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022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022A
KR20240047022A KR1020220126132A KR20220126132A KR20240047022A KR 20240047022 A KR20240047022 A KR 20240047022A KR 1020220126132 A KR1020220126132 A KR 1020220126132A KR 20220126132 A KR20220126132 A KR 20220126132A KR 20240047022 A KR20240047022 A KR 2024004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de
metal layer
display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무
최남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022A/ko
Publication of KR2024004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장치의 터치 센서 및 터치 배선을 보호하기 위한 터치 보호막을 터치 절연막 상에 배치하여, 터치 보호막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를 보호하는 터치 보호막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모니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는, 다양한 방식과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으며,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도 이용 및 적용 범위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 또는 액정, 및 각각의 발광 소자 또는 액정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이 중 액정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 방식이 아니므로, 후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와 같은 광원이 필요하다. 백라이트는 액정 표시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구부리거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다.
자체 발광 소자가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광원을 내장하는 표시장치보다 얇게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으므로, 구부리거나 다양한 디자인의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파악하고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다수의 터치 전극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로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하는 캐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 센서 및 터치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으나, 터치 보호막과 터치 배선의 접착력이 낮으므로, 터치 보호막의 끝단에서 터치 보호막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터치 보호막이 터치 배선에서 들뜨거나 분리되는 경우, 터치 배선은 쉽게 부식될 수 있으며,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배선의 일부를 제거하고, 터치 보호막의 끝단을 터치 배선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에 위치시켜, 터치 보호막의 부착력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보호막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가 제거된 터치 배선을 터치 패드와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와 비표시 영역 일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하부 전극 또는 상부 전극에 연결되며,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는 터치 배선,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터치 배선에 연결되는 터치 패드, 및 터치 센서와 터치 배선의 일부 상에 배치되며, 끝단이 상기 터치 절연막에 접촉하는 터치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제1 비표시 영역, 제2 비표시 영역, 제3 비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와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하부 전극 또는 상부 전극에 연결되며, 패드 영역까지 연장되는 터치 배선,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터치 배선이 연장 또는 연결되는 터치 패드, 및 표시 영역과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끝단이 터치 절연막에 접촉하는 터치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터치 센서 및 터치 배선을 보호하기 위한 터치 보호막을 터치 절연막과 같은 유기막 상에 배치하여, 터치 보호막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보호막의 들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터치 배선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터치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배선, 터치 보호막, 및 터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배선, 터치 보호막, 및 터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LED 표시장치나 양자점 표시장치와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과,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DL), 복수의 게이트 배선(GL), 복수의 서브픽셀(SP)을 포함하는 표시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은 기판을 기준으로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는 서브픽셀(PX)을 구동하기 위해, 다수의 데이터 배선(DL)과 다수의 게이트 배선(GL)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30), 게이트 구동 회로(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는 데이터 구동 회로(30)와 게이트 구동 회로(4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터치 센싱을 하기 위한 터치 센서(600)와, 터치 센서(600)를 구동 하고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회로(60)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60)는 터치 센서(600)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터치 센서(600)로부터 센싱 신호를 검출하고, 센싱 신호를 통해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터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회로(60)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 회로(62)와,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터치좌표)를 산출하는 터치 제어부(64)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품(예: 집적회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 구동 회로(30)와 통합하여 형성하거나, 데이터 구동 회로(3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터치 센서(600)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에 기반하여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600)는 뮤추얼-캐패시턴스(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하거나, 셀프-캐패시턴스(Self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싱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뮤추얼-캐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셀프-캐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600)는 브릿지 전극인 하부 전극(610)과 하부 전극(610)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630)은 터치 전극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전극(632)(또는 송신 전극)과, 센싱 신호가 센싱되고 구동 전극(632)과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센싱 전극(634)(또는 수신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610)과 상부 전극(630)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610)은 터치 절연막에 컨택홀을 형성하여, 구동 전극(632) 또는 센싱 전극(634)과 연결할 수 있다.
터치 센서(600)의 구동 전극(632) 중에서, 동일한 행(또는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 전극(632)들은 일체화 방식에 의해(또는 브릿지 전극에 의한 연결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 전극 라인(632L)을 형성할 수 있다.
센싱 전극(634) 중에서, 동일한 열(또는 동일한 행)에 배치된 센싱 전극(634)들은 브릿지 전극(610)에 의해(또는 일체화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센싱 전극 라인(634L)을 형성할 수 있다.
뮤추얼-캐패시턴스 방식의 경우, 터치 회로(60)는, 하나 이상의 구동 전극 라인(632L)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하나 이상의 센싱 전극 라인(634L)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신호를 토대로, 손가락, 펜 등의 접촉 유무에 따른 구동 터치 배선과 센싱 터치 배선 간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구동 신호 및 센싱 신호 전달을 위해, 복수의 구동 전극 라인(632L) 및 복수의 센싱 전극 라인(634L) 각각은 하나 이상의 터치 배선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600)는 메쉬 타입(Mesh type)의 터치 센서(600)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센서(600)로 비 메쉬 타입(Non-mesh type) 등도 적용될 수 있다. 비 메쉬 타입의 터치 센서(600)는 개구 영역(OA : Open Area)이 없는 판 형태의 전극 메탈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600)는 투명 전극일 수 있다.
도 3에 표시한 메쉬 타입(Mesh type)의 터치 센서(600)는 그물 형상으로 패터닝되어진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610)은 브릿지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메쉬 타입이 아닌 일반 배선 형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메쉬 타입의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에는 다수의 개구 영역(O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영역(OA)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 영역 내 존재하는 다수의 개구 영역(OA) 각각은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 중 하나 이상의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 영역 내 존재하는 다수의 개구 영역(OA) 각각은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청색 서브픽셀 및 흰색 서브픽셀 중 하나 이상의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의 개구 영역들(OA) 각각에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이 존재함으로, 터치 센싱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표시장치(10)의 개구율 및 발광 효율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하나의 상부 전극(630) 외곽의 대략적인 윤곽은 마름모형 또는 사각형 등일 수 있으며, 하나의 상부 전극(630) 및/또는 하부 전극(610)에서의 개구 영역(OA) 또한, 마름모형 또는 사각형 등일 수 있다. 상부 전극(630)의 형상과 개구 영역(OA)의 형상은, 서브픽셀의 형상, 서브픽셀들의 배열 구조, 터치 감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터치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600)에 구동 신호와 센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터치 센서(600)와 터치 구동 회로는 터치 배선(6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터치 센서(600)의 구동 전극 라인(632L)과 연결되는 구동 터치 배선(642) 및 센싱 전극 라인(634L)과 연결되는 센싱 터치 배선(64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터치 배선(642)과 센싱 터치 배선(644)은 터치 패드(650)를 통해 터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패널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AA)에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과 다수의 게이트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표시 영역(AA)에는 다수의 구동 전극 라인(632L)과 다수의 센싱 전극 라인(634L)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표시 영역(AA)의 외곽 영역이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에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연장되거나 다수의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다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DLL)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표시 영역에는 다수의 구동 전극 라인(632L) 또는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 터치 배선(642)이 배치되고, 다수의 센싱 터치 전극 라인(644L) 또는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다수의 센싱 터치 배선(644)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터치 영역과 중첩되는 표시 영역(AA)에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의 구동 전극 라인(632L)이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데이터 배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의 센싱 전극 라인(634L)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터치 배선(640)인 센싱 터치 배선(644)(또는 구동 터치 배선(642))이 형성된 영역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B"영역은 터치 배선(64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A)에서 터치 배선(640)과 터치 패드(650)가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와 동일한 단면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기판(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200), 발광 소자(420), 봉지부(500), 터치 센서(600), 터치 배선(640), 터치 패드(650), 및 터치 보호막(7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은 발광 소자(420)가 포함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AA)과 데이터 구동 회로(30), 게이트 구동 회로(40) 중 하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는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은 빛을 발광하는 개별 단위로, 복수의 서브픽셀 각각에는 발광 소자(420) 및 박막 트랜지스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10)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발광 소자는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은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청색 서브픽셀, 및/또는 백색 서브픽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0)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y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로 단일층 또는 다중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10)은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멀티 레이어(multi-lay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유기막(110, 130)과 산화 실리콘(SiO2)과 같은 무기막(120)이 교번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하는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하여 밴딩(Bending)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층(210), 게이트 전극(230), 소스 전극(250)(및/또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250)과 드레인 전극은 반도체 물질에 따라 기능이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명칭도 바뀔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소스 전극(250) 하나만 기재를 하였어도, 소스 전극(250)과 드레인 전극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21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비정질 반도체 물질, 다결정 반도체 물질, 산화물 반도체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러 반도체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210) 상에는 게이트 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반도체층(210)과 게이트 전극(230) 사이에는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30) 상에는 층간 절연층(240)과 소스 전극(250)(및/또는 드레인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250)(및/또는 드레인 전극)과 반도체층(210)은 층간 절연층(240)에 컨택홀을 형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40)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00) 상에는 여러 구성요소들의 두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단차들을 평탄화하기 위해 제1 평탄화층(260) 및 제2 평탄화층(410)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260) 및 제2 평탄화층(410)은 폴리이미드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유기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평탄화층(410) 위에는 발광 소자(420)가 형성된다. 발광 소자(420)는 제1 전극(430)(또는 애노드 전극), 제1 전극(430)과 대응하는 제2 전극(450)(또는 캐소드 전극), 및 제1 전극(430)과 제2 전극(45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430)과 발광층(440)은 각 서브픽셀마다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430)은 표시 영역(AA)의 전체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420)는 제1 평탄화층(260) 상에 형성되는 연결 전극(300)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소스 전극(250)(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430)은 제2 평탄화층(41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1 연결전극(360)과 연결되고, 연결 전극(300)은 제1 평탄화층(26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소스 전극(250)(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430)은 투명 도전막 또는 반사 효율이 높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으로는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와 같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불투명 도전막으로는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납(Pb), 몰리브덴(Mo),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전극(430)은 투명 도전막, 불투명 도전막 및 투명 도전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투명 도전막 및 불투명 도전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440)은 제1 전극(410) 상에 정공 관련층, 유기 발광층, 전자 관련층 순으로 또는 역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뱅크층(460)은 각 서브픽셀의 제1 전극(410)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일 수 있다. 뱅크층(460)은 인접한 서브픽셀 간 광 간섭을 방지하도록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층(460)은 칼라 안료, 유기 블랙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차광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450)은 발광층(44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430)과 대향하며, 발광층(440)의 상부면 및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50)은 표시 영역(AA) 전체 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50)은 전면 발광형(Top-Emiss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와 같은 투명 도전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50) 상에는 수분 침투를 억제하는 봉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봉지부(500)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1 봉지층(510), 제2 봉지층(520), 및 제3 봉지층(5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봉지부(500)의 제1 봉지층(510) 및 제3 봉지층(530)은 산화 실리콘(SiOx) 등의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500)의 제2 봉지층(52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봉지층(520)의 테두리 지점에는, 뱅크층(460), 제1 봉지층(510) 및 제3 봉지층(530)이 적층된 댐(540)이 위치할 수 있다. 댐(540)은 봉지부(500)의 형성 과정에서 제2 봉지층(520)이 표시패널 외곽으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댐(540)은 봉지부(500)의 일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기능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에서 표시패널 안쪽으로 유입되는 수분 등으로부터 서브픽셀 등을 보호해줄 수 있다.
봉지부(500) 상에는 터치 버퍼층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버퍼층은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봉지부(500) 상에서 터치 센서(60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터치 센서(600)가 봉지부(500)상에서 고정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버퍼층은 생략 가능하다.
봉지부(500) 및 터치 버퍼층 상에는 터치 센서(6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600)는 터치 버퍼층 또는 봉지부(5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전극(610), 상부 전극(630), 및 하부 전극(610)과 상부 전극(630) 사이와 비표시 영역(NA) 일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610)은 서로 이웃하는 상부 전극(630)을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일 수 있다. 하부 전극(610)과 상부 전극(630)은 티타늄(Ti),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또는 구리(Cu) 등의 물질을 단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610)과 상부 전극(630)은 티타늄 층(Ti)-알루미늄 층(Al)-티타늄 층(Ti)을 적층하거나, 몰리브덴 층(Mo)-알루미늄 층(Al)-몰리브덴 층(Mo)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전극(610) 상에는 터치 절연막(620)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절연막(620)은 하부 전극(610), 봉지부(500) 또는 터치 버퍼층 상면에 접촉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절연막(620) 상에는 상부 전극(6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630)은 구동 전극(632)과 센싱 전극(634)을 포함하며, 구동 전극(632)(또는 구동 전극 라인)과 센싱 전극(634)(또는 센싱 전극 라인) 간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통해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상부 전극(630)은 하부 전극(61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절연막(620)은 터치 배선(640)과 함께 비표시 영역(N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제1 비표시 영역(NA1), 제2 비표시 영역(NA2), 제3 비표시 영역(NA3), 및 패드 영역(PA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표시 영역(NA1)은 표시 영역(AA)에 연결되는 영역 또는 표시 영역(AA)이 끝단 부터 시작되는 영역으로, 봉지부(500)의 끝단과 댐(540)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은 제1 비표시 영역(NA1)에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1 비표시 영역(NA1)이 끝나는 부분부터 시작되는 영역으로, 기판(100)이 구부러질 수 있는 베젤 밴딩 영역(BB)일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은 표시패널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평탄화층이 제거되어 표시패널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은 표시패널이 구부러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배선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비표시 영역(NA2)에 배치되는 배선은 단일층 또는 2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에 배치되는 배선은 두께 방향에서 중립면(neutral plane)에 위치시켜, 표시패널이 구부러지더라도 인장력과 압축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비표시 영역(NA3)은 제2 비표시 영역(NA2)에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 비표시 영역(NA2)이 끝나는 부분부터 시작되는 영역으로, 터치 배선(640), 데이터 링크 라인(DLL)과 같은 각종 신호배선이 위치할 수 있으며, 신호배선을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위해, 터치 보호막(7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비표시 영역(NA3)의 구조는 터치 보호막(700)이 분리되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은 상기 제3 비표시 영역(NA3)에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3 비표시 영역(NA3)이 끝나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표시패널 끝단까지의 영역으로, 터치 구동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등이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터치 센서(600)에 터치 구동 신호 및 터치 센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터치 배선(640)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터치 센서(600)의 상부 전극(630) 또는 하부 전극(6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NA)까지 연장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상부 전극(630) 또는 하부 전극(61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배선(640)은 상부 전극(630)과 터치 패드(650)를 연결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되고, 터치 배선(64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과 상부 전극(630)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거나, 동일 층에 형성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상부 전극(630)과 연결되고 비표시 영역(NA)에서 댐(540)이 있는 영역을 지나쳐서 댐(540) 외곽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하부 전극(61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63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620)이 배치되고,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터치 절연막(620)을 관통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은 표시패널이 구부러지는 영역으로, 배선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소스 전극(250)(또는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소스 전극 금속층(251)과 연결 전극(30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301)이 제2 비표시 영역(NA2)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비표시 영역(NA) 중 제2 비표시 영역(NA2)에서 소스 전극 금속층(251)과, 연결 전극 금속층(301)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A2)에서 터치 배선(640)은 소스 전극 금속층(251) 및/또는 연결 전극(300)으로 링크 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배선(640)은 제1 비표시 영역(NA1)까지는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으로 형성되고, 제2 비표시 영역(NA2)에서는 소스 전극 금속층(251) 및/또는 연결 전극 금속층(301)으로 형성되고,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는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댐(540) 외곽 영역까지 연장된 터치 배선(640)은 패드 영역(PAD)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패드 영역(PAD)과 중첩되는 터치 배선(640)의 일부는 터치 패드(650)가 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에서 터치 보호막(700)과 터치 절연막(620)은 제거되어, 터치 패드(650)를 노출할 수 있고, 터치 구동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등이 터치 패드(650)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의 일부 영역과 터치 패드(650)에는 터치 보호막(700)과 터치 절연막(62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배선(640)과 연결되는 터치 패드(650)는 상부 전극 금속층(631), 하부 전극 금속층(611), 연결 전극 금속층(301), 및 소스 전극 금속층(5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600) 및 터치 배선(640)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보호막(700)은 터치 센서(600)와 터치 배선(64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터치 보호막(700)은 터치 절연막(620)을 따라 제3 비표시 영역(NA3)까지 연장될 수 있다. 터치 보호막(700)과 터치 절연막(620)은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절연막(620)은 하부 전극(610)과 상부 전극(630) 사이와 제3 비표시 영역(NA3)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보호막(700)은 상부 전극(630)과 제3 비표시 영역(NA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보호막(700)과 터치 절연막(620)은 표시패널이 구부러질 수 있는 영역인 제2 비표시 영역(NA2)과 터치 구동 회로(62)가 연결될 수 있는 패드 영역(PAD)에서는 제거될 수 있다. 즉, 터치 보호막(700)은 비표시 영역(NA)의 일부 영역과 터치 패드(650)에는 제거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의 일부 영역인 제3 비표시 영역(NA3)상에 배치되는 터치 보호막(700)은 금속층인 터치 배선(64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보호막(700)은 폴리이미드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유기물로, 터치 배선(640)과 같은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경우 부착력이 낮아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배선(640)의 보호를 위해 터치 보호막(700)을 패드 영역(PAD)과의 경계영역까지 형성하는 경우, 터치 보호막(700)의 끝단이 패드 영역(PAD)에 돌출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쉽게 들뜨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배선, 터치 보호막, 및 터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구조는 제3 비표시 영역(NA3)을 제외하고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10)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을 제3 비표시 영역(NA3)의 끝단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이 패드 영역(PAD)에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터치 보호막(710)의 들뜸 또는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이 금속으로 형성된 터치 배선(640)에 접촉하는 것이 아닌, 유기막인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되어, 터치 보호막(710)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터치 보호막(710)은 터치 센서(600)와 터치 배선(640)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끝단이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될 수 있다.
금속층인 터치 배선(640)의 표면 에너지는 대략 42mJ/m2이고, 유기물인 터치 절연막(620)의 표면 에너지는 대략 65mJ/m2으로, 표면 에너지가 높은 터치 절연막(620)은 터치 배선(640) 보다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을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시키기 위해, 터치 보호막(710)과 터치 절연막(620)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배선(640)을 일부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6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이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서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 일부를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을 노출시키고,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을 터치 절연막(620)과 접촉시킬 수 있다.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일정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터치 절연막(620)은 상부 전극 금속층(631)이 분리되어 형성된 일정 영역에서 노출될 수 있고, 터치 보호막(710)의 끝단은 터치 절연막(620)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영역이 제거된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하부 전극 금속층(6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배선(640)은 하부 전극(61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63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620)이 배치되고,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터치 절연막(620)에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터치 배선 컨택홀은 상부 전극 금속층(631)의 제거된 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패드 영역(PAD)까지 연장되어 터치 패드(6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65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저항을 낮추기 위해,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 연결 전극 금속층(310), 및 소스 전극 금속층(25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하부 전극 금속층(6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배선, 터치 보호막, 및 터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구조는 제3 비표시 영역(NA3)과 패드 영역(PAD)을 제외하고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20)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을 제3 비표시 영역(NA3)의 끝단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이 패드 영역(PAD)에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터치 보호막(720)의 들뜸 또는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이 금속으로 형성된 터치 배선(640)에 접촉하는 것이 아닌, 유기막인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되어, 터치 보호막(72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이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720)과 터치 절연막(620)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배선(640)을 일부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6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이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서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의 일부를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620)을 노출시키고,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을 터치 절연막(620)과 접촉시킬 수 있다.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631)의 끝단을 터치 절연막(620)의 끝단 보다 짧게 배치시켜, 터치 절연막(620)이 노출되고, 터치 보호막(720)의 끝단이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제3 비표시 영역(NA3)의 끝단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부 제거하여, 터치 보호막(720)이 배치되는 영역을 도 6의 실시예 대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영역이 제거된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하부 전극 금속층(6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배선(640)은 하부 전극(61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63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포함하고,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62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터치 절연막(620)에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전극 금속층(611)은 패드 영역(PAD)까지 연장되어 터치 패드(6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65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터치 보호막(7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하부 전극 금속층(611)은 터치 절연막(6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배선(640)이 노출되는 영역이 없으면서, 터치 보호막(700)의 부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저항을 낮추기 위해,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 연결 전극 금속층(310), 및 소스 전극 금속층(25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하부 전극 금속층(6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배선, 터치 보호막, 및 터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의 구조는 제3 비표시 영역(NA3)과 패드 영역(PAD)을 제외하고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30)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을 제3 비표시 영역(NA3)의 끝단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이 패드 영역(PAD)에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터치 보호막(730)의 들뜸 또는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이 금속으로 형성된 터치 배선(640)에 접촉하는 것이 아닌, 유기막인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되어, 터치 보호막(73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이 터치 절연막(620)에 접촉하기 위해, 터치 보호막(730)과 터치 절연막(620)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배선(640)을 일부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6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이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서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 일부를 제거하여, 터치 절연막(620)을 노출시키고, 터치 보호막(730)의 끝단을 터치 절연막(620)과 접촉시킬 수 있다.
터치 배선(640)은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포함하고,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62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 금속층(611)과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터치 절연막(620)에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배선(640)의 상부 전극 금속층(631)을 제3 비표시 영역(NA3)의 끝단 일부 영역에서부터 패드 영역(PAD)까지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제2 평탄화층(410)을 관통하여, 터치 패드(6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제2 평탄화층(410)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620)과 하부 전극 금속층(611)을 관통하여, 터치 패드(6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전극 금속층(631)이 하부 전극 금속층(611)을 관통하면서 상부 전극 금속층(631)은 하부 전극 금속층(611)에 접촉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소스 전극 금속층(251)과 연결 전극 금속층(30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드(650)는 패드 영역(PAD)에서부터 제3 비표시 영역(NA3)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650)는 제3 비표시 영역(NA3)에서 터치 배선(6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부,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와 상기 비표시 영역 일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배선은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며, 비표시 영역에서 터치 배선은 소스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소스 전극 금속층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배선은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며,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 금속층은 터치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는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과, 소스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소스 전극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터치 패드는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에서 터치 배선은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과 터치 패드에는 터치 보호막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제1 비표시 영역, 제2 비표시 영역, 제3 비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부,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와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하부 전극 또는 상부 전극에 연결되며, 패드 영역까지 연장되는 터치 배선,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터치 배선이 연장 또는 연결되는 터치 패드, 및 표시 영역과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끝단이 터치 절연막에 접촉하는 터치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배선은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고,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 금속층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이 배치되고,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부 전극 금속층은 터치 절연막에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터치 절연막이 노출되고, 상부 전극 금속층은 하부 전극 금속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터치 절연막이 노출되고, 하부 전극 금속층은 패드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터치 절연막이 노출되고, 상부 전극 금속층은 터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평탄화층과, 제1 평탄화층 상에 배치되는 제2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부 전극 금속층은 제2 평탄화층을 관통하여, 터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제2 비표시 영역에서의 터치 배선과 패드 영역에서의 터치 패드는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 보호막의 끝단은 제3 비표시 영역의 끝단 보다 짧게 배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표시장치 60 : 터치 회로
62 : 터치 구동 회로 64 : 터치 제어부
100 : 기판 AA : 표시 영역
NA : 비표시 영역 NA1 : 제1 비표시 영역
NA2 : 제21 비표시 영역 NA3 : 제3 비표시 영역
PAD : 패드 영역 210 : 게이트 절연층
200 : 박막 트랜지스터 230 : 반도체층
240 : 게이트 전극 250 : 층간 절연층
260 :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251 : 소스 전극 금속층
270 : 제1 평탄화층 300 : 연결 전극
301 : 연결 전극 금속층 410 : 제2 평탄화층
420 : 발광 소자 430 : 제1 전극
440 : 발광층 450 : 제2 전극
460 : 뱅크층 500 : 봉지부
510 : 제1 무기물층 520 : 유기물층
530 : 제2 무기물층 600 : 터치 센서
610 : 하부 전극 611 : 하부 전극 금속층
620 : 터치 절연막 630 : 상부 전극
631 : 상부 전극 금속층 632 : 구동 전극
634 : 센싱 전극 640 : 터치 배선
642 : 구동 터치 배선 644 : 센싱 터치 배선
650 : 터치 패드 700, 710, 720, 730 : 터치 보호막

Claims (16)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
    상기 하부 전극 또는 상기 상부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 패드까지 연장되는 터치 배선; 및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배선의 일부 상에 배치되며, 끝단이 상기 터치 절연막에 접촉하는 터치 보호막;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배선은 상기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배선은 상기 소스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소스 전극 금속층을 통해 연결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배선은 상기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터치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소스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소스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과 상기 터치 패드에는 상기 터치 보호막이 배치되지 않는, 표시장치.
  8. 표시 영역, 제1 비표시 영역, 제2 비표시 영역, 제3 비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와 상기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하부 전극 또는 상기 상부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패드 영역까지 연장되는 터치 배선;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배선이 연결되는 터치 패드;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3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끝단이 상기 터치 절연막에 접촉하는 터치 보호막;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에 연결된 영역으로, 상기 봉지부의 끝단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에 연결된 영역으로, 상기 기판이 구부러지는 영역이고,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 연결된 영역이고,
    상기 패드 영역은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에 연결된 영역으로, 터치 구동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가 연결되는 영역인, 표시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배선은 상기 하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상부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 사이에는 상기 터치 절연막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터치 절연막에 복수의 터치 배선 컨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은 일정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절연막은 상기 일정 영역에서 노출되고,
    상기 분리되어 있는 상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하부 전극 금속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의 끝단은 터치 절연막의 끝단 보다 짧게 배치되어, 상기 터치 절연막이 노출되고,
    상기 하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패드 영역까지 연장되는, 표시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터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평탄화층과,
    상기 제1 평탄화층 상에 배치되는 제2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상부 전극 금속층은 상기 제2 평탄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터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터치 배선과 상기 패드 영역에서의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층인 연결 전극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막의 끝단은 상기 제3 비표시 영역의 끝단보다 짧게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220126132A 2022-10-04 2022-10-04 표시장치 KR2024004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2A KR20240047022A (ko) 2022-10-04 2022-10-04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2A KR20240047022A (ko) 2022-10-04 2022-10-04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022A true KR20240047022A (ko) 2024-04-12

Family

ID=9068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32A KR20240047022A (ko) 2022-10-04 2022-10-0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094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2578930A (zh) 触摸显示装置
US10802634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TWI731746B (zh) 觸控顯示裝置
KR20160127873A (ko) 표시 장치
EP3598283B1 (en) Touch display panel,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307709B2 (en) Touch driving circuit and touch display device for reducing noise of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display driving
KR20210080674A (ko) 표시 장치
KR20210013506A (ko) 표시 장치
KR20210081701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발광 표시 장치
US11194414B2 (en) Touch display device
CN113835547A (zh) 触摸显示器件
KR20210026451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46184A (zh) 触摸显示装置
CN115148761A (zh) 显示装置
KR20240047022A (ko) 표시장치
US11861100B2 (en) Display device
US11983359B2 (en) Display device
CN114546153B (zh) 触摸显示装置
US2023029906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5543132A (zh) 触摸显示装置
CN115543119A (zh) 触摸显示装置
KR20240074298A (ko) 표시 장치
KR20240070079A (ko) 표시장치
KR20230159766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