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584A -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 Google Patents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584A
KR20240049584A KR1020247009127A KR20247009127A KR20240049584A KR 20240049584 A KR20240049584 A KR 20240049584A KR 1020247009127 A KR1020247009127 A KR 1020247009127A KR 20247009127 A KR20247009127 A KR 20247009127A KR 20240049584 A KR20240049584 A KR 2024004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einforcing
support beam
longitudinal length
mas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런 매튜 헤들리
Original Assignee
코크-글리취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크-글리취 엘피 filed Critical 코크-글리취 엘피
Publication of KR2024004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2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r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19/325Attachment devices therefor, e.g. hooks, console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4Tray constructions
    • B01D3/326Tray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84Means for supporting the bed of particles, e.g. grids, bars, perforated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구조화된 팩킹 또는 그리드 팩킹과 같은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 빔이 제공된다. 지지 빔은 세장형 웹, 그리고 웹의 상부 및 하부 연부 부분에 각각 배치된 상부 및 하부 개방 플랜지를 갖는다. 상부 및 하부 개방 플랜지의 각각은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스페이서에 의해서 웹의 대향된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강 레일과 웹의 제1 및 제2 면 사이에 개방 유체 유동 채널을 생성하는 보강 레일을 갖는다. 상부 및 하부 개방 플랜지는, 유체가 내부 물품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고체의 축적 및 성장을 초래할 수 있는 수평 표면을 최소화하면서, 편향에 대해서 웹을 강화시킨다.

Description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관련 출원
본 출원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는, 2021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250,21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질량 전달 및/또는 열 교환 프로세스가 일어나는 질량 전달 컬럼에서 팩킹 지지부, 액체 수집기, 액체 분배기, 및 증기-액체 접촉 디바이스와 같은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드 팩킹, 구조화된 팩킹, 무작위적 팩킹, 및 교차-유동 트레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내부 물품은 컬럼 내의 개방 내부 영역(open internal region) 내에서 향류 관계로 유동하는 유체 스트림 사이에서 희망하는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질량 전달 컬럼에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질량 전달 컬럼"은, 질량 전달이 컬럼 내에서 발생되는 처리의 주된 목적인 컬럼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질량 전달 대신 열 전달이 처리의 주된 목적인 컬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질량 전달 컬럼의 일부 예는 교차 유동 액체-증기 접촉기, 흡수기, 분리기, 증류 컬럼, 분할 벽 컬럼(divided wall column), 액체-액체 추출기, 스크러버(scrubber),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이는 둘 이상의 유체 상 사이에서 열 및/또는 질량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질량 전달 컬럼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팩킹은 전형적으로 팩킹 플레이트 또는 그리드 상에 지지되며, 이는 결국, 질량 전달 컬럼의 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 지지 링 상에서 지지된다. 액체 수집기, 액체 분배기, 교차-유동 트레이, 및 다른 내부 물품은 질량 전달 컬럼의 쉘의 내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달리 고정된 지지 링, 볼트 체결 바 또는 다른 구조물에 의해서 유사하게 지지될 수 있다. 더 큰 직경의 질량 전달 컬럼에서, 빔 및 트러스의 특성의 추가적인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내부 물품의 중량 및 유체 스트림에 의해서 내부 물품에 가해지는 다양한 유형의 부하(상승 또는 뒤틀림 힘을 포함)로부터 달리 초래될 수 있는 내부 물품의 편향 또는 처짐에 저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많은 유형의 정제 분리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일부 석유화학 및 화학적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질량 전달 컬럼은 다양한 내부 물품의 찌꺼기 발생(fouling), 코킹, 침식, 부식, 진동 및 뒤틀림을 야기할 수 있는 가혹한 동작 조건을 겪게 된다. 내부 물품의 찌꺼기 발생 및 코킹은, 팩킹 및/또는 다른 내부 물품의 용량, 압력 강하 및 효율의 저하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충분한 성능 저하가 발생된 후, 질량 전달 컬럼은 영향을 받은 내부 물품을 세정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중단되어야 한다.
찌꺼기 발생 및 코킹이 팩킹의 베드(bed)에서 발생할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액체 유지가 일어날 수 있는 수평 표면이 없는 그리드 팩킹이 개발되어 왔다. 액체가 팩킹의 경사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액될 수 있기 때문에, 팩킹 상에서 고체가 수집 및 성장할 기회가 감소된다. 그러나, 팩킹 베드 및 다른 내부 물품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빔 상에서 액체 유지가 발생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의를 덜 기울여 왔다. 특히, 빔의 수평 플랜지는 팩킹 베드 또는 빔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내부 물품으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성능을 저하시키는 찌꺼기 발생 및 코킹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가혹한 서비스 적용예를 포함하여, 빔에서의 고체의 축적 및 성장에 대한 기회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빔 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발생하였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질량 전달 컬럼 내의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에 관한 것이다. 지지 빔은: 세장형 웹으로서, 대향된 단부 부분을 갖는, 대향된 단부 부분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길이, 상부 연부 부분, 하부 연부 부분, 및 대향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세장형 웹; 웹의 상부 연부 부분에 배치된 상부 개방 플랜지; 및 웹의 하부 연부 부분에 배치된 하부 개방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부 개방 플랜지는 대향된 단부를 가지고;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spaced apart)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의해서 웹의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보강 레일과 웹의 제1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을 생성하는 제1 보강 레일, 및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웹의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보강 레일과 웹의 제2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2 보강 레일을 포함한다.
하부 개방 플랜지는 유사하게: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의해서 웹의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3 보강 레일과 웹의 제1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3 보강 레일, 및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웹의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보강 레일과 웹의 제2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4 보강 레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질량 전달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 내부 영역을 한정하는 쉘; 쉘을 통해 그리고 개방 내부 영역 내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쉘 내의 유체 유입구; 쉘을 통해 개방 내부 영역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쉘 내의 유체 유출구;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리고 개방 내부 구역 내에서 질량 전달 컬럼의 수평 단면을 가로질러 병렬로 그리고 측방향-이격 관계로 연장되고 대향 단부가 쉘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빔; 및 개방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 빔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물품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빔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 및 스페이서는 직립 연장되고, 추가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 부분에서 웹의 하부 측 및 하부 개방 플랜지에 부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웹의 제1 면과 제1 및 제3 보강 레일 사이에서, 그리고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웹의 제2 면과 제2 및 제4 보강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립 강화 플레이트; 유체가 대향된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웹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웹 내의 이격된 개구부;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을 편향에 대해서 강화하기 위한, 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른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 내의 굽힘부;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웹의 제1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제1 및 제3 보강 레일 그리고 웹의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트러스 부재,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웹의 제2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제2 및 제4 보강 바에 결합되는 제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직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또는 반전 굽힘부를 가지며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질량 전달 컬럼의 측면 입면도로서, 여기에서 질량 전달 컬럼의 쉘의 일부가 절취되어, 팩킹 그리드 및 개략적으로-표시된 팩킹의 베드를 지지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지지 빔을 도시한다.
도 2는, 지지 빔과 팩킹 그리드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팩킹의 베드가 제거된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확대되어 도시된, 질량 전달 컬럼의 부분적 사시도이다.
도 3은 질량 전달 컬럼의 부분적 측면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90도 회전된 질량 전달 컬럼의 부분적 측면 입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빔 중 하나 및 팩킹 그리드 및 팩킹의 베드의, 그리고 화살표 방향으로 도 3의 선 5-5를 따라 수직 단면으로 취한 확대된 부분적 단부 입면도이다.
도 6은 지지 빔의 제1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지 빔의 제1 실시예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지지 빔의 제1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지지 빔의 제1 실시예의 단부 입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2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지지 빔의 제2 실시예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지지 빔의 제2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지지 빔의 제2 실시예의 단부 입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3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지지 빔의 제3 실시예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지지 빔의 제3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7은 지지 빔의 제3 실시예의 단부 입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4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지지 빔의 제4 실시예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지지 빔의 제4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1은 지지 빔의 제4 실시예의 단부 입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5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6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지지 빔의 제7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지지 빔의 제7 실시예의 부분적 상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지지 빔의 제7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적 측면 입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화살표 방향으로 라인 27-27을 따라 수직 단면에서 취한 지지 빔의 제7 실시예의 단부 입면도이다.
이제 도면을 더욱 상세히 그리고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동류(co-current) 또는 향류적으로 유동하는 유체 스트림 사이에서 질량 전달 및/또는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는 프로세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질량 전달 컬럼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질량 전달 컬럼(10)은 직립 외부 쉘(12)을 포함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구성이지만, 다각형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쉘(12)은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질량 전달 컬럼(10)의 동작 동안 존재하는 유체 및 프로세스 조건에 대해서 불활성이거나 달리 양립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료로부터 구성된다.
질량 전달 컬럼(10)은, 분별 생성물(fractionation product)을 획득하기 위해서 및/또는 달리 유체 스트림 사이의 질량 전달 및/또는 열 교환을 유발하기 위해서, 유체 스트림, 전형적으로 액체 스트림 또는 액체 및 증기 스트림을 프로세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 전달 컬럼(10)은 원유 상압(crude atmospheric), 윤활유 진공(lube vacuum), 유체 또는 열 분해 분별(fluid or thermal cracking fractionating), 코커 또는 비스브레이커 분별(coker or visbreaker fractionating), 코크 스크러빙(coke scrubbing), 반응기 오프-가스 스크러빙(reactor off-gas scrubbing), 가스 ??칭(gas quenching), 식용유 탈취(edible oil deodorization), 오염 제어 스크러빙(pollution control scrubbing), 및 다른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는 컬럼일 수 있다. 질량 전달 컬럼(10)은 내부 물품의 찌꺼기 발생, 코킹 침식, 부식, 진동, 및 빈번한 뒤틀림과 같은 가혹한 동작 조건을 겪는 정제 분리 프로세스 및 석유화학 및 화학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 전달 컬럼(10)은 아크릴로니트릴 플랜트에서 코커 메인 분별기, 상압 또는 진공 원유 타워, 유체 촉매 분해("FCC") 반응기/재생기, FCC 메인 분별기, FCC 메인 분별기 오버헤드 분리기, 에틸렌 ??치 컬럼, 및 다양한 ??치, 흡수기, 회수 및 건조 컬럼으로서 동작될 수 있다.
질량 전달 컬럼(10)의 쉘(12)은, 유체 스트림 사이에서 희망하는 질량 전달 및/또는 열 교환이 발생하는 개방 내부 영역(14)을 한정한다. 통상적으로, 유체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상승하는 증기 스트림 및 하나 이상의 하강하는 액체 스트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유체 스트림은 둘 모두 상승 및 하강하는 액체 스트림, 또는 상승하는 기체 스트림 및 하강하는 액체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스트림은 질량 전달 컬럼(10)의 높이를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수의 유체 유입구(16)을 통해 질량 전달 컬럼으로 지향된다. 하나 이상의 증기 스트림이 또한, 유체 유입구(들)(16)를 통해 질량 전달 컬럼(10)으로 도입되는 것 대신 또는 그에 부가적으로, 질량 전달 컬럼(10) 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질량 전달 컬럼(10)은 또한 전형적으로, 질량 전달 컬럼(10)으로부터 증기 생성물 또는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오버헤드 유체 유출구(18) 및 액체 생성물 또는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저부 스트림 배출 유체 유출구(20)를 포함할 것이다. 통로(22)가, 예컨대 개방 내부 영역(14)에 배치된 내부 물품의 설치, 검사, 및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사람이 질량 전달 컬럼(10) 내의 개방 내부 영역(14)에 진입 및 진출할 수 있게 하는 쉘(12)을 통한 미리 선택된 직경의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제공한다. 통로(22)는 또한 내부 물품의 설치 및 제거 동안 내부 물품의 구성요소 부품이 통로(22)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환류 스트림 라인(reflux stream line), 리보일러(reboiler), 응축기(condenser), 증기 혼(vapor horn) 등과 같은,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질량 전달 컬럼 구성요소는 도면에 예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이 사실상 종래의 것이고, 그러한 구성요소의 예시가 본 발명의 이해에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2개의 지지 빔(24)이 질량 전달 컬럼(10)의 개방 내부 영역(14) 내에 배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지지 빔(24) 중 하나만이 도 1에서 전체 범위에 대해 도시되어 있고, 제2 지지 빔(24)의 대향된 단부 부분이 확인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지지 빔(24)이 하나의 지지 빔(24)의 뒤쪽에 배치되고 쉘(12)의 곡률로 인해 더 길기 때문이다. 복수의 지지 빔(24)은 복수의 지지 빔(24)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시된 팩킹 그리드(26)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결국, 팩킹 그리드(26)는, 팩킹 그리드(26)의 상부에 놓인 것으로 도시된 팩킹(28)의 베드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팩킹(28)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팩킹(28)이 다양한 유형의 그리드, 구조화된, 및 무작위적인 팩킹 중 임의의 것과 같이 통상적인 구조물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팩킹(28)은, 표면에서 액체 유지 및 찌꺼기 발생 또는 코킹이 발생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평에 대해 경사진 더 큰 게이지(heavier gauge)의, 매끄러운 질량 전달 표면을 사용하는 가혹한 서비스 적용예를 위해서 특히 구성된 그리드 팩킹이다. 지지 빔(24)을 이용하여, 도 1에 예시된 것 외의 다른 방식으로 다른 유형의 내부 물품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 빔(24)이 개방 내부 영역(14) 내의 질량 전달 컬럼(10)의 수평 단면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그리고 측방향-이격 관계로 간격으로 현 모양으로(chordally) 연장된다. 지지 빔(24)은, 후술되는 방식과 같이, 그의 대향 단부에서 쉘(1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팩킹 그리드(26)는 지지 빔(24)의 상부에 놓이고,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에 의해서 지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팩킹 그리드는 또한 쉘(12)의 내부 표면에 용접 또는 달리 고정되는 지지 링(30)에 의해 지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팩킹(28)은 팩킹 그리드(26)의 상부에 놓이고 팩킹 그리드(26) 및 복수의 지지 빔(24) 둘 모두에 의해 지지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련의 J-볼트(31), 또는 다른 연결부를 이용하여, 지지 빔(24)을 팩킹 그리드(26)에 결합시켜 질량 전달 컬럼(10)의 동작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동안 팩킹 그리드(26)의 상승을 저지하거나 예방한다.
지지 빔(24)의 각각의 대향 단부는 적합한 방식으로 쉘(1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빔(24)의 대향 단부는 쉘(12)의 내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달리 고정되는 빔 시트(32)에 의해 쉘(1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빔 시트(32)는, 지지 빔(24)의 단부의 하부 표면이 배치되고 고정되는 평평한 수평-연장 상부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수평-연장될 수 있는 베어링 플레이트(34)가 지지 빔(24)의 단부의 하부 표면에 용접 또는 달리 고정되어, 빔 시트(32) 상에 놓이는 지지 빔(24)의 단부 부분을 위한 더 크고 더 강한 베어링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연장될 수 있는 볼트 체결 바(36)가 또한 쉘(12)의 내부 표면에 용접 또는 달리 고정될 수 있고, 이어서 세장형 웹(40) 또는 지지 빔(24)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는 수직-연장 플레이트(38)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빔(24)의 대향 단부를 쉘(12)에 고정하는 다른 방식이 본 발명에 의해서 고려되며 그 범위 내에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추가로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 빔(24)의 세장형 웹(40)은 대향된 단부 부분(42, 44), 대향된 단부 부분(42, 44)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길이, 상부 연부 부분(46) 및 하부 연부 부분(48), 그리고 대향된 제1 및 제2 면(50, 52)(도 5)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지 빔은 또한 웹(40)의 상부 연부 부분(46)에 배치된 상부 개방 플랜지(54), 및 웹(40)의 하부 연부 부분(48)에 배치된 대향 하부 개방 플랜지(56)를 포함한다.
상부 개방 플랜지(54)는 대향된 단부, 및 웹(40)과 동연적일 수 있는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다. 상부 개방 플랜지(54)는,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그리고 그와 동연적으로 연장되고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60)에 의해서 웹(40)의 제1 면(5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보강 레일(58)과 웹(40)의 제1 면(50)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62)을 생성하는, 제1 보강 레일(58)을 포함한다. 상부 개방 플랜지(54)는, 유사하게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그리고 그와 동연적으로 연장되고 스페이서(60)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웹(40)의 제2 면(52)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 유체 유동 채널(62)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2 보강 레일(6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개방 플랜지(56)는 상부 개방 플랜지(5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개방 플랜지(56)는,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60)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웹(40)의 제1 면(5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3 보강 레일(66)과 웹(40)의 제1 면(50)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62)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3 보강 레일(66)을 포함한다. 하부 개방 플랜지(56)는,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웹(4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60)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웹(40)의 제2 면(52)으로부터 이격되어 제4 보강 레일(68)과 웹(40)의 제2 면(52)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62)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4 보강 레일(6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및 68) 및 스페이서(60)는 평면형일 수 있거나,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68) 각각은 이들의 편향에 대한 강화를 위해서 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굽힘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및 68) 상의 및 스페이서(60) 상의 액체 유지 및 고체의 침착에 대한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는 그러한 레일의 구성에 사용되는 재료의 연부 두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 이외의 어떠한 수평 표면도 갖지 않는다.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및 68) 및 스페이서(60)는 직립 배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직립"은 수직 방향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수직으로부터 80도 미만만큼 경사진 방향을 포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및 68)은 수직으로 그리고 지지 빔(24)의 웹(4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60)는 웹(40)과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8, 64, 66, 및 68) 사이에서 수직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수직과 관련하여 경사질 수 있다.
개방 유체 유동 채널(62)은 유체 및 고체가 상부 개방 플랜지(54) 및 하부 개방 플랜지(56)를 통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해당 표면 상의 고체 침착 및 성장을 초래할 수 있는 상부 개방 플랜지(54) 및 하부 개방 플랜지(56) 상의 액체 유지의 기회를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고체의 이러한 침착 및 성장은, 팩킹 그리드(26), 팩킹(28), 또는 다른 지지되는 내부 물품(들)으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방해함으로써 질량 전달 컬럼(1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찌꺼기 발생 및 코킹을 초래할 수 있다. 제1 및 제3 보강 레일(58 및 66) 그리고 제2 및 제4 보강 레일(64 및 68) 그리고 스페이서(60)의 직립 배향은 마찬가지로 해당 표면 상의 액체 유지 그리고 고체 축적 및 성장의 기회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베어링 플레이트(34)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웹(40) 및 하부 개방 플랜지(56) 둘 모두의 하부 측에 부착되어 베어링 하중을 지지 빔(24)의 해당 부분으로 전달한다. 직립 강화 플레이트(70)가,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웹의 제1 면(50)과 제1 및 제3 보강 레일(58 및 66) 사이에서 그리고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웹(40)의 제2 면(52)과 제2 및 제4 보강 레일(64 및 68)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 플레이트(70)는 동작 부하 동안 지지 빔(24)의 편향의 기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편향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빔(24)에는, 대향 단부를 갖고 웹(40)의 제1 면(50)을 따라 연장되며 그의 대향 단부에서 제1 및 제3 보강 레일(58, 66) 과 웹(40)의 제1 면(50)에 결합되는, 제1 트러스 부재(72)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빔(24)은 또한 각각, 대향 단부를 갖고 웹(40)의 제2 면(52)을 따라 연장되며 그의 대향 단부에서 제2 및 제4 보강 레일(64 및 68)에 결합되는, 제2 트러스 부재(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는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예컨대 그의 중간 지점에서, 반전 굽힘부(76)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트러스 부재(72 및 74)가 측방향 V-형상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의 대향 단부는 스페이서(60)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6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와는 별개이다.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 중 인접한 것은, 그의 반전 굽힘부(76)가 반대 방향으로 대면되도록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공간을 통해서 유동할 수 있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는, 유체가 대향된 제1 및 제2 면(50 및 52)으로부터 웹(40)을 통과해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웹(40)에 제공된 이격된 개구부(78)의 일부 또는 전부를 브래킷화하도록(bracket),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이격된 개구부(72)은 또한 지지 빔(24)의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지지 빔(24)의 다양한 특징이 수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고 접두사 "1"을 갖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지지 빔(124)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172 및 174)는 지지 빔(24)의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와 함께 사용된 반전 굽힘부(76)이 결여되고, 반복되는 W-형상 격자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부 개방 플랜지(154)로부터 하부 개방 플랜지(156)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172 및 174)의 대향 단부는, 웹(140)과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158, 164, 166 및 168) 사이에 배치되어 개방 유체 유동 채널(162)을 형성하는 스페이서(160)의 일부를 형성한다. 스페이서(160) 중 다른 것은 별도로 형성되고, 인접한 보강 바에 의해 형성된 정점으로부터 대향되는 하부 개방 플랜지(156) 및 상부 개방 플랜지(154) 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예시된 지지 빔(224)의 제3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고 접두사 "2"를 갖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수정예에서,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274 및 276)의 대부분 또는 전부는 대각선 방향이 아니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대향된 단부 부분(242 및 244)에 가장 가까운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274, 276)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형에 대한 지지 빔(224)의 저항을 가능하게 한다.
도 18 내지 도 21에 예시된 지지 빔(324)의 제4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고 접두사 "3"를 갖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수정예에서,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274 및 276)의 각각은 대각선 방향이 아니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지지 빔(324)에서, 각각 지지 빔(24, 124 및 274)과 함께 사용되는 이격된 개구부(78, 178 및 278)가 또한 생략되고, 각각의 스페이서(260)는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274 및 276)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추가적인 수정예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2에 예시된 지지 빔(424)의 제5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고 접두사 "4"를 갖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수정예에서, 상부 개방 플랜지(454) 및 하부 개방 플랜지(456)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458, 464, 466 및 468)은 각각 길이방향 굽힘부(469)를 따라 굽혀지고 스페이서(460)에 부착될 때 뒤집어진 "V" 배향을 형성하도록 배향된 평면 스톡으로부터 형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458, 464, 466, 및 468)은 스페이서(460) 내에 형성된 노치 내에 수용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458, 464, 466, 및 468)을 지지 빔(424)의 웹(440)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단단히 유지하고 간격 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462)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플레이트(38), 직립 강화 플레이트(70), 그리고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는 지지 빔(424)에 대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택적으로 지지 빔(424)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3에 예시된 지지 빔(624)의 제6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고 접두사 "5"를 갖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또한 추가적인 수정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58, 564, 566, 및 568)은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평면 스톡이 아닌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58, 564, 566, 및 568)은 스페이서(560) 내에 형성된 노치 내에 수용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558, 564, 566, 및 568)을 지지 빔(524)의 웹(540)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단단히 유지하고 결과적인 간격 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562)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빔(424)의 경우에서와 같이,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플레이트(3), 직립 강화 플레이트(70), 그리고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72 및 74)는 지지 빔(524)에 대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택적으로 지지 빔(524)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에 예시된 지지 빔(624)의 제7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고 접두사 "6"을 갖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지지 빔(24)과 함께 사용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수정예에서, 제1 및 제2 보강 레일(658 및 664)은 지지 빔(624)의 웹(640) 상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보강 레일(666 및 668)은 웹(640)의 아래에 배치된다. 스페이서(660)는 제1 및 제2 보강 레일(658 및 664) 사이에서 연장되고, 스페이서(660) 중 다른 것은 제3 및 제4 보강 레일(666 및 668)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보강 레일(658 및 664)은 경사진 지지부(680)에 의해서 웹(64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경사진 지지부(680)의 일부는 제1 보강 레일(658)의 하부 연부를 향해서 경사지고 그에 연결되며, 경사진 지지부(680) 중 다른 것은 제2 보강 레일(664)의 하부 연부를 향해서 경사지고 그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번적인 경사 지지부(680) 중 다른 것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그에 따라 상부 개방 플랜지(654) 내의 개방 유체 유동 채널(662)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지지부(680) 중 인접한 것 사이에 형성된다. 하부 개방 플랜지(656) 내의 제3 및 제4 보강 레일(666 및 668)은, 상부 개방 플랜지(654)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경사 지지부(680)을 이용하여 웹(64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지지부(680)는, 경사 지지부(680) 및 웹(640)이 1-단편 구성이 되도록, 웹(640)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을 컷팅하고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고유한 다른 이점과 함께 위에 제시된 모든 목적 및 목표를 달성하기에 아주 적합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소정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성을 갖고,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함이 없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 고려되고 그 내에 있다.
많은 가능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제시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이 제한의 의미가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으로서, 상기 지지 빔은:
    세장형 웹으로서, 대향된 단부 부분을 갖는, 상기 대향된 단부 부분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길이, 상부 연부 부분, 하부 연부 부분, 및 대향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세장형 웹;
    상기 웹의 상기 상부 연부 부분에 배치되고 대향된 단부를 갖는 상부 개방 플랜지로서, 상기 상부 개방 플랜지는:
    제1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spaced apart)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을 생성하는, 제1 보강 레일, 및
    제2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 사이에서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2 보강 레일을 포함하는, 상부 개방 플랜지; 및
    상기 웹의 상기 하부 연부 부분에 배치되고 대향된 단부를 갖는 하부 개방 플랜지로서, 상기 하부 개방 플랜지는:
    제3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 사이에서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3 보강 레일, 및
    제4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 사이에서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제4 보강 레일을 포함하는, 하부 개방 플랜지를 포함하는, 지지 빔.
  2. 제1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 부분에서 상기 웹의 하부 측 및 상기 하부 개방 플랜지에 부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 빔.
  3. 제2항에 있어서, 강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플레이트는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사이에서, 그리고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빔.
  4. 제3항에 있어서, 유체가 상기 대향된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웹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웹 내의 이격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 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을 편향에 대해서 강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 내에 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굽힘부를 포함하는, 지지 빔.
  6. 제4항에 있어서,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그리고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트러스 부재,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바에 결합되는 제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직립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가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지지 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전 굽힘부를 포함하는, 지지 빔.
  10. 질량 전달 컬럼으로서:
    개방 내부 영역(open internal region)을 한정하는 쉘;
    상기 쉘을 통해 그리고 상기 개방 내부 영역 내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쉘 내의 유체 유입구;
    상기 쉘을 통해 상기 개방 내부 영역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쉘 내의 유체 유출구;
    상기 개방 내부 영역 내에서 상기 질량 전달 컬럼의 수평 단면을 가로질러 병렬로 그리고 측방향-이격 관계로 연장되고 대향 단부가 상기 쉘에 고정되는 제1항의 복수의 지지 빔; 및
    상기 개방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빔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물품을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빔의 상기 대향 단부에 결합되는 빔 시트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상기 내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빔의 웹에 결합되는 볼트 체결 바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 부분에서 상기 웹의 하부 측 및 상기 하부 개방 플랜지에 부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빔 시트 상에 놓이는, 질량 전달 컬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은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사이에서 그리고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립 강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내의 각각의 지지 빔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을 편향에 대해서 강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 내에 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굽힘부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은 유체가 상기 대향된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웹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웹 내의 이격된 개구부,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그리고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트러스 부재,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바에 결합되는 제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에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직립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는 상기 직립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질량 전달 컬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에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질량 전달 컬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빔 내의 각각의 지지 빔에서,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전 굽힘부를 포함하는, 질량 전달 컬럼.
  20.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으로서, 상기 지지 빔은
    세장형 웹으로서, 대향된 단부 부분을 갖는, 상기 대향된 단부 부분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길이, 상부 연부 부분, 하부 연부 부분, 및 대향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세장형 웹;
    상기 웹의 상기 상부 연부 부분에 배치되고 대향된 단부를 갖는 상부 개방 플랜지로서, 상기 상부 개방 플랜지는
    직립 제1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직립 스페이서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 사이에서 개방 유체 유동 채널을 생성하는, 직립 제1 보강 레일, 및
    직립 제2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직립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 사이에서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직립 제2 보강 레일을 포함하는, 상부 개방 플랜지;
    상기 웹의 상기 하부 연부 부분에 배치되고 대향된 단부를 갖는 하부 개방 플랜지로서, 상기 하부 개방 플랜지는
    직립 제3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 사이에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직립 제3 보강 레일, 및
    직립 제4 보강 레일로서,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직립 스페이서 중 추가의 것에 의해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 보강 레일과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 사이에 상기 개방 유체 유동 채널 중 추가의 것을 생성하는, 직립 제4 보강 레일을 포함하는, 하부 개방 플랜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 부분에서 상기 웹의 하부 측 및 상기 하부 개방 플랜지에 부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사이에서, 그리고 그의 양 대향 단부 부분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립 강화 플레이트;
    상기 유체가 상기 대향된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웹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웹 내의 이격된 개구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을 편향에 대해서 강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강 레일 내에 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굽힘부;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3 보강 레일 그리고 상기 웹의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트러스 부재, 및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웹의 상기 제2 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2 및 제4 보강 바에 결합되는 제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러스 부재는 직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또는 반전 굽힘부를 갖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빔.
KR1020247009127A 2021-09-29 2022-09-28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KR20240049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50214P 2021-09-29 2021-09-29
US63/250,214 2021-09-29
PCT/IB2022/059256 WO2023053036A1 (en) 2021-09-29 2022-09-28 Support beam for supporting internal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584A true KR20240049584A (ko) 2024-04-16

Family

ID=8369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127A KR20240049584A (ko) 2021-09-29 2022-09-28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3457B2 (ko)
KR (1) KR20240049584A (ko)
CA (1) CA3232487A1 (ko)
WO (1) WO2023053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5764A1 (en) * 2021-06-15 2022-12-15 Koch-Glitsch, Lp Mass transfer column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11833457B2 (en) * 2021-09-29 2023-12-05 Koch-Glitsch, Lp Support beam for supporting internal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064A (en) * 1978-08-15 1980-03-25 Monsanto Company Unitized catalytic reactor construction
US8317166B2 (en) 2010-11-10 2012-11-27 Koch-Glitsch, Lp Liquid collection and distribution device for mass transfer column and process involving same
US8485504B2 (en) 2011-03-09 2013-07-16 Koch-Glitsch, Lp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nal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and process involving same
US8944418B2 (en) * 2011-05-16 2015-02-03 Koch-Glitsch, Lp Use of downcomer beam to support adjacent cross flow tray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and process involving same
CA2863790C (en) * 2012-03-12 2020-06-30 Koch-Glitsch, Lp Cross flow tray and support system for use in a mass transfer column
BR112016022695B1 (pt) * 2014-05-23 2020-12-08 Haldor Topsoe A/S viga de suporte de múltiplos elementos
US9815040B2 (en) 2015-06-26 2017-11-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uid solids contacting device
JP6775380B2 (ja) * 2016-10-24 2020-10-28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支持ビームの更新方法
US10471370B1 (en) * 2018-08-29 2019-11-12 Uop Llc Fractionation trays with downcomers oriented at 45 degrees
US11833457B2 (en) * 2021-09-29 2023-12-05 Koch-Glitsch, Lp Support beam for supporting internal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32487A1 (en) 2023-04-06
WO2023053036A1 (en) 2023-04-06
US20230101452A1 (en) 2023-03-30
US11833457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9584A (ko) 질량 전달 컬럼 내에서 내부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
CA2633429C (en) Co-current vapor-liquid contacting apparatus
EP2638348B1 (en) Liquid collection and distribution device for mass transfer column and process involving same
RU2602149C2 (ru) Поперечно-точная тарелка и о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массообменной колонне
JP2899747B2 (ja) 多重下降管トレー組立体
KR101631332B1 (ko) 물질 전달 칼럼용 구조화된 패킹 모듈 및 이와 수반된 방법
US8485504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nals within a mass transfer column and process involving same
KR100492827B1 (ko) 화학 공정 타워용 동반 감소 조립체
US20040099970A1 (en) Tray column with deentrainment packing below the tray
CN118119446A (zh) 用于支撑传质塔内的内部构件的支撑梁
US20220395764A1 (en) Mass transfer column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20220040595A1 (en) A perforated-tray column and a method of revamping the same
JPS6036321Y2 (ja) 接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