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109A -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109A
KR20240047109A KR1020220126345A KR20220126345A KR20240047109A KR 20240047109 A KR20240047109 A KR 20240047109A KR 1020220126345 A KR1020220126345 A KR 1020220126345A KR 20220126345 A KR20220126345 A KR 20220126345A KR 20240047109 A KR20240047109 A KR 2024004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etaverse
server
us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석
남수영
서영준
최문환
황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109A/ko
Priority to PCT/KR2023/009715 priority patent/WO2024075942A1/ko
Priority to US18/447,732 priority patent/US11991220B2/en
Publication of KR2024004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PERFORMING CALL WITH USER IN METAVERS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 관련 컨텐트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를 통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지정된 활동을 수행하는 가상 공간 기반의 메타버스 관련 컨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환경에 대하여 추가적인 정보, 또는 실제 환경 상에 다른 오브젝트가 겹쳐서 보이도록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관련 컨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메타버스 관련 컨텐트가 고도화됨에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메타버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채팅, 음성 채팅에 기반하여 대화가 수행되거나, 또는 하나의 지정된 가상 공간에 복수의 사용자들의 아바타들이 위치함에 따라, 화상 채팅과 같은 환경에서 대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텐트 제공 중에,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화상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 및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컨텐트 제공 중에,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화상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 및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 1 컨텐트 제공 중에,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화상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 및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인공 현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내의 사용자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들이 제공하는 컨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계정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계정의 연결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계정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한 전자 장치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되는 가상 환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되는 가상 환경 부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에 의한 표시되는 부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들,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들,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인공 현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인공 현실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 전자 장치(101),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1,122,123,124), 또는 외부 서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인공 현실(artificial reality)(예를 들어,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environment) 중 적어도 하나)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 이외에도, 사용자의 몰입을 증진할 수 있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콘텐트는 메타버스를 위한 콘텐트라 명명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02), 및/또는 통신 장치(10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가 프로세서(110), 메모리(102) 및/또는 통신 장치(107)를 포함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서버(100)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분산형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서버의 구현 형태에 대하여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02)에 저장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TPU(tensor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또는, 인스트럭션 또는 명령어)을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 프로세서(110)는, 인공 현실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02)에는, 인공 현실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102)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저장 장치, RAM, ROM,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인공 현실을 위한 프로그램은, 서버 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 생성된 데이터의 제공, 사용자 입력의 확인, 및/또는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된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 및 제공의 수행을 야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7)는,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서버(100) 및 전자 장치(101) 간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7)는, 광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하여 다른 하드웨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한 동작의 수행을 야기하는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은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서버(100)의 버스(108)(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세서(110), 메모리(102), 및/또는 통신 장치(107)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예를 들어, 시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이미지)의 제공, 청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음성)의 제공, 촉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진동)의 제공, 및/또는 후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냄새)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를 소유하거나, 또는 착용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공되는 콘텐트에 기반하여 인공 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11), 메모리(112), 입/출력 장치(113), 디스플레이(114), 센서 장치(115), 카메라(116), 또는 통신 장치(11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예를 들어 CPU, GPU, NPU, TPU, DSP, ASIC, FPGA,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또는, 인스트럭션 또는 명령어)을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인공 현실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인공 현실을 위한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서버(100)로부터의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신,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한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예를 들어, 시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이미지)의 제공, 청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음성)의 제공, 촉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진동)의 제공, 및/또는 후각적 콘텐트(예를 들어, 냄새)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 사용자 입력의 확인 및/또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의 서버(100)로의 송신의 수행을 야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112)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저장 장치, RAM, ROM,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입/출력 장치(113)는, 터치 패드, 버튼, 마우스, 디지털 펜, 및/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또는, 센싱)하기 위한 장치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113)의 하나의 예인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114)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113)는, 스피커, 햅틱 모듈, 및/또는 발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인공 현실과 연관된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라면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 장치(115)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116)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장치(117)는,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서버(100) 및 전자 장치(101) 간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7)는, 광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통신 장치(117)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7)는,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17)는,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외부 센서(131) 및/또는 외부 컨트롤러(133)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117)는, 네트워크(150)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7)는, LTE, 5G, 6G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거나, 및/또는 IEEE 802 시리즈 기반의 통신(예를 들어 Wifi라 명명될 수 있음)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7)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구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1)가 논-스탠드 얼론(non-stand alone)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150)에 연결이 가능한 중계 장치를 통하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장치(117)는,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중계 장치를 통한 서버(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센서(131)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하여 다른 하드웨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의한 동작의 수행을 야기하는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은 메모리(11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의 버스(118)(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세서(111), 메모리(112), 입/출력 장치(113), 디스플레이(114), 센서 장치(115), 카메라(116), 및/또는 통신 장치(117)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 및 전자 장치(101)가 인공 현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서버(100) 및 전자 장치(101)는 웹 기반으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센서(131)는, 예를 들어 링-형 장치, 팔찌형 장치, 머리 부착형 장치일 수 있으나 그 타입 및/또는 부착되는 사용자 신체 부위에는 제한이 없다. 외부 센서(131)는,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33)는, 예를 들어 터치 패드, 버튼, 마우스, 디지털 펜, 및/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또는, 센싱)하기 위한 장치라면 제한이 없다. 컨트롤러(133)는,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3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이외에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33)는,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데이터 및/또는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1,122,123,12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1,122,123,124)와 데이터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한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인공 현실에서의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한 동작이 반영된 인공 현실이 다른 사용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서버(140)는, 서버(100)와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센서(131)는, 예를 들어 서버(100)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또는, 동일한 인공 현실)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140)는, 서버(100)와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상이한 인공 현실)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외부 서버(140)의 데이터를 서버(100)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인공 현실)의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변환된 데이터를 반영한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지원하는 인공 현실과 상이한 인공 현실과도 인터랙트(interact)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멀티버스(multiverse) 기능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가상 현실에 대한 실시 예>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가상 현실을 지원하는 HMD(head mounted device), 또는 머리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에 연결 가능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사용자는, HMD를 머리에 착용하거나, 또는 스마트 폰이 연결된 구조를 머리에 착용한 채로,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는 가상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좌안용 이미지 및 우안용 이미지 각각을 양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는 가상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관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스마트 폰, 태블릿, 범용적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가상 현실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space)(또는, 해당 공간을 응시하는 장면(scene))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또는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의 로그 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현실 내의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적으로(privately) 할당된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개방형(opened) 공간 중 제 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간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확인된 공간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및/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포함될 수 있다. 장면의 시점이 1인칭 시점인 경우에는, 표현을 위한 데이터는, 확인된 공간을 사용자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장면에 관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확인된 공간을 바라보는 장면에는,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 등)만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으며, 또는 아바타의 뒷 모습이 포함될 수도 있다. 장면의 시점이 3인칭인 경우에는, 표현을 위한 데이터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포함되는 공간을 일 방향에서 바라보는 장면에 관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장면에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122)를 이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에 의하여 함께 이용되는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특정 공간에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모두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에 의하여 함께 이용되는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의 시점이 1인칭 시점인 경우에는, 제 1 사용자를 위한 장면에는 제 2 사용자의 아바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의 시점이 3인칭 시점인 경우에는, 제 1 사용자를 위한 장면에는,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1 아바타(또는, 캐릭터로 명명될 수 있음)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아바타(또는, 캐릭터)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버(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가상 현실의 공간에는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사용자 입력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입/출력 장치(113)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내장된 센서 장치(115)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센서(131) 및/또는 컨트롤러(133)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센서 장치(115)를 통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센서(131) 및/또는 컨트롤러(133)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은,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내에서의 이동, 가상 현실 내의 오브젝트의 지정, 가상 현실 내의 오브젝트의 조작, 및/또는 다른 아바타와의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1)는, 명령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명령의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서버(100)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명령에 기반하여 가상 현실의 공간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다른 공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이 오브젝트의 지정인 경우에는, 지정된 오브젝트에 연결된 기능이 반영되도록 공간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이 오브젝트의 조작인 경우에는,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공간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이 아바타의 동작 수행인 경우, 사용자의 아바타가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도록 공간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이 다른 아바타와의 인터랙션인 경우, 해당 아바타가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도록 공간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이 이동인 경우에는, 표시를 위한 공간이 다른 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명령에 기반한 가상 현실의 공간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에 대하여서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서버(100)는, 시각적인 콘텐트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 이외에도, 청각적 콘텐트의 제공, 촉각적 콘텐트의 제공, 및/또는 후각적 콘텐트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들 사이의 음성 데이터 및/또는 채팅을 위한 텍스트를 중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명령과,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 사이의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명령을 입력값으로서 수신하여,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출력값으로서 출력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인공지능 모델의 출력값을 기반으로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없이도, 해당 공간의 콘텍스트(context)에 기반한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공간의 콘텍스트에 기반한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업데이트된 공간의 표현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변경된 공간의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업데이트 공간의 표현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변경된 공간의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122)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122)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제 1 사용자에 의하여 업데이트된 공간이 반영된 가상 현실이 표현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전자 장치(122)로부터 서버(100)로 송신되는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및/또는 명령)에 기반하여,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또는, 존재하는) 공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100)는, 업데이트된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된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공간을, 해당 공간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열적인 공간의 업데이트 및/또는 변경을 사용자 경험이라 명명할 수 있다.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메모리(102 및/또는 112)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경험 중 일 시점에 대한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102 및/또는 1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설명의 편의 상, 사용자 경험에 대한 캡쳐를 수행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라이프 로깅(life logging)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최종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실 세계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예를 들어,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증강 현실에 대한 실시 예>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특정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제 환경에 겹쳐져서 보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증강 현실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현실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증강 현실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역 또한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증강 현실을 지원하는 안경형 전자 장치, 스마트 렌즈,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안경형 전자 장치 또는 스마트 렌즈를 착용한 채로, 안경형 전자 장치 또는 스마트 렌즈의 투명 디스플레이(또는, 반투명(semi-transparent)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실제 환경과 함께 관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해당 이미지 상에 겹치도록 표시되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116)(예를 들어,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통하여 전경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경 이미지, 전경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경 이미지에 기반하여 획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촬영된 이미지 및/또는 센서 장치(115)에 의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자세(orientation)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의 자세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116)(예를 들어, 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눈의 촬영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특정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제 환경에 겹쳐져서 보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전경 이미지와 연관된 데이터, 전자 장치(101)의 자세, 및/또는 사용자의 시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107)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14)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제 환경 상에 겹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오브젝트는, 실제 환경에 배치되는 오브젝트과 연관된 정보 및/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오브젝트가 실제 환경에 배치되는 오브젝트의 근처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관찰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입/출력 장치(113)를 통하거나, 및/또는 외부 센서(131) 및/또는 컨트롤러(133)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표시되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지정 및/또는 조작을 야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인공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이 시각적 오브젝트의 지정 및/또는 조작에 기반한 것임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시각적 오브젝트의 변형, 시각적 오브젝트의 이동, 및/또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기능에 대응하는 다른 시각적 오브젝트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수행하는 동작에는 제한이 없다.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된 인공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는, 인공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공현실과 연관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가 시각적 오브젝트에 대한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는 실제 환경 상에 겹치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실제 환경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경험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는,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121,122,123,124)에서 획득된(또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거나, 및/또는 서버(110)에 저장된 인공지능 모델에 기반하여 조작될 수도 있으며, 아바타(또는, 캐릭터)의 조작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조작됨에 기반하여, 서버(100)는, 조작된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조작된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캐릭터)가 실제환경에서 동작하는 것과 같이 경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는, 증강 현실과 연관된 사용자 경험을 메모리(102 및/또는 112)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증강 현실과 연관된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 및/또는 전자 장치(101)는, 증강 현실과 연관된 사용자 경험 중 일 시점에 대한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102 및/또는 112)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 및 전자 장치(101)가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하여, 이를 표현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121,122,123,124)로부터의 데이터에 기반한 인공 현실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서버(100)로부터의 데이터 없이, 인공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내의 사용자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의 실시예는, 도 2b 및 도 2c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들이 제공하는 컨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콜 서버(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들(220,230)은, 콜 서버(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들(220,230)은,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된 서버(100)일 수 있으며, 가상 현실 및/또는 증강 현실을 위한 콘텐트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 및/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메타버스 서버(230)는, 제 2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 및/또는 제 2 메타버스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콜 서버(210)는, 예를 들어,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 및/또는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IMS 관련 엔티티(예를 들어, IMS 코어(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RCS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IMS 코어와 등록(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들(220,230)은, IMS 코어와 등록(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들(220,230)은, 메타버스 서비스에 정의된 사용자 별로 SIP 기반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를 대응시켜 관리할 수도 있다. 콜 서버(210)는,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들(220,230)과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메타버스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메타버스 서버들(220,230)과 MSRP 세션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를 미디어 세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메타버스 서버들(220,230)과 SIP 기반의 메시지(예를 들어, INVITE 메시지 및/또는 200 OK 메시지이지만 제한이 없음)의 교환을 통하여, MSRP 세션을 수립할 수 있으나, 그 수립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본 개시에서의 미디어 세션은, 예를 들어 MSRP 세션과 같이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세션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보이스 콜을 위한 콜 세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와 미디어 세션(241)을 수립할 수 있다. 미디어 세션(241)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대한 SIP 엔티티(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대응되는 전화 번호)가 발신자일 수 있고,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는 SIP 엔티티(예를 들어,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여 정의되는 IMS 클라이언트라 명명될 수 있음))가 착신자일 수 있으나, 그 역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사용자(221) 및/또는 제 2 사용자(231)는, IMS 클라이언트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발신자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미디어 세션(241)을 수립하기 위한 메시지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존재하던(existing) MSRP에서는, 메시지에는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메시지에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대신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제 1 사용자(221)의 식별 정보인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콜 서버(210)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버(200)(또는,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는 IMS 클라이언트)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후술할 것으로, 콜 서버(21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하여,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매핑된 SIP 계정(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식별자 및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으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변환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콜 서버(210)는, 발신자(예를 들어, "from" 필드)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콜 서버(210)가 메타버스 서버(100)로 송신하는 메시지의, 발신자(예를 들어, "from" 필드)에는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변환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거나, 및/또는 착신자(예를 들어, "to" 필드)에는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여 변환된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측의 실제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는 가상 공간에서의 전화 서비스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콜 서버(210)가 메타버스 서버(100)로 송신하는 메시지의, 발신자(예를 들어, "from" 필드)에는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거나, 및/또는 해당 전화번호에 매핑된 SIP 계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착신자(예를 들어, "to" 필드)에는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는 SIP 계정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변환된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 사이에 미디어 세션(241)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미디어 세션(241)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외부 전자 장치(201)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221)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예를 들어, PIN 및/또는 생체정보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를 이용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1)를 조작함으로써,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의 제 1 사용자(221)를 조작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 1 사용자(221)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01)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공(예를 들어, 화면의 표시, 음성의 출력, 및/또는 진동의 출력이지만 제한이 없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미디어 세션(241)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캐릭터의 이미지이거나, 또는 가상 공간 내의 아바타일 수도 있다. 오브젝트는,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미디어 세션(241)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제 1 사용자(221)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컨텐트를 제공(예를 들어, 화면의 표시, 음성의 출력, 및/또는 진동의 출력이지만 제한이 없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 및 제 1 사용자(221) 사이의 화상 콜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사용자(221)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또는, 아바타 근처의 가상 환경, 아바타가 응시하는 가상 환경, 및/또는 지정된 가상 환경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251)을, 통화 상대방의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촬영된 이미지(252)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 사이의 화상 콜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253)를, 통화 상대방의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1)는, 가상 환경(254)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가상 환경(254)은, 전자 장치(101)로 송신된 가상 환경(251)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설정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와의 화상 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3)를 조작하여, 제 2 사용자(23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와의 화상 콜의 수행 과정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와의 화상 콜의 수행 과정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외부 전자 장치(203)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캐릭터, 및/또는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아바타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을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메타버스 서버들(220,230) 사이의 화상 콜이, 예를 들어 콜 서버(210)에서 제공되는 존재하던(existing) 표준(예를 들어, SIP, IMS, MSRP이지만 제한이 없음)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메타버스 서버들(220,230)의 사용자들과의 화상 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 및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 사이의 미디어 세션(245)이 수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발신자고 제 1 사용자(221)가 착신자일 수 있으나, 그 역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착신자고 제 1 사용자(221)가 발신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콜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1)를 조작하여,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로의 화상 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사용자(221)로부터의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로의 화상 콜 요청을,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가 발신자일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콜 서버(210)로, 제 1 사용자(221)로부터의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로의 콜 생성을 위한 메시지(예를 들어, INVITE 메시지이지만 제한이 없음)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에는, 제 2 사용자(231)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거나, 또는 제 2 메타버스 서비스의 식별 정보 및 제 2 사용자(23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콜 서버(210)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231)가 착신자 일 수 있다. 제 2 메타버스 서버(230)는, 제 2 사용자(231)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203)로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3)로부터 착신 명령이 수신되면, 제 2 메타버스 서버(230)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200 OK 이지만 제한이 없음)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수신된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 및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 사이의 미디어 세션(245)이 수립될 수 있다. 미디어 세션(245)을 통하여 데이터가 송신 및/또는 수신될 수 있다. 기존에 존재하던 표준에 기반하여 미디어 세션(245)이 수립될 수 있으므로, 운영자가 상이한 이종의 메타버스 서버들(220,230) 사이의 화상 콜, 음성 콜, 및/또는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231)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제 2 메타버스 서버(220)의 가상 환경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를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2 사용자(231)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또는, 아바타 근처의 가상 환경, 아바타가 응시하는 가상 환경, 및/또는 지정된 가상 환경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261)을, 통화 상대방의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사용자(221)의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환경(262)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외부 전자 장치(203)는, 제 1 사용자(221)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또는, 아바타 근처의 가상 환경, 아바타가 응시하는 가상 환경, 및/또는 지정된 가상 환경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263)을, 통화 상대방의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3)는, 제 2 사용자(231)의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환경(264)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231)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제 2 메타버스 서버(220)의 가상 환경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231)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가상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생성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가상 공간에, 제 2 사용자(231)에 대응하는 아바타(또는, 아바타가 관찰하는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가상 공간)이 포함되는 컨텐트를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콜 서버(210)는, 계정 링커(account linker)(310) 및 IMS 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링커(310)는, SIP 계정 및 전화번호를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도메인이 "A.com"인 것으로 상정하도록 한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들로, "Smith" 및 "Neo"가 등록된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계정 링커(310)는, 제 1 SIP 계정(311)으로, "Smith@A.com"으로, 메타버스 서비스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표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계정 링커(310)는, 제 1 SIP 계정(311)에 제 1 전화 번호(312)(예를 들어, +821012345678)를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다. 계정 링커(310)는, 제 2 SIP 계정(313)으로, "Neo@A.com"으로, 메타버스 서비스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계정 링커(310)는, 제 2 SIP 계정(313)에 제 2 전화 번호(314)(예를 들어, +821087654321)를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계정 링커(310)는, 제 3 SIP 계정으로,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사용자와 연관된 "Trinity@B.com"을 저장할 수 있다. 계정 링커(310)는, 제 3 SIP 계정에 제 3 전화 번호를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IMS 서버(320)는, IMS와 연관된 메시지들의 중계 및/또는 미디어 세션(예를 들어, MSRP 세션)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IMS 서버(320)는, 발신자 및 착신자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할 수 있으며,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발신자일 수 있으며,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221)에 대응하는 IMS 클라이언트)가 착신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착신자일 수 있으며,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가 발신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발신자일 수 있으며,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가 착신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착신자일 수 있으며,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가 발신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221)가 발신자일 수 있고, 제 2 메타버스 서버(230)의 제 2 사용자(231)가 착신자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발신자로서,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Neo"와의 콜 생성을 IMS 서버(320)로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Neo"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접속한 경우에는, IMS 서버(320)는, 전자 장치(101)를 발신자로 하고 "Neo"를 착신자로 하는 미디어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Neo"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서 로그 아웃된 경우도 있을 수도 있다. 콜 서버(210)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와의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Neo"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서 로그 아웃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콜 서버(210)는, "Neo"에 대응하는 제 1 SIP 계정(312)에 연결된 제 2 전화번호(314)를 확인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제 2 전화번호(314)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201)를 착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전자 장치(101)를 발신자로 하고, 외부 전자 장치(201)를 착신자로 하는 미디어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INVITE 메시지의 "to" 필드의 정보를 제 1 SIP 계정(312)으로부터 제 2 전화번호(314)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Neo"에 대응하는 데이터(331)를 참조하여, 화상 콜에 이용될 화면(254)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에서, 특정 사용자에 대한 화상 콜을 요청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로그 아웃 상태인 경우에도 화상 콜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계정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의 실시예는,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메시지 서버(44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로그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로그인 메시지의 송신은,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의하여 실행되는 챗봇(예를 들어, 도 4c의 챗봇(40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로그인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로그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로그인을 위한 화면(47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470)은, 예를 들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일 수 있다. 화면(470)은, 상대방을 위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탭(47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탭(471)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Metaverse A")가 포함될 수 있다. 화면(470)에는, 상대방과의 송수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오브젝트(473,475)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475)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의 로그인을 위한 기능 키(476)가 포함될 수 있다. 화면(470)에는 대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477)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창(477)이 지정되면, 가상 키보드가 호출될 수도 있다. 기능 키(476)가 지정됨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는, 로그인을 위한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로그인을 위한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로그인 결과를 계정 링커(310)로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 결과는, 전화 번호, SIP 계정 및/또는 접근을 위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계정 링커(310)는, 수신된 로그인 결과에 기반하여, 전화 번호(311) 및 이에 대응하는 SIP 계정과 토큰(315)을 대응시켜 저장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서, 계정 링커(310) 내에, 전화 번호와, SIP 계정 및/또는 접근을 위한 토큰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저장 및/또는 관리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계정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챗봇(chatbot)(401)은, MaaP(Messaging as a Platform) 프론트엔드(frontend)(403)로, SIP 계정 및 전화번호 사이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챗봇(401)은,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에서 동작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에 신규 사용자가 가입하는 경우에, 메타버스 서버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전화번호를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정보의 획득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MaaP 프론트엔드(403)는, MaaP 게이트웨이(405)로, SIP 계정 및 전화번호 사이의 연결의 요청하기 위한 로그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메시지의 트래픽타입은 "account_linking"일 수 있다. MaaP 게이트웨이(405)는, 예를 들어 봇 서비스(bot service)(410)를 지원할 수 있다. 봇 서비스(410)는, 봇 핸들러(bot handler)(411)를 포함할 수 있다. 봇 핸들러(411)는, 로그인 메시지를 수정(modify)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봇 핸들러(411)는, 로그인 URL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봇 핸들러(411)는, 클라이언트 식별자(client_id)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봇 핸들러(411)는, 리다이렉션을 위한 URL(redirect_url)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봇 핸들러(411)는, 수정된 로그인 메시지를 MNO RCS AS(application server)(42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정된 로그인 메시지는, MNO(mobile network operator) RCS AS(42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에서 동작하는 RCS FW(framework)(431)는, MNO RCS AS(420)를 통하여, MaaP 게이트웨이(405)로부터 수정된 로그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정된 로그인 메시지는, RCS FW(431)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433)으로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433)은, 수정된 로그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로그인 URL을 브라우저(435)를 통하여 열 수 있다. 브라우저(435)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제3자 OAuth 서버(4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3자 OAuth 서버(440)는, 코드, 상태, 및/또는 리다이렉션을 위한 URL(redirect_url)을 포함하는 결과를 브라우저(435)로 제공할 수 있다. 브라우저(435)는, 수신된 결과를 MaaP 게이트웨이(405)의 계정 연결 핸들러(413)로 제공할 수 있다. 계정 연결 핸들러(413)는, 제3자 OAuth 서버(440)와의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코드 및/또는 상태를 포함하는 억세스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MaaP 게이트웨이(405)는, 억세스토큰의 헤더를 포함하는 웹훅 메시지(webhook message)를 MaaP 프론트엔드(403)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501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03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콜 생성을 위한 제 1 메시지를, 제 1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 1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연락처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사용자들의 연락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중, 일부 사용자에 대하여서는, 전화번호를 대신하여,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화상 콜 연결 명령이 확인되면(예를 들어, 화상 콜 아이콘의 터치이지만 제한이 없음),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해당 메타버스 서버를 착신자로 하여)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사용자에 대하여서는 전화번호가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화상 콜 연결 명령이 확인되면(예를 들어, 화상 콜 아이콘의 터치이지만 제한이 없음), 전자 장치(101)는, 해당 전화번호를 포함하는(해당 전화번호의 장치를 착신자로 하여)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사용자에 대하여서는, 전화번호,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화상 콜 연결 명령이 확인되면(예를 들어, 화상 콜 아이콘의 터치이지만 제한이 없음), 전자 장치(101)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하여 화상 콜을 생성할지, 또는 메타버스 사용자에 대하여 화상 콜을 생성할 지 여부를 문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화번호에 대한 선택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사용자에 대한 선택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자 선택 이외에도, 양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505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1 서버(예를 들어, 콜 서버(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07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의 송신 및 제 2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수립된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되는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시지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메타버스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제 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경우, 제 1 서버(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메타버스 서버의 제 1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메타버스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는, 제 1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메시지를, 제 1 서버(예를 들어,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는,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장치로 콜 수신 여부를 문의한 이후에, 문의에 대한 콜 수신 답변이 확인되는 경우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한편,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 이외에도, 예를 들어 IMS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메시지가 송신 및/또는 수신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1)는, 509 동작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과 함께, 전자 장치(101)에서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어, 셀피)가 표시될 수도 있지만, 제한은 없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콜 서버(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계정 링커(310), IMS 서버(320), 및/또는 메타버스 에이전트(metaverse agent)(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예를 들어, "A.com")의 제 1 사용자(예를 들어, "Neo")에게 화상 콜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는, 예를 들어 "+82012345678"일 수 있다. IMS 서버(32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화상 콜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IMS 서버(320)는, 화상 콜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메타버스 에이전트(370)로 제공할 수 있다. 화상 콜 요청을 위한 메시지에는, 예를 들어, 착신 측의 정보(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예를 들어, "A.com")의 제 1 사용자(예를 들어, "Neo")) 및 발신 측의 정보(예를 들어, "+82012345678"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메타버스 에이전트(370)는, 계정 링커(310)로부터, 발신 측의 정보인 "+82012345678"의 전화번호(312)에는, SIP 계정인 "Smith@A.com"과, 대응하는 토큰(예를 들어, hjoi8uy893h)(610)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에이전트(370)는, 메타버스의 식별 정보인 "A.com"에 대응하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발신측의 "Smith@A.com"(311)가 착신 측의 "Neo@A.com"으로 화상 콜을 요청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from" 필드에 포함된 전화번호(+821012345678)가 SIP 계정인, Smith@A.com으로 변경된 INVITE 메시지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from 필드에는 발신자의 SIP 계정이 포함되고, to 필드에는 착신자의 SIP 계정이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화상 콜에 대하여서는, 확인된 토큰(예를 들어, hjoi8uy893h)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데이터베이스(330)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Smith의 사용자(621)가 Neo의 사용자(622)에게 화상 콜을 요청됨을 생성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701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를 발신자로 하고,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제 1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콜의 생성이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703 동작에서, 착신자에 대응하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메시지의 from 필드의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발신자에 대응하는 SIP 계정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수신된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 1 사용자에게 콜이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from 필드에 포함된 SIP 계정에 기반하여, 발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 착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콜을 요청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 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 2 메시지를, 705 동작에서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210)로 콜이 요청됨을 알리고, 이에 대한 응답이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제 2 메시지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 2 메시지의 송신 이벤트에는 제한이 없다. 콜 서버(210)는, 707 동작에서 제 2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1 사용자) 사이에는 미디어 세션(709)(예를 들어, MSRP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711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사이의 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콜의 관리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장치(101)는, 713 동작에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화상 콜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전자 장치(101)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송신되어야 하므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의 촬영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이미지를 대체하는 화면(예를 들어, 캐릭터, 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화면)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는 대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71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되는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디어 세션(709)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717 동작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디어 세션(709)을 통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719 동작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가상 공간 및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예를 들어 도 2b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721 동작에서, 가상 공간 및 수신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723 동작에서, 가상 공간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예를 들어 도 2b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와 연관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촬영된 데이터는 미디어 세션(709)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며,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하여 접속한 외부 전자 장치(201)는, 메타버스 서버(220) 및 외부 전자 장치(201) 사이에 수립된 다른 세션(예를 들어, PDU 세션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한 전자 장치의 동작 장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동작은, 도 2a에서의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접속한 외부 전자 장치(201)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과 같이 설명되지만, 해당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서도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1) 또한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한 동안 도 8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되는 가상 환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되는 가상 환경 부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01)는, 801 동작에서, 콜 생성을 위한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가, 예를 들어 SIP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한 것이 설명되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SIP 기반의 메시지를, 그대로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하기 보다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콜을 요청하였음을 나타내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정의된 제 1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예시에서는 SIP 기반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제 1 메시지에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 예를 들어 콜을 발생시킨 주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전화번호로 표현되거나, 및/또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01)는, 803 동작에서, 콜 연결에 대한 승낙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콜이 요청됨을 알리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해당 UI의 구성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201)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제한이 없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해당 UI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805 동작에서, 콜 연결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메시지 및/또는 승낙 메시지의 송/수신은, 외부 전자 장치(201)와 제 1 메타버스 서버(201) 사이에 수립된 세션(예를 들어, PDU 세션이지만 제한이 없음)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승낙 메시지를 수신한 제 1 메타버스 서버(201)는, SIP 기반의 승낙 메시지(예를 들어, 200 OK 이지만 제한이 없음)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01) 사이의 미디어 세션(예를 들어, MSRP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01)는, 807 동작에서, 콜에서 표현되는 가상 공간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809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에서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가 송신한 데이터에 기반한 컨텐트(901)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910)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메타버스 서비스에 의하여 구성되는, 제 1 사용자의 아바타(911)와 연관되는 가상 공간(900)에서, 송신되어야 하는 부분을 결정(또는, 조정)하기 위한 가상의 카메라(902)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카메라(902)의 화각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900)의 부분이, 전자 장치(101)로 송신될 부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1), 가상의 카메라(902)가 촬영하는 부분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1)의 사용자는, 가상 공간(900)의 일부를 표시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입력을,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되어야 하는 가상 공간(900)의 부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1)는, 도 9b와 같은 송신되는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UI(92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UI(920)는, 콜을 요청하는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921,9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902)는, 콜을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미지(921) 및/또는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정의된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또는 전화번호이지만 제한이 없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UI(920)는, 송신되는 화면의 선택을 요청하는 텍스트 팝업(924), 송신되는 화면의 후보들(925,926,928,928)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팝업(924)에는, 후보들(925,926,927,928)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요구되는 취지의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후보(925)는, 예를 들어 제 1 아바타가 셀피를 촬영하는 구도의 삼차원 화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 2 후보(926)는, 예를 들어 제 1 아바타의 정면을 촬영하는 구도의 이차원 화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 3 후보(927)는, 예를 들어 제 1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의 일부를 상대적으로 상측의 뷰에서 바라보는 구도의 화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 4 후보(928)는, 예를 들어 제 1 아바타가 바라보는 구도의 화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후보들(925,926,927,928)에, 제 1 아바타가 포함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후보들 중 일부는 제 1 아바타가 포함되지 않도록 표현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의 사용자는, 후보들(925,926,927,92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입력을,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되는 가상 공간의 부분을 정의하여, 이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생성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1)가 제 1 후보(925)에 대한 선택을 확인한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 1 후보(925)에 대한 선택에 기반하여, 제 1 아바타가 셀피를 촬영하는 구도와 같이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생성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도 9c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의 부분(941) 및 촬영된 이미지(940)를, 화상 콜의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의 부분(941)은,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의하여 구성된 바와 같이, 제 1 아바타가 셀피를 촬영하는 구도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 메타버스 서비스의 사용자는, 화상 콜에서 표현되는 화면을 선택 및/또는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에 의한 표시되는 부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1001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연락처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연락처 중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연락처 관련 정보는, 메타버스 서비스의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1 사용자에 대한 콜 생성 요청(예를 들어, 콜(또는, 화상 콜)을 위한 아이콘의 터치, 또는 음성 비서를 통한 콜 요청 명령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003 동작에서,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005 동작에서,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1007 동작에서,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1110)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컨텐트(1110)와 함께,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1113)도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 전자 장치(101)로 송신되는 제 1 데이터는, 제 1 서버(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의하여 디폴트로 정의된 구도이거나, 또는 도 9a 또는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외부 전자 장치(201)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된 구도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009 동작에서,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버(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에 대한 스와이프(1111)가 사용자 조작 정보로서 확인될 수 있다. 스와이프(1111)의 방향에 따라, 가상 공간에 대한 시점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의 스와이프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을 바라보는 시점이 상대적으로 좌측(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또는, 변경)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한편, 시점의 변경 이외에도, 핀치-아웃, 또는 핀치-인과 같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확대, 축소와 같은 조작도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장치(101)는, 스와이프(1111)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스와이프(1111)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시점 변경의 기능)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방식에 대하여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1)는, 1011 동작에서,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013 동작에서,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1120)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컨텐트(1120)는, 제 1 컨텐트(1110)와 다른 시점에서 가상 공간을 바라본 장면에 관한 것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콜이 수행되는 동안, 전자 장치(101)는, 가상 공간의 다른 부분을 송신할 것을, 제 1 서버(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의 다른 부분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1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대한 시점 변경을 허락한 경우에 상술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시점 변경의 허락과 무관하게 상술한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들,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1211 동작에서, SIP 게이트웨이(1201)로, SIP 기반의 INVIT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VITE 메시지에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1213 동작에서, INVITE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예를 들어 발신 측과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발신 측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또는 착신 측과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착신 측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전자 장치(101)는, 1215 동작에서, SIP 게이트웨이(1201)로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1217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SIP 게이트웨이(1201)로 O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착신 측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세션(예를 들어, PDU 세션일 수 있지만 제한은 없음)을 통하여 수신된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이 확인됨에 기반하여, O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OK 메시지의 송신을 위한 트리거에는 제한이 없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1221 동작에서, OK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 및 제 1 메타버스 서버(220) 사이에 미디어 세션(예를 들어, MSRP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콜 서버(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예를 들어 SIP 게이트웨이(1201) 및/또는 MSRP 게이트웨이(1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2에서 설명된 MSRP 세션의 수립을 위한 절차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MSRP 게이트웨이(1203)로, 1223 동작에서, MSRP 메시지(예를 들어,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MSRP 게이트웨이(1203)는, 1225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MSRP 메시지(예를 들어,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1227 동작에서, MSRP 게이트웨이(1203)로 O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MSRP 게이트웨이(1203)는, 전자 장치(101)로 1229 동작에서, O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세션(예를 들어, MSRP 세션)을 통하여,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부터, 화상 콜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상 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로서,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1231 동작에서, SIP 게이트웨이(1201)로 송신할 수 있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1233 동작에서, 제어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1235 동작에서, OK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1201)로 송신할 수 있다. SIP 게이트웨이(1201)는, 123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로 O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송신되는 가상 공간의 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1201)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으며, MSRP 게이트웨이(1203)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도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송신되는 가상 공간의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변경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RP 메시지를, 1239 동작에서 MSRP 게이트웨이(1203)로 송신할 수 있다. MSRP 게이트웨이(1203)는, 1241 동작에서, MSRP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MSRP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243 동작에서, OK 메시지를 MSRP 게이트웨이(1203)로 송신할 수 있다. MSRP 게이트웨이(1203)는, 1245 동작에서, OK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관련 데이터는 MSRP 게이트웨이(1203)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며, 화면 조정과 같은 제어 관련 메시지는 SIP 게이트웨이(1201)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들,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한편, 1301 동작 내지 1311 동작은, 도 12에서 설명한 1211 동작 내지 1221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1313 동작에서,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로 GET HTTP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315 동작에서,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로부터 HTTP 200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는, 표시되는 가상 공간을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317 동작에서,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로 데이터 채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 메시지에는, 표시되는 가상 공간의 변경을 야기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되는 가상 공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채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는, 1319 동작에서, 데이터 채널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변경된 가상 공간 부분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MSRP 게이트웨이(1203)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가 제어를 위한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1321 동작 및 1323 동작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채널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관련 데이터는 MSRP 게이트웨이(1203)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며, 화면 조정과 같은 제어 관련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1205)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콜 서버, 및 메타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11))는, 1401 동작에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또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제 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1403 동작에서, 제 1 메시지를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1405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에서 지정된 착신 측 사용자인 제 1 사용자가 현재 오프라인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메타버스 서버(220)는, 1407 동작에서, 콜 서버(210)로, 제 1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1409 동작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제 1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1411 동작에서, 제 1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서버(210)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SIP 계정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콜 서버(210)는, 착신자의 SIP 계정을 착신자로 하는 제 1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응신에 기반하여, 1413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에 응답하는 제 2 메시지를 콜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다. 콜 서버(210)는, 1415 동작에서, 제 2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전자 장치(201) 사이의 세션(1417)이 수립될 수 있다. 세션(1417)은, 예를 들어 미디어 세션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한편,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201)는, 제 1 메타버스 서버(220)에 저장된 아바타와 관련된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화상 콜의 이미지로서 제공되는 타입에는 제한이 없으며, 외부 전자 장치(201)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송신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 및 통신 장치(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SIP 기반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송신 이후, SIP 기반의 제 2 메시지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 1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또는 상기 제 2 컨텐트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SIP 기반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송신 이후, SIP 기반의 제 2 메시지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 1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또는 상기 제 2 컨텐트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S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 및 통신 장치(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제 1 컨텐트 제공 중에,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화상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 및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1)로 송신되는 가상 공간의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1))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 및
    통신 장치(11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10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101).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SIP 기반의 메시지인 전자 장치(10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송신 이후, SIP 기반의 제 2 메시지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이 수립되는 전자 장치(10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 1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10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또는 상기 제 2 컨텐트와 함께 제공되는 전자 장치(10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S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인 전자 장치(10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인 전자 장치(101).
  10.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콜 생성 요청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1 서버 사이의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2 컨텐트를 제공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세션을 수립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SIP 기반의 메시지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송신 이후, SIP 기반의 제 2 메시지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이 수립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 1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미디어 세션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또는 상기 제 2 컨텐트와 함께 제공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를, SI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S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미디어 세션으로부터 독립적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
  19.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 및
    통신 장치(11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컨텐트 제공 중에,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화상 콜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제공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화상 콜에 대한 승낙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메타버스 서비스의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연관된 가상 공간 및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상기 가상 공간을 표현하는 제 1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101).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1)로 송신되는 가상 공간의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101).
KR1020220126345A 2022-10-04 2022-10-04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47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45A KR20240047109A (ko) 2022-10-04 2022-10-04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3/009715 WO2024075942A1 (ko) 2022-10-04 2023-07-10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8/447,732 US11991220B2 (en) 2022-10-04 2023-08-10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call with user of metavers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45A KR20240047109A (ko) 2022-10-04 2022-10-04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109A true KR20240047109A (ko) 2024-04-12

Family

ID=9060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345A KR20240047109A (ko) 2022-10-04 2022-10-04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7109A (ko)
WO (1) WO20240759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88B1 (ko) * 2005-03-29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189053B1 (ko) * 2009-09-05 2012-10-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아바타 기반 화상 통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843766B2 (en) * 2015-08-28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on thereof
KR102180765B1 (ko) * 2019-12-24 2020-11-19 김보언 구성원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유니크베뉴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402580B1 (ko) * 2021-11-03 2022-05-26 주식회사 맥스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42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0698B2 (en) Communicating between a virtual area and a physical space
CN102132310B (zh) 内容共享和即时消息收发
US20170237789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virtual elements
CN107924575A (zh) 视频序列的异步3d注释
CN103368816A (zh) 基于虚拟人物形象的即时通讯方法及系统
CN107924587A (zh) 在混合现实会话内将用户引导至对象
CN110413108B (zh) 虚拟画面的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859480A (zh) 屏幕共享
JP2014099854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方法
JP6861287B2 (ja) 映像のための効果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060196A (ko) 아바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07211171A (zh) 共享的场景网格数据同步
CN107251527A (zh) 共享的场景对象同步
WO2019082366A1 (ja) 会議システム
US11991220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call with user of metavers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40047109A (ko)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925657A (zh) 经由用户设备的异步会话
US20240114091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with user of metavers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3617020B (zh) 游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服务器以及终端
JP6071006B2 (ja)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40047249A (ko)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12807A1 (en) A system for using augmented reality in messaging applications
WO2024075943A1 (ko)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327197A (zh) 消息发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30086055A1 (en) Collaborative user interfac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