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030A - 기구물 탈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기구물 탈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030A
KR20240053030A KR1020220132843A KR20220132843A KR20240053030A KR 20240053030 A KR20240053030 A KR 20240053030A KR 1020220132843 A KR1020220132843 A KR 1020220132843A KR 20220132843 A KR20220132843 A KR 20220132843A KR 20240053030 A KR20240053030 A KR 2024005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xture
spring
rotat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귀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텍
Priority to KR102022013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030A/ko
Publication of KR2024005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6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rotation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기구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기구물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도를 증대시키고 탈착장치의 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구물 탈장착 장치는 벽면을 포함한 천장, 또는 고정된 사물에 부착되는 기구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고정부과 고정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부와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한 힌지로 구성되는 몸체;와, 직사각의 열림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닫힘면과 양측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를 수용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힌지부로 구성되는 회전편;과 회전편을 몸체 내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기구물 탈장착구가 원래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구물 탈장착 장치 {FIXING AND TAKING AWAY DEVICE OF FIXING OBJECTS}
본 발명은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기구물을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장을 포함하는 벽면에 천장등을 포함한 등기구뿐만 아니라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기구물을 탈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등기구인 천장등(조명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밝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실내장식을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통상 사각형이나 원형 등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정해진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벽면이나 천장면에 장착되는 조명등 하우징(Housing)과, 상기 조명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Socket)에 끼워져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의 제어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제어되는 램프 또는 LED 모듈과, 상기 램프 또는 LED 모듈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조명등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램프 또는 LED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실내공간으로 투과시키는 조명등 커버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에서는 커버를 한손으로 밀어올려서 본체를 접촉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커버중심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체결봉에 너트를 돌려 끼워야 하므로 커버체결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6322호 '탄착장식을 갖푼 조명기구'가 게시 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원터치 방식의 커버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조명기구로, 커버둘레를 따라 걸림벽면을 형성시키고, 이 걸림벽면에 의해 작동되는 탄착장식을 본체내의 적개소에 설치하여 원터치식으로 커버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으로, 상기 탄착장식은 몸체와, 이 몸체 내에 힌지 고정되는 ㄱ자형 탄지편이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구성을 이루며, 탄지편은 닫힘면과 열림면으로 구성되면서 스프링걸이부가 힌지축보다 상부에 형성되어서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탄지편의 닫힘면과 열림이 수직의 몸체에 대해 수평이나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탄착장식을 갖춘 조명기구이다.
따라서, 원터치 방식에 의한 커버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전등교환이나 고장수리 또는 청소시에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위험성이 전혀 없게 되므로 커버 착탈방법에 실용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고안의 탄착장식은 등기구 장착시 커버에 가려 장착구가 보이지 않아 컵의 플렌지와 장착구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커버가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는 장착 실패의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장착구의 회전편이 V자 형상을 하고 있어 커버를 기울여 장착구를 보면서 플렌지를 장착구 열림면에 접촉하고 반대쪽을 올려 장착하는 경우에도 커버의 플렌지가 홈에 빠져 커버 플렌지가 벗어나 장착에 실패하는 것이 빈번하다.
또한 스프링 장력이 강해 장착구의 회전편 충격에 의해 커버의 플렌지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며 장착시 항상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시장이 LED 조명으로 변화되면서 등기구가 낮아져 음영이 생기지 않게 낮은 형상을 요구되나 장착구의 형상이 높게 구성되어 있어 음영이 발생하는 치명적 문제점도 있다.
또다른 천장등 커버 고정장치로는 슬라이딩판을 끼워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 또한 천장에 접촉하여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설치되어 천장의 도배지나 설치물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따라서 장착의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천장등 커버 고정장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9052호(2017.03.22. 공고)에는, 천장등 커버를 천장에 장착된 등기구 프레임에 하부에서 상부로 눌러 결합하고, 탈거할 때에는 하부로 잡아 당겨 탈거할 수 있도록 한 천장등 커버 탈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천장등 커버를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는 있으나, 천장등 커버가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탈락 조작 없이도 쉽게 탈락되어 채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천장등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일정 기간이 경과 시 스프링의 지지력 약화로 인하여 천장등 커버가 스스로 탈락되어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36322(1998.11.1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8216(2017.05.2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기구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기구물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내구도가 증대되며 탈착장치의 갯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물 장착 시 장착장치를 보며 기구물의 한쪽을 걸치고 다른 한쪽을 장착하더라도 기구물의 플렌지(걸림벽면)가 안쪽으로 몰려 다른 한쪽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구물의 장착에 실패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는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물 장착 시 등기구 커버가 천장에 접촉되어 옆으로 이동하여 천장 도배지 또는 설치물을 손상시키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커버를 상하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설치 가능한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광원에 의해 음영이 지지 않도록 탄력장착구의 높이가 충분히 낮게 구성할 수 있는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물 장착장치가 기구물을 고정할 때에 회전 충격에 의해 기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완화 장치를 갖는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코너 장식 또는 별도의 돌출물 등이 없어도 기구물 커버의 측면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벽면을 포함한 천장, 또는 고정된 사물에 부착되는 기구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고정부과 고정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부와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 또는 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몸체;와, 직사각의 열림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닫힘면과 열림면 양측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힌지부에 상기 몸체와 힌지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 또는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가 형성된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과 몸체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편이 몸체 내에 힌지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편이 열림상태와 닫힘 상태로 유지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편이 열림상태일 때, 회전편의 열림면이 몸체의 수직부 선단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의 고정부 후방에서 돌출한 돌기와 상기 회전편의 열림면에서 돌출한 돌기를 탄성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구물의 한쪽을 걸칠 수 있게 상기 회전편의 열림면 후방에서 열림면의 상단을 지나 열림면에 대해 수직 전방으로 돌출되는 토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전편이 회전하여 기구물을 지지할 때, 상기 토션 탄성부재가 회전편보다 먼저 기구물에 접촉하게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완충 토션스프링)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조명기기의 본체 또는 지지금구의 일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기구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기구물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내구도가 증대되며 탈착장치의 갯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기구물 장착 시 장착장치를 보며 기구물의 한쪽을 걸치고 다른 한쪽을 장착할 수 있어 기구물 장착이 쉽다.
또한, 기구물의 한쪽을 걸칠 때 기구물의 걸림벽면이 안쪽으로 몰려 다른 한쪽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구물의 장착에 실패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기구물을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려 장착하므로 천장 도배지 또는 설치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기구물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기구물 장착장치의 높이가 충분히 낮아 LED 광원에 의해 음영이 지지 않는 기구물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구물을 고정할 때에 충격완화를 위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여 충격에 의해 기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구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구물 커버의 측면 위치를 안내하는 역활을 할 수 있어 커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코너 장식 또는 별도의 돌출물 등이 없어도 기구물 커버의 측면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탄력장착구(철장식)가 적용된 등기구에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커버 장착이 실패한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력장착구의 뒷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력장착구의 앞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판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인장스프링과 걸치기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인장스프링과 완충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의 사시도로 a)걸치기 및 충격감소 기능을 하는 걸치기 스프링과 b)충격감소 기능을 하는 완충 스프링을 표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를 조명기기에 장착한 제3 실시 예로서 커버를 손쉽게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a) 탄력장착구의 걸치기 스프링에 장착할 커버의 한쪽을 걸치는 단계
b) 반대편 커버를 반대쪽 탄력장착구까지 밀어올리는 단계
c) 양쪽 탄력장착구의 닫힘면을 가압하는 단계
d) 단힘면의 가압에 의해 회전편이 회전하여 열림면이 커버의 돌기를 밀어 커버가 천장에 고정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를 조명기기에 장착한 제3 실시 예로서 a) 커버의 측면이 탄력장착구의 측면 경사부에 의해 안내되어 b) 커버가 정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서 탄력장착구의 몸체가 금구의 일부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천장등을 포함한 등기구뿐만 아니라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다양한 기구물을 천장을 포함한 벽면 또는 고정물에 탈장착할 수 있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아래의 설명에서는 천장등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탄력장착구(철장식)가 적용된 등기구에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커버 장착이 실패한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력장착구의 뒷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력장착구의 앞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판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100)는, 기구물로서 천장등 모듈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2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 및 회전편과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장등 모듈을 구성하는 천장등 프레임(고정 프레임) 또는 천장등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1)과 고정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부(12)와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한 힌지(13)로 구성되는 몸체(10);와, 직사각의 열림면(21)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닫힘면(22)과 양측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13)를 수용하는 힌지홈(24)이 형성된 힌지부(23)로 구성되는 회전편(20);과 상기 회전편(20)이 몸체(10) 내에 힌지(13)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편(20)이 열림상태와 닫힘 상태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천장등 프레임은 천장에 직접 결합되는 금구이고, 천장등 본체는 PCB 및 커버가 부착되는 철재 절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천장등 프레임(고정 프레임) 또는 천장등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19)이 고정부(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1)의 양단에는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부(12)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그 끝단의 전방부에서 몸체 내부로 수직 돌출되는 힌지(13)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13)는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고정부(13)에 대해 20°~ 70°의 각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14)은 수직부(12)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열림상태와 닫힘상태일 때의 회전편의 위치를 안내하고 제한 할 수 있다. 고정부(11)의 후방에는 탄성부재(30, 35)와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걸림부(15)의 형상은 탄성부재(30, 35)의 형상에 따라 고정하기 쉽게 꺽어진 턱(15)을 형성하거나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곳에 관통 구멍(1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편은 수평으로 긴 직사각의 열림면(21)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닫힘면(2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두면은 60°~ 120°의 각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열림면의 양측방에는 끝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13)와 결합하는 힌지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의 중앙 하단에는 상기 힌지와 결합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힌지가 결합하기 위해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힌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열림면(21)의 후방으로 탄성부재(30, 35)와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부(25)가 열림면의 중알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걸림부(25)의 형상은 탄성부재(30, 35)의 형상에 따라 고정하기 쉽게 꺽어진 턱(25)을 형성하거나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곳에 관통 구멍(26)이 형성될 수 있다. 열림면의 상부에는 기구물이 장착구에 삽입되기 쉽게 후방으로 경사진 기구물 안내편(29)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회전편은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다이케스팅으로 가능하지만 철편 또는 철재 절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스프링(탄성부재)은 탄성을 가진 모든 재질이 가능하지만 철재의 판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판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몸체의 스프링 걸림부(15)와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6)를 연결하기 위해 양 끝단에 꺽어진 턱(31, 3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편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한편으로 굽어진 판상의 철편일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듯이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와 판스프링의 꺽인 부분이 결합하는 부분(25, 32)의 위치는 힌지홈의 중앙인 힌지점에 대해 회전편이 열린 상태에서는 힌지점보다 위에, 회전편이 닫힌 상태에서는 힌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구물 탈장착 장치(회전 탄력장착구)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몸체(10)의 힌지(13)에 지지되어 힌지스프링(30)의 탄성력에 회동하는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5)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5)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위쪽에 있으면 회전편(20)은 후방(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힌지부 후방 돌기(23a)가 걸림턱(1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며 동시에 열림면의 선단부(21)는 몸체의 수직선단부(12a)와 동일 선상에 있게 된다. 이때 회전 탄력장착구는 열림(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 기구물이 열림면의 벽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기구물의 플렌지(211)가 회전편의 닫힘면(22)를 가압하면 회전편(2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25-32, 15-31)는 멀어져 탄성력이 증가된다. 가압력에 의해 회전편(20)이 점점 회전하여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5)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5)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편(20)은 힌지스프링(30)의 탄성력에 힘을 받아 전방(반 시계방향) 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기구물의 플렌지(211)를 회전편의 열림면(21)이 눌러 기구물(210)이 천장 또는 본체(200)에 고정되게 된다. 하지만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25-32, 15-31) 거리는 충분히 좁혀지지 않아 힌지스프링(탄성부재)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회전편(20)을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당기게 되므로 장착구는 닫힌상태가 되고 기구물(210)은 고정된 상태(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전편의 열림면과 닫힘면의 접점인 꺽인 부분은 힌지점보다 낮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열림면과 닫힘면의 접점인 꺽인 부분이 힌지점에 있는 기존의 장착구보다 장착구의 그림자가 낮게 형성되거나 그림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편(2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구물(210)을 고정할 때에 회전편의 상부(29)가 기구물의 플렌지(211)를 강하게 충격할 수 있으므로 기구물 플렌지(211)를 충분히 강하게 설계하거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구물(210)이 고정된 상태(장착구가 닫힌상태)에서 기구물(210)에 힘이 가해져 회전편의 열림면(21)을 가압하면 회전편(2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15, 25)는 멀어져 탄성력이 증가된다. 기구물(21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편(20)이 점점 회전하여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5)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5)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윗쪽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편(20)은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힘을 받아 후방(시계방향) 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힌지부 후방 돌기(23a)가 걸림턱(1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회전 탄력장착구(100)는 완전히 개방되게 되며 기구물(210)은 장착구에서 이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구물(210)을 장착할 때 기구물의 플렌지(211)를 열림면(21)에 붙여 장착하는 것으로 장착 작업이 쉬워진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철장식(4)을 적용한 경우(도 1 참조) 열림면(6, 6c)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여 기구물(2) 장착 시 기구물 플렌지(2a)를 열림면(6)에 접촉 후 장착을 시도하면 플렌지가 홈에 빠져 반대쪽 플렌지(2a)가 닫힘면(6b)을 가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장착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작업자는 등기구 커버(2)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 장착을 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커버 플렌지(2a) 양쪽을 양쪽 철장식(4, 적어도 4개 이상) 회전편(6, 6c)에 맞추어아 하지만 커버(2)에 가려 철장식(4)을 볼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워 커버 장착이 쉽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는 서로 마주한 두개의 탄력 장착구의 열림면(21)이 고정부(11)와 수직 상태에 있어 같은 거리를 유지하므로 한쪽 회전 탄력장착구(100)를 보면서 커버(210)를 기울여 커버 플렌지(211)를 탄력장착구의 열림면(21)에 접촉시킨 후, 커버의 다른 쪽을 밀어 올려 동시에 양쪽 탄력장착구의 닫힘면(22)을 가압하여 장착하더라도 커버의 플렌지(211)가 이탈할 가능성이 없어 누구나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는 아래에서 위로 장착하는 방식이므로 천장에 접촉 상태에서 수평으로 이동해 장착하는 일부 기존 장착구에서 발생하는 천장 도배지 등을 손상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인장스프링과 걸치기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인장스프링과 완충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탄력장착구의 a)열림상태와 b)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의 사시도로 a)걸치기 및 충격감소 기능을 하는 걸치기 스프링과 b)충격감소 기능을 하는 완충 스프링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를 조명기기에 장착한 제3 실시 예로서 커버를 손쉽게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a) 탄력장착구의 걸치기 스프링에 장착할 커버의 한쪽을 걸치는 단계, b) 반대편 커버를 반대쪽 탄력장착구까지 밀어올리는 단계, c) 양쪽 탄력장착구의 닫힘면을 가압하는 단계, d) 단힘면의 가압에 의해 회전편이 회전하여 열림면이 커버의 돌기를 밀어 커버가 천장에 고정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110, 111)는 천장등 모듈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7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 및 회전편(20)과 힌지스프링(30, 35), 충격완화 스프링(40, 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구성인 몸체, 회전편, 힌지스프링의 구성은 유사하나 힌지스프링이 판 스프링에서 인장 스프링으로 바뀌고 그에 따른 주변 연결부가 걸고리와 걸고리를 걸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별점은 충격완화 스프링이 회전편에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구성이 같은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몸체의 스프링 걸림부(16)는 고정부(11)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스프링 걸고리(35a)를 걸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각도는 20°~ 80°의 각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편의 힌지부(23)의 상부에는 충격완화 스프링(40, 41)을 걸수 있는 스프링 걸이홈(27)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걸림부(26)는 열림면(21)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스프링 걸고리(35a)를 걸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각도는 20°~ 80°의 각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스프링(탄성부재)은 인장코일 스프링(35)으로 양쪽 끝단에 걸고리(35a)가 형성되어 한쪽은 몸체의 스프링 걸림부(16)에 다른 한쪽은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6)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걸고리로 걸어 연결하되 고정하고자 하는 기구물(210)의 하중에 따라 인장 스프링(35)의 탄성력을 조절하거나 하나 이상 여러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충격완화 스프링(40, 41)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Z"자 형태를 갖고 일정 간격 떨어져 나란히 배치된 두개의 선재 한쪽 끝은 선재로 연결(47)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각각 회전 코일(4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은 동축선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핀(4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42)은 회전편의 힌지부(23)에 형성된 토션스프링 걸이홈(27)에 고정되고 회전편의 열림면 뒷면에 지지가되어 열림면의 상부(29)를 지나 돌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스프링(41)은 열림면의 기구물 안내면(29)을 예각으로 감싸고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걸치기 스프링(40)은 열림면의 기구물 안내면(29)을 지나 닫힘면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회전 탄력장착구)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몸체(10)의 힌지(13)에 지지되어 힌지스프링(35)의 탄성력에 회동하는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6)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6)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위쪽에 있으면 회전편(20)은 후방(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힌지부 후방 돌기(23a)가 걸림턱(1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며 동시에 열림면의 선단부(21)는 몸체의 수직선단부(12a)와 동일 선상에 있게 된다. 이때 회전편의 스프링 걸이홈(27)에 삽입되어 회전편의 기구물 안내편(29)을 넘어 걸치기 스프링의 걸치기부(45)는 닫힘면과 나란히 돌출되어 있다.(도 7a 참조)
이 상태에서 기구물(21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구물(210)을 기울여 기구물의 한쪽 플렌지(211)를 회전편의 열림면(21)과 접한 후에 플렌지(211)가 회전편의 닫힘면(22)를 가압하면 회전편(2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16, 26)는 멀어져 탄성력이 증가된다. 가압력에 의해 회전편이 점점 회전하여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6)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6)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편(20)은 힌지스프링(35)의 탄성력에 힘을 받아 전방(반 시계방향) 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기구물의 플렌지(211)를 회전편의 열림면(21)이 눌러 기구물(210)이 천장 또는 본체(200)에 고정되게 된다.
하지만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16, 26) 거리는 충분히 좁혀지지 않아 힌지스프링(35)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회전편(20)을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당기게 되므로 기구물(210)은 고정된 상태(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충격완화 스프링(40, 41)은 회전편(20)과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충격완화 스프링의 선단(45, 46)이 회전편의 상부(29)보다 먼저 기구물의 플렌지(211)에 접촉하게 되어 스프링(40, 41)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회전편(20)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회전편(20)이 기구물 플렌지(211)에 가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등기구 커버를 장착할 때를 설명하면 a) 커버를 등기구에 장착할 때 탄력장착구를 보면서 커버 플렌지를 탄력장착구의 걸치기 스프링에 걸칠 수 있어 장착 작업이 쉬워지며, b) 반대편 커버 플렌지를 반대쪽 탄력장착구까지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걸쳐있는 플렌지가 열림면을 타고 올라가더라도 양쪽 장착구의 열림면은 평행하여 반대편 플렌지가 반대편 장착구의 닫힘면을 넘어 가지 않게 유지가 되고, 이때 플렌지가 완충 스프링의 완충부에 접촉하게 되면 완충부가 뒤로 물러나며 플렌지가 장착구의 닫힘면에 접근하게 허용하며, c) 양쪽 탄력장착구의 닫힘면을 컵 플렌지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압해도 장착에 실패하지 않으며, d) 양쪽 걸치기 스프링과 완충 스프링이 플렌지에 먼저 접촉하여 각 스프링의 탄성력을 회전편에 전달하여 회전편의 회전력이 감소된 상태로 회전편의 열림면이 플렌지를 밀어 커버가 천장에 고정된다.
그리고 기구물(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구물(210)에 힘이 가해져 회전편의 열림면(21)을 가압하면 회전편(2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 결합부(16, 26)는 멀어져 탄성력이 증가된다. 가압력에 의해 회전편(20)이 점점 회전하여 회전편의 스프링 걸림부(26)가 몸체의 스프링 결합부(16)와 힌지점(24)을 잇는 선의 윗쪽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편(20)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힘을 받아 후방(시계방향) 쪽으로 회전하게 되어며 힌지부 후방 돌기(23a)가 걸림턱(1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회전 탄력장착구(100)는 완전히 개방되게 되며 기구물(210)은 장착구에서 이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때 완충 스프링 쪽 플렌지를 먼저 이탈시키고 걸치기 스프링 쪽 플렌지는 수평이로 이동하여 커버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를 조명기기에 장착한 제3 실시 예로서 a) 커버의 플렌지(211)가 회전편의 측면안내부(29a)의 경사부에 의해 안내되어 b)커버가 정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코너 장식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서 탄력장착구의 몸체가 금구의 일부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탄력장착구 몸체가 금구 또는 조명기기의 본체의 일부로서 제조되면 부품 제조비용 및 조립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물 탈장착 장치에 의하면, 각 부품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조립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구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착시킬 수 있어 설치 및 교체 또는 보수 등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관리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기구물을 채용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재질적 선택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기구물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기구물이 탈락하여 낙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5 : 몸체, 11 : 고정부, 12 : 수직부, 12a : 수직선단부,
13 :힌지, 14 : 걸림턱, 15 : 스프링걸림부, 19 : 볼트 체결공,
20, 6 : 회전편, 21, 6c : 열림면, 22, 6b : 닫힘면, 23 : 힌지부,
24 : 힌지홈, 25, 26 : 스프링걸림부, 27 : 압축스프링 걸이홈,
28 : 압축스프링 안내홈, 29 : 전방 안내부, 29a : 측면 안내부
30, 35 : 힌지 스프링, 40 : 걸치기 스프링, 41 : 충격감소 스프링,
42 : 걸림핀, 43 : 코일부, 45 : 걸치기부, 46 : 완충부
100, 4 : 기구물 탈장착 장치(탄력장착구)
200, 1 : 본체, 금구 210, 2 : 커버, 211, 2a : 커버 플렌지

Claims (5)

  1. 벽면을 포함한 천장, 또는 고정된 사물에 부착되는 기구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기구물 탈장착 장치로서,
    고정부과 고정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부와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 또는 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몸체;와,
    직사각의 열림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닫힘면과 열림면 양측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힌지부에 상기 몸체와 힌지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 또는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가 형성된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과 몸체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편이 몸체 내에 힌지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편이 열림상태와 닫힘 상태로 유지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편이 열림상태일 때, 회전편의 열림면이 몸체의 수직부 선단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2. 제 1항에서 상기 회전편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쪽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 향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3. 제 1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의 고정부 후방에서 돌출한 돌기와 상기 회전편의 열림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돌기를 탄성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4. 제 1항에서 상기 기구물의 한쪽을 걸칠 수 있게 상기 회전편의 열림면 후방에서 열림면의 상단을 지나 열림면에 대해 수직 전방으로 돌출되는 토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전편이 회전하여 기구물을 지지할 때, 상기 토션 탄성부재가 회전편보다 먼저 기구물에 접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5. 제 1항에서 상기 몸체는 조명기기의 본체 또는 지지금구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KR1020220132843A 2022-10-16 2022-10-16 기구물 탈장착 장치 KR20240053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843A KR20240053030A (ko) 2022-10-16 2022-10-16 기구물 탈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843A KR20240053030A (ko) 2022-10-16 2022-10-16 기구물 탈장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030A true KR20240053030A (ko) 2024-04-23

Family

ID=9088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843A KR20240053030A (ko) 2022-10-16 2022-10-16 기구물 탈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0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322Y1 (ko) 1996-04-02 1999-05-15 김영수 탄착장식을 갖춘 조명기구
KR101738216B1 (ko) 2014-12-03 2017-05-22 이영규 천정등 탈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322Y1 (ko) 1996-04-02 1999-05-15 김영수 탄착장식을 갖춘 조명기구
KR101738216B1 (ko) 2014-12-03 2017-05-22 이영규 천정등 탈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216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481965B1 (ko) 원터치 탈착형 엘이디 조명장치
JP6258072B2 (ja) 照明器具
KR20240053030A (ko) 기구물 탈장착 장치
JP2015162365A (ja) 照明装置用バネ及び照明装置
KR20240056807A (ko) 충격 감소 기능을 갖는 기구물 탈장착 장치
KR101033942B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JP6509313B2 (ja) 照明器具
KR20230164273A (ko)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100654519B1 (ko) 조명기구
JP6293204B2 (ja) 照明器具
WO2015129637A1 (ja) 照明装置用バネ、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JP6192772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取付方法
JP6626077B2 (ja) 照明装置
JP5147118B2 (ja) 照明器具
JP6095831B2 (ja) 照明器具
KR20150117386A (ko) 다운라이트의 천정 고정구조
CN217356603U (zh) 壁灯
CN217815809U (zh) 一种吊挂组件及吊挂装置
JP5288590B2 (ja) 照明器具
JP2016181517A (ja) 照明器具用取付バネ及び光源ユニット
JP6448752B2 (ja) 照明器具
JP3240718U (ja) 天井灯
JP5147117B2 (ja) 照明器具
JP6665152B2 (ja) 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