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273A -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273A
KR20240046273A KR1020247009772A KR20247009772A KR20240046273A KR 20240046273 A KR20240046273 A KR 20240046273A KR 1020247009772 A KR1020247009772 A KR 1020247009772A KR 20247009772 A KR20247009772 A KR 20247009772A KR 20240046273 A KR20240046273 A KR 20240046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component
region
courses
strand segments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젬마 브라운
차오쿤 후앙푸
제임스 몰리뉴
크리스틴 오르메
피터 알 새비지
가간딥 싱
세스 엠 비베르그
로베르토 자발라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971,309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129224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7/970,951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126432A1/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4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2Flat fabric of variable width, e.g. including one or more fashioned pane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부; 및 목 영역 및/또는 칼라 영역과 같은 중앙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는 공통 부분;을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편직 구성요소의 복수의 코스는, 해당 코스들이 공통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연속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복수의 코스 중 각각 하나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니트 코스들의 안쪽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본원 양태들은 편직 구성요소들(knitted components); 및 물품들, 예컨대 신발류 물품들(articles of footwear)을 위한 편직 구성요소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발류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요소, 즉 갑피부(upper) 및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를 포함한다. 갑피부는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어 신발류의 안쪽에 발을 편안하면서도 단단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동(void)을 형성한다. 갑피부들은 편직 텍스타일들(knitted textiles)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운동선수가 편직 갑피부(knitted upper)의 안쪽에서 발을 움직일 때, 힘이 운동선수의 발에 가해져 밑창 구조체에서 발을 부분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성능과 편안함은 움직이는 동안 밑창 구조체의 위쪽에서 발을 억제(containment)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필요한 억제의 양과 위치는 활동도(activity)를 기반으로 가변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발을 억제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편직 후 공정들(post-knitting processes)을 통해 편직 갑피부에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편직 후 추가되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갑피부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생산 시간을 증가시키며, 갑피부의 재활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들, 이들을 포함한 물품들 및 이들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들과 관련된 본원 개시의 주제는 비제한적인 예시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다.
도 1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형성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또 다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inlaid strand)를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형성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 안쪽에 통합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묘사한 개략적 근접도(close-up view)이다.
도 8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보유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형성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묘사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예시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또 다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또 다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또 다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예시의 제조 방법을 묘사한 블록선도이다.
도 18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예시의 형성 방법을 묘사한 블록선도이다.
도 19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이 편직 구성요소의 특정 영역들에 위치되어 있는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인레이들(inlays)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이한 편직 구조들을 구비한 니트 부분들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성된 구역들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23a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다이어그램(knitting diagram)을 묘사한 도면이다.
도 23b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23a의 편직 다이어그램에 따른 편직 구성요소의 순차적 형성과정(sequential formation)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원 개시의 주제는 법에 명시된 요건들을 충족하기 위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되거나 개시되는 주제는, 본원 문헌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한 상이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조합들을 포함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 그리고 다른 현재 또는 향후 기술들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단계" 및/또는 "블록"이란 용어들이 본원에서 이용되는 방법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어들은, 개별 단계들이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그리고 명확하게 언급된 때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단계들 중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다양한 단계들 간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종래 신발류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갑피부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부는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어 신발류 물품의 안쪽에 발을 편안하면서도 단단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갑피부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일부 운동경기용 신발류 물품에서, 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는 중창 및 바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의 갑피부는 일반적으로 발의 발등 및 발가락 부위들에 걸쳐, 발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따라, 그리고 발의 뒤꿈치 부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갑피부의 내부에 있는 공동에 대한 접근은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 내 발목 개구부에 의해 제공되며, 그리고 끈 조임 시스템(lacing system)은 갑피부의 피팅을 조정하기 위해 통합될 수 있다.
갑피부들은, 얀의 서로 맞물린 루프들(intermeshed loops)을 구비한 편직 텍스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편직 텍스타일들로 형성된 갑피부들은 통기성이 있고 경량이며 유연할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편직 갑피부들에는 다른 유형의 소재들이 제공된 구조가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운동선수가 본인의 발을 움직일 때, 전통적인 편직 갑피부의 안쪽에서 발을 신발류의 밑창 구조체에서 밀어내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성능과 편안함은 움직이는 동안 밑창 구조체의 위쪽에서 발을 억제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발을 억제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편직 후 공정들(post-knitting processes)을 통해 편직 갑피부에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편직 후 추가되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갑피부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생산 시간을 증가시키며, 그리고/또는 갑피부의 재활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억제의 양과 위치는 활동도를 기반으로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신발류를 위한 전통적인 편직 공정들은 종종 특정한 활동들을 위해 원하거나 적합한 억제 수준 및/또는 억제 방향을 달성하지 못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필요하거나 적합한 억제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및/또는 편직 후 공정들이 필요할 수 있다.
요약하면, 그리고 높은 수준에서,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적어도 전족부 영역 및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갑피부를 위한 편직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되, 전족부 영역 및 중족부 영역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영역 모두는 외주부(outer perimeter)와 공통 부분(common portion)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연장형 니트 코스(knit course)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은, 목 영역과 같은, 편직 구성요소의 종축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또는 그에 인접하는 중앙 영역일 수 있다. 중족부 및/또는 전족부 영역에서의 니트 코스들은 외주부 및 공통 부분의 상이한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적어도 일부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는 상호 간에 평행하게 진행할 수 없으며, 또는 달리 말하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각을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인접하는 코스 부분들은, 예컨대 바로 인접하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길이인 코스 부분들처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는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는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며, 그리고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스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뒤꿈치 부분은 뒤꿈치 완충부(cushion) 또는 완충 작용부(cushion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갑피부를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 내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은, 공통 부분과;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뒤꿈치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주변부의 둘레;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착용자 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들은,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에서 출발하여 편직 구성요소의 내주부(inner perimeter)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트 코스를 포함할 수 있되, 이러한 코스들은 편직기(knitting machine)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다. 형성되는 코스들은, 예컨대 어떤 경우에 있어서 웨지들(wedges)을 형성하는 여러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편직 구성요소 내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은, 다방향 억제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종래 니트 물품들(knit articles) 내의 코스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억제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 결과,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한 갑피부는 착용자로 하여금 슬립, 슬라이딩 또는 측면 변위가 감소된 보다 더 급격한 턴(turn) 및/또는 커트(cut)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논의되는 편직 구성요소들의 양태들은 강도를 부가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높은 강인성(tenacity) 및 높은 내신장성(stretch-resistance)을 갖는 얀들(yarns)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또는 특정 활동 또는 움직임을 위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억제 라인들(lines of containment)을 따라서 내신장성을 증가시키는 특정한 니트 구조들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한 갑피부는 여러 방향을 따라서 안정성 및 억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인장 요소들(tensile elements)은, 예컨대 보강(reinforcement)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억제를 향상시키기 위해, 인레이드 스트랜드들로서 편직 구성요소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강인성 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얀, 예컨대 비-탄성(non-elasticated) 폴리에스테르 얀은, 특정 방향들로, 예컨대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보강을 부여하기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는 편직 구성요소들, 갑피부들 및 신발류 물품들 내에 통합(예컨대 인레이 또는 편직)될 수 있다. 인장 요소들은 각각 예컨대 다중 필라멘트 얀, 필라멘트(예컨대 모노 필라멘트 얀), 실, 로프, 웨빙(webbing), 케이블 또는 체인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인장 요소들은, 이들 인장 요소를 포함한 영역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특성을 갖는 소재(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장 요소들은, 5grams/denier를 초과하는 강인성과 같은 높은 강인성을 갖는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들의 강인성은 편직 구성요소의 다른 얀(들)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장 요소들은 Goats Group PLC 사에 의해 생산되는 Gral과 같은 고강인성 폴리에스테르 얀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인장 요소들은 고강인성 나일론 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일부 예시에서, 인장 요소는 편직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내신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리고 유리, 아라미드(예: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액정 폴리머를 포함하는 높은 인장 강도의 적용분야들을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공학 필라멘트들(engineering filaments)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들은, 공통 부분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발산(divergence)되는 복수의 웨지 부분(wedge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복수의 웨지 부분은 전족부 영역 내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 예시에서, 복수의 웨지 부분은, 이 복수의 웨지 부분이 공통 부분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발산되어 전족부 영역의 바깥 둘레(outer periphery)를 따라 연장되도록, 전족부 영역에서 활 모양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들은 공통 부분의 둘레에 위치되는 복수의 반경 방향 발산형 부분(radially-diverging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되, 복수의 반경 방향 발산형 부분은 복수의 코스를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radially-extending courses)은 공통 부분과 전족부 영역의 상단의 둘레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면,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은 공통 부분에서 발산되어 전족부 영역의 상단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족부 영역 내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는 전족부 영역에서, 예컨대 발가락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억제 라인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는 전족부 영역 및/또는 발가락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억제 라인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전족부 영역에서 복수의 억제 라인과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의 실질적인 일직선 정렬은 전족부에서 억제 및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안정성 및 억제의 향상으로 인해, 추가된 보강의 양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통기성을 개선하고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추가 양태들에서, 본원에서의 편직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인레이드 스트랜드로서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은 각각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strand segment)를 형성할 수 있되, 이들 각각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과 외주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공통 부분에서, 그리고/또는 외주부에서 연결된 상태 및/또는 환상형(looped) 상태로 잔존할 수 있다. 각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환(interlooping)된 얀보다 더 두꺼운 두께 또는 더 무거운 중량, 보다 더 많은 양의 내신장성, 및/또는 더 높은 강인성을 갖는 스트랜드처럼 추가적인 지지부(support)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원하는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억제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 대안의, 또는 별개의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이러한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은, 예컨대 유리, 아라미드(예: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액정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높은 인장 강도의 적용 분야들을 위해 활용되는 공학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밀도;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위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배향; 및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배향 및/또는 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통 부분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은 억제의 원하는 방향성 및/또는 그 정도를 기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억제의 정도는 공통 부분에서부터 주변부(perimeter) 또는 에지를 향해 연장되는 반경 방향을 따르는 신장 저항성, 연신율(elongation) 및/또는 확장성(expansion)일 수 있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밀도, 간격 및/또는 개수는 국소화 특성들(localized properties)을 부여하기 위해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 및/또는 갑피부의 상이한 부분들에 걸쳐서 상이할 수 있다.
본원의 추가적인 양태들에서, 갑피부를 위한 편직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갑피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 연장형 니트 코스들(및 일부 양태에서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의 생성은, 갑피부의 임의의 타측 측면을 편직하기 전에 갑피부의 일측 측면(예: 외측면 또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편직하는 편직 단계를 포함하는 편직 공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면 또는 내측면 상의 제1 중족부 영역은 편직기 상에서 편직될 수 있다. 그다음, 전족부 영역은 편직기 상에서 편직될 수 있고, 그에 후속하여 갑피부의 타측 측면(예컨대, 제1 중족부 영역에서 편직되었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맞은편) 상의 제2 중족부 영역이 편직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편직 구성요소는, 함께, 니트 코스들의 반경 방향 배향을 유지하면서 만곡된 갑피부의 유기체 형상을 생성하는 전체 길이 니트 코스들 및 부분 길이 니트 코스들의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 예컨대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에서 만곡된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웨지"가 편직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웨지"는 편직기 상에서 형성된 일련의 편직 코스들로 형성되되, 각각의 편직 코스의 길이는 순차적으로 편직된 일련의 행들(rows)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그런 다음 길이는 순차적으로 편직된 다른 일련의 행에서는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웨지형 형상을 형성한다. 그 결과로 형성된 "웨지"는 순차적으로 편직된 행들의 길이 변경 및/또는 순차적으로 편직된 행들의 개수 변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특정한 기하구조를 갖는다. "웨지들"의 생성 결과로 편직 구성요소들은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만곡형 또는 활 모양 기하구조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이는 편직기 상에서 생산되는 편직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갑피부의 만곡된 전족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갑피부를 위한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형성 방법은 편직기 상에서 복수의 웨지를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복수의 웨지는 전족부 영역 및/또는 중족부 영역을 형성한다. 형성 방법의 일 예시에서, 내측 영역(medial region) 또는 외측 영역(lateral region)은 편직기 상에서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후속하여 전족부 영역이 만곡된 형상을 포함하도록 편직기 상에서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 중 타측 영역이 편직기 상에서 편직된다.
개시되는 편직 방법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피더(들)(feeder)는 편직 구성요소의 내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위 세트(subset)의 바늘들은 내측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방법들은 콤비네이션 피더를 사용하여 코스 안쪽에 스트랜드를 끼워 넣음으로써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통합하는 통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면 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내측면 상에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형성하는 동일한 콤비네이션 피더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를 일체로 편직하기 위한 전통적인 공정들과 비교하여 편직기 상에서 더 적은 공간(footprint)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갑피부를 위한 편직 구성요소와 같은 또 다른 별도의 물품을 동시에 편직하기 위한 공간 및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설명한 것처럼,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니트 텍스타일들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들 또는 이들의 양태들, 또는 상기 니트 텍스타일들로 형성되는 의류 물품들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에서, 양태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갑피부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갑피부(upper)"란 용어는,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발의 발등 및 발가락에 걸쳐, 발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따라, 그리고 발의 뒤꿈치 부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신발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갑피부들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시들은 농구화, 자전거용 신발, 크로스 트레이닝화, 글로벌 축구화, 미식축구화, 볼링화, 골프화, 하이킹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 부츠, 테니스화, 런닝화, 워킹화 등에 통합되는 갑피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들에서, 갑피부는 정장 구두, 로퍼(laofer) 및 샌달과 같은 비-운동용 신발에도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다양한 신발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도면들에는 착용자의 한쪽 발(예: 오른발)만의 용도로 의도되는 신발류 물품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발(예: 왼발)을 위한 상응하는 신발류 물품이 오른쪽 신발류 물품의 거울상일 것이라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상단, 하단, 전면, 측면, 후면, 상위(superior), 하위(inferior), 외측, 내측, 우측, 좌측, 내부, 외부, 안쪽 대향(inner-facing) 및 바깥쪽 대향(outer-facing) 등처럼, 신발류 물품들 또는 이들의 양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 관련 용어들은, 착용자의 발이 발 수용 공동 내에 있고 착용자의 발목 또는 발은 발목 개구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도록, 착용자가 똑바로 서 있는 상태에서 의도한 대로 착용된 신발류 물품 또는 갑피부에 대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갑피부의 "상향 표면(upwardly-facing surface)" 및/또는 "상부 표면"은, 신발류 물품이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 있을 때, "상위(superior)" 해부학적 방향으로(즉, 착용자의 머리를 향해) 배향된 표면을 나타낸다. 그와 유사하게, "하향" 및/또는 "하부"란 방향 관련 용어들은 "하위(inferior)"의 해부학적 방향(즉, 지면을 향하고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면(front)"은 "앞쪽(anterior)"(예컨대,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면(rear)"은 "뒤쪽(posterior)"(예컨대, 뒤꿈치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내측"은 "신체의 정중선(midline)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그리고 "외측"은 "신체의 정중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종축(longitudinal axis)"은 뒤꿈치 영역과 전족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물품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그와 유사하게, "종방향 길이(longitudinal length)"는 종축을 따르는 물품의 길이를 나타내며, 그리고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종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치 관련 용어들의 사용은 해석상의 목적을 위해 인간의 실제 존재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편직 구성요소(knitted component)" 및 "니트 요소(knit element)"란 용어들은, 코스들 및 웨일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서로 맞물린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편직기로) 조작된 적어도 하나의 얀으로 형성되는 텍스타일 피스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코스(course)"란 용어는, 동일한 편성 주기(knitting cycle) 동안 인접한 바늘들에 의해 제조되는 (편직기 상에서 편직된 것처럼 똑바로 세워진 텍스타일에서) 대개 수평인 행(row)의 니트 루프들(knit loops)을 나타낸다. 코스는 편직의 기술에서 공지된 용어들과 같은 니트 스티치, 미스 스티치(missed stitch), 턱 스티치(tuck stitch), 트랜스퍼 스티치, 리브 스티치(rib stitch) 등처럼 하나 이상의 스티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웨일(wale)"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그러나 반드시 모두가 연속적인 것은 아닌) 과정들 또는 편성 주기들(편직 주기들)에서 동일한 바늘에 의해 제조되는 서로 맞물리(intermeshing)거나 연환(interlooping)된 니트 루프들의 대개 수직인 열(column)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체로 편직되는(또는 일체형 편직)(integrally knit)"이란 용어는 다른 구역(area) 또는 영역(region)의 하나 이상의 편직 코스(편성 코스)(knitted course)와 연환되는 제1 구역 또는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편직 코스의 얀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연환(interlooping)은 단순한 니트 스티치, 턱 스티치, 헬드 스티치(held stitch), 플로트 스티치 또는 미스 스티치(miss stitch)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함께 일체형으로 편직되는 구역들은 솔기 없는 전이부(seamless transition)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인레이드 스트랜드(inlaid strand)"란 용어는 얀, 케이블, 필라멘트, 모노 필라멘트, 다중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체처럼, 하나 이상의 다른 스트랜드 형성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코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연신 소재 피스(elongated piece of material)를 나타낼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요소(knitted element)의 안쪽에 스트랜드를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에 루프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을 경우 또 다른 스트랜드와 연환되지 않으면서 코스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코스를 형성하는 또 다른 스트랜드의 루프들과 연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반경 방향 연장형(radially extending)"이란 용어는 니트 코스 및/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 및/또는 웨지 부분처럼,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연신 구조(elongate structure)의 배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니트 코스 및/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경우, 반경 방향 연장형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스들 및/또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의 _몸체를 가로질러 외주부의 외측면 에지에서부터 내측면 에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기보다는, 공통 부분에서부터 외주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그러나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에서, 이러한 구성들은 갑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니트 구조와 조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의 구조들은, 편직 후에 편직 구성요소가 편평한 구성으로 배치될 때, 공통 부분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그러나 구조들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지 여부의 결정은, 편직 구성요소가 _갑피부의 형상 또는 갑피부의 일부분으로 절첩된 후에, 공통 부분을 향하는 구조들의 배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공통 부분"이란 용어는, 다중 유사 구조들(예컨대 다중 코스들 또는 다중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이 그로 향해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곳인 편직 구성요소의 구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스들 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외주부에서부터 여러 부분으로 연장되기보다는,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의 단일 공통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공통 부분은 외주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양태들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안쪽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공통 부분은 편직 구성요소의 종축을 에워쌀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직접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일부 예시에서, 공통 부분은 목 영역 또는 이 목 영역의 일부분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목 영역"이란 영역은 일반적으로 발목 개구부와 전족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부의 상단면[상향면(upward-facing side)] 상의 구역을 나타낸다. 목 영역은, 신발류 물품의 형상으로 형성될 때, 갑피부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부 양태에서 목 영역은 목 영역 내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설부(tongu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목 영역은 개구부를 가지지 않지만, 오히려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편직 구성요소의 연속 일체형 편직 구역(continuous integrally knit are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주변부(perimeter)"란 용어는 언급되는 객체의 경계를 형성하는 구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의 주변은 해당 구조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구역이다. "외주부(outer perimeter)"는, 일단 신발류 물품으로 형성되면, 갑피부와 밑창 구조체 사이의 바이트라인(biteline) 및/또는 외주부의 2개의 단부 사이의 심(seam)을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의 주변의 부분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반해서, "내주부(inner perimeter)"는, 일단 신발류 물품으로 형성되면, 목 영역 내의 개구부 및/또는 발목 개구부와 같은 개구부들을 한정하는, 편직 구성요소의 주변의 부분들을 나타낸다. 주변부(외주부 또는 내주부)는 편직 구성요소의 에지, 또는 이 에지에 인접하는 주변 구역(peripheral area)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은, 유사한 요소들이 비슷한 번호들로 식별 표시되어 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양태들의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 및 기능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양태들은 도면들에 도시되거나 하기에서 분명하게 설명되는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리고 종래 어셈블리처럼, 본원에서 개시되는 양태들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은 세부사항은 생략되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추가로, 본원 전체에 다양한 측정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측정치에 대한 "약",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란 용어는 지시 값(indicated value)의 ±10%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값은 무엇보다 길이, 각도, 반경 방향, 선형 방향 또는 측정 단위일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본원 일 양태에 따르는 신발류 물품(100) 및 그 구성요소들이 측면도 및 정면 사시도로 각각 묘사되어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밑창 구조체(102)와 갑피부(104)를 포함한다. 갑피부(104)는 밑창 구조체(102)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02)와 갑피부(104) 사이에 발 수용 공동을 형성한다. 밑창 구조체(102)가 갑피부(104)와 결합되는 신발류 물품(100)의 구역은 바이트라인(106)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갑피부(104)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예컨대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재봉을 통해,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102)에 결합될 수 있다. 갑피부(104)는 착용자의 발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연장될 수 있고, 착용자의 발 아래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밑창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스트로벨(strobel)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깔창(sockliner)은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깔창은, 텍스타일, 가죽, 발포체 및/또는 기타 유형의 소재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들에서, 힐카운터(heel counter) 또는 신발류 물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및/또는 그 구성요소들)은 ("구역들" 또는 "부분들"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신발류 물품(100)(및/또는 그 구성요소들)은 전족부 영역(108), 중족부 영역(110) 및 뒤꿈치 영역(112)으로 분할될(그리고/또는 이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의 전족부 영역(108)은 발가락들, 및 발의 지골들과 중족골들을 연결하는 관절들을 포함하는 발의 앞쪽 부분들에 해당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의 중족부 영역(110)은 발의 아치 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의 뒤꿈치 영역(112)은 종골 뼈를 포함하는 발의 뒤쪽 부분들에 해당할 수 있다.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신발류 물품(100)(및/또는 그 구성요소들)은 외측면(114)과 내측면(116)으로 분할될 수 있고, 이들 면 모두는 전족부 영역(108), 중족부 영역(110) 및 뒤꿈치 영역(112)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면(114)은, 신발류 물품(100)이 착용될 때, 발의 바깥쪽 부위(즉, 다른 쪽 발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해당하는 반면, 내측면(116)은, 신발류 물품(100)이 착용될 때, 발의 안쪽 부위(즉, 다른 쪽 발로 향하는 측면)에 해당한다. 외측면(114)과 내측면(116)은 종축(118)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영역들(108, 110 및 112)과 측면들(114 및 116)은 신발류 물품(100)의 정확한 구역들의 경계를 표시하고자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설명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신발류 물품(100)의 일반적인 구역들을 나타내고자 의도된다.
밑창 구조체(102)는, 신발류 물품(100)이 착용될 때, 일반적으로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밑창 구조체(102)는 바깥창, 중창 및 안창 또는 깔창과 같은 다중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0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예: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유사한 적합한 소재들과 같은 다양한 소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밑창 구조체(102)는 힐카운터 및 토우캡(toe cap)과 같은 다양한 다른 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02)는,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것처럼, 트레드(tread)와 같이 힘을 약화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또는 접지력(traction)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104)는, 신발류 물품(100)의 안쪽에, 밑창 구조체(102)에 상대적으로 발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한다. 공동에 대한 접근은, 적어도 뒤꿈치 영역(112) 내에 위치되는 발목 개구부(125)에 의해 제공된다. 발목 개구부는 발목 칼라부(128)(ankle collar)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갑피부(104)는 발목 개구부(125)와 전족부 영역(108) 사이에서 중족부 영역(110) 내에 배치되는 목 영역(126)도 포함한다. 목 영역(126)은 착용자 발의 상단면을 덮고 그러므로 외측면(114)과 내측면(116) 사이에서 갑피부(104)의 상단면[또는 오버푸트 영역(overfoot region)]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발류 물품(100)은 발 수용 공동을 조정하기 위해 목 영역(126) 내에 폐쇄 시스템(closure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 시스템은, 예컨대 착용자의 발에 신발류 물품(100)을 고정하고,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발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고정 해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의 폐쇄 시스템들은 레이스(132)(예컨대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음), 스트랩, 밴드, 케이블, 코드, 래칫 메커니즘(ratcheting mechanism), 벨크로(hook-and-loop) 등을 포함한다.
여전히 도 1 및 2를 보면, 갑피부(104)의 적어도 일부분은, 예컨대 평판 편직기(flat knitting machine) 상에서 위편 공정(weft-knitting process)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편직 구성요소(14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갑피부(104)는 편직 구성요소(1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40)는, 갑피부(104)의 분리된 구역들에 상이한 특성들을 부여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얀(들)을 통합할 수 있다. 즉, 편직 구성요소(140)의 일측 구역은 제1 특성들 또는 제1 특성 세트를 부여하는 제1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편직 구성요소(140)의 또 다른 구역은 제2 특성들 또는 제2 특성 세트를 부여하는 제2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성들은, 편직 구성요소(140)의 여러 구역을 위해 특정한 얀들을 선택함으로써, 갑피부(104) 전체에 걸쳐서 가변될 수 있다. 특정한 유형의 얀이 편직 구성요소(140)의 구역에 부여하게 되는 특성들은 부분적으로 얀의 다양한 필라멘트들 및 섬유들을 형성하는 소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무명(cotton)은 부드러운 촉감, 자연스런 미적 특질 및 생물분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엘라스테인(elastane) 및 신축성 폴리에스테르(stretch polyester)는 각각 상당한 신장성 및 회복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신축성 폴리에스테르는 재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이온(rayon)은 높은 광택(luster) 및 흡습성(moisture absorp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모(wool)는 단열 특성 및 생물분해성에 추가로 높은 흡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일론(nylon)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도 제공하는 소수성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들에 추가로, 편직 구성요소(140)를 위해 선택되는 얀들의 다른 양태들은 갑피부(104)의 특성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140)를 형성하는 얀은 모노 필라멘트 얀 또는 다중 필라멘트 얀일 수 있다. 또한, 얀은, 각각 상이한 소재들로 형성되는 별도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얀은, 외피-코어(sheath-core) 구성을 갖거나, 또는 상이한 소재들로 형성된 2개의 반부(half)를 갖는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2-성분 얀과 같은 2가지 이상의 소재로 각각 형성되는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정도의 비틀림 및 주름잡힘뿐만 아니라 상이한 데니어들도 갑피부(104)의 특성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얀을 형성하는 소재들 및 얀의 다른 양태들 모두는 갑피부(104)의 별도의 구역들에 다양한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얀들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상이한 양태들에 따라서, 상이한 특성들, 예컨대 인장 강도, 강인성, 탄성, 완충작용 등을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40)는, 위편 공정과 같은 편직 공정 또는 또 다른 편직 공정 동안 단일의 일체형 원피스 요소(integral one-piece element)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발밑 부분 및/또는 (힐 쿠션, 힐 카운터, 또는 다른 요소들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뒤꿈치 요소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은 원피스 단일 구조(one-piece unitary structure)로서 갑피부(10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추가적인 요소는 갑피부(104)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추후에 필요에 따라 부착되거나, 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를 이용한 갑피부(104)의 형성은 갑피부(104)에 특정한 정도의 탄성, 통기성, 굽힘성, 강도, 흡습성, 중량, 내마모성,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바람직한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편직된 편직 구성요소로 갑피부(104)의 형성은 상당한 추가 제조 단계들 또는 공정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갑피부(104)의 다양한 특성들 및 구조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편직 구성요소(140)는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편직 구성요소(140)는, [편직 구성요소(140)가 갑피부(104) 내에 형성되어 밑창 구조체(102)에 결합될 때, 바이트라인(106)을 형성하거나 그에 인접할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140)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니트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부분은, 편직 구성요소(140)가 갑피부(104)의 형상 내에 형성될 때,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코스가 그를 향해 연장되는 곳인 편직 구성요소(140)의 구역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종축(118)의 일부분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그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종축(118)에 인접한다. 예를 들면, 공통 부분은 종축(118)을 따라 연장되는 목 영역(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것처럼, 니트 코스들이 착용자의 발 전체 또는 그 부분들의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를 제공하도록, 편직 구성요소(140) 안쪽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은 많은 상이한 억제 라인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코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는, 집합적으로 "코스들(142)"로서 지칭될 수 있는, 코스들(142a~142e)과 같은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개략도가 묘사되어 있다. 코스들(142)은 각각 단순화된 형태로 편직 루프들의 스트랜드를 갖는 것으로서 묘사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루프들의 스트랜드들이 반드시 사용되는 스티치 시퀀스(stitch sequence)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코스들(142)은 플로트 스티치, 턱 스티치, 트랜스퍼 스티치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스티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유사하게, 단지 일부 코스만이 코스들(142)이 (명확하게) 연장되는 다양한 방향들의 대표로서 편직 구성요소(140) 전체에 걸쳐 묘사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편직 구성요소(140)의 공통 부분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3에 묘사된 코스들(142) 사이에 추가적인 코스들이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3에 묘사된 코스들(142)은, 이들 코스(142)가 뚜렷이 구별되기 보다는 공통 부분에서, 그리고/또는 외주부에서 상호 간에 전이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코스들(142)은 외주부(124)에서부터 공통 부분 또는 영역까지 연장된다. 도 3의 예시에서, 공통 부분은, 설부 구성요소[예컨대 도 1 및 2에서의 설부(130)]; 설부 구성요소를 위한 개구부; 및/또는 설부 구성요소가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하는 편직 구성요소의 내주부(134);를 포함할 수 있는 목 영역(126)이다. 일부 양태에서, 목 영역(126)은 설부 구성요소를 위한 개구부 또는 공간이 존재할 수 없도록, 외측면(114)에서부터 내측면(116)까지 연속적으로 편직된다.
전족부 영역(108), 중족부 영역(110) 및 뒤꿈치 영역(112) 각각은, 코스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스(142c)와 같은, 적어도 전족부 영역(108) 내의 전족부 코스는, 코스(142b)와 같은, 중족부 영역(110) 내의 중족부 코스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적어도 전족부 코스(142c) 및 중족부 코스(142d)를 포함한 일부 코스는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각이 질 수 있되, 해당 각도는 0도보다 더 크고 180도보다 더 작다.
따라서, 코스들(142)은 잠재적인 억제의 상이한 라인들 또는 그 각도를 나타낼 수 있는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코스들이 연장되는 다양한 방향들은 착용자의 발의 중심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는 360도일 수 있다. 이러한 억제 라인들은 발이 억제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니트 구조들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보다 더 큰 억제는, 특정한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코스들을 위한 보다 더 높은 인장 강도 및/또는 보다 더 높은 내신장성을 갖는 얀들을 활용하고 특정한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코스들 내의 신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로트와 같은 특정한 니트 스티치들, 또는 이들의 조합체를 활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140)는 [제1 축(121)에 의해 도시된] 억제의 제1 대각선에 대해, 예컨대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코스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편직 구성요소(140)의 공통 부분 내 제1 억제 라인과 교차하는 [제2 축(123)에 의해 도시된] 억제의 제2 대각선에 대해, 예컨대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코스들을 포함한다. 제1 축(121)은 착용자의 제1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일부분에서부터 외측면(114) 상의 뒤꿈치 영역(11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축(123)은 착용자의 제5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된 편직 구성요소(140)의 일부분에서부터 내측면(116) 상의 뒤꿈치 영역(1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축들(121 및 123)은 집합적으로 x-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터닝 또는 이동 방향 변경, 좌우 이동, 앞으로 이동 및 뒤로 이동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이동을 위해 갑피부의 안쪽에서 착용자의 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억제 라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성을 제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상기 축들(121 및 123)을 따라서 지지를 제공하는 코스들을 통해 갑피부(104)의 안쪽에서 착용자의 발을 억제하는 점은 신발류 물품(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142)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140)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외측면(114) 및 내측면(116)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반경 방향 편직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편직 구성요소(140)는, 편직기(162)에 의해, 편직 구성요소(140)의 내측면(116) 상의 뒤꿈치 영역(112)에서 출발하여 뒤꿈치 영역(112)에서부터 전족부 영역(108)까지 편직 방향(144)으로 편직하며, 그리고 그다음 편직 방향(144)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전족부 영역(108)에서 출발하여 외측면(114) 상의 뒤꿈치 영역(112)에 종결되는 방식으로 편직 구성요소(140)의 외측면(114)을 편직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구성요소(140)는 내측면(116)[또는 내측면(116) 상의 적어도 복수의 코스]을 편직하고, 내측면(116) 상의 코스들을 편직한 후에 전족부 영역(108)을 편직하며, 그리고 전족부 영역(108)을 편직한 후에 외측면(114)[또는 외측면(114) 상의 적어도 복수의 코스]을 편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유사하지만, 그러나 반대되는 편직 방향이 편직 구성요소(140)를 형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140)는 외측면(114)[또는 외측면(114) 상의 적어도 복수의 코스]을 편직하고, 외측면(114) 상의 코스들을 편직한 후에 전족부 영역(108)을 편직하며, 그리고 전족부 영역(108)을 편직한 후에 내측면(116)[또는 내측면(116) 상의 적어도 복수의 코스]을 편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40)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공정은, 자동화된 편직기일 수 있는 편직기(162)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편직기(162)는 도 3에 도시되고 도 4[예컨대 니들 베드들(461, 463)(needle beds)을 구비한 편직기(462) 포함]에 유사하게 도시된 전방 니들 베드(161) 및 후방 니들 베드(163)를 포함하되, 이러한 니들 베드들 각각은 간소화된 표현처럼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예시의 양태들에서, 편직기(및 여기에 묘사된 다른 편직기들)는 전방 니들 베드(161) 및 후방 니들 베드(163)를 포함한 평판 V-베드 편직기와 같은 평판 편직기일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편직 구성요소(140)는 단일 니들 베드(single needle bed)의 바늘들에 의해, 또는 두 니들 베드의 바늘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114) 및 내측면(11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이러한 편직 공정에 따라서, 외측면(114)을 형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바늘들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면(116)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측면(116) 및 내측면(114)의 뒤꿈치 및/또는 중족부 부분이 동시에 형성되는 전통적인 편직 공정과 비교하여, 편직기(162)의 편직 베드 상에서는 보다 더 적은 개수의 바늘들이 편직 구성요소(140)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각각의 측면을 위해 중복 피더들(duplicate feeders)을 요구하기보다는, 동일한 피더(들)가 외측면(114) 및 내측면(116) 모두를 형성하는 얀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시되는 편직 공정은, 편직 구성요소(140)가 편직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또 다른 갑피부를 위한 또 다른 편직 구성요소와 같은 별도의 물품을 편직하기 위해 편직기(162) 상에서 더 많은 바늘 및/또는 피더를 가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142)을 갖도록 편직 구성요소(140)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는 전체 길이 및 부분 길이 니트 코스들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코스(142a)와 같은 전체 길이 니트 코스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일측 에지[예컨대, 외주부(124)에 위치함]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140)의 또 다른 에지[예컨대 목 영역(126) 내의 내주부(134)에 위치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코스들(142d 및 142e)과 같은 부분 길이 니트 코스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두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부분 길이 니트 코스의 하나 또는 두 단부는, 편직 구성요소(140)의 에지에 도달하기 전에 종결될 수 있다. 그러나 코스들(142d 및 142e)과 같은 부분 길이 니트 코스들은, 외주부(124)에서부터 공통 부분[예컨대 목 영역(126)]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여전히 반경 방향 연장형인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전체 길이 니트 코스들 사이에 분포되는 방식으로 부분 길이 니트 코스들을 형성함에 따라, 코스들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하면서도, 편직 구성요소(140) 내에서 형상 및 치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100)용 갑피부(104)와 같은 신발류 물품용 갑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440)가 묘사되어 있다. 달리 언급되거나 도 4에 묘사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1~3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40)의 모든 특징은 편직 구성요소(440)에 적용될 수 있고, 갑피부(104) 및 신발류 물품(100)의 모든 특징은 편직 구성요소(440)가 그 내에 통합되어 있는 갑피부 및 신발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전체 측면[예컨대, 내측면(116)]은, 다른 측면[예컨대, 외측면(114)]을 편직하기 전에 편직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편직 공정들이 시작되고 중단되는 편직 구성요소의 구역들은 가변될 수 있다. 도 4에서, 예를 들면, 편직 방향(444)은 여전히 일반적으로 편직 방향(144)과 유사하게 아치형 또는 활 모양 형상을 취하지만, 그러나 편직 방향(444)은 일측 측면의 뒤꿈치 영역(412)의 구역에서 시작하여 동일한 측면에서 인접한 영역[예컨대, 중족부 영역(410)]에서 종결된다. 예를 들어, 편직이 시작될 수 있는[또는, 편직 방향(444)이 반전된다면, 종결될 수 있는] 구역(420)은, 편직 구성요소(440)의 에지들이 결합되어 갑피부를 형성한 후에, 외측면(414) 상의 뒤꿈치 영역(4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3에 대하여 설명된 순차적인 방식은, 외측면(414) 및 내측면(416)이 동시에 편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 대신, 편직의 순서는 하기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 추후 외측면(414) 상에 위치되는 뒤꿈치 영역(412)의 구역(420)이 편직되고, 그다음 내측면(416)을 형성하는 뒤꿈치 영역(412)의 나머지 부분이 편직되고, 그다음 내측면(416) 상의 중족부 영역(410)이 편직되고, 그다음 전족부 영역(408)이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외측면(414) 상의 중족부 영역(410)이 편직된다. 그러므로 편직 구성요소(440)에 의해 형성된 갑피부는, 뒤꿈치 영역(412)의 중심 대신, 외측면(414) 상에 심을 가질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440)는,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434)에 의해 한정되는 목 영역(426)일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440)의 공통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442)을 여전히 가질 수 있다. 코스들의 반경 방향 배향은, 편직 구성요소(440)가 도 1 및 2의 갑피부(104)와 같은 갑피부 내에 형성된 후에, 상기 편직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즉, 편직 공정이 시작되는 위치와 무관하게, 코스들은 외주부(424)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예컨대, 외주부(424)에서부터 고통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440)가 편직 공정 후에 편평하게 배치될 때, 구역(420) 내의 일부 코스처럼, 공통 부분을 향해 연장되지 않는 코스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외측면(414)의 나머지 부분에 구역(420)을 결합함으로써 편직 구성요소(440)가 갑피부의 형상 내에 형성된다면, 구역(420) 내의 코스들은, 외주부(424)에서부터 공통 부분[예컨대, 목 영역(426)]까지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신발류 물품(500) 및 그의 구성요소들이 각각 측면도 및 정면 사시도로 묘사되어 있다. 달리 지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신발류 물품(5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100)에 대해 설명한 특징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발류 물품(500)은 밑창 구조체(502)와; 이 밑창 구조체(502)에 결합되어 발 수용 공동을 형성하는 갑피부(504)를; 포함한다.
갑피부(504)는, 신발류 물품(500)의 안쪽에서 밑창 구조체(502)에 상대적으로 발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한다. 공동에 대한 접근은, 적어도 뒤꿈치 영역(512) 내에 위치되는 발목 개구부(525)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갑피부(504)는 발목 개구부(525)와 전족부 영역(508) 사이에서 중족부 영역(510) 내에 배치되는 목 영역(526)도 포함한다. 목 영역(526)은 착용자 발의 상단면을 덮고 이에 따라 외측면(514)과 내측면(516) 사이에서 갑피부(504)의 상단면(또는 오버푸트 영역)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묘사된 양태에서, 목 영역은 또한 설부 부분, 예컨대 설부 부분(530)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류 물품(500)은 발 수용 공동을 조정하기 위해 목 영역(526) 내에 레이스들(532)과 같은 폐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504) 중 적어도 일부분은, 편직 공정 동안 단일의 일체형 원피스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구성요소(540)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도 5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540)는 도 1~3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40)에 대하여 설명한 특징들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540)는 전족부 영역(508) 및 중족부 영역(51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편직 구성요소(540)는 또한 뒤꿈치 영역(512)도 형성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영역들(508, 510 및 512)은 예컨대 단일의 편직 공정에서 함께 일체로 편직될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540)는, 이 편직 구성요소(540)의 외주부(524)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540)의 공통 부분까지 연장되는 반경 방향 연장형 니트 코스들을 가질 수 있다. 공통 부분은, 편직 구성요소(540)의 종축(518)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는, 목 영역(526)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540)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도 포함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본원에서 니트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는 베이스 니트 요소(base knit element)의 다양한 루프들 사이를 통과한다. 도 7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540)가 확대 개략도로 묘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540)는 니트 요소(531)와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포함한다. 니트 요소(531)는, 얀(538)과 같은 하나 이상의 얀의 서로 맞물린 루프들로 형성되는, 코스(542)와 같은 코스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니트 요소(531) 안쪽의 다양한 루프들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니트 요소(531)의 하나 이상의 코스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편직 구성요소(531)는, 앞에서 도 1~3의 편직 구성요소(140)에 대하여 설명한 것처럼, 갑피부(504)의 구역들에 상이한 특성들을 부여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얀(들)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얀(들)이 니트 요소(531)를 형성하는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구성 또한 유의미하게 가변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얀일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필라멘트(예: 모노 필라멘트), 실, 로프, 웨빙, 케이블 또는 체인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니트 요소(531)를 형성하는 얀들과 비교하여,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두께는 더 두꺼울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니트 요소(531)의 얀(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트 요소(531)의 얀(들)의 폭보다 적어도 25%, 적어도 50%,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100% 더 큰 폭을 갖는다.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횡단면 형상은 둥글 수 있지만, 그러나 상이한 양태들에서 상기 형상은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형성하는 소재들은, 무명, 엘라스테인,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양모 및/또는 나일론과 같은, 니트 요소(531) 안쪽의 얀에 대한 소재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니트 요소(531) 및/또는 이들의 얀(들)보다 더 큰 내신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레이드 스트랜드들(520)을 위해 적합한 소재들은, 무엇보다도 유리, 아라미드(예: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액정 폴리머를 포함하는 높은 인장 강도의 적용 분야들을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공학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편조 폴리에스테르 실도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예컨대 ASTM D3822와 같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니트 요소(531)의 얀(들)보다 더 높은 강인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언급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구역에, 그리고 안쪽 대향 표면과 바깥쪽 대향 표면 사이에 단일의 텍스타일 층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니트 요소(531)의 니트 구조 안쪽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편직 구성요소(540)가 신발류 물품(500) 내에 통합될 때,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갑피부(504)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니트 요소(531)는 다수의 코스 및 웨일을 정의하는 복수의 서로 맞물린 루프를 형성하는 얀(538)을 포함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코스(542)와 같은 코스들 중 하나를 따라서 연장되며, 그리고 (a) 얀(538)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들 뒤쪽과 (b) 얀(538)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들의 앞쪽에 교호적으로 위치된다. 실제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니트 요소(531)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얀(538)이 이러한 구성에서 코스들 각각을 형성하기는 하지만, 추가 얀들은 코스들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코스들 중 하나 이상의 코스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540)는 2개의 니들 베드 상의 바늘들을 오고가는 얀들로 형성된 이중 니트 텍스타일 구조물(double-knit textile construction)을 포함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와 유사한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일반적으로 2개의 베드 상의 루프들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세그먼트들은 두 베드 상에서 형성되는 루프들의 뒤쪽에서, 그리고/또는 그 앞쪽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7 내의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도 5 및 6에 묘사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는, 편직 구성요소(540)를 형성하는 니트 요소(531) 내의 코스를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니트 구성요소(540)의 외주부(524)와 목 영역(526)일 수 있는 공통 부분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편직 구성요소(140)에 대하여 설명된 니트 코스들과 유사하게,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전족부 영역(508), 중족부 영역(510) 및/또는 뒤꿈치 영역(512)을 가로 질러 다양한 방향들로 외주부(524)에서부터 공통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되, 예컨대 상이한 양태들에서는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또는 임의의 조합 영역에 위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공통 부분[예컨대 목 영역(526)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목 영역의 묘사]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편직 구성요소(540)와 관련된 억제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8에는, 반경 방향 연장형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540)가 개략도로 묘사되어 있다. 도 8에는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편직 루프들의 코스들이 생략되어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하지만, 그러나 도 8에 묘사된 편직 구성요소(540)는 도 3에 대하여 설명한 코스들(142)과 유사한 편직 루프들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코스들은 일반적으로 연속해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코스들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각각의 위치되는 구역에 내신장성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을 통합하는 점은 니트 코스들로부터 제공되는 억제를 넘어 갑피부(504)의 안쪽에서 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편직 구성요소(540)는 [제1 축(521)에 의해 도시된] 억제의 제1 대각선에 대해, 예컨대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예컨대 평행선에서 약간 벗어난 각도로) 정렬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 및 편직 구성요소(540)의 공통 부분 내 억제의 제1 대각선과 교차하는 [제2 축(523)에 의해 도시된] 억제의 제2 대각선에 대해 예컨대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예컨대 평행선에서 약간 벗어난 각도로) 정렬되는 코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렬은 종래의 편직 공정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축(521)은 착용자의 제1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편직 구성요소(540)의 일부분에서부터 외측면(514) 상의 뒤꿈치 영역(51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축(523)은 착용자의 제5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된 편직 구성요소(540)의 일부분에서부터 내측면(516) 상의 뒤꿈치 영역(5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축들(521 및 523)은 집합적으로 x-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많은 유형의 이동(터닝 또는 이동 방향 변경, 좌우 이동, 앞으로 이동 및 뒤로 이동)을 위해 갑피부의 안쪽에서 착용자의 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억제 라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에 의해 갑피부(504)의 안쪽에서 억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신장성을 제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축들(521 및 523)을 따라서 지지를 제공하며, 이는 신발류 물품(5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추가적인 또는 대안의 억제 라인들에 대해, 예컨대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예컨대 평행선에서 약간 벗어난 각도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는 억제 라인들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은 억제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예컨대 10도 이내에서 평행하게 정렬된다. 편직 구성요소(540)의 안쪽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의 배치(밀도 포함) 및 배향은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처럼 신발류 물품(500)에 대해 의도되는 활동을 기반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측 측면[예: 외측면(114)] 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에 의해 제공되는 억제는 고정구(anchor)의 역할을 하도록 타측 측면[예: 내측면(116)] 상의 억제로부터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족부 영역(508)에서 외측면(514) 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는, 착용자가 전방 왼쪽 대각선으로 나아갈 때, 갑피부(504)의 안쪽에서 발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중족부 영역(510) 또는 뒤꿈치 영역(512)에서처럼 내측면(516) 상의 또 다른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는, 이동 동안 발을 억제할 때, 외측면(514) 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 상에 장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에 묘사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인레이드 스트랜드(520)가 편직 구성요소(540) 내에 통합되는 반경 방향 편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540)는, 제1 니들 베드(561) 및 제2 니들 베드(563)를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편직기(162)에 대해 설명한 특징들 중 모든 특징을 가질 수 있는] 편직기(562) 상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편직 구성요소(540)를 형성하는 공정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공정과 유사한 순차적 편직 공정일 수 있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540)는, 편직 구성요소(540)의 내측면(516) 상의 뒤꿈치 영역(512)에서 출발하여 뒤꿈치 영역(512)에서부터 전족부 영역(508)까지 편직 방향(544)으로 편직하며, 그리고 그다음 편직 방향(544)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전족부 영역(508)에서 출발하여 뒤꿈치 영역(512)에 종결되는 방식으로 편직 구성요소(540)의 외측면(514)을 편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편직 방향(544)의 반대 방향으로의 편직은 또한 본원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편직 공정 동안,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편직 공정이 편직 방향(544)으로 진행됨에 따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끼워 넣음으로써 편직 구성요소(540)와 함께 통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편직 구성요소(540)가 갑피부(504) 내에 형성될 때 갑피부(504)의 하부 부분 또는 바이트라인(506)을 형성할 수 있는] 외주부(524)와 [목 영역(526)을 형성할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게 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형성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콤비네이션 피더는 또 다른 얀 스트랜드의 루프들에 의해 형성되는 코스 안쪽에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끼워 넣기 위해 활용된다.
도 8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가 그 이동 방향[즉, 인레이드 스트랜드(520)가 편직 공정 동안 편직 구성요소(54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의해 개략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연속적인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을 형성할 때 교호적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런 방식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교호적으로 공통 부분[예: 목 영역(526)]을 향해 끼워 넣어지고 외주부(524)를 향해 끼워 넣어진다. 도 8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가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형성하는 단일의 연속 신장 부재(continuous elongate member)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불연속적인 스트랜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복수의 내측면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제1 스트랜드와 복수의 외측면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편직 구성요소(540)가 또 다른 개략도로 묘사되어 있다. 도 9에 묘사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제1 단부(548)에서 제2 단부(550)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랜드(520)가 편직 공정 동안 편직 구성요소(540) 내로 끼워 넣어짐에 따라,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편직 구성요소(540)의 외주부(524)와 공통 부분[예: 목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주부(534)] 사이에서 후방 및 전방 방향으로 편직 구성요소(540) 내에 통합되어, 발의 길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들로 복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122)를 제공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 중 적어도 일부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이 단일 세그먼트로서 고려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지도록 인접한 코스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558)와 같은 이러한 이중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하나의 이중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2개의 스트랜드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는 외주부(524)에서부터 공통 부분[예: 목 영역(526) 내 내주부(534)]을 향해 제1 코스 내에 끼워 넣어지고, 공통 부분에서부터 외주부(524)로 인접한 제2 코스 내에 끼워 넣어지며, 그다음 여러 코스(예컨대 적어도 4개의 코스)를 건너뛰고 그런 다음 다시 외주부(524)에서부터 공통 부분을 향해 끼워 넣어진다. 일부 양태에서, 이러한 이중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하나 이상은 공통 부분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루프들(552)과 같은 루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루프들(552)은 레이스들(532)과 같은 신발류 물품(5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서로 맞물리게 하는 레이스 수용 구조(lace-receiving structure)와 같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이러한 루프들(552)은 니트 요소(531)(knit element)를 형성하는 얀(들)과 같은 또 다른 얀에 의해 형성된 루프들과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일부 양태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외주부(524)를 넘어 연장되는 부분들(554)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주부(524)를 넘어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부분은, 밑창 구조체(502)가 편직 구성요소(540)에 부착될 때, 밑창 구조체(502)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밑창 구조체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주부(524)를 넘어 연장되는 부분들(554)은 갑피부(504)와 밑창 구조체(502) 사이에 위치되어, 그곳에[예컨대 바이트라인(506)에] 접착제 및/또는 기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9에는, 편직 방향(544)이 외측면(514)에서 시작하여 내측면(516)에서 종결되도록 어떻게 반전될 수 있는지가 묘사되어 있다. 본원 양태들에서, 편직 공정은, 예컨대 억제 라인들을 따라서 국소화된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해, 편직 구성요소의 상이한 구역들에 스트랜드들을 끼워 넣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편직 구성요소(540)가 순차적인 편직 공정에 따라 형성된 후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540)가 개략도로 묘사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540)는, 제1 측면[예: 외측면(514)]의 뒤꿈치 영역(512)에서 출발하여, 계속 제1 측면의 중족부 영역(510), 제1 측면의 전족부 영역(508), 제2 측면[예: 내측면(516)]의 전족부 영역(508), 제2 측면의 중족부 영역(510)에 걸쳐 이어지고, 제2 측면의 뒤꿈치 영역(512)으로 종결되는 편직 방향(5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갑피부[예: 갑피부(504)] 또는 그의 일부분은 뒤꿈치 영역들(112)의 2개의 측면의 에지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논의한 것처럼,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540)의 시작 및 종료 구역들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방향은 일측 측면의 뒤꿈치 영역의 구역에서 시작되어 동일한 측면 상의 인접한 구역에서 종결될 수 있다.
외주부(524)와 편직 구성요소(540)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의 개수의 범위는 약 2개 내지 약 35개, 또는 약 2개 내지 약 30개, 또는 약 5개 내지 약 25개, 또는 약 10개 내지 약 25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의 개수는 양쪽 측면에서 동일할 수 있다(예: 도 10). 다른 양태들에서,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처럼,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내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도 10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의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즉, 외주부(524)와, 편직 구성요소(540)의 내주부(534)와 같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트랜드 부분들]의 간격은 편직 구성요소(540)의 길이를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양태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은 전족부 영역(508)에서 서로 더 가깝게 이격되고, 중족부 영역(510)에서 추가로 이격되며, 그리고 여전히 뒤꿈치 영역(512)에서도 추가로 이격된다.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 사이의 간격은 편직 구성요소(540)의 외주부(524)를 따라서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 사이의 거리(55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거리는 가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약 0.25센티미터 내지 약 5센티미터, 약 0.5센티미터 내지 약 4센티미터, 및 약 1센티미터 내지 약 3센티미터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거리는 편직 구성요소(540) 내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위치를 기반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간격은 일반적으로 영역 안쪽에서(예컨대 상호 간에 5% 이내에서) 일정할 수 있거나, 또는 간격은 영역 안쪽에서 가변할 수 있다(예컨대 약 5%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60%, 및 약 15% 내지 약 40%의 범위 이내일 수 있는 양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양태에서, 간격은 전족부 영역(508)에서부터 중족부 영역(510)까지, 그리고 중족부 영역(510)에서부터 뒤꿈치 영역(512)까지 증가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 것처럼, 간격은 신발류 물품(500)의 원하는 응답성(예: 잠금, 내신장성, 내팽창성, 변형)에 따른 다른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영역에서의 간격은, 인접한 스트랜드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해당 영역 내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이격 구역들의 개수만큼 나눔으로써 계산되는 해당 영역 내의 평균 간격(average spacing)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하기 표 1에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전족부에서 뒤꿈치 영역들까지 간격이 증가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편직 구성요소 내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예시의 간격들이 예시되어 있다.
표 1
전족부 영역(cm) 중족부 영역(cm) 뒤꿈치 영역(cm)
예 1 0.5~1.5 1.5~2.0 2.0~5.0
예 2 0.2~1.0 1.0~2.5 2.5~4.0
예 3 1.0 2.0 3.5~4.0
예 4 1.0 1.0~2.5 3.0
예 5 0.5~2.0 2.0~3.0 4.0
일부 양태에서, 뒤꿈치 영역 내 평균 간격 대 전족부 영역 내 평균 간격의 비율은, 약 1.5:1(예: 3.0센티미터 내지 2.0센티미터의 평균 간격) 내지 약 10:1(예: 5.0센티미터 내지 0.5센티미터의 평균 간격)의 범위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양태에서, 비율은 약 2:1 내지 약 5:1의 범위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양태들에서는 약 3:1 내지 약 5:1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또한, 간격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코스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4개의 코스마다의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한 코스들 사이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지 않은 편직 구성요소의 코스는 3개일 수 있다. 하기 표 2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갖는 코스들 사이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지 않는 편직 구성요소의 코스들의 개수를 기반으로 하는 예시의 간격이 제시되어 있다.
표 2
전족부 영역
(스트랜드들 간의 코스)
중족부 영역
(스트랜드들 간의 코스)
뒤꿈치 영역
(스트랜드들 간의 코스)
예 6 2~6 3~10 3~20
예 7 3 5 10
예 8 2~10 5~15 5~20
예 9 4 7 10
일부 양태에서, 뒤꿈치 영역 내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개수를 기반으로 하는 평균 간격 대 전족부 영역 내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평균 개수의 비율은 약 1.5:1(예: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3개의 코스 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2개의 코스) 내지 약 10:1(예: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20개의 코스 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2개의 코스)의 범위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양태에서, 비율은 약 2:1 내지 약 5:1의 범위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양태들에서는 약 3:1 내지 약 5:1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이러한 평균 간격의 비율은, 편직 구성요소 내에서 보다 더 높은 정도의 차단(lock-down)이 의도되는 위치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되, 예컨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간의 더 적은 수의 코스는 보다 더 높은 정도의 차단을 제공한다.
도 11 및 12에는, 본원 개시의 또 다른 예시에 따르는 신발류 물품(1100) 및 그 구성요소들이 각각 측면도 및 정면 사시도로 묘사되어 있다. 달리 지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신발류 물품(11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100) 및/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500)에 대해 설명한 특징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발류 물품(1100)은 밑창 구조체(1102)와; 이 밑창 구조체(1102)에 결합되어 발 수용 공동을 형성하는 갑피부(1104)를; 포함한다.
갑피부(1104)는, 신발류 물품(1100)의 안쪽에, 밑창 구조체(1102)에 상대적으로 발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한다. 공동에 대한 접근은, 적어도 뒤꿈치 영역(1112) 내에 위치되는 발목 개구부(1125)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갑피부(1104)는 발목 개구부(1125)와 전족부 영역(1108) 사이에서 중족부 영역(1110) 내에 배치되는 목 영역(1126)도 포함한다. 목 영역(1126)은 착용자 발의 상단면을 덮고 그러므로 외측면(1114)과 내측면(1116) 사이에서 갑피부(1104)의 상단면(또는 오버푸트 영역)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묘사된 양태에서, 갑피부(1104)는 설부 부분, 예컨대 설부 부분(1130)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류 물품(1100)은 발 수용 공동을 조정하기 위해 목 영역(1126) 내에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레이스들 또는 끈 조임 시스템과 같은 폐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1104) 중 적어도 일부분은, 편직 공정 동안 단일의 일체형 원피스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구성요소(1140)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도 11 및 12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140)는 도 1~3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40) 및/또는 도 5~8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540)에 대하여 설명한 특징들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1140)는 전족부 영역(1108) 및 중족부 영역(1110)을 형성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140)는 뒤꿈치 영역(11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1108, 1110 및 1112)은 함께 일체로 편직될 수 있다. 추가로, 편직 구성요소(1140)는, 이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1124)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1140)의 공통 부분까지 연장되는 반경 방향 연장형 니트 코스들을 가질 수 있다. 공통 부분은, 편직 구성요소(1140)의 종축(1118)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는, 목 영역(1126)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1140)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122)를 정의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도 포함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본원에서 니트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는 베이스 니트 요소(base knit element)의 다양한 루프들 사이를 통과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도 5~8에 도시된 인레이드 스트랜드(52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즉,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일차적으로, 루프들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다른 스트랜드(예: 얀)에 의해 형성된 루프들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니트 요소(531) 및/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520)를 형성하는 얀의 특징들 모두는 편직 구성요소(1140)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에 적용될 수 있다.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각각은, 편직 구성요소(1140) 내 편직 루프들의 코스를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예를 들면 또한 편직 구성요소(1140)의 외주부(1124)와 목 영역(1126)일 수 있는 공통 부분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10에 도시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522)과 유사하게,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전족부 영역(1108) 및 중족부 영역(1110)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방향들로 편직 구성요소(1140)의 외주부(1124)에서부터 공통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공통 부분[즉,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목 영역(1126)]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122)를 형성한다. 일부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도 11 및 12에 도시된 것처럼 뒤꿈치 영역(1112)에는 없지만, 다른 양태들에서, 예컨대 도 5~10에 도시된 것들처럼, 뒤꿈치 영역(1112)은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편직 구성요소(1140)의 공통 부분은 각각의 목 영역의 길이의 전체를 따라 또는 그의 50%에 걸쳐 연장될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들(150 및 540)의 공통 부분보다 더 작은 구역일 수 있다. 그 대신, 편직 구성요소(1140)의 공통 부분은 단지 목 영역(1126)의 전방 영역뿐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목 영역(1126)의 최전방 부분의 5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양태에서는 2.5센티미터 이내 또는 1.25센티미터 이내(즉, 길이 방향으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목 영역(1126)의 최전방 부분은, 갑피부의 목 영역(1126)을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1140)의 최전방 에지일 수 있으며, 이는 목 영역(1126)이 전족부 영역(1108)과 만나는 위치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내에서 내측면(1116)의 위치 및 밀도는 갑피부의 안쪽에서 억제의 정도 및 그 라인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리고 게다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가변하는 위치들 및/또는 밀도들은 다양한 활동 또는 이동에 대한 억제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신발류 물품(1100)의 상면도에는, 외측면(1114) 상의 중족부 영역(1110)과 같은 외측면(1114)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면(1116) 상의 상응하는 부분보다 더 큰 밀도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을 포함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밀도들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상이한 간격에 의해 야기된다. 구체적으로, 중족부 영역(1110) 내 외측면(1114) 상의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거리는 중족부 영역(1110) 내 내측면(1116) 상의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거리보다 더 작다. 외측면(1114) 상에서 더 큰 밀도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갑피부(1104)의 외측면(1114) 상에서 착용자의 발을 억제된 상태에서 유지하고 외측면(1114) 상의 밑창 구조체(1102)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1100)은, 육상 트랙을 달리는 사람처럼, 일반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 패턴으로 이동할 때 착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사람이 육상 트랙을 달리는 것처럼 이동함에 따라, 트랙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신발류 물품(100)에서처럼] 오른발용으로 의도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면에 있을 수 있는 발은 트랙의 측면을 향해 자주 밀린다. 따라서, 신발류 물품(1100)의 대향 측면[외측면(1114)] 상의 보다 더 큰 밀도의 반경 방향 연장형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트랙을 향해 착용자의 오른발을 미는 자연력에 반대로 작용함으로써, 발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착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반대쪽 신발은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비대칭 밀도를 가질 수 있지만, 그러나 왼발에 착용된 신발류를 위해 트랙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일 수도 있는 갑피부의 내측면 상에 더 큰 밀도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전족부 영역(1108) 및 중족부 영역(1110) 중 적어도 일부의 안쪽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1112)의 안쪽에는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달리기처럼 주로 앞으로 이동하는 활동용으로 의도되는 신발류 물품(1100)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3에는, 반경 방향 연장형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을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1140)가 개략도로 묘사되어 있다. 묘사된 양태에서, 편직 루프들의 코스들은,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 13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그러나 도 13에 묘사된 편직 구성요소(1140)는 도 3에 대하여 설명한 코스들(142)과 유사하게 편직 루프들의 반경 방향 연장형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코스들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1122)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112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중족부 영역(1110) 내 내측면(1116)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보다 외측면(1114) 상에서 더욱 빽빽할 수 있다(예컨대, 더 가까운 간격을 갖거나, 또는 상호 간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간격은 외주부(1124)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에 대하여 설명한 거리들 모두는 갑피부(1104)의 외측면(1114) 상의 중족부 영역(1110), 전족부 영역(1108), 및/또는 내측면(1116) 상의 중족부 영역(1110) 내에서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거리들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외측면(1114) 상의 중족부 영역(1110) 내 코스들의 개수를 기반으로 하는 평균 간격 대 내측면(1116) 상의 중족부 영역(1110) 내 코스들의 개수를 기반으로 하는 평균 간격의 비율은 약 1:1.25 내지 1:8의 범위, 약 1:1.5 내지 1:5의 범위, 및 약 1:2 내지 1:3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에서, 비율은 1:1.5이거나, 또는 내측면(1116)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1.5개의 코스마다 외측면(1114)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1개의 코스이다. 예를 들면, 외측면(1114)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코스는 2개이고 내측면(1116)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 간의 코스는 3개일 수 있다.
추가로, 도 13에 묘사된 것처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122)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일의 연속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편직 구성요소(1140) 내에 통합된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1140)는 전방 니들 베드(1161) 및 후방 니들 베드(1163)를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편직기(162)에 대해 설명한 특정들 모두를 가질 수 있는] 편직기(1162) 상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편직 구성요소(1140)를 형성하는 공정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공정들과 유사하게 편직 방향(1144)을 따르는 순차적인 편직 공정일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140)는, 편직기(1162)에서 떼 내어질 때, 종축(1118)을 따라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일측 측면 상의 뒤꿈치 부분에서 출발하여 동일한 측면 상의 인접한 부분에서 종결되는 순차적인 편직 공정에서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1140)가 갑피부 내에 형성될 때 갑피부의 내측면(1116)을 형성하게 되는 뒤꿈치 영역(1112)의 구역(1121)이 먼저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외측면(1114) 상의 뒤꿈치 영역(1112)의 나머지 부분이 편직되고, 그다음 외측면(1114) 상의 중족부 영역(1110)이 편직되고, 전족부 영역(1108)이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내측면(1116) 상의 중족부 영역(1110)이 편직된다. 도 13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140)의 동일한 형상은 반대 방향으로 편직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의 편직 구성요소(440)에 대하여 설명한 것처럼, 편직 구성요소(1140)는, 이 편직 구성요소(1140)가 도 13에 도시된 배치 구성일 때, 공통 부분을 향해 연장되지 않은 코스들을 여전히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편직 구성요소(1140)가 갑피부(1104)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절첩된 후에, 외주부(1124)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재배향될 수 있다.
편직 공정 동안,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는, 편직 공정이 편직 방향(1144)으로 진행됨에 따라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를 끼워 넣음으로써 편직 구성요소(1140)와 함께 통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편직 구성요소(1140)가 갑피부(1104) 내에 형성될 때 갑피부(1104)의 하부 부분 또는 바이트라인(1106)을 형성할 수 있는] 외주부(1124)와 [갑피부(1104)의 상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게 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122)를 형성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콤비네이션 피더는 또 다른 얀 스트랜드의 루프들에 의해 형성되는 코스 안쪽에 인레이드 스트랜드(1120)를 끼워 넣기 위해 활용된다.
도 14~16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의 주변부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까지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추가적인 예시의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예시들 이내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공통 부분의 위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위치, 밀도 및 각도는 다양한 활동 및 의도되는 용도를 위해 원하는 억제를 기반으로 가변될 수 있다. 본원에 달리 지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달리 도시되지 않는 한, 도 14~16에서의 편직 구성요소들 모두는 편직 구성요소들(140, 540 및/또는 1140)의 특징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16에서의 편직 구성요소들 모두는, 내측면과 외측면이 별도로 편직될 수 있고 동일한 바늘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동시에 편직되지 않도록, 편직 구성요소들(140, 540 및/또는 1140)에 대하여 설명한 순차적인 편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16에서의 편직 구성요소들 모두는 신발류 물품(100, 500 및/또는 1100)에 대하여 설명한 특징들 모두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갑피부의 모두 또는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422)이 편직 구성요소(1440)의 외주부(1424)와 편직 구성요소(1440)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인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144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도 5~8의 편직 구성요소(540)의 공통 부분에 비해 편직 구성요소(1440)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의 공통 부분은 목 영역(1426)을 한정하고 발목 개구부(1460)를 한정하는 편직 구성요소(1440)의 부분이다. 공통 부분의 보다 더 큰 구역으로 인해,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1410 및 1412) 내의 적어도 일부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1422)는 상호 간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440)는 편직 공정 동안 스트랜드를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일측 측면의 제1 영역(예: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뒤꿈치 영역)에서 끼워 넣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다음 편직 구성요소는, 편직 구성요소가 본원의 다른 곳에 설명된 것처럼 완전하게 구성될 때까지 편직 방향을 따른 편직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이전의 양태들에서처럼,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422)은 전족부 영역(1408), 중족부 영역(1410) 및 뒤꿈치 영역(1412)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양태에서 반경 방향 연장형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422)의 간격은 이전 양태에서보다 갑피부의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더 균일하다. 예를 들면, 모든 영역[전족부 영역(1408), 중족부 영역(1410) 및 뒤꿈치 영역(1412)]에서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422) 간의 최소 거리는 최대 거리의 50% 이내, 최대 거리의 40% 이내, 또는 최대 거리의 25% 이내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 양태에서, (예컨대 뒤꿈치 영역 내에서) 최대 간격은 4센티미터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컨대 중족부 또는 전족부 내에서)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최소 간격은 3센티미터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예컨대 4센티미터의 25% 이내일 수 있다).
그와 유사하게,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구비한 코스들 사이에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지 않은 편직 구성요소의 코스들의 개수를 기반으로 코스들만큼 이격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422)의 간격은 이전 양태들에서보다 더 균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최소 개수는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최대 개수의 50% 이내,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최대 개수의 40% 이내, 또는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들의 최대 개수의 25% 이내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 양태에서, (예컨대 뒤꿈치 영역 내에서) 최대 간격은 인접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사이의 코스가 10개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컨대 중족부 또는 전족부 내에서) 최소 간격은 코스가 5개와 10개 사이(예컨대 50% 이내)일 수 있다.
도 15에는, 반경 방향 연장형 니트 코스들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522)을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1540)의 또 다른 양태가 묘사되어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522)은 편직 구성요소(1540)의 주변부(1524)와 편직 구성요소(1540)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도 5~8의 편직 구성요소(540)의 공통 부분보다 더 작다. 도 15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540)의 공통 부분은 목 영역(1526) 중 전방 부분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양태에서, 공통 부분은 목 영역(1526)의 보다 더 작은 구역 이내일 수 있으며, 예컨대 목 영역(1526)의 최전방 부분의 5센티미터 이내, 또는 일부 양태에서는 2.5센티미터 이내, 또는 1.25센티미터 이내(즉, 길이 방향으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목 영역(1526)의 최전방 부분은, 갑피부의 목 영역(1526)을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의 최전방 에지일 수 있으며, 이는 목 영역(1526)이 전족부 영역(1508)과 만나는 위치일 수 있다. 공통 부분이 더 작음에 따라,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착용자 발의 둘레에서 더 많은 개수의 상이한 각도를 따라 배향될 수 있다.
도 15에 묘사된 것처럼,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522)의 비대칭 패턴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1540)는 내측면(1516) 상의 5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522), 외측면(1514) 상의 3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522), 및 전족부 영역(1508) 내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양태에서, 일측 측면(예: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타측 측면(예: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보다 더 클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140)에 대하여 설명한 것처럼,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522)의 상기 비대칭 위치 설정은 한쪽으로의 이동이 다른 쪽으로의 이동보다 선호되거나 더 자주 사용되는 특정 활동들을 위해 의도되는 신발류 물품들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일측 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타측 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의 1/2과 같거나 더 적을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일측 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타측 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의 1/3과 같거나 더 적을 수 있다.
도 15에 묘사된 양태와 같은 비대칭 양태들의 경우, 외측면과 내측면은 서로 반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내측면 또는 외측면은 집중된 반경 방향 보강을 위해 더 많은 개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는, 편직 구성요소(1640)의 외주부(1624)와 편직 구성요소(1640)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622)로 형성된 편직 구성요소(1640)의 또 다른 양태가 묘사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540)의 공통 부분처럼, 편직 구성요소(1540)의 공통 부분은 목 영역(1626)의 전방 부분(예: 전방 반부)만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1640)의 공통 부분은 목 영역(1626)의 최전방 부분의 5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양태에서는 2.5센티미터 이내 또는 1.25센티미터 이내(즉, 길이 방향으로)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622)은 전족부 영역(1608) 및 중족부 영역(1610)의 부분들을 통과하여 연장되지만, 그러나 뒤꿈치 영역(1612) 내에서는 연장되지 않는다. 각각의 측면[외측면(1614) 및 내측면(1616)] 상에는 동일한 개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이 예시의 경우에는 5개)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른 편직 구성요소들에 비해, 편직 구성요소(1640)는 전족부 영역(1608) 내에 많은 스트랜드 세그먼트(1622)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1640)는 종축(1618)에 인접하는 전족부 영역(1608)의 중앙 부분 내에 어떠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처럼 전족부 영역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622)의 부족은, 신발류 물품이 앞으로 덜 움직이는 활동을 위해 의도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반경 방향 편직 공정 또는 순차적인 편직 공정은, 편직 구성요소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동시에 형성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측면과 외측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 대신, 내측면의 모두[또는 실질적으로 모두, 즉 5길이 퍼센트(% by length) 이내]가 형성될 수 있고, 그다음 외측면의 모두(또는 실질적으로 모두, 즉, 5길이 퍼센트 이내)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측면이 먼저 형성될 수 있고 내측면은 그에 후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측면(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일부분이 먼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다음 제2 측면(예: 다른 측면)이, 제1 측면의 잔여 부분을 편직함으로써 편직 구성요소를 완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는, 뒤바뀐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측면(즉,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인접한 코스는 제2 측면(즉, 내측면 및 외측면 중 다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인접한 코스 이전에 편직될 수 있다.
도 17에는, 편직 구성요소, 예컨대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1~3, 5~8 및 11~13에 각각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들(140, 540 및/또는 1140)을 제조하는 예시의 제조 방법(1700)이 블록선도로 묘사되어 있다. 제조 방법(1700)은 블록들(1702~1706)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의 선택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블록(1702)에서, 방법(1700)은 편직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편직기(162) 상에서, 갑피부의 제1 중족부 영역,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갑피부(104)의 중족부 영역(110)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중족부 영역은 외측면 및 내측면,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갑피부(104)의 외측면(114) 및 내측면(116) 중 일측 측면을 형성한다. 블록(1704)에서, 방법(1700)은, 편직기 상에서,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갑피부(104)의 전족부 영역(108)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전족부 영역은 예컨대 편직기 상에서 수행되는 단일의 편직 공정을 통해 제1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된다. 일 예시에서, 전족부 영역은 하나 이상의 웨지, 예컨대 복수의 웨지로 형성되는 발가락 영역일 수 있다. 블록(1706)에서, 방법(1700)은, 편직기 상에서 전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제2 중족부 영역,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갑피부(104)의 중족부 영역(110)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제2 중족부 영역은 전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 중 타측 측면을 형성한다. 제1 중족부 영역과 제2 중족부 영역은 각각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웨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신발류 물품,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500)을 형성하는 예시의 형성 방법(1800)이 블록선도로 묘사되어 있다. 형성 방법(1800)은 블록들(1802 및 1804)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의 선택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블록(1802)에서, 방법(1800)은, 니트 요소,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니트 요소(531)를 편직함으로써, 갑피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갑피부(104)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니트 요소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포함하고,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내주부(134) 및 외주부(124)처럼, 외주부는 갑피부의 하부 부분을 한정하고 내주부는 갑피부의 상부 부분을 한정한다. 블록(1804)에서, 방법(1800)은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에서 니트 요소의 복수의 코스 중 각각 하나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스트랜드 세그먼트(522)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 동안 니트 요소 내에 연속 스트랜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스트랜드(520)를 통합하는 통합 단계를 포함한다.
도 19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1940)의 특정 섹션들 내에 위치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1920, 1930)을 포함하는 예시의 편직 구성요소(1940)가 묘사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1940)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것처럼 신발류 물품을 위한 갑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에서, 편직 구성요소(1940)는 전족부 영역(1908), 중족부 영역(1910) 및 뒤꿈치 영역(1912)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1940)는, 예컨대 목 영역(1926)의 둘레에 위치되는 외주부(1924) 및 내주부(1934)를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1940)는, 예컨대 편직기 상에서 단일의 연속 편직 공정으로 편직되는 단일의 통합된 니트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1940)는, 예컨대 집합적으로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내부 니트 층(inner knit layer) 및 외부 니트 층(outer knit layer)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1920, 1930)이 편직 구성요소(1940)의 베이스 텍스타일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각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1920, 1930)가 베이스 텍스타일의 내부 니트 층과 외부 니트 층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텍스타일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인레이드 스트랜드들(1920, 1930)이 통합되는 방법이 추가로 묘사되어 있다.
여전히 도 19를 보면, 인레이드 스트랜드(1920)가 편직 구성요소(1940)의 외측면(1914) 상에 어떻게 위치되는지, 그리고 인레이드 스트랜드(1930)는 편직 구성요소(1940)의 내측면(1916) 상에 어떻게 위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1920)는 외측면(1914) 상에서 편직 구성요소(1940)의 주변부(1924)에서부터 그의 공통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922)를 형성하며, 그리고 인레이드 스트랜드(1930)는 내측면(1916) 상에서 편직 구성요소(1940)의 주변부(1924)에서부터 그의 공통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1932)를 형성한다. 또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922, 1932)의 각각의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편직 구성요소(1940)의 외주부(1924)의 상응하는 부분들을 따라 위치되는 루프들과 연결된다. 또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922, 1932)은 편직 구성요소(1940)의 내주부(1934)에 인접하는 루프들(1921, 1931)을 형성하며, 예컨대 끈 조임 요소들(lacing elements)을 수용하기 위한 구경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도 19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1940)에 의해,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922)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니트 코스들을 통과하여 내주부(1934)를 향해 연장되며, 예컨대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1926)을 중심으로 적어도 부분적인 반경 방향 구성을 형성하며, 그리고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9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니트 코스들을 통과하여 내주부(1934)를 향해 연장되며, 예컨대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1926)을 중심으로 적어도 부분적인 반경 방향 구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1922, 1932)은 일반적으로 전족부 영역(1908)의 발가락 구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내측면(1916) 및 외측면(1914)에서 국소화된 보강 및/또는 억제를 생성하고, 전족부 영역(1908)에서는 더 적은 보강 및/또는 억제를 생성한다. 이러한 보강 및/또는 억제를 부여하기 위해, 스트랜드들(1920, 1930)은 고강인성 얀, 케이블, 필라멘트, 모노 필라멘트, 다중 필라멘트 등일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스트랜드들(1920, 1930)은, 공통 부분의 방향으로 보강 및/또는 억제를 부여하기 위해, 편직 구성요소(1940)의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얀들보다 더 높은 강인성, 내신장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도 20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204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인레이를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2040)가 묘사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204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편직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2040)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이 실질적으로 상호 간에 인접하는 외주부(2024)에서부터 내주부(2034)를 향해 연장되도록 끼워 넣어진 연속적인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은 순차적이거나 교호적인 방식으로 바로 인접한 코스들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은, 편직 구성요소(2040)의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2026)을 향해, 그리고 그 둘레에서 연장되도록 끼워 넣어지며, 그럼으로써 공통 부분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구성을 형성한다. 도 20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은 내측면(2016)을 따라, 전족부 영역(2008)을 따라, 그리고 외측면(2014)을 따라 연속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스트랜드들(2020, 2032)은 편직기에 의해 수행되는 편직 공정 동안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랜드들(2020, 2032)은, 예컨대 이들 스트랜드가 편직 구성요소(2040)의 인접한 코스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편직기의 캐리지(carriage)의 각각의 패스(pass)에 의해 편직 구성요소(2040)의 안쪽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한 쌍의 연속 스트랜드들(2020, 2032)이 편직 구성요소(2040) 내에,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2040)의 안쪽에, 또는 편직 구성요소(2040)의 표면을 따라서 끼워 넣어지며, 단일의 연속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2개보다 많은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양태들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은 얀, 예컨대 고강인성 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얀, 예컨대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얀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유형들의 섬유들, 케이블, 필라멘트, 또는 다중 필라멘트, 예컨대 높은 인장강도 및/또는 높은 내신장성을 갖는 것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양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은 단일 또는 다중 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얀일 수 있다. 이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이 편직 구성요소(2040)의 나머지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얀들보다 더 높은 강인성, 내신장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공통 부분의 방향으로 편직 구성요소(2040)의 둘레에 보강 및/또는 억제를 부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여전히 도 20을 보면, 편직 구성요소(2040)의 외측면(2014) 및 내측면(2016)은 인레이드 케이블들(2023, 2033)을 각각 더 포함하되, 이러한 케이블들(2023, 2033)은 보다 더 높은 강도 또는 내신장성의 소재들에서 선택된다. 케이블들(2023, 2033)은 외주부(2024)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2040)를 통과하여(예컨대, 편직 구성요소의 층들을 통과하고, 그리고/또는 편직 구성요소의 터널 구조를 통과하여) 아일릿(eyelet)/레이스 개구부들(2025, 2035)의 둘레를 따라 (예컨대 루프들을 형성하는) 내주부(2034)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다시 편직 구성요소(2040)의 안쪽으로, 그리고 (다시 루프들을 형성하는) 외주부(2024)로 연장되며, 그리고 편직 구성요소(2040)의 외측면(2014) 및 내측면(2016) 상에서 반복적인 순서의 배열(repeating sequence)을 계속 형성한다. 또한, 케이블들(2023, 2033)은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020, 2032)처럼]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2026)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케이블들(2023, 2033)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것처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들(2023, 2033)의 통합은 무엇보다도 편직 구성요소(2040)의 외측면(2014) 및 내측면(2016) 상에 추가의 보강 및/또는 억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1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이한 유형들의 편직 구조들을 갖는 상이한 섹션들을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2140)가 묘사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21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텍스타일을 통과하여 외주부(2124)에서부터 내주부(2134)까지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120, 2130)을 구비한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니트 요소를 포함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120, 2130)은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2126)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또한, 목 영역(2126)은, 내주부(2134)를 서로 연결하는, 예컨대 오버푸트 부분을 형성하는 텍스타일(2115)을 포함한다. 베이스 텍스타일 내에 끼워 넣어진 스트랜드들(2120, 2130)은 일반적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2140)의 공통 부분을 중심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구성을 형성한다.
편직 구성요소(2140)는 상이한 구역들에 상이한 니트 구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편직 구성요소(2140)는 상이한 편직 공정들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복합형(composite-type) 편직 구성요소이다. 편직 구성요소(2140)의 내측면(2116)은 내측면(2116)에서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니트 요소(2113)의 코스들 안쪽에 끼워 넣어진 스트랜드(2120)를 가지되, 니트 요소(2113)의 코스들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2120)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구성으로 편직 구성요소(2140)의 공통 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편직 구성요소(2140)의 외측면(2114)은 외측면(2114)에서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니트 요소(2117)의 코스들 안쪽에 끼워 넣어진 스트랜드(2130)를 가지되, 니트 요소(2117)의 코스들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2130)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구성으로 편직 구성요소(2140)의 공통 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또한, 전족부 영역(2108)이 상이하게 형성된 니트 요소(2119), 예컨대 비-반경 방향 구성으로 형성된 니트 요소를 포함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트 요소(2119)는,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공통 부분을 향해, 그리고 그 둘레에서 연장되는 니트 코스들을 포함한 반경 방향 구성과 대조적으로, 수평으로(예컨대 도 21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니트 코스들을 포함하는 니트 요소일 수 있다. 다중 니트 구성은 편직 구성요소(2140)의 중족부 부분(2110)의 내측면(2116) 및 외측면(2114) 내에 보다 더 큰 보강 및/또는 억제를 허용하는 반면, 무엇보다도 편직 구성요소(2140)의 전족부 영역(2108) 내에서는 보다 더 느슨하고 보다 더 편안하게 배향되는 느낌을 허용한다.
도 22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성된 구역들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2240)가 묘사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224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편직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직 구성요소(2240)는 베이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니트 요소; 및 외주부(2224)와 내주부(2234) 사이에서 니트 요소를 통과하여, 예컨대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2226)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2220);를 포함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2220)는 전족부 부분(2208)의 발가락 구역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2222)를 형성하되, 이들 세그먼트 각각은 공통 부분, 예컨대 목 영역(2226)을 향해 연장된다. 일 양태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2222)은 목 영역(2226)에서 레이스 루프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베이스 텍스타일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전히 도 22를 보면, 편직 구성요소(2240)의 부분들이 가용성 얀들(fusible yarns),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머 소재들로 형성된 얀들을 포함하거나 함유하도록, 편직 구성요소(2240)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2에서, 이러한 가용성 얀들은 전족부 영역(2208)의 일부에, 예컨대 이러한 경우에는 외측면(2114) 상에 국소화되어, 외측면(2114)에 국소화된 특성들, 예컨대 강성, 내신장성, 억제, 보강, 내구성 및 기타 특성들을 부여한다. 이 경우, 이러한 소재들은 편직 구성요소(2240) 상에서, 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편직 구성요소들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용성 얀들의 통합은, 가용성 얀들의 용융 온도와 같거나 더 높지만, 편직 구성요소(2240)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얀들의 용융 온도보다는 더 낮은 온도로 열이 가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편직 구성요소(2240) 상에서,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2240)의 안쪽 및/또는 바깥쪽 표면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구역(2215)(fused area)을 형성한다. 이러한 융합된 구역(2215)은 내측면(2216) 상일 수 있거나, 또는 내측면(2216) 및 외측면(2214) 모두의 부분들 상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발가락 영역 전체에 걸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양태들에서는 편직 구성요소의 더 크거나 더 작은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도 23a에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도 23a의 편직 패턴에 따라, 편직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전방 및 후방 니들 베드(161 및 163)를 포함하는 편직기(162) 상에서 형성될 때의 편직 구성요소(2330)가 묘사되어 있는 도 23b에 도시된 편직 구성요소(2330)를 편직하기 위한 예시의 편직 순서 표현(2310)(knitting sequence representation)[이하 편직 표현(2310)으로서 지칭함]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편직 표현(2310)에는, 뒤꿈치 영역, 내측면 또는 외측면, 전족부 영역, 및 내측면 및 외측면 중 다른 측면을 순차적인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편직하거나 순차적으로 편직하기 위한 편직 방향(2312)이 도시되어 있다. 반경 방향 편직 또는 순차적 편직은 본원에서 도 17 및 18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부분들에서 추가로 설명되어 있다. 편직 표현(2310)은, 이 편직 표현(2310)이 편직기에 의해 실행될 때, 신발류 갑피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2330)를 생성하도록, 편직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편직 표현(2310)에는, 편직 구성요소(2330)의 외주부(2302) 및 편직 구성요소(2330)의 내주부(230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편직 표현(2310)에는,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편직될 수 있는 복수의 웨지(2314)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웨지(2314) 각각은 외주부(2302)에서의 제1 에지와 내주부(2304)에서의 제2 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에지는 길이와 관련하여 제2 에지보다 더 크다. 더욱이 복수의 웨지(2314) 각각은 외주부(2302)와 내주부(230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복수의 웨지(2314) 중 하나 이상의 웨지 내 제2 에지는 정점(apex)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웨지(2314)는 일련의 코스들을 편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되, 예컨대 제1 행에서 출발함으로써, 후속 코스들의 길이, 또는 일련의 코스들에서 후속 코스 세트들은, 해당 영역(예: 중족부 영역, 전족부 영역 등)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원하는 폭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고 그다음 마지막 행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된다. 또한, 원하는 길이를 갖는 코스가 달성될 때, 하나 이상의 추가 코스는 [내주부(2304)에서] 제2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원하는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편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방향(2312)으로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코스들의 제1 세트는 웨지(2314)의 제3 에지를 형성하도록 편직될 수 있고, 편직 방향(2312)으로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코스들의 제2 세트는 웨지(2314)의 제4 에지를 형성하도록 편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것처럼, 웨지형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코스들의 제1 세트는, 직물의 원하는 폭이 도달할 때까지 편직된다. 후속하여, 원하는 폭에서 하나 이상의 코스가 편직되며, 그리고 그다음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코스들의 제2 세트는 웨지형 구조를 완성하도록 편직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에 의해, 내주부(2304)와 외주부(2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웨지가 생성된다. 코스들의 개수 및/또는 길이는 웨지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일련의 웨지들을 편직함으로써, 편직 구성요소(2330)는, 공통 부분, 예컨대 본 예시에서는 내주부(2304)에 대하여 만곡되도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활 모양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주부(2304)는 완전하게 형성된 편직 구성요소(2330)에서 갑피부의 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직 표현(2310)에 도시된 것처럼, 전족부 영역(2306)은, 보다 더 큰 곡률, 예컨대 보다 더 작은 반경의 곡률을 갖는 만곡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웨지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족부 영역(2306) 내에서 웨지들의 세트 각각은 중족부 구역 내 웨지들의 세트보다 더 작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족부 영역(2306) 내 웨지들의 총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족부 영역(2306) 내에 복수의 웨지를 통합함으로써, 전족부 영역(2306) 내 갑피부의 편직 구성요소(2330)의 만곡 구조가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구성요소(2330)는 웨지들의 스택을 포함하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편직할 때, 웨지들의 제1 세트는 편직 구성요소(233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웨지들의 제2 세트는 편직 구성요소(2330)의 발가락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웨지들의 제3 세트는 편직 구성요소(2330)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추가로, 웨지들의 제4 세트는 편직 구성요소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예시를 포함하는 제2 예시에서, 웨지들의 제2 세트 내 웨지들의 개수는, 웨지들의 제1 세트 내 웨지들의 개수 또는 웨지들의 제3 세트 내 웨지들의 개수보다 더 크다.
일 실시예에서, 갑피부는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을 한정하는 복수의 연환된 코스를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각각의 웨지형 부분은,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의 일부분; 편직 구성요소의 내주부의 일부분;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제1 니트 코스; 및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제2 니트 코스;에 의해 한정된다. 갑피부의 제1 예시에서, 웨지형 부분을 한정하는 내주부의 부분은 웨지형 부분을 한정하는 외주부의 부분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예시를 포함하는 갑피부의 제2 예시에서, 각각의 웨지형 부분은 제1 코스와 제2 코스 사이에 위치되어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코스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코스와 제2 코스 사이에 위치되고 외주부에서부터 연장되어 내주부의 앞에서 종결되는 부분 길이 코스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예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갑피부의 제3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예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갑피부의 제4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갑피부의 중족부 영역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4 예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갑피부의 제5 예시에서,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5 예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갑피부의 제6 예시에서, 갑피부는 신발류 물품의 갑피부이다.
편직 표현(2310)에는, 편직 구성요소(2330) 내 하나 이상의 코스와 연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2318)가 도시되어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의 위치 및 개수(즉,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끼워 넣어진 위치)는 원하는 억제 수준 및/또는 억제 방향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도 3과 관련하여 논의한 축들(121, 123)을 따르는 억제 라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억제 라인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웨지의 기하구조(예: 웨지의 각각의 측면의 길이, 표면적 등)는 원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위치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억제 라인 또는 원하는 억제 방향과 인레이드 스트랜드들을 일직선으로 정렬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도 23a에서, 웨지들(2314)을 형성하는 편직 행들(knitted rows)은, 해당 행들이 편직기에 의해 형성/편직되는 방법에 따라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편직 행들은 보다 더 긴 행들과 보다 더 짧은 행들 모두를 포함한다. 보다 더 긴 행들(도 23a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측정됨)은 보다 더 긴 니트 코스들을 나타내고, 보다 더 짧은 행들(도 23a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측정됨)은 보다 더 짧은 니트 코스들을 나타낸다. 웨지들(2314)을 형성하는 편직 행들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공간(2316)은 편직 공정 동안 유지되거나 완료되지 않은 스티치들을 나타내거나, 또는 오히려 니트 코스들의 편직되지 않은 섹션들을 나타낸다. 도 23a에서의 선들은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318)을 나타낸다. 웨지들, 예컨대 편직 방향(2312)을 따라 보다 더 길고 보다 더 짧은 코스들을 포함한 편직 구성요소(2330)의 형성은, 편직기 상에서 형성되는 베이스 텍스타일이 회전하게 하며, 즉 공통 부분, 위치 및/또는 지점을 둘러싸는 비선형, 활 모양 및/또는 방사상 형상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한다. 또한, 편직 구성은 인레이드 스트랜드들(2318)이 공통 부분, 위치 및/또는 지점의 둘레에서 유사한 비선형, 활 모양 및/또는 방사상 형상으로 연장되게 한다. 도 23a에 도시된 편직 순서(2310)를 기반으로 하는 편직 구성요소(2330)의 형성은, 도 23a의 웨지들로 인해 편직 공정의 과정에 걸쳐 편직 피스가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도 23b의 예시에 묘사되어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편직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물품들, 예컨대 갑피, 신발류 물품, 의류 물품, 예컨대 테가 있는 모자, 앞챙이 달린 모자, 셔츠, 저지, 재킷, 양말, 반바지, 바지, 언더웨어 및 브래지어와 같은 속옷, 운동 지원 의복, 장갑, 손목/팔 밴드, 소매, 머리띠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고려되는 물품들 중에서 스포츠 장비, 가방, 백팩, 또는 실외 레크리에이션 장비 또는 기구와 같은 다른 물품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항목 1: 갑피부로서, 적어도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 및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고 외주부를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갑피부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영역은 상기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고, 상기 전족부 영역은 전족부 영역 내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코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족부 영역은 중족부 영역 내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 코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스와 상기 제2 코스는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은 뒤꿈치 영역 내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3 코스를 구비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인 것인, 갑피부.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의 전방 부분인 것인, 갑피부.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설부를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설부는 적어도 전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면서 상기 뒤꿈치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4 코스; 및 전족부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5 코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코스와 상기 제5 코스 각각은 착용자의 제1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전족부 영역의 일부분과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8: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면서 상기 뒤꿈치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4 코스; 및 전족부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5 코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코스와 상기 제5 코스 각각은 착용자의 제5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전족부 영역의 일부분과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구비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외주부에서부터 공통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갑피부를 통과하여 외주부에서부터 공통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11: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13: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는 신발류 물품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14: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편직기 상에서 갑피부의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제1 중족부 영역은 갑피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 중 일측 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형성 단계; 편직기 상에서 상기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전족부 영역은 상기 제1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는 것인, 형성 단계; 및 편직기 상에서 상기 전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제2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제2 중족부 영역은 상기 전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 중 타측 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고 갑피부의 외주부에서부터 공통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코스; 및 갑피부의 제1 중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고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 코스;를 포함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항목 16: 항목 14 또는 15에 있어서,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늘들 중 적어도 하위 세트는 제2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항목 17: 항목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니트 요소; 및 상기 니트 요소의 하나 이상의 코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되, 상기 니트 요소가 편직기의 복수의 바늘 상에서 형성되는 동안, 상기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끼워 넣어지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항목 18: 항목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편직 구성요소의 적어도 제1 부분에서, 갑피부의 외주부와 갑피부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얀보다 더 높은 강인성을 갖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항목 19: 갑피부로서, 갑피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하고 외주부와 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구비한 니트 요소; 및 편직 구성요소의 복수의 코스의 각각의 하나 안쪽에서 외주부와 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 구성요소와 함께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상기 갑피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20: 항목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가 니트 요소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니트 요소와 함께 통합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21: 항목 19 또는 2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갑피부의 중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중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구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22: 항목 19 내지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밑창 구조체에서부터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구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23: 항목 19 내지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인, 갑피부.
항목 24: 항목 19 내지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의 비율은 1.5:1보다 더 큰 것인, 갑피부.
항목 25: 항목 19 내지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의 비율은 2:1과 5:1 사이인 것인, 갑피부.
항목 26: 항목 19 내지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코스들의 평균 개수의 비율은 1.5:1보다 더 큰 것인, 갑피부.
항목 27: 항목 19 내지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코스들의 평균 개수의 비율은 2:1과 5:1 사이인 것인, 갑피부.
항목 28: 항목 19 내지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안쪽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인, 갑피부.
항목 29: 항목 19 내지 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안쪽에서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다른 것인, 갑피부.
항목 30: 항목 19 내지 2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과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상기 갑피부의 종축에 상대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31: 항목 19 내지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과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상기 갑피부의 종축에 상대적으로 비대칭으로 위치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32: 항목 19 내지 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분은 상기 목 구역의 전방 반부인 것인, 갑피부.
항목 33: 항목 19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분은 상기 목 구역의 후방 반부인 것인, 갑피부.
항목 34: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로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이 편직 구성요소의 하부 에지 및 한 쌍의 뒤꿈치 에지들을 한정하는 외주부와, 목 개구부 및 발목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내주부를 구비한 니트 요소이되,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구비한 니트 요소; 및 상기 니트 요소와 함께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이되,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상기 니트 요소의 복수의 코스 중 각각 하나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35: 항목 3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가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코스들이 되도록, 연속 스트랜드가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안쪽에 통합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36: 항목 34 또는 35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및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37: 항목 34 내지 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내측면 상에 제1 복수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외측면 상에 제2 복수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38: 항목 34 내지 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코스들의 평균 개수의 비율은 1.5:1보다 더 크거나, 또는 2:1과 5:1 사이인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39: 항목 34 내지 3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의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40: 항목 34 내지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의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다른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항목 41: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 방법은 니트 요소를 편직함으로써 갑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니트 요소는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주부는 갑피부의 하부 부분을 한정하고, 상기 내주부는 갑피부의 상부 부분을 한정하는 것인, 형성 단계; 및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상기 니트 요소의 복수의 코스 중 각각 하나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 동안 상기 니트 요소 안쪽에 연속 스트랜드를 통합하는 통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2: 항목 42에 있어서, 상기 형성 방법은 밑창 구조체에 상기 니트 요소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3: 항목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니트 요소의 편직 단계는, 뒤꿈치 영역 내 한 쌍의 에지들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단일의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니트 요소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순차적으로 편직하는 순차적 편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4: 항목 41 내지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연속 스트랜드는, 복수의 코스 안쪽에 코스들을 통과하는 연속 스트랜드를 끼워 넣음으로써, 편직 구성요소와 함께 통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5: 항목 41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연속 스트랜드를 통합하는 통합 단계는 밑창 구조체에서부터 갑피부의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6: 항목 41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연속 스트랜드를 통합하는 통합 단계는 밑창 구조체에서부터 갑피부의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밑창 구조체에서부터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중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및 밑창 구조체에서부터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7: 항목 41 내지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8: 항목 41 내지 4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평균 간격의 비율은 1.5:1보다 더 크거나, 또는 2:1과 5:1 사이인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49: 항목 41 내지 4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과 상기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인접한 세그먼트들 간의 코스들의 평균 개수의 비율은 1.5:1보다 더 크거나, 또는 2:1과 5:1 사이인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50: 항목 41 내지 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51: 항목 41 내지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다른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52: 항목 41 내지 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및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상기 신발류 물품의 종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53: 항목 41 내지 5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및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은 상기 신발류 물품의 종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대칭으로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형성 방법.
항목 54: 편직 구성요소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인 구성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편직 구조를 포함하는 편직 구성요소.
항목 55: 항목 54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상기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품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
항목 56: 항목 55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신발류 물품 또는 의류 물품인 것인, 편직 구성요소.
항목 57: 갑피부로서,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을 한정하는 복수의 연환된 코스를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갑피부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형 부분은,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외주부의 일부분;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내주부의 일부분;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제1 니트 코스; 및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제2 니트 코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갑피부.
항목 58: 항목 57에 있어서, 웨지형 부분을 한정하는 상기 내주부의 부분은 상기 웨지형 부분을 한정하는 상기 외주부의 부분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인, 갑피부.
항목 59: 항목 57 또는 58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형 부분은 상기 제1 코스와 상기 제2 코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주부에서부터 상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코스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코스와 상기 제2 코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외주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주부의 앞에서 종결되는 부분 길이 코스들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60: 항목 57 내지 5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61: 항목 57 내지 6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갑피부의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
항목 62: 항목 57 내지 6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웨지형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되었다.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대안의 양태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원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개선예들을 구현하는 대안의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특정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은 유용하고, 다른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을 참조하지 않고도 채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들에 열거된 모든 단계는 설명한 특성 순서로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Claims (30)

  1. 갑피부로서,
    적어도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 및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고 외주부를 구비한 편직 구성요소
    를 포함하며, 상기 전족부 영역은 상기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고, 상기 전족부 영역은 전족부 영역 내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코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족부 영역은 중족부 영역 내 외주부와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 코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스와 상기 제2 코스는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은 뒤꿈치 영역 내 외주부에서부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3 코스를 구비하는 것인, 갑피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인 것인, 갑피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의 전방 부분인 것인, 갑피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갑피부의 설부를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는 적어도 전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는 것인, 갑피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상기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은 제3 코스를 구비하며,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상기 뒤꿈치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4 코스; 및 전족부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5 코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코스와 상기 제5 코스 각각은 착용자의 제1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전족부 영역의 일부분과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상기 갑피부의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은 제3 코스를 구비하며,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상기 뒤꿈치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4 코스; 및 전족부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5 코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코스와 상기 제5 코스 각각은 착용자의 제5 중족골을 덮도록 구성되는 전족부 영역의 일부분과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구비한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안쪽의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인, 갑피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분은 갑피부의 목 구역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는 신발류 물품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인, 갑피부.
  13.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편직기 상에서 갑피부의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제1 중족부 영역은 갑피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 중 일측 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형성 단계;
    편직기 상에서 상기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전족부 영역은 상기 제1 중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는 것인, 형성 단계; 및
    편직기 상에서 상기 전족부 영역을 형성한 후에 갑피부의 제2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되, 상기 제2 중족부 영역은 상기 전족부 영역과 일체로 편직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 중 타측 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고 갑피부의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코스; 및 갑피부의 제1 중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고 외주부와 공통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 코스;를 포함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늘들 중 적어도 하위 세트는 제2 중족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니트 요소; 및 상기 니트 요소의 하나 이상의 코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되, 상기 니트 요소가 편직기의 복수의 바늘 상에서 형성되는 동안, 상기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끼워 넣어지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편직 구성요소의 적어도 제1 부분에서, 갑피부의 외주부와 갑피부의 공통 부분 사이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얀보다 더 높은 강인성을 갖는 것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18. 갑피부로서,
    갑피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하고 외주부와 갑피부의 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구비한 니트 요소; 및
    니트 요소의 복수의 코스의 각각의 코스들을 따라 상기 외주부와 상기 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니트 요소와 함께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호 간에 상대적인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갑피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가 상기 니트 요소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니트 요소와 통합되는 것인, 갑피부.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갑피부의 중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중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외주부에서부터 목 영역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
  22.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로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이 편직 구성요소의 하부 에지 및 한 쌍의 뒤꿈치 에지들을 한정하는 외주부와, 목 개구부 및 발목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내주부를 구비한 니트 요소이되,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코스를 구비한 니트 요소; 및
    상기 니트 요소와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이되,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상기 니트 요소의 복수의 코스 중 각각 하나의 코스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
    를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가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코스들이 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상기 편직 구성요소의 안쪽에 통합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는 전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족부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및 뒤꿈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내측면 상에 제1 복수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상기 외측면 상에 제2 복수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상기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 세그먼트의 스트랜드 세그먼트들의 개수와 다른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신발류 물품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29. 제22항에 있어서, 복수의 코스 중 적어도 일부분은 웨지 부분들의 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각각의 웨지 부분은 외주부에서의 제1 에지; 내주부에서의 제2 에지; 및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웨지 코스;를 구비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부분들의 세트는 갑피부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인, 갑피부용 편직 구성요소.
KR1020247009772A 2021-10-22 2022-10-22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6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70987P 2021-10-22 2021-10-22
US63/270,987 2021-10-22
US202263389617P 2022-07-15 2022-07-15
US63/389,617 2022-07-15
US17/971,309 2022-10-21
US17/971,309 US20230129224A1 (en) 2021-10-22 2022-10-21 Articles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970,951 US20230126432A1 (en) 2021-10-22 2022-10-21 Articles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970,951 2022-10-21
PCT/US2022/047504 WO2023069764A2 (en) 2021-10-22 2022-10-22 Articles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273A true KR20240046273A (ko) 2024-04-08

Family

ID=84362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773A KR20240044534A (ko) 2021-10-22 2022-10-22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47009772A KR20240046273A (ko) 2021-10-22 2022-10-22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773A KR20240044534A (ko) 2021-10-22 2022-10-22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56120A2 (ko)
KR (2) KR20240044534A (ko)
CN (1) CN115998033A (ko)
TW (2) TW202322710A (ko)
WO (2) WO2023069764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8672B2 (en) * 2013-03-04 2017-12-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tegrally knit contoured portion
US9661892B2 (en) * 2014-07-29 2017-05-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upper with a shifted knit structure
EP3283676B1 (en) * 2015-04-16 2021-12-0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having floated yarn portion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TWI667968B (zh) * 2015-05-15 2019-08-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編織組件
CN112567085B (zh) * 2018-08-08 2022-07-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轻质针织鞋面以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9764A9 (en) 2023-11-30
WO2023069764A2 (en) 2023-04-27
EP4256120A2 (en) 2023-10-11
WO2023069764A3 (en) 2023-07-13
WO2023069765A1 (en) 2023-04-27
TW202322710A (zh) 2023-06-16
KR20240044534A (ko) 2024-04-04
CN115998033A (zh) 2023-04-25
TWM651757U (zh)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854B2 (en)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TWI723400B (zh) 含有鑲設張力元件之編織部件的鞋類物件及組合方法
JP6637036B2 (ja) レンチキュラーニット構造を組み込む製品用のニット構成要素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US9301567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US9730484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CN105164327B (zh) 使用竖直镶嵌拉伸元件编织一编织部件的方法
US874589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TWI831710B (zh) 以高軔度紗加強的鞋類物件
KR101851512B1 (ko)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CN219500511U (zh) 鞋面、针织部件以及物品
KR20240046273A (ko)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126432A1 (en) Articles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