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130A -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130A
KR20240049130A KR1020230033009A KR20230033009A KR20240049130A KR 20240049130 A KR20240049130 A KR 20240049130A KR 1020230033009 A KR1020230033009 A KR 1020230033009A KR 20230033009 A KR20230033009 A KR 20230033009A KR 20240049130 A KR20240049130 A KR 2024004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light
male genital
penis
scro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희
박향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람
Priority to KR102023003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130A/ko
Publication of KR2024004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몸체, 몸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몸체를 각도 조절하고 몸체의 내측으로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시키는 힌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MALE GENITAL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는 감소한다. 이로 인해,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거나 피부탄력이 떨어지며 근육량이 감소하고, 골밀도 수치 감소, 고지혈증, 당뇨, 성기능 저하, 무력감, 및 피로감 등을 느낄 수 있다.
최근에는,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의사의 처방 또는 한정된 상황에서만 치료가 가능하고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남성의 생식기능을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2005년 09월 08일날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197682호, 2005년 01월 15일날 등록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065호, 1999년 05월 04일 등록된 미국 특허공보 US5899875, 및 2013년 04월 03일 등록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208호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하기 용이한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파장대의 광을 남성의 생식기에 조사하기 위한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몸체, 몸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몸체를 각도 조절하고 몸체의 내측으로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시키는 힌지 및 몸체에 구비되고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장치는,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광원, 면광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는,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의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이용하여 남성의 생식기에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하다"라고 표현한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하다고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의 동일함일 수 있다. 그 외의 표현들도 "실질적으로"가 생략된 표현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몸체(10), 힌지(11), 광조사장치(12), 및 전원버튼(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반고리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힌지(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남성)의 음경(미도시)에 접촉하고 좌측 음낭(미도시)을 마주하는 좌측 몸체(10(1))와 힌지(11)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경에 접촉하고 우측 음낭(미도시)을 마주하는 우측 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반고리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힌지(11)는 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11)는 몸체(10)의 중간지점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11)의 일측은 좌측 몸체(10(1))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우측 몸체(10(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일측은 힌지(11)가 보관될 수 있도록 통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힌지(11)의 절반은 좌측 몸체(10(1))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며, 힌지(11)의 나머지 절반은 우측 몸체(10(2))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힌지(11)는 각도조절되어 몸체(10)의 내측으로 음경과 음낭을 위치시킬 수 있다. 힌지(11)는 탄력성 있는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에 외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에 외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 사이의 각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힌지(11)에 의해 좌측 몸체(10(1))와 우측 몸체(10(2)) 사이의 각도가 늘어날 수 있으며 사용자(미도시)는 음경과 음낭을 몸체(10)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음경과 음낭이 몸체(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력이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에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힌지(11)에 의해 좌측 몸체(10(1))와 우측 몸체(10(2)) 사이의 각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음경과 음낭은 몸체(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무게중심이 XY평면과 평행한 지면과 수직이고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가 접촉되는 음경의 상부면의 일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법선벡터를 기준으로 신체의 중심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무게중심이 신체의 중심방향에 위치하므로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음낭 및 음경에서 탈착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무게중심이 가상의 법선벡터를 기준으로 신체의 중심방향에 위치하기 위해서 몸체(10)는 XY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a도)를 가지며 음경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는 XY평면을 기준으로 70도에서 120도 사이의 임의의 미리 설정된 각도(a도)를 가지며 음경에 접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10)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무게중심이 신체의 중심방향에 위치하기 위한 다양한 각도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각도(a도)를 가지며 음경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몸체(10)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무게중심이 신체의 중심방향에 위치하여 음낭 및 음경에서 탈착되지 않는 임의의 미리 설정된 각도(a도)를 가지며 음경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속옷(팬티)안에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를 음경 및 음낭에 착용한 상태에서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경 및 음낭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는 몸체(10)에 구비되고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고하면, 광조사장치(12)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서 음경 및 음낭과 마주하는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장치(12)는 음경 및 음낭을 향해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조사하는 복수 개의 점광원(L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고하면, 복수 개의 점광원(LS)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경 및 음낭과 마주하는 몸체(10)의 내면에는 투명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점광원(LS)에서 조사된 광은 투명판(미도시)을 투과하여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에서 조사되는 광의 미리 설정된 파장대는 가시광선 영역 전체에서 900nm까지의 적외선 영역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조사장치(12)에서 조사되는 광의 미리 설정된 파장대는 630nm에서 880nm 사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조사장치(12)에서 조사되는 광의 미리 설정된 파장대는 다양한 파장대로 설정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에서 광을 조사하는 기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조사장치(12)에서 광을 조사하는 미리 설정된 기간은 1분 또는 3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조사장치(12)에서 광을 조사하는 기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원버튼(13)은 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버튼(13)은 좌측 몸체(10(1))의 외측면에 구비되거나 우측 몸체(10(2))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전원버튼(13)이 소정의 시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턴-온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 또는 미리 충전된 전력이 광조사장치(12)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에 의해 전원버튼(13)을 다시 소정의 기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턴-오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면 광조사장치(12)에서 광의 조사가 중단되며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자동적으로 턴-오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고하면, 광조사장치(12)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서 음경 및 음낭과 마주하는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장치(12)는 음경 및 음낭을 향해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조사하는 면광원(L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고하면,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서 음경 및 음낭에 마주하는 상부측에 위치하는 면광원(LS)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소자,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소자, 및 전기발광(EL, ElectroLuminescent) 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와 달리 광조사장치(12)가 면광원(LS)을 포함하여 음경 및 음낭의 더 넓은 면적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음경 및 음낭과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상부면에 확산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점광원(LS)은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때, 확산패널(120)에 의해서 광이 확산될 수 있다.
이때, 확산패널(120)은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 또는 확산층(Diffusion Layer)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광조사장치(12)는 복수 개의 점광원(LS)을 포함하나, 복수 개의 점광원(LS)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널(120)을 더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음경 및 음낭의 더 넓은 면적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도 5(a)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확산패널(120)을 이용하여 도 3 및 도 4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면광원(LS)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 반사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점광원(LS)은 광조사장치(12)의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때 음경 및 음낭의 반대 방향으로 조사된 광은 반사패널(121)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반사패널(121)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또는 반사층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b)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광조사장치(12)는 복수 개의 점광원(LS)에서 방사형으로 조사되는 광을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패널(121)을 더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음경 및 음낭에 더 많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도 5(b)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반사패널(121)을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손실되는 광을 감소시키고 광을 음경 및 음낭에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음경 및 음낭에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상부면에 확산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 반사패널(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산패널(120)은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 또는 확산층(Diffusion Layer)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패널(121)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또는 반사층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광조사장치(1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점광원(LS)은 광조사장치(12)의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때 음경 및 음낭의 반대방향으로 조사된 광은 반사패널(121)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또한, 광조사장치(12)의 내부에서 점광원(LS)에 의해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조사된 광과 반사패널(121)에 의해 반사된 광은 확산패널(120)에 의해 확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5(c)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는 복수 개의 점광원(LS)에서 방사형으로 조사되는 광을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패널(121)을 더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손실되는 광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광원(LS)에서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조사된 광과 반사패널(121)에 의해 반사되어 음경 및 음낭의 방향으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널(120)을 이용하여 도 1, 도 5(a), 및 도 5(b)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음경 및 음낭의 더 넓은 면적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d)를 참고하면, 광조사장치(12)는 좌측 및 우측 몸체(10(1), 10(2))의 내부에서 음경 및 음낭과 마주하는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장치(12)는 음경 및 음낭을 향해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조사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L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d)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LS)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복수 개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LS)는 크기가 매우 작아 서로 매우 짧은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음경 및 음낭의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d)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광조사장치(12)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LS)를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에 비해 음경 및 음낭의 더 넓은 면적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도 3 및 도 4의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1)의 면광원(LS)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10: 몸체
11: 힌지
12: 광조사장치
13: 전원버튼

Claims (5)

  1.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상기 몸체를 각도 조절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시키는 힌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음경과 음낭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장치를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광원, 면광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micro) LED소자 중 어느 하나인,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널을 더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패널을 더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KR1020230033009A 2022-10-07 2023-03-14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KR20240049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009A KR20240049130A (ko) 2022-10-07 2023-03-14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03A KR102511380B1 (ko) 2022-10-07 2022-10-07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KR1020230033009A KR20240049130A (ko) 2022-10-07 2023-03-14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03A Division KR102511380B1 (ko) 2022-10-07 2022-10-07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130A true KR20240049130A (ko) 2024-04-16

Family

ID=85872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03A KR102511380B1 (ko) 2022-10-07 2022-10-07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KR1020230033009A KR20240049130A (ko) 2022-10-07 2023-03-14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03A KR102511380B1 (ko) 2022-10-07 2022-10-07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1607A1 (ko)
KR (2) KR102511380B1 (ko)
WO (1) WO20240758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6770B1 (fr) * 1994-11-16 1997-01-31 Lhd Lab Hygiene Dietetique Dispositif d'administration transdermique de medicaments pour le traitement de l'impuissance erectile masculine
US20050197682A1 (en) * 2004-03-02 2005-09-08 Sherry Fox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rectile sexual dysfunction using light energy
KR200373065Y1 (ko) * 2004-10-11 2005-01-15 주식회사소망메디칼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치료기
KR100889296B1 (ko) * 2007-10-16 2009-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호르몬증진 및 정자활성화 장치
KR200466208Y1 (ko) * 2011-05-26 2013-04-03 전자부품연구원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380B9 (ko) 2024-02-08
WO2024075880A1 (ko) 2024-04-11
KR102511380B1 (ko) 2023-03-17
EP4371607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170B2 (en) Multicolor light emitting diode treatment system with uniform illumination
US20100010593A1 (en) System of plaster and radiation device
JP2012510307A (ja) 発光装置
US20150283399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by light
KR102105495B1 (ko) 도광형 엘이디 마스크 장치
US20150039060A1 (en) Wearable and breathable photo therapy patch
KR102295253B1 (ko) 광 조사 장치
CN112218598A (zh) 具有背光模块的口腔护理照明设备及其使用方法
KR200474613Y1 (ko) 피부미용 마스크
WO2007000059A1 (en) Ocular light therapy device
KR20240049130A (ko)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US20120253432A1 (en) Light treatment system
KR101950429B1 (ko) 광 조사 장치
CN111420292A (zh) 一种光疗仪器及其制作方法
KR101172741B1 (ko) 저출력 레이저 치료가 가능한 휴대폰
JP2001286373A (ja) 照明装置付き鏡
US20120316623A1 (en) Phototherapy device
KR101940676B1 (ko) 광 조사 장치
WO2019024923A1 (zh) 鞋结构
JP2007313281A (ja) 便座装置
KR20200099678A (ko) 휴대용 led 피부미용기기
KR20200099677A (ko) 휴대용 led 피부미용기기
CN212547985U (zh) 一种光疗仪器
TWM581288U (zh) Mask structure applied to an illuminated keyboard
TWI815563B (zh) 支撐裝置及其底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