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20A -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20A
KR20240054020A KR1020220134252A KR20220134252A KR20240054020A KR 20240054020 A KR20240054020 A KR 20240054020A KR 1020220134252 A KR1020220134252 A KR 1020220134252A KR 20220134252 A KR20220134252 A KR 20220134252A KR 20240054020 A KR20240054020 A KR 20240054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auxiliary cover
vehicl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20A/ko
Publication of KR2024005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검 및 정비시 보조커버를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는, 개구부(21a)가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메인커버(21); 및 상기 메인커버(2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1a)를 개폐하는 보조커버(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SLIDABLE UNDER COV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검 및 정비시 보조커버를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하부(저면)에는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가리기 위하여 언더커버가 적용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공력성능 개선을 위하여, 상기 언더커버가 적용되는 면적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1회 충전후 주행거리가 중요한 전기자동차에서는 상기 차량의 하부 전체를 언더커버를 적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언더커버가 프런트 서스펜션과 리어 서스펜션 부위까지 커버하면, 조립후 검차시 휠얼라인먼트 조정을 위하여, 상기 언더커버를 분리하고, 휠얼라인먼트 조정후 다시 상기 언더커버를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더커버(121)에 보조커버(122)가 적용되어 커버되는 면적을 늘이는 경우, 조립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자, 상기 보조커버(122)를 차체(110)에 연결시키는 보강브라켓(125)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보강브라켓(125)의 적용은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휠얼라인머트 조정시, 상기 보조커버(122)를 상기 언더커버(121)에 고정시키는 패스너(123)를 분리해야 하는데,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패스너(123)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패스너(123)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커버(122)는 그 전체 둘레에 간격을 두고 상기 패스너(123)로만 상기 언더커버(121)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커버(122)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많은 수의 패스너(123)가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상기 보조커버(122)의 장착과 탈거시 상기 패스터(123)로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 공수를 늘이는 요인이 되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31은 로커암커버이다.
KR 10-2020-0134757 A (2020.12.02, 명칭 : 자동차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면적을 늘이면서도, 조립후 휠얼라인먼트 조정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딩가능하게 보조커버가 설치된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커버에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커버는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끼워져 상기 메인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의 양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후크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로 정해진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을 제한시키는 범프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보조커버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후크와 상기 보조커버는 각각 상대를 향하여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구간이 나머지 구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의 높이가 변경되는 구간에 상기 보조커버에 정해진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을 정지시키는 범프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걸리도록, 상기 보조커버의 저면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조커버를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메인커버의 저면과 상기 보조커버의 저면은 연속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따르면, 보조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점검 및 정비가 용이해진다.
특히, 차량의 제조시, 보조커버를 가조립상태로 조립하고, 상기 보조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휠라인먼트 조정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패스너로 상기 보조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커버의 측면은 슬라이딩가이드로 지지되므로, 상기 보조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의 수가 줄어들어, 조립 공수가 줄어든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언더커버가 적용된 차량의 저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언더커버에 보조커버 및 보강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언더커버에 보조커버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라 언더커버와 보조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커버가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커버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커버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커버의 개방으로 차량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커버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는, 개구부(21a)가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메인커버(21)와, 상기 메인커버(2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1a)를 개폐하는 보조커버(22)를 포함한다.
메인커버(21)는 차량의 하부를 커버한다. 상기 메인커버(21)는 차체(10)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의 하부를 커버한다.
상기 메인커버(21)에 개구부(21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a)는 평상시에는 폐쇄되고, 점검 및 정비를 위하여 개방되어야 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예컨대, 프런트 액슬의 양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개구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커버(22)는 상기 개구부(21a)는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보조커버(22)는 상기 개구부(21a)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커버(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개구부(21a)를 폐쇄하고 있으면, 상기 차량의 하부가 상기 메인커버(21)과 상기 보조커버(22)에 의해 차량 하부 커버링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차량의 공력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차량의 하부에 점검 및 정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보조커버(22)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개구부(21a)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개구부(21a)를 폐쇄하면, 상기 보조커버(22)의 저면과 상기 메인커버(21)의 저면은 연속되는 곡면을 형성하여, 차량의 저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공력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커버(21)와 상기 보조커버(22)의 저면 형상을 최적의 공력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곡면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22)를 상기 메인커버(21)에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커버(21)에 상기 보조커버(22)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이드(21b)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는 상기 보조커버(22)의 양측단이 끼워져, 상기 메인커버(21)에서 슬라이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커버(22)에 슬라이딩후크(22a)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에 상기 슬라이딩후크(22a)가 삽입되는 슬롯(21b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후크(22a)는 상기 보조커버(22)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21ba)에 삽입된다. 상기 슬롯(21ba)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가 상기 보조커버(22)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슬롯(21ba)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메인커버(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는 상기 메인커버(21)의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커버(21), 상기 보조커버(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브라켓을 적용하지 않고도, 상기 메인커버(21)나 상기 보조커버(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브라켓이 불필요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에는 상기 보조커버(22)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범프(21c)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커버(22)는 상기 차량의 제조시에는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메인커버(21)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가 아니고, 휠얼라인먼트 등의 점검 및 조정까지 완료된 상태에서 완전히 체결된다. 따라서, 그 이전까지 상기 보조커버(22)의 위치를 임시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범프(21c)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후크(22a)와 상기 범프(21c)는 각각 상대를 향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커버(22)로 정해진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커버(22)의 슬라이딩을 정지시킨다. 상기 범프(21c)는 상기 개구부(21a)가 상기 보조커버(22)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에서 상기 슬롯(21ba)은 상기 보조커버(22)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21ba)은 구간 L1보다 구간 L3에서 더 높게 형성되고, 구간 L2에서 높이가 변경된다. 이는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구간 L1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21a)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는 상기 보조커버(22)의 저면이 상기 메인커버(21)의 저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공력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구간 L3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21a)를 개방되도록 하면,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차체와 상기 메인커버(21)의 사이로 수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범프(21c)는 상기 구간 L2, 즉 상기 슬롯(21ba)의 높이가 변경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커버(22)의 저면에 상기 보조커버(22)의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22b)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2b)는 상기 보조커버(22)가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21a)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보조커버(22)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22b)는 상기 보조커버(22)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점검, 정비 등을 위하여, 상기 보조커버(22)를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스토퍼(22b)는 손잡이 역할도 한다.
패스너(23)는 상기 보조커버(22)를 상기 메인커버(21)에 체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패스너(23)는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개구부(21a)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메인커버(21)과 상기 보조커버(22)를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커버(22)를 상기 메인커버(21)에 체결시킨다.
다만, 상기 패스너(23)는 상기 차량의 조립과정에서는 상기 메인커버(21)와 상기 보조커버(22)를 체결시키는데 적용되지 않는다. 이를 상기 차량의 조립 후, 점검시 상기 보조커버(22)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패스너(23)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을 완료토록 한다. 상기 패스너(23)가 적용되지 않더라도, 상기 범프(21c)가 상기 보조커버(22)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차량의 점검이 완료된 이후, 상기 패스너(23)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커버(21)와 상기 보조커버(22)를 체결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커버(22)의 양측단은 상기 슬라이딩후크(22a)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에 형성된 슬롯(21ba)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소요되는 상기 패스너(23)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 패스너(23)는 상기 개구부(21a)의 둘레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상기 메인커버(21)를 관통하고, 상기 보조커버(22)의 둘레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상기 보조커버(22)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메인커버(21)와 상기 보조커버(22)를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는 상기 보조커버(22)가 가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조립과정에서는 상기 보조커버(22)은 완전히 체결하지 않고, 가조립상태로 조립한다. 상기 보조커버(22)가 가조립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후크(22a)가 상기 범프(21c)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커버(22)가 상기 메인커버(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차량의 조립후, 상기 차량의 휠얼라인먼트를 조정하려면,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22b)를 이용하여 도 9a의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보조커버(22)를 개방시킨다. 상기 보조커버(22)는 차량의 조립과정에서는 상기 패스너(23)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상기 보조커버(22)를 밀어 개방시킬 수 있다.
도 9b에 상기 보조커버(22)가 개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조커버(22)를 개방시키면, 상기 메인커버(21)의 개구부(21a)가 개방된다.
상기 보조커버(22)를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b)로 최대로 밀어넣으면, 상기 스토퍼(22b)가 상기 개구부(21a)의 일측에 걸리도록 상기 개구부(21a)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도 9c 참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1a)가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차량의 하부가 노출되고, 이를 통하여 휠얼라인먼트 조정과 같은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이 완료되면, 상기 스토퍼(22b)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커버(22)를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21a)를 폐쇄시키고, 상기 패스너(23)로 상기 보조커버(22)를 상기 메인커버(21)에 완전히 체결시킨다(도 9e 참조).
한편, 상기 차량이 출고된 후, 상기 차량의 하부 정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커버(22)를 개방하여 정비한 후, 상기 보조커버(22)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커버(22)의 개방전, 상기 패스너(23)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머지는 앞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다.
10 : 차체 21 : 메인커버
21a : 개구부 21b : 슬라이딩가이드
21ba : 슬롯 21c : 범프
22 : 보조커버 22a : 슬라이딩후크
22b : 스토퍼 23 : 패스너
110 : 차체 121 : 언더커버
122 : 보조커버 123 : 패스너
125 : 보강브라켓 131 : 로커암커버

Claims (12)

  1. 개구부가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커버;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에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커버는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끼워져 상기 메인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의 양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후크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로 정해진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을 제한시키는 범프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보조커버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후크와 상기 보조커버는 각각 상대를 향하여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구간이 나머지 구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높이가 변경되는 구간에 상기 보조커버에 정해진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커버의 슬라이딩을 정지시키는 범프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걸리도록, 상기 보조커버의 저면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조커버를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메인커버의 저면과 상기 보조커버의 저면은 연속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KR1020220134252A 2022-10-18 2022-10-18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KR20240054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52A KR20240054020A (ko) 2022-10-18 2022-10-18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52A KR20240054020A (ko) 2022-10-18 2022-10-18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20A true KR20240054020A (ko) 2024-04-25

Family

ID=9088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252A KR20240054020A (ko) 2022-10-18 2022-10-18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0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757A (ko) 2019-05-23 2020-12-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757A (ko) 2019-05-23 2020-12-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097B2 (ja) 自動車エンジンのラジエータ用のエアガイドを有する冷却装置
US6983971B2 (en) Mid structural module
US10442477B2 (en) Variable corner vane assembly for vehicle
US20130283697A1 (en) Window lifter comprising a holder for fastening a cable between two ends of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KR20150120336A (ko)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을 위한 장착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도어를 위한 플라스틱 강성 패널
US10821813B2 (en) Convertible skeleton door
JP6177772B2 (ja) 自動車のための側部保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自動車
US9796439B2 (en) Method for coupling a sunroof glass apparatus to a vehicle body
KR20240054020A (ko) 슬라이딩가능한 차량의 언더커버 어셈블리
DE102011106010A1 (de)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Fahrzeug
KR101989857B1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US20170267076A1 (en) Vehicle Having a Slider for Guiding a Displaceable Element
EP0243325A2 (en)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body with a vehicle door
KR101809217B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JP7218486B2 (ja) リアバンパの組み付け構造
US10752186B2 (en) Quarter panel assemblies including service hole covers with noise reduction flanges
EP1403114B1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US9375998B2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N212478904U (zh) 一种集成的复合材料侧门系统
JP3956255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H06106975A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51537U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の駆動レール組立体
EP3932711A1 (en) Upper vehicle-body structure for vehicle
JP4147944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EP1669278A1 (fr)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adre de cap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