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12B1 -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12B1
KR101851512B1 KR1020177008628A KR20177008628A KR101851512B1 KR 101851512 B1 KR101851512 B1 KR 101851512B1 KR 1020177008628 A KR1020177008628 A KR 1020177008628A KR 20177008628 A KR20177008628 A KR 20177008628A KR 101851512 B1 KR101851512 B1 KR 101851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filament
region
multifilament
articl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499A (ko
Inventor
나디아 엠. 파니안
로베르토 자바라
제퍼리 씨. 스팡스
데이비드 제이. 룰로
스튜어트 더블유. 딜리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535,501 external-priority patent/US20160058099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35,554 external-priority patent/US9301567B2/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5/04670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33051A1/en
Publication of KR2017004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3One surface including hollow piping or integrated straps, e.g. for inserts or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2Flat fabric of variable width, e.g. including one or more fashioned pane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편직 구성요소를 통합하는 갑피를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다.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에 의해 경계 설정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그 사이에 비고정 영역을 형성한다. 인장 요소는 비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류 물품은 대체로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와 밑창 구조체는 발 수용 개구를 통해 사용자의 발이 엑세스할 수 있는 발 수용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부 영역에 고정됨으로써, 갑피와 지면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운동화류에서, 예컨대 밑창 구조체는 중창과 바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흔히 걷기, 달리기, 및 기타 보행 활동 중에 발과 다리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하도록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폴리머 발포체 재료를 포함한다. 게다가, 중창은, 힘을 추가로 감쇠시키거나, 안정성을 높이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유체 충전식 챔버, 플레이트, 모더레이터(moderator),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깥창은 중창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고무 등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밑창 구조체의 지면 맞물림부를 제공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 내에 그리고 발의 하부면에 가깝게 위치 설정되는 삭라이너(sock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갑피를 제조하는 데에 다양한 재료 요소들(예컨대, 텍스타일, 폴리머 발포체, 폴리머 시트, 천연 가죽, 합성 가죽)이 사용되고 있다. 운동화류에서, 예컨대 갑피는 다양한 결합형 재료 요소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층들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재료 요소는 갑피의 여러 영역에 내신축성, 내마모성, 가요성, 통기성, 압축성, 편안함 및 속건성(moisture-wicking)을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갑피의 상이한 영역들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재료 요소들은 흔히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된 다음, 일반적으로 스티칭 또는 접착제 접합을 이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더욱이, 재료 요소들은 흔히 동일한 영역에 다수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층상 형태로 결합된다.
갑피에 통합되는 재료 요소들의 갯수 및 유형을 감소시키면 재료 요소들의 운송, 비축, 절단, 및 결합과 관련된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갑피에 통합되는 재료 요소들의 갯수 및 유형이 감소될 때에 절단 및 스티칭 프로세스로부터의 폐기 재료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더 적은 갯수의 재료 요소들을 갖는 갑피는 더 많은 유형 및 갯수의 재료 요소들로부터 형성되는 갑피보다 재활용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더 적은 피스가 함께 스티칭되면 특정 영역에서 힘의 집중이 감소될 수 있지만, 더 적은 스티치 결합은 착용 시에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갑피에 사용되는 재료 요소들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갑피의 제조 효율, 편안함, 성능, 및 재활용을 증가시키면서 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은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일정 형상을 갖는다.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그 사이에 제1 비고정 영역을 형성한다.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과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제1 인장 요소가 제1 비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그 사이에 제2 비고정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서, 제2 비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제2 인장 요소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물품은 발등 경계부와 밑창 경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발등 경계부와 밑창 경계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또한 획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내부층과 외부층을 포함하고, 내부층과 외부층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제1 비고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비고정 영역은 관형 구조체를 포함하고, 이 관형 구조체를 통해 제1 인장 요소가 연장된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비고정 영역의 내부층과 외부층은 제1 인장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 사이에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외부층은 제1 갯수의 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층은 제2 갯수의 코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갯수의 코스는 상기 제2 갯수의 코스보다 많다.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제1 평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외부층은 제2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인장 요소는 제1 비고정 영역으로부터 제2 비고정 영역으로 연장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할 수 있고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폭은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할 수 있고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폭은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은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일정 형상을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내부층과 외부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제1 평면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외부층은 제2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2 평면은 제1 평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 각각에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전족 구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 및 배향은 중족 구역과 뒤꿈치 구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 및 배향과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뒤꿈치 구역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가늘고 긴 형상을 포함하고 중족 구역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가늘고 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 각각에 위치된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선택된 형상 및 배향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선택된 형상 및 배향은 상이한 구역에 상이한 신장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3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4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신발류 물품의 갑피에 통합된 편직 구성요소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편직 구성요소를 통합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모노필라멘트 및 멀티필라멘트 부분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모노필라멘트 및 멀티필라멘트 영역을 갖는 신발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8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모노필라멘트 및 멀티필라멘트 영역을 갖는 신발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도 9의 신발류 물품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의 변형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1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의 다른 변형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2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의 다른 변형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의 다른 변형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4는 모노필라멘트 및 멀티필라멘트 영역을 갖는 신발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4의 신발류 물품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신발류 물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갑피에 통합된 편직 구성요소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부분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편직 구성요소의 본체 부분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구성요소들의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3a는 도 23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4a는 도 24의 전족 구역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25a는 도 25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인장력을 받는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부분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7a는 도 27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8a는 도 28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편직 구성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다.
도 29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뒤꿈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9a는 도 29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9b는 도 29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편직 구성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다.
도 30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뒤꿈치 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30a는 도 30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뒤꿈치 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31a는 도 31의 편직 구성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은 편직 구성요소 및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에 관한 다양한 개념들을 개시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다양한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이 일례로서 하기에 개시된다. 신발 이외에, 편직 구성요소는 다른 유형의 의류(예컨대, 셔츠, 바지, 양말, 재킷, 속옷), 운동 장비(예컨대, 골프 가방, 야구 및 풋볼 장갑, 축구공 제한 구조), 컨테이너(예컨대, 배낭, 가방), 및 가구(예컨대, 의자, 소파, 카시트)용 덮개에 이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또한 침대 커버(예컨대, 시트, 담요), 탁자 커버, 수건, 깃발, 텐트, 돛, 및 낙하산에 이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자동차 및 항공 우주 분야의 구조물, 필터 재료, 의료용 텍스타일(예컨대, 붕대, 면봉, 임플란트), 제방 강화용 지오텍스타일, 농작물 보호용 농업 텍스타일, 및 열과 방사선에 대해 보호하거나 절연시키는 산업용 의류를 비롯하여 산업용 기술 텍스타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에 개시된 편직 구성요소 및 기타 개념은 개인 및 산업 목적을 위해 다양한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일관성과 편의성을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 설명 전반에 걸쳐서 방향 형용사가 채용된다. 이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물품의 길이 또는 장축을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몇몇의 경우에, 종방향은 물품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뒤꿈치 구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물품의 폭 또는 단축을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바꿔 말해서, 측방향은 물품의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수직"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및 종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물품이 지면 상에 평탄하게 놓여 있는 경우에, 수직 방향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방향 형용사 각각이 갑피, 편직 구성요소 및 그 부분, 및/또는 밑창 구조체를 비롯하여 물품의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신발류 구성
도 1 및 도 15는 간단하게 물품(100)으로도 지칭되는 신발류 물품(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물품(100)의 변형예들이 또한 도 10[물품(1004)으로 식별됨], 도 11[물품(1108)으로 식별됨], 도 12[물품(1212)으로 식별됨] 및 도 13[물품(1306)으로 식별됨]에 예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밑창 구조체(110)와 갑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a에 도시된 물품(100)은 달리기에 적합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도 15 내지 도 31에 도시된 물품(100)은 농구에 적합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물품(100)과 관련된 개념들은 또한 예컨대 야구화, 축구화, 사이클화, 풋볼화, 테니스화, 트레이닝화, 워킹화, 및 하이킹 부츠를 비롯하여 다양한 다른 운동화류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개념들은 또한 정장화, 간편화, 샌들, 및 작업용 부츠를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비운동화류로 고려되는 신발류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100)에 관해 개시된 개념들은 광범위한 신발류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참조를 위해, 물품(100)은 도 1 내지 3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대략적인 구역들, 즉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족 구역(10)은 일반적으로 발가락 및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하는 물품(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 구역(12)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형 영역에 대응하는 물품(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뒤꿈치 구역(14)은 일반적으로 종골을 비롯한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물품(100)은 또한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물품(100)의 대향 측부에 대응하는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깥쪽 측부(16)는 발의 외측 영역(즉, 다른 발의 반대쪽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하고, 안쪽 측부(16)는 발의 내측 영역(즉, 다른 발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한다.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과, 바깥쪽 측부(16), 안쪽 측부(18)는 물품(100)의 정확한 영역들을 구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과,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6)는 아래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물품(100)의 대략적인 영역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물품(100) 외에,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과,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또한 밑창 구조체(110), 갑피(120), 및 이들의 개별적인 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22에 대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10)는 갑피(120)에 고정되고 물품(100)을 착용했을 때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10)는 중창, 바깥창, 스트로벨(strobel) 및/또는 삭라이너(sockliner) 또는 안창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10)는 갑피(12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바깥창(112) 및/또는 밑창 구조체(110)를 갑피(12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깥창(112)은 정지 마찰력(traction)을 부여하도록 텍스쳐 가공된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10)에 대한 구성이 갑피(1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밑창 구조체의 예를 제공하지만, 밑창 구조체(110)에 대해 광범위한 다른 구성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밑창 구조체(110) 또는 갑피(120)와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밑창 구조체의 피쳐가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10)는 중창, 스트로벨 및/또는 삭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갑피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몇몇의 경우에,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즉, 충격 흡수를 제공하는) 압축성 폴리머 발포체 요소(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EVA 등의 얇은 재료 시트를 대체로 포함하는 스트로벨은 중창에 부착될 수 있고, 이어서, 갑피는 흔히 덧창의 주변 둘레에서 스트로벨 재료에 스티칭된다. 다른 경우에, 중창은, 플레이트, 모더레이터(moderator), 유체 충전식 챔버, 라스팅(lasting) 요소, 또는 추가로 힘을 감쇠시키거나, 안정성을 높이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움직임 제어 부재를 통합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중창은 주로, 갑피 내에 배치되고 물품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의 하부면 아래에서 연장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유체 충전식 챔버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20)는 밑창 구조체(110)에 대해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해 물품(100)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공동은 발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발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발의 안쪽 측부를 따라, 발 위로, 뒤꿈치 둘레에서, 그리고 발 아래에서 연장된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20)는 외부면(121) 및 대향하는 내부면(122)을 포함한다. 외부면(121)이 물품(100)의 착용자 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면, 내부면(122)은 내측을 향하고 발을 수용하기 위한 물품(100) 내의 공동의 대부분 또는 비교적 큰 부분을 형성한다. 더욱이, 내부면(122)은 발 또는 발을 덮는 양말에 대해 놓일 수 있다. 공동에 대한 엑세스는 적어도 뒤꿈치 구역(14)에 배치되는 발목 개구(140)에 의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은 발목 개구(140)를 통해 갑피(12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발은 발목 개구(140)를 통해 갑피(120)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영역(150)이 발의 발등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서 뒤꿈치 구역(14)의 발목 개구(140)로부터 전족 구역(10)에 인접한 영역으로 연장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54)이 갑피(120)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리(158)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고리(158)는 발의 비율에 맞추도록 착용자가 갑피(120)의 치수를 변경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발끈(154)은 착용자가 발 둘레에서 갑피(120)를 조일 수 있도록 하고, 신발끈(154)은 공동으로부터[즉, 발목 개구(140)를 통해]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착용자가 갑피(120)를 느슨하게 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54)은 추가적으로 고리(158)를 통과할 수 있는데, 이 고리(158)는 또한 착용자가 갑피(120)를 발 둘레에서 조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152)가 발등 영역(150)을 통해 전족 구역(10)에 있는 갑피(120)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구역(14)에 있는 발목 개구(140)에 인접한 갑피(120)의 상부로 연장된다. 설포(152)은 물품(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발끈(154)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고리(158) 및/또는 신발끈 구멍(156)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 물품(100)은 다른 신발끈 수용 요소, 예컨대 D-링, 후크 또는 다양한 고리형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갑피(120)는 추가 요소들, 예컨대 (a)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뒤꿈치 구역(14)에서의 힐 카운터, (b)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전족 구역(10)에서의 발가락 가드, 및 (c)로고, 상표, 및 주의 사항과 재료 정보가 있는 플래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갑피는, 예컨대 스티칭 또는 접합을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재료 요소들(예컨대, 텍스타일, 폴리머 발포체, 폴리머 시트, 천연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20)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편직 구성요소(130)로 형성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예컨대 횡편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예컨대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 각각을 통해, 바깥쪽 측부(16) 및 안쪽 측부(18) 모두를 따라, 전족 구역(10) 위에서, 그리고 뒤꿈치 구역(14) 둘레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외부면(121) 및/또는 내부면(122)을 비롯하여 갑피(1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갑피의 전부를 형성함으로써 갑피(120) 내의 공동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또한 발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편직 구성요소(130)는 밑창 구조체(110)의 상부면(11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로벨 삭(strobel sock) 또는 얇은 밑창형의 재료 피스가 편직 구성요소(130)에 고정되어 밑창 구조체(110)와 부착하도록 발 아래에서 연장되는 갑피(120)의 베이스부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가지 비제한적인 예에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다수의 편직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124)은 편직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갑피(120)의 전족 구역(10)으로부터 중족 구역(12)을 통해 종방향으로 물품(100)을 따라 연장되고 착용자 발의 발등에 대응하는 갑피(120)의 뱀프 부분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체 부분(124)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중족 구역(12)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뒤꿈치 구역(14)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본체 부분(124)은 갑피(120)의 전족 구역(10) 둘레에서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편직 구성요소(130)의 본체 부분(124)은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발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체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 부분(126)은 편직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뒤꿈치 구역(14)에서 수직 방향으로 물품(100)을 따라 밑창 구조체(110)로부터 발목 개구(14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뒤꿈치 부분(126)은 또한 물품(100)의 종방향을 따라 갑피(120)의 중족 구역(12)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뒤꿈치 부분(126)은 갑피(120)의 뒤꿈치 구역(14) 둘레에서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편직 구성요소(130)의 뒤꿈치 부분(126)은 착용자 발의 발목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프(cuff)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함께 대응하는 에지를 따라 결합되어 편직 구성요소(13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 부분(124)의 에지(127)는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를 따라 뒤꿈치 부분(126)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에지(127)와 에지(128)는 발등 영역(150)으로부터 뒤꿈치 구역(14)에서의 물품(100)의 후방을 향해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별개로 형성된 다음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단일의 일원화된 편직 구성요소(130)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 내지 도 31에 도시된 갑피(120)는 착용자의 발을 덮을 뿐만 아니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발목의 일부를 덮는다. 참조를 위해, 갑피(12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대략적인 구역들, 즉 발 구역(20)과 발목 구역(30)으로 분할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발 구역(20)은 전족 구역(10), 중족 구역(12), 및 뒤꿈치 구역(14)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대체로 발에 대응하는 갑피(120)의 부분을 포함한다. 물품(100)의 많은 구성에서, 발 구역(20)은 착용자의 바깥쪽 복사뼈 및 안쪽 복사뼈(즉, 발목의 각 측부 상의 뼈 돌출부) 아래에 있게 되도록 된 갑피(120)의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구역(30)은 주로 뒤꿈치 구역(14)에 배치되고 대체로 발목에 대응하는 갑피(120)의 부분을 포함한다. 발목 구역(30)은 바깥쪽 복사뼈와 안쪽 복사뼈를 덮고 그 위에서 연장하도록 된 갑피(120)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31의 실시예에서, 편직 구성요소(130)의 본체 부분(124)은 갑피(120)의 발 구역(20)과 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관련되고, 뒤꿈치 부분(126)은 발 구역(20)의 적어도 일부 및 발목 구역(30)의 실질적인 대부분과 관련된다. 도 1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뒤꿈치 부분(126)은 밑창 구조체(110)에 인접한 갑피(120)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발목 개구(140) 둘레에서 연장되는 갑피(120)의 상부 에지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뒤꿈치 부분(126)은 발목 개구(140)를 통해 갑피(120) 내에 배치될 때에 착용자의 발목을 지지하고 실질적으로 둘러쌈으로써 물품(100)의 착용자의 발목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발등 영역(150)의 대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전방 주변 에지를 갖는 C 형상을 대체로 갖는 커프를 형성할 수 있다. 뒤꿈치 부분(126)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152)를 수용하도록 발등 영역(150)에서 물품(100)을 전방을 따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물품(100)의 후방에 있는 뒤꿈치 구역(14) 둘레에서 연속적인 방식으로 바깥쪽 측부(16)로부터 안쪽 측부(18)로 발목 개구(140) 둘레에서 연장되는 커프를 형성하는 상부 에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포(152)는 뒤꿈치 부분(126)의 대향하는 전방 주변 에지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갑피(120)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별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20)의 일부는 멀티필라멘트 얀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압출되는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경량이고,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즉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인장 파손 또는 파괴 전에 고도의 응력을 견딜 수 있어, 큰 내신축성 또는 고도의 내신축성을 갑피(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갑피(120)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이라는 용어는 거의 전체적으로 편직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갑피(120)의 부분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된다.
갑피(120)의 다양한 부분은 또한 모노필라멘트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그룹이라는 용어는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의 그룹의 대략적인 그룹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모노필라멘트 그룹은 다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은 갑피(120)의 안쪽 측부(18) 상에 배치되고 바깥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4)은 갑피(120)의 바깥쪽 측부(16) 상에 배치된다.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과 바깥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4)은 대체로 중족 구역(1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모노필라멘트 그룹(162)은 갑피의 전족 구역(10)에서 발등 영역(150)의 전방에 배치된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뒤꿈치 구역(14)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그룹(16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그룹은 특정 배향으로 배치되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깥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4)을 참조하면,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일부는 유사한 대각선 배향으로 배향된다. 마찬가지로, 뒤꿈치 모노필라멘트 그룹(166)은 대략 수평 방식으로 배향되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그룹은 유사하게 배치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그룹은 다양한 배향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130)는 니트 텍스타일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코스와 웨일을 획정하는 복수 개의 상호 맞물린 고리를 형성하도록 (예컨대, 편직기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얀으로 형성된다. 갑피(120)의 편직 구성요소(130)는 원피스 요소일 수 있거나, 달리 말해서 갑피(120)는 편직 텍스타일의 단일의 일원화된 구성요소 또는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갑피(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하여 1개 또는 다수의 편직 구성요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편직 구성요소(130)의 각각의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물품(100)의 나머지와 별개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하여 편직 구성요소(130)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부분은 단일 니트 구성으로 각각 형성된다. 심(seam)이 편직 구성요소(130)에 존재할 수 있지만,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의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심리스 구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예컨대,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굼치 부분(126) 및/또는 편직 구성요소(130)]는 편직 프로세스를 통해 원피스 요소로서 형성될 때에 "단일 니트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편직 프로세스는 상당한 추가 제조 단계 또는 프로세스가 필요 없이 편직 구성요소의 다양한 피쳐 및 구조체를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단일 니트 구성은, 구조체 또는 요소가 공통으로 적어도 하나의 코스(course)를 포함하고(즉, 공통의 얀을 공유) 및/또는 각각의 구조체들 또는 요소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코스를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얀(yarn) 또는 다른 니트 재료의 하나 이상의 코스를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요소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 또는 부분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단일 니트 구성의 원피스 요소가 제공된다.
편직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각각의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은 편직 프로세스 후에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예컨대, 본체 부분(124)의 에지(127)와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가 함께 결합됨], 각각의 개별적인 편직 구성요소 부분은 원피스 니트 요소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니트 구성으로 형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130)는 갑피(120)의 외부면(121) 및 대향하는 내부면(122)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체 부분(124)을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또한 갑피(120)의 외부면(121) 및 대향하는 내부면(122)의 일부를 유사하게 형성하는 뒤꿈치 부분(12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함께 결합되어 갑피(120)의 외부면(121) 및 대향하는 내부면(122)의 실질적인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은 다른 요소들(예컨대, 신발끈, 로고, 상표, 주의 사항과 재료 정보가 있는 플래카드, 구조적 요소)이 편직 프로세스 후에 추가될 때에 단일 니트 구성으로 형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구성요소 부분들 중 하나 이상과 함께 및/또는 그 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인레이된 스트랜드 또는 인장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의 다양한 구성의 예가 Dua의 미국 특허 제6,931,762호; Dua 등의 미국 특허 제7,347,011호; Du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110048호; 및 Dua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154256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개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전체적으로 통합된다.
편직 구성요소 구성 및 그 제조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을 형성하는 편직 프로세스는 손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전체적인 편직 구성요소(130),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다수의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의 상업적 제조는 일반적으로 편직기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도 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130)는, 조립될 때에 3차원 구조의 형상을 취할 수 있는 대체로 2차원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도 5의 관점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바깥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4)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편직 구성요소(130)가 대체로 2차원 구조일 때에 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20)가 3차원 구조로 형성될 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편직은 얀 또는 복수의 얀들의 상호 맞물린 고리들의 코스(course) 및 웨일(wale)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산 시에, 편직기는 하나 이상의 얀을 편직 구성요소(130) 또는 편직 구성요소 부분, 예컨대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의 형태로 기계적으로 조작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즉, 편직 구성요소(130)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의 형상 및 피쳐를 갖는 원피스 텍스타일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얀을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편직기를 이용하여 단일 니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각각의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은 다양한 상이한 편직 프로세스를 통해 그리고 전술한 다양한 피쳐를 갖도록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본체 부분(124) 및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 부분들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다양한 상이한 편직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편(weft knitting)은 복수 개의 코스와 웨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코스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 각각을 가로질러 대략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니트 재료의 상호 맞물린 고리들의 행이다. 즉, 코스는 본체 부분(124)의 폭을 따라 그리고 뒤꿈치 부분(126)의 폭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웨일은 코스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고리들의 열이다.
일 실시예에서, 위편 프로세스는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 부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편(circular knitting)(즉, 환편직기의 사용)은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 부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또는 전통적인 편직 프로세스가 편직 구성요소(130) 및/또는 본체 부분(124)과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 부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사용될 수 있는 편직 프로세스의 특정한 예로는, 제한하지 않지만, 예컨대 경편(warp knitting) 또는 횡편과 환편을 포함하는 위편(warp knitting), 광폭 튜브 환편(wide tube circular knitting), 협폭 튜브 환편(narrow tube circular knitting), 협폭 튜브 환편 자카드(narrow tube circular knit jacquard), 단일 니트 환편 자카드(single knit circular knit jacquard), 이중 니트 환편 자카드(double knit circular knit jacquard), 및 위편 자카드(warp knit jacquard)를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개별적인 구성요소 부분들 각각에 공통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단일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편직 구성요소(130)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이한 얀이 편직 구성요소(130)의 상이한 구성요소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 뿐만 아니라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의 상이한 국소 영역들이 상이한 얀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들(124, 126) 간에, 또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단일 부분의 국소 영역들 간에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130)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어,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모노필라멘트 영역 내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단일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 및 가용성의 열가소성 얀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용성의 열가소성 얀과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도금 배향으로 있을 수 있다. 열가소성 얀은 모노필라멘트 영역 또는 모노필라멘트의 부분들을 안정화시키거나 강화시킬 수 있다. 즉, 편직 구성요소(130)의 한 부분은 제1 세트의 특성을 부여하는 제1 유형의 얀 또는 얀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고,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른 부분은 제2 세트의 특성을 부여하는 제2 유형의 얀 또는 얀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상이한 부분들에 대해 특정한 얀을 선택함으로써 편직 구성요소(130) 전체에 걸쳐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얀의 선택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특성의 예는 칼라, 패턴, 광택, 신장, 회복력, 로프트(loft), 핸드(hand), 흡습성, 생분해성, 내마멸성, 내구성, 및 열 전도성을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얀이 도금되거나 동일한 영역에서 상이한 코스를 형성할 때에, 2개 이상의 얀이 조합하여 사용되어 양쪽 얀으로부터의 특성의 이점을 취할 수 있다.
특정한 유형의 얀이 편직 구성요소(126) 또는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에 부여할 특성은 얀 내의 다양한 필라멘트 및 섬유를 형성하는 재료들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예컨대, 면은 부드러운 손(soft hand), 자연스러운 심미감, 및 생분해성을 제공한다. 엘라스탄 및 스트레치 폴리에스테르는 사실상 신장 및 회복력을 제공하고, 스트레치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재활용성을 제공한다. 레이온은 높은 광택 및 흡습성을 제공한다. 양모도 또한 절연성 및 생분해성 외에 높은 흡습성을 제공한다. 나일론은 내구성, 내마멸성이고,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는다.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높은 내구성을 또한 제공하는 소수성 재료이다. 열가소성 재료를 통합하는 얀은 또한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 또는 영역이 열의 인가를 통해 용융되거나 안정화되게 할 수 있다.
얀을 형성하는 재료(들) 외에,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 또는 영역에 선택되는 얀의 다른 양태가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얀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일 수 있다. 얀은 또한 상이한 재료들로 각각 형성되는 별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얀은 외장부-코어 구성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2개의 절반부를 갖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2 성분 얀과 같이, 2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각각 형성되는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꼬임과 크림핑(crimping)의 상이한 정도 뿐만 아니라 상이한 데니어(denier)가 편직 구성요소(130) 및 그 개별적인 부분들의 특성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얀을 형성하는 재료 및 얀의 다른 양태 모두가 편직 구성요소(130)에 및/또는 본체 부분(124) 및/또는 뒤꿈치 부분(126)을 비롯한 편직 구성요소의 특정 부분에 다양한 특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들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고,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른 부분들은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필라멘트 얀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의 특성과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멀티필라멘트 얀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데, 멀티필라멘트 얀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보다 높은 내마멸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편직 구성요소(130)의 특정 영역이 상이한 스트랜드 또는 얀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편직 구성요소(130)는 여전히 단일 니트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영역이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의 영역에 인접하게 편직됨으로써, 단일 니트 구성의 갑피(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을 지칭한다. 일례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a, 도 14, 도 14a 및 도 23 내지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하고 및/또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에 의해 경계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편직 구성요소(130)에 형성되는 터널 또는 채널에 인접할 수 있다. 터널 또는 채널은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도 7 및 도 27에 대략적으로 도시되고 도 8, 도 9, 도 14 및 도 17, 도 28, 및 도 30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웰트(welt)"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의 웰트(170)는, 웰트(700)로 식별되는 도 7a에서 확대도로 도시된다. 웰트(700)는, 도 9a에 도시된 도 9의 웰트(700)를 편직하기 위한 루프 다이어그램과 함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도 8a의 단면도에 더욱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도 27에서 물품(100)과 함께 도시된 웰트(170)는, 웰트(1400)로서 식별되는 도 27a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27의 웰트(1400)를 편직하기 위한 루프 다이어그램은 도 28a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4에 도시된 물품(1306)으로 식별되는 물품(100)의 변형예에서, 웰트(170)는 도 14a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고 웰트(1301, 1303)로 식별된다.
일반적으로, 웰트(170)는 내부층 및 외부층과 같이 2개 이상의 동연적(co-extensive)이고 중첩하는 니트층들로 구성되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영역일 수 있다. 니트층은 편직 재료, 예컨대 실, 얀, 또는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니트층은 편직 구성요소(130)에서 웰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단일 니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웰트(170)를 형성하는 니트층들의 측부 또는 에지가 다른 층에 고정될 수 있지만, 중앙 영역은 대체로 고정되지 않아 각 니트층을 형성하는 편직 재료의 2개의 층들 사이에 중공 또는 터널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웰트(170)의 비고정 중앙 영역은 다른 요소(예컨대, 인장 요소)가 편직 재료의 2개의 층들 사이에 배치되고 웰트(170)의 2개의 니트층들 사이의 중공 또는 터널을 통해 연장되거나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웰트(170)를 형성하는 니트층들 각각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외부면(121) 및 내부면(122) 중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웰트(170)는 도 27a에 대체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122)과 관련된 내부층과, 내부면(12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외부면(121)과 관련된 외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웰트(170)는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웰트(170)는 웰트에 의해 형성된 터널을 통해 연장되는 인레이된 스트랜드 또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니트 구조, 모의 메시 니트 구조, 및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니트 구조를 편직하기 위한 루핑 다이어그램을 수반하는 다른 적합한 니트 구조는 Huff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233882호에 설명되어 있고,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웰트(170)는 물품(100)의 갑피(120) 전반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일례에서, 웰트(17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품(100)의 일 실시예에서, 웰트(170)는 내부층 또는 내부 부분(802) 및 외부층 또는 외부 부분(8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물품(100)의 다른 실시예에서, 웰트(170)는 내부층 또는 내부 부분(172) 및 외부층 또는 외부 부분(17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부분(172, 802)은 사용자의 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외부 부분(173, 800)은 사용자의 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외부 부분(173, 800)은 외부 부분(173, 800)과 내부 부분(172, 802) 사이에 비고정 개구 또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내부 부분(172, 802)의 에지를 따라 내부 부분(172, 8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내부면(12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사용자의 발을 향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170)의 내부 부분(172)[또는 도 8a의 내부 부분(802)]과 정렬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내부 부분(172, 802)이 형성되는 평면과 유사하게 정렬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170)의 외부 부분(173)[또는 도 8a의 외부 부분(800)]으로부터 후방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접촉되기 전에 내부 부분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는 외부 부분(173, 800)이 접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마멸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영역의 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마멸을 받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비교적 좁고, 예컨대 대략 1개 내지 4개의 코스의 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더 넓을 수 있다. 대안으로, 웰트(17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대략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웰트(17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보다 더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웰트(170)와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대략 동일한 폭일 때에, 웰트(170)에 의해 둘러싸이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영역의 대략 50% 이상은 순수한 모노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편직 구성요소(130)의 표면적의 대략 절반 또는 절반 이상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물품(100)이 편직 구성요소(130)의 큰 영역을 통해 투시성 또는 투명한 시야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웰트(170)에 의해 둘러싸인 편직 구성요소(130)의 영역의 50% 미만이 순수한 모노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큰 영역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비교적 좁고 웰트(170)의 외부 부분(173, 800)으로부터 후방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마멸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웰트(170)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간격은 변경될 수 있고,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가변적인 폭으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략 1개 내지 4개의 코스의 폭일 수 있고, 다른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4개 내지 8개의 코스의 폭이거나 심지어는 더 넓을 수 있다. 유사하게, 웰트를 포함하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한 몇몇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대략 1개 내지 4개의 코스의 폭일 수 있고, 다른 웰트는 대략 4개 내지 8개의 코스의 폭이거나 심지어는 더 넓을 수 있다. 게다가, 웰트를 포함하는 개별적인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폭은 편직 구성요소(130) 전반에 걸쳐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 도 10 내지 도 13 및 도 15에서 물품(100)의 여러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70)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상이한 폭들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상이한 폭들의 조합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가변적인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하게 및/또는 모노필라멘트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웰트(170)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에 있어서, 웰트(170)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크기와 간격 및 배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웰트의 높이는 추가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의 웰트(700)의 일례의 높이(812) 및 (도 27a에서) 웰트(1400)의 다른 예의 높이(1412)는 각각의 웰트(1400, 700)의 외부 부분(173, 800)과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외부면(121)(도 27a 참조)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높이(812)와 높이(1412)는 각각의 웰트의 외부 부분이 웰트의 내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리이다. 웰트(170)는 외부 부분(173, 800)에 추가의 코스를 그리고 내부 부분(172, 802)에 더 적은 코스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부 부분(173, 800)과 각각의 내부 부분(172, 802)이 에지에서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외부 부분(173, 800)은 팽출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팽출부 또는 돌출부는 도 8a의 내부 부분(172, 802)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703, 705)과 도 27a의 모노필라멘트 영역(1408, 1410)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 큰 돌출부 또는 팽출부는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마멸로부터 더 보호할 수 있다. 더 큰 돌출부 또는 팽출부는 외부 부분(173, 800)에 더 많은 코스를 그리고 내부 부분(172, 802)에 더 적은 코스를 포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좁은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함께, 웰트(170)의 높이가 더 높을 경우, 물체와 모노필라멘트 영역 사이의 충돌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충격이 웰트에 의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웰트(170)는 인레이된 스트랜드 또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장 요소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5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고리(158)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신발끈(154)과 함께, 고리(158)는 물품(100)의 맞음새와 느낌을 조정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는 웰트(17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웰트는 다시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인장 요소는 신발끈(154)으로부터의 장력이 갑피(120)의 일부분 위로 연장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리(158)로서 사용될 때에 더 큰 지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광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물품(100)의 내부 공극이 편직 구성요소(130)를 통해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색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특정 색조로 착색될 수 있다.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흑색 또는 회색 또는 임의의 다른 색깔로 착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중실형의 불투명한 색깔일 수 있어, 광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외부면(121)으로부터 내부면(122)으로 통과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투명도는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의 투명도 또는 투명도 결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례에서, 하나 이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투명도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의 직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일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약 0.08 mm 내지 약 0.125 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단일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보다 작거나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큰 직경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광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통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스티치 밀도가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밀도의 스티치 구성은 광이 물품(100)의 외부면(121)을 통해 편직 구성요소(13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동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그룹 내의 하나 이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개 수직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밑창 구조체(110)로부터 발등 영역(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각선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직접 수직 방식으로 연장하지 않도록 배향될 수 있다. 수직 및/또는 대각선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략적으로 예시적인 도 6,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뒤꿈치 모노필라멘트 그룹(166)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도 25 및 도 26에서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전술한 예의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서로 평행할 수 있거나, 수직으로 배향되고 및/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15 내지 도 17과 도 19를 참조하면, 바깥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4) 및/또는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 직사각형 형상 및/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3a의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은 가늘고 길며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의 형상은 뒤꿈치 구역(14)에 더 가깝게 위치한 단부 상의 웰트(184)에 의해, 그리고 전족 구역(20)에 가깝게 위치한 단부 상의 웰트(185)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의 형상은 발등 경계부(186)에 의해 추가로 한정될 수 있다. 갑피 경계부(186)는 발등 영역(150)을 둘러싸는 갑피(120)의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등 경계부(186)는 신발끈 구멍(156) 및/또는 고리(158)를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의 형상은 밑창 경계부(187)에 의해 추가로 한정될 수 있다. 밑창 경계부(187)는 밑창 구조체(11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밑창 경계부(187)의 일부는 미적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밑창 구조체(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밑창 경계부(187)는 사용자의 발 아래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110)의 중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의 형상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84), 웰트(185), 발등 경계부(186) 및 밑창 경계부(187)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웰트(184), 웰트(185), 발등 경계부(186) 및 밑창 경계부(187)의 형상 및 배향이 변화함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의 형상도 변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81)은 웰트(184), 웰트(185), 발등 경계부(186) 및 밑창 경계부(187)에 의해 둘러싸여 있거나 경계 설정된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른 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은 가늘고 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발등 영역(150) 근처에 각형 단부 또는 종결점[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각형 단부(704)와 같이]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의 형상은 적어도 일측에서 웰트(70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의 형상은 발등 경계부(186)에 의해 그리고 밑창 경계부(187)에 의해 추가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702), 웰트(700), 발등 경계부(186) 및 밑창 경계부(187)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웰트(702), 웰트(700), 발등 경계부(186) 및 밑창 경계부(187)의 형상 및 배향이 변화함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의 형상도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 내지 도 13에 대체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 및/또는 도 15 내지 도 18 및 도 23에 대체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비롯하여 많은 다른 형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다른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대체로 도 19 및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원형, 원형, 상어 이빨형 및/또는 불규칙 형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둘러싸는 웰트는 웰트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700)는 웰트를 통해 연장하는 인장 요소(804 및/또는 806)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400)는 웰트를 통해 연장하는 인장 요소(1402)를 포함한다. 일부 웰트는 웰트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갖지만, 다른 멀티필라멘트 영역 또는 웰트는, 예컨대 도 7의 웰트(702) 및/또는 도 23에 도시된 웰트(188)와 같이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인장 요소는 특정 웰트를 여러 번 빠져나가고 진입할 수 있다. 즉, 인장 요소는 웰트의 다양한 부분을 따라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상어 이빨형의 형상,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일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은 웰트(185) 뿐만 아니라 웰트(188)에 의해 경계 설정된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은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의 에지에 위치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은 그룹 내의 다른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을 방해하거나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의 경계는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189)의 일부 경계를 공유할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은 밑창 경계부(187) 근처에 위치된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89)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의 경계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89)과 경계(190)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모노필라멘트 영역(189)의 길이는 밑창 경계부(187)와는 대조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의 경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경계(190)는 웰트(170)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경계(190)는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을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경계(19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89) 및/또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의 평면을 지나서 돌출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계(190)는 웰트(170)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경계(19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89)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82)이 구성되는 동일한 근사 평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물품(100)의 전족 구역(10)에 위치되는 것을 비롯하여 편직 구성요소(130) 상에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경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멀티필라멘트 부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들 사이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둘러싸는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내부층 또는 내부 부분과 외부층 또는 외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부분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지나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동일한 평면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구역(10)의 전족 모노필라멘트 그룹(162)은 다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200) 각각은 일단부에서 팁으로 좁아지는 넓은 베이스를 포함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202)을 참조하면, 외관이 삼각형일 수 있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은 유사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영역(202)의 베이스(204)는 측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204)는 뒤꿈치 구역(14)과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202)의 팁(204)은 베이스(204)에 대향하게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202)은 대체로 삼각형이고 상어 이빨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의 다른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은 강도와 안정성이 전족 구역(10)에 부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중족 구역(12)의 안쪽 모노필라멘트 그룹(160; 도 23 참조)과 비교하여, 전족 구역(10)의 전족 모노필라멘트 그룹(162)은 보다 작은 영역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얀은 물품(100)을 지지하는 데에 일조하여 그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또한 내마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의 경우에 전족 구역(10)은 편직 구성요소(130)에 대한 마멸 및 증가된 힘의 가능성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전족 구역(10)은 더 큰 백분율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측방향으로 이동 또는 "커팅"할 수 있고, 이는 발이 물품의 전족 구역(10)에 대해 압박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물품(100)의 다른 구역과 비교하여 전족 구역(10)에서 더 큰 장애물 또는 물체와 조우할 수 있다. 더욱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지점(들), 배향, 설계, 및/또는 형상은 물품(100) 전반에 걸쳐 힘의 분배에 일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4a를 참조하면,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의 삼각형 또는 상어 이빨형 디자인은 힘이 전족 구역(10)을 통해 많은 상이한 각도로 분배되게 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의 오프셋 특성은 멀티필라멘트 얀이 모노필라멘트 영역(200)들 사이에서 배향되게 한다. 멀티필라멘트 얀의 배향은 힘이 다수의 상이한 각도를 따라 멀티필라멘트 얀을 통해 전달되게 한다. 멀티필라멘트 얀 영역의 특정 디자인은 임의의 힘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상이한 채널을 통해 분할되거나 분배되게 한다. 예컨대, 측방향 힘이 간접적인 방식으로 멀티필라멘트 얀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즉, 순수한 측방향 힘이 측방향 및 종방향 성분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족 구역(10)에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어 이빨형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은 상이하게 형성된 모노필라멘트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상어 이빨형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 또는 직사각형이나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200)의 상어 이빨형 설계는 전족 구역(10)에 강도를 제공하면서 또한 물품(100)의 디자인에 추가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물품(100)의 뒤꿈치 부분(126)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뒤꿈치 모노필라멘트 그룹(166)은 뒤꿈치 부분(126)의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사이에 위치되는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은 척추부(302)를 향해 연장된다. 척추부(302)는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사이의 중앙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척추부(302)가 바깥쪽 측부(16) 또는 안쪽 측부(18)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더 가깝도록 오프셋될 수 있다. 척추부(302)는 뒤꿈치 부분(126)의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사이의 장벽 또는 분리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은 척추부(302)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은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은 뒤굼치 부분(126) 내의 상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은 칼라(30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 및 가늘고 긴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의 형상, 배향 및 레이아웃은 물품(100)의 신장 방지 또는 제한에 일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6에 인장력을 받는 뒤꿈치 부분(126)이 도시되어 있다. 뒤꿈치 부분(126)이 신장될 때에, 척추부(302)는 힘의 상당 부분을 흡수할 수 있다. 즉, 힘은 척추부(302)를 따라 나아가도록 지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겪는 힘의 양이 최소화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은 척추부(302)를 따라 뿐만 아니라 타원형 모노필라멘트 영역(304)을 포위하거나 둘러싸는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힘이 이동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 또는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겪는 응력 및 다른 힘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 디자인은 내구성이 높고, 세련되며, 내신축성인 뒤꿈치 부분(126)을 제공하면서, 뒤꿈치 부분(126)의 넓은 영역이 모노필라멘트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은 수평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300)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거나,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300)들 사이에 위치되고/위치되거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둘러싸는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170; 도 27 참조)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내부층 또는 내부 부분과 외부층 또는 외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의 내부 부분과 외부 부분은 상이한 평면에(내부 부분은 사용자의 발에 더 가까운 평면에 그리고 외부 부분은 사용자 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한 평면에) 놓일 수 있고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의 내부 부분과 외부 부분 사이에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의 내부 부분과 외부 부분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및/또는 접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거의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모노필라멘트 영역(300)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304)과 유사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즉,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모노필라멘트 영역(300)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외부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외부 부분의 부재는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된 인접한 영역 사이의 동일 평면에서 균일하고 연속적인 표면을 초래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인장 요소(804) 및 인장 요소(806)가 도 8a의 각각의 웰트(820, 822)를 통해 연장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또는 인장 요소(1402)가 도 27a에 도시된 웰트(1400)를 통해 연장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멀티필라멘트 영역(308)(들)을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멀티필라멘트 영역(308)은 그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가 없이 중공형이거나 채워져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8 및 도 27을 참조하면, 웰트(700, 170)는 각각 도 8a 및 도 27a의 웰트(700) 및 웰트(1400)로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700, 1400)는 중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연적인 2개의 편직 재료층에 의해 형성되는 대체로 중공 구조이다. 웰트(700, 1400)를 형성하는 하나의 편직 재료층의 측부 또는 에지가 다른 층에 고정될 수 있지만, 중앙 영역은 대체로 고정되지 않아 다른 요소가 2개의 편직 재료층 사이에 위치되고 웰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700)는 2개의 인접한 웰트(820, 8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첩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연적인 층들을 갖는 신발류 갑피용 편직 구성요소의 다른 예는 Du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110048호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는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장 요소(804, 806)는 웰트(820, 822)를 통해 각각 연장되고, 인장 요소(1402)는 웰트(1400)를 통해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는 하나의 웰트와 다른 웰트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웰트(700)를 참조하면, 인장 요소(804)는 웰트(820)를 통과하고, 인장 요소(806)는 웰트(822)를 통과한다. 인장 요소(들)(804 및 806)는 단일의 연속적인 피스일 수 있지만, 인장 요소의 각 섹션은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개별 섹션 또는 부분[각각, 섹션(804) 및 섹션(806)]으로 표시되어 있다. 인장 요소 섹션(804)과 인장 요소 섹션(806)은 고리(158)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장 요소 섹션(804)은 웰트(820)를 통해 그리고 웰트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고리(158)를 형성한 다음, 다시 웰트(822)를 통해 아래로 연장된다. 고리(158)는 노출되며, 인장 요소 섹션(804, 806)의 나머지는 웰트(7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될 수 있으며, 웰트(700)는 대체로 외부 부분(800), 외부 부분(801), 및 내부 부분(802)에 의해 한정된다. 개별적인 웰트(820)는 외부 부분(801), 중간 부분(830), 및 내부 부분(802)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개별적인 웰트(822)는 외부 부분(800), 중간 부분(830), 및 내부 부분(80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는 단일 웰트의 길이를 2번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인장 요소 섹션(804)은 웰트(700)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갑피(120)의 외부에 고리(15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장 요소 섹션(806)은 다시 웰트(700)를 통해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인장 요소는 하나의 웰트로부터 다른 웰트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1402)는 웰트(1400)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고리를 형성한 다음, 다시 아래로 제2 웰트(1404)의 상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인장 요소(1402)는 제2 웰트(1404)를 통해 연장되고 하단부를 통해 제2 웰트(1404)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402)는 동일한 웰트를 여러 번 빠져나가고 들어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402)는 다른 웰트로 그리고 다른 웰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별개의 스트랜드 또는 인장 요소가 추가의 웰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는 천연 또는 합성 꼬임 섬유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웰트(820)는 멀티필라멘트 스트랜드(810)를 포함하고, 도 27a에 도시된 웰트(1400)는 멀티필라멘트 스트랜드(1406)를 포함한다. 도 8a에 대체로 도시된 일례에서, 웰트(700)는, 예컨대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703, 705)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를 비롯하여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없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웰트(1400)는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1408, 1410) 및 임의의 다른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이들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비롯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없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는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들)와 접촉하는 일 없이 웰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 요소(806)는 모노필라멘트 영역(703)과 접촉하는 일 없이 웰트(82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장 요소(804)는 모노필라멘트 영역(705)과 접촉하는 일 없이 웰트(82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인장 요소(1402)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408, 1410)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일 없이 웰트(140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서, 제한하지 않지만 예시적인 인장 요소(804, 806, 1402)를 포함하는 인장 요소는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달리 격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 부분(806)은 웰트(822)의 내부 부분(802), 중간 부분(830), 및 외부 부분(800)과 접촉하고, 웰트(822)는 정현파 실선으로 나타내는 멀티필라멘트 얀(810)으로 전체적으로 구성되며, 인장 요소 부분(804)은 내부 부분(802), 중간 부분(830), 및 외부 부분(801)과 접촉하고, 웰트(820)는 또한 멀티필라멘트 얀(810)으로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는 정현파 점선으로 나타내고, 웰트(820, 822)의 내부 부분(802), 중간 부분(830), 및/또는 외부 부분(800, 801)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예시적인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1402)는 웰트(1400)의 내부 부분(172) 및 외부 부분(173)과 접촉하고, 웰트(1400)는 정현파 실선으로 나타내는 멀티필라멘트 얀(1406)으로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게다가, 정현파 점선으로 나타내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는 웰트(1400)의 내부 부분(172) 또는 외부 부분(173)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장 요소(804, 806 및/또는 1402)는 각각의 웰트(820, 822, 1400)에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장 요소(804, 806 및/또는 1402)가 조여지거나 이동될 때에, 인장 요소(들)는 멀티필라멘트 얀(810, 1406)과만 접촉함으로써,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겪을 수 있는 마모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28a를 참조하면, 도 9 및 도 28에 도시된 물품(100)의 편직 구성요소(130)의 일부를 묘사하는 예시적인 루핑 다이어그램(900 및 1500)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루핑 다이어그램(900 및 1500)은 모노필라멘트 영역(705)과 웰트(700)(도 8 참조)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1410)과 웰트(1400)(도 27 참조)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기, 예컨대 횡편직기에 의해 수행되는 스티치 및 이동의 순서를 예시한다. 도 9a 및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도트들은 편직기의 니들을 나타내고, 예시된 단계들은 편직기의 전방 베드와 후방 베드 각각의 니들들 사이에서 얀 또는 스트랜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베드에 위치한 니들은 "전방 니들"로서 지칭될 수 있고, 후방 베드에 위치한 니들은 "후방 니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게다가, "패스(pass)"라는 용어는 스트랜드 또는 얀이 니들 베드의 니들들과 상호 작용하고 및/또는 니들들에 의해 조작되도록 니들 베드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편직기의 급송기의 동작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코스(course)"라는 용어는 얀 또는 스트랜드가 다른 얀 또는 스트랜드와 인터루핑된 후에 얀 또는 스트랜드를 지칭할 수 있다. 니들 베드를 가로지르는 패스는 인터루핑된 스트랜드 또는 얀의 코스와 관련될 수 있다. 대안으로, 2회 패스 등의 다중 패스가 니트 재료의 1개의 코스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콤비네이션 급송기를 구비한 편직기를 이용하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전에 참조된 Huff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23388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는 모노필라멘트 영역(705)의 일부를 편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루핑 다이어그램은 스트랜드의 특정 레이아웃이나 배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으로 의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스는 편직기의 전방 베드 및 후방 베드 상의 교호 니들 상에 모노필라멘트 요소(902)를 형성한다. 즉, 제1 패스는 전방 니들 및 후방 니들 각각에 1개씩 2개 코스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요소(904)는 또한 전방 베드 및 후방 베드 상의 교호 니들 상에 형성되고, 유사하게 단일 패스 동안 전방 니들 및 후방 니들 각각에 1개씩 2개 코스의 부분에 형성된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요소(906)와 모노필라멘트 요소(908)는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들의 모노필라멘트 코스 각각은 전방 니들 베드와 후방 니들 베드 상의 각 고리 사이의 니들 위치를 스킵한다. 상기 구성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에서 증가된 강도 및 안정성을 허용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코스는 인접한 코스와 인터루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요소(902)의 전방 니들 베드 상의 고리는 모노필라멘트 요소(904)의 대응 위치에서 개방 니들과 정렬된다. 그러나, 전방 니들 베드 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902)의 고리는 전방 베드 상의 모노필라멘트 요소(906)의 코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요소(908)와 모노필라멘트 요소(904)의 코스들 사이에 유사한 상호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유사한 상호 작용이 후방 니들 상에 위치한 고리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요소(910)는 후방 니들과 전방 니들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810)을 사용하여 편직되어 1회 패스에서 2개의 코스를 생성한다. 모노필라멘트 요소들과 달리,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코스는 전방 베드 또는 후방 베드 상의 니들을 스킵하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전방 니들 베드 부분은 모노필라멘트 요소(908) 및 모노필라멘트 요소(906)의 전방 베드 니들 부분과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한다. 마찬가지로,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후방 니들 베드 부분은 모노필라멘트 요소(908) 및 모노필라멘트 요소(906)의 후방 베드 니들 부분과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후방 니들 부분은 웰트(700)의 내부 부분(802)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전방 니들 부분은 웰트(700)의 외부 부분(801)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요소(912)는 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되어, 단일 패스 중에 단일 코스를 생성하고, 멀티필라멘트 요소(910)의 후방 니들 부분과 상호루핑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중 멀티필라멘트 코스들은 멀티필라멘트 요소(912)의 형성 후에 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니들 베드 상의 급송기에 의한 추가 패스는 웰트(700)의 내부 부분(802)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유사한 추가 코스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요소(912) 후에 후방 니들 베드 상에 4개의 추가 코스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도 8a에 도시된 내부 부분(802)보다 더 큰 내부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 부분(804)은 부분적으로 완성된 웰트(7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 요소 부분(804)은 후방 베드와 전방 베드 사이에 인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요소(914)는 전방 베드와 후방 베드 상의 니들과 상호 작용하는 멀티필라멘트 얀을 이용하여 급송기의 1회 패스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요소(914)와 멀티필라멘트 요소(916)는 모노필라멘트 요소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교호 니들을 스킵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요소와 유사하게, 멀티필라멘트 요소(914) 및 멀티필라멘트 요소(916)는 전방 니들 베드 및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대응 고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요소(914) 및 멀티필라멘트 요소(916)의 후방 니들 베드 부분은 멀티필라멘트 요소(912)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요소(914) 및 멀티필라멘트 요소(916)의 전방 베드 부분은 중간 부분(830)의 일부로 고려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요소(806)의 부분은 전방 베드와 후방 베드 사이에 인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 부분(804)은 멀티필라멘트 요소(912)와 접촉할 수 있고 인장 요소 부분(806)은 멀티필라멘트 요소(916)와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급송기는 전방 베드 상에 멀티필라멘트 코스(918)를 편직하도록 추가 패스를 만들 수 있다. 추가 코스는 멀티필라멘트 코스(918)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하는 전방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918) 후에 전방 베드 상에 형성되는 코스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외부 부분(800)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멀티필라멘트 요소(910) 후에 전방 베드 상에 형성되는 코스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외부 부분(801)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410)의 일부를 편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8a의 루핑 다이어그램은 스트랜드의 특정 레이아웃이나 배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으로 의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의 제1 패스는 편직기의 후방 니들 상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를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는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모든 니들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는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모든 다른 니들과 상호 작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성은, 각각의 니들과 상호 작용하는 플레인 저지 스티치(plain jersey stitch)를 이용하는 모노필라멘트 영역과는 대조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급송기의 제2 패스는 후방 니들 상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를 사용하여 또한 편직되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504)를 형성한다. 모노필라멘트 코스(1504)는 또한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모든 다른 니들과 상호 작용하는 니트 스티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 및 모노필라멘트 코스(1504) 각각은 교호하는 모든 다른 니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와 모노필라멘트 코스(1504)는 서로 인터루핑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모노필라멘트 코스(1502)는 이전에 형성된 다른 코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는 편직기의 후방 니들 상에서 편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후방 니들 상에서 편직함으로써, 형성된 니트 구조체는 물품(100)의 내부면(12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후방 니들 상에 편직된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은 전방 니들 상에 편직된 편직 구성요소의 부분으로부터 대체로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급송기의 제3 패스는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 및 전방 니들 베드 상의 멀티필라멘트 코스(1508) 모두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스가 급송기의 1회 패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는 후방 니들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되며, 멀티필라멘트 코스(1508)는 전방 니들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코스(1508)는 웰트(1400)의 외부 부분(173)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 및 멀티필라멘트 코스(1508)는 동일한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형성되지만, 서로 인터루핑되지 않고, 오히려 코스 각각이 상이한 세트의 니들 상에 형성된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가 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504)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는 웰트(1400)의 내부 부분(172)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 급송기의 제5 패스는, 멀티필라멘트 코스(1506)와 인터루핑하는,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멀티필라멘트 코스(1512)를 형성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중 멀티필라멘트 코스들은 멀티필라멘트 요소(1510)의 형성 후에 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니들 베드 상의 추가 코스는 웰트(1400)의 외부 부분(173)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요소(1510) 후에 전방 니들 베드 상에 4개의 추가 코스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도 27a에 도시된 외부 부분(173)보다 더 큰 외부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1402)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웰트(14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 요소(1402)는 후방 베드와 전방 베드 사이에 인레이될 수 있다. 일례에서, 인장 요소(1402)는 별개의 급송기 내에 인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402)는 멀티필라멘트 코스(1508) 뿐만 아니라 멀티필라멘트 코스(1510)와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코스(1512) 등의 추가 코스가 후방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급송기의 추가 패스는 멀티필라멘트 코스(1512)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하는 코스를 형성하도록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갖는 후방 베드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512) 후에 후방 베드 상에 형성되는 코스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웰트(1400)의 내부 부분(172)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베드 상에 남아 있는 코스[도 9a의 경우에, 멀티필라멘트 코스(918), 그리고 도 28a의 경우에, 멀티필라멘트 코스(1510)]는 바람직한 갯수의 코스가 후방 베드와 전방 베드 상에 형성된 후에 후방 베드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한 동작 후에, 전방 베드 상의 최종 코스는 후방 베드 상에 형성된 코스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할 수 있다. 이 동작은 웰트(700) 및 웰트(1400) 등의 웰트의 형성을 완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웰트(700)는 인장 요소 부분(804) 및 인장 요소 부분(806)의 상당 부분을 둘러싸거나 에워쌀 수 있고, 웰트(1400)는 인장 요소(1402)의 상당 부분을 둘러싸거나 에워쌀 수 있다.
이제, 도 29b를 참조하면, 도 29 및 도 29a에 도시된 물품(100)의 뒤꿈치 부분(126)의 일부의 루핑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으로부터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심 경계부(1600)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존재가 제한될 수 있다. 심 경계부(1600)는 조립될 때에 물품(100)의 본체 부분(12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뒤꿈치 부분(126)의 영역일 수 있다. 심 경계부(1600)는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에 인접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심 경계부(1600)는 뒤꿈치 부분(126)이 본체 부분(124)에 조립될 때에 에지(127)에 인접할 수 있다(도 15 및 도 19 참조).
도 29a의 확대된 영역(1604)을 참조하면,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이 심 경계부(160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의 일부는 심 경계선(1606)의 좌측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심 경계선(1606)은 영역의 정확한 구분이 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심 경계선(1606)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과 심 경계부(1600) 사이의 대략적인 경계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확대 영역(16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은 심 경계부(1600)로 연장되지 않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심 경계부(1600)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29a에는 보이지 않지만,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610, 1612, 1614, 1616)의 일부 고리가 심 경계부(1600)의 일부에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 부분(124)의 에지(127)는 또한 제한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뒤꿈치 부분(126)과 본체 부분(124) 사이의 심 영역(도 15 및 도 19 참조)은 대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뒤꿈치 부분(126) 및 본체 부분(124)이 함께 봉합되거나 결합될 때에,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봉합 또는 결합 부분에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 상에 가해지는 응력 또는 힘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9b의 루핑 다이어그램을 참조하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 코스는 도 28a의 루핑 다이어그램(150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니들 베드 내의 모든 다른 니들을 스킵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의 심 경계선(1606)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610)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패스가 사용될 수 있다. 루핑 다이어그램(160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코스는 단일 패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코스(1610)는 심 경계선(1606)을 지나서 형성된 2개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610)는 더 많은 갯수의 고리를 심 경계부(1600)로 연장시키거나, 보다 적은 갯수의 고리를 심 경계부(1600)로 연장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610)는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로 연장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로 연장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코스(1612)는 심 경계선(1606)을 지나서 단일 고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는 심 경계선(1606)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와 모노필라멘트 코스(1616) 사이에 턱 스티치(tuck stitch)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코스(1610)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612)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할 수 있으며, 모노필라멘트 코스(1612)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할 수 있으며,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616)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 코스는 서로 상호 작용하여 도 29에 그리고 도 29a의 확대도로 도시된 모노필라멘트 영역(1602)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턱 스티치는 급송기의 다음 패스 중에 모노필라멘트 코스(1614)로부터 모노필라멘트 코스(1616)로 천이하는 데에 사용된다.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128) 전체에 걸친 코스가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코스가 도입되어 에지 또는 최종 뒤꿈치 부분(126)을 형성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얀(1406)에 의해 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된 멀티필라멘트 코스(1618)와 멀티필라멘트 코스(1620)가 도입되어 모노필라멘트 코스와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멀티필라멘트 코스는 뒤꿈치 부분(126)의 점착성의 연속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코스를 갖는 멀티필라멘트 얀(1406)의 배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에지로부터 제거하면서 뒤꿈치 부분(126)의 에지가 멀티필라멘트 얀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부분(124)의 에지와 함께 조합, 결합 또는 봉합될 때에, 연결 얀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와 상호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메카니즘을 통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에 가해지는 응력 또는 다른 힘을 피하기 위해 결합 메카니즘으로부터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분리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는 또한 보다 높은 응력 또는 힘을 경험할 수 있는 물품(100)의 다른 영역에서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발등 경계부(186)는 뒤꿈치 에지(128)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등 경계부(186)는 신발끈(154)을 포함할 수 있는 신발끈 구멍(156)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발등 경계부(186)는 특정 영역에서 증가된 응력 또는 힘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응력에 대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의 노출을 피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발등 경계부(186)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한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0a를 참조하면, 도 30의 뒤꿈치 부분(126)에 위치한 웰트(17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웰트(1700)는 모노필라멘트 영역(1706)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708)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웰트(1700)는 주로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되는 반면,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주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웰트(1700)는 인장 요소를 둘러쌀 수 있지만,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700)는 도 27a의 웰트(1400)와는 대조적으로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웰트(1700)가 인장 요소를 포함하지 않지만, 웰트(1700)는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 부분(126)의 외부면(121)을 따라 여전히 팽출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외부면(121)에서의 돌출부 또는 팽출부는 접촉 또는 마멸로부터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웰트(1700)의 외부 부분(1702)은 웰트(1700)의 내부 부분(1704)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부분(1702)과 내부 부분(1704)은 공동 또는 터널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부분(1704)과 외부 부분(1702)의 기하학적 형태는 외부 부분(1702)의 형상을 유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부분(1704)은 외부 부분(1702)보다 짧거나 더 작은 전체 길이로 될 수 있고, 내부 부분(1704) 및 외부 부분(1702)의 에지 또는 단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고정된 관계로 결합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이 기하학적 형태 및 구성으로 인해, 외부 부분(1702)은 내부 부분(1704)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외부 부분(1702)이 가압되거나 외부 부분(1702) 상에 힘이 인가될 때에, 외부 부분(1702)은 힘에 저항하고 힘이 해제될 때에 대체로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력으로부터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추가로 보호하기 위해, 물품(100)의 다른 부분에 걸쳐 위치한 다른 멀티필라멘트 영역 및/또는 웰트가 갑피(120) 전체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도 31a를 참조하면,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도 31의 웰트(17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루핑 다이어그램(18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코스(1802) 및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는 후방 니들 베드의 모든 다른 니들을 이용하는 구성에서 후방 니들 베드 상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1408)를 이용하여 편직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802) 및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 각각은 교호하는 모든 다른 니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코스(1802)는 단일 패스로 형성될 수 있고,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는 다른 패스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는 또한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편직된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코스(1802)와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는 서로 인터루핑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모노필라멘트 코스(1802)는 이전에 형성된 다른 패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다중 멀티필라멘트 코스가 단일 패스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 뿐만 아니라 멀티필라멘트 코스(1808) 양자가 급송기의 동일한 단일 패스 중에 형성된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는 후방 니들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되며, 멀티필라멘트 코스(1808)는 전방 니들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된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는 웰트(1700)의 내부 부분(1704)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도 30a 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 및 멀티필라멘트 코스(1808)는 동일한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형성되지만, 서로 인터루핑되지 않고, 오히려 코스 각각이 상이한 세트의 니들 상에 형성된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가 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필라멘트 코스(1806)는, 모노필라멘트 코스(1804)가 멀티필라멘트 코스와 인터루핑하도록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제거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808)는 웰트(1700)의 외부 부분(1702)의 시작으로 고려될 수 있다(도 30a 참조). 멀티필라멘트 코스(1810)는 전방 니들 베드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되고 멀티필라멘트 코스(1808)와 인터루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중 멀티필라멘트 코스들은 멀티필라멘트 패스(1810)의 형성 후에 전방 니들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니들 베드 상의 추가 코스는 웰트(1700)의 외부 부분(1702)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코스(1810) 후에 전방 니들 베드 상에 4개의 추가 코스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도 30a의 외부 부분(1702)보다 더 큰 외부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멀티필라멘트 코스(1812)는 후방 베드 상의 멀티필라멘트 얀(1406)을 이용하여 편직될 수 있다. 추가 코스는 멀티필라멘트 코스(1812)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하는 후방 베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코스(1812) 후에 후방 베드 상에 형성되는 코스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내부 부분(1704)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후방 베드 상에 남아 있는 코스는 바람직한 갯수의 코스가 후방 베드 및 전방 베드 상에 형성된 후에 전방 베드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한 동작 후에, 후방 베드 상의 최종 코스는 전방 베드 상의 코스와 상호 작용하고 인터루핑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30 내지 도 31a의 웰트(1700) 등의 웰트의 형성을 완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웰트(1700)는 주로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가 마멸 또는 다른 힘을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감소된다.
다른 편직 구성요소 구성
이제, 도 10 내지 14a를 참조하면,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물품의 다양한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적 큰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갖는 물품(1004)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000)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1002)은 도 1에 도시된 물품(10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물품(1004)의 바깥쪽 측부(16)의 표면적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멀티필라멘트 영역(1006)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000)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002)을 둘러싼다. 몇몇 실시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영역(100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10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장 요소(1010)는 웰트(1008)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례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000, 1002)에 인접한 멀티필라멘트 영역(1006)은 멀티필라멘트 영역(1006)이 위치되는 평면과 유사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웰트(1008)와 모노필라멘트 영역(1002) 사이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002)의 유사하게 정렬된 평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물품(1004)의 모노필라멘트 영역(1000, 1002)의 다른 부분은 상이한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멀티필라멘트 영역(1006)의 일부에 의해 경계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삼각형 형상의 다수의 비교적 작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하는 물품(1108)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품(1108)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104)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102)은 웰트(110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웰트(1106)는 이전의 웰트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필라멘트 얀(11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얀(1100)은 물품(1108)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둘러싸거나 접할 수 있거나, 대안으로 물품(1108)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에 의해 경계 설정되거나 멀티필라멘트 영역과 웰트의 조합에 의해 경계 설정될 수 있다. 제한하지 않지만 모노필라멘트 영역(1102, 1104)을 포함하는 물품(1108)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모노필라멘트 영역과 유사하게 정렬된 평면을 따라 배향되는 멀티필라멘트 얀(1100)에 의해 경계 설정될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 및 인접한 멀티필라멘트 영역 사이에 비교적 평평한 천이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필라멘트 영역과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때에 멀티필라멘트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 또는 팽출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중 모노필라멘트 영역(1200, 1202, 1204, 1206)을 포함하는 물품(1212)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 설정될 수 있고, 인장 요소가 웰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200), 모노필라멘트 영역(1202), 모노필라멘트 영역(1204), 및 모노필라멘트 영역(1206)의 형상은 각각 웰트 및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비제한적인 한가지 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202)은 웰트(1208)와 웰트(12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각각의 웰트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웰트를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214)는 각 웰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속적인 스트랜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인장 요소가 각각의 웰트 내에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몇몇의 웰트는 인장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영역(1200, 1202, 1204, 1206)의 더 넓은 부분이 발등 경계부(18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더 넓은 부분 또는 베이스는 밑창 경계부(187)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물품(1306)으로 식별되는 물품(1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1300, 1302, 1304와 같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이 특정한 실시예에서,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또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이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 1302, 1304)은 물품(1306) 상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은 삼각형의 베이스가 물품(1306)의 밑창 구조체(110)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연장된다. 반대로, 모노필라멘트 영역(1302)은 삼각형의 베이스가 발등 경계부(186)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배향된다. 또한, 모노필라멘트 영역(1304)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은 삼각형의 베이스가 밑창 구조체(110)에 인접하게 배향되는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인접한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의 측면들은 서로 대체로 정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308)는 모노필라멘트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308)는 번갈아서 대체로 V형이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은 인장 요소(1308)의 거꾸로 된 V형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 설정된다. 즉,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의 베이스부는 밑창 구조체(1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와 달리, 모노필라멘트 영역(1302)은 인장 요소(1308)의 똑바른 V형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 설정된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영역(1302)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이 배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게다가, 인장 요소(1308)는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섹션으로 분리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인장 요소(1308) 위에 위치된[즉, 발등 경계부(186)를 향해 위치된] 모든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유사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마찬가지로, 인장 요소(1308) 아래에 위치된[즉, 밑창 구조체(110)를 향해 위치된]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은 서로 유사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물품(1306)은 유사한 형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이 상이한 방식으로 배향되는 인장 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308)의 레이아웃 및 경로는 물품(1306)의 큰 부분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족 구역(10)을 향해 웰트(1303)에 인접한 것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304)이다. 또한, 뒤꿈치 구역(14)을 향해 웰트(1303)에 인접한 것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302)이다. 모노필라멘트 영역(1304)과 모노필라멘트 영역(1302)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지만, 양자가 단일 웰트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배향 및 레이아웃은 인장 요소(1308)가 제공할 수 있는 무결성 및 구조체 지지를 유지하면서 물품(1306)의 더 큰 영역이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게 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 영역들을 분리시키는 웰트는 인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301)와 웰트(1303)는 인장 요소(130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웰트(1301)와 웰트(1303)을 통해 연장되는 인장 요소는 동일한 인장 요소, 예컨대 인장 요소(1308)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308)는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둘러싸는 각각의 웰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웰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 설정된다.
도 14 및 도 14a를 참조하면, 물품(1306)의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301)와 웰트(1303)는 다중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웰트는 중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연적인 2개의 편직 재료층에 의해 형성되는 대체로 중공 구조이다. 웰트를 형성하는 하나의 편직 재료층의 측부 또는 에지가 다른 층에 고정될 수 있지만, 중앙 영역은 대체로 고정되지 않고 터널형 구조를 형성하여 다른 요소가 웰트를 통해 2개의 편직 재료층 사이에 위치되거나 그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308)의 부분(1408)이 웰트(1301)를 통해 연장된다. 인장 요소의 부분(1408)은 웰트(1301)를 통해 연장되고 인접한 웰트(1303)에 진입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웰트(1303)로 진입하는 인장 요소(1308)의 부분은 인장 요소 부분(141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인장 부재(1308)는 신발류 물품 내에 위치되는 다른 웰트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웰트는 중공을 유지하고 전술한 인장 요소가 없을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트(1301)는 외부 부분(400) 뿐만 아니라 내부 부분(40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웰트(1303)는 외부 부분(404)과 내부 부분(4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웰트(1301)와 웰트(1303)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전체가 멀티필라멘트 얀(8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실질적으로 전체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 부분(408)과 인장 요소 부분(410)은 대체로 멀티필라멘트 얀(81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인장 요소 부분(408)과 인장 요소 부분(410)은 모노필라멘트 영역(1300, 1304)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장 요소 부분(408)과 인장 요소 부분(410)이 웰트(1301, 1303) 내에서 병진 또는 이동할 때에, 인장 요소 부분(408)과 인장 요소 부분(410)은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808)와 접촉하지 않고 멀티필라멘트 얀(810)과 접촉함으로써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의 마멸 및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관점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9)

  1. 신발류 물품으로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편직 구성요소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일정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한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으로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그 사이에 제1 비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에 인접한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 및
    상기 제1 비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인장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과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그 사이에 제2 비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제2 인장 요소가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발등 경계부와 밑창 경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등 경계부와 밑창 경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또한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내부층과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제1 비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고정 영역은 관형 구조체를 포함하고, 이 관형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제1 인장 요소가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고정 영역의 내부층과 외부층은 제1 인장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 사이에 장벽을 제공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은 제1 갯수의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은 제2 갯수의 코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갯수의 코스는 상기 제2 갯수의 코스보다 많은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제1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외부층은 제2 평면에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장 요소는 상기 제1 비고정 영역으로부터 제2 비고정 영역으로 연장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폭보다 큰 것인 신발류 물품.
  14. 신발류 물품으로서,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편직 구성요소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 및
    멀티필라멘트 얀의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중첩하는 니트층은 내부층과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며,
    상기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제1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멀티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외부층은 제2 평면에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구성요소는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 각각에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이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 구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 및 배향은 상기 중족 구역과 뒤꿈치 구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형상 및 배향과 상이한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구역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가늘고 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중족 구역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가늘고 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뒤꿈치 구역 각각에 위치된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은 선택된 형상 및 배향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 영역의 선택된 형상 및 배향은 상이한 구역에 상이한 신장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177008628A 2014-08-29 2015-08-25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KR101851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3441P 2014-08-29 2014-08-29
US201462043450P 2014-08-29 2014-08-29
US62/043,450 2014-08-29
US62/043,441 2014-08-29
US14/535,501 2014-11-07
US14/535,501 US20160058099A1 (en) 2014-08-29 2014-11-07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in Body and Heel Portions
US14/535,554 US9301567B2 (en) 2014-08-29 2014-11-07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US14/535,554 2014-11-07
PCT/US2015/046703 WO2016033051A1 (en) 2014-08-29 2015-08-25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99A KR20170048499A (ko) 2017-05-08
KR101851512B1 true KR101851512B1 (ko) 2018-04-23

Family

ID=5608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628A KR101851512B1 (ko) 2014-08-29 2015-08-25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86423B1 (ko)
JP (1) JP6649537B2 (ko)
KR (1) KR101851512B1 (ko)
MX (1) MX368851B (ko)
TW (1) TWI5980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4828B (zh) 2018-04-10 2023-06-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形成鞋類物件的鞋面之方法
CN114365884A (zh) * 2018-04-13 2022-04-1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紧固系统
WO2020123221A1 (en) * 2018-12-10 2020-06-18 Nike Innovate C.V. Knitting machine with adjustable needle beds and variable thickness knitted component
US20200354866A1 (en) * 2019-05-06 2020-11-12 Nike, Inc. Multi-layer knitted component
CN111567947A (zh) * 2020-05-29 2020-08-25 陈惠兰 一种口罩及其生产方法
CN113668126B (zh) * 2021-07-26 2022-12-13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摇床弯曲鼓包效果的针织面料及编织方法、鞋面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0182A1 (en) 2008-12-18 2010-07-15 Nike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7774956B2 (en) 2006-11-10 2010-08-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5846B2 (en) * 2004-06-03 2007-01-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ior ribs
US8312645B2 (en) * 2006-05-25 2012-11-20 Nike, Inc. Material elements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US8008599B2 (en) * 2007-07-09 2011-08-30 Nike,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elements with incisions
US20100199406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10172422B2 (en) * 2011-03-15 2019-01-08 Nike, Inc. Knitted footwear component with an inlaid ankle strand
US8800172B2 (en) * 2011-04-04 2014-08-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knit upper with a polymer layer
DE102012206062B4 (de) * 2012-04-13 2019-09-12 Adidas Ag Schuhoberteil
US9861160B2 (en) * 2012-11-30 2018-0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635905B2 (en) * 2012-12-10 2017-05-02 Nike, Inc. Upper having bonded differentially-oriented inner and outer reinforcing stri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4956B2 (en) 2006-11-10 2010-08-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WO2010080182A1 (en) 2008-12-18 2010-07-15 Nike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CN103393256A (zh) 2008-12-18 2013-11-20 耐克国际有限公司 具有结合了编织部件的鞋面的鞋类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8053B (zh) 2017-09-11
EP3186423B1 (en) 2021-10-20
MX368851B (es) 2019-10-16
EP3186423A1 (en) 2017-07-05
MX2017002630A (es) 2017-10-02
JP2017526442A (ja) 2017-09-14
JP6649537B2 (ja) 2020-02-19
KR20170048499A (ko) 2017-05-08
TW201609009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6888B2 (ja) 履物製品のアッパー
US11363854B2 (en)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JP6921136B2 (ja) 布地構成要素を含む製品
US11306420B2 (en) Article incorporating a lenticular knit structure
US20170332722A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US9301567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CN106037148B (zh) 包含具有浮动部分的编织部件的鞋类物品
CN106923423B (zh) 包含带有一体的针织踝部鞋领口的针织部件的鞋类物品
JP6443993B2 (ja) 一体型ニットベロを有するニット構成要素を編む方法
KR101851512B1 (ko) 편직 구성요소에 모노필라멘트 영역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WO2016033051A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US20230126432A1 (en) Articles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