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687A -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687A
KR20240052687A KR1020230136308A KR20230136308A KR20240052687A KR 20240052687 A KR20240052687 A KR 20240052687A KR 1020230136308 A KR1020230136308 A KR 1020230136308A KR 20230136308 A KR20230136308 A KR 20230136308A KR 20240052687 A KR20240052687 A KR 2024005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compound
difluoromethyl
group
oxadiaz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택
송혜승
이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ublication of KR2024005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10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Non-condensed thi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10Spir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I]

Description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Sulfoximin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Histone deacetylase 6, HDAC6) 억제 활성을 가지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포에서 아세틸화(acetylation) 같은 전사 후 수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은 생물학적 과정의 중심에서 매우 중요한 조절 모듈이며, 다수의 효소에 의해 엄격히 제어된다. 히스톤(Histone)은 염색질을 구성하는 중심 단백질로서, 이들은 DNA가 감기는 축 역할을 하여 DNA의 응축(condensation)을 도와준다. 또한, 히스톤의 아세틸화(acetylation)와 탈아세틸화(deacetylation) 간의 균형은 유전자 발현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는 염색질을 구성하는 히스톤 단백질 라이신(lysine) 잔기의 아세틸(acetyl)기를 제거하는 효소로서, 유전자 침묵(gene silencing)과 관련이 있으며 세포주기 정지, 혈관형성억제, 면역조절, 세포 사멸 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Hassig et al., Curr. Opin. Chem. Biol. 1997, 1, 300-308). 또한, HDAC 효소 기능의 억제는 생체 내에서 암세포 생존 관련 인자들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암세포 사멸관련 인자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 스스로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arrell et al, J. Natl. Cancer Inst. 1998, 90, 1621-1625).
인간의 경우 18개의 HDAC가 알려져 있으며 효모(yeast) HDAC와의 상동성(homology)에 따라 4개의 그룹(class)으로 분류된다. 이때 보조인자를 zinc로 사용하는 11개의 HDAC들은 Class I(HDAC1, 2, 3, 8), Class II(IIa: HDAC4, 5, 7, 9; IIb: HDAC6, 10) 및 Class IV(HDAC11)의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추가적으로 Class III(SIRT 1-7)의 7개의 HDAC들은 zinc 대신 NAD+를 보조인자로 사용한다 (Bolden et al., Nat. Rev. Drug Discov. 2006, 5(9), 769-784).
다양한 HDAC 억제제들이 전임상 또는 임상 개발 단계에 있지만, 현재까지 비선택적 HDAC 억제제만이 항암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vorinostat(SAHA)와 romidepsin(FK228)은 피부 T-세포 림프종(cutaneous T-cell lymphoma) 치료제로, panobinostat(LBH-589)는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비선택적인 HDACs 억제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용량에서 무기력함(Fatigue)과 구토(Nausea)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iekarz et al., Pharmaceuticals 2010, 3, 2751-2767). 이러한 부작용은 Class I HDACs의 억제 때문이라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 등으로 인해 비선택적인 HDACs 억제제는 항암제 이외의 분야에서 약물 개발에 제한을 받아왔다 (Witt et al., Cancer Letters 277, (2009), 8-21).
한편, 선택적 Class II HDAC 억제의 경우 Class I HDAC 억제에서 나타났던 독성은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보고가 있고 선택적인 HDAC 억제제를 개발할 경우 비선택적인 HDAC 억제에 의한 독성 등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인 바, 선택적 HDAC 억제제는 다양한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Matthias et al., Mol. Cell. Biol. 2008, 28, 1688-1701).
Class IIb HDAC 중의 하나인 HDAC6는 주로 세포질(cytoplasma)에 존재하며 튜불린 단백질을 포함하여 다수의 비-히스톤(non-Histone) 기질(HSP90, cortactin 등)의 탈아세틸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Yao et al., Mol. Cell 2005, 18, 601-607). HDAC6는 2개의 촉매 도메인(catalytic domain)을 가지고 있고 C-말단(terminal)의 zinc 핑거 도메인(finger domain)은 유비퀴틴화된 단백질(ubiquitinated protein)과 결합할 수 있다. HDAC6는 다수의 비-히스톤 단백질을 기질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cancer), 염증성(inflammatory) 질환, 자가면역(autoimmune) 질환, 신경학적 질환(neurological diseases) 및 퇴행성신경(neurodegenerative disorders) 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anto et al., Blood 2012 119, 2579-2589; Vishwakarma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13, 16, 72-78; Hu et al., J. Neurol. Sci. 2011, 304, 1-8).
다양한 HDAC 억제제들의 공통적인 구조적 특징은 아래의 vorinostat의 구조와 같이 캡 그룹(Cap group), 링커 그룹(Linker group) 및 아연-결합 그룹(Zinc Binding Group, ZBG)으로 이루어져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캡 그룹과 링커 그룹의 구조적 변형을 통해 효소에 대한 억제 활성 및 선택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에서 아연-결합 그룹은 효소 억제 활성과 선택성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Wiest et al., J. Org. Chem. 2013 78: 5051-5055; Methot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08, 18, 973-978).
상기 아연-결합 그룹의 대부분은 하이드록사믹산(hydroxamic acid) 또는 벤즈아마이드(benzamide)이며, 이 중 하이드록사믹산 유도체는 강력한 HDAC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만 낮은 생체 이용률(bioavailability)과 심각한 오프-타겟 활성(off-target activity) 문제를 가지고 있다. 벤즈아마이드의 경우 아닐린(aniline)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독성 대사체(toxic metabolites)를 생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Woster et al., Med. Chem. Commun. 2015, online publication).
이에 따라, 암(cancer), 염증성(inflammatory) 질환, 자가면역(autoimmune) 질환, 신경학적(neurological diseases) 질환 및 퇴행성 신경(neurodegenerative disorders) 질환 등의 치료를 위해 부작용이 있는 비선택적인 억제제와 달리 부작용이 없으면서 생체 이용률이 개선된 아연-결합 그룹을 가지는 선택적인 HDAC6 억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1/091213호 (2011. 7. 28 공개): ACY-1215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1/011186호 (2011. 1. 27 공개): Tubastatin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52110호 (2013. 4. 11 공개): Sloan-K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41407호 (2013. 3. 28 공개): Cellzome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134467호 (2013. 9. 12 공개): Kozi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08162호 (2013. 1. 17 공개): Novartis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80120호 (2013. 6. 6 공개): Novartis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5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8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3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9호 (2013. 5. 10 공개): Tempero
본 발명의 일 목적은 HDAC6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DAC6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DAC 매개 (HDAC mediated)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HDAC6 억제 활성을 갖는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을 확인하고 이를 HDAC 매개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의 구체적인 서술에 의해 본 발명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CF2H 또는 CF3이고,
L1은 -(C1-3알킬렌)-,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Ra는 H 또는 C1-6알킬이고,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a, b, c, d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며,
는 C3-12사이클로알킬,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방향족 고리기와 비방향족 고리기가 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9원 내지 12원의 융합 고리기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2-6알케닐, C2-6알키닐, C3-10사이클로알킬, C3-12사이클로알케닐,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c는 H 또는 C1-6알킬이고,
는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 , 또는 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Z는 CH 또는 N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 q, r, s 및 t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고,
L2는 단결합, -(C=O)-, -C(=O)O-, -C(=O)O-(C1-3알킬렌)- 또는 -S(=O)2-이고,
R2는 H, C1-6알킬, C6-C12아릴, CF3 또는 -(P=O)(ORb)2이고,
Rb는 H 또는 C1-6알킬이며,
R3은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서, 작용기의 “Cx”의 표시에서 x는 탄소(C)의 개수를 나타내고, Cx-y는 탄소 수 x 이상 y 이하의 정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결합"은 인접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끼리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선형(또는 직쇄형, linear)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분지형(또는 측쇄형, branched)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및 n-헵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알킬렌”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상기와 같이 정의된 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알킬렌은 메틸렌이다.
본 발명에서 "알케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 사이의 적어도 1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키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 사이의 적어도 1개의 삼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일환 방향족 또는 다환 방향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환 방향족은 페닐, 다환 방향족은 바이페닐, 나프탈렌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벤질"은 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헤테로아릴"은 상기 아릴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탄소원자가 질소(N), 산소(O) 또는 황(S)으로 치환된 일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 고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헤테로아릴이 헤테로 원자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피리딘일, 티오펜일, 트리아졸일, 테트라졸일, 벤조티아졸일, 벤조티오펜일, 퀴놀린일, 인돌일, 이소인돌일, 벤조퓨란일, 벤조피롤일, 퓨란일, 피롤일, 티아졸일, 이소티아졸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옥사졸일, 이소옥사졸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이소퀴놀린일, 벤조옥사졸일, 벤조이미다졸일, 퓨린일, 인돌리진일 및 크로멘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알킬"은 고리를 포함하는 3 이상의 명시된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하며, 포화탄화수소 고리는 일환 또는 다환 고리 구조, 나아가 브릿지 고리(bridged ring) 또는 스피로(spiro) 구조와 같은 이중 또는 다중 고리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일, 스피로[4.4]노난일 및 바이사이클로[2.2.1]헵탄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상기 사이클로알킬에서 고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로 치환된 고리형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서는, 옥시란일, 옥세탄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롤리딘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알케닐"는 상기 정의된 사이클로알킬 구조가 적어도 1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은 상기 정의된 사이클로알케닐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로 치환된 작용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융합 고리기(fused ring group)"는 방향족 고리기와 비방향족 고리기의 융합 구조를 포함한다. 방향족 고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포함하고, 비방향족 고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융합 고리기는 상기에서 정의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및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고리가 융합된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합 고리기는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어느 하나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리가 융합된 구조(예를 들어, 또는 , 이때, Y1 내지 Y7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S 또는 O일 수 있고 각 원자의 결합수에 맞추어 수소가 결합될 수 있으며, Y1-Y2-Y3은 모두 단일 결합이거나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Y4-Y5-Y6-Y7는 모두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1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음) 또는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 중 어느 하나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리가 융합된 구조(예를 들어, 또는, 이때, Y1 내지 Y7의 정의는 상기와 동일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는 연결되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설폭시민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에서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또는 -O-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는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 또는 이고,
R1, R2, R3, Ra, Rb, Rc, Q1, Q2, L2, Z, a, b, c, d, k, m, n, p, q, r, s 및 t는 각각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설폭시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a]
상기 화학식 Ia에서,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방향족 고리기와 비방향족 고리기가 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9원 내지 12원의 융합 고리기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Z1, Z2,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X 또는 N이되, Z1 내지 Z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 또는 N이고,
X는 할로겐이며,
, , 또는 이고, 상기 중 하나 이상의 H는 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a, Rc, Q1, Q2, L2, Z, k, m, n, p, q, r, s 및 t는 각각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a의 에서, Z는 L1과 결합하고, N은 L2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설폭시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b]
상기 화학식 Ib에서,
, 또는 이고,
Z5, Z6, Z7 및 Z8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X 또는 N이되, Z5 및 Z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 또는 N이고,
Z9은 CH2, CHX, CX2, NR7, O 또는 S이고,
R7은 H 또는 C1-6알킬이고,
X는 할로겐이며,
, R1, R2, L2, Z, m 및 n은 각각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Ia에서,
Z1은 CX 또는 N이고,
Z2는 CH, CX 또는 N이고,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X는 할로겐이며,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H-,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벤질,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또는 -O-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1, R2, Rc, L2, Z, m, n 및 Rc는 각각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Ia에서,
Z1은 CF 또는 N이고,
Z2는 CH, CF 또는 N이고,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H-, , , 또는 이고,
R2는 H, C1-6알킬, C6-C12아릴, CF3 또는 -(P=O)(ORb)2이고,
Rb는 C1-6알킬이며,
는 C6-C12아릴, 벤질,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상기 의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c는 C1-6알킬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폭시민 화합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의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포타슘, 소듐 또는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또는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또는 바닐릭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라이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또는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은 1개 이상의 비대칭 탄소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세미체, 라세믹 혼합물, 단일의 에난티오머, 단일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성질체는 종래기술, 예를 들어 관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 등의 분할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다. 또는, 공지된 배열의 광학적으로 순수한 출발물질 및/또는 시약을 사용하여 입체특이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체 이성질체"는 부분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 및 거울상 이성질체(enantiomer)를 포함하는 것으로, 거울상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라세미체까지 모두 포함한다.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13에 따를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을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으로 변형한 제조 방법 또한 본원 제조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 내지 13에서, 는 화학식 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하기 반응식 1 내지 13에서, "R" 및 는 아무것도 아니거나, 화학식 I에서 의 수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치환될 수 있는 치환기로 정의한 것을 의미하며, 에 결합되는 R 및 는 1개씩 표시하였으나, 2개 이상이 에 결합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R이나 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 내지 13에서, "Halo"는 Br 또는 Cl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K는 H 또는 F를 나타내며, "PG"는 보호기(protecting group)을 나타낸다.
하기 반응식 1 내지 13에서, 화학식 I의 구조(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냄)를 갖는 경우를 구체화하여 나타내었으나,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 또는 구조(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냄)인 경우에도 반응식 1 내지 13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oxadiazole)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의 상단 방법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우레아 화합물인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화학식 1-4의 화합물과 치환 반응하여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1의 하단 방법에 따르면, 이민 작용기에 보호기가 포함된 설폭시민 화합물인 화학식 1-7의 화합물과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반응으로 우레아 화합물인 화학식 1-8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기는 벤질옥시카르보닐(Cbz) 일 수 있다. 이 후, 화학식 1-8의 화합물과 화학식 1-4의 화합물의 치환 반응으로 화학식 1-9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화학식 1-9 화합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1, 2, 3, 4, 5, 6, 7, 9, 10, 11, 12, 13, 14, 15, 16, 17, 20, 21, 22, 24, 25, 26, 27, 28, 31, 32, 33, 34, 41, 42, 45, 46, 49, 50, 51, 54, 55, 56, 57, 62, 63, 66, 79, 80, 81 및 86 등일 수 있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는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2에 따르면, 반응식 1에서 제조된 화학식 1-6의 화합물에 알킬화 반응, 아세틸화 반응 및 인산화 반응 등을 통하여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2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29, 30, 37, 38, 39, 40, 52 53 등일 수 있다.
[반응식 3]
상기 반응식 3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3에 따르면, 반응식 1에서 설명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학식 3-1의 화합물과 화학식 3-2의 화합물의 C-C 커플링(Suzuki reaction)을 통해서 화학식 3-3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3-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3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23, 43, 4447 등일 수 있다.
[반응식 4]
상기 반응식 4는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설파미드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4에 따르면, 화학식 4-1의 화합물과 메틸 트리플레이트(methyl triflate, TfOCH3)를 반응하여 화학식 4-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화학식 4-2의 화합물은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화학식 4-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화학식 4-3의 화합물은 메틸 트리플레이트와 반응하여 화학식 4-4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아민기가 도입된 화학식 4-5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설파미드가 도입된 화학식 4-6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화학식 1-4의 화합물과 치환 반응하여 화학식 4-7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4-8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4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18, 19, 35, 36, 69, 70, 71, 72, 73, 76, 77 및 78 등일 수 있다.
[반응식 5]
상기 반응식 5는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사이클로부텐다이온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5에 따르면, 화학식 5-1의 화합물을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사이클로부텐다이온 화합물인 화학식 5-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화학식 1-4의 화합물과 치환 반응하여 화학식 5-3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5-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으로 제조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0 및 61 일 수 있다.
[반응식 6]
상기 반응식 6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아마이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6에 따르면, 화학식 6-1의 화합물에 화학식 6-2의 화합물을 반응하여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아마이드 화합물인 화학식 6-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6-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6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8일 수 있다.
[반응식 7]
상기 반응식 7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우레아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7에 따르면, 화학식 6-1의 화합물에 트라이포스겐을 이용하여 화학식 7-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S=N기에 보호기가 포함된 설폭시민 화합물인 화학식 7-2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보호기가 제거된 화학식 7-3의 화합물과 화학식 7-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7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58, 59 등일 수 있다.
[반응식 8]
상기 반응식 8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8에서, 또는 를 나타내고, Q1은 CH 또는 N을 나타내며 k는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8에 따르면, 화학식 8-1의 화합물에 화학식 8-2의 화합물을 환원적 아민화 반응으로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화학식 8-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8-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8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48, 83 및 84 일 수 있다.
[반응식 9]
상기 반응식 9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사이클로부텐다이온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9에서, 를 나타내고, Q1은 CH 또는 N을 나타내며 k는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9에 따르면, 화학식 9-1의 화합물에 화학식 8-2의 화합물을 환원적 아민화 반응으로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화학식 9-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9-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9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87, 88 및 89일 수 있다.
[반응식 10]
상기 반응식 10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0에서, , 또는 이고, Z는 CH 또는 N이고, k는 1 또는 2이고, L1, 또는 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또는 F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0에 따르면, 화학식 10-1의 화합물에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10-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0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64, 65, 68, 82, 85 및 92일 수 있다.
[반응식 11]
상기 반응식 11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1에 따르면, 화학식 11-1의 화합물에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11-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1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75, 90 및 91일 수 있다.
[반응식 12]
상기 반응식 12는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2에 따르면, 화학식 12-1의 화합물과 화학식 12-2을 반응시켜 화학식 12-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화학식 1-4의 화합물과 치환 반응하여 화학식 12-4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설파이드 작용기를 포함한 화학식 1-2와 반응시켜 화학식 12-5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12-6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2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화합물 74 일 수 있다.
[반응식 13]
상기 반응식 13은 설폭시민 작용기를 포함한 1,3,4-옥사다이아졸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13에서 R6는 아세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3에 따르면, 반응식 1에서 설명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학식 3-1의 화합물과 화학식 13-1의 화합물의 C-C 커플링(Suzuki reaction)을 통해서 보호기가 포함된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구조를 갖는 화학식 13-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환원 반응을 통해 화학식 13-2 화합물의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을 피페리딘으로 변환한 화학식 13-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보호기 제거를 제거하여 화학식 13-4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아실화 반응 및 알킬화 반응을 통해 화학식 13-5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후, 비스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매개체와 N-Source를 통해 설폭시민 작용기가 도입된 화학식 13-6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3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67 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된다.
상기 HDAC 매개 질환은 감염성 질환, 신생물(neoplasm),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정신 및 행동 장애, 신경 질환, 눈 및 부속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신부전,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또는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HDAC 매개 질환은 HDAC6 활성과 관련된 질환, 즉 HDAC6 6 매개 질환일 수 있다.
상기 HDAC6 매개 질환은 암, 염증성 질환, 자가 면역 질환, 신경학적 또는 퇴행성 신경 질환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폐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 암, 간암, 뇌암, 난소암, 위암, 피부암, 췌장암, 신경아교종, 신경고아종인피종,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고형암, 윌슨병, 척수소뇌성 실조증, 프리온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아밀로이드증, 알츠하이머병, 알코올성 간질환, 척수성 근위축증,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샤르코-마리-투스 병(CMT), 심부전(Heart Failure, HF),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또는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HDAC의 비정상적 기능과 관련된 증상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은 윌슨병, 아밀로이드증 또는 당뇨병이고, 상기 정신 및 행동 장애는 우울증 또는 레트 증후군이고, 상기 신경 질환은 중추신경 계통성 위축, 신경퇴행성 질환, 운동 장애, 신경병증, 운동신경질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또는 샤르코-마리-투스 병이고, 상기 눈 및 부속기 질환은 포도막염이고, 상기 신부전(Renal Failure; RF)은 급성 신부전 또는 만성 신부전이고,상기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은 건선이고, 상기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또는 전신홍반성루푸스이며, 상기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은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신종이며, 상기 감염성 질환은 프리온병이고, 상기 신생물은 양성종양 또는 악성종양이고, 상기 순환기 질환은 심방세동(AF), 뇌졸중, 심부전(HF) 또는 폐동맥고혈압(PAH)이고,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또는 특발성폐섬유증(IPF)이며, 상기 소화기 질환은 알코올성 간질환,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또는 궤양성 장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미네랄 오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이용하여 정제, 산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내용액제, 유제, 시럽 등의 경구용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제제는 당업계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19th ed.,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질환 또는 성분에 따라 다양한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1 내지 약 1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0 ㎎/㎏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외에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병용하여 약효에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는 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DAC6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가 있어야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질환의 발병을 억제,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투여에 의해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항목들, 즉 설폭시민 화합물, 용도, 조성물, 치료 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밖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과 약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그 본래의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선택적으로 HDAC6를 억제할 수 있어 HDAC 매개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HDAC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 각각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이하의 구체적인 합성방법을 조합하여 도출되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합성에 사용한 각각의 화합물들은 외부업체에서 구입하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기합성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의 화합물은 400MHz 1H-NMR (Agilent사, 400-MR), LC-Mass (Waters사, SQD2)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2.000 g, 16.790 mmol)과 티오모르폴린(100.00%, 1.000 equiv., 16.790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헥산(2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10 mL)를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3.000 g, 80.38%)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2.270 g, 10.21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100.00%, 1.500 equiv., 15.320 mmol)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1.000 equiv, 10.210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940 g, 64.19%)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1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2.940 g, 6.555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2.000 equiv., 13.110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2.500 equiv., 16.390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5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500 g, 79.54%)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dd, J = 8.0, 1.5 Hz, 1H), 7.74 (dd, J = 10.1, 1.5 Hz, 1H), 7.67 (t, J = 7.6 Hz, 1H), 7.36 (t, J = 7.8 Hz, 2H), 7.23 - 7.19 (m, 1H), 7.13 - 7.11 (m, 2H), 7.03 (s, 0.25H), 6.90 (s, 0.5H), 6.77 (s, 0.25H), 4.92 (s, 2H), 3.79 - 3.72 (m, 2H), 3.67 - 3.60 (m, 2H), 2.80 (t, J = 5.2 Hz, 4H), 2.46 (s, 1H); LRMS (ES) m/z 480.9 (M+ + 1)
실시예 2: 화합물 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페닐-1-((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페닐-1-((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의 합성
이소시아네이토벤젠(0.590 g, 4.953 mmol)과 2,2,2-트리플루오로-N-(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아세트아마이드 (1.140 g, 4.953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에서 3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60 g, 9.2%)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2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페닐-1-((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0.120 g, 0.344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60.00%, 0.014 g, 0.344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0.100 g, 0.344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소듐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에서 5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2 g, 27.1%)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1.6 Hz, 1H), 8.43 (dd, J = 8.0, 2.0 Hz, 1H), 7.54 (d, J = 8.0 Hz, 1H), 7.39 (t, J = 7.8 Hz, 2H), 7.25 - 7.19 (m, 3H), 7.08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13 (s, 2H), 3.98 - 3.94 (m, 2H), 3.74 - 3.69 (m, 2H), 3.53 - 3.37 (m, 4H); LRMS (ES) m/z 559.9 (M+ + 1)
실시예 3: 화합물 3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제조된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페닐-1-((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0.052 g, 0.093 mmol)와 탄산칼륨(0.051 g, 0.372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5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3 g, 30.2%)을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6 (d, J = 1.6 Hz, 1H), 8.38 (dd, J = 8.2, 2.2 Hz, 1H), 7.57 (d, J = 8.0 Hz, 1H), 7.39 - 7.32 (m, 2H), 7.21 - 7.17 (m, 3H), 7.07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11 (s, 2H), 3.81 - 3.63 (m, 4H), 3.02 - 2.91 (m, 4H), 2.50 (brs, 1H); LRMS (ES) m/z 463.9 (M+ + 1)
실시예 4: 화합물 4의 합성, 벤질 (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카바모일)-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
[단계 1] 벤질 (1-옥시도-4-(페닐카바모일)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의 합성
벤질 (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 (100.00%, 2.000 g, 7.454 mmol)와 이소시아네이토벤젠 (100.00%, 1.000 equiv., 7.454 mmol)을 실온에서 다이에틸에테르(5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2.65 g, 91.76%,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의 합성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벤질 (1-옥시도-4-(페닐카바모일)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 (100.00%, 2.650 g, 6.840 m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2.08 g, 49.56%, 무색 오일)을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 J = 8.0 Hz, 1H), 7.74 (d, J = 10.0 Hz, 1H), 7.66 (t, J = 7.6 Hz, 1H), 7.39 - 7.28 (m, 7H), 7.25 - 7.21 (m, 1H), 7.12 (d, J = 8.0 Hz,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09 (s, 2H), 4.93 (s, 2H), 3.90 - 3.85 (m, 2H), 3.89 - 3.85 (m, 2H), 3.56 - 3.50 (m, 2H), 3.42 - 3.38 (m, 2H); LRMS (ES) m/z 614.9 (M+ + 1)
실시예 5: 화합물 5의 합성, 벤질 (4-(((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페닐)카바모일)-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
N-페닐-1-((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대신 벤질 (1-옥시도-4-(페닐카바모일)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2 g, 15.58%, 흰색 고체)을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1.6 Hz, 1H), 8.40 (dd, J = 8.2, 2.2 Hz, 1H), 7.54 (d, J = 8.4 Hz, 1H), 7.41 - 7.30 (m, 7H), 7.22 - 7.18 (m, 3H), 7.08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11 (s, 2H), 5.10 (s, 2H), 3.92 - 3.87 (m, 2H), 3.57 - 3.50 (m, 4H), 3.28 - 3.22 (m, 2H); LRMS (ES) m/z 597.9 (M+ + 1)
실시예 6: 화합물 6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 1,2-다이플루오로-4-이소시아네이토-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1.500 g, 90.07%)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0.300 g, 1.161 m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300 g, 53.32%)을 흰색 폼(foam)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2 g, 68.91%)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0 (dd, J = 8.0, 1.6 Hz, 1H), 7.78 (dd, J = 10.1, 1.5 Hz, 1H), 7.68 (t, J = 7.6 Hz, 1H), 7.20 - 7.14 (m, 1H), 7.06 (s, 0.25H), 7.03 - 6.98 (m, 1H), 6.93 (s, 0.5H), 6.89 - 6.85 (m, 1H), 6.80 (s, 0.25H), 4.90 (s, 2H), 3.79 - 3.62 (m, 4H), 2.93 - 2.90 (m, 4H), 2.50 (brs, 1H); LRMS (ES) m/z 516.9 (M+ + 1)
실시예 7: 화합물 7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6의 단계 2에서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20 g, 40.53%)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의 합성
단계 1에서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5 g, 64.82%)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9.25 (d, J = 1.6 Hz, 1H), 8.40 (dd, J = 8.2, 2.2 Hz, 1H), 7.54 (d, J = 8.2 Hz, 1H), 7.18 - 7.08 (m, 2H), 7.08 (s, 0.25H), 6.97 - 6.93 (m, 1H), 6.96 (s, 0.5H), 6.82 (s, 0.25H), 5.06 (s, 2H), 3.79 - 3.61 (m, 4H), 3.07 - 2.98 (m, 4H), 2.40 (brs, 1H); LRMS (ES) m/z 499.9 (M+ + 1)
실시예 8: 화합물 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린(100.00%, 0.600 g, 1.879 mmol)을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60.00%, 1.500 equiv., 2.819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4-카보닐 클로라이드(100.00%, 1.000 equiv., 1.879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510 g, 60.6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20 g, 22.01%)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 J = 8.0 Hz, 1H), 7.73 (dd, J = 9.8, 1.5 Hz, 1H), 7.56 - 7.51 (m, 1H), 7.41 - 7.39 (m, 3H), 7.05 - 7.03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04 (d, J = 2.2 Hz, 2H), 3.30 - 3.26 (m, 2H), 2.82 - 2.79 (m, 2H), 2.52 - 2.50 (m, 1H), 2.41 - 2.36 (m, 2H), 2.20 (brs, 1H), 2.09 - 2.05 (m, 2H); LRMS (ES) m/z 479.9 (M+ + 1)
실시예 9: 화합물 9의 합성, 1-이미노-N-페닐-N-((5-(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페닐-N-((5-(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0.050 g, 0.22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100.00%, 1.500 equiv., 0.337 mmol)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1.000 equiv., 0.225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0%에서 3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5 g, 4.9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9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N-페닐-N-((5-(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10 g, 20.78%)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6 (d, J = 1.6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39 - 7.35 (m, 2H), 7.22 - 7.18 (m, 3H), 5.12 (s, 2H), 3.82 - 3.76 (m, 2H), 3.70 - 3.63 (m, 2H), 2.98 - 2.94 (m, 4H), 2.50 (brs, 1H); LRMS (ES) m/z 481.9 (M+ + 1)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 화합물 10 내지 13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하기 표 2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에 따른 화합물 10 내지 13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10 내지 13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7: 화합물 14 내지 17의 합성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 각각의 단계 2에서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 각각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7에 따른 화합물 14 내지 17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7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4에 나타낸다.
[표 4]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7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14 내지 17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실시예 18: 화합물 1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1-((1H-이미다졸-1-일)설포닐)-3-메틸-1H-이미다졸-3-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1,1'-설포닐비스(1H-이미다졸)(100.00%, 3.000 g, 15.136 mmol)과 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00.00% solution, 1.4903 mL, 13.623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3 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헥산(2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10 mL)를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4.000 g, 72.94%)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4-((1H-이미다졸-1-일)설포닐)티오모르폴린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1-((1H-이미다졸-1-일)설포닐)-3-메틸-1H-이미다졸-3-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00.00%, 4.000 g, 11.040 mmol)와 티오모르폴린(100.00%, 1.100 equiv., 12.140 mmol)을 실온에서 아세토나이트릴(5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0%에서 3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500 g, 19.41%)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3-메틸-1-(티오모르폴리노설포닐)-1H-이미다졸-3-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4-((1H-이미다졸-1-일)설포닐)티오모르폴린(100.00%, 2.260 g, 9.687 mmol)과 메틸 트라이플레이트(100.00%, 1.100 equiv., 10.660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5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다이클로로메탄(20 mL)과 메탄올(10 mL)을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500 g, 38.96%)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4] 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3에서 제조된 3-메틸-1-(티오모르폴리노설포닐)-1H-이미다졸-3-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00.00%, 1.500 g, 3.775 mmol)와 아닐린(100.00%, 1.000 equiv., 3.775 mmol)을 80℃에서 아세토나이트릴(3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0%에서 5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800 g, 82.02%)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5]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4에서 제조된 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04 g, 47.93%)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6] 화합물 1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5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포린-4-설폰아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50 g, 69.11%)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1 (dd, J = 8.0, 1.5 Hz, 1H), 7.73 (dd, J = 9.9, 1.5 Hz, 1H), 7.47 (t, J = 7.6 Hz, 1H), 7.36 - 7.26 (m, 5H), 7.04 (s, 0.25H), 6.91 (s, 0.5H), 6.78 (s, 0.25H), 4.92 (s, 2H), 3.76 - 3.60 (m, 4H), 3.10 - 3.04 (m, 4H), 2.60 (brs, 1H); LRMS (ES) m/z 516.9 (M+ + 1)
실시예 19: 화합물 19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18의 단계 5에서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의 단계 5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300 g, 78.96%)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19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50 g, 78.1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 9.24 (m, 1H), 8.36 (dd, J = 8.2, 2.2 Hz, 1H), 7.57 (d, J = 8.2 Hz, 1H), 7.42 - 7.28 (m, 5H), 7.08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06 (s, 2H), 3.84 - 3.68 (m, 4H), 3.11 - 3.03 (m, 4H), 2.50 (brs, 1H); LRMS (ES) m/z 499.9 (M+ + 1)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2: 화합물 20 내지 화합물 22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하기 표 5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2에 따른 화합물 20 내지 22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2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6에 나타낸다.
[표 6]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2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20 내지 22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실시예 23: 화합물 2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4-(퓨란-2-일)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4-(퓨란-2-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브로모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0.200 g, 0.379 mmol), 2-퓨릴보론산(100.00%, 0.051 g, 0.456 mmol), (1,1′-비스(다이-터트-부틸포스피노)퍼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Ⅱ) (Pd(dtbpf)Cl2, 100.00%, 0.012 g, 0.018 mmol) 및 탄산 세슘(100.00%, 0.247 g, 0.758 mmol)을 실온에서 1,4-다이옥산(2 mL)/물(0.5 mL)에 섞은 혼합물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에서 2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10 g, 56.38%)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23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4-(퓨란-2-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0.100 g, 0.194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0.153 g, 0.475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0.030 g, 0.384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 = 10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8 g, 35.84%)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9 (dd, J = 8.0, 1.6 Hz, 1H), 7.76 (d, J = 8.5 Hz, 1H), 7.72 - 7.65 (m, 3H), 7.49 (d, J = 1.2 Hz, 1H), 7.15 (d, J = 8.7 Hz, 2H), 6.92 (t, J = 51.7 Hz, 1H), 6.67 - 6.66 (m, 1H), 6.50 - 6.49 (m, 1H), 4.97 (s, 2H), 3.82 - 3.77 (m, 2H), 3.72 - 3.67 (m, 2H), 2.88 (t, J = 5.2 Hz, 4H); LRMS (ES) m/z 546.8 (M+ + 1).
실시예 24 내지 실시예 28: 화합물 24 내지 화합물 28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하기 표 7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24 내지 실시예 28에 따른 화합물 24 내지 28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내지 실시예 28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8에 나타낸다.
[표 8]
실시예 24 내지 실시예 28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24 내지 28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표 9]
실시예 29: 화합물 29의 합성, 다이에틸 (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3,4-다이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포스포라미데이트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100.00%, 0.080 g, 0.155 mmol), 1-에톡시포스포일옥시에탄(100.00%, 1.000 equiv., 0.155 mmol), 아이오딘(100.00%, 0.100 equiv., 0.016 mmol)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100.00%, 1.000 equiv., 0.155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40 g, 39.56%)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0 (dd, J = 8.0, 1.6 Hz, 1H), 7.78 (dd, J = 10.4, 1.6 Hz, 1H), 7.69 - 7.65 (m, 1H), 7.21 - 7.14 (m, 1H), 7.06 (s, 0.25H), 7.03 - 6.97 (m, 1H), 6.93 (s, 0.5H), 6.89 - 6.86 (m, 1H), 6.80 (s, 0.25H), 4.90 (s, 2H), 4.29 - 4.25 (m, 2H), 4.06 - 4.02 (m, 4H), 3.91 - 3.87 (m, 2H), 3.60 - 3.54 (m, 2H), 3.40 - 3.35 (m, 2H), 3.05 - 3.00 (m, 2H), 1.33 - 1.30 (m, 6H); LRMS (ES) m/z 652.9 (M+ + 1)
실시예 30: 화합물 30의 합성, 1-(아세틸이미노)-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실시예 7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100.00%, 0.034 g, 0.068 mmol), 아세틸 클로라이드(100.00%, 2.000 equiv., 0.136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00.00%, 1.500 equiv., 0.102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5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5 g, 40.68%)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7 (dd, J = 2.0, 0.4 Hz, 1H), 8.43 (dd, J = 8.2, 2.2 Hz, 1H), 7.54 (dd, J = 8.4, 0.4 Hz, 1H), 7.22 - 7.05 (m, 2H), 7.09 (s, 0.25H), 7.00 - 6.94 (m, 1H), 6.96 (s, 0.5H), 6.83 (s, 0.25H), 5.08 (s, 2H), 3.90 - 3.80 (m, 2H), 3.60 - 3.50 (m, 4H), 3.30 - 3.20 (m, 2H), 2.09 (s, 3H); LRMS (ES) m/z 541.9 (M+ + 1)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 화합물 31 내지 화합물 34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하기 표 9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에 따른 화합물 31 내지 34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31 내지 34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1과 같다.
[표 11]
실시예 35: 화합물 35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실시예18의 단계 3에서 제조된 3-메틸-1-(티오모르폴리노설포닐)-1H-이미다졸-3-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00.00%, 0.580 g, 1.459 mmol)와 3-플루오로아닐린(100.00% solution, 0.14 mL, 1.462 mmol)을 실온에서 아세토나이트릴(10 mL)에 녹인 용액을 18시간 동안 가열환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5%에서 2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53 g, 62.72%)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53 g, 70.13%)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35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51 g, 92.96%)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dd, J = 8.0, 1.5 Hz, 1H), 7.79 (dd, J = 9.9, 1.5 Hz, 1H), 7.49 (t, J = 7.6 Hz, 1H), 7.37 - 7.31 (m, 1H), 7.09 - 6.80 (m, 4H), .94 (s, 2H), 3.82 - 3.76 (m, 2H), 3.73 - 3.67 (m, 2H), 3.19 - 3.09 (m, 4H); LRMS (ES) m/z 534.7 (M+ + 1).
실시예 36: 화합물 36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5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08 g, 98.68%)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36의 합성
단계 1에서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05g, 47.5%)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9 (d, J = 1.6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55 (d, J = 8.0 Hz, 1H), 7.38 - 7.32 (m, 1H), 7.23 - 7.20 (m, 2H), 7.08 - 6.83 (m, 2H), 5.06 (s, 2H), 3.86 - 3.82 (m, 2H), 3.78 - 3.74 (m, 2H); LRMS (ES) m/z 517.7 (M+ + 1).
실시예 37: 화합물 37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메틸설포닐)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100.00%, 0.200 g, 0.417 mmol), 메탄설폰일 클로라이드(100.00%, 1.500 equiv., 0.626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00.00%, 2.000 equiv., 0.834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80 g, 77.39%)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d, J = 8.0, 1.6 Hz, 1H), 7.75 (dd, J = 10.0, 1.6 Hz, 1H), 7.65 (t, J = 7.6 Hz, 1H), 7.38 (t, J = 7.8 Hz, 2H), 7.28 - 7.24 (m, 1H), 7.13 - 7.11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4.94 (s, 2H), 4.00 - 3.96 (m, 2H), 3.57 - 3.44 (m, 4H), 3.08 (s, 3H), 3.06 - 3.01 (m, 2H); LRMS (ES) m/z 558.9 (M+ + 1)
실시예 38: 화합물 38의 합성, 메틸 (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카바모일)-1-옥시도티오모르폴린-1-일리덴)카바메이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100.00%, 0.200 g, 0.417 mmol), 메틸 카보노클로리데이트(100.00%, 1.500 equiv., 0.626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00.00%, 2.000 equiv., 0.834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5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50 g, 66.91%)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8 (dd, J = 8.0, 1.6 Hz, 1H), 7.76 (dd, J = 10.0, 1.6 Hz, 1H), 7.67 (t, J = 7.6 Hz, 1H), 7.40 - 7.36 (m, 2H), 7.26 - 7.23 (m, 1H), 7.14 - 7.12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4.94 (s, 2H), 3.93 - 3.92 (m, 2H), 3.58 (s, 3H), 3.56 - 3.52 (m, 2H), 3.43 - 3.38 (m, 2H), 3.05 - 2.99 (m, 2H); LRMS (ES) m/z 538.9 (M+ + 1)
실시예 39: 화합물 39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메틸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100.00%, 0.200 g, 0.417 mmol), 탄산 소듐(100.00%, 5.000 equiv., 2.086 mmol) 및 트라이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00.00%, 1.000 equiv., 0.417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5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0.015 g, 7.29%)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8 (dd, J = 8.0, 1.2 Hz, 1H), 7.75 (dd, J = 10.0, 1.6 Hz, 1H), 7.68 (t, J = 7.6 Hz, 1H), 7.39 - 7.35 (m, 2H), 7.24 - 7.20 (m, 1H), 7.14 - 7.12(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4.94 (s, 2H), 3.82 - 3.76 (m, 2H), 3.58 - 3.51 (m, 2H), 2.87 - 2.78 (m, 4H), 2.74 (s, 3H); LRMS (ES) m/z 494.9 (M+ + 1)
실시예 40: 화합물 40의 합성, 1-(아세틸이미노)-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대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0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20 g, 36.78%)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8 (dd, J = 8.0, 1.6 Hz, 1H), 7.76 (dd, J = 10.0, 1.6 Hz, 1H), 7.68 (t, J = 7.6 Hz, 1H), 7.41 - 7.37 (m, 2H), 7.27 - 7.23 (m, 1H), 7.15 - 7.12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4.95 (s, 2H), 3.88 - 3.81 (m, 2H), 3.60 - 3.55 (m, 2H), 3.49 - 3.39 (m, 2H), 3.01 - 2.97 (m, 2H), 2.05 (s, 3H); LRMS (ES) m/z 522.9 (M+ + 1)시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화합물 41 및 화합물 42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하기 표 11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에 따른 화합물 41 및 화합물 42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41 및 42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3과 같다.
[표 13]
실시예 43: 화합물 4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3-(티아졸-5-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티아졸-5-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3-브로모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0.200 g, 0.379 mmol), 5-(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티아졸(100.00%, 1.500 equiv., 0.569 mmol), (1,1'-비스(다이-터트-부틸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다이클로라이드(100.00%, 0.100 equiv., 0.038 mmol) 및 탄산 세슘(100.00%, 2.500 equiv., 0.948 mmol)을 1,4-다이옥산(10 mL)/물(3 mL)에 섞고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3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3 g, 6.4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티아졸-5-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04 g, 29.07%)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81 (s, 1H), 8.07 (s, 1H), 7.91 (dd, J = 8.0, 1.6 Hz, 1H), 7.79 (dd, J = 10.2, 1.4 Hz, 1H), 7.72 (t, J = 7.8 Hz, 1H), 7.43 - 7.39 (m, 2H), 7.35 (s, 1H), 7.11 - 7.09 (m, 1H), 7.05 (s, 0.25H), 6.93 (s, 0.5H), 6.80 (s, 0.25H), 5.00 (s, 2H), 3.83 - 3.50 (m, 4H), 2.91 - 2.88 (m, 4H), 2.50 (brs, 1H); LRMS (ES) m/z 563.9 (M+ + 1)
실시예 44: 화합물 44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퓨란-2-일)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퓨란-2-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5-(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티아졸 대신 2-퓨릴보론산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3의 단계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30 g, 15.38%)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4의 합성
단계 1에서 얻은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퓨란-2-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3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10 g, 36.28%)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9 (dd, J = 8.0, 1.6 Hz, 1H), 7.78 (dd, J = 10.0, 1.6 Hz, 1H), 7.70 (t, J = 7.6 Hz, 1H), 7.51 - 7.48 (m, 3H), 7.37 (t, J = 7.8 Hz, 1H), 7.05 (s, 0.25H), 7.01 - 6.99 (m, 1H), 6.92 (s, 0.5H), 6.79 (s, 0.25H), 6.68 - 6.67 (m, 1H), 6.51 - 6.50 (m, 1H), 4.98 (s, 2H), 3.85 - 3.66 (m, 4H), 2.90 - 2.86 (m, 4H), 2.55 (brs, 1H); LRMS (ES) m/z 546.9 (M+ + 1)
실시예 45: 화합물 45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N-(3,4-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74 g, 40.89%)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5의 합성
단계 1에서 얻은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47 g, 59.56%)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4 (d, J = 1.6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61 (d, J = 8.2 Hz, 1H), 7.16 - 6.83 (m, 4H), 5.02 (s, 2H), 3.82 - 3.76 (m, 2H), 3.71 - 3.65 (m, 2H), 2.97 - 2.93 (m, 4H); LRMS (ES) m/z 499.9 (M+ + 1).
실시예 46: 화합물 46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피리딘-2-일)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45의 단계 1에서 2-(6-(브로모메틸)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5-플루오로피리딘-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5의 단계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57 g, 30.33%)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6의 합성
단계 1에서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48 g, 79.16%)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10 (s, 1H), 8.12 (dd, J = 9.3, 1.7 Hz, 1H), 7.17 - 6.84 (m, 4H), 5.09 (s, 2H), 3.82 - 3.76 (m, 2H), 3.70 - 3.64 (m, 2H), 3.11 - 3.00 (m, 4H), 3.11 - 3.00 (m, 4H); LRMS (ES) m/z 517.8 (M+ + 1).
실시예 47: 화합물 47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1-이미노-N-(3-(피리딘-3-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피리딘-3-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2-퓨릴보론산 대신 3-피리딜보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단계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13 g, 28.35%)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7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피리딘-3-일)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4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80 g, 66.84%)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78 (d, J = 1.6 Hz, 1H), 8.63 (dd, J = 4.8, 1.6 Hz, 1H), 7.89 (dd, J = 8.0, 1.6 Hz, 1H), 7.82 - 7.70 (m, 3H), 7.49 - 7.36 (m, 4H), 7.16 - 7.13 (m, 1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01 (s, 2H), 3.83 - 3.64 (m, 4H), 2.92 - 2.85 (m, 4H), 2.50 (brs, 1H); LRMS (ES) m/z 557.9 (M+ + 1)
실시예 48: 화합물 48의 합성,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2-플루오로페닐)-5-(1-이미노-1-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2-플루오로페닐)-5-(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2-플루오로페닐)-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카르복사마이드(100.00%, 0.300 g, 0.675 mmol),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4-온(100.00%, 1.000 equiv., 0.675 mmol) 및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2.000 equiv., 1.350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0%에서 1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84 g, 77.2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4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대신 단계 1에서 제조된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2-플루오로페닐)-5-(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카르복사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200 g, 66.63%)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16 (d, J = 1.6 Hz, 1H), 8.35 (dd, J = 8.2, 2.2 Hz, 1H), 7.73 (d, J = 8.0 Hz, 1H), 7.26 - 7.17 (m, 2H), 7.11 - 7.07 (m, 2H), 7.07 (s, 0.25H), 6.94 (s, 0.5H), 6.81 (s, 0.25H), 5.09 - 4.95 (m, 2H), 4.34 (s, 1H), 3.40 (s, 1H), 3.37 - 3.27 (m, 2H), 3.05 - 2.90 (m, 2H), 2.88 - 2.82 (m, 2H), 2.65 - 2.64 (m, 1H), 2.58 - 2.52 (m, 2H), 2.50 (brs, 1H), 2.22 - 2.12 (m, 2H), 2.06 - 1.85 (m, 2H), 1.78 - 1.60 (m, 2H); LRMS (ES) m/z 576.9 (M+ + 1)
실시예 49 내지 실시예 51: 화합물 49 내지 화합물 51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2,4-다이클로로-1-이소시아네이토-벤젠을 사용하고, 단계 2에서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에 하기 표 13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49 내지 실시예 51에 따른 화합물 49 내지 51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49 내지 실시예 51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14에 나타낸다.
[표 14]
실시예 49 내지 실시예 51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49 내지 화합물 51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5와 같다.
[표 15]
실시예 52: 화합물 52의 합성, 1-(아세틸이미노)-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대신 실시예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0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표제 화합물(0.100 g, 57.30%)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6 (d, J = 1.6 Hz, 1H), 8.41 (dd, J = 8.2, 2.2 Hz, 1H), 7.55 (d, J = 8.0 Hz, 1H), 7.40 - 7.36 (m, 2H), 7.23 - 7.19 (m, 3H), 7.08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12 (s, 2H), 3.87 - 3.83 (m, 2H), 3.60 - 3.55 (m, 4H), 3.23 - 3.17 (m, 2H), 2.10 (s, 3H); LRMS (ES) m/z 505.9 (M+ + 1)
실시예 53: 화합물 53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1-((메틸설포닐)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N-(3,4-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 대신 실시예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얻은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딘-2-일)메틸)-1-이미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1-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7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10 g, 47.05%)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6 (d, J = 1.6 Hz, 1H), 8.41 (dd, J = 8.2, 2.2 Hz, 1H), 7.54 (d, J = 8.2 Hz, 1H), 7.39 - 7.35 (m, 2H), 7.23 - 7.17 (m, 2H), 7.08 (s, 0.25H), 6.96 (s, 0.5H), 6.83 (s, 0.25H), 5.13 (s, 2H), 4.04 - 3.98 (m, 2H), 3.62 - 3.51 (m, 4H), 3.33 - 3.28 (m, 2H), 3.11 (s, 3H); LRMS (ES) m/z 541.9 (M+ + 1)
실시예 54 내지 실시예 57: 화합물 54 내지 화합물 57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이소시아네이토벤젠 대신에 1-플루오로-2-이소시아네이토-벤젠을 사용하고, 단계 2에서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에 하기 표 15의 반응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반응들에 따라 실시예 54 내지 실시예 57에 따른 화합물 54 내지 57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내지 실시예 57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3 각각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성상 및 수율을 표 16에 나타낸다.
[표 16]
실시예 54 내지 실시예 57에서 각각 제조된 화합물 54 내지 화합물 57의 명칭과, NMR 및 LC-Mass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7과 같다.
[표 17]
실시예 58: 화합물 58의 합성, N-(4-(3-(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3-페닐우레이도)-1-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일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실시예 59: 화합물 59의 합성, 1-(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3-(1-이미노-1-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4-일)-1-페닐우레아
[단계 1] (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카바믹 클로라이드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아닐린(1.380 g, 4.322 mmol)과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0.753 mL, 4.322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에 녹이고 0℃에서 트라이포스겐(0.898 g, 3.025 mmol)을 첨가하여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소듐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에서 3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880 g, 53.3%)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58, 59의 합성
N-(4-아미노-1-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일리덴)-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0.500 g, 1.396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60.00%, 0.140 g, 3.489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단계 1에서 제조한 (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카바믹 클로라이드(0.586 g, 1.535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소듐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에서 10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화합물58(0.110 g, 13.4%)과 화합물 59(0.160 g, 23.2%)를 각각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화합물 58>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dd, J = 8.0, 1.2 Hz, 1H), 7.72 (dd, J = 9.8, 1.4 Hz, 1H), 7.58 (t, J = 7.6 Hz, 1H), 7.43 - 7.34 (m, 3H), 7.13 - 7.12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02 (s, 2H), 4.39 (d, J = 7.2 Hz, 1H), 4.11 - 4.02 (m, 1H), 3.89 - 3.85 (m, 2H), 3.35 - 3.28 (m, 2H), 2.38 - 2.33 (m, 2H), 1.92 - 1.83 (m, 2H); LRMS (ES) m/z 590.9 (M+ + 1)
<화합물 59> 1 H NMR (400 MHz, CDCl3) δ 7.84 (d, J = 7.6 Hz, 1H), 7.68 (d, J = 9.6 Hz, 1H), 7.58 (t, J = 7.6 Hz, 1H), 7.39 - 7.30 (m, 3H), 7.11 - 7.08 (m, 2H), 7.04 (s, 0.25H), 6.90 (s, 0.5H), 6.78 (s, 0.25H), 4.97 (s, 2H), 4.34 (d, J = 7.6 Hz, 1H), 3.90 - 3.93 (m, 1H), 3.18 - 3.00 (m, 4H), 2.80 (brs, 1H), 2.18 - 2.14 (m, 2H), 1.93 - 1.87 (m, 2H); LRMS (ES) m/z 494.9 (M+ + 1)
실시예 60: 화합물 60의 합성, 3-((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아미노)-4-(1-이미노-1-옥시도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단계 1] 3-(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3-메톡시-4-(페닐아미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2.000 g, 9.843 mmol), 티오모르폴린(100.00%, 1.200 equiv., 11.812 mmol)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3.000 equiv., 29.529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3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3 일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2.000 g, 74.08%)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3-((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3-(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100.00%, 0.300 g, 1.094 mmol)을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나트륨(100.00%, 1.500 equiv., 1.641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1.000 equiv., 1.094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0%에서 50%)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300 g, 54.81%)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0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3-((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벤질)(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0.150 g, 0.300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2.500 equiv., 0.749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2.000 equiv., 0.59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하루 밤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080 g, 50.22%)을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 7.81 (m, 2H), 7.67 - 7.63 (m, 1H), 7.66 (s, 0.25H), 7.53 (s, 0.5H), 7.42 - 7.38 (m, 2H), 7.40 (s, 0.25H), 7.25 - 7.18 (m, 3H), 5.57 (s, 2H), 3.80 (s, 1H), 3.56 - 3.36 (m, 4H), 3.02 - 2.93 (m, 4H); LRMS (ES) m/z 532.9 (M+ + 1)
실시예 61: 화합물 61의 합성, 3-(((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피리딘-2-일)메틸)(페닐)아미노)-4-(1-이미노-1-옥시도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단계 1] 3-(((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피리딘-2-일)메틸)(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 대신 2-(6-(브로모메틸)-5-플루오로-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0의 단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128 g, 35.01%)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61의 합성
3-(((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피리딘-2-일)메틸)(페닐)아미노)-4-티오모르폴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0의 단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에 따라 표제 화합물(0.05 g, 51.09%)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99 (s, 1H), 8.40 (dd, J = 10.0, 1.6 Hz, 1H), 7.70 (s, 0.25H), 7.57 (s, 0.5H), 7.45 (s, 0.25H), 7.40 (t, J = 8.0 Hz, 2H), 7.19 - 7.17 (m, 3H), 5.68 (s, 2H), 3.66 (s, 1H), 3.60 - 3.40 (m, 4H), 3.05 - 2.97 (m, 4H); LRMS (ES) m/z 533.9 (M+ + 1)
실시예 62: 화합물 6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플루오로-4-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0.500 g, 3.647 mmol)과 티오모르폴린(100.00 %, 0.376 g, 3.644 mmol)을 실온에서 다이에틸에테르(2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다이에틸에테르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667 g, 76.12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00 g, 0.416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8 g, 0.45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21 g, 0.41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40 g, 21.39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40 g, 0.089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072 g, 0.22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14 g, 0.17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0 g, 23.38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9 (d, J = 8.0 Hz, 1H), 7.77 (d, J = 8.6 Hz, 1H), 7.68 (t, J = 7.7 Hz, 1H), 7.49 (d, J = 8.7 Hz, 2H), 7.06 - 6.80 (m, 3H), 5.32 (s, 2H), 3.79 - 3.73 (m, 2H), 3.69 - 3.63 (m, 2H), 2.91 - 2.88 (m, 4H); LRMS (ES) m/z 481.8 (M+ + 1).
실시예 63: 화합물 6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00 g, 0.416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8 g, 0.45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28 g, 0.41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3 g, 17.00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33 g, 0.071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057 g, 0.177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11 g, 0.141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25 g, 71.02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0 (d, J = 7.92 Hz, 1H), 7.77 (dd, J = 10.1, 1.3 Hz, 1H), 7.13 - 6.80 (m, 5H), 4.91 (s, 2H), 3.79 - 3.75 (m, 2H), 3.67 - 3.63 (m, 2H), 2.88 - 2.87 (m, 4H); LRMS (ES) m/z 498.8 (M+ + 1)
실시예 64: 화합물 64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2,6-다이메틸-1-옥소-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플루오로-4-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solution, 0.4098 mL, 3.647 mmol)과 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100.00 %, 0.376 g, 2.865 mmol)을 실온에서 다이에틸에테르(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다이에틸에테르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568 g, 58.03 %)을 옅은 주황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00 g, 0.373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6 g, 0.40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08 g, 0.372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0 g, 28.10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4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50 g, 0.105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084 g, 0.261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16 g, 0.205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3 g, 61.98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1.8 Hz, 1H), 8.36 (dd, J = 8.1, 2.3 Hz, 1H), 7.60 (d, J = 8.12 Hz, 1H), 7.28 - 7.21 (m, 2H), 7.09 - 7.06 (m, 2H), 7.05 - 6.83 (m, 1H), 5.18 - 4.86 (m, 2H), 3.97 - 3.92 (m, 0.6H), 3.79 - 3.74 (m, 0.6H), 3.69 (dd, J = 14.2, 2.8 Hz, 0.6H), 3.52 - 3.47 (m, 0.6H), 3.31 - 3.25 (m, 0.6H), 3.03 - 2.93 (m, 3H), 1.25 - 1.21 (m, 6H); LRMS (ES) m/z 509.9 (M+ + 1)
실시예 65: 화합물 65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2,6-다이메틸-1-옥소-1,4-싸이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00 g, 0.373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6 g, 0.40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14 g, 0.371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46 g, 79.24 %)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65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2,6-다이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46 g, 0.295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238 g, 0.739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46 g, 0.58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26 g, 81.21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8 (d, J = 8.0 Hz, 1H), 7.78 - 7.69 (m, 2H), 7.13 - 7.06 (m, 4H), 7.05 - 6.80 (m, 1H), 5.00 - 4.73 (m, 2H), 3.98 (d, J = 15.0 Hz, 0.6H), 3.76 (d, J = 14.2 Hz, 0.6H), 3.68 (d, J = 14.0 Hz, 0.6H), 3.31 - 3.26 (m, 0.6H), 2.99 - 2.93 (m, 1H), 2.81 - 2.77 (m, 2H), 2.14 - 2.04 (m, 0.6H), 1.24 - 1.18 (m, 6H); LRMS (ES) m/z 526.9 (M+ + 1)
실시예 66: 화합물 66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1-이미노-1-옥소-N-(3-피리딜)-1,4-싸이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벤질 N-[1-옥소-4-(3-피리딜카바모일)-1,4-싸이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의 합성
피리딘-3-아민(100.00 %, 0.200 g, 2.125 mmol)과 다이(이미다졸-1-일)메탄온(100.00 %, 0.448 g, 2.763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5 mL)에 녹인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벤질 N-(1-옥소-1,4-싸이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684 g, 2.549 mmol)를 첨가하여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12 g, 13.57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벤질 N-[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3-피리딜)카바모일]-1-옥소-1,4-싸이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의 합성
벤질 N-[1-옥소-4-(3-피리딜카바모일)-1,4-싸이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100 g, 0.258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1 g, 0.27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079 g, 0.25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N-다이클로로메테인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0 g, 18.96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6의 합성
벤질 N-[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3-피리딜)카바모일]-1-옥소-1,4-싸이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030 g, 0.049 mmol)를 메탄올(5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같은 온도에서 10%-Pd/C(5 mg)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수소 풍선을 부착하여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수득물을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0.022 g, 93.80 %, 옅은 노란색 고체).
1 H NMR (400 MHz, CDCl3) δ 78.50 - 8.47 (m, 1H), 7.91 (dd, J = 8.0, 1.6 Hz, 1H), 7.79 (dd, J = 10.2, 1.5 Hz, 1H), 7.71 (t, J = 7.6 Hz, 1H), 7.51 - 7.48 (m, 1H), 7.36 - 7.33 (m, 1H), 7.06 - 6.80 (m, 1H), 4.97 (s, 2H), 3.77 - 3.72 (m, 2H), 3.68 - 3.63 (m, 2H), 2.90 (t, J = 5.2 Hz, 4H); LRMS (ES) m/z 481.7 (M+ + 1)
실시예 67: 화합물 67의 합성, N-(4-(1-아세틸피페리딘-4일)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 옥사다이아졸-2-yl)-2-플루오로벤질) 티오모르폴린 -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터트-부틸 4-[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보닐)아미노]페닐]-3,6-다이하이드로-2H-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N-(4-브로모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1.710 g, 3.242 mmol), 터트-부틸 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3,6-다이하이드로-2H-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0.00 %, 1.200 g, 3.881 mmol), [1,1'-비스(다이-터트-부틸포스피노)퍼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II) (Pd(dtbpf)Cl2, 100.00 %, 0.106 g, 0.163 mmol) 및 탄산 세슘(100.00 %, 2.110 g, 6.476 mmol)을 실온에서 1,4-다이옥산(12 mL)/물(3 mL)에 섞은 혼합물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950 g, 46.53 %)을 갈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터트-부틸 4-[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보닐)아미노]페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터트-부틸 4-[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보닐)아미노]페닐]-3,6-다이하이드로-2H-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0.00 %, 0.950 g, 1.509 mmol)를 메탄올(50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같은 온도에서 10%-Pd/C(100 mg)를 천천히 가하고 50℃에서 수소 풍선을 부착하여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341 g, 35.78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4-피페리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터트-부틸 4-[4-[[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보닐)아미노]페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0.00 %, 0.341 g, 0.540 mmol)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00.00 % solution, 0.3 mL, 3.920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3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수득물을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0.287 g, 100.00 %, 옅은 주황색 고체).
[단계 4] N-[4-(1-아세틸-4-피페리딜)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4-피페리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00 g, 0.188 mmol), 아세틸 클로라이드(100.00 % solution, 0.02 mL, 0.281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00.00 % solution, 0.05 mL, 0.359 mmol)을 0℃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3 mL)에 녹인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92 g, 85.26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5] 화합물 67의 합성
N-[4-(1-아세틸-4-피페리딜)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92 g, 0.160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29 g, 0.401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25 g, 0.320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62 g, 63.94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5 (d, J = 7.88 Hz, 1H), 7.73 (d, J = 10.0 Hz, 1H), 7.65 (t, J = 7.6 Hz, 1H), 7.17 (d, J = 8.16 Hz, 2H), 7.06 - 6.80 (m, 3H), 4.90 (s, 2H), 4.79 - 4.76 (m, 1H), 3.95 - 3.92 (m, 1H), 3.74 - 3.73 (m, 2H), 3.62 - 3.61 (m, 2H), 3.16 (t, J = 12.9 Hz, 1H), 2.88 - 2.79 (m, 4H), 2.75 - 2.69 (m, 1H), 2.64 - 2.58 (m, 1H), 2.12 (s, 3H), 1.90 - 1.83 (m, 2H), 1.61 - 1.52 (m, 2H); LRMS (ES) m/z 605.9 (M+ + 1)
실시예 68: 화합물 68의 합성, (1S,4S)-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이미노-2-옥소-N-페닐-2람다6-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5-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1S,4S)-N-페닐-2-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5-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0.500 g, 4.197 mmol), (1S,4S)-2-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00 %, 1.000 equiv., 4.197 mmol) 및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 2.000 equiv., 8.395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2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다이클로로메테인(20 mL)과 메탄올(10 mL)을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세인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700 g, 71.18 %)를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1S,4S)-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2-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5-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1S,4S)-N-페닐-2-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5-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10 g, 0.896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100.00 %, 1.500 equiv., 1.344 mmol)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000 equiv., 0.896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21 g, 5.09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8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1S,4S)-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2-티아-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5-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76 g, 0.165 mmol),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413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330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0 g, 36.98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1 - 7.88 (m, 1H), 7.80 - 7.71 (m, 2H), 7.35 - 7.31 (m, 2H), 7.23 - 7.19 (m, 1H), 7.14 - 7.12 (m, 2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21 - 5.15 (m, 1H), 4.87 - 4.81 (m, 1H), 4.69 (s, 1H), 3.68 - 3.65 (m, 1H), 3.56 - 3.51 (m, 1H), 3.44 (s, 1H), 2.69 - 2.63 (m, 1H), 2.60 - 2.55 (m, 1H), 2.25 - 2.20 (m, 1H), 1.90 (br s, 1H); LRMS (ES) m/z 492.9 (M+ + 1)
실시예 69: 화합물 69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4-(3-메틸이미다졸-3-윰-1-일)설폰일티오모르폴린;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100.00 %, 1.000 g, 2.516 mmol)와 2,5-다이플루오로아닐린(100.00 %, 1.100 equiv., 2.768 mmol)을 80℃에서 아세토나이트릴(3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500 g, 67.52 %)를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80 g, 0.272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100.00 %, 1.500 equiv., 0.408 mmol)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299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00 g, 70.68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69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2,5-다이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00 g, 0.192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384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480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0 g, 47.19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d, J = 8.0, 1.6 Hz, 1H), 7.78 (dd, J = 9.6, 1.6 Hz, 1H), 7.52 (t, J = 7.6 Hz, 1H), 7.14 - 7.03 (m, 3H), 7.02 (s, 0.25H), 7.69 (s, 0.5H), 6.80 (s, 0.25H), 4.90 (s, 2H), 3.92 - 3.73 (m, 4H), 3.22 - 3.10 (m, 4H), 2.14 (br s, 1H); LRMS (ES) m/z 552.9 (M+ + 1).
실시예 70: 화합물 70의 합성, N-(3-클로로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3-클로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4-(3-메틸이미다졸-3-윰-1-일)설폰일티오모르폴린;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100.00 %, 0.991 g, 2.494 mmol)와 3-클로로아닐린(100.00 %, 1.100 equiv., 2.743 mmol)을 80℃에서 아세토나이트릴(2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560 g, 76.70 %)를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3-클로로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3-클로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260 g, 0.888 mmol),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977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100.00 %, 1.500 equiv., 1.332 mmol) 및 포타슘 아이오다이드(100.00 %, 0.100 equiv., 0.089 mmol)를 실온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60 g, 56.42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70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3-클로로페닐)-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260 g, 0.501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1.002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1.252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00 g, 72.59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dd, J = 8.0, 1.2 Hz, 1H), 7.78 (dd, J = 10.0, 1.6 Hz, 1H), 7.47 (t, J = 7.6 Hz, 1H), 7.34 - 7.27 (m, 3H), 7.18 - 7.15 (m, 1H), 7.06 (s, 0.25H), 6.93 (s, 0.5H), 6.80 (s, 0.25H), 4.92 (s, 2H), 3.82 - 3.66 (m, 4H), 3.20 - 3.09 (m, 4H), 2.10 (br s, 1H); LRMS (ES) m/z 550.9 (M+ + 1).
실시예 71: 화합물 71의 합성, N-(3-클로로페닐)-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3-클로로페닐)-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3-클로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240 g, 0.820 mmol),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902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100.00 %, 1.500 equiv., 1.230 mmol) 및 포타슘 아이오다이드(100.00 %, 0.100 equiv., 0.082 mmol)를 실온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19 g, 53.22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1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3-클로로페닐)-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219 g, 0.436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873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1.091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표제 화합물(0.150 g, 64.51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9 (t, J = 1.0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55 (d, J = 8.4 Hz, 1H), 7.48 - 7.47 (m, 1H), 7.32 - 7.29 (m, 3H), 7.09 (s, 0.25H), 6.96 (s, 0.5H), 6.83 (s, 0.25H), 5.04 (s, 2H), 3.87 - 3.74 (m, 4H), 3.15 - 3.11 (m, 4H), 2.20 (br s, 1H); LRMS (ES) m/z 533.9 (M+ + 1).
실시예 72: 화합물 7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1-이미노-N-(3-메톡시페닐)-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4-(3-메틸이미다졸-3-윰-1-일)설폰일티오모르폴린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염(100.00 %, 0.580 g, 1.459 mmol)와 3-메톡시아닐린(100.00 % solution, 0.14 mL, 1.246 mmol)을 실온에서 아세토나이트릴(10 mL)에 녹인 용액을 18 시간 동안 가열환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2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51 g, 35.87 %)을 갈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75 g, 0.260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3 g, 0.32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086 g, 0.296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06 g, 81.93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7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06 g, 0.213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72 g, 0.53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33 g, 0.423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7 g, 50.61 %)을 옅은 주홍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1.60 Hz, 1H), 8.36 (dd, J = 8.2, 2.2 Hz, 1H), 7.58 (d, J = 8.00 Hz, 1H), 7.26 - 7.24 (m, 1H), 7.08 - 6.82 (m, 4H), 5.05 (s, 2H), 3.85 - 3.79 (m, 5H), 3.75 - 3.71 (m, 2H), 3.12 - 3.07 (m, 4H); LRMS (ES) m/z 529.8 (M+ + 1).
실시예 73: 화합물 7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1-이미노-N-(3-메톡시페닐)-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75 g, 0.260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3 g, 0.32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091 g, 0.296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85 g, 63.53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3-메톡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85 g, 0.165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43 g, 0.44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28 g, 0.35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1 g, 56.58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5 (dd, J = 8.0, 1.5 Hz, 1H), 7.77 (dd, J = 9.9, 1.5 Hz, 1H), 7.51 (t, J = 7.64 Hz, 1H), 7.26 - 7.24 (m, 1H), 7.05 - 6.79 (m, 4H), 4.94 (s, 2H), 3.78 - 3.75 (m, 5H), 3.72 - 3.65 (m, 2H), 3.13- 3.09 (m, 4H); LRMS (ES) m/z 546.5 (M+ + 1).
실시예 74: 화합물 74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1-이미노-1-옥소-1,4-싸이아진난-4-일)-N-페닐-에테인설폰아마이드
[단계 1] N-페닐에텐설폰아마이드의 합성
아닐린(100.00 %, 1.000 g, 10.740 mmol), 2-클로로에테인설폰일 클로라이드(100.00 %, 1.000 equiv., 10.740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00.00 %, 2.000 equiv., 21.480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5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3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738 g, 37.51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에텐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페닐에텐설폰아마이드(100.00 %, 0.738 g, 4.028 mmol),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000 equiv., 4.028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100.00 %, 1.500 equiv., 6.042 mmol) 및 포타슘 아이오다이드(100.00 %, 0.100 equiv., 0.403 mmol)를 실온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530 g, 92.79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2-티오모르폴리노-에테인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에텐설폰아마이드(100.00 %, 1.530 g, 3.737 mmol), 티오모르폴린(100.00 %, 1.300 equiv., 4.858 mmol) 및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 2.000 equiv., 7.474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3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0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917 g, 47.87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4]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1-옥소-1,4-티아진난-4-일)-N-페닐-에테인설폰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3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2-티오모르폴리노-에테인설폰아마이드(100.00 %, 0.900 g, 1.756 mmol),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4.389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3.512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39 g, 25.75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5] 화합물 74의 합성
단계 4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1-옥소-1,4-티아진난-4-일)-N-페닐-에테인설폰아마이드(100.00 %, 0.239 g, 0.452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904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1.130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0 g, 12.21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d, J = 8.0, 1.4 Hz, 1H), 7.75 (dd, J = 9.9, 1.5 Hz, 1H), 7.63 (t, J = 7.7 Hz, 1H), 7.40 - 7.31 (m, 5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5.05 (s, 2H), 3.31 - 3.27 (m, 2H), 3.17 - 3.03 (m, 10H), 2.52 (s, 1H); LRMS (ES) m/z 444.3 (M+ + 1).
실시예 75: 화합물 75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4-(메틸설폰이미도일)-N-페닐-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4-메틸설파일-N-페닐-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4-메틸설파일피페리딘;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00 %, 0.500 g, 2.982 mmol), 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1.000 equiv., 2.982 mmol) 및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 1.000 equiv., 2.982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다이클로로메테인(20 mL)과 메탄올(10 mL)을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세인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400 g, 53.58 %)를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4-메틸설파일-N-페닐-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4-메틸설파일-N-페닐-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40 g, 0.959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100.00 %, 1.500 equiv., 1.438 mmol)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1.054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25 g, 5.47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75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4-메틸설파일-N-페닐-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25 g, 0.052 mmol),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105 mmol) 및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131 mmol)을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5 g, 18.78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d, J = 8.0, 1.5 Hz, 1H), 7.75 (dd, J = 10.1, 1.5 Hz, 1H), 7.70 (t, J = 7.6 Hz, 1H), 7.36 - 7.32 (m, 2H), 7.19 - 7.17 (m, 3H), 7.05 (s, 0.25H), 6.92 (s, 0.5H), 6.79 (s, 0.25H), 4.96 (s, 2H), 4.10 - 4.07 (m, 2H), 2.94 - 2.88 (m, 2H), 2.84 (s, 3H), 2.68 - 2.60 (m, 2H), 2.45 (s, 1H), 2.01 - 1.97 (m, 2H), 1.51 - 1.44 (m, 2H); LRMS (ES) m/z 508.9 (M+ + 1).
실시예 76: 화합물 76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4-(3-메틸이미다졸-3-윰-1-일)설폰일티오모르폴린;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100.00 %, 1.000 g, 2.516 mmol) 및 4-플루오로아닐린(100.00 % solution, 0.238 mL, 2.512 mmol)을 실온에서 아세토나이트릴(10 mL)에 녹인 용액을 18 시간 동안 가열환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2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305 g, 43.85 %)을 갈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00 g, 0.362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6 g, 0.40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05 g, 0.362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N-다이클로로메테인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80 g, 45.54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76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80 g, 0.165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43 g, 0.44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28 g, 0.35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68 g, 79.90 %)을 옅은 주황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7 (d, J = 1.52 Hz, 1H), 8.37 (dd, J = 8.2, 2.2 Hz, 1H), 7.54 (d, J = 8.20 Hz, 1H), 7.40 - 7.37 (m, 2H), 7.08 - 6.83 (m, 3H), 5.01 (s, 2H), 3.86 - 3.80 (m, 2H), 3.76 - 3.70 (m, 2H), 3.19 - 3.09 (m, 4H); LRMS (ES) m/z 517.8 (M+ + 1).
실시예 77: 화합물 77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00 g, 0.362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6 g, 0.40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5-플루오로-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11 g, 0.360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N-다이클로로메테인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26 g, 69.17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7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26 g, 0.250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217 g, 0.67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42 g, 0.538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27 g, 20.19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14 (d, J = 0.72 Hz, 1H), 8.07 (dd, J = 9.2, 1.7 Hz, 1H), 7.43 - 7.39 (m, 2H), 7.09 - 6.83 (m, 3H), 5.06 (s, 2H), 3.88 - 3.83 (m, 2H), 3.79 - 3.73 (m, 2H), 3.16 - 3.11 (m, 4H); LRMS (ES) m/z 535.8 (M+ + 1).
실시예 78: 화합물 7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100 g, 0.362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16 g, 0.400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11 g, 0.361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N-다이클로로메테인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90 g, 49.50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8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90 g, 0.179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55 g, 0.481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30 g, 0.384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80 g, 83.72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5 (dd, J = 8.0, 1.5 Hz, 1H), 7.77 (dd, J = 9.9, 1.5 Hz, 1H), 7.50 (t, J = 7.60 Hz, 1H), 7.27 - 7.23 (m, 2H), 7.07 - 6.80 (m, 3H), 4.89 (s, 2H), 3.79 - 3.73 (m, 2H), 3.70 - 3.64 (m, 2H), 3.18- 3.10 (m, 4H); LRMS (ES) m/z 534.8 (M+ + 1).
실시예 79: 화합물 79의 합성, 벤질 N-[4-[[6-[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다진-3-일]메틸-(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
[단계 1] 벤질 N-[4-[(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의 합성
1-플루오로-3-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solution, 0.41 mL, 3.591 mmol)과 벤질 N-(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978 g, 3.645 mmol)를 실온에서 다이에틸에테르(4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다이에틸에테르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390 g, 95.47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79의 합성
벤질 N-[4-[(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270 g, 0.666 mmol), 2-[6-(브로모메틸)피리다진-3-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194 g, 0.667 mmol) 및 탄산 세슘(100.00 %, 0.434 g, 1.332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5 mL)에 녹인 용액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고 같은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20 % 에서 8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05 g, 25.61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44 (d, J = 8.7 Hz, 1H), 7.83 (d, J = 8.7 Hz, 1H), 7.39 - 7.31 (m, 6H), 5.29 (s, 2H), 3.93 - 3.89 (m, 2H), 3.58 - 3.53 (m, 4H), 3.27 - 3.21 (m, 2H); LRMS (ES) m/z 616.9 (M+ + 1).
실시예 80: 화합물 80의 합성, N-[[6-[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다진-3-일]메틸]-N-(3-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화합물 80의 합성
벤질 N-[4-[[6-[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리다진-3-일]메틸-(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100 g, 0.162 mmol)를 메탄올(2 mL)/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같은 온도에서 10%-Pd/C(10 mg)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수소 풍선을 부착하여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에틸아세테이트 = 100 %,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4 g, 69.05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42 (d, J = 8.7 Hz, 1H), 7.87 (d, J = 8.7 Hz, 1H), 7.38 - 7.32 (m, 1H), 7.12 - 6.87 (m, 4H), 5.29 (s, 2H), 3.82 - 3.76 (m, 2H), 3.71 - 3.65 (m, 2H), 2.98 - 2.97 (m, 4H); LRMS (ES) m/z 482.5 (M+ + 1).
실시예 81: 화합물 81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라진-2-일]메틸]-N-(3-플루오로페닐)-1-이미노-1-옥소-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벤질 N-[4-[[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라진-2-일]메틸-(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의 합성
벤질 N-[4-[(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300 g, 0.740 mmol), 2-[5-(브로모메틸)피라진-2-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214 g, 0.735 mmol) 및 탄산 세슘(100.00 %, 0.482 g, 1.479 mmol)을 실온에서 아세토나이트릴(5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물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20 % 에서 80 %)으로 정제 및 농축한 후, 수득물을 재차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40 g, 8.78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1의 합성
벤질 N-[4-[[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피라진-2-일]메틸-(3-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1-옥소-1,4-티아진난-1-일리덴]카바메이트(100.00 %, 0.040 g, 0.065 mmol)를 메탄올(2 mL)/테트라하이드로퓨란(1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같은 온도에서 10%-Pd/C(5 mg)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수소 풍선을 부착하여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에틸 아세테이트/ = 10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5 g, 15.98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43 (d, J = 1.2 Hz, 1H), 8.86 (d, J = 1.0 Hz, 1H), 7.40 - 7.34 (m, 1H), 7.11 - 6.86 (m, 4H), 5.15 (s, 2H), 3.81 - 3.76 (m, 2H), 3.71 - 3.65 (m, 2H), 2.99 - 2.98 (m, 4H); LRMS (ES) m/z 482.8 (M+ + 1).
실시예 82: 화합물 82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1-이미노-2-메틸-1-옥소-N-페닐-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2-메틸티오모르폴린(100.00 %, 0.500 g, 4.266 mmol)과 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1.000 equiv., 4.266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에 다이클로로메테인(5 mL)과 헥세인(30 mL)을 넣고 교반하여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세인으로 세척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600 g, 59.52 %)를 흰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00 g, 0.846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 소듐(100.00 %, 1.500 equiv., 1.270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931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61 g, 41.13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82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60 g, 0.346 mmol),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865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3.000 equiv., 1.038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표제 화합물(0.110 g, 64.43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9 (dd, J = 8.0, 1.6 Hz, 1H), 7.76 (dd, J = 10.2, 1.4 Hz, 1H), 7.70 (t, J = 7.6 Hz, 1H), 7.40 - 7.37 (m, 2H), 7.26 - 7.22 (m, 1H), 7.15 - 7.11 (m, 2H), 7.02 (s, 0.25H), 6.93 (s, 0.5H), 6.80 (s, 0.25H), 5.00 - 4.89 (m, 2H), 4.08 - 3.92 (m, 2H), 3.45 - 3.34 (m, 1H), 3.10 - 2.73 (m, 4H), 1.70 (br s, 1H), 1.19 - 1.14 (m, 3H); LRMS (ES) m/z 494.9 (M+ + 1).
실시예 83: 화합물 8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6-(1-이미노-1-옥소-티에탄-3-일)-N-페닐-2,6-다이아자스피로[3.3]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6-(티에탄-3-일)-2,6-다이아자스피로[3.3]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2,6-다이아자스피로[3.3]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00 g, 0.451 mmol)와 티에탄-3-온(100.00 %, 0.060 g, 0.681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4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 0.190 g, 0.901 mmol)를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2.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55 g, 66.65 %)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3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페닐-6-(티에탄-3-일)-2,6-다이아자스피로[3.3]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55 g, 0.301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242 g, 0.751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47 g, 0.602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23 g, 14.00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7 (dd, J = 8.0, 1.5 Hz, 1H), 7.73 - 7.68 (m, 2H), 7.35 - 7.32 (m, 2H), 7.27 - 7.24 (m, 1H), 7.13 (dd, J = 5.3, 3.2 Hz, 2H), 7.05 - 6.79 (m, 1H), 5.00 (s, 2H), 4.09 - 4.04 (m, 2H), 3.75 - 3.71 (m, 2H), 3.64 (s, 4H), 3.30 - 3.26 (m, 1H), 3.23 - 3.16 (m, 4H); LRMS (ES) m/z 547.8 (M+ + 1).
실시예 84: 화합물 84의 합성,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5-(1-이미노-1-옥소-티에탄-3-일)-N-페닐-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페닐-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페닐-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10 g, 0.258 mmol)와 티에탄-3-온(100.00 %, 0.034 g, 0.386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4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 0.109 g, 0.517 mmol)를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2.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66 g, 51.31 %)을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4의 합성
(1S,4S)-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페닐-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2-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66 g, 0.132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07 g, 0.332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21 g, 0.26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7 g, 9.99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1.9 Hz, 1H), 8.37 (dd, J = 8.2, 2.2 Hz, 1H), 7.64 (d, J = 8.2 Hz, 1H), 7.34 - 7.31 (m, 2H), 7.23 - 7.22 (m, 2H), 7.18 - 7.14 (m, 1H), 7.08 - 6.82 (m, 1H), 5.20 (d, J = 16.3 Hz, 1H), 5.05 (d, J = 16.3 Hz, 1H), 4.40 (s, 1H), 4.10 - 4.01 (m, 2H), 3.92 - 3.87 (m, 2H), 3.56 - 3.50 (m, 1H), 3.26 (s, 1H), 3.04 (d, J = 10.1 Hz, 1H), 2.79 (q, J = 6.5 Hz, 2H), 2.57 (d, J = 8.6 Hz, 1H), 1.77 (d, J = 9.8 Hz, 1H), 1.62 (d, J = 9.9 Hz, 1H); LRMS (ES) m/z 530.9 (M+ + 1).
실시예 85: 화합물 85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1-이미노-2-메틸-1-옥소-N-페닐-1,4-티아진네인-4-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50 g, 0.63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에 수소화 소듐(100.00 %, 1.500 equiv., 0.952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698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 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00 g, 35.36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5의 합성
단계 2에서 제조된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2-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30 g, 0.067 mmol),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168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135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5 g, 46.75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d, J = 2.0 Hz, 1H), 8.38 (dt, J = 8.4, 2.1 Hz, 1H), 7.58 (d, J = 8.0 Hz, 1H), 7.37 (td, J = 6.8, 1.7 Hz, 2H), 7.22 - 7.18 (m, 3H), 7.08 (s, 0.25H), 6.95 (s, 0.5H), 6.82 (s, 0.25H), 5.17 - 5.03 (m, 2H), 4.09 - 4.03 (m, 1H), 3.97 - 3.93 (m, 1H), 3.42 - 3.32 (m, 1H), 3.11 - 2.89 (m, 4H), 1.70 (br s, 1H), 1.20 - 1.17 (m, 3H); LRMS (ES) m/z 477.9 (M+ + 1).
실시예 86: 화합물 86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티아졸-2-일]메틸]-1-이미노-1-옥소-N-페닐-1,4-티아진네인-4-설폰아마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티아졸-2-일]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의 합성
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200 g, 0.774 mmol), 2-[2-(브로모메틸)티아졸-5-일]-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1.100 equiv., 0.851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100.00 %, 1.500 equiv., 1.161 mmol) 및 포타슘 아이오다이드(100.00 %, 0.100 equiv., 0.077 mmol)를 실온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3 g, 9.00 %)를 무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6의 합성
단계 1에서 제조된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티아졸-2-일]메틸]-N-페닐-티오모르폴린-4-설폰아마이드(100.00 %, 0.033 g, 0.070 mmol), (다이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100.00 %, 2.500 equiv., 0.17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2.000 equiv., 0.13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10 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overnight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12 g 카트리지;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 0 % 에서 1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5 g, 14.22 %)를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39 (s, 1H), 7.49 - 7.36 (m, 5H), 7.05 (s, 0.25H), 6.93 (s, 0.5H), 6.80 (s, 0.25H), 5.20 (s, 2H), 3.80 - 3.63 (m, 4H), 3.15 - 3.03 (m, 4H), 2.57 (br s, 1H); LRMS (ES) m/z 505.8 (M+ + 1).
실시예 87: 화합물 87의 합성,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1-이미노-1-옥소-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단계 1]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3-[(1S,4S)-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4-[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아닐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200 g, 0.418 mmol)과 티에탄-3-온(100.00 %, 0.055 g, 0.624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4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 0.176 g, 0.834 mmol)를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60 % 에서 9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56 g, 67.77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7의 합성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156 g, 0.283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228 g, 0.708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44 g, 0.564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한 후, 수득물을 재차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30 g, 18.21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7 (d, J = 1.8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63 (d, J = 8.2 Hz, 1H), 7.40 - 7.36 (m, 2H), 7.27 - 7.25 (m, 1H), 7.22 - 7.20 (m, 2H), 7.08 - 6.82 (m, 1H), 5.64 - 5.52 (m, 2H), 4.13 - 4.07 (m, 1H), 4.01 - 3.96 (m, 1H), 3.89 - 3.80 (m, 2H), 3.45 - 3.41 (m, 1H), 3.26 (s, 1H), 3.20 (s, 1H), 2.73 - 2.70 (m, 3H), 1.88 - 1.83 (m, 2H), 1.63 - 1.60 (m, 1H); LRMS (ES) m/z 582.4 (M+ + 1).
실시예 88: 화합물 88의 합성,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1-이미노-1-옥소-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단계 1]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3-[(1S,4S)-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4-[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아닐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200 g, 0.403 mmol)과 티에탄-3-온(100.00 %, 0.053 g, 0.601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4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 0.170 g, 0.806 mmol)를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60 % 에서 8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20 g, 52.38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88의 합성
3-[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3-플루오로-2-피리딜]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120 g, 0.211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170 g, 0.528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33 g, 0.423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한 후, 수득물을 재차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41 g, 32.40 %)을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10 (s, 1H), 8.08 (dd, J = 9.3, 1.7 Hz, 1H), 7.39 - 7.35 (m, 2H), 7.28 - 7.25 (m, 1H), 7.19 - 7.16 (m, 2H), 7.09 - 6.83 (m, 1H), 5.73 - 5.64 (m, 2H), 4.16 - 4.15 (m, 2H), 4.13 - 4.09 (m, 1H), 4.02 - 3.97 (m, 2H), 3.48 - 3.44 (m, 1H), 3.21 - 3.20 (m, 1H), 2.76 - 2.72 (m, 3H), 1.87 - 1.84 (m, 1H), 1.65 - 1.63 (m, 1H); LRMS (ES) m/z 600.8 (M+ + 1).
실시예 89: 화합물 89의 합성, 3-[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리노]-4-[(1S,4S)-5-(1-이미노-1-옥소-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
[단계 1] 3-[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의 합성
3-[(1S,4S)-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4-[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리노]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150 g, 0.303 mmol)과 티에탄-3-온(100.00 %, 0.040 g, 0.454 mmol)을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4 mL)에 녹인 용액에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00.00 %, 0.128 g, 0.607 mmol)를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0 % 에서 7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53 g, 30.84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1] 화합물 89의 합성
3-[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리노]-4-[(1S,4S)-5-(티에탄-3-일)-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사이클로부트-3-엔-1,2-다이온(100.00 %, 0.053 g, 0.093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075 g, 0.233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15 g, 0.192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 소듐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한 후, 수득물을 재차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08 g, 14.31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9 (dd, J = 8.0, 1.4 Hz, 1H), 7.74 - 7.67 (m, 2H), 7.39 - 7.35 (m, 2H), 7.31 - 7.28 (m, 1H), 7.09 - 7.07 (m, 2H), 7.05 - 6.79 (m, 1H), 5.60 (d, J = 15.4 Hz, 1H), 5.47 (d, J = 15.4 Hz, 1H), 4.13 - 4.07 (m, 1H), 4.01 - 3.95 (m, 1H), 3.86 - 3.80 (m, 2H), 3.43 - 3.41 (m, 1H), 3.28 (s, 1H), 3.17 (s, 1H), 2.71 (brs, 3H), 1.83 (d, J = 9.9 Hz, 1H), 1.59 (d, J = 10.1 Hz, 1H); LRMS (ES) m/z 599.8 (M+ + 1).
실시예 90: 화합물 90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폰이미도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3-메틸설파일아제티딘;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00 %, 0.452 g, 3.237 mmo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 solution, 1.15 mL, 6.585 mmol)를 실온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20 mL)에 녹인 용액에 1-플루오로-3-이소시아네이토-벤젠(100.00 % solution, 0.5 mL, 4.380 mmol)을 첨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2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815 g, 77.44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00 g, 0.832 mmol)와 소듐 하이드라이드(60.00 %, 0.037 g, 0.925 mmol)를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4 mL)에 녹인 용액에 2-[6-(브로모메틸)-3-피리딜]-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266 g, 0.91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207 g, 55.34 %)을 옅은 노란색 오일 형태로 얻었다.
[단계 3] 화합물 90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07 g, 0.461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371 g, 1.152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72 g, 0.922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5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한 후, 수득물을 재차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plate, 20x20x1 mm;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42 g, 18.98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6 (d, J = 2.0 Hz, 1H), 8.39 (dd, J = 8.2, 2.2 Hz, 1H), 7.61 (d, J = 8.2 Hz, 1H), 7.36 - 7.31 (m, 1H), 7.11 - 6.83 (m, 4H), 5.13 - 5.04 (m, 2H), 4.00 - 3.93 (m, 4H), 3.88 - 3.83 (m, 1H), 2.88 (s, 3H), 2.66 (s, 1H); LRMS (ES) m/z 481.7 (M+ + 1).
실시예 91: 화합물 91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폰이미도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200 g, 0.832 mmol)와 수소화 소듐(60.00 %, 0.037 g, 0.925 mmol)을 0℃에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4 mL)에 녹인 용액에 2-[4-(브로모메틸)-3-플루오로-페닐]-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100.00 %, 0.281 g, 0.915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5 % 에서 4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94 g, 49.98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91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N-(3-플루오로페닐)-3-메틸설파일-아제티딘-1-카르복사마이드(100.00 %, 0.197 g, 0.422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340 g, 1.056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66 g, 0.845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5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64 g, 30.46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90 (dd, J = 8.0, 1.5 Hz, 1H), 7.75 - 7.69 (m, 2H), 7.36 - 7.30 (m, 1H), 7.06 - 6.80 (m, 4H), 5.01 (s, 2H), 3.96 - 3.91 (m, 4H), 3.87 - 3.84 (m, 1H), 2.87 (s, 3H); LRMS (ES) m/z 498.7 (M+ + 1).
실시예 92: 화합물 92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2-이미노-2-옥소-N-페닐-2람다6-티아-6-아자스피로[3.3]헵테인-6-카르복사마이드
[단계 1]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N-[[4-[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플루오로-페닐]메틸]아닐린(100.00 %, 0.200 g, 0.626 mmo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00.00 % solution, 0.55 mL, 3.149 mmol)를 0℃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5 mL)에 녹인 용액에 트라이포스겐(100.00 %, 0.074 g, 0.249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옥살산;2-티아-6-아자스피로[3.3]헵테인(100.00 %, 0.120 g, 0.375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 수소 소듐 수용액을 붓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한 후, 플라스틱 필터로 여과하여 고체 잔여물과 수용액 층을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 10 % 에서 50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19 g, 41.26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단계 2] 화합물 92의 합성
N-[[5-[5-(다이플루오로메틸)-1,3,4-옥사다이아졸-2-일]-2-피리딜]메틸]-N-(4-플루오로페닐)티오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100.00 %, 0.040 g, 0.089 mmol), 아이오도벤젠 다이아세테이트(100.00 %, 0.072 g, 0.224 mmol) 및 암모늄 카바메이트(100.00 %, 0.014 g, 0.179 mmol)를 실온에서 메탄올(3 mL)에 녹인 용액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SiO2, 4 g 카트리지;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 = 0 % 에서 5 %)으로 정제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010 g, 23.38 %)을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7.86 (dd, J = 8.0, 1.4 Hz, 1H), 7.70 - 7.66 (m, 2H), 7.35 - 7.32 (m, 2H), 7.28 - 7.24 (m, 1H), 7.13 - 7.12 (m, 2H), 7.05 - 6.79 (m, 1H), 4.99 (s, 2H), 4.09 (q, J = 11.8 Hz, 4H), 3.77 (d, J = 7.0 Hz, 4H), 3.08 (brs, 1H); LRMS (ES) m/z 492.5 (M+ + 1).
<실험예>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 측정 및 분석 프로토콜
실험예 1. HDAC 효소 활성 억제 확인 ( in vitro )
선택적인 HDAC6 억제제가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HDAC1 억제의 선택성을 위해 중요한 바, 본 발명 화합물의 HDAC1/6 효소 선택성과 세포 선택성 (HDAC1: Histone acetylation/HDAC6: Tubulin acetylation)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1. 실험 방법
HDAC1 Fluorimetric Drug Discovery Assay Kit (Enzolifesciences: BML-AK511)와 HDAC6 human recombinant (Calbiochem: 382180)를 이용하여 시험물질의 HDAC 효소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HDAC1 assay의 경우 100, 1000, 10000 nM 농도로 처리하고, HDAC6 assay의 경우 0.1, 1, 10, 100, 1000 nM 농도로 처리하였다.
HDAC1 효소 활성 시험을 위해 인간 재조합 HDAC1(BML-SE456)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으며 Fluor de Lys ® -SIRT1 (BNL-KI177)을 기질로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5배로 희석한 화합물을 분주한 후 각 웰당 0.3μg의 효소와 10μM 기질을 넣어 37℃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Fluor de Lys ® Developer II (BML-KI176)을 넣어 30분 동안 반응시켜 종료한 후 multi-plate reader(FlexStation 3,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 값 (Ex 360, Em 460)을 측정하였다. HDAC6 효소는 Calbiochem사의 인간 재조합 HDAC6(382180)를 사용하여 HDAC1 효소활성 시험법과 동일한 프로토콜로 실험하였다. 최종 결과값은 GraphPad Prism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IC50 값을 계산하였다.
2. 실험 결과
위 실험방법에 따라 얻어진 HDAC 효소 활성 억제 검색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표 18]
상기 표 1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HDAC1과 HDAC6에 대한 활성억제 시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설폭시민 화합물은 HDAC1 대비 HDAC6에서 약 7배 이상, 최대 500배 이상의 낮은 IC50 값을 나타내는 바, 우수한 선택적 HDAC6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CF2H 또는 CF3이고,
    L1은 -(C1-3알킬렌)-,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Ra는 H 또는 C1-6알킬이고,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a, b, c, d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며,
    는 C3-12사이클로알킬,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방향족 고리기와 비방향족 고리기가 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9원 내지 12원의 융합 고리기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2-6알케닐, C2-6알키닐, C3-10사이클로알킬, C3-12사이클로알케닐,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c는 H 또는 C1-6알킬이고,
    는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 , 또는 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Z는 CH 또는 N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 q, r, s 및 t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고,
    L2는 단결합, -(C=O)-, -C(=O)O-, -C(=O)O-(C1-3알킬렌)- 또는 -S(=O)2-이고,
    R2는 H, C1-6알킬, C6-C12아릴, CF3 또는 -(P=O)(ORb)2이고,
    Rb는 H 또는 C1-6알킬이며,
    R3은 C1-6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에서,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또는 -O-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는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 또는 이고,
    R1, R2, R3, Ra, Rb, Rc, Q1, Q2, L2, Z, a, b, c, d, k, m, n, p, q, r, s 및 t는 각각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인,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a]

    상기 화학식 Ia에서,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Ra)-,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C1-3알킬렌)C6-C12아릴,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방향족 고리기와 비방향족 고리기가 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9원 내지 12원의 융합 고리기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Z1, Z2,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X 또는 N이되, Z1 내지 Z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 또는 N이고,
    X는 할로겐이며,
    , , 또는 이고, 상기 중 하나 이상의 H는 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a, Rc, Q1, Q2, L2, Z, k, m, n, p, q, r, s 및 t는 각각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a에서,
    Z1은 CX 또는 N이고,
    Z2는 CH, CX 또는 N이고,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X는 할로겐이며,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H-, , , 또는 이고,
    는 C6-C12아릴, 벤질,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또는 -O-이고,
    상기 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3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H는 -C(=O)(C1-6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c는 제3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인,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a에서,
    Z1은 CF 또는 N이고,
    Z2는 CH, CF 또는 N이고,
    Z3 및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L1은 -C(=O)-, -S(=O)2-, -S(=O)2-(C1-3알킬렌)-, -C(=O)NH-, , , 또는 이고,
    R2는 H, C1-6알킬, C6-C12아릴, CF3 또는 -(P=O)(ORb)2이고,
    Rb는 C1-6알킬이며,
    는 C6-C12아릴, 벤질,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이고,
    상기 의 C6-C12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H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포함하는 5원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 -CF3, -S(CF3), 할로겐 또는 -S(=NH)(=O)Rc로 치환될 수 있으며,
    Rc는 C1-6알킬인,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b로 표시되는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b]

    상기 화학식 Ib에서,
    , 또는 이고,
    Z5, Z6, Z7 및 Z8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X 또는 N이되, Z5 및 Z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 또는 N이고,
    Z9은 CH2, CHX, CX2, NR7, O 또는 S이고,
    R7은 H 또는 C1-6알킬이고,
    X는 할로겐이며,
    , R1, R2, L2, Z, m 및 n은 각각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7. 하기 표에 나타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설폭시민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매개 질환은
    감염성 질환; 신생물(neoplasm);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 신경 질환; 눈 및 부속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신부전;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또는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은 윌슨병, 아밀로이드증 또는 당뇨병이고,
    상기 정신 및 행동 장애는 우울증 또는 레트 증후군이고,
    상기 신경 질환은 중추신경 계통성 위축, 신경퇴행성 질환, 운동 장애, 신경병증, 운동신경질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또는 샤르코-마리-투스 병이고,
    상기 눈 및 부속기 질환은 포도막염이고,
    상기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은 건선이고,
    상기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또는 전신홍반성루푸스이고,
    상기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은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신종이고,
    상기 감염성 질환은 프리온병이고,
    상기 신생물은 양성종양 또는 악성종양이고,
    상기 순환기 질환은 심방세동, 뇌졸중, 심부전 또는 폐동맥고혈압이고,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또는 특발성폐섬유증이고,
    상기 소화기 질환은 알코올성 간질환,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또는 궤양성 장질환이고,
    상기 신부전은 급성 신부전 또는 만성 신부전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230136308A 2022-10-14 2023-10-12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40052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2710 2022-10-14
KR1020220132710 2022-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687A true KR20240052687A (ko) 2024-04-23

Family

ID=9066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308A KR20240052687A (ko) 2022-10-14 2023-10-12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2687A (ko)
WO (1) WO20240796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1213A2 (en) 2010-01-22 2011-07-28 Acetylon Pharmaceuticals Reverse amide compounds as protein deacetyl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3134467A1 (en) 2012-03-07 2013-09-12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Selective histone deactylase 6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95227C9 (ru) * 2015-07-27 2020-03-04 Чонг Кун Данг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рп. Производные 1,3,4-оксадиазолсульфамид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6 и содержащая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TWI639587B (zh) * 2015-07-27 2018-11-01 鐘根堂股份有限公司 作為組蛋白去乙醯酶6抑制劑之1,3,4-二唑磺胺衍生物及含彼之醫藥組合物
KR101799010B1 (ko) * 2015-08-04 2017-11-17 주식회사 종근당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1,3,4-옥사다이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3544965A4 (en) * 2016-11-28 2020-05-20 Shanghai Fochon Pharmaceutical Co., Ltd. SULFOXIMIN, SULFONIMIDAMID, SULFONDIIMIN AND DIIMIDOSULFONAMID COMPOUNDS AS INHIBITORS OF INDOLAMINE-2,3-DIOXYGENASE
CN114980887A (zh) * 2019-12-20 2022-08-30 特纳亚治疗股份有限公司 氟代烷基-噁二唑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1213A2 (en) 2010-01-22 2011-07-28 Acetylon Pharmaceuticals Reverse amide compounds as protein deacetyl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3134467A1 (en) 2012-03-07 2013-09-12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Selective histone deactylase 6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1/011186호 (2011. 1. 27 공개): Tubastatin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08162호 (2013. 1. 17 공개): Novartis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41407호 (2013. 3. 28 공개): Cellzome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52110호 (2013. 4. 11 공개): Sloan-K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3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5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8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66839호 (2013. 5. 10 공개): Tempero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3/080120호 (2013. 6. 6 공개): Novart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9682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0436B2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6阻害剤としての1,3,4−オキサジアゾール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化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薬剤学的組成物
RU2709207C2 (ru) 1,3,4-оксадиазо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6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их
KR101799005B1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1,3,4-옥사다이아졸 설프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A2993918C (en) 1,3,4-oxadiazole amide derivative compound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6453231B2 (ja) ウレア誘導体、またはその薬理学的に許容される塩
KR102504830B1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20220315580A1 (en) Aminotriazolopyridines as kinase inhibitors
JP7428833B2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6阻害剤としての1,3,4-オキサジ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JP2023516824A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6阻害剤としての1,3,4-オキサジ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JP7492033B2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6阻害剤としての1,3,4-オキサジ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KR20240052687A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설폭시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7069028B2 (ja) 新規なカリウムチャネル阻害剤
RU281008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1,3,4-оксадиазол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6 и содержащая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RU2817736C1 (ru) 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6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и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