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856B1 -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856B1
KR101217856B1 KR1020120055846A KR20120055846A KR101217856B1 KR 101217856 B1 KR101217856 B1 KR 101217856B1 KR 1020120055846 A KR1020120055846 A KR 1020120055846A KR 20120055846 A KR20120055846 A KR 20120055846A KR 101217856 B1 KR101217856 B1 KR 101217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ps
point
numerical
numer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항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GPS 수신기를 구비하며 일정 시점에 해당 위치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AP:acess point),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측지정보를 받아 이를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치정보 모집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포인트를 복수개 분포시켜 형성한 전송 포인트망을 구비하고, 수치정보 모집 센터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DB, 전송 포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의 지표면 기준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 시점별로 보관하는 수집정보 DB, 수집정보 DB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처리모듈,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용 AP에 GPS 수신기를 설치하여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수치지도 수정에 필요한 측량 정보 수집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빈번한 수정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상적으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인구 활동이 많고 빈번한 인구 및 시설 밀집 지역에서는 그만큼 지도의 지형 지물의 변동을 빠르고 꼼꼼하게 발견하고 반영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도 서비스 영역 확대에 따라 통신용 AP 설치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영역에서 매우 간편하게 수치지도 보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topography measurement data update system for reflecting change of positions in GPS}
본 발명은 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측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시간에 따른 현상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수치지도의 일반적인 제작 과정은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기준점을 측량한 데이터로부터 도화해석 또는 수치도화를 하고 실제 지리조사를 한 결과에 따라 3차원 정위치 편집을 하고 이를 검수한다. 다음에 구조화편집을 하고 이를 검수하여 최종 성과물인 3차원 수치지도를 얻는다.
그러나, 항공사진을 얻는 항공촬영은 비용이 많이 들어가므로 지형이나 지물의 변화를 수시로 반영하기 위한 항공촬영 작업을 빈번하게 실시하기 어렵다. 한편, 고층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엔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로 지상을 촬영하더라도 번잡한 지상 모습과 카메라 렌즈의 곡률 및 촬영 각도 등의 광학적 한계로 인해서 완벽한 평면 모습이 촬영될 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표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런 작업 역시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여전히 완전성은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수시로 수치지도가 정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시에는 이를 현실에 맞게 수정할 수 있는 정보 수집 및 측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는 측량으로 측지 정보를 수집하고 수치지도를 제작하거나 보정하는 작업을 생각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하여 측지 정보를 얻는 종래 방법의 하나의 예가 도1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발신노드가 설치된 지상구조물 근방을 통행하는 수집차량의 주행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수집차량(V)에는 측량장치가 설치되고, 지상구조물(B)의 외벽에는 지상구조물 발신노드(200a 내지 200d, 이하 '200'), 교차로(C)의 코너에는 교차로 발신노드(300a 내지 300d, 이하 '300')가 설치되어 있다.
수집차량(V)은 도심지의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차량이며, 측량장치(100)는 GPS용 인공위성(A)과 통신하면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GPS와 , 발신노드(200, 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지상구조물 및 교차로의 위치와 형상 등을 파악해 도화하는 도화모듈과, 수집차량(V)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발신노드(200, 300)가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모듈과, 발신노드(200, 300)로부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와 식별코드와 수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RSSI신호와 식별코드, 수준정보 및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지상구조물(B) 및 교차로(C) 등을 촬영하고 해당 지상구조물(B) 및 교차로(C)와 링크되도록 해당 촬영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런 종래의 예에서는 측량장치가 지상구조물에 대한 수평 위치정보와 고도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서 지형에 대한 3차원 측지측량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 제작이나 수치지도 보정을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도심 건물에 이런 모듈을 설치하는 것은 비록 도심 건물 일부에 한정한다고 해도 숫자가 많아 쉽지 않은 작업이며, 그 숫자가 적어지면 누락된 지형, 지물로 인하여 기초 정보가 부실하거나 부정확하게 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또한, 수집 차량과 모듈 상호간의 통신도 도심에서는 제한을 받기 쉽고, 비록 가능하다고 해도 모듈의 숫자가 많을 경우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서 누락 정보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집 차량이 상당 수의 도로를 꼼꼼하게 다니면서 통신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필요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수시로 변화하는 지형지물을 지도정보 속에 반영하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069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17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지도 수정, 유지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수시로 지형구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치지도 수정을 위한 측량 정보 수집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빈번한 수정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도를 유지하기 적합한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며 일정 시점에 해당 위치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AP:acess point), 상기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측지정보를 받아 이를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치정보 모집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포인트를 복수개 분포시켜 형성한 전송 포인트망을 구비하고,
상기 수치정보 모집 센터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DB, 전송 포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의 지표면 기준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 시점별로 보관하는 수집정보 DB, 수집정보 DB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처리모듈,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집정보 DB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차이가 나는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3차원 좌표와 그 좌표가 수집된 시점을 별도의 DB로 작성하여 변동 시점과 위치를 관리자가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전송 포인트에 대해 자신의 3차원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이동통신용 억세스 포인트(AP)는 각각이 별도로 그 전송 포인트에 대해 자신의 3차원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이동통신용 억세스 포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AP 네트워크를 만들고, 그 AP 네트워크를 이루는 억세스 포인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서 복수개의 억세스 포인트에 대한 3차원 위치정보가 전송 포인트로 전달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억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설치 상의 편의나 관리를 위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런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통신 가능 영역의 억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각 억세스 포인트의 GPS 수신기를 통해 얻은 3차원 위치정보의 송수신과 수신된 자료의 저장을 통해 교류가 이루어지고, 네트워크를 이루는 억세스 포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전송 포인트는 그 억세스 포인트에 수집된 인근 억세스 포인트들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받아 인터넷이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치정보 모집 센터에 송신한다.
억세스 포인트는 GPS 수신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언제나 위성에서 송출되는 GPS 정보를 받아 자신의 3차원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전송 포인트가 수치정보 모집 센터의 명령을 받아 일정한 활성 신호를 송출할 때에만 GPS 관련부가 활성화되어 3차원 위치정보를 얻고, 이를 다른 무선 통신 가능 영역 내의 억세스 포인트 혹은 전송 포인트와 교류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수치지도 수정에 필요한 측량 정보 수집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빈번한 수정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상적으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용으로 만드는 AP에 GPS 안테나와 신호 연산을 할 수 있고 필요정보를 저장하거나 직접 송신하거나 AP의 송신기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내장시키거나 기존에 설치된 AP에 별도의 GPS 수신기를 결합시켜 만들면 새로 설치되는 AP뿐 아니라 기존 AP를 사용할 수도 있어 더 조밀하게 분포된 지점들로부터 3차원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고, AP의 전원을 공용할 수 있으므로 GPS 수신기만 독자적으로 운용하는 경우에 비해 많은 포인트를 적은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포인트에 설치되어 도심에서도 GPS 위성과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신용 AP를 사용하여 비록 대상면적을 완전히 일반적으로 커버할 수는 없어도 인구 활동이 많고 빈번한 인구 및 시설 밀집 지역에서는 그만큼 지도의 지형 지물의 변동을 빠르고 꼼꼼하게 발견하고 반영할 수 있게 되며, 장기적으로도 서비스 영역 확대에 따라 통신용 AP 설치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영역에서 매우 간편하게 수치지도 보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GPS를 이용하여 측지 정보를 얻는 종래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의 억세스 포인트에서 이루어지는 GPS 측량 및 위치정보 전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억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개념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은 크게 단말부와 중앙처리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 중앙처리부는 수치정보 모집 센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수치정보 모집 센터(10)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DB), 전송 포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정 시점별로 보관하는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DB),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입력된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처리모듈,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단말부는 다시 복수의 전송 포인트(20)와 각 전송 포인트(20)에 자신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보내는 통신용 AP(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신용 AP(30)는 물론 자신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보내기 위해서는 그 정보를 획득해야 하며, GPS 수신기(33)를 구비하여야 하며, 자체 고유의 통신중계기(31)를 가지고, 여기서 이들은 공통의 전원(37), 통신부(35)와 통신부(35)에 부속된 송수신 안테나(351)를 가진다. GPS 수신기(33)가 GPS 위성(50)의 반송파를 받아 내장된 프로그램 및 처리장치를 통해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원리는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용 AP(30)는 주로 이동통신용 AP를 의미하게 되며, 송수신 거리가 짧은 와이파이 방식의 AP보다는 전송 거리가 1KM에 달하고 2.3 GHz대의 사용 주파수대를 가지는 와이브로 방식의 AP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역 사정에 따라 와이파이 방식의 AP와 그에 대응하는 전송 포인트, 와이브로 방식의 AP와 그에 대응하는 전송 포인트를 혼합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송 포인트(TP: 20)는 통신용 AP(30)와 연결된 별도 컴퓨터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AP에 통신장치, 중앙처리장치와 저장장치 등 적절한 장치가 보완되고, 다른 AP들로부터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내장 타이머에 의해 일정 주기마다 혹은 주어진 전송 신호에 반응하여 이들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모집 센터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펌웨어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면 AP 자체가 전송 포인트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포인트(20)와 수치정보 모집 센터는 인터넷(40')이나 기타 통신 네트워크(40)를 이용하여 연결되므로 이들 통신 네트워크(40)도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 최초 수치지도는 통상적으로는 항공촬영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수치지도이거나 GPS 측량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가령, 항공촬영에 의한 수치지도는 항공영상 촬영단계, 표정을 위한 기준점 측량단계, 내부표정단계, 외부표정단계, 수치표고 제작단계, 정사영상 제작단계, 정사영상에 대한 영상 및 백터 편집단계 등 통상의 항공지도 제작방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고, 지도 각점에 대한 3차원 위치정보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는 표정단계 및 수치표고 제작단계를 거쳐 결정되어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정리된다.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수치지도는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서로 변환될 수 있어서 수치정보 DB가 주어지면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그 DB에 해당하는 영역의 수치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중앙처리부인 수치정보 모집 센터는 통신 네트워크(40)에 연결된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이 컴퓨터 시스템에는 중앙처리장치(11)와 저장장치(13),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자료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2), 지도를 프린트아웃 할 수 있는 프린터(17)나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15)와 같은 출력장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16)가 구비된다.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DB, 전송 포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정 시점별로 보관하는 수집정보 DB나, 수집정보 DB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차이가 나는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3차원 좌표와 기존 수치정보 DB의 값과의 차이, 그 좌표가 수집된 시점을 정리한 DB는 수치정보 모집 센터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 등 저장장치(13)에 기록되며, 수집정보 DB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경우 해당 억세스 포인트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처리모듈,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은 컴퓨터의 저장장치(13)에 내장된 보정처리 프로그램, 영상처리 프로그램과 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보정처리모듈은 단순한 비교 및 선택, 저장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영상처리모듈을 이루는 영상처리 프로그램은 기존에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가 나타내는 3차원 위치정보 체계와 억세스 포인트(30)에서 획득하여 전송 포인트(20)를 통해 보내오는 3차원 위치정보 체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에 각 억세스 포인트가 획득한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저장할 때 별도의 변환 모듈을 통해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 체계로 변환시켜 저장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입력 자료인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얻는 최초 시점은 수치지도를 얻기 위한, 억세스 포인트(30)에 설치되는 GPS 수신기(33)와 다른 GPS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GPS 측량의 시점과 가깝게 하여 되도록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하고, 다른 GPS 수신장치를 이용한 측량에 의한 수치지도에 따른 각 억세스 포인트 지점에서의 수치정보와 억세스 포인트(30)의 GPS 측량에 의한 위치정보의 차이값을 먼저 추출한 뒤 이후 억세스 포인트(30)를 이용한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최근 지형 변화를 반영하는 수치지도 보정을 할 때에도 먼저 추출된 이 차이값을 반영하여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업데이트 혹은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수치지도 작성을 위해 사용된 특정한 GPS 수신기와 억세스 포인트(30)의 GPS 수신기(33)의 성능과 개별적 기계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일정 오차 패턴을 가질 경우 이는 일관성 있는 값이라고 생각하여 오차 패턴을 반영하는 것이 실제 위치정보에 가까운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통신용 AP(30)를 사용할 때에는 각 AP는 지표면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4개 이상 다수의 GPS 위성(50)의 반송파를 받기 쉬운 건물의 상층 벽체나 옥상 등에 설치되기 쉬운 것이므로 각 지점의 AP(30)에 대해서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가 지표에서 일정 높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라면 미리 건물에서 해당 AP(30)가 설치되는 고도를 측정하고 반영하여 수정함으로써 지표에서 일정 높이 기준의 실제 위치정보에 가까운 것이 되도록 고도 보정을 할 필요가 있다.
억세스 포인트(30)는 주변 건물이나 이미 설치된 전선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지만 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되는 억세스 포인트의 경우, 태양전지와 배터리 같은 별도의 전원시스템을 갖출 수 있고, 이런 경우, 전기를 절약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런 억세스 포인트에서는 설치된 GPS 수신기가 언제나 GPS 위성(50)에서 송출되는 GPS 정보를 받아 자신의 3차원 위치정보를 얻을 수도 있지만, 전송 포인트가 수치정보 모집 센터의 명령을 받아 일정한 활성 신호를 송출할 때에만 GPS 수신기 관련부가 활성화되어 3차원 위치정보를 얻고, 이를 다른 무선 통신 가능 영역 내의 억세스 포인트 혹은 전송 포인트와 교류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런 한시적인 활성화는 GPS 수신기(33) 관련부에 설치된 시간지연회로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억세스 포인트(30)에서 수신한 GPS 3차원 위치정보가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 포인트로 수집되는 경로와, 수치정보 모집 센터에서 지시한 활성 신호 송출이 전송 포인트에서 각 억세스 포인트로 도달하는 경로는 단순하게 다수의 억세스 포인트가 직접 하나의 전송 포인트와 연결되어 서로 역방향의 관계에 있을 수도 있고, 도4와 같은 다층 피라미드형 구조에서의 AP1, AP2, AP3와 같은 계층별 상향 및 하향 구조를 가지면서 집중되거나 확산될 수도 있으며, 무선 송수신을 이용하는 경우, 도5와 같은 복잡한 망상의 네트워크를 이루어 다수의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하나의 경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도 다른 경로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정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측지정보 확인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측지 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수치정보 모집 센터(10)에서 일정 주기로 전체 지역에 대한 측지 정보 확인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 포인트(20)로 확인 지령을 발송하거나, 특정 시점에서 특정 지역에 지형지물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에 그 특정 지역의 전송 포인트(20)로 확인 지령을 발송한다.
수치정보 모집 센터(10)의 확인 지령을 받은 전송 포인트(20)는 이 확인 지령을 받아 연관된 억세스 포인트(30)에 GPS 수신기(33) 관련부 활성 신호를 송출한다. 각 AP(30)의 GPS 수신기(33) 관련부는 활성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GPS 위성(50)들의 송출신호를 받아 특정 시점에서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각 AP(30)에서는 GPS 3차원 위치정보를 통신부(35)를 통해 직접 혹은 다른 AP를 경유하여 전송 포인트(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시간지연회로에 의해 정해진 시간 후에는 억세스 포인트(30)의 GPS 수신기(33) 관련부는 다음 활성 신호가 있을 때까지 휴면 상태에 들어감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이고 GPS 수신기(33) 가동에 따른 억세스 포인트(30)의 통신중계기(31) 및 통신부(35)와 관련된 다른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송 포인트(20)는 그와 연관된 AP(30)들 모두에 대한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완료 시점에서의 이들 3차원 위치정보를 내부 저장장치에 데이타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자체 통신부(35) 및 전송 포인트(20)가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수치정보 모집 센터(10)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한다.
수치정보 모집 센터(10)는 전송 포인트(20)로부터 전달받은 억세스 포인트(30)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받아, 필요한 경우 고도 보정을 한 값으로 변환한 상태로, 시점별로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에 보관하고, 한편으로는 보정처리 모듈이 동작하여 현재 시점의 3차원 위치정보와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 내의 해당 지점의 3차원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차이점이 있으며 그 차이값이 GPS 측량에 따른 허용치로 인정되는 일정 한도범위를 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 차이값이 한도범위를 초과하면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에서 차이값이 발생한 억세스 포인트에 해당하는 기존의 3차원 위치정보를 현시점의 새로운 3차원 위치정보로 바꾸어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바뀐 수치정보에 의한 수치지도는 수치정보 DB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이루는 영상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15) 화면에 표시되거나 프린터(17)에 의해 종이지도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수치정보 모집 센터의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를 통해 이전 시점의 3차원 위치정보와 현재 시점의 3차원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차이값이 큰 급격한 변동을 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한 지형지물의 큰 변화가 있음을 감지하여 실제 측량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억세스 포인트에서의 GPS 3차원 위치정보가 누락되는 경우, 해당 AP 자체나 해당 AP(30)의 GPS 수신기(33)에 이상이 생기거나 해당 AP(30)가 철거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런 철거는 인위적인 지형지물의 변화에 수반된 것일 수 있으므로 실사를 통해 수리나 실제 측량을 할 수 있고 억세스 포인트의 위치가 바뀐 것이라면 이를 반영하여 향후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비교 대상 및 고도 보정값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측지정보 확인시스템에 의하면 많은 지역에 다수 분포되는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를 활용하여 현재 억세스 포인트가 있는 지점의 수치지도 상의 3차원 좌표와 GPS 측량을 통한 실시간 3차원 위치정보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가 정확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으며, 변화를 점검하여 GPS 측량 외에 실제 측량을 통해서도 수치지도가 보다 정확하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여기서 기재되어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수치정보 모집 센터 11: 중앙처리장치
13: 저장장치 20: 전송 포인트(TP)
30: 억세스 포인트(AP) 33: GPS 수신기
40: 통신 네트워크 40': 인터넷
50: GPS 위성

Claims (1)

  1. 지피에스(GPS) 수신기를 구비하며 자신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AP:acess point), 상기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수치정보 모집 센터,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받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치정보 모집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 포인트(TP)를 구비하고,
    상기 수치정보 모집 센터는 주어진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수치정보를 가지는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DB), 상기 전송 포인트로부터 전달받은 시점별로 상기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보관하되 상기 GPS 3차원 위치정보의 고도값에서 미리 측정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설치고도를 감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점의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지표기준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얻고 상기 지표기준 GPS 3차원 위치정보를 보관하는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 상기 수집정보 데이타베이스에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상기 최신 시점의 GPS 3차원 위치정보로 업데이트하되 각각의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 대해 미리 측정된 상기 GPS 3차원 위치정보의 오차 요인을 반영하여 수정된 수정 GPS 3차원 위치정보로 상기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보정처리모듈, 상기 수치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수치정보를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용 억세스 포인트(AP)는 서로 연결되어 AP 네트워크를 만들고, 상기 AP 네트워크를 이루는 억세스 포인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서 복수개의 억세스 포인트에 대한 GPS 3차원 위치정보가 상기 전송 포인트로 전달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상호간 및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전송 포인트 사이의 정보 통신은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GPS 수신기는 상기 전송 포인트가 상기 수치정보 모집 센터의 명령을 받아 일정한 활성 신호를 송출할 때에만 활성화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자신의 GPS 3차원 위치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KR1020120055846A 2012-05-25 2012-05-25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KR10121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846A KR101217856B1 (ko) 2012-05-25 2012-05-25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846A KR101217856B1 (ko) 2012-05-25 2012-05-25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856B1 true KR101217856B1 (ko) 2013-01-02

Family

ID=4784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846A KR101217856B1 (ko) 2012-05-25 2012-05-25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98B1 (ko) * 2018-03-29 2019-01-28 신현성 3d fgis 기반의 표출 영상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609101B1 (ko) * 2023-04-14 2023-12-04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지형의 3차원 측지측량을 통해 정확한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27B1 (ko) 2002-03-20 2004-12-08 최성욱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81066B1 (ko) 2001-05-19 2005-04-07 최성욱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05358B1 (ko) 2004-12-02 2008-02-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심측량조사장치가 탑재된 무선인터넷과 디지피에스를 이용한 원격 측정 로봇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66B1 (ko) 2001-05-19 2005-04-07 최성욱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460527B1 (ko) 2002-03-20 2004-12-08 최성욱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05358B1 (ko) 2004-12-02 2008-02-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심측량조사장치가 탑재된 무선인터넷과 디지피에스를 이용한 원격 측정 로봇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98B1 (ko) * 2018-03-29 2019-01-28 신현성 3d fgis 기반의 표출 영상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609101B1 (ko) * 2023-04-14 2023-12-04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지형의 3차원 측지측량을 통해 정확한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431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antenna
KR100910890B1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CN103096459B (zh) 定位用户设备的方法及定位服务器
TWI752447B (zh) 超寬頻輔助精確定位方法
KR101694728B1 (ko) 실내 수집 위치와 이종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572379B (zh) 基于无人机的通信基站选址勘察方法
CN208027170U (zh) 一种电力巡线无人机及系统
US8766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antenna
CN112894816A (zh) 一种基于gnss和rfid的变电站巡检机器人导航定位方法
CN106839984A (zh) 利用工业摄影测量法实现天线辐射特性测试的方法
CN108413966A (zh) 基于多种传感测距技术室内定位系统的定位方法
KR20150140247A (ko) 실시간 송수신 방식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CN107817489A (zh) 测绘方法
KR101217856B1 (ko)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RU2612625C2 (ru) Объединенная система моделирования зем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KR102056720B1 (ko) 링크 형 격자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장치
Iakovlev et al. Approach to implementation of local navigation of mobile robotic systems in agriculture with the aid of radio modules
KR101217855B1 (ko) 지표면 수준측량과 지형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CN111381267A (zh) 一种基于RTK和WiFi组合的定位系统及方法
CN114419260B (zh) 利用复合式点云网进行三维地形测绘土方工程量的方法
KR20190109830A (ko) 공간좌표 측위 시스템
US11320262B2 (en) Geo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CN112284351A (zh) 一种测量交叉跨越线路方法
KR20120032813A (ko)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의 대기층 해석을 통한 측위방법
KR101180330B1 (ko) 이동형 수상 노드의 자동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