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837A -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837A
KR20240051837A KR1020230134016A KR20230134016A KR20240051837A KR 20240051837 A KR20240051837 A KR 20240051837A KR 1020230134016 A KR1020230134016 A KR 1020230134016A KR 20230134016 A KR20230134016 A KR 20230134016A KR 20240051837 A KR20240051837 A KR 2024005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ilter
filtering unit
fluid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김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리트
Publication of KR2024005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0Brush filters ; Rotary brus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필터는 일단이 막힌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며, 유체의 유동라인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브러시대; 및 상기 제1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과 접하며, 상기 제1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제1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하며 이물질이 필터의 통수면에 끼지 않도록 청소함으로써 필터의 통수면이 장기간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배관 관리자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고, 장기간 안정적인 유량이 확보된다.

Description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FILTER HAVING BRUSH AND STRAINER USING IT}
본 발명은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하며 이물질을 쓸며 청소하여 통수면의 폐색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는 필터가 장착된다. 필터는 모래, 스케일, 녹, 금속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 후단의 기구나 장치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는 그 자체로 배관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임의 장착물에 수용되어 배관에 설치되며, 통상 "스트레이너"라고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712호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8549호가 있다.
필터는 이물질이 쌓여 통수면이 감소하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통수면을 확보해야 한다. 이물질의 제거는 필터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한 후 이루어지며, 이는 배관 관리자에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예를 들면, 플랜트 시설에는 규모에 따라 수십 내지 수 만개의 필터가 장착되어 있고, 배관 관리자가 그 많은 스트레이너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 즉, 청소한다.
이러한 필터 관리 행위는 시설의 운영 면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매우 부정적이다. 또한, 필터를 청소하는 동안 통수는 차단되기 때문에 생산에 문제가 있다. 이는 바이패스관을 병설해야 하는 설비의 증가가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71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85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하며 이물질을 쓸며 청소하여 통수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는 일단이 막힌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며, 유체의 유동라인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브러시대; 및 상기 제1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과 접하며, 상기 제1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제1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브러시대에는 회전을 유도하는 제1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리시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의 막힌 일단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브러시대와, 상기 제2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단면과 접하는 제2 브러시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러시대에는 회전을 유도하는 제2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는 유체의 유동라인 중간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라인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브러시대; 및 상기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와 외접하며, 상기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체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는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유체의 유동라인의 중간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라인과 직선을 이루며,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브러시대; 및 상기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와 외접하며, 상기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하며 이물질이 필터의 통수면에 끼지 않도록 청소함으로써 필터의 통수면이 장기간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배관 관리자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고, 장기간 안정적인 유량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의 또 다른 예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필터의 또 다른 예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분리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필터가 장착된 버킷 타입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유체가 회오리를 형성하며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필터가 장착된 버킷 타입 스트레이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유체가 회오리를 형성하며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필터가 장착된 스트레이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필터가 장착된 스트레이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100)는 여과부(110)를 포함한다. 여과부(110)는 일단(111)이 막힌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며, 유체의 유동라인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여과부(110)는 원통형, 원뿔형, 원뿔대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구된 타단(112)에는 여과부(110)를 유체의 유동라인에 배치하기 위한 플랜지 형태의 테두리부(113)를 가질 수 있다.
여과부(110)는 메쉬망 또는 타공망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고, 타공망에 메쉬망을 감싸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망이 감긴 타공망은 유체의 유속이나 압력 등에 의하여 메쉬망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과부(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망을 구성할 수 있다면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는 유동라인을 형성하는 배관을 통해서 유동한다. 여과부(110)는 배관과 수직을 이루거나 동일선상의 직선을 이루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유체는 여과부(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여 개구된 타단(112)으로 빠져 나가고, 이물질은 여과부(110)의 외부에서 필터링되어 쌓인다.
여과부(110)에는 길이를 가지는 제1 브러시대(121)가 설치되고, 제1 브러시대(121)에는 제1 브러시모(131)가 설치된다. 제1 브러시대(121)는 여과부(110)의 길이를 따라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1 브러시모(131)는 제1 브러시대(121)의 길이를 따라 촘촘히 설치되어 여과부(110)의 외주연과 접한다.
제1 브러시모(131)는 천연이나 인조털, 식물섬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또는 PE수지, PP수지, PET수지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은 여과부(110)를 이루는 망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면, 여과부(110)가 선경이 가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면, 제1 브러시모(131)는 마찰로 인한 메쉬망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러운 털이나 식물섬유, 유연성을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가 유동라인을 따라 유동하면, 제1 브러시대(121)의 지지를 받는 제1 브러시모(131)가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여과부(1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며 빗질하듯이 쓸어 이물질을 청소한다. 이 때문에, 이물질이 여과부(110)의 외주연에 쌓여 부착되는 일이 없고, 여과부(110)의 통수면은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유량이 확보된다.
제1 브러시대(121)는 사선으로 설치되어 제1 브러시모(131)의 회전을 더 유도할 수 있고, 제1 브러시모(131)가 유체의 흐름과 대향하는 저항면을 형성함으로써 여과부(1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여과부(110)의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 즉, 청소를 위해, 제1 브러시대(121)는 여과부(110)의 외주연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되어 제1 브러시모(131)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제1 브러시대(121)는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수단은 제1 브러시대(121)의 회전을 지지하여 제1 브러시모(131)가 변위없이 안정된 자세에서 여과부(110)의 외주연과 외접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수단은 가이드홈일 수 있다. 가이드홈은 제1 브러시대(121)의 양 단부를 끼워 제1 브러시대(121)가 안정된 자세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홈(141)은 여과부(110)의 테두리부(113) 일면에 테두리부(11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원형홈을 이루며 제1 브러시대(121)의 일단을 끼우고,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에는 제1 가이드부재(151)가 설치되고 그 제1 가이드부재(151)의 일면에 제1 가이드부재(151)의 원주를 따라 원형홈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143)이 형성되어 제1 브러시대(121)의 타단을 끼울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51)는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여과부(110)의 통수면에 영향을 적게 주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부재(151)의 외형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가이드홈(141)(143)은 제1 브러시대(121)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끼워 회전을 지지하며 가이드함으로써, 제1 브러시모(131)가 변위없이 안정된 고정 위치에서 여과부(110)의 외주연과 외접하며 회전하여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브러시대(121)는 일단과 타단에 바퀴를 장착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홈(141)(143)을 따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바퀴는 그 형상 및 설치 형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바퀴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홈(141)(143)도 변형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브러시대(121)는 일단과 타단에 레일 바퀴가 장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가이드홈(141)(143)은 바닥에 레일을 형성하여 제1 브러시대(121)가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레일 바퀴를 끼워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브러시대(121)에는 유동하는 유체와 대응하여 회전을 더 유도하는 제1 날개(16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날개(161)는 길이를 이루어 제1 브러시대(121)를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서로 간격을 두고 제1 브러시대(121)를 따라 다수개로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제1 날개(161)는 용접, 볼팅, 끼움방식 등을 통하여 제1 브러시대(121)에 설치될 수 있고, 금속, 수지(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날개(161)는 유동하는 유체와 대응하여 여과부(1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브러시모(131)가 더 강한 회전력을 가지도록 하며, 제1 브러시대(121)에 사선으로 설치되어 제1 브러시모(131)의 회전력을 더 강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제1 날개(161)는 저속 유체에서 제1 브러시모(131)를 회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대(121)의 타단에는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브러시대(123)가 설치되고, 제2 브러시대(123)에는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단면과 외접하는 제2 브러시모(133)가 길이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단면에는 지지축(171)이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 용접 등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되고, 지지축(171)의 선단에는 허브(173)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그 허브(173)에 제2 브러시대(123)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러시대(123)는 제1 브러시대(121)의 타단에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가 "ㄴ"자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브러시대(123)는 제1 브러시대(121)를 "ㄴ"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그 절곡된 부위일 수 있다.
허브(173)와 지지축(171)의 사이에는 베어링이나 부싱 등과 같은 기계요소를 개재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허브(173)는 그 기계요소를 통해 지지축(171)과 마찰없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173)는 일단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기계요소가 장착되어 지지축(171)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브러시대(123)는 허브(173)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어 제1 브러시대(121)를 지지한다.
제2 브러시대(123)에는 더 강한 회전력을 유도하는 제2 날개(163)가 용접, 볼팅, 끼움방식 등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제2 날개(163)는 사선으로 설치되어 더 강한 회전력을 유도할 수 있다.
유체가 유동하면,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지지축(171)을 중심으로 허브(173)를 통해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가 회전함으로써 제2 브러시모(133)가 회전하며, 회전하는 제2 브러시모(133)는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단면을 빗질하듯이 쓸어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청소한다. 제1 브러시모(131)는 여과부(110)의 외주연을 쓸어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청소한다.
제2 브러시모(133)는 제1 브러시모(133)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제1 브러시대(121)의 일단을 끼운 제1 가이드홈(141)은 제1 브러시대(121)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가 안정된 자세에서 회전하며 여과부(110)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10)의 테두리부(113)가 경사지게 설치되면, 제1 브러시대(121)가 제1 가이드홈(141)을 따라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여과부(110)의 중간에는 제1 가이드홈(141)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재(15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부재(153)는 여과부(110)와 직각을 이룬다. 제2 가이드부재(153)는 여과부(110)에 직접 용접이나 볼팅, 또는 테두리브(113)에 대한 용접, 볼팅, 고정대 이용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과부(110)의 중간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어 제1 가이드홈(141)을 형성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한다. 제1 브러시대(121)은 일단을 제2 가이드부재(153)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41)에 끼워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1 브러시대(121)와 제1 브러시모(131)로 이루어지거나,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와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은 여과부(110)에 탈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브러시수단은 여과부(110)를 이루는 메쉬망 또는 타공망의 조건에 따라 여과부(110)가 손상이나 훼손되지 않도록 또는 이물질의 재질, 크기나 점성 등의 조건에 따라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의 재질이 변경되며, 이 때문에 여과부(110)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재(151)가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에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브러시대(121)와 제1 브러시모(131)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이 여과부(110)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수단은 여과부(110)의 막힌 일단(111)의 외면에 설치되는 환형부재(181)와, 제1 가이드부재(15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의 내주연으로부터 구멍과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 환형부재(181)와 대면하는 연장부(183)와, 환형부재(181)에 형성되는 고정홀(185)과, 연장부(183)에 형성되어 고정홀(185)과 대응하는 관통홀(185)과, 서로 대응하는 관통홀(185)과 고정홀(185)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부재(151)를 탈착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187)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185)과 고정홀(185)은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고, 그 나사와 대응하게 고정부재(187)는 볼트나 나사 형태를 이루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제1 가이드부재(151)를 탈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87)가 관통홀(185)과 고정홀(185)로부터 분리되면, 제1 가이드부재(151)가 환형부재(181)로부터 간단히 분리되기 때문에, 현장의 조건에 따라 브러시수단을 쉽게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러시대(123)가 허브(173)에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와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이 여과부(110)에 탈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수단은 허브(173)에 설치되어 제2 브러시대(123)와 대응하며 제2 브러시대(123)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소켓부재(191)와, 홈으로부터 소켓부재(19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슬롯들(193)과, 소켓부재(191)와 결합되며 슬롯들(193)로 인해 소켓부재(191)의 단부를 오므려 홈에 끼워진 제2 브러시대(123)의 단부를 탈착되게 고정하는 조임부재(19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91)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조임부재(191)는 너트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조이며 소켓부재(191)의 단부를 오므려 홈에 끼워진 제2 브러시대(123)의 단부를 탈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슬롯들(193)은 소켓부재(191)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소켓부재(191)의 단부를 오므릴 수 있는 탄력을 부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195)가 소켓부재(191)로부터 분리되면 제2 브러시대(123)가 허브(173)로부터 간단히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현장의 조건에 따라 브러시수단를 쉽게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탈착수단은 다양한 구조를 통해 브러시수단을 여과부(110)로부터 탈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탈착수단은 단지 예시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200)는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버켓 스트레이너 타입으로서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유체의 유동라인 중간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된다. 버켓 스트레이너 타입의 하우징(210)은 대용량의 유체 공급에 유리한다.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유체 유입측(211)과 유체 배출측(212)이 형성되고, 유체 유입측(211) 및 유체 배출측(212)의 외주연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가 배관의 플랜지와 볼트 결합됨으로써, 하우징(210)이 유체의 유동라인의 중간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유체 유입측(211) 및 유체 배출측(212)의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고 그 나사를 배관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유동라인의 중간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내부를 구획 분할하여 유체 유입측(211)과 유체 배출측(212)을 격리하는 격벽(213)이 설치되고, 격벽(213)에는 분할된 공간(R1)(R2)을 연결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필터(100)의 여과부(110)가 그 구멍에 끼워지고, 테두리부(113)가 격벽(213) 위에 안치됨으로써, 필터(100)가 하우징(210)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유체의 유동라인과 수직을 이룬다.
유체 유입측(211)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공간(R1)으로 유입되고 여과부(110)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여 공간(R2)으로 유동한다. 공간(R2)으로 유동한 유체는 유체 배출측(212)로 배출되며, 이물질은 여과부(110)의 외부에서 필터링되어 공간(R1)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3)가 수평을 이루어 여과부(110)와 직교하는 경우, 테두리부(113)가 안치되는 격벽(213)의 부위(213a)는 수평을 이루고, 그 수평부위(213a)에 여과부(110)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테두리부(113)가 안치되지 않는 격벽(213)의 부위(213b)는 경사지게 절곡되어 공간(R1)(R2)을 구획 분할하며, 유체는 절곡부위(213b)를 따라 유동하여 유체 배출측(212)로 배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3)가 경사진 경우, 격벽(213)도 동일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공간(R1)(R2)을 구획 분할한다.
필터(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대(121)와 제1 브러시모(131)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와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수단은 하우징(21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힘에 의해 회전하며 여과부(110)의 외면을 청소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측(211)은 하우징(210)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어 유체가 회오리를 형성하며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유입측(211)의 내벽면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216)가 형성되어 유체가 회오리를 더 강하게 형성하며 유입되고, 유체가 필터(100)의 여과부(110)를 바로 타격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원주에 대한 유체 유입측(211)의 편심과 돌기(216)에 의해, 유체가 회오리를 형성하며 유입되어 여과부(110)를 감아돌고, 그 회오리의 힘에 의해 브러시수단이 회전하여 여과부(110)를 청소한다.
하우징(210)의 바닥에는 드레인구(218)가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구(218)는 밸브가 장착되어 개폐된다. 밸브의 작동으로 드레인구(218)가 개방되면, 브러시수단의 청소로 부유중이거나 침강된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와 여과부(110)가 깨끗한 상태가 된다. 하우징(210)은 상부가 덮개(219)로 개폐되어 필터(100)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300)는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유체의 유동라인의 중간에 배치되는 몸체(31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유체 유입측(311)과 유체 배출측(312)의 외주연에 각각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310)는 유체 유동라인을 형성하는 배관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플랜지 결합으로 유체 유동라인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310)는 유체 유입측(311)과 유체 배출측(312)의 외주연에 플랜지 대신에 각각 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310)는 유체 유동라인을 형성하는 배관과 나사 결합하여 유체 유동라인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310)의 내부에는 필터(100)가 유체의 유동라인과 동일선상의 직선을 이루며 설치되고, 필터(100)의 여과부(110)가 몸체(310)로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유체 유입측(311)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여과부(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여 개구된 타단(112)으로 빠져 나가 유체 배출측(312)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여과부(110)의 외부에 필터링되어 쌓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는 유체 배출측(312)에 걸림턱(313)을 형성하고, 그 걸림턱(313)에 여과부(110)의 테두리부(113)를 삽입하여, 필터(100)를 유체의 유동라인과 동일선상의 직선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필터(100)는 유체 배출측(312)과 직선을 이룬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는 유체 배출측(212)의 플랜지에 외부에서 여과부(110)의 테두리부(113)를 맞대고, 유체 배출측(312)의 플랜지가 배관의 플랜지와 볼트 결합됨으로써, 필터(100)가 유체의 유동라인과 직선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13의 몸체(310)는 내부를 이루는 챔버(315)에 필터(100)를 수용하며, 도 14의 몸체(310)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필터(100)를 수용한다.
도 13의 몸체(310)는 챔버(315)를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여 필터(100)를 수용할 수 있고, 챔버(215)의 내벽면에는 와류유도돌기(316)를 스크류 모양으로 형성하여 브러시수단의 회전을 더 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4의 몸체(310)도 내벽면에 몸체(310)의 길이를 따라 와류유도돌기(316)를 스크류 모양으로 형성하여 브러시수단의 회전을 더 강하게 유도할 수 있다.
유체 유입측(311)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와류유도돌기(316)를 따라 와류(회오리)를 형성하며 여과부(110)를 통과하고, 그 와류의 힘에 의해 브러시수단이 강하게 회전하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청소)한다.
필터(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대(121)와 제1 브러시모(131)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브러시대(121)(123)와 제1 및 제2 브러시모(131)(133)로 이루어진 브러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310)의 바닥에는 드레인구(318)가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구(318)는 밸브가 장착되어 개폐된다. 밸브의 작동으로 드레인구(318)가 개방되면, 필터(100)의 브러시수단의 청소로 부유중이거나 침강된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몸체(310)의 내부와 여과부(110)가 깨끗한 상태가 된다.
몸체(310)는 상부가 덮개(319)로 개폐되어 챔버(315)에 필터(100)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하며 이물질이 필터의 통수면에 끼지 않도록 청소함으로써 필터의 통수면이 장기간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배관 관리자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고, 장기간 안정적인 유량이 확보된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필터 110: 여과부
111: 막힌 일단 112: 개구된 타단
113: 테두리부 121: 제1 브러시대
123: 제2 브러시대 131: 제1 브러시모
133: 제2 브러시모 141: 제1 가이드홈
143: 제2 가이드홈 151: 제1 가이드부재
153: 제2 가이드부재 161: 제1 날개
163: 제2 날개 171: 지지축
173: 허브 181: 환형부재
183: 연장부 185: 고정홀
186: 관통홀 187: 고정부재
191: 소켓부재 193: 슬롯
195: 조임부재
200: 스트레이너장치 210: 하우징
211: 유체 유입축 212: 유체 배출측
213: 격벽 213a: 수평부위
213b: 절곡부위 216: 돌기
218: 드레인구 219: 덮개
300: 스트레이너장치 311: 유체 유입측
312: 유체 배출측 313: 걸림턱
315: 챔버 316: 와류유도돌기
318: 드레인구 319: 덮개

Claims (6)

  1. 일단이 막힌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며, 유체의 유동라인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브러시대; 및
    상기 제1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과 접하며, 상기 제1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제1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필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시대에는 회전을 유도하는 제1 날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시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의 막힌 일단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브러시대와, 상기 제2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단면과 접하는 제2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필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러시대에는 회전을 유도하는 제2 날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유체의 유동라인 중간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라인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브러시대; 및
    상기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와 외접하며, 상기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체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장치.
  6.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유체의 유동라인의 중간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라인과 직선을 이루며,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브러시대; 및
    상기 브러시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와 외접하며, 상기 브러시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여과부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장치.
KR1020230134016A 2022-10-13 2023-10-10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KR20240051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1112 2022-10-13
KR1020220131112 2022-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837A true KR20240051837A (ko) 2024-04-22

Family

ID=9088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016A KR20240051837A (ko) 2022-10-13 2023-10-10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8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2B1 (ko) 2016-02-19 2016-09-09 주식회사 에너리트 스트레이너장치
KR102248549B1 (ko) 2019-06-28 2021-06-07 주식회사 에너리트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2B1 (ko) 2016-02-19 2016-09-09 주식회사 에너리트 스트레이너장치
KR102248549B1 (ko) 2019-06-28 2021-06-07 주식회사 에너리트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443A (en) In-line agricultural water filter with diverter tube and flush valve
US20040112846A1 (en) Filter
US6123841A (en) Waste-wa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for fish cultivation
JP2588230B2 (ja) 圧力下にある導管に設置すべき自動清掃式フィルタ
SE526692C2 (sv) Skivfilter och modul för uppbyggnad av sådant
HU217227B (hu) Vízszűrő berendezés atomerőművek biztonsági hűtőrendszeréhez
CN101406773A (zh) 自清洁旋转滤芯的过滤器
EP3795228B1 (en) Filtration device
JP2006320317A (ja) 撒液システム用の濾過装置
KR102533543B1 (ko)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CN100446835C (zh) 固定的布介质过滤
CN106492528B (zh) 一种反冲洗过滤器
KR20230077640A (ko) 브러시 청소기능을 갖는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KR20240051837A (ko)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CN213506267U (zh) 水肥滴灌水处理系统
US4806242A (en) Self-cleaning filter
US20200391144A1 (en) Filter unit and filtration system
KR20230076753A (ko) 브러시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KR20240051836A (ko) 브러시 청소기능을 갖는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CN213492448U (zh) 具备反洗功能的液体过滤装置
KR102192343B1 (ko) 스트레이너장치
SE433073B (sv) Anordning for rening av flytande medier, sasom avloppsvatten
KR20210148646A (ko) 침전조의 지주 회전식 슬러지 배출장치
JP2858504B2 (ja) 管内異物排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