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85A -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85A
KR20240054085A KR1020220134389A KR20220134389A KR20240054085A KR 20240054085 A KR20240054085 A KR 20240054085A KR 1020220134389 A KR1020220134389 A KR 1020220134389A KR 20220134389 A KR20220134389 A KR 20220134389A KR 20240054085 A KR20240054085 A KR 2024005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frequency
communication
inform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킷 다누카
로힛 프라탑 싱
심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85A/ko
Priority to PCT/KR2023/014182 priority patent/WO2024085473A1/ko
Publication of KR2024005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주파수,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타 전자 장치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FOR ESTABLISHING PEER-TO-PEER CONNEC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 전자 장치와 P2P(peer-to-peer) 연결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와이파이 P2P(peer-to-peer) 연결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와이파이 연합(Wi-Fi Alliance)에 의해 제안된 와이파이 P2P 기술은 기존의 와이파이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면서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없이도 와이파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끼리 직접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장치들 간의 직접적인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bluetooth)와 유사하나, 전송 범위와 데이터 전송 속도 측면에서 와이파이 P2P는 블루투스보다 장점이 많기 때문에, 와이파이 P2P 기능은 빠른 속도로 블루투스를 대체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의 블루투스 규격인 블루투스 4.0은 최대 100m까지의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대 200m까지의 전송 범위와 최대 300M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와이파이 P2P를 이용하면 두 장치 간에 데이터, 파일 등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으며, 화면 미러링, DLNA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한 장치의 화면을 다른 장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와이파이 스펙 802.11 6E에 따라 6GHz의 주파수 대역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종래에는 2.4GHz 또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거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의 와이파이 P2P 연결만이 고려되었다. 다만, 6GHz의 주파수 대역이 도입됨에 따라, 최적의 와이파이 P2P 작동 채널을 찾기 위해 새로운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새로운 주파수 대역이 추가됨에 따라 최적의 와이파이 P2P(peer-to-peer) 작동 채널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 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시스템(1000)는 전자 장치(100), 타 전자 장치(200) 및 액세스 포인트(3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GO(group owner)로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GO로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P2P는 와이파이 P2P로 명칭되거나,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명칭될 수 있다. P2P에 대하여 좀더 살펴보면, 와이파이 P2P 그룹의 생성 과정에서 수행되는 장치 탐색 절차의 기본 동작은 IEEE 802.11 MAC 프로토콜의 요청 신호와 응답 신호를 서로 교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요청 신호에는 P2P IE, WSC IE 및 Supp Reg IE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응답 신호에는 P2P IE, WSE IE, RSN IE 및 Supp Reg IE가 포함될 수 있다. 와이파이 P2P 기능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파이 기능, 즉 레거시 와이파이(legacy Wi-Fi) 기능과의 호환성을 염두에 두고 제안된 기술이다. 따라서, 레거시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는 중에도 사용자는 와이파이 P2P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자 장치(100)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일 공유 등을 목적으로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1 통신 주파수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타 전자 장치(200)는 GC(group client)로서 전자 장치(100)와 P2P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전자 장치(200)는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세탁기, 냉장고, 냉동고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 전자 장치(200)는 GC로서 전자 장치(100)와 P2P 연결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타 전자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전자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2.4GHz, 5GHz 및 6GHz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전자 장치(100)와 P2P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타 전자 장치(200)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타 전자 장치(200)는 2.4GHz 또는 5GHz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자 장치(100) 또는 액세스 포인트(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300)에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는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타 전자 장치(200) 또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HDMI, DP, 썬더볼트,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Many Integrated Core), DSP(Digital Signal Processor), NPU(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1 동작, 제2 동작, 제3 동작이 수행될 때,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제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3 동작은 제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이 수행될 때,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20)라는 표현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고, 전자 장치(100)와 P2P 연결하려는 타 전자 장치(200)로부터 타 전자 장치(200)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타 전자 장치(200)의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SDB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에서 듀얼 밴드를 통해 동시 연결 및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RSDB를 이용하는 경우, 2.4GHz 및 5GHz와 같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동시 연결 및 송수신이 가능하다. 즉, MIMO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에서는 2×2 MIMO로부터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된 채널에 1×1을 할당하고 P2P 채널에 1×1을 할당함으로써 물리적인 안테나 분리에 의해 서로 다른 밴드 간 동시 연결이 가능하다. RSDB는 후술할 MCC의 시분할 방식이 아니므로 MCC 만큼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주파수,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주파수, 제2 통신 주파수 및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고, 식별된 통신 주파수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통신 주파수, 제2 통신 주파수, 제3 통신 주파수는 얼마든지 다른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경우, 6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타 전자 장치(200)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는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하는데 있어서 영향이 없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3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3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3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3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2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를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30), 디스플레이(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마이크(160), 스피커(170), 카메라(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등이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기 또는 자기 형태로 저장하는 하드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RAM, ROM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전자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지시하는 부호 단위로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메모리(130)에는 전자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20)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이 인스트럭션 집합체(instruction set)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에는 문자, 수, 영상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의 정보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에는 P2P 연결 모듈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20)에 의해 인스트럭션, 인스트럭션 집합체 또는 데이터에 대한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60)는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60)는 전자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화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160)는 전자 장치(100)와는 별도의 리모컨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컨은 마이크(160)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운드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마이크(160)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운드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60)는 사운드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운드를 수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스피커(170)는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그 밖에,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8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0)는 특정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180)는 렌즈, 셔터, 조리개, 고체 촬상 소자, AFE(Analog Front End), TG(Timing Generator)를 포함한다. 셔터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카메라(180)로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하고,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개구부의 크기를 기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고체 촬상 소자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광전하로 축적되면, 광전하에 의한 상을 전기 신호로 출력한다. TG는 고체 촬상 소자의 픽셀 데이터를 리드아웃 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며, AFE는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화한다.
이상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최적의 통신 주파수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하여 스크린 미러링, DLNA 등과 같은 기능의 전반적인 처리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TV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라 화질을 저하시키는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도 8K 영상을 스마트폰으로부터 TV로 미러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13의 개별적인 실시 예는 얼마든지 조합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타 전자 장치(200)의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주파수의 지원 여부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 각각은 GO NEGOTIATION REQUEST/RESPONSE 또는 INVITATION REQUEST/RESPONSE 프레임의 P2P 정보 요소(P2P IE)에서 자신의 P2P 기능을 광고할 수 있다. 여기서, P2P IE에서 P2P 기능 속성의 Device Capability Bitmap 필드에 있는 비트 6은 6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작동을 위해 예약된 것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동작이 가능한 경우 비트 6은 1로 설정되고 불가능한 경우 비트 6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P2P IE에서 P2P 기능 속성의 Device Capability Bitmap 필드에 있는 비트 6의 값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지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에 6GHz(가령, 채널 37, 6135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 경우, 6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는 모두 SCC(single channel concurrency)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SCC는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채널과 P2P 채널이 동일한 경우로서, 장치의 두 안테나가 동일한 대역 및 동일한 주파수에서 작동함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WLAN(인터넷 연결)과 P2P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에 2.4GHz(가령, 채널 1, 2412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 경우, 6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SCC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RSDB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에 5GHz(가령, 채널 40, 5200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 경우, 6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SCC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MCC(multi channel concurrency)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MCC는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채널과 P2P 채널이 상이한 경우로서, 장치의 두 안테나가 상이한 대역 및 상이한 주파수에서 작동함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WLAN의 주파수와 P2P의 주파수 간 지속적으로 주파수 이동이 발생하며, 많은 스위칭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되지 않은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 경우, 6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SCC 상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타 전자 장치(200)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P2P 연결이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200)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CC 상태이므로 2.4GHz 또는 5GHz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타 전자 장치(200)의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DBS(dual band simultaenous)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RSDB 상태일 수 있다. 만약,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이 형성되면,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 모두 MCC 상태가 되어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DBS는 WLAN 및 P2P 작동이 다른 대역에서 발생하고 하나의 안테나는 WLAN 주파수에 남아 있고 두 번째 안테나는 P2P 주파수에 남아 있는 상태이다. DBS는 MCC와 비교하여 안테나의 스위칭이 없으므로 스위칭 오버헤드가 없으나, 하나의 안테나만으로 WLAN 또는 P2P 작동을 사용하므로, SCC와 비교하여 처리량이 절반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DBS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SCC 상태일 수 있다.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이 형성되면,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 모두 MCC 상태가 되어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MCC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RSDB 상태일 수 있다. 만약,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이 형성되면, 타 전자 장치(200)는 SCC 상태가 되며, 이는 RDBS 상태보다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MCC 상태이고, 타 전자 장치(200)는 SCC 상태일 수 있다. 만약,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이 형성되면, 타 전자 장치(200)는 RSDB 상태가 되며, 이는 전자 장치(100)의 MCC 상태보다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MCC 상태일 수 있다. 만약,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P2P 연결이 형성되면, 전자 장치(100)는 DBS 상태가 되며, 이는 전자 장치(100)의 MCC 상태보다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S1310), 디폴트 2.4GHz의 주파수 대역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수 있다(S1320).
프로세서(120)는 GO Negotiation 또는 invitation process를 통해 타 전자 장치(200)와 자신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로부터 GO Negotiation response 또는 invitation response packets에 VSIE(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가 추가되어 타 전자 장치(2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채널과 RSDB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30).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300)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S1340),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1345).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6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S1350) 또는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DFS 채널을 형성한 경우(S1355),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1360).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S1370),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1375).
프로세서(120)는 타 전자 장치(200)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S1380),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면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하고(S1385), 타 전자 장치(200)가 RSDB를 지원하지 않으면 2.4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타 전자 장치(200)와 P2P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1390).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1410). 그리고,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한다(S1420). 그리고,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주파수,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타 전자 장치와 P2P 연결을 형성한다(S1430).
여기서, 제1 정보는 타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정보는 타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타 전자 장치가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3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3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3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RSDB를 지원하고,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3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2 통신 주파수로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타 전자 장치가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2 통신 주파수를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최적의 통신 주파수로 타 전자 장치와 P2P 연결을 형성하여 스크린 미러링, DLNA 등과 같은 기능의 전반적인 처리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이고 타 전자 장치는 TV인 경우, 전자 장치는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라 화질을 저하시키는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도 8K 영상을 스마트폰으로부터 TV로 미러링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전자 시스템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0 : 디스플레이
1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60 : 마이크
170 : 스피커 180 : 카메라
200 : 타 전자 장치 300 : 액세스 포인트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인,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통신 주파수로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P2P 연결에 대응한 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2 통신 주파수 및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보다 작은 제3 통신 주파수 중 하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와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주파수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타 전자 장치의 RSDB(real simultaneous dual band) 지원 여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RSDB를 지원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로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를 상기 P2P 연결을 위한 통신 주파수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주파수는, 6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통신 주파수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3 통신 주파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인,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제어 방법.
KR1020220134389A 2022-10-18 2022-10-18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4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89A KR20240054085A (ko) 2022-10-18 2022-10-18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14182 WO2024085473A1 (ko) 2022-10-18 2023-09-19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89A KR20240054085A (ko) 2022-10-18 2022-10-18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85A true KR20240054085A (ko) 2024-04-25

Family

ID=9073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389A KR20240054085A (ko) 2022-10-18 2022-10-18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4085A (ko)
WO (1) WO20240854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866A (ko) * 2013-06-28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52098B2 (en) * 2018-04-20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Dual band channel bonding and puncturing
US10743358B1 (en) * 2019-12-11 2020-08-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dicated TDLS link in off-channel 5 GHz band using RSDB
KR20220040639A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의 직접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67844A (ko) * 2020-11-18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73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8437A1 (zh)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US96969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tent
TWI578153B (zh) 適應性圖形次級系統電源及效能管理
RU26562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WO2017076035A1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数据发送方法及移动终端
US11178432B2 (en) Multi-use fog device
US97880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US20170255345A1 (en) Technologies for event notification interface management
KR102535037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20230385008A1 (en) Wireless Projectio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3010940A1 (zh) 分屏显示方法和装置
WO2022022019A1 (zh) 投屏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20140293135A1 (en) Power save for audio/video transmissions over wired interface
US11055347B2 (en) HDR metadata synchronization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171543B2 (en) Media stream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3167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WO20221869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mobile client audiovisual into a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
JP2023534182A (ja) ファイルを開く方法およびデバイス
WO2021027727A1 (zh) 信息传输的方法和电子设备
KR20240054085A (ko) P2p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68882A1 (zh) 镜像投屏方法、装置及系统
WO2022218197A1 (zh) 一种跨设备交互方法及设备
US2024006163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5515008B (zh) 一种视频处理方法、终端和视频处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