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25A -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4825A KR20240044825A KR1020220124296A KR20220124296A KR20240044825A KR 20240044825 A KR20240044825 A KR 20240044825A KR 1020220124296 A KR1020220124296 A KR 1020220124296A KR 20220124296 A KR20220124296 A KR 20220124296A KR 20240044825 A KR20240044825 A KR 20240044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ng practice
- practice tool
- main body
- sw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가 제공되는 임팩트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가 제공되는 임팩트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배드민턴 및 골프 등 라켓을 이용한 운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배드민턴은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해 셔틀콕이라고 불리는 배드민턴 공을 타격하여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뜨리면 득점을 얻는 운동이다.
사용자들은 배드민턴을 잘 치기 위해 배드민턴 라켓을 휘두르는 스윙 동작에 대한 레슨을 받는다.
예를 들어, 배드민턴을 잘 치기 위해 손목을 움직이는 스냅 훈련, 라켓을 파지하는 훈련, 라켓과 셔클콕을 정확한 각도로 임팩트 하는 훈련등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골프를 잘 치기 위해서도 골프채를 휘두르는 스윙 동작에 대한 레슨을 받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배드민턴 라켓을 휘두르는 훈련, 골프 채를 휘두르는 훈련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는바 사용자는 자신이 배드민턴 훈련을 올바르게 실시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배드민턴 스윙 동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골프 스윙 동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인지할 수 있는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가 제공되는 임팩트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팩트부는, 상기 움직임 추에 연결되며, 상기 움직임 추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임팩트조절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팩트조절부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장력조절부재; 및 상기 탄성부와 접촉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와 상대적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 측에는 일정 이상 압력으로 가압되었을때 눌러질 수 있는 버튼부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버튼부가 눌려졌을 때 알람을 낼 수 있는 알람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움직임 추가 전진할 때 상기 움직임 추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보다 큰 하중을 갖는 회전 추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항에 기재된 스윙연습도구; 및 상기 스윙연습도구와 통신가능하게 제공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스윙연습도구의 움직임 추가 본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결과표시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배드민턴 스윙 동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골프 스윙 동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임팩트부(20)가 제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본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회전부(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 및 이에 배치되는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손잡이(110')에 삽입되는 버튼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스윙연습도구(1; 1')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임팩트부(20)가 제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본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회전부(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 및 이에 배치되는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손잡이(110')에 삽입되는 버튼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스윙연습도구(1; 1')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임팩트부(20)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에 배치되는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회전부(40)가 배치되는 본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의 회전부(4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스윙연습도구(1)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스윙연습도구는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하는 기구, 또는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기재된 스윙연습도구(1)는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하는 기구로 이해될 수 있다.
배드민턴 스킬이 뛰어난 사용자는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르는 동작인 스윙이 초보자보다 더 우수하기 때문에, 스윙연습도구(1)를 파지하고 스윙을 하였을 경우, 움직임 추(21)가 접촉면(128)을 타격하여 초보자보다 더 경쾌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배드민턴 스킬이 뛰어난 사용자는 배드민턴 공을 임팩트하는 순간에 손잡이(110)에 있는 버튼부(30)를 가압함으로써 알람을 울릴 수 있다.
또한, 배드민턴 스킬이 뛰어난 사용자는 정확한 각도로 배드민턴 공을 임팩트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40)가 본체(10)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써 소리를 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드민턴의 스윙 동작을 연습할 수 있는 스윙연습도구(1)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는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의 내부공간(S1)에 배치되고, 내부공간(S1)을 따라 이동하며 본체(10)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21)가 제공되는 임팩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의 본체(10)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르는 동작하는 하는 경우(스윙이라고 한다), 임팩트부(20)의 탄성부(22)가 늘어나면서 움직임 추(21)가 본체(10)의 접촉면(128)에 부딪히며 소리를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z 방향을 전방, -z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0); 손잡이(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회전부(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슬릿(125)이 형성된 가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손잡이(110)의 후방에는 손잡이(110)를 둘러쌈으로써 손잡이(11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19)가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임팩트부(20)에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손잡이(110)는, 임팩트부(2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 손잡이부재(112); 및 임팩트부(20)의 나머지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2 손잡이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재(112)와 제2 손잡이부재(114)가 결합되어 손잡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재(112)와 제2 손잡이부재(114)의 내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0)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S1)은 손잡이(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110)와 내부공간(S1)은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손잡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S1)은 임팩트부(20)의 움직임 추(21)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내부공간(S10); 및 임팩트부(20)의 탄성부(22)와 임팩트조절부(23)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내부공간(S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내부공간(S10)과 제2 내부공간(S20)은 임팩트부(20)의 구획부(2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도 5 참조).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구획부(24)를 고정할 수 있는 구획홈(H3, H4)이 제공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부재(112)에는 제1 구획홈(H3), 제2 손잡이부재(114)에는 제2 구획홈(H4)이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후방(하측)에는 장력조절부재(234)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상하이동방지홈(H5)과 제2 상하이동방지홈(H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하이동방지홈(H5)은 제1 손잡이부재(112)에 형성되고, 제2 상하이동방지홈(H6)은 제2 손잡이부재(114)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전방(상측)에는 가이드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회전부(40)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손잡이(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가이드부(120)는, 회전부(40)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1 홈(H1)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122); 및 회전부(40)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2 홈(H2)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 사이에는 회전부(4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 사이의 공간은 슬릿(125)으로 이해될 수 있다(도 6 참조).
회전부(40)는 가이드부(120)의 슬릿(125)에 배치되고, 회전축(42)의 양측이 제1 홈(H1)과 제2 홈(H2)에 각각 삽입된다.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파지하고 스윙 시 회전부(40)는 회전축(4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에 형성되는 슬릿(125)은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릿(125)은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임팩트부(2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스윙동작에 따라 본체(10)의 접촉면(128)에 부딪혀 소리를 낼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팩트부(20)는 본체(10)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21); 움직임 추(21)에 연결되며, 움직임 추(21)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는 탄성부(22); 및 탄성부(22)와 연결되고, 탄성부(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임팩트조절부(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임팩트부(20)는 본체(10)의 구획홈(H3, H4)에 고정될 수 있는 구획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추(21)는 일 측이 탄성부(22)에 연결되고, 구획부(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움직임 추(21)는 본체(10)의 제1 내부공간(S10)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추(21)는 제1 내부공간(S10)에서 본체(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z축 방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진은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후전은 -z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움직임 추(21)가 전진할 수 있는 거리는 접촉면(128)과 움직임 추(21)의 단부 사이의 거리인 L1이다(도 3 참조). 여기서, 접촉면(128)은 가이드부(120)의 일 면으로써, 가이드부(120)의 후측에 배치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를 시, 움직임 추(21)는 전진하여 접촉면(128)을 타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다. 움직임 추(21)와 접촉면(128)은 서로 부딪힘으로써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추(2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움직임 추(21)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22)의 일측은 움직임 추(21)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임팩트조절부(23)의 이동부재(238)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22)는 움직임 추(21)가 제1 내부공간(S10)에서 전진(+z축 방향)할때, 움직임 추(21)를 후방(-z 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22)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부(22)는 움직임 추(21)가 접촉면(128)과 접촉하는 순간에 움직임 추(21)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가장 크게 제공할 수 있따. 여기서, 움직임 추(21)와 접촉면(128)이 접속하는 순간에 탄성부(22)는 가장 크게 늘어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임팩트조절부(23)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장력조절부재(234); 및 탄성부(22)와 접촉하고, 장력조절부재(234)의 회전에 의해 전진(상승) 또는 후진(하강)함으로써 탄성부(22)의 장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238)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234)는 후측(하측)에 회전홈(235)이 형성되고, 상하이동방지홈(H5, H6)에 삽입될 수 있는 하부부재(234A); 및 하부부재(234A)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하고 이동부재(238)와 상대적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238)를 전진(상승) 또는 후진(하강)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34B)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재(238)의 내주면에는 연결부재(234B)의 나사선과 상대적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하부부재(234A)의 단면(xy평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234)의 후측에 제공되는 회전홈(235)에 외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회전홈(235)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회전홈(235)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손잡이(110)의 후측에는 노출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이동부재(238)의 단면(xy평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38)를 둘러싸는 내부공간(S1)(구체적으로, 제2 내부공간(S20))의 단면은 이동부재(238)와 대응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38)의 단면과 제2 내부공간(S20)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이동부재(238)는 본체(10)의 제2 내부공간(S20)에서 회전이 허용되지 않고, 전진(상승) 및 후진(하강)만 허용될 수 있다.
이동부재(238)가 전진(상승)하는 경우, 탄성부(22)의 장력이 작아지고, 이동부재(238)가 후진(하강)하는 경우, 탄성부(22)의 장력이 커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배드민턴의 초보자 및 실력자에 따라 탄성부(22)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스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234)와 이동부재(238)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238)가 전진(상승) 또는 후진(하강)할 수 있고, 이동부재(238)가 전진(상승) 또는 후진(하강)함으로써 탄성부(22)의 장력이 제어될 수 있다.
구획부(24)는 본체(10)의 구획홈(H3, H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움직임 추(21)를 지지할 수 있다.
구획부(24)에 의해 제1 내부공간(S10)과 제2 내부공간(S20)이 분리될 수 있다.
회전부(40)는 사용자의 스윙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파지하고 스윙을 하는 경우, 스윙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 회전부(40)는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스윙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회전부(40)는 회전하지 않거나 9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40)는 본체(1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축(42); 회전축(42)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3); 및 연장부(43)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42) 보다 큰 하중을 갖는 회전 추(44)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회전축(42)의 양측 단부는 각각 본체(10)의 제1 홈(H1)과 제2 홈(H2)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43)는 회전축(42)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부(120)의 전방보다 길게 노출될 수 있다.
회전 추(44)는 연장부(43)의 단부에 배치되고, 회전축(42) 또는 연장부(43) 보다 큰 하중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추(44)의 무게에 의해 회전부(40)가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회전부(40)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40)는 회전축(42)을 기준으로, 하나의 평면(yz평면)과 평행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윙연습도구(1)는 버튼부(30), 알람부(도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30)는 손잡이(110)의 일 측에 제공되고,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었을때 눌려질 수 있다.
알람부(도면미도시)는 버튼부(30)가 눌려졌을때 알람을 낼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이해될 수 있다.
버튼부(30)는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스윙하는 순간에 손잡이(11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눌려질 수 있다.
버튼부(30)가 눌려지는 방향은 회전부(40)의 회전축(42)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버튼부(30)가 눌려지는 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고, 회전축(42)이 연장되는 방향도 x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버튼부(30)가 눌려지는 방향과 회전부(40)가 회전하면서 지나가는 가상의 평면은 수직한 방향이다.
이와 같이 버튼부(30)와 회전부(40)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파지하고 올바르게 스윙을 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알람부(도면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공간(S1)에 배치될 수 있고, 버튼부(30)가 눌려짐으로써 소리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도면미도시)는 버튼부(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소리를 낼 수 있는 회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람부(도면미도시)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잡이(11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손잡이(110)의 단면은 팔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팔각형 단면은 가장긴변 2개, 두번째로 긴변 2개, 가장 짧은 변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30)는 두번째로 긴변 2개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슬릿(125)은 가장 긴변 2개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버튼부(3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부(도면 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스윙연습도구(1)는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파지하는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스윙연습도구(1)의 사용하여 배드민턴을 연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한손으로 손잡이(110)를 살며시 파지하고, 배드민턴 공이 배드민턴 라켓에 맞는 순간을 가정하여,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를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르는 순간, 움직임 추(21)는 제1 내부공간(S10)에서 전진하여 가이드부(120)의 후방에 형성된 접촉면(128)을 타격할 수 있다. 움직임 추(21)가 접촉면(128)을 타격함으로써, 소리가 날 수 있고, 사용자는 소리를 듣고 자신의 스윙이 올바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른 후, 배드민턴 라켓이 배드민턴 공을 임팩트하는 순간, 사용자는 손잡이(110)에 배치된 버튼부(30)를 순간적으로 누름으로써, 알람이 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정확한 각도로 휘두르는 경우, 회전부(40)가 yx 평면을 따라 회전하여 회전 추(44')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추(44')가 본체(10)를 타격함으로써, 소리가 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내부 및 이에 배치된 임팩트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스윙연습도구(1')의 손잡이(110')에 삽입되는 버튼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스윙연습도구(1')는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도구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윙연습도구(1')는 골프채를 모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1')는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공간(S1')에 배치되고, 내부공간(S1')을 따라 이동하며 본체(10')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21')가 제공되는 임팩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버튼부(30')가 삽입되는 손잡이(110'); 임팩트부(20')가 배치되는 가이드부(120'); 손잡이(110')와 가이드부(120')를 연결하는 중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스윙연습도구(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스윙연습도구(1)와 비교하여, 손잡이(110')와 가이드부(120') 사이에 중간부(140)가 더 제공되고, 임팩트부(20')가 가이드부(120')의 내부에 배치된 것 및 버튼부(30')가 손잡이(110') 내부에 배치된 것에 주요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외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버튼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버튼부(30')가 삽입될 수 있는 버튼부삽입공간(S11)이 생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버튼부(30')는 손잡이(110')의 내측에 접촉하는 제1 부재(32); 및 제1 부재(32)와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제2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30)는 손잡이(110')로부터 외력을 받고, 외력에 따라 제1 부재(32)와 제2 부재(34) 사이의 간격이 압축되어 제1 부재(32)와 제2 부재(34)가 접촉할 수 있다.
제1 부재(32)와 제2 부재(34)가 접촉하는 경우, 알람부(도면미도시)에 의해 알람이 울릴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움직임 추(21')가 이동하는 공간인 제1 내부공간(S10'), 임팩트조절부(23')가 배치되는 공간인 제2 내부공간(S20')을 포함한다.
손잡이(110')와 가이드부(120') 사이에는 중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부(40')는 회전축(42'), 연장부(43') 및 회전 추(44')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임팩트부(20')는 움직임 추(21'), 탄성부(22'), 임팩트조절부(23')를 포함하고, 움직임 추(21'), 탄성부(22'), 임팩트조절부(23')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윙연습도구(1')를 사용하여 골프를 연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두손으로 손잡이(110')를 살며시 파지하고, 골프공이 골프채에 맞는 순간을 가정하여,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를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르는 순간, 움직임 추(21')는 제1 내부공간(S10')에서 전진하여 접촉면(128')을 타격할 수 있다. 움직임 추(21')가 접촉면(128')을 타격함으로써, 소리가 날 수 있고, 사용자는 소리를 듣고 자신의 스윙이 올바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휘두른 후, 골프채가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순간, 사용자는 손잡이(110')를 더욱 세개 파지함으로써 버튼부(30')의 제1 부재(32)와 제2 부재(34)가 접촉하여 알람이 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윙연습도구(1')를 정확한 각도로 휘두르는 경우, 회전부(40')가 yx 평면을 따라 회전하여 회전 추(44')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추(44')가 본체(10')를 타격함으로써, 소리가 날 수도 있다.
도 13는 스윙연습도구(1; 1')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 시스템은 상술한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1;1'); 및 스윙연습도구(1;1')와 통신가능하게 제공되는 단말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90)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윙연습도구(1;1')와 단말기(90)는 통신부(80)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80)는 블루투스 등의 공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윙연습도구(1;1')의 내부에는 단말기(9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도면 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90)를 통해 스윙연습도구(1;1')의 연습의 종류, 난이도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스윙연습도구(1;1')를 휘둘렀을때 나타나는 결과를 단말기(90)에 표시할 수 있다.
스윙연습도구(1;1')를 휘둘렀을때 나타나는 결과는 임팩트부가 본체의 움직임 추를 접촉하였는지 여부, 버튼부가 눌려졌는지 여부, 회전부가 회전하여 본체의 일부분을 타격하였는지 여부, 버튼부에 가해지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90)에는 연습의 종류(예를 들어, 배드민턴, 골프, 테니스 등)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표시부(92); 연습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는 난이도표시부(94); 스윙연습도구(1;1')를 휘둘렀을때(스윙하였을때)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결과표시부(96); 사용자가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스윙연습도구(1;1')를 파지하고 있는지 표시하는 왼손 및 오른손 표시부(98); 스윙연습도구(1;1')를 이용한 남은 연습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시간표시부(99)가 제공될 수 있다.
스윙연습도구(1;1')에 제공되는 통신장치는 임팩트부(20)가 접촉면(128)을 타격함으로써 내는 소리의 크기, 버튼부(30)가 내는 알람, 회전부(40)가 본체(10)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써 내는 소리의 크기 등을 단말기(9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90)에는, 움직임 추(21; 21')가 접촉면(128; 128')을 타격할 때 나는 복수 개의 소리(타격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 개의 소리(타격음)를 비교할 수 있는 소리비교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90)는 움직임 추(21; 21')가 접촉면(128; 128')을 타격할 때 나는 소리 중 하나를 표준 소리로 설정할 수 있는 표준설정부(도면미도시); 표준설정부(도면미도시)에서 설정된 표준 소리와, 표준 소리와 다른 제1 소리를 비교할 수 있는 소리비교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소리는 스윙이 우수한 선수의 소리(타격음)가 표준 소리(표준 타격음)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소리는 초보 사용자들이 스윙할때 움직임 추(21; 21')가 접촉면(128; 128')을 타격할 때 나는 소리(타격음)로서, 표준 소리와 다른 데시벨을 갖는 소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90)에는 표준 소리를 외부로 틀어주거나, 표준 소리와 제1 소리를 비교하여 틀어줄 수 있는 스피커(도면 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소리는 스윙이 우수한 선수의 소리(타격음), 제1 소리는 초보 사용자들의 소리(타격음)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윙이 우수한 선수(사용자)들의 소리(타격음)를 표준 소리(표준 타격음)로 설정한 후, 초보 사용자들에게 표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윙이 우수한 선수(사용자)들의 소리(타격음)와 초보 사용자들의 소리(타격음)를 비교하게 들려줌으로써, 초보 사용자들이 이를 듣고 스윙 문제점을 찾아 고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8)
-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움직임 추가 제공되는 임팩트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부는,
상기 움직임 추에 연결되며, 상기 움직임 추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임팩트조절부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조절부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장력조절부재; 및
상기 탄성부와 접촉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와 상대적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 측에는 일정 이상 압력으로 가압되었을때 눌러질 수 있는 버튼부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버튼부가 눌려졌을 때 알람을 낼 수 있는 알람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도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움직임 추가 전진할 때 상기 움직임 추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스윙연습도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도구.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보다 큰 하중을 갖는 회전 추를 포함하는
스윙연습도구.
- 제1 항에 기재된 스윙연습도구; 및
상기 스윙연습도구와 통신가능하게 제공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스윙연습도구의 움직임 추가 본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결과표시부가 제공되는
스윙연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296A KR20240044825A (ko) | 2022-09-29 | 2022-09-29 |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296A KR20240044825A (ko) | 2022-09-29 | 2022-09-29 |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4825A true KR20240044825A (ko) | 2024-04-05 |
Family
ID=9071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4296A KR20240044825A (ko) | 2022-09-29 | 2022-09-29 |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4825A (ko) |
-
2022
- 2022-09-29 KR KR1020220124296A patent/KR202400448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7846B2 (en) | System for selecting components of a modular bat | |
US8074495B2 (en) | Waggle weight and other preparatory period equipment measurements | |
US8241138B2 (en) |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sports playing abilities | |
US7396288B2 (en) | Putting training device | |
US20090018795A1 (en) | Muscle training appratus and method | |
US2002108A (en) | Exercising device | |
JP2015506114A (ja) | モバイルデバイスの動きに合致する動的でカスタマイズされたスポーツ指導を提供する方法 | |
US8944942B2 (en) | Apparatus suspension system | |
WO2018118926A1 (en) |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 |
JP2017507700A (ja) |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 |
US20200074881A1 (en) |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 |
US20130303297A1 (en) | T/P weights 5 | |
CN116114003A (zh) | 被配置为关联抓握压力与动作质量的系统和方法 | |
KR20220108381A (ko) |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 |
KR20240044825A (ko) | 스윙연습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윙연습 시스템 | |
US4635935A (en) | Audible-physical coordination racket | |
JP4293868B2 (ja) | 素振り用練習器 | |
JP6689879B2 (ja) | ユニバーサル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 |
US20160089561A1 (en) | Apparatus suspension system | |
KR102566058B1 (ko) | 골프 스윙을 위한 투웨이 연습 배트 | |
RU2762372C1 (ru) |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и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техники подач в теннисе | |
KR102242695B1 (ko) | 스윙운동기구의 무게중심을 매우 쉽고 안전하게 변경 및 조정하는 기구 | |
JP3125158U (ja) | ゴルフクラブ | |
KR20080101308A (ko) |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 |
KR20090098035A (ko) |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