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871A - 방법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방법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871A
KR20240046871A KR1020247005231A KR20247005231A KR20240046871A KR 20240046871 A KR20240046871 A KR 20240046871A KR 1020247005231 A KR1020247005231 A KR 1020247005231A KR 20247005231 A KR20247005231 A KR 20247005231A KR 20240046871 A KR20240046871 A KR 2024004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sumer
pressure
storage vessel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톤 웰렌호퍼
에바 뮐러
스테판 펠빙거
클레멘스 울퍼스테터
하랄드 젠츠
카트린 웰렌호퍼
나빌 하케미
페트야 토네바
호세 앨버트 크루즈
데니스 두르네브
요하네스 샤프라넥
Original Assignee
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4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6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 F17C2221/017Hel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4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 F17C2223/042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 F17C2223/046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1Intermediat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2Control means using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4Control means using wireles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저장 용기(2)로부터 극저온 유체(H2)를 소비체(3)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저장 용기(2)로부터 극저온 유체(H2)의 일부를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14) 내로 도입하는 단계(S1), b) 먼저 용적부(14)와 소비체(3) 사이에 배치된 공급 밸브(V1)를 폐쇄하고, 이어서 저장 용기(2)와 용적부(14) 사이에 배치된 입구 밸브(V2)를 폐쇄함으로써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용적부(14)를 차단하는 단계(S2), c)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높은 압력(p14)을 용적부(14)에 적용하기 위해 용적부(14) 내의 극저온 유체(H2)를 기화시키는 단계(S3), 및 d) 소비체(3)가 공급 밸브(V1)를 개방함으로써 부하 요건(L)을 가질 때 기화된 극저온 유체(H2)를 용적부(14)로부터 소비체(3)로 배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급 밸브(V1)가 개방될 때 용적부(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입구 밸브(V2)가 개방된다.

Description

방법 및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수소용 저장 용기는, 본 출원인의 사내 알려진 방법에 따라, 압력 구축 기화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저장 용기 내의 압력을 구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기체 수소가, 예를 들어, 1 내지 2.5 bara의 안정한 공급 압력으로, 예를 들어, 연료 전지 형태로 소비체에게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양 분야에서 이러한 저장 용기의 작동 동안, 예를 들어, 너울로 인한 저장 용기의 움직임은 연료 전지에 필요한 공급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저장 용기에서 안정한 작동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또한 수소가 대략 무압력 방식으로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사내 선행 기술을 알고 있다. 이 경우, 수소는 극저온 펌프를 사용하여 이송되고 전술된 공급 압력으로 연료 전지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극저온 펌프는 움직이는 부품을 가지며, 이는 특정 유지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작동 중단 시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발견에 따르면 연료 전지의 상류에서 수소를 기화시키고, 이어서 필요한 공급 압력을 달성하기 위해 이를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에너지 사용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의 일부를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 내로 도입하는 단계, b) 먼저 용적부와 소비체 사이에 배치된 공급 밸브를 폐쇄하고, 이어서 저장 용기와 용적부 사이에 배치된 입구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를 차단하는 단계, c) 저장 용기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용적부에 적용하기 위해 용적부 내의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키는 단계, 및 d) 소비체가 공급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부하 요건을 가질 때 기화된 극저온 유체를 용적부로부터 소비체로 배출하며, 공급 밸브가 개방될 때 용적부 내의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입구 밸브가 개방되는 단계.
용적부가 기화된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축압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저장 용기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너울이 높을 때, 기화된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로써, 저장 용기는 가능한 최저 압력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극저온 유체의 체류 시간을 연장시킨다. 또한, 극저온 펌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가동 부품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극저온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따라서, 용어 "극저온 유체" 및 "수소"는 원하는 대로 상호교환 가능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극저온 유체는 또한 임의의 다른 극저온 유체일 수 있다. 극저온성 유체 또는 액체, 또는 간략하게 극저온 유체의 예는, 전술된 수소 외에, 액체 헬륨, 액체 질소, 또는 액체 산소이다. 따라서, "극저온 유체"는, 특히, 액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극저온 유체는 또한 기화되어 기체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기화 후, 극저온 유체는 기체이거나 또는 기체 또는 기화된 극저온 유체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극저온 유체"는 둘 모두, 즉, 기체상 및 액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기화된 극저온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극저온 유체의 기체상을 지칭한다.
기체 구역 및 아래에 놓인 액체 구역은 저장 용기 내로 극저온 유체를 충전한 후 또는 동안 작동 용기 내에 형성된다. 기체 구역과 액체 구역 사이에 상 경계가 제공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로 진입한 후, 극저온 유체는 상이한 응집 상태, 즉, 액체 및 기체의 2개의 상을 가진다. 액체 상태의 상은 기체상으로 천이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액체상은 액체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체상은 기체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 용기의 순수 액체 충전이 또한 가능하다.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3.5 bara이다.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은 특히 일정하다.
소비체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지이다. 본 경우에 "연료 전지"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 본 경우에는 수소, 및 산화제, 본 경우에는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갈바니 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극저온 유체는 정의된 공급 압력으로, 특히, 기체 형태로, 소비체 자체에 공급된다. 이는 극저온 유체가 소비체 전에 또는 소비체로부터 상류에서 완전히 기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극저온 유체는 1 내지 2.5 bara의 공급 압력 및 +10 내지 +25℃의 온도로 소비체에 공급된다. 그러나, 공급 압력은 또한 최대 6 bara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극저온 유체는 이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또는 동안, 저장 용기로부터의 극저온 유체의 액체상 또는 액체상의 일부는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 내로 도입된다. "일부"는 특히 저장 용기로부터의 극저온 유체의 액체상의 특정 부피가 용적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액체상의 나머지는 저장 용기 내에 남아 있다. 하나의 밸브 또는 복수의 밸브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a) 내지 단계 d)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특히, 하기에 설명된 이송 장치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적부는, 예를 들어, 용기, 파이프 루프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용적부는 또한 헤더 또는 수집기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용어 "용적부", "헤더" 및 "수집기"는 원하는 대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용적부"는 매우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 및 소비체로부터 유체적으로 차단되고 가압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적부는 축압기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피는 또한 축압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용어 "용적부" 및 "축압기"가 원하는 대로 서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b)에서 또는 동안, 용적부는 바람직하게는 밸브에 의해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된다. 용어 "차단한다"는 본 경우에 유체가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된 용적부 내로 유동할 수 없고, 유체가 차단된 용적부로부터 소비체에게 유동할 수 없도록 용적부와 소비체 사이 및 용적부와 저장 용기 사이의 유체 연결 또는 유체성 연결이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계 c)에서 또는 동안, 특히 밀봉된 용적부에 남아 있는 극저온 유체의 액체상태 상이 기화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열은 바람직하게는 극저온 유체로 도입된다. 차단된 용적부 내의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킴으로써, 용적부 내의 압력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용적부 내의 압력은 3 내지 10 bara의 압력으로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3.5 bara의 일정한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한다.
단계 d)에서 또는 동안 용적부로부터 소비체에게 기화된 극저온 유체의 배출은 바람직하게는 기화된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해 소비체의 부하 요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밸브, 특히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일어난다. 밸브는 특히 소비체에게 적합한 공급 압력에서 극저온 유체를 공급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단계 d)에서 또는 동안, 용적부와 소비체 사이의 유체 연결 또는 유체성 연결은 따라서 기화된 극저온 유체가 용적부로부터 소비체에게 유동할 수 있도록 설립된다. 이 경우에, 압력 감소는 밸브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d) 동안, 용적부 내에 존재하는 압력은, 극저온 유체가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용적부로부터 배출될 때, 소비체에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적합한 공급 압력은, 예를 들어, 1 내지 2.5 bara일 수 있다. 적합한 공급 온도는 +10 내지 +25℃일 수 있다. 공급 밸브는, 상기 밸브가 차단된 용적부 내에 존재하는 압력을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소비체에 적합한 공급 압력은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낮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은 3.5 bara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적합한 공급 압력은 1 내지 2.5 bara이다.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이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d) 동안, 공급 밸브는 소비체의 부하 요건에 따라 개방된다.
이는 특히 소비체의 부하 요건이 존재할 때 공급 밸브만이 개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급 밸브는 소비체의 부하 요건에 대해 기화된 극저온 유체의 용적부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d) 동안, 공급 밸브는 공급 밸브로부터 하류에 배치된 압력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 및/또는 유동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의 도움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하류"는 저장 용기로부터 소비체에게 극저온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관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압력 센서 및/또는 유동 센서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압력 센서 및/또는 유동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공급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b) 동안, 공급 밸브는 폐쇄된다.
소비체의 부하 요건이 존재할 때까지 공급 밸브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소비체의 부하 요건이 존재하자마자, 공급 밸브는 적합한 공급 압력에서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기 시작한다.
단계 b) 동안, 공급 밸브로부터 상류에 배치된 입구 밸브는 폐쇄된다.
공급 밸브 및 입구 밸브의 도움으로, 용적부는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적부는 입구 밸브와 공급 밸브 사이에 설치되거나 배치되거나 제공된다. 본 경우에, "상류"는 저장 용기로부터 소비체로의 극저온 유체의 유동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입구 밸브는 용적부 내의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크기만 하면 폐쇄된다.
입구 밸브가 폐쇄되는 한, 극저온 유체는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 내로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입구 밸브가 폐쇄된다는 사실로 인해, 용적부 내의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크기만 하면, 극저온 유체는 용적부로부터 저장 용기 내로 다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입구 밸브는 용적부 내의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개방된다.
입구 밸브가 개방되자마자, 극저온 유체는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 내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은 이어서 소비체에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저장 용기로부터의 극저온 유체는 부피와 연관된 기화기 장치의 도움으로 기화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열은, 단계 c) 동안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키기 위해 기화기 장치의 도움으로 극저온 유체 내로 도입된다.
기화기 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 가열 장치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화기 장치는, 예를 들어, 임의의 열 교환기 또는 환열기일 수도 있다. 기화기 장치는 용적부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 장치가 제안된다. 이송 장치는 저장 용기와 용적부 사이에 배치되는 입구 밸브, 용적부와 소비체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 밸브,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 기화기 장치, 및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입구 밸브가 극저온 유체의 일부를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 내로 도입하는 방식으로 입구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가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먼저 공급 밸브를 폐쇄하고 이어서 입구 밸브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기화기 장치는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차단된 용적부에 적용하기 위해 차단된 용적부 내에 수용된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소비체가 부하 요건을 가질 때 공급 밸브가 차단된 용적부로부터 기화된 극저온 유체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공급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는 공급 밸브가 개방될 때, 용적부 내의 압력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입구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 설명된 방법은 이송 장치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또한 소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용기 및/또는 소비체는 또한 이송 장치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이송 장치는 또한 이송 장치에 추가하여, 소비체 및/또는 저장 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 컨베이어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용적부"는, 차단된 용적부의 경우, 따라서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를 차단하기 위해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가 폐쇄된다는 점에서 "폐쇄된 용적부"와 상이하다. 본 경우에 입구 밸브가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 내로 극저온 유체의 일부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는 사실은 특히 유입구 밸브가, 극저온 유체, 특히 극저온 유체의 액체상이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가 소비체 및 저장 용기로부터 용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는 사실은 본 경우에 특히 용적부를 차단하기 위한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가 따라서 용적부를 차단하기 위해 둘 모두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화기 장치는 특히 극저온 유체 내로의 열 도입의 도움으로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키는 데 적합하다. 기화된 극저온 유체는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차단된 용적부로부터 소비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밸브는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공급 밸브는 입구 밸브로부터 하류에 배치된다.
이는 공급 밸브가, 저장 용기로부터 소비체로 극저온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관찰되는, 입구 밸브 후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용적부는 입구 밸브 및 공급 밸브 사이에 제공된다.
용적부는 극저온 유체의 기화의 도움으로 가압될 수 있는 임의의 중공 공간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적부는 또한 수집기, 헤더, 또는 축압기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용적부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루프, 파이프라인, 및/또는 저장 부피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용적부는 15 내지 20 m의 길이 및 200 내지 600 mm, 특히 최대 400 mm의 파이프 직경을 갖는 파이프 루프에 의해 형성된다. 용적부는 구불구불한, 곡선형 파이프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부피는 임의의 용기 등일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입구 밸브 및/또는 공급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압력 센서 및 유동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공급 밸브로부터 하류에 제공된다. 압력 센서 및 유동 센서는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에 센서 신호를 제공하여,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가 용적부 내의 압력이 기화된 극저온 유체가 공급 밸브의 도움으로 유동하여 나갈 때 소비체에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공급 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방법에 대해 기술된 구현예 및 특징은 이에 따라 제안된 이송 장치에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경우에, 단수 "a(n)"가 정확히 하나의 요소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2개, 3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여러 개의 요소가 또한 제공될 수 있는 경우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임의의 다른 수치 단어는 또한 정확히 상응하는 수의 요소에 대한 정확한 제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상향 또는 하향의 수치 차이가 가능하다.
방법 및/또는 이송 장치의 추가 가능한 구현예는 또한 예시적인 구현예에 대하여 전술되거나 후술되는 특징 또는 구현예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또한 방법 및/또는 이송 장치의 각각의 기본 형태에 대한 개선사항 또는 추가사항으로 개별 양태를 추가할 것이다.
방법 및/또는 이송 장치의 추가 유리한 구현예는 후술되는 방법 및/또는 이송 장치의 종속항 및 예시적인 구현예의 주제이다. 또한, 방법 및/또는 이송 장치는 바람직한 구현예에 기반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수소 이송용 컨베이어 조립체의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컨베이어 조립체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은 저장 용기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소비체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의 일 구현예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등가인 요소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동일한 도면부호로 제공되었다.
도 1은 저장 용기(2)로부터 소비체(3)로 수소(H2)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조립체(1)의 일 구현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컨베이어 조립체(1)는 저장 용기(2)의 움직임과 독립적으로, 최대로 6 bara,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bara의 일정한 공급 압력, 및 약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기체 수소(H2)를 이용하여 소비체(3)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 조립체(1)는 또한 수소 컨베이어 조립체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 용기(2) 및/또는 소비체(3)는 컨베이어 조립체(1)의 일부일 수 있다.
컨베이어 조립체(1)는 이동 응용에 특히 적합하다. 컨베이어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일부, 특히 육상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조립체(1)는 여객선과 같은 선박, 자동차, 예를 들어 트럭 또는 다용도 차량 등의 일부이다.
저장 용기(2)는 또한 저장 탱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 용기(2)는 또한 제공될 수 있다(미도시). 저장 용기(2)는 중심축 또는 대칭축(4)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설계될 수 있다. 대칭축(4)은 중력 방향(g)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는 저장 용기(2)가 누워 있거나 수평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장 용기(2)는 또한 직립 또는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칭축(4)은 중력 방향(g)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저장 용기(2)는 액체 수소(H2)(1 bara에서의 끓는점: 20.268 K = -252.88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저장 용기(2)는 또한 수소 저장 용기 또는 수소 저장 탱크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 용기(2)는 또한 다른 극저온성 액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간략하게, 극저온성 유체 또는 액체, 또는 극저온 유체의 구현예는, 전술된 액체 수소(H2)(1 bara에서의 끓는점: 4.222 K = -268.928℃), 액체 질소(N2)(1 bara에서의 끓는점: 77.35 K = -195.80℃) 또는 액체 산소(O2)(1 bara에서의 끓는점: 90.18 K = -182.97℃)에 추가하여 액체 헬륨(He)이다.
액체 수소(H2)는 저장 용기(2) 내에 수용된다. 수소(H2)가 2개의 상 영역으로 존재하는 한, 기화된 수소(H2)를 갖는 기체 구역(5) 및 액체 수소(H2)를 갖는 액체 구역(6)이 저장 용기(2)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2)로 진입한 후, 수소(H2)는 상이한 응집 상태, 즉, 액체 및 기체를 갖는 2개의 상을 갖는다. 이는, 저장 용기(2)에서, 액체 수소(H2)와 기체 수소(H2) 사이의 상 경계(7)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 용기(2)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센서(8)는 저장 용기(2)와 연관된다. 저장 용기(2)의 압력은 약 3.5 bara이다. 저장 용기(2)의 압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복수의 소비체(3)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소비체(3)만이 하기에서 논의된다. 소비체(3)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지이다. 본 경우에 "연료 전지"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 본 경우에는 수소(H2), 및 산화제, 본 경우에는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갈바니 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얻은 전기 에너지에 의해, 예를 들어, 전기 모터(미도시)가 구동될 수 있다. 소비체(3)의 안정한 작동을 위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정의된 공급 압력에서 기체 수소를 소비체(3)에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바일 응용에서, 저장 용기(2) 내에 수용된 액체 수소(H2)의 움직임이 예상되어야 한다. 수평으로 배치된 원통형 저장 용기(2)의 경우, 넓은 면적에 걸친 액체 수소(H2)의 출렁거림은 액체 수소(H2)의 질량 관성 및 수평 설치로 인해 존재하는 저장 용기(2)의 원통형 외벽 및 단부 둘 모두에 대한 곡률에 의해 촉진된다.
출렁거림으로도 알려진 이러한 스와싱은 액체 수소(H2) 위의 기체 구역(5) 내의 기체상의 냉각을 초래하고, 이에 의해, 액체 수소(H2) 위에 형성된 기체 완충의 압력 감소를 초래한다. 저장 용기(2)의 움직임에 따라, 이는 소비체(3)의 작동 구성요소를 위해 이용 가능한 공급 압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체(3)의 불안정한 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액체 수소를 펌핑하기 위해 수냉식, 액체 저장형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펌프는 움직이는 부품을 갖는다. 또한, 펌프의 간헐적 작동의 경우, 상기 펌프의 가열로 인해 액체 수소(H2) 내에 버블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펌프의 오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소(H2)는 먼저 기화되고, 이어서 압축기를 사용하여 필요한 공급 압력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에너지 사용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저장 용기(2)는 공급 압력에서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2)에서 액체상과 상기 액체상 위에 층을 이룬 기체상과의 평형이 이루어진다. 액체 수소의 낮은 표면 장력으로 인해, 예를 들어, 저장 용기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차량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될 때, 저장 용기(2)의 움직임은 액체상 및 기체상이 서로 혼합되게 하고, 이에 의해, 액체 수소(H2)가 따뜻한 기체 수소(H2)를 냉각시킨다. 이어서, 액체 수소(H2)와 기체 수소(H2)의 온도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공급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들 전술된 문제는 컨베이어 조립체(1)의 도움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컨베이어 조립체(1)는 이송 장치(9)를 갖는다. 컨베이어 조립체(1)와 대조적으로, 저장 용기(2) 및/또는 소비체(3)는 바람직하게는 이송 장치(9)의 일부가 아니다. 그러나, 저장 용기(2) 및/또는 소비체(3)는 이송 장치(9)의 일부라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이송 장치(9)는 상 경계(7) 아래, 즉, 액체 구역(6)의 영역에서 저장 용기(2)로부터 이어지는 라인(10)을 포함한다. 라인(10)의 도움으로, 액체 수소(H2)는 저장 용기(2)로부터 이송 장치(9)의 입구 밸브(V2)로 공급될 수 있다. 기화기 장치(11)는 입구 밸브(V2)로부터 하류에 배치된다. 기화기 장치(11)는 열(Q)을 도입함으로써 액체 수소(H2)를 기화시키는 데 적합하다.
입구 밸브(V2)는 작동 연결부(12)를 통해 이송 장치(9)의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 연결부(12)는 데이터 연결부일 수 있다. 작동 연결부(12)는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다.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필요에 따라 입구 밸브(V2)를 개폐하는 데 적합하다.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또한 압력 센서(8)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헤더(14)는 입구 밸브(V2)로부터 공급 밸브(V1)로 이어진다. 기화기 장치(11)는 헤더(14)의 일부일 수 있다. 헤더(14)는 기화기 장치(11)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기화기 장치(11)는 헤더(14)에 연결될 수 있다. "헤더"는 특히 가압될 수 있는 밀폐된 용적부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경우에 "헤더"는 밸브(V1, V2) 사이에 위치되고 가압될 수 있는 용적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헤더는 또한 용적부, 축압기, 또는 수집기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헤더", "용적부", "축압기", 또는 "수집기"는 원하는 바에 따라 서로 교환될 수 있다. 헤더(14)는, 예를 들어, 15 내지 20 m의 길이 및 200 내지 250 mm의 직경을 갖는, 예를 들어, 튜브 루프 또는 복수의 튜브 루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파이프 루프는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3 내지 10 bara의 압력이 헤더(14)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헤더(14)는 또한 이송 장치(9)의 일부이다. 헤더(14)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 센서(15)는 헤더(14)에 연결된다. 압력 센서(15)는 기화기 장치(11)로부터 하류에 그리고 공급 밸브(V1)로부터 상류에 헤더(14) 내에 배치된다. 용어 "하류" 및 "상류"는 저장 용기(2)로부터 소비체(3)로의 수소(H2)의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압력 센서(15)는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가 압력 센서(15)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하거나 평가하는 방식으로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와 통신할 수 있다.
공급 밸브(V1)는 작동 연결부(16)를 통해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에 결합된다. 작동 연결부(16)는 데이터 연결부일 수 있다. 작동 연결부(16)는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다.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필요에 따라 공급 밸브(V1)를 개폐하는 데 적합하다.
기체 수소(H2)를 복수의 소비체(3)에 분배하는 라인(17) 및 분배기(18)는 공급 밸브(V1)로부터 하류에 연결된다. 하나의 소비체(3)만이 제공되는 경우, 분배기(18)는 생략될 수 있다. 1 내지 2.5 bara의 압력, 즉,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은 라인(17) 및/또는 분배기(18)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헤더(14)의 압력은 라인(17) 및/또는 분배기(18) 내의 압력에 비해 상당히 높다.
라인(17)은 작동 연결부(20)를 통해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에 결합된 압력 센서(19)를 갖는다. 또한, 라인(17)은 작동 연결부(22)를 통해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에 결합된 유동 센서(21)를 포함한다.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압력 센서(19) 및/또는 유동 센서(21)로부터 센서 신호를 평가하고, 작동 연결부(20, 22)를 통해 이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 조립체(1) 또는 이송 장치(9)의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며, 이는 저장 용기(2) 또는 헤더(14) 내의 압력(p)과 소비체(3)의 부하 또는 부하 요건(L)이 시간(t)에 걸쳐 플로팅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초 단위의 시간(t)이 우측 축에 플로팅된다. 저장 용기(2) 또는 헤더(14) 내의 압력(p)은 수직 축 상에 bar 단위로 플로팅되고,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은 백분율로 플로팅된다. 헤더(14) 내에 존재하는 압력(p14)은 실선으로 도시된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은 쇄선으로 도시된다. 점선(23)은 공급 밸브(V1)의 개폐 거동을 나타낸다. 이중 쇄선(24)은 입구 밸브(V2)의 개폐 거동을 나타낸다.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시간(t0)에서, 밸브(V1, V2) 둘 모두는 완전히 개방된다. 소비체(3)가 부하 요건(L)을 갖는 한, 입구 밸브(V2)는 개방되고 공급 밸브(V1)는 소비체(3)로의 기체 수소(H2)의 유동을 제어한다. 이는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의 도움으로 압력 센서(19) 및/또는 유동 센서(21)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어난다. 기화기 장치(11)는 저장 용기(2)로부터의 액체 수소(H2)를 기화시킨다.
시간(t1)에서, 부하 요건(L)은 감소되기 시작한다. 부하 요건(L)을 감소시킴에 따라, 공급 밸브(V1)는 시간(t2)에서 시작하는 약간의 지연으로 폐쇄된다. 시간(t3)에서, 부하 요건(L)은 0%이다. 공급 밸브(V1)는 시간(t4)에서 약간의 지연으로 완전히 폐쇄된다. 시간(t3)에서, 입구 밸브(V2)는 여전히 완전히 개방된다. 시간(t4)에서, 입구 밸브(V2)는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시간(t4)으로부터 시작하여, 소비체(3)에는 또한 더 이상 수소(H2)가 공급되지 않는다. 소비체(3)에는 부하 요건(L)의 경우에만 수소(H2)가 공급된다.
헤더(14)는 이제 시간(t4)에서 시작하는 폐쇄된 용적부를 형성한다. 기화기 장치(11)의 도움으로, 헤더(14)는 이제 저장 용기(2)로부터 액체 수소(H2)를 기화시킴으로써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화기 장치(11)는 열(Q)을 액체 수소(H2) 내로 도입한다. 수소(H2)의 기화는 해칭된 영역(25)의 도움으로 그래프에 표시된다. 시간(t5)에서, 헤더(14) 및 기화기 장치(11) 내의 수소(H2)는 완전히 기화되고,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3 내지 10 bara의 압력이 헤더(14) 내에 존재한다.
해칭된 영역(25)은 특히 기화기 장치(11)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액체 수소(H2)의 사후 기화에 의한 압력 형성을 나타낸다. 정상 작동에서, 기화기 장치(11)는 기체로 완전히 충전되지 않지만, 기화기 장치(11)의 파이프에서, 액체가 부하 및 열전달로부터 생성된다. 액체 수소(H2)의 이러한 액체 수준은 압력 형성에 사용된다. 시간(t5)에서, 모든 수소(H2)는 기화기 장치(11) 및 헤더(14) 내에서 기화된다.
밸브(V1, V2) 둘 모두가 여전히 폐쇄되는 임의의 시간(t6)에서,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이 있다. 공급 밸브(V1)는 시간(t7)에서 약간의 지연으로 개방되고, 소비체(3)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기체 수소(H2)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를 통해 압력 센서(19) 및 유동 센서(21)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소비체(3)의 신속한 접근은, 해칭 영역(26)의 도움으로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헤더(14) 내에 저장된 수소(H2)에 의해 가능하다.
이제 시간(t6)에서 고압(p14)이 헤더(14)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기체 수소(H2)를 소비체(3)에 즉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먼저 기화기 장치(11)를 충전하고 액체 수소(H2)를 부하 요건(L) 하에서 기화시키는 것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간(t8)에서, 부하 요건은 100%이다. 공급 밸브(V1)는 시간(t9)에서 짧은 지연으로 완전히 개방된다. 입구 밸브(V2)는 시간(t9)에서 여전히 폐쇄된다.
시간(t10)에서, 헤더(14)의 압력은 저장 용기(2) 내의 압력 아래로 떨어진다. 짧은 지연으로, 입구 밸브(V2)는 기화기 장치(11) 및/또는 헤더(14)를 저장 용기(2)로부터의 액체 수소(H2)로 충전하기 위해 시간(t11)에서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소비체(3)에는 공급 밸브(V1)를 통해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저장 용기(2)로부터 수소(H2)를 소비체(3)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예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방법은 컨베이어 조립체(1) 또는 이송 장치(9)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본 방법에서, 단계(S1)에서, 저장 용기(2)로부터의 수소(H2)의 일부는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헤더(14)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입구 밸브(V2)는 개방된다. 단계(S2)에서, 헤더(14)는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차단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급 밸브(V1)는 단계(S2) 동안 폐쇄된다. 단계(S2) 동안, 공급 밸브(V1)로부터 상류에 배치된 입구 밸브(V2)가 또한 폐쇄된다.
단계(S3)에서,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높은 압력(p14)을 헤더(14)에 적용하기 위해 수소(H2)는 차단된 헤더(14) 내에서 기화된다. 단계(S3) 동안, 헤더(14) 내의 액체 수소(H2)를 완전히 증발시키기 위해 열(Q)은 기화기 장치(11)의 도움으로 헤더(14) 내의 액체 수소(H2) 내로 도입된다.
단계(S4)에서,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의 경우, 기화된 수소(H2)는 헤더(14)부터 소비체(3)로 배출된다. 단계(S4) 동안, 헤더(14) 내에 존재하는 압력(p14)은, 수소(H2)가 공급 밸브(V1)의 도움으로 헤더(14)로부터 배출될 때,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된다.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은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작다.
단계(S4) 동안, 공급 밸브(V1)는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에 따라 개방된다. 공급 밸브(V1)는 공급 밸브(V1)로부터 하향으로 배치된 압력 센서(19)로부터의 센서 신호 및/또는 유동 센서(21)의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의 도움으로 제어된다.
입구 밸브(V2)는 헤더(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크기만 하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입구 밸브(V2)는 헤더(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p2)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개방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많은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1 컨베이어 조립체
2 저장 용기
3 소비체
4 대칭축
5 기체 구역
6 액체 구역
7 상 경계
8 압력 센서
9 이송 장치
10 라인
11 기화기 장치
12 작동 연결부
13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
14 헤더/용적부
15 압력 센서
16 작동 연결부
17 라인
18 분배기
19 압력 센서
20 작동 연결부
21 유량 센서
22 작동 연결부
23 라인
24 라인
25 영역
26 영역
g 중력 방향
H2 수소/극저온 유체
L 부하 요건
p 압력
p2 압력
p14 압력
Q 열
S1 단계
S2 단계
S3 단계
S4 단계
t 시간
t0 시간
t1 시간
t2 시간
t3 시간
t4 시간
t5 시간
t6 시간
t7 시간
t8 시간
t9 시간
t10 시간
t11 시간
V1 공급 밸브
V2 입구 밸브

Claims (11)

  1. 저장 용기(2)로부터 극저온 유체(H2)를 소비체(3)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저장 용기(2)로부터 극저온 유체(H2)의 일부를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14) 내로 도입하는 단계(S1),
    b)먼저 용적부(14)와 소비체(3) 사이에 배치된 공급 밸브(V1)를 폐쇄하고, 이어서 저장 용기(2)와 용적부(14) 사이에 배치된 입구 밸브(V2)를 폐쇄함으로써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용적부(14)를 차단하는 단계(S2),
    c)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높은 압력(p14)을 용적부(14)에 적용하기 위해 용적부(14) 내의 극저온 유체(H2)를 기화시키는 단계(S3), 및
    d) 소비체(3)가 공급 밸브(V1)를 개방함으로써 부하 요건(L)을 가질 때 기화된 극저온 유체(H2)를 용적부(14)로부터 소비체(3)로 배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급 밸브(V1)가 개방될 때 용적부(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입구 밸브(V2)가 개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d) 동안, 용적부(14) 내에 존재하는 압력(p14)은, 극저온 유체(H2)가 공급 밸브(V1)의 도움으로 용적부(14)로부터 배출될 때,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으로 감소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소비체(3)에 적합한 공급 압력은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작은,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단계 d) 동안, 공급 밸브(V1)는 소비체(3)의 부하 요건(L)에 따라 개방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 동안, 공급 밸브(V1)는 공급 밸브(V1)로부터 하류에 배치된 압력 센서(19)로부터의 센서 신호 및/또는 유동 센서(21)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의 도움으로 제어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 밸브(V2)는 용적부(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크기만 하면 폐쇄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Q)은, 단계 c) 동안 극저온 유체를 기화시키기 위해 기화기 장치(11)의 도움으로 극저온 유체(H2) 내로 도입되는, 방법.
  8. 저장 용기(2)로부터 극저온 유체(H2)를 소비체(3)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 장치(9)로서, 저장 용기(2)와 용적부(14) 사이에 배치되는 입구 밸브(V2), 용적부(14)와 소비체(3)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 밸브(V1),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용적부(14), 기화기 장치(11), 및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를 포함하며,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입구 밸브(V2)가 극저온 유체(H2)의 일부를 저장 용기(2)로부터 용적부(14) 내로 도입하는 방식으로 입구 밸브(V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입구 밸브(V2) 및 공급 밸브(V1)가 소비체(3) 및 저장 용기(2)로부터 용적부(14)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입구 밸브(V2) 및 공급 밸브(V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먼저 공급 밸브(V1)를 폐쇄하고 이어서 입구 밸브(V2)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기화기 장치(11)는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보다 높은 압력(p14)을 차단된 용적부(14)에 적용하기 위해 차단된 용적부(14) 내에 수용된 극저온 유체(H2)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소비체(3)가 부하 요건(L)을 가질 때 공급 밸브가 차단된 용적부(14)로부터 소비체(3)로 기화된 극저온 유체(H2)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공급 밸브(V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제어 장치(13)는 공급 밸브(V1)가 개방될 때, 용적부(14) 내의 압력(p14)이 저장 용기(2) 내에 존재하는 압력(p2)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입구 밸브(V2)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이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공급 밸브(V1)는 입구 밸브(V2)로부터 하류에 배치되는, 이송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용적부(14)는 입구 밸브(V2) 와 공급 밸브(V1) 사이에 제공되는, 이송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적부(14)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루프, 파이프라인, 및/또는 저장 부피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 장치.
KR1020247005231A 2021-08-23 2022-08-17 방법 및 이송 장치 KR20240046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020422 2021-08-23
EP21020422.8 2021-08-23
PCT/EP2022/025381 WO2023025410A1 (de) 2021-08-23 2022-08-17 Verfahren und förd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871A true KR20240046871A (ko) 2024-04-11

Family

ID=7746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231A KR20240046871A (ko) 2021-08-23 2022-08-17 방법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6871A (ko)
AU (1) AU2022334657A1 (ko)
WO (1) WO20230254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609A (en) * 1991-05-17 1992-06-16 Minnesota Valley Engineering No loss fueling station for liquid natural gas vehicles
US6044647A (en) * 1997-08-05 2000-04-04 Mve, Inc. Transfer system for cryogenic liquids
DE102005056102A1 (de) * 2005-10-27 2007-05-03 Linde Ag Vorrichtung zur Gasdruckerhöhung
US8726676B2 (en) * 2007-05-17 2014-05-20 The Boeing Company Thermodynamic pump for cryogenic fuel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34657A1 (en) 2024-02-08
WO2023025410A1 (de)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9556B2 (en) Gaseous hydrogen storage system with cryogenic supply
US8459241B2 (en) Liquefied natural gas system for a natural gas vehicle
US6663350B2 (en) Self generating lift cryogenic pump for mobile LNG fuel supply system
EP1474632B1 (en) A method for non-intermittent provision of fluid supercool carbon dioxide at constant pressure above 40 bar as well as the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US7900434B2 (en) Thermally-integrated fluid storage and pressurization system
CN107735613A (zh) 多容器流体储存和输送系统
US64536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quid densification
US20230417368A1 (en) Method and conveying device
US9746132B2 (en) Self-saturating liquefied natural gas delivery system utilizing hydraulic pressure
US5272880A (en) Liquid vaporizer-feeder
WO2006114137A1 (en) Two-step-process for filling gas containers for airbag systems and gas filling device for a two-step-filling process
WO20101511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livery of lng
US10605542B2 (en)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series-connected storage cells for storing a liquid
US20070181211A1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filling a high pressure gas container with liquefied gas under hydrostatic pressure
KR20240046871A (ko) 방법 및 이송 장치
JP6416905B2 (ja) 推進剤をロケットエンジン推進室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EP1813854A1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filling high pressure gas containers using a filling tube
WO2006103987A1 (ja) 水素ガスの供給方法及び液化水素輸送車
JP2015102229A (ja) 車載貯蔵容器への水素ガス充填方法
EP1813853B1 (en) High pressure gas container with an auxiliary valve and process for filling it
JP6316606B2 (ja) ガスホルダ
RU2222749C2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газа
RU2238422C2 (ru)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первой ступени ракеты-носителя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JP2023519829A (ja) アンモニア貯蔵及び送達システム
JP2849489B2 (ja) 膨張弁の感温筒に対するガス充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