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778A -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778A
KR20240045778A KR1020220125505A KR20220125505A KR20240045778A KR 20240045778 A KR20240045778 A KR 20240045778A KR 1020220125505 A KR1020220125505 A KR 1020220125505A KR 20220125505 A KR20220125505 A KR 20220125505A KR 20240045778 A KR20240045778 A KR 2024004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device
catheter
air
insertion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2012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778A/ko
Priority to PCT/KR2023/014331 priority patent/WO2024071818A1/ko
Publication of KR2024004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2Blood circul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 대상에 삽입되는 삽입튜브(11)와 다수의 커넥터(13)가 구비된 허브 몸체(12)를 포함하는 카테터(10); 및 상기 카테터(10)의 상기 삽입튜브(11)에 설치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1 삽입홀(111)이 구비되는 몸체(110);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는 주사기 커넥터(112); 및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2 삽입홀(121)이 구비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하여 카테터(10)를 삽입 대상에서 제거할 경우 공기가 삽입 대상의 신체 내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Device to prevent aspiration of air when removing venous catheter or indwelling catheter into negative pressure cavity}
공기 흡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환자의 정맥이나 음압강 내에 거치되어 있는 카테터를 제거할 때 환자의 호흡으로 인해 공기가 혈관 및 음압강 내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심 정맥은 손이나 발 등에 위치한 작은 말초 정맥과 다리, 몸통에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 큰 정맥을 의미하며, 중심정맥관은 이러한 굵은 중심 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 삽입튜브의 일종으로 한 번 정맥관이 삽입된 후 그 기능이 잘 유지되면, 매번 치료 시 정맥주사를 위한 별도의 혈관 확보가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한 후 사용이 끝나면 제거된다.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거나, 사용 중이거나, 제거할 때 기흉, 혈흉, 수흉, 공기 색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심정맥관 삽입이나 사용 중 공기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는 추세이나, 중심정맥관 삽입 및 사용 이후 제거될 때의 신체 내로 공기 흡인을 방지하는 장치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중심정맥관 제거 혹은 흉강내 거치된 관의 제거 시 삽입대상 환자가 숨을 들이마시게 되면 흉강 내 음압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외부와의 압력 차이로 제거되는 카테터 내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혈관속으로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환자의 공기 색전증, 기흉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중심정맥관 및 흉관 삽입 및 사용 중 뿐만 아니라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 및 흉관 제거에 특화된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US 2019-0255228 A1 US 10814119 B2 JP 4194243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삽입 대상 환자의 흉관, 중심정맥관 등의 혈관에 삽입 및 사용 이후, 카테터 제거시 환자의 호흡으로 인해 카테터 외부의 공기가 환자의 신체로 공기 흡인이 발생하여 공기 색전증, 기흉 등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삽입 대상에 삽입되는 삽입튜브(11)와 다수의 커넥터(13)가 구비된 허브 몸체(12)를 포함하는 카테터(10); 및 상기 카테터(10)의 상기 삽입튜브(11)에 설치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1 삽입홀(111)이 구비되는 몸체(110);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는 주사기 커넥터(112); 및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2 삽입홀(121)이 구비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0)는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사기 커넥터(112)에 주사기(20)가 연결되고, 상기 주사기(20)가 상기 연장부(120) 내부의 공기를 흡인할 경우,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삽입튜브(11)에 밀착되고, 상기 연장부(120) 내측의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삽입튜브(11)에 밀착된 경우, 상기 삽입튜브(11)는 중심정맥관 삽입 대상의 .정맥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20)는, 말단에 중심정맥관 삽입 대상의 피부(1)에 부착되는 접착부(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122)가 피부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연장부(120)는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 대상은 중심정맥관 또는 음압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튜브(11)에 다수의 사이드 홀(11h)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 홀(11h)은 상기 카테터(10)의 상기 허브 몸체(1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말단까지 구비되고, 상기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사이드 홀(11h)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삽입튜브(11)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로 인해, 중심정맥관 및 흉관 제거 시술시 환자가 숨을 들이마시더라도 외부 공기가 중심정맥관 카테터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중심정맥관 내 공기 흡인에서 기인하는 기흉, 공기 색전 등의 합병증이 방지된다.
또한, 중심정맥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중심 정맥간 제거 외 사용 중의 공기 흡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설치된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하에서, "삽입 대상"은, 삽입튜브(11)의 일단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삽입튜브(11)의 타단이 신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삽입튜브(11)를 통한 유체 출입이 가능한 대상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용어 "읍압강"은 외부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공간 또는 특정 조건(ex. 숨을 들이마시었을 때)에서 외부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공간을 통칭하는 것으로, 흉관이 삽입되는 흉강 등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여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카테터(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삽입 대상의 정맥관, 음압강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10)의 삽입되지 않은 부분(즉, 신체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대상의 중심정맥관 또는 흉관에 삽입된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 외 삽입되지 않은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테터(10)는 삽입 대상에 삽입되는 삽입튜브(11)와 다수의 커넥터(13)를 연결하는 허브 몸체(12)를 포함한다.
삽입튜브(11)는 삽입 대상의 혈관에 삽입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삽입 대상 환자의 음압강 또는 중심 정맥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튜브(11)는 타단에서 관통 형성된 다수의 사이드 홀(11h)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튜브(11)에 포함된 다수의 사이드 홀(11h)에 의해 환자의 신체 내부의 체액 등의 유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인하거나, 다수의 커넥터(1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약액을 삽입 대상 환자의 신체, 예를들면 환자의 혈관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수의 사이드 홀(11h)은 카테터(10)의 몸체에서 소정의 간격 이격된 삽입튜브(11)의 타단, 즉 허브 몸체(1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말단까지 구비될 것이며, 이 때,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의 일단, 즉 몸체(12)에 인접한 삽입튜브(11)에 설치되어 사이드 홀(11h)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튜브(11)의 부분에 설치될 것이다.
허브 몸체(12)는 삽입튜브(11)와 다수의 커넥터(13)를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다수의 커넥터(13)는 체액 흡인을 위한 흡인라인(13a) 및 약액 및 수액 공급을 위한 공급라인(13b)을 포함하며 두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커넥터(13)는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도 추가 공급 또는 흡인 라인이 더 형성되어 허브 몸체(12)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약액 또는 수액 또는 빈백이 다수의 커넥터(13) 각각에 연결되어 삽입튜브(11)로 다양한 약액 또는 수액을 공급하거나 삽입튜브(11)에서 흡인된 유체 또는 삽입 대상 환자의 체액이 빈백으로 수집할 수 있다(미도시).
도 2를 더 참고하여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설명한다.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의 일부가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었을 때,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지 않은, 즉, 삽입 대상 환자의 신체 외측에 위치하는 삽입튜브(11)의 다른 일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홀(11h)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튜브(11)의 부분에 설치된다.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삽입튜브(11) 외측에 위치하여 삽입튜브(11)의 외측에서 삽입튜브(11)를 통해 삽입 대상의 혈관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110) 및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몸체(110)에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1 삽입홀(111) 및 외부의 주사기(20)와 연결 가능한 주사기 커넥터(112)가 구비되고, 후술할 연장부(120)와 연통된다.
제1 삽입홀(111)에 삽입 대상에 삽입되지 않은 삽입튜브(11)가 삽통된다.
주사기 커넥터(112)는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며 별도의 주사기(20)와 연결 가능하다.
또한, 주사기 커넥터(112)는 연장부(120)와 연통되어, 주사기 커넥터(112)에 주사기(20)가 연결되면, 연결된 주사기(20)가 연장부(120) 내측의 유체를 흡인함으로써 연장부(120) 내측의 공기가 흡인되어 삽입튜브(11)에 밀착되도록 만들 수 있다.
즉, 주사기 커넥터(112)는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고, 제1 삽입홀은 제2 삽입홀(121)과 연통되기 때문에 주사기 커넥터(112)는 제2 삽입홀(121)이 구비된 연장부(120)와 연통되어 연장부(120) 내측의 유체를 흡인함으로써 연장부(120)를 삽입튜브(11)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삽입튜브(11)를 밀폐시킬 수 있다.
연장부(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몸체(110)로부터 중심정맥관 삽입 대상의 피부(1)까지의 길이 조절 및 삽입튜브(11)에 대한 폭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삽입튜브(11) 외측에 설치된 연장부(120)가 몸체(110)에 고정된 채 연장되어 몸체(110)에서부터 환자의 피부(1)까지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부(120)는 연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부(120)는 제2 삽입홀(121) 및 접착부(122)를 포함한다.
제2 삽입홀(121)은 몸체(110)의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고, 내측으로 삽입튜브(11)가 삽통된다. 즉,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 일부는 제1 삽입홀(111)과 제2 삽입홀(121)을 삽통하고, 이에 따라, 삽입튜브(11)의 외측 일부에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의 몸체(110) 및 연장부(120)가 위치된다.
접착부(122)는 카테터(10)가 삽입되는 삽입 대상의 피부(1)에 긴밀하게 부착됨으로써 몸체(110) 및 연장부(1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삽입튜브(11) 삽통을 위한 제1 삽입홀(111) 외 주사기 커넥터(112)만을 구비하여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연장부(120)의 일단은 몸체(110)의 일측에 연결된 채 타단이 연장되는 것이어서 연장된 타단에 위치한 접착부(122)가 환자의 피부(1)에 접착될 경우 몸체(110) 및 연장부(120)가 밀폐되는 것이다.
도 3을 더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카테터(10)를 환자의 신체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카테터(10) 삽입 이후 사용되는 것이어서, 카테터(10)를 이용한 시술 중 혹은 시술 이후 제거될 때 공기가 환자의 신체 내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카테터(10)의 삽입튜브(11)가 삽입 대상 환자의 피부(1)를 관통하여 삽입 대상의 혈관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도3 (a))에서 환자의 피부(1) 외측에 위치하는 삽입튜브(11)에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설치한다(도3 (b)).
다음, 설치된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의 연장부(120)를 환자의 피부(1)와 닿도록 연장시켜 말단에 마련된 접착부(122)가 환자의 피부(1)와 맞닿음으로써 접착되어 몸체(110) 및 연장부(120)가 밀폐된다((도3 (c)).
다음, 몸체(110)의 주사기 커넥터(112)에 연장부(120) 내부의 유체 흡인을 위한 주사기(20)를 연결하고(도3 (d)), 주사기(20)의 피스톤을 끌어당겨 연장부(120) 내부의 유체를 흡인한다(도3 (e)). 연장부(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의 유체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내부의 유체가 제거되면 삽입튜브(11)에 밀착된다. 연장부(120)의 외피가 삽입튜브(11)에 밀착된 것을 확인한 이후 카테터(10)를 사용자의 신체에서 제거한다.
도3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의 외피는 삽입튜브(11)에 밀착되어 삽입튜브(11)에 사이드홀(11h)이 형성되더라도 사이드홀(11h) 또한 밀폐상태가 되어 환자가 호흡하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환자의 신체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공기색전증, 기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10: 카테터
11: 삽입튜브
11h: 사이드 홀
12: 허브 몸체
13: 커넥터
13a: 흡인 라인
13b: 공급 라인
20: 주사기
100: 공기 흡인 방지 장치
110: 몸체
111: 제1 삽입홀
112: 주사기 커넥터
120: 연장부
121: 제2 삽입홀
122: 접착부

Claims (8)

  1. 삽입 대상에 삽입되는 삽입튜브(11)와 다수의 커넥터(13)가 구비된 허브 몸체(12)를 포함하는 카테터(10); 및
    상기 카테터(10)의 상기 삽입튜브(11)에 설치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1 삽입홀(111)이 구비되는 몸체(110);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는 주사기 커넥터(112); 및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기 제1 삽입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삽입튜브(11)가 삽통되는 제2 삽입홀(121)이 구비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기 흡인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는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관인,
    공기 흡인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커넥터(112)에 주사기(20)가 연결되고,
    상기 주사기(20)가 상기 연장부(120) 내부의 공기를 흡인할 경우,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삽입튜브(11)에 밀착되고,
    상기 연장부(120) 내측의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삽입튜브(11)에 밀착된 경우, 상기 삽입튜브(11)는 삽입 대상에서 제거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는,
    말단에 삽입 대상의 피부(1)에 부착되는 접착부(122)를 더 포함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삽입 대상은 중심정맥관 또는 음압강인,
    공기 흡인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11)에 다수의 사이드 홀(11h)이 관통 형성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드 홀(11h)은 상기 카테터(10)의 상기 허브 몸체(1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말단까지 구비되고,
    상기 공기 흡인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사이드 홀(11h)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삽입튜브(11)의 부분에 설치되는,
    공기 흡인 방지 장치.
KR1020220125505A 2022-09-30 2022-09-30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KR20240045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05A KR20240045778A (ko) 2022-09-30 2022-09-30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PCT/KR2023/014331 WO2024071818A1 (ko) 2022-09-30 2023-09-21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05A KR20240045778A (ko) 2022-09-30 2022-09-30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778A true KR20240045778A (ko) 2024-04-08

Family

ID=9047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05A KR20240045778A (ko) 2022-09-30 2022-09-30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5778A (ko)
WO (1) WO202407181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5228A1 (en) 2012-08-07 2019-08-22 Critical Innovations, LLC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ocumenting and treating tension pneumothorax and/or hemothorax
US10814119B2 (en) 2017-09-22 2020-10-27 Critical Innovations, LLC Percutaneous access pathw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030A (ja) * 1993-09-30 1995-04-11 Nippon Zeon Co Ltd 胃管カテーテル
WO2011106454A2 (en) * 2010-02-23 2011-09-01 L-Vad Technology, Inc. Vacuum assisted percutaneous appliance
AU2010319924B2 (en) * 2009-10-29 2014-03-06 Robert E. Helm Sealed sterile catheter dressings
CA2906766C (en) * 2013-03-15 2021-05-04 Patient Centered Medical Incorporated Aspiration catheters, systems, and methods
KR102395034B1 (ko) * 2020-04-23 2022-05-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벌룬이 설치된 배액 카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5228A1 (en) 2012-08-07 2019-08-22 Critical Innovations, LLC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ocumenting and treating tension pneumothorax and/or hemothorax
US10814119B2 (en) 2017-09-22 2020-10-27 Critical Innovations, LLC Percutaneous access pathw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818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77019B1 (en) Catheter system
US5318517A (en) Multiple lumen thoracostomy catheter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nesthesia
US4122858A (en) Adapter for intra-aortic balloons and the like
US5944688A (en) Implantable hemodialysis access port assembly
US4596552A (en) Cardioplegia cannula
US5290244A (en) Syringe and needle with guide wire for cannulation of central veins
KR20230058422A (ko) 흡인 주사기 및 그의 방법 (aspiration syringes and methods thereof)
US20110152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erial and Venous Cannulation
US20040138519A1 (en) Multilumen catheter for minimizing limb ischemia
JP2001500776A (ja) カテーテルガイドワイヤー導入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8136170B (zh) 用于抽吸和喂饲系统、方法及设备的双口管路
CN111655321B (zh) 穿刺系统
CN203564591U (zh) 双腔头及引流灌洗系统
KR20220050904A (ko) 연장 가능한 연장 튜브를 갖는 카테터 시스템
EP3260158B1 (en) Handheld multi-needle vascular access device
US201903366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venting and filling a catheter
KR20240045778A (ko) 정맥관 및 음압강 내의 카테터 제거 시의 공기 흡인 방지가 가능한 장치
CN212187286U (zh) 一种动脉血液循环管道组件和人工动脉血液体外循环系统
US5419776A (en) Pneumothorax treatment device
CN209033292U (zh) 一种胸腹腔引流管
CN211272679U (zh) 一种胸心外科临床用胸腹引流器
JP2023520011A (ja) 小児用カテーテルシステムおよび関連機器および方法
JP2510886B2 (ja) カテ―テル
US20040176738A1 (en) Transcutaneous fluid drain kit
CN217548625U (zh) 用于腹、胸腔内的负压冲洗的内套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