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861A -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861A
KR20240046861A KR1020240043160A KR20240043160A KR20240046861A KR 20240046861 A KR20240046861 A KR 20240046861A KR 1020240043160 A KR1020240043160 A KR 1020240043160A KR 20240043160 A KR20240043160 A KR 20240043160A KR 20240046861 A KR20240046861 A KR 2024004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device
spatial direction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김희섭
윤민선
최재우
이주훈
홍영지
박문규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20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542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24004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8Collapsible radomes; rotatable, tiltable rado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05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remotely controlled antenna positioning or scan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안테나 장치의 3차원 공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안테나 장치의 방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빔 네비게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안테나 장치의 3차원 공간 방향 정보는 안테나 장치에 구비된 원격 틸팅 및 스티어링(Remote-controlled Tilting & Steering: RTS) 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안테나 장치를 정렬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rientation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의 지향방향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이동통신 기지국(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에 설치되는 안테나(antenna)의 위치 및 각도는 정밀한 설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안테나의 설치 위치는 커버리지(coverage) 및 트래픽(traffic)을 고려한 망 설계(network design)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안테나의 지향각은 빔의 수평 방향 성분의 섹터 지향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안테나의 틸팅각도는 빔의 수직 방향 성분의 틸팅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안테나의 지향각과 틸팅각도는 테스트를 거쳐, 안테나가 설치된 사이트의 전파환경에 적합하도록 최적화된다.
5G 3.5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는 전파 직진성이 강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계획된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안테나는 미리 설계된 안테나 방위각을 갖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향후, 안테나를 증설할 때에도 일관된 지표를 기준으로 설계 및 최적화를 수행하여야 서비스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수록 전파의 직진성이 증가하므로, 안테나 설치에 있어서 방위각 오차를 최소화하는 설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무선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미리 설치된 안테나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는 재조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강풍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안테나를 지지하는 기둥(mast)의 기울기가 변할 수 있다. 또는, 안테나와 기둥을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clamp)가 수평방향으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안테나의 틸팅각도 또는 지향각도가 틀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현장에서 Dual GPS 방식의 고가의 계측기를 이용하여 방향 측정 및 정렬 작업을 수행하여야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기지국 현장에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고도 안테나의 공간방향 정보를 계측하고, 안테나가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안테나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조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방향을 계측하고, 목표 지향방향을 갖도록 안테나를 제어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향제어 장치는, 계측 장치로부터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공간방향 정보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안테나 장치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상에서 상기 방향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안테나 관리 방법으로서, 계측 장치로부터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공간방향 정보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안테나 장치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 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으로서, 안테나 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제어 장치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태양광의 입사각을 검출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방향 계측부; 및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측장치 및 방향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공간방향을 계측 및 제어하므로, 현장에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고도 기지국 설비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어 장치가 RPC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가 비디오데이터를 원격감시 시스템에 송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안테나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3차원 공간방향 정보(3D spatial orientation information)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공간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 장치의 방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3차원 공간 방향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Dual GPS 방식의 고가의 계측기와 대비하여 저렴하면서도 오차율이 적은 계측장치를 이용한다. 본 개시의 계측장치는 안테나의 크기와 비교하여 사이즈가 작으므로, 안테나 상에 설치하기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계측장치는 안테나 장치의 3차원 공간방향 정보를 계측하므로, 빔 네비게이터(BN: Beam Navigator)라고 지칭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관리 시스템(10)은 계측장치(100) 및 방향제어 장치(102)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계측장치(100)는 태양광의 입사각을 검출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계측장치(100)는 안테나 장치(104)의 하우징(housing)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를 생성한다. 측정된 공간방향 정보 및 캡쳐된 비디오 데이터에 관하여는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 장치(104)가 목표 공간방향(target spatial orientation)을 갖도록, 안테나 장치(104)에 구비된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Tilting & Steering means)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은 안테나 장치(104)를 지지하는 기둥과 안테나 장치(104)를 연결하는 클램핑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제어 장치(102)는 계측장치로부터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 또는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미도시) 및 공간방향 정보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지향방향과 목표 공간방향 간의 오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측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공간방향 정보와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 장치(104)에 포함되는 제어회로(control circuit)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제어 장치(102)는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104)를 관리하는 원격감시 시스템(RAD: Remote Administrator, 이하 'RAD')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제어 장치(102)는 기지국 운용자(base station operator)에 의해 소지되는 RTS 제어용 휴대제어기(RTC: RTS Portable Controller, 이하 'RTC')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RAD 및 RTC의 동작에 관한 실시예는 도 4 및 도 6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계측장치(100)의 일부 구성만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20)가 도시되어 있다. 계측장치(100)의 하우징은 보호 캡(protection cap, 210), 몸체(body, 220) 및 카메라 덮개(camera cover, 230)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보호 캡(210), 몸체(220) 및 카메라 덮개는 계측장치(100)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며, 구체적인 계측장치(100)의 외관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계측장치(100)의 측면 단면도(22)가 도시되어 있다. 계측장치(100)의 내부는 적어도 광 센서(photo sensor, 212), 메인보드(mainboard, 222), 서지보드(surge board, 224), 제어케이블(control cable, 226) 및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23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계측장치(100)는 계측장치(10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안테나 장치(104)의 GPS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 센서(212)는 보호 캡(210)으로 둘러싸인 반구(half-sphere) 형태를 갖는 구조체의 구면 상에 서로 지향방향(orientation direction)을 달리하여 배치되어,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각각의 광 센서(212)는 태양광 입사각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광 센서(212)는 안테나 장치(104)의 방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 센서(212)가 반구 형태를 갖는 구조체의 구면 상에 배치되므로, 계측장치(100)가 방위각(azimuth), 기울기(tilt) 및 비틀어짐(roll)을 요소로서 갖는 3차원 공간방향 정보를 계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메인보드(222)는 계측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각의 모듈을 제어한다. 서지보드(224)는 과전압으로 인한 계측장치(100)의 오작동 및 결함을 방지한다. 카메라 모듈(232)은 계측장치(100)가 설치된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다. GPS 모듈은 빔 네비게이터가 설치된 현재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100)는 통신부(communications unit, 300), 방향 계측부(direction measuring unit, 302), 이미지 생성부(image generating unit, 304) 및 저장부(memory, 208)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계측장치(2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계측장치(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방향 계측부(302) 및 이미지 생성부(304)는 메인보드(222)에 포함된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하여 구현되는 논리적 구성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계측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300)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계측장치(400)는 통신부(300)를 통해 방향제어 장치(102) 또는 안테나 장치(10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케이블(226)은 통신부(300)의 일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계측장치(100)는 제어케이블(226)을 통해 외부 장치와 측정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방향 계측부(302)는 복수의 광 센서(212)에 의해 측정된 출력정보에 기초하여 태양광의 입사각을 산출한다. 방향 계측부(302)는 산출된 태양광의 입사각, GPS 모듈에 의해 수집된 단일 GPS 정보,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한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방위각을 산출한다. 여기서, 방향 계측부(302)가 산출하는 방위각은 절대 방위각(absolute azimuth) 또는 절대 수평방위각(absolute horizontal azimuth)일 수 있다. 여기서, 단일 GPS 정보는 계측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한다. 방향 계측부(302)는 IMU 센서(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기울기(tilt) 및 비틀어짐(roll)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GPS 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방위각, 기울기 및 비틀어짐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공개특허 2018-002319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방향 계측부(302)는 태양광을 검출할 수 없는 기상 환경인 경우에, 안테나 장치(104)의 방위각을 계측하기 위하여 모션센서(motion sensor)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위치 변화량을 추적한다. 예컨대, 모션센서는 위치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위센서(displacements sensor)일 수 있으나, 모션센서의 구체적인 종류는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방향 계측부(302)는 산출한 측정한 방위각, 기울기 및 비틀어짐을 각각의 요소로 갖는 3차원 공간방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향 계측부(302)는 복수의 광 센서(212)를 포함하는 광센서 모듈(photo seonsor module) 및 메인보드(22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방향 계측부(302)에 의하여 출력되는 예시적인 측정 데이터는 표 1과 같다. 여기서, 측정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한다. 표 1에서 공차(tolerance)는 구글지도(Goole Map)에서 제공되는 위도 및 경도와 대비하여, 방향 계측부(302)에 의한 측정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방향 계측부(302)에 의하여 실제 이동통신 기지국 현장에서 측정된 예시적인 방위각 데이터는 표 2와 같다. 표 2 에서 에러(error)는 구글지도에서 제공되는 방위각과 대비하여, 방향 계측부(302)에 의하여 측정된 방위각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미지 생성부(304)는 계측장치(100)가 설치된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방향제어 장치(102)는 이미지 생성부(304)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한다. 이미지 생성부(304)는 카메라 모듈(232) 및 메인보드(22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06)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방향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executable)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됨으로써 측위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저장부(306)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어 장치가 RPC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예시도(40)를 참조하면, 원거리의 기지국에 각각 배치된 안테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00)를 제어하는 RPC(402)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100)는 기둥(404)에 의해 지지되며,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100)와 기둥(4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의 일부로서 구현되어, 안테나(100)를 지지하는 클램핑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계측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안테나 장치(104)의 3차원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방향제어 장치(102)는 공간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 장치(104)에 구비된 원격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이하, 'RTS 모듈')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방향제어 장치(102)는 원격으로 안테나 장치(104)의 기울기 및 스티어링(steering)을 모니터링하고, 안테나 장치(104)가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정렬한다. 안테나 장치(104)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RPC(402)는 계측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공간방향 정보를 수신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제어 장치(102)는 RAD(400) 또는 RPC(4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PC(402)는 계측장치(10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PC(402)는 RTS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RTS 모듈과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RPC(402)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PC(402)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RPC(402)가 이용하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의 구체적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 운용자는 안테나 장치(104)의 설치 또는 유지 보수 현장에서 RPC(402)를 이용하여, 수신한 공간방향 정보를 확인하여, 각각의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지향방향이 최초 설계한 목표 공간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PC(402)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공간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안테나 장치(104)가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제어데이터(control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RPC(402)는 제어데이터를 안테나 장치(104)의 RTS 모듈에 송신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RPC(402), 계측장치(100), 및 RTS 모듈은 AISG 프로토콜(Antenna Interface Standards Group protocol)에 따라 측정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AISG 프로토콜은 안테나의 제어 방식에 대한 상호 접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규격으로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중앙제어센터(Central Control Center)에 배치된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104)들로부터 계측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공간방향 정보 및 비디오 데이터를 AISG 프로토콜을 통하여 수신한다. 중앙제어센터의 관리자는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위치하는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고 있는 전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각각의 안테나 장치(104)의 GPS 좌표 및 공간방향 좌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운영관리 센터(Operation & Management Center, 502)는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104)에 배치된 계측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수신한다. 계측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는 방위각, 기울기, 비틀어짐,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 및 GPS 정보를 포함한다. GPS 정보는 안테나 장치(104)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계측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는 광섬유(optic fiber, 504) 및 DU(Digital Unit, 506)를 경유하여, AISG 프로토콜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508)에 송신된다. 코어 네트워크(508)에 연결된 운영관리 센터(502)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으로서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장치가 비디오데이터를 원격감시 시스템에 송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공간방향 정보를 수신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제어 장치(102)는 원격감시 시스템(40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현재 공간방향 정보와 목표 공간방향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안테나 장치(104)의 RTS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외부 환경으로 인한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방향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테나 장치(104)가 목표 지향방향을 갖도록 RTS 모듈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감시 시스템(400)는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 없이도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계측장치(100)가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할 수 없는 이례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례상황은 태양광이 입사되지 않는 야간, 태양광의 광량이 미미한 악천후 또는 광 센서(212)에 고장이 발생한 상황일 수 있다.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에 기초한 지향방향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경우에, 계측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를 보조적으로 이용한다.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계측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 방향정보가 목표 공간방향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에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을 기준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계측장치(100)에 의한 공간 방향정보의 측정이 불가한 경우에,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고 있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 프레임과 기준 이미지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중앙이 기준 이미지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안테나 장치(104)의 RTS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지향방향의 변동을 감지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감시 시스템(400)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104)로부터 전파가 전송되는 경로 상의 무선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원격으로 안테나 장치(104)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환경 변화는 건물 신축, 택지 개발 또는 지형 변화로 인한 무선통신 환경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감시 시스템(400)은 계측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공간방향 정보를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BBU: Base-Band Unit)에 제공할 수 있다. 실제 안테나 빔 방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인 공간방향 정보는 망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에 이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본 개시에 따른 계측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공간방향 정보를 통해 안테나 빔 방향을 확인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원격으로 RTS 모듈을 이용하여 원하는 안테나 빔 방향을 정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망 최적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제어 장치(102)는 안테나 장치(104)의 제어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회로는 계측장치(100)로부터 안테나 장치(104)의 현재 공간방향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회로에는 현재 공간방향 정보와 목표 공간방향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안테나 장치(104)의 RTS 모듈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104)의 제어회로는 외부 요인으로 인한 안테나 장치(104)의 지향방향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테나 장치(104)가 목표 지향방향을 갖도록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안테나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안테나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제어 장치(102)에 포함된 데이터 수신부는 계측 장치(100)로부터 안테나 장치(104)의 공간방향 정보 또는 안테나 장치(104)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700).
방향제어 장치(102)에 포함된 제어부는 공간방향 정보와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4)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안테나 장치(104)에 구비된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한다(S702).
순서도에서는 각각의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도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각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순서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 또는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계측장치
102: 방향제어 장치
104: 안테나 장치
300: 통신부
302: 방향 계측부
304: 이미지 생성부
306: 저장부
400: 원격감시 시스템
402: RTS 제어용 휴대제어기
500: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장치에 대한 안테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의 입사각, GPS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 및
    상기 공간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안테나 장치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 장치는,
    상기 공간방향 정보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지향 방향의 변동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방향제어 장치는,
    상기 태양광의 입사각의 측정이 불가한 경우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지향 방향의 변동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을 기준 이미지로서 미리 저장하고,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프레임과 상기 기준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태양광의 입사각의 측정이 불가한 경우에,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시스템.
  6.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장치에 대한 안테나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안테나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계측 장치가 태양광의 입사각, GPS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 및
    방향제어 장치가 상기 공간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안테나 장치의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공간방향 정보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 및
    상기 지향 방향의 변동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태양광의 입사각의 불가한 경우에, 상기 계측 장치가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한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방향제어 장치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는 과정; 및
    상기 지향 방향의 변동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목표 공간방향을 갖도록 상기 틸팅 및 스티어링 수단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 장치의 공간방향 정보가 기 설정된 목표 공간방향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방향제어 장치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을 기준 이미지로서 미리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프레임과 상기 기준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방향제어 장치가 상기 안테나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태양광의 입사각의 측정이 불가한 경우에, 상기 계측 장치가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방향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관리 방법.
KR1020240043160A 2020-12-04 2024-03-29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46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92 2020-12-04
KR20200168992 2020-12-04
KR1020210172002A KR102655429B1 (ko) 2020-12-04 2021-12-03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002A Division KR102655429B1 (ko) 2020-12-04 2021-12-03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861A true KR20240046861A (ko) 2024-04-11

Family

ID=8185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3160A KR20240046861A (ko) 2020-12-04 2024-03-29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11842A1 (ko)
JP (1) JP2023551512A (ko)
KR (1) KR20240046861A (ko)
WO (1) WO20221194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593B1 (ko) * 1998-03-05 2002-04-17 조정남 지향성안테나의통화권제어장치및그방법
US20090141179A1 (en) * 2007-11-27 2009-06-04 Hyun Jung Cellular Antenna Assembly With Video Capability
KR20130092851A (ko) * 2012-02-13 2013-08-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지향성 안테나 틸팅 제어장치
KR102085585B1 (ko) * 2013-11-26 2020-03-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85634B1 (ko) * 2015-07-17 2016-12-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기계적으로 틸트를 조정가능한 안테나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 프로토콜
KR20180023198A (ko) 2016-08-25 2018-03-07 한결 체온 측정 장치 및 체온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1512A (ja) 2023-12-08
US20230411842A1 (en) 2023-12-21
WO2022119400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74822B (zh) 一种实现目标跟踪的方法、云台摄像机和监控平台
US11415615B2 (en) Airborne system and method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ennas or radiating systems
CN106537948B (zh) 用户设备和在无线通信网络中操作用户设备的方法
US20110007157A1 (en) Mechanical stabilization and automated positional corrections for stationary or mobile surveillance systems
JP7033551B2 (ja) アンテナ整列のための装置
US10530051B2 (en) Antenna alignment device and methods for aligning antennas
US11057737B2 (en) Indoor positioning for mobile devices
US9319133B2 (en) Aligning transceiver systems of a data transmission network
KR102655429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602176B2 (ja) 建物の損傷判定方法
KR20240046861A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196817B1 (en) An antenn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90148813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directing antennas
CN108924494B (zh) 基于地面的空中监测系统
US201701186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or configuring base stations which include sensors
US11369817B1 (en) Watchtower vehicle
US7565169B1 (en) Access point with orientation sensor
KR101217855B1 (ko) 지표면 수준측량과 지형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EP3363073B1 (en) Method and tool for reflector alignment
CN110970731A (zh) 调节装置、天线及通信设备
KR101217856B1 (ko)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JP2015065563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CA2966083A1 (en) Antenna alignment device and methods for aligning antennas
CN108958596B (zh) 天线校准设备以及用于校准天线的方法
CN108736159B (zh) 通过多个外部天线为无线链路提供辅助瞄准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