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623A -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623A
KR20240053623A KR1020247010878A KR20247010878A KR20240053623A KR 20240053623 A KR20240053623 A KR 20240053623A KR 1020247010878 A KR1020247010878 A KR 1020247010878A KR 20247010878 A KR20247010878 A KR 20247010878A KR 20240053623 A KR20240053623 A KR 2024005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column
heat exchanger
baffles
vapor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알토프
레이먼드 터커
스테파니 리
트룽 팜
잔핑 쉬우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오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5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7Energy recuperation; Heat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2Reboiler spec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206Heat exchangers immersed in a large body of liquid
    • F28D1/0213Heat exchangers immersed in a large body of liquid for heating or cooling a liquid in a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17Flooded cor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3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증류 컬럼의 하부 섬프 내에 적합한 열 교환기(본 명세서에서 교환기라고도 지칭됨)가 제공된다. 이러한 열 교환기는 열 교환기의 외부 표면이 열 교환기의 전체 면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증류 컬럼의 하부 유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될 수 있다. 교환기의 내부 구성은 고온 유체(응축 증기 스트림)의 환형 동축 유동을 허용하며, 상부 및 하부 채널 헤드가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우선권 진술
본 출원은 2021년 9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63/241,28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있다.
열 교환기는 한 공정 유체에서 사용 가능한 열을 다른 유체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정제, 석유화학 및 다른 산업 분야에 널리 보급되어 있어 전반적인 설계 요건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열의 회수를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냉각/냉동 매체(예를 들어, 냉각수) 및/또는 가열 매체(예를 들어, 연료 가스)의 외부 공급원과 관련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잘 인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뜨거운 반응기 유출액과 상대적으로 차가운 반응기 공급액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열 교환기에 대한 특정 응용은 증기-액체 접촉 장치 및 짝수 반응기와 같은 다른 처리 장비 내(외부보다는)에서의 사용을 수반한다.
내부 열 교환기, 특히 응축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증기-액체 접촉 장치로는 증류 컬럼이 포함된다. 내부 열 교환기를 사용한 증류 컬럼의 구체적인 작동 조건은 증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다른 유형의 혼합물로부터 광범위한 성분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증류 컬럼의 예로는 스트리핑 및 정류와 같은 컬럼 분리에 많이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분별 증류, 증기 증류, 반응성 증류 및 분리벽형 컬럼에서 증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증류에 사용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분리 공정은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배치(batch) 또는 연속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될 수 있으며, 공통적인 설계 목표는 설치 및 작동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원통형 컬럼 쉘의 외부보다는 증류 컬럼 또는 다른 장치 내부에 열 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컬럼으로부터 스트림을 제거하고, 이를 외부 교환기에 통과시켜 열을 공급하거나 제거하고, 가열되거나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컬럼으로 복귀시켜야 하는 종래의 외부 열 교환기의 작동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다.
증류 컬럼과 같은 증기-액체 접촉 장치 내에 열 교환기를 위치시킴으로써, 일부 장비(예를 들어, 오버헤드 환류 펌프) 및 관련 지지 구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장비 비용과 공간을 모두를 절약할 수 있다.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또는 일반적으로 상업상에 사용되는) 열 교환기의 특정 유형은 튜브 번들을 포함하는 관형 교환기이며, 이에 의해 열이 튜브 외부의 유체와 튜브를 통과하는 유체 사이에 전달된다. 소위 "스탭-인(stabbed-in)" 튜브 번들은 내부 용접 플레이트 번들에 비해 유지 보수 또는 교체 시 제거가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튜브가 증류 컬럼의 상부 섹션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스탭-인 관형 응축기의 경우, 컬럼의 오버헤드 증기가 튜브의 외부 또는 외부 표면 상에 응축된다. 따라서, 본 분야에서는 관형 응축기, 특히 증류 컬럼과 같은 증기-액체 접촉 장치 내에 배치된 관형 응축기의 열 전달 계수(및 필요한 응축기 튜브 표면적의 상응한 감소) 및/또는 전반적인 성능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요약
증류 컬럼의 하부 섬프 내에 적합한 열 교환기(본 명세서에서 교환기라고도 지칭됨)가 제공된다. 이러한 열 교환기는 열 교환기의 외부 표면이 열 교환기의 전체 면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증류 컬럼의 하부 유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될 수 있다. 교환기의 내부 구성은 고온 유체(응축 증기 스트림)의 환형 동축 유동을 허용하며, 상부 및 하부 채널 헤드가 필요하지 않다. 균일한 유동 분포를 보장하고 튜브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열 교환기에 동심 링 배플과 같은 내부 배플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열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증류 컬럼에 배플이 배치된 열 교환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열 교환기가 제자리에 설치된 증류 컬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지지체와 연결 파이프가 있는 두 개의 열 교환기가 설치된 증류 컬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동심원 열 교환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동심원 열 교환기의 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두 개의 고리 배플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5b는 세 개의 고리 배플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5c는 네 개의 고리 배플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단순화된 튜브측 유동 경로가 있는 침지된 튜브 번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열 교환기가 있는 경사진 접근 통로를 가진 증류 컬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세한 설명
증류 컬럼의 하부 섬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의 하부 부분이 위치하는 증류 컬럼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는 응축 증기 스트림의 동축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는 내부 동심원 링 배플을 포함한다. 또한, 각 열 교환기에는 중심 증기 입구가 있으며, 중심 증기 입구에는 일련의 개구가 있다. 입구 파이프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액체 출구 파이프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의 바로 아래, 하부 튜브 시트에 연결된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증류 컬럼 내에는 복수의 열 교환기, 예를 들어 네 개의 열 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럼의 유형은 재가열기 유닛 또는 분할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효율적으로 열 분배하기 위해, 열 교환기의 직경의 중심점 주위에 배치되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와 열 교환기의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사이의 환형 형상의 공간을 채우는 금속 튜브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동심원 열 교환기의 외부 쉘은 절연되지 않을 수 있다. 열 교환기에서, 금속 튜브 각각은 하부 단부와 상부 단부가 개방되어, 액체가 하부 단부로 유입하고, 액체 및 증기가 상부 단부로부터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는 입구 파이프에 연결된 열 교환기의 상부 섹션 개구부 및 출구 파이프와 연통되는 열 교환기의 하부 섹션의 개구부로 구성된다. 증류 컬럼은, 증류 컬럼 내에서 가스 유동을 편향 및 방향 재지정하기 위해 컬럼 내에 배치된 일련의 트레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튜브는 직경(외경)이 0.75 내지 1.25 인치일 수 있고, 탄소강, 스테인리스 강, 구리/니켈,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합한 야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금속 튜브는 비등을 위한 내부 코팅과 응축 향상을 위한 외부 홈으로 구성된 고선속(High Flux) 알루미늄 튜브로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 튜브는 종래 기술의 탄소강 튜브 중량의 1/3 미만이다. 외부 홈은 홈 팁(tips)에서 액체가 응축된 후 홈 사이의 밸리로 배출되는 데 액체 배출이 향상되도록 50% 이상의 외부 표면적을 제공한다.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고려 사항으로 인해, 증류 컬럼은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경사진 측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일련의 튜브 지지체/동심원 유동 배플이 제공된다. 이들은 환형 유동 증기 분포를 촉진하기 위해 360도 동심원 링 배플일 수 있다. 링 배플의 모델링에 따라 2-6개의 직경이 상이한 링 배플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배플 지지체의 에지를 따라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링 배플이 중첩된 열이 존재한다. 배플은 일반적으로 튜브 진동을 방지하고 쉘측 압력 강하를 최소화하는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배열은 열 통합에 이상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는 두 개의 열 교환기(32) 및 교환기(34)가 설치된 증류 컬럼(10)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열 교환기(34)는 내부 부품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중심 파이프(24)와 배플(26)이 있는 열 교환기의 부분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도시된 입구 파이프(28)를 갖는 상부 허브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의 하부 및 상부에 있는 입구와 출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네 개의 열 교환기를 위한 공간이 있다. 도 2a에는 열 교환기를 제자리에 배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지체(33)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허브(42)로부터 각 열 교환기(32)의 상부까지 도시된 배관(28)이 있는 중심 허브(42) 주위에 배치된 네 개의 열 교환기(3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 측면도에는, 상부로부터 파이프(40)에 연결된 허브(42)까지 연장된 파이프(28)가 있는 두 개의 열 교환기(3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20)가 열 교환기(32)의 하부를 빠져나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증기가 중심 파이프(28)로부터 수직 슬롯(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중심 파이프로부터 반사상 방향으로 통과하는 동심원 열 교환기(34)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중심 파이프(28)와 열 교환기(34)의 외벽(42) 사이의 환형을 채우는 튜브가 있다. 튜브는 열 교환기의 하부 내로 액체가 유동하고 상부로부터 액체와 증기로 배출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열 교환기는 컬럼 섬프에 부분적으로 침지될 수 있다. 외부 쉘(42)은 절연되지 않으며, 이는 전체 유효 열전달 면적의 기여에 도움이 된다.
도 4는 열 교환기(100) 내의 단면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이다. 증기(108)를 도입하기 위한 중심 파이프(102)의 상부 부분이 쉘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104) 및 배플(106)에 따라 유동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응축 증기(110)는 열 교환기의 쉘 하부로 떨어지고, 쉘 외부와 튜브 내부에 비등 온도가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5a, 도 5b 및 도 5c에는 열 교환기(200) 내에서 환형 유동 배플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의 좌측에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환형 배플 (204) 및 환형 배플(206)이 중심 파이프(202) 주위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중간에는, 링(210, 212 및 214)이 있는 3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우측의 도 5c에는 네 개의 링(220, 222, 224 및 226)으로 도시된 가장 복잡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여섯 개의 링과 같은 더 복잡한 구성이 실현 가능하다.
도 6은 열 교환기 내에 침지된 튜브 번들의 구성을 도시한다. 증류 컬럼의 외벽(400)은 열 교환기(460)의 하부 부분이 부분적으로 액체(450)에 침지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튜브(410)로 구성된 튜브 번들은 각 두 튜브 사이에 공간(430)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가운 액체(405)는 튜브(410)를 통해 위쪽으로 통과하여 (440)에서 2상 액체/증기로 빠져나간다. 중심 증기 파이프의 벽(4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3개의 열 교환기가 제자리에 배치되어 있고 제4 열 교환기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거나 교체될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열 교환기(32)를 설치하거나 서비스할 수 있도록 경사진 접근 통로(85)를 가진 외벽(22)이 있는 증류 컬럼(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의 하부 부분이 상기 증류 컬럼의 하부 섬프 내에 위치하는 증류 컬럼을 포함한다. 적어도 열 교환기는 응축 증기 스트림의 동축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열 교환기는 내부 동심원 배플, 방사상 배플 블레이드 또는 나선형 배플과 같은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기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에는 일련의 개구가 있다.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의 일 단부에 부착되는 입구 파이프가 있을 수 있고, 하부 노즐로부터 액체 응축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출구 파이프가 제공된다. 일부 구성에서, 증류 컬럼 내에 2-6개의 열 교환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증류 컬럼은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재가열기 유닛, 분할 컬럼 또는 다른 유형의 컬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열 교환기의 직경의 중심점 주위에 위치하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 및 증류 컬럼의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사이의 환형 형상 공간을 채우는 다양한 금속 튜브가 있을 수 있다. 외부 쉘은 절연되지 않은 외부 쉘일 수 있다. 증류 컬럼에서, 각 금속 튜브는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액체가 하부 단부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액체 및 증기가 상부 단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4항의 증류 컬럼에 있어서, 상기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는 입구 파이프에 연결되는 증류 컬럼의 상부 섹션에 있는 개구부 및 출구 파이프와 연통되는 증류 컬럼의 하부 섹션에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증류 컬럼은, 증류 컬럼 내에서 가스 유동을 편향 및 방향 재지정하기 위해 칼럼 내에 위치된 일련의 트레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튜브는 탄소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 교환기 또는 다른 부품을 설치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증류 컬럼 내의 통로에 접근하는 개구가 있을 수 있다. 열 교환기의 하부 및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일련의 배플의 크기는 2, 3 또는 4개의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열 교환기의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에는 증기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수직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열 교환기는 부분적으로 액체에 침지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증류 컬럼 내의 튜브는 열 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개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부 섬프는 부분적으로 액체로 채워진다.

Claims (10)

  1. 증류 컬럼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의 하부 부분이 상기 증류 컬럼의 하부 섬프 내에 위치하는, 증류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는 응축 증기 스트림의 동축 유동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증류 컬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는 배플을 포함하는, 증류 컬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내부 동심 배플, 방사상 배플 블레이드 또는 나선형 배플로부터 선택되는, 증류 컬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는 일련의 개구가 있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증류 컬럼.
  6.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금속 튜브가 상기 열 교환기의 직경 중심점 주위에 위치하는 중심 증기 입구 파이프와 상기 증류 컬럼의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사이의 환형 형상의 공간을 채우는, 증류 컬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튜브 각각은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액체가 상기 하부 단부 내로 유입하도록 구성되고, 액체 및 증기가 상기 상부 단부에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증류 컬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컬럼 내에서 가스 유동을 편향 및 방향 재지정하기 위해 상기 컬럼 내에 위치된 일련의 트레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증류 컬럼.
  9. 설치 및 제거를 위해 상기 증류 컬럼을 통과하는 접근 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증류 컬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의 하부 및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2, 3 또는 4개의 크기가 다른 일련의 배플을 추가로 포함하는, 증류 컬럼.
KR1020247010878A 2021-09-07 2022-09-01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KR20240053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1283P 2021-09-07 2021-09-07
US63/241,283 2021-09-07
PCT/US2022/075831 WO2023039349A1 (en) 2021-09-07 2022-09-01 Vapor distribution system in a concentric reb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623A true KR20240053623A (ko) 2024-04-24

Family

ID=853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878A KR20240053623A (ko) 2021-09-07 2022-09-01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74304A1 (ko)
KR (1) KR20240053623A (ko)
CN (1) CN118043615A (ko)
WO (1) WO2023039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0346B (zh) * 2023-03-22 2023-08-01 东营联合石化有限责任公司 一种溶剂再生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129A (en) * 1961-07-03 1965-04-06 Halcon International Inc Distillation column and reboiler
US4114684A (en) * 1977-04-11 1978-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Tube support system for heat exchanger
US4436146A (en) * 1981-05-20 1984-03-13 Union Carbide Corporation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SE8206436L (sv) * 1981-11-20 1983-05-21 Serck Industries Ltd Rorvermevexlare och forfarande for tillverkning av sadan
GB8524598D0 (en) * 1985-10-04 1985-11-06 Boc Group Plc Liquid-vapour contact
US5141049A (en) * 1990-08-09 1992-08-25 The Badger Company, Inc. Treatment of heat exchangers to reduce corrosion and by-product reactions
JPH09276601A (ja) * 1996-04-17 1997-10-28 Jgc Corp 蒸留塔
US5775129A (en) * 1997-03-13 1998-07-07 The Boc Group, Inc. Heat exchanger
JP2002502017A (ja) * 1998-01-30 2002-01-22 リンデ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液体酸素蒸発方法及び装置
US6393866B1 (en) * 2001-05-22 2002-05-28 Praxair Technology, Inc. Cryogenic condensation and vaporization system
EP1582830A1 (en) * 2004-03-29 2005-10-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ryogenic separation of air
US8196909B2 (en) * 2009-04-30 2012-06-12 Uop Llc Tubular condensers having tubes with external enhancements
US9453674B2 (en) * 2013-12-16 2016-09-27 Praxair Technology, Inc. Main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for reboiling
US9366476B2 (en) * 2014-01-29 2016-06-14 Praxair Technology, Inc. Condenser-reboiler system and method with perforated vent tubes
US9488408B2 (en) * 2014-01-29 2016-11-08 Praxair Technology, Inc. Condenser-reboiler system and method
US10337792B2 (en) * 2014-05-01 2019-07-02 Praxair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rgon by cryogenic rectification of air
CN106766673A (zh) * 2015-11-20 2017-05-31 普莱克斯技术有限公司 带有穿孔排放管的冷凝器‑重沸器系统及方法
CN208852450U (zh) * 2018-07-25 2019-05-14 浙江森田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水氢氟酸生产用精馏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4304A1 (en) 2023-03-09
CN118043615A (zh) 2024-05-14
WO2023039349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1173B2 (en) Re-direction of vapor flow across tubular condensers
US8684337B2 (en) Tubular condensers having tubes with external enhancements
US8043417B2 (en) Column installed condenser
KR0123458B1 (ko) Hf 알킬화공정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쉘-및-튜브 열교환기 및 상기 시스템의 작동방법
US6349566B1 (en) Dephlegmator system and process
KR20240053623A (ko) 동심원 재가열기의 증기 분배 시스템
US20030221818A1 (en) Reflux condenser system for improved fluids separation
US20230314086A1 (en) System and methods of a vertical rod baffle heat exchanger
US20170307300A1 (en) Re-direction of vapor flow across tubular condensers
US8734618B2 (en) Apparatus
JP2008534257A (ja) カラム内での熱交換器の遮蔽方法
US4579629A (en) Apparatus for fractional distillation under vacuum
US20160367908A1 (en) Separation column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EP3856382B1 (en) A perforated-tray column and a method of revamping the same
RU2178324C2 (ru) Пленочный выпарной аппарат
RU2288020C1 (ru)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US3297549A (en) Apparatus for treating multicomponent liquids
KR100905460B1 (ko) 칼럼 내 열교환기의 차폐
JPH09184691A (ja) 複数基を一体とした,直交流型スパイラル式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