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692A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692A
KR20240049692A KR1020220128320A KR20220128320A KR20240049692A KR 20240049692 A KR20240049692 A KR 20240049692A KR 1020220128320 A KR1020220128320 A KR 1020220128320A KR 20220128320 A KR20220128320 A KR 20220128320A KR 20240049692 A KR20240049692 A KR 2024004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iodegradable resin
resin composi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환
Original Assignee
이폴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폴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폴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692A/ko
Publication of KR2024004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6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44Stabilisers, e.g. against oxydation, light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해양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킬수 있도록 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부처명] 전라남도
[연구관리 전문기관] 전남테크노파크
[연구사업명]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 어업용 친환경 부표개발
[주관기관] 이폴리텍 주식회사
[연구기간] 2021.11.01.~2022.10.31
[기여율] 1/1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Marine buo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using biodegradable resin}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해양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킬수 있도록 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의 국내 보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어촌에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하여 근해의 환경을 크게 해치고 있어 해양수산부에서는 정책적으로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많은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 근해에 있는 수많은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스티로폼 부표가 주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의 양식장에서는 매년 1900만개의 스티로폼 부표가 사용되며, 스티로폼 부표의 경우 재질이 매우 약하여 작업과정은 물론 강한 파도나 태풍발생시 쉽게 손상되고, 조각으로 분리 또는 파쇄 됨으로 인해, 바다환경에 치명적인 미세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내부모형이 종이이며 외부표면재료가 폴리머로 구성된 부력물 및 구조물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3886호, 특허문헌1)이 있으며, 이는 내부 모형이 종이로 구성되고, 외부는 폴리머로 구성된 부력물에 대한 기술이다.
특허문헌1은 해양 환경 오염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면은 있으나 종이의 경우 물과 접촉할 때 물에 의해 풀어져 버리는 성질이 있는바, 외부의 폴리머층이 손상되어 물과 해수가 접촉하는 상태가 되면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친환경 재료를 이용하여 해양부표를 제조함에 있어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해양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기계적 물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보다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38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기계적 물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는,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Melt Index, MI) 1.0 내지 5.0g/10min(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은,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20 내지 170℃의 온도 조건하에서 압출하여,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제조하는 컴파운드 제조단계,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220 내지 235℃의 온도 조건하에서 사출하여, 반구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 성형단계, 상기 반구 형상인 한 쌍의 반구체를 열융착 방법으로 접합하는 해양부표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파운드 제조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공급 속도 230 내지 270kg/hr 및 스크류 회전속도 180 내지 220rpm인 조건 하에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용융지수(Melt Index, MI) 1.0 내지 5.0g/10min(190℃, 2.16kg)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 부표를 제공하여, 해양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기계적 물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의 컴파운드 제조단계의 공정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의 사출 성형단계 및 해양부표 제조단계의 공정 사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시제품의 성능 평가에 따른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해양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면서 부표에 요구되는 부유성 및 기계적 물성 등의 성능을 만족시킬수 있도록 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는,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및 상용화제 등의 첨가제가 혼합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는,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는, PLA(Poly Lactic Acid) 45 내지 55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5 내지 55 중량부가 혼합된다.
PLA(Poly Lactic Acid, 폴리락트산)는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의 일종으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중에서 인장강도가 양호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밀도 1.1 내지 1.3g/cm3, 용융지수(Melt Index, MI) 3 내지 3.5 g/10min(190℃, 2.16kg)인 PLA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 및 인장강도 등을 조절하여, 가공성 및 부표로서의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특히, PLA는 높은 인장강도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인열강도가 낮은 단점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하여, PLA의 낮은 인열강도를 보완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PLA는 경질 폴리머로서, 4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반면, 60 중량부 초과 사용될 경우, PLA 고유의 딱딱하고 찢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가공상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의 일종으로서, 신율 특성이 우수하여 상기 PLA와 혼합하여 가요성을 향상시키고, PLA가 가지는 경질 특성으로 인해 성형시 발생하는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밀도 1.1 내지 1.3g/cm3, 용융지수(Melt Index, MI) 4 내지 4.5g/10min(190℃, 2.16kg)인 PBAT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최종 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 및 인장강도 등을 조절하여, 가공성 및 부표로서의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PBAT는 4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며, 반면, 60 중량부 초과 사용될 경우, 생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그 이하인 경우와 효과가 거의 동일하여 효과 대비 비경제적이다.
다음으로, 산화방지제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압출, 사출가공 시 산화열화반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지 내 라디칼의 연쇄반응을 방지하는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과산화물 분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를 혼합 사용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08 내지 0.12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는 0.13 내지 0.18 중량부가 혼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미만 혼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산화방지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여, 최종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열화를 유발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면, 상기 범위 초과 혼합되는 경우에는 산화방지 기능에 의하여 산화생분해 기간이 너무 연장되며, 오히려 과도한 함량으로 산화방지제가 표면으로 이행될 수 있어 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에 의한 물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0.8 내지 1.2 중량부가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가 0.8 중량부 미만 혼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1.2 중량부 초과 혼합될 경우에는 함량 대비 효과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임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으로부터의 보호 과정 중에 자동 재생되어 최종 제품의 사용 수명시까지 폴리머를 보호하며, 또한 1차 산화방지제 역할을 수행하며 변색 정도가 낮은 특징이 있으며, Bis(2,2,6,6,-tetramethyl-4-piperidyl)sebaceate(즉,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가 사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용화제는 PLA 및 PBAT 사이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혼합되는 첨가제로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의 기계적인 특성들과 레올로지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에폭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바스프(BASF)사의 "JONCRYL"(등록 상표) 시리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0.4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수지들 간의 상용성이 떨어져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0.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융지수(Melt Index, MI)가 과도하게 낮아져 가공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조성비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분해성 수지 및 첨가제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Melt Index, MI)는 1.0 내지 5.0g/10min(190℃, 2.16kg)가 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및 첨가제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는 1.8 내지 2.0g/10min(190℃, 2.16kg)이 되며, 상기 용융지수가 낮을수록 강성 및 낮은 신율을 부여할 수 있지만 점도가 저하되므로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며, 용융지수가 너무 높으면 수지의 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인장강도 23 내지 27 Mpa, 굴곡 탄성율 1300 내지 1350 Mpa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강도가 23 Mpa 미만 및/또는 굴곡 탄성율 1300 Mpa 미만일 경우에는, 부표로서의 성능을 확보할 수 없으며, 강성이 너무 약하여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크며, 반면에 인장강도가 27 Mpa 초과 및/또는 굴곡 탄성율 1350 Mpa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너무 딱딱하여 외부 충격으로 쉽게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컴파운드 제조단계, 사출 성형단계 및 해양부표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의 컴파운드 제조단계의 공정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의 사출 성형단계 및 해양부표 제조단계의 공정 사진이다.
먼저, 컴파운드 제조단계는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20 내지 170℃의 온도 조건하에서 압출하여,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이축 압출기에 공급되어, 공급 속도 230 내지 270kg/hr 및 스크류 회전속도 180 내지 220rpm인 조건 하에서 압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압출 시에, 온도가 120℃ 미만일 경우에는 압출기에 공급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충분한 혼합 및 반응이 어려우며, 170℃ 초과할 경우에는 탄화가 일어나거나, 온도가 너무 높아 수지가 물처럼 녹아내려 펠렛 형상으로 만들기가 곤란하다.
또한, 공급 속도 230kg/hr 미만 및/또는 스크류 회전속도가 180rpm 미만 일 경우에는 생산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충분한 혼합, 반응이 어렵고, 공급 속도 270kg/hr 초과 및/또는 스크류 회전속도가 220rpm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크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압력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수지의 탄화가 심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파운드 제조단계 이후, 상기 제조된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는 80 내지 90℃ 온도 조건하에서 2 내지 3시간동안 건조되어, 수분율이 500ppm 이하가 됨이 바람직하며, 건조를 통해 펠렛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후술할 사출 성형단계에서의 작업성을 확보함은 물론, 최종 제조되는 부표의 결정화도 및 이에 따른 기계적 특성에 보다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건조 온도가 80℃ 미만 및/또는 건조 시간이 2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펠렛 표면이 완전히 건조되지 못하여, 상술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며, 건조 온도가 90℃ 초과 및/또는 건조 시간이 3시간 초과할 경우에는, 펠렛 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며, 에너지의 낭비로 인하여 비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사출 성형단계는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220 내지 235℃의 온도 조건하에서 사출하여, 반구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출 성형단계에서 사출 온도가 22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의 용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으며, 반면에 사출 온도가 235℃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 제품의 성형성 및 품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해양부표 제조단계는 상기 반구 형상인 한 쌍의 반구체를 회전 열융착 방법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최종 제품인 해양부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부 5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기존 제품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50 중량부 5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0.1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5 중량부 0.15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1 중량부 1 중량부
상용화제 0.5 중량부 -
과산화물 - 0.3 중량부
PLA : 밀도 1.2g/cm3, 용융지수(Melt Index, MI) 3.2g/10min(190℃, 2.16kg)
PBAT : 밀도 1.2g/cm3, 용융지수(Melt Index, MI) 4.5g/10min(190℃, 2.16kg)
페놀계 산화방지제 : ADK STAB A0-60 사용
인계 산화방지제 : ADK STAB 2112 사용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 Tinuvin 770(2,2,6,6,-tetramethyl-4-piperidyl)sebaceate) 사용
상용화제 : 에폭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ASF사 Joncryl 사용)
과산화물 : Luperox 사용
2. 물성평가
1) 기계적 물성 평가
분석항목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용융지수(g/10min) 1.9 5.8 0.6
인장강도(Mpa) 25 31 29
굴곡탄성율(Mpa) 1,335 1,332 1,200
Izod 충격강도
(상온, J/m)
83 85 70
경도(R) 65 72 80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적정 범위의 용융지수를 확보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을 포함한 기계적 물성 항목에서 비교예 2인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기존 제품과 대비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성을 확보함에 따라 부표로서의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친환경 부표 성능 평가
하기 시험방법을 통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1) 2022년 친환경부표 보급지원사업 시행지침
(2) 2022년도 친환경 어구보급 사업(친환경 어구보급)
(3) KS K 0737:2019에 준함
(4) EN71-3:2019+A1:2021-Migration of Certain Elements (Category Ⅲ-Scraped-off materials)에 준함
(5) KS M 1072:2016
(6) IEC 62321-6:2015
시험결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부표에 요구되는 부력, 내충격성 등의 성능을 만족하고 있으며, 납, 카드뮴 및 바륨 등의 유해물질 불검출로 친환경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시제품의 성능 평가에 따른 시험성적서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Claims (4)

  1.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Melt Index, MI) 1.0 내지 5.0g/10min(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3. PLA(Poly Lactic Acid) 40 내지 60 중량부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thalate)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 0.08 내지 0.12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3 내지 0.18 중량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자외선 차단제 0.8 내지 1.2 중량부 및 상용화제 0.4 내지 0.6 중량부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20 내지 170℃의 온도 조건하에서 압출하여,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제조하는 컴파운드 제조단계;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를 220 내지 235℃의 온도 조건하에서 사출하여, 반구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 성형단계;
    상기 반구 형상인 한 쌍의 반구체를 열융착 방법으로 접합하는 해양부표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 제조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공급 속도 230 내지 270kg/hr 및 스크류 회전속도 180 내지 220rpm인 조건 하에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의 제조방법.
KR1020220128320A 2022-10-07 2022-10-0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20A KR20240049692A (ko) 2022-10-07 2022-10-0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20A KR20240049692A (ko) 2022-10-07 2022-10-0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692A true KR20240049692A (ko) 2024-04-17

Family

ID=9087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20A KR20240049692A (ko) 2022-10-07 2022-10-0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6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86A (ko) 2016-12-21 2017-01-10 정중래 내부모형이 종이이며 외부표면재료가 폴리머로 구성된 부력물 및 구조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86A (ko) 2016-12-21 2017-01-10 정중래 내부모형이 종이이며 외부표면재료가 폴리머로 구성된 부력물 및 구조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90166B (zh) 一种环保塑料瓶
AU2010230796B2 (en) Environmentally degradable polymer composite
EP2492314A2 (en) Clay-reinforced poly(lactic acid)-polyolefin alloy composition
KR101153834B1 (ko)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KR101054330B1 (ko) 친환경 합성목재와 그 제조방법
KR100991506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8030969A2 (en) Composite materials
CN110964265A (zh) 一种动态硫化热塑性弹性体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47113A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2604B1 (ko)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9692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해양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28008A2 (ko) 생분해성 수지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및 드레인 보드
CN107488303B (zh) 降解膜
KR102026121B1 (ko) 칼슘비료성분을 함유한 생분해성 농업용 반사필름
US20100120308A1 (en) Oxo-biodegradable netting
CN114368203B (zh) 一种环保型耐根穿刺pvc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1808286B1 (ko) 죽분을 이용한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6095B1 (ko) 친환경 항곰팡이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5085B1 (ko) 내마모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용 조성물
KR101478999B1 (ko) 바이오플라스틱 면상 발열체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05687B2 (en) Environmentally degradable foamed master batch composition and using thereof
KR101915090B1 (ko) 내마모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의 제조방법
KR102475527B1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KR102260113B1 (ko)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 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합성 목재 조성물용 상용화제, 친환경 합성 목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친환경 합성 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7960B1 (ko) 글라스비드를 포함하는 흐름 개선된 사출용 바이오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