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293A -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293A
KR20240049293A KR1020247007092A KR20247007092A KR20240049293A KR 20240049293 A KR20240049293 A KR 20240049293A KR 1020247007092 A KR1020247007092 A KR 1020247007092A KR 20247007092 A KR20247007092 A KR 20247007092A KR 20240049293 A KR20240049293 A KR 2024004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article
generating material
nozzle
re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워드 로스웰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2112575.2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11257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2112577.8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112577D0/en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5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with means for refilling of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및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격막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를 갖는 재충전 저장소뿐만 아니라,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Description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본 개시는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의 저장소를 재충전(refiling)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저장소를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종종 소위 전자 시가렛(electronic cigarette)들로서 구성되는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이 공통 하우징(housing)에 있는 단일 형식, 또는 요소들이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 개 이상의 하우징들 사이에 분산되어 있는 다중-구성요소 형식을 가질 수 있다. 후자 형식의 통상적인 예는 디바이스 및 물품을 포함하는 2-구성요소 시스템이다.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배터리(battery)와 같은 시스템용 전력원 및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해 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전자기기들을 보유한다. 카트리지(cartridge), 카토마이저(cartomiser), 소모품(consumable) 및 클리어로마이저(clearomiser)를 포함하는 용어들로도 지칭되는 물품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공급부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용적부(storage volume) 또는 영역, 및 일부 경우들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증발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가열기(heater)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기를 보유한다. 유사한 3-구성요소 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되는 별도의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설계들에서,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소모되었을 때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되도록 의도된다는 점에서 일회용으로 설계된다. 사용자는 제조업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사전충전된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디바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 디바이스는 장기간 작동을 허용하도록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능력을 가져서, 다수의 연속적인 물품들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소모품들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일회용 물품들은 사용자에게는 편리하지만, 천연 자원들을 낭비하고 따라서 환경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된 물품의 대안적인 설계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낭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전자 시가렛 사용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병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품 상의 재충전 오리피스(refilling orifice)를 통해 병으로부터 물품 내로 소정량의 재료를 짜내거나 떨어뜨린다. 그러나, 품목(item)들이 작고 관련된 재료의 양이 전형적으로 적기 때문에, 재충전 행동은 어색하고 불편할 수 있다. 병과 물품 사이의 접합부를 정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부정확성들은 재료의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낭비일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흔히, 피부에 닿으면 유독할 수 있는 액체 니코틴(liquid nicotine)을 보유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병 또는 다른 저장소와 재충전 가능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전자로부터 후자로의 재료의 이송을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재충전 유닛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재충전 디바이스들에 대한 대체, 개선 또는 향상된 특징들 및 설계들에 관심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며,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며,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제1 양태에 따른 물품; 및 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재충전 디바이스는 제1 양태에 따른 물품의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고, 피어싱 요소는 격막을 통해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물품은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물품을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시키는 단계; 재충전 디바이스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격막은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고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은 제2 층보다 저장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고,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됨―; 및 피어싱 요소가 격막의 제1 및 제2 층들 둘 모두를 피어싱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저장소의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물품을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시키는 단계; 재충전 디바이스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격막은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고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은 제2 층보다 저장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고,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됨―; 및 피어싱 요소가 격막의 제1 및 제2 층들 둘 모두를 피어싱한 후에 재충전 저장소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수단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며, 격막 수단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며, 격막 수단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재충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 및 격막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를 포함하며, 노즐 배열체는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격막은 물품 및 재충전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및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개구는 제1 노즐이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1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및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2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개구는 제1 노즐이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3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제8 양태의 재충전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물품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4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재충전 디바이스는 재충전 디바이스에 결합된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물품은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물품을 재충전 디바이스의 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 노즐 배열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물품의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격막은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됨―; 및 피어싱 요소가 격막을 피어싱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5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재충전 디바이스는 재충전 디바이스에 결합된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재충전 저장소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물품을 재충전 디바이스의 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 노즐 배열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재충전 저장소의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격막은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됨―; 및 피어싱 요소가 격막을 피어싱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6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재충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 수단;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수단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 수단; 및 격막 수단을 포함하는 밸브 수단과 결합하도록 배열된 노즐 수단을 포함하며, 노즐 수단은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격막 수단은 물품 및 재충전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7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물품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수단, 및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물품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8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이 제공되며, 물품은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고, 개구는 제1 노즐 수단이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제1 노즐 수단을, 그리고 제2 노즐 수단이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노즐 수단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9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수단, 및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0 양태에 따르면,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가 제공되며, 재충전 저장소는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재충전 저장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밸브 수단은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고, 개구는 제1 노즐이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이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 및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 이외의 조합들로 서로 그리고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접근법은 하기에 기재된 것과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원에 제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을 포함하고 고려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예시적인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통한 단순화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재충전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피어싱 요소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배열체 및 물품의 재충전을 실행하기 위해 피어싱 요소에 의해 피어싱되도록 구성된 격막을 포함하는 물품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물품의 하우징에 대한 도 3의 격막에 대한 2 개의 상이한 배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3의 노즐 배열체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3의 노즐 배열체를 사용하여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공기가 물품의 저장소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노즐 배열체의 제1 예의 측면 단면도 및 상향식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7a 및 도 7b의 노즐 배열체를 사용하여 피어싱되도록 배열된 물품들의 2 개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는 노즐 배열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일 격막을 포함하는 물품을 도시하고, 도 8b는 노즐 배열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격막들을 포함하는 물품을 도시하고;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공기가 물품의 저장소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노즐 배열체의 제2 예의 측면 단면도 및 상향식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격막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격막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의 격막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격막은 격막의 복수 층들의 피어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약화된 영역을 포함하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노즐의 더 무딘 피어싱 요소들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도 5의 노즐 배열체의 단순화된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피어싱 요소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배열체, 및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물품의 재충전을 실행하기 위해 피어싱 요소에 의해 피어싱되도록 구성된 격막을 포함하는 재충전 저장소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간결화를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전자 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또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하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용어들 "e-시가렛" 및 "전자 시가렛"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들은 에어로졸(증기) 제공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시스템들은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액체 또는 겔(gel) 형태의 기재(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증발에 의해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들은 액체 또는 겔 기재와 함께 또한 가열되는 고체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nicotine)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에어로졸 생성 재료(aerosol-generating material)"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는 열의 인가 또는 일부 다른 수단들을 통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에어로졸"은 "증기"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시스템" 및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물질을 전달하는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system), 예컨대 전자 시가렛들, 담배 가열 제품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들과,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고 이러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중 하나 내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물품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 구성요소)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 재료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소되거나 태워지지 않는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 시스템은 전동식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같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electronic nicotine delivery; END) 시스템으로도 알려진 전자 시가렛이지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의 니코틴의 존재가 필수사항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연소 가열 시스템(heat-not-burn system)으로도 알려진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가열 시스템이다. 그러한 시스템의 예에는 담배 가열 시스템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각각은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고,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소모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고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소모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모품들은 때때로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물품들로 지칭된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물품 자체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원(power source)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은 예를 들어 전력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어로졸 생성기), 에어로졸 생성 영역, 마우스피스(mouthpiece),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또는 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진동 메시(vibrating mesh)와 같은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도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영역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은 에어로졸 생성 영역(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영역임)과 분리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발생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통과하는 필터(filter) 및/또는 에어로졸 개질제(aerosol-modify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구성요소"는, 가능하게는 외부 하우징 또는 벽 내에, 몇 개의 보다 작은 부품들 또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가렛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의 부품(part), 섹션(section), 유닛(unit), 모듈(module), 조립체 또는 유사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러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물품 및 디바이스로 형성되거나 만들어질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은 제거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 가능할 수 있거나, 제조 동안에 영구적으로 함께 결합되어 전체 시스템을 한정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체 또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유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보유 구성요소 형태의 물품(대안적으로, 카트리지, 카토마이저, 포드(pod) 또는 소모품)으로서 구성된 2 개의 구성요소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또는 에어로졸 생성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을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구성요소는 예들에 포함된 것들보다 많거나 적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개시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저장소, 탱크(tank), 용기 또는 다른 리셉터클(receptacle)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 내에 유지되거나 캐리어 기재(carrier substrate) 상에 흡수된 액체, 겔 또는 고체 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용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및 그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증기/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에어로졸 생성기로 제공할 목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부터 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배열체가 포함된다. 용어들 "액체", "겔", "고체", "유체", "소스 액체(source liquid)", "소스 겔(source gel)", "소스 유체(source fluid)" 등은 본 개시의 예들에 따라 저장 및 전달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재료를 지칭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 및 "기재 재료"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가열되거나, 조사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가 공급될 때,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제(flavourant)들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amorphous sol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고체(monolithic solid)"(즉, 비섬유질)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된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내부에 액체와 같은 일부 유체를 유지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약 50 중량%, 60 중량% 또는 70 중량%의 비정질 고체 내지 약 90 중량%, 95 중량% 또는 100 중량%의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활성 구성성분들, 하나 이상의 향미(flavour)들,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aerosol-former material)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활성 물질은 생리학적 반응을 달성하거나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재료인 생리학적 활성 재료일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예를 들어 약효식품(nutraceutical)들, 향정신제(nootropic)들, 향정신성물질(psychoactive)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예를 들어 니코틴(nicotine), 카페인(caffeine), 타우린(taurine), 테인(theine), B6 또는 B12 또는 C와 같은 비타민(vitamin)들, 멜라토닌(melatonin),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담배, 대마초 또는 다른 식물생약(botanical)의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향미(flavour)" 및/또는 "향미제(flavourant)"는 지역 규제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 향 또는 다른 체지각적 감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향미 재료들, 식물생약들, 식물생약들의 추출물들, 합성으로 얻어진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는 글리세롤(glycer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테트라에틸렌 글리콜(tetraethylene glycol),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에리트리톨(erythritol), 메조-에리트리톨(meso-Erythritol), 에틸 바닐레이트(ethyl vanillate), 에틸 라우레이트(ethyl laurate), 디에틸 수베레이트(diethyl suberate),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 트리아세틴(triacetin),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benzyl phenyl acetate), 트리부티린(tributyrin), 라우릴 아세테이트(lauryl acetate),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들은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방부제들, 결합제들, 필러(filler)들, 안정화제들, 및/또는 항산화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일반적인 작동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는 예시적인 전자 에어로졸/증기 제공 시스템(10)의 매우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축척되지 않음)이다. 본 개시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징들은 전술한 그리고/또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대안들 및 규정들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본 예에서는 파선으로 표시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대체로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2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제어 또는 전력 구성요소, 섹션 또는 유닛),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보유하고 증기/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물품 또는 소모품(30)(때때로 카토마이저, 클리어로마이저 또는 포드로 지칭되는 카트리지 조립체 또는 섹션)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소스 액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개시는 이러한 예를 사용하여 본 개시의 원리들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에어로졸화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또는 겔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대안들 및 정의들에 따라 특징들이 변형될 수 있다.
물품(30)은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고,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하는 소스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3)를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의 일 예로서) 포함한다. 일 예로서, 소스 액체는 약 1% 내지 3%의 니코틴 및 50%의 글리세롤(glycero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거의 동일한 정도의 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향료(flavouring)들과 같은 다른 성분들을 또한 포함한다. 예컨대 향료를 전달하기 위해, 니코틴이 없는 소스 액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체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통과되는 담배 또는 다른 향미 부여 요소의 일부분과 같은 고체 기재(예시되지 않음)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저장소(3)는 소스 액체가 탱크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유동하도록 소스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용기 또는 리셉터클인 저장 탱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저장 영역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흡수성 재료(탱크 또는 유사물 내부에 있거나, 물품의 외부 하우징 내에 포지셔닝됨)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성 물품의 경우, 저장소(3)는 소스 액체가 소모된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제조 동안 충전한 후에 밀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물품(30)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새로운 소스 액체가 추가될 수 있는 입구 포트(inlet port), 오리피스(orifice) 또는 다른 개구(opening)(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재충전 가능한 물품들과 관련이 있다.
물품(30)은 또한 전동식 가열 요소 또는 가열기(4)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기(5),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로 이송하도록 설계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6)를 포함한다. 가열기(4)는 저장소(3)의 외부에 위치되고, 가열에 의한 소스 액체의 증발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6)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소(3)로부터 가열기(4)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이송 또는 전달 배열체이다. 일부 예들에서, 그것은 심지(wick) 또는 다른 다공성 요소(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수송 요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심지(6)는, 소스 액체를 흡수하고 가열기(4)에 인접하거나 그와 접촉하는 심지(6)의 다른 부분들에 위킹(wicking) 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소스 액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저장소(3) 내부에 위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저장소(3) 내의 액체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들을 가질 수 있다. 심지는 유리 섬유들 또는 면 섬유들과 같이 액체의 위킹을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위킹된 액체는 가열되고 증발되고, 심지(6)에 의해 가열기(4)로 이송하기 위해 저장소(3)로부터 대체 액체가 연속적인 모세관 작용을 통해 흡인된다. 심지(6)는 저장소로부터 가열기로 액체를 전달하거나 이송하는 저장소(3)와 가열기(4) 사이의 도관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기(4)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6)는 일체형 또는 모놀리식(monolithic)이고, 액체 이송 및 가열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동일한 재료, 예컨대 다공성 및 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또 다른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6)는, 예컨대 액체가 저장소(3)를 빠져나와서 가열기(4) 상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들의 배열체를 포함함으로써, 모세관 작용 이외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원에서 에어로졸 생성기(5)로 지칭되는 가열기 및 심지(또는 유사물) 조합은 때때로 무화기(atomiser) 또는 무화기 조립체로 불려질 수 있고, 그것의 소스 액체를 갖는 저장소와 무화기는 집합적으로 에어로졸 소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의 매우 개략적인 표현과 비교하여 부품들이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는 다양한 설계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심지(6)는 가열기(4)와 완전히 별도의 요소일 수 있거나, 가열기(4)는 다공성이고 위킹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금속 메시).
본 예에서, 시스템은 전자 시스템이고, 가열기(4)는 옴(ohmic)/저항(주울(Joule)) 가열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30)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전기 접점들(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물품(30)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전기 접점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로부터 전기 접점들을 통해 가열기(4)로 전달되어 가열기(4)의 가열을 유발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가열기(4)는 유도 가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가열기는 교류 전류를 통과시키는 적합한 구동 코일(drive coil)을 포함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배열체의 서셉터(suscep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가열기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예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본 맥락에서 무화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기는 그것에 전달된 소스 액체(또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요소, 및 위킹 작용/모세관력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저장소 또는 유사한 액체 저장부로부터 증기 발생 요소로 액체를 전달하거나 수송할 수 있는 액체 수송 또는 전달 요소의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기는 전형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물품(30)에 수용되지만, 일부 예에서는 적어도 가열기 부품이 디바이스(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원의 예들 및 설명과 일치하는 그러한 모든 구성들 및 임의의 구성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로 돌아가면, 물품(30)은 또한 사용자가 가열기(4)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는 개구 또는 공기 출구를 갖는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피스 부분(35)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는, 특히 가열기(4)를 작동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전기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지 또는 배터리(7)(이하에서, 배터리로 지칭되며, 재충전식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음)와 같은 전원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다른 전자기기 또는 회로와 같은 제어 회로(8)가 있다. 제어 회로(8)는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oftware)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 회로(8)는 증기가 필요할 때 배터리(7)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가열기(4)를 작동시킨다. 이때에, 사용자는 마우스피스(35)를 통해 시스템(10)에 대해 흡입하고, 공기(A)는 디바이스(20)의 벽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들(9)을 통해 진입한다(공기 입구들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물품(30)에 위치될 수 있음). 가열기(4)가 작동되는 경우, 가열기(4)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6)에 의해 저장소(3)로부터 전달된 소스 액체를 증발시켜서, 시스템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 내로의 증기의 혼입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고, 다음에 이것은 마우스피스(35)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에어로졸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5)에 대해 흡입할 때, 에어로졸 생성기(5)에 대한 공기 입구들(9)을 공기 출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채널(air channel)들(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기(5)로부터 마우스피스(35)로 운반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제어 회로(8)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확립된 기술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기존의 작동 기능들뿐만 아니라, 전술한 개시의 일부로서 설명된 임의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8)는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작동의 상이한 양태들 및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의 기존의 다른 작동 양태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 요소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작동가능 제어부들(12)을 통한 사용자 입력 검출부들 및 사용자 디스플레이(예컨대, 스크린 또는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어 회로(8)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래밍가능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chip)들/칩셋(chipset)들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디바이스(20) 및 물품(30)은,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서로 분리 가능한 별도의 연결 가능한 부품들이다. 구성요소들(20, 30)은, 시스템(10)이 사용 중일 때, 디바이스(20)와 물품(30) 사이의 기계적 연결, 및 일부 경우들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협력 결합 요소들(21, 31)(예를 들어, 스크루(screw) 또는 베이어닛 끼워맞춤부(bayonet fitting))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가열기(4)가 옴 가열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가열기(4)가 배터리(5)에 연결되는 경우 전류가 가열기(4)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유도 가열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부품들이 물품(30)에 없는 경우 전기적 연결이 생략될 수 있다. 유도 워크 코일(induction work coil)/구동 코일은 디바이스(20)에 수용되고 배터리(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물품(30)과 디바이스(20)는 연결될 때 가열기의 재료에 전류 흐름을 생성할 목적으로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속에 대한 가열기(4)의 적절한 노출이 있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의 설계는 단지 예시적인 배열이며, 다양한 부품들 및 특징부들이 디바이스(20)와 물품(30) 사이에 상이하게 분포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및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2 개의 섹션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종방향 구성으로 단부끼리 함께 연결될 수 있거나, 나란한 병렬 배열과 같은 상이한 구성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은 대체로 원통형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으며, 그리고/또는 대체로 종방향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다.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섹션들 또는 구성요소들은 고갈된 경우 폐기되고 교체되도록 의도될 수 있거나, 저장소를 재충전하거나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과 같은 조치들에 의해 다수 사용들이 가능해지도록 의도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시스템(10)은 디바이스(20) 및 물품(30)의 부품들이 단일 하우징에 포함되고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일체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예들은 당업자가 인식하는 이들 구성들 및 다른 구성들 중 어느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위한 저장 영역의 재충전에 관한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에 저장된 양이 소진되었을 때 시스템에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본원에서 재충전 디바이스, 재충전 유닛, 재충전 스테이션, 또는 단순히 도크(dock)로 지칭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재충전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보다 편리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유지하는 더 큰 저장소와, 비어 있거나 부분적으로만 채워진 저장 영역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더 큰 저장소와 저장 영역 사이에 유체 연통 유동 경로가 확립되고, 재충전 디바이스의 제어기는 재충전 디바이스의 더 큰 저장소로부터 저장 영역으로 유동 경로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이송 메커니즘(transfer mechanism)(또는 배열체)을 제어한다. 이송 메커니즘은 재충전 디바이스에 대한 재충전 요청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거나, 활성화는 제어기에 의해 검출된 재충전 디바이스의 특정 상태 또는 조건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및 더 큰 저장소 둘 모두가 재충전 유닛 내부에 정확하게 포지셔닝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재충전 유닛에 결합되는 경우, 재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저장 영역이 원하는 양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보충되면(예를 들어, 저장 영역이 충전되거나 사용자 지정 양의 재료가 물품으로 이송됨), 이송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되고 이송이 중단된다. 대안적으로, 이송 메커니즘은 제어기에 의한 활성화에 응답하여 고정된 양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예를 들어 저장 영역의 용량과 일치하는 고정된 양을 자동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재충전 디바이스의 매우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재충전 디바이스는 다양한 요소들 및 이들의 서로의 관계를 예시하기 위해 단지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보다 특정한 특징들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재충전 디바이스(50)는 이하에서 편의상 "도크(dock)"로 지칭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사용 동안에 저장소 및 물품이 재충전 디바이스에 수용되거나 "도킹"되기 때문에 적용 가능하다. 도크(50)는 외부 하우징(52)을 포함한다. 도크(50)는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상업용 디바이스보다는―그렇지만, 이러한 옵션들은 배제되지 않음) 가정 또는 직장에서 물품들을 재충전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외부 하우징은, 예컨대 선반, 책상, 테이블 또는 카운터 상의 영구적이고 편리한 접근부에 적합하도록 만족스러운 외관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은 예컨대 약 10 ㎝ 내지 20 ㎝의 치수들을 갖는,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요소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일 수 있지만, 보다 작거나 보다 큰 크기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50) 내부에는 2 개의 공동들 또는 포트들(54, 56)이 한정된다.
제1 포트(54)는 재충전 저장소(40)를 수용하고 그와 인터페이싱하도록 형상화 및 치수설정된다. 제1 또는 재충전 저장소 포트(54)는 재충전 저장소(40)와 도크(5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래서 대안적으로 재충전 저장소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주로, 재충전 저장소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재충전 저장소(40)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 경우들에서 인터페이스는 재충전 저장소(40)와 도크(50) 사이에서 통신하고 재충전 저장소(40)의 특성들 및 특징들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 및 감지 능력들과 같은 추가 기능들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재충전 저장소(4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2)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한정하는 벽 또는 하우징(41)을 포함한다. 저장 공간의 체적은 도크(50)에 재충전되도록 의도된 물품(30)의 저장 영역/저장소(3)의 수배 또는 몇 배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향미, 강도, 브랜드 등)가 충전된 저장소(40)를 구입하고 이를 사용하여 물품(30)을 다수 회 재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을 재충전할 때 편리한 선택이 이용 가능하도록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여러 저장소들(40)을 구입할 수 있다. 재충전 저장소(4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2)가 재충전 저장소(40) 밖으로 통과할 수 있는 출구 오리피스 또는 개구(44)를 포함한다.
제2 포트(56)는 물품(30)을 수용하고 그와 인터페이싱하도록 형상화 및 치수설정된다. 제2 또는 물품 포트(56)는 물품(30)과 도크(5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래서 대안적으로 물품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주로, 물품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 내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인터페이스는 물품(30)과 도크(50) 사이에서 통신하고 저장소(30)의 특성들 및 특징들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 및 감지 능력들과 같은 추가 기능들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물품(30) 자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영역(3)을 내부에 갖는(그러나, 가능하게는 벽(31) 내의 모든 공간을 차지하지는 않음) 벽 또는 하우징(31)을 포함한다. 저장 영역(3)의 체적은 재충전 저장소(40)의 체적보다 수배 또는 몇 배 작으며, 그에 따라 물품(30)은 단일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다수 회 재충전될 수 있다. 물품(30)은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저장 영역(3)으로 진입할 수 있는 입구 오리피스 또는 개구(32)를 포함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요소들이 물품(3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은 또한 저장소(40)와 물품(30)의 저장 영역(3)이 유체 연통하게 배치되는 통로 또는 유동 경로인 유체 도관(58)을 수용하며, 그에 따라 재충전 저장소(40)와 물품(30) 모두가 도크(50)에 정확하게 포지셔닝되는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재충전 저장소(40)와 물품(30)을 도크(50) 내에 배치하면, 이들은 유체 도관(58)이 저장소(40)의 출구 오리피스(44)와 물품(30)의 입구 오리피스(32) 사이에 연결되도록 위치 및 결합된다. 일부 예들에서, 유체 도관(5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재충전 저장소(40) 및/또는 물품(30)이 도크(50)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유체 도관이 생성되고 한정된다는 점에 주목하자. 다른 경우들에서, 유체 도관(58)은 도크(50)의 하우징(52) 내에 한정된 유동 경로일 수 있으며, 각각의 단부에는 개개의 오리피스들이 결합된다.
저장소 포트(54) 및 물품 포트(56)에 대한 접근은 임의의 편리한 수단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크(50)의 하우징(52)에 개구부(aperture)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개구부들을 통해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이 배치되거나 밀어넣어질 수 있다. 재충전 저장소(40) 및/또는 물품(30)은 개개의 개구부들 내에 완전히 보유될 수 있거나, 재충전 저장소(40) 및/또는 물품(30)의 일부분이 개개의 포트들(54, 56)로부터 돌출되도록 부분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질들이 개구부들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부들을 덮기 위해 도어(door)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재충전 저장소(40) 및/또는 물품(30)이 포트들(54, 65)에 완전히 보유되는 경우, 도어들 등은 재충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하도록 폐쇄 상태로 배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어들, 해치(hatch)들 및 다른 힌지형 덮개들, 또는 서랍이나 트레이(tray)들과 같은 슬라이딩 접근 요소들은 재충전 저장소(40) 또는 물품(30)을 수용 및 유지하도록 형상화된 트랙(track)들, 슬롯(slot)들 또는 리세스(recess)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도어 등이 폐쇄될 때 하우징(52) 내부의 적절한 정렬 상태로 재충전 저장소(40) 또는 물품(30)을 가져간다. 대안적으로, 도크(50)의 하우징은 물품(30) 또는 재충전 저장소(40)가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 부분들을 포함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대안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크(50)는 또한 도관(58)을 따라 물품(30) 내로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유체의 이동을 유발하거나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메커니즘, 배열체 또는 장치(53)를 포함한다. 이송 메커니즘(53)에 대해 다양한 옵션들이 고려되지만, 예로서, 이송 메커니즘(53)은 연동 펌프(peristaltic pump)와 같은 유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존의 기술들에 따르면, 연동 펌프는 소스 액체를 도관의 길이를 따라 물품(30)의 입구 오리피스(32)를 향해 강제하기 위해 도관(58)의 일부들을 회전 및 압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어기(55)는 또한 도크(50)에 포함되며, 도크(5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특히 이송 메커니즘(53)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 및 전송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하우징(52) 상의 버튼(button) 또는 스위치(switch)(도시되지 않음)의 작동과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거나,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 모두가 개개의 포트들(54, 56)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것에 자동으로 응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55)는 이송 메커니즘(53)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들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트들 및/또는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으로부터 얻기 위해 포트들(54, 56)에 있는 접점들 및/또는 센서들(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5)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하드웨어(hardware),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옵션들이 명백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크(50)는 제어기(53)와, 도크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기 구성요소들, 예컨대 센서들, 스위치들, 버튼들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들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들, 및 존재하는 경우, 도크의 작동 및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들과 같은 디스플레이 요소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57)을 포함한다. 또한, 이송 메커니즘은 전동식일 수 있다. 도크(50)는 집 또는 사무실의 영구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전원(57)은 도크(50)가 주전원 전기에 "플러그인(plug in)"될 수 있도록 전기 주전원 케이블(electrical mains cable)을 도크(50)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so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주전원 전기를 도크(50)에 적합한 작동 공급 전기로 변환하는 임의의 적절한 전기 컨버터(electrical converter)가 주전원 케이블 상에 또는 도크(5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57)은 교체 가능하거나 재충전식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을 포함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 도크(50)는 또한 도크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 또는 배터리들을 재충전하도록 적합화된 충전 케이블용 소켓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체 도관(58)은 소스 액체가 물품(30)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저장소(40) 및 물품(30)과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된다. 물품(30)은 예를 들어 입구 개구(32)를 통해 도크(50)에 의해 재충전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물품(30)은 한편으로는 물품(30)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체 도관(58)(또는 유체 도관(58)에 링크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비교적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도크(50)가 소스 액체로 물품(30)을 재충전한 후에 (가득 찬) 물품(30)이 도크(50)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이될 때) 소스 액체가 물품(30)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물품(30), 유체 도관(58) 및 도크(50)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본원에 설명되어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물품(30)의 재충전은 물품(30)의 재밀봉 가능한 격막(resealable septum)을 피어싱(piercing)하도록 구성된 노즐(nozzle)을 통해 달성되며, 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컨대, 소스 액체)를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는 것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노즐의 중공 통로를 통해 노즐의 적합한 개구 밖으로 그리고 저장소(3) 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재충전은 물품(30)의 저장소(3)에 대한 개구를 덮도록 설계된 격막을 피어싱한 후에 노즐의 개구가 저장소(3) 내에 위치될 때 일어난다. 노즐이 물품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격막은 재밀봉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격막을 통해 저장소(3)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 및 격막의 사용에 기초하는 재충전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간단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히 물품 내의 이동 부품들의 수가 감소되고, 그래서 재충전에 영향을 미치거나 재충전을 방해할 수 있는 이러한 부품들의 마모 또는 오작동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격막의 구조적 완전성은 다수의 피어싱들에 걸쳐 유지되며, 이는 부분적으로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노즐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노즐이 저장소(3) 내에 위치되었을 때에만 재충전이 일어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누출이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30)의 저장소(3)를 재충전하기 위한 격막과 노즐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30)을 자동으로 재충전하기 위한 간단하고 사용하기 용이하며 깨끗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2의 특정 구성요소들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매우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3의 명확화를 위해 도 2의 특정 다른 양태들은 생략되었다. 도 3은 노즐 배열체(60)(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부가하여 도 2의 물품(30)을 대략적으로 도시한다. 물품(30)은 물품 하우징(31), 물품(30) 내에 제공된 저장소(3)에 대한 개구를 하우징(31)에 제공하는 개구(32), 및 개구(32)를 덮는 격막(33)을 포함한다. 노즐 배열체(60)는 결합 요소(63)를 통해 노즐 헤드(nozzle head)(62)(결국 유체 도관(58)에 결합됨)에 결합된 노즐(61)을 포함한다.
물품(30)을 보다 상세하게 참조하면, 도 3의 물품(30)은 물품(3)의 개구(32)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33)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valve arrangement)를 포함한다. 격막(33)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가 개구(32)를 통해 물품(30)의 저장소(3)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일(seal)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재충전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피어싱 요소(piercing element)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어싱될 수 있는 재료를 통해 물품(30)의 저장소(3)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재충전 프로세스는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적합한 노즐(61)을 통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소스 액체)를 통과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격막(33)의 재료는 또한 비교적 연질 재료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피어싱 요소/노즐(61)이 격막(33)으로부터 제거될 때, 격막(33)의 재료는 자연적으로 폐쇄되어 격막(33)의 피어싱으로부터 형성된 구멍을 재밀봉(또는 부분적으로 재밀봉)하여, 격막(33)을 통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누출 없이 물품(30)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에 결합되고/취급될 수 있게 한다.
물품의 격막(33)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와 관련하여, 재료는 특정 기준들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재료는 주어진 피어싱 요소에 의해 피어싱될 수 있어야 한다(즉, 특정 투과성을 가져야 함). 투과성과 관련하여 특정 재료의 적합성은 부분적으로 노즐/피어싱 요소의 크기(예를 들어, 직경) 및/또는 날카로움과 같은 노즐/피어싱 요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를 특성화하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특성은 재료의 경도 또는 쇼어 경도(shore hardness)이다. 쇼어 경도는 재료가 갖는 압입에 대한 저항성 또는 재료가 압축 하에서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의 척도이다. 상대적으로 말하면, 더 연질 재료들은 특정 날카로움을 갖는 주어진 노즐/피어싱 요소에 의해 더 용이하게 피어싱될 수 있다. 즉, 주어진 피어싱 요소에 의해 더 연질 재료를 피어싱하는 데 필요한 힘은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에 필요한 힘보다 적다. 또한, 더 연질 재료들은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들로 형성된 격막들과 비교하여 일정한 힘을 격막(33)에 인가할 때 상대적으로 더 무딘 피어싱 요소들에 의해 더 용이하게 피어싱될 수 있다. 둘째, 더 연질 재료들은 더 낮은 구조적 강성을 갖기 때문에 피어싱 이전에 재료에 하중이 인가될 때 변형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따라서 물품(30)의 하우징(31)과 격막(33) 사이의 결합부들에 과도한 응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것은 피어싱될 때 격막(33)/물품(30)의 강인성(robustness)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강인성은 개구(32)의 크기 및 형상 및/또는 격막(33)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격막(33)을 형성하는 재료는 피어싱 요소/노즐에 의해 피어싱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연질이어야 하지만, 격막(33)에 하중이 인가될 때 물품(30)의 하우징(31)과 격막(33) 사이의 결합부(들)에서 응력들을 감소/제한할 만큼 충분히 경질이어야 한다. 셋째, 격막(33)을 형성하는 재료는 주어진 피어싱 요소에 대해 재밀봉될 수 있어야 한다. 쇼어 경도는 또한 재료가 일단 피어싱되면 재밀봉될 수 있는 정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상대적으로 더 연질 재료를 나타내는 쇼어 경도 값을 갖는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를 나타내는 쇼어 경도 값을 갖는 재료들보다 재밀봉하기에 더 양호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더 연질 재료들(예를 들어, 더 연질 쇼어 경도 값을 갖는 재료들)은 더 경질 재료들과 비교하여 피어싱 요소가 제거될 때 더 큰 직경을 갖는 피어싱 요소에 의해 형성된 상대적으로 더 큰 구멍들이 재밀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격막(33)을 위해 선택된 특정 재료는 사용될 물품(30) 및 노즐 배열체(60)의 특정 구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또는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이며; 즉 물품(30) 및 노즐 배열체(60)의 구성이 격막(33)에 사용될 재료에 기초하여 제조될 수 있음). 당업자는 경험적 테스트, 컴퓨터 모델링(computer modelling) 등에 기초하여 격막(33)에 어떤 재료 또는 어떤 피어싱 요소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격막(33)의 재료는 또한 물품(30)에 저장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액체의 경우에, 격막(33)을 형성하는 재료는 격막(33)을 통한 소스 액체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재료는 적어도 소스 액체에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재료들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소스 액체)의 구성성분들과 반응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격막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스 액체의 특성들에 따라, 특정 재료들은 주어진 소스 액체에 덜 적합하거나 더 적합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주어진 구현예들을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유형/특성들에 기초하여 격막(33)에 적합한 재료들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격막(33)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광범위한 상이한 특성들(예를 들어, 경도)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이용 가능할 수 있는 실리콘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당면한 특정 응용에 따라, 당업자는 적절하게, 예를 들어 상기 특성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경도를 갖는 적합한 실리콘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준들을 만족하는 다른 재료들도 또한 격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재료들은 다른 재료들보다 피어싱 요소들과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특정 조합들에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격막(33)은 물품(30)의 개구(32)를 덮도록 배열되며, 개구(32)는 물품(30)의 하우징(31)에 형성되고, 물품(30)의 저장 영역(3)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개구(32)를 덮는 격막(33)의 2 개의 매우 개략적인 상이한 구성들을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4a에서, 격막(33)은, 격막(33)이 개구(32) 내에 포지셔닝되고 개구(32)의 일 측면(도 4a에서 하우징(31)의 일 측면에 의해 형성됨)으로부터 개구(32)의 타 측면(도 4a에서 하우징(31)의 타 측면에 의해 형성됨)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즉, 격막(33)의 외부 에지는 개구(32)를 형성하는 물품(30)의 하우징(31)의 내부 에지에 접한다. 개구(32)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지만, 본 예에서 개구(32)는 원형 개구(32)이다. 원형 또는 원형 형상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격막(33)의 외부면을 아래로 가압하는 피어싱 요소로부터) 격막(33)에 인가되는 임의의 응력들이 격막(33)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고 격막(33)과 하우징(31) 사이의 에지(들)에서의 임의의 국부적인 압력 지점들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기 구성의 강인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징(31)으로부터 격막(33)의 분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격막(33)은 대체로 유사한 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격막(33)의 외부 에지가 원형 개구(32)의 내벽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격막은 개구(32) 내로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용접(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을 통해 물품(30)의 하우징(31)에 접착될 수 있다. 물품(30)에 저장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소스 액체와 같은 액체인 경우, 격막(33)은 물품(30)에 보유되거나 보유될 소스 액체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격막(33)의 외부 에지와 개구(32)의 에지 사이에 적어도 액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우징(3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에서, 격막(33)은 물품(30) 외부에 제공된다. 격막(33)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개구(32)보다 크다. 예를 들어, 개구(32)가 원형인 경우, 격막(33)도 또한 원형일 수 있지만 개구(32)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격막(33)의 형상은 이러한 구성에서 개구(32)의 형상과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격막(33)의 형상이 개구(32)의 형상과 유사한 경우에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한 이유들로, 개구(32)는 원형일 수 있다. 격막(33)은 개구(32)를 덮고 또한 개구(32)를 한정하는 하우징(31)의 에지와 중첩되도록 포지셔닝된다. 하우징(31)과 중첩되는 격막(33)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용접을 통해, 격막(33)을 물품(30)의 하우징(31)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품(30)에 저장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소스 액체와 같은 액체인 경우, 격막(33)은 적어도 액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우징(31)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격막(33)은 물품(30)의 저장소(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즉, 격막(33)은 도 4b의 하우징(31)의 하측에 포지셔닝될 수 있음). 그러나, 그러한 구현예들은 제조하기에 더 복잡할 수 있다. 격막(33)의 일반적인 크기 및/또는 두께는 도 4a에 설명된 격막(33)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상황에서든, 격막(33)은 개구가 격막(33)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물품(30)에 형성된 개구(32)를 가로질러,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개구(32)의 에지(들)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개구(32)를 통한 저장소(3)에 대한 접근은 격막(33)을 통과함으로써 달성된다. 격막(33) 및 이에 상응하는 개구(32)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노즐(61)의 직경보다 크고 물품(30)의 폭보다 작을 것이다. 단지 예로서, 격막(33)은 5 내지 30 ㎜ 정도의 직경(또는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최대 치수)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격막(33)에 대한 다른 크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격막(33)의 두께는 임의의 적합한 두께일 수 있고, 개구(32)에서의 하우징(3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거나 클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예시로서, 격막은 대략 수 ㎜의 두께, 예를 들어 1 내지 5 ㎜의 두께일 수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격막은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격막(33)의 치수들은 노즐(61)의 치수들/특성들 및 격막(33)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크(50)는 노즐 배열체(6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배열체는 유체 도관(58)의 단부에 결합된다(유체 도관(58)의 다른 단부는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재충전 저장소(40)에 결합됨). 노즐 배열체(60)는 노즐(61), 노즐 헤드(62) 및 결합 요소(63)를 포함한다. 노즐 헤드(62)는 노즐 배열체(60)의 본체를 제공하고, 유체 도관(58) 및 노즐(61)이 노즐 헤드(62)에 제공된다. 도 3에서 결합 요소(63)는 유체 도관(58)을 노즐(61)에 결합시킨다.
도 5는 도 3의 노즐 배열체(60)(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61))의 단면을 보다 상세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노즐(61)은 대략적인 관형 구조를 가지며, 결합 요소(63)에 결합된 근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노즐(61)의 원위 단부는 노즐(61)이 노즐 헤드(62)/결합 요소(63)에 결합될 때 노즐 헤드(62)로부터 돌출된다. 노즐(6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외벽(61a)을 포함한다. 외벽(61a)은 소스 액체(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노즐(61)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그리고 개구 또는 출구(61c)를 통해 노즐(61)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공 통로(61b)를 한정한다. 따라서, 통로(61b) 및 개구(61c)의 직경은 이송 메커니즘(53)의 영향 하에서 소스 액체가 통로(61b)를 따라 개구(61c)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통로(61b) 및/또는 개구(61c)의 특정 크기/직경은 이송 메커니즘(53)의 파라미터들 및 특정 유동/물질 이송 속도(mass transfer rate) 등을 달성하기 위한 이송될 소스 액체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액체들의 점성이 높을수록, 펌프를 통해 이동하기가 더 어려울 가능성이 있으며, 그래서 점성이 더 낮은 소스 액체와 비교하여 유사한 물질 이송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 강력한 펌프 및/또는 더 큰 직경의 통로(61b) 및/또는 개구(61c)가 제공될 수 있다. 단지 예시로서, e-액체를 이송하는 경우에, 노즐(61)은 길이(노즐 헤드(62)로부터의 길이)가 약 5 내지 50 ㎜이고, 약 0.5 내지 5.0 ㎜의 직경을 가지며, 약 0.2 내지 4.8 ㎜의 직경의 통로(61b)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노즐(61)은 상이한 구현예들에서 상이하게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이송 메커니즘(53)이 작동될 때, 소스 액체는 유체 도관(58)으로부터(그리고 따라서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노즐(61)의 근위 단부(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61)의 중공 통로(61b))에 제공된다. 노즐(61)은 본원에서 소스 액체 전달 노즐(61)(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로 지칭될 수 있고, 통로(61b)는 본원에서 소스 액체 경로(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로 지칭될 수 있으며, 개구 또는 출구(61c)는 소스 액체 개구 또는 출구(61c)(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 또는 출구)로 지칭될 수 있다.
노즐(61)의 원위 단부는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61d)를 더 포함한다. 피어싱 요소(61d)는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도록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노즐(61)의 원위 단부는 뾰족부(point) 또는 날카로운 에지(sharp edge)(부호 61d로 도시됨)로 테이퍼지도록 형상화된다. 테이퍼는 피어싱 요소(61d)가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날카로운 에지 또는 뾰족부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방향들을 따라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관형 하우징(61a)의 단부는 적합한 날카로운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선을 따라 절단된다.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노즐(61)은 피어싱 요소(61d)로서 바늘과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61)과 피어싱 요소(61d)를 단일 구성요소로 형성하면, 보다 용이한 제조를 촉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피어싱 요소(61d)는 별도로 형성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적합한 용접 프로세스를 통해 관형 하우징(61a)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피어싱 요소(61d)는 노즐(6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대신에 노즐 헤드(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노즐 헤드(62)로부터 노즐(61)의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바늘형 돌출부). 피어싱 요소(61d)의 특정 형태는 본 개시의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으며, 당해 격막을 피어싱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피어싱 요소가 당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피어싱 요소(61d)는 주어진 재료를 적절하게 피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요소(63)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 요소(63)는 유체 도관(58)과 노즐(61) 사이에 임의의 원하는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요소일 수 있다. 결합 요소(63)는 클램프(clamp)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체 도관(58) 및/또는 노즐(61)은 결합 요소(63)에 의해 제위치에 클램핑되는 플랜지(flange)들을 포함한다. 대신에, 결합 요소(63)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61) 및 유체 도관(58)의 개개의 단부들은 노즐(61)과 유체 도관(58)이 노즐 헤드(62)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게 하는 대응 나사산들을 포함한다. 당면한 구현예에 따르면, 임의의 적합한 연결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결합 요소(63)는 또한 유체 도관(58)과 노즐(6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노즐 헤드(62)에 결합될 때 예를 들어 유밀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O-링들과 같은 적합한 밀봉 요소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63)가 노즐 헤드(62) 내부에 포지셔닝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개개의 결합 요소들(63)은 유체 도관(58) 및 노즐(61) 각각에 대해, 예를 들어 노즐 헤드(62)의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노즐 헤드(62)는 개개의 결합 요소들(63)을 결합하는 내부 경로를 포함한다.
노즐 헤드(6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노즐(61) 및/또는 유체 도관(58)을 제공하면, 유지보수가 개선되거나 용이해지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30)의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의도된 노즐(61)은 노즐(61)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크(5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노즐(61)이 다른 노즐로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노즐(61)과 유체 도관(58)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즉, 유체 도관(58)은 노즐(61)을 포함할 수 있음).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노즐(61)/유체 도관(58)은 노즐 헤드(62)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며, 노즐(61)과 유체 도관(58)의 유체적 결합에 대한 고려사항들은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유체 도관(58)과 노즐 사이에서의 소스 액체의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크(50)는 사용 동안에 노즐 배열체(60)와 물품(30)이 A로 지시된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노즐 헤드(62)는 도크(50)의 제어기(55)에 의한 적합한 제어 하에서 도크(50)의 물품 포트(56) 내에 위치된 물품(30)을 향해 그리고 물품(30)으로부터 멀리 노즐 헤드(62)(따라서 노즐(61))를 병진이동시킬 수 있는 적합한 이동 메커니즘(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30)이 물품 포트(56)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노즐 헤드(62)는 노즐(61)이 물품 포트(56)로부터 멀리 유지되는 제1 포지션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노즐 헤드(62)가 도크(50) 내로 수축될 수 있음). 물품(30)이 물품 포트(56)에 위치되고, 제어기(55)가 물품(30)을 재충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도크(50)의 사용자로부터 적절한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또는 물품 포트(56) 내의 물품(30)의 존재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어기(55)는 노즐 헤드(62)가 이동 메커니즘을 통해 물품 포트(56) 내의 물품(30)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헤드(62)는 노즐(61)이 물품(30)의 격막(33)을 향해 이동되도록 물품(30)을 향해 이동된다. 이동 메커니즘은 노즐(61)이 물품(30)과 접촉하고 적합한 힘의 인가 하에서 노즐(61)의 피어싱 요소(61d)를 사용하여 격막(33)을 피어싱하는 것을 진행하도록 물품(30)을 향해 노즐 헤드(62)를 계속 이동시킨다. 이동 메커니즘은 노즐(61)의 개구(61c)가 물품(30)의 저장소(3)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물품(30)을 향해 노즐 헤드(62)를 계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61c)는 격막(33)이 개구(61c)와 노즐 헤드(62) 사이에 있도록 하는 포지션에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 헤드(62)가 포지셔닝되는 경우, 이것은 노즐 헤드(62)의 제2 포지션으로 지칭된다. 이동 메커니즘은 노즐 헤드(62)가 제2 포지션에 위치될 때 이동을 중지하도록 제어된다.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노즐 배열체(60)의 다른 부분이 물품(30)에 대해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61)은 노즐 헤드(62)로부터 신장되거나 노즐 헤드(62) 내로 수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하게는, 노즐 배열체(60)는 노즐 배열체(60)의 개구(61c)가 물품(30)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포지션과, 개구(61c)가 물품(30) 내부에 위치되도록 피어싱 요소(61d)가 물품 포트(56)에 위치된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되는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물품 포트(56)는 물품 포트(56)(및 물품 포트(56)에 설치된 경우에 물품(30))가 노즐 배열체(60) 및 노즐(61)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적합한 이동 메커니즘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구현예들에도 동일한 원칙들이 적용된다. 따라서,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물품(30)은 일반적으로 물품 포트(56)를 통해, 노즐 배열체(60)의 에어로졸 개구(61c)가 물품(30)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포지션과, 개구(61c)가 물품(30) 내부에 위치되도록 피어싱 요소(61d)가 물품 포트(56)에 위치된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되는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도크(50)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노즐 배열체 및/또는 물품의 상대적인 이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물품(30)을 재충전하기 위한 도크(50)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물품(30)을 재충전하기 위한 도크(50)의 작동 원리들을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물품(30)이 물품 포트(56)와 결합되는 단계 S1에서 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물품(30)이 물품 포트(56)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물품(3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20) 모두가 물품 포트(56)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물품(30)이 물품 포트(56)와 결합되면, 단계 S2에서, 제어기(55)는 물품(30)을 재충전하라는 명령들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명령들은 예를 들어 도크(50) 상의 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 메커니즘을 통해 또는 도크(50)에 통신 결합된 원격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입력의 결과로서, 또는 도크(50)가 물품(30)이 물품 포트(56)에 적절하게 결합되었다고 결정한 것의 결과로서 자동으로 제어기(5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계 S2 이전, 이후 또는 도중에, 제어기(55)가 재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추가 단계가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품(30)이 이미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제어기(55)는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55)는 물품(30)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을 측정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 양에 대해 통보받는 것에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어기(55)는 적절한 표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단계 S2에서 명령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크(50)의 제어기(55)는 단계 S3에서 물품(30)을 향한 노즐 배열체의 상대 이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 이동을 유발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모든 경우들에서 노즐 배열체(60)의 개구(61c)가 물품(30)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포지션과, 개구(61c)가 물품(30) 내부에 후속적으로 위치되도록 피어싱 요소(61d)가 물품 포트(56)에 위치된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되는 제2 포지션으로부터 격막(33)을 향한 노즐(61)의 상대 이동을 제공한다.
노즐(61)의 개구(61c)가 제2 포지션에 위치되면, 제어기(55)는 단계 S4에서 물품(30)을 향한 노즐 배열체(60)의 상대 이동을 중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55)는 적어도 재충전 작동의 지속시간 동안에 노즐 배열체 및/또는 물품이 제2 포지션에 유지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개구(61c)를 통해 노즐(61)에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물품(30)의 저장소(3)로 통과되어 저장소(3) 이외의 위치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부주의하게 퇴적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즉, 이송 메커니즘(53)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도록 제어될 때, 도크(50)는 물품 포트(56)에 대해 노즐 배열체(60)를 제2 포지션에 포지셔닝하도록 제어된다.
단계 S4에서 상대 이동이 중지되면, 제어기(55)는 단계 S5에서 이송 메커니즘(53)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의 저장소(3)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예를 들어 소스 액체를 이송하기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 메커니즘(53)이 작동되면, 소스 액체는 이송 메커니즘(53)의 이송(예를 들어, 펌핑) 작용을 통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도관(58)을 따라 이송(예를 들어, 펌핑)된다. 소스 액체는 도관(58)을 따라 노즐 배열체(60)의 연결 요소(63)로, 노즐(61)의 통로(61b)를 통해, 그리고 노즐(61)의 개구(61c) 밖으로 물품(30)의 저장소(3) 내로 이동한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송 메커니즘(53) 및/또는 통로(61b)의 직경 및/또는 개구(61c)의 직경은, 예컨대 특정 물질 전달 속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 기준들을 충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6에서, 제어기(55)는 재충전이 완료된 시기를 결정하고, 이어서 이송 메커니즘(53)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는 것을 중지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전결정된 양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적합한 센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을 나타내는 물품(30)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커패시턴스(capacitance) 등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 재충전이 중지되면, 제어기(55)는 노즐(61)이 물품(30)으로부터 인출되게 한다. 이것은 노즐 배열체(60) 및 물품(30)을 서로로부터 멀리(도 3의 방향(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물품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노즐 배열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노즐 배열체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물품을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노즐 배열체 및 물품 둘 모두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은 단계 S6 이후에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것은 도크(50)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의 특성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메커니즘(53)이 정지했을 때 노즐(61)에 유지된 임의의 잔류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저장소(3)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것이 특정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에 대해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단계 S6과 단계 S7 사이에 지연이 있을 수 있다.
단계 S7에서 노즐(61)이 물품(30)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노즐(61)이 격막(33)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피어싱 요소(61d)가 격막(33)을 피어싱함으로써 생성된 격막(33)의 구멍은 격막(33)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유연성으로 인해 폐쇄된다. 논의된 바와 같이, 구멍은 격막(33)이 다시 한 번 효과적으로 밀봉되도록 폐쇄되고, 이에 의해 임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가 격막(33)을 통해 물품(30) 밖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격막(33)은 격막(33)이 재밀봉될 수 있게 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어싱 요소(61d)/노즐(61)이 물품(30)으로부터 제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격막(33)을 통해 물품(30)에서 빠져나갈 수 없고, 따라서 물품(30)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격막(33)을 통해 누출될 염려 없이 물품 포트(56)로부터 제거되어 취급될 수 있다, 격막(33)에 적합한 재료들의 범위는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피어싱 요소(61d)에 의해 생성된 구멍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계들 S6 및 S7 중 어느 하나에서, 제어기(55)는 재충전이 완료되었다는 것 및/또는 노즐 배열체(60)와 물품(30)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는 것(즉,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1 포지션으로 복귀됨)을 나타내는 표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는 도크(50) 상의 적합한 메커니즘(예컨대, LED 또는 다른 적합한 표시기)을 통해 또는 도크(5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원격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표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물품 포트(56)로부터 물품(30)을 제거하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에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목적들로 디바이스(20)에 의해 물품(30)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노즐 배열체(60)는 노즐(61)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를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유체(예컨대, 공기)가 물품(30)의 저장소(3)에서 빠져나가거나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송 메커니즘(53)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추가 재료(특정 체적을 가짐)가 전형적으로 사전지정된 체적을 가질 수 있는 저장소(3)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공기가 저장소(3)로부터 배출될 수 없는 경우에(또는 저장소(3) 내로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물질 이동 속도 이상인 속도로 배출될 수 없는 경우에), 그러면 저장소(3) 내의 재료의 양은 재충전 동안에 결과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저장소(3)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이는 그렇지 않으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통과할 수 없는 물품(30)의 다양한 결합부들/구성요소들 사이에서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누출, 물품(30) 내의 임의의 밀봉 구성요소들에 대한 응력 증가, 및/또는 노즐 배열체(60) 또는 이송 메커니즘(53)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응력 증가와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원치 않는 영향들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노즐 배열체(60)는 저장소(3)를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는 동안에 공기(또는 임의의 다른 유체)가 저장소(3)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를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기 위해 노즐(61)이 작동될 때 유체(예컨대, 공기)가 물품(30)의 저장소(3)에서 빠져나가거나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노즐 배열체(6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7은 노즐 배열체(60')를 측면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7a와, 노즐 배열체(60')의 하측에서 본 단면도로 노즐 배열체(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7b를 포함한다.
노즐 배열체(60')는 노즐(61), 노즐 헤드(62'), 결합 요소(63), 유체 이송 노즐(64), 제2 결합 요소(65) 및 유체 도관(66)을 포함한다. 또한 도 7에는 유체 도관(58)이 도시되어 있다.
노즐(61), 결합 요소(63) 및 유체 도관(58)은 도 5에서 전술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된다.
노즐 헤드(62')는 도 5에 설명된 노즐 헤드(62)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도 7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요소(63)는 중심에서 벗어나(그리고 도 7의 우측으로) 시프트되어 있다. 결합 요소를 중심에서 벗어나 시프트시키면, 도 7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요소(63)에 결합된 노즐(61)도 중심에서 벗어나 시프트된다. 도 5의 노즐 헤드(62)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결합 요소(63)는 노즐 헤드(62') 내부에 있을 수 있거나, 결합 요소들(63)은 노즐 헤드(62')의 외부면들 상에 제공되고 노즐 헤드(62')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를 통해 함께 유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노즐 헤드(62')는 노즐 헤드(62')에 위치된 제2 결합 요소(65)를 포함한다. 제2 결합 요소(65)는 결합 요소(6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노즐 헤드(62')에 대한 유체 이송 노즐(64) 및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유체 도관(66)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 요소(65)는 결합 요소(6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유체 도관(66)과 유체 이송 노즐(64) 사이에 유체적 연결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63)와 같이, 제2 결합 요소(65)가 노즐 헤드(62') 내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개개의 결합 요소(65)는 유체 도관(66) 및 노즐(64) 각각에, 예를 들어 노즐 헤드(62')의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노즐 헤드(62)는 개개의 결합 요소들(65)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경로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 결합 요소(들)(65)의 구성이 무엇이든, 유체 이송 노즐(64) 및 유체 도관(66)은 노즐(61) 및 도관(58)과 독립적으로 함께 유체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즉, 개개의 노즐들과 도관들을 연결하는 유체 채널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관(58) 및 노즐(61)과 같이, 유체 도관(66) 및 유체 이송 노즐(6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되어야 한다.
노즐(61)과 같이, 유체 이송 노즐(64)은 대략적인 관형 구조를 가지며, 제2 결합 요소(65)에 결합된 근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유체 이송 노즐(64)의 원위 단부는 유체 이송 노즐(64)이 노즐 헤드(62')/제2 결합 요소(65)에 결합될 때 노즐 헤드(62')로부터 돌출된다. 유체 이송 노즐(64)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로(64b)(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유체 경로)를 한정하는 외벽(64a)을 포함한다. 중공 통로(64b)는 공기(또는 다른 유체)가 유체 이송 노즐(64)의 원위 단부에 포지셔닝된 유체 개구(64c)를 통해 저장소(3)로부터 중공 통로(64b)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유체 이송 노즐(64)의 원위 단부는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64d)를 더 포함한다. 피어싱 요소(64d)는 피어싱 요소(61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도관(66)은 저장소(3)로부터의 유체(예컨대, 공기)가 유체 이송 노즐(64)의 중공 통로(64b)를 따라 저장/배출을 위한 적합한 위치로 통과되는 도관으로서 제공된다. 공기의 경우에, 도관(66)은 도크(50)의 하우징의 개구로 이어질 수 있다. 유체 도관(66)은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관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 도관(66)이 도 7a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특히 저장소(3)로부터 배기되는 유체가 공기인 경우, 유체 도관(66)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노즐(64)에 결합되지 않은 결합 요소(65)의 단부는 환경/도크(50)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유체(공기)는 도크(50)의 하우징의 임의의 갭(gap)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현예들에 따른 노즐 헤드(62')는 2 개의 별도의 개별 노즐들을 포함한다. 제1 노즐, 즉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통로(61b)를 통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의 저장소(3)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반면, 제2 노즐, 즉 유체 이송 노즐(64)은 재충전 작동의 결과로서 저장소(3) 밖으로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노즐들(61 및 64) 둘 모두는 유사한 구조―개개의 통로(61b, 64c)에 결합된 개구들(61c, 64c)을 통해 각각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공기/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통로(61b, 64b)를 한정하는 외벽(61a, 64a)―를 갖는다. 노즐들(61 및 64) 둘 모두는 또한 개개의 피어싱 요소(61d, 64d)를 포함하며, 피어싱 요소들(61d, 64d) 각각은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노즐들(61 및 64)은 구성이 유사하지만, 노즐(61 및 64)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로들(61b 및 64b) 및 관련 개구들(61c 및 64c)은 상이한 크기들(직경들) 및/또는 형상들 또는 단면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어싱 요소들(61d 및 64d)은 노즐(61 및 64)의 직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이한 날카로움을 갖도록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논의된 바와 같이, 더 작은 직경의 노즐은 상대적으로 더 무딘 피어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격막 재료의 피어싱을 달성할 수 있음).
노즐들(61 및 6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합한 방식으로 노즐 헤드(62')에(노즐 헤드(62') 내의 내부 결합 요소(63, 65) 또는 노즐 헤드(62')의 외부면 상의 외부 결합 요소들(63, 65)에) 결합된다. 노즐(61)은 (도 7a에서 화살표(L)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송 메커니즘(53)을 통해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소스 액체를 수용하는 유체 도관(58)에 결합되는 반면, 노즐(64)은 저장소(3)의 재충전 동안에 저장소(3) 밖으로 유체(공기)를 수송하도록 구성된 유체 도관(66)에 결합된다. 따라서, 노즐 배열체(6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소(3)에 공급하고 또한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가스/액체가 저장소(3)에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노즐들(61 및 64)은 도 7a 및 도 7b에서 노즐 헤드(62')의 중심으로부터 본질적으로 등거리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노즐들(61 및 64)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노즐(61)은 노즐 헤드(62')에 대해 중앙에 제공될 수 있는 반면, 노즐(64)은 중심에서 벗어나 제공될 수 있다. 특정 배열은 도크(50)의 구조적 배열과, 도크(50)의 노즐 헤드 및 도관들의 배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즐들(61 및 64)은 서로 별도로 제공되고, 거리(d)만큼 분리되어 있다(특히 도 7a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들(61 및 64) 각각은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노즐들(61 및 64) 각각은 2 개의 개별 노즐들(61 및 64)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대응하는 거리(d)만큼 이격된 2 개의 위치들에서 물품(30)을 피어싱한다.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노즐 헤드(62')가 정지된 물품(3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물품(30)이 정지된 노즐 헤드(62')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또는 물품(30)과 노즐 헤드(62') 둘 모두가 서로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노즐 헤드(62')는 물품 포트(56)에서 물품(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 및 유체 이송 노즐(64) 둘 모두는 노즐 헤드(62')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또는 연장)된다. 노즐들(61, 64)의 범위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노즐 헤드(62') 및/또는 물품(30)의 상대 이동은 이동이 단일 방향으로 일 때 노즐들 모두가 격막을 피어싱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노즐 배열체(60')의 이중 노즐들로 인해, 따라서 물품(30)은 개개의 노즐들(61 및 64)의 개구들(61c 및 64c)이 재충전 작동 동안에(즉, 이전에 설명된 제2 포지션에서) 물품(30)의 저장소(3) 내에 포지셔닝(및 유지)될 수 있도록 노즐들(61 및 64) 둘 모두가 물품(30)을 피어싱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전술한 이중 노즐 배열체(6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품들의 2 개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8a는 단면에서 본 제1 물품(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에는 물품(30')의 상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물품(30')은 도 3에 설명된 물품(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물품(30)에 대한 차이점들만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물품(30')의 하우징(31')은 하우징(31')에 형성된 개구(32')가 노즐 배열체(60')의 2 개의 노즐들(61, 64) 사이의 이격 거리(d)보다 적어도 큰 치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물품(30)의 하우징(31)과 상이하다. 도 8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격 거리(d)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개구(32')는 이격 거리(d)보다 큰 범위를 갖는 것으로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개구(32')가 원형 개구(32')인 구현예들에서, 개구(32')는 이격 거리(d)보다 큰 직경을 갖지만; 정사각형 형상과 같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개구들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이격 거리(d)보다 클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33')은 (도 4a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격막(33')의 에지들이 개구(32')의 에지들에 접하도록 개구(32')에 제공된다. 격막(33')은 이전에 논의된 격막(3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상이한 치수들을 갖고, 상이한 재료―예를 들어, 격막(33')의 중간 영역에서 격막(33')이 자중 하에서 처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시에, 노즐 배열체(60')와 물품(30')이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노즐들(61 및 64) 각각은 상이한 위치들(예를 들어, 도 8a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들)에서 격막(33')을 피어싱한다. 격막(33')의 실제 치수는 격막(33')의 에지와 노즐(61 또는 64)이 격막(33')을 피어싱하는 지점 사이에 갭이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노즐에 의해 유발되는 응력 힘들이 격막(33')의 에지에 국소화되지 않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격막(33')과 개구 사이의 연결을 손상시키거나 약화시킬 가능성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노즐(61)의 개구(61c) 및 노즐(64)의 개구(64c) 둘 모두가 격막(33')을 각각 피어싱하여 저장소(3) 내에 위치될 때, 노즐 배열체(60')는 제2 포지션에 있다고 하며, 재충전이 일어날 수 있다(도 6의 단계 S4 및 S5에서와 같음). 대략적으로 말하면, 도 8a의 물품(30')은 격막(33')이 다수의 위치들(예를 들어, 2 개의 위치들)에서 동시에 피어싱될 수 있도록 배열된 격막(33')의 예를 제공한다.
도 8b는 단면에서 본 제2 물품(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b에는 물품(30")의 상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물품(30")은 도 3에 설명된 물품(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물품(30)에 대한 차이점들만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물품(30')의 하우징(31")은 2 개의 개구들(3261 및 3264)이 하우징(31")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물품(30)의 하우징(31)과 상이하다. 2 개의 개구들(3261 및 3264)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지만, 물품(30")의 저장소(3)가 개구들(3261 및 3264)을 통해 접근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개구(3261 및 3264)는 (도 4a와 관련하여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개개의 격막들(3261 및 3264)의 에지들이 개개의 개구들(3261 및 3264)의 에지들과 접하도록 도시된 개개의 격막(3361 및 3364)을 포함한다. 개구들(3261 및 3264)은 형상이 원형일 수 있고, 격막들(3361 및 3364)은 유사하게 형상화될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의 개구들 및 격막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구들(3261 및 3264)은 개구들(3261 및 3264)의 중심이 노즐 배열체(60')의 노즐들(61 및 64)의 종축들과 대략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즉, 개개의 격막들의 중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노즐들(61 및 64) 사이의 이격 거리(d)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사용 시에, 노즐 배열체(60')와 물품(30")이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노즐들(61 및 64) 각각은 대응 격막들(3361 및 3364)을 피어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61)은 격막(3361)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되고, 노즐(64)은 격막(3364)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다. 격막들(3361 및 3364) 각각은 원하는 경우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로 형성됨). 격막(3361)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및 피어싱 요소(61d)의 선택이 격막(3364)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및 피어싱 요소(64d)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조합들 둘 모두가 효과적으로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음―, 이러한 옵션은 도크(50)/노즐 배열체(60')의 설계자에게 보다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61)의 개구(61c) 및 노즐(64)의 개구(64c) 둘 모두가 대응 격막들(3361 및 3364)을 각각 피어싱하여 저장소(3) 내에 위치되는 경우, 노즐 배열체(60')는 제2 포지션에 있다고 하며, 재충전이 일어날 수 있다(도 6의 단계 S4 및 S5에서와 같음). 대략적으로 말하면, 도 8b의 물품(30")은 물품(30")이 다수의 위치들(예를 들어, 2 개의 위치들)에서 동시에 피어싱될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격막들(3361 및 3364)을 갖는 물품(30")의 예를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b 둘 모두는 개개의 개구들에 위치된 격막(33') 또는 격막들(3361 및 3364)을 도시하지만, 격막(33') 또는 격막들(3361 및 3364)은 대신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즉, 개구(32') 또는 개구들(3261, 3264)을 넘어서 연장되는 격막 또는 격막들을 가짐―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노즐 배열체(60')가 하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 및 하나의 유체 이송 노즐(6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노즐 배열체의 다른 변형예들은 하나 초과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 및/또는 하나 초과의 유체 이송 노즐(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를 물품(30)의 저장소(3)로 이송하기 위해 노즐(61)이 작동될 때 유체(예컨대, 공기)가 물품(30)의 저장소(3)에서 빠져나가거나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노즐 배열체(6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9는 노즐 배열체(60")를 측면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a와, 노즐 배열체(60")의 하측에서 본 단면도로 노즐 배열체(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b를 포함한다.
노즐 배열체(60")는 노즐(61'), 노즐 헤드(62"), 결합 요소(63), 제2 결합 요소(65) 및 유체 도관(66)을 포함한다.
노즐 헤드(62")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논의된 노즐 헤드(62)와 유사하게) 노즐 배열체(60")를 위한 베이스(base)로서 역할을 한다. 노즐 헤드(62")는 노즐 헤드(62")가 유체 도관(58)과 노즐(61')을 함께 유체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내부 결합 요소(6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노즐 헤드(62)와 대략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노즐 헤드(62)와 달리, 도 9의 노즐 헤드(62")는 노즐(61')의 일부를 유체 도관(66)(도 7의 유체 도관(66)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유체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열된 추가적인 내부 결합 요소(65)를 포함한다. 도 7과 관련하여 논의된 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노즐 배열체(6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소스 액체)가 유체 도관(58)을 통해 저장소(3)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하고 공기가 유체 도관(66)을 통해 저장소(3)에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요소들(63 및 65)은 임의의 적합한 결합 요소일 수 있고, 이전에 논의된 결합 요소들(63 및 65)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요소들(63 및 65)은 노즐 헤드(62") 내부에 있을 수 있거나, 노즐 헤드(62")의 외부면들 상에 제공되고 노즐 헤드(62')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를 통해 함께 유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배열체(60")과 노즐 배열체(60')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노즐 배열체(60")가 2 개의 별도의 통로들을 포함하는 노즐(61')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61')은 노즐(61') 내에 제1 중공 통로(61b') 및 제2 중공 통로(64b')를 포함한다. 2 개의 중공 통로들(61b' 및 64b')은, 노즐(61') 내에서 2 개의 중공 통로들(61b', 64b')이 서로 격리되고 하나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재료가 다른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없도록 서로 유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노즐(61')은 벽(61a')에 의해 형성된 외부의 대략적인 관형 구조를 포함한다. 외벽(61a')은 노즐(61'))의 근위 단부(결과적으로 결합 요소(63)에 부착됨)로부터 노즐 헤드(62")로부터 돌출되는 원위 단부까지 연장된다. 관형 구조 내에는 대부분의 노즐(61')에 대해 관형 구조를 2 개의 섹션들로 분할하는 분리 벽(64a')이 제공된다(특히 도 9b 참조). 도 9에서, 분리 벽(64a')의 좌측은 통로(64b')를 한정하고, 분리 벽(64a')의 우측은 통로(61b')를 한정한다. 도 9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 벽(64a')은 노즐(61)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노즐(61')의 근위 단부를 향해 그리고 결합 요소(63) 이전에 폐쇄된다. 외벽(61a')은 결합 요소(65)에 결합된 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따라서, 분리 벽(64a')은 관형 벽(61a')에 의해 한정된 용적부로부터 분리된 용적부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노즐(61')의 원위 단부에는, 중공 통로들(61b' 및 64b')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개구(61c') 및 제2 개구(64c')를 한정하도록 분리 벽(64a')에 의해 분할되는 개구가 제공된다.
도 7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공 통로(61b')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소스 액체)가 유체 도관(58)으로부터 개구(61c')를 통해 노즐(61')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중공 통로(64b')는 공기(또는 다른 유체)가 저장소(3)로부터 개구(64c')를 통해 중공 통로(64b') 내로, 그리고 노즐(61')의 벽(61a')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유체 도관(66)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공 통로(64b')가 중공 통로(61b')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또는 유체는 중공 통로(61b')를 통해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와 독립적으로 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중공 통로(64b')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즐(61')은 유체 이송 노즐(64)과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을 단일 구성요소로 효과적으로 조합한다. 제2 개구(64c')는 본원에서 유체 개구 또는 유체 입구로 지칭될 수 있는 반면, 제1 개구(61c')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들(61c', 64c')은 서로 분리되어 제공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매우 근접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노즐(61')의 원위 단부는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61d')를 더 포함한다. 피어싱 요소(61d')는 피어싱 요소(61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도관(66)은 저장소(3)로부터의 유체(예컨대, 공기)가 노즐(61')의 중공 통로(64b')를 따라 저장/배출을 위한 적합한 위치로 통과되는 도관으로서 제공된다. 공기의 경우에, 도관(66)은 도크(50)의 하우징의 개구로 이어질 수 있다. 유체 도관(66)은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관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 도관(66)이 도 9a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특히 저장소(3)로부터 배기되는 유체가 공기인 경우, 유체 도관(66)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노즐(61)에 결합되지 않은 결합 요소(65)의 단부는 환경/도크(50)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유체(공기)는 도크(50)의 하우징의 임의의 갭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연결 요소(65)도 생략될 수 있다.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노즐 헤드(62") 내부에 포지셔닝될 수 있거나, 노즐 헤드(62")와 노즐(61')의 원위 단부 사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 노즐 배열체(60")가 제2 포지션에 있도록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공기 또는 다른 유체가 노즐(61')로부터 환경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개구가 저장소(3) 외부에 있는 위치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공기 또는 다른 유체가 출구를 통해 저장소(3)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노즐(61')의 특정 구성을 도시하지만, 다른 구성들이 고려되고, 따라서 당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공기/유체를 저장소 내외로 수송하기 위한 제1 및 제2 중공 통로들(61b', 64b') 둘 모두를 갖는 적합한 노즐(61')을 배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중공 통로(64b')는 반드시 노즐(61')의 원위 단부에서 개구를 공유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개구(64c')는 원위 단부가 아닌 벽(64a')의 외부면 상의 포지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현예들에 따른 노즐 헤드(62")는 내부에 별개의 통로들을 포함하는 단일 노즐을 포함하고, 각각의 통로는 노즐(61') 내에 제공되는 관련 입구 및 출구를 갖는다. 제1 통로, 즉 중공 통로(61b')는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의 저장소(3)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반면, 제2 통로, 즉 중공 통로(64b')는 재충전 작동의 결과로서 저장소(3) 밖으로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노즐 배열체(60')는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소(3)에 공급하고 가스/액체가 저장소(3)에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노즐 헤드(62")가 정지된 물품(3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물품(30)이 정지된 노즐 헤드(62")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또는 물품(30)과 노즐 헤드(62") 둘 모두가 서로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노즐 헤드(62")는 물품 포트(56)에서 물품(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구현예에서, 조합된 노즐(61')은 노즐 배열체(60")와 물품(30) 사이의 상대 이동이 일어날 때 격막(33)을 피어싱한다. 노즐 배열체(60") 및 물품(30)이 제2 포지션에 포지셔닝될 때, 개구들(61c' 및 64c')은 저장소(3)에(격막(33) 아래에) 위치되는 반면, 공기가 저장소(3)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개구는 저장소(3) 외부에(격막(33)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된 노즐을 사용하여 저장소(3)를 효과적으로 재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도크(50),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것의 노즐 배열체(60', 6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소(3)로 이송하고 또한 유체(예를 들어, 공기)가 저장소(3)에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충전 작동의 결과로서 저장소(3) 내의 압력이 평형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격막 또는 복수의 격막들의 피어싱을 통해 간단한 재충전 절차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는 물품(30)에 대한 응력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움으로써 재충전 작동의 강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노즐 배열체들(60', 60")의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저장소(3)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는 공기 또는 유체가 저장소(3)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유체 개구(64c 또는 64c')와 비교하여 노즐(61 또는 61')의 종축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포지셔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는 유체 개구(64c 또는 64c')보다 노즐(61 또는 61')의 근위 단부로부터 더 멀리 포지셔닝된다.
현재 설명된 구현예들에서, 노즐(61, 61')에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노즐(61, 61')로부터 멀리 유동한다. 즉, 노즐(61, 61')은 (격막을 통해) 물품(30)의 상부를 피어싱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노즐(61, 61')에서 빠져나가서 물품(30)의 하부면을 향해 유동한다. 물품(30)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서, 격막/격막들을 포함하는 물품(30)의 하우징의 표면이 물품(30)의 하우징의 반대측 표면보다 앞에 포지셔닝되도록 물품 포트(56)에 본질적으로 유지된다. 그러한 구성은 중력 방향에 대해 물품의 상부면을 통해 물품이 충전되는 "상부-충전식 물품(top-filled article)"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한 상부-충전식 구성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에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후속적으로 유체 개구(64c 또는 64c')에 진입하는 것이 어렵도록, 유체 개구(64c 또는 64c')보다 격막 또는 격막들로부터 더 멀리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유체 개구(64c 또는 64c')에 진입할 수 있으려면 사실상 중력에 대항하여 유동하여야 하기 때문임). 보다 광범위하게는, 그러한 구성에서, 유체 개구(64c/64c')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61/61')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 30', 30")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할 때 유체 개구(64c/64c')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61c')보다 물품(30, 30', 30")의 격막(33, 33', 3361)에 더 근접하도록 배열되거나 포지셔닝된다.
대조적으로, 다른 구현예들에서, 물품(30)은 상이하게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서, 격막/격막들을 포함하는 물품(30)의 하우징의 표면이 물품(30)의 하우징의 반대측 표면보다 뒤에 포지셔닝되도록 물품 포트(56)에서 물품(30)이 배향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중력 방향에 대해 물품의 하부면을 통해 물품이 충전되는 "하부-충전식 물품(bottom-filled article)"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노즐(61, 61')은 (격막을 통해) 물품(30)의 하부를 피어싱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노즐(61, 61')을 따라(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대략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고, 노즐(61, 61')을 빠져나갈 때 물품(30)의 하부면을 향해 본질적으로 다시 되돌아서 유동한다. 이러한 상부-충전식 구성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에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후속적으로 유체 개구(64c 또는 64c')에 진입하는 것이 어렵도록, 유체 개구(64c 또는 64c')보다 격막 또는 격막들에 더 근접하게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또는 61c')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이는 저장소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레벨이 격막 또는 격막들로부터의 유체 개구(64c/64c')의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유체 개구(64c/64c')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임). 보다 광범위하게는, 그러한 구성에서, 유체 개구(64c/64c')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61/61')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 30', 30")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할 때 유체 개구(64c/64c')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61c')보다 물품(30, 30', 30")의 격막(33, 33', 3361)으로부터 더 멀리 있도록 배열되거나 포지셔닝된다.
상기 원리들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로 물품(30)이 물품 포트(56)에 유지되는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품의 재충전 배열체 및 노즐 배열체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61c')에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유체 개구(64c, 64c')로 쉽게 유동할 수 없도록 유체 개구(64c, 64c')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61c, 61c')의 상대 포지션들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노즐(61, 61')을 포함하는 노즐 배열체(60, 60', 60")를 사용하여 재충전 디바이스(도크(50))가 물품(30, 30', 30")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된 재충전 시스템이 대략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노즐(61, 61')은 물품(30)의 적어도 하나의 격막(33, 33', 3361)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되어, 노즐(61, 61')이 격막(33, 33', 3361)을 피어싱하고 노즐(61, 61')의 대응 개구(61c, 61c')가 저장소(3) 내에 위치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예를 들어, 소스 액체)를 물품(30, 30', 30")의 저장소(3)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예를 들어 저장소(3)의 재충전 동안에 물품(30)이 가스 또는 다른 액체를 통기(venting)할 수 없는 경우)에서, 노즐 배열체(60, 60', 60")에는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저장소(3)로부터의 유체의 통기을 허용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상기 메커니즘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격막(3364)을 피어싱하도록 설계된 별도의 유체 이송 노즐(64), 또는 저장소(3)로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이송을 위한 통로와 별도인 저장소(3)로부터의 유체의 이송을 위한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된 노즐(61')을 포함한다. 격막 또는 각각의 격막(33, 33', 3361, 3364)은 노즐(61, 61', 64)이 적절한 힘으로 격막 또는 각각의 격막(33, 33', 3361, 3364)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대응 노즐(61, 61', 64)이 격막(33, 33', 3361, 3364)을 피어싱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노즐(61, 61', 64)이 저장소(3)로부터 인출된 후에 격막 또는 각각의 격막(33, 33', 3361, 3364)이 재밀봉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이동 부품들에 의한 간단한 재충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물품(30, 30', 30")의 저장소(3)를 적합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용이하게 재충전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30)의 격막(33)은 적절한 특성들―주로, 노즐의 피어싱 요소에 의해 피어싱되는 능력과, 피어싱 요소/노즐이 저장소(3)/물품(30)으로부터 인출된 후에 재밀봉되는 능력―을 나타내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대응 격막을 피어싱하기 위한 노즐의 크기 및 형상(이송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유형/특성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격막 재료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반응성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대한 격막 재료의 투과성 면에서) 저장소(3)에 저장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특성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격막은 또한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장착될 때 자체-지지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자중 하에서 처지지 않아야 함), 이 특성은 격막의 두께 및/또는 밀도뿐만 아니라, 격막이 덮도록 설계된 개구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격막에 대한 특정 재료들의 성공 및 실패는 경험적으로 또는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주어진 노즐 배열체/물품 조합체에 대해 원하는 특성들을 달성할 수 있는 재료들을 생성, 획득, 또는 쉽게 입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격막 또는 각각의 격막(33, 33', 3361, 3364)(본원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편의상 격막(33)으로 집합적으로 지칭됨)은 복수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 개의 층들은 상이한 경도 특성들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층의 "경도"는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뿐만 아니라 층의 두께와 같은 다른 특성들 모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재료의 경도는 재료/층의 쇼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듀로미터(du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원리들에 따라 형성된 격막(33)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배열에 기초하고, 도 4a의 물품(3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격막(33)을 도시한다. 그러나, 격막(33)은 대신에 도 4b에서와 같이 물품(30)의 개구(32)를 넘어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개시된 격막(33)은 이전에 설명된 격막들(33, 33', 3361, 3364) 중 임의의 격막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막(33)은 제1 층(33a) 및 제2 층(33b)을 포함한다. 제1 층(33a)과 제2 층(33b)은 하나가 다른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열되어 라미네이트 구조(laminate structure)를 형성한다. 제1 층(33a)과 제2 층(33b)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또는 적합한 성형 기술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격막(33)의 라미네이트 구조는 재료의 제1 층(33a)의 노출된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1 표면, 및 제2 층(33b)의 노출된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1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표면을 갖는다. 격막(33)이 개구(32)를 덮도록 배열되는 경우, 제1 층(33a)은 물품(30)의 외부면(물품(30)의 외부 환경과 대면함)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면, 제2 층(33b)은 물품(30)의 내부면(물품(30)의 저장소(3)의 내부와 대면함)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제1 층(33a)은 제2 층(33b)보다 저장 영역(저장소(3))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다.
층들(33a, 33b) 각각은 개구(32)를 개별적으로 덮는다. 즉, 제1 층(33a)은 개구(32)를 덮도록 크기설정되고, 제2 층(33b)도 또한 개구(32)를 덮도록 크기설정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층은 적어도 개구(32)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층(33a) 및 제2 층(33b)은 모두 개구(32) 전체를 덮는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노즐(예를 들어, 노즐(61, 61' 또는 64)―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는 집합적으로 노즐(61)로 지칭됨)은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고, 격막(33)은 노즐(61)이 저장소(3)에 접근할 수 있기 전에 노즐(61)이 피어싱 방향으로 제1 층(33a) 및 제2 층(33b) 둘 모두를 통과/피어싱하도록 배열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층들(33a 및 33b)은 개구(32)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그러한 구성은 제조하기에 비교적 간단할 수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제2 층(33b)은 제1 층(33a)의 소정 영역(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고,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구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2 층(33b)보다 저장 영역(3)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 제1 층(33a)은 제2 층(33b)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재료로 형성된 제2 층(33b)은 밀봉/재밀봉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재료가 연질일수록, 피어싱 요소로 투과하기 더 용이하고, 피어싱 요소가 제거될 때 재밀봉하기 더 용이하다. 그러나, 증가된 연성으로 인해, 재료는 노즐(61)의 피어싱 요소(61d)에 의해 피어싱되기 전에 처지고 그리고/또는 변형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따라서 (특히 개구(32) 및 격막(33)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들에서―예를 들어, 도 8a에서와 같음) 물품(30)의 강인성을 감소시킨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질로 형성된 제1 층(33a)은 격막(33)에 강성을 부가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격막(33)의 전체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격막(33)은 피어싱 요소로 피어싱하기 더 어려울 수 있는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를 포함하지만, 제2 층(33b)에 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노즐(61)이 격막(3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유발되는 변형으로 인해 또는 물체(예들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다른 도구 등)가 격막(33)을 부주의로 가압할 경우에, 증가된 강성은 격막(33)의 의도치 않은 변형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층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경도들을 갖는 상이한 층들(33a, 33b)로 형성된 격막(33)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특성들이 향상된 격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재밀봉 능력을 위해 상대적으로 연질 재료가 선택될 수 있고, 구조적 능력을 위해 상대적으로 경질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양호한 강성 및 양호한 재밀봉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재료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경질의 제1 층(33a) 및 상대적으로 더 연질의 제2 층(33b)을 포함하는 2-층 격막을 제공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격막(33)의 상이한 층들의 특성들로 인해, 격막(33)으로부터 노즐(61)을 인출할 때 신속하지만(즉, 시일을 신속하게 형성함) 더 단기간의 시일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노즐(61)을 인출할 때 더 느리지만(즉, 시일을 더 느리게 형성함) 더 장기간의 시일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에서는 격막(33)이 상대적으로 더 연질 재료의 제2 층(33b) 위에 포지셔닝된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의 제1 층(33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층들이 역전될 수 있으며, 그렇지만 이것이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과는 상이한 성능 특성들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대적으로 더 연질 재료의 제2 층(33b)은 물품(30)의 외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표면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의 제1 층(33a)은 저장소(3)의 내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표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격막(33)의 2 개 층들, 즉 제1 층(33a) 및 제2 층(33b)은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33a)은 쇼어 D 스케일에서 54 내지 57의 쇼어 경도를 갖는 PTFE(또는 다른 재료) 또는 상대적으로 더 경질의 유사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제2 층(33b)은 쇼어 A 스케일에서 95 미만, 예를 들어 90 미만, 또는 80 미만 또는 70 미만의 쇼어 경도를 갖는 상대적으로 더 연질의 실리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쇼어 경도는 쇼어 A 스케일에서 30 내지 40 정도로 낮을 수 있다. 쇼어 경도는 기존의 테스트 기술들 및 조건들에 따라 듀로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쇼어 A와 쇼어 D 테스트들 사이의 차이점은 테스트될 재료를 프로빙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브(probe)의 형상/치수들이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격막(33)의 2 개 층들, 즉 제1 층(33a) 및 제2 층(33b)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각각의 층은 상이한 경도 특성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층(33a)은 쇼어 D 스케일에서 50 내지 60―쇼어 A 스케일에서 약 97 내지 100임― 정도의 쇼어 경도를 갖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33b)은 쇼어 A 스케일에서 95 미만, 예를 들어 90 미만, 또는 80 미만, 또는 70 미만의 쇼어 경도를 갖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의 쇼어 경도는 쇼어 A 스케일에서 30 내지 50, 예를 들어 40만큼 낮을 수 있다. 실리콘은 사용 동안에, 특히 다수 회의 노즐 삽입들에 걸쳐, 파손되거나/부서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는 PTFE와 같은 재료들보다 강인하기 때문에 격막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로서 특히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쇼어 경도의 차이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2 개의 층들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 및 제2 층의 두께들은 격막(33)의 2 개 층들의 상이한 성능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0.3 내지 5 ㎜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층들, 예를 들어 실리콘의 제1 및 제2 층들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층들 각각의 전체 특성들이 변경될 수 있고, 상이한 쇼어 경도들 및 따라서 상이한 성능 특성들을 갖는 층들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층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경도들 및 따라서 성능 특성들을 갖는 2-층 격막(33)이 실현될 수 있는 예들의 비배타적인 목록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상기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예들에서는 쇼어 A 스케일에서 97 내지 100 및 95 내지 30의 쇼어 경도를 각각 갖는 2 개의 층들을 가지는 격막들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개시의 제한적인 예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다른 구현예들에서, 2 개의 층들 중 더 경질 층은 쇼어 A 스케일에서 40 내지 60 범위의 쇼어 경도를 가질 수 있고, 2 개의 층 중 더 연질 층은 30 내지 50 범위의 쇼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주어진 다층 격막에 적합한 정확한 경도들은 노즐(61)의 크기/형상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도들은 경험적으로 결정되거나 주어진 배열에 대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원리들에 따르면, 다층 격막을 형성하는 층들 중 적어도 2 개의 층들에는 상이한 경도들/경도 특성들이 제공된다.
격막(33)이 상이한 경도 특성들을 갖는 제1 층(33a) 및 제2 층(33b)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러한 격막(33)은 주어진 노즐/피어싱 요소로 피어싱하기 어려울 수 있는 상대 경도를 갖는 제1 층(33a)을 포함할 수 있다. 주어진 노즐/피어싱 요소가 그러한 라미네이트 격막(33)을 피어싱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라미네이트 격막(33)에는, 약화된 영역(weakened region)을 포함하지 않는 라미네이트 격막(33)의 다른 영역들과 비교하여 피어싱 요소/노즐이 약화된 영역 내에서 격막(33)을 더 용이하게 피어싱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된 약화된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약화된 영역(34)을 더 포함하는 도 10의 격막(33)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에는 격막(33)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명확화를 위해 도 10의 특정 특징들이 생략되어 있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막(33)은 수직으로 배열된 점선으로 도시된 약화된 영역(34)을 포함한다. 약화된 영역(34)은 격막(33)의 주변 부분들보다 용이하게 피어싱되도록 변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격막(33)의 영역이다. 따라서 약화된 영역(34)은 도크(50)를 사용하는 재충전 작동 동안에 노즐(61)에 의해 피어싱되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노즐(61)이 물품(30)에 대해 이동될 때 노즐(61)과 정렬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격막(33)에 약화된 영역(34)을 제공한다는 것은 격막(33)을 피어싱하는 데 상대적으로 더 적은 힘이 필요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격막(33)을 피어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무딘 피어싱 요소가 노즐 배열체(60)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화된 영역(34)은 보다 용이하게 피어싱되도록 변형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화된 영역(34)은 격막(33)을 형성하는 주변 재료에 비해 약화된 영역(34)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더 연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약화된 영역(34)은 약화된 영역(34)에서 격막(33)을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조 환경에서 물품(30)에 격막(33)을 부착하기 전에, 격막(33)을 사전에 피어싱하여 약화된 영역(34)을 도입할 수 있다. 격막(33)을 사전 피어싱하는 경우, 피어싱 요소가 더 경질 재료의 제1 층(33a) 및 더 연질 재료의 제2 층(33b)을 통과한 후에 인출될 때, 인출 직후에, 피어싱 요소는 제1 층(33a) 및 제2 층(33b) 둘 모두에 개구를 남기며, 여기서 제2 층(33b)은 비교적 더 연질 재료로 형성된다. 피어싱 요소의 직경이 너무 크지 않다고 가정하면, 제2 층(33b)에 생성된 구멍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밀봉되는 반면, 더 경질 재료로 형성된 제1 층(33a)의 구멍은 재밀봉되지 않거나 덜 밀봉된다. 어느 경우에든, (사전 피어싱 후에) 약화된 영역을 통해 피어싱 요소를 통과시키는 것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며, 이는 피어싱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힘이 도크(50)에서 덜 필요하고 그리고/또는 더 무딘 피어싱 요소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는 더 경질의 제1 층(33a)에 대해 가장 현저할 가능성이 높지만,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전 피어싱이 더 연질의 제2 층(33b)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즉, 일부 구현예들에서, 약화된 영역(34)은 격막(33)의 제1 층(33a)에만 (또는 실질적으로 제1 층(33a)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약화된 영역(34)은 격막(33)의 제2 층(33b)에도 존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미네이트 격막(33)은 도 3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논의된 물품들(30, 30', 30") 중 임의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는, 라미네이트 격막(33)은 단일 노즐(61 또는 61')과 함께, 예를 들어 도 3, 도 5,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 배열체(60, 60") 등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 물품들(30)에 적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격막(33)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노즐(61, 64) 노즐 배열체(60')와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 물품들(30', 30")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미네이트 격막(33)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물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물품(30')의 경우에, 격막(33)은 제1 피어싱 요소(노즐(61)) 및 제2 피어싱 요소(노즐(64))에 의해 격막(33)의 2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피어싱되도록 크기설정된다. 격막(33)은 적절하게 크기설정된다(즉,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과 유체 이송 노즐(64) 사이의 이격 거리(d)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가짐). 그러한 경우들에서 격막(33)은 다수의(예를 들어, 2 개의) 약화된 영역들(34)을 가질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이 하나의 약화된 영역(34)에서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게 하고 유체 이송 노즐(64)이 다른 약화된 영역(34)에서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유체 이송 노즐(64)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과 상이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유체 이송 노즐(64)을 수용하기 위한 약화된 영역(34)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을 수용하기 위한 약화된 영역(34)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의 약화된 영역(34)만이 유체 이송 노즐(64)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물품(30")의 경우에, 라미네이트 격막(33)은 제1 격막(3361) 및/또는 제2 격막(3364)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체 이송 노즐(64)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61)과 상이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격막(33)은 필요한 경우 제1 격막(3361) 및 제2 격막(336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일 예에서, 도 10 또는 도 11의 라미네이트 격막(33)은 격막(3361)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반면, 단일 재료를 포함하는 격막(33)은 격막(3364)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구현예들에서, 라미네이트 격막(33)은 격막(3364)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즉, 격막(3364)은 제1 층(33a) 및 제2 층(33b)을 포함하며, 제1 층(33a)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층(33a) 및 제2 층(33b)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막을 포함하는 물품(30)이 설명되었으며, 여기서 제1 층 및 제2 층은 상이한 경도 특성들을 갖는다. 상이한 경도 특성들은 격막과 연관된 상이한 기능들―상대적으로 더 연질 재료는 피어싱 요소에 의해 피어싱되고 피어싱 요소가 제거될 때 재밀봉되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3)에 대한 선택적 접근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는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도록 제공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된 격막을 제공함으로써, 그 자체로는 부적합한 추가 재료들을 다른 잠재적으로 부적합한 재료들과 조합하여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격막(33)의 설계에 이용 가능한 재료들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격막이 제1 및 제2 층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격막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격막의 복수의 층들은 모두 상이할 수 있거나(또는 오히려,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동일한 재료들로 형성됨), 동일한 재료들로 형성된 층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들에서, 격막(33)은 제2 층(33b) 아래에 추가 층(즉, 저장소(3)에 더 근접한 추가 층)을 포함하는 3-층 라미네이트 구조일 수 있다. 추가 층은 제1 층(33a)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즉, 상대적으로 더 경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격막(33)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 층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 예를 들어 니코틴에 대해 화학적으로 내성(불활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격막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격막의 열화 또는 격막의 제2 층 내로의 니코틴의 침출(leeching)과 같은 임의의 악영향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즐(61)의 원위 단부는 피어싱 요소(61d)를 포함하며, 피어싱 요소(61d)는 도 5의 예에서 노즐(61)의 원위 단부가 뾰족부 또는 날카로운 에지로 테이퍼지도록 형상화됨으로써 제공된다는 것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피어싱 요소(61d)는 물품(30)의 격막(33)을 피어싱할 수 있도록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특정 구현예들에 적합할 수 있는 노즐(61)의 피어싱 요소의 추가 예들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2a 및 도 12b의 노즐들(61)의 피어싱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더 무딘 단부를 가지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 무딘 단부는 다수 회의 삽입들 및 인출들(예를 들어, 100회 이상의 삽입들/인출들)에 걸쳐 격막(33)의 완전성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무딘 피어싱 요소로 격막(33)을 피어싱하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이 필요할 수 있지만, 다수 회의 삽입들/인출들에 걸쳐 격막의 완전성/수명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5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설명에 대해서는 상기의 텍스트가 독자에게 참조된다. 여기서는 차이점들만이 설명된다.
도 12a에서, 노즐(61)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 피어싱 요소(161c)는 둥근 에지들(절두형 돔 형상에 근사함)을 갖는 것이다. 즉, 노즐(61)의 원위 단부 근처에서의 노즐(61)의 측벽들(61a)은 노즐(61)의 근위 단부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큰 양으로 노즐의 중심 종축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된다. 피어싱 요소(161c)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노즐(61)로부터 물품(30)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개구(16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개구(161c)는 노즐(61)의 축을 따라 볼 때 원형이고 통로(61b)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피어싱 요소(161d)는 개구(161c)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잘려져 있다.
둥근 절두형 돔 형상은 도 5의 테이퍼형 피어싱 요소(61d)보다 무딘 단부를 갖는 피어싱 요소(161d)를 또한 형성할 수 있는 절두형 원추와 같은 대안적인 형상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구(161c)는 도 5의 개구(61c)보다 작으며,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대한 특정 이송 속도들을 달성하기 위해 노즐 및/또는 이송 메커니즘(53)을 변형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2b는 노즐(61)의 원위 단부가 사실상 편평하게 형성되는 대안적인 피어싱 요소(261d)를 도시한다. 다시 말해서, 노즐(61)의 개구(261c)는 노즐(61)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피어싱 요소(261d)는 노즐(61)의 벽들(61b)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체이다(그렇지만, 벽들(61b)은 필요한 경우 피어싱 요소(261d)의 특정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노즐의 원위 단부 근처에서 테이퍼지거나 플레어링(flaring)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함).
따라서, 도 12a 및 도 12b는 도 5의 테이퍼형 피어싱 요소(61d)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딘 피어싱 요소(161d, 261d)의 일부 추가 예들을 도시한다. 피어싱 요소들의 다른 적절한 형태들도 또한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이용될 수 있으며, 도 5, 도 12a 및 도 12b는 피어싱 요소들의 예들의 배타적인 목록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12a 및 도 12b는 도 5의 노즐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도 12a 및 도 12b와 같은 더 무딘 피어싱 요소들이 도 7a, 도 7b, 도 9a 및 도 9b와 관련하여 설명된 노즐들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물품(30)의 저장소(3)에 저장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액체인 경우, 라미네이트 격막(33)의 제1 층(33a) 및 제2 층(33b) 둘 모두가 소스 액체에 불투과성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층들(33a 또는 33b) 중 하나만이 소스 액체에 불투과성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격막(33)의 설계자에게 이용 가능한 재료들의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30)은 격막(33)을 포함하고, 도크(50)는 격막(33)을 피어싱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재료, 예를 들어 소스 액체와 결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으로 이송하기 위한 노즐 배열체(60)를 포함하는 것이 상기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리들이 재충전 저장소(40)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3은 노즐 배열체(460)에 부가하여 도 2의 재충전 저장소와 같은 재충전 저장소(40)를 대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물품(30)이 아니라 재충전 저장소(40)의 맥락임에도 불구하고, 도 3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재충전 저장소(40)는 소스 액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42)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한정하는 벽 또는 하우징(41)을 포함한다. 재충전 저장소(40)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42)가 재충전 저장소(40) 밖으로 통과할 수 있는 출구 오리피스 또는 개구(44)를 포함한다.
또한, 재충전 저장소(40)는 재충전 저장소(40)의 개구(44)를 덮는 격막(433)을 포함한다. 격막(433)은 물품(30)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격막(3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예를 들어, 도 3, 도 4a, 도 4b, 도 8a, 도 8b, 도 10, 도 11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격막들 중 임의의 격막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음). 격막(433)은 개구(44)에 따라 적절하게 크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물품(30) 및 재충전 저장소(40) 둘 모두가 격막들을 포함하는 경우, 2 개의 격막들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는 것(즉, 동일한 치수들을 갖거나,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특성들을 가짐)이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크(50)는 노즐 배열체(460)를 포함한다. 노즐 배열체(460)는 물품(30)과 관련하여 전술한 노즐 배열체들(60) 중 임의의 노즐 배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배열체(460)는 노즐(461)(노즐(6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음), 노즐 헤드(462)(노즐 헤드(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음), 결합 요소(463)(결합 요소(6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음) 및 도관(58)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관(58)은 일 단부가 물품(30)을 재충전하기 위해 노즐(61)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추출하기 위해 노즐(461)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즐(61)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로서 설명되는 반면, 도 13에서는 노즐(461)은 노즐(461)의 개구(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개구(61c)와 유사함)를 통해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로서 설명된다. 그렇지 않으면, 노즐(46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61)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재충전 저장소(40)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노즐 헤드(462)는 물품(30)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노즐 헤드(62)와 실질적으로 분리되고 독립적일 수 있다. 즉, 노즐 헤드(462)는 노즐 헤드(62)와 독립적으로 작동(예를 들어, 이동)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노즐(461)을 재충전 저장소(40)와 결합시키기 위해, 노즐 헤드(462) 및/또는 재충전 저장소(40)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이들 둘을 서로 더 근접하게 하여, 노즐(461)이 재충전 저장소(40)의 격막(433)을 피어싱하게 한다. 이송 메커니즘(53)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물품(30)으로 이송하도록 작동하기 전에, 노즐(461)이 재충전 저장소(40)의 격막(433)을 피어싱하도록 배열/제어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노즐(61)은 도관(58)을 통해 노즐(461)에 결합되고, 노즐 헤드들(62 및 462)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경우, 도관(58)은 그러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구현예들에서, 노즐 헤드(62)와 노즐 헤드(462)는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즉, 단일 노즐 헤드가 노즐(61)과 노즐(461)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노즐(461)은 노즐 헤드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노즐(61)은 노즐 헤드로부터 노즐(461)의 방향과 반대인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들에서, 노즐(61)과 노즐(461)은 도관(58)을 통해 결합될 수 있거나, 도관(58)은 생략될 수 있고, 노즐들(61 및 461)은 결합 요소들(63, 463)을 통해 결합되거나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관(58)이 생략되는 경우들에서, 이송 메커니즘(53)으로서 연동 펌프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이송 메커니즘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충전 저장소(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고, 이송 메커니즘(53)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노즐들을 따라 물품(30)으로 짜내거나/밀어내도록 재충전 저장소(40)에 작용할 수 있다(그렇지만, 그러한 이송 메커니즘은 도관(58)이 생략되거나 노즐들이 동일한 노즐 헤드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함).
또한, 도 1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노즐 배열체(460)는 재충전 동안에 공기가 재충전 저장소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일부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도 7a, 도 7b, 도 9a 및 도 9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배열들 중 임의의 배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인출된다는 점에 주목).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 헤드(462)는 공기 유동을 위한 별도의 노즐(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음) 또는 공기 유동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갖는 변형된 노즐(461)(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음)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노즐/노즐 헤드는 재충전 저장소(40) 내로의 공기 유동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재충전 저장소(40)는 (예를 들어, 적합한 밸브를 통해 또는 재충전 저장소(40)의 변형 가능한 부분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인출함으로써 유발되는 재충전 저장소(40) 내부의 압력 변화들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30) 및 재충전 저장소(4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하나 이상의 격막들이 제공될 수 있고, 도크(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격막/격막들과 결합하여 이를 피어싱하도록 설계된 적합한 노즐 배열체(60, 460)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물품 또는 재충전 저장소(40)가 격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물품(30)/재충전 저장소(40)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상이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합한 밸브 배열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 둘 모두에 격막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는 데 사용하기에 편리한 재충전 저장소(40) 및 물품(30)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그리고/또는 간단한 방법이 제공된다.
논의된 바와 같이, 재충전 디바이스/도크(50)가 재충전 저장소(40)로부터 물품(30)으로 소스 액체를 이송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상기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예컨대, 고체들, 예를 들어 담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원리들은 다른 유형들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을 저장/유지하기 위한 적합한 재충전 저장소들(40) 및 물품들(30)과, 적합한 이송 메커니즘(53)이 당업자에 의해 그러한 구현예들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및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밸브 배열체는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격막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를 갖는 재충전 저장소뿐만 아니라,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 재충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 및 격막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를 포함하며, 노즐 배열체는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격막은 물품 및 재충전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다. 또한, 시스템 및 방법에 부가하여, 물품 및 재충전 저장소가 설명되어 있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 및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시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 제공되고, 여기에만 국한되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본원에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66)

  1. 에어로졸 생성 재료(aerosol-generating material)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article)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refilling device)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valve arrang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septum)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보다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둘 모두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실리콘이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의 실리콘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실리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격막의 제2 층은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피어싱 요소(piercing element)가 상기 격막으로부터 인출될 때 재밀봉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적어도 상기 격막의 제1 층에 약화된 영역(weakened region)을 포함하며, 상기 약화된 영역은 상기 약화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격막의 영역보다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 피어싱 요소에 대해 더 적은 저항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된 영역은 상기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를 상기 물품과 결합시키기 전에 사전에 피어싱된 격막의 피어싱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제1 피어싱 요소 및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제2 피어싱 요소에 의해 상기 격막의 2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피어싱되도록 크기설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적어도 상기 격막의 제1 층에 제2 약화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약화된 영역은 약화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격막의 영역보다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 제2 피어싱 요소에 대해 더 적은 저항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제1 격막이고, 상기 물품은 제2 격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격막들은 상기 물품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위치들에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막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5. 제1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막은, 상기 물품이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제1 피어싱 요소가 상기 제1 격막을 피어싱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제2 격막은, 상기 물품이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제2 피어싱 요소가 상기 제2 격막을 피어싱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aerosol generator)로 수송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 수송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기는 활성화 시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기에 제공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기는 활성화 시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상기 격막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액체 불투과성이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20.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refill reservoir)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
  21.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품; 및
    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품의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요소는 상기 격막을 통해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제20 항에 따른 재충전 저장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제20 항에 따른 재충전 저장소의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요소는 상기 격막을 통해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23.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물품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상기 격막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고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보다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고,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됨―; 및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격막의 제1 및 제2 층들 둘 모두를 피어싱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
  24.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상기 격막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고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보다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고,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됨―; 및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격막의 제1 및 제2 층들 둘 모두를 피어싱한 후에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
  25.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수단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 수단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물품.
  26.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 수단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고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
  27.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aerosol provision device)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port);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상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transfer mechanism); 및
    격막을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nozzle arrang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배열체는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막은 상기 물품 및 상기 재충전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밸브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밸브 배열체를 통해 상기 물품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물품 상에 제공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이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개구를 통해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상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 및 노즐 배열체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물품이 상기 포트와 결합될 때,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물품의 격막을 피어싱하게 제어되도록 상기 포트에 대해 상기 노즐 배열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포트에 위치된 물품의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되는 제1 포지션과,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물품의 외부에 위치될 때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노즐 배열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상기 이송 메커니즘이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이송하도록 제어될 때 상기 제1 포지션에 있도록 제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2. 제28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유체가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에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과 별개인 유체 이송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이송 노즐은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이송 노즐은 유체가 상기 유체 이송 노즐의 유체 개구를 통해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 및 상기 유체 이송 노즐은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5. 제33 항 또는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노즐 및 상기 유체 이송 노즐은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6.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에 부가하여 그러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와 별개인 유체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경로는 유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의 유체 개구를 통해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개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와 별개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8. 제33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개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39. 제33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유체 개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에 대해 상이한 포지션에 포지셔닝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0. 제33 항 내지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개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보다 상기 물품의 격막에 더 근접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1. 제33 항 내지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개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보다 상기 물품의 격막으로부터 더 멀리 있도록 포지셔닝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2. 제28 항 내지 제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노즐 헤드(nozzle head)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은 상기 노즐 헤드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도관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에 결합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4. 제27 항 내지 제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이고, 상기 이송 메커니즘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상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으로 이송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5. 제27 항 내지 제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6.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밸브 배열체를 통해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재충전 저장소 상에 제공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이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개구를 통해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7. 제46 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제2 밸브 배열체를 통해 상기 물품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제2 밸브 배열체가 상기 물품 상에 제공되며,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개구를 통해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8.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을 포함하는 제1 노즐 배열체가 제공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을 포함하는 제2 노즐 배열체가 제공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49. 제4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배열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50.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과 동일한 축을 따라 연장되지만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51. 제49 항 또는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은 일체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52.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및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53.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제1 노즐이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54.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및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을 포함하는,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
  55.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배열체는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제1 노즐이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상기 격막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재충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
  56.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27 항 내지 제45 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충전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57.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33 항 내지 제35 항, 및 제33 항 내지 제35 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38 항 내지 제45 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제52 항의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58.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36 항 내지 제37 항, 및 제36 항 내지 제37 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38 항 내지 제45 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제53 항의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59. 제56 항 내지 제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54 항 또는 제55 항에 따른 재충전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60.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에 결합된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노즐 배열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물품의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상기 격막은 상기 저장 영역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됨―; 및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격막을 피어싱한 후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물품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
  61.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에 결합된 재충전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된 노즐 배열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밸브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을 상기 재충전 디바이스의 포트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노즐 배열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피어싱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밸브 배열체의 격막을 피어싱하는 단계―상기 격막은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됨―; 및
    상기 피어싱 요소가 상기 격막을 피어싱한 후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추출 노즐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의 저장 영역을 재충전하는 방법.
  62.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될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 수단;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재충전 저장소로부터 상기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수단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 수단; 및
    격막 수단을 포함하는 밸브 수단과 결합하도록 배열된 노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수단은 상기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피어싱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노즐 수단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개구를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 경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막 수단은 상기 물품 및 상기 재충전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디바이스.
  63.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64.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물품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제1 노즐 수단이 상기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노즐 수단을, 그리고 제2 노즐 수단이 상기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노즐 수단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65.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1 격막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제2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제2 격막 수단을 포함하는,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
  66.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로서,
    상기 재충전 저장소는 상기 재충전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물품을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과 연통하는 상기 재충전 저장소의 개구를 덮도록 배열된 격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제1 노즐이 상기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노즐을, 그리고 제2 노즐이 상기 격막 수단을 피어싱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노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재충전 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저장소.
KR1020247007092A 2021-09-03 2022-08-26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KR20240049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12577.8 2021-09-03
GBGB2112575.2A GB202112575D0 (en) 2021-09-03 2021-09-03 Articles for refilling and refilling apparatus
GBGB2112577.8A GB202112577D0 (en) 2021-09-03 2021-09-03 Article for refilling and refilling apparatus
GB2112575.2 2021-09-03
PCT/GB2022/052197 WO2023031586A1 (en) 2021-09-03 2022-08-26 Article for refilling and refill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293A true KR20240049293A (ko) 2024-04-16

Family

ID=832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92A KR20240049293A (ko) 2021-09-03 2022-08-26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9293A (ko)
CA (1) CA3230114A1 (ko)
WO (1) WO20230315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828A (en) * 1933-06-12 1935-11-12 Novocol Chemical Mfg Co Inc Hypodermic syringe and closure cap for containers
US5482591A (en) * 1992-10-30 1996-01-09 Specialty Silicone Products, Inc. Laminated seals and method of production
US6162206A (en) * 1997-12-23 2000-12-19 Baxter International Inc. Resealable access site
DE10138191B4 (de) * 2001-08-03 2004-02-26 Helvoet Pharma Belgium N.V. Verschluss für Infusions- oder Transfusionsflaschen
CA2592432A1 (en) * 2004-12-23 2006-07-06 Hospira, Inc.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EP3146856B1 (en) * 2016-09-06 2022-03-16 Fontem Holdings 1 B.V. Syringe refiller for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EP3315034B1 (en) * 2016-09-06 2018-12-05 Fontem Holdings 2 B.V. Case for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with a first and a second wing element
DE102018124115A1 (de) * 2018-09-28 2020-04-02 Schott Schweiz Ag Primärpackmittel für pharmazeutische Substanzen
US20210120885A1 (en) * 2019-10-23 2021-04-29 Yi Xie System and method for refilling an electronic cigarette cartridge
CN113057382A (zh) * 2021-03-22 2021-07-02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雾化器、雾化系统及雾化系统的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1586A1 (en) 2023-03-09
CA3230114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7071B2 (ja) 電子たばこ個人用気化器
JP2022008578A (ja) 電子式ヴェポライザーシステム
AU2020269970B2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10087962A (ko) 기화기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KR20240049293A (ko) 재충전을 위한 물품 및 재충전 장치
JP2022538395A (ja) カートリッジ
KR20240024894A (ko) 리필용 장치
CA3132097C (en) Atomiser enclosure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WO2023094799A2 (en) Refilling device with venting nozzle, and refilling apparatus
KR20240049292A (ko) 재충전 디바이스 및 방법
WO2023281245A1 (en) Refilling apparatus
WO2023281435A1 (en) Top loading cartridge for an inkjet technology aerosol smoking system
CA3173104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4110755A1 (en) Device for holding and refilling articles for aerosol provision systems
CN118076249A (zh) 再填充设备
EP4069011A1 (en) Shisha device configured to perforate a cartridge
KR20240036682A (ko) 재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저장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물품을 재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유체 분배를 위한 노즐, 및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재충전 가능한 물품
WO2023170382A1 (en) Reservoir for refilling an article of an aerosol provision system
EP4076047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leak prevention
CN118042948A (zh) 再填充设备
IL293301A (en) A device for producing a spray with a perfora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