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169A -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169A
KR20240046169A KR1020247003824A KR20247003824A KR20240046169A KR 20240046169 A KR20240046169 A KR 20240046169A KR 1020247003824 A KR1020247003824 A KR 1020247003824A KR 20247003824 A KR20247003824 A KR 20247003824A KR 20240046169 A KR20240046169 A KR 2024004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cyanoacrylate
component
composition
dibenz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위 웨이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4004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16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J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122/30Nitriles
    • C08F122/32Alpha-cyano-acrylic acid;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xy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6Metal in the pretreated surface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 시 알루미늄 기판 상에 개선된 접합 성능을 제공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본 발명은 경화 시 알루미늄 기판 상에 개선된 접합 성능을 제공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간단한 설명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은 잘 알려져 있으며, 매우 다양한 용도를 가진 빠르게 경화되는 순간 접착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문헌 (H.V. Coover, D.W. Dreifus and J.T. O'Connor, "Cyanoacrylate Adhesives" in Handbook of Adhesives, 27, 463-77, I. Skeist, ed.,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3rd ed. (1990))을 참조한다. 또한 문헌 (G.H. Millet, "Cyanoacrylate Adhesives" in Structural Adhesives: Chemistry and Technology, S.R. Hartshorn, ed., Plenun Press, New York, p. 249-307 (1986))을 참조한다.
알루미늄 기판에 대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의 접합을 개선하려는 노력의 보고된 사례는 거의 없다.
그러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 특정 무수물을 첨가하는 수많은 예가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32,334호는 말레산 무수물의 첨가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빠른 경화 속도를 유지하면서 증가된 열 저항 (경화 시)을 갖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196,271호는 트리-, 테트라- 및 더 고급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경화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의 내열성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450,265호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의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탈산 무수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65 특허는 주요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2-시아노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중합성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수분 또는 승온에의 노출 하에,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제 접합의 강도 및/또는 내구성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치는데 효과적인 프탈산 무수물의 비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를 청구한다. 유효량은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5.0 중량%, 예컨대 0.3 중량% 내지 0.7 중량%로 보고되어 있다. '265 특허는 (알루미늄의 랩 전단에서보다 스테인리스 스틸 랩 전단의 경우에 덜 두드러지긴 하지만) 첨가제가 사용되지 않고, 말레산 무수물이 사용된 조성물에 비해 프탈산 무수물의 우월성을 보고한다.
미국 특허 제4,532,293호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에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하는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최근에,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4/0326407 (리(Li))은: (a)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 (b) 무수물, 및 (c) 말레이미드-, 이타콘이미드-, 또는 나드이미드-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무수물은 프탈산 무수물 또는 디메틸 말레산 무수물일 수 있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4/0124137 (헤더만(Hedderman))은: (a)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 및 (b) 수소화 무수물,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같은 수소화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또한 벤조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알루미늄 기판 상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로부터 보다 견고한 접합 성능을 달성하려는 오랜 지속되었지만 충족되지 않았던 바람이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바람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것이다.
요약
본 발명은 대략적으로 말해서 (a)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 및 (b)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 예컨대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의 조합을 통해, 경화 시 적어도 개선된 인장 강도를 제공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의 알루미늄 접합 성능에 대한 단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인 2개의 기판을 함께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그 후에 기판을 함께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라는 제목의 섹션을 읽음으로써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화 시 개선된 알루미늄 접합 성능을 제공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은 H2C=C(CN)-COOR에 의해 표시되며, 여기서 R은 C1-15 알킬, 알콕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아릴, 알릴 및 할로알킬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같은 다수의 치환기로 선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n-부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ß-메톡시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8 중량% 범위 내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야 하며, 약 7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 이외에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도 포함될 수 있다.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은 통상 비스-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지만, 삼관능성, 사관능성 또는 오관능성일 수도 있다.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구조 I 에 의해 포함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구조 I의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 알킬렌과 같은 (CH2)n으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이며, 여기서 n은 2, 3, 4, 5, 6, 8, 9, 10, 또는 12이다. 이러한 종류의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R"에 대한 알킬렌 중심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해 적절한 디올을 사용한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바람직한 예는 1,10-데칸디올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적절한 합성 방법은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3,975,422호 (벅(Buck)), 제4,012,402호 (벅), 및 제6,096,848호 (골롤로보브(Gololobov)), 및 국제 특허 공개 번호 WO 2010/091975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용 시,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야 하며,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과 같은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은 다양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은 하기 구조 II 내의 화합물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X는 O; S; C=O; S=O; O=S=O; --; CRR1 (여기서 R 및 R1은 서로 독립적이며 H, C1-C3 알킬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Y-Ar-Y1 [여기서 Y 및 Y1은 독립적으로 O, S, --, 및 CRR1 (여기서 R 및 R1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음)로부터 선택되고, Ar은 방향족 고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융합 고리 시스템임]; Y-Ar-Y1-Ar1-Y2 (여기서 Y, Ar, 및 Y1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고, Ar1은 Ar로부터 선택되며, Y2는 Y 또는 Y1로부터 선택되고, Ar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음); 및 (O=CO)n-Z (여기서 Z는 C1-C6 알킬렌임)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구조 내의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
Figure pct00003
여기서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의 예시적인 종은 다음을 포함한다 (일부는 각각의 구조 아래에 두문자어를 가짐):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은 약 0.05 중량 퍼센트 내지 약 5 중량 퍼센트, 예컨대 약 0.1 중량 퍼센트 내지 약 1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촉진제, 예컨대 칼릭사렌 및 옥사칼릭사렌, 실라크라운, 크라운 에테르, 시클로덱스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히드릭 화합물 및 그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하나 이상이 또한 본 발명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칼릭사렌 및 옥사칼릭사렌 중 다수가 알려져 있고 특허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4,556,700호, 제4,622,414호, 제4,636,539호, 제4,695,615호, 제4,718,966호, 및 제4,855,461호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칼릭사렌과 관련하여, 다음의 구조 내의 것들이 본원에서 유용하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1은 알킬, 알콕시,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알콕시이고; R2는 H 또는 알킬이고; n은 4, 6 또는 8이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칼릭사렌은 테트라부틸 테트라[2-에톡시-2-옥소에톡시]칼릭스-4-아렌이다.
다수의 크라운 에테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는 15-크라운-5, 18-크라운-6, 디벤조-18-크라운-6, 벤조-15-크라운-5-디벤조-24-크라운-8, 디벤조-30-크라운-10, 트리벤조-18-크라운-6, asym-디벤조-22-크라운-6, 디벤조-14-크라운-4, 디시클로헥실-18-크라운-6, 디시클로헥실-24-크라운-8, 시클로헥실-12-크라운-4, 1,2-데칼릴-15-크라운-5, 1,2-나프토-15-크라운-5, 3,4,5-나프틸-16-크라운-5, 1,2-메틸-벤조-18-크라운-6, 1,2-메틸벤조-5, 6-메틸벤조-18-크라운-6, 1,2-t-부틸-18-크라운-6, 1,2-비닐벤조-15-크라운-5, 1,2-비닐벤조-18-크라운-6, 1,2-t-부틸-시클로헥실-18-크라운-6, asym-디벤조-22-크라운-6 및 1,2-벤조-1,4-벤조-5-옥시젠-20-크라운-7을 포함한다.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4,837,260호 (사토(Sato))를 참조한다.
실라크라운 중 다수가 또한 알려져 있고,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실라크라운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7
디메틸실라-11-크라운-4;
Figure pct00008
디메틸실라-14-크라운-5;
Figure pct00009
및 디메틸실라-17-크라운-6.
예를 들어,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4,906,317호 (리우(Liu))를 참조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많은 시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α,β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의 히드록실 기 유도체로서,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312,864호 (웬츠(Wenz))에 기술되고 청구된 것들은 촉진제 성분으로서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다음의 구조 내의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10
여기서 n은 3 초과, 예컨대 3 내지 12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n은 9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는 PEG 200 DMA (여기서 n은 약 4임), PEG 400 DMA (여기서 n은 약 9임), PEG 600 DMA (여기서 n은 약 14임), 및 PEG 800 DMA (여기서 n은 약 19임)를 포함하고, 여기서 숫자 (예를 들어, 400)는 2개의 메타크릴레이트 기를 제외한, 그램/몰으로서 표시되는 분자의 글리콜 부분의 평균 분자량 (즉, 400 g/몰)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PEG DMA는 PEG 400 DMA이다.
그리고 에톡실화 히드릭 화합물 (또는 사용될 수 있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 중에서, 적절한 것은 다음의 구조 내의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Cm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사슬일 수 있고, m은 1 내지 30, 예컨대 5 내지 2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30, 예컨대 5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알킬, 예컨대 C1-6 알킬일 수 있다.
사용 시, 상기 구조에 의해 포함되는 촉진제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야 하고,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0.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약 0.4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안정화제 패키지가 또한 일반적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서 발견된다. 안정화제 패키지는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안정화제 및 음이온성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정체 및 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530,037호 및 제6,607,632호를 참조한다.
다른 첨가제, 예컨대 특정 산성 물질 (예컨대 시트르산), 요변성 또는 겔화제, 증점제, 염료, 및 그의 조합이 본 발명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인 2개의 기판을 함께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그 후에 접착제가 고정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기판을 함께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이렇게 기술된 조성물의 경화 생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이렇게 기술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을 그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에틸-2-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일련의 방향족 이무수물로부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 샘플에서는,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프탈산 무수물을 대조군, 샘플 A로서 선택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명시된 양의 확인된 구성성분을 사용하여 4개의 추가의 샘플 (B-E)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ct00012
샘플 A-E 각각을 알루미늄 랩 전단에 적용하고, 성능 평가를 위해 접합된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기판에 적용한 경우, 샘플은 24 시간의 실온 경화 후에 인장 강도 [N/㎟] 면에서 다음과 같은 성능을 나타냈다:
표 2
Figure pct00013
샘플 B-E 각각은 샘플 A와 대조적으로 알루미늄 기판 상의 인장 강도 성능의 개선을 나타냈다. 샘플 B-E는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의 속의 종을 0.1 중량 퍼센트 수준으로 함유하는 반면, 샘플 A는 대조군으로서 프탈산 무수물을 해당 수준으로 함유하였다. 샘플 B-E는 대조군에 비해 적어도 50 퍼센트 개선을 나타냈고, 샘플 B와 관련해서는 250 퍼센트 이상의 개선을 나타냈다.
하기 표 3에서, 3개의 샘플 (샘플 F-H)을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ct00014
샘플 F-H 각각을 알루미늄 랩 전단에 적용하고, 성능 평가를 위해 접합된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기판에 적용한 경우, 샘플은 24 시간의 실온 경화 후에 인장 강도 [N/㎟] 면에서 다음과 같은 성능을 나타냈다:
표 4
Figure pct00015
샘플 G-H 각각은 샘플 F와 대조적으로 알루미늄 기판 상의 인장 강도 성능의 개선을 나타냈다. 샘플 G-H는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의 속의 종으로서 0.1 중량 퍼센트 및 0.5 중량 퍼센트 수준의 ODPA를 함유하는 반면, 샘플 F는 대조군으로서 프탈산 무수물을 0.1 중량 퍼센트 수준으로 함유하였다. 샘플 G는 대조군에 비해 100 퍼센트 초과의 개선을 나타냈고 샘플 H는 더 높은 로딩 수준에도 불구하고 대조군에 비해 250 퍼센트의 개선을 나타냈다.

Claims (16)

  1. (a)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 및
    (b)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
    을 포함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이 하기 구조 내의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인 조성물:
    Figure pct00016

    여기서 X는 O; S; C=O; S=O; O=S=O; --; CRR1 (여기서 R 및 R1은 서로 독립적이며 H, C1-C3 알킬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Y-Ar-Y1 [여기서 Y 및 Y1은 독립적으로 O, S, --, 및 CRR1 (여기서 R 및 R1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음)로부터 선택되고, Ar은 방향족 고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융합 고리 시스템임]; Y-Ar-Y1-Ar1-Y2 (여기서 Y, Ar, 및 Y1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고, Ar1은 Ar로부터 선택되며, Y2는 Y 또는 Y1로부터 선택되고, Ar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음); 및 (O=CO)n-Z (여기서 Z는 C1-C6 알킬렌임)로부터 선택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이 하기 구조 내의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인 조성물:
    Figure pct00017

    여기서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4.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족 이무수물 성분인 조성물: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
  5. 제1항에 있어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메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ß-메톡시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구조 I 에 의해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21

    여기서 구조 I의 R은 (CH2)n으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이며, 여기서 n은 2, 3, 4, 5, 6, 8, 9, 10, 또는 12이다.
  8. 제6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1,10-데칸디올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 양의 산성 안정화제 및 자유 라디칼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촉진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촉진제 성분이 칼릭사렌, 옥사칼릭사렌, 실라크라운, 시클로덱스트린, 크라운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히드릭 화합물,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크라운 에테르가 15-크라운-5, 18-크라운-6, 디벤조-18-크라운-6, 벤조-15-크라운-5-디벤조-24-크라운-8, 디벤조-30-크라운-10, 트리벤조-18-크라운-6, asym-디벤조-22-크라운-6, 디벤조-14-크라운-4, 디시클로헥실-18-크라운-6, 디시클로헥실-24-크라운-8, 시클로헥실-12-크라운-4, 1,2-데칼릴-15-크라운-5, 1,2-나프토-15-크라운-5, 3,4,5-나프틸-16-크라운-5, 1,2-메틸-벤조-18-크라운-6, 1,2-메틸벤조-5, 6-메틸벤조-18-크라운-6, 1,2-t-부틸-18-크라운-6, 1,2-비닐벤조-15-크라운-5, 1,2-비닐벤조-18-크라운-6, 1,2-t-부틸-시클로헥실-18-크라운-6, asym-디벤조-22-크라운-6, 및 1,2-벤조-1,4-벤조-5-옥시젠-20-크라운-7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내의 구성원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강인화제, 내충격성 첨가제, 요변성 부여제, 증점제, 염료,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
  15. 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인, 2개의 기판을 함께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제1항에 따른 시아노아크릴레이트-함유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접착제가 고정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기판을 함께 정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따른 시아노아크릴레이트-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방향족 다관능성 무수물 성분을 혼합하여 그와 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03824A 2021-08-16 2022-08-16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20240046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0282P 2021-08-16 2021-08-16
US63/260,282 2021-08-16
PCT/US2022/040499 WO2023023082A1 (en) 2021-08-16 2022-08-16 Cyanoacrylat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169A true KR20240046169A (ko) 2024-04-08

Family

ID=8523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824A KR20240046169A (ko) 2021-08-16 2022-08-16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6169A (ko)
WO (1) WO20230230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794A (en) * 1992-10-23 1994-02-22 Loctite Corporation Cyanoacrylate adhesives with improved cured thermal properties utilizing substituted aromatic additive
US20030158579A1 (en) * 2002-02-20 2003-08-21 Max Azevedo Method for curing cyanoacrylate adhesives
WO2010029134A1 (en) * 2008-09-10 2010-03-18 Loctite (R&D) Limited Toughened cyanoacrylate compositions
GB2550846B (en) * 2016-05-23 2021-01-13 Henkel IP & Holding GmbH Two-part Cyanoacrylate curable adhesive system
GB2562107B (en) * 2017-05-05 2021-08-11 Henkel IP & Holding GmbH Cyanoacrylat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3082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862B1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102376637B1 (ko) 2-파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경화성 접착제 시스템
US6294629B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KR100964088B1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102230974B1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102593346B1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EP3619275B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WO2003000815A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TWI830708B (zh) 氰基丙烯酸酯組合物
US20170233618A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KR20240046169A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101840906B1 (ko)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100341985B1 (ko) 구조용아크릴계접착제조성물
WO2020191510A1 (en) 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JPS5947272A (ja) 瞬間接着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