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651A -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651A
KR20240053651A KR1020247011751A KR20247011751A KR20240053651A KR 20240053651 A KR20240053651 A KR 20240053651A KR 1020247011751 A KR1020247011751 A KR 1020247011751A KR 20247011751 A KR20247011751 A KR 20247011751A KR 20240053651 A KR20240053651 A KR 2024005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treatment
ephrinb2
ephb4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코간
발레리 크라스노페로브
Original Assignee
바스진 테라퓨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진 테라퓨틱스, 인크. filed Critical 바스진 테라퓨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5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92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localized on the membrane of tumor or cance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효능을 평가하고 백금 내성 전이성 암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의사가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에프린B2 발현의 용도를 기재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준 요법이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거나, 재발을 야기하거나, 또는 암 및 관련 종양의 유형으로 인해 사용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험자가 현재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관련 특허 출원
본 출원은 2021년 9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3/241,44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본 명세서에 전체 참조로 포함된다.
서열 목록
본 출원은 "종이 사본" (PDF 파일) 형태의 서열 목록 및 본 명세서에 제출된 컴퓨터 판독 가능 형태 (ST25 포맷 텍스트 파일)의 기준 서열 (서열번호: 1-5)을 함유하는 파일을 함유한다. 서열 목록은 37 C.F.R. 1.822에 정의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에 대한 표준 3 문자 코드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오늘날, 암은 개발된 수많은 첨단 진단 및 치료 방법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남아 있다. 인간에서, 암은 세포 대사 및 성장 속도의 증가, 혈관신생의 자극으로 인한 종양으로의 혈액 공급 증가, 및 신호전달 경로 및 종양 억제제의 조절 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러 기전에 의해 1차 유전적 결과 이후에 확립된다. 임상 종양학에서 근치적 치료 프로토콜(Curative treatment protocols)은 외과적 절제, 이온화 방사선, 및 세포독성 화학요법의 조합에 의존한다. 암의 성공적인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주요 장벽은 많은 암이 현재의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 개입에 여전히 반응하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이 적극적인 치료 후에도 재발 또는 사망을 겪는다는 사실에 있다. 또한, 종양은 세포로부터 약물의 방출, 약물이 이의 표적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돌연변이의 발생, 및 약물 표적과 관련되지 않은 유전자 및 이의 단백질 산물의 추가 돌연변이의 발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러 기전에 의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에서 조절되지 않는 신호전달 축을 조절할 수 있는 표적 요법을 개발하기 위한 약물 발견의 추세가 있었다. 표적 치료 방법의 주요 특징은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및 예후 바이오마커이다. 현재 수많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표적의 치료적 조작을 허용하는 많은 FDA 승인 항체 및 소분자가 있다.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immune checkpoints))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면역요법은 광범위한 연구 및 임상 평가의 영역이었다. 면역 관문 단백질은 CTLA-4, PD-1, PD-L1, LAG-3, TIM-3 및 기타 여러 가지를 포함한다 (Sharpe et al., Nat Immunol, 8:239-45, 2007). 정상적인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면역 관문은 자기-내성(self-tolerance)의 유지 (즉, 자가면역의 예방)에 중요하며, 면역계가 병원성 감염에 반응할 때 조직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종양이 특히 종양 항원에 특이적인 T 세포에 대한 면역 내성의 주요 기전으로 특정 면역-관문 경로를 공동-채택한다는 것도 이제 명백하다 (Pardoll DM., Nat Rev Cancer, 12:252-64, 2012). 따라서, CTLA-4 (이필리무맙), PD-1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및 PD-L1 (BMS-936559; MPLD3280A; MEDI4736; MSB0010718C) (참조, 예를 들어, Philips and Atkins, International Immunology, 27(1); 39-46, Oct 2014), 및 OX-40, CD137, GITR, LAG3, TIM-3, 및 VISTA (참조, 예를 들어, Sharon et al., Chin J Cancer., 33(9): 434-444, Sep 2014; Hodi et al., N Engl J Med, 2010; Topalian et al., N Engl J Med, 366:2443-54)를 포함하는 면역 관문 분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암과 같은 증식성 질환 환자, 특히 난치성 암 및/또는 재발성 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대체 면역요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진단 및 요법의 상당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은 이환율(morbidity) 및 사망률(mortality)의 주요 공통 원인으로 남아 있다.
현재, 관문 저해제 요법은 많은 암에 대해 선호되는 1차, 2차 또는 3차 요법이 되었으며, PD1/PDL1 항체는 여러 암에 대해 치료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상당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최첨단 기술을 개선해야 할 중요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예를 들어, 관문 저해제 요법은 잠재적인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많은 종양이 표적 항원이 부족하여 치료를 회피할 것이라는 사실로 인해 여전히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암 환자의 약 20%가 PD-1/PD-L1 항체 또는 CTLA-4 항체에 반응하며, 전체 생존기간은 대부분의 경우 1년 미만으로 유지되고 객관적 반응률은 완만하여 이러한 환자의 거의 70-80%에 대해 큰 미충족 욕구를 강조한다.
Eph (Erythropoietin Producing Hepatoma) 수용체 및 리간드는 RTKs (receptor tyrosine kinases)의 가장 큰 계열(family)의 일부이다. 계열은 2개의 다른 유형의 막-고정(membrane-anchored) 에프린 리간드에 대한 서열 상동성 및 결합 친화도를 기반으로, 클래스 A와 클래스 B로 세분된다. 각 Eph 수용체 및 리간드는 다수의 리간드 및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으며, 특정 수용체는 추정 종양 억제제로, 다른 수용체는 종양 촉진제로 가정되었다 (Vaught et al, Breast Cancer Res, 10(6):217-224, 2008). 에프린 B2 및 이의 고친화도 동족 수용체인 EphB4는 종양 혈관에서 유도되며 면역 세포 트래피킹(trafficking)을 조절하는 막관통 단백질이다. EphB4-에프린B2 상호작용의 저해는 in vitro 및 ex-vivo에서 종양 세포 증식에 직접적인 저해 효과가 있다.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전에 기재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US 7,381,410; US 7,862,816; US 7,977,463; US 8,063,183; US 8,273,858; US 8,975,377; US 8,981,062; US 9,533,026; 각각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됨).
본 발명자들은 알부민에 융합된 EphB4의 가용성 세포외 단편 (sEphB4-HSA)이 에프린-B2와 EphB4 사이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며, 양방향 신호전달을 차단하여, 면역 세포 트래피킹을 촉진하고 다양한 암에서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인 "sEphB4-HSA" (인간 혈청 알부민에 융합된 EphB4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의 가용성 세포외 단편)를 개발하고 있다. sEphB4-HSA는 인간 혈청 알부민 (HSA)과 프레임 내에 융합된 인간 EphB4 수용체 (sEphB4)의 세포외 도메인으로 이루어진다. HSA와의 이러한 융합은 sEphB4의 약동학을 향상시킨다. sEphB4-HSA는 EphB4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의 리간드: 막관통 단백질 에프린-B2에 결합한다. 이 결합을 통해, 에프린B2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내인성 EphB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를 차단한다. 현재까지 생성된 증거는 sEphB4-HSA가 종양의 혈관신생을 감소시켜 혈액의 종양을 굶주리게 하며, 종양으로의 T 세포의 보충을 억제하는 에프린B2의 능력을 저해하여 T 세포 보충을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EphB4는 편평 세포 암종, 요로상피 암종(urothelial carcinoma), 대장암(colon cancer), 폐암, 중피종(mesothelioma),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등과 같은 여러 종양 유형의 생존 인자이다. 에프린B2는 카포시 육종과 같은 일부 종양의 생존 인자이다. 양방향 신호전달의 차단은 EphB4의 활성화를 차단하므로, 정방향 신호전달은 세포 정체(cell stasis) 또는 세포사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치료 효능을 평가하고 전이성 암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의사가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에프린B2 발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문헌의 원용
특허 문헌 US 7,381,410; US 7,862,816; US 7,977,463; US 8,063,183; US 8,273,858; US 8,975,377; US 8,981,062; US 9,533,026; PCT/US2020/018160; PCT/US2020/023215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참고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놀라운 발견에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1) 에프린B2 발현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방광암에서 1차 요법으로 에프린B2 표적 요법 단일 제제 및/또는 면역 자극 약물 (PD-1/PD-L1, CTLA-4, LAG3, TIM3, TIGIT, OX40 리간드에 대한 길항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과 조합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 ("EphB4-에프린B2 저해제")(예를 들어, sEphB4-HSA)를 이용한 병용 요법에 대한 반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및 2) 더 높은 에프린B2 발현은 전신 화학요법 연구 후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에서 면역 자극 약물 (예를 들어, PD-1/PD-L1 길항 항체)을 이용한 단일요법에 대한 더 낮은 반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 효능을 평가하고 전이성 암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의사가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에프린B2 발현의 용도를 기재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준 요법이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거나, 재발을 야기하거나, 또는 암 및 관련 종양의 유형으로 인해 사용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험자가 현재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체는 백금 내성 전이성 암을 앓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체는 이전에 백금 화학요법을 받지 않았거나, 또는 백금 화학요법을 받기에는 너무 건강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1차 요법으로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암 피험자를 진단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고 현재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및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요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는 EphB4 단백질 또는 에프린B2 단백질의 단량체 리간드 결합 부분, 또는 EphB4 또는 에프린B2에 결합하여 영향을 미치는 항체이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 제제는 에프린B2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EphB4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용성 EphB4 (sEphB4) 폴리펩티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EphB4 단백질의 구형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제제는 핵산 치료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핵산 치료제는 에프린B2 또는 EphB4를 표적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또는 siRNA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의 잔기 1-522와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 잔기 1-412와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 및 잔기 1-311과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구형 (G)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29-197), 및 임의로 추가 도메인, 예를 들어 시스테인-풍부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239-321), 제 1 피브로넥틴 유형 3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324-429) 및 제 2 피브로넥틴 유형 3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434-526)을 포함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53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42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326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197, 29-197, 1-312, 29-132, 1-321, 29-321, 1-326, 29-326, 1-412, 29-412, 1-427, 29-427, 1-429, 29-429, 1-526, 29-526, 1-537 및 29-53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6-197, 16-312, 16-321, 16-326, 16-412, 16-427, 16-429, 16-526, 및 16-53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Fc 융합 단백질로 발현하거나 또는 다른 다량체화 도메인과의 융합에 의해 다량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에프린B2 결합 활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증가된 혈청 반감기를 부여하는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단량체이며, 하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 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기(들)에 공유 결합된다 (이하 "sEphB4-PEG").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에프린B2 결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개선된 반감기를 부여하는 제 2 안정화 폴리펩티드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화 폴리펩티드는 인간 환자 (또는 수의학적 용도가 고려되는 경우, 동물 환자)와 면역적합성이며, 유의한 생물학적 활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이하 "sEphB4-HSA") 및 소 혈청 알부민 (BSA) (이하 "sEphB4-B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부민과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19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2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2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29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3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신호전달을 차단하거나 또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siRNA, 및 CRISPR/CAS와 같은 유전자 편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Eph 수용체와 에프린B2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분자와의 융합 단백질로 발현함으로써, 다량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면역 자극 약물은 SIRP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됨), CD47 (종양 세포 및 기타 세포 유형에서 고도로 발현됨), TIGIT (일부 T 세포 및 자연 살해 세포에 존재하는 면역 수용체), VISTA (단핵구, 수지상 세포, B 세포, T 세포에서 발현됨), CD152 (활성화된 CD8+ T 세포, CD4+ T 세포 및 조절 T 세포에 의해 발현됨), CD279 (종양 침윤 림프구에서 발현됨, 활성화된 T 세포 (CD4 및 CD8 둘 다), 조절 T 세포, 활성화된 B 세포, 활성화된 NK 세포, 아네르기성(anergic) T 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 의해 발현됨), CD274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혈관 내피 세포, 췌도 세포에서 발현됨), 및 CD223 (활성화된 T 세포, 조절 T 세포, 아네르기성 T 세포, NK 세포, NKT 세포, 및 형질세포양(plasmacytoid) 수지상 세포에 의해 발현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관문 단백질 항원에 대한 길항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면역 자극 약물은 항-PD-1 Ab, 항-PD-L1 Ab, 항-CTLA Ab, 항-TIGIT Ab, 항-LAG3 항체, 항-TIM3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에프린B2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IHC), 면역형광,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및 웨스턴 블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mRNA 발현 수준은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 (qPCR), 역전사 qPCR (RT-qPCR), RNA 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제자리(in situ) 혼성화, 및 유전자 발현의 연속 분석 (SAG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시료, 혈액 시료, 혈청 시료, 혈장 시료,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시료, 복수액(ascites fluid) 시료, 및 세포 배양 시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B 세포 림프종; 폐암 (소세포 폐암 및 비-소세포 폐암); 기관지암;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위암; 난소암; 방광암; 뇌 또는 중추신경계 암; 말초신경계 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흑색종; 자궁암 또는 자궁내막암; 구강 또는 인두암; 간암; 신장암; 담도암(biliary tract cance); 소장암 또는 맹장암; 침샘암; 갑상선암; 부신암(adrenal gland cancer); 골육종(osteosarcoma); 연골육종(chondrosarcoma); 지방육종 (liposarcoma); 고환암; 및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피부암; 두경부암; 림프종; 육종; 다발성 골수종;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난소암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유방암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RAS (예를 들어, KRAS, HRAS, NRAS) 돌연변이체 암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PTEN 상실된 암이다.
일 실시예에서, 피험자는 이전에 항암 요법을 이용한 치료에 반응하였으나, 요법의 중단 시, 재발하였다 (이하 "재발성 암"). 일 실시예에서, 피험자는 내성 또는 난치성 암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백금-계 화학요법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면역요법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면역접합체, 항체-약물 접합체 (ADC), 또는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 및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분자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수술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줄기 세포 이식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예를 들어, 면역요법 치료, 백금-계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료, 종양 항원-특이적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 면역접합체, ADC, 또는 종양 항원-특이적 고갈 항체 및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분자를 이용한 치료,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 수술을 이용한 치료, 줄기 세포 이식을 이용한 치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병용 요법에 대해 난치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피험자에서 암의 치료 방법은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 표적 요법, 수술, 세포감퇴 요법(cytoreductive therapy), 세포독성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요법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병용 요법은 상승적일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세포감퇴 요법이며, 조합은 세포감퇴 요법의 치료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포감퇴 요법은 DNA 복구 경로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포감퇴 요법은 방사선 요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은 상승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화학요법제이며, 화학요법제는 다우노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아나마이신, MEN 10755,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노렐빈(vinorelbine) (NAVELBINE); 빈데신(vindesine), 빈돌린(vindoline), 빈카민(vincamin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멜팔란 (melphalan) (L-사르코리신(L-sarcolysin)),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세무스틴(semustine) (메틸-CCNU), 스트렙토조신, 클로로조토신, 시타라빈(cytarabine) (CYTOSAR-U), 시토신 아라비노시드(cytosine arabinoside), 플루오로우라실 (5-FU), 플록수리딘(floxuridine) (FUdR), 티오구아닌(thioguanine) (6-티오구아닌), 머캅토푸린(mercaptopurine) (6-MP), 펜토스타틴 (pentostatin), 메토트렉세이트, 10-프로파길-5,8-디데아자폴레이트(10-propargyl-5,8-dideazafolate) (PDDF, CB3717), 5,8-디데아자테트라히드로엽산(5,8-dideazatetrahydrofolic acid) (DDATHF), 류코보린(leucovorin), 시스플라틴 (cis-DDP),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히드록시우레아(hydroxyurea), 젬시타빈, 및 N-메틸히드라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제 (PARP) 저해제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PARP 저해제는 ABT-767, AZD 2461, BGB-290, BGP 15, CEP 9722, E7016, E7449, 플루조파립(fluzoparib), INO1001, JPI 289, MP 124, 니라파립(niraparib), 올라파립(olaparib), ONO2231, 루카파립 (rucaparib), SC 101914, 탈라조파립(talazoparib), 벨리파립(veliparib), WW 46,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은 상승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료 방법은 페길화된 리포좀 독소루비신 (PLD)과 조합한 sEphB4-HSA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치료 방법은 파클리탁셀과 조합한 sEphB4-HSA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은 상승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 항체-약물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 CTLA-4, PD-1, OX-40, CD137, GITR, LAG3, TIM-3 및 VISTA와 같은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 블리나투모맙 (blinatumomab)과 같은 이중특이적 T 세포 결합 항체 (BiTE®)를 이용한 치료; IL-2, IL-12, IL-15, IL-21, GM-CSF, IFN-α, IFN-β 및 IFN-γ와 같은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시풀류셀(sipuleucel)-T와 같은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 수지상 세포 백신, 또는 종양 항원 펩티드 백신을 이용한 치료;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T-VEC)을 이용한 치료;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T 세포를 이용한 치료; CAR-NK 세포를 이용한 치료; 종양 침윤 림프구 (TILs)를 이용한 치료; 입양 전달 항-종양 T 세포 (ex vivo 확장 및/또는 TCR 형질전환)를 이용한 치료; TALL-104 세포를 이용한 치료; 및 TLR(Toll-like receptor) 작용제 CpG 및 이미퀴모드(imiquimod)와 같은 면역자극제를 이용한 치료로부터 선택된 면역요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여기서 병용 요법은 종양 세포의 증가된 작동 세포(effector cell) 사멸을 제공한다, 즉, 공동-투여될 때 sEphB4-HSA와 면역요법 사이에 상승 작용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요법은 CD276, CD272, CD152, CD223, CD279, CD274, TIM-3 및 B7-H4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목록으로부터 면역-관문 단백질 항원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교시된 임의의 면역-관문 단백질 항원 항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니볼루맙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약물은행(Drugbank) 09035; 약물은행 06132), 펨브롤리주맙 (머크)(약물은행 09037) 및 피딜리주맙 (메디베이션(Medivation))(약물은행 1538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CTLA-4 저해제는 이필리무맙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약물은행 06186) 및 트레멜리무맙 (메드이뮨(MedImmune))(약물은행 1177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과학 기술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져야 한다. 또한,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수 용어는 복수를 포함하여야 하며 복수 용어는 단수를 포함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면역학, 미생물학, 유전학 및 단백질 및 핵산 화학 및 혼성화와 관련하여 사용된 명명법 및 기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상용되며 잘 알려진 것들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기법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종래의 방법에 따라, 및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인용되고 논의된 다양한 일반적이고 보다 구체적인 참고문헌에 기재된 대로 수행된다. 참조, 예를 들어, Green and Sambrook,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4th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12),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됨. 효소 반응 및 정제 기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달성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자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분석 화학, 합성 유기 화학, 및 의약 및 제약 화학과 관련하여 사용된 명명법, 및 실험 절차 및 기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상용되며 잘 알려진 것들이다. 표준 기법은 화학 합성, 화학 분석, 의약품 제제, 제형, 및 전달, 및 피험자의 치료에 사용된다.
용어 "폴리펩티드", "펩티드" 및 "단백질"은 2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고분자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통용된다. 상기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응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의 인공 화학 모방체인 아미노산 고분자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 고분자 및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 고분자에 적용한다. 용어 "항체" 및 "항체들"은 본 명세서에서 통용되며, 종종 항원으로 불리는 다른 분자와 상호작용 및/또는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나타낸다. 항체들은, 예를 들어 "항원-결합 폴리펩티드" 또는 "표적-분자 결합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원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기재된 임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아미노산"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 및 합성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아미노산 유사체 및 아미노산 모방체를 나타낸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은 유전자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것뿐만 아니라, 나중에 변형되는 아미노산,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롤린, 감마-카복시글루타메이트, 및 O-포스포세린이다. 아미노산 유사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과 동일한 기본적인 화학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 수소, 카복실기, 아미노기, 및 R 기에 결합된 α- 탄소, 예를 들어, 호모세린, 노르류신, 메티오닌 술폭시드, 메티오닌 메틸 술포늄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사체는 변형된 R 기 (예를 들어, 노르류신) 또는 변형된 펩티드 백본을 가지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과 동일한 기본적인 화학 구조를 가진다. 아미노산 모방체는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와 다른 구조를 가지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단일 문자는 당해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식된 아미노산 기호에 따라 사용된다, 예를 들어, A는 알라닌을 의미하며, C는 시스테인 등을 의미한다. 아미노산은 원래의 아미노산 (위치 전)에서 변경된 아미노산 (위치 후)으로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관련 위치 전후에 단일 문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A19T는 위치 19에서의 아미노산 알라닌이 트레오닌으로 변경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종양"은 악성이든 또는 양성이든, 모든 신생 세포(neoplastic cell) 성장 및 증식, 및 모든 전-암성(pre-cancerous) 및 암성 (cancerous) 세포 및 조직을 나타낸다. 용어 "암", "암성", "세포 증식성 장애", "증식성 장애" 및 "종양"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용어 "암", "신생물(neoplasm)" 및 "종양"은 이들이 세포 증식에 대한 상당한 통제 상실(loss of control)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성장 표현형을 나타내도록, 자율적이며 비조절된 성장을 나타내는 세포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통용된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에서 검출, 분석, 분류 또는 치료를 위한 관심 세포는 전-암성 (예를 들어, 양성), 악성, 전-전이성(pre-metastatic), 및 비-전이성 (non-metastatic) 세포를 포함한다.
용어 "원발성 종양"은 악성이든 또는 양성이든, 모든 신생 세포 성장 및 증식, 및 자율적이며 비조절된 세포 성장이 개시된 해부학적 부위에 위치한 모든 전-암성 및 암성 세포 및 조직, 예를 들어 원래의 암성 종양의 장기(organ)를 나타낸다. 원발성 종양은 전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암의 "병리학"은 환자의 건강을 손상시키는 모든 현상을 포함한다. 이것은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제어할 수 없는 세포 성장, 원발성 종양 성장 및 형성, 전이, 주변 세포(neighboring cells)의 정상적인 기능과의 간섭, 비정상적인 수준의 사이토카인 또는 기타 분비물의 방출, 염증 또는 면역 반응의 억제 또는 악화, 신생물 (neoplasia), 전암성, 악성종양, 림프절과 같은 주위(surrounding) 또는 먼 (distant) 조직 또는 장기의 침습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 재발" 및 "종양 재발" 및 이의 문법적 변형은, 암의 진단 후 신생 세포 또는 암성 세포의 추가 성장을 나타낸다. 특히, 암성 조직에서 추가의 암성 세포 성장이 발생할 때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종양 확산(Tumor spread)"은 종양 세포가 국소 또는 먼 조직 및 장기로 전파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종양 확산은 종양 전이를 포함한다. "종양 침습"은 종양 성장이 국소적으로 확산하여 정상적인 장기 기능의 압박, 파괴, 또는 예방에 의해 관련된 조직의 기능을 손상시킬 때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이"는 장기 또는 신체 부분에서 암성 종양의 성장을 나타내며, 이는 원래의 암성 종양의 장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전이는 미세전이(micrometastasis)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는 원래의 암성 종양의 장기 (예를 들어, 원발성 종양을 함유하는 장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장기 또는 신체 부분에서 검출할 수 없는 양의 암성 세포의 존재이다. 또한, 전이는 여러 단계의 과정, 예를 들어 원래의 종양 부위 (예를 들어, 원발성 종양 부위)로부터 암 세포의 이탈 및 암 세포의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의 이동 및/또는 침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암의 특성에 따라, 적당한 환자 시료가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구 "암성 조직 시료"는 암성 종양으로부터 얻은 임의의 세포를 나타낸다. 전이되지 않은 고형 종양 (예를 들어, 원발성 종양)의 경우, 외과적으로 제거된 종양으로부터의 조직 시료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법에 의한 시험을 위해 얻어지고 제조될 것이다.
"초기 암" 또는 "초기 종양"은 침습성 또는 전이성이 아니거나 또는 0기, 1기, 또는 2기 암으로 분류되는 암을 의미한다. 암의 예는 암종, 림프종, 모세포종(blastoma)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및 망막모세포종 (retinoblastoma) 포함), 육종 (지방육종(liposarcoma) 및 윤활막 세포 육종 (synovial cell sarcoma) 포함), 신경내분비 종양(neuroendocrine tumors) (카르시노이드 종양(carcinoid tumors), 가스트린종(gastrinoma), 및 도세포 암(islet cell cancer) 포함), 중피종(mesothelioma), 신경초종(schwannoma) (청신경종 (acoustic neuroma) 포함), 수막종(meningioma), 선암종(adenocarcinoma), 흑색종(melanoma), 및 백혈병 또는 악성 림프종(lymphoid malignancies)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암의 더 구체적인 예는 방광암 (예를 들어, 요로상피성 방광암 (예를 들어, 이행 세포(transitional cell) 또는 요로상피 암종,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 근육-침습성 방광암, 및 전이성 방광암) 및 비-요로상피성 방광암), 편평 세포암 (예를 들어, 상피성 편평 세포암), 소세포 폐암 (SCLC), 비-소세포 폐암 (NSCLC), 폐의 선암종 및 폐의 편평 암종을 포함하는 폐암, 복막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ncer), 위장암을 포함하는 위장 또는 위암, 췌장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간종양(hepatoma), 유방암 (전이성 유방암 포함), 대장암, 직장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침샘 암종, 신장암 또는 신암, 전립선암, 외음부암(vulval cancer), 갑상선암, 간 암종, 항문 암종(anal carcinoma), 음경 암종, 메르켈(Merkel) 세포암, 균상 식육종 (mycoses fungoids), 고환암, 식도암, 담도 종양, 및 두경부암 및 혈액학적 악성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하기 위한 관심 종양은 고형 종양, 예를 들어 암종, 신경교종, 흑색종, 육종 등을 포함한다. 난소암 및 유방암이 특히 관심있다. 암종은 다양한 선암종, 예를 들어 전립선, 폐 등; 부신피질 암종(adernocartical carcinoma); 간세포 암종; 신세포 암종, 난소 암종, 제자리 암종(carcinoma in situ), 관 암종(ductal carcinoma), 유방 암종, 기저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이행 세포 암종; 대장 암종; 비인두 암종(nasopharyngeal carcinoma); 다방성 낭성 신세포 암종(multilocular cystic renal cell carcinoma); 귀리 세포 암종(oat cell carcinoma), 대세포 폐 암종(large cell lung carcinoma); 소세포 폐 암종 등을 포함한다. 암종은 전립선, 췌장, 대장, 뇌 (예를 들어, 교모세포종), 폐, 유방, 피부 등에서 확인될 수 있다. 연조직 종양의 지정에는 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 조직구(histiocytes), 혈관 세포/내피 세포 및 신경초 세포(nerve sheath cells)로부터 유래된 신생물이 포함된다.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종양은 육종; 조직구종(histiocytomas); 섬유종(fibromas); 골격 연골육종; 골격외 점액성 연골육종(extraskeletal myxoid chondrosarcoma); 투명 세포 육종(clear cell sarcoma); 섬유육종(fibrosarcomas) 등을 포함한다. 혈액암은 백혈병 및 림프종, 예를 들어, 피부 T 세포 림프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비-호지킨 림프종 (NHL) 등을 포함한다.
"내성 또는 난치성 암"은 예를 들어 화학요법, 수술, 방사선 요법, 줄기 세포 이식, 및 면역요법을 포함하여, 이전의 항암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종양 세포 또는 암을 나타낸다. 종양 세포는 치료 초기에 내성 또는 난치성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은 치료 중에 내성 또는 난치성이 될 수 있다. 난치성 종양 세포는 치료 시작 시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초기에 짧은 기간 동안 반응하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종양을 포함한다. 또한, 난치성 종양 세포는 항암 요법을 이용한 치료에 반응하나 후속 요법에는 반응하지 않는 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난치성 종양 세포는 항암 요법을 이용한 치료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보이나 치료가 중단된 후 최대 5년, 때로는 최대 10년 이상 재발하는 종양도 포함한다. 항암 요법은 화학요법제 단독, 방사선 단독, 표적 요법 단독, 수술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제한 없이 기재의 편의를 위해, 난치성 종양 세포는 내성 종양 세포와 상호교환가능함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표준 요법에 대해 내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화학내성 암(chemoresistant cancer)이다. 일 실시예에서, 암은 백금 내성 암이다.
"종양 면역"은 종양이 면역 인식 및 제거(clearance)를 회피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적 개념으로서, 이러한 회피가 약화될 때 종양 면역이 "치료"되며, 종양이 면역계에 의해 인식되고 공격받는다. 종양 인식의 예는 종양 결합, 종양 수축 및 종양 제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료"는 예를 들어 물리적, 생화학적, 화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특징지워질 및/또는 확인될 세포 및/또는 다른 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관심 피험자 및/또는 개체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유래되는 조성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구 "질환 시료" 및 이의 변형은 특징지워질 세포 및/또는 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예상되거나 또는 알려진 관심 피험자로부터 얻은 임의의 시료를 나타낸다. 시료는 조직 시료, 1차 또는 배양된 세포 또는 세포주, 세포 상청액, 세포 용해물, 혈소판, 혈청, 혈장, 유리체액(vitreous fluid), 림프액, 활액(synovial fluid), 여포액(follicular fluid), 정액(seminal fluid), 양수(amniotic fluid), 우유, 전혈, 혈액-유래 세포, 소변, 뇌척수액, 침, 가래(sputum), 눈물, 땀, 점액, 종양 용해물, 및 조직 배양 배지, 균질화된 조직과 같은 조직 추출물, 종양 조직, 세포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직 시료" 또는 "세포 시료"는 피험자 또는 개체의 조직으로부터 얻은 유사한 세포의 수집물(collection)을 의미한다. 조직 또는 세포 시료의 공급원은 신선한, 냉동된 및/또는 보존된 장기, 조직 시료, 생검 및/또는 흡인물(aspirate)로부터의 고형 조직; 혈액 또는 혈장과 같은 임의의 혈액 성분; 뇌척수액, 양수, 복막액 또는 간질액과 같은 체액; 피험자의 잠복기(gestation) 또는 발달 중 어느 시점의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조직 시료는 1차 또는 배양된 세포 또는 세포주일 수 있다. 임의로, 조직 또는 세포 시료는 질환 조직/장기로부터 얻어진다. 예를 들어, "종양 시료"는 종양 또는 다른 암성 조직으로부터 얻은 조직 시료이다. 조직 시료는 혼합된 세포 유형의 집단 (예를 들어, 종양 세포 및 비-종양 세포, 암성 세포 및 비-암성 세포)을 함유할 수 있다. 조직 시료는 보존제, 항응고제, 완충제, 고정제(fixatives), 영양제, 항생제 등과 같은 사실상 조직과 자연적으로 혼합되지 않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용어 "검출"은 직접 및 간접 검출을 포함한 모든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바이오마커"는 시료에서 검출될 수 있는 지표, 예를 들어, 예측, 진단 및/또는 예후를 나타낸다. 바이오마커는 특정한 분자적, 병리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임상적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의 특정 하위유형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오마커는 유전자이다. 바이오마커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DNA 및/또는 RNA), 폴리뉴클레오티드 복제 수 변경 (예를 들어, DNA 복제 수), 폴리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폴리뉴클레오티드 변형 (예를 들어, 번역-후 변형), 탄수화물 및/또는 당지질-기반 분자 마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프린B2 발현을 바이오마커로 평가할 때, 에프린B2 발현은 막 신호를 나타내는 세포의 1% 이상에서 양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는 유익한 또는 원하는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익한 또는 원하는 임상 결과는 하나 이상의 증상의 완화; 질환 정도의 감소; 질환의 확산 (예를 들어, 전이, 예를 들어 폐 또는 림프절로의 전이)의 예방 또는 지연; 질환의 재발 방지 또는 지연; 질환 진행의 안정화, 지연 또는 감속; 질환 상태의 개선; 관해(remission)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및 삶의 질 향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는 증식성 질환의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치료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고려한다.
"치료하는"은 감소(abatement); 관해; 증상의 감소 또는 질환 상태를 환자에게 더 견딜 수 있게 하는 것; 퇴화(degeneration) 또는 쇠퇴 속도의 둔화; 또는 퇴화의 최종 지점을 덜 쇠약하게 만드는 것과 같은 임의의 객관적 또는 주관적 매개변수를 포함하여, 암의 치료 또는 개선 또는 예방에서 성공의 모든 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은 의사에 의한 검사 결과를 포함하여 객관적 또는 주관적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치료하는"은 증상 또는 상태의 발생을 예방 또는 지연, 완화, 또는 저지 또는 저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용어 "치료 효과"는 피험자에서 질환, 질환의 증상, 또는 질환의 부작용의 감소, 제거 또는 예방을 나타낸다.
문구 "상승 효과"는 유효성분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은 효과의 합보다 유효성분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얻어지는 효과가 더 큰 것을 나타낸다.
"지속적 반응(sustained response)"은 치료의 중단 후 종양 성장의 감소에 대한 지속적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종양 크기는 투여 단계 초기의 크기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속적 반응은 치료 기간과 적어도 동일한 기간, 치료 기간의 적어도 1.5배, 2.0배, 2.5배 또는 3.0배의 기간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암 재발의 감소 또는 저해"는 종양 또는 암 재발 또는 종양 또는 암 진행을 감소 또는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암 재발 및/또는 암 진행은 암 전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완전 반응" 또는 "CR"은 모든 표적 병변의 소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부분 반응" 또는 "PR"은 기준선 SLD를 기준으로 하여, 표적 병변의 최장 직경 (SLD)의 합의 적어도 30% 감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안정 질환" 또는 "SD"는 치료 시작 이후 가장 작은 SLD를 기준으로 하여, PR에 적합하도록 표적 병변의 충분한 수축도 PD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증가도 아닌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진행성 질환" 또는 "PD"는 치료 시작 이후 기록된 가장 작은 SLD 또는 하나 이상의 새로운 병변의 존재를 기준으로 하여, 표적 병변의 SLD의 적어도 20% 증가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PFS)"은 치료되는 질환 (예를 들어, 암)이 악화되지 않는 치료 동안 및 치료 후의 기간을 나타낸다. 무진행 생존기간은 환자가 완전 반응 또는 부분 반응을 경험한 시간, 및 환자가 안정 질환을 경험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체 반응률" 또는 "객관적 반응률 (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완전 반응 (CR) 률과 부분 반응 (PR) 률의 합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은 특정 기간 이후 생존할 가능성이 있는 군 내 개체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 ("에프린B2/EphB4 저해제")를 사용하여 수용체 또는 리간드 결합 또는 신호전달에 대한 in vitroin vivo 분석을 이용하여 각각 확인된 저해 분자, 활성 분자, 또는 조절 분자, 예를 들어, 리간드, 수용체, 작용제, 길항제, 및 이들의 상동체(homologs) 및 모방체를 나타낸다.
원하는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에프린B2/EphB4 저해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서 숙주에게 투여하여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치료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경구, 국소, 비경구, 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복강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혈관내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정맥내 전달이 특히 관심있다. 도입 방식에 따라, 화합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 내 치료적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약 0.1-100 wt.%로 다양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과립, 정제, 환제(pills), 좌제, 캡슐, 현탁액, 연고 (salves), 로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 및 국소 용도에 적합한 의약품 등급의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및/또는 희석제는 치료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희석제는 수성 매질, 식물성 및 동물성 오일 및 지방을 포함한다. 안정제, 습윤제 및 유화제, 삼투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염 또는 적당한 pH 값을 확보하기 위한 완충제, 및 피부 침투 증진제는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부형제를 의미하고, 수의학적 용도 및 인간 약학 용도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고체, 액체, 반고체일 수 있으며,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경우 기체일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및 이의 문법적 변형은, 이들이 조성물, 담체, 희석제 및 시약을 나타내기 때문에 통용되며, 물질은 조성물의 투여를 금지하는 정도로 바람직하지 않은 생리학적 효과의 생성없이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투여량 단위"는 치료받을 특정 개체에 대한 단일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 이산 단위(discrete units)를 나타낸다. 각 단위는 필요한 약학적 담체와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들)을 생성하도록 계산된 미리결정된 양의 활성 화합물(들)을 함유할 수 있다. 투여량 단위 형태에 대한 사양은 (a) 활성 화합물(들)의 고유 특성 및 달성될 특정 치료 효과(들), 및 (b) 이러한 활성 화합물(들)을 혼합하는 기술에 내재된 제한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용어 "피험자", "개체" 및 "환자"는 치료를 위해 평가되고 및/또는 치료를 받는 포유류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통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유류는 인간이다. 따라서, 용어 "피험자", "개체" 및 "환자"는 암성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절제술 (수술)을 받았거나 또는 후보인 사람들을 포함하여, 난소 또는 전립선의 선암종, 유방암, 교모세포종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암을 가진 개체를 포함한다. 피험자는 인간일 수 있으나, 다른 포유류, 특히 인간 질환에 대한 실험실 모델로서 유용한 포유류, 예를 들어, 마우스, 랫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진단"은 본 명세서에서 분자 또는 병태(pathological state), 질환 또는 질병의 확인,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의 확인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치료적 유효량"은 유방암 또는 난소암을 치료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투여될 때 이러한 암의 치료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나타낸다.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선택된 sEphB4-HSA 폴리펩티드 또는 면역 자극 물질, 암의 병기, 환자의 연령, 체중 및/또는 건강 및 처방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예에서 적당한 양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확인될 수 있거나 또는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문구 "치료 효능을 결정하는" 및 이의 변형은 치료가 피험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치료 효능" 및 이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징후 또는 증상의 완화에 의해 표시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치료 효능"은 일반적으로 질환의 표준 또는 비-표준 치료와 관련된 독성의 징후 및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낼 수 있다. 치료 효능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적응증(indication) 및 질환 특이적이며, 치료가 환자에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지거나 또는 이용가능한 임의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효능의 증거는 질환 또는 적응증의 관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 효능은 환자의 삶의 질의 향상, 예측된 피험자 생존율의 증가, 우울증의 감소 또는 적응증의 재발률의 감소 (관해 시간의 증가)와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피험자의 전반적인 건강의 일반적인 개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참조, 예를 들어, Physicians' Desk Reference (2010).).
암 또는 종양의 경우, 유효량의 약물은 암세포의 수의 감소; 종양 크기의 감소; 말초 장기로의 암 세포 침윤의 저해 (즉, 어느 정도 늦추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단); 종양 전이의 저해 (즉, 어느 정도 늦추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단); 종양 성장의 어느 정도 저해; 및/또는 장애와 관련된 증상 중 하나 이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유효량은 1회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약물,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방적 또는 치료적 치료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임상적 상황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효량의 약물,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다른 약물,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과 함께 달성되거나 또는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효량"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하는 상황 속에서 고려될 수 있으며, 단일 제제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제제와 함께 바람직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달성되는 경우, 유효량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와 함께(in conjunction with)"는 다른 치료 방법에 더하여 하나의 치료 방법의 투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와 함께"는 개체에게 다른 치료 방법의 투여 전, 중, 또는 후에 하나의 치료 방법의 투여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병용 요법" 및 "조합물"은, 환자에게 제 1 치료제 및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화합물의 동시 투여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물은 비-동시적으로 투여된다. 조합하여 투여될 때, 각 성분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서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성분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그러나 시간적으로 충분히 가까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과 함께 알려진 암 치료 약물의 "동시 투여 (Concomitant administration)"는 알려진 약물 및 본 발명의 조성물 둘 다 치료 효과를 가질 시점에 약물 및 AXL 변이체의 투여를 의미한다. 이러한 동시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와 관련하여 약물의 동시 (, 동시에), 이전, 또는 이후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특정 약물 및 조성물에 대한 적당한 투여 시기, 순서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관관계가 있다" 또는 "~와 관련이 있다" 및 유사한 용어는, 결과가 숫자, 자료 세트 등을 포함하는 2개의 결과의 사례 사이의 통계적 연관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결과가 숫자를 포함할 때, 양의 상관관계 (본 명세서에서 "직접적인 상관관계"라고도 함)은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하나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의 상관관계 (본 명세서에서 "역 상관관계"라고도 함)은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하나는 감소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본 발명은 치료 효능을 평가하고 전이성 암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의사가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에프린B2 발현의 용도를 기재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준 요법이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거나, 재발을 야기하거나, 또는 암 및 관련 종양의 유형으로 인해 사용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험자가 현재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경우, 다수의 암의 치료를 위해, EphB4-에프린B2 저해제, 또는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체는 백금 내성 전이성 암을 앓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체는 이전에 백금 화학요법을 받지 않았거나, 또는 백금 화학요법을 받기에는 너무 건강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1차 요법으로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암 피험자를 진단하는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고 현재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및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요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프린B2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IHC), 면역형광, 유세포 분석기, 및 웨스턴 블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mRNA 발현 수준은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 (qPCR), 역전사 qPCR (RT-qPCR), RNA 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제자리 혼성화, 및 유전자 발현의 연속 분석 (SAG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시료, 혈액 시료, 혈청 시료, 혈장 시료, 뇌척수액 (CSF) 시료, 복수액 시료, 및 세포 배양 시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EphB4 - 에프린B2 저해제
유형 1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EphB4 및 막-국소화된 리간드 에프린B2는 양방향 신호전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 정방향 신호전달, 리간드 발현 세포에서 역방향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EphB4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가장 큰 계열에 속하며, 에프린B2 리간드와 상호작용 시 신경세포 이동(neuronal migration), 골 재형성(bone remodeling), 혈관신생, 암 진행, 및 전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asquale EB, Cell, 133:38-52, 2008). EphB4 및 에프린B2 발현은 출생 후 발달 초기에도 대부분의 성인 정상 조직에서 하향조절되지만, EphB4는 폐암, 방광암, 두경부암 및 췌장암을 포함한 여러 상피 암에서 과발현된다 (Ferguson BD, et el., Growth Factors, 32:202-6, 2014). 돌연변이체 Kras 및 PTEN의 상실을 포함한 종양유전자는 EphB4 발현을 유도한다. EphB4의 녹다운이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사로 이어지기 때문에, EphB4의 발현은 병기, 등급 및 생존과 상관관계가 있다. 리간드 에프린B2의 과발현 및 좋지 않은 결과와의 상관관계는 여러 암 유형에서 보고되었다. ICT는 종양 혈관 (및 종양)에서 에프린B2를 증가시키며, 높은 에프린B2는 면역 세포 모집을 방지하여 요법에 대한 내성을 방지한다.
EphB4-에프린B2 상호작용의 저해는 in vitro 및 ex-vivo에서 종양 세포 증식에 직접적인 저해 효과를 가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B2 경로 길항제 또는 작용제는 (i) 에프린 B2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가용성 폴리펩티드; (ii) EphB4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가용성 폴리펩티드; (iii) EphB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iv) 에프린 B2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v)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EphB4 전사체에 혼성화하고 세포에서 EphB4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핵산 화합물; 또는 (vi)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에프린B2 전사체에 혼성화하며 세포에서 에프린B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핵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 B2 경로 길항제는 에프린 B2와 EphB4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에프린 B2/EphB4 경로 길항제는 에프린 B2 또는 EphB4의 클러스터링을 저해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 B2 경로 길항제는 에프린 B2 또는 EphB4의 인산화를 저해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phB4-에프린 B2 경로 작용제는 에프린 B2 또는 EphB4의 키나제 활성을 자극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제제는 핵산 치료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핵산 치료제는 에프린B2 또는 EphB4를 표적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또는 siRNA이다.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전에 기재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US 7,381,410; US 7,862,816; US 7,977,463; US 8,063,183; US 8,273,858; US 8,975,377; US 8,981,062; US 9,533,026; 각각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됨). sEphB4-HSA는 123.3 kDa의 단일 이음매 없는(seamless) 단백질로 발현 시 알부민과 C-말단에서 융합된 가용성 EphB4 세포외 도메인으로 구성된 완전 인간 융합 단백질이다. sEphB4-HSA는 에프린B2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종양 모델에서 sEphB4-HSA의 예비 연구는 종양으로의 T 및 NK 세포 이동의 증가를 나타낸다. 이것은 종양 혈관에서 ICAM-1의 유도를 동반한다. ICAM-1은 T 및 NK 세포를 내피에 부착시킨 후 종양으로 세포를 이행(transmigration)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인테그린이다. 또한, sEphB4-HSA는 종양 세포 및 종양 혈관에서 EphB-에프린B2 상호작용을 차단함으로써 PI3K 신호전달의 하향조절을 나타낸다. sEphB4-HSA는 신호전달을 차단하며, 종양으로의 면역 세포 트래피킹을 촉진하고, PI3K 경로를 하향조절함으로써 종양 세포에서 생존 신호를 저해한다.
EphB4-에프린B2의 표적화는 임상 시험에서 살아남은 치료 전략을 나타낸다. 정상 조직에서 낮은 수준의 발현으로 인해, 독성이 최소 또는 전혀 없는 여러 임상 시험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 El-Khoueiry BG, et al., Eur J Cancer, 69, 2016). 암-관련 면역 반응에서 EphB4-에프린B2 상호작용을 암시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여러 보고서는 Eph/에프린 유전자 계열 구성원이 동맥경화증 및 상처 치유와 같은 염증 모델에서 면역 세포 과정을 조절함을 문서로 기록하였다 (Braun J,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1:297-305, 2011; Poitz DM, et al., Mol Immunol, 68:648-56, 2015; Yu G, et al., J Immunol, 171:106-14, 2003; Funk SD,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2:686-95, 2012). 또한, Eph-에프린 상호작용은 혈관벽 경내피 이동(blood vessel wall trans-endothelial migration), T 세포 주화성(chemotaxis), 활성화, 증식 및 아폽토시스, 및 골수 동양혈관(bone marrow sinusoids)에서 조혈 세포의 동원(mobilization)에 대한 단핵구 부착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에프린B2 ("EFNB2")의 mRNA 발현에 대해 TCGA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하였다. EFNB2의 발현은 코민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분석한 자료에 기초하여, 정상 조직에 비해 종양 조직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높은-EFNB2 발현은 생존이 낮은 방광 요로상피암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앙값 OS 23.19 대 44.28 개월). 또한, EFNB2 발현은 동일한 집단에서 감소된 무병 생존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백질 수준에서의 자료 검증은 남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폴리펩티드 제제는 EphB4 단백질 또는 에프린B2 단백질의 단량체 리간드 결합 부분, 또는 EphB4 또는 에프린B2에 결합하여 영향을 미치는 항체이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 제제는 에프린B2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EphB4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용성 EphB4 (sEphB4) 폴리펩티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EphB4 단백질의 구형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EphB4 또는 에프린B2 매개 기능을 저해하는 제제는 에프린B2 또는 EphB4를 표적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또는 siRNA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의 잔기 1-522와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 잔기 1-412와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 및 잔기 1-312와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구형 (G)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29-197), 및 임의로 추가 도메인, 예를 들어 시스테인-풍부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239-321), 제 1 피브로넥틴 유형 3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324-429) 및 제 2 피브로넥틴 유형 3 도메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434-526)을 포함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53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42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326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197, 29-197, 1-312, 29-132, 1-321, 29-321, 1-326, 29-326, 1-412, 29-412, 1-427, 29-427, 1-429, 29-429, 1-526, 29-526, 1-537 및 29-537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6-197, 16-312, 16-321, 16-326, 16-412, 16-427, 16-429, 16-526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에프린B2 결합 활성을 유지하면서 선행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90%, 및 임의로 95%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서열로부터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임의의 변화는 특히 표면 루프 영역에서 1, 2, 3, 4 또는 5 이하의 아미노산의 보존적 변화 또는 결실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용성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Fc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하거나 또는 다른 다량체화 도메인과의 융합에 의해 다량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에프린B2 결합 활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증가된 혈청 반감기를 부여하는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단량체이며, 하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 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단일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기에 공유 결합된다 (이하 "sEphB4-PEG").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2, 3 또는 그 이상의 PEG 기에 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PEG는 약 1 kDa 내지 약 100 kDa, 약 10 내지 약 60 kDa, 및 약 10 내지 약 4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PEG 기는 선형 PEG 또는 분지형 PEG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용성, 단량체 sEphB4 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sEphB4 리신의 s-아미노 기 또는 N-말단 아미노 기를 통해 약 10 내지 약 40 kDa (모노페길화 EphB4), 또는 약 15 내지 30 kDa의 하나의 PEG 기에 공유 결합된 sEphB4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는 sEphB4 리신의 s-아미노 기 및 N-말단 아미노 기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의 아미노 기에서 무작위로 페길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에프린B2 결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개선된 반감기를 부여하는 제 2 안정화 폴리펩티드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화 폴리펩티드는 인간 환자 (또는 수의학적 용도가 고려되는 경우, 동물 환자)와 면역적합성이며, 유의한 생물학적 활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이하 "sEphB4-HSA") 및 소 혈청 알부민 (BSA) (이하 "sEphB4-B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부민과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결합은 인간 혈청 알부민과의 공동-번역(co-translational) 융합으로서 sEphB4 폴리펩티드의 발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알부민 서열은 sEphB4 폴리펩티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비-파괴적(non-disruptive) 내부 위치에서 융합될 수 있다. sEphB4의 노출된 루프는 알부민 서열의 삽입을 위한 적당한 위치일 것이다. 또한, 알부민은 예를 들어 화학적 가교-결합에 의해 sEphB4 폴리펩티드에 번역 후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알부민 폴리펩티드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 융합체는 에프린B2 및 EphB4 사이의 상호작용, 에프린B2 또는 EphB4의 클러스터링, 에프린B2 또는 EphB4의 인산화,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저해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 융합체는 비변형된 야생형 폴리펩티드에 비해 in vivo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19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2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2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429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3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EphB4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신호전달을 차단하거나 또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siRNA, 및 CRISPR/CAS와 같은 유전자 편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Eph 수용체와 에프린B2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분자와의 융합 단백질로 발현함으로써, 다량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암에서 에프린 리간드 및/또는 Eph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핵산 치료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핵산 치료제" 또는 "핵산 제제" 또는 "핵산 화합물"은 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며 표적 유전자에 원하는 효과를 갖는 모든 핵산-기반 화합물을 나타낸다. 사용이 고려되는 핵산 치료제의 예는 안티센스 핵산, dsRNA, siRNA, 및 효소 핵산 화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안티센스 핵산에 관한 것이다. "안티센스 핵산"은 RNA-RNA, RNA-DNA 또는 RNA-PNA (단백질 핵산) 상호작용을 통해 표적 핵산에 결합하며 표적 핵산의 활성을 변화시키는 비-효소적 핵산 화합물을 의미한다 (검토를 위해, 참조 Stein and Cheng, 1993 Science 261, 1004 and Woolf et al., U.S. 특허 번호 제 5,849,902호). 일반적으로, 안티센스 분자는 안티센스 분자의 단일 연속 서열을 따라 표적 서열에 상보적이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안티센스 분자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루프를 형성하는 기질 핵산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안티센스 분자는 2 (또는 그 이상)의 비-연속 기질 서열에 상보적일 수 있거나, 또는 안티센스 분자의 2 (또는 그 이상)의 비-연속 서열 부분이 표적 서열, 또는 둘 다에 상보적일 수 있다. 현재의 안티센스 전략의 검토를 위해, 참조, 예를 들어, Schmajuk et al., 1999, J. Biol. Chem., 274:21783-21789; Delihas et al., 1997, Nature, 15:751-753; Stein et al., 1997, Antisense N. A. Drug Dev., 7:151; Crooke, 2000, Methods Enzymol., 313:3-45; and Crooke, 1998, Biotech. Genet. Eng. Rev., 15:121-157.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안티센스 핵산은 예를 들어, 세포에서 전사될 때 에프린 B2 또는 EphB4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세포 mRNA의 적어도 고유 부분 (unique portion)에 상보적인 RNA를 생성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로서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조체는 ex vivo에서 생성되며 세포 내로 도입될 때 에프린 B2 또는 EphB4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mRNA 및/또는 게놈 서열과 혼성화하여 발현의 저해를 야기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는 임의로 내인성 뉴클레아제, 예를 들어, 엑소뉴클레아제 및/또는 엔도뉴클레아제에 대해 내성이 있으며 따라서 in vivo에서 안정한 변형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핵산 화합물은 DNA의 포스포라미데이트, 포스포티오에이트 및 메틸포스포네이트 유사체이다 (참조, U.S. 특허 번호 5,176,996; 5,264,564; 및 5,256,775). 또한, 핵산 요법에 유용한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van der Krol et al., (1988) Biotechniques 6:958-976; and Stein et al., (1988) Cancer Res 48:2659-2668]에 의해 검토되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중 가닥 RNA (dsRNA) 및 RNAi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dsRNA"는 siRNA를 포함하여 RNA 간섭 (RNAi)이 가능한 이중 가닥 RNA 분자를 나타낸다 (참조, 예를 들어, Bass, 2001, Nature, 411:428-429; Elbashir et al., 2001, Nature, 411:494-498; and Kreutzer et al., PCT 공개 번호 WO 00/44895; Zernicka-Goetz et al., PCT 공개 번호 WO 01/36646; and Li et al., PCT 공개 번호 WO 00/44914). 또한, RNAi는 이중-가닥 RNA (dsRNA)가 특이적이며 전사-후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을 차단하는 식물 및 벌레에서 관찰되는 현상에 처음 적용되는 용어이다. RNAi는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짧은 간섭 RNA", "siRNA" 또는 "짧은 간섭 핵산"은 세포가 적당하게 처리될 때 RNAi 또는 유전자 침묵을 매개할 수 있는 임의의 핵산 화합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iRNA는 자기-상보적인 센스 및 안티센스 영역을 포함하는 이중-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일 수 있으며, 여기서 안티센스 영역은 표적 핵산 화합물 (예를 들어, 에프린 B2 또는 EphB4)에 대한 상보성을 포함한다. siRNA는 자기-상보적인 센스 및 안티센스 영역을 갖는 단일-가닥 헤어핀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안티센스 영역은 표적 핵산 화합물에 대한 상보성을 포함한다. siRNA는 2 이상의 루프 구조 및 자기-상보적인 센스 및 안티센스 영역을 포함하는 줄기를 갖는 원형 단일-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안티센스 영역은 표적 핵산 화합물에 대한 상보성을 포함하고, 원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in vivo 또는 in vitro에서 처리되어 RNAi를 매개할 수 있는 활성 siRN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siRNA는 표적 핵산 화합물에 대해 상보성을 갖는 단일 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일 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포스페이트 (참조, 예를 들어, Martinez et al., 2002, Cell., 110, 563-574) 또는 5',3'-디포스페이트와 같은 말단 포스페이트 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은 EphB4 단일클론 항체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뿐만 아니라 EphB4에 대한 다수의 단일클론 항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항체는 많은 방법으로, 예를 들어, EphB4와 이의 리간드 (예를 들어, 에프린 B2)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능력, EphB4 수용체의 이량체화 또는 다량체화를 저해하는 능력, EphB4의 티로신 인산화를 유도하는 능력, 다른 Eph 계열 구성원과의 교차-반응성, 혈관신생을 저해하는 능력, 및 종양 성장을 저해하는 능력으로 더 특징지어졌다. 또한, 에피토프 매핑(mapping) 연구는 이러한 EphB4 항체가 EphB4의 하나 이상의 영역 (예를 들어, 구형 도메인, 시스테인-풍부 도메인, 또는 피브로넥틴 유형 III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phB4 항체는 피브로넥틴 유형 3 도메인 모두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예를 들어, US 20050249736, US 20090196880, US 8,273,858, US 8,981,062 및 US 8,975,377에 기재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의 sEphB4-HSA 폴리펩티드의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발성 또는 전이성 암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유효량은 투여 방법, 표적 부위, 환자의 생리학적 상태, 환자가 인간인지 또는 동물인지 여부, 투여된 기타 약물, 및 치료가 예방적인지 또는 치료적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많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인간이나, 형질전환 포유류를 포함한 비인간 포유류도 치료할 수 있다. 안전성 및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치료 용량을 적정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투여량은 숙주 체중의 약 0.0001 내지 100 mg/kg, 보다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mg/kg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여량은 1 mg/kg 체중 또는 10 mg/kg 체중 또는 1-10 mg/kg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폴리펩티드의 투여량은 약 0.5,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및 약 10.0 mg/k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치료 요법은 2주에 1회 또는 1개월에 1회 또는 3 내지 6개월에 1회 투여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일반적으로 여러 번 투여된다. 단회 투여량 사이의 간격은 매주, 격주, 매월 또는 매년일 수 있다. 간격은 환자에서 치료 물질의 혈액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표시된 대로 불규칙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서방형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덜 빈번한 투여가 요구된다. 투여량 및 빈도는 환자에서 폴리펩티드의 반감기에 따라 변한다.
면역 자극 약물
다수의 면역-관문 단백질 항원은, 예를 들어, SIRP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됨), CD47 (종양 세포 및 기타 세포 유형에서 고도로 발현됨), VISTA (단핵구, 수지상 세포, B 세포, T 세포에서 발현됨), TIGIT (일부 T 세포 및 자연 살해 세포에 존재하는 면역 수용체), CD152 (활성화된 CD8+ T 세포, CD4+ T 세포 및 조절 T 세포에 의해 발현됨), CD279 (종양 침윤 림프구에서 발현됨, 활성화된 T 세포 (CD4 및 CD8 둘 다), 조절 T 세포, 활성화된 B 세포, 활성화된 NK 세포, 아네르기성 T 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 의해 발현됨), CD274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혈관 내피 세포, 췌도 세포에서 발현됨), 및 CD223 (활성화된 T 세포, 조절 T 세포, 아네르기성 T 세포, NK 세포, NKT 세포 및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에 의해 발현됨)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Pardoll, D., Nature Reviews Cancer, 12:252-264, 2012). LAG3, TIM3, TIGIT, OX40 리간드, 인터페론, 및 IL-2.
면역-관문 단백질로 결정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항-CD276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20294796호 (Johnson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CD272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40017255호 (Mataraza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CD152/CTLA-4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30136749호 (Korman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LAG-3/CD223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10150892호 (Thudium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CD279 (PD-1)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번호 제 7,488,802호 (Collins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PD-L1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30122014호 (Korman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다양한 항-TIM-3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40044728호 (Takayanagi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및 다양한 항-B7-H4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공개 번호 제 20110085970호 (Terrett et al)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고문헌). 이들 참고문헌 각각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특정 항체 및 서열에 대해 전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면역 관문 저해제 표적화제는 염증 징후를 발현하며 일반적으로 "뜨거운 종양(hot tumors)"이라고 하는 상주 면역 세포(resident immune cells)를 함유하는 종양 환자에서 효과적이다. 면역 세포가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종양 (차가운 종양(cold tumors))은 반응할 가능성이 낮거나 또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면역 관문 PD-1 및 CTLA 저해제는 인터페론 감마 징후를 발현하며, 종양 침윤 면역 세포에서 풍부하고, PD-L1을 발현하는 여러 암에 효과적이다. 종양 혈관은 면역 세포가 종양으로 나가는 것을 조절하므로, 종양 혈관 조절은 종양 환경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PD-1 수용체-리간드 상호작용은 면역 조절을 억제하기 위해 종양에 의해 납치되는 주요 경로이다. 건강한 조건 하에서 활성화된 T-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PD-1의 정상적인 기능은, 자가면역 반응을 포함하여 원치 않거나 또는 과도한 면역 반응을 하향-조절하는 것이다. PD-1에 대한 리간드 (PD-L1 및 PD-L2)는 구성적으로 발현되거나 또는 비-조혈 조직 및 다양한 종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유도될 수 있다. PD-1 리간드 중 하나의 PD-1에 대한 결합은 T-세포 수용체를 통해 유발하는 T-세포 활성화를 저해한다. PD-1은 흑색종 (MEL) 피험자에서 종양-특이적 T-세포 확장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PD-1/PD-L1 경로가 종양 면역 회피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료 개입을 위한 매력적인 표적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펨브롤리주맙 (KEYTRUDA®)은 PD-1과 이의 리간드인 PD-L1 및 PD-L2 사이의 상호작용을 직접 차단하도록 설계된 IgG4/카파 동형(isotype)의 강력하고 고도로 선택적인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 (mAb)이다. 미국 식품의약국 (FDA)은 진행성 형태의 두경부암이 있는 일부 환자의 치료를 위해, 2016년 8월 5일에 KEYTRUDA®를 승인하였다. 승인은 화학요법을 이용한 치료 기준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되는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C) 환자를 위한 것이다. KEYTRUDA®는 최근 이필루무맙 및 BRAF V600 돌연변이 양성인 경우 BRAF 저해제 후 절제 불가능하거나 또는 전이성 흑색종 및 질환 진행 환자의 치료를 위해 미국에서 승인되었다.
니볼루맙 (OPDIVO®)은 관문 저해제로 작용하는 인간 IgG4 항-PD-1 단일클론 항체로, 활성화된 T 세포가 암을 공격하는 것을 막는 신호를 차단하여 면역계가 암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OPDIVO®는 암이 BRAF에서 돌연변이를 갖지 않는 경우이필리무맙으로 치료 후 2차 치료제로 이필리무맙과 조합하여, 및 암이 BRAF에서 돌연변이를 갖는 경우 편평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2차 치료제 및 신세포 암종에 대한 2차 치료제로 BRAF 저해제와 조합하여 수술 불가능한(inoperable) 또는 전이성 흑색종에 대한 1차 치료제로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병용 요법 방법에서 사용된 PD-1 저해제는 니볼루맙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약물은행 09035; 약물은행 06132), 펨브롤리주맙 (머크)(약물은행 09037) 및 피딜리주맙 (메디베이션)(약물은행 1538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CTLA-4 저해제는 이필리무맙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약물은행 06186) 및 트레멜리무맙 (메드이뮨)(약물은행 1177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간 80,470건의 발병률을 갖는 요로상피 암종은 연간 17,670명의 사망을 야기하며, 미국에서 심각한 건강 문제로 남아 있다 (Siegel RL, et al., Cancer J Clin. 2019;69(1):7-34, 2019). 치료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존기간 중앙값은 ~4.5 개월이다. 세포독성 화학요법으로 치료하면, 생존기간은 ~15%의 ORR 및 3-3.5 개월의 PFS와 함께 ~7.5 개월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세포독성 화학요법은 상당한 독성을 야기한다. 병용 세포독성 화학요법은 생존의 개선 없이 완만하게 개선된 반응률을 야기하나, 독성을 악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면역요법의 출현 전에,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전이성 요로상피 환자의 경우, 단일요법이 병용 요법보다 선호되었다. US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일 제제는 젬시타빈, 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을 포함하였다.
전이성 환경에서, 일선 환경에서의 치료 기준은 2000년 이후로 변경되지 않았으며 시스플라틴-계 화학요법으로 남아 있다. 빈플루닌(vinflunine) (ORR 18%, OS 6.6 개월), 젬시타빈 (ORR 11%, OS 8.7 개월), 페메트렉시드(pemetrexed) (ORR 28%, OS 9.6 개월), 파클리탁셀 (ORR 10%, OS 7.2 개월)과 같은 다수의 단일 제제 및 파클리탁셀과 메토트렉세이트 (ORR 32%, OS 5 개월) 또는 젬시타빈 (ORR 47%, OS 7.5 개월) 또는 도세탁셀과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ORR 25%, OS 4 개월)와 같은 병용 요법이 1차 요법의 실패 후 연구되었다. 안전성 및 효능을 기준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는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및 카보플라틴이다. 반응률은 ~10-15%이며, 전체 생존기간은 6-9 개월이다. 병용 화학요법은 더 높은 반응률, 더 큰 독성을 야기하였으나, 생존율의 개선은 없었다 (Raggi D, et al., Ann Oncol. 27(1):49-61, 2016).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에게 생존 이점이 있는 보다 오래견디는(durable) 2차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항-PD1/PDL1 항체의 승인 이후였다. 예상된 생존기간 중앙값은 최대 10.3 개월이며 반응률은 21.1%로,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및 더발루맙 (durvalumab)을 포함한 5개의 상이한 약물이 임상 시험 중이다. 펨브롤리주맙은 이 환자 집단에 대해 승인되었으며, 10.3 개월의 전체 생존기간 (OS) 중앙값 (95% CI, 8-11.8), 2.1 개월의 전체 무진행 생존기간 (PFS) 중앙값 (95% CI, 2.0-2.2)을 갖는 소수의 환자에게만 효과적이고, 이 환자 집단에서 전체 반응률 (ORR)은 21.1% (95% CI, 16.4 내지 26.5)이며 완전 반응률은 7%이다.
간세포 암종 (HCC)은 세계의 특정 지역에서 가장 흔한 암이며, 전세계적으로 다섯 번째로 흔한 암이다. 전세계적으로, 남성에서 암 사망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며, 여성에서 암 사망의 여섯 번째 주요 원인이다 (참조, 예를 들어, Parkin D. M., Lancet Oncology, 2:533-43, 2001). HCC는 종종 임상 증상의 과정에서 늦게 진단되기 때문에, 환자의 10-15%만이 근치적 수술의 대상이 된다. 대부분의 HCC 환자의 경우, 전신 화학요법 또는 지지 요법(supportive therapies)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HCC는 요법에 대해 매우 난치성이며, 대부분의 화학요법제는 제한된 효과를 나타내고, 환자 생존을 개선시킬 수 없었다 (참조, 예를 들어, Gish R. G. et al., J. of Clinical Oncology 25:3069-75, 2007; Ramanathan R. K. et al., J. of Clinical Oncology 24:4010, 2006). 예정된 사멸 1 (PD-1) 항체 니볼루맙 (OPDIVO®)을 평가한 최근 연구는 약 10-20%의 반응률을 나타내었다. 반응 기간은 CR의 경우 14-17+ 개월, PR의 경우 < 1-8+ 개월, 안정 질환 (SD)의 경우 1.5-17+ 개월이었다. 6개월에서의 전체 생존기간 (OS) 비율은 72%이다. 니볼루맙은 다루기 쉬운(manageable) AE 프로파일을 나타내었으며, 양호한 6개월 OS 비율과 함께 모든 용량 수준 및 HCC 코호트에 걸쳐 지속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C)은 상부 호흡소화관 (upper aerodigestive tract, UADT)과 관련된 암의 거의 90%를 차지한다. 2005년 미국에서, 구강암, 인두암 및 후두암은 발생하는 암의 거의 3% 및 암 사망의 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전세계적으로 약 500,000건의 새로운 사례가 진단된다. 남성은 여성보다 2배 이상 영향을 받는다. 이 암의 절반 이상이 구강과 관련이 있다. 나머지는 후두와 인두에 균등하게 나누어져 있다. 수많은 임상 시험이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C)을 포함한 인간 암에서 면역요법의 이점을 시험하고 있다. 객관적 반응률은 6-20%이며 (Szturz P, et al., BMC Med, 15:110, 2017; Ferris RL, et al., Oral Oncol, 81:45-51, 2018; Postow MA, et al., J Clin Oncol, 33:1974-82, 2015; Chow LQM, et al., J Clin Oncol, 34:3838-45, 2016; Siu LL, et al., JAMA Oncol 2018), 대다수의 환자는 면역요법에 대해 선천 또는 후천 내성(adaptive resistance)을 나타낸다. 단순히 더 많은 면역 관문 저해제를 조합하려는 시도도 환자에 대한 독성 증가와 추가적인 이점의 부족으로 인해 실망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2205333). HNSCC의 정위 (orthotopic) 마우스 모델에서, 우리는 최근 항-PDL1 항체 및 방사선 요법 (RT)의 병용 치료 후에도 종양 재성장이 발생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7,8). Oweida A, et al., Clin Cancer Res, 2018; Messenheimer DJ, et al., Clin Cancer Res, 23:6165-77, 2017).
방사선 요법은 국소 진행성 HNSCCs 환자의 확정적 관리(definitive management)에서 치료 기준 치료로 남아 있으며, 면역요법을 위한 보조제로 작용할 수 있으나 RT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결국 면역요법제의 효능을 손상시킨다. RT는 말기 (복구(repair)) 단계에서 Tregs와 같은 면역억제 집단의 축적을 극복할 수 없다 (7). 따라서, RT와 상승작용을 하며 이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하는 다른 치료법을 찾는 것은 좋지않은 부작용, 치료 내성, 및 종양 재성장을 극복하는데 중요하다.
HNSCC의 5년 생존율은 낮으며, 수십 년 동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이 질환을 가진 환자는 미관손상(disfigurement), 말투(speech), 삼키기(swallowing) 및 호흡(breathing) 문제를 포함한 중증 이환율(severe morbidity)을 경험한다. 진단의 말기 및 재발 경향은 이러한 환자의 결과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방해하는 문제이다. 펨브롤리주맙은 PD-1과 이의 리간드인 PD-L1 및 PD-L2 사이의 상호작용을 직접 차단하도록 설계된 IgG4/카파 동형의 강력하고 고도로 선택적인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 (mAb)이다. 미국 식품의약국 (FDA)은 진행성 형태의 두경부암이 있는 일부 환자의 치료를 위해, 2016년 8월 5일에 펨브롤리주맙 (KEYTRUDA®)을 승인하였다. 승인은 화학요법을 이용한 치료 기준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되는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C) 환자를 위한 것이다. FDA 승인 요약에 따르면, 28명의 환자 (16%)가 펨브롤리주맙을 이용한 치료 후 종양 반응을 경험하였다. 이들 환자 중 23명 (82%)에서, 종양 반응은 6개월 이상 지속되었으며, 일부는 2년 이상 지속되었다. 종양이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HPV)에 대해 양성인 HNSCC 환자는 일반적으로 종양이 HPV 음성인 환자보다 화학요법을 이용한 치료 후 더 우수한 결과를 가진다. FDA 승인 요약에 따르면, HPV-양성 종양 환자 및 HPV-음성 종양 환자에서 반응이 나타났다 (각각 24% 및 16%).
비-소세포 폐암 (NSCLC)은 가장 흔한 유형의 폐암이다.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및 대세포 암종은 모두 NSCLC의 아형(subtypes)이다. NSCLC는 모든 폐암의 약 85%를 차지한다. 클래스로서, NSCLCs는 소세포 암종에 비해 화학요법에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화학요법이 수술 전 (신보조 화학요법(neoadjuvant chemotherapy)) 및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 둘 다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가능한 경우, 이들은 근치적 목적(curative intent)으로 외과적 절제에 의해 주로 치료된다. 2015년 10월 2일에, FDA는 종양이 PD-L1을 발현하며 다른 화학요법제로 치료에 실패한 환자에서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NSCLC)의 치료를 위해 펨브롤리주맙을 승인하였다. 2016년 10월에, 펨브롤리주맙은 암이 PDL1을 과발현하며 암이 EGFR 또는 ALK에서 돌연변이를 갖지 않는 경우 NSCLC 치료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최초의 면역요법이 되었다; 화학요법이 이미 투여된 경우, 펨브롤리주맙을 2차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암이 EGFR 또는 ALK 돌연변이를 갖는 경우 이들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제제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 PDL1의 평가는 검증되고 승인된 동반 진단(companion diagnostic)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Keynote-001 시험 (NTC01295827)에서, 펨브롤리주맙을 이용한 예정된 세포사 1 (PD-1) 저해의 효능 및 안전성을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평가하였다. 모든 환자 중에서, 객관적 반응률은 19.4% 이었으며, 반응 기간 중앙값은 12.5 개월이었다. 무진행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7 개월이었으며,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2.0 개월이었다. 종양 세포의 적어도 50%에서 PD-L1 발현은 훈련군(training group)에서 컷오프(cutoff)로 선택되었다. 검증군(validation group)에서 적어도 50%의 비율 점수를 갖는 환자 중에서, 반응률은 45.2% 이었다. 적어도 50%의 비율 점수를 갖는 모든 환자 중에서,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6.3 개월이었다;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도달하지 못하였다. 종양 세포의 적어도 50%에서 PD-L1 발현은 펨브롤리주맙의 개선된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Garon et al., N Engl J Med, 372:2018-2028, 2015).
전립선암은 남성에서 가장 흔한 비-피부 악성종양이며 서구 세계에서 암으로 인한 남성 사망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에 있는 비정상 세포의 조절되지 않는 성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일단 전립선암 종양이 발병하면,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안드로겐은 전립선암 종양 성장을 촉진한다. 이의 초기 병기에서, 국소화된 전립선암은 종종 예를 들어, 전립선의 외과적 제거 및 방사선 요법을 포함하여 국소 요법으로 치료된다. 그러나, 남성의 최대 3분의 1에서와 같이, 국소 요법으로 전립선암을 치료하지 못하면, 질환은 불치의 전이성 질환 (즉, 암이 신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퍼진 질환)으로 진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립선암"은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전립선 조직에서 발생하는 모든 병기 및 모든 형태의 암을 나타낸다. 용어 "전립선암"은 예를 들어, 전립선 선암종, 전립선 육종, 미분화 전립선암, 전립선 편평 세포 암종, 전립선 도관 이행 암종(prostatic ductal transitional carcinoma) 및 전립선 상피내 종양 (prost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과 같은, 전립선 조직에 위치한 모든 유형의 악성 (즉, 비-양성) 종양을 포함한다.
카포시 육종 (KS)은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8 (HHV-8)로도 알려진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 (KSHV) 감염과 가장 관련이 있는 혈관 내피의 다초점 혈관증식성 장애(multifocal angioproliferative disorder)이다. KS는 많은 역학적 (epidemiologic) 및 병태생리학적(pathophysiologic) 요인과 관련이 있다. KS는 4개의 다른 임상 유형으로 분류된다: 전형적인 지중해 KS, 아프리카-풍토성 (African-endemic) KS, 면역억제 약물-관련 KS, 및 HIV-관련 KS. HIV 및 AIDS 시대 이전의 희귀 질환인 HIV-관련 KS는 HIV 감염 환자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이다. KS는 많은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S는 피부 질환으로 가장 자주 나타난다. 많은 진행성 사례에서, KS는 폐, 간, 또는 위장관과 같은 장기를 포함한다. 이때, KS는 불치이다. 이용가능한 요법은 완화용이다. 전신 화학요법은 일반적으로 더 진행된 질환 또는 질환의 급속한 진행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치료의 주요 목표는 증상 완화, 질환 진행 예방, 및 림프부종, 장기 손상 및 심리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종양 크기의 감소이다. 내장(visceral) 또는 진행성 피부 KS에 대한 표준 요법은 리포좀 안트라사이클린 및 파클리탁셀과 같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포함한다. 리포좀 독소루비신은 비-리포좀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블레오마이신의 조합에 비해 우수한 효능 및 양호한 내약성(tolerability) 및 독성을 가지며, HIV 환자에서 59%의 전체 반응률을 가진다. 고전적인 KS에서, 리포좀 독소루비신에 대한 반응률은 더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완전 반응률은 드물고 치료법이 없다. 이 시점에서, KS에 대한 표적 요법은 완전히 개발되지 않았다.
2014년에, 미국에서 46,420명의 새로운 췌장암 사례가 진단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약 39,590명으로 추정된다. 외과적 절제가 유일한 잠재적인 치료 방법이지만, 환자의 15-20%만이 진단 시 상당한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절제 불가능한(unresectable),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췌장암에 대한 치료는 대체로 완화적이다. 젬시타빈 단일요법은 무작위 시험이 단일 제제 플루오로우라실과 비교하였을 때 약 1 개월의 생존기간 이점과 임상적 이점을 나타낸 후 진행성 췌장암의 치료에 대한 기준 요법으로 사용되었다.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췌장암에 대한 젬시타빈-계 요법과의 병용 요법은 더 빈번한 독성에도 불구하고 전체 생존기간 (OS)에 약간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메타-분석에서 나타났으며, 수행 상태 (performance status)가 좋은 환자에서 병용 요법으로 개선된 이점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 이러한 병용 요법 중 하나는 젬시타빈 + 알부민-결합 파클리탁셀 (nab-파클리탁셀)이다. 3 상 공개-표지 MPACT 시험에서, 861명의 환자를 1:1 비로 무작위 배정하여 젬시타빈 (체표면적 제곱미터당 1000 mg 또는 mg/m2) 단독 또는 젬시타빈 (1000 mg/m2) + nab-파클리탁셀 (125 mg/m2)을 정맥내 주입하였다. 병용군은 단일 제제군의 6.7 개월에 비해 8.5 개월의 증가된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을 가졌으나, 전자에서 더 높은 등급의 호중구감소증(neutropenia), 피로, 및 신경병증을 보였다. 병용군에서, 환자의 41%는 nab-파클리탁셀의 용량-감소가 있었으며, 47%는 젬시타빈의 용량-감소가 있었다. OS의 1.8 개월 증가때문에, 이 연구는 2013년 말기 췌장암의 치료를 위해 nab-파클리탁셀의 미국 식품의약국 (FDA) 승인을 이끌어내었다. 2015년에 발표된 MPACT 연구의 업데이트된 OS 분석은, 젬시타빈 단일요법군의 6.6 개월에 비해, nab-파클리탁셀 및 젬시타빈 병용군에서 8.7 개월의 더 긴 OS 중앙값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비-소세포 폐 암종 (NSCLC), 대장 암종, 전이성 요로상피암, 유방암, 간세포 암종 (HCC), 중피종, 췌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HNSCC), 카포시 육종,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항암 요법을 이용한 치료에 반응하였으나, 요법의 중단 시, 재발하였다 (이하 "재발성 증식성 질환").
다양한 실시예에서, 환자는 내성 또는 난치성 암을 가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면역요법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면역접합체, 항체-약물 접합체 (ADC), 또는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 및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분자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암은 예를 들어, 면역요법 치료,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료,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 면역접합체, ADC, 또는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 및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분자를 이용한 치료,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 수술을 이용한 치료,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 줄기 세포 이식을 이용한 치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병용 요법에 대해 난치성이다.
병용 요법
일 실시예에서, 피험자에서 암의 치료 방법 또는 암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은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 표적 요법, 수술, 세포감퇴 요법, 세포독성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요법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병용 요법은 상승적일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세포감퇴 요법이며, 조합은 세포감퇴 요법의 치료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포감퇴 요법은 DNA 복구 경로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포감퇴 요법은 방사선 요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은 상승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병용 요법은 항-증식성, 또는 세포감퇴 요법을 포함한다. 항-증식성, 또는 세포감퇴 요법은 숙주에서 종양 세포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치료적으로 사용되며, 이온화 방사선의 전달 및 화학요법제의 투여와 같은 요법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온화 방사선 (IR)은 치료를 받는 영역에서 세포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파괴하는 에너지를 침착시킴으로써 암 환자의 약 60%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종래의 용량 및 요법으로, 또는 감소된 용량으로 전달될 수 있다. 세포에 대한 방사선 손상은 비특이적이며, DNA에 복잡한 영향을 미친다. 요법의 효능은 정상 세포보다 더 큰 암 세포에 대한 세포 손상에 의존한다. 방사선 요법은 모든 유형의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요법의 일부 유형은 X-선 또는 감마선과 같은 광자를 포함한다. 암 세포에 방사선을 전달하는 또 다른 기법은 방사선량이 작은 영역에 집중되도록 방사성 임플란트를 종양 또는 체강에 직접 배치하는 내부 방사선 요법이다. 이온화 방사선의 적당한 선량은 적어도 약 2 Gy 내지 약 10 Gy 이하, 일반적으로 약 5 Gy의 범위일 수 있다. 자외선의 적당한 선량은 적어도 약 5 J/m2 내지 약 50 J/m2 이하, 일반적으로 약 10 J/m2의 범위일 수 있다. 시료는 자외선 조사 후 적어도 약 4시간 내지 약 72시간 이하, 일반적으로 약 4시간 동안 수집될 수 있다.
화학요법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합물 다우노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아나마이신, MEN 10755 등을 포함하는 안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용량 및 요법, 또는 감소된 용량 또는 요법에서 사용된다. 다른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는 포도필로톡신 유사체 에토포시드 및 테니포시드, 및 안트라센디온, 미톡산트론 및 암사크린을 포함한다. 다른 항-증식제는 미세소관 어셈블리 (microtubule assembly), 예를 들어, 빈카 알칼로이드 계열을 간섭한다. 빈카 알칼로이드의 예는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NAVELBINE); 빈데신; 빈돌린; 빈카민; 등을 포함한다. DNA-손상제는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알킬화제 등을 포함한다. 알킬화제는 질소 머스타드, 예를 들어,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 멜팔란 (L-사르코리신) 등; 및 니트로소우레아, 예를 들어, 카르무스틴 (BCNU), 로무스틴 (CCNU), 세무스틴 (메틸-CCNU), 스트렙토조신, 클로로조토신 등을 포함한다. 뉴클레오티드 유사체는 피리미딘, 예를 들어, 시타라빈 (CYTOSAR-U),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플루오로우라실 (5-FU), 플록수리딘 (FUdR) 등; 푸린, 예를 들어, 티오구아닌 (6-티오구아닌), 머캅토푸린 (6-MP), 펜토스타틴 등; 및 엽산 유사체,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10-프로파길-5,8-디데아자폴레이트 (PDDF, CB3717), 5,8-디데아자테트라히드로엽산 (DDATHF), 류코보린 (leucovorin) 등을 포함한다. 관심있는 기타 화학요법제는 금속 착물,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cis-DDP),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등; 우레아, 예를 들어, 히드록시우레아; 젬시타빈, 및 히드라진, 예를 들어, N-메틸히드라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화학요법제의 투여량은 약 10 mg/m2, 20 mg/m2, 30 mg/m2, 40 mg/m2, 50 mg/m2, 60 mg/m2, 75 mg/m2, 80 mg/m2, 90 mg/m2, 100 mg/m2, 120 mg/m2, 150 mg/m2, 175 mg/m2, 200 mg/m2, 210 mg/m2, 220 mg/m2, 230 mg/m2, 240 mg/m2, 250 mg/m2, 260 mg/m2, 및 300 mg/m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병용 요법은 면역요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면역요법"은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reviews by Blattman and Greenberg, Science, 305:200, 2004; Adams and Weiner, Nat Biotech, 23:1147, 2005; Vogal et al. J Clin Oncology, 20:719, 2002; Colombat et al., Blood, 97:101, 2001); 항체-약물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Ducry, Laurent (Ed.) Antibody Drug Conjugates.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Book 1045. New York (NY), Humana Press, 2013;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2, 259-260, April 2013); CTLA-4 (이필리무맙), PD-1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및 PD-L1 (BMS-936559; MPLD3280A; MEDI4736; MSB0010718C) (참조, 예를 들어, Philips and Atkins, International Immunology, 27(1); 39-46, Oct 2014), OX-40, CD137, GITR, LAG3, TIM-3, 및 VISTA (참조, 예를 들어, Sharon et al., Chin J Cancer., 33(9): 434-444, Sep 2014; Hodi et al., N Engl J Med, 2010; Topalian et al., N Engl J Med, 366:2443-54, 2012)와 같은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 블리나투모맙과 같은 이중특이적 T 세포 결합 항체 (BiTE®)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US 특허 번호 제 9,260,522호; US 특허 출원 번호 제 20140302037호); IL-2, IL-12, IL-15, IL-21, GM-CSF, IFN-α, IFN-β, 및 IFN-γ와 같은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참조, 예를 들어, Sutlu T et al.,, Journ of Internal Medicine, 266(2):154-181, 2009; Joshi S PNAS USA, 106(29):12097-12102, 2009; Li Y et al.,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7:11, 2009); 시풀류셀-T와 같은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Kantoff PW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3(5):411-422, 2010; Schlom J.,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104(8):599-613, 2012); 수지상 세포 백신을 이용한 치료,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예를 들어, T-VEC)을 이용한 치료; 종양 항원 펩티드 백신을 이용한 치료;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T 세포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Rosenberg SA Nature Reviews Cancer, 8(4):299-308, 2008; Porter DL et a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5(8):725-733, 2011; Grupp SA et a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8(16):1509-151, 2013; US 특허 번호 제 9,102,761호; US 특허 번호 제 9,101,584호); CAR-NK 세포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Glienke et al., Front Pharmacol, 6(21):1-7, Feb 2015); 종양 침윤 림프구 (TILs)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Wu et al, Cancer J., 18(2): 160-175, 2012); 입양 전달 항-종양 T 세포 (ex vivo 확장 및/또는 TCR 형질전환)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Wrzesinski et al., J Immunother, 33(1): 1-7, 2010); TALL-104 세포를 이용한 치료; 및 TLR(Toll-like receptor) 작용제 CpG 및 이미퀴모드(imiquimod)와 같은 면역자극제를 이용한 치료 (참조, 예를 들어, Krieg, Oncogene, 27:161-167, 2008; Lu, Front Immunol, 5(83):1-4, March 2014)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암 치료법을 나타낸다.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의 이용에 초점을 둔 면역요법이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참조, 예를 들어, reviews by Blattman and Greenberg, Science, 305:200, 2004; Adams and Weiner, Nat Biotech, 23:1147, 2005). 이러한 종양 항원-특이적 고갈 항체의 몇몇 예는 HERCEPTIN® (항-Her2/neu mAb)(Baselga et al., J Clin Oncology, Vol 14:737, 1996; Baselga et al., Cancer Research, 58:2825, 1998; Shak, Semin. Oncology, 26 (Suppl12):71, 1999; Vogal et al. J Clin Oncology, 20:719, 2002); 및 RITUXAN® (항-CD20 mAb)(Colombat et al., Blood, 97:101, 2001)이다. 불행하게도, 종양학 치료에서 분명히 족적을 남겼지만, 단일요법으로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개체의 약 30%에서만 작용하며 부분 반응을 보인다. 또한, 많은 개체들은 이러한 항체-함유 요법으로 치료한 후 결국 난치성이 되거나 또는 재발하게 된다.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광범위한 연구 및 임상 평가의 영역이었다. 정상적인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면역 관문은 자기-내성의 유지 (즉, 자가면역의 예방)에 중요하며, 면역계가 병원성 감염에 반응할 때 조직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종양이 특정 면역-관문 경로를 면역 내성의 주요 기전으로, 특히 종양 항원에 특이적인 T 세포에 대해 공동-채택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Pardoll DM., Nat Rev Cancer, 12:252-64, 2012). 따라서, CTLA-4 (이필리무맙), PD-1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및 PD-L1 (BMS-936559; MPLD3280A; MEDI4736; MSB0010718C) (참조, 예를 들어, Philips and Atkins, International Immunology, 27(1); 39-46, Oct 2014), 및 OX-40, CD137, GITR, LAG3, TIM-3, 및 VISTA (참조, 예를 들어, Sharon et al., Chin J Cancer., 33(9): 434-444, Sep 2014; Hodi et al., N Engl J Med, 2010; Topalian et al., N Engl J Med, 366:2443-54)를 포함하는 면역 관문 분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암과 같은 증식성 질환 환자, 특히 난치성 암 및/또는 재발성 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대체 면역요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1 mg/kg 내지 약 10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1 mg/kg 내지 약 15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3 mg/kg 내지 약 12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1 mg/kg 내지 약 10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3 mg/kg 내지 약 10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2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3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5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0 mg/k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10 mg 내지 약 4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50 mg 내지 약 4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10 mg 내지 약 3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50 mg 내지 약 3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10 mg 내지 약 25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50 mg 내지 약 25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5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5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2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25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300 mg의 PD-1 저해제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주기 동안 적어도 1회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주기 동안 적어도 2회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기는 21일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기는 28일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적어도 주 1회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적어도 2주에 1회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적어도 3주에 1회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D-1 저해제는 적어도 4주에 1회 투여된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 T 세포 요법을 이용한 치료는 환자 자신의 T 세포를 실험실에서 분리시키고, 합성 수용체로 방향을 바꾸어 특정 항원 또는 단백질을 인식하며, 환자에게 재주입하는 면역요법이다. CARs는 (1) 일반적으로 항체로부터 유래된 항원-결합 영역, (2) CAR을 T 세포에 고정시키는 막횡단 도메인, 및 (3) 하나 이상의 세포내 T 세포 신호전달 도메인을 최소한으로 함유하는 합성 분자이다. CAR은 인간 백혈구 항원 (HLA)-독립적인 방식으로 T 세포 특이성을 항원으로 방향을 바꾸고, T 세포 내성과 관련된 문제를 극복한다 (Kalos M and June CH, Immunity, 39(1):49-60, 2013). 지난 5년 동안, CAR-T 세포 요법에 대한 적어도 15건의 임상 시험이 발표되었다. 펜실베니아 대학 (Penn)의 연구원이 CD 19에 대한 CAR T 세포의 단회 투여 후 장기간 관해를 받은 3명의 난치성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환자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을 때인 2011년 8월에 CAR-T 세포 요법을 둘러싼 흥분의 새로운 물결이 시작되었다 (Porter DL, et al., N Engl J Med., 365(8):725-733, 2011).
공여자 T 세포와는 대조적으로, 자연 살해 (NK) 세포는 이식편-대-숙주 질환 (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을 유발할 위험 없이 항암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동종반응성(alloreactive) NK 세포도 이제 암의 세포 요법에 적합하고 강력한 작동 세포(effector cells)로서 상당한 관심의 초점이다. NK-92, HANK-1, KHYG-1, NK-YS, NKG, YT, YTS, NKL 및 NK3.3과 같은 여러 인간 NK 세포주가 확립되었으며 (Kornbluth,J., et al., J. Immunol. 134, 728-735, 1985; Cheng,M. et al., Front.Med. 6:56, 2012), 다양한 CAR 발현 NK 세포 (CAR-NK)가 생성되었다. CAR 발현 NK 세포 (CAR-NK)를 이용한 면역요법은 연구 및 임상 평가의 활성 영역이다 (참조, 예를 들어, Glienke et al., Front Pharmacol, 6(21):1-7, Feb 2015).
이중특이적 T-세포 결합 분자 (BiTE®s)는 병원성 표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T 세포의 다클론 활성화 및 방향 전환을 위한 이중특이적 단일-쇄 항체의 부류를 구성한다. BiTE®s는 암세포의 표면 표적 항원과 T 세포의 CD3에 대해 이중특이적이다. BiTE®s는 다른 종류의 이중특이적 항체 구조체에 대해 아직 보고되지 않은 고유 특성 세트, 즉 T-세포 공동-자극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낮은 T-세포 수의 표적 세포에 대한 탁월한 효력 및 효능인, T-세포 수용체 특이성, 공동 자극 또는 펩티드 항원 제시와 관계 없이, 임의의 종류의 세포독성 T 세포를 암세포에 연결할 수 있다 (Baeuerle et al., Cancer Res, 69(12):4941-4, 2009). BiTE 항체는 지금까지 CD19, EpCAM, Her2/neu, EGFR, CD66e (또는 CEA, CEACAM5), CD33, EphA2, 및 MCSP (또는 HMW-MAA)(Id.)를 포함하여 10개 이상의 상이한 표적 항원으로 구축되었다. 블리나투모맙 (Nagorsen, D. et al., Leukemia & Lymphoma 50(6): 886-891, 2009) 및 솔리토맙(solitomab) (Amann et al., Journal of Immunotherapy 32(5): 452-464, 2009)과 같은 BiTE®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임상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PARP 저해제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제 (PARPs)는 DNA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활성에 관여하는 효소 계열이다. PARP-1은 염기 절단 복구 (base excision repair, BER) 경로를 통한 단일 가닥 파괴 (single strand break, SSB) 복구를 매개하는 주요 DNA 복구 효소이다. PARP 저해제는 BRCA1 및 BRCA2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전임상 및 예비 임상 자료는 PARP 저해제가 BRCA1 또는 BRCA2 이외의 유전자의 기능장애에 의해 야기된 상동 재조합 복구 결핍을 갖는 종양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임을 시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PARP 저해제는 ABT-767, AZD 2461, BGB-290, BGP 15, CEP 9722, E7016, E7449, 플루조파립, INO1001, JPI 289, MP 124, 니라파립, 올라파립, ONO2231, 루카파립, SC 101914, 탈라조파립, 벨리파립, WW 46,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항-PARP 요법은 약 100 mg, 약 200 mg, 또는 약 300 mg의 니라파립,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와 동등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예에서, 항-PARP 요법은 약 100 mg의 니라파립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와 동등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예에서, 항-PARP 요법은 약 200 mg의 니라파립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와 동등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항-PARP 요법은 약 300 mg의 니라파립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와 동등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요법은 치료용 암 백신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치료용 암 백신은 이미 암에 걸린 사람들에게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 이는 정상 세포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는 경우 더 낮은 수준에 있는 종양-관련 항원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함유하는 암세포에 대해 작용한다. 치료 백신은 면역계가 이러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반응하여 이를 함유하는 암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울 수 있다. 현재 암을 예방하는 2개의 FDA-승인 백신이 있다: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HPV); 및 간암을 예방하기 위한 B형 간염 백신. 최초의 FDA-승인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 유형 1을 기반으로 한 탈리모겐 라헤르파렙벡(talimogene laherparepvec) (T-VEC 또는 Imlygic®)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백신 요법은 시풀류셀-T와 같은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 수지상 세포 백신을 이용한 치료,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을 이용한 치료; 및 종양 항원 펩티드 백신을 이용한 치료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병용 요법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치료제의 투여는 다른 요법이 투여되는 동안 및/또는 그 후에 계속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 치료제는 추가 항암 요법 이전에, 동시에, 또는 이후에,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주, 적어도 약 5일, 적어도 약 3일, 적어도 약 1일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 치료제는 단일 용량으로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다중 용량으로 분획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1회(daily), 1일 2회(bidaily), 주 2회(semi-weekly), 주 1회(weekly) 등을 포함하여 일정 기간 동안 전달될 수 있다. 유효량은 투여 경로, 특정 제제, 항암제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료 요법은 2주에 1회 또는 1개월에 1회 또는 3 내지 6개월에 1회 투여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일반적으로 여러 번 투여된다. 단회 투여량 사이의 간격은 매주, 격주, 매월 또는 매년일 수 있다. 간격은 환자에서 치료 물질의 혈액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표시된 대로 불규칙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서방형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덜 빈번한 투여가 요구된다. 투여량 및 빈도는 환자에서 폴리펩티드의 반감기에 따라 변한다.
여전히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종종 활성 치료제, 및 다양한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 투여된다. (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sup.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0). 바람직한 형태는 의도된 투여 방식 및 치료적 적용에 의존한다. 또한, 조성물은 원하는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 또는 인간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상용되는 비히클로 정의된다. 희석제는 조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희석제의 예는 증류수, 생리학적 인산염 완충 식염수, 링거액, 덱스트로오스 용액 및 행크액이다. 또한,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은 기타 담체, 보조제, 또는 비독성, 비치료제, 비면역원성 안정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백질과 같은 크고 천천히 대사되는 거대분자, 키토산과 같은 다당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라텍스 기능화된 SepharoseTM, 아가로오스, 셀룰로오스 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산 공중합체, 및 지질 응집체 (예를 들어, 유적(oil droplets) 또는 리포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담체는 면역자극제 (즉, 보조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방적 적용에서, 비교적 적은 투여량이 장기간에 걸쳐 비교적 드문 간격으로 투여된다. 일부 환자는 평생 동안 치료를 계속 받는다. 치료적 적용에서, 질환의 진행이 감소되거나 또는 종결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질환 증상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개선을 보일 때까지,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비교적 높은 투여량이 때때로 요구된다. 그 후, 특허는 예방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예방적 적용을 위해, 약학 조성물 또는 약제는 질환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동학적 증상, 질환의 합병증 및 질환의 발병 동안 나타나는 중간 병리학적 표현형을 포함하여, 질환의 위험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거나, 중증도를 줄이거나, 또는 시작을 지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질환 또는 질병의 위험에 걸리기 쉬운, 또는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치료적 적용을 위해, 본 발명의 치료 물질은 질환의 합병증 및 질환의 발병에서 중간 병리학적 표현형을 포함하여, 질환의 증상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동학적)을 치료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러한 질환으로 의심되거나 또는 이미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치료적 또는 예방적 치료를 달성하기에 적당한 양은 치료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으로 정의된다. 예방 및 치료 요법에서, 제제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반응이 달성될 때까지 여러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암이 재발하는 경우 반응을 관찰하고 반복 투여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발성 또는 전이성 암의 치료용 조성물은 비경구, 국소, 정맥내, 종양내, 경구, 피하, 동맥내, 두개내(intracranial), 복강내, 비강내, 또는 근육내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투여 경로는 정맥내 또는 종양내이지만 다른 경로도 동일하게 효과적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 오일, 식염수, 글리세롤 또는 에탄올과 같은 멸균 액체일 수 있는 약학적 담체와 함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에서 물질의 용액 또는 현탁액의 주사가능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습윤제 또는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완충 물질 등과 같은 보조 물질은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의 다른 성분은 석유, 동물, 식물성 또는 합성 기원의 성분, 예를 들어, 낙화생유, 대두유 및 광유(mineral oil)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은 특히 주사용 용액의 바람직한 액체 담체이다. 항체 및/또는 폴리펩티드는 활성 성분의 서방출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형화될 수 있는 데포 주사(depot injection) 또는 이식 제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HCl 또는 NaOH로 pH 7.4로 조정된 10 mM 트리스, 210 mM 수크로오스, 51 mM L-아르기닌, 0.01% 폴리소르베이트 20으로 이루어진 수성 완충제에서 제형화된, 1 mg/mL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주사제로서 제조되며; 주사 전 액체 비히클 내의 용액 또는 현탁액에 적합한 고체 형태가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제제는 강화된 보조제 효과를 위해 리포좀 또는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미세 입자에 유화 또는 캡슐화될 수 있다 (Langer, Science 249: 1527, 1990 and Hane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8: 97-119, 1997). 본 발명의 제제는 활성 성분의 서방출 또는 펄스 방출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형화될 수 있는 데포 주사 또는 임플란트 제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투여 방식에 적합한 추가의 제형은 경구, 비강내, 및 폐 제형, 좌제, 및 경피 적용을 포함한다.
좌제의 경우, 결합제 및 담체는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좌제는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2% 범위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경구 제형은 부형제, 예를 들어 의약품 등급의 만니톨, 락토오스,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사카린 나트륨 (sodium saccharine), 셀룰로오스 및 마그네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제, 캡슐, 서방형 제형 또는 분말의 형태를 취하며, 10%-95%의 활성 성분, 바람직하게는 25%-7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국소 적용은 경피 또는 피내(intradermal) 전달을 야기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콜레라 독소, 또는 이의 해독된 유도체 또는 아단위(subunits), 또는 다른 유사한 박테리아 독소와 제제의 공동-투여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Glenn et al., Nature 391: 851, 1998). 공동-투여는 성분을 혼합물로서 또는 융합 단백질로서 화학적 가교 또는 발현에 의해 얻은 연결된 분자로서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피 전달은 피부 패치 또는 트랜스페로좀(transferosomes)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Paul et al., Eur. J. Immunol. 25: 3521-24, 1995; Cevc et al., Biochem. Biophys. Acta 1368: 201-15, 1998).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의 모든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여, 무균, 실질적으로 등장성인 것으로 제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리펩티드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실질적인 독성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백질의 독성은 세포 배양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의약품 절차에 의해, 예를 들어, LD50 (집단의 50%에 대한 치사량) 또는 LD100 (집단의 100%에 대한 치사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독성 및 치료 효과 사이의 용량비는 치료 지수이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 및 동물 연구로부터 얻은 자료는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독성이 없는 투여량 범위를 제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백질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유효량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투여량은 사용된 제형 및 사용된 투여 경로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정확한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개의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참조, 예를 들어, Fingl et al., 1975, I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Ch. 1).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가 있다.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시약, 예를 들어 세포감퇴 약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단위 용량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키트는 일반적으로 키트 내용물의 의도된 용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한다. 용어 표지는 키트에 또는 키트와 함께 제공된 모든 문서 또는 기록 자료를 포함하고, 그렇지 않으면 키트와 함께 제공된다.
도 1은 에프린B2 양성 비-반응자의 에프린B2 면역조직화학 (IHC) 및 에프린B2 제자리 혼성화 (ISH/RNAScope)의 사진을 제공한다.
도 2는 5명의 반응자의 에프린B2 면역조직화학 (IHC) 및 에프린B2 제자리 혼성화 (ISH/RNAScope)의 사진을 제공한다.
도 3은 다양한 동종유전자형(isogenic) CHO 세포주: 야생형 또는 이소성으로 (ectopically) 발현하는 인간 에프린B2, 및 2개의 요로상피암 조직의 세포 펠렛 대조군의 에프린B2 면역조직화학 (IHC) 및 에프린B2 제자리 혼성화 (ISH/RNAScope)의 사진을 제공한다.
실시예 1
펨브롤리주맙은 백금-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인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를 위한 기존 요법이다. 이는 환자를 펨브롤리주맙 (270) 또는 화학요법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또는 빈플루닌) (272)에 무작위 배정한 3 상 시험을 기반으로 하였다. 펨브롤리주맙 대 화학요법은 10.3 개월 (95% CI 8-11.8) 대 7.4개월의 OS 중앙값, 2.1 개월 (95% CI 2.0-2.2) 대 3.1 개월의 PFS 중앙값, 21.1% (95% CI 16.4-26.5) 대 11.4%의 ORR 중앙값을 가졌다. 펨브롤리주맙을 이용한 완전 관해율은 7%이었다. 펨브롤리주맙은 FDA에 의해 정식 승인 (regular approval)을 받았다.
펨브롤리주맙과 같은 면역 관문 저해제 표적화제는 염증 징후를 발현하며 일반적으로 "뜨거운 종양"이라고 하는 상주 면역 세포를 함유하는 종양 환자에서 효과적이다. 면역 세포가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종양 (차가운 종양)은 반응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면역 세포를 모집하는 신규한 제제는 현재의 면역요법 상태에 따라 환자 반응을 개선할 가능성이 높다. 면역 세포 모집은 부분적으로 종양 혈관 장벽에 의해 제한된다. 에프린B2 및 이의 고친화도 동족 수용체인 EphB4는 종양 혈관에서 유도되며 면역 세포 트래피킹을 조절하는 막관통 단백질이다. 알부민에 융합된 EphB4의 가용성 세포외 단편 (sEphB4-HSA)은 내인성으로 발현된 에프린B2와 EphB4 사이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며 양방향 신호전달을 차단한다. sEphB4-HSA는 면역 세포 이동을 촉진한다.
본 실시예에서, 순진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방광 요로상피암을 갖는 환자 8명을 항-PD-1 항체와 조합한 sEphB4-HSA로 치료하였다. 치료 요법은 sEphB4-HSA 10mg/kg IV 주입 (주 1회) + 펨브롤리주맙 (KEYTRUDA®) 200mg IV 주입 (3주마다)으로 이루어졌다. 종양 반응을 6주마다 측정하였다. 바이오마커 (특히, 펨브롤리주맙/KEYTRUDA®의 동반 마커인 PD-L1 IHC 22C3 PharmDx)를 위해 기준선 조직 또는 보관 조직(archival tissues)을 수집한다.
환자 적격(eligibility)은 환자가 이전에 면역 요법을 받은 적이 없었거나, 백금 화학요법에 적합하지 않았거나, 또는 이전에 화학요법을 거절하였거나 또는 거부한 적이 있었음을 요구하였다. 연령대는 53세부터 90세까지 다양하였다. 환자 8명 중 6명은 남성이었다. 2명은 이전에 방광/요로상피암에 대해 근치 방광절제술(radical cystectomy) (방광 절제술)을 받은 적이 있었다. 2명의 환자는 상부 기관에 질환이 있었다. 벨문트(Bellmunt) 1 위험 인자는 8명의 환자에 있었으며, 벨문트 2 위험 인자는 1명의 환자에 있었다. 1 사례에서는 헤모글로빈이 10 미만이었다. 7명의 환자는 백금 화학요법을 받을 자격이 없었다. 1명의 환자는 항암요법을 거부하였다. 병리학: 변이체 (각각 1명에서 미세유두 변이체, 1명에서 편평 및 육종형 변이체). 모든 환자는 림프절 침범이 있었으며, 7명은 원발성 방광암이 있었다.
결과: 가용성 EphB4-알부민 융합체 및 PD-1 항체의 조합은 내약성이 우수하다. 바이오마커와 관련하여: 3명의 환자는 PD-L1 양성 (1% 이상 발현)이었으며, 8명의 환자는 모두 에프린B2 양성 (1% 이상 발현)이었다. 6명의 환자는 CT 스캔을 통해 반응을 평가하였다. 1 사례에서는 CT 스캔이 보류 중이었으며, 1명의 환자는 요법을 조기에 중단하였다. 놀랍게도, 요법 중 CT 스캔을 받은 환자 6명 중 5명이 관해를 보였으며, 모든 관해가 완료되었다. 치료 의도에 대한 전체 반응률은 71.4%이다. PD-L1 양성 사례 중에서, 환자 3명 중 2명이 요법에 반응하였다. 반응의 지속성은 상당하며, 반응으로부터 최대 10개월의 추적 후에도 질환이 진행된 환자는 없었다. 따라서, 가용성 EphB4-알부민 융합체 및 PD-1 항체의 조합은 71.4%의 높은 반응률을 가지며, 바이오마커로서의 에프린B2 발현은 병용 요법을 이용한 반응을 고도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펨브롤리주맙과 조합한 sEphB4-HSA의 II 상 임상 시험에 대해 보고하였다. 환자의 적격 기준은 이전에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질환에 대한 시스플라틴 함유 요법에 실패한 (재발성 또는 난치성 또는 불내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또는 시스플라틴 함유 신-보조 요법을 받은지 12개월 이내에 재발한 환자였다. 배제 기준은 이전에 관문 저해제 표적 요법을 받은 환자였다.
본 연구에서, 치료 요법은 sEphB4-HSA 10mg/kg IV 주입 (주 1회) + 펨브롤리주맙 (KEYTRUDA®) 200mg IV 주입 (3주마다)으로 이루어졌다. 종양 반응을 6주마다 측정하였다. 바이오마커 (특히, 펨브롤리주맙의 동반 마커인 PD-L1 IHC 22C3 PharmDx)를 위해 기준선 조직 또는 보관 조직을 수집한다. 반응에 대한 독립적인 평가는 맹검 방사선학적 검토(blinded radiologic review)에 의해 평가되었다. 표준 실험실(reference laboratory)에서 PD-L1 염색을 수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독성 평가에 적격이었다. 연구에 대한 1차 평가변수는 OS이며, 2차 평가변수는 ORR 및 PFS이다. 고-위험 하위집합(subsets)에 대한 분석은 편평 세포 변이체, 상부 요로 질환, 간 전이, 헤모글로빈 <10mg/dl 수준, 및 0 이상의 수행 상태를 포함한다. 69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되었다.
69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중위 연령(median age)은 67세였다. 환자의 80%는 남성이었다. 바이오마커 분석의 경우, 조직 부족으로 인해 4건의 사례가 제외되었다 (2건의 사례는 이용가능한 조직이 없었으며, 2건의 사례는 조직이 종양을 함유하지 않았다). 이용가능한 조직이 있는 65명의 환자, 바이오마커 (에프린B2 및 PD-L1)를 분석하였다. 50명의 환자는 에프린B2 또는 PD-L1에 대해 양성이었다. 15명의 환자는 에프린B2 및 PD-L1에 대해 둘 다 음성이었다. 45명의 환자 조직은 에프린B2 양성이었으며 (32명의 환자 조직은 에프린B2만 양성이었음), 18명의 환자는 PD-L1 양성이었고 (5명의 환자는 PD-L1만 양성이었음), 13명의 환자는 에프린B2 및 PD-L1을 둘 다 발현하였다. 52명의 환자 (35명은 에프린B2 양성)는 이전에 화학요법 치료를 받았다.
모든 환자의 전체 반응률이 37%인데 비해, 에프린B2 양성 환자는 51%의 전체 반응률 (ORR)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요하게는, 두 반응률 모두 환자가 펨브롤리주맙 단독으로 치료받은 경우 예상되는 21% (과거 자료(historical data) 기준)보다 높다는 것이다. 4명의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는 연구의 I 상 부분 동안 sEphB4-HSA 단독으로 치료받았으며, 객관적 반응을 보인 환자는 아무도 없었다. 따라서, PD-1 항체와 결합된 sEphB4-HSA의 조합 활성은 sEphB4-HSA가 T 세포의 종양 내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반면 PD-1 항체는 새로 모집된 상주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여 지속적인 반응을 달성하는 상보적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sEphB4-HSA 및 펨브롤리주맙은 전체 생존기간이 21개월로 정확한 상승적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펨브롤리주맙을 이용한 단일요법에서 관찰된 10개월의 2배이고, 2차 반응자의 69%가 2년 후에도 관해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 3
화학방사선 후 재발성 및 난치성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환자는 세툭시맙, 전신 화학요법 또는 관문 저해제 표적 요법에 대한 반응률이 낮다. HPV-음성 HNSCC 환자는 관문 요법에 대한 반응을 포함하여 HPV 양성 환자에 비해 결과가 좋지 않다. HPV-관련 두경부암 환자의 2년 전체 생존율은 95%인 반면, 비-HPV-관련 HNSCC의 2년 전체 생존율은 62%이다. 따라서, 신규한 요법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많다.
이 임상 시험은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SCC) 환자에서 펨브롤리주맙 (MK-7435)과 조합한 sEphB4-HSA의 IIa 상, 단일군, 비-무작위, 개방-표지 시험(open-label trial)이었다. 연구 등록을 위한 다른 적격 기준을 충족하는 두경부의 두경부 SCC가 있는 연령 ≥18세의 환자. 환자는 방사선-화학요법과 같은 2 이상의 이전 요법 후에 진행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질환을 가졌다. 환자는 첫 번째 재발에 대해 전신 화학요법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적당한 장기 기능을 가지고 있고, RECIST 1.1 (고형 종양의 면역-관련 반응 평가 기준)을 기준으로 측정가능한 질환이 있으며, 0 또는 1의 ECOG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수행 상태, 및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기준선 종양 조직이 있었다. 평가변수는 독성, 전체 반응률 (ORR), 무진행 생존기간 (PFS) 및 전체 생존기간 (OS)이었다. HPV 상태 및 에프린B2 바이오마커 발현을 결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등록 예정 환자는 25명이었다. 치료 요법은 1일, 8일, 15일에 주 1회 sEphB4-HSA 10 mg/kg이었으며, 펨브롤리주맙 200 mg을 3주마다 1회, 각 3주 주기의 1일에 정맥 주입하였다. 요법은 최대 24개월 동안 제공되었다. 확인된 방사선학적 질환 진행, 허용할 수 없는 부정적 경험(unacceptable adverse experiences), 병발성 질병(intercurrent illness), 치료 불순응, 및 환자로 인해 치료가 중단되었거나, 또는 연구자가 연구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경우, 흉부, 복부 및 골반(pelvis)의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스캔과 목 연조직 CT 스캔에 의해 6주마다 (2주기마다) 종양 영상화를 수행하였다. RECIST에 따라 종양 반응을 평가하였다. ≥24주 동안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초기 CR 날짜 이후 적어도 2회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를 받은 확인된 완전 반응 (CR)을 달성한 환자는 치료를 중단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었다. 방사선학적 진행을 경험한 이러한 환자는 펨브롤리주맙의 마지막 투여 이후 암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연구자의 재량에 따라, 최대 1년의 추가 치료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
요법 중 기준선 및 8주 (주기 2)에 얻은 환자 종양 시료에 대해 면역조직화학 (IHC)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바이오마커는 두 수집물에 대해 에프린B2, PD-L1, 면역 세포 마커 CD3, 및 CD8을 포함하였다. 포괄적인 종양 시퀀싱 및 단일클론 토끼 항-PD-L1 클론 28-8을 이용한 PD-L1을 위해 기준선의 환자 조직 시료를 카리스 생명과학(Caris Life Sciences)으로 보냈다. 종양 및 면역 세포막 PD-L1 염색을 포함한 기준선 및 치료 중인 조직 시료 둘 다에서 PD-L1 점수를 매겼다. 기준선에서 조직 시료가 ≥1% 복합 양성 점수 (combined positive score, CPS)를 나타내는 경우 환자는 PD-L1 양성으로 결정되었다. 채점 절차 및 염색 프로토콜은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SCCHN)에 대한 상업용 분석 지침에 기재되어 있다. 에프린B2 및 면역 마커에 대한 IHC는 CLIA 승인 핵심 실험실에서 수행되었으며, 독립적인 병리학자 (independent pathologist, I.S)에 의해 분석되었다. 에프린B2 분석은 토끼 단일클론 항-에프린 B2 항체를 사용하였다. 기준선 및 치료 중 생검에서 에프린B2 양성에 대한 채점 및 분석은 에프린B2에 대한 종양 세포막 염색을 기반으로 하였다. 기준선에서 조직 시료가 ≥1% TPS를 나타내는 경우 환자는 에프린B2 양성으로 결정되었다. 에프린B2 및 PD-L1 둘 다에 대한 채점은 0 내지 100% 범위를 기준으로 하였다. p16 염색은 CLIA 인증 임상 실험실에서 일상적인 서비스로 수행되었다. 면역 마커의 IHC를 수행하여 종양으로의 면역 세포 침윤을 평가하였다. 이것은 CD3 및 CD8에 대한 염색을 포함하였다.
연구 집단의 인구통계(Demographics)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효능 자료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sEphB4-HSA + 펨브롤리주맙의 조합은 7명의 환자에서 전체 반응을 야기하였으며, 이들 중 6명은 HPV 음성 환자 집단에 속하였다. HPV 음성 환자의 대부분은 높은 에프린B2 발현을 가진다. 작은 연구 집단에도 불구하고, PD-1 항체 (펨브롤리주맙)와 조합한 에프린B2의 표적화는 더 높은 반응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분명하다. HPV 음성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 (OS)은 펨브롤리주맙 단독에서 예상한 것보다 병용 요법에서 상당히 더 높았다 (각각 12.4개월 대 8개월).
p16 바이오마커 분석에 의해 환자의 약 60%가 HPV-음성이었다. HPV-음성 환자의 효능 평가변수를 비교할 때, 병용 요법은 펨브롤리주맙 단독과도 비교하여 유리하였다; sEphB4-HSA + 펨브롤리주맙을 투여받은 HPV-음성 환자의 ORR은 40%이었으며, 펨브롤리주맙 단독으로 투여받은 HPV-음성 환자의 ORR은 14%이었다. 반응률의 이러한 실질적인 차이는 일반적으로 HPV-관련 HNSCC 환자보다 더 나쁜 예후를 갖는 비-HPV 관련 HNSCC 환자가 sEphB4-HSA + 펨브롤리주맙의 조합으로부터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이행 및 활성화에 대한 단일-제제 sEphB4-HSA의 효과, 및 면역-매개 종양 살해의 촉진에서 펨브롤리주맙의 입증된 효능을 고려할 때, 2개의 요법의 조합이 종양으로의 더 큰 면역 세포 침윤 및 환자에게 더 효과적인 반응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은 합리적인 결과이다.
25명의 환자 중 17명 (68%)이 에프린B2 양성이었으며, 15건의 HPV 음성 사례 중 12건이 에프린B2 양성이었다. 반응한 모든 환자는 에프린B2 양성이었다. 1% 이상의 CPS를 갖는 25명의 환자 중 12명 (48%)이 PD-L1 양성이었다. 1% 미만의 PD-L1을 갖는 13명의 환자 중 3명 (23%)이 반응을 달성하였다. 에프린B2 및 PD-L1 양성에 기반한 ORR에 대해 수행된 추가 분석은 하기와 같은 사실을 밝혔다: 9명의 환자 중 4명 (44%)이 에프린B2 양성군 및 PD-L1 양성군에서 반응을 달성하였으며, 8명의 환자 중 4명 (50%)이 에프린B2 양성군 및 PD-L1 음성군에서 반응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에프린B2 발현이 반응에 대한 우수한 예측값을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은 에프린B2 음성군 및 PD-L1 양성군 (N=3) 또는 PD-L1 음성군 (N=5) 모두에서 반응의 부족이다.
1% 이상의 PD-L1은 이 연구 집단에서 흔하지 않았으며 (25명 중 11명), 이는 42%에서 양성을 나타내는 3105명의 환자 메타-분석과 일치하나, Keynote 012에서 85%와 같이 보고된 것보다 상당히 낮다. 1% 이상의 PD-L1의 ORR은 1% 미만의 PD-L1의 ORR과 유사하였으며, 각각 11명 중 3명 및 13명 중 3명이었다. PD-L1 음성 환자 13명의 반응 (13명 중 3명 또는 23%)은 1% 미만의 PD-L1이 매우 낮은 반응률 (keynote 048에서 46명 중 4명 또는 8%)을 나타내기 때문에 놀랍다. 현재 연구의 결과는 소수의 제안의 변칙(anomaly) 및 미충족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반영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sEphB4-HSA + 펨브롤리주맙 조합의 안전성 및 효능을 뒷받침한다. 4등급 이상사례(adverse events) 및 치료 관련 사망은 없었으며, 환자가 경험한 독성은 관리가능하였고 펨브롤리주맙의 알려진 독성인 심근증 (cardiomyopathy)의 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치료 중단이 필요하지 않았다. 병용 요법은 특히 HPV-음성 하위군에서 ORR 대 펨브롤리주맙 단독에 대해 크게 개선되었다. 마지막으로, 바이오마커 분석은 에프린B2를 발현하는 종양 환자 대 에프린B2 음성인 환자의 객관적 반응률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대조적으로, PD-L1 양성 환자 대 PD-L1 음성 환자 사이의 반응률에는 유사하게 관찰된 차이가 없었다. 특히 PD-L1을 발현하지 않는 환자에서 PD-1/PD-L1 저해와 관련하여 EphB4-에프린B2 저해 뒤에 종양-억제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실시예 4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는 표준 1차 화학요법의 실패 후 예후가 좋지 않다. 면역 관문 예정된 사멸 1-예정된 사멸 리간드 1 항체는 반응률이 낮으므로 주요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
백금-계 화학요법 후 재발된 또는 진행된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에게 펨브롤리주맙과 조합한 가용성 EphB4-인간 혈청 알부민 (sEphB4-HSA)을 투여하였다. 요로 (신우(renal pelvis), 요관(ureter), 방광, 또는 요도(urethra)) 암종이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는 조직학적으로 주로 편평 세포 암종을 포함한 변이체가 있거나 또는 없는 요로상피로 확인되었으며, 저분화 암(poorly differentiated cancer)은 등록 적격을 충족하였다. 또한, 적격 환자는 진행성 질환에 대해 백금-계 화학요법 후 질환이 진행되었거나 또는 국소 근육-침습성 질환에 대해 백금-계 보조 또는 신보조 요법을 받은 후 12개월 이내에 재발하였다. 환자는 연구 등록 전에 진행성 질환에 대해 하나 이상의 추가 전신 화학요법을 받았을 수 있다. 1차 평가변수는 내약성 및 전체 생존기간 (OS)이었다. 2차 평가변수는 무진행 생존기간 (PFS), 객관적 반응률 (ORR), 반응 기간, 및 독성이었다. sEphB4-HSA 표적 에프린B2의 발현은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들은 2개의 코호트 중 하나에 배정되었다: 코호트 A 환자는 이전에 백금-계 화학요법을 한 번만 받았으며, 코호트 B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신 화학요법을 받았고, 각각 36명과 24명의 환자가 등록될 예정이다. 치료 요법은 1일에 1회 정맥내 펨브롤리주맙 200mg 및 1일, 8일, 15일에 1일 1회 3주마다 1회 정맥내 sEphB4-HSA 10 mg/m2으로 이루어졌다. RECIST-정의된 질환 진행,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의 발생, 환자의 동의 철회, 연구자의 치료 중단 결정, 또는 2년의 요법 완료까지 치료를 계속하였다.
중위 연령은 67세였으며, 남성 대 여성 비는 59 대 11이었다. 64명의 환자는 이전에 한 가지 요법만 등록한 반면, 6명의 환자는 한 가지 이상의 요법을 받았다. 기준선에서 질환 부위는 45개 (64%)의 림프절, 24개 (34%)의 폐, 18개 (26%)의 간, 9개 (13%)의 뼈를 포함하였다. 39명의 환자 (56%)는 0의 ECOG 수행 상태를 가졌으며, 31명 (44%)의 환자는 1의 ECOG를 가졌다. 벨문트 위험군 분포는 하기와 같았다: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 27%, 하나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37%, 및 2 이상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36%. 14명 (20%)의 환자는 주요 질환 부위로 상부 기관 질환을 가졌다. 46명의 환자는 에프린B2-양성이었다.
효능 자료는 표 3 및 4에 제시되어 있다.
중앙 추적 기간은 22.9개월 (범위, 1.3-54.7)이었다. 이 요법은 허용가능한 독성이 있었다. 치료-의향 분석(intent-to-treat analysis) (N5 70)에서, OS 중앙값은 14.6개월 (95% CI, 9.2 내지 21.5)이었다. 26명 (37%)의 환자는 객관적 반응 (95% CI, 26 내지 48)을 보였다. PFS 중앙값은 4.1 (95% CI, 1.5 내지 5.7)개월이었다. 46명 (66%)의 환자는 에프린B2를 발현하였으며, 이들 중, OS 중앙값은 21.5개월 (95% CI, 12.4 내지 도달하지 않음)이었고, ORR은 52% (95% CI, 37 내지 67)이었으며, 완전 반응률은 24% (46명 중 11명, 95% CI, 12 내지 36)이었다. PFS 중앙값은 5.7 (95% CI, 2.7 내지 27.9)개월이었다. 반응은 6개월, 12개월, 및 24개월에 각각 환자의 88%, 74%, 및 69%에서 유지되었다.
병용 요법은 치료-의향 분석의 모든 평가변수에서 기대치를 초과하였다. 에프린B2-양성 하위군 (n = 46, 66%)에서, 모든 평가변수는 치료-의향 집단에 비해 개선을 나타내었다. sEphB4-HSA 및 펨브롤리주맙의 조합은 예정된 사멸 1/예정된 사멸 리간드 1 단일요법에 대한 과거 자료에 비해 개선된 OS 및 ORR과 함께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에프린B2 발현이 요로상피 암종의 예후 마커 및 관문 저해 단일요법에 대한 반응 예측인자(predictor)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PD1/PD-L1 항체 단일요법으로 치료받은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는 이들 환자들 간에 에프린B2의 발현 및 반응을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조직 표본을 수집하고, 에프린B2에 대해 염색하였으며, >1% 발현을 바이오마커 양성으로 간주하였다. 바이오마커 발현은 PD1/PD-L1 단일요법의 보고된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 포함은 하기가 필요하였다: 1) PD1/PD-L1 항체 요법 이전에 얻은 적어도 하나의 병리 표본이 이용가능하여야 하며, 조직 분석을 위해 적어도 3개의 염색되지 않은 슬라이드가 필요하다; 2) PD1/PD-L1 단일요법 시작 시, 방사선학적으로 측정가능한 질환이 존재하여야 한다; 3) 치료 결과는 사망, 안정 질환, 부분 반응, 및 완전 반응을 포함하는 방사선학적 질환 진행 (PD)으로 기재할 수 있어야 한다; 4) 가능하다면, 등록 시 ECOG 상태가 0, 1 또는 2이다. 이들 환자로부터의 조직에서 에프린B2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에프린B2 발현이 단순히 관문 저해에 대한 반응의 대용물(surrogate)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국소 진행성 또는 mUC가 있으며, 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을 이용한 전신 화학요법 후 질환이 진행된 다음 항 PD1/PD-L1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로부터의 조직에 대한 후향적 평가를 위해 IRB 승인을 받았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바이오마커 분석 및 면역요법에 대한 반응의 방사선학적 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조직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프로토콜 및 IRB 승인은 부록에 포함되어 있음). 인구통계학적, 환자-특이적 및 질환-특이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종양 조직 블록을 새로 절단하여 에프린B2 및 PD-L1에 대해 염색하고 에프린B2 및 PD-L1 상태의 평가 경험이 있는 병리학자가 맹검 방식으로 검토하였다 (Dr. Imran Siddiqi, Norris Cancer Hospital, Keck School of Medicine).
연구를 위해 확인된 41명의 환자 중, 28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였다. 연구 집단의 인구통계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28명의 환자 중, 5명은 반응자였다; 2명은 완전 관해를 보였고, 3명은 부분 반응을 보였다. 전체 반응은 28명 중 5명 (17.9%)이었다. 3명의 추가 환자는 방사선학적 평가에 기초하여 안정 질환으로서 최고의 반응을 보였다. 이 시리즈의 대부분의 환자는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러한 자료는 이 환자 집단에서 PD-1 또는 PD-L1 길항 항체를 이용하여 전향적으로 수행된 많은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한 문헌 및 기대치와 일치한다. 전신 화학요법 후 재발성/난치성 요로상피 암종에 대해 FDA가 연구하고 승인한 PD-1/PD-L1 길항 항체에 대한 메타-분석은 18%의 반응률을 가진다. (Tafuri et al. Clin GU Cancer. 2020,18, 351-360).
에프린B2는 28명 중 18명에서 발현되었으며, PD-L1은 8명의 환자에서 1% 이상 발현되었다. 5명의 반응자 중, 2명 (2/18 = 11%)에서 에프린B2가 중간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이들 환자 중 한 명은 1% 이상의 PD-L1 양성이었으며, 여러 질환 부위 (간, 폐, 림프절)를 가졌다. 부분 반응을 보인 두 번째 에프린B2 양성 환자는 1% 미만의 PD-L1 수준을 가졌으며, 전이성 질환 부위로 폐가 있었다. 5명의 반응자 중 3명은 에프린B2 발현이 없었다 (3/10 = 30% ORR). 이들 환자 중 2명은 완전 관해를 보였다. 3명의 환자 중 2명은 PD-L1을 발현하였다. 3명의 환자 모두 림프절에만 국소화된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에프린B2 양성은 11%의 반응률을 갖는 반면, 에프린B2 음성은 30%의 반응률을 가진다. 따라서, 3배의 차이가 있으며, 에프린B2 발현이 PD-L1 단일요법에 대해 더 낮은 반응을 예측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 1-3은 모든 5명의 반응자에 대한 에프린B2 면역조직화학 (IHC) 및 에프린B2 제자리 혼성화 (ISH/RNAScope)의 사진이다. 높은 에프린B2 및 낮은 에프린B2를 갖는 비-반응자도 나타내었다. 토끼에서 생성된 재조합 단일클론 항체 (Abcam 201512)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을 수행하였다. 항체는 동종유전자형 CHO 세포주: 야생형 또는 이소성으로 발현하는 인간 에프린B2 전장 (CHO-WT, CHO-에프린B2)에서 분석된 에프린B2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에프린B2는 막 단백질이므로 양성 IHC 염색에서 막 국소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염색이 없거나, 또는 핵 또는 세포질의 신호에 한정된 염색은 음성 (또는 비특이적)으로 간주되었다. 에프린B2 IHC 양성은 막 국소화에 의해 정의된다. 핵 또는 세포질 염색의 존재 하에 막 국소화는 양성 결과로 간주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Advanced Cell Diagnostics (A.C.D)에서 개발한 기술인 제자리 혼성화 (RNAScope)를 이용하여 발현을 검증하였다. 분석은 동종유전자형 세포주 (음성 대조군으로 CHO-WT, 양성 대조군으로 CHO-에프린B2, 밀접하게 관련된 단백질 내에서도 특이성을 입증하는 음성 대조군으로 CHO-에프린B1)에서 확인되었다.
PD1/PD-L1 항체 단일요법으로 치료받은 전이성 요로상피 암종 진단을 받은 환자 (56명)에 대한 두 번째 후향적 연구는 이들 환자들 간에 에프린B2의 발현 및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 집단의 인구통계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에프린B2 양성은 14%의 반응률을 갖는 반면, 에프린B2 음성은 35%의 반응률을 가진다. 그리고, 중요하게도, 매우 높은 에프린B2를 갖는 환자 (7 사례)는 반응이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 번째 연구를 검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다시 반응이 없는 높은 에프린B2 발현을 갖는 적어도 12명의 환자가 있었고, 이는 에프린B2 발현이 PD-L1 단일요법에 대한 더 낮은 반응을 예측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각각의 개별 간행물 또는 특허가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나타낸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며, 간행물이 인용된 것과 관련된 방법 및/또는 물질을 개시하고 기재하기 위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모든 간행물의 인용은 출원일 이전의 공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선행 발명에 의해 이러한 간행물보다 선행할 자격이 없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공된 발행일은 실제 발행일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독립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본 발명을 읽을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예시된 각각의 개별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여러 실시예 중 어느 것의 특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는 별개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가진다. 기재된 모든 방법은 기재된 결과의 순서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문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발명은 이해의 명확성을 위해 예시 및 실시예를 통해 일부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교시에 비추어 특정 변화 및 변형이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는 단지 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단지 일상적인 실험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많은 등가물을 인식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서열 목록
수반되는 서열 목록에 열거된 핵산 및 아미노산 서열은 37 C.F.R. 1.822에 정의된 바와 같이 뉴클레오티드 염기에 대한 표준 문자 약어 및 아미노산에 대한 3 문자 코드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서열번호: 1은 인간 에프린 유형-B 수용체 전구체 (NP_004435.3)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아미노산 잔기 1-15는 신호 서열을 인코딩한다.
MELRVLLCWASLAAALEETLLNTKLETADLKWVTFPQVDGQWEELSGLDEEQHSVRTYEVCDVQRAPGQAHWLRTGWVPRRGAVHVYATLRFTMLECLSLPRAGRSCKETFTVFYYESDADTATALTPAWMENPYIKVDTVAAEHLTRKRPGAEATGKVNVKTLRLGPLSKAGFYLAFQDQGACMALLSLHLFYKKCAQLTVNLTRFPETVPRELVVPVAGSCVVDAVPAPGPSPSLYCREDGQWAEQPVTGCSCAPGFEAAEGNTKCRACAQGTFKPLSGEGSCQPCPANSHSNTIGSAVCQCRVGYFRARTDPRGAPCTTPPSAPRSVVSRLNGSSLHLEWSAPLESGGREDLTYALRCRECRPGGSCAPCGGDLTFDPGPRDLVEPWVVVRGLRPDFTYTFEVTALNGVSSLATGPVPFEPVNVTTDREVPPAVSDIRVTRSSPSSLSLAWAVPRAPSGAVLDYEVKYHEKGAEGPSSVRFLKTSENRAELRGLKRGASYLVQVRARSEAGYGPFGQEHHSQTQLDESEGWREQLALIAGTAVVGVVLVLVVIVVAVLCLRKQSNGREAEYSDKHGQYLIGHGTKVYIDPFTYEDPNEAVREFAKEIDVSYVKIEEVIGAGEFGEVCRGRLKAPGKKESCVAIKTLKGGYTERQRREFLSEASIMGQFEHPNIIRLEGVVTNSMPVMILTEFMENGALDSFLRLNDGQFTVIQLVGMLRGIASGMRYLAEMSYVHRDLAARNILVNSNLVCKVSDFGLSRFLEENSSDPTYTSSLGGKIPIRWTAPEAIAFRKFTSASDAWSYGIVMWEVMSFGERPYWDMSNQDVINAIEQDYRLPPPPDCPTSLHQLMLDCWQKDRNARPRFPQVVSALDKMIRNPASLKIVARENGGASHPLLDQRQPHYSAFGSVGEWLRAIKMGRYEESFAAAGFGSFELVSQISAEDLLRIGVTLAGHQKKILASVQHMKSQAKPGTPGGTGGPAPQY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는 인간 혈청 알부민 프리프로단백질(preproprotein) (NP_000468.1)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아미노산 잔기 25-609는 성숙한 펩티드를 인코딩한다.
MKWVTFISLLFLFSSAYSRGVFRRDAHKSEVAHRFKDLGEENFKALVLIAFAQYLQQCPFEDHVKLVNEVTEFAKTCVADESAENCDKSLHTLFGDKLCTVATLRETYGEMADCCAKQEPERNECFLQHKDDNPNLPRLVRPEVDVMCTAFHDNEETFLKKYLYEIARRHPYFYAPELLFFAKRYKAAFTECCQAADKAACLLPKLDELRDEGKASSAKQRLKCASLQKFGERAFKAWAVARLSQRFPKAEFAEVSKLVTDLTKVHTECCHGDLLECADDRADLAKYICENQDSISSKLKECCEKPLLEKSHCIAEVENDEMPADLPSLAADFVESKDVCKNYAEAKDVFLGMFLYEYARRHPDYSVVLLLRLAKTYETTLEKCCAAADPHECYAKVFDEFKPLVEEPQNLIKQNCELFEQLGEYKFQNALLVRYTKKVPQVSTPTLVEVSRNLGKVGSKCCKHPEAKRMPCAEDYLSVVLNQLCVLHEKTPVSDRVTKCCTESLVNRRPCFSALEVDETYVPKEFNAETFTFHADICTLSEKERQIKKQTALVELVKHKPKATKEQLKAVMDDFAAFVEKCCKADDKETCFAEEGKKLVAASQAALGL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은 인간 에프린 유형-B 수용체-인간 혈청 알부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LEETLLNTKLETADLKWVTFPQVDGQWEELSGLDEEQHSVRTYEVCDVQRAPGQAHWLRTGWVPRRGAVHVYATLRFTMLECLSLPRAGRSCKETFTVFYYESDADTATALTPAWMENPYIKVDTVAAEHLTRKRPGAEATGKVNVKTLRLGPLSKAGFYLAFQDQGACMALLSLHLFYKKCAQLTVNLTRFPETVPRELVVPVAGSCVVDAVPAPGPSPSLYCREDGQWAEQPVTGCSCAPGFEAAEGNTKCRACAQGTFKPLSGEGSCQPCPANSHSNTIGSAVCQCRVGYFRARTDPRGAPCTTPPSADAHKSEVAHRFKDLGEENFKALVLIAFAQYLQQCPFEDHVKLVNEVTEFAKTCVADESAENCDKSLHTLFGDKLCTVATLRETYGEMADCCAKQEPERNECFLQHKDDNPNLPRLVRPEVDVMCTAFHDNEETFLKKYLYEIARRHPYFYAPELLFFAKRYKAAFTECCQAADKAACLLPKLDELRDEGKASSAKQRLKCASLQKFGERAFKAWAVARLSQRFPKAEFAEVSKLVTDLTKVHTECCHGDLLECADDRADLAKYICENQDSISSKLKECCEKPLLEKSHCIAEVENDEMPADLPSLAADFVESKDVCKNYAEAKDVFLGMFLYEYARRHPDYSVVLLLRLAKTYETTLEKCCAAADPHECYAKVFDEFKPLVEEPQNLIKQNCELFEQLGEYKFQNALLVRYTKKVPQVSTPTLVEVSRNLGKVGSKCCKHPEAKRMPCAEDYLSVVLNQLCVLHEKTPVSDRVTKCCTESLVNRRPCFSALEVDETYVPKEFNAETFTFHADICTLSEKERQIKKQTALVELVKHKPKATKEQLKAVMDDFAAFVEKCCKADDKETCFAEEGKKLVAASQAALGL
서열번호: 4는 인간 에프린 유형-B 수용체-인간 혈청 알부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LEETLLNTKLETADLKWVTFPQVDGQWEELSGLDEEQHSVRTYEVCDVQRAPGQAHWLRTGWVPRRGAVHVYATLRFTMLECLSLPRAGRSCKETFTVFYYESDADTATALTPAWMENPYIKVDTVAAEHLTRKRPGAEATGKVNVKTLRLGPLSKAGFYLAFQDQGACMALLSLHLFYKKCAQLTVNLTRFPETVPRELVVPVAGSCVVDAVPAPGPSPSLYCREDGQWAEQPVTGCSCAPGFEAAEGNTKCRACAQGTFKPLSGEGSCQPCPANSHSNTIGSAVCQCRVGYFRARTDPRGAPCTTPPSAPRSVVSRLNGSSLHLEWSAPLESGGREDLTYALRCRECRPGGSCAPCGGDLTFDPGPRDLVEPWVVVRGLRPDFTYTFEVTALNGVSSLATGPVPFEPVNVTTDREVPPAVSDIRVTRSSPSSLSLAWAVPRAPSGAVLDYEVKYHEKGAEGPSSVRFLKTSENRAELRGLKRGASYLVQVRARSEAGYGPFGQEHHSQTDAHKSEVAHRFKDLGEENFKALVLIAFAQYLQQCPFEDHVKLVNEVTEFAKTCVADESAENCDKSLHTLFGDKLCTVATLRETYGEMADCCAKQEPERNECFLQHKDDNPNLPRLVRPEVDVMCTAFHDNEETFLKKYLYEIARRHPYFYAPELLFFAKRYKAAFTECCQAADKAACLLPKLDELRDEGKASSAKQRLKCASLQKFGERAFKAWAVARLSQRFPKAEFAEVSKLVTDLTKVHTECCHGDLLECADDRADLAKYICENQDSISSKLKECCEKPLLEKSHCIAEVENDEMPADLPSLAADFVESKDVCKNYAEAKDVFLGMFLYEYARRHPDYSVVLLLRLAKTYETTLEKCCAAADPHECYAKVFDEFKPLVEEPQNLIKQNCELFEQLGEYKFQNALLVRYTKKVPQVSTPTLVEVSRNLGKVGSKCCKHPEAKRMPCAEDYLSVVLNQLCVLHEKTPVSDRVTKCCTESLVNRRPCFSALEVDETYVPKEFNAETFTFHADICTLSEKERQIKKQTALVELVKHKPKATKEQLKAVMDDFAAFVEKCCKADDKETCFAEEGKKLVAASQAALGL
서열번호: 5는 인간 에프린 유형-B 수용체-인간 혈청 알부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LEETLLNTKLETADLKWVTFPQVDGQWEELSGLDEEQHSVRTYEVCDVQRAPGQAHWLRTGWVPRRGAVHVYATLRFTMLECLSLPRAGRSCKETFTVFYYESDADTATALTPAWMENPYIKVDTVAAEHLTRKRPGAEATGKVNVKTLRLGPLSKAGFYLAFQDQGACMALLSLHLFYKKCAQLTVNLTRFPETVPRELVVPVAGSCVVDAVPAPGPSPSLYCREDGQWAEQPVTGCSCAPGFEAAEGNTKCRACAQGTFKPLSGEGSCQPCPANSHSNTIGSAVCQCRVGYFRARTDPRGAPCTTPPSAPRSVVSRLNGSSLHLEWSAPLESGGREDLTYALRCRECRPGGSCAPCGGDLTFDPGPRDLVEPWVVVRGLRPDFTYTFEVTALNGVSSLATGPVPFEPVNVTTDREVPPAVSDIRVTRSSPSSLSLAWAVPRAPSGAVLDYEVKYHEKGAEGPSSVRFLKTSENRAELRGLKRGASYLVQVRARSEAGYGPFGQEHHSQTQLDESEGWREQDAHKSEVAHRFKDLGEENFKALVLIAFAQYLQQCPFEDHVKLVNEVTEFAKTCVADESAENCDKSLHTLFGDKLCTVATLRETYGEMADCCAKQEPERNECFLQHKDDNPNLPRLVRPEVDVMCTAFHDNEETFLKKYLYEIARRHPYFYAPELLFFAKRYKAAFTECCQAADKAACLLPKLDELRDEGKASSAKQRLKCASLQKFGERAFKAWAVARLSQRFPKAEFAEVSKLVTDLTKVHTECCHGDLLECADDRADLAKYICENQDSISSKLKECCEKPLLEKSHCIAEVENDEMPADLPSLAADFVESKDVCKNYAEAKDVFLGMFLYEYARRHPDYSVVLLLRLAKTYETTLEKCCAAADPHECYAKVFDEFKPLVEEPQNLIKQNCELFEQLGEYKFQNALLVRYTKKVPQVSTPTLVEVSRNLGKVGSKCCKHPEAKRMPCAEDYLSVVLNQLCVLHEKTPVSDRVTKCCTESLVNRRPCFSALEVDETYVPKEFNAETFTFHADICTLSEKERQIKKQTALVELVKHKPKATKEQLKAVMDDFAAFVEKCCKADDKETCFAEEGKKLVAASQAALGL

Claims (27)

1차 요법으로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차 요법으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암은 표준 항암 요법에 대해 난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면역 자극 약물과 조합한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피험자는 표준 항암 요법을 이용한 이전 치료로부터 재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암은 표준 항암 요법에 대해 난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암 피험자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i) 암 진단을 받은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EphB4-에프린B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한 피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피험자는 표준 항암 요법을 이용한 이전 치료로부터 재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 암 진단을 받고 면역 자극 약물로 치료 과정에 있는 피험자로부터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에프린B2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및 ii) 에프린B2 발현이 1% 이상인 경우 요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피험자를 진단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phB4-에프린B2 저해제는 EphB4 단백질의 단량체 리간드 결합 부분이며,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phB4-에프린B2 저해제는 인간 혈청 알부민 (HSA) ("sEphB4-HSA") 및 소 혈청 알부민 (BSA) ("sEphB4-B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부민과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1-197, 16-197, 29-197, 1-312, 16-312, 29-312, 1-321, 16-321, 29-321, 1-326, 16-326, 29-326, 1-412, 16-412, 29-412, 1-427, 16-427, 29-427, 1-429, 16-429, 29-429, 1-526, 16-526, 29-526, 1-537, 16-537 및 29-53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 ("sEphB4 폴리펩티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9항에 있어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3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9항에 있어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9항에 있어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2의 잔기 25-609에 직접 융합된 서열번호: 1의 잔기 16-5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9항에 있어서, sEphB4-HSA는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에 제시된 서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자극 약물은 SIRP, CD47, TIGIT, VISTA, CD152, CD279, CD274, LAG3, TIM3 및 CD22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관문 단백질 항원에 대한 길항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자극 약물은 항-PD-1 Ab, 항-PD-L1 Ab, 항-CTLA Ab, 항-TIGIT Ab, 항-LAG3 항체, 및 항-TIM3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프린B2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IHC), 면역형광,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및 웨스턴 블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프린B2 발현은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 (qPCR), 역전사 qPCR (RT-qPCR), RNA 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제자리(in situ) 혼성화, 및 유전자 발현의 연속 분석 (SAG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한 mRNA 발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시료, 혈액 시료, 혈청 시료, 혈장 시료,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시료, 복수액(ascites fluid) 시료, 및 세포 배양 시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B 세포 림프종; 폐암 (소세포 폐암 및 비-소세포 폐암); 기관지암;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위암; 난소암; 방광암; 뇌 또는 중추신경계 암; 말초신경계 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흑색종; 자궁암 또는 자궁내막암; 구강 또는 인두암; 간암; 신장암; 담도암(biliary tract cance); 소장암 또는 맹장암; 침샘암; 갑상선암; 부신암(adrenal gland cancer); 골육종(osteosarcoma); 연골육종 (chondrosarcoma); 지방육종(liposarcoma); 고환암; 및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피부암; 두경부암; 림프종; 육종; 다발성 골수종;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RAS (예를 들어, KRAS, HRAS, NRAS) 돌연변이체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PTEN 상실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난치성 암은 백금-계 화학요법에 대해 난치성인 암, 면역요법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면역접합체, 항체-약물 접합체 (ADC), 또는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 및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분자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수술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줄기 세포 이식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 및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 난치성인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분자 키나제 저해제 표적 요법, 수술, 세포감퇴 요법(cytoreductive therapy), 세포독성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요법을 더 포함하는, 방법.
제 23항에 있어서, 제 2 요법은 다우노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아나마이신, MEN 10755,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노렐빈(vinorelbine) (NAVELBINE); 빈데신(vindesine), 빈돌린(vindoline), 빈카민(vincamin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멜팔란(melphalan) (L-사르코리신(L-sarcolysin)),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세무스틴 (semustine) (메틸-CCNU), 스트렙토조신, 클로로조토신, 시타라빈(cytarabine) (CYTOSAR-U), 시토신 아라비노시드(cytosine arabinoside), 플루오로우라실 (5-FU), 플록수리딘(floxuridine) (FUdR), 티오구아닌(thioguanine) (6-티오구아닌), 머캅토푸린(mercaptopurine) (6-MP), 펜토스타틴(pentostatin), 메토트렉세이트, 10-프로파길-5,8-디데아자폴레이트(10-propargyl-5,8-dideazafolate) (PDDF, CB3717), 5,8-디데아자테트라히드로엽산(5,8-dideazatetrahydrofolic acid) (DDATHF), 류코보린(leucovorin), 시스플라틴 (cis-DDP),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히드록시우레아(hydroxyurea), 젬시타빈, 및 N-메틸히드라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세포독성 화학요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3항에 있어서, 제 2 요법은 ABT-767, AZD 2461, BGB-290, BGP 15, CEP 9722, E7016, E7449, 플루조파립(fluzoparib), INO1001, JPI 289, MP 124, 니라파립(niraparib), 올라파립(olaparib), ONO2231, 루카파립(rucaparib), SC 101914, 탈라조파립(talazoparib), 벨리파립(veliparib), WW 46,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제 (PARP) 저해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3항에 있어서, 제 2 요법은 특정 종양 항원에 대한 고갈 항체를 이용한 치료; 항체-약물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 공동-자극 분자 또는 공동-저해 분자 (면역 관문)에 대한 작용 항체, 길항 항체 또는 차단 항체를 이용한 치료; 이중특이적 T 세포 결합 항체 (BiTE®)를 이용한 치료;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이용한 치료; 치료용 백신을 이용한 치료; 수지상 세포 백신 또는 종양 항원 펩티드 백신을 이용한 치료;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을 이용한 치료;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T 세포를 이용한 치료; CAR-NK 세포를 이용한 치료; 종양 침윤 림프구 (TILs)를 이용한 치료; 입양 전달 항-종양 T 세포 (ex vivo 확장 및/또는 TCR 형질전환)를 이용한 치료; TALL-104 세포를 이용한 치료; 및 면역자극제를 이용한 치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요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합은 상승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47011751A 2021-09-07 2022-09-07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KR20240053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1448P 2021-09-07 2021-09-07
US63/241,448 2021-09-07
PCT/US2022/042812 WO2023039008A1 (en) 2021-09-07 2022-09-07 Diagnostic methods for cancer using ephrinb2 expre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651A true KR20240053651A (ko) 2024-04-24

Family

ID=8550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751A KR20240053651A (ko) 2021-09-07 2022-09-07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53651A (ko)
AU (1) AU2022343102A1 (ko)
CA (1) CA3231533A1 (ko)
WO (1) WO20230390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1467A (ja) * 2007-03-12 2010-06-24 バスジーン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phB4の卵巣癌を標的とする診断マーカー及び治療剤としての利用
WO2020190977A1 (en) * 2019-03-17 2020-09-24 Vasgene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cancers using sephb4-hsa fusion prote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9008A1 (en) 2023-03-16
AU2022343102A1 (en) 2024-03-21
CA3231533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ris et al. Immuno-oncology combinations: raising the tail of the survival curve
TWI577695B (zh) 用於輔助及先導性輔助療法之血管內皮生長因子(vegf)-特異性拮抗劑及早期腫瘤之治療
CN109844536B (zh) 预测对pd-1轴抑制剂的响应
CN111565742B (zh) 使用axl诱骗受体治疗转移性癌症的方法
US20220249621A1 (en) TREATMENT OF CANCERS USING sEphB4-HSA FUSION PROTEINS
KR20210041571A (ko)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 억제제와 조합하여 egf/egfr 경로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240053651A (ko) 에프린b2 발현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방법
US20240156908A1 (en) USE OF sEphB4-HSA FUSION PROTEIN AS A FIRST-LINE THERAPY IN CANCER TREATMENT
US20230277631A1 (en) Diagnostic methods for cancer using axl decoy receptors
RU2785866C2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метастатических видов ра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цепторов-ловушек axl
US20220354880A1 (en) Combination treatment for cancer
WO2024052674A1 (en) Modified t-cell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bladder cancer
Shen et al. Checkpoint inhibition and CAR T cells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WO2024052676A1 (en) Modified t-cell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cancer
WO2024052675A1 (en) Modified t-cell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WO2022271955A1 (en) Novel targeted shrna nanoparticles for cancer therapy
US20240101666A1 (en) Lag-3 antagonist therapy for lung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