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718A -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718A
KR20240047718A KR1020220127098A KR20220127098A KR20240047718A KR 20240047718 A KR20240047718 A KR 20240047718A KR 1020220127098 A KR1020220127098 A KR 1020220127098A KR 20220127098 A KR20220127098 A KR 20220127098A KR 20240047718 A KR20240047718 A KR 2024004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am
frame
shock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에이치스트럭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에이치스트럭쳐 filed Critical (주)에이엔에이치스트럭쳐
Priority to KR102022012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718A/ko
Publication of KR2024004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1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energy absorb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mitigating impact loads for passenger seats, e.g. at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48Lower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UAM 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좌석에 있어서, 좌석 형태의 탑승 프레임이 형성되고, 탑승 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탑승 프레임 하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수직한 충격을 완화 시키는 제 1 충격완화부 및 설치면과 수평방향으로 일면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면은 일면과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UAM SEAT WITH ENERGYABSORBING DEVICE}
본 발명은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AM의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해 탑승자의 탑승편의성을 증가시키고, UAM의 운행 도중 위급상황 발생 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항공용 좌석의 경우 승객 좌석의 구성과 특정 구조 설계 및 승객 편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무겁고 부피가 큰 형태의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를 사용해 왔다. 이는 탑승자의 탑승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으로써 종래에는 더욱 두꺼운 패딩을 구비하는 시트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두꺼운 폼에 경우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승객 탑승의 편의성 및 구조적 지지에 필요한 것으로 통상 여겨졌다.
그러나, 기존에는 부피가 크고 두꺼운 패딩을 이용함으로써, 다리 공간을 늘리거나 구조에 사용할 수 있는 귀중한 캐빈 공간을 소비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의 경우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신체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쿠션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 시, 쿠션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신체가 가벼운 탑승자 또는 무거운 탑승자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함에 따라 신체가 무거운 탑승자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이 과도하게 변형되므로 시트가 파손되거나 완충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부피가 작고, 내구성이 뛰어난 형태의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좌석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였다.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10-1998-0059135호 "승객 좌석용 서스펜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탑승객용 좌석에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하여 UAM의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부피가 커다란 시트의 구비가 강제되지 않아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진시키고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경제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킨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에 제시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은, 좌석 형태의 탑승 프레임이 형성되고, 탑승 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탑승 프레임 하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수직한 충격을 완화 시키는 제 1 충격완화부 및 설치면과 수평방향으로 일면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면은 일면과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탑승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 1 탈착 홀이 형성되는 시트팬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2 탈착 홀이 형성되며, 안전띠 고정 및 거치가 가능한 안전띠 고정 홀이 형성되는 백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충격완화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구비되되, 상기 탑승 프레임과 축 연결되어 수직하게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되는 제 1 폴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폴딩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에 장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내구도 소진 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각각 일면과 타면의 끝단이 호의 형태로 연결되고, 일단이 내각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호의 원주상 일측과 연결되는 지지 축을 구비하여 상기 탑승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은, 상기 지지부와 설치면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 케이스 및 상기 장착 케이스의 길이를 따라 지지부 일면의 하측에 수축 및 이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좌우 흔들림을 흡수하는 제 2 폴딩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충격완화부는, 상기 지지부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UAM의 회전 및 방향전환 시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폴딩장치를 승강 및 하강 시킴으로써, 상기 UAM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은 충격저감판을 구비함으로써, UAM 운행 중 탑승객에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탑승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커다란 시트의 구비가 강제되지 않아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또한, UAM의 운행 경로에 따라 좌석의 자세가 제어됨으로써, 탑승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탑승 프레임의 세로 축 및 가로 축을 분해한 분해도.
도 6은 도 4의 탑승 프레임에 시트팬이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등받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등받이 프레임에 백레스트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더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9의 제 1 폴딩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 케이스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장착 케이스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의 동작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세제어창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18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 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탑승 프레임의 세로 축 및 가로 축을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6은 탑승 프레임에 시트팬이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등받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등받이 프레임에 백레스트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는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더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제 1 폴딩장치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내지 3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1)은 프레임부(100), 제 1 충격완화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좌석의 형태로 형성되는 탑승 프레임(110)이 형성되고, 탑승 프레임(11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내구성이 뛰어난 형태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탑승 프레임(110)은 상면에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시트(미도시)와 같은 형태의 구성을 추가 할 수 있다.
자세히는 도 4를 참조하면 탑승 프레임(110)은 한 쌍의 세로 축(111) 및 한 쌍의 세로 축(111)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 축(112)이 형성되고, 탑승 프레임(110)의 상방에는 시트팬(113)을 장착 할 수 있다.
더 자세히는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세로 축(111)의 각각의 측면에는 나사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로 축(111)은 일면에 다수 개의 제 1 고정 홀(111a)이 형성되어 탑승 프레임(110)에 시트와 같은 형태의 구성이 추가 할 때,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 홀(111a)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규격의 시트를 고정할 수 있다.
가로 축(112)은 일단과 타단에 나사 홀(H)을 구비하여, 한 쌍의 세로 축(111)의 측면에 구비된 나사 홀(H)과 수나사가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축(112)은 세로축(111)과 고정 후, 수나사의 회전을 통해 세로축(111)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가로축(112)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연결 홀(112a)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제 1 충격완화부(200)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팬(113)은 탑승 프레임(11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 1 탈착 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시트팬(113)은 제 1 고정 홀(111a)과 제 1 탈착 홀(113a)의 위치가 일치할 때, 페스너 체결 방식을 통해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시트팬(113)은 나사의 분해를 통해 탑승 프레임(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팬(113)은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팬(113)은 복합 소재 프레스 포밍 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등받이 프레임(120)은 지지대(121) 및 벡레스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21)는 등받이 프레임(120)의 상부에 위치해 탑승자가 등받이 프레임(120)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때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21)는 탑승자의 하중을 분산함으로, 탑승자의 탑승 안정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방이나 후방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의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1)는 일면에 다수 개의 제 2 고정 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는 도 8을 참조하면, 벡레스트(122)는 등받이 프레임(120)의 일면에 제 2 탈착 홀(122a) 및 안전띠 고정 홀(122b)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벡레스트(122)는 복합 소재 프레스 포밍 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탈착 홀(122a)는 제 2 고정 홀(121a)과 관통되는 형태로 나사 결합 함으로써, 벡레스트(122)를 등받이 프레임(12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탈착 홀(122a)에 고정된 나사를 해체 함으로써, 벡레스트(122)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띠 고정 홀(122b)은 벡레스트(122) 일면에 구비되어 안전띠(B)를 거치 할 수 있다.
이때, 안전띠(B)의 일단은 고정 홀(122b)에 고정되고, 타단은 세로 축(111)의 측면에 패스너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안전띠(B)는 상체 벨트 방식의 안전띠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있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충격완화부(200)는 탑승 프레임(110) 하측에 형성되어 전달되는 설치면(G)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직한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다.
자세히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충격완화부(200)는 슬라이더(210) 및 제 1 폴딩장치(220)를 포함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더(210)는 가로 축(112)에 구비된 연결 홀(112a)을 통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한 쌍의 지지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S)을 통해, 수직하게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210)는 슬라이딩 홈(S)과 연결되어 동작하는 슬라이딩 레일 방식으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있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10)는 형성된 슬라이딩 홈(S)의 길이만큼 상하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10)는 연결된 가로 축(112)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가로 축(112)과 연결되어 있는 탑승 프레임(110) 및 탑승 프레임(110)과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1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폴딩장치(220)는 슬라이더(210)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어 충격 발생 시 슬라이더(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딩장치(220)는 수축 및 이완 후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충격 발생이 끝나는 시점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폴딩장치(220)는 수직한 방향으로 충격의 발생 시 가해지는 힘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 힘이 작용하며, 두 힘의 상쇄 작용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여 약화시키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탑승 안정성 및 안전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폴딩장치(220)는 슬라이더(210)에 장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내구도 소진 시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폴딩장치(220)은 복원력을 가지도록하는 합성소재 및 금속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및 도13을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설치하는 면과 수평방향으로 일면 맞닿아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면은 일면과 수직하게 프레임부(100)의 하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일면과 타면의 끝단이 호의 형태로 연결되고, 일단이 내각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호의 원주상 일측과 연결되는 지지 축(310)을 구비하여 탑승 프레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300)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에는 슬라이딩 홈(S)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00)는 한 쌍을 연결하는 연결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대(320)는 슬라이딩 홈(S)의 하단에 형성되어 슬라이더(210)가 상하 이동 범위를 벗어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 케이스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장착 케이스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세제어창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18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AM 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좌석(1)은 제 2 충격완화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 2 충격완화부(400)는 장착 케이스(410), 제 2 폴딩장치(420) 및 자세제어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케이스(410)는 지지부(300)와 설치면(G)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착 케이스(410)는 설치면(G)에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케이스(410)는 지지부(300)와 고정 시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장착 케이스(4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 케이스(410)은 내부가 상층부(UF)과 하층부(DF)로 형성되어 하층(DF)에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리프팅 장치(4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410)는 UAM 운행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이나 UAM 좌석의 무개를 견디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금속 및 합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폴딩장치(420)는 상층(UF) 내부 바닥과 일면이 연결되고 지지부(300)와 타면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제 2 폴딩장치(4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폴딩장치(420)는 장착 케이스(41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수축 및 이완되어 지지부(300)의 좌우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 2 폴딩장치(420)는 설치면(G)의 기우는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정도를 가지고 이완 및 수축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폴딩장치(420)의 기우는 정도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자세제어장치(430)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장치(431)의 신호에 따라 결정 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폴딩장치(420)는 제 1 폴딩장치(22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자세제어장치(430)는 지지부(3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UAM의 회전 및 방향 전환 시 각각의 제 2 폴딩장치(420)를 승강 및 하강 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자세제어장치(430)는 기울기감지장치(431) 및 리프팅 장치(43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감지장치(431)는 각각의 장착 케이스(4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울기감지장치(431)는 기울기센서를 내부에 구비하여 UAM의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감지장치(431)는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여 장착 케이스(410)의 하층에 구비된 리프팅 장치(432)에 동작 신호를 전달해 동작 시킴으로써,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감지장치(431)는 기울기 변화 전의 탑승자 자세를 그대로 유지해 탑승자의 탑승 안정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리프팅 장치(432)는 유압이나 압축공기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100: 프레임부
110: 탑승 프레임
111: 세로 축
111a: 제 1 고정 홀
112: 가로 축
112a: 연결 홀
113: 시트팬
113a: 제 1 탈착 홀
120: 등받이 프레임
121: 지지대
121a: 제 2 고정 홀
122: 백레스트
122a: 제 2 탈착 홀
122b: 안전띠 고정 홀
200: 제 1 충격완화부
210: 슬라이더
220: 제 1 폴딩장치
300: 지지부
310: 지지 축
320: 연결대
400: 제 2 충격완화부
410: 장착 케이스
420: 제 2 폴딩장치
430: 자세제어창치
431: 기울기감지장치
432: 리프팅 장치
H: 나사 홀
G: 설치면
B: 안전띠
S: 슬라이딩 홈
UF: 상층부
DF: 하층부

Claims (7)

  1. UAM 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좌석에 있어서,
    좌석 형태의 탑승 프레임이 형성되고, 탑승 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탑승 프레임 하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수직한 충격을 완화 시키는 제 1 충격완화부 및
    설치면과 수평방향으로 일면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면은 일면과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탑승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 1 탈착 홀이 형성되는 시트팬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2 탈착 홀이 형성되며, 안전띠 고정 및 거치가 가능한 안전띠 고정 홀이 형성되는 백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격완화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구비되되, 상기 탑승 프레임과 축 연결되어 수직하게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되는 제 1 폴딩장치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딩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에 장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내구도 소진 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각각 일면과 타면의 끝단이 호의 형태로 연결되고, 일단이 내각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호의 원주상 일측과 연결되는 지지 축을 구비하여 상기 탑승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은,
    상기 지지부와 설치면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 케이스 및
    상기 장착 케이스의 길이를 따라 지지부 일면의 하측에 수축 및 이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좌우 흔들림을 흡수하는 제 2 폴딩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격완화부는,
    상기 지지부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UAM의 회전 및 방향 전환 시 상기 제 2 폴딩장치를 승강 및 하강 시킴으로써, 상기 UAM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장치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KR1020220127098A 2022-10-05 2022-10-05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KR20240047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98A KR20240047718A (ko) 2022-10-05 2022-10-05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98A KR20240047718A (ko) 2022-10-05 2022-10-05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718A true KR20240047718A (ko) 2024-04-12

Family

ID=9068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098A KR20240047718A (ko) 2022-10-05 2022-10-05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024B2 (en) Compact aircraft cabin attendant seat
CN103079432B (zh) 座垫壳单元及车辆用壳体型座椅
US6776384B2 (en) Seat of vehicle
US8616635B2 (en) Anti-crash seat for a vehicle
CN101314401B (zh) 可调节的骑式座椅组件
JP2006312450A (ja) 航空機用安全シート
US9358908B2 (en) Vehicle occupant support
WO2011018930A1 (ja) 乗物用シート
US10173779B2 (en) Vehicle occupant support
US9771155B2 (en) Seat pan for a passenger seat and passenger seat
US7021706B2 (en) Vehicle seat with protection from shock loads
WO2008048908A2 (en) Aircraft seat
US10940950B2 (en) Lounge chair for aircraft
CN103857558A (zh) 车辆用座椅
RU24148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ертикальной амортизации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го элемента относительно неподвижного элемента
US20150191223A1 (en) Shock absorption in powerboat seats
KR20240047718A (ko)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한 uam 좌석
KR200463979Y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CN115107599B (zh) 一种儿童安全座椅缓冲机构
JPH0610572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2016529148A (ja) 車両用乗員支持体
JP6948219B2 (ja) 乗り物用衝撃吸収機構
KR102162599B1 (ko) 스마트 진동 감쇄장치
KR20070067315A (ko) 고속 파워보트용 의자
JP6809379B2 (ja) 乗物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