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665A -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665A
KR20240046665A KR1020220125886A KR20220125886A KR20240046665A KR 20240046665 A KR20240046665 A KR 20240046665A KR 1020220125886 A KR1020220125886 A KR 1020220125886A KR 20220125886 A KR20220125886 A KR 20220125886A KR 20240046665 A KR20240046665 A KR 2024004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ion
user
monitor
train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민
정하영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염승민
정하영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승민, 정하영, 김영훈 filed Critical 염승민
Priority to KR102022012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665A/ko
Publication of KR2024004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2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actuated by a sound, e.g. using a mic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에 의하여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에 있어서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에 의하여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여,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Console games to help deaf people train for articulation}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로 구성하여서,
마이크에 의하여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는 입력받은 정보를 학습된 AI가 판단하여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는 마이크, 카메라, 조작도구, 모니터, 조음 훈련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는 조음 시 카메라와 마이크로 발음, 발성, 입술 모양의 정보를 받도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는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400510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의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은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가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를 포함함에 따라, 마이크에 의하여,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101),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112),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103),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121),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102)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마이크(101)는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는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모니터(112)는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콘솔 컨트롤러(103)는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조음 훈련용 게임(121)은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카메라(102)는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에 있어서,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101),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112),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103),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121),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102)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강 조음 기능 훈련도구의 발음에 대한 피드백이 촉각 센서로밖에 전달되지 않는 발성 시 근육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101)를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를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112)를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103)를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121)을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102)를 포함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101 : 마이크
111 : 피부 부착 전극 장치
112 : 모니터
103 : 콘솔 컨트롤러
121 : 조음 훈련용 게임
102 : 카메라

Claims (3)

  1.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에 있어서,
    조음 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게 모니터 앞에 스탠딩 마이크 모양으로 형성한 마이크(101),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 조음 해야할 단어, 발음 정확도, 훈련 종류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 눈높이 위치에 형성한 모니터(112), 게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사용자 손 위치에 형성한 콘솔 컨트롤러(103),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한 조음 훈련용 게임(121), 사용자 입술의 움직임을 알 수 있게 모니터 위 가운데 형성한 카메라(102).
  2. 제 1항에 있어서,
    피부 부착 전극 장치(111)를 통하여 조음 시 사용되는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근육 움직임 보조할 수 있게 마스크 양쪽 볼부터 턱까지 위치에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전극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조음 훈련용 게임(121)을 통하여 조음 교정을 도와줄 수 있게 모니터에 프로그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음 훈련용 게임.
KR1020220125886A 2022-10-01 2022-10-01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KR20240046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86A KR20240046665A (ko) 2022-10-01 2022-10-01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86A KR20240046665A (ko) 2022-10-01 2022-10-01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665A true KR20240046665A (ko) 2024-04-09

Family

ID=9070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886A KR20240046665A (ko) 2022-10-01 2022-10-01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66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043A (ko) 2012-10-22 2014-04-3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유로 개폐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043A (ko) 2012-10-22 2014-04-3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유로 개폐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632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traoral tactile feedback
Brewer et al. Perceptual limits for a robotic rehabilitation environment using visual feedback distortion
US8423368B2 (en) Biofeedback system for correction of nasality
Sigrist Visual and auditory augmented concurrent feedback in a complex motor task
KR101598955B1 (ko) 언어 치료용 게임 장치 및 게임 방법
JP2005043644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訓練技術教育装置
JP4260011B2 (ja) ヒトの手指巧緻性と物体操作能力を評価する装置
KR20240046665A (ko) 청각장애인의 조음 훈련을 돕는 콘솔 게임
JP2019020670A (ja) 熟練動作教示システム
CN111341180A (zh) 一种发音矫正工具及其使用方法
KR20090018292A (ko) 발음발성교정기구
KR101741959B1 (ko) 말교정 조음기관촉구 설압자
Jiang et al. A wearable intraoral system for speech therapy using real-time closed-loop artificial sensory feedback to the tongue
KR20090102049A (ko) 유도 훈련 및 측정장비
JP5884119B2 (ja) 医療用実習システム
Homola et al. Prototyping Exoskeleton Interaction for Game-based Rehabilitation
JP2021126483A (ja) 腹圧発声トレーニング器具
Kawano et al. Design and Basic Experiment of Online Feedback Training System for Golf Putting
CN201417523Y (zh) 构音器官言语运动定位基托
US2765174A (en) Golfer's grip guide
JP2004049608A (ja) 運動学習支援装置、運動学習支援方法及び運動学習支援プログラム
JP32234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John Where Can We Put a New Visual Aid Solution?
KR20060002632A (ko) 영어발음 교정기구
CN116725488A (zh) 一种针对上肢康复机器人实现多感觉刺激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