예방을 위하여 사람이나 동물에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함으로써 생체에 면역이 생기게 하는 면역원 또는 항원성 물질을 말한다. 생체 내 면역은 병원균의 감염 후에 생체 내 면역력이 자동으로 얻어지는 자동면역과 외부에서 주입한 백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수동 면역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자동면역이 면역에 관계하는 항체의 생성 기간이 길고 지속적인 면역력의 특징이 있는 반면, 백신에 의한 수동 면역은 감염증 치료에 즉시 작용하나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원" 또는 "항원성 물질"은 상기 바이러스 유래의 펩티드, 폴리펩티드, 상기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유산균,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산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재조합 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항원 물질은 불활성화된 전체 또는 부분 바이러스 제제 형태, 또는 통상적인 단백질 정제, 유전 공학 기법 또는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되는 항원 분자 형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바이러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RNA형 바이러스 또는 DNA형 바이러스일 수 있다.
상기 RNA 바이러스는 RNA를 유전자로 갖고 있는 바이러스의 총칭으로서 mRNA가 되는 (+)사슬 RNA, 상보사슬의 (-)사슬 RNA, 이중가닥 RNA를 바이러스 입자내 유전자로서 갖는 것이 있고, 1분자의 RNA만을 갖는 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동종의 RNA분자를 2개 갖는 바이러스(레트로바이러스), 8개의 다른 RNA분자를 유전자로 삼는 바이러스(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이 있다. 보통 RNA를 주형으로 하는 RNA합성효소(레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DNA 합성효소)가 존재한다.
DNA 바이러스는 유전자의 형상에 따라 환형 DNA 바이러스 또는 선형 DNA 바이러스로 분류한다. 선형 DNA 바이러스에 속하는 것으로는 바이러스 입자에 외가닥 선형 DNA가 있는 파보바이러스와 2중 가닥 사슬선형 DNA가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등이 있다. 대부분은 유전체 말단에 특수한 반복배열이 있고, 유전체 구조나 크기의 차이에 의해 각각 고유한 감염, 증식양식을 나타낸다. 환형 DNA 분자를 유전체로 갖고 있는 DNA 바이러스는 크게 2개 바이러스과로 분류된다. 즉, 이중나선 닫힌고리형 DNA 분자를 유전체로 갖는 파포바이러스과 바이러스(폴리오마바이러스, SV40, 파필로마 바이러스 등)와 외가닥부분을 포함한 이중나선 고리형 DNA 분자를 유전체로 하는 헤파드나바이러스과(Hepadnavi-ridae) 바이러스(B형 간염바이러스, 우드척(Woodchuck) 간염 바이러스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링커 펩티드가 표면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바이러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와 같은 RNA형 바이러스 또는 DNA형 바이러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은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댕기열 바이러스 (Dengue virus), 일본 뇌염 바이러스 (Japanese encephalitis virus),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에볼라 바이러스 (Ebola virus),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댕기열 바이러스 (Dengue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황열 바이러스 (Yellow fever virus),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BK 바이러스 (BK virus), 천연두 바이러스 (Smallpox virus),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단순 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A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A virus),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D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D virus), E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E virus),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 또는 거대 세포 바이러스 (Cytomegalovirus) 유래 항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독화 생백신 (Live attenuated vaccine), 불활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서브 유닛 백신(Subunit vaccine), 또는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 (Virus like Particle vaccin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바이러스 유사 입자(Virus-Like Particle, VLP)"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비감염성 바이러스성 소단위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러스 유사 입자는 바이러스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는 재조합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바이러스 유사 입자는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들간 결합을 통하여 실제 바이러스와 유사한 형태로 자가 조립(self-assembly)이 되지만, 조립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 내부로 포함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특성을 갖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는 실제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어 체내 주입 시 높은 면역원성을 나타낼 수 있고,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체내에서 증식이 불가능한 안전한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 유사 입자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막 단백질, 외피 단백질 및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며, 곤봉 모양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 단백질이다. 상기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당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포막과 바이러스 외막의 융합, 그리고, 중화 항체의 생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은 외피의 내부에 존재하며, 세포성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백신에 적합한 담체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단백질, 당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담체는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일 수 있다.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면역보조제로서 정형 또는 비정형 유기 또는 무기 고분자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면역보조제는 일반적으로 항원에 대한 화학적 물리적 결합을 통해 면역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보조제로서는 비정형 알루미늄 겔, 오일 에멀젼, 또는 이중 오일 에멀젼 그리고 이뮤노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면역반응의 촉진을 위해 다양한 식물 유래 사포닌, 레바미솔, CpG 다이뉴클레오티드, RNA, DNA, LPS,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면역 조성물은 다양한 보조제와 면역반응 촉진 첨가물의 조합에 의해 최적의 면역반응 유도를 위한 조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백신에 추가될 있는 조성물로는 안정제, 불활화제, 항생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백신의 투여 경로에 따라 백신 항원은 증류수, 완충용액 등과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의 주사제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백신 조성물은 근육 투여용, 피하 투여용, 복강 투여용, 정맥 투여용, 경구 투여용, 진피 투여용, 안구 투여용, 및 뇌 내 투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ng 내지 약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 또는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방법에도 공히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로 인해 감염성 질환의 감염 및 상기 감염성 질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로 인해 감염성 질환의 감염에 의해 이미 유발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감염성 질환"은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체는 바이러스 감염 및 상기 감염에 의한 질환이 발병되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양식어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경구 투여시, 단백질은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약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링커 펩티드는 바이러스에 부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져,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면역 증강 물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링커로써 사용되어 백신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링커 펩티드를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술에 접목시키면 바이러스 표면에 면역 증강 물질을 부착할 수 있어, 면역 증강된 백신 플랫폼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링커 펩티드 (VSE peptide)의 발현을 웨스턴 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링커 펩티드의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2의 A는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 및 이의 검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 (VSE-hFc, VSE-sFc)의 발현을 웨스턴 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의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4의 A는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 및 이의 검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일 양상에 따른 재조합 항원(PEDV-VSE-sFc)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일 양상에 따른 PEDV-VSE-sFc를 마우스에 복강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PEDV에 대한 특이적인 IgG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일 양상에 따른 PEDV-VSE-sFc를 마우스에 복강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중화 항체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일 양상에 따른 재조합 항원 (DENV-VSE-hFc)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일 양상에 따른 DENV-VSE-hFc를 마우스에 복강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DENV 에 대한 특이적인 IgG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일 양상에 따른 DENV-VSE-hFc를 마우스에 복강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중화 항체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일 양상에 따른 재조합 항원 (PEDV-Fc)의 발현을 웨스턴 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일 양상에 따른 PEDV-Fc를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상기 동물 모델의 혈청 내 존재하는 IgG 및 중화 항체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링커 펩티드 제작
바이러스 표면 또는 바이러스 유래 항원과 유효한 결합능을 갖는 링커 펩티드 (VSE 펩티드)를 도출 및 제조하였다. 상기 링커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명명 서열 (5’->3’) 서열번호
VSE peptide TQEVYDTHDCATNGTIRPFKVLS 1
VSE polynucleotide ACCCAAGAGGTGTACGACACCCACGACTGCGCCACCAACGGCACCATCAGACCTTTCAAGGTGCTGAGC 2
본 실시예에서는 진핵 세포의 발현 벡터인 pcDNA3.1-Myc-His vector에 상기 VSE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클로닝한 뒤, 이를 CHO 세포에 발현시키고, Myc tag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VSE 펩티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VSE 펩티드의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ELISA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EDV),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RRSV), 댕기열 바이러스 (DENV), 일본 뇌염 바이러스 (JEV), 또는 지카 바이러스 (ZIKV) 각각을 immunoplate의 표면에 코팅한 뒤, 실시예 1의 Myc가 표지된 VSE 펩티드 (VSE-Myc tag)를 첨가하여 부착/결합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여기에 HRP (Horseradish peroxidase)가 표지된 anti-Myc tag 항체를 첨가하여 반응을 유도하 뒤, HRP 수준을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하였다 (도 2의 A). 한편, 음성 대조군은 Scrambled 펩티드와 반응시킨 군, 양성 대조군은 각각의 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 혈청을 사용한 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은 표지된 HRP의 검출 수준이 매우 낮았던 반면, 일 양상에 따른 VSE 펩티드를 사용한 군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일 양상에 따른 VSE 펩티드는 바이러스의 표면과의 유효한 부착 활성을 지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3: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면역 증강 물질의 부착 활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VSE 펩티드의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이용하여, 면역 증강 물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VSE 펩티드와 human Fc (VSE-hFc) 또는 swine Fc (VSE-sFc)를 진핵세포 발현 벡터인 pcDNA3.1-Myc-His vector에 클로닝하고, 이를 CHO 세포에서 발현시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인 VSE-hFc 또는 VSE-sFc를 수득하였다. 상기 재조합 단백질 (VSE-hFc, VSE-sFc)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명명 서열 (5’->3’) 서열번호
VSE-human Fc TQEVYDTHDCATNGTIRPFKVLS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3
ACCCAAGAGGTGTACGACACCCACGACTGCGCCACCAACGGCACCATCAGACCTTTCAAGGTGCTGAGC GACAAAACTCACACATGCCCACCGTGCCCAGCACCTGAACTCCTGGGGGGACCGTCAGTCTTCCTCTTCCCCCCAAAACCCAAGGACACCCTCATGATCTCCCGGACCCCTGAGGTCACATGCGTGGTGGTGGACGTGAGCCACGAAGACCCTGAGGTCAAGTTCAACTGGTACGTGGACGGCGTGGAGGTGCATAATGCCAAGACAAAGCCGCGGGAGGAGCAGTACAACAGCACGTACCGTGTGGTCAGCGTCCTCACCGTCCTGCACCAGGACTGGCTGAATGGCAAGGAGTACAAGTGCAAGGTCTCCAACAAAGCCCTCCCAGCCCCCATCGAGAAAACCATCTCCAAAGCCAAAGGGCAGCCCCGAGAACCACAGGTGTACACCCTGCCCCCATCCCGGGATGAGCTGACCAAGAACCAGGTCAGCCTGACCTGCCTGGTCAAAGGCTTCTATCCCAGCGACATCGCCGTGGAGTGGGAGAGCAATGGGCAGCCGGAGAACAACTACAAGACCACGCCTCCCGTGCTGGACTCCGACGGCTCCTTCTTCCTCTACAGCAAGCTCACCGTGGACAAGAGCAGGTGGCAGCAGGGGAACGTCTTCTCATGCTCCGTGATGCATGAGGCTCTGCACAACCACTACACGCAGAAGAGCCTCTCCCTGTCTCCGGGTAAA 4
명명 서열 (5’->3’) 서열번호
VSE-swine Fc TQEVYDTHDCATNGTIRPFKVLS AYNTAPSVYPLAPCGRDVSDHNVALGCLVSSYFPEPVTVTWNSGALSRVVHTFPSVLQPSGLYSLSSMVIVAASSLSTLSYTCNVYHPATNTKVDKRVDIEPPTPICPEICSCPAAEVLGAPSVFLFPPKPKDILMISRTPKVTCVVVDVSQEEAEVQFSWYVDGVQLYTAQTRPMEEQFNSTYRVVSVLPIQHQDWLKGKEFKCKVNNKDLLSPITRTISKATGPSRVPQVYTLPPAWEELSKSKVSITCLVTGFYPPDIDVEWQSNGQQEPEGNYRTTPPQQDVDGTYFLYSKLAVDKVRWQRGDLFQCAVMHEALHNHYTQKSISKTQGK 5
ACCCAAGAGGTGTACGACACCCACGACTGCGCCACCAACGGCACCATCAGACCTTTCAAGGTGCTGAGC GCCTACAACACAGCTCCATCGGTCTACCCTCTGGCCCCCTGTGGCAGGGACGTGTCTGATCATAACGTGGCCTTGGGCTGCCTTGTCTCAAGCTACTTCCCCGAGCCAGTGACCGTGACCTGGAACTCGGGTGCCCTGTCCAGAGTCGTGCATACCTTCCCATCCGTCCTGCAGCCGTCAGGGCTCTACTCCCTCAGCAGCATGGTGATCGTGGCGGCCAGCAGCCTGTCCACCCTGAGCTACACGTGCAACGTCTACCACCCGGCCACCAACACCAAGGTGGACAAGCGTGTTGACATCGAACCCCCCACACCCATCTGTCCCGAAATTTGCTCATGCCCAGCTGCAGAGGTCCTGGGAGCACCGTCGGTCTTCCTCTTCCCTCCAAAACCCAAGGACATCCTCATGATCTCCCGGACACCCAAGGTCACGTGCGTGGTGGTGGACGTGAGCCAGGAGGAGGCTGAAGTCCAGTTCTCCTGGTACGTGGACGGCGTACAGTTGTACACGGCCCAGACGAGGCCAATGGAGGAGCAGTTCAACAGCACCTACCGCGTGGTCAGCGTCCTGCCCATCCAGCACCAGGACTGGCTGAAGGGGAAGGAGTTCAAGTGCAAGGTCAACAACAAAGACCTCCTTTCCCCCATCACGAGGACCATCTCCAAGGCTACAGGGCCGAGCCGGGTGCCGCAGGTGTACACCCTGCCCCCAGCCTGGGAAGAGCTGTCCAAGAGCAAAGTCAGCATAACCTGCCTGGTCACTGGCTTCTACCCACCTGACATCGATGTCGAGTGGCAGAGCAACGGACAACAAGAGCCAGAGGGCAATTACCGCACCACCCCGCCCCAGCAGGACGTGGATGGGACCTACTTCCTGTACAGCAAGCTCGCGGTGGACAAGGTCAGGTGGCAGCGTGGAGACCTATTCCAGTGTGCGGTGATGCACGAGGCTCTGCACAACCACTACACCCAGAAGTCCATCTCCAAGACTCAGGGTAAA 6
이후,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EDV),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RRSV), 댕기열 바이러스 (DENV), 일본 뇌염 바이러스 (JEV), 또는 지카 바이러스 (ZIKV) 각각을 immunoplate의 표면에 코팅한 뒤, 상기 VSE-hFc 또는 VSE-sFc를 첨가하여 부착/결합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여기에 HRP (Horseradish peroxidase)가 표지된 anti-IgG 항체를 첨가하여 반응을 유도한 뒤, HRP 수준을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부착 활성을 평가하였다 (도 4의 A). 한편, 음성 대조군은 Scrambled 펩티드를 사용한 군, 양성 대조군은 각각의 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 혈청을 사용한 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은 표지된 HRP의 검출 수준이 매우 낮았던 반면, 일 양상에 따른 VSE 펩티드를 사용한 군 (VSE-hFc, VSE-sFc)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일 양상에 따른 VSE 펩티드는 면역 증강 물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제제의 효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을 통한 면역 반응 증강 효과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러스 표면에 VSE-sFc를 부착/결합시켜 재조합 항원을 제조한 뒤,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재조합 항원의 면역 반응 증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1. PEDV-VSE-sFc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EDV)와 실시예 3의 VSE-sFc를 혼합한 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이들간 부착/결합 반응을 유도하여, 재조합 항원 (PEDV-VSE-sFc)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 주령의 Balb/C 마우스에 PEDV-VSE-sFc를 2주 간격으로 3회 복강 투여하여 면역화한 후,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PEDV에 대한 특이적인 IgG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상기 면역화된 마우스의 혈청을 대상으로,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를 수행하여, PEDV 항원에 대한 중화 항체 수준을 평가하였다. 한편, 음성 대조군으로는 PBS를 투여한 군, 비교군으로는 PEDV만을 투여한 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PEDV-VSE-sFc를 투여한 군에서는 마우스 혈청 내 높은 수준의 IgG 및 중화 항체를 확인하였다. 특히, PEDV-VSE-sFc를 면역화한 마우스의 혈청 내 중화 항체 수준은 비교군에 비해, 약 4.5 배 증진되었다.
4-2. DENV-VSE-hFc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댕기열 바이러스 (DENV)와 실시예 3의 VSE-hFc를 혼합한 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이들간 부착/결합 반응을 유도하여, 재조합 항원 (DENV-VSE-hFc)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 주령의 Balb/C 마우스에 DENV-VSE-hFc를 2주 간격으로 3회 복강 투여하여 면역화한 후, 마우스의 혈청 내 존재하는 DENV에 대한 특이적인 IgG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상기 면역화된 마우스의 혈청을 대상으로,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를 수행하여, DENV 항원에 대한 중화 항체 수준을 평가하였다. 한편, 음성 대조군으로는 PBS를 투여한 군, 비교군으로는 DENV 만을 투여한 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DENV-VSE-hFc를 투여한 군에서는 마우스 혈청 내 높은 수준의 IgG 및 중화 항체를 확인하였다. 특히, DENV-VSE-hFc를 면역화한 마우스의 혈청 내 중화 항체 수준은 비교군에 비해, 약 4.5 배 증진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 양상에 따른 VSE 펩티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표면에 면역 증강 물질을 부착시킨 경우, 바이러스 항원의 면역 반응 유도 효과가 현격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재조합 항원은 백신 제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그 효용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5: 바이러스 유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증강 효과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러스 유래 항원에 VSE-sFc를 부착/결합시켜 재조합 항원을 제조한 뒤, 상기 재조합 항원의 면역 반응 증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PEDV에 대한 백신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으로서 PEDV의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항체 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면역 증강 물질로서 IgG의 Fc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을 VSE 펩티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이를 CHO 세포에서 발현시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인 PEDV-Fc를 수득하였다. 상기 재조합 항원 (PEDV-Fc)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명명 아미노산 서열(5’->3’) 서열번호
PEDV-Fc TQEVYDTHDCATNGTIRPFKVLSMRSLIYFWLLLPVLPTLSLPQDVTRCQSTTNFRRFFSKFNVQAPAVVVLGGYLPSMNSSSWYCGTGIETASGVHGIFLSYIDSSQGFEIGISQEPFDPSGYQLYLHKATNGNTNAIARLRISQFPDNKTLGPTVNDVTTGRNCLFNKAIPAYMRDGKDIVVGITWDNDRVTVFADKIYHFYLKNDWSRVATRCYNRRSCAMQYVYTPTYYMLNVTSAGEDGIYYEPCTANCTGYAANVFATDSNGHIPESFSFNNWFLLSNDSTLLHGKVVSNQPLLVNCLLAIPKIYGLGQFFSFNHTMDGVCNGAALDRAPEALRFNINDTSVILAEGSIVLHTALGTNLSFVCSNSSDPHLATFAIPLGATEVPYYCFLIVDTYNSTVYKFLAVLPPTVREIVITKYGDVYVNGFGYLHLGLLDAVTINFTGHGTDDDVSGFWTIDSTNFVDALIEVQGTSIQRILYCDDPVSQLKCSQVAFDLDDGFYPISSRNLLSHEQPISFVTLPSFNDHSFVNITVSASFGDHSGANLVASDTTINGFSSFCVDTRQFTIRLFYNVTSSYGYVSKSQYSNCPFTLQSVNDYLSFSKFCVSTSLLASACTIDLFGYPHFGSGVKFTSLYFQFTEGELITGTPKPLEGVTDVSFMTLDVCTKYTIYGFKGEGIITLTNSSFLAGVYYTSDSGQLLAFKNVTSGAVYSVTPCSFSEQAAYVDDDIVGVISSLSNSTFNNTRELPGFFYHSNDGSNCTEPVLVYSNIGVCKSGSIGYVPSQSGQVKIAPTVTGNISIPTNFSMSIRTEYLQLYNTPVSVDCATYVCNGNSRCKQLLTQYTAACKTIESALQLSARLESVEVNSMLTTSEQALQLATISSFNGDGYNFTNVLGVSVYDPASGRVVHKRSFIEDLLFNKVVTNGLGTVDEDYKRCSNGRSVADLVCAQYYSGVMVLPGVVDAEKLHMYSASLIGGMVLGGFTAAAALPFSYAVQARLNYLALQTDVLQRNQQLLAESFNSAIGNITSAFESVKEAISQTSQGLNTVARALTKVQEVVNSQGAALTQLTVQLQHNFQAISSSIDDIYSRLDILSADVQVDRLITGRLSALNAFVAQTLTKYTEVQASRKLAQQKVNECVKSQSQRYGFCGGDGEHIFSLVQAAPQGLLFLHTVLVPGDFVNVIAIAGLCVNGDIALTLREPGLVLFTHELQTHTATEYFVSSRRMFELRKPTVSDFVQIESCVVTYVNLTSDQLPDVIPDYIDVNKTLDEILASLPNRTGPSLPLDVFNATYLNLTGEIADLEQRSESLQNTTEELRTLIYNINNTLVDLEWLNRVETYIKWPWWIWLIIFIVLIFVVSLLVFCCISTGCCGCCGCCGACFSGCCRGPRLQPYEAFEKVHVQDIEPPTPICPEICSCPAAEVLGAPSVFLFPPKPKDILMISRTPKVTCVVVDVSQEEAEVQFSWYVDGVQLYTAQTRPMEEQFNSTYRVVSVLPIQHQDWLKGKEFKCKVNNKDLLSPITRTISKATGPSRVPQVYTLPPAWEELSKSKVSITCLVTGFYPPDIDVEWQSNGQQEPEGNYRTTPPQQDVDGTYFLYSKLAVDKVRWQRGDLFQCAVMHEALHNHYTQKSISKTQGK 7
또한, 면역 증강된 PEDV 바이러스 백신의 면역원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동물에 상기 제조된 백신(PEDV-Fc)을 2주 간격으로 2회 근육접종 하였다(투여용량: 100 ul). 2차 접종 2주 후, 혈청 및 초유를 채취하여 IgG 역가를 측정하였으며, ELISA와 중화능 시험을 수행하여 혈청 및 초유 내 항체가를 검사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PBS를 첨가한 군, 비교군으로 PEDV만을 투여한 군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항원은 모돈의 혈청, 초유에서 비교군에 비해 높은 수준의 IgG 역가를 보여주었으며, 혈청 내 중화 항체가 역시 상기와 동일한 경향성을 보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면역원성이 증가되어 백신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및
    상기 링커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강 물질은 항체의 Fc 영역, 플라젤린 (flagellin) 또는 IL-2 (interleukin-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융합 단백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강 물질은 항체의 Fc 영역인 것인, 융합 단백질.
  5. 청구항 2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6. 청구항 5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7. 청구항 6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
  8.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 및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링커 펩티드 및 상기 링커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면역 증강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커 펩티드의 N-말단은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 백신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바이러스 유래 항원은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댕기열 바이러스 (Dengue virus), 일본 뇌염 바이러스 (Japanese encephalitis virus),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에볼라 바이러스 (Ebola virus),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댕기열 바이러스 (Dengue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황열 바이러스 (Yellow fever virus),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BK 바이러스 (BK virus), 천연두 바이러스 (Smallpox virus),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단순 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A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A virus),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D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D virus), E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E virus),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 또는 거대 세포 바이러스 (Cytomegalovirus) 유래 항원인 것인, 백신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독화 생백신 (Live attenuated vaccine), 불활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서브 유닛 백신(Subunit vaccine), 또는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 (Virus like Particle vaccine)인 것인, 백신 조성물.

KR1020220134457A 2022-10-18 2022-10-18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KR20240054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457A KR20240054479A (ko) 2022-10-18 2022-10-18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457A KR20240054479A (ko) 2022-10-18 2022-10-18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479A true KR20240054479A (ko) 2024-04-26

Family

ID=9088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457A KR20240054479A (ko) 2022-10-18 2022-10-18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3362B2 (ja) セネカウイルスa免疫原性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KR20210133888A (ko)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HU211548A9 (en) Expression of specific immunogens using viral antigens
AU2009328621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e of a coccidiosis vaccine
WO2004002527A1 (ja) 抗鶏コクシジウム症組成物
KR102165358B1 (ko) 구제역 바이러스 a형 백신 조성물
US9119803B2 (en) Carious tooth vaccine and preparation method
EP2893008B1 (en) Attenuated parvovirus vaccine for muscovy duck parvovirus and goose parvovirus ( derzsy's disease)
KR20240054479A (ko)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US20240189418A1 (en) Virus vaccine based on virus surface engineering providing increased immunity
JP2023548354A (ja) イヌパルボウイルス
US1021456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cluding preventing, parvovirus infections and related diseases
KR101242757B1 (ko) 개 코로나 바이러스 중화항원 결정기를 포함하는 스파이크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KR100563197B1 (ko) 개 파보바이러스 중화항원 결정기를 포함하는 vp2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KR102675880B1 (ko)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 및 면역글로불린의 Fc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AU2021298886A1 (en) A dna plasmid SARS-Coronavirus-2/covid-19 vaccine
KR102675881B1 (ko) Pedv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페리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2675879B1 (ko)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페리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2523582B1 (ko) 바이러스 표면 엔지니어링 기반의 면역 증강된 바이러스 백신
KR20220133631A (ko)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 및 면역글로불린의 Fc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20220133632A (ko) Pedv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페리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EP2053056A1 (en) Dendrimeric peptide construct for the prevention of foot-and-mouth disease in animals
KR102672787B1 (ko) 구제역 바이러스 백신 조성물
KR102542601B1 (ko) 신규한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KR20220133633A (ko)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페리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