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113A - 연료전지용 분리판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113A
KR20240047113A KR1020220126357A KR20220126357A KR20240047113A KR 20240047113 A KR20240047113 A KR 20240047113A KR 1020220126357 A KR1020220126357 A KR 1020220126357A KR 20220126357 A KR20220126357 A KR 20220126357A KR 20240047113 A KR20240047113 A KR 2024004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reaction gas
manifold
area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최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113A/ko
Publication of KR2024004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기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홀의 영역별 위치를 개선하여 반응기체의 유량을 균일하게 분배하면서 생성수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중앙에 형성되는 반응영역과; 상기 반응영역의 양측으로 각각 반응기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다수의 매니폴드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과; 상기 반응영역과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 사이에서 반응기체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한 쌍의 확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입구측 가스켓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 가스켓라인 중 상기 확산영역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이 형성되며,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유입되는 반응기체를 상기 확산영역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분리판{SEPARATOR FOR FEU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응기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홀의 영역별 위치를 개선하여 반응기체의 유량을 균일하게 분배하면서 생성수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 에너지를 스택 내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종의 발전장치로서,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장치와 같은 소형 전자 제품의 전력공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 고효율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연료전지 스택은 가장 안쪽에 막전극 접합체(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가 위치하는데, 이 막전극 접합체는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이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도포된 촉매층, 즉 연료극(anode) 및 공기극(cathod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막전극 집합체의 바깥 부분, 즉 연료극 및 공기극이 위치한 바깥 부분에는 기체확산층(GDL: Gas Diffusion Layer)이 적층되고, 상기 기체확산층의 바깥 쪽에는 연료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출하도록 유로(Flow Field)가 형성된 분리판이 배치되며, 가장 바깥쪽에는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이때 분리판에서 유동되는 수소 및 산소(공기)와 냉각수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가스켓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리판은 지지역할을 하는 랜드와 유체의 흐름 경로가 되는 채널(유로)이 반복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반적인 분리판은 랜드와 채널이 반복적으로 굴곡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확산층과 마주보는 일면쪽의 채널은 수소 또는 공기와 같은 반응기체가 흐르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동시에 반대쪽 채널은 냉각수와 같은 냉각매체가 흐르는 공간으로 활용됨에 따라, 수소/냉각수 채널을 갖는 분리판 1장과, 공기/냉각수 채널을 갖는 분리판 1장 등 총 2장의 분리판으로 하나의 단위 셀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분리판(10)은 중앙에 막전극 접합체 및 기체확산층이 적층되어 반응기체인 수소와 공기(산소)가 반응하는 반응영역(10a)이 형성되고, 반응영역(10a)의 양측으로 각각 반응기체 또는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다수의 매니폴드(11)가 관통되는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0b)과 반응영역(10a) 사이에는 반응기체 또는 냉각수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한 쌍의 확산영역(10c)이 형성된다.
이때 매니폴드영역(10b)에 형성되는 다수의 매니폴드(11)는 반응기체인 수소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11d, 11c), 반응기체인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11a, 11f) 및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11b, 11e)로 구분된다.
또한, 한 쌍의 확산영역(10c)에는 입구측 매니폴드(11a, 11d, 11e)에서 유입되는 반응기체 및 냉각수를 확산시켜서 반응영역(10a)으로 유동시키고, 반응영역(10a)에서 배출되는 반응기체 및 냉각수를 모아서 출구측 매니폴드(11b, 11c, 11f)로 유동시키는 다수의 확산리브(1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리판이 캐소드 분리판인 경우에는 입구측 매니폴드(11a)의 인근에 공기가 유입되는 반응기체 유입구(12a)가 형성되고, 출구측 매니폴드(11f)의 인근에 공기가 배출되는 반응기체 배출구(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측 매니폴드(11a)에서 반응영역(10a)으로 반응기체인 공기가 확산되면서 유동되도록 다수의 입구측 확산리브(13a)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반응영역에서 출구측 매니폴드(11f)로 반응기체인 공기가 모이면서 유동되도록 다수의 출구측 확산리브(13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0b)에는 다수의 매니폴드(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가스켓라인(20a, 20b)이 형성되고, 가스켓라인(20a, 20b) 중 확산영역(10c)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확산영역(10c)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스켓발(21a, 21b)이 형성된다. 그래서 반응기체 유입구(12a)와 반응기체 배출구(12b)는 각각 가스켓발(21a, 21b)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가스켓발(21a, 21b)의 가이드에 의해 유동 경로가 설정되면서 확산영역(10c)으로 반응기체를 유동시키거나 확산영역(10c)으로부터 유동된 반응기체를 매니폴드(11)로 배출시킨다.
이때 반응기체 유입구(12a) 및 반응기체 배출구(12b)는 가스켓발(21a, 21b) 사이 공간에서 위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입구측 확산리브(13a)는 입구측 매니폴드(11a)에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및 인접한 입구측 확산리브(13a)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반응영역에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및 인접한 입구측 확산리브(13a)와의 사이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출구측 확산리브(13b)도 반응영역에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및 인접한 출구측 확산리브(13b)와의 사이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출구측 매니폴드(11f)에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및 인접한 출구측 확산리브(13b)의 간격도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12a)는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12b)와 반응영역(10a)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입구측 확산리브(13a)는 다수의 출구측 확산리브(13b)와 반응영역(10a)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12a) 및 반응기체 배출구(12b)와 다수의 입구측 확산리브(13a) 및 출구측 확산리브(13b)는 그 두께 및 간격이 동일한 조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반응기체인 공기가 균일하게 확산되면서 유입되고, 균일하게 모이면서 배출되어야 하지만, 실제 스택에서는 확산영역(10c)에서 공기의 유동경로가 짧을수록 공기의 유량이 과하게 유동되고, 유속도 빠르게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6184879호 (2017.08.04)
본 발명은 반응기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홀의 위치를 영역별로 조정하여 반응기체의 유량을 균일하게 분배하면서 생성수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중앙에 형성되는 반응영역과; 상기 반응영역의 양측으로 각각 반응기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다수의 매니폴드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과; 상기 반응영역과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 사이에서 반응기체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한 쌍의 확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입구측 가스켓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 가스켓라인 중 상기 확산영역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이 형성되며,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유입되는 반응기체를 상기 확산영역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출구측 가스켓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출구측 가스켓라인 중 상기 확산영역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이 형성되며,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반응기체를 상기 매니폴드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의 형성 위치와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 반응영역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은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입구측 매니폴드영역과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는 각각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다수의 매니폴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는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에 형성된 매니폴드 중 최상부에 형성된 매니폴드이고,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는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형성된 매니폴드 중 최하부에 형성된 매니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부 반응영역, 중앙 반응영역 및 하부 반응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입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 연결되는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상기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 상기 중앙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 및 상기 하부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입구측 확산영역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거나 중력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출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상기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상기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출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상기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상기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기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반응기체 유입구 및 반응기체 배출구의 위치를 영역별로 조정하여 반응영역 전체에서 반응기체의 유량이 균일하게 분배되고 균일한 유속이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의 위치와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의 위치를 반응영역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함에 따라 반응기체의 균일한 유동 및 유속을 유지하고, 생성수의 균일한 배출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택 상하단부의 불균일한 전기화학 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스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택 운전시 전압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셀의 떨림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100)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전지용 분리판(10)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막전극 접합체 및 기체확산층이 적층되어 반응기체인 수소와 공기(산소)가 반응하는 반응영역(110)이 형성되고, 반응영역(110)의 양측으로 각각 반응기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다수의 매니폴드(11)가 관통되는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20)과 반응영역(110) 사이에는 반응기체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한 쌍의 확산영역(130)이 형성된다.
이때 매니폴드영역(1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매니폴드(121)는 반응기체인 수소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 및 반응기체인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가 형성된다. 또한, 매니폴드영역(120)에는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매니폴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확산영역(130)에는 확산영역(130)에는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입구측 매니폴드(121a)에서 반응영역(110)으로 반응기체의 유동을 확산시키고, 반응영역(110)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출구측 매니폴드(121b)로 반응기체의 유동을 모이게 하는 다수의 확산리브(134a, 134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리판(100)이 캐소드 분리판인 경우에는 입구측 매니폴드(121a)의 인근에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출구측 매니폴드(121b)의 인근에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20)에는 다수의 매니폴드(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가스켓라인(140a, 140b)이 형성되고, 가스켓라인(140a, 140b) 중 확산영역(130)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확산영역(130)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스켓발(141a, 141b)이 형성된다. 그래서 반응기체 유입구(210)와 반응기체 배출구(220)는 각각 가스켓발(141a, 141b)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가스켓발(141a, 141b)의 가이드에 의해 유동 경로가 설정되면서 입구측 매니폴드(121a)로부터 확산영역(130a)으로 반응기체를 유동시키거나 확산영역(130b)으로부터 유동된 반응기체를 출구측 매니폴드(121b)로 배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와 반응기체 배출구(220)의 위치를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하는 바, 정확한 설명을 위하여 분리판을 각 영역별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120)은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과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라인(140a,140b)도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에 형성된 입구측 가스켓라인(140a)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형성된 출구측 가스켓라인(140b)으로 구분되고, 가스켓발(141a)도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에 형성된 입구측 가스켓발(141a)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형성된 출구측 가스켓발(141b)로 구분된다.
그리고, 한 쌍의 확산영역(130)은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입구측 확산영역(130a)과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출구측 확산영역(130b)으로 구분된다.
또한, 반응영역(110)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부 반응영역(111), 중앙 반응영역(112) 및 하부 반응영역(113)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는 각각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다수의 매니폴드(121)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기체인 수소와 공기(산소)가 유입 및 배출되고,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기 때문에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따라 각각 3개의 매니폴드(121)가 형성된다.
한편, 확산영역(130)은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에 대향되는 입구측 확산영역(130a)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대향되는 출구측 확산영역(130b)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입구측 확산영역(130a)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부 반응영역으로 연결되는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132a)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으로 구분되고, 출구측 확산영역(130b)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부 반응영역(111)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131b), 중앙 반응영역(112)으로부터 연결되는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132b) 및 하부 반응영역(113)으로부터 연결되는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133b)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100)이 캐소드 분리판에 적용될 경우에는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에 형성된 매니폴드(121) 중 최상부에 형성된 매니폴드(121a)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입구측 확산영역(130a)에서 확산되면서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132a)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으로 분배되어 유동되면서 반응영역(110)으로 공급되고, 반응영역(110)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131b),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132b)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133b)을 통하여 출구측 확산영역(130b)에서 모아져서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형성된 매니폴드(121) 중 최하부에 형성된 매니폴드(121b)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입구측 확산영역(130a)에 형성되는 확산리브(134a)는 입구측 매니폴드영역(120a)에 형성된 매니폴드(121) 중 최상부에 형성된 매니폴드(121a)에서 각각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132a)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을 따라 형성되어 반응영역(11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출구측 확산영역(130b)에 형성되는 확산리브(134b)는 반응영역(110)에서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131b),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132b)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133b)을 따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120b)에 형성된 매니폴드(121) 중 최하부에 형성된 매니폴드(121b)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 및 반응기체 배출구(220)의 위치를 영역별로 조정하여 반응영역(110) 전체에서 반응기체의 유량이 균일하게 분배되고 균일한 유속이 유지되도록 한다.
먼저,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을 통하여 상부 반응영역(111)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 중앙 반응영역(112)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 및 하부 반응영역(113)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로 구분된다.
한편,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를 통하여 상부 반응영역(111)으로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를 통하여 하부 반응영역(113)으로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늘리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판(100)은 생산 방식의 특성상 반응영역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미반응영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반응기체가 미반응영역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 발생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래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의 위치를 가급적 최상단에서 멀어지게 하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의 위치를 가급적 최하단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는 영역별로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가 반응영역(110)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미반응영역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가 반응영역(110)의 최하단에 존재하는 미반응영역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입구측 매니폴드(121a)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입구측 확산영역(130a)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입구측 매니폴드(121a)쪽으로 편중되거나 중력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늘리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유동거리를 갖는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을 통하여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보완시키고, 상대적으로 긴 유동거리를 갖는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을 통하여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상쇄시켜서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132a)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을 통하여 반응영역(110)으로 유입되는 반응기체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균일한 유량 및 유속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2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220)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131b)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출구측 매니폴드(121b)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132b)을 통하여 출구측 매니폴드(121b)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133b)을 통하여 출구측 매니폴드(121b)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로 구분된다.
한편, 출구측 확산영역(130b)에서는 반응영역(110)에서 형성된 생성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는 출구측 가스켓발(141b) 사이 공간에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는 출구측 가스켓발(141b)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출구측 매니폴드(121b)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생성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생성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210)는 영역별로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220)는 영역별로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141b)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같게 형성됨에 따라 반응기체 유입구(210)와 반응기체 배출구(220)의 위치는 반응영역(110)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점대칭되지 않고,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응기체 유입구(210)와 반응기체 배출구(220)의 위치는 매니폴드(121)의 형상 및 크기와 다양한 이유에 따라 그 형성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입구측 매니폴드의 형상이 변경에 따른 반응기체 유입구 형성위치의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매니폴드(121a)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 및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가 형성되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의 길이가 변경되는데, 이 경우에도 도 4에 도시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 및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와 마찬가지로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는 입구측 가스켓발(141a)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도 3과 비교하여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더 늘릴 수 있고,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를 통하여 유동되는 반응기체의 유동거리를 더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배출되는 반응기체의 유동량 및 유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기체 배출구 형성위치의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는 출구측 가스켓발(141b)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는 출구측 가스켓발(141b)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출구측 매니폴드(121b)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유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유속이 출구측 확산영역(130b) 전체에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211),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212) 및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213)를 각각 2개, 1개 및 2개 형성하고,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221),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222)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223)도 각각 2개, 1개 및 2개 형성하였다. 하지만, 반응기체 유입구(210) 및 반응기체 배출구(220)의 개수는 제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131a),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132a)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133a)으로 연결되는 면적과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131b),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132b)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133b)으로 연결되는 면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분리판 110: 반응영역
120: 매니폴드 영역 130: 확산영역
210: 반응기체 유입구 220: 반응기체 배출구

Claims (12)

  1. 연료전지용 분리판으로서,
    중앙에 형성되는 반응영역과;
    상기 반응영역의 양측으로 각각 반응기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다수의 매니폴드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과;
    상기 반응영역과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 사이에서 반응기체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한 쌍의 확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입구측 가스켓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 가스켓라인 중 상기 확산영역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이 형성되며,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유입되는 반응기체를 상기 확산영역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라인을 형성하는 출구측 가스켓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출구측 가스켓라인 중 상기 확산영역에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이 형성되며,
    상기 매니폴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반응기체를 상기 매니폴드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의 형성 위치와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 반응영역의 중심지점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매니폴드영역은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입구측 매니폴드영역과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과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는 각각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다수의 매니폴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는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에 형성된 매니폴드 중 최상부에 형성된 매니폴드이고,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는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형성된 매니폴드 중 최하부에 형성된 매니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응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부 반응영역, 중앙 반응영역 및 하부 반응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입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 연결되는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 중앙 입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입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유입구는 상기 상부 입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 상기 중앙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 및 상기 하부 반응영역으로 반응기체를 유입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입구측 확산영역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반응기체 유입구는 입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거나 중력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출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상기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상기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하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매니폴드영역에 대향되는 출구측 확산영역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반응영역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 및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수의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상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상기 중앙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상기 하부 출구측 확산영역을 통하여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로 반응기체를 배출시키는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상부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응기체 배출구, 중앙 반응기체 배출구 및 하부 반응기체 배출구는 상기 출구측 가스켓발 사이 공간에서 반응기체가 배출되는 매니폴드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KR1020220126357A 2022-10-04 2022-10-04 연료전지용 분리판 KR20240047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57A KR20240047113A (ko) 2022-10-04 2022-10-04 연료전지용 분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57A KR20240047113A (ko) 2022-10-04 2022-10-04 연료전지용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113A true KR20240047113A (ko) 2024-04-12

Family

ID=9068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357A KR20240047113A (ko) 2022-10-04 2022-10-04 연료전지용 분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1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879U (ko) 1984-11-09 1986-06-0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879U (ko) 1984-11-09 1986-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8554B2 (en) Fuel cell
KR10169399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EP1998394B1 (en) Fuel cell
US20110274999A1 (en) Fuel cell stack
US9214682B2 (en) Fuel cell
US8617756B2 (en) Fuel cell stack
CN101432914B (zh) 模压pem燃料电池板制造
KR10258707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US8802312B2 (en) Fuel cell separators capable of suppressing variation in pressure loss
US20100239931A1 (en) Fuel cell
US9147891B2 (en) Fuel cell stack
JP5603894B2 (ja) 燃料電池
KR20240047113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KR20220166118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단위셀과 연료전지 스택
KR20240028148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201301233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20240033490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200704848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燃料電池セル
KR20240047114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200723440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11404705B2 (en)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US20050014048A1 (en) Flow field pattern for fuel cell stack separator plates
KR102516418B1 (ko) 연료전지용 셀
CN218447976U (zh) 燃料电池的极板和燃料电池
US20230327142A1 (en)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