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08Y1 -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08Y1
KR200466208Y1 KR2020110004597U KR20110004597U KR200466208Y1 KR 200466208 Y1 KR200466208 Y1 KR 200466208Y1 KR 2020110004597 U KR2020110004597 U KR 2020110004597U KR 20110004597 U KR20110004597 U KR 20110004597U KR 200466208 Y1 KR200466208 Y1 KR 200466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velength band
input
information
l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321U (ko
Inventor
윤형도
서용곤
박재현
황성민
백광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20110004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0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의 LED 조명 장치는 복합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지원하는 복수의 LED들과 상기 복수의 LED들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설계된 LED 구동을 위한 회로 배선 및 상기 복수의 LED들을 기반으로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조절된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 배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각각의 LED들에 매칭되어 활성화 요청 시 해당 LED 구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각각 조절된 값이 할당된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번호 입력을 위한 키 배열,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키워드 입력을 위한 키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번호 정보, 파장대역 정보, 키워드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는 파장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Portable Multipurpose LED Lamp Device}
본 고안의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를 조명을 위한 백색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적(Red), 녹(Green), 청색(Blue)의 LED를 한 개로 패키징한 LED 패키지의 3원광에 의한 백색광을 내거나, 청색이나 황색의 LED에서 나오는 빛을 황색이나 청색 형광체를 통과하게 하여 단파장이 여러 가지 장파장의 빛으로 변하게 하여 의사 백색을 얻거나, 근자외선이 형광체를 통과하면서 형광 램프와 같이 백색을 내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LED는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종래 LED는 의료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의료 목적에 맞는 파장대역 예를 들면 자외선 파장의 특정 영역대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종래 LED는 후레쉬와 같이 광원 역할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는 경우 백색광이 조사되도록 LED들의 파장대역이 결정되고, 해당 LED들은 구동 시 사전 결정된 파장대역의 광만을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LED는 특정 목적을 위해 특정 파장대역의 광만을 조사하도록 제작되거나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목적을 위해서 다양한 장치들을 구매하여야 하며, 또한 구매된 장치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방법을 적절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적의 광 조사 기능을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합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독립적으로 각각 또는 일정 그룹별로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는 발광부,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발광부에 전달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각각의 고유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설계된 복수의 LED 또는 전원 공급 조절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역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부는 특정 파장대역의 LED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와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신호,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입력 버튼, 상기 발광부가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배열,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 조사를 위한 키워드 입력이 가능한 키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번호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특정 파장대역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장대역의 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LED의 주소값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특정 파장대역 정보, 상기 기능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할당된 입력 버튼 정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파장대역 정보와 해당 파장대역의 광 출력제어를 위한 LED 주소값 정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따른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한 전원 공급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다색광 DB,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역 정보, 해당 광의 세기, 광 조사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광 DB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는 상기 광 조사 시간 경과를 알람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복합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지원하는 복수의 LED들과 상기 복수의 LED들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설계된 LED 구동을 위한 회로 배선 및 상기 복수의 LED들을 기반으로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조절된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 배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각각의 LED들에 매칭되어 활성화 요청 시 해당 LED 구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각각 조절된 값이 할당된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번호 입력을 위한 키 배열,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키워드 입력을 위한 키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번호 정보, 파장대역 정보, 키워드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는 파장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목적의 조명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광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해당 조건에 맞는 광 조사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광 조사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의 LED 조명 장치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발광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발광부에 배열되는 복수의 LED 배열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발광부 회로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입력부 회로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발광부(110), 입력부(120), 전원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술한 구성을 감싸는 휴대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70)는 휴대용 케이스 일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추가적인 구조물 예를 들면 줄 등이 마련되어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가 상술한 각 구성들의 제어를 위해 제어부(160)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5 및 도 6 등에서와 같이 별도의 마이콤 형태의 제어부 추가 없이 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부(110)에서 특정 파장대역의 광이 직접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발광부(110)에서 그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입력부(120) 조작을 통하여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 및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어떠한 특성의 광이 조사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사용자 설정광 기능을 제공하여 반복적이며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형태의 조명 기능을 보다 적응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광부(110)는 다수의 LED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LED들은 다양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각각 또는 일정 그룹별로 조사되도록 제작 및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들가 각각 특정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입력부(120)로부터 특정 파장대역의 광 조사를 요구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발광부(11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특정 LED만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발광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30)와 접속되기 위한 소켓부(118), 소켓부(118)와 연결되며 LED 칩(114) 발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111), 방열부(111) 일측에 배치되며 LED 칩(114)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112), 상기 인쇄 회로 기판(112) 상에 배치되는 LED 칩(114), 상기 LED 칩(114)에서 발생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13), 광 성능 개선을 위한 확산판(115) 및 고방사각 렌즈(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켓부(118)는 발광부(110)를 케이스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전원부(130)와 접속되어 전원부(130) 전원을 인쇄 회로 기판(112)을 통하여 LED 칩(114)에 공급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방열부(111)는 LED 칩(114)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상기 LED 칩(114)에 포함되는 LED들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또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전체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LED 칩(114)에 포함된 다수의 LED들은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조절되어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거나, 각각의 LED가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13)은 LED 칩(114)을 제외한 인쇄 회로 기판(112)의 하부면과 인쇄 회로 기판(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LED 칩(11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쇄 회로 기판(112)의 상부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시킨다. 즉, 반사판(113)은 광이 요구되지 않은 방향으로 방사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LED 칩(114)에서 발생된 광이 일정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113)은 광을 잘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박막, 은 박막 또는 금 박막 중에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115)은 석영(quartz)류, 유리(glass)류 고분자, 자외선용 특수 아크릴 및 특수 플라스틱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115)은 LED 칩(114)의 하부 및 반사판(113)의 내부에 형성되어 LED 칩(114)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LED 칩(114)을 통해 나오는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확산판(115)은 레이저 가공, 코팅이나 증착, 스크래치, 에칭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확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확산판(115)을 통과한 광은 고방사각 렌즈(117)를 통과하면서 방사각이 커져 퍼지게 된다. 상기 고방사각 렌즈(117)는 석영(quartz)류, 유리(glass)류 고분자, 자외선용 특수 아크릴 및 특수 플라스틱류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LED 칩(114)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설명하면,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401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LED들이 나선형의 방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402에서와 같이 순차 방사 형태로 복수의 LED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40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LED들이 순차 형태인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404에서와 같이 슬롯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LED 칩(114)을 구성하는 복수의 LED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술한 LED 칩(114)에서 각각의 LED들은 복합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조되거나, 특정 파장 대역의 광만을 조사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특정 파장 대역의 광만을 조사하도록 LED 칩(114)이 구성된 경우,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복수의 LED들이 일정 그룹으로 그룹지어지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부(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발광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배선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LED들이 인쇄 회로 기판(112) 상에 도 4에서 설명한 형태 또는 설계자의 다양한 디자인에 따른 형태로 배치되면,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LED 칩(114)에 포함된 각각의 LED들을 입력부(120)와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 배선이 마련된다. 회로 배선은 각각의 LED들을 발광부용 먹스(119a)에 연결하는 신호 라인과 발광부용 먹스(119a)에 입력부(12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발광부용 커넥터(119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발광부(110)는 발광부용 커넥터(119b)에 전달되는 신호가 발광부용 먹스(119a)를 통하여 특정 LED를 구동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0)에 복수개의 버튼이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버튼은 발광부(110)의 특정 LED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해당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LED가 발광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발광부(110)는 입력부(12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동시에 복수개의 LED들이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발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발광부용 커넥터(119b)는 입력부(12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어부(160)를 통하여 입력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가 발광부용 커넥터(119b)에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는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파장대역 및 크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버튼은 상기 발광부(110)를 기반으로 조사될 수 있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과 일대일 매칭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120)는 20개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버튼은 발광부(110)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요구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개 이상의 버튼 중 제1 버튼은 파장대역이 백색으로 발광부(110)가 일반 후레쉬 기능을 지원하도록 요구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250~280nm로 구성되도록 제어하여 발광부(110)가 UV-C 기능으로 짧은 시간 내에 미생물을 강력히 살균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버튼은 토글 방식으로 마련되어 제1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제2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제1 버튼의 턴-온 상태는 턴-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3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280~325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버튼 활성화 시 상기 발광부(110)가 UV-B 기능 기반으로 중간 정도의 시간 소요에 따라 미생물 중력살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4 버튼은 발광부(110)가 파장대역이 325~40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110)가 UV-A 기능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긴 시간이 소용되는 미생물 저력살균 기능을 발휘하도록 지원한다. 제5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335~345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110)가 파리목류 해충 유인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6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360~37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부(110)가 나비, 모기류 유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7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340~38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는 범용 해충 유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제8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410~42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는 동물의 피부살균 예를 들면 여드름, 종창 등을 치료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제9 버튼은 발광부 파장대역이 440~45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식물생장제어 기능을 지원한다.
제10 버튼 및 제11 버튼은 각각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450~460nm 및 460~47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주로 잎의 면적을 넓게 하는 상추나 배추류 등의 생장 적용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제12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480~51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부(110)가 수족관 어류 집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13 버튼, 제14 버튼 및 제15 버튼은 각각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550~560nm 내에서 일정 파장 대역을 가지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해충기피, 하우스 및 농업분야, 정원, 야외, 가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3 버튼 내지 제15버튼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의 버튼으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제16 버튼은 발광부(110)의 파장대역이 640~650nm로 구성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발광부(110)는 해당 버튼 활성화 시 식물생장 기능을 지원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7 버튼은 발광부(110)가 파장대역 650~660nm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식물생장에 적용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17 버튼은 발광부(110)가 엽록소 작용최대 기능을 지원하도록 655nm 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되거나 발아작용과 잎의 배포화아 형성을 위해 660nm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7 버튼은 각각의 광을 조사하도록 두 개의 버튼으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도 있다.
제18 버튼은 발광부(110)가 파장대역660nm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배정받을 수 있으며, 제18 버튼이 활성화되면 발광부(110)는 발모 및 탈모예방 기능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9 버튼은 발광부(110)가 파장대역 775~785nm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식물에 특별한 신장효과촉진을 지원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0 버튼은 파장대역이 815~820nm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배정받을 수 있으며, 제20 버튼 활성화 시 발광부(110)는 해당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여 피부깊이 침투하여 콜라겐생성에 관여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부(120)는 다양한 버튼을 마련하고, 해당 버튼 활성화를 위한 동작 수행 시 할당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전달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광을 발광부(110)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발광부(110)에 공급되는 신호의 흐름과, 신호의 크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입력부(120)는 광의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장치 턴-온 및 턴-오프 제어를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설정광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별도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특정한 설정광 기능으로 할당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설정광 기능으로 세팅하면, 해당 버튼 활성화 시 기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이, 설정된 세기를 가지고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특정 키워드 입력을 위한 키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20)는 한글 자모음을 포함하는 키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특정 키워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가 키 배열로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번호 고정 할당 버튼 형식은 숫자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로 대체되거나 키 배열에 대응하는 키맵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입력부(120)는 발광부(110) 또는 제어부(160)와 연결되는 입력부용 커넥터(129b), 입력부용 커넥터(129b)와 연결되는 입력부용 먹스(129a), 다수의 입력 버튼들(12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버튼들(121)은 앞서 설명한 20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광의 세기를 높이거나 줄일 수 있는 업/다운 버튼,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를 턴-온/턴-오프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용 커넥터(129b)는 발광부용 커넥터(119b)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버튼들(121) 중 특정 입력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입력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광부(1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발광부(110)는 눌려진 입력 버튼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LED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파장대역의 광이 출력되기 위하여 특정 파장대역의 광으로 발광하도록 마련된 LED가 활성화되거나 다수의 LED가 조절된 전원의 크기 및 듀티사이클을 기반으로 해당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발광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본 고안의 LED 조명 장치의 휴대 목적을 지원하기 위하여 휴대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0)는 입력부(120)에서 선택된 입력 버튼에 대응하여 특정 LED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일정 LED들이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전원의 크기와 듀레이션이 조절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입력부(120)에 포함된 버튼 중 특정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또는 키 배열에 의해 특정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버튼 또는 번호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시부(140)는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120)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40)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가 제공하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과 입력부(120)의 각 버튼에 매칭되는 정보, 각 파장대역의 광이 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요청 또는 해당 버튼 활성화 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입력부(120)가 특정 문자 입력 가능 형태로 마련되고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입력부(120)의 버튼 정보 또는 할당된 번호 정보, 해당 버튼이나 번호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파장대역 정보, 해당 파장대역으로 출력되는 광의 기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입력부(120)를 구성하는 입력 버튼들(121)에 매칭된 파장대역 정보와 각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다색광 DB(151)와 사용자 설정에 따른 특정 설정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광 DB(153)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색광 DB(151) 및 설정광 DB(153)는 각각 제어부(160) 호출에 따라 호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저장된 정보가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다색광 DB(151)는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버튼이 20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다색광 DB(151)는 각각의 버튼이 어떠한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색광 DB(151)는 각각의 버튼에 의해 조사된 파장대역의 광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색광 DB(151)는 발광부(110)에 배치된 LED 칩(114)의 LED들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색광 DB(151)는 LED 칩(114)의 각 LED들이 고유 파장대역 영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마련된 경우 해당 LED들과 입력부(120)의 입력 버튼들의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다색광 DB(151)는 각 번호들과 각 LED들을 매칭한 매칭 정보 또는 각 번호들에 할당된 특정 파장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번호를 선택하는 경우 다색광 DB(151)를 기반으로 어떠한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여야 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특정 주소값으로 배치된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 칩(114)이 복합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상기 다색광 DB(151)는 입력 버튼들 또는 입력 번호들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을 특정 LED들이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정보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발광부(110)에 공급되는 전원 조절을 통하여 입력된 번호 또는 버튼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정광 DB(153)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를 제공하는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광 정보 또는 해당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작성한 설정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설정광 DB(153)는 사전 설정된 핫 키 정보 또는 핫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광 DB(153)는 해당 핫 키 정보 및 핫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 광의 세기 및 조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핫 키 정보 및 핫 키워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해당 정보를 설정광 DB(153)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이 기 설정된 세기와 시간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특히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발광부(110)가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제어부(160)는 현재 조사되는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특성과 기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의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 판단부(161), DB 검색부(163) 및 발광 제어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판단부(161)는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즉 입력 신호 판단부(161)는 입력부(12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미리 할당된 번호 정보인지 키워드 정보인지 등을 판단하고 이를 DB 검색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DB 검색부(163)는 입력 신호 판단부(16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다색광 정보 또는 설정광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DB 검색부(163)는 입력 신호 판단부(16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다색광 DB(151) 및 설정광 DB(153)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검색부(163)는 입력부(120)로부터 특정 번호 또는 해당 번호가 부여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달된 경우,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정보를 다색광 DB(151)에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광에 대한 정보는 해당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발광부(110)에 배치된 LED 칩(114) 중 특정 LED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LED가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해당 LED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 및 듀티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특정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DB 검색부(163)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DB 검색부(163)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다색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탈모” 키워드를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 DB 검색부(163)는 상술한 버튼 정보들을 기준으로 “탈모”와 관련된 입력 번호 또는 버튼 번호 “18”번을 다색광 DB(151)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DB 검색부(163)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18번 버튼에 대응하는 광이 출력되도록 해당 정보를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B 검색부(163)는 키워드 입력 시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정광 정보를 설정광 DB(153)에서 검색하고, 이를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로부터 “휴대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DB 검색부(163)는 “휴대폰”을 색인으로 하는 설정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을 색인으로 하는 설정광 정보는 휴대폰을 살균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장대역의 특정 광 정보와 해당 광의 세기 및 광의 조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본 고안의 LED 조명 장치 제조자에 의하여 사전 정의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추후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를 기반으로 특정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발광 제어부(165)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장대역의 광 정보와 함께 광의 세기 및 지속 시간이 자동으로 세팅하여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물에 대한 살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피부”를 키워드로서 입력하는 경우 DB 검색부(163)는 “피부”와 관련된 설정광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와 관련된 설정광 정보는 피부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광의 파장대역 정보와, 해당 광의 세기 및 광의 조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계자에 의해 사전 정의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 정의된 정보 또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DB 검색부(163)는 키워드 검색에 따라 다색광 DB(151) 및 설정광 DB(153) 모두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DB 검색부(163)는 다수개의 결과가 검색되면 해당 결과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수의 결과 중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 결과 선택 시, 선택된 정보는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되어 선택된 정보에 맞는 광이 출력되도록 발광부(11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165)는 DB 검색부(163)로부터 전달된 다색광 정보 또는 설정광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LED를 이용하여 해당 광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LED들이 각각의 고유 파장대역에 해당하는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경우 발광 제어부(165)는 DB 검색부(163)로부터 전달된 광 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LED들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 및 듀티싸이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경우 발광 제어부(165)는 전달된 광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들이 해당 광 정보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제어부(165)는 DB 검색부(163)로부터 다색광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이 조사되도록 발광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신호 판단부(161)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DB 검색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DB 검색부(163)는 키워드가 전달되면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광 출력을 위해 할당된 번호 정보를 다색광 DB(151)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발광 제어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165)는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는 설정광 정보로서 설정광 기능 이용을 위해 운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 제어부(165)는 DB 검색부(163)로부터 설정광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파장대역의 광, 기 설정된 광의 세기, 기 설정된 광의 조사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발광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입력하는 경우 발광 제어부(165)는 “휴대폰” 살균을 위한 파장대역의 광, 광의 세기 및 광 조사 시간을 수집한다. 그리고 발광 제어부(165)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파장대역의 광을 기 설정된 광의 세기와 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발광부(110)를 통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165)는 기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되면 이에 대한 알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휴대폰 살균을 위해 어떠한 파장대역의 광이 얼마만큼 필요한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간단한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휴대폰 살균 작업을 손쉽게 그리고 전원의 낭비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피부”를 입력하는 경우 발광 제어부(165)는 DB 검색부(163)로부터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 제어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발광부(11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피부의 경우 살균을 위한 파장대역 정보뿐만 아니라 광의 세기 및 광 조사 시간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즉 피부의 경우 일정 이상의 세기의 광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피부 질환이 발생하거나 피부 괴사가 발생할 수 도 있으며, 적절한 광이 조사되지 않으면 살균 효과가 거의 없어 노동력 낭비가 발생하거나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발광 제어부(165)는 사용자가 “피부”를 입력하는 경우 피부 살균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파장대역의 광과, 광의 세기 및 광 조사 시간을 선택하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 살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복적이며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피부 살균과 같은 작업을 번거로운 장치 설정 과정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165)는 핫 키 또는 핫 키워드 기반의 설정광 정보가 세팅되는 과정에서 해당 핫 키 또는 핫 키워드에 대한 반복 사용 선택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한 번의 정보 설정 이후 핫 키 또는 핫 키워드 입력만을 통하여 원하는 광 조사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진딧물”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설정광 DB(153)를 검색하여 해당 진딧물 제거를 위해 요구되는 파장대역의 광 정보와, 광의 세기 및 광 조사 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표시부(14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광 조사 시간에 대한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여 광 조사가 이루어진 후 기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되면 광 조사를 중지하고 타이머 만료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는 광 조사 방식으로 살균 기능이나 기타 식물 생장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키워드 입력을 기준으로 설정광 이용 사례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키워드뿐만 아니라 특정 번호 입력을 기반으로 설정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정광 번호로서 “0번” 또는 “100번”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번호에는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기 설정된 세기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하는 설정광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20)로부터 해당 번호 입력이 발생하면 발광 제어부(165)는 해당 번호에 링크된 설정광 정보를 기반으로 광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설정광 정보 세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기반으로 설정광 정보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설정광 정보 세팅의 색인으로서 사용자는 특정 숫자나 특정 키워드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광 정보 세팅을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 또는 특정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 또는 특정 번호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하여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기반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파장대역의 광 정보와, 광 세기 및 광 조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조사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 없이 각각의 상황에 맞게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본 고안의 장치는 각각의 파장대역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여 광 이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고안의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10)는 설정광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별로 각각 다르게 사용하는 광 이용 사례를 적응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110 : 발광부
120 : 입력부 130 : 전원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다색광 DB 153 : 설정광 DB
160 : 제어부 161 : 입력 신호 판단부
163 : DB 검색부 165 : 발광 제어부
170 : 고정부

Claims (8)

  1. 복합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독립적으로 각각 또는 일정 그룹별로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는 발광부;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발광부에 전달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각각의 고유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설계된 복수의 LED 또는 전원 공급 조절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역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특정 파장대역의 LED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와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신호,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입력 버튼;
    상기 발광부가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배열;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 조사를 위한 키워드 입력이 가능한 키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번호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특정 파장대역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장대역의 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LED의 주소값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특정 파장대역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장대역의 기능 정보, 상기 입력 신호에 할당된 입력 버튼 정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파장대역 정보와 해당 파장대역의 광 출력제어를 위한 LED 주소값 정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따른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한 전원 공급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다색광 DB;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역 정보, 해당 광의 세기, 광 조사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광 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시간 경과를 알람하기 위한 타이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8. 복합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지원하는 복수의 LED들과 상기 복수의 LED들 중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설계된 LED 구동을 위한 회로 배선 및 상기 복수의 LED들을 기반으로 특정 파장대역의 광 출력을 위해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조절된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 배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각각의 LED들에 매칭되어 활성화 요청 시 해당 LED 구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전원 크기와 듀레이션이 각각 조절된 값이 할당된 입력 버튼,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번호 입력을 위한 키 배열, 상기 복수의 LED들이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매칭된 키워드 입력을 위한 키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번호 정보, 파장대역 정보, 키워드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는 파장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KR2020110004597U 2011-05-26 2011-05-26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KR200466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97U KR200466208Y1 (ko) 2011-05-26 2011-05-26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97U KR200466208Y1 (ko) 2011-05-26 2011-05-26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21U KR20120008321U (ko) 2012-12-05
KR200466208Y1 true KR200466208Y1 (ko) 2013-04-03

Family

ID=4751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97U KR200466208Y1 (ko) 2011-05-26 2011-05-26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80B1 (ko) * 2022-10-07 2023-03-17 주식회사 다람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57B1 (ko) * 2015-07-14 2016-02-11 엘티프로(주) 다용도 엘이디 랜턴
KR200488358Y1 (ko) * 2017-04-25 2019-04-11 김부윤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101892996B1 (ko) * 2018-01-09 2018-08-29 김갑수 태양스펙트럼에 근접한 엘이디 패키지 광원이 내장된 백색 가시광 조명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88A (ko) * 2000-03-22 2000-07-05 장준호 다색 표현 손전등
KR20090003242A (ko) * 2006-02-20 2009-01-09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조명 디바이스, 카메라 장치, 및 물체 조명 방법
JP2010244905A (ja) 2009-04-07 2010-10-28 Kenichi Kawagoe 携帯用ライトおよび液晶シャッタユニット
KR20100136627A (ko) * 2009-06-19 2010-12-29 전자부품연구원 휴대용 삼파장 led 복합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88A (ko) * 2000-03-22 2000-07-05 장준호 다색 표현 손전등
KR20090003242A (ko) * 2006-02-20 2009-01-09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조명 디바이스, 카메라 장치, 및 물체 조명 방법
JP2010244905A (ja) 2009-04-07 2010-10-28 Kenichi Kawagoe 携帯用ライトおよび液晶シャッタユニット
KR20100136627A (ko) * 2009-06-19 2010-12-29 전자부품연구원 휴대용 삼파장 led 복합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80B1 (ko) * 2022-10-07 2023-03-17 주식회사 다람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WO2024075880A1 (ko) * 2022-10-07 2024-04-11 주식회사 다람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21U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rget An introduction to light-emitting diodes
US20120044713A1 (en) Compact High Brightness Led Aquarium Light Apparatus, Using an Extended Point Source Led Array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2008027553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rapeutic light
US10237943B2 (en) Ring-shaped light-emitting heat-dissipating fan
KR200466208Y1 (ko)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US8523385B2 (en) Compact high brightness LED grow light apparatus, using an extended point source LED array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9137874B2 (en) Illumination and grow ligh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2009502377A5 (ko)
US20060253175A1 (en) Programmable photo power source
US10764981B2 (en) Tunable LED light array for horticulture
US9713221B2 (en) Luminaire
US20180135830A1 (en) Led grow light
KR20100136626A (ko)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US20200229405A1 (en) Led terrarium light for reptiles, amphibians, and birds, using an extended point source led array with light emitting diodes of multiple wavelengths
WO2017117577A1 (en) Plant growth lighting system
KR20190072778A (ko) 키보드 살균 덮개 장치
KR20120083770A (ko) 발광 다이오드의 디지털 디밍과 연성회로 기판을 이용한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JP2007054595A5 (ko)
US20230024415A1 (en) Uv led curing apparatus
US11821609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adjustable focal length light
KR20120021832A (ko) 전구형 엘이디 램프
CN211310934U (zh) 一种紫外辐照系统
JP2016086783A (ja) 照明システム
JP2022068686A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光照射型美容装置
JP2010193754A (ja) 害虫防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