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046A -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 Google Patents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046A
KR20240052046A KR1020247010773A KR20247010773A KR20240052046A KR 20240052046 A KR20240052046 A KR 20240052046A KR 1020247010773 A KR1020247010773 A KR 1020247010773A KR 20247010773 A KR20247010773 A KR 20247010773A KR 20240052046 A KR20240052046 A KR 2024005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verlay film
film structure
individual overlay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피 모건
카일 셰프케
조슈아 패트릭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505,198 external-priority patent/US20220030992A1/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5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0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4Processes for the fixation or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in three-dimensional fo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6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원 양태들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에지들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통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제2 패널에 적용된다. 의류 물품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필름 구조들은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가역적으로 증가되게 하고, 이는 제2 소재 패널이 통기 개구부의 종축의 방향으로 치수가 가역적으로 감소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통기 개구부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Description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본원의 양태들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부(vent opening)를 폐쇄 상태(closed state)에서 개방 상태(open state)로 동적으로 전환하는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discrete overlay film structures)을 활용하는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의류 물품들에서 통기 구조들은 일반적으로 지퍼 또는 패스너와 같은 인간 조작을 요구하는 기계적 구조의 사용을 통해 개방되고 폐쇄되거나, 통기 구조 내로 공기 유입 또는 그 외로 공기 유출에 반응하여 수동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거나, 또는 항상 개방 상태와 같은 정적 상태로 존재한다.
하기 항목들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개념들의 예시의 양태들을 나타낸다. 하기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항목에 종속되도록 다중 종속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종속 항목들(분명하게 이전 항목에 종속되는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항목들은 예시이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항목 1. 의류 물품으로서, 제1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1 패널; 제2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2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는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종축을 갖는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인, 제2 패널; 및 제2 패널에 부착되는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이되,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long axis) 및 단축(short axis)을 갖는 것인,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의류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의 장축은 상기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며, 그리고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방향으로 치수가 증가되어, 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제1 패널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제2 패널의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제2 패널의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약 30미크론 내지 약 5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구부의 종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가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제2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통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패널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의류 물품은 상체 의복(upper-body garment)인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1.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의류 물품은 하체 의복(lower-body garment)인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2. 의류 물품으로서, 제1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1 패널; 제2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2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는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인, 제2 패널; 및 제2 패널에 부착되는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의류 물품에 있어서,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변경되어, 제2 패널이 제1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의 장축은 상기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5. 항목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제1 패널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6. 항목 12 내지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가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제1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지 않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7. 항목 12 내지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8. 항목 12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약 30미크론 내지 약 5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의류 물품.
항목 19. 통기 개구부를 갖는 의류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패널의 제2 패널 에지에 제1 패널의 제1 패널 에지를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불연속적 부착 단계이되, 상기 통기 개구부는 종축을 가지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의류 물품을 형성하는 것인, 상기 불연속적 부착 단계; 및 상기 제2 패널에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부착하는 필름 구조 부착 단계이되,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필름 구조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들은 상기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의 제조 방법.
항목 20. 항목 1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통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패널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의 제조 방법.
항목 21. 텍스타일로서, 텍스타일의 제1 표면에서부터 텍스타일의 제2 대향 표면(opposite surface)까지 연장되는 슬릿(slit)이되, 제1 에지, 대향하는 제2 에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축을 포함하는 슬릿; 슬릿의 제1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슬릿의 제2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타일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과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 및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의 장축들은 상시 슬릿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슬릿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3. 항목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4. 항목 2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약 30미크론 내지 약 5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5. 항목 21 내지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종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6. 항목 25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상기 슬릿의 제1 에지 및 제2 에지는 제1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7. 항목 2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상체 의복 내에 통합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8. 항목 2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하체 의복 내에 통합되는 것인, 텍스타일.
항목 29. 텍스타일 구조물(textile construction)로서, 자체를 통해 연장되는 제1 복수의 구경(aperture)을 갖는 제1 소재 패널(panel of material); 제1 소재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소재 패널이되, 제2 소재 패널은 자체를 통해 연장되는 제2 복수의 구경을 가지며, 제1 복수의 구경은, 텍스타일 구조물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구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인, 제2 소재 패널; 및 제2 소재 패널의 제1 단부에 부착되어 이 제1 단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이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제2 소재 패널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shift)하게 되며, 이는,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을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1 복수의 구경과 상기 제2 복수의 구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0. 항목 29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재 패널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소재 패널에 부착되는 제1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1. 항목 29 또는 30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재 패널의 추가 에지들의 제1 세트는 상기 제1 소재 패널에 부착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2. 항목 29 또는 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재 패널의 추가 에지들의 제2 세트는 상기 제1 소재 패널에서 분리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3. 항목 29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인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4. 항목 29 내지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약 30미크론 내지 약 5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5. 항목 29 내지 3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은 상기 제2 소재 패널의 제1 단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6. 항목 35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이 수분에 노출될 때, 상기 제2 소재 패널은, 상기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7. 항목 29 내지 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은 상체 의복 내에 통합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항목 38. 항목 29 내지 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구조물은 하체 의복 내에 통합되는 것인, 텍스타일 구조물.
본원 양태들의 예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텍스타일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구비한 예시의 텍스타일의 제1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a의 텍스타일의 제2 대향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a의 절단선 1C-1C를 따라 텍스타일을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d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a의 절단선 1D-1D를 따라 텍스타일을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텍스타일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1a의 텍스타일의 제1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2a의 텍스타일의 제2 대향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2a의 절단선 2C-2C를 따라 텍스타일을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d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2a의 절단선 2D-2D를 따라 텍스타일을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폐쇄 상태에 있는 예시의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예시의 상체 의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고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 후에, 도 3a의 상체 의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c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3a의 절단선 3C-3C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d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통기 개구부가 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3b의 절단선 3D-3D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e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3a의 통기 개구부의 종축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f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3b의 통기 개구부의 종축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폐쇄 상태에 있는 예시의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예시의 상체 의복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4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고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 후에, 도 4a의 상체 의복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5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하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폐쇄 상태에 있는 예시의 배기 개구부를 구비한 예시의 하체 의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하체 의복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고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 후에, 도 5a의 하체 의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6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에 대한 상이한 형상의 구성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텍스타일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을 구비한 예시의 텍스타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텍스타일이 외부 자극에 누출된 후에, 도 7a의 텍스타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 및 통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의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의 예시의 텍스타일을 도시한 도면이되, 텍스타일은 슬릿과 이 슬릿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을 포함한다.
도 9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그리고 슬릿은 개방 상태에 있는 도 9a의 텍스타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의 텍스타일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되, 텍스타일 구조물은 제1 복수의 구경을 갖는 제1 소재 패널과 제1 복수의 구경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복수의 구경을 갖는 제2 소재 패널을 포함한다.
도 10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a의 절단선 10B-10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c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a의 절단선 10C-10C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d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a의 절단선 10D-10D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e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a의 절단선 10E-10E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f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10a의 텍스타일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되, 제1 패널의 제1 복수의 구경은 제2 패널의 제2 복수의 구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도 10g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f의 절단선 10G-10G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h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f의 절단선 10H-10H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i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0f의 절단선 10I-10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예시의 제1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되, 통기 구조는, 통기 개구부를 제어하기 위해 보강 패널들(stiffening panels)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11의 예시의 제1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예시의 제2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되, 통기 구조는 통기 개구부를 제어하기 위해 보강 패널들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13의 예시의 제2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예시의 제3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되, 통기 구조는 통기 개구부를 제어하기 위해 보강 패널들을 포함한다.
도 16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15의 예시의 제3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법에 명시된 요건들을 충족하기 위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원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원 발명자들은, 청구되거나 개시되는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향후 기술들과 함께, 본원 문헌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한 상이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조합들을 포함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또한, 비록 "단계" 및/또는 "블록"이란 용어들이 사용되는 방법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함축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어들은,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리고 언급된 때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단계들 중 또는 그 단계들 간에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전통적인 의류 물품들에서 통기 구조들은 일반적으로 지퍼 또는 패스너와 같은 인간 조작을 요구하는 기계적 구조의 사용을 통해 개방되고 폐쇄되거나, 통기 구조 내로 공기 유입 또는 그 외로 공기 유출에 반응하여 수동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거나, 또는 항상 개방 상태와 같은 정적 상태로 존재한다. 본원 양태들은, 의류 물품이, 예컨대 땀의 형태인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되고 외부 자극이 제거될 때에는 폐쇄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의류 물품을 제공한다. 이는, 예컨대 착용자가 운동하고 있을 때 필요한 통기(venting)를 허용하며, 그리고 착용자에 의한 의류 물품 및/또는 통기 개구부의 어떠한 조작도 없이 착용자가 쉬고 있을 때에는 통기의 감소를 허용한다.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간의 통기 개구부의 동적 전환은,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패널들 중 하나에 부착되어 있는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치수가 변경되며(예컨대 z 방향으로의 증가), 그로 인해 기저 패널(underlying panel)도 치수가 변경되게 하며(예컨대 x 방향으로의 감소), 그에 따라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되게 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되면,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 및 기저 패널은 각각의 노출 전 치수들(pre-exposure dimensions)로 복귀되며, 이는 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높은 수준에서, 통기 개구부는, 대향하는 에지들 사이에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에지들을 부착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에지들을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통기 개구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다.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팽윤(swell)하거나 치수가 증가하는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통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제2 패널에 부착된다.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며, 그리고 필름 구조들은, 이 필름 구조들의 장축들이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배향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은 제1 패널에 적용되지 않는다. 의류 물품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필름 구조들은, 예를 들면 z 방향으로 높이의 증가, y 방향으로 길이의 증가 및/또는 x 방향으로 폭의 증가처럼, 치수가 변경된다. 필름 구조들은 제2 패널에 완전히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구조들의 치수가 변경됨에 따라,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z 방향으로 "주름이 잡히거나" 또는 인장되는 제2 패널로 인해, 제2 패널은 제1 방향(즉,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따르는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하게 된다. 제1 패널은 임의의 필름 구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패널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치수가 주목할 정도로 변경되지 않는다.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로 인해, 그리고 제1 패널의 부족한 치수 변경으로 인해 제1 방향에서 제2 패널의 치수가 감소함에 따라, 통기 개구부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이를 달리 말하면, 의류 물품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제2 패널 에지의 길이가 감소하는 반면, 제1 패널 에지들의 길이는 본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그 결과로 인해 제1 패널 에지의 부착된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인장되어,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될 때,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은 다시 각각의 노출 전 상태로 전환되고, 제2 패널의 주름잡힘(puckering) 또는 변형(deformation)은 완화되며, 그리고 통기 개구부는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의류 물품(article of apparel)"이란 용어는, 상체 의복류(예: 셔츠, 재킷, 후드, 풀오버), 하체 의복류(예: 바지, 반바지, 레깅스), 신발 또는 양말과 같은 신발류 물품들, 모자류 물품들(예: 테가 있는 모자), 장갑, 슬리브(예: 팔토시, 종아리 압박 토시) 등을 포함하여 착용자가 착용하도록 의도되는 많은 제품을 포함한다. 전면, 후면,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 상부, 하부, 근위부(proximal), 말단부(distal), 중앙부(medial), 측면부(lateral) 등처럼 의류 물품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위치 용어들은, 착용자가 똑바로 서 있는 자세에서, 의도하는 대로 착용되는 의류 물품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의류 물품이 상체 의복 또는 하체 의복의 형태일 때, 의류 물품의 전면은, 예컨대 착용자의 앞쪽 몸통 둘레 영역(front torso area), 앞쪽 팔 영역, 또는 앞쪽 다리 영역을 덮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의류 물품의 후면은 착용자의 뒤쪽 몸통 둘레 영역, 뒤쪽 팔 영역, 또는 뒤쪽 다리 영역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와 유사하게, 의류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은 착용자의 피부면 또는 기저층(base layer)과 [제2 기재(substrate)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하는 제1 기재의 표면으로서 정의되는] 면-공유 접촉(face-sharing contact)을 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의류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은 외부 환경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 및/또는 이 필름 구조들이 부착되어 있는 패널;의 치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z 방향"이란 용어는 상체 또는 하체 의복의 표면에서부터 이격 방향으로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 및/또는 이 필름 구조들이 부착되어 있는 패널;의 치수 변경을 나타낼 때, "x 방향" 및 "y 방향"이란 용어들은 상체 또는 하체 의복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외부 자극"이란 용어들은 온도, 압력, 수분, 전기 에너지, 자기 에너지, 빛, 소리 등과 같은 많은 자극을 포함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외부 자극은 수분이되, 수분은 액체수, 수증기, 땀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기 개구부"란 용어는 의류 물품 내에 형성되어 외부 환경과 의류 물품의 내부(예컨대, 의류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공간) 간의 유체(예: 기체, 액체) 연통 경로(communication path)를 제공하는 개구부를 의미한다. 통기 개구부는, 이격된 고정점들에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패널 에지들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에지(edge)"란 용어는 패널의 부착되지 않은 말단 단부(terminal end)를 의미한다. 통기 개구부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종축(longitudinal axis)"이란 용어는 통기 개구부의 가장 긴 치수에 대해 평행한 축이다. 이를 달리 언급하면, 통기 개구부의 "종축"은 인접한 고정점들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된다. 통기 개구부를 설명할 때, "폐쇄 상태(closed state)"란 용어는, 제1 및 제2 패널과 이들 각각의 에지들이 인접한 고정점들 사이의 위치에서 인접한 관계(abutting relationship)에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인접한 관계는 패널들의 표면들 간의 접촉, 패널들 각각의 에지들 간의 접촉, 또는 제1 및 제2 패널의 표면들 및/또는 에지들 간의 거의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 통기 개구부를 설명할 때, "개방 상태(open state)"란 용어는, 제1 및 제2 패널과 이들의 각각의 에지들이 인접한 고정점들 사이의 위치에서 더 이상 인접한 관계에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패널의 표면들 및/또는 에지들은 약 1mm 내지 약 30mm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지정된 값(designated value)의 ±5% 이내를 의미한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는 통기 개구부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동적(dynamic)" 또는 "동적으로(dynamically)"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의류 물품이 비-착용 상태이고 제어되는 환경[예: 표준 주변 온도 및 압력(섭씨 25도 및 압력 101.325kPa)]에 있으면서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안, 의류 물품의 인간 조작 없이 일어나는 기계적 작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1 패널(first panel)" 및/또는 "제2 패널"이란 용어는, 의류 물품, 및/또는 의류 물품 상의 통기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텍스타일, 소재(material) 또는 직물(fabric)을 의미한다. 제2 패널에 대하여,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팽윤(swelling)에 의해 야기되는 z 방향으로 제2 패널의 주름잡힘 또는 이동의 정도는 제2 패널과 관련된 다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z 방향으로 제2 패널의 이동 정도는 제2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얀(yarn)(들)의 수분율 값(moisture regain valu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되, 수분율은, 오븐 건조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표준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공기로부터 흡수하게 되는 수분의 백분율로서 정의된다. 예시로서, 제2 패널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처럼 낮은 수분율을 갖는 얀들로 형성될 때, 제2 패널에서는, 이 제2 패널이 무명처럼 높은 수분율을 갖는 얀들로 형성될 때와 비교하여, 보다 더 높은 정도의 변형 또는 주름잡힘이 진행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높은 수분율을 갖는 얀들이 전형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얀이 팽윤되거나 확장되게 하며, 이는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팽윤에 의해 생성되는 인장력에 대응하여 제2 패널의 주름잡힘 정도가 더 낮아지게 한다.
z 방향으로 제2 패널의 이동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제2 패널의 중량이다. 양태들에서, 제2 패널은 경량 직물(예컨대, 평방미터당 약 30그램(gsm) 내지 약 150gsm) 또는 초경량 직물(예컨대, 약 10gsm 내지 약 100gsm)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본원에서는 보다 더 무거운 중량의 직물도 고려된다. 경량 및 초경량 직물은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중량의 직물보다 더 큰 정도로 주름이 잡힐 수 있다. 추가의 예시의 양태들에서, z 방향으로 제2 패널의 이동 정도는, 예컨대 Spandex®처럼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중합체 얀들(elastomeric yarns)의 존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유형들, 텍스타일 중량들 및 텍스타일 구조물들(예: 니트 또는 부직포)이 동일할 때, 탄성중합체 얀들의 존재는, 제2 패널이 탄성중합체 얀들을 포함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제2 패널이 z 방향으로 보다 더 큰 정도의 이동을 나타내게 한다. 따라서, z 방향으로 제2 패널의 이동의 정도는, 제2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얀의 유형; 제2 패널의 중량; 및/또는 제2 패널 내 탄성중합체 얀들의 사용;을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discrete overlay film structure)"란 용어는 패널 상의 필름 도포를 나타내되, 각각의 필름 구조는 모든 면에서 패널의 확장부 또는 일부분만큼 인접한 필름 구조로부터 이격(즉, 분리)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은, 예컨대 중간 접착제 층을 통해, 또는 패널에 필름을 도포할 때에는 필름의 용융 또는 부분적인 용융을 통해 패널에 완전히 접착된다. 본원 양태들에서는, 필름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패널에 부착되거나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x 방향, y 방향 및/또는 z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확장되는 모든 필름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에서,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일측 표면에서 필름의 제2 대향 표면으로 수분을 운반하거나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PBT 기반) TPE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의 운반은, 필름의 안쪽에서 물을 끌어당기거나 그에 대해 친화력을 갖는 친수성 분자들의 존재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되, 보다 더 많은 친수성 분자는 수분의 보다 더 큰 운반을 야기한다. 필름을 통과하는 수분의 이동은, 예컨대 ASTM E96 B와 같은 수증기 투과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은 약 600g/m2/day 내지 약 10,000g/m2/day, 약 1,000g/m2/day 내지 약 9,000g/m2/day, 약 3,000g/m2/day 내지 약 8,000g/m2/day, 약 5,000g/m2/day 내지 약 7,000g/m2/day이거나, 또는 약 6,000g/m2/day일 수 있다. 예시의 PBT 기반 TPEE 필름은 대만 타이페이에 소재한 Far Eastern New Century Corporation 사에서 제조한 TPEE48이다.
필름 구조들에 의해 야기되는 z 방향으로 기저 패널의 이동량은 필름 구조들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z 방향으로 기저 패널의 이동량은 필름 구조들의 표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 양태들에서는, 필름 구조들이 약 20미크론 내지 약 100미크론, 약 25미크론 내지 약 90미크론, 약 30미크론 내지 약 80미크론, 약 35미크론 내지 약 70미크론, 또는 약 4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점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보다 더 두꺼운 필름 구조는, 수분이 합리적인 시간 프레임 이내에 필름 구조를 통해 확산될 수 있도록, 필름 구조의 두께에 따라, 보다 더 얇은 필름 구조보다, z 방향으로 패널의 더 많은 이동을 야기하게 된다. 그에 추가로, 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갖는 필름 구조는, 보다 더 작은 표면적을 갖는 필름 구조보다 제2 패널의 더 많은 변형을 야기하게 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모든 측정치는 착용되지 않은 휴지 상태(resting state) 및 표준 주변 온도 및 압력 조건에 있는 의류 물품과 관련된다.
도 1에는, 텍스타일(1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의류 물품(예컨대 상기에서 언급한 제2 패널) 내에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텍스타일(100)의 제1 표면(10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100)은 x 방향의 폭(112)과 y 방향의 길이(114)를 갖는다. 텍스타일(100)은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0)를 포함한다.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은 y 방향으로 배향되는 필름 구조들(110) 각각의 장축(115)과 x 방향으로 배향되는 필름 구조들(110) 각각의 단축(117)을 갖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형상을 가지되, 장축(115)은 단축(117)보다 더 길다. 장축(115) 및 단축(117)의 치수들은 가변적이며, 그리고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의 의도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의 형상 및 배향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다른 형상들 및 배향들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연속적인 필름과 대조적으로, 다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사용은 텍스타일(100)의 보다 더 많은 노출을 허용하며, 이는 수분 흡수성, 투과성, 통기성 등과 같은 텍스타일(100)의 특성들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적인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필름과 대조적으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사용은 텍스타일(100)의 변형이 의도되는 곳의 미세 조정(fine-tuning)을 허용한다.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은, 텍스타일(100)의 대향하는 제2 에지(119)에 인접하는 텍스타일(100)의 제2 위치(118)와 비교하여, 텍스타일(100)의 제1 에지(113)에 인접하는 제1 위치(116)에 보다 더 큰 농도의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이 있는 구배 패턴(gradient pattern)으로 적용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100)이 의류 물품 내에 통합될 때, 제1 에지(1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농도의 차이는, 예컨대 제2 위치(118)에서 단위 면적당 필름 구조들(110)의 개수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농도의 차이는, 단위 면적당 개별 필름 구조들(110)의 크기 또는 표면적의 변경에서 기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단위 면적(unit area)"이란 용어는 1cm x 1cm의 정사각형의 면적을 의미한다. 구배 패턴으로 필름 구조들(110)의 적용은, 텍스타일(1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텍스타일(100)의 변형 정도의 고객 맞춤(customization)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텍스타일(100)의 변형은, 제2 위치(118)와 비교하여, 제1 위치(116)에서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0)은 필름 구조들(110)의 일반적으로 선형인 열들과 행들을 갖는 격자 패턴(grid pattern)으로 적용된다. 격자 패턴으로 필름 구조들(110)의 적용은, 텍스타일(100)이 필름 구조들(110)의 인접한 열들 및/또는 행들 사이의 영역들에서 선형으로 굽혀지거나 절첩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예컨대 텍스타일(100)의 유연성(pliability)을 향상시킨다.
도 1b에는, 텍스타일(1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텍스타일(100)의 제2 대향 표면(1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2 표면(130)은 일반적으로 평면이거나 매끄럽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표면(130)은, 비록 본원에서 필름 구조들(110)이 추가로 텍스타일(100)의 제2 표면(130)에 도포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되기는 하지만, 어떠한 필름 구조(110)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c에는, x 방향(도 1a의 절단선 1C-1C)으로 텍스타일(1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1d에는, y 방향(도 1a의 절단선 1D-1D)으로 텍스타일(1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필름 구조들(110)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의 두께(140)를 갖는다. 도시된 것처럼, 필름 구조들(110)은 텍스타일(100)의 제1 표면(105)에 부착되며, 그리고 텍스타일(100)에 완전히 접착된다.
도 2a에는, 텍스타일(1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텍스타일(100)의 제1 표면(10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필름 구조들(110)은 주로 예컨대 양의 z 방향으로 팽윤되고, 그리고/또는 치수가 증가된다. 또한, 필름 구조들(110)은 양 및/또는 음의 x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양 및/또는 음의 y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될 수 있다[즉, 필름 구조들(110)은 전방향으로 확장된다]. 외부 자극이 수분이며, 그리고 필름 구조들(110)은 PBT 기반 TPEE 필름으로 형성될 때, 필름 구조들(110)의 팽윤은 필름을 통해 확산되는 물 분자들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필름 구조들(110)은 텍스타일(100)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구조들(110)이 치수가 증가함에 따라, 필름 구조들(110)은 이 필름 구조들(110)의 밑에 있는 영역들에서 텍스타일(100)을 "들어 올릴(lift)" 수 있거나, 또는 텍스타일(100)이 필름 구조들(110)의 밑에 있는 영역들에서 양의 z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 결과로, 텍스타일(100)은 "주름이 잡혀", 텍스타일(100)의 제2 표면(130)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그리고 제1 표면(105)을 향해 오목하게 연장되는 디보싱 영역들(210)(debossed regions)을 형성한다. 이러한 양태는, 텍스타일(1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텍스타일(100)의 제2 표면(130)이 묘사되어 있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필름 구조들(110)은, 해당 단축들(117)과 비교하여, 해당 장축들(115)을 따라서, 그리고/또는 장축들(115)에 대해 평행하게 더 많이 절첩되거나 굽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로, y 방향과 비교하여 x 방향으로 텍스타일(100)은 더 크게 변형된다. 장축(115)을 따른 보다 더 큰 절첩 또는 굽힘은, 필름 구조들(110)의 장축(115)을 따른 경우와 비교하여, 필름 구조들(110)의 단축(117)을 가로질러 측정되는 것처럼 이동될 텍스타일(100)의 부피가 더 작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텍스타일(100)의 x 방향(도 2a의 절단선 2C-2C)으로 텍스타일(100)의 횡단면도인 도 2c, 및 y 방향(도 2a의 절단선 2D-2D)으로 텍스타일(100)의 횡단면도인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필름 구조들(110)은 두께(216)를 가지되, 두께(216)는 두께(140)보다 더 두껍다. 도 2c에는, 추가로, 해당 장축(115)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져, 기저 텍스타일(100)(underlying textile) 역시도 x 방향으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하여 디보싱 영역들(210)을 생성하게 하는 필름 구조들(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단축(117)을 따른 필름 구조들(110)의 절첩 또는 굽힘이 더 적고, 그에 따라 y 방향으로 텍스타일(100)의 변형도 더 적다. 디보싱 영역들(210)의 누적 효과(cumulative effect)를 기반으로, 텍스타일(100)의 전체 폭(112)은 신규 폭(212)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100)의 전체 길이(114)도 신규 길이(214)로 감소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110)의 배향 때문에, 텍스타일(100)의 길이와 비교하여, 텍스타일(100)의 폭이 보다 더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보다 더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명시된 방향으로 텍스타일(100)의 원하는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필름 구조들(110)은 해당 장축들이 명시된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필름 구조들(110)이 예컨대 수분에 더 이상 노출되지 않을 때, 필름 구조들(110)은 필름 구조들(110)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물분자들의 감소 또는 중단으로 인해, 팽윤이 감소하게 된다. 필름 구조들(110)은 각각의 노출 전 상태, 일반적으로 평면 상태로 복귀되고, 디보싱 영역들(210)은 완화되며, 그리고 텍스타일(100)은 자체의 노출 전 폭(112) 및 길이(114)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필름 구조들(110)의 사용은 텍스타일(100)의 치수들의 가역적 및 동적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텍스타일의 치수의 변경을 달성하기 위한 필름 구조들의 사용은 의류 물품 상의 통기 개구부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동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상체 의복(3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상체 의복(300)은 폐쇄 상태에 있는 통기 개구부를 보유하며, 그리고 도 3b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고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체 의복(3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체 의복(300)은 목 개구부(312) 및 허리 개구부(314)를 구비한 몸통둘레 영역(310)(torso region)을 포함한다. 제1 소매(316)(sleeve) 및 제2 소매(318)는 몸통둘레 영역(310)에서부터 연장된다. 비록 상체 의복(300)이 긴 소매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상체 의복(300)이 민소매일 수 있거나, 또는 7부 소매(three-quarter sleeve), 반소매, 1/4 소매 등을 포함하는 점도 고려된다. 또한, 비록 몸통둘레 영역(310)이 슬라이더 메커니즘(slider mechanism)(예: 지퍼)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전면 반부(front half)와 제2 전면 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소재가 상체 의복(300)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몸통둘레 영역(310)이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포함하지 않는 t-셔츠 또는 풀오버의 형태일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상체 의복은 제1 통기 구조(320) 및 제2 통기 구조(322)를 포함한다. 제1 통기 구조(320) 및 제2 통기 구조(322)는 유사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제1 통기 구조(320)가 형성되는 방법의 설명은 제2 통기 구조(32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통기 구조(320)는 제1 패널 에지(326)를 구비한 제1 패널(324)과 제2 패널 에지(330)(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일 때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숨겨져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됨)를 구비한 제2 패널(328)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널 에지(326)는 제2 패널 에지(330)에 중첩되며, 그리고 그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예를 들면, 제1 패널 에지(326)는, 고정점들(332)(securement points)과 같은 복수의 이격된 고정점에서 제2 패널 에지(330)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점들(332)은 재봉(stitching), 시침질(tacking), 접착제, 접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 에지(326)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부(334)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고정점들(332) 사이의 영역들에서 제2 패널 에지(330)에 부착되지 않는다(또는 그로부터 분리된다). 통기 개구부들(334)의 종축은 화살표(336)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통기 구조들(320 및 322)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하나 이상의 통기 구조가, 예컨대 상체 의복(300)(도 4a 및 도 4b에 도시됨)의 몸통둘레 영역(310), 제1 소매(316), 제2 소매(318) 및/또는 후면 상의 다른 위치들을 포함하여, 상체 의복(300)의 다른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3a에는, 추가로, 통기 개구부(들)(334) 또는 제2 패널 에지(330)에 인접하게(예컨대 약 0cm 내지 약 10cm 이내에서) 제2 패널(328)에 부착되는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338)도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패널(324)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필름 구조들(338)은 제2 패널(328)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338)은, 그 대신, 도 3a 및 3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패턴으로, 제2 패널(328)의 안쪽 대향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패널(328)의 안쪽 대향 표면 상에 필름 구조들(338)을 위치시킴에 따라, 필름 구조들(338)은 착용자의 신체 표면 및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임의의 땀과 접촉(또는 거의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338)이 제2 패널(328)의 안쪽 대향 표면 및 바깥쪽 대향 표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도 1a~1d의 필름 구조들(110)과 유사하게, 필름 구조들(338)은 장축(340) 및 단축(342)을 갖는다. 필름 구조들(338)의 장축들(340)은 통기 개구부(들)(334)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즉, 수직선의 ±10도 이내가 되도록) 배향된다. 달리 말하면, 필름 구조들(338)의 장축들(340)은 제1 방향(33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향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들)(334)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 개구부(들)(334) 및/또는 제2 패널 에지(330)로부터 멀리 이격된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 개구부(들)(334) 및/또는 제2 패널 에지(330)에 더 가까운 필름 구조들(338)의 농도가 더 크다. 필름 구조들(338)의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338)의 개수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338)의 표면적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338)의 개수의 감소 및 필름 구조들(338)의 표면적의 감소 모두에서 기인할 수 있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필름 구조들(338)의 개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338)의 다른 형상들 및 개수들이 활용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 3b에는 의복(300)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상체 의복(300)이 도시되어 있다. 필름 구조들(338)이 상체 의복(300)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때, 수분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땀의 형태일 수 있다. 텍스타일(100)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처럼, 외부 자극에 대한 필름 구조들(338)의 노출은 필름 구조들(338)이,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고 적어도 해당 장축들(340)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340) 각각은 통기 개구부(들)(334)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장축들(340)을 따른 필름 구조들(338)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2 패널(328) 및 제2 패널 에지(330)가 도 3b에서의 절첩선(36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필름 구조들(338)에 의해 야기되는 제2 패널(328)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제1 방향(336)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1 패널(324)은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대한 상체 의복(300)의 노출은 제1 방향(336)으로 제1 패널(324) 또는 제1 패널 에지(326)의 단축을 야기하지 않는다. 제2 패널(328) 및 제2 패널 에지(330)의 단축으로 인해, 제1 패널(324) 및/또는 제1 패널 에지(326)는 인접한 고정점들(332) 사이에서 바깥쪽으로(예컨대 양의 z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 개구부(334)를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시킨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334)의 전환은 추가로 도 3c~3f에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도 3a의 절단선 3C-3C를 따라 통기 개구부(334)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제1 패널(324)의 제1 패널 에지(326)가 제2 패널(328)의 제2 패널 에지(330)와 중첩되어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2 패널 에지(330)는 제1 패널 에지(326)에 대해 내부에 위치된다. 통기 개구부(334)는 중첩된 에지들(326 및 330)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d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도 3b의 절단선 3D-3D를 따라 통기 개구부(334)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패널(324) 및 제2 패널 에지(326)는 제2 패널(328) 및 제2 패널 에지(3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이는 통기 개구부(334)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도 3e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통기 개구부(334)의 종축을 따라 절단된 통기 개구부(334)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패널 에지(326)는 고정점들(332)에서 제2 패널 에지(330)에 부착되어 있다. 제1 패널 에지(326)는, 통기 개구부(334)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점들(332) 사이에서 제2 패널 에지(33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제2 패널 에지(330)는 고정점들(332) 사이에서 길이(350)를 가지며, 그리고 제1 패널 에지(326)는 고정점들(332) 사이에서 길이(352)를 갖는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패널 에지(330)의 길이(350)는 제1 패널 에지(326)의 길이(35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f에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통기 개구부(334)의 종축을 따라 절단된 통기 개구부(334)가 도시되어 있다. 제2 패널(328)이 필름 구조들(338)의 밑에 있는 영역들에서 들어 올려지거나 주름이 잡히게 하는 필름 구조들(338)로 인해, 제2 패널 에지(330)는 길이(350)보다 더 작은 신규 길이(354)로 길이가 감소된다. 필름 구조들(338)은 제1 패널(324)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패널 에지(326)는, 상체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길이가 주목할 정도로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패널 에지(330)의 단축은 제1 패널 에지(326)의 부착된 단부들을 서로를 향해 인장시켜, 제1 패널(324) 및 제1 패널 에지(326)가 상체 의복(30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게 하고 통기 개구부(334)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도 3c~3f는 상체 의복(300) 상의 추가 통기 개구부들뿐만 아니라, 도 5a~5b의 하체 의복(500)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상의 통기 개구부들의 논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체 의복(30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4a 및 4b에는, 상체 의복(300)을 위한 통기 구조(410)가 묘사되어 있다. 통기 구조(410)는 제1 통기 구조(320) 및/또는 제2 통기 구조(322)에 추가될 수 있거나, 또는 그를 대신할 수 있다. 도 4a에는, 의복(3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상체 의복(300)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4b에는, 예컨대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의복(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와 관련된 경우, 통기 구조(410)는 제1 패널 에지(414)를 구비한 제1 패널(412)과 제2 패널 에지(418)(일반적으로 숨겨져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됨)를 구비한 제2 패널(416)을 포함한다. 제1 패널 에지(414)는 제2 패널 에지(418)와 중첩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이격된 고정점(420)에 의해 제2 패널 에지(418)에 고정된다. 제1 패널 에지(414)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부(422)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고정점들(420) 사이의 영역들에서 제2 패널 에지(418)에 부착되지 않는다(또는 그로부터 분리된다). 통기 개구부들(422)의 종축은 화살표(424)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a에 도시된 양태에서, 제1 방향(424)은 제1 소매(316)와 제2 소매(318)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통기 구조(41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통기 구조가 상체 의복(300)의, 예컨대 목 개구부(312)에 더 가깝게 또는 허리 개구부(314)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추가 통기 구조들이 상체 의복(300)의 후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도 4a에는, 추가로 통기 개구부(들)(422) 및/또는 제2 패널 에지(418)에 인접하게(예컨대 약 0cm 내지 10cm 이내에서) 제2 패널(416)에 부착된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426)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패널(412)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필름 구조들(426)은 제2 패널(416)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426)은 그 대신 착용자의 신체 표면 및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모든 땀과 접촉(또는 거의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패턴으로 제2 패널(416)의 안쪽 대향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426)이 제2 패널(416)의 바깥쪽 대향 표면 및 안쪽 대향 표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필름 구조들(426)은 장축(428)과 단축(430)을 갖는다. 필름 구조들(426)의 장축들(428)은 통기 개구부(들)(422)의 종축 및/또는 제1 방향(42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즉, 수직선의 ±10도 이내가 되도록) 배향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들)(422)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 개구부(들)(422) 및/또는 제2 패널 에지(418)로부터 멀리 이격된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 개구부(들)(422) 및/또는 제2 패널 에지(418)에 더 가까운 필름 구조들(426)의 농도가 더 크다. 필름 구조들(426)의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426)의 개수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426)의 표면적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426)의 개수 및 필름 구조들(426)의 표면적 모두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필름 구조들(426)의 개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426)의 다른 형상들 및 개수들이 활용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 4b에는, 의복(300)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상체 의복(300)이 도시되어 있다. 필름 구조들(426)이 제2 패널(416)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때, 수분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땀의 형태일 수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필름 구조들(426)의 노출은 필름 구조들(426)이,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고 적어도 해당 장축들(428)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428) 각각은 통기 개구부(들)(422)의 종축 및/또는 제1 방향(42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장축들(428)을 따른 필름 구조들(426)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2 패널(416) 및 제2 패널 에지(418)가 절첩선(45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필름 구조들(426)에 의해 야기되는 제2 패널(416)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제1 방향(424)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1 패널(412)은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대한 상체 의복(300)의 노출은 제1 방향(424)으로 제1 패널(412) 또는 제1 패널 에지(414)의 주목할 만한 단축을 야기하지 않는다. 제2 패널(416) 및 제2 패널 에지(418)의 단축으로 인해, 제1 패널(412) 및 제1 패널 에지(414)는 인접한 고정점들(420) 사이에서 바깥쪽으로(예컨대 양의 z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 개구부(422)를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시킨다.
본원 양태들은, 추가로, 하체 의복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상에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을 통합하는 점을 고려한다. 도 5a 및 5b에는, 제1 통기 구조(510) 및 제2 통기 구조(512)를 보유한 하체 의복(5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하체 의복(5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하체 의복(500)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5b에는,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하체 의복(500)이 도시되어 있다.
하체 의복(500)은 허리 개구부(516)를 구비한 몸통둘레 영역(514); 몸통둘레 영역(514)에서 연장되어 제1 다리 개구부(520) 내 말단에서 종결되는 제1 다리 부분(518); 및 몸통둘레 영역(514)에서 연장되어 제2 다리 개구부(524) 내 말단에서 종결되는 제2 다리 부분(522);을 포함한다. 비록 바지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하체 의복(500)이 짧은 바지, 타이트한 바지, 카프리 바지(capri) 등의 형태일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제1 통기 구조(510) 및 제2 통기 구조(512)는 유사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제1 통기 구조(510)가 형성되는 방법의 설명은 제2 통기 구조(51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통기 구조(510)는 제1 패널 에지(528)를 구비한 제1 패널(526)과 제2 패널 에지(532)(통기 개구부가 폐쇄 상태일 때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숨겨져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됨)를 구비한 제2 패널(530)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널 에지(528)는 제2 패널 에지(532)에 중첩되며, 그리고 그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예를 들면, 제1 패널 에지(528)는, 고정점들(534)과 같은 복수의 이격된 고정점에서 제2 패널 에지(532)에 부착된다. 제1 패널 에지(528)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부(536)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고정점들(534) 사이의 영역들에서 제2 패널 에지(532)에 부착되지 않는다(또는 그로부터 분리된다). 통기 개구부들(536)의 종축은 화살표(538)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통기 구조들(510 및 512)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통기 구조들이, 예컨대 몸통둘레 영역(514)에서 [예컨대 허리 개구부(516)에 인접한] 위치들, 제1 다리 부분(518) 및/또는 제2 다리 부분(522) 및/또는 하체 의복(500) 상의 다른 위치들을 포함하는, 하체 의복(500)의 다른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에는, 추가로 통기 개구부(들)(536) 및/또는 제2 패널 에지(532)에 인접하게(예컨대 약 0cm 내지 10cm 이내에서) 제2 패널(530)에 부착된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54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패널(526)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필름 구조들(540)은 제2 패널(530)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540)은 그 대신 착용자의 신체 표면 및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모든 땀과 접촉(또는 거의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도 5a 및 5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패턴으로 제2 패널(530)의 안쪽 대향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필름 구조들(540)은 제2 패널(530)의 바깥쪽 대향 표면 및 안쪽 대향 표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필름 구조들(540)은 장축(542)과 단축(544)을 갖는다. 필름 구조들(540)의 장축들(542)은 통기 개구부(들)(536)의 종축 및/또는 제1 방향(53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즉, 수직선의 ±10도 이내가 되도록) 배향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들)(536)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 개구부(들)(536) 및/또는 제2 패널 에지(532)로부터 멀리 이격된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 개구부(들)(536) 및/또는 제2 패널 에지(532)에 더 가까운 필름 구조들(540)의 농도가 더 크다. 필름 구조들(540)의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540)의 개수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540) 표면적의 감소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의 감소는 필름 구조들(540) 개수의 감소 및 표면적 감소 모두에서 기인할 수 있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필름 구조들(540)의 개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540)의 다른 형상들 및 개수들이 활용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 5b에는, 의복(500)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하체 의복(500)이 도시되어 있다. 필름 구조들(540)이 하체 의복(500)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때, 수분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땀의 형태일 수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필름 구조들(540)의 노출은 필름 구조들(540)이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고 적어도 해당 장축들(542)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542) 각각은 통기 개구부(들)(536)의 종축 및/또는 제1 방향(53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장축들(542)을 따른 필름 구조들(540)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2 패널(530) 및 제2 패널 에지(532)가 절첩선(55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필름 구조들(540)에 의해 야기되는 제2 패널(530)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제1 방향(538)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1 패널(526)은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대한 하체 의복(500)의 노출은 제1 방향(538)으로 제1 패널(526) 또는 제1 패널 에지(528)의 주목할 만한 단축을 야기하지 않는다. 제2 패널(530) 및 제2 패널 에지(532)의 단축으로 인해, 제1 패널(526) 및 제1 패널 에지(528)는 인접한 고정점들(534) 사이에서 바깥쪽으로(예컨대 양의 z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 개구부(536)를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시킨다.
본원에서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통기 개구부를 동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사용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들에 추가로 다른 의류 물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통기 개구부들은 모자류 물품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통기 개구부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다른 의류 물품들은, 예컨대 양말, 신발(예컨대 갑피), 장갑 등을 포함한다.
필름 구조들에 대해 묘사된 타원형 형상은 필름 구조들에 대한 상이한 형상 구성들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6a~6b에는, 필름 구조들에 대한 예시의 대안의 형상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필름 구조들(620)을 구비한 텍스타일(615)이 도시되어 있다. 다이아몬드 형상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가지기 때문에, 필름 구조들(620)의 팽윤은 텍스타일(615)의 폭 및 길이 모두에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감소를 야기할 수도 있다. 도 6b에는, 상호 간에 인접하는 2개 쌍의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필름 구조들(630)을 보유한 텍스타일(625)이 도시되어 있다. 타원형 형상과 유사하게, 필름 구조들(630)은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텍스타일(625)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텍스타일(625)의 불균형한 치수 변경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에 대해, 초승달 모양, 유기체적 형상, 반원 형상, 영숫자 형상 등과 같은 비대칭 형상들을 포함한 추가 형상들이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텍스타일이 다수의 상이한 형상의 필름 구조 및/또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표면적을 갖는 필름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의류 물품에 적용되는 필름 구조들은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7a에는, 텍스타일(705)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텍스타일(705)이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705)은 제1 두께(715)를 갖는 제1 필름 구조(710)와, 제1 필름 구조(710)의 제1 두께(715)보다 더 얇은 제2 두께(725)를 갖는 제2 필름 구조(720)를 포함한다. 도 7b에는,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텍스타일(705)이 도시되어 있다. 제1 필름 구조(710)는 두께(730)에 대해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하며, 그리고 제2 필름 구조(720)는 두께(735)에 대해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하되, 두께(735)는 두께(730)보다 더 얇다. 제1 필름 구조(710)는 제2 필름 구조(720)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텍스타일(705)이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에 제2 필름 구조(720)와 관련된 오프셋(742)보다 더 큰 오프셋(740)을 갖는 제1 필름 구조(71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텍스타일(705)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z 방향으로 더 크게 이동될 수 있다.
도 8에는, 의복들(300 및 500)과 같은, 통기 개구부를 보유한 의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 방법(8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810에서, 제1 소재 패널의 제1 패널 에지는, 의류 물품 상에서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패널의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된다. 통기 개구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다.
단계 812에서,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제2 패널 에지에 인접하게 제2 패널에 부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은 제1 패널에 부착되지 않는다. 필름 구조들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며, 그리고 필름 구조들의 장축들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제2 패널에 부착된다. 필름 구조들이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필름 구조들은 예컨대 z 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는, 제2 패널이 필름 구조들의 밑에 있는 영역들에서 들어 올려지거나 주름이 잡히게 한다. 그 결과로 인해, 제1 방향에서, 또는 통기 개구부의 종축의 방향으로 제2 패널 및 제2 패널 에지의 치수가 감소된다. 제1 패널은 필름 구조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패널 에지는 치수가 감소되지 않으며, 그 결과 통기 개구부는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과정은 가역적이며, 따라서 외부 자극이 제거될 때, 통기 개구부는 다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도 9a 및 9b에는, 본원에서 설명된 통기 구조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형 통기 개구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 통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는, 텍스타일(900)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의 텍스타일(900)이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900)은, 상체 의복(300)과 같은 상체 의복, 하체 의복(500)과 같은 하체 의복, 또는 모자류, 장갑, 양말, 신발 등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텍스타일(900)은 텍스타일(900) 내에 형성된 슬릿(910)을 포함한다. 슬릿(910)은 기계적 절단 공정, 레이저 절단, 워터젯 절단, 용해성 얀, 슬릿(910) 형성을 위한 니트, 부직포 또는 직조 구조의 조작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릿(910)은 텍스타일(900)의 제1 표면(901)에서부터 텍스타일(900)의 제2 맞은편 표면(902)까지 연장되어 관통 통로(through-passage)를 제공한다. 슬릿(910)은 제1 에지(912), 제2 대향 에지(914), 제1 단부(913) 및 제2 대향 단부(915)를 포함한다. 슬릿(910)의 종축은 슬릿(910)의 제1 단부(913)와 제2 단부(915)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비록 제1 에지(912)가 제2 에지(914)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제1 및 제2 에지(912 및 914)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작은 공간이 제1 에지(912)와 제2 에지(914)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비록 슬릿(910)이 선형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슬릿(910)이 만곡된 형상, 기하구조적 형상, 곡선 형상, 영숫자 형상 등을 포함한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텍스타일(900)은, 슬릿(910)의 제1 에지(912)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916)와 슬릿(910)의 제2 에지(91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복수의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918)를 더 포함한다. 제1 복수의 필름 구조(916) 및 제2 복수의 필름 구조(918) 각각은 장축(924)과 같은 장축 및 단축(926)과 같은 단축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및 제2 복수의 필름 구조(916 및 918) 각각의 장축(924)은 슬릿(910)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향된다.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916 및/또는 918)의 개수는 슬릿(9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916 및/또는 918)의 크기 및/또는 표면적은 슬릿(9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그에 추가로, 본원에서는, 필름 구조들(916 및/또는 918)의 크기 및/또는 표면적 모두는 슬릿(9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도 9b에는, 물 또는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텍스타일(900)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제1 복수의 필름 구조(916) 및 제2 복수의 필름 구조(918)가, 예컨대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확장되고 적어도 해당 장축들(924)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924) 각각은 슬릿(910)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자신들의 장축들(924)을 따른 필름 구조들(916 및 918)의 절첩 또는 굽힘은, 도 9b에서의 절첩선(920 및 922)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필름 구조들(916 및 918)에 의해 야기되는 텍스타일(900)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제1 에지(912) 및 제2 에지(914)가 종축의 방향으로, 또는 제1 방향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1 에지(912) 및 제2 에지(914)의 단축은, 제1 에지(912) 및 제2 에지(914)가 텍스타일(90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z 방향으로 연장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폐쇄 상태에서 통기 개구부(925)를 갖는 개방 상태로 슬릿(910)을 전환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된다면, 텍스타일(900)은 다시 각각의 노출 전 상태로 전환되며, 그리고 슬릿(910)은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도 10a~10i에는, 본원에서 설명된 통기 구조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형 통기 개구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통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는,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수분 또는 땀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의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상체 의복(300)과 같은 상체 의복, 하체 의복(500)과 같은 하체 의복, 또는 모자류, 장갑, 양말, 신발 등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제1 에지(1012), 제1 에지(1012)에 대향하는 제2 에지(1014), 제3 에지(1016), 및 제3 에지(1016)에 대향하는 제4 에지(1018)를 구비한 제1 소재 패널(1010)을 포함한다. 에지들(1012, 1014, 1016 및 1018)의 도시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제1 소재 패널(1010)이 추가 에지들 또는 더 적은 수의 에지를 포함하고, 비선형 에지들(예컨대 만곡 에지들)도 포함할 수 있는 점, 및 에지들이 예컨대 의류 물품의 부분들(예: 후드 에지, 허리띠 에지, 전면 개구부 에지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상체 의복 또는 하체 의복 내에 통합될 때, 제1 소재 패널(1010)은 의복의 바깥쪽 대향층(outer-facing 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소재 패널(1010)은, 이 제1 소재 패널(1010)의 두께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복수의 구경(1019)을 포함한다. 제1 복수의 구경(1019)은, 상기 구경들이 하기에서 논의되는 제2 소재 패널에 의해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숨겨져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 10a에 파선들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복수의 구경(1019)의 개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제1 복수의 구경(1019)이 상이한 형상의 구경들, 상이한 크기들의 구경들 및 상이한 개수들의 구경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제1 소재 패널(1010)과 면-공유 접촉하는 제2 소재 패널(1020)을 더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상체 의복 또는 하체 의복 내에 통합될 때, 제2 소재 패널(1020)은 의복의 안쪽 대향층(inner-facing layer)을 형성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소재 패널(1020)은 해당 에지들 중 하나 이상에서 제1 소재 패널(10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는 고정점들(1030)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제1 소재 패널(10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2 대향 에지(1024)는 고정점들(1030)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제1 소재 패널(1010)에 고정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제1 에지(1022) 및 제2 에지(1024) 모두가 제1 소재 패널(1010)에 고정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고정점들(1030)은, 재봉, 접착(gluing), 접착제, 점 용접(spot welding), 접합, 심 테이프(seam tape) 등과 같은 부착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재 패널(1020)의 하나 이상의 추가 에지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3 에지(1026) 및/또는 제4 대향 에지(1028)처럼, 제1 소재 패널(10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에지들(1022, 1024, 1026 및 1028)의 도시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리고 본원에서는, 제2 소재 패널(1020)이 추가 에지들 또는 더 적은 수의 에지를 포함하고, 비선형 에지들(예컨대 만곡 에지들)도 포함할 수 있는 점, 및 에지들이 예컨대 의류 물품의 부분들(예: 후드 에지, 허리띠 에지, 전면 개구부 에지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상호 간에 면-공유 접촉하는, 제1 소재 패널(1010) 및 제2 소재 패널(1020)의 표면들은, 제1 소재 패널(1010) 및 제2 소재 패널(1020)의 각각의 표면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처럼, 이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표면이 제1 소재 패널(1010)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변위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는, 추가로,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제2 소재 패널(1020)이 제1 소재 패널(1010)에 부착되기 전에, 제1 에지(1022)와 제2 에지(1024) 사이에서 측정되는 것과 같은 제2 소재 패널(1020)의 길이가 텍스타일 구조물(1000)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서 고정점들(1030) 간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이는, 예를 들면 제2 소재 패널(1020)의 길이가 고정점들(1030) 간의 거리와 동일했던 경우보다 제2 소재 패널(1020)에 대해 더 큰 부피를 생성한다. 이러한 초과 소재(excess material)는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인 제2 소재 패널(102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소재 패널(1020)은, 이 제2 소재 패널(1020)의 두께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복수의 구경(1031)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복수의 구경(1031)은 제1 복수의 구경(1019)과 유사한 개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텍스타일 구조물(1000)의 제1 표면과 텍스타일 구조물(1000)의 제2 대향 표면 사이에 개방된 연통 경로(communication path)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복수의 구경(1019)은 텍스타일 구조물(1000)의 평면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 제2 복수의 구경(1031)으로부터 오프셋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된다. 이를 추가로 설명하면,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구경(1031)은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에 대하여 제1 복수의 구경(1019)으로부터 말단에서 오프셋되며, 그리고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오프셋된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제2 소재 패널의 제1 에지(1022)에 인접하게 제2 소재 패널(1020)에 부착되는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를 더 포함한다. 비록 하나의 오버레이 필름 구조가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도 10a에 도시된 배향을 갖는 다수의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는 장축(1033)과 단축(1035)을 가지되, 장축(1033)은 제2 소재 패널(102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비록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가 제2 소재 패널(102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보다 더 일반적으로,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이 제2 소재 패널(1020)의 부착된 에지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10b에는, 도 10a의 절단선 10B-10B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2 소재 패널(1020)은, 해당하는 패널들의 표면들이 선형 접촉하도록, 제1 소재 패널(10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각의 소재 패널들(1010 및 1020)의 표면들은 서로 부착되지 않으며,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표면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는, 제1 소재 패널(1010)과 면 공유 접촉하는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묘사되어 있다. 텍스타일 구조물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와 제2 소재 패널(1020)은 제1 소재 패널(1010)과 일반적으로 평면인 관계를 갖는다.
도 10c에는, 도 10a의 절단선 10C-10C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c에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와 제1 소재 패널(1010) 간의 부착 지점을 나타내는 고정점(1030)이 묘사되어 있다. 또 다시,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와 제2 소재 패널(1020)은 제1 소재 패널(1010)과 일반적으로 평면인 관계를 갖는다.
도 10d에는, 도 10a의 절단선 10D-10D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d에는, 제1 소재 패널(1010)의 두께를 통과하여 형성된 제1 복수의 구경(1019)이 도시되어 있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1 복수의 구경(1019)은 제2 복수의 구경(1031)으로부터 오프셋되기 때문에, 제2 소재 패널(1020)은, 제1 복수의 구경(1019)을 폐색하거나 차단하여 텍스타일 구조물(1000)을 통한, 예컨대 공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연속 패널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0e에는, 도 10a의 절단선 10E-10E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e에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두께를 통과하여 형성된 제2 복수의 구경(103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d와 유사하게,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구경(1031)은 제1 복수의 구경(1019)으로부터 오프셋되기 때문에, 제1 소재 패널(1010)은, 제2 복수의 구경(1031)을 폐색하거나 차단하여 텍스타일 구조물(1000)을 통한, 예컨대 공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연속 패널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0f에는, 수분 또는 땀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예컨대 수분에 노출될 때,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는 적어도 z 방향 및/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치수가 증가된다. 해당 장축(1033)을 따른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후속하는 절첩은, 도 10f에 도시된 것처럼,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밑에 위치하는 제2 소재 패널(1020)의 영역들에서, 제2 소재 패널(1020)도 또한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에 대해 적어도 평행한 방향으로 절첩되게 한다. 제2 소재 패널(1020)의 절첩은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소재 패널(1020)의 이동[즉, 제2 소재 패널(10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야기한다. 달리 언급하면, 제2 소재 패널(1020)의 절첩은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소재 패널(1020)의 이동을 야기한다.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인 제2 소재 패널(1020)의 변위는, 제1 복수의 구경(1019)과 제2 복수의 구경(1031)을 일직선으로 정렬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하여, 텍스타일 구조물(1000)을 개방 상태로 전환하며, 그럼으로써 일직선으로 정렬된 구경들(1019 및 1031)을 통한 공기 및/또는 수증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인 제2 소재 패널(1020)의 변위는 제1 소재 패널(1010)에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를 부착함으로써 용이해진다. 고정점들(1030)은 제2 소재 패널(1020)의 제1 에지(1022)를 고정하고 제2 소재 패널(1020)의 나머지 부분들이 변위하거나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고정구(anchor)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인 제2 소재 패널(1020)의 변위는, 제2 소재 패널(1020)이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초과 부피(excess volume)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0g에는, 도 10f의 절단선 10G-10G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된 것처럼,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두께가 증가되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단축(1035)을 따라서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 및 기저의 제2 소재 패널(1020)이 약간 절첩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10h에는, 도 10h의 절단선 10H-10H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소재 패널(1010)에 대하여 오프셋(1040)을 생성하기 위해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을 따르는, 그리고 그에 대해 평행한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 및 제2 소재 패널(1020)의 절첩도 도시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제1 소재 패널(1020) 및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는 제1 소재 패널(1010)로부터 이격되는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결국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장축(103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소재 패널(1020)의 잔여 부분들의 이동을 야기한다.
도 10i에는, 도 10f의 절단선 10I-10I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인 제2 소재 패널(1020)의 변위는, 제2 복수의 구경(1031)이 제1 복수의 구경(1019)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게 한다. 일직선으로 정렬된 구경들(1019 및 1031)은 텍스타일 구조물(1000)을 통한 공기 및/또는 수증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제시된 것처럼,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다양한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상체 의복 내에 통합되어 있을 때, 텍스타일 구조물(1000)은, 예컨대 착용자의 등 영역처럼, 다량의 열 및/또는 수증기를 생성하는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다. 운동 동안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땀은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에서의 치수 변경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소재 패널(1020)이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으로 변위되게 하여 제1 복수의 구경(1019)과 제2 복수의 구경(1031)을 일직선으로 정렬시키게 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제1 및 제2 복수의 구경(1019 및 1031)이 초기에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2 소재 패널(1020)은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가 의복의 외부 대향 표면(external-facing surface) 상에 위치되도록, 예컨대 의복의 바깥쪽 대향층일 수 있다. 텍스타일 구조물(1000)이 땀 또는 눈(snow)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오버레이 필름 구조(1032)의 치수 증가는 제2 소재 패널(1020)이 제1 소재 패널(1010)에 상대적으로 변위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제2 복수의 구경(1031)은 제1 복수의 구경(1019)에 상대적으로 오프셋되며, 그럼으로써 땀이 의복 내로 유입되는 점이 방지되게 된다. 임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도 11~16에는, 개구부의 방향, 양 또는 크기와 같은 통기 개구부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측면을 제어하기 위해 보강 패널들을 사용하는 일부 추가 예시의 통기 구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보강 패널(stiffening panel)"이란 용어는, 그 자체가 부착되거나 고정되는 기저 텍스타일(underlying textile)보다 더 강성이고, 그리고/또는 드레이프성(drape)이 더 낮은 텍스타일(니트, 직물, 부직포, 편조 또는 기타 구조화 구조물), 필름 또는 다른 유형의 소재를 나타낸다. 일부 양태에서, 보강 패널은, 예컨대 보다 더 타이트한 니트, 직물 또는 편조 패턴, 표면 처리의 적용 등으로 인해, 텍스타일의 잔여 부분들보다 더 강성이거나 드레이프성이 더 낮은 텍스타일의 통합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stiffness)은, 예컨대 퍼스 캔틸레버 테스트(Peirce Cantilever Test), 셜리 강성 테스트(Shirley Stiffness Test)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11에는, 예시의 제1 통기 구조(110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제1 통기 구조(110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형 통기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의 제1 통기 구조(1100)는, 제1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되고 제1 패널 에지(1112)를 구비한 제1 패널(1110); 및 제2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되고 제2 패널 에지(1116)를 구비한 제2 패널(1114);을 포함한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양태에서, 제1 패널 에지(1112)와 제2 패널 에지(1116)는 서로 일치한다. 달리 말하면, 제1 패널 에지(1112)는 일반적으로 제2 패널 에지(1116)와 중첩되지 않는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비록 본원 양태들에서 제1 및 제2 텍스타일 소재들이 서로 상이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되긴 하지만, 제1 텍스타일 소재는 제2 텍스타일 소재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널(1110 및 1114)은, 예를 들면 상체 의복(300)과 같은 상체 의복, 하체 의복(500)과 같은 하체 의복, 또는 모자류, 장갑, 양말, 신발 등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패널 에지(1112)는, 제1 고정점(1118), 및 이 제1 고정점(1118)으로부터 이격된 제2 고정점(1120)에서, 제2 패널 에지(1116)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널 에지(1112)는 통기 개구부(도 12에 보다 더 잘 도시되어 있음)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고정점(1118)과 제2 고정점(1120) 사이에서 제2 패널 에지(1116)로부터 분리된다. 제1 및 제2 고정점(1118 및 1120)은 재봉, 시침질, 접합, 접착제, 벨크로(hook-and-loop fastener) 등을 포함한다.
예시의 제1 통기 구조(1100)는 제1 위치, 및 이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제1 패널(1110)의 안쪽 대향 표면에 각각 부착된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4)를 더 포함한다. 파선들은,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이 도 11의 관찰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및 제2 위치는 제1 패널 에지(1112)에 인접(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 각각은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에 대하여 도시된] 장축(1126) 및 [또한,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에 대하여 도시된] 단축(1128)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 각각의 장축(1126)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11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추가의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 각각의 장축(1126)은 각각 제1 고정점(1118) 및 제2 고정점(1120)을 따라 위치된다(또는 그와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통기 구조(1100)는 선택적으로 제2 패널 에지(1116)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제2 패널(1114)의 안쪽 대향 표면에 고정되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에서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이 그 대안으로 제2 패널(1114)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11 및 12에는 3개의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필름 구조들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은 제1 고정점(1118)과 제2 고정점(1120) 사이에 위치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 각각은 장축 및 단축(미도시)을 가지며, 그리고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 각각의 장축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1130)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은 이들 필름 구조(1132)가 외부 자극에 노출될 때, 추가로 통기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기 구조(1100)는, 제1 패널 에지(1112)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제1 패널(1110) 상에 위치되는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1134)을 더 포함한다. 도 11 및 12에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4개의 보강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상이한 형상 구성을 갖는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보강 패널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보강 패널들(1134)은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4) 사이에 위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패널들(1134)은 제1 패널(1110)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도 11에 도시된 구성에서 보강 패널들(1134)은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 및 1124)보다는 제1 패널(1110)의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인접한 보강 패널들(1134) 사이에는 간극(1136)이 형성되되, 간극(1136)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1130)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종축(1138)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의 양태에서, 간극(1136)은 일반적으로 통기 개구부의 중심점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간극(1136)은 일반적으로 제1 고정점(1118)과 제2 고정점(1120)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간극(1136)은 제1 고정점(1118) 또는 제2 고정점(112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2에는 물이나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통기 구조(1100)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122 및 1124)가,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며, 그리고 각각의 해당 장축(1126)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1126)은 이제는 통기 개구부(1200)로서 도시된 통기 개구부의 종축(11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해당 장축(1126)을 따르는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1 패널 에지(1112)가 통기 개구부(1200)의 종축(1130)의 방향으로 단축되게 한다. 이는 필름 구조들(1122 및 1124)에 의해 야기되는 제1 텍스타일 소재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한다. 제1 패널 에지(1112)의 단축은 제1 패널 에지(1112)가 제1 패널(111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z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통기 개구부(1200)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되면, 통기 개구부(1200)는 다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132)이 사용될 때,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필름 구조들(1132)이,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며, 그리고 각각의 해당 장축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은 통기 개구부(1200)의 종축(11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해당 장축들을 따른 필름 구조들(1132)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2 패널 에지(1116)가 통기 개구부(1200)의 종축(1130)의 방향으로 단축되게 한다. 이는, 필름 구조들(1132)에 의해 야기되는 제2 텍스타일 소재의 들어올림 또는 주름잡힘을 기반으로 한다. 제2 패널 에지(1116)의 단축은 추가로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1200)를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보강 패널들(1134)은 통기 개구부(1200)의 방향을 안내하며, 이는, 통기 구조(1100)가 의류 물품 내에 통합될 때, 통기 개구부들의 예측성(predictability) 및 균일성(uniformity)을 가능하게 한다. 보강 패널들(1134)은 제1 텍스타일 소재보다 더 강성이거나 덜 유연하기 때문에, 보강 패널들(1134)의 밑에 있는 제1 텍스타일 소재는 이동/변형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보강 패널들(1134)의 배치(placement) 및 위치결정(positioning)을 구성함으로써, 제1 텍스타일 소재의 이동은, 간극(1136)이 보강 패널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간극(1136)에서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통기 개구부(1200)의 정점(apex)은 간극(1136)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통기 개구부(1200)의 최대 개방[또는 변위(displacement)](1210)은 보강 패널들(1134) 사이의 간극(1136)에서 일어날 수 있다.
도 13 및 14에는, 예시의 제2 통기 구조(130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제2 통기 구조(130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형 통기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의 제2 통기 구조(1300)는 통기 구조(1100)와 유사한 특징들뿐만 아니라 일부 상이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의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통기 구조(1100)와 통기 구조(1300) 간의 상이한 특징들에 중점을 둔다. 통기 구조(1100)와 유사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도 11~12에 대해 제시된 것과 동일한 설명 내용을 포함한다.
예시의 제2 통기 구조(1300)는, 제1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되고 제1 패널 에지(1312)를 구비한 제1 패널(1310); 및 제2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되고 제2 패널 에지(1316)를 구비한 제2 패널(1314);을 포함한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예시의 양태에서, 제1 패널 에지(1312)는 기정의된 양만큼 제2 패널 에지(1316)와 중첩된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비록 대향하는 구성이 본원에서 고려되기는 하지만[예컨대, 제1 패널 에지(1312)가 제2 패널 에지(1316)의 내부에 위치되기는 하지만], 제1 패널 에지(1312)는 제2 패널 에지(1316)의 외부에 위치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기정의된 양은 약 0.1mm 내지 약 5cm, 약 0.5mm 내지 약 3cm, 또는 약 1mm 내지 약 2c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널(1310 및 1314)은, 예를 들면 상체 의복(300)과 같은 상체 의복, 하체 의복(500)과 같은 하체 의복, 또는 모자류, 장갑, 양말, 신발 등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패널 에지(1312)는 제1 고정점(1318), 및 이 제1 고정점(1318)으로부터 이격된 제2 고정점(1320)에서, 제2 패널 에지(1316)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널 에지(1312)는 통기 개구부(도 14에 보다 더 잘 도시되어 있음)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고정점(1318)과 제2 고정점(1320) 사이에서 제2 패널 에지(1316)로부터 분리된다. 제1 및 제2 고정점(1318 및 1320)은 재봉, 시침질, 접합, 접착제, 벨크로(hook-and-loop fastener) 등을 포함한다.
예시의 제2 통기 구조(1300)는, 제1 위치, 및 이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제1 패널(1310)에 각각 부착된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2)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4)를 더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및 제2 위치는 제1 패널 에지(1312)에 인접(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할 수 있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예시의 양태에서,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2 및 1324)는 의류 물품에 적용된 것처럼 제1 패널(1310)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된다.
통기 구조(1300)는 선택적으로 제2 패널 에지(1316)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제2 패널(1314)에 고정되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14에는, 예시적인 4개의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32)가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러나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필름 구조들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32)은 제1 고정점(1318)과 제2 고정점(1320) 사이에 위치된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것처럼,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32)은 제2 패널(1314)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32)이 제2 패널(1314)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통기 구조(1100)는, 제1 패널 에지(1312)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제1 패널(1310) 상에 위치되는 2개의 이격된 보강 패널(1334)을 더 포함한다. 보강 패널들(1334)은 비록 다른 형상 구성들이 본원에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보강 패널들(1334)은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2)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4) 사이에 위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패널들(1334)은 제1 패널(1310)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도 13에 도시된 구성에서 보강 패널들(1334)은, 제1 패널(1310)에서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2 및 1324)와 동일한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인접한 보강 패널들(1334) 사이에는 간극(1336)이 형성되되, 간극(1336)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종축을 포함한다. 통기 구조(1100)와 유사하게, 간극(1336)은 일반적으로 통기 개구부의 중심점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간극(1336)은 일반적으로 제1 고정점(1318)과 제2 고정점(1320)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간극(1336)은 제1 고정점(1318) 또는 제2 고정점(132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4에는 물이나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통기 구조(1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과 유사하게,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322 및 1324)가 각각의 해당 장축을 따라서 확장되고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이는, 그 결과, 제1 패널 에지(1312)가 통기 개구부[통기 개구부(1400)로서 라벨 표시됨]의 종축의 방향으로 단축되게 하며, 그리고 제1 패널(131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z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통기 개구부(1400)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되면, 통기 개구부(1400)는 다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32)이 사용될 때,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필름 구조들(1332)이 각각의 해당 장축을 따라서 확장되고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하며, 이는 제2 패널 에지(1316)가 통기 개구부(1400)의 종축의 방향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2 패널 에지(1316)의 단축은 추가로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통기 개구부(1400)를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통기 구조(1100)와 유사하게, 보강 패널들(1334)은 통기 개구부(1400)의 방향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보강 패널들(1334)의 배치 및 위치결정을 구성함으로써, 제1 텍스타일 소재의 이동은 일차적으로 간극(1336)에서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통기 개구부(1400)의 정점은 간극(1336)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통기 개구부(1400)의 최대 개방(또는 변위)은 간극(1336)에서 일어날 수 있다.
도 14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의 추가적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및/또는 제2 텍스타일 소재가 니트 구조물을 포함할 때,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322, 1324 및 1332)과 같은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장축은, 니트 코스들이 도면부호 1410)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니트 텍스타일 소재(knit textile material)의 코스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코스 방향으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장축의 정렬은,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이 패널들의 안쪽 대향 표면 또는 패널들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때 일어날 수 있다. 확인된 점에 따르면, 코스 방향으로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장축을 정렬한 결과로, 기저의 텍스타일 소재는 필름 구조들의 장축을 따라서 더 많이 굽혀지거나 절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이는 인접한 코스들 사이에서 보다 더 두껍게, 그리고 코스들의 상단에는 보다 더 얇게 증착되는 필름 소재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필름 소재가 코스들의 상단에서 보다 더 얇기 때문에, 니트 코스들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더 많이 변형되거나 굽혀질 수 있다.
기저의 니트 텍스타일의 코스 방향으로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의 장축들의 배향은, 의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패턴 피스들(pattern pieces)을 재단하고 위치시키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상체 의복(300)이 니트 텍스타일로 형성된 경우, 니트 텍스타일은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338)의 장축(340)과 일직선으로 (예컨대 대각선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 15 및 16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기 구조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형 통기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의 제3 통기 구조(15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패널(1510)이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전에 패널(1510)이 도시되어 있다. 패널(1510)은 상체 의복(300)과 같은 상체 의복, 하체 의복(500)과 같은 하체 의복, 또는 모자류, 장갑, 양말, 신발 등과 같은 다른 의류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패널(1510)은 패널(1510) 내에 형성된 슬릿(1512)을 포함한다. 슬릿(1512)은 기계적 절단 공정, 레이저 절단, 워터젯 절단, 용해성 얀, 슬릿(1512) 형성을 위한 니트, 부직포 또는 직조 구조의 조작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512)은 패널(1510)의 제1 표면(1514)에서 패널(1510)의 대향하는 제2 표면(1516)까지 연장되어 관통 통로를 제공한다. 슬릿(1512)은 제1 에지(1518)와 대향하는 제2 에지(1520)를 포함한다. 슬릿(1512)의 종축은 슬릿(1512)의 제1 단부(1522)와 제2 단부(1524)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비록 제1 에지(1518)가 제2 에지(1520)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제1 및 제2 에지(1518 및 1520)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작은 공간이 제1 에지(1518)와 제2 에지(152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비록 슬릿(1512)이 선형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에서는, 슬릿(1512)이 만곡된 형상, 기하구조적 형상, 곡선 형상, 영숫자 형상 등을 포함한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패널(1510)은 슬릿(1512)의 제1 에지(1518)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슬릿(1512)의 제1 단부(1522)와 일직선으로 정렬된 장축을 갖는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6); 및 슬릿(1512)의 제1 에지(1518)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슬릿(1512)의 제2 단부(1524)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장축을 갖는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8);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526 및 1528)의 장축들은 슬릿(1512)의 종축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6 및 1528)는 패널(1510)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의 양태들에서는, 제1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6 및 1528)는 패널(1510)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통기 구조(1500)는 선택적으로 제2 에지(1520)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패널(1510)의 안쪽 대향 표면에 고정되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5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530)은 슬릿(1512)의 제1 단부(1522)와 제2 단부(1524)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들(1530)이 패널(1510)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는 점도 고려된다.
통기 구조(1500)는, 제1 에지(1518)에 인접하게(약 0.1mm 내지 약 1cm만큼 이격되게) 패널(1510) 상에 위치되는 2개의 이격된 보강 패널(1532)을 더 포함한다. 보강 패널들(1532)은 비록 다른 형상 구성들이 본원에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보강 패널들(1532)은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6)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1528) 사이에 위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패널들(1532)은 패널(1510)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인접한 보강 패널들(1532) 사이에는 간극(1534)이 형성되되, 간극(1534)은 슬릿(1512)의 종축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종축을 포함한다. 통기 구조들(1100 및 1300)과 유사하게, 간극(1534)은 일반적으로 슬릿(1512)의 중심점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간극(1534)은 일반적으로 슬릿(1512)의 제1 단부(1522)와 제2 단부(1524)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간극(1534)은 슬릿(1512)의 제1 단부(1522) 또는 제2 단부(1524)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6에는, 물이나 수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노출된 후의 패널(1510)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은 필름 구조들(1526, 1528 및 1530)이 예컨대 적어도 z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고 적어도 해당 장축들을 따라서 절첩되거나 굽혀지게 한다. 장축들 각각은 슬릿(1512)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해당 장축들을 따른 필름 구조들(1526, 1528 및 1530)의 절첩 또는 굽힘은 제1 에지(1518) 및 제2 에지(1520)가 슬릿(1512)의 종축의 방향으로 단축되게 한다. 제1 에지(1518) 및 제2 에지(1520)의 단축은, 제1 에지(1518) 및 제2 에지(1520)가 패널(151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z 방향으로 연장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면부호(1600)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슬릿(1512)을 전환한다. 외부 자극이 제거된다면, 패널(1510)은 다시 각각의 노출 전 상태로 전환되며, 그리고 슬릿(1512)은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통기 구조들(1100 및 1300)과 유사하게, 보강 패널들(1532)은 슬릿 개구부(1600)의 방향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보강 패널들(1532)의 배치 및 위치결정을 구성함으로써, 패널(1510)의 이동은 일차적으로 간극(1534)에서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슬릿 개구부(1600)의 정점은 간극(1534)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슬릿 개구부(1600)의 최대 개방(또는 변위)은 간극(1534)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되었다.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대안의 양태들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원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개선예들을 구현하는 대안의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특정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은 유용하고, 다른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을 참조하지 않고도 채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범위에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들에 열거된 모든 단계는 설명한 특성 순서로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Claims (20)

  1. 의류 물품으로서, 제1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된 제1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를 구비한 상기 제1 패널; 제2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2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가 제1 고정점 및 제2 고정점에서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제1 고정점과 제2 고정점 사이에서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제2 패널; 제1 위치, 및 이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적어도 제1 패널에 각각 부착되는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이되,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가지며, 각각의 장축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수분에 노출 시,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 증가가 이루어져 통기 개구부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인,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사이에서 적어도 제1 패널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은 상기 제1 패널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의류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상기 제1 패널의 안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은 상기 제1 패널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부착되는 것인, 의류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간극은 상기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 중 제1 보강 패널과 제2 보강 패널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통기 개구부의 정점은 상기 간극과 정렬되는 것인, 의류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을 형성하는 상기 제1 텍스타일 소재는 제1 강성도(degree of stiffness)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2개의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은 제1 강성도보다 더 큰 제2 강성도를 갖는 것인, 의류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은 상기 제1 고정점과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은 상기 제2 고정점과 정렬되는 것인, 의류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에지는 상기 제2 패널 에지와 중첩되는 것인, 의류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텍스타일 소재는 니트 소재인 것인, 의류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은 상기 니트 소재의 코스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인, 의류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의 장축은 상기 니트 소재의 코스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인, 의류 물품.
  12. 의류 물품으로서, 제1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된 제1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를 구비한 상기 제1 패널; 제2 패널 에지를 구비한 제2 패널이되, 제1 패널 에지는 제2 패널 에지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제2 패널; 2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제1 패널에 부착되는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이되, 수분에 노출 시,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적어도 z 방향으로 치수 변경이 이루어져 제1 패널이 제1 방향으로 치수가 감소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통기 개구부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것인,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사이에서 적어도 제1 패널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을 형성하는 상기 제1 텍스타일 소재는 제1 강성도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2개의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은 제1 강성도보다 더 큰 제2 강성도를 갖는 것인, 의류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약 30미크론 내지 약 5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의류 물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은 상기 제1 패널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의류 물품.
  17. 제12항에 있어서, 간극은 상기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 중 제1 보강 패널과 제2 보강 패널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통기 개구부의 정점은 상기 간극과 정렬되는 것인, 의류 물품.
  18. 통기 개구부를 갖는 의류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통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패널의 제2 패널 에지에 제1 텍스타일 소재로 형성된 제1 패널의 제1 패널 에지를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불연속적 부착 단계이되, 상기 통기 개구부는 종축을 가지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의류 물품을 형성하는 것인, 상기 불연속적 부착 단계; 2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제1 패널에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부착하는 필름 구조 부착 단계이되,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은 장축 및 단축을 가지며, 각각의 장축은 통기 개구부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인, 상기 필름 구조 부착 단계; 및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와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사이에서 제1 패널에 2개 이상의 이격된 보강 패널을 부착하는 보강 패널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통기 개구부를 갖는 의류 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텍스타일 소재는 니트 소재인 것인, 통기 개구부를 갖는 의류 물품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2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제1 패널에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를 부착하는 상기 필름 구조 부착 단계는 상기 니트 소재의 코스 방향으로 상기 제1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및 상기 제2 개별 오버레이 필름 구조 각각의 장축을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의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47010773A 2021-10-19 2022-10-14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KR20240052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5,198 2021-10-19
US17/505,198 US20220030992A1 (en) 2019-08-12 2021-10-19 Apparel with dynamic vent structure
PCT/US2022/046742 WO2023069321A1 (en) 2021-10-19 2022-10-14 Apparel with dynamic ven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046A true KR20240052046A (ko) 2024-04-22

Family

ID=8436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773A KR20240052046A (ko) 2021-10-19 2022-10-14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2046A (ko)
CA (1) CA3229371A1 (ko)
WO (1) WO20230693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1305A1 (en) * 2006-01-10 2007-07-12 Tanakorn Wangbunyen Using chemicals to regulate functioning of ventilation points in a fabric or flexible substrate
US10098395B2 (en) * 2015-10-16 2018-10-16 Nike, Inc. Air duct ventilation system for apparel items
US11559092B2 (en) * 2019-08-12 2023-01-24 Nike, Inc. Apparel with dynamic vent structure
US11986034B2 (en) * 2019-11-13 2024-05-21 Nike, Inc. Vented lower-body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9371A1 (en) 2023-04-27
WO2023069321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775B2 (en) Quick-drying lightweight bra
CN108135291B (zh) 运动激活通风系统
CN114126434B (zh) 具有动态通风结构的服装
US11297884B2 (en) Trim piece for an apparel item
EP3297475B1 (en)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 structure
KR101918880B1 (ko) 이중-층 트림 피스
JP2019511646A (ja) サポート要素付き下半身衣類
US20100242151A1 (en)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TW201400285A (zh) 布料的層積體及衣類、寢具
CN112351700B (zh) 年轻人端庄支撑服装
CN113116005A (zh) 复合式服装物品
US6435116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hirts with raglan sleeves
US20200383409A1 (en) Apparel layer system
CN104619290A (zh) 复合片材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复合片材的一次性穿戴物品
KR20240052046A (ko) 동적 통기 구조를 포함한 의류
CN220360144U (zh) 装饰件、服装物品、复合层压材料、上身衣服和衣服
US20150011141A1 (en) Shapewear
JP7361009B2 (ja) 衣服
US6830543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unibody shirts with sleeves
KR101450047B1 (ko) 주름 없는 바지와 치마의 허릿단 벨트구조
WO2023133279A1 (en) Dynamic vent structure for appa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