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724A -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724A
KR20240051724A KR1020220131767A KR20220131767A KR20240051724A KR 20240051724 A KR20240051724 A KR 20240051724A KR 1020220131767 A KR1020220131767 A KR 1020220131767A KR 20220131767 A KR20220131767 A KR 20220131767A KR 20240051724 A KR20240051724 A KR 20240051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um
sawdust
medium
mushrooms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홍
이강효
장갑열
한재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13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724A/ko
Publication of KR2024005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배지 및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스티로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균사체 생장이 가장 우수한 톱밥배지 혼합비를 확립하고 상기 혼합비에서 생육이 우수하고 톱밥입자간 결합력이 우수한 최적 균주를 선정한 친환경 스티로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스티로폼이 생분해가 가능하여 폐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스티로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Method for manufacturing alternative material for eco-friendly packaging using mushroom mycelium and its use}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 수지를 발포하여 만드는 경량의 스티로폼은 발포가 쉬우면서도, 보온성이 높고 충격 흡수가 우수한 특성 때문에 각종 전자제품 및 음식물 포장용기, 해양 부표 등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은 미세 플라스틱의 최대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일반쓰레기로써 약한 내열성과 환경호르몬까지 다량으로 배출하며 자연 분해가 되기까지 무려 500년 이상이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버섯은 크게 균사체와 자실체로 나뉘는데, 균사체는 버섯과 같은 균들의 영양기관역할을 하는 세포들의 집합이다. 균사체는 영양소를 직접 흡수하는 기관이기에 아주 얇고 긴 파이프의 구조를 하고 있는데 이는 세포 하나하나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균사체를 형성할 때 이를 이루는 세포는 키틴질로 이루어진 자신들의 세포벽을 열어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특히, 균사체는 나무껍질이나 대마줄기 등 자연폐기물을 소비하며 자라나는 특성이 있고 제 기능을 다하면 자연 생분해되므로 균사체를 농업 폐기물 등을 이용하여 배양하고 친환경 소재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 스티로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균사체 생장이 가장 우수한 톱밥배지 혼합비를 확립하고 상기 혼합비에서 생육이 우수하고 톱밥입자간 결합력이 우수한 최적 균주를 선정함으로써 생분해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증대된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104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사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균사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균사체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여 스티로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 본 발명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사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사체 복합소재"는 식물성 폐자원과 배양배지를 포함한 버섯 균사체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경우 식물성 폐자원으로 참나무 톱밥을 이용하고, 버섯 균사체로 영지버섯 균사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톱밥은 폐톱밥을 이용할 수 있고, 일 예로, 참나무 톱밥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버섯 균사체를 생장시키기 위한 배지는 톱밥 및 미강을 1:1 내지 4:1 중량비, 구체적으로 4: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톱밥 및 미강은 잘게 분쇄하고 혼합물을 폴리비닐백에 넣어 약 120℃ 온도로 수십분 간의 가열로 멸균하고 배양틀에 충진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배지를 형성함에 있어 톱밥 및 미강을 작게 파쇄하거나 분쇄하고 배지밀도가 높게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유기물로 이용되는 배지에 영양분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함이고, 이는 최종 스티로폼의 강성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지에는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할 때 영양원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 때 영양원은 탄소원으로 수크로오스, 질소원으로 소이톤(soytone) 및 무기염류로 MgSO4, KH2PO4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버섯은 영지버섯, 장수버섯, 차마버섯 또는 상황버섯, 구체적으로 영지버섯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양하는 단계는 멸균 배지의 가운데 부분(심부)에 버섯종균을 접종한 다음 20 내지 30℃의 온도 및 암배양 조건에서 버섯 균사체를 번식 생장시키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배지 분쇄물이 오염되지 않게 배지 뚜껑을 덮어야하며, 만일 배지 뚜껑을 덮지 않게 되면 곰팡이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스티로폼으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지의 가운데 부분 즉 심부(深部)에 액체 버섯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한 결과, 배지 전체에 버섯균사체가 생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균사체가 마치 식물 뿌리처럼 배지 전체에 골고루 침투되어 서로 엉켜 배지 내에서 서로를 붙잡아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균사체"는 균사의 집합체로 진균의 영양기관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버섯이라고 하는 균류의 자실체는 자실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균사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균사체는 적절한 환경조건에서 스스로 집합하여 특정한 고차 구조를 형성하는 자기조립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버섯의 균사체가 유기물을 엉기게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생분해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증대된 친환경 기능성 스티로폼 대체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단계는 1차 배양 단계를 포함하며 1차 배양 단계는 배양틀에 충진된 균사체 복합소재 표면 면적에 균사체가 70 내지 8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내부 배양 단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1차 배양 단계의 기간은 3 내지 5일, 구체적으로 2 내지 4일의 배양기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양단계는 2차 배양 단계를 포함하며 2차 배양 단계는 배양틀을 제거한 뒤 균사체 복합소재 표면 면적에 균사체가 10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외부 배양 단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2차 배양단계의 기간은 1 내지 3일, 구체적으로 2일의 배양기간에 해당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양 단계는 균사체 복합소재 표면에 균사체가 생육된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2차 배양이 완료되어 소재의 표면 전면에 하얗게 균사가 생육하고 있는 상태를 100%로 하여, 배양 단계마다 소재 표면에 균사체가 펼쳐진 직경을 조사,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사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균사체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여 스티로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여 스티로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균사체 복합소재를 80 내지 100℃ 온도에서 12 내지 24 시간 건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조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자연건조방식이나 급속건조 방식이 있으며 두 건조방식을 겸용도 할 수 있고, 다수차에 걸친 건조도 가능하다. 급속건조방식에는 마이크로파(전자파)를 이용한 분자진동 마찰열에 의한 건조, 근적외선 열이나 원적외선 열을 이용한 건조, 훈증열 건조, 일반 히터열 건조, 온풍건조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균사체 생장이 가장 우수한 톱밥배지 혼합비를 확립하고 상기 혼합비에서 생육이 우수하고 톱밥입자간 결합력이 우수한 최적 균주를 선정함으로써 생분해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증대된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스티로폼을 제조함으로써 친환경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톱밥배지를 이용한 친환경 스티로폼 소재 제조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톱밥과 미강의 비율별 균사체 생육경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균주별(영지버섯, 장수버섯, 치마버섯, 상황버섯) 균사체 생육경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삼각플라스크에 버섯균 접종원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영양원 추가 유무에 따른 톱밥배지 영지버섯 균사체 생육경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내부배양 및 외부배양에 따른 균사체 복합소재 배양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균사체 복합소재 건조 및 스티로폼 대체소재 시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친환경 소재 개발을 위한 톱밥비율 선정
균사체 생육배지를 위해 탄소원으로 참나무 톱밥과 질소원으로 미강을 활용하여 참나무 톱밥과 미강의 비율별 균사체의 생육상을 조사하였다. 참나무 톱밥 50%와 미강 50%, 참나무 톱밥 60%와 미강 40%, 참나무 톱밥 80%와 미강 20%의 3가지 조건으로 톱밥배지를 준비하였다. 각 혼합조건별 톱밥은 폴리비닐백에 넣어서 120℃, 40분간 멸균시키고 각 톱밥은 직경 14 cm, 높이 2.5 cm의 페트리디쉬에 충진하였다.
버섯균은 영지균(KMCC02967)을 이용하였으며, PDA 배지에서 14일간 25℃에서 배양한 균사체를 사용하였다.
PDA배지 하에서 충분히 생장한 영지균 균사체를 멸균된 빨대(직경 6mm)로 톱밥과 미강 비율별 각 배지의 정중앙에 위치시키고 페트리디쉬의 뚜껑을 닫고 파라필름으로 뚜껑주위를 감싸 오염을 방지하였다. 그 이후 growth chamber 25℃ 조건으로 암배양 하였다.
각 톱밥비율별 균사체의 생육상을 배양 7일째와 14일째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균사체의 생육직경을 조사하였다.
표 1과 같이 3가지 조건의 참나무 톱밥과 미강 혼합 비율 중에서 80:20 비율에서 영지 균사체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2와 같이 참나무 톱밥과 미강 80:20 혼합비율에서 배양 14일째 페트리디쉬 내부의 톱밥배지 표면 전면에 균사체가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른 비율들에서는 톱밥 표면 일부분에서만 균사체가 생육하였다.
참나무:미강(50:50) 참나무:미강(60:40) 참나무:미강(80:20)
배양 7일 55 mm 63 mm 80 mm
60 mm 52 mm 70 mm
52 mm 55 mm 65 mm
배양 14일 115 mm 115 mm 140 mm
95 mm 90 mm 140 mm
100 mm 120 mm 140 mm
결과적으로 각 참나무 톱밥과 미강 비율별 배지조건에서 영지균사체의 경우, 참나무 톱밥과 미강 80:20의 혼합비율에서 균사체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친환경 소재 개발을 위한 균주선발
균사체 생육배지를 위해 탄소원으로 참나무 톱밥과 질소원으로 미강을 활용하여 참나무 톱밥 80%와 미강 20%의 톱밥배지를 준비하였다. 톱밥은 폴리비닐백에 넣어서 120℃, 40분간 멸균시키고 각 톱밥은 직경 14 cm, 높이 2.5 cm의 페트리디쉬에 충진하였다.
공시 버섯균은 영지버섯, 장수버섯, 치마버섯, 상황버섯을 이용하였고, 각 버섯균은 PDA 배지에서 14일간 25℃에서 배양한 균사체를 사용하였다.
PDA배지 하에서 충분히 생장한 각 공시 버섯균 균사체를 멸균된 빨대(직경 6mm)로 톱밥과 미강 80:20 혼합 배지의 정중앙에 위치시키고 페트리디쉬의 뚜껑을 닫고 파라필름으로 뚜껑주위를 감싸 오염을 방지하였다. 그 이후 growth chamber 25℃ 조건으로 암배양 하였다.
각 톱밥비율별 균사체의 생육상을 배양 7일째와 14일째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균사체의 생육직경을 조사하였다.
표 2와 같이 참나무 톱밥과 미강 80:20 비율 배지에서 영지 균사체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지버섯 장수버섯 치마버섯 상황버섯
배양 7일 80 mm 45 mm 53 mm 48 mm
배양 14일 140 mm 86 mm 115 mm 106 mm
배양 21일 140 mm 125 mm 140 mm 123 mm
각 균주별 톱밥소재는 건조기에서 60℃, 12시간 건조시키고 각 균주의 균사체 복합소재 취급비율을 표 3과 같이 표시하였다[취급비율 범위(0: 완전 손상, +: 큰 손상, ++: 중간 손상, +++: 약간 손상, ++++: 손상 없음)].
영지버섯 장수버섯 치마버섯 상황버섯
취급비율 ++++ +++ ++ 0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영지버섯의 경우 배양 14일 이전에 페트리디쉬의 전면에 균사체가 생육하였으며 후면부에도 균사체가 전면에 고르게 생육하고 있었다. 반면 장수버섯의 경우, 전면은 고르게 생육하였으나 후면에는 일부분에만 생육하고 있었으며 톱밥배지 입자간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취급비율이 낮아서 쉽게 부서졌고, 치마버섯의 경우 전면 및 후면 균사체의 생육이 80%의 생육을 보였으나, 마찬가지로 톱밥 입자간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쉽게 부서지며 취급비율이 낮았다. 상황버섯의 경우, 전면 80%의 균사체 생육을 보였으나, 건조하였을 시에는 균사체와 톱밥입자가 분리되는 단점을 보였으며, 다른 버섯균들 중에서 가장 쉽게 부서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참나무톱밥과 미강 80:20 비율배지에서 각 버섯균들 중에서 영지버섯의 생육이 월등히 우수하였으며, 톱밥입자간의 결합력 또한 우수하여 친환경 소재 제작을 위한 최적의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톱밥배지를 활용한 균사체 복합소재 및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 제조
영지버섯 균주(KMCC02967)는 PDA 배지에서 14일간 25℃에서 배양한 균사체를 사용하였다.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톱밥을 넣고 멸균한 뒤, 크린벤치 내에서 PDA배지에 자란 영지균을 PDA배지와 함께 절단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25℃ 삼각플라스크 내부에 영지균사체가 전면적으로 골고루 생육할 때까지 배양하였다(도 4).
균사체 생육배지를 위해 탄소원으로 참나무 톱밥과 질소원으로 미강을 활용하여 참나무 톱밥 80%와 미강 20%의 톱밥배지를 준비하고, 톱밥은 폴리비닐백에 넣어서 120℃, 40분간 멸균시켜 사용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미강 80:20 혼합비율 배지 1L 기준으로 탄소원 sucrose 40 g, 질소원 soytone 30 g, 무기염류 MgSO4 1.5 g, KH2PO4 1.5 g을 첨가하였다. MgSO4와 KH2PO4는 증류수 500 ml에 함께 녹여서 톱밥배지와 탄소원과 질소원을 혼합시 추가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시에 함께 첨가하였다.
톱밥배지에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류의 추가하였을 시에 균사체 생육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지균주와 느타리 균주를 접종하여 사각틀에 넣고 배양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4[균사체 생육(+: 30% 이하, ++: 40-50%, +++: 70-80%, ++++: 90% 이상) / 취급비율 범위(0: 완전 손상, +: 큰 손상, ++: 중간 손상, +++: 약간 손상, ++++: 손상 없음)]와 같이 영양원을 첨가한 조건에서의 영지균사체의 생육은 틀 내부 배양 4일에 샘플 표면의 70~80% 생육이 이루어졌으나, 영양원을 추가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생육은 50% 이하의 생육을 나타냈다(도 5). 그 이후 샘플을 틀에서 꺼낸 뒤에 추가적으로 배양하였을 시 영양원 추가배지는 샘플 전/후면 균사체가 표면에 뒤덮어 골고루 생육하였으나, 영양원 무첨가 배지에는 70%이하의 생육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취급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영양원 추가배지에서는 취급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영양원 무첨가 배지에서는 중간정도의 손상비율을 나타내며 쉽게 부서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균사체 생육 취급비욜
틀 내부 배양 4일 틀 제거 배양 2일
영양원 추가배지 +++ ++++ ++++
영양원 무첨가 배지 ++ +++ ++
삼각플라스크에 배양된 접종원을 70% 알코올로 소독된 용기에 긁어내어 톱밥과 함께 자란 균사체가 덩어리지지 않게 손으로 잘 부순 다음, 톱밥과 균사체 접종원은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류가 추가된 톱밥배지에 혼합하고 섞어 사용하였다.
이후 목적하는 배양틀에 접종원이 접종된 톱밥을 충진한 뒤 사각배양용기의 윗부분을 크린랩으로 밀봉하고 growth chamber 25℃ 조건으로 암배양 하였다.
배양틀에 충진된 균사체 복합소재(균사체+톱밥)는 톱밥내부에 균사가 자랄 때까지 배양을 지속하고, 이 때에 복합소재 표면에는 균사체가 70~80% 정도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내부배양이라 명명하였다. 배양기간은 4일째 70~80% 배양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배양이 완료된 균사체 복합소재는 배양틀에서 꺼낸 뒤에 사각박스에 넣고 다시 growth chamber 25℃ 조건으로 암배양 하였고, 이를 외부배양이라고 명명하였다. 외부배양한 2일 후에 복합소재 표면 전면에 균사체가 골고루 100% 생육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복합소재의 배양을 완료하였다(표 5[균사체 생육(+: 30% 이하, ++: 40-50%, +++: 70-80%, ++++: 90% 이상) / 취급비율 범위(0: 완전 손상, +: 큰 손상, ++: 중간 손상, +++: 약간 손상, ++++: 손상 없음)] 및 도 6 참고).
균사체 생육 건조 후 취급비율
내부배양 4일 외부배양 2일
원형틀 배양 +++ ++++ ++++
사각틀 배양 +++ ++++ ++++
배양이 완료된 균사체 복합소재는 건조기에서 80~100℃, 12~24시간 가량 건조시키며 도 7과 같이 스티로폼 대체소재 제조를 완료하였다.

Claims (17)

  1.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사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은 참나무 톱밥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및 미강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탄소원 및 질소원을 추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수크로오스, 소이톤(soytone), MgSO4 및 KH2PO4를 추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영지버섯, 장수버섯, 차마버섯 및 상황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버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배양하는 단계는, 20 내지 30℃ 온도 및 암배양 조건에서 균사체가 70 내지 8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것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하는 단계는, 20 내지 30℃ 온도 및 암배양 조건에서 균사체가 10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것인,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균사체 복합소재.
  10.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버섯 균사체 접종원을 혼합하는 단계;
    배양틀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접종원이 혼합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틀을 제거하고 2차 배양하여 균사체 복합소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여 스티로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및 미강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및 미강을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수크로오스, 소이톤(soytone), MgSO4 및 KH2PO4를 추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영지버섯, 장수버섯, 차마버섯 및 상황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버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배양하는 단계는, 20 내지 30℃ 온도 및 암배양 조건에서 균사체가 70 내지 8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것인,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하는 단계는, 20 내지 30℃ 온도 및 암배양 조건에서 균사체가 100% 생육된 상태까지 배양하는 것인,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 복합소재를 건조하여 스티로폼을 수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균사체 복합소재를 80 내지 100℃ 온도에서 12 내지 24시간 건조하여 수득하는 것인, 제조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

KR1020220131767A 2022-10-13 2022-10-13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240051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67A KR20240051724A (ko) 2022-10-13 2022-10-13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67A KR20240051724A (ko) 2022-10-13 2022-10-13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724A true KR20240051724A (ko) 2024-04-22

Family

ID=9088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67A KR20240051724A (ko) 2022-10-13 2022-10-13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7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43B1 (ko) 2014-12-15 2015-11-24 강선화 균사 단열재와 균사 단열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43B1 (ko) 2014-12-15 2015-11-24 강선화 균사 단열재와 균사 단열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8621A1 (en) Molding System for Fungal Structures
US8001719B2 (en) Method for producing rapidly renewable chitinous material using fungal fruiting bodies and product made thereby
DK2094856T3 (en)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CULTURED MATERIALS AND PRODUCTS MADE THEREOF
CN102550298B (zh) 一种人工培养的云南白灵芝子实体及其培养方法
KR101619664B1 (ko) 버섯균사체를 활용한 내열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6335B1 (ko)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588208B (zh) 一种生物多孔材料及制备方法
KR102463058B1 (ko) 버섯 균사체 및 맥주 홉 찌꺼기를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친환경 포장재
WO2022195617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oam-like grown material using flower substrates
KR102550483B1 (ko) 버섯 균사체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섯 균사체 매트
KR20240051724A (ko)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용 대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U2013251269B2 (en) Self supporting composite material
KR20240051725A (ko)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스티로폼 대체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WO2022068091A1 (zh) 可降解复合材料在调湿中的用途
KR19990085245A (ko) 상황버섯 재배방법
US20180273894A1 (en) Method for preparing a degradable material
CN116179364A (zh) 一种真菌基菌丝块的脱水和复活方法
Jiang Production of Bioresins from Fungal Mycelia
CN116854533A (zh) 一种具有防虫功效的植物纤维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226478A1 (es)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materiales compuestos a base de fibras vegetales sin el uso de agentes aglutinantes químicos, como sustitutos de aglomerados y similares, y material obtenido
Megharsh et al. Bio-Composite Brick from Agricultural Waste as Green Building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