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721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721A
KR20240043721A KR1020230131051A KR20230131051A KR20240043721A KR 20240043721 A KR20240043721 A KR 20240043721A KR 1020230131051 A KR1020230131051 A KR 1020230131051A KR 20230131051 A KR20230131051 A KR 20230131051A KR 20240043721 A KR20240043721 A KR 2024004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information
accommodation
room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51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72168A1/ko
Publication of KR2024004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인터넷 또는 폐쇄형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고유 CID(Contents 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상기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중에서, 하나의 위도 및 하나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해당되는 1개의 고유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상의 특정 블록 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데이터를 1개 이상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ACCOMMODATION SHARING DEVICE USING THE BLOCKCHA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예: 점유권 암호화 코드)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주택 블록을 블록체인화 할 수 있는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예: 점유권 암호화 코드)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주택 블록을 블록체인화 할 수 있는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예: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숙소들에 대한 점유권 이전 기능이 있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여행객들의 집 또는 방을 일반 여행객과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예: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숙소들에 대한 점유권 이전 기능이 있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현 시대의 사람들은 다양한 공유경제 환경에 살고 있다. 공유경제는,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를 의미하는데, 쉽게 말해 "나눠쓰기"란 뜻으로 자동차, 빈방, 책 등 활용도가 떨어지는 물건이나 부동산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자원활용을 극대화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소유자 입장에서는 재화에 대한 활용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 값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소비형태를 말 한다. 기존 공유 경제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방식이었다면, 최근에는 아파트 곳곳에서 ‘커뮤니티 공유 경제’라는 형태로써 입주민끼리 물품이나 서비스를 함께 이용하는 것들도 나타나고 있다.
그 중 부동산의 경우, 숙소 공유 서비스를 표방하는 대표적인 사례로써, 2008년 8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된 애어비앤비가 있으나, 이는 숙소 공유 서비스가 아니라 민박 판매 서비스로써, 일반인들이 사용하던 집이나 방에 대해 숙박료를 지불하고 렌트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공유경제는 2008년 미국발 경제 위기의 충격이후 새롭게 탄생한 개념으로 로렌스 레식(Lawrence Lessig) 하버드대 법대 교수가 처음 만들어 낸 것으로써,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특징인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에 대비해 생겨난 개념이다. 즉, 공유경제에 따른 숙소(또는 부동산) 공유라면, 서로 숙소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근본적으로는 해당 공유 거래들은 판매를 하여 수익을 얻어 내면 안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시장 경제에 따른 숙소 판매가 된다.
그런 점에서 공유 숙소라면 시장에 나와 있는 상업용 숙박업소인 호텔 또는 민박에 숙박료를 지불하고 집이나 방을 빌려 쓰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여행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각자 자기가 원할 때 필요한 위치와 조건에 해당하는 다른 사람들의 집(또는 방)을 비용지출 없이 자신의 숙소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숙소의 공유를 위한 수요와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보니 정작 공유 거래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숙소의 공유를 위한 수요와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는, 숙소 공유라는 것이 숙소 공유의 당사자 중 어느 한쪽만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숙소를 정한다고 성립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숙소를 공유할 당사자 양쪽이 필수적으로 동시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조건들도 각 상대방의 숙소에 대한 위치, 사용 일자, 침실 수 등 여러 가지 조건을 전부 인정할 수 있어야 성립되며, 결과적으로는 단 한 가지 조건만 맞지 않아도 숙소 공유 거래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실제 숙소를 교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유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환경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현재의 숙소 공유 환경은 에어비앤비가 행하고 있는 서비스처럼, 단순한 민박 판매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숙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유할 숙소의 후보가 많아야 각 당사자 간 숙소의 공유 조건이 일치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모든 면에 있어서 후보 숙소를 많이 확보하여 공유 거래의 체결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다. 그런데 이 문제는 근본적으로 숙소간의 거리로부터 기인된다. 왜냐하면 여행 등을 위해 방문하고 싶은 지역에 있는 숙소의 위치가 근처의 가까운 동네이거나 지역에 있다면, 미리 방문하여 정상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숙소인지 아닌지 확인해 볼 수 있지만, 사실상 가까운 지역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숙소를 공유할 필요가 없고, 차량으로 얼마든지 이동하여 해당지역을 방문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숙소 공유가 필요한 환경은 여행, 출장 등을 위해 먼 거리의 숙소를 공유하려고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할 것이므로, 대 부분의 거리가 먼 여행지에 있는 숙소들이 공유 후보가 될 가능성이 큰데, 해당되는 먼 거리에 있는 숙소들이 정상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숙소인지 확인해 보기 위해 비용을 지출하면서 미리 방문해 보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기존의 기술인 디지털 도어락은, 출입문에 장착되며, 방(또는 집)의 입구인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와 실외에서 발생된 이벤트(예를 들어 도어락에 장착된 키패드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전자키가 도어락의 잠김상태가 해제될수 있는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 등)를, 유,무선으로 관련 장치에 전송하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출입문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거나 잠금 상태로 원상 복귀시키는 기술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일반 여행객들의 방(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최종적으로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숙소의 점유권을 획득 했을 때 비로소 숙소 공유 거래의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은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들의 방(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최종적으로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숙소의 점유권을 획득 했을 때 비로소 숙소 공유 거래의 목적은 달성된다.
숙소 공유 거래의 최종 목적은 부동산에 대한 점유권의 이전에 있다. 그런데,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사용하던 수만 마일 거리의 외국에 있는 숙소를 빌리기 위해서는, 내 숙소를 반드시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하는 필수적인 규칙을 지켜야 하는 상황이므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호간 신용의 동시 제공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부동산에 대한 점유권의 이전이라는 것은,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에 사람이 들어가서 점유를 해야 비로소 공유 대상이 되는 재화를 당사자가 획득한 것이 되므로, 어느 한쪽만 신용을 제공한다고 해도 안 되는 것이며, 동시에 불가역적으로 상호간 인정될 수 있는 조건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숙소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신뢰만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을 믿고 상대방의 숙소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방(또는 집)은, 상대방이 방문하는 날짜에 맞추어 제공한 상태에서, 수만 마일이 떨어져 있는 외국에 있는 숙소를 사용하기 위해 매우 큰 비용의 항공료와 시간을 소비하면서 해당하는 숙소가 있는 지역으로 방문 하였을 때, 막상 그 숙소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이유의 고의성 여부를 떠나), 상대방에게 숙소 또는 방(또는 집)만 제공한 채 정작 당사자는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상호 동시에 제공해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되는 공유 거래의 구성원인 여행객들 2명이 아니라 훨씬 더 많은 경우의 그룹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상호 동시에 제공해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되는 공유 거래의 구성원인 호텔 또는 여행객이 각 1명이 아니라 훨씬 더 많은 경우의 그룹들이 존재할 수 있다.
숙소 공유 거래의 특성은, 하나의 공유 그룹에 참여하는 모든 숙소(또는 방 등)들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숙소(또는 방 등)를 제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시작되는 것이므로, 거래 도중에 어느 1명의 구성원이 아주 미세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시간 단위를 변경하는 조건이 아닌, 날짜 자체를 다른 날짜로 변경하고 싶을 경우 모든 구성원들의 순차적인 해당 숙소에 대한 방문(또는 사용) 일정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같은 그룹 내 전체 구성원의 숙소 방문은 달성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위에서 기재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만 제공된다. 위의 내용 중 어느 것이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호텔 등의 상업용 숙박시설의 경우, 상업용 숙박시설의 주인들이 직접 여행하기 위해 업소가 보유하고 있는 숙소를 여행객들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숙박업소를 운영하는 목적에 완전히 배치되는 측면이 있다.
만약 상업용 숙박업소의 주인들이 그럴 수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숙박업소의 방은 공유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기간이 전체 기간 중 비어 있을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상업용 숙박시설이라는 점에서 공유만을 위해서 마냥 일정 기간 동안 계속 비워 놓을 수 없기 때문에, 방이 비어 있는 기간 등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여행객들에게 제공하지 못하면 공유 거래의 성사 확률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숙소 공유 자체는 공유를 위한 숙소를 제공하는 멤버들의 구성과 그들 간의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계약의 체결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유 대상이 되는 후보 숙소를 많이 확보하여, 거래의 체결 확률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관건이라는 점을 상술하였다.
숙소의 사용권한을 판매(렌트)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은, 웹 페이지를 통해 해당 정보를 네티즌들에게 제공하고 이에 해당하는 숙소의 사용 권한을 네티즌들이 구입하기 위한 URL로 된 인터넷 주소가 있는 개별 숙소 단위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포스트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한 방식은 각 개별 숙소단위로 웹페이지를 생성하며, 네티즌들은 각 숙소별 웹페이지를 엑세스하여 항상 관련 정보를 식별하므로, 숙소 공유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 누적되는 트래픽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의 문제가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인터넷 또는 폐쇄형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고유 CID(Contents 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상기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중에서, 하나의 위도 및 하나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해당되는 1개의 고유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상의 특정 블록 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데이터를 1개 이상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non-fungible token)로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 및 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에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1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이 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공유숙소 관리장치(002),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인터넷 또는 일정 네트워크(폐쇄형 또는 개방형)상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 등과 통신을 하며, 각종 연산을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웹사이트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일정 사용자의 단말기(네티즌, 관리자의 단말기 등)의 접속을 위한 기능, 상기 웹사이트 등의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를 위한, 인터넷 주소(또는 네트워크 상 접속주소)의 기능,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예: 유동IP 또는 고정IP) 또는 도메인(domain)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기능,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의 기능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예: 도 18의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 생성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 생성모듈(540)),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예: 도 18의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는,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 호텔숙소 콘텐츠 정보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호텔숙소 콘텐츠 정보 동기화 모듈(711)), 호텔숙소 관리정보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호텔숙소 관리정보 동기화 모듈(712)),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모듈(713))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은,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590),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610)),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620)), 상용 후보숙소 URL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URL 등록모듈(630)),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640)),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650)),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 계좌정보 입력모듈(예: 도 8의 계좌정보 입력모듈(680)),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68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는,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820)),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830)),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840)),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예: 도 9의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820)),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830)),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840))을 통해 입력 또는 설정되는 숙소에 대한 정보들을 기록하기 위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는,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980)),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 블록 인디케이터,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 블록 관리금 단위 설정 모듈,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예: 도 13의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예: 도 14의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 디파짓 해제모듈(예: 도 14의 디파짓 해제모듈(144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인디케이터는,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예: 도 14의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1450)), 블록 세부정보 출력모듈(예: 도 14의 블록 세부정보 출력모듈(1460)),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장치(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는,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이하 블랭크단말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50)),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는,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1590)),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 블랭크숙소 구입모듈,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은,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가 생성된 경우에 한하여 관련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생성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삭제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관리장치는,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는, 공유숙소 관리 콘솔,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 공유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해,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접속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해, 방(또는 집)을 빌리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접속을 위한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은,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 한하여 관련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삭제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상호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또는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빌리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를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를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가,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공유할 수 있는 상태의 자격이 있는 숙소라는 것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590)을 통해, 호텔 등의 상업용 숙박시설의 사업자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를 식별하고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610))을 통해,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를 일반 여행객들에게 제공하여, 상업용 숙박업소와 여행객 상호간 숙소 공유거래를 체결하기 위해, 상업용 숙소의 예약이 없는 날짜 또는 기간만을 설정하고, 설정한 날짜 또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620))을 통해, 기존 영업중인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관련된 웹페이지의 고유 ID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 또는 엑세스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 ID외에 URL, 유동 또는 고정 IP주소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을 통해, 기존 영업중인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의 위치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 또는 엑세스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위도 및 경도, 해발로 부터의 높이, 지표로 부터의 높이, 건물에서의 특정 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을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일정 접속정보 등을 통해 엑세스하거나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의 작동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의 설정 값을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의 작동 규칙에 따라,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엑세스하기 위해 요청 신호를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가,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로부터, 기존 영업 중인 호텔 측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관리정보의 엑세스를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에 엑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또는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 또는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또는 되지 않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값을 가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라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 아카이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183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로부터 전송되어 온,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수신하고,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선정되는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선정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판매가격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구입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구입을 요청하는 일정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의 실존하는 실물 화폐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 계좌정보에 해당하는 계좌에, 상기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생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을 통해,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로부터 설정된 판매가격에 따른 금액을 입금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예치된 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 또는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또는 되지 않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값을 가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라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 아카이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183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로부터 전송되어 온,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수신하고,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선정되는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선정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광고 정보 등록모듈을 통해, 광고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광고블록 선정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으로부터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위치정보 등)를 식별할 수 있는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서,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블록광고 송출 모듈(예: 도 17의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광고블록 선정모듈로부터 생성된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로 식별할 수 있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하거나, 방문 후보지역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에 대한 태그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해당 지역의 위치에 실제로(또는 실제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있는 일정 PC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노출되는 웹 사이트의 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의 인터페이스 화면 등)에 광고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거나, 그에 대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판매가격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구입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구입을 요청하는 일정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의 실존하는 실물 화폐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 또는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의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의 기록을 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되는 증명을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 계좌정보에 해당하는 계좌에, 상기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생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을 통해,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로부터 설정된 판매가격에 따른 금액을 입금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예치된 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거나, 그에 대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예: 도 20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객실 출입관리장치(예: 도 19의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예: 도 20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방(또는 집)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2개 이상의 방(또는 집)을 하나의 숙소로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그 보다 많은 수의 방(또는 집)으로 구성된 공유숙소라 하더라도, 하나로 구성된 공유숙소 당 하나의 웹페이지를 생성하므로, 개별 숙소마다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상호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을 막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업용 호텔 등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숙박료를 받고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집(또는 방)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 근본적으로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상업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사람들에게 방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호텔 같은 상업용 숙박시설의 방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을 호텔 측으로부터 제공 받은 여행객들은 여행을 위해 비우게 되는 자신의 집(또는 방)을 호텔로 하여금 민박용 방으로 판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업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가 여행객을 위해 방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사실은 사회적으로 상당한 파급력이 있는 것으로써, 이는 여행객을 위해 방을 제공하는 기간 동안 호텔 측에게 막대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호텔은 그 호텔이 있는 지역뿐 아니라, 여행객이 제공하는 집(또는 방)이 있는 지역 마다 또는 여행객이 제공하는 집(또는 방)을 사용하는 회차 마다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한 집(또는 방)을 민박으로 판매하여, 호텔로 하여금 호텔 측이 사람들에게 제공한 방에 대한 비용의 일부를 충당할 수 있게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기 위해 여러 개의 각 노드에 같은 정보로써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유지를 위한 암호의 해석에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는 효과가 있다.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기 위해 여러 개의 각 노드에 같은 정보로써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유지를 위한 암호의 해석에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방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의 점유권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간편하게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의 도어락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소지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사본 상호간 연결된 암호의 해석을 위해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능력 소비에 따른 네트워크상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유를 위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점유권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간편하게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NFT(예: 도 11의 NFT(1140))가 저장된 일정 단말기를 통해 공유를 위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도어락을 해제 하거나 잠그는 기능을 사용하여 간편한 숙소 출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를 포함하는 숙소 공유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데스크탑PC)의 블록도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사업자의 특수노드들 및 사용자의 노드들이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는 주택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전자사본과 해당 전자사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블록숙소를 생성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특징 및 구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 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하기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및 단어들은 문헌상의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문서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출원인이 사용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한 다음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문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단수 형태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 대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요소 표면"에 대한 언급은 그러한 표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언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를 포함하는 숙소 공유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행자들은 전자 장치들(30)(예: 클라이언트들)을 이용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박시설 공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1))에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하여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들/윈도우 창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를 열람하거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숙박시설 사용신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여행자들은 전자 장치들(30)(예: 클라이언트들)을 이용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숙박시설 공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급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부하 균형 PC-클러스터 서버와 같은 PC-클러스터 기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와 같은 코로케이티드 서버(collocated server), 호스팅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되나 문맥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하는 숙박시설의 소유자 및/또는 여행자를 일컫는 의미로도 사용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는 무선 랜 및/또는 유선 랜 모듈을 구비한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 PC, 태블릿 PC, 노트 북, 노트 패드 등의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폰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워크스테이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의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클라이언트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업자 단말기(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여행자들이 여행하는 여행 지역, 즉 숙박시설들이 있는 지역들의 인근에서 운영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사업자 단말기(40)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운영하는 사업자 또는 그 지휘 통제하에 있는 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여행자로 하여금 본인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그로 입력하게 하여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업자 단말기(40)는 태블릿 PC, 노트 북, 노트 패드 등의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사업자 단말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엑세스하여,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들을 브라우징 및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에 탑재 가능한 웹 브라우저로는, 오페라(Opera), 파이어폭스(FireFox), 사파리(Safari),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구글 크롬(Google Chrome), 네비게이터(Navigator) 등의 PC용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오페라 미니(Opera Mini), 파이어폭스 모바일(Firefox Mobile), 모바일 사파리(Mobile Safari), 구글 모바일(Google Mobile) 등의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를들 수 있다.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해 공급받아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플러그인(plug-in)을 탑재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인터넷(Internet),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4G(LTE/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망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통신망(2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데스크탑PC)의 블록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예: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예: 데이터베이스)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각도 센서,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예: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써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복수의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전자 장치(30)(예: 클라이언트들)의 각각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윈도우 창 등을 이용하여, 본인이 제공하는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가 업로드되면,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박시설은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 또는 해당 주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방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인이 제공하는 숙박시설에 관한 정보는 해당 숙박시설이 속하는 지역(국가/도시 또는 구체적인 주소), 해당 숙박 시설의 종류(주택, 오피스텔, 아파트 등), 해당 숙박시설의 개방 기간(개방 일시 및 폐방 일시), 해당 숙박시설에 구비되어 있는 설비 및 편의시설, 해당 숙박시설을 촬영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30)는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기억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사업자의 특수노드들 및 사용자의 노드들이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는 주택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 메모리(130)(예: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 게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프로그램(예: 도 2의 프로그램(140)), 및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는 서비스 게이트(320)와 연결(예: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와 복수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를 연결(예: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와 복수의 사용자의 노드(340)를 연결(예: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전자사본이 저장된 노드의 네트워크 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도메인 및 고유 URL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블록 데이터 생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전자지갑인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네트워크 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URL 등의 인터넷 주소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주택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4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택 공유를 위해 노드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단말(예: 전자 장치)에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에: 도 4의 블록 체인(400))의 제네시스 블록만 생성되어 있는 경우, 노드1의 블록체인(400)의 전자사본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체인(400)는 이전 블록(410), 현재 블록(420), 및 다음 블록(430)이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전 블록(410), 현재 블록(420), 및 다음 블록(430) 각각은 버전(421), 이전 블록 해시(422), 타임 스탬프(423), 머클 해시(424), 논스(425, Nounce), 및/또는 트랙잭션 히스토리 데이터(4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 대상 주택 정보(또는 상용 숙소 정보), 위도, 경도 정보, 최초 사용시작일, 최종 사용종료일 정보, 반경범위 정보, 주택(상용 숙소) 고유 CID, 공유승인정보, 태그 정보 등의, 각 정보 변경 별 생성되는 트랜잭션 데이터가 트랙재션 히스토리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택 공유의 대상이 1 대 1인 경우, 노드 1, 2에 블록체인(400)의 전자사본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택 공유의 대상이 1 대 3인 경우, 노드 1, 2, 3, 4에 블록체인(400)의 전자사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에 의해,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가 추가되는 경우, 1 대 1이라 하더라도 보증금이 다 예치된 이후부터는, 블록의 내용을 변경하려면 사업자의 특수노드를 포함하여 전체 모든 노드의 합의가 필요하다. 이는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을 통해 전체 노드수의 3분의 2 합의 또는 전체 합의 등 여러가지의 형태로 블록생성 프로토콜(스마트 컨트랙트)의 합의 규칙을 설정/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310)(예: 메인넷 서버)가 고장나서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및/또는 사용자의 노드(340)가 접속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점유권암호화코드 등을 통해, 해당 노드의 전자 장치들 간에 다이렉트로 유무선 연결하여 블록체인(400)의 전자사본을 대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웹사이트 또는 네트워크(예: 도 1의 통신망(20))에 일정 사용자의 단말기(예: 도 1의 전자 장치들(30)(예: 클라이언트들), 사업자 단말기(40))(예: 네티즌 단말기, 관리자의 단말기 등)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웹사이트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일정 데이터베이스(또는 일정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엑세스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또는 네트워크 상 접속주소)의 기능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웹사이트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일정 데이터베이스(또는 일정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엑세스하기 위한, IP주소(유동IP 또는 고정IP) 또는 도메인(domain) 또는 URL의 기능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웹사이트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일정 데이터베이스(또는 일정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엑세스하기 위한,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의 기능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PFS는 분산형 파일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접속을 위한 인터넷 상의 주소이며, https://ipfs.io/ipfs/와 같은 구조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메인(domain)은 영토, 분야, 영역, 범위를 뜻하는 단어(예를 들어 소유지, 토지 소유권(법률) 등)였으나, 인터넷 주소의 의미를 지니며, https://domain.com과 같은 구조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는,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의 관련 정보와 함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게이트(320)는,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의 관련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게이트(320)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530)를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게이트(320)의 네트워크 상 위치는,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장치 또는 수단 등과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상 루트의 위치에 대한 표시 정보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게이트(320)의 네트워크 상 위치는, 루트의 위치인 https://servicegaet.com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데이터(5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기록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 생성모듈(540)은, 상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가 일반 여행객들과 숙소를 공유할 경우, 호텔 측의 숙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간의 통신을 위해 일정 규격에 따른 프로토콜에 의해 작동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560)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호텔 등 상업용 숙박시설이 제공하는 방과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을 공유할 때, 공유거래가 확정되기 전에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을 의미하며, 공유거래가 확정되기 전의 숙소이므로 후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는,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들이 일정 접속정보 등을 통해 엑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상에 설치되는 일정 규격에 따른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등의 형태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는,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을 통해 설정된 작동 규칙에 따라,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의 엑세스를 위한 요청 신호를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이미지(예: 주택 사진, 숙속 사진, 방 사진, 호텔 사진등의 이미지 파일)는 jpg, gif, bmp 등의 이미지를 위한 파일이며, 비디오는 mov, mp4, avi 등의 비디오 파일이며, 오디오는 mp3, wmv 등을 위한 파일이며, 이러한 파일은, 본 발명의 일정 장치, 수단 등을 통해 입력, 저장, 전송 등의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은, 호텔 등의 상업용 숙박 시설의 숙소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은,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기록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들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에 접속하는 단말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해당하는 단말기의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은, 호텔 측이 일반인들에게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숙소가 비어 있는지의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열람하거나 관련되는 블록 데이터(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59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호텔 등의 상업용 숙박 시설의 방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등을 식별하거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6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6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를 제공할 수 있는 전체기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설정된 전체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62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가 등록된 웹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상용후보숙소의 웹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 POST ID를 입력하는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POST ID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URL 등록모듈(63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가 등록된 웹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상용후보숙소의 웹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 URL을 입력하는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URL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64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가 등록된 웹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상용후보숙소의 웹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 IP주소를 입력하는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64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IP주소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IP주소를 직접 등록하거나 유동 IP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65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가 등록된 웹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상용후보숙소의 웹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를 입력하는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65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는 QR코드 또는 다른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용 후보숙소(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560))가 등록된 웹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상용후보숙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일정 사용자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받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위도 또는 경도, 해발로부터의 높이, 지표로부터의 높이, 건물에서의 특정 층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7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계좌정보 입력모듈(680)은,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생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하기 위한 계좌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계좌정보 입력모듈(68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은,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숙소가 비어있는지의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일정 접속정보 등을 통해 엑세스하거나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의 작동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의 설정 값을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란,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일련의 부(Sub) 프로그램, 프로토콜 등을 정의하여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사양을 말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680)은,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680)은, 관련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의 호텔숙소 콘텐츠 정보 동기화 모듈(711)은,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보관된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일정 정보 중에서 호텔 측이 일반 여행객들에게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 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에서 열람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의 호텔숙소 관리정보 동기화 모듈(712)은,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보관된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일정 정보 중에서 호텔 측이 일반 여행객들에게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숙소의 목록,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숙소가 비어있는지의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에서 열람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모듈(713)은, 일반 여행객들이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아닌, 호텔 측이 여행객들에게 제공하는 숙소가, 제공 후보숙소의 자격이 부여된 숙소라는 것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들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로 식별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생성하거나, 호텔 측이 여행객들에게 제공하는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 정보 및 숙소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숙소가 비어 있는지의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을 통해, 열람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와 관련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한 목록을 (또는 식별 또는 송신 또는 수신 또는 생성 또는 변경 또는 삭제한 목록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와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는 하나로 통합하여 실시하거나 어느 하나만 실시하거나 그 이상의 수를 함께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더하여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는,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이 제공하는 숙소와 관련된 정보 중,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용량이 큰 콘텐츠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여 함께 연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는,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이 제공하는 숙소와 관련된 상기 콘텐츠 정보 이외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관련 정보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여 함께 연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8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는, 호텔 측 또는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각 다른 두 가지 부류의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일정 프로토콜에 의한 통일된 규격의 정보를 가진 숙소로써 재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820))은,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 정보에 대한 입력 기능을 제공하며,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830))은,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날짜 또는 기간에 대한 정보의 입력 기능을 제공하며,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840)은,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설정되는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은 다음의 기능을 제공하며,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를 식별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은 식별된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일정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은 식별된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일정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로써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호텔 또는 일반 여행객들이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은 서로 다른 부류인데,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는 원래는 판매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를 판매하는 용도가 아닌, 여행객들과 공유하기 위한 상태로써의 자격이 부여되어 있는 숙소라는 것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들이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일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생성된 상기 일정 정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기 위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생성된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보관된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경우, 예를 들어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이미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서 다시 한 번 더 저장하는 경우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위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와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식별하거나 이를 엑세스할 수 있는 상기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는,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을 통해 생성되거나,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예: 도 9의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을 통해 식별되는 일정 정보 또는 해당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는, 상기 콘텐츠 정보 그리고 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이를 식별하거나 이를 엑세스 또는 연동하기 위한 태그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는, 또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호텔 또는 일반 여행객들이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들은 서로 다른 부류라는 점에서,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은 원래는 판매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여행객들과 공유할 수 있는 상태의 자격이 부여된 숙소라는 것을 본 발명을 위한 관련 장치 또는 수단들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는 생성된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가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는 점에서, 본 발명을 전 세계적으로 실시하려고 하는 경우, 데이터 주권 중 하나인, 실제 개인의 정보 또는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가 담긴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위치가 어느 국가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법률적인 경계를 특정하기 위한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호텔 측에서 제공하거나,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때 그와 관련하여 숙소 이용자의 개인 정보처럼 민감한 정보가 발생하거나 취급 또는 저장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호텔 측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원하는 위치에서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 거래가 체결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서로 제공하는 한 쌍으로 된 숙소들로 구성된 그룹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숙소 공유는 일방향 판매가 아닌 쌍방향 교환이라는 특성이 있으므로, 쌍방이 상호 제공하는 재화(숙소)의 동시 교환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의 집을 사용할 때, 동시에 B도 A의 집을 사용해야 서로의 숙소를 비워줄 수 있으므로 숙소 공유가 가능해 지는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는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는, 호텔 측과 일반 여행객이 서로 제공하는, 최소 각 1개 이상씩의 숙소 및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의 연결된 숙소로 구성하기 위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을 통해 상용 호텔 등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일정 정보들이 하나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의해 생성,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는, 최소 각 1개 이상씩의 숙소 및 방(또는 집)이 한 쌍(페어)으로 연결된 숙소이므로,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의 블록(911) 단위로 묶어 한꺼번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은,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은,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에 대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은, 출력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선정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선정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은,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은,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설정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설정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은, 방문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은, 공유할 숙소가 단수인 경우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설정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설정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설정되는 방문 기간이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숙소를 공유하는 여행객들이 여행을 하는 전체기간을 의미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하기 위한 숙소의 최초 사용일까지 숙소가 있는 위치에 사용자가 도착하기에 시간이 많이 필요한 경우 등을 고려하여, 임의에 따라 그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숙소를 공유하는 여행객들이 사용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들 전부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적용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설정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설정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98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숙소를 공유하는 여행객들이 연결해서 사용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각 개별 숙소 마다 사용기간을 각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980)은, 해당 기능을 통해 설정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설정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980)을 통해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는 일정 정보는,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에 의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이 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장치, 수단 등으로부터 설정(또는 입력 등)되는 정보들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0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전자사본과 해당 전자사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결부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를 위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해당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가 기록되는 전자사본(1110)과 해당 전자사본(1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한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함께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식별할 수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를 해당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하는 NFT(1140)(또는 FT 등)를 함께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생성되는 경우,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출력하는 전용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되는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를 위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다음 변경하거나, 상기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기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생성되는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관련 정보들이 기록된 다음 변경하거나, 상기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전자사본(1110)에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기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50% 이상의 동의를 한 경우에도 기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00%의 비율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의 관련 비율을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1150)을 통해 해당 비율을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00%에 해당하는 전원에 더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예를 들어 관리자의 계정)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그룹의 당사자들은, 상기 전자사본(1110)에 기록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 및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로 식별할 수 있는, 호텔 등의 숙소를 제공하는 사용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100% 동의를 실행하기 위해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해당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각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 마다 생성되는 각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상기 그룹의 당사자들의 계정을 통해 접속하는 일정 단말기(PC 등)로 국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생성하기 위해, 고도의 해시 함수의 연산을 사용하는 경우, 불특정 다수의 많은 수의 전자사본(1110)의 분산 저장을 위한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를 운영하지 않아도 되므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반적인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줄 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 마다 생성되는 각 전자사본(1110)이, 상기 그룹의 당사자들의 계정을 통해 접속하는 일정 단말기(PC 등)로 국한하는 특징에 해당되는 기능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에서 특정 노드를 추가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관리자가 지정하는 특정 노드),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을 통해 해당 노드를 추가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숙소를 사용하기 위한 일 실시의 예로써,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및/또는 사용자들의 전자 장치들에서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며, 생성되는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관련정보들이 기록되면서,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해당하는 NFT(1140)(또는 FT 등) 및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일정 NFT(1140) 등을 일정 사용자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전송하여, 해당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이 설치된 일정 디바이스(스마트 폰 등)를 소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숙소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를 통해 해당 숙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례를 설명한다.
우선, NFT(1140)(또는 FT 등) 또는 NFT(1140)(또는 FT 등)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숙소 또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공유 거래를 위한 정보의 변조 여부를 검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상기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의해 생성된, 전자사본(1110)에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 이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는 해시 암호화된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생성된 상태이다.
일정 디바이스(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통해, 화면에 나타나고 있는 NFT(1140)를 전송하기 위한 일정 수단을 통해, 다른 사용자(새로이 숙소를 사용할)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에 NFT(1140)를 전송 기능을 실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T(1140)를 전송한 일정 단말기의 화면에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었던,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가 출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화면의 입력 수단에,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가 입력되면, NFT(1140)가 보관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가,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에 해당하는(일치하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해,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암호를,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식별하고(코딩, 인코딩, 디코딩, 역해시, 더블해시 등의 기능으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숙소 공유를 위한 당사자들의 각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1110)의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저장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가 상기 입력된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속하는 숙소를 공유하려고 하는 당사자들의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전부를 대조하지 않고, 같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가 기록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1110)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만 식별할 수 있으면 족하는 것을 특징 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경우에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을 사전에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의 수나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절차를 통해 동일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가 적어도 2개의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기록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부터 식별되면, 상기 NFT(예: 도 11의 NFT(1140))는 숙소를 실제 사용하려고 하는 다른 사용자(숙소를 사용할)가 소지하고 있는 일정 디바이스(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에 전송되며, NFT(1140)를 수신한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가 설치된 일정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NFT(1140)를 전송한 사용자를 대신하여 관련 숙소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를 통해 해당 숙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가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면서 기록되는 경우,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목적으로, 상기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가 아닌 일정 서버(또는 로드벨런서, 캐시서버 등)의 저장 수단 또는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어 관련 기능을 하는 일정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다는 의미는, 숙소 공유를 위한 관련 정보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장치 또는 수단 등에 기록되는 경우, 항상 같은 장치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거나, 항상 같은 호텔(또는 여행객)이나 숙소(또는 방, 집)로 인해 생성되는 정보들이 아니기 때문에, 기록되는 관련 정보나 관련 정보의 종류 또는 해당 정보를 생성시키는 주체 등은 변하는 특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관련 정보들이 기록될 때 기록된 정보들만을 식별하기 위한 경계를 설정하기 위해,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써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100%의 동의는, 하기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부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기 위한 일정 장치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ID(또는 해당하는 ID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URL(또는 해당하는 URL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IPFS(또는 해당하는 IPFS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IP주소(또는 해당하는 IP주소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문자와 숫자, 기호 등(또는 해당하는 문자와 숫자 등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QR코드(또는 다른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 또는 해당하는 QR코드(또는 다른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또는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P주소는 고정 IP주소 또는 유동 IP주소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관련정보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고,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식별 또는 진위여부의 대조를,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관련정보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고,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식별 또는 진위여부의 대조를,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함께 생성하고, 생성된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일정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보관하거나, 각 다른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간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는, 암호(또는 양자내성암호) 이거나,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구성되거나, 해시함수를 통해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는, 상기 양자내성암호 기능을 가진 암호의 기능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무력화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양자내성암호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과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는 양자난수발생기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는, 카메라 등의 일정 단말기와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QR코드(또는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 등을 통해 식별되거나,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의 해당 암호가, 일정 단말기의 관련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시함수(hash function)란, 요약 컴퓨터 암호화 기술의 일종으로 요약함수(要約函數)·메시지다이제스트함수(message digest function)라고도 하는데 주어진 원문(原文)에서 고정된 길이의 의사난수(疑似亂數)를 생성하는 연산기법이며 생성된 값은 '해시값'이라 할 수 있다. 요약함수(要約函數)·메시지다이제스트함수(message digest function)라고도 하며, 주어진 원문(原文)에서 고정된 길이의 의사난수(疑似亂數)를 생성하는 연산기법이다. 이렇게 생성된 값을 '해시값'이라 할 수 있다.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암호 알고리즘에는 키가 사용되지만, 해시함수는 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같은 입력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출력이 나온다. 이러한 함수를 사용하는 목적은 입력 메시지에 대한 변경할 수 없는 증거값을 뽑아냄으로써 메시지의 오류나 변조를 탐지할 수 있는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통신회선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경로(經路)의 양쪽 끝에서 데이터의 해시값을 구해서, 보낸 쪽과 받은 쪽의 값을 비교하면 데이터를 주고받는 도중에 여기에 변경이 가해졌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
불가역적(不可逆的)인 일방향함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시값에서 원문을 재현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해시값을 가진 다른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도 극히 어렵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의 암호화 보조수단이나 사용자 인증, 디지털 서명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상기 해시함수의 작동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 중, 관련정보가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고,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시점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함께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기록되는 해당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할 수 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개수를 네트워크 상에서 네티즌들이 설정하기 위해, 특정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개수, 특정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가질 수 있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최대 개수 등을 설정하거나, 상기 개수에 대한 개당 단가의 계산을 위해 판매금액 입금정보를 그 기준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개수에 대한 개당 단가의 계산을 위해,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숙소에 대한 일정 금액 정보를 그 기준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는, 일정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보관하거나, 각 다른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간에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는, 일정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보관하거나, 각 다른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간에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한꺼번에 전부 보관, 수신 또는 전송하거나,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분할하여 일정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보관,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며, 고유한 인식 값이 있어 다른 것(정보 등)으로 대체하거나 복제할 수 없는 기능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인 숙소 또는 공유기간은 변하지 않거나 명확하고, 숙소 공유 거래의 특성상 상호간 숙소의 동시 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거래가 된다. 공유 대상이 되는 숙소의 수가 3개 이상으로 늘어날 경우, 숙소 공유를 시도하는 도중 또는 숙소 공유 거래가 시작되어 진행이 되고 있는 도중에 어느 한 곳의 숙소의 주인이라도 해당 숙소를 고의적인(고의적이지 않거나) 문제 등으로 상대방에게 약속된 시점이나 기간에 제공하지 않거나 못할 경우, 전체 공유 멤버의 여행 일정(숙소의 사용 일정)에 차질이 생긴다는 점에서, 대체 불가능한 기능을 통해 숙소의 공유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책임 소재를 네트워크상에서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로 식별(및 검증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일치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만 사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FT(Fungible Token)는, 대체 가능한 토큰을 의미하며, 이 기능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숙소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되는 FT를 상호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관련정보가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고,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 된 시점(또는 기록된 시점 등) 정보 또는 해당 시점(또는 기록된 시점 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생성되는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시점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시점은 본 발명의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시점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 중,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주기(예: 5분 간격, 10분 간격 등)를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는 관련 정보들의 저장, 변경 등에 대한 전체 내역이 저장된 기록을 일정 주기별로 사본을 생성하고, 이를 분산하여 저장하기 위한 일종의 분산형 전자 데이터베이스로써, 관련 정보를 가진 장부가 주기별로 계속하여 생성 되고, 모든 거래내역들이,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에 동일하게 나누어져 저장되므로, 위조나 변조를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되는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를 위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다음 변경하거나, 상기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기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관련 정보들이 기록된 다음, 관련 정보들을 변경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00%의 비율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의 관련 비율을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을 통해 해당 비율을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00%에 해당하는 전원에 더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예를 들어 관리자의 계정)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 중, 관련정보가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면서 관련 정보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되는 경우 생성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의 대체가능성(또는 대체불가능성)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NFT(예: 도 11의 NFT(1140)) 또는 FT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을 네트워크 상에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보관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에 대한 정보의 식별, 송신, 수신,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거나, 해당 기능을 일정 단말기를 통해 전자적인 설정 및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한,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관리자) 또는 일정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관련 기능을 전부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일부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기능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제한을 두어, 계정별로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보관하고 있는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 규칙을 복제하거나, 작동 규칙의 일정 부분을 변경하여 “다른 블록생성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 또는 “다른 블록생성 프로토콜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위한 코드로 구현되는 특징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누구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다른 블록생성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장치 또는 수단 등을 다른 장치 등으로 지정하기 위해 해당되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예를 들어 URL, IP주소 등)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블록생성 프로토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장치 수단들과 함께 작동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은,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서로 공유하려고 할 때, 서로 공유하려고 하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숙소들의 관련 데이터가 기록된 숙소들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고 있는 정보로 된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들을 식별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또는 계량)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쌍(페어)이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공유거래를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마치 한 개의 숙소처럼 연결되어 구성된 형태를 말 한다.
이때, 하나의 쌍(페어)은, 반드시 호텔 측이 제공하는 1개의 숙소와 여행객이 제공하는 1개의 방(또는 집)을 의미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도 포함한다.
이것은, 본 발명이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한꺼번에 하나의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포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하는 숙소들의 주인이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순차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반드시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내에서, 관련된 숙소 또는 방(또는 집)들은, 모두 하나로 된 연결숙소이면서, 하나의 각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따른 각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태그(Tag)정보는, 사전적 의미로는 꼬리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태그는 원래 우편물이나 화물, 택배물 등에 붙여 화물의 분류나 송수신인, 취급 주의 등을 나타내는 인식표였다. 그 이후에는 옷 등에도 쓰였으며,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도 비슷하게 쓰이게 되었다.
이러한 태그는 어떠한 항목을 보충 설명하는 낱말 혹은 키워드로써 일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위한 HTML 문서 등에서 일정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엑세스할 수 있는 일종의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태그(Tag)정보는, 일종의 CID(Contents ID)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일정 정보를 식별(또는 엑세스 등) 할 수 있는 매개체 또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에 대한 일정 정보 중,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은, 본 발명을 위한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기록 수단에 기록된 상태에서, 해당되는 파일들을 식별(또는 엑세스 등)하거나 엑세스할 수 있는 일종의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 용량이 큰 파일을 항상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경우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실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을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의 생성으로 인해 보존해야 하는 경우,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 또는 IPFS 등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 등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 등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숙소에 대한 일정 정보 중,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은 각 고유한 파일로써, 각 파일 마다 고유의 CID(Contents ID)가 부여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태그(Tag)정보는, 암호(또는 양자내성암호) 이거나,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구성되거나, 해시함수를 통해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위해 태그(Tag)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한 방식으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당 각 태그(Tag)정보는 암호화된 해시정보가 되므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위변조 여부의 검증을 위한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태그(Tag)정보는, 상기 양자내성암호 기능을 가진 암호의 기능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무력화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자내성암호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과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는 양자난수발생기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정보를 각 식별하기 위해,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되어 있는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등이 기록되거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되어 있는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의 일정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1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다음 기능 등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숙소 공유 거래의 당사자를 식별하기 위해,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1210)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 정보)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 정보)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는, 블록해시(Hash of the block), 블록바디(Block body), 블록헤더(Block header) 등으로 구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블록해시는, 상기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의 프로그램 버전정보 등을 포함하거나 연관된 정보인 버전 정보, 이전 블록 해시(Previousblockhash), 머클 루트(Merkle Root), 타임(Time), 난이도 목표(bits, target), 논스(nonce), 거래카운트정보, 거래내용정보 등으로 구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숙소 공유를 위한 정보의 검증 알고리즘에 대한 것으로써,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관련 정보에 대한 진위 여부를 대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그리고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 등은,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해당 정보들이, 진짜 호텔 또는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에 대한 정보들이 맞는지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숙소 공유를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호텔 측이 제공하거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서로 매우 먼 거리에 있는 경우, 양 당사자는 실제로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 집인지, 시설에 대한 하자가 없는지에 대한 확인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확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믿고 비싼 항공료를 지불한 다음 상대방의 숙소가 있는 지역에 방문한다는 것은, 만일의 경우 매우 큰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경우, 숙소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을 반드시 상대방에게 제공하겠다는 것에 대한 약속을 보증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상호간 예치하기로 합의 하고, 이를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입금(은행을 통한 예치, 가상화폐 등으로 전송) 받는 경우, 해당 보증금은 실물의 화폐 또는 가상의 화폐로써의 재산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예치된 사실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거나, 공유거래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는 예치된 금액의 유출 또한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그리고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 등은, 예치되는 상기 보증금과 관련된 정보의 원본에 대한 대조기능을 제공하므로, 재산적 가치에 해당하는 보증금이 예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치된 상태의 유출 또는 예치된 상태의 변경 등에 대해, 기본적으로 위변조를 명확하게 검증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숙소 공유를 할 때, 각 나라마다 법령이 다르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국제 소송 등을 통해 발생한 문제에 대한 보상을 사후에 청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러한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숙소공유를 위해 예치된 금액에 대한 재산적 가치를 안전하게 보호받기 위해, 본 발명을 위한 관련 작동 규칙인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따라 생성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을,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네티즌 상호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따라 기록되는 상기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는, 일정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기록되거나, 숙소 공유와 관련된 사용자들의 모든 컴퓨터에 분산되어 기록되는 것이므로, 숙소 공유와 관련된 거래 내역을 하나의 장부에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거래내역들을 여러 개의 컴퓨터에 정보가 동일하게 나누어지게 되어, 위조나 변조를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하여 호텔 등이 여행객에게 제공하는 상업용 숙소와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수개월 이상 또는 비교적 장기간 상호 제공하는 경우, 이때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는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것은 호텔 측 또는 여행객이 장기간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비워 두고, 상대방에게 상호간 제공하는 형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에 대한 활용 가능성 내지 유용성을 말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기간 동안,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을 위한 매개체로써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다음 기능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생성되는 각 정보가 기록된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50)의 일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되는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50)의 일정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출입을 위해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 및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을 통해, 방(또는 집)의 출입에 성공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본 발명의 관련 장치 또는 수단 등이 식별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또는 집)의 출입을 위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본 발명의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저장된 일정 전자적 장치(예: 스마트폰 NFC 기능, RFID 카드 및 유사 기능이 있는 자동차 키 등)를 통해 문을 개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에 대한 활용 가능성 내지 유용성의 또 다른 측면으로,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다른 사람에게 양도함으로써 해당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한 사람으로 하여금 해당하는 숙소의 사용권한을 간편하게 가질 수 있게 하는 기능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하는 전체의 기간 중에서, 일부 기간은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은 사람이 사용한 다음, 또 다른 남아 있는 일부 기간은 해당 숙소와 관련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면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사용권한을 상대방에게 판매(또는 이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양수받은 사람이 숙소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즉시 얻게 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통해, 한 번의 숙소의 공유 계약의 체결을 통해, 공유와 판매를 병행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은, 숙소 공유거래의 체결을 위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반드시 상대방에게 제공하겠다는 것에 대한 약속을 보증하는 일정 금액을 상호간 예치하고, 이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관련 정보를 기록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가 기록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및 이를 식별 및 검증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유 계약의 체결이라 함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의 관련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록이 기록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이 생성되는 시점을 말하며, 이 시점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 규칙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은,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정보 중에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여행객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의 경우, 그 사본들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저장수단에 추가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 거래가 확정됨에 따라 생성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이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관련 정보들이 기록된 다음, 관련 정보들을 변경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되는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를 위한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다음 변경하거나, 상기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는 기준은,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같은 그룹의 당사자들 중, 100% 전원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기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00%의 비율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작동규칙의 관련 비율을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예: 도 11의 블록생성 프로토콜 관리수단(1150))을 통해 해당 비율을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00%에 해당하는 전원에 더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예를 들어 관리자의 계정)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숙소의 공유를 위한 거래가 확정됨에 따라 당사자들은, 정해진 순서에 반드시 정해진 조건의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유 거래가 확정될 시점의 숙소 또는 방(또는 집)에 대한 상호 약속한 사용일자 및 제공 조건 등에 대한 관련 정보가 변경(또는 삭제 등)되는 경우, 상대방에게 피해를 줄 수 있게 되므로 그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와 관련된 숙소 공유의 관련 정보를,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을 생성하여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생성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각 시점의 정보는, 년, 월, 일, 시, 분, 초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저장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 등)를 소지한 사람의 경우,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를 통해, 숙소의 출입을 위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발명을 실시할 때, 지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숙소에 대한 점유권(사용권한)을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즉시 매매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기존 시장에서의 상업용 숙박업소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판매(렌트)는 그 거래의 특성상, 시즌에 따라 해당 지역에 있는 숙소들의 판매가격의 변동(예: 판매가격의 등락)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공유거래를 하는 상황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할 때, 호텔로부터 받는 숙소를 직접 사용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유권의 양도를 통해 숙소의 사용권한을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어떤 경우에는 해당 거래의 매매의 가격에 따라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예를 들어 호텔 측과 여행객이 숙소의 공유거래를 체결하면서, 여행객은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지인의 숙소를 사용하거나, 또 다른 숙소를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공유거래를 하는 상황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할 때, 호텔로부터 받는 숙소를 직접 사용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양도를 통해 숙소의 사용권한을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어떤 경우에는 해당 거래인,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매매의 가격에 따라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예를 들어 호텔 측과 여행객이 숙소의 공유거래를 체결하면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생성된 상태에서, 여행객은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지인의 숙소를 사용하거나, 또 다른 숙소를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호텔 측의 입장에서도 숙소 공유거래의 체결을 위해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생성되면, 해당하는 공유 기간 동안,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한 방을 판매하기 위한 활동을 주로 하게 될 가능성이 여전히 크지만, 호텔은 점유권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라는 수단을 더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더 가지게 된 것이므로, 예를 들어 시즌에 따라 숙소의 가격은 등락이 있다는 점에서,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해당 시즌에서 숙소의 일반적인 판매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매매하여 더 유리한 판매활동을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숙소의 전체 공유기간 중 하루도 빠짐없이 전체 기간에 대한 숙소의 판매를 완료한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통해 숙소의 전체 공유기간에 대한 사용권한을 한꺼번에 매매할 수 있다면, 환금성을 완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숙소의 전체 공유기간에 대해 사용권한을 전부 확보한 다음, 일부 기간만 숙소를 사용한 이후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다른 사람에게 매도하면 구입한 숙소의 사용권한에 대해 일부 기간만큼 금액을 돌려받게 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호텔 측의 입장에서는 숙소를 판매함에 있어서, 전체 공유 기간에 대한 판매를 완료하는 확률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숙소 공유 거래를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경우,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저장된 경우라면, 해당 장치를 통해 간편하게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이 가능하므로,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많은 다양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매매를 통해 그 사용권한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되므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신뢰를 가지고 숙소 공유거래에 참여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처럼 숙소 공유거래의 체결 확률을 보다 더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2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일반적인 실물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을 전자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은행의 계좌를 통해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로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일반적인 실물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을 전자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은행의 계좌를 통해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또는 전송)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 또는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1320)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외의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의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또는 전송)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 또는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1320))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와 관련된 금액(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수신(또는 전송)하는 경우, 이에 대한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 또는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1320)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 및 상기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1320)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입출금(또는 전송, 수신)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계좌(또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하는 정보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수신정보(1310)) 및 블록 관리금 전송정보(예1320)는, 포함하고 있는 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1박당 또는 일정 시간당 보증금액 또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을 통해 식별되는 공유기간의 전체에 대한 보증금액을,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350) 및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360)에 의해 생성되거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식별할 수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와 함께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는, 암호(또는 양자내성암호) 이거나,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구성되거나, 해시함수를 통해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관련 암호 등에 대한 생성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는, 상기 양자내성암호 기능을 가진 암호의 기능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무력화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자내성암호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과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는 양자난수발생기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 생성 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와 관련된 정보들이 기록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1170))와 함께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정 단말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접속 경로는 URL 또는 IP주소 또는 QR코드(또는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1박당 또는 일정 시간당 보증금액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 또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을 통해 식별되는 공유기간의 전체에 대한 보증금액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350) 및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360)를 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360)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일정 단말기(PC, 스마트폰 단말기 등)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써, 일정 단말기에 장착된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화면의 터치센서 등)를 통해 이 트리거에 대한 클릭 등의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를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3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신호를 수신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350)은,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식별할 수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 그리고 블록 데이터 검증용 코드(예: 도 13의 블록 데이터 검증용 코드(1370)) 및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네트워크 상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생성시, 예를 들어 https://servicegaet.com/4783845935265329569258959265629.bsv 또는 ipfs://ipfs.io/ipfs/servicegaet-com/4783845935265329569258959265629.bsv 등의 고유한 URL(또는 IP주소 등)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은,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을 통해 설정되는 각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1박당 또는 일정 시간당 보증금액과 해당 공유기간을 곱한 금액의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 또는, 전체 공유기간에 대한 보증금액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에 대한 정보를,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은,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은,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공유기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설정되는 공유기간을 식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은,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은, 수신한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은,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관련된, 일정 금액을 수신할 사용자의 계좌 또는 일정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일정 금액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은,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관련된, 일정 금액을 수신할 사용자의 계좌 또는 일정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일정 금액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는,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는,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마우스(예를 들어 PC 등) 또는 키보드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일정 정보의 입력수단 또는 화면의 일정 영역을 통해, 일정 정보의 입력 또는 화면의 터치에 따른 압력 발생으로 인해 압력감지 센서로부터 해당되는 압력의 감지가 식별될 경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를 생성하고, 생성된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를,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입력정보(1380)는, 생성 당시의 매개체가 되는 일정 정보의 입력수단 또는 화면이 장착된 일정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접속한,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는, 일정 단말기에 설치되며, 일정 단말기의 마우스(예를 들어 PC 등) 또는 키보드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일정 정보의 입력수단 또는 화면의 일정 영역을 통해, 일정 정보의 입력 또는 화면의 터치에 따른 압력 발생으로 인해 압력감지 센서로부터 해당되는 압력의 감지가 식별될 경우,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를,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예: 도 5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는, 생성 당시의 매개체가 되는 일정 정보의 입력수단 또는 화면이 장착된 일정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접속한,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는,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1박당 또는 일정 시간당 보증금액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 또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을 통해 식별되는 공유기간의 전체에 대한 보증금액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식별할 수 있거나,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를 통해 생성되는, 트리거 입력정보(13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숙소 공유를 위해 상대방에게 숙소를 제공하겠다는 보증을 위한 금액(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금액(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를 통해 생성되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는, 숙소에 대한 하자 발생 등에 대한 손해 등을 보장하기 위한 금액(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금액(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접속할 수 있는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로부터 전송되어 온,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접속할 수 있는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로부터 전송되어 온,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은,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을 수신하기 위한, 일정 은행 등의 금융기관의 계좌와 연동하는 가상계좌를 포함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또는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되거나 관련 장치(또는 수단) 등과 연동하기 위한 기능과 함께 설치되는 형태로 동작(예: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또는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만 설치되거나, 여러 개의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또는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 등의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해당 버튼이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클릭(또는 터치 등)되면,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 등의 사업자 또는 일반 여행객이 접속한 단말기를 통해 해당 버튼이 클릭(또는 터치 등)되는 경우로써, 예를 들어 호텔 등의 사업자가 접속한 단말기를 통해 클릭된 경우라면, 해당되는 상대방인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계정을 식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여행객이 접속한 단말기를 통해 클릭(또는 터치 등)되는 경우로써, 해당하는 경우라면, 해당되는 상대방인 호텔 등의 사업자의 사용자계정을 식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더 다른 경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 등의 사업자가 접속한 단말기를 통해 해당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이지만, 다른 호텔 등의 사업자의 사용자계정을 식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필요에 의해 같은 부류의 호텔 사업자 상호간에도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기 전, 일정정보를 선정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상대방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인 다른 호텔 사업자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먼저 선정하고, 선정한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의 사례는, 시즌의 중심에 있는 시기의 경우, 호텔 사업자 상호간, 영업상 필요한 크기나 조건의 숙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다른 호텔은 해당되는 숙소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그러한 시기에 상호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서로 숙소를 공유하면서 판매를 같이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도, 필요에 의해 여행객 상호간에도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기 전, 일정정보를 선정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상대방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인 다른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먼저 선정하고, 선정한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또는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를 통해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는 절차는 일방적인 것으로써, 해당되는 절차가 진행되면,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상대방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에 전송되므로, 상대방이 평소에 알고 있는 지인인 아닌, 네트워크상에서 처음 알게 된 먼 거리에 있는 외국인이 상대방이므로, 원상회복이 필요한 경우 매우 어려운 문제에 처할 수 있다.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예: 도 14의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3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1330))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의 전송을 위해,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된 다음,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이 상대방에게 송금 또는 전송되기 전,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임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해당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보관할 수 있는 디파짓 트리거(1415)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와 하나로 기능을 통합하여 실시하거나, 수 개를 한꺼번에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일반적인 실물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을 전자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은행의 계좌를 통해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본 발명 외의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을 통한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의 예로써, 디파짓 트리거(141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되거나 관련 장치(또는 수단) 등과 연동하기 위한 기능과 함께 설치되는 형태로 동작(예: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트리거(141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만 설치되거나, 여러 개의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로 동작(예: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파짓 트리거(1415)가,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 등의 형태로 설치되어, 해당 버튼이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클릭되는 경우,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되면,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는 경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되는 일정 금액을, 상대방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바로 전송하지 않고,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에 해당되는 금액을, 일정 조건이 달성되기 까지(또는 달성되기 전 등)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되면,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가 생성되는 경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트리거 입력정보(1380)) 또는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예: 도 13의 패널티 트리거 입력정보(1390))에 해당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상대방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바로 전송하지 않고,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에 해당되는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일정 조건이 달성되기 까지(또는 달성되기 전 등)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한 상기 일정 조건은,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의 생성 시점으로부터 과거 또는 현재 또는 미래의 일정 시점에 대한 정보이거나, 생성된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제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선정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는, 해당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는, 해당되는 노드(예: 도 3의 사업자의 특수 노드(330), 사용자의 노드(34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는, 해제 권한 설정 모듈(1430)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제 권한 설정 모듈(1430)은,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되는 경우,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전송되지 않고 상기 일정 조건이 달성되기 까지(또는 달성되기 전 등)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에서 보관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의 상술한 관련 기능을 해제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하는 해제 권한을 실행하는 계정을 선정하기 위해, 일정 관리자 계정(1401) 또는 일정 사용자 계정(1402)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정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관리자 계정(1401) 또는 사용자 계정(1402)은,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에서 보관하는,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의 상술한 관련 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하기 디파짓 해제모듈(1440)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해제 권한 설정 모듈(1430)을 통해, 해제 권한이 일정 관리자 계정(1401) 또는 일정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해 설정되는 경우, 해당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계정(1402)의, 하기 디파짓 해제모듈(1440)을 통해서만,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량이 많은 경우, 잘못된 판단 또는 오 송금(도는 전송)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해당하는 권한을 갖는 사용자 계정(1402)을 사용자 본인으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공신력 있는 제3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주 사업자)에게, 그 권한을 부여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숙소 공유를 위해서, 호텔 측이 제공하거나 여행객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이 서로 매우 먼 거리에 있는 경우, 양 당사자는 실제로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 집인지, 시설에 대한 하자가 없는지에 대한 확인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확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믿고 비싼 항공료를 지불한 다음 상대방의 숙소가 있는 지역에 방문한다는 것은 만일의 경우 매우 큰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경우, 숙소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을 반드시 상대방에게 제공하겠다는 것에 대한 약속을 보증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상호간 예치하기로 합의 하고, 이를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입금(은행을 통한 예치, 가상화폐 등으로 전송) 받는 경우, 해당 보증금은 실물의 화폐 또는 가상의 화폐로써의 재산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방적으로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지 않고, 공신력있는 제3자에게 최종 송금 또는 전송에 대한 한 가지 절차를 더 둠으로써, 잘못된 판단 또는 오 송금(또는 전송)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해제 권한 설정 모듈(1430)에 의해 설정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디파짓 해제모듈(1440)을 통해,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전송하지 않고,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미리 구비한 다음, 해당되는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의 일정한 해제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자동으로 일정 금액 또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해당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전송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에 보관된,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해당되는 사용자 계정(1402)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에 전송하기 위해 디파짓 해제모듈(1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해제모듈144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되거나 관련 장치(또는 수단) 등과 연동하기 위한 기능과 함께 설치되는 형태로 동작(예: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해제모듈(144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일정 인터페이스 장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만 설치되거나, 여러 개의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로 동작(예: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파짓 해제모듈(1440)이,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 등의 형태로 설치되어, 해당 버튼이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클릭되면, 디파짓 해제정보(예: 도 14의 디파짓 해제정보(1445))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디파짓 트리거 입력정보(1420)가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파짓 해제정보(1445)가 생성되는 경우,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에 보관된, 일정 금액 또는 NFT(예: 도 11의 NFT(1140)) 등은, 해당되는 사용자 계정(1402)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1450)은,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네티즌들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1450)은, 출력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이 선정 되었다는 선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수신된 선정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일정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세부정보 출력모듈(1460)은,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세부정보를 식별할 수 있거나 해당되는 세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은,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 중에서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되어 있는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와 연관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공유하기 위해 하나의 쌍(페어)으로 연결된 숙소를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생성할 수 있다.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은,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은,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숙소 공유를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은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에 대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은, 상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생성하기 위해, 일정 단말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일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위한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은,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기 위해, 일정 단말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일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위한 기능 등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을 통해 생성되는,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의 생성 절차에 대해, 관리자 또는 공유 거래의 당사자인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하는 화면 상의 일정 위치로부터 입력(클릭 또는 터치 등으로)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동에 의하지 않고,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미리 구비한 다음, 해당되는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의 일정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위한 생성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자동으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4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숙소(예: 도 15의 블록숙소(1510))가 제시된다.
도 15는 블록숙소를 생성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숙소(15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전자 장치(예: 단말) 및/또는 사업자의 전자 장치(예: 단말)에서도 블록숙소(151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1510)는,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으로부터 생성된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의 호텔 및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숙소(1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가 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는,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 공유를 위해 제공한 방(또는 집)의 판매 및 판매금액의 정산, 송금 또는 집(또는 방)의 관리를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은,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 공유를 위해 제공한 방(또는 집)의 판매금액의 정산, 송금 또는 방(또는 집)의 관리를 위한 기능 등을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은,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해 호텔 측(또는 일정 사용자계정에)에게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접속을 위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등을 식별하거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은,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 공유를 위해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해 해당 여행객들(또는 일정 사용자계정에)에게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접속을 위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등을 식별하거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은,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해 일반 네티즌(또는 일정 사용자계정에)에게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접속을 위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등을 식별하거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은,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은,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은,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1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1590)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과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 간, 온라인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숙소 또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은 사물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에도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 공유를 위해 사용하려고 하는 숙소가 보유하는, 침실, 침대, 욕실, 주방, TV, 난방, 에어컨, 아침식사, 실내, 벽난로, 업무 전용공간, 아기침대, 유아용 식탁의자, 프로젝터, 반려동물 입실가능, 흡연가능, 야외샤워시설, 무선인터넷, 셀프체크인, 디지털 도어록, 주차 가능 여부, 수영장, 바비큐 그릴, 당구대, 실내 벽난로, 운동 기구, 화재 경보기, 구급상자, 일산화탄소 경보기, 소화기, 보안카메라 등에 대해, 숙소를 제공하는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제공하기로 한 어떤 물건 또는 서비스를 당초에 약속과 달리 제공하지 않거나, 제공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어떤 물건 또는 서비스가 훼손(또는 작동하지 않거나)되었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해당 물건 또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런 경우에도, 하자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자 발생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에 관련된 경우에도, 하자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 공유를 위해 사용하려고 하는 숙소(또는 방 또는 집)가, 원래는 숙소를 제공하는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제공하기로 한 일시에 숙소를 제공하기로 하였으나 제공하지 않거나, 제공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숙소(또는 시설)가 훼손 되었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숙소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런 경우에도, 하자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 공유를 위해 사용을 완료한 숙소에 대해, 숙소의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가 약속한 일시에 숙소의 주인에게 숙소를 반환하기로 하였으나, 해당되는 숙소를 반환하지 않거나, 반환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음 차례로 사용할 사람이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숙소(또는 시설)가 훼손 되었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숙소를 반환하지 않거나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그런 경우에도, 하자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은,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택(예: 숙소, 방, 호텔 룸)에 하자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보상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FT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상호 교환하는 과정에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가치의 차이가 큰 경우 공유가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하여, 이에 대한 차액 또는 이에 대한 가치를 상대방에게 보상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전자사본(예: 도 11의 전자사본(1110))에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FT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5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은,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판매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을 통해 제공되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구입을 요청하거나, 구입을 요청한 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은,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로부터 설정된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가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수신되는 경우, 일정 규격의 정보로 구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50))는,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한 각 정보를 기록하거나, 관련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는, 일반적인 실물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을 전자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은행의 계좌를 통해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는, 본 발명 외의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을 통한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일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는,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630) 및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640)에 의해 생성되거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를 식별할 수 있는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650)와 함께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650)는, 암호(또는 양자내성암호) 이거나,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구성되거나, 해시함수를 통해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관련 암호 등에 대한 생성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 및 도 10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650)는, 상기 양자내성암호 기능을 가진 암호의 기능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가 무력화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자내성암호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과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는 양자난수발생기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650) 생성 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와 관련된 정보들이 기록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판매금액 검증용 코드(1660)와 함께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정 단말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접속 경로는 URL 또는 IP주소 또는 QR코드(또는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630) 및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640)를 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 트리거(1640)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일정 단말기(PC, 스마트폰 단말기 등)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써, 일정 단말기에 장착된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화면의 터치센서 등)를 통해 이 트리거에 대한 클릭 등의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를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630)에 전송하고, 해당 신호를 수신한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 생성모듈(1630)은,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를 네트워크 상에 생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는,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의 생성시, 예를 들어 https://servicegaet.com/8420743202304749020472947204274.ssv 또는 ipfs://ipfs.io/ipfs/servicegaet-com/8420743202304749020472947204274.ssv 등의 고유한 URL(또는 IP주소 등)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가 제시된다.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는, 상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써 호텔 측이 판매하고 있는 숙소의 콘텐츠 정보 및 관리정보 등을 기록하거나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방(또는 집)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 등을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로써 기록하거나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는, 기존 영업 중인 호텔 측 숙소의 호텔숙소 종합정보(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551))의 일정 정보를 엑세스하기 위해,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한 엑세스를 허용하거나, 관련되는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6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01)는 도 1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가 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는, 블록광고 관리 콘솔(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 콘솔(1711)),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17의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 블록광고 송출 모듈(예: 도 17의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관리 콘솔(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 콘솔(1711))은, 광고주 계정 접속모듈(1711-1),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 광고용 블록 반경정보 입력모듈(1711-3),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전송모듈(1711-4),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711-5), 광고용 블록 선정 모듈(1711-6)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관리 콘솔(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 콘솔(1711))은,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에 기록되어 있는, 광고 종합정보(1712-1)의 일정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에 접속하는 단말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위한 기능 등을 제공하거나, 광고 종합정보(1712-1)와 관련되는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일반 여행객들이 호텔 측에게 공유를 위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방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해당되는 방(또는 집)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의 형태로 출력 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관련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주 계정 접속모듈(1711-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호텔 등의 사업자에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일정 장치 또는 수단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해당 접속을 위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등을 식별하거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광고주 계정 접속모듈(1711-1)을 통해 본 발명을 위한 장치, 수단 등에 접속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 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광고의 이름,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광고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더 구체적으로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다음의 정보들을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웹페이지에 노출되는 시작일시와 종료일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2)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노출되는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웹브라우져의 설정 언어에 대한 정보(또는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웹브라우져가 설치된 일정 단말기가 실제로 있는 국가에 대한 정보 등)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3)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웹페이지에 노출되는 요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4)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웹페이지에 노출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를 출력할 웹페이지를 설정함에 있어, 특정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는(또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 등) 경우의 웹페이지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육아, 화장, 운동, 집청소, 가정, 영화, 음악 등의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가 있을 때, 이러한 다양한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들 중에서, 특정한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고(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있는 웹페이지에만 광고를 노출하는(또는 노출하지 않는) 기능을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단가를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5)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노출될 웹페이지의 URL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관리자가 고정된 URL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광고가 노출 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URL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6)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예를 들어 베너광고 등)에 대한 최대 클릭 허용 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노출되고 있는 광고가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된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로 부터의 클릭을(또는 입력신호 발생에 따른 일정 정보의 생성 등) 허용하는 최대 수를 의미하며, 이것에 대한 최대 값을 설정을 하거나 해당 최대 값에 도달하는 제한 시간 등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제한 시간의 최대 값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제한 시간의 최대 값은 분 단위 또는 초 단위 또는 시간 단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7)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노출되는 광고 1회당 노출 단가 및 노출 조건 달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노출이라 함은,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노출될 광고가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서 출력된 상태를 의미하며, 관찰자 시점에서 해당 화면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게 된 상태이므로, 이 정보는 해당하는 조건이 달성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본 발명을 위한 장치 또는 수단이 이러한 정보를 체크하고, 노출조건이 달성된 경우 노출이 완료된 수의 총량을 계수하여, 총 노출 비용을 계산할 수 있도록, 광고 1회당 노출 단가에 대한 금액 등의 정보를,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단가를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8)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노출되는 광고 1회당 시청 단가 및 시청 조건 달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광고의 시청완료라 함은,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노출될 비디오 등의 형태로 된 광고가 일정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서 출력되어 시청자가 일정 기준에 따른 조건을 충족하고 시청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하며, 그러한 점에서 이 정보는 광고의 시청완료 조건이 달성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본 발명을 위한 장치 또는 수단이 이를 체크하고, 시청완료 조건이 달성된 경우 시청이 완료된 수의 총량을 계수하여, 총 시청 비용을 계산할 수 있도록, 광고 1회당 시청 단가에 대한 금액 등의 정보를,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단가를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시청 완료 기준에 대한 조건은, 예를 들어 일정 비디오의 총길이에서 몇 %를 시청자가 시청하였는지를 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비디오의 총길이에서 몇 초 또는 몇 분(또는 시간 등)까지 시청자가 시청하였는지를 조건으로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완료 기준에 대한 조건으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일정 비디오가 일정 단말기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전체 크기의 몇 %가 화면에 출력되었는지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해당 화면이 단말기에서 스크롤 되어 나타난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9)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의 1,000회당 시청 단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 1,000회당 시청 단가에 대한 정보로써, 이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단가를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0)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노출될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방문 최대 회수 제한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예를 들어 광고가 노출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광고가 노출될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특정 사용자가 방문하였을 때, 방문한 회수에 따라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최대 회수에 대한 정보이거나, 특정 사용자의 제한 없이 광고가 노출될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네티즌들이 방문할 수 있는 최대 회수에 대한 정보이며, 이러한 정보는 관련 정보들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최대 회수를 설정하는 경우, 일반적인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또는 특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총 방문 수가 총 제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해당 사용자가 방문하는 관련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광고가 더 이상 노출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1)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노출되는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가 노출되는 시점보다 이전에 생성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이후에 생성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생성시기를 식별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기능을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값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2)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가 노출되는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를 노출할 때, 현재 기준으로 로그인이 되어 있는 사용자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로그아웃이 되어 있는 사용자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 된 상태의 사용자를 식별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기능을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값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3)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를 노출하는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최초 방문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를 노출할 때, 현재 기준으로 해당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방문하는 사용자가 처음 해당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방문하는 것인지(또는 최초 방문이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특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최초 방문하는(또는 최초 방문이 아닌) 각 사용자들에게만 광고를 노출하도록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값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14)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은, 광고를 노출하는 콘텐츠의 종류 및 좌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정보는 광고를 노출할 때,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출력되고 있는 비디오 또는 이미지, 오디오 등이 있는 해당 웹페이지의 코드(예를 들어 html 등)를 통해 지정할 수 있는, 비디오 등이 화면에서 출력되는 좌표에 대한 정보이거나, 해당되는 관련 좌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을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좌표의 값을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는, 광고가 노출되는 X, Y, Z 값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일정 단말기의 화면에 노출되는 비디오 광고가 차지하고 있는 테두리의 상, 하, 좌, 우에 대한 좌표 값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는, 광고가 노출되는 높이좌표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일정 단말기가 실제로 있는 높이에서만 광고가 노출되거나, 일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가 특정 높이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또는 해당 정보를 식별할 수 있거나) 해당되는 높이에서만(또는 해당되는 높이 이상에서만, 또는 해당되는 높이 이하에서만 등) 해당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광고가 노출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는, 일정 단말기가 어떤 건물의 층에 실제 있는 경우 해당되는 층(또는 해당되는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만 광고가 노출되거나, 일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가 특정 건물의 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또는 해당 정보를 식별할 수 있거나) 해당되는 층에서만 해당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광고가 노출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은,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QR코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등) 등을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은,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은, 상기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거나, 출력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일정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화면의 일정 영역에 대한 터치 등)을 통해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선정된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은, 상기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반경정보 입력모듈(1711-3)은, 일정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키보드,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전송모듈(1711-4)은, 광고용 블록 태그정보 입력모듈(1711-2) 또는 광고용 블록 반경정보 입력모듈(1711-3)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일정 정보(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지 않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지 않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일정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711-5)에,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형태로 출력하라는 일정 요청정보인,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한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를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의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수신모듈(173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711-5)는,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 송신모듈(174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인,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1750)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175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목록 또는 관련 일정정보을 사용자 단말기 등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선정 모듈(1711-6)은, 주로 웹페이지 등의 수단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또는 관련 일정 정보를 키보드,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수단을 통해 선정하는 경우, 선정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관련된 일정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정보 또는 높이정보, 건물에서의 층의 정보 등)를 식별할 수 있는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선정 모듈(1711-6)은,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서 식별할 수 있는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을, 일정 단말기의 마우스(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선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관련 수동 기능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이 선정되는 경우,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가 생성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상기의 수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미리 구비한 다음, 해당되는 일정 작동 규칙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의 일정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위한 생성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자동으로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용 블록 선정 모듈(1711-6)으로부터는,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이 선정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은, 일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ID를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URL을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일정 IP주소를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일정 QR코드 또는 다른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IP주소는, 고정 IP주소 또는 유동 IP주소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나타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대한 접속경로는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웹페이지 등에 있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대한 접속 경로를, 직접 광고주 등이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네티즌들이 광고가 송출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접속할 때, 상기 다양한 수단(ID, URL, IP주소, QR 코드 등)을 통해 관련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접속 경로가 다양할수록 트래픽 발생의 량은 커질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매출 기여도 또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거둘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용 블록 선정 모듈(1711-6)은,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할 때,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들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는,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수신모듈(1730),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1750),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 송신모듈(1740)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는,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전송모듈(1711-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를,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수신모듈(17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는, 수신한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1750)를,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정보 송신모듈(1740)을 통해, 광고용 블록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711-5)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는,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 구성되는 광고 종합정보(1712-1)를 생성하고 보관하거나, 관련되는 정보를, 본 발명을 위한 각 모듈 또는 각 장치 또는 각 수단 등을 통해 연동, 식별, 송신, 수신, 생성, 변경, 삭제,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1712)는, 블록광고 정보 입력모듈(172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 구성되는 광고 종합정보(1712-1)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 또는 해당 광고 종합정보(1712-1)의 일정 정보들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은,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문 후보지역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위도 및 경도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정보 내의 위치정보의 위치에, 일정 사용자 단말기가 실제로 있는 경우, 해당하는 단말기의 웹 브라우져를 통해 출력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에, 광고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은,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문 후보지역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위도 및 경도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정보 내의 위치정보의 위치에, 해당 위치정보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에, 광고를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은,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에 대한 일정 정보(또는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에, 광고를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이 송출하는 광고는, 일정 정보이거나, 이미지, 비디오, 동영상, 텍스트 등을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7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01)는 도 1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일정 페이지 등)를 통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네트워크 상에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단위로 검색하고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는,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 블록숙소 접속모듈(1812),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는,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1811-2),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은,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을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입력한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은,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은, 상기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거나, 출력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일정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화면의 일정 영역에 대한 터치 등)을 통해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기능을 통해 선정된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은, 상기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1811-2)은, 일정 위도 및 경도로 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키보드,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은,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1811-1) 또는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1811-2)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일정 정보(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지 않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지 않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일정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사용자 단말기 설치된,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에,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형태로 출력하라는 일정 요청정보인,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의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1831)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예: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접속모듈1812)은,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관련 정보를 엑세스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로 웹페이지 등의 수단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또는 블록숙소(예: 도 15의 블록숙소(1510)) 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선정되는 정보가 발생하면, 선정된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또는 블록숙소(예: 도 15의 블록숙소(1510)) 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엑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접속모듈(1812)을 통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또는 블록숙소(예: 도 15의 블록숙소(1510)) 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는, 일정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ID를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URL을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일정 IP주소를 통해 접속하거나, 일정 웹페이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일정 QR코드 또는 다른 1차원,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IP주소는, 고정 IP주소 또는 유동 IP주소를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또는 블록숙소(예: 도 15의 블록숙소(1510)) 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나타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대한 접속경로는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등에 대한 접속 경로를, 직접적 사용자 등이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기능은, 숙소 공유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 네티즌들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등이 송출된 웹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접속할 때, 상기 다양한 수단(ID, URL, IP주소, QR 코드 등)을 통해 관련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접속 경로가 다양할수록 트래픽 발생의 량은 커질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숙소 공유의 확률 또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숙소 공유의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는,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인,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는,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등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수신모듈(1832), 블록숙소 검색결과 정보(1833), 블록숙소 검색결과 정보 송신모듈(1834)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된 일정 정보들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들과 연동하거나 관련 장치 또는 수단들을 위한 송,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전송모듈(183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 수신모듈(1832)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는,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정보(1833)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정보 송신모듈(1834)을 통해,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일정 디바이스(RFID 스마트 카드,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이 있는 일정 수단,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워치 등)에 설치되며, 해당 일정 디바이스에 설치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일정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망을 통해, 다른 곳에 설치 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보관(또는 일정 보관 수단에 보관)되어 있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하는 일정 디바이스를 통해, 호텔 및 일반여행객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출입을 위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발명을 실시할 때, 다양한 지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숙소에 대한 점유권(사용권한)을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상대방과 상호 이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호텔 등은 기존 영업용 숙소의 객실 출입을 위해, 전용 RFID 스마트 카드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호텔 측이 객실 출입관리장치(예: 도 19의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를 통해, 호텔 측이 여행객에게 제공하는 숙소의 전용 RFID 스마트 카드의 고유 ID를 사전에 등록한 다음, 숙소의 출입이 승인된 여행객에게 RFID 스마트카드를 제공하고, RFID 스마트카드를 제공받은 여행객은, 해당 숙소의 도어락에 RFID 카드를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시켜 해제된 도어락을 통해 객실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위한 상기 객실 출입관리장치(예: 도 19의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는, 기존 호텔 측이 사용하고 있는 관련 장치를 병용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업자가 이를 별도로 운용하는 것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들이 스마트카드 및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하도록 개발된 기술이다.
예를 들면,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말하며, 13.56MHz 대역의 주파수1)를 이용하여 약 10 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숙소에 출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Radio Frequency)란, 무선 주파수를 방사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법으로써, 주파수를 이용한 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이와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숙소에 출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R(Infra-Red Ray)란, 적외선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수단에서, 적외선(IR) 송수신 센서 모듈과 적외선 수광부와 발광부와 가변 저항을 이용해 측정 거리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여, 이와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숙소에 출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무선인식이라고도 하며,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시스템으로, 이와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숙소에 출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란, 컴퓨터의 연산 처리부를 1개 또는 수 개의 대규모 집적 회로(LSI)로 구성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억 장치 및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붙인 보드에 탑재한 극소형 컴퓨터로, 이와 관련된 기능을 토대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숙소의 출입에 대한 관련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8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 또는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 등과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베터리 등)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거나 또는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도 숙소의 출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상작동수단(1930)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작동수단(1930)은,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숙소의 출입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비상작동수단(1930)를 통해, 숙소의 출입을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작동수단(1930)은,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에 긴급 전원을 일시적으로 공급하거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을 일시적으로 비상작동수단(예: 도 19의 비상작동수단(1930))에 다운로드 하여, 숙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도어락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도어락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작동 규칙을 규정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을,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 또는 객실 출입관리장치(예: 도 19의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로부터 수신하거나, 미리 수신한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을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저장부(1950)에 저장 및 보관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인터넷 또는 일정 네트워크(폐쇄형 또는 개방형)상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 등과 통신을 하며, 각종 연산을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등을 더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저장부(195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은, 비상작동수단(1930)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다른 장치 또는 수단(또는 디바이스 등)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저장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일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를,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주파수가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설정된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또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설정되어 있는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규칙에 부합되는 경우), 도어락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도어락에 장착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를 잠그 라는 신호인, 블록숙소 도어 잠금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를 해제하라는 신호인, 블록숙소 도어 잠금해제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해제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설정되어 있는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규칙 등은, NFT(예: 도 11의 NFT(1140))(FT 등)를 보관하고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를 식별할 수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1131))가, NFT(예: 도 11의 NFT(1140))(FT 등)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의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식별하거나 해당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가 설치된 일정 단말기로부터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의 블록 데이터 검증용 코드(예: 도 13의 블록 데이터 검증용 코드(1370))가 입력되어 정보가 일치하면, 구동모터를 잠금 또는 해제 등의 기능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해제신호는,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의 불능(또는 긴급 상황으로 인해)으로 숙소의 출입이 불가한 경우, 일종의 마스터키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블록숙소 도어 잠금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잠금해제신호 없이, 숙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저장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일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를,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저장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일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를,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바코드정보(예: QR코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등)를,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를 통해 식별하고, 식별된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 또는 바코드정보가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설정된 바코드와 일치하는 경우(또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설정되어 있는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규칙에 부합되는 경우), 도어락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도어락에 장착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를 잠그라는 블록숙소 도어 잠금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하거나,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라는 블록숙소 도어 잠금해제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해제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일정 디바이스 장치(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 스캐너, 스마트폰 등)와 연동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저장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에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일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를,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비전정보(예: 안면정보, 홍채정보, 정맥정보 등 일체의 화상정보 등)를,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일정 주파수(저주파, 고주파, 초고주파 등) 또는 비전정보가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설정된 바코드와 일치하는 경우(또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설정되어 있는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규칙에 부합되는 경우), 도어락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도어락에 장착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를 잠그라는 블록숙소 도어 잠금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하거나, 구동모터를 통해 잠금장치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라는 블록숙소 도어 잠금해제신호 또는 블록숙소 도어 긴급 잠금해제신호를 관련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디바이스 장치(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 스마트폰 등)와 연동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코드정보, 비전정보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위한 2차적인 보안을 추가할 목적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해당 숙소의 출입을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의 인증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코드정보 설정 모듈(1990)은,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의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바코드정보의 설정 또는 등록 등을 위한 것이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코드정보 설정 모듈(199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일정 디바이스 장치(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 스캐너, 스마트폰 등)와 연동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비전정보 설정 모듈(1910)은,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의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비전정보의 설정 또는 등록 등을 위한 것이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전정보 설정 모듈(19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일정 디바이스 장치(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 스마트폰 등)와 연동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의 규칙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19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8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4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6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7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장치(101)는 도 19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구성들 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에 저장된 작동 규칙에 대한 일정 정보의, 생성, 변경, 삭제 등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구동모터는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일정 수단도 여기에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2020) 및/또는 일정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디바이스는, RFID 스마트 카드,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이 있는 일정 수단,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워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2020)는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 객실 출입관리 장치(2020-1),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 블록숙소 지전정보 리더기(19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 또는 객실 출입관리 장치와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베터리 등)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거나 또는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도 숙소의 출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상작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을,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 또는 객실 출입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 도 3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도 3의 서버(130))가 도 20에 도시된 구성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는, 인터넷 또는 일정 네트워크(폐쇄형 또는 개방형)상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 등과 통신을 하며, 각종 연산을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를 통해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상용숙소의 상업용 호텔 객실관리 서버 시스템 솔루션(예: 도어락 장치 포함)을 제공할 수 있다.
(2) 상용숙소와 같은 기존 민박 판매용 플랫폼에 업로드 되는 상업 목적의 민박 판매용 주택 방의 출입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예: 도어락 장치를 포함)을 제공할 수 있다.
(3) 주택들의 단순 공유(예: 주택과 주택을 공유)를 목적으로, 전자 장치(101)에 업로드 되는 주택의 방의 출입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예: 도어락 장치를 포함)을 제공할 수 있다.
(4) 주택과 호텔 룸의 공유를 목적으로, 전자 장치(101)에 업로드 되는 주택의 방의 출입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예: 도어락 장치 포함)을 제공할 수 있다.
(5) 전자 장치(101)와 사업자의 단말 및/또는 사용자의 단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홀로 존재하는 미래 주택의 방의 출입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예: 도어락 장치 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객실 출입관리 장치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호텔에서 호텔 객실을 관리하기 위해 호텔의 건물에 설치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민박 판매 플랫폼(예: 에어비앤비)에 사용자들이 업로드 하는 주택의 방을 제공하는 호스트들에게, 온라인에서 민박을 관리(주택의 방의 체크인/아웃 또는 하자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 전자 장치(101)의 서버에 의해, 단순 주택 공유(예: 주택과 주택을 공유)를 위해 사람들이 업로드 하는 주택의 방을 제공하는 호스트들에게, 온라인에서 주택 공유를 관리(주택의 방의 체크인/아웃 또는 하자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 전자 장치(101)의 서버에 의해, 주택 공유(예: 주택과 호텔 방을 공유), 및/또는 주택의 방이 민박으로 판매됨과 동시에 호텔방을 사용하는 방식을 위해, 사용자들이 업로드 하는 주택의 방을 제공하는 호스트들에게, 온라인에서 주택 광유 관리(주택의 방의 체크인/아웃 또는 하자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 필드에 있는 호텔의 방과, 민박 판매를 위해 애어비앤비 같은 기존 다른 사업자의 플랫폼에 업로드 되는 주택의 방을, 하나의 개념으로 묶기 위해 상용(후보)숙소로 명칭함.
본 개시에서는, 주택, 호텔, 민박에 상관없이, 주택, 호텔, 민박에 도어락이 장치되되면 네트워크와 단절된 나홀로 주택이든 상관없이, 언제든 네트워크에 연결 되기만 하면, 전자 장치(101)를 통해서 주택들의 공유, 주택과 호텔 방의 공유, 및/또는 주택과 상용 숙소의 공유가 이루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나홀로 주택의 도어가 본 개시의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 주택들의 공유, 주택과 호텔 방의 공유, 및/또는 주택과 상용 숙소의 공유가 이루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래의 모든 주택의 도어락과 상용 숙소의 디지털 도어락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블록(확장판은 블록체인 기능 추가)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도어락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작 할 수 있다.
(1) 검증을 위한 전자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와 네트워크 상 연동할 수 있거나, 전자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단말기 기능)인, RFID 스마트 카드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이 있는 일정 수단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워치) 또는 자동차 키를 도어락의 스마트 키로 이용할 수 있다.
(2)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의 인식 장치(주파수, 홍채 등)의 유효 거리에 가져다 놓거나, 인식 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하거나, 식별할 수 있게 하거나, 갖다 대거나 하는 경우에 도어락이 동작할 수 있다.
(3) 도어락에 저장된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저장부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의 규칙에 설정된 주파수와 일치하거나 또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에 설정되어 있는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위한 규칙에 부합되는 경우, 도어락이 동작할 수 있다.
(4) 해당되는 노드(단말기)에 보관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통해 식별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가 1개(블록이 제네시스 블록)이면서, 노드가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 도어락이 동작 할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와 해당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가 이미 상호 식별되어 동기화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노드의 전원이 ON인 상태이고, 도어락의 전원만 ON상태라면, 도어락의 인식/식별 장치(주파수, 홍채인식 등)가 작동할 수 있으므로, 비록 노드는 오프라인 상태라 하더라도 도어락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잠금장치는 해제될 수 있다.
(5) 해당되는 노드에 보관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통해 식별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가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노드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대조/검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의 입력 수단에,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가 입력되면, NFT가 보관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가,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에 해당하는(일치하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해, 점유권 암호화코드에 해당하는 암호를, 블록생성 프로토콜에 저장된 규칙에 따라 식별하고(코딩, 인코딩, 디코딩, 역해시, 더블해시 등의 기능으로), 숙소 공유를 위한 당사자들의 각 노드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블록 데이터에 저장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가 상기 입력된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데이터에 속하는 숙소를 공유하려고 하는 당사자들의 노드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 전부를 대조하지 않고, 같은 블록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만 식별할 수 있으면 만족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본 발명은 블록생성 프로토콜에 저장된 규칙을 사전에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수나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에 해당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가 유효한 것인지 검증하기 위해, 해당되는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 블록 관리금 검증용 코드, 블록 데이터 검증용 코드를, 다른 노드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통해 검증/대조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이 유효하면 문은 구동모터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름녀, 도어락의 전원에 문제가 발생하여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으로 식별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가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암호화코드의 검증을 위해, 다른 노드의 전자사본을 네트워크 상 연결되어야 하지만 도어락이 전원 문제로 인해 작동하지 않으므로, 비상작동수단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이 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공유숙소 관리장치(002),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18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화 시스템)(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은, 인터넷 또는 일정 네트워크(폐쇄형 또는 개방형)상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단 등과 통신을 하며, 각종 연산을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게이트(예: 도 3 및 도 5의 서비스 게이트(32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웹사이트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일정 사용자의 단말기(네티즌, 관리자의 단말기 등)의 접속을 위한 기능, 상기 웹사이트 등의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를 위한, 인터넷 주소(또는 네트워크 상 접속주소)의 기능,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예: 유동IP 또는 고정IP) 또는 도메인(domain)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기능,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의 기능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예: 도 18의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 생성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 생성모듈(540)),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591)),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예: 도 18의 블록 데이터 연동 장치(183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장치(710))는,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 호텔숙소 콘텐츠 정보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호텔숙소 콘텐츠 정보 동기화 모듈(711)), 호텔숙소 관리정보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호텔숙소 관리정보 동기화 모듈(712)),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모듈(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모듈(713))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 콘솔(580))은,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590),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610)),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620)), 상용 후보숙소 URL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URL 등록모듈(630)),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IP 등록모듈(640)),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바코드 등록모듈(650)),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 계좌정보 입력모듈(예: 도 8의 계좌정보 입력모듈(680)),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예: 도 8의 상용 후보숙소 관리모듈(68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810))는,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820)),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830)),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840)),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예: 도 9의 상용 후보숙소 식별 프로토콜(850)),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 생성모듈(860))은,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콘텐츠 정보 입력모듈(820)),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830)),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예: 도 9의 제공 후보숙소 관리정보 설정모듈(840))을 통해 입력 또는 설정되는 숙소에 대한 정보들을 기록하기 위해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종합정보(721))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예: 도 8의 제공 후보숙소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하는 기능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예: 도 10의 블록 생성 및 운영장치(910))는,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기간 개별 설정모듈(980)), 블록생성 프로토콜(예: 도 5의 블록생성 프로토콜(501)), 블록 인디케이터,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1130)), 블록 관리금 단위 설정 모듈,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설정정보 생성모듈(1340)),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예: 도 5 및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모듈(525)),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예: 도 13의 블록 관리금 전송 트리거(525-1)),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예: 도 13의 블록 패널티 전송 트리거(1395)),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예: 도 11의 블록 관리금 수신모듈(1132)),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예: 도 14의 블록 관리금 디파짓 장치(1410)), 디파짓 해제모듈(예: 도 14의 디파짓 해제모듈(144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인디케이터는,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예: 도 14의 블록 아카이브 출력모듈(1450)), 블록 세부정보 출력모듈(예: 도 14의 블록 세부정보 출력모듈(1460)),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장치(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장치(1520))는,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이하 블랭크단말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50)),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는,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 콘솔(1530)),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1590)),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 블랭크숙소 구입모듈,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은,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가 생성된 경우에 한하여 관련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생성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삭제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관리장치는,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는, 공유숙소 관리 콘솔,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 공유숙소 하자정보 관리 메신저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해,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접속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해, 방(또는 집)을 빌리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의 접속을 위한 기능을 더 포함(예: 기능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은,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 한하여 관련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삭제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상호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또는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빌리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를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공유숙소 체크인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를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공유숙소 체크아웃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가,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공유할 수 있는 상태의 자격이 있는 숙소라는 것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 등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계정접속모듈(590)을 통해, 호텔 등의 상업용 숙박시설의 사업자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를 식별하고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공유기간 설정모듈(610))을 통해,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를 일반 여행객들에게 제공하여, 상업용 숙박업소와 여행객 상호간 숙소 공유거래를 체결하기 위해, 상업용 숙소의 예약이 없는 날짜 또는 기간만을 설정하고, 설정한 날짜 또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POST ID 등록모듈(620))을 통해, 기존 영업중인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와 관련된 웹페이지의 고유 ID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 또는 엑세스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 ID외에 URL, 유동 또는 고정 IP주소도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예: 도 7의 상용 후보숙소 위치정보 등록모듈(660))을 통해, 기존 영업중인 호텔 등의 상업용 숙소의 위치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식별 또는 엑세스할 수 있는 일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위도 및 경도, 해발로 부터의 높이, 지표로 부터의 높이, 건물에서의 특정 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예: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API 설정모듈(570))을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 장치 또는 수단이 일정 접속정보 등을 통해 엑세스하거나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6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의 작동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의 설정 값을 상용 숙소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의 작동 규칙에 따라,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를 통해, 호텔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관리하는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영업 중인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엑세스하기 위해 요청 신호를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의 공유화 방법”으로서,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5의 호텔숙소 종합정보 데이터베이스(550))가,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로부터, 기존 영업 중인 호텔 측 숙소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관리정보의 엑세스를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예: 도 5의 상용 후보숙소 엑세스게이트(541))에 엑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 또는 공유숙소 렌탈계정 접속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 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공유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공유숙소 관리 단말기의,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공유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공유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 또는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또는 되지 않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값을 가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라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 아카이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183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로부터 전송되어 온,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수신하고,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선정되는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선정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판매가격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구입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구입을 요청하는 일정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의 실존하는 실물 화폐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 계좌정보에 해당하는 계좌에, 상기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생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을 통해,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로부터 설정된 판매가격에 따른 금액을 입금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예치된 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문자, 숫자, 특수 문자, 바코드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단위별(즉, 테깅한 입력 단위)로,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태그정보 입력모듈 또는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반경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와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되거나(또는 되지 않거나), 일정 정보(또는 위도 및 경도 또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의 반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값을 가진,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라는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블록 아카이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요청정보 수신모듈(183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 인터페이스(1811))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아카이브 인디케이터(1813))를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예: 도 18의 블록숙소 식별용정보 전송모듈(1811-3))로부터 전송되어 온,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를 수신하고, 수신한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단위로 식별하기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와 관련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블록 숙소 검색 및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예: 도 18의 블록숙소 검색결과 전송 요청정보(1820))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목록 또는 관련 정보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선정되는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선정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록 또는 관련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광고 정보 등록모듈을 통해, 광고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광고블록 선정모듈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전자 장치(101)(예: 숙소 공유 장치)(예: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으로부터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에 해당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일정 정보(위치정보 등)를 식별할 수 있는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이 있는 위치(또는 위치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정 반경 내의 지역)내의 지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블록광고 방법”으로서, 블록광고 관리장치(예: 도 17의 블록광고 관리장치(1710))의 블록광고 송출 모듈(예: 도 17의 블록광고 송출 모듈(1713))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광고블록 선정모듈로부터 생성된 광고블록 선정정보(예: 도 17의 광고용 블록 선정정보(1760))로 식별할 수 있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통해 식별하거나, 방문 후보지역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에 대한 태그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해당 지역의 위치에 실제로(또는 실제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있는 일정 PC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노출되는 웹 사이트의 페이지(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의 인터페이스 화면 등)에 광고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암호화코드 및/또는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거나, 그에 대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화 숙소를 위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또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 생성모듈(126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인 정보(156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방법”으로서,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체크아웃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 생성모듈(1270))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한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체크아웃 정보(1570))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콘텐츠 정보 인디케이터(154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 생성모듈(1580))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 정보(1585))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된,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의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모듈을 통해, 상기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에 대한 하자발생정보의 삭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한 블랭크숙소 하자발생정보 삭제정보를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렌트(판매)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렌트정 접속모듈(1210)) 또는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제공계정 접속모듈(1220)) 또는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구입계정 접속모듈(1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접속모듈을 통해, 호텔 측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방(또는 집)을 제공하는 일반 여행객의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또는 호텔 측에 일반 여행객이 제공한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고유 I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ID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사용자 계정(예: 도 14의 사용자 계정(1402))에 대한 접속을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하거나, 허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예: 도 15의 블랭크숙소 관리정보 인디케이터(1550))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들의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하자발생에 대한 정보, 판매가격 정보, 판매금액 입금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판매가격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구입모듈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로 식별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 중에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구입을 요청하는 일정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화폐인 달러, 원화, 옌화, 유로화 등의 실존하는 실물 화폐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해당하는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 또는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의 NFT(예: 도 11의 NFT(1140))(또는 FT 등)를 수신하고 보관한 다음 그 증명을 위한 정보의 기록을 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되는 증명을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 계좌정보에 해당하는 계좌에, 상기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로부터 생성되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상기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하여 일반 네티즌들에게 판매하는, 방 또는 집에 대한 “블랭크 숙소 판매 및 구입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예: 도 12의 블랭크숙소 관리 단말기(1240))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 생성모듈(680))을 통해,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예: 도 16의 블랭크숙소 판매가격 설정모듈(1610))로부터 설정된 판매가격에 따른 금액을 입금할 수 있는 일정 장치인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예: 도 16의 판매금액 세이빙 장치(1620))에 해당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예치된 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예: 도 8의 블랭크숙소 판매금액 입금정보(68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더 구체적으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일반 여행객들이 방문할(여행할) 지역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또는 우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입력모듈(920))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또는 QR 코드 또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와 관련된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주소 목록 또는 우편번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위치정보 선정모듈(930))에 의해 선정되는 주소 또는 우편번호에 대한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반경 설정모듈(950))을 통해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지역 지리정보 식별모듈(940))에 의해 식별되는 위도 또는 경도에 해당되는 위치가 중심이 되는, 반경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기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기간 설정모듈(960))을 통해,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최초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마지막으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종료일 또는, 단수인 경우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 또는 해당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의 사용 시작일과 사용 종료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예: 도 10의 방문 후보숙소 사용단위 설정모듈(970))을 통해, 상기 여행객이 방문할 지역(또는 여행할 지역)에서 공유할 숙소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숙소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을 일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숙소를 공유하기 위해, 호텔 측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하나의 쌍(페어)으로 구성하기 위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가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예: 도 5의 블록숙소 공유승인 모듈(51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숙소 공유화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 영업 중인 상업용 숙소와 일반 여행객이 제공할 수 있는 숙소 또는 방 (또는 집)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을, 한 쌍(페어)으로 구성한, 블록(예: 도 10의 블록(911))에 해당하는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예: 도 5 및 도 11의 블록숙소 공유신청 모듈(515))로부터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신청정보(예: 도 5의 공유신청정보(511))와 관련된 숙소의 공유 거래의 체결을 승인하기 위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예: 도 5의 공유승인정보(512))로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과 관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예: 도 5의 태그정보(530))를 포함하거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숙소의 제목, 리스트, 위치정보, 체크인/아웃, 공유기간 정보, 빈방 여부, 수리, 보수의 상태 등에 대한 관리정보를 블록 데이터(예: 도 5의 블록 데이터(520))의 형태로 기록하거나, 그에 대한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 및 점유권 암호화코드(예: 도 11의 점유권 암호화코드(1120))에 따른 NFT(예: 도 11의 NFT(114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예: 도 20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예: 도 11의 블록숙소 점유권 교환장치(1160))는, 객실 출입관리장치(예: 도 19의 객실 출입관리장치(1920)),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예: 도 12의 블록숙소 도어락 장치(12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예: 도 19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1940)),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주파수 리더기(1960)),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바코드정보 리더기(1970)),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예: 도 19의 블록숙소 비전정보 리더기(1980)),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예: 도 20의 블록숙소 출입 프로토콜 관리장치(201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인터넷 또는 폐쇄형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고유 CID(Contents 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상기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중에서, 하나의 위도 및 하나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해당되는 1개의 고유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상의 특정 블록 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데이터를 1개 이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과거 또는 현재 또는 미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시점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에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에 각각 해당되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같은 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블록 데이터에 일괄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 데이터 생성 시, 블록 데이터의 데이터를 엑세스할 수 있는 전용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데이터 또는 블록 데이터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를 저장하는 로드벨런서 또는 캐시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의 점유권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가 중단 없이 순차 공유하기 위한 복수개의 사용 시작일, 복수개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 및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상기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할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이 매칭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와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의 정보를 상기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non-fungible token)로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체인이 생성된 후,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2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담보금 및 상기 제2 담보금은, 지정된 화폐, NFT 또는 FT로 납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 및 상기 제2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가 블록체인에 각각 복수로 기록되는 경우, 기록된 날짜 순서에 따라, 특정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이전하기 위한 블록 숙소를 블록체인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사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서, 점유권 암호화코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 또는 서비스 게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노드가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사용할 수 있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 상용 숙소의 방의, 사용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NFT를 매매하는 기능,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정산 기능, 또는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송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1 담보금,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 및/또는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3 담보금을 예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의 매매 시, 상기 NFT의 전송에 따른 매매 금액의 수신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금을 지정 화폐, NFT 또는 FT로 디파짓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용 숙소의 방의 출입을 위한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3 노드가 상기 개방형 네트워크 또는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 및 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에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1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체인이 생성된 후,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C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2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에는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2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2 노드로써, 전자사본을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키는, RFID 스마트카드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1개 이상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사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종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가 블록체인에 각각 복수로 기록되는 경우, 기록된 날짜 순서에 따라, 특정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이전하기 위한 블록 숙소를 블록체인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사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서, 점유권 암호화코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 또는 서비스 게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노드가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사용할 수 있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 상용 숙소의 방의 사용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NFT를 매매하는 기능,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정산 기능, 또는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송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1 담보금,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2 담보금, 및/또는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3 담보금을 예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T의 매매 시, NFT의 전송에 따른 매매 금액의 수신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금을 지정 화폐 또는 NFT 또는 FT로 디파짓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에는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의 제3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용 숙소의 방의 출입을 위한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3 노드가 상기 개방형 네트워크 또는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방(또는 집)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2개 이상의 방(또는 집)을 하나의 숙소로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그 보다 많은 수의 방(또는 집)으로 구성된 공유숙소라 하더라도, 하나로 구성된 공유숙소 당 하나의 웹페이지를 생성하므로, 개별 숙소마다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상호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을 막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업용 호텔 등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숙박료를 받고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집(또는 방)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 근본적으로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상업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사람들에게 방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호텔 같은 상업용 숙박시설의 방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을 호텔 측으로부터 제공 받은 여행객들은 여행을 위해 비우게 되는 자신의 집(또는 방)을 호텔로 하여금 민박용 방으로 판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업용 호텔 등의 숙박업소가 여행객을 위해 방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사실은 사회적으로 상당한 파급력이 있는 것으로써, 이는 여행객을 위해 방을 제공하는 기간 동안 호텔 측에게 막대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호텔은 그 호텔이 있는 지역뿐 아니라, 여행객이 제공하는 집(또는 방)이 있는 지역 마다 또는 여행객이 제공하는 집(또는 방)을 사용하는 회차 마다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행객이 호텔 측에 제공한 집(또는 방)을 민박으로 판매하여, 호텔로 하여금 호텔 측이 사람들에게 제공한 방에 대한 비용의 일부를 충당할 수 있게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기 위해 여러 개의 각 노드에 같은 정보로써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유지를 위한 암호의 해석에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및 일반 여행객들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공유를 위한 거래가 체결된 이후 장거리에 있는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방문하기 위해 항공편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해당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사용 조건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는 효과가 있다.
일방적인 정보의 변경 내지 위변조를 막기 위해 여러 개의 각 노드에 같은 정보로써 저장된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의 유지를 위한 암호의 해석에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여행객들이 상호 방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람들이 여행을 하면서 비우게 되는 자신들의 집(또는 방)을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의 점유권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간편하게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를 위한 방(또는 집)의 도어락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소지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사본 상호간 연결된 암호의 해석을 위해 소요되는 고도의 컴퓨터 연산능력 소비에 따른 네트워크상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유를 위한 호텔 측이 제공하는 숙소 또는 일반 여행객이 제공하는 방(또는 집)의 점유권을 NFT(예: 도 11의 NFT(114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간편하게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NFT(예: 도 11의 NFT(1140))가 저장된 일정 단말기를 통해 공유를 위한 숙소 또는 방(또는 집)의 도어락을 해제 하거나 잠그는 기능을 사용하여 간편한 숙소 출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일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기기(machine)(예: 도 2의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2의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도 2의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방법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3)

  1.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인터넷 또는 폐쇄형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고유 CID(Contents ID)를 생성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상기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중에서, 하나의 위도 및 하나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해당되는 1개의 고유 CID를 생성하고, 및
    네트워크 상의 특정 블록 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데이터를 1개 이상 생성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과거 또는 현재 또는 미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시점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하고,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하고,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에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1개 이상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에 각각 해당되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같은 수의 단위로 된 사용기간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고유 CID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블록 데이터에 일괄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 데이터 생성 시, 블록 데이터의 데이터를 엑세스할 수 있는 전용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 또는 블록 데이터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를 저장하는 로드벨런서 또는 캐시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주택의 점유권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가 중단 없이 순차 공유하기 위한 복수개의 사용 시작일, 복수개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 및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 상기 제2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상기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14.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할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이 매칭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와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의 정보를 상기 특정 블록 데이터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non-fungible token)로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게 제공하는,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체인이 생성된 후,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C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되고,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2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장치.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담보금 및 상기 제2 담보금은, 지정된 화폐, NFT 또는 FT로 납부되는,
    전자 장치.
  19. 제16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0.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하고,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1. 제16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하고,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2. 제16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3. 제16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 및 상기 제2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4. 제16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25. 제16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가 블록체인에 각각 복수로 기록되는 경우, 기록된 날짜 순서에 따라, 특정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이전하기 위한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26. 제16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증하되,
    상기 전자사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서, 점유권 암호화코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 또는 서비스 게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27. 제16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되,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노드가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28. 제16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사용할 수 있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및/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사용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9. 제16 항 내지 제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NFT를 매매하는 기능,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정산 기능, 또는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송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0. 제16 항 내지 제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1 담보금,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 및/또는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3 담보금을 예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1. 제16 항 내지 제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및/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NF의 매매 시, 상기 NFT의 전송에 따른 매매 금액의 수신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금을 지정 화폐, NFT 또는 FT로 디파짓 하는,
    전자 장치.
  32. 제16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3. 제16 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용 숙소의 방의 출입을 위한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되,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3 노드가 상기 개방형 네트워크 또는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34.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C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 및 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1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1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한 쌍(페어)으로 구성하는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하고,
    상기 NFT에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1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장치.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블록체인이 생성된 후,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C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이 매칭되고,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2 담보금이 납부되면, 상기 제2 CID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태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상기 제 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로 생성하고,
    상기 NFT에는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2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FT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장치.
  36. 제34 항 또는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2 노드로써, 전자사본을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 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7. 제34 항 내지 제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키는,
    RFID 스마트카드 또는 NFC 또는 RF 또는 I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8. 제34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최초 사용 시작일 정보, 및 1개의 최종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 게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39. 제34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를 주소, 우편번호,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식별하고,
    식별한 위도 및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 정보를 1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0. 제34 항 내지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생성하고,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의 1개의 반경의 크기 정보를 1개 이상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1. 제34 항 내지 제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의 위도 및 1개의 경도에 해당되는 좌표로 부터의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1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상기 제2 높이 정보 또는 건물의 층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2. 제34 항 내지 제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사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종료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 및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에 대한 1개 이상의 사용 시작일 정보와 1개 이상의 사용 종료일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3. 제34 항 내지 제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위도 정보 및 2개 이상의 경도 정보,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고유 CID, 특정 서비스 게이트 또는 특정 서비스 게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하나의 쌍(페어)로 구성되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블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공유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승인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전자 장치.
  44. 제34 항 내지 제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 시작일 정보와 사용 종료일 정보가 블록체인에 각각 복수로 기록되는 경우, 기록된 날짜 순서에 따라, 특정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이전하기 위한 블록 주택의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45. 제34 항 내지 제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블록체인을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증하되,
    상기 전자사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서, 점유권 암호화코드, 블록 관리금 세이빙 장치 식별코드, 또는 서비스 게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46. 제34 항 내지 제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되,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노드가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47. 제34 항 내지 제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사용할 수 있는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및/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사용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8. 제34 항 내지 제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NFT를 매매하는 기능,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정산 기능, 또는 상기 NFT의 매매 차익의 송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9. 제34 항 내지 제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NFT는,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1 담보금, 상기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 2 담보금, 및/또는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공을 담보하는 제3 담보금을 예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0. 제34 항 내지 제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주택 또는 주택의 방, 및/또는 상용 숙소의 방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NFT의 매매 시, NFT의 전송에 따른 매매 금액의 수신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금을 지정 화폐 또는 NFT 또는 FT로 디파짓 하는,
    전자 장치.
  51. 제34 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의 점유권의 판매 금액에 대한 입금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후보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기 상용 후보 숙소의 방을 매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2. 제34 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NFT에는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3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자 장치.
  53. 제34 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택 또는 주택의 방과 상용 숙소의 방의 출입을 위한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되,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노드와 상기 상용 숙소의 방의 제3 노드가 상기 개방형 네트워크 또는 상기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에서 점유권 암호화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NFT의 전자사본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131051A 2022-09-27 2023-09-27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43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5145 WO2024072168A1 (ko) 2022-09-27 2023-09-27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58 2022-09-27
KR20220122464 2022-09-27
KR1020220122464 2022-09-27
KR20220122423 2022-09-27
KR20220122452 2022-09-27
KR20220122410 2022-09-27
KR1020220122423 2022-09-27
KR1020220122410 2022-09-27
KR1020220122670 2022-09-27
KR20220122458 2022-09-27
KR1020220122452 2022-09-27
KR20220122670 2022-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721A true KR20240043721A (ko) 2024-04-03

Family

ID=9066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051A KR20240043721A (ko) 2022-09-27 2023-09-27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7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CN110178338B (zh) 用于创建加密安全数字资产的计算机实现方法
KR102103931B1 (ko)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8389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11443301B1 (en) Sending secure proxy elements with mobile wallets
JP2021072130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記録された制限された情報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ビュー
KR102612064B1 (ko) 생성 방법, 프로그램, 정보처리 장치
US20170293898A1 (en) Static ctyptographic currency value
CA3053185A1 (en) Secure location base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methods and systems
KR20180068888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게임 아이템 구매 방법 및 장치
CN107636662A (zh) 网络内容认证
KR102594732B1 (ko) 인증 방법, 프로그램, 단말
US201600349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l estate transactions using beacons
CN110648225A (zh) 一种应用数字人码链的方法
US20230123993A1 (en) System for validating ticket transactions via ticket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50019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fractional ownership of physical goods
WO2021249208A1 (zh) 采用码链区块的数字货币模型、方法、系统及装置
KR20240043721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43439A (ko)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호텔과 주택의 숙소 공유화 시스템 기반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도어락
KR20240043864A (ko)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주택의 숙소 공유화 시스템 기반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도어락
KR20240043432A (ko)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호텔과 주택의 숙소 공유화 시스템 기반의 블록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와 그 방법,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
US20230222519A1 (en) System for issuing nfts based on ticket data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240033639A1 (en) Collecting coupon nft via a client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220240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secured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between devices
KR20240043514A (ko)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주택의 숙소 공유화 시스템 기반의 블록숙소 생성 및 관리장치와 그 방법, 블록숙소 검색 및 접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