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21A -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21A
KR20240054021A KR1020220134254A KR20220134254A KR20240054021A KR 20240054021 A KR20240054021 A KR 20240054021A KR 1020220134254 A KR1020220134254 A KR 1020220134254A KR 20220134254 A KR20220134254 A KR 20220134254A KR 20240054021 A KR20240054021 A KR 20240054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button
behavior pattern
electronic device
virtu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한훈
김윤수
박해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21A/ko
Priority to PCT/KR2023/012287 priority patent/WO202408540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미리 정의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주 질의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 및 상기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및 상기 제2 가상 버튼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 또는 상기 상황 인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POSING BEHAVIORAL PATTERNS FOR EACH SITU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개시는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물 인터넷 기기는 사물 인터넷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기(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기기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등의 각종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등의 각종 가전기기, 전등, 화재 경보기, 댁내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사물 인터넷 기기들과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사물 인터넷 기기들은 별도의 사용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적합한 거동의 실행을 사용자에게 먼저 제안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기기들이나 단말은 사용자의 관심사, 생활 패턴, 심리 상태 등을 센싱하고 메모리나 외부 서버에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적응적인 거동 패턴을 추천하기 위해서, 거동 패턴의 결정 과정에서 이용되는 각 요인에 대한 상세한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 방법은, 미리 정의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주 질의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 및 상기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및 상기 제2 가상 버튼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 또는 상기 상황 인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긍정 응답과 부정 응답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인지 방식은,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핑 관계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신뢰 값, 및 상기 예상 거동 패턴과 연관된 제2 신뢰 값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신뢰 값 및 상기 제2 신뢰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 신뢰 값이 상기 제2 신뢰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신뢰 값이 상기 제1 신뢰 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제2 가상 버튼 중, 포커싱된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거나,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동 패턴은, 전자 디바이스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은 독립 거동 패턴 또는 종속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종속 거동 패턴은 상기 독립 거동 패턴 보다 후순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이 둘 이상의 독립 거동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하는 동작에서, 각각의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응답이 수신된 제2 가상 버튼과 연관된 독립 거동 패턴과 상기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이 독립 거동 패턴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속 거동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하는 동작에서, 독립 거동 패턴 및 상기 독립 거동 패턴에 종속적인 종속 거동 패턴에 각각 상응하는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선후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들 중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응답이 수신된 제2 가상 버튼과 연관된 종속 거동 패턴과 상기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하여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주 질의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 및 상기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및 상기 제2 가상 버튼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 또는 상기 상황 인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어진 상황 정보에 따른 예상 거동 패턴을 갱신함으로써 상황 정보 별로 가장 적합한 예상 거동 패턴이 사용자에게 제안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 또한 파악 및 배제시킴으로써, 이후 동일 루트를 통해 오류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IoT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IoT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적용되는 가상 버튼의 포커싱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되며,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예들이 도면들 내에서 예시로서 도시된다. 또한, 다양한 예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IoT 시스템(1)을 도시한다.
IoT 시스템(1)은 모바일 디바이스(11), 기지국(미도시)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 LET)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통신/모바일 디바이스(11)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로봇, 차량, XR(extended reality) 디바이스, 휴대용 디바이스, 가전, IoT 디바이스(12), AI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에스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AI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AI 서비스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3G/4G/5G/6G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기지국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AI 서비스 서버(13)는 IoT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 미디어 컨텐츠를 추천하하는 컨텐츠 추천 서버, 사용자 발화를 분석하기 위한 TTS(text-To-speech) 서버, 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하기 위한 STT(speech-to-text)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I 서비스 서버(13)는 사용자 발화로부터 사용자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 또는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IoT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AI 서비스 서버(13)(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11)(들)은 공통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모바일 디바이스(11)(들) 및 서비스 서버(13)(들)에 적용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IoT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은 프로세서(102), 메모리(101), 및 트랜시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 트랜시버(103)는 프로세서(102)와 전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어 명령을 생성, 전송하여 전자 디바이스(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는 비휘발성 메모리(101)(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SSD(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RAM) 등과 같은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섹션(들), 오디오 칩(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01)는, 본 개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방법들 및/또는 절차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의 프로토콜, 구성, 제어 및 다른 기능들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에 대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리(101)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101)는 하나 이상의 포맷들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등)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메모리 슬롯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103)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 BT, GPS 또는 NF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 WAN,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POTS 또는 5G network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일 례로, RF 모듈는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추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출력부, 마이크로폰, 마우스,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비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가상 비서는 사용자와 인터랙션 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비서는 텍스트를 오디오로 발화하거나, 사용자 음성을 자연어 처리 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비서를 이용함으로써, 음성 대화 방식으로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은,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가상 비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상 비서는,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기 위해 발화 및/또는 텍스트 형식의 자연어를 해석하고, 추론된 사용자 의도에 기초하여 작용들을 실행하는 임의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론된 사용자 의도에 따라 동작하기 위해, 시스템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다: (a) 추론된 사용자 의도를 달성하도록 설계된 단계들 및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작업 흐름을 식별, (b) 추론된 사용자 의도로부터의 특정 요건들을 작업 흐름내로 입력, (c) 프로그램들, 방법들, 서비스들, API들 등을 호출(invoking)함으로써 작업 흐름을 실행, 및 (d) 가청(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가시 형식으로 사용자에 대한 출력 응답들을 발생.
일 실시예에서, 가상 비서는 사용자 요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연어 커맨드(command), 요청(request), 선언(statement), 구술(narrative), 및/또는 질의(inquiry)의 형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요청은 가상 비서에 의한 정보가 있는 답변(informational answer) 또는 작업의 실행을 얻고자 한다. 사용자 요청에 대한 만족스러운 응답은 요청된 정보가 있는 답변의 제공(provision), 요청된 작업의 실행 또는 그 둘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비서에게,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가"와 같은 질문을 질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로케이션(location)에 기초하여, 가상 비서는 "당신은 센트럴 파크에 있습니다"라고 답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예를 들어, "오늘 오후 4시에 어머니에게 전화할 것을 상기(remind)시켜달라"는 작업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가상 비서는 요청을 수신확인(acknowledge)하고, 그 후 사용자의 전자적 스케줄에 적절한 리마인더 항목을 작성할 수 있다. 요청된 작업의 실행 동안에, 가상 비서는 때로는 연장된 시간 기간에 걸쳐서 다중 정보 교환을 수반하는 연속적 대화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정보 또는 다양한 작업들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해 가상 비서와 상호작용하는 다수의 다른 방식이 존재한다. 구두 응답들(verbal responses)을 제공하고 프로그램된 작용들을 취하는 것에 더하여, 가상 비서는 또한 다른 시각적 또는 오디오 형식들(예를 들어, 텍스트, 경고, 음악,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다수의 장치들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폰 헤드셋을 통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TV 상에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응답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구비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 이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방법은 복수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동작은 설명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동작의 선후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개시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동작은,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가상 비서, 또는 전자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가상 비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301).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내부에 구비된 상황 인식부를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인식부는,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인식부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에 사용자가 위치하였음을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황 인식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황 인식부는 센싱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 정보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를 착용하거나,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귀가, 외출과 같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취침, 기상과 같은 수면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음악 청취, TV 시청과 같은 거동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상태 정보가, 전술한 예로 제한될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야간, 주간과 같은 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주말, 평일과 같은 일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시간 정보가 전술한 예로 제한될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 정보는 사용자 상태 정보와 시간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일 귀가, 평일 외출과 같이 조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될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따라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302).
일 실시예에서, 예상 거동 패턴은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상 거동 패턴은 미리 정의된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거동 패턴은, 예를 들어, TV 장치의 전원을 켜는 거동, TV 장치의 채널을 변경하는 거동, 에어컨의 전원을 켜는 거동과 같이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거동 패턴 및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거동 패턴은 상황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거동 패턴과 연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거동 패턴과 상황 정보 간의 관련성은 관계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상황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관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연관된 거동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거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거동 패턴은, “예상 거동 패턴”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주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303).
일 실시예에서, 주 질의는 예상 거동 패턴을 수행할 지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주 질의는 예상 거동 패턴 및/또는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질의는 예상 거동 패턴을 실행할 것인지 질의하는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질의는 식별된 상황 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예상 거동 패턴을 실행할 것인지 질의하는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질의는 예상 거동 패턴의 실행 여부에 대한 의문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는 “거실 TV를 켜드릴까요?”와 같은 의문문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304).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주 질의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주 질의는 텍스트 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스피커를 통해 주 질의를 음성 출력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되는 주 질의는 오디오 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의 기초가 된 상황 정보 및/또는 거동 패턴을 나타내는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304).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며,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305).
주 질의에 대한 응답은 사용자 입력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부(예; 터치 스크린, 적외선 센서, 마이크로폰 등)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는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예상 거동 패턴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긍정 응답과 부정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주 질의에 대한 긍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긍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상 거동 패턴을 실행할 수 있다(306: YES, 307).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을 수행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을 스스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상 거동 패턴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306: NO).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가상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306:NO, 308).
일 실시예에서, 가상 버튼은 제1 가상 버튼, 제2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상 버튼은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의 기초가 된 상황 정보를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제2 가상 버튼은 결정된 예상 거동 패턴을 그래픽으로 나타낸다.
가상 버튼이 활성화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황 인지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309).
본 개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를 획득 후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데, 획득된 상황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상황 정보에 오류가 있을 시, 상황 정보에 기반한 예상 거동 패턴 또한 잘못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스스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거나,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상황 인지 방식”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과 같은 특정 상황 정보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침실 TV 장치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각각 제1 상황 인지 방식, 제2 상황 인지 방식, 제3 상황 인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현재의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의 기초가 된 상황 정보를 오류로 결정하고, 오류로 결정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상황 인지 방식을 제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는 제한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서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지 않거나, 획득된 상황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한된 상황 인지 방식과 연관된 상황 정보는,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에서 제외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 “기상”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 후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였으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정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활성화된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 “기상”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상황 정보 “기상”을 제공하였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 “기상”은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에서 무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가 잘못 수집됨에 따른 예상 거동 패턴의 결정 오류를 사후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에 오류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그 결정의 기초가 되는 상황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특정함으로써 향후 더욱 정확한 추론이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황 정보와 거동 패턴 간의 관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309).
일 실시예에서, 관계 정보는 상황 정보와 거동 패턴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1은 거동 패턴#1, 거동 패턴#2와 매핑될 수 있으며, 이때 상황 정보#1은 거동 패턴#1, 거동 패턴#2와 각각 매핑 관계#1, 매핑 관계#2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복수의 매핑 관계들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삭제 대상이 되는 매핑 관계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예상 거동 패턴이 잘못 결정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가상 버튼과 연관된 예상 거동 패턴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의 결정의 기초가 된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기상”에 기반하여 예상 거동 패턴으로 “침실 TV 전원 켜기”가 결정되었으나,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대한 부정 응답과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기상”과 “침실 TV 전원 켜기” 간의 매핑 관계가 삭제될 수 있다. 이후에는, 상황 정보로서 “기상”이 식별되더라도, 전자 디바이스는 “침실 TV 전원 켜기”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적용되는 가상 버튼의 포커싱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예상 거동 패턴이 보다 사용자에 적합하게 결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가상 버튼은 제1 가상 버튼, 제2 가상 버튼을 포함하며, 후술할 것이나, 복수의 제1 가상 버튼들, 복수의 제2 가상 버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머신 간의 인터랙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머신 간의 인터랙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선 순위의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유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선 순위의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이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포커싱을 이동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포커싱된 가상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 편이를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 및/또는 제2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401).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 및/또는 예상 거동 패턴과 연관된 신뢰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신뢰 값은, 예를 들어, 상황 정보와 연관된 제1 신뢰 값, 예상 거동 패턴과 연관된 제2 신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신뢰 값에 기반하여 제1 가상 버튼 또는 제2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신뢰 값과 제2 신뢰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신뢰 값이 더 큰 경우에는, 예상 거동 패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신뢰 값이 더 큰 경우에는, 상황 정보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제1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포커싱된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후 순위로 설정된 가상 버튼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신뢰 값이 더 큰 경우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상 버튼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신뢰 값이 더 큰 경우 제1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가상 버튼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포커싱이 적용된 가상 버튼에 상응하는 추가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402).
추가 질의는 전술한 질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추가 질의는 포커싱이 적용된 가상 버튼의 상단에 텍스트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오디오 형태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귀가 상황 아래 거실 TV 전원을 켜는 예상 거동 패턴이 결정된 상황을 가정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어서와요, 거실 TV를 켜드릴까요?”와 같은 주 질의를 출력한다. 이후,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이나 제2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고, 추가 질의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이 적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혹시 지금 귀가하신게 맞을까요?”와 같이 상황 정보의 정오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질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이 적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혹시 이 동작을 실행하는 게 아닐까요?”와 같이 예상 거동 패턴의 정오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질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포커싱이 적용된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403).
일 실시예에서,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긍정 응답과 부정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상 버튼 또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긍정 응답과 부정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의 결정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뢰 값은 제1 가상 버튼 또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갱신될 수 있다(404).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신뢰 값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가상 버튼에 포커싱이 적용되고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제1 신뢰 값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신뢰 값은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가상 버튼에 포커싱이 적용되고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제1 신뢰 값이 증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제2 신뢰 값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2 가상 버튼에 포커싱이 적용되고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제2 신뢰 값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제2 신뢰 값은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2 가상 버튼에 포커싱이 적용되고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제1 신뢰 값이 증가할 수도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황 정보는 다양한 센싱 정보를 정보 처리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부정확한 처리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상 거동 패턴 또한 상황 정보에 기인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부정확한 결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결과들에 대한 신뢰 값을 비교하고, 더 낮은 신뢰 값을 갖는 개체의 정오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머신 간의 인터랙션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 “귀가 직후”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귀가 직후”)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예상 거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귀가 직후”)와 미리 매핑된 거동 패턴인 “거실 TV의 전원 켜기”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520), 제2 가상 버튼(530) 및/또는 주 질의(5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500)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제1 가상 버튼(520), 예상 거동 패턴을 나타내는 제2 가상 버튼(530)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주 질의(510)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 질의(510)는, 예를 들어, “어서와요, 거실 TV를 켜드릴까요?”와 같은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상 버튼(520)과 제2 가상 버튼(530)은 서로 별개의 그래픽 개체로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510)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상 버튼(520) 또는 제2 가상 버튼(530)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관한 제1 신뢰 값, 예상 거동 패턴에 관한 제2 신뢰 값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신뢰 값이 더 큰 경우에는 예상 거동 패턴에 상위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고, 제2 신뢰 값이 더 큰 경우에는 상황 정보에 상위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제2 신뢰 값이 더 큰 경우로서, 상황 정보에 상위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520)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고, 상황 정보의 정오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질의(5201)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520)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황 인지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520)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가상 버튼(530)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예상 거동 패턴의 정오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질의(5301)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520)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의된 시간 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한다. 다시 말해,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시간 내 제1 가상 버튼(5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가상 버튼(530)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530)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황 정보와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530)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황 인지 방식이나 관계 정보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530)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의된 시간 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한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은, 독립 거동 패턴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속 거동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독립 거동 패턴은 선행 조건이 없는 거동 패턴을 말하며, 종속 거동 패턴은 선행 조건으로서, 독립 거동 패턴 또는 다른 종속 거동 패턴이 수행되어야 하는 거동 패턴을 말한다. 독립 거동 패턴과 종속 거동 패턴은 선후행 관계로 연관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독립 거동 패턴으로 “거실 TV를 켜는 것”, 종속 거동 패턴으로 “채널 xxx를 켜는 것”이 예시되며, 독립 거동 패턴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종속 거동 패턴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620), 제2 가상 버튼(630) 및/또는 주 질의(6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600)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610)를 출력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이 결정되고 예상 거동 패턴들이 선후행 관계로 연관된 경우, 주 질의(610)는 결정된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문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거동 패턴으로 “거실 TV를 켜는 것”, “채널 xxx를 켜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주 질의(610)는 “어서와요, 거실 TV에서 SBS를 보여드릴까요?”와 같이 독립 거동 패턴이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한 종속 거동 패턴의 수행 여부를 질의하는 문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예상 거동 패턴들 각각에 대한 제2 가상 버튼(631, 632)들을 주 질의(610)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상 버튼(630; 631, 632)들은 한 테두리 안에 그루핑되도록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610)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상 거동 패턴들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610)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가상 버튼들(620, 6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버튼은 제1 가상 버튼(620)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가상 버튼(6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가상 버튼(630)들 중 어느 하나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가상 버튼(630)들과 각각 연관된 제2 신뢰 값들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신뢰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제2 가상 버튼(63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신뢰 값의 증가와 감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뢰 값 및 제2 신뢰 값은 선후행 관계에 기반하여 크기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독립 거동 패턴은 종속 거동 패턴보다 더 높은 신뢰 값을 가질 수 있다(제1 신뢰 값 > 제2 신뢰 값). 이에, 전자 디바이스는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2)에 우선적으로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2)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와 예상 거동 패턴들 간의 매핑 관게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속 거동 패턴과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고, 독립 거동 패턴과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만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상황 정보가 식별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독립 거동 패턴만을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종속 거동 패턴과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가 삭제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상황 정보가 식별되었을 때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1) 및 상기 독립 거동 패턴과 연관된 주 질의(610')만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2)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620)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가상 버튼(620)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관계 정보나 상황 인지 방식을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가상 버튼(620)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인지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2)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1)에 대해서는 포커싱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자 디바이스는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2)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631)에 대해서도 긍정 응답이 수신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은, 모두 독립 거동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720), 제2 가상 버튼(730) 및/또는 주 질의(7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700)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독립 거동 패턴으로, “거실 TV를 켜는 것”, 또 다른 독립 거동 패턴으로 “거실 에어컨을 켜는 것”이 예시되며 각각의 독립 거동 패턴의 수행은 서로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710)를 출력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이 결정되고 각각의 예상 거동 패턴들이 모두 독립 거동 패턴인 경우, 주 질의(710)는 둘 이상의 예상 거동 패턴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문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거동 패턴으로 “거실 TV를 켜는 것”, “거실 에어컨을 켜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주 질의(710)는 “어서와요, 거실 TV와 에어컨을 켜드릴까요?”와 같이 모든 예상 거동 패턴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문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예상 거동 패턴 각각에 대한 제2 가상 버튼(730)들을 주 질의(710)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상 버튼(730)들은 한 테두리 안에 그루핑되도록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710)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가상 버튼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버튼은 제1 가상 버튼(720)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가상 버튼(7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가상 버튼(730)들 중 어느 하나에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독립 거동 패턴들과 각각 연관된 제2 신뢰 값들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신뢰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제2 가상 버튼(73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신뢰 값의 증가와 감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2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732)에 포커싱을 적용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2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732)에 포커싱을 적용하며, 제2 독립 거동 패턴의 정오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질의(7321, 예: “혹시 에어컨을 더 이상 원하지 않나요?”)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732)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황 정보와 제2 독립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와 제2 독립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고, 나머지 독립 거동 패턴(예: 제1 독립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만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황 정보와 제2 독립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가 삭제된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이후 동일한 상황 정보가 식별되었을 때 제1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721)만을 출력한다. 이때, 제2 독립 거동 패턴과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가 삭제됨에 따라, 주 질의(710')는 상황 정보 및 제1 독립 거동 패턴과 연관된 문구로 구성되며, 제2 독립 거동 패턴과 관련된 어구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732)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731)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독립 거동 패턴의 정오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질의(7311, 예: “혹시 더 이상 거실 TV를 안 켜시나요?”)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거동 패턴을 구성하는 모든 독립 거동 패턴(예: 제1 독립 거동 패턴 및 제2 독립 거동 패턴)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720)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820), 제2 가상 버튼(830) 및/또는 주 질의(8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800)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810)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음성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을 음성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음성은 텍스트 형태로 전환되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의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형태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은 상황 정보 및/또는 예상 거동 패턴 각각에 대한 세부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응답은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세부 응답, 예상 거동 패턴에 관한 제2 세부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상황 정보는 “귀가 직후”, 예상 거동 패턴은 “거실 TV 전원을 켜는 것”으로 식별되었고, 전자 디바이스는 “어서와요, 거실 TV를 켜드릴까요?”와 같은 주 질의(810)를 출력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상황 정보(예: 귀가 직후)와 관련된 제1 세부 응답(예: 귀가한 거 아니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황 정보와 연관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기반하여 제1 세부 응답을 부정 응답, 또는 긍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a)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키워드(예: “귀가”) 및 (b) 상기 키워드와 인접한 위치의 부정어(예: “아니야”, “아니”, “안”)가 식별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세부 응답을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으로 “아니, 지금 나 귀가한 거 아니야”를 전제로 설명하면,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키워드로 “귀가”와, 상기 “귀가”와 인접하게 위치한 “아니야”를 전자 디바이스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를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a)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키워드(예: “귀가”) 및 (b) 상기 키워드와 인접한 위치의 긍정어(예: “응”, “맞아”, “그래”)가 식별되면, 제1 세부 응답을 긍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예상 거동 패턴(예: TV 전원을 켜는 것)과 관련된 제2 세부 응답(예: 귀가하고 TV 주로 안 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과 연관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기반하여 제2 세부 응답을 부정 응답 또는 긍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a)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1 키워드(예: “TV ~ 켜”, “에어컨 ~ 켜”), (b)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키워드(예: “귀가”) 및 (c) 상기 제1 키워드와 인접한 위치의 부정어(예: “아니야”, “아니”, “안”)가 식별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세부 응답을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으로 “아니, 나 귀가하고 거실 TV 주로 안 켜”를 전제로 설명하면, 제1 키워드로 “거실 TV 켜”를 식별하고, 제2 키워드로 “귀가”를 식별하고, 제1 키워드와 인접한 부정으로 “안”을 전자 디바이스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를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은 상황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가상 버튼(920)들, 예상 거동 패턴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930)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상 버튼의 개수는 획득된 상황 정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가 시간에 대한 “평일”, 귀가/외출 여부에 대한 “귀가 직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황 정보에 대한 제1 가상 버튼들(921, 922)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상 버튼의 개수는 결정된 예상 거동 패턴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거동 패턴이 “주로 거실 TV On”, “주로 에어컨 On”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예상 거동 패턴에 대한 제2 가상 버튼들(931, 932)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주 질의(91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은 주 질의(91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질의(910)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920)들 및 제2 가상 버튼(930)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가상 버튼(9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제2 가상 버튼(9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부정 응답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은 상황 인지 방식 또는 관계 정보를 갱신하지 않기 위한 제3 가상 버튼(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상 버튼(940)은, 주 질의(910)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90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10, 11, 12, 1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주 질의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 및 상기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및 상기 제2 가상 버튼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 또는 상기 상황 인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긍정 응답과 부정 응답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인지 방식은,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갱신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갱신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신뢰 값, 및 상기 예상 거동 패턴과 연관된 제2 신뢰 값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신뢰 값 및 상기 제2 신뢰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 신뢰 값이 상기 제2 신뢰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신뢰 값이 상기 제1 신뢰 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이 적용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제2 가상 버튼 중, 포커싱된 가상 버튼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거나,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패턴은, 전자 디바이스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은 독립 거동 패턴 또는 종속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종속 거동 패턴은 상기 독립 거동 패턴 보다 후순위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이 둘 이상의 독립 거동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하는 동작에서, 각각의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이 출력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응답이 수신된 제2 가상 버튼과 연관된 독립 거동 패턴과 상기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거동 패턴이 독립 거동 패턴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속 거동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하는 동작에서, 독립 거동 패턴 및 상기 독립 거동 패턴에 종속적인 종속 거동 패턴에 각각 상응하는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이 출력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선후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제2 가상 버튼들 중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해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응답이 수신된 제2 가상 버튼과 연관된 종속 거동 패턴과 상기 상황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삭제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하여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하여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독립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제1 가상 버튼에 대한 포커싱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상황 인지 방식을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거동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예상 거동 패턴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 및 예상 거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주 질의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제1 가상 버튼, 상기 예상 거동 패턴에 상응하는 제2 가상 버튼 및 상기 주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주 질의에 대한 부정 응답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버튼 및 상기 제2 가상 버튼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가상 버튼 또는 상기 제2 가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거동 패턴 간의 매핑 관계, 또는 상기 상황 인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동작;
    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20134254A 2022-10-18 2022-10-18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4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54A KR20240054021A (ko) 2022-10-18 2022-10-18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12287 WO2024085401A1 (ko) 2022-10-18 2023-08-18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54A KR20240054021A (ko) 2022-10-18 2022-10-18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21A true KR20240054021A (ko) 2024-04-25

Family

ID=9073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254A KR20240054021A (ko) 2022-10-18 2022-10-18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4021A (ko)
WO (1) WO2024085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413B2 (en) * 2008-11-25 2012-09-18 Google Inc. Providing digital content based on expected user behavior
KR101879759B1 (ko) * 2012-07-26 2018-07-19 주식회사 케이티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483191B1 (ko) * 2012-11-22 2015-01-15 주식회사 케이티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서버
US20170053210A1 (en) * 2015-08-17 2017-02-23 Ton Duc Thang University Smart home system
KR102523638B1 (ko) * 2019-02-27 2023-04-20 한국과학기술원 대화 의도 실시간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01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8861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アシスタント
US115516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10104232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99536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52018A1 (ja) 家電管理システム、家電、リモコン装置、ロボット
KR10241161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36397A (ja) 応答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11031008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3168227A (zh) 执行电子装置的功能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
US202001430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643548A (zh) 用于将内容路由到相关联输出设备的系统和方法
US10147426B1 (en) Method and device to select an audio output circuit based on priority attributes
JP6559192B2 (ja) 制御装置、入出力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164301A (ja) 発話制御装置、発話制御方法、および発話制御プログラム
KR102629796B1 (ko) 음성 인식의 향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16897A (ko) 외부 장치의 음성 기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745638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9164709A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および出力制御プログラム
WO2016052520A1 (ja) 対話装置
KR2021006665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54021A (ko)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0562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190058918A (ko) 차량의 음성 명령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3314115A (zh) 终端设备的语音处理方法、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818820B2 (en) Adapting a ligh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an analysis of conversational in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