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251A -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 Google Patents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251A
KR20240052251A KR1020220132039A KR20220132039A KR20240052251A KR 20240052251 A KR20240052251 A KR 20240052251A KR 1020220132039 A KR1020220132039 A KR 1020220132039A KR 20220132039 A KR20220132039 A KR 20220132039A KR 20240052251 A KR20240052251 A KR 2024005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upply valve
coffee
water filling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윤현
Original Assignee
경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윤현 filed Critical 경윤현
Priority to KR102022013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251A/ko
Publication of KR2024005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21D22/18Spinning using tools guided to produce the required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는 소정의 기체공간을 남겨두고 물이 충진될 수 있는 물충진부; 분쇄커피가 내재된 캡슐이 커버되는 캡슐거치부; 상기 물충진부로부터 상기 캡슐로의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로부터 캡슐을 거쳐 형성된 액상의 커피가 수용되는 추출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sealing structure and coffe bre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sea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TEA)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는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티백 또는 인스턴트 식품 등을 이용하여 음용한다.
그러나, 차나 커피 등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두커피 분말이나 찻잎 분말 등의 원재료를 구입하여, 개인의 기호대로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핸드 드립(Hand Drip) 방식, 커피머신의 일종인 에스프레서 머신(Esproesso Machine) 방식,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 방식 및 모카포트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핸드 드립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커피 제조 방식으로,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Driper)에 원추형의 여과지를 깔고, 원두커피 분말을 담은 뜨거운 물을 원두커피 분말에 부어 드립퍼 아래에 위치된 용기로 흘러내리게 하는 방식이고, 에스프레소 머신 방식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커피캡슐에서 빠르게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며,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주사기와 같은 형태로 관 형태의 유리용기 안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준 후에 금속 재질의 필터로 원두커피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모카포트 방식은 내부 기체가 충진된 물에 가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장치로서,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고 간편하게 종류에 따라 고품질의 커피액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 중 하나이다.
헌데, 이러한 모카포트 방식의 구현을 위해서는 가열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커피 맛이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에 사용 자체는 간편하나 원하는 커피 본연의 맛을 내기 위해서는 숙련된 과정은 물론, 고온의 증기가 외부로 손실되지 않게 열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 커피를 추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합식의 복잡한 모카포트의 구조에서도 수증기를 포함하는 기체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여 열손실 및 기능저하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링구조는 소정의 기체공간을 남겨두고 물이 충진될 수 있는 물충진부; 분쇄커피가 내재된 캡슐이 커버되는 캡슐거치부; 및 상기 물충진부로부터 상기 캡슐로의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충진부는 개방된 상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단턱부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 및 상면에 파여져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거치부는 상기 공급밸브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상면은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이루는 수평면 상부에는 탄성 재질의 실링체가 가압되어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는 소정의 기체공간을 남겨두고 물이 충진될 수 있는 물충진부; 분쇄커피가 내재된 캡슐이 커버되는 캡슐거치부; 상기 물충진부로부터 상기 캡슐로의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로부터 캡슐을 거쳐 형성된 액상의 커피가 수용되는 추출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충진부는 개방된 상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단턱부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 및 그 상면에 파여져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거치부는 상기 공급밸브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추출물 수용부는 상기 물충진부와 결합되고, 하면에 실링체가 설치되어 결합 시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수평면을 가압하여 기밀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밸브는, 적어도 상기 단턱부와 결합되는 연장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의 재질 중 일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밸브의 금속재질 부분은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급밸브의 합성수지재 부분은 상기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금속부분과 함게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거치부는, 적어도 상기 연장부의 안착홈과 결합되는 지지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의 재질 중 일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거치부의 금속재질 부분은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캡슐거치부의 합성수지재 부분은 상기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금속부분과 함게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식 모카포트의 결합부위에서 완벽한 패킹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커피추출기구의 열손실 및 기능저하를 방지하고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일부 구성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이하, 간략하게 '추출기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가열부(600)는 보일러 또는 인덕션 등과 같은 인가되는 전원이나 연료의 연소 등을 통해 발열하여 물충진부(100)에 수용된 물에 열을 가하여 내부를 가열시키는 수단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구(1)는 크게 물충진부(100), 공급밸브(200), 캡슐커버(300), 추출물 수용부(400) 및 실링체(500)를 포함한다.
물충진부(100)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물충진부(100)가 열을 받으면 내부의 공기가 물을 밀어 캡슐을 거쳐 추출물 수용부(400)에 이르도록 한다.
물충진부(100)는 가열부(600)에 의한 가열에도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강화유리나 금속재질을 이용한 손잡이가 구비된 케틀(kettle)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에는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물충진부(1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온도가 상승하는 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용이하게 강화유리의 재질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물충진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에 의해 상기 물충진부(100)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110)가 설치될 수 있다.
물충진부(100)의 소정의 지름을 갖도록 개방된 입구(120) 외면에는 후에 설명하는 추출물 수용부(40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120) 둘레 단부에는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턱부(140)가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물충진부(100)에 형성된 연장부(225)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물충진부(100) 상부에는 후에 설명하는 실링체(500)가 삽입되기 위한 돌출링(150)이 상방으로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돌출링(150)은 삽입된 상기 실링체(500) 양단이 상기 돌출링(150) 내벽에 지지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링(150)의 높이는 실링체(500)의 높이와 대비하여 더 낮아 추출물 수용부(400)와 물충진부(10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나사 결합시에 상기 추출물 수용부(400)를 통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상기 실링체(500)의 가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밸브(200)는 상술한 물충진부(100)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에 의해 개폐됨과 동시에 캡슐커버(300) 내에 수용된 캡슐(700) 내측으로 해당 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체(210), 상부체(220) 및 열구동밸브(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하부체(210)는 상부체(220) 하부에 배치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물충진부(100)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부체(210)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파이프(PIPE) 형상의 유입관(211)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체(220)는 하부체(2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되 상부에는 단턱부(140)와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연장부(225)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는 캡슐커버(300)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320)가 삽입되기 위한 안착홈(223)이 형성된다.
이때, 서로 결합되는 상부체(220)와 하부체(210) 내측에는 열구동밸브(230)가 배치되되 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열구동밸브(230)를 통해 캡슐(700)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221)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열구동밸브(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221)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부체(210)와 상부체(220) 사이에 고정 체결되되 상기 공간부(221)로 유입된 증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승강하며, 그 승강에 의해 개폐되어 캡슐(700) 내부로의 증기 유입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서바디(240), 승강로드(250), 기준로드(253) 및 탄성체(260)를 포함한다.
예컨대 센서바디(240)는 스틸재질로 형성되되 외면에는 상부체(220)와 하부체(210) 사이에 삽입되어 공간부(221) 내에 열구동밸브(23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제1플랜지(245)가 형성된다.
센서바디(240) 상부는 승강로드(250)가 캡슐(700) 방향으로 상승시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기준로드(253)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폐쇄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센서바디(240) 내부에는 탄성체(26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로드(250)가 상승 후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플랜지(251)는 승강로드(250)와 함께 승하강 하는 것으로써 홈부(253)에 삽입되어 제1플랜지(245)와 맞닿을 때 유로가 폐쇄되고 상승되어 제1플랜지(245)와 떨어지면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승강로드(2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기준로드(253)가 구비되되 외면에는 제2플랜지(251)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251)는 제1플랜지(245) 내측에 형성된 홈부(243)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한다.
승강로드(250) 외면에는 코일크프링 형상의 탄성체(260)가 감싸지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260) 하부는 제2플랜지(251)에 닿아 복원력을 가할 수 있고, 상부는 센서바디(240) 상부에 맞닿아 지지된다.
열구동밸브(230)는 승강로드 내부에 열팽창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팽창 물질은 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구동밸브(230) 내부의 열팽창 물질은 열을 받으면 팽창하여 기준로드(253)를 하방으로 밀어낸다. 다만, 이 때 기준로드(253)는 하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설계되었으므로 승강로드(250)가 반작용에 의하여 상승된다.
이때, 승강로드(250) 상부에는 상승과 더불어 캡슐(700)을 관통하기 위한 파이프(PIPE) 형상의 제1니들(255)이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며, 상기 제1니들(255) 외면에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관통공(2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공(257)이 항상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고온의 물은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기 위한 관통공(257)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관통공(257)의 설계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체(220)의 내경과 열구동밸브(230)의 외경 사이의 틈으로 흘를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승강로드(250)가 상승될 때 제1니들(255)은 캡슐(70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니들(255)에 관통공(257)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승된 물은 주로 관통공(257)을 통하여 캡슐(700)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캡슐커버(30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일부 개방된 함의 형상으로 성형되되 그 내부에는 분쇄커피가 수용된 캡슐(70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캡슐커버(300) 하부에는 상부체(220)에 형성된 안착홈(223)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지지대(320)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22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캡슐커버(300)의 개방된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니들(340)과 관형상의 배출관(330)이 수직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330)은 후에 설명하는 추출물 수용부(400)와 관 연결되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추출물 수용부(400) 내부의 하단부터 쌓여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부체(220) 및 캡슐커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225)를 포함하는 상부체(220) 둘레면은 물론, 지지대(320)를 포함하는 상기 캡슐커버(300)의 둘레면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으로 둘레면을 사출 성형하여 내구성 향상 및 기밀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둘레면은 필요에 따라 그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분은 적어도 결합구조에 기여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한다. 결합구조에 기여하는 부분은 연장부(225) 및 지지대(320)를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결합구조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은 제조오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완벽한 밀폐구조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외의 부분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위 외의 부분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은 동일한 구조를 달성하면서도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과 합성수지재로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것은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 또는 인서트사출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이란 금속과 플라스틱과 같이 서로 다른 재료를 금형에 함께 삽입하여 사출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 수용부(400)는 상술한 물충진부(100)와 유사하게 외형은 개폐 가능한 케틀(kettle)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배출관(330)과 관 연결되어 분쇄커피를 추출한 액상의 커피가 이동 및 상기 추출물 수용부(400) 내에서 안정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추출관(410)이 형성된다.
예컨대 추출관(4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성형되되 하부는 배출관(330)과 관 연결되며,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공(420)이 형성되어 상기 추출관(410)을 통해 상기 토출공(420)으로 배출되어 추출물 수용부(400)에 액상의 커피추출액이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추출관(410) 상부 즉, 토출공(420)이 형성된 상기 추출관(410) 상부에는 상기 토출공(420)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 추출물 수용부(400) 내부에서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출될 수 있도록 갓(4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추출물 수용부(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물충진부(100)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조임정도에 따라 실링체(500)의 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돌출링(150)과의 접촉을 통하여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유지를 위한 상기 실링체(500)가 파손되지 않는 정도에서 조임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링체(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갖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러버 재질로 성형되며, 추출물 수용부(400)와 나사 결합하는 물충진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물 수용부(400)의 조임에 따른 가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피포트(1)의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실링체(500)를 통한 커피포트(1)의 기밀이 실현되는 부분은 물충진부(100)에 형성된 단턱부(140)와 상부체(220)에 형성된 연장부(225) 간의 이음부 및 캡슐커버(300)에 형성된 지지대(320)와 상기 상부체(220)에 형성된 안착홈(223) 간의 이음부에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턱부(140) 상면, 상기 단턱부(140)에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는 연장부(225)의 상면, 상부체(220)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223)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대(320) 상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을 형성하여 실링체(500)에 의한 가압의 용이성을 통해 기밀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포트(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단턱부(140)와 연장부(225) 간의 이음부는 물론, 지지대(320)가 삽입 지지되는 안착홈(223) 간의 이음부가 평탄화되어 실링체(500)의 가압에 의해 기밀이 유지됨에 따라 물충진부(100)에서 추출물 수용부(400)까지 흐르는 물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증기, 더운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목적하는 기압, 온도에서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물충진부
110: 안전밸브
120: 입구
130: 나사산
140: 단턱부
150: 돌출링
200: 공급밸브
210: 하부체
211: 유입관
220: 상부체
223: 안착홈
225: 연장부
230: 열구동밸브
240: 센서바디
243: 홈부
245: 제1플랜지
250: 승강로드
253: 기준로드
255: 제1니들
260: 탄성체
300: 캡슐커버
400: 추출물 수용부
500: 실링체
600: 가열부
700: 캡슐

Claims (7)

  1. 소정의 기체공간을 남겨두고 물이 충진될 수 있는 물충진부;
    분쇄커피가 내재된 캡슐이 커버되는 캡슐거치부; 및
    상기 물충진부로부터 상기 캡슐로의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충진부는 개방된 상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단턱부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 및 상면에 파여져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거치부는 상기 공급밸브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이루는 수평면 상부에는 탄성 재질의 실링체가 가압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
  3. 소정의 기체공간을 남겨두고 물이 충진될 수 있는 물충진부;
    분쇄커피가 내재된 캡슐이 커버되는 캡슐거치부;
    상기 물충진부로부터 상기 캡슐로의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로부터 캡슐을 거쳐 형성된 액상의 커피가 수용되는 추출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충진부는 개방된 상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단턱부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 및 그 상면에 파여져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거치부는 상기 공급밸브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추출물 수용부는 상기 물충진부와 결합되고, 하면에 실링체가 설치되어 결합 시 상기 단턱부, 연장부 및 안착홈이 결합되어 이루는 수평면을 가압하여 기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는,
    적어도 상기 단턱부와 결합되는 연장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의 재질 중 일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의 금속재질 부분은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급밸브의 합성수지재 부분은 상기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금속부분과 함게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거치부는,
    적어도 상기 연장부의 안착홈과 결합되는 지지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의 재질 중 일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거치부의 금속재질 부분은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캡슐거치부의 합성수지재 부분은 상기 헤라시보리 스피닝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금속부분과 함게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KR1020220132039A 2022-10-14 2022-10-14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KR20240052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039A KR20240052251A (ko) 2022-10-14 2022-10-14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039A KR20240052251A (ko) 2022-10-14 2022-10-14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251A true KR20240052251A (ko) 2024-04-23

Family

ID=9088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039A KR20240052251A (ko) 2022-10-14 2022-10-14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2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771B2 (en)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US20130213240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US20090199719A1 (en) Double-walled vessel
US10485372B2 (en) Beverage machine
US7104185B2 (en) Vacuum coffee maker
CN105848535A (zh) 饮料机
EP2109386B1 (en) Coffee-maker structure for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WO2016113621A1 (en) Stovetop espresso maker
US20160183717A1 (en) Improve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beverages
US5463935A (en) Infusion maker
KR20240052251A (ko) 패킹구조 및 그 패킹구조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기구
US20090126576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EP3247245A1 (en) Stovetop espresso maker
KR101344359B1 (ko) 캡슐음료 추출장치
KR101983339B1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CN106667260A (zh) 咖啡滴漏装置
US2467817A (en) Coffee-making device
US2844088A (en) Coffee percolator
KR20090012348U (ko) 블렌딩 음료를 위한 추출캡슐 및 추출컵
CN109310228A (zh) 饮料冲泡器
KR102583882B1 (ko) 설정온도에서 구동되는 비전기식 추출기구
CN104188519B (zh) 一种咖啡机用锅炉结构
CN107028499B (zh) 冲泡机以及饮品冲泡方法
CN205031004U (zh) 一种先煮后蒸及双锅电饭锅
US2549132A (en) Coffee 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