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038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038A
KR20240051038A KR1020230124645A KR20230124645A KR20240051038A KR 20240051038 A KR20240051038 A KR 20240051038A KR 1020230124645 A KR1020230124645 A KR 1020230124645A KR 20230124645 A KR20230124645 A KR 20230124645A KR 20240051038 A KR20240051038 A KR 2024005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oor
display
video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5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음식물과 같은 피저장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는 장치로서, 영하의 온도 상태에서 피저장물을 보관하는 냉동실과, 영상의 온도 상태에서 피저장물을 보관하는 냉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요리 레시피에 관한 영상을 재생하거나 라이브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도어의 일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던 중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영상 시청의 연속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도어의 개폐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일시정지하고 다시 재생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일시정지하고 다시 재생하기 위해 정지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가 포함된 컨텐츠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이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종료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의 재생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디오가 포함된 컨텐츠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이고 상기 도어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종료 시점부터 재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도어를 사용하기 위해 재생되던 영상을 직접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도어가 개방되면 디스플레이를 오프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이어서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를 계속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오디오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내용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내용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이어서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개시된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송풍팬과, 냉기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은 상부 저장실(20a)과, 하부 저장실(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前面)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0a)은 복수의 도어(300a,300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0b)은 복수의 도어(300c,300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0)에 마련되는 핸들(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00)을 파지하여 도어(300)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다. 핸들(100)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디스펜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디스펜서는 좌측 상부도어(300a)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300a)를 열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어(300a)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 레버가 마련될 수 있다. 취출 레버를 가압하면 취출구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다. 디스펜서는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상태표시창은 터치(touch)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00)는 도어(300)의 전면(3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200)가 우측 상부도어(300b)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200)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는 도어(300)면 충분하고, 우측 상부도어(300b)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200)가 우측 상부도어(300b)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200)의 상단부는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핸들(100)의 상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하단부는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펜서(40)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핸들(100)에 인접한 디스플레이(200)의 일 측단부는 핸들(1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핸들(100)에 인접한 디스플레이(200)의 일 측단부와 마주하는 다른 측단부는 도어(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200)는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도어(300)의 우측을 향하는 우측 장변, 도어(300)의 좌측을 향하는 좌측 장변, 도어(300)의 상측을 향하는 상측 단변 및 도어(300)의 하측을 향하는 하측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장변은 도어(30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도어(300)의 좌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장변은 핸들(100)로부터 도어(300)의 우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측 단변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핸들(100)의 상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하측 단변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펜서(40)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200)의 배치를 통해 깔끔하고, 안정감 있는 냉장고(1)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과 터치 패널(2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웨이크 업(wake 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웨이크 업 기능은 근접센서(160, 도 3 참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160)가 일정 범위 이내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200)가 활성화된다. 즉, 디스플레이(200)는 온(on)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160)가 일정 범위 이내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하면 디스플레이(200)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200)는 오프(off)상태로 유지된다. 디스플레이(200)가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200)에 다양한 영상 내지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문을 개방하면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고, 디스플레이(2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문을 폐쇄하면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고, 디스플레이(200)의 전원이 온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오프 및 온 기능은 도어 개폐 센서(195, 도 3 참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에는 터치 패널(221)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에서와 같이 터치 패널(221)을 터치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일시 정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221)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221)의 형성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UI 컴포넌트는 일 예로써, 카메라(150, 도 3 참조)를 실행시키는 카메라UI 컴포넌트, 냉장고(1) 기능에 관련된 다양한 목록을 나열시키는 목록 UI 컴포넌트, 시작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홈 UI 컴포넌트, 실행 전 단계로 되돌리는 되돌리기 UI 컴포넌트 및 냉장고(1)의 전반적인 기능 내지 디스플레이(200)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UI 컴포넌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UI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UI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간섭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외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인물 내지 사물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다.
냉장고(1)는 음성인식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은 프로세서(191, 도 3 참조)로 전달되고,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음성 명령 결과를 표시하게 한다.
냉장고(1)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밝은 곳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밝게 조절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어둡게 조절하여 냉장고(1)의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조도센서의 감지결과는 프로세서(191)로 전달되고,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200)의 조도를 조절한다.
냉장고(1)는 도어 개폐 센서(1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195)는 도어(300)와 본체(10)를 결합하는 힌지(미도시)에 마련되거나, 도어(300)와 본체(100)가 맞닿는 도어(300)의 부분 또는 본체(100)의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근접센서(160), 카메라(15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160), 카메라(15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220)과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200), 온도 센서(140), 카메라(150),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160), 도어 개폐 센서(195), 냉각부(170),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0)는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 센서들은 복수의 저장실들(20) 각각에 설치되어 복수의 저장실(20)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 센서들 각각은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19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의 개폐 여부를 미리 설정된 판단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센서(195)는 도어(300)가 열려있으면 1을 출력하고, 도어(300)가 닫혀있으면 0을 출력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195)는 거리 센서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도어(300)와 본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도어(300)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 거리 미만이면 도어(300)가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 개폐 센서(195)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300)가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값으로 출력할 수 있으면 그 구성에 제한이 없다.
냉각부(170)는 저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170)는 냉매 회로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부(17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71)와,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17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173)와,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7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냉각부(170)가 냉매 회로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부(17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서버 장치 및/또는 사용자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200) 및/또는 조리 장치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 장치들과 유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모듈(182)과, 외부 장치들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82)은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82)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81)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81)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81)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81)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181)은 외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81)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부(180)는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외부 장치들로부터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가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도어 개폐 감지 데이터 및/또는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처리에 기초하여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기억하는 메모리(192)와, 메모리(19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입력 및/또는 도어 개폐 감지 데이터 및/또는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191)를 포함한다.
메모리(192)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기억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합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들에 의하여 처리 및/또는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는 냉장고(1)의 동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시스템 데이터와, 사용자에게 편의 및 재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 driver, SSD)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 HDD)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OD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로드하고,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92)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미들 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기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91)의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191)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메모리(192)에 기억/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200)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근접센서(160)의 감지 데이터 및/또는 통신부(180)의 통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데이터 처리에 기초하여 카메라(150), 디스플레이(200) 및/또는 통신부(1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300)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도어(300)의 폐쇄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어(300)의 개방 여부는 도어 개폐 센서(195)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고,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컨텐츠가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던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컨텐츠의 재생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300)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결정하고,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비디오가 포함된 컨텐츠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0)가 오프된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비정상 종료된 것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200)가 비정상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192)에 저장하고,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컨텐츠가 정지 대상이고 도어(300)의 폐쇄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종료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코어(core)와, 연산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regis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90)는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처리에 기초하여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동영상 재생과 같이 다양한 편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도어(300)의 개폐에 의해 동영상 시청의 연속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서 동영상을 시청하던 중, 냉장고(1)의 도어(300)가 개방되어도 동영상이 계속 재생되므로 도어(300)가 폐쇄될 때까지 재생되는 부분의 동영상은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즉, 동영상을 보던 사용자가 도어(300)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냉장고(1)의 저장실에 위치하여 동영상을 볼 수 없으므로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고, 냉장고(1) 도어(300)를 폐쇄한 후 동영상 재시작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는, 동영상을 보던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도어(300)를 개방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200)가 동영상을 보던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므로 동영상을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 4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 이어서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를 계속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도어(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거나,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장치(예: 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도어(300)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라이브 영상인 경우에는 동영상을 정지할 수 없으므로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서와 같이 라이브 영상을 의미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예: 'LIVE'의 문구)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냉장고(1)의 도어(300)가 개방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라이브 영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동영상을 일시정지 하지 않으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200)만 오프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도어 개폐 센서(195)의 출력값을 확인하여 냉장고(1)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500). 이때, 도어 개폐 센서(195)는 복수의 도어(300)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도어(300)에 마련된 도어 개폐 센서(195)로부터 도어(300) 개폐 여부에 관한 판단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도어(300)에 마련된 도어 개폐 센서(195)는 각 도어(300)디스플레이의 개폐 정보를 프로세서(191)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할 수 있다(510).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에 마련된 도어 개폐 센서(195)로부터 1값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510의 예),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520).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메모리(192) 또는 통신부(180)로부터 동영상 재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이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530). 즉,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의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또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이면, 라이브 영상이 아닌 저장된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이 사용자 장치 또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주소에 라이브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540).
즉,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주소, 스트리밍 주소의 프로토콜 정보, 재생 시간 및 용량 등이 포함된 동영상 재생 데이터에 라이브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라이브 데이터는 동영상이 라이브임을 표시하는 플래그(flag)형식으로, 플래그가 1이면 라이브 동영상이고, 플래그가 0이면 라이브가 아닌 녹화된 동영상임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이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으로 판단되거나(530의 예), 스트리밍 주소에 라이브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540의 아니오) 동영상이 정지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을 일시 정지 할 수 있다(550).
또한,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이 일시 정지 할 필요가 없는 라이브 영상으로 판단되는 경우(540의 예)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동영상의 일시 정지 없이 디스플레이(200)를 오프할 수 있다(600). 디스플레이(200)를 오프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오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오프된 이후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혔는지 판단할 수 있다(610). 이때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하는 절차와 동일하게 도어 개폐 센서(195)의 판단값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도어 개폐 센서(195)는 냉장고(1)의 본체(10)와 도어(300)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도어(300)가 닫혔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판단값을 프로세서(191)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610의 예), 디스플레이(200)를 온할 수 있다(620). 또한, 프로세서(191)는 일시 정지 된 동영상을 일시 정지 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할 수 있다(630). 다만, 이때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를 온 하는 동작과 일시 정지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동영상이 정지될 수 있는 정지 대상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도어(300)를 개폐함에 따라 정지 대상인 동영상을 일시 정지 후 자동으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시청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오디오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영상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도어(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거나,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장치(예: 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비디오가 없는 오디오 영상인 경우에는 동영상을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서와 같이 오디오만 포함하는 영상임을 의미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예: '오디오 재생중'의 문구)가 화면상에 표시될 경우에는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비디오가 포함되지 않는 오디오 영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동영상을 일시정지 하지 않으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200)만 오프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도어 개폐 센서(195)의 출력값을 확인하여 냉장고(1)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800). 이에 따라,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할 수 있다(810).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810의 예),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820).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메모리(192) 또는 통신부(180)로부터 동영상 재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동영상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주소에 비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830).
즉,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비디오 포함 여부, 오디오 포함 여부 등이 포함된 동영상 재생 데이터에 비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데이터는 동영상이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flag)형식으로, 플래그가 1이면 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이고, 플래그가 0이면 비디오가 아닌 오디오만 포함하는 동영상임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주소에 비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830의 예) 동영상이 정지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을 일시 정지 할 수 있다(840).
또한,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이 일시 정지 할 필요가 없는 오디오 영상으로 판단되는 경우(830의 아니오)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동영상 일시 정지 없이 디스플레이(200)를 오프할 수 있다(600).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 디스플레이(200) 오프 이후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200)를 온 하는 것은 도 6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내용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내용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도어(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거나,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장치(예: 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비디오를 포함하더라도, 동영상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동영상을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 영상(도 9의 (a))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동영상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작기 때문에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정지 영상으로만 이루어져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 영상(도 9의 (a))이 재생된 후 다른 정지 영상(도 9의 (b))이 재생되는 경우 동영상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이기 때문에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두 개 이상의 연속되는 정지 영상으로 이루어져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프로세서(192)는 이를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10을 계속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도어 개폐 센서(195)의 출력값을 확인하여 냉장고(1)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1000). 이에 따라,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할 수 있다(1010).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1010의 예),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1020).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메모리(192) 또는 통신부(180)로부터 동영상 재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픽셀 데이터의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30).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데이터에서 픽셀 데이터의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1030의 예) 동영상이 정지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1040).
또한,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의 데이터에서 픽셀 데이터의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1030의 아니오)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동영상 일시 정지 없이 디스플레이(200)를 오프할 수 있다(600).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 디스플레이(200) 오프 이후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200)를 온 하는 것은 도 6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냉장고(1)의 도어(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나, 충격이나 정전에 의해 디스플레이(200)가 비정상 종료될 수 있다.
이때에도,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을 정지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이 도어(300)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이 라이브 영상이거나, 오디오만 포함하는 영상이거나, 비디오를 포함하더라도 움직임이 없는 영상인 경우에는 동영상을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300)의 개방에 의해 정지되어야 하는 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의 비정상 종료 직전의 동영상이 정지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저장해놓고 도어(300)가 폐쇄 되었을 때 해당 종료 시점부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12 및 도 13을 계속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도어 개폐 센서(195)의 출력값을 확인하여 냉장고(1)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1200). 이에 따라,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할 수 있다(1210).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1210의 예),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1220).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메모리(192) 또는 통신부로부터 동영상 재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도어(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0)가 오프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91)는 도어(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없이 디스플레이(200)가 오프된 경우를 충격이나 정전에 의한 비정상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 오프 직전의 동영상이 정지 대상인지 결정할 수 있고, 정지 대상인 경우에는 메모리(192)에 비디오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1240).
이때, 비디오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는 비디오의 소스 주소, 로컬 파일 경로 및 플레이 타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할 수 있다(1300). 그러나, 프로세서(191)는 동영상이 종료되면서 디스플레이(200)까지 함께 오프 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00) 오프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오프된 이후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혔는지 판단할 수 있다(1310). 이때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도 6에서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열렸는지 판단하는 절차와 동일하게 도어 개폐 센서(195)의 판단값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디스플레이(200)가 구비된 도어(300)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1310의 예), 디스플레이(200)를 온할 수 있다(1320). 또한, 프로세서(191)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종료 된 동영상을 종료 시점의 플레이 타임부터 다시 재생할 수 있다(1330). 다만, 이때 프로세서(191)가 디스플레이(200)를 온 하는 동작과 일시 정지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200)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도 동영상이 정지될 수 있는 정지 대상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도어(300)를 개폐함에 따라 정지 대상인 동영상을 일시 정지 후 자동으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시청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152),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152)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장고
10 : 본체
190: 제어부
191: 프로세서
192: 메모리
195: 도어 개폐 센서
200 : 디스플레이
300 : 도어

Claims (20)

  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가 포함된 컨텐츠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이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종료 시점부터 재생하는 냉장고.
  1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일시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재생 영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의 재생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상기 실시간 재생 영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디오가 포함된 컨텐츠의 픽셀 데이터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정지 대상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정지 대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정지 대상이고 상기 도어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종료 시점부터 재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230124645A 2022-10-12 2023-09-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40051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70 2022-10-12
KR20220130970 2022-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038A true KR20240051038A (ko) 2024-04-19

Family

ID=9066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645A KR20240051038A (ko) 2022-10-12 2023-09-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1038A (ko)
WO (1) WO20240806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099B1 (ko) * 2012-12-14 2019-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7850B1 (ko) * 2014-04-15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4035A (ko) * 2015-05-14 2016-11-23 인베니아 주식회사 쇼케이스 및 이의 영상 제어방법
KR102620073B1 (ko) * 2019-01-04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3192B1 (ko) * 2020-01-03 2021-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607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72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066869B2 (en) Refrigerator
JP6307698B2 (ja) 冷蔵庫
US9860491B2 (en) Refrigerator having a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based on position of a door
JP6305122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9154914A (zh) 信息终端装置、运行信息提供系统以及运行信息提供程序
KR20180126859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음식 관리방법
JP2016537733A (ja) 物品情報の送受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335010B2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JP2018146177A (ja) 物品貯蔵庫の在庫管理装置
JP2010151367A (ja) 冷蔵庫
KR20080004822A (ko)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US11122203B1 (en) Refrigerator camera modul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lens fog
EP4060268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beverage, and refrigerator
US20200404137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97046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85456B1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KR2024005103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US8572989B2 (en) Avatar Kimchi refrigerator
KR20070021485A (ko) 아바타 냉장고
KR102644957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13273A (ja) 冷蔵庫
KR101803627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1800068B1 (en) Refrigerator camera modules and methods for conserving energy at the same
JP6915353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