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456A -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456A
KR20240044456A KR1020247006753A KR20247006753A KR20240044456A KR 20240044456 A KR20240044456 A KR 20240044456A KR 1020247006753 A KR1020247006753 A KR 1020247006753A KR 20247006753 A KR20247006753 A KR 20247006753A KR 20240044456 A KR20240044456 A KR 2024004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ischarge valve
valve
discharge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넬리스 얀 요헴슨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4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2Pivo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 B65B2210/08Cleaning nozzles, funnels or guides through which articles are introduced into containers or wra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분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퍼는 호퍼 유입구, 호퍼 토출구, 및 호퍼 토출구 내의 토출 밸브를 포함하되, 토출 밸브는 개별 약물이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개별 약물이 낙하 방향으로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고, 토출 밸브는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호퍼 토출구 내에 개별 약물을 지지하는 측에 유지면을 획정하는 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은 개별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단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 내에 사용하기 위한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 10,457,427 B2에는, 고체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피더 유닛을 갖는 피더부, 및 복수의 피더 유닛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의 호퍼를 갖는 수집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호퍼는 하나 이상의 피더 유닛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피더 유닛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각각의 호퍼는 아래의 패킹 유닛에 고체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구, 및 호퍼 토출구의 분배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분배 밸브는 호퍼 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다.
공지된 호퍼의 단점은 호퍼가 복수의 피더 유닛을 따라 신속한 단차식 회전으로 이동되는 원형 호퍼 어레이의 일부라는 데에 있다. 그 결과, 호퍼 토출구 내에 수집되는 고체 물질에는, 고체 물질을 예측 불가능하게 거동하게 하는 갑작스러운 수평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진다. 특히, 고체 물질은 서로 및 호퍼의 내표면에서 튕겨나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개별 약물이 손상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호퍼가 패킹 유닛 위의 패킹 위치로 단차식 이동한 직후에 분배 밸브가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분배 밸브 바로 위의 호퍼 토출구에 담긴 고체 물질 중 일부는 여전히 튕겨나갈 수 있어서 즉각적으로 낙하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튕겨나감의 결과로, 고체 물질의 궤적이 예측 불가능해진다. 일부 고체 물질은 패킹 유닛의 수용 깔때기의 외부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퍼 내에 수집되는 모든 고체 물질이 정확히 분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 센서 또는 대기 시간 증가와 같은 예방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로부터의 개별 약물 분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 내에 사용하기 위한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가 제공되며, 호퍼는 호퍼 유입구, 호퍼 토출구, 및 호퍼 토출구 내의 토출 밸브를 포함하되, 토출 밸브는 개별 약물이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개별 약물이 낙하 방향으로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고, 토출 밸브는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호퍼 토출구 내에 개별 약물을 지지하는 측에 유지면을 획정하는 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은 개별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단면을 구비하되, 상기 단면은 트로프 형상(trough-shaped)이다. 호퍼는 토출 밸브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밸브 위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낙하하는 개별 약물의 운동 에너지는, 개별 약물이 분배 전에 신뢰할 만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는 유지면의 바닥에 도달하기 전에, 트로프 형상 단면의 하향으로 각지거나 테이퍼진 측면들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별 약물이 트로프 형상 단면으로부터 다시 튕겨나갈 가능성이 적다.
아울러, 복수의 피더 위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패킹 위치를 따라 회전하는 분배 장치 내의 원형 호퍼 어레이의 일부인 호퍼에는, 급속 단차식 측방 운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고, 이는 유지면 상에 지지되는 개별 약물에 수평력과 원심력을 모두 발생시킬 수 있다. 트로프 형상 단면은 긴밀하게 패킹된 방식으로 복수의 개별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부피를 형성하여, 개별 약물이 서로 튕겨나가고/거나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로프 형상 단면은 개별 약물이 회전하는 원형 호퍼 어레이 상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강제된 상태로 유지면의 트로프 형상 단면의 바닥에 가능한 한 가깝게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호퍼의 각각의 단차식 이동으로 개별 약물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예측 불가능한 튕겨나감 및/또는 손상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센서에 의한 밸브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의 검출은 정확한 작동, 및/또는 작동 중 토출 밸브에서 일어나는 임의의 결함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개별 약물의 적어도 일부가 토출 밸브와 호퍼 토출구 사이에 끼어있기 때문에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 정확히 복귀하지 않을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기술적 효과는 개별 약물이 분배 순간에 서로 및/또는 호퍼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추가로 보장한다. 그 결과, 개별 약물은 균일하게 및/또는 실질적인 지연 없이, 특히 상기 개별 약물 사이의 상당한 궤적 변경 접촉의 가능성이 거의 없이 낙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밸브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단면은 밸브축과 평행하다. 다시 말하면, 토출 밸브는 밸브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로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될 때, 유지면은 트로프 형상이 테이퍼지는 방향으로 개별 약물 밑에서부터 하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는 중간-평면의 양측으로부터 낙하 방향으로 수렴되는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반부들은 개별 약물이 유지면의 하부를 향하여 낙하함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편향시키고, 그 과정에서 개별 약물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는 상기 중간-평면에 대해 대칭이다. 그 결과, 개별 약물은 어느 하나의 절반부와 접촉할 때 유사하게 거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밸브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중간-평면은 밸브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될 때, 유지면은 절반부들이 테이퍼지는 방향으로 개별 약물 밑에서부터 하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는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를 상호연결하는 밸리를 추가로 포함하되, 밸리는 선형으로 연장된다. 개별 약물은 균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어느 정도 일렬종대로 유지면 상에 수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개별 약물은 보다 균일하게 낙하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V자형이다. V자형 단면의 경사진 측벽들은 유지면의 바닥을 향하여 개별 약물을 효과적으로 편향시키고/거나 상기 개별 약물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다. V자형 단면처럼, 오목한 단면의 오목한 측벽들은 개별 약물을 편향시키고/거나 이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에 마찬가지로 적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면에서, 유지면은 폭 및 폭의 적어도 절반인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단면은 복수의 개별 약물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깊거나 가파를 수 있되, 개별 약물이 상기 단면 내에 획정되는 부피로부터 또는 그 밖으로 다시 튕겨나갈 가능성이 감소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면은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을 이루는 길이 방향을 갖는다. 유지면의 경사진 배향은 개별 약물이 특히 호퍼 어레이의 회전 중에 가해지는 앞서 언급된 원심력의 영향 하에 이의 트로프 형상 단면 내에 안착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호퍼는 유지면이 원심력에 수직이거나 둔각을 이루도록 호퍼 어레이 내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호퍼는 핀을 구비하고,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토출 밸브는 핀의 위치에서 핀을 수용하는 보강 부싱을 구비한다. 보강 부싱은 토출 밸브의 반복된 개방 및 폐쇄 주기 후에 토출 밸브의 조기 마모 및 핀으로부터의 탈착을 방지함으로써 호퍼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강 부싱은 핀과 평행한 축방향에서 상기 보강 부싱 바로 주위의 밸브 바디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밸브 바디의 잔여부는 핀에 비해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보강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두께를 단지 국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토출 밸브의 전체 중량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토출 밸브를 이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레버는 수동으로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호퍼의 일부일 수 있거나 상기 호퍼의 외부, 예를 들어 분배 장치의 패킹 위치들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호퍼의 호퍼 토출구 내에 사용하기 위한 토출 밸브가 제공되며, 토출 밸브는 사용중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호퍼 토출구 내에 개별 약물을 지지하는 측에 유지면을 획정하는 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은 개별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단면을 구비하되, 상기 단면은 트로프 형상이다.
토출 밸브는 호퍼의 일부로서 상기에 설명된 토출 밸브에 대응하고, 이로써 동일한 기술적 이점을 갖고,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토출 밸브는 종래의 호퍼에 개량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는 중간-평면의 양측으로부터 낙하 방향으로 수렴되는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는 상기 중간-평면에 대해 대칭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는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를 상호연결하는 밸리를 추가로 포함하되, 밸리는 선형으로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V자형이다.
대안적으로,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면에서, 유지면은 폭 및 폭의 적어도 절반인 깊이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밸브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토출 밸브는 밸브축의 위치에서 보강 부싱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보강 부싱은 밸브축과 평행한 축방향에서 상기 보강 부싱 바로 주위의 밸브 바디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토출 밸브를 이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에서의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의 용도가 제공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가 제공되며, 분배 장치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토출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 오프너, 및 밸브 오프너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토출 밸브를 가속하기 위해 밸브 오프너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토출 밸브는 9.81 m/s2 이상으로 가속된다.
따라서, 유지면은 중력보다 빠르게 개별 약물 밑에서부터 하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개별 약물은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자유 낙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별 약물은 상기 호퍼 밑의 패킹 유닛의 슈트 내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다. 특히,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한 후에 토출 밸브가 개별 약물의 궤적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로서, 토출 밸브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밸브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의 검출은 정확한 작동, 및/또는 작동 중 토출 밸브에서 일어나는 임의의 결함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개별 약물이 토출 밸브와 호퍼 토출구 사이에 끼어있기 때문에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 정확히 복귀하지 않을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분배 장치의 실시예에서, 밸브 위치 센서는 검출 영역의 제1 단부에 송신기 및 수신기, 및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검출 영역의 제2 단부에 반사기를 포함하고, 토출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 검출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개방 위치에서 검출 영역을 벗어난다. 신호 또는 상기 신호의 중단을 검출함으로써, 토출 밸브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기는 수평 검출 방향으로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위치 센서는 삼각 측량 또는 보간의 필요성 없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토출 밸브의 위치를 신뢰할 만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밸브 위치 센서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각각의 밸브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의 존재 또는 부재를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를 사용하여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 개별 약물이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 토출 밸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 토출 밸브의 유지면 상에서 호퍼 토출구 내에 개별 약물을 지지하는 단계; 및
- 개별 약물이 호퍼 토출구를 통해 호퍼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토출 밸브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호퍼의 실제 구현과 관련이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기술적 이점을 갖고,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토출 밸브는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가속된다.
선택적으로, 토출 밸브는 9.81 m/s2 이상으로 가속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토출 밸브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는 수평 검출 방향으로 검출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검출 단계는 토출 밸브의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센서가 밸브 자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의 작은 오프셋조차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 및 도시된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은 가능한 경우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태, 특히 첨부된 종속항에 기재된 양태 및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반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호퍼 내에 수집되는 개별 약물을 분배하기 위한 토출 밸브와 함께, 상기 호퍼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II-II 라인에 따라 잘라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토출 밸브가 호퍼의 잔여부로부터 분리된, 호퍼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IV-IV 라인에 따라 잘라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4에 따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토출 밸브가 폐쇄 위치로 복귀한, 도 4에 따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4에 따른 호퍼의 단면도를 도시하되, 상기 호퍼 위의 카메라 및 복수의 피더 유닛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은 개별 약물, 개별 고체 약물, 약제, 또는 의료용 고체 아이템, 물품, 또는 물질(90), 예를 들어 알약, 정제, 캡슐 등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1)를 도시한다. 개별 약물(9)은 도 4 및 도 5에만 도시되어 있다. 약물은 호퍼(1) 내에 하나씩, 각자, 따로따로, 또는 복용량 단위로 수집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적'이다.
호퍼(1)는 이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10,457,427 B2에 개시된 장치와 유사한 분배 장치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분배 장치에서, 호퍼(1)는 복수의 피더 위치에 위치하는 피더 유닛들로부터 개별 약물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피더 위치들을 따라 단차식 회전 이동되는 원형 호퍼 어레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1)는 호퍼 유입구(2) 및 호퍼 토출구(3)를 포함한다. 호퍼 유입구(2)는 상단이 개방되고, 비교적 넓고, 호퍼 토출구(3)를 향하여 낙하 방향(D)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낙하 방향(D)은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호퍼 유입구(2)는 2개의 유입구 측벽(21, 22)을 포함한다. 호퍼 유입구(2)는, 서로를 향하여 테이퍼지고 2개의 유입구 측벽(21, 22)을 상호연결하는 유입구 후방벽(23) 및 유입구 전방벽(24)을 추가로 구비한다. 유입구 전방벽(24)은 호퍼(1)가 분배 장치 내에 배치될 때 원형 호퍼 어레이의 외부에 대향한다. 전방벽(24)은 분배 장치로/로부터 호퍼(1)를 수동으로 삽입하고/거나 인출하기 위해 핸들 또는 그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호퍼 토출구(3)는 호퍼 유입구(2)의 테이퍼링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 유입구(2)에 의해 수집되는 개별 약물(9)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호퍼 유입구(2)와 개방 연통한다. 호퍼 토출구(3)는 호퍼(1)로부터 개별 약물(9)을 분배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낙하 방향(D)으로 개방된다. 호퍼 토출구(3)는 2개의 토출구 측벽(31, 32), 및 2개의 토출구 측벽(31, 32)을 상호연결하는 토출구 후방벽(33)을 포함한다.
호퍼 토출구(3)는 먼지 또는 작은 입자가 후방벽(33)을 통해 호퍼 토출구(3)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벽(33)에 먼지 배출 채널(34) 및 먼지 배출 개구(35)를 추가로 구비한다. 호퍼 토출구(3)는 또한 호퍼(1)를 세척하는 진공 공급원과의 연결을 위한 흡입 격자(36)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토출구(3), 실제로 호퍼(1) 전체는 중간-평면(M)에 대해 대칭이거나 실질적으로 대칭이지만, 다른 호퍼들에서는 상이할 수 있다.
호퍼(1)는 호퍼 토출구(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상기 호퍼 토출구(3)에 토출 도어, 셔터, 또는 밸브(4)를 추가로 구비한다. 특히, 토출 밸브(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약물(9)이 호퍼 토출구(3)를 통해 호퍼(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4)에 의해 개별 약물(9)이 낙하 방향(D)으로 호퍼 토출구(3)를 통해 호퍼(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4)는 밸브축(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밸브축(S)은 중간-평면(M)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밸브(4)는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호퍼 토출구(4) 내에 개별 약물(9)을 지지하는 밸브 바디(40)의 측에 유지면(V1)을 획정하는 밸브 바디(40)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유지면(V1)은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바디(40)의 상부 대향측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40)는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다. 유지면(V1)은 상기 길이 방향(L)과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토출 밸브(4)의 폐쇄 위치에서, 밸브 바디(40)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K)으로 배치된다. 특히, 밸브 바디(40)는 호퍼 토출구(3)의 후방벽(33)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 2는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바디(40)의 단면(C1)을 도시한다. 단면(C1)은 밸브축(S)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 단면(C1)은 밸브축(S)과 평행하게 수직면에서 취해진 것이다. 단면(C1)은 또한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평면에서 취해진 것일 수도 있다. 단면(C1)은 트로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트로프 형상'이라는 용어는 오목한 방식으로 개별 약물(9)을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해 상향 개방되는 밸브 바디(40)의 오목한 부피를 획정하는 단면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단면(C1)은 밸브 바디(40)의 길이 방향(L)으로 길고 좁은 채널형 부피를 획정한다. 단면(C1)은 다면형, 오목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면(C1)은 V자형이거나 실질적으로 V자형이다. 특히, 밸브 바디(40)는 중간-평면(M)의 양측으로부터 낙하 방향(D)으로 수렴되는 제1 절반부(41) 및 제2 절반부(42)를 포함한다. 제1 절반부(41) 및 제2 절반부(42)는 바람직하게는 중간-평면(M)에 대해 예를 들어 45도 이하의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각도로 연장된다. 제1 절반부(41) 및 제2 절반부(42)는 상기 중간-평면(M)에 대해 대칭이거나 실질적으로 대칭임을 주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40)는 제1 절반부(41)와 제2 절반부(42)를 상호연결하는 밸리(4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밸리(43)는 선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간-평면(M) 내에 또는 이와 평행하게 및/또는 밸브 바디(40)의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밸리(43)는 호퍼 토출구(3)의 후방벽(33)의 먼지 배출 개구(35) 및 후방벽(33)의 반대측의 먼지 배출 채널(34)과 정렬됨을 주목한다.
도 2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면(V1)은 밸브축(S)과 평행한 방향의 폭(W) 및 낙하 방향(D)의 높이 또는 깊이(H)를 갖는다. 폭(W)은 밸브 바디(40)가 토출구 측벽들(31, 32) 사이에 잘 들어맞도록 선택된다. 높이(H)는 통상적으로 폭(W)의 적어도 절반으로 선택된다. 그러므로, 유지면(V1)은 폭(W)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는 밸브축(S)을 중심으로 토출 밸브(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핀(38)을 구비한다. 핀(38)의 위치에서, 토출 밸브(4)는, 핀(38)을 수용하고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강 링 또는 부싱(48)을 구비한다. 보강 부싱(48)은 핀(38)과 평행한 축방향에서 상기 보강 부싱(48) 바로 주위의 밸브 바디(40)보다 두꺼운 두께(T)를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강 부싱(48)의 두께(T)는 상기 보강 부싱(48) 바로 주위의 밸브 바디(40)의 두께의 대략 두배이다. 보강 부싱(48)은 바람직하게는 밸브 바디(40)의 잔여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토출 밸브(4)를 이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레버(44)를 추가로 포함한다. 레버(44)는 밸브 바디(40)의 반대편에 있는 레버축(S)의 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레버 측면(45) 및 제2 레버 측면(46)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레버 측면들(45, 46)은 암들로 형성된다. 레버(44)는 상기 레버(44)의 원위 단부에서 레버 측면들(45, 46)을 상호연결하는 레버 단부(47)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5는 호퍼(1)가 상기 호퍼(1)의 외부에 있는 밸브 오프너(5)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밸브 오프너(5)는 호퍼(1)가 배치되는 분배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밸브 오프너(5)는 토출 밸브(4)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레버(44),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단부(47)와 상호작용하는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스테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오프너(5)는 호퍼(1)가 분배 위치, 특히 패킹 유닛의 거의 또는 바로 위에 있을 때 토출 밸브(4)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패킹 유닛에 전략적으로 위치한다. 분배 장치는 밸브 오프너(5)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 오프너(5)에 작동가능하게 및/또는 전자식으로 연결되는 제어 유닛(8)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유닛(8)은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즉 9.81 m/s2 이상으로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 화살표(R)로 도 5에 도시된 개방 위치를 향하여 토출 밸브(4)를 가속하기 위해 밸브 오프너(5)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배치, 및/또는 구성된다. 그 결과, 유지면(V1)은 개별 약물(9)이 호퍼 토출구(3)로부터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중력보다 빠르게 개별 약물(9) 밑에서부터 하강하거나 당겨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4)는 토출 밸브(4)가 하강을 안내하고/하거나 늦추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보다 느리게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는 밸브 오프너(5)가 개방 위치로부터 토출 밸브(4)를 해제하면 폐쇄 위치로 토출 밸브(4)를 복귀시키는 복귀 부재(7),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과 같은 편향 요소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는 예를 들어 원형 호퍼 어레이가 다른 단차에 걸쳐 회전될 때 일어날 수 있고, 패킹 위치 바로 위에 및 상기 패킹 위치와 연관된 밸브 오프너(5)에 사전 위치된 호퍼(1)는 이제 밸브 오프너(5)로부터 패킹 위치 하류의 후속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후속 위치에서, 분배 장치는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였는지 점검하는 밸브 위치 센서(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토출 밸브(4)는 토출 밸브(4)와 호퍼(1) 사이에 무언가, 예를 들어 개별 약물(9) 또는 적시에 호퍼 토출구(3) 밖으로 낙하하는 데에 실패한 약물의 일부가 끼어있을 때 정확하게 복귀할 수 없다. 밸브 위치 센서(6)는 검출 영역(A)의 제1 단부에 송신기(60) 및 수신기(61), 및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검출 영역(A)의 제2 단부에 반사기(62)를 포함한다. 송신기(60)는 광 빔(B),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레이저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61)는 광 빔(B)의 스펙트럼에 민감한 광전지일 수 있다.
도 6에 파선으로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토출 밸브(4)는 검출 영역(A)을 벗어나 연장된다. 이 경우, 광 빔(B)은 송신기(60)로부터 반사기(62)로, 및 다시 수신기(61)를 향하여 방해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토출 밸브(4)는 검출 영역(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토출 밸브(4), 특히 이의 레버(44)는 광 빔(B)과 교차하고, 반사기(62)로부터 멀어지게 광 빔(B)을 편향시킨다. 그러므로,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함을 나타내는 신호는 검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4)가 완전히 폐쇄될 때 신호가 검출되고 토출 밸브(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때 신호가 검출되지 않도록 송신기(60), 반사기(61), 및 수신기(62)를 위치시킴으로써, 밸브 위치 센서(6)의 작동은 대안적으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송신기(60) 및 반사기(62)는, 폐쇄 위치로부터의 토출 밸브(4)의 약간의 오프셋으로도, 레버(44)가 광 빔(B)의 경로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도록, 위치한다. 그러므로, 토출 밸브(4)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때 신호가 검출된다. 선택적으로, 검출 방향(E)은 수평이거나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다시 말하면, 광 빔(B)은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방출 및 반사된다.
제어 유닛(8)은 밸브 위치 센서(6)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또는 이의 부재)를 수신 및 처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분배 작동을 중단시키고/거나 조작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상기 밸브 위치 센서(6)에 작동가능하게 및/또는 전자식으로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호퍼(101)를 도시하되, 이는 토출 밸브(104)가 오목한 단면(C2)을 갖는 대안적인 유지면(V2)을 획정하는 밸브 바디(14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앞서 논의된 호퍼(1)와 상이하다. 특히, 밸브 바디(140)의 2개의 절반부(141, 142)가 아치형이며 중간-평면(M)의 양측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수렴되거나 테이퍼진다. V자형 대응부처럼, 오목한 유지면(V2)은 상기 중간-평면(M)에 대해 대칭이다. 또한, 이는 폭(W)의 적어도 절반에 상응하는 높이(H)를 갖는다. 그러므로, 대안적인 유지면(V2)은 오목한 방식으로 개별 약물(9)을 수용하기에 마찬가지로 아주 적합하다.
도 8은 앞서 언급된 호퍼(1)를 그 위의 피더 유닛들(F)과 관련하여 도시한다. 피더 유닛들(F)은 호퍼 유입구(2) 내로 개별 약물(9)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호퍼(1)는 호퍼 유입구(2)를 통한 각각의 낙하 궤적을 최적화하기 위해 호퍼 유입구(2)의 중앙 영역에서 개별 약물(9)을 편향시킬 수 있는 편향 부재(200)를 호퍼 유입구(2) 내에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이를 통해, 일부 개별 약물(9)이 다른 약물보다 긴 궤적을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편향 부재(3)의 형상은, 모든 개별 약물(9)이, 이들이 기인한 피더 유닛(F)의 위치와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호퍼 토출구(3)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최적화된다. 선택적으로, 편향 부재(200)는 편향 부재(200)와 호퍼 유입구(2) 모두의 손쉬운 세척 및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호퍼 유입구(2)로부터 착탈가능하다.
편향 부재(200)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편향각(X)으로 연장되는 제1 편향면(201) 및 제2 편향면(202)을 포함한다. 편향각(X)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40도 내지 50도의 범위로 선택된다. 이 예에서, 편향각(X)은 대략 45도이다. 편향면들(201, 202)은 반전된 V자형처럼 호퍼 유입구(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반대로 각진다. 이 예에서, 편향면들(201, 202)은 단일체의 일부이다. 대안적으로, 편향 부재(200)는 각각 자체 편향면(201, 202)을 구비한 2개 이상의 별개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편향면들(201, 202)은 개별 약물(9)의 낙하를 중단할 수 있다. 경사진 편향각(X)은 상기 개별 약물(9)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편향 부재(200)는 호퍼(1) 위에 위치하는 카메라(C)와 토출 밸브(4) 사이의 명확한 가시선(Z)을 제공하는 관통공(203)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예에서, 가시선(Z)은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C)는 토출 밸브(4) 위에 수직으로 정렬된다. 이 예에서, 관통공(203)은 편향면들(201, 202)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관통공(203)의 치수는 카메라(C)의 시계보다 크거나, 이에 부합하거나 실질적으로 부합하도록 선택된다. 카메라(C)는 토출 밸브(4)가 정확하게 개방되었거나 폐쇄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또는 임의의 개별 약물(9) 또는 다른 물질이 호퍼 토출구(3) 내에 남아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C)는 피더 유닛들(F) 사이의 전용 카메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피더 유닛(F)에 의해 일반적으로 점유되는 위치들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C)는 이러한 피더 유닛(F)을 위한 도킹 베이스에 들어맞도록 조정될 수 있되, 가시선은 각각의 피더 유닛(F)으로부터 호퍼(1) 내로 개별 약물(9)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구를 통해 진행된다. 대안적으로, 카메라(C)는 호퍼 토출구(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되, 가시선은 상부를 향한다. 이 경우, 백라이트가 호퍼(1)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된 호퍼들(1, 101)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개별 약물(9)을 수집 및 분배하는 방법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개별 약물(9)이 호퍼 토출구(3)를 통해 호퍼(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복수의 개별 약물(9)이 유지면(V1) 상에 지지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트로프 형상 단면(C1)으로 인해, 유지면(V1)은 긴밀하게 패킹된 또는 안착된 방식으로 복수의 개별 약물(9)을 수용하여, 상기 개별 약물(9)이 서로 튕겨나가거나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5는 개별 약물(9)이 호퍼 토출구(3)를 통해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 후의 상황을 도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4)는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가속된다. 이를 통해,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한 후에 토출 밸브(4)가 개별 약물(9)의 궤적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면(V1) 상에 사전 지지된 개별 약물(9) 그룹은 유지면(V1) 상의 원래 상대 위치와 유사하게 서로 상대적으로 매우 근접하게 유지되면서 자유 낙하를 시작하였다. 개별 약물(9) 간의 상대 이동이 없거나 거의 없이, 개별 약물(9) 사이의 궤적 변경 접촉이 가능한 한 많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토출 밸브(4)가 폐쇄 위치로 복귀한 후의 상황을 도시하되, 밸브 위치 센서(6)가 사전 설명된 방식으로 상기 정확한 폐쇄를 검출한다.
상기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작동을 예시하기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논의로부터, 여전히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 의해 포괄되는 많은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1 호퍼
2 호퍼 유입구
21 유입구 측벽
22 유입구 측벽
23 유입구 후방벽
24 유입구 전방벽
3 호퍼 토출구
31 토출구 측벽
32 토출구 측벽
33 토출구 후방벽
34 먼지 배출 채널
35 먼지 배출 개구
36 흡입 격자
38 핀
4 토출 밸브
40 밸브 바디
41 제1 절반부
42 제2 절반부
43 밸리
44 레버
45 제1 레버 측면
46 제2 레버 측면
47 레버 단부
48 보강 부싱
5 밸브 오프너
6 밸브 위치 센서
60 송신기
61 수신기
62 반사기
7 복귀 부재
8 제어 유닛
9 개별 약물
101 대안적인 호퍼
104 토출 밸브
140 밸브 바디
141 제1 절반부
142 제2 절반부
200 편향 부재
201 제1 편향면
202 제2 편향면
203 관통공
A 검출 영역
B 빔
C 카메라
C1 단면
C2 대안적인 단면
D 낙하 방향
E 검출 방향
F 피더 유닛
G 중력
H 깊이
K 경사각
L 길이 방향
M 중간-평면
R 회전
S 밸브축
T 두께
V1 유지면
V2 대안적인 유지면
W 폭
X 편향각
Z 가시선

Claims (26)

  1. 개별 약물(9)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1, 101)로서, 상기 호퍼(1)는 호퍼 유입구(2), 호퍼 토출구(3), 및 상기 호퍼 토출구(3) 내의 토출 밸브(4, 104)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상기 토출 밸브(4, 104)에 의해 상기 개별 약물(9)이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토출 밸브(4, 104)에 의해 상기 개별 약물(9)이 낙하 방향(D)으로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상기 토출 밸브(4, 10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호퍼 토출구(3) 내에 상기 개별 약물(9)을 지지하는 밸브 바디(40, 140)의 측에 유지면(V1, V2)을 획정하는 상기 밸브 바디(40, 140)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V1, V2)은 상기 개별 약물(9)을 수용하기 위한 단면(C1, C2)을 구비하되, 상기 단면(C1, C2)은 트로프 형상이고,
    상기 호퍼는 상기 토출 밸브(4, 104)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밸브 위치 센서(6)를 추가로 포함하는, 호퍼(1, 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밸브축(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단면(C1, C2)은 상기 밸브축(S)과 평행한, 호퍼(1, 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40, 140)는 중간-평면(M)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낙하 방향(D)으로 수렴되는 제1 절반부(41, 141) 및 제2 절반부(42, 142)를 포함하는, 호퍼(1, 1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부(41, 141) 및 상기 제2 절반부(42, 142)는 상기 중간-평면(M)에 대해 대칭인, 호퍼(1, 10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밸브축(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중간-평면(M)은 상기 밸브축(S)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호퍼(1, 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위치 센서(6)는 검출 영역(A)의 제1 단부에 송신기(60) 및 수신기(61),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검출 영역(A)의 제2 단부에 반사기(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검출 영역(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개방 위치에서 상기 검출 영역(A)을 벗어나는, 호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60)는 수평 검출 방향(E)으로 빔(B)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호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C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한, 호퍼(10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C1, C2)에서, 상기 유지면(V1, V2)은 폭(W) 및 상기 폭(W)의 적어도 절반인 깊이(D)를 가지는, 호퍼(1, 10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V1, V2)은 상기 토출 밸브(4, 10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K)을 이루는 길이 방향(L)을 가지는, 호퍼(1, 10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 101)는 핀(38)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상기 핀(3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상기 핀(38)의 위치에서 상기 핀(38)을 수용하는 보강 부싱(48)을 구비하는, 호퍼(1, 10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싱(48)은 상기 핀(38)과 평행한 축방향에서 상기 보강 부싱(48) 바로 주위의 상기 밸브 바디(40, 140)보다 두꺼운 두께(T)를 가지는, 호퍼(1, 10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이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레버(44)를 추가로 포함하는, 호퍼(1, 10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6)는 상기 레버(44)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검출하는, 호퍼.
  15. 개별 약물(9)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1, 101)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로서, 상기 호퍼(1)는 호퍼 유입구(2), 호퍼 토출구(3), 및 상기 호퍼 토출구(3) 내의 토출 밸브(4, 104)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상기 토출 밸브(4, 104)에 의해 상기 개별 약물(9)이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토출 밸브(4, 104)에 의해 상기 개별 약물(9)이 낙하 방향(D)으로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상기 토출 밸브(4, 10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호퍼 토출구(3) 내에 상기 개별 약물(9)을 지지하는 밸브 바디(40, 140)의 측에 유지면(V1, V2)을 획정하는 상기 밸브 바디(40, 140)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V1, V2)은 상기 개별 약물(9)을 수용하기 위한 단면(C1, C2)을 구비하되, 상기 단면(C1, C2)은 트로프 형상이고, 상기 분배 장치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 오프너(5), 및 상기 밸브 오프너(5)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유닛(8)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8)은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가속하기 위해 상기 밸브 오프너(5)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9.81 m/s2 이상으로 가속되는, 분배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토출 밸브(4, 104)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밸브 위치 센서(6)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위치 센서(6)는 검출 영역(A)의 제1 단부에 송신기(60) 및 수신기(61),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검출 영역(A)의 제2 단부에 반사기(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검출 영역(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개방 위치에서 상기 검출 영역(A)을 벗어나는, 분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60)는 수평 검출 방향(E)으로 빔(B)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간에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이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레버(4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6)는 상기 레버(44)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토출 밸브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검출하는, 분배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호퍼(1, 101)를 사용하여 개별 약물(9)을 수집 및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개별 약물(9)이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토출 밸브(4, 104)의 상기 유지면(V1, V2) 상에서 상기 호퍼 토출구(3) 내에 상기 개별 약물(9)을 지지하는 단계; 및
    - 상기 개별 약물(9)이 상기 호퍼 토출구(3)를 통해 상기 호퍼(1, 101)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기 토출 밸브(4, 104)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중력 가속도보다 빠르게 가속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 104)는 9.81 m/s2 이상으로 가속되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토출 밸브(4, 104)의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는 수평 검출 방향(E)으로 검출되는,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토출 밸브(4, 104)의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06753A 2021-07-30 2022-07-29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240044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8894A NL2028894B1 (en) 2021-07-30 2021-07-30 Hopper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discrete medicaments, outlet valv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said hopper and method
NL2028894 2021-07-30
PCT/EP2022/071457 WO2023007004A1 (en) 2021-07-30 2022-07-29 Hopper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discrete medicaments, outlet valv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said hopper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456A true KR20240044456A (ko) 2024-04-04

Family

ID=7882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753A KR20240044456A (ko) 2021-07-30 2022-07-29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77924A1 (ko)
KR (1) KR20240044456A (ko)
CN (1) CN117940975A (ko)
AU (1) AU2022317286A1 (ko)
CA (1) CA3225928A1 (ko)
NL (1) NL2028894B1 (ko)
WO (1) WO20230070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736B1 (en) * 1999-11-09 2004-09-21 Sanyo Electric Co., Ltd Solid drug filling device
JP2001287702A (ja) * 2000-04-11 2001-10-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KR100591519B1 (ko) * 2005-06-01 2006-06-2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알약 투입 감지장치
KR100807994B1 (ko) * 2006-11-02 2008-02-28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라스트호퍼 진동방법 및 장치
TWI585017B (zh) * 2009-08-28 2017-06-0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A medicine discharge device, a hopp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05198A1 (ja) * 2012-01-11 2013-07-18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NL2010673C2 (en) * 2013-04-19 2014-10-21 Vmi Holland Bv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
NL2016663B1 (en) 2016-04-22 2017-11-16 Vmi Holland Bv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solid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7924A1 (en) 2024-06-05
AU2022317286A1 (en) 2024-02-01
CN117940975A (zh) 2024-04-26
NL2028894B1 (en) 2023-02-02
WO2023007004A1 (en) 2023-02-02
CA3225928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836B2 (en) Centrifugal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EP138958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pills
US6343711B1 (en) Medicament dispensing cell
US6311462B2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packaging friable tablets
EP1650143B1 (en) Article positioning machine
US5966910A (en) Automatic machine for packaging tablets in gelatine capsules
EP2987147B1 (en)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
KR20240044456A (ko) 개별 약물을 수집 및 분배하기 위한 호퍼, 토출 밸브, 상기 호퍼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 및 방법
JP7223039B2 (ja) 打錠機の排出シュート及び打錠機において製造された後のペレットを選別する方法
CN217675201U (zh) 一种气雾瓶的瓶盖筛选装置
JP2002306952A (ja) 定量供給装置
JP2805019B2 (ja) 自動型押し機の丸ブランク通路から丸ブランク不良品を選別する装置
CN113820509B (zh) 一种上料装置
EP2544950B1 (en) Blister sheet loading apparatus with bounce prevention means
JP2561259Y2 (ja) 錠剤収納取出装置
EP0351381B1 (en) Automatic device for removing sundry articles, in particular capsules, tablets and comfits, from their related compartments in a blister pack strip
US20020194815A1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packaging friable tablets
JPH0242311Y2 (ko)
JPH04349979A (ja) 選穀機に於ける石集積検知装置、及び石排出口開閉装置
EP1591360A2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packaging friable tablets
JPS6311186A (ja) パチンコ機等におけるセ−フ球処理装置
JPH04107726U (ja) 部品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