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416A - 복합형 앵커블록 - Google Patents

복합형 앵커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416A
KR20240043416A KR1020220122486A KR20220122486A KR20240043416A KR 20240043416 A KR20240043416 A KR 20240043416A KR 1020220122486 A KR1020220122486 A KR 1020220122486A KR 20220122486 A KR20220122486 A KR 20220122486A KR 20240043416 A KR20240043416 A KR 2024004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f
anchor
block
anchor block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완
박경수
오지운
조현기
차혁민
최두현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이앤씨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이앤씨,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포스코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12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416A/ko
Publication of KR2024004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지반에 설치되어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복합형 앵커블록이고, 수중지반에 설치되고, 중량물로 구성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적어도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부분을 형성하는 어초형성부;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형 앵커블록{COMPLEX TYPE ANCHOR BLOCK}
본 발명은 복합형 앵커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 및 산림 파괴 등의 문제로 호수, 방조제 내측, 연안 수면 등에 부유식 구조물을 활용해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설비의 설치가 추진되고 있다. 부유식 구조물의 위치 유지 등 구조 안정성 확보를 위해 계류시설이 필수적이다.
또한, 해양 사막화로 인해 파괴되는 환경보호를 위해 인공어초를 사용하여 바다 숲 조성 및 어류 서식지 확보를 위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수상 태양광 등의 부유식 구조물의 앵커블록은 지면과 마찰을 통해 충분한 수평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앵커블록은 설치 부지의 환경 조건을 반영해 충분한 중량을 갖도록 설계하여 설치하며, 발전소 등의 설계 수명이 종료 후에는 관계법령상 앵커블록을 철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앵커블록의 경우, 철거비용이 설치비용의 3배 정도 소요되는바, 철거비용으로 인한 경제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공어초의 경우 해양수산부 등에서 인증된 제품만 국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형상 및 크기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인증된 인공어초를 활용하면서 다양한 중량을 가지는 앵커블록을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어초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여 친환경적인 수중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복합형 앵커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상구조물의 수명이 종료된 후에도 철거될 필요가 없어 자원낭비 및 폐기물의 발생이 방지되고, 철거비용이 절감되면서 경제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복합형 앵커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수중지반에 설치되어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복합형 앵커블록이고, 수중지반에 설치되고, 중량물로 구성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적어도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부분을 형성하는 어초형성부;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앵커부 및 상기 어초형성부는 어느 일측이 타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는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는 중심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다리를 가지는 테트라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어초형성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장다리 중 상부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다리가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홀을 가지는 제1 어초본체; 및 상기 제1 어초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중지반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연장다리가 삽입되는 축소홀을 가지는 홀축소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초본체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테두리부분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는, 하측이 수중지반에 안착되고, 상측에 상기 어초형성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어초형성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어초본체; 및 상기 제2 어초본체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초본체는, 내입홈부분이 형성되는 상층부분; 상기 상층부분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서식공간이 형성되는 중층부분; 및 상기 중층부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면에서 상기 삽입블록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층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앵커부의 저판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지반에 안착되는 베이스본체;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블록이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설치높이가 변경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량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어초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여 친환경적인 수중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상구조물의 수명이 종료된 후에도 철거될 필요가 없어 자원낭비 및 폐기물의 발생이 방지되고, 철거비용이 절감되면서 경제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합형 앵커블록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복합형 앵커블록에 복수 개의 앵커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Ⅱ-Ⅱ'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복합형 앵커블록이 수상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복합형 앵커블록에 복수 개의 앵커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복합형 앵커블록이 수상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형 앵커블록(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10)과 관련된 내용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10)과 관련된 내용들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앵커부(100) 및 어초형성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수중지반(G)에 설치되어 수상구조물(F)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합형 앵커블록(10)은 부유식 발전설비 등의 수상구조물(F)이 고정하여, 수상구조물(F)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합형 앵커블록(10)과 수상구조물(F)의 사이는 와이어 밧줄 등의 계류장치(W)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어류 등이 모이도록 유도하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상구조물(F)은 수상에 배치되고, 계류장치(W)를 매개로 복합형 앵커블록(10)에 연결되어 고정되면서 수상에서 계류될 수 있다.
수상구조물(F)은 앵커부(100)와 어초형성부(200)가 결합된 복합형 앵커블록(10)의 자중 및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앵커부(100)는 수중지반(G)에 설치되고, 중량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앵커부(100)에는 수상구조물(F)과 연결된 계류장치(W)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어초형성부(200)는 앵커부(10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적어도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부분을 형성활 수 있다.
어초형성부(200)는 조류 또는 해조류가 부착되도록 유도하여 수중에서 어초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어초란 어류 등이 모여드는 유리한 조건을 갖춘 어장의 한 형태이다. 어초형성부(200)는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을 유도하고 조류 등의 사이에 어류 등의 서식공간(V)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어초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또는 어초형성부(200)와 앵커부(100)의 사이의 공간에 어류 등의 서식공간(V)이 마련될 수 있다.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수상구조물(F)의 계류장치(W)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어초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여 친환경적인 수중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합형 앵커블록(10)은 부유식 발전설비 등의 수상구조물(F)의 수명이 종료된 후에도 철거될 필요가 없어 자원낭비 및 폐기물의 발생이 방지되고, 철거비용이 절감되면서 경제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거되지 않은 복합형 앵커블록(10)을 수중에 잔존시켜 인공어초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수중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커부(100) 및 어초형성부(200)는 어느 일측이 타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앵커부(100) 및 어초형성부(200)는 삽입이라는 간이한 방식에 의해 조립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현장에서의 설치상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의 경우는, 앵커부(100)가 어초형성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의 경우는, 어초형성부(200)가 앵커부(100)에 삽입될 수 있다.
앵커부(100)는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을 포함하고, 어초형성부(200)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앵커부(100)에 적용되는 앵커유닛(100U)만을 교체시켜 복합형 앵커블록(10)의 자중을 조절하여 복합형 앵커블록(1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은 중량을 달리하기 위해, 형상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앵커유닛(100U)이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인공어초의 경우, 해양수단부 등에서 인증된 제품만 국내에 설치가 가능하고, 형상 및 크기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초형성부(200)가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증된 형상의 어초형성부(200)는 변화없어 관련법규의 준수가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초형성부(200)가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규격화된 어초형성부(200)는 변화없이 앵커부(100)에 적용되는 앵커유닛(100U)만을 교체시켜 앵커부(100)의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수상구조물(F)의 크기, 형상,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계류력에 부합하도록 복합형 앵커블록(10)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앵커부(100)는 중심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다리(110)를 가지는 테트라포트(101)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장다리(110) 중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다리(110)가 어초형성부(2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앵커부(100)는 4개의 연장다리(110)를 가지는 테트라포트(101)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연장다리(110) 중 3개의 연장다리(110)는 수중지반(G)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수중지반(G)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4개의 연장다리(110) 중 나머지 1의 연장다리(110)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어초형성부(200)에 형성된 제1 고정홀(2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연장다리(110)는 테트라포트(101)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앵커부(100)가 테트라포트(101)로 설치되는 경우, 수중지반(G)은 자갈+모래로 구성되거나, 자갈 등으로 구성된 경성지반(단단한 지반)일 수 있다. 경성지반의 경우, 후술할 연성지반에 비해 지내력이 클 수 있다. 일례로, 수중지반(G)이 자갈로 구성될 경우, 지내력은 30 ton/m2 정도 일 수 있고, 수중지반(G)이 자갈+모래로 구성될 경우, 지내력은 20 ton/m2 정도 일 수 있다.
어초형성부(200)는 제1 어초본체(210) 및 복수 개의 지지다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초본체(210)는 어초형성부(20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연장다리(110) 중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다리(110)가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홀(212)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어초본체(210)의 일측에는 수상구조물(F)과 연결되는 계류장치(W)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다리(230)는 제1 어초본체(210)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중지반(G)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다리(230)는 평면상에서 제1 어초본체(210)의 테두리부분에 배치되고, 제1 어초본체(2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다리(230)는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다리(230)가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접촉지지점을 앵커부(100)의 중심부분에서 멀리 배치할 수 있어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다리(230)는 제1 어초본체(210)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지지다리(230)가 제1 어초본체(210)의 하측 테두리부분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다리(230)의 하측은 수중지반(G)에 설치된 상태에서, 평면상에서 테트라포트(101)에서 이격하여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테트라포트(101)와 지지다리(23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어류 등의 서식공간(V)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수중지반(G)에 설치된 상태에서, 평면상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테트라포트(101)의 연장다리(110) 및 어초형성부(200)의 지지다리(230)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합형 앵커블록(10)은 테트라포트(101)의 3개의 연장다리(110)가 수중지반(G)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어초형성부(200)의 3개의 지지다리(230)가 수중지반(G)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테트라포트(101)의 3개의 연장다리(110)에 의해 수중지반(G)에 3점 지지되고, 어초형성부(200)의 3개의 지지다리(230)에 의해 수중지반(G)에 3점 지지되면서, 적어도 수중지반(G)에 총 6점 지지되면서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수중지반(G) 상에서 전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복합형 앵커블록(10)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복합형 앵커블록(10)에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Ⅱ-Ⅱ'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앵커부(100)는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인 테트라포트(101)로 구성되면서 중량이 상이한 복수 개의 테트라포트(101) 중 어느 하나가 어초형성부(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앵커유닛(100U)인 테트라포트(101)의 중량이 달라지면 테트라포트(101)의 높이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어초형성부(200)가 제1 어초본체(210)와 복수 개의 지지다리(230)를 포함하는 형태의 경우, 앵커유닛(100U)인 테트라포트(101)의 높이에 맞게 지지다리(230)의 높이도 달라져야 한다.
이는, 어초형성부(200)의 금형을 제작시, 설계시 예상한 가장 큰 중량 및 높이를 가지는 테트라포트(101)의 최대높이에 맞도록 지지다리(230)의 금형을 제작한다.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 및 높이를 가지는 테트라포트(101)를 앵커유닛(100U)으로 활용시, 제작된 어초형성부(200)의 금형 중 지지다리(230) 부분에 지지다리(230)의 높이를 줄이는 보조블록을 채운 상태에서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면 어초형성부(200)의 지지다리(230)의 높이를 줄여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어초형성부(200)의 금형을 활용하여 중량 및 높이 등을 달리하는 테트라포트(101)에 맞게 지지다리(23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어초형성부(20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100)가 테트라포트(101)로 구성될 경우, 이미 시중에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금형을 활용하여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테트라포트(101)를 제작할 수 있다.
어초형성부(200)는 홀축소블록(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축소블록(250)은 제1 고정홀(212)에 삽입되고, 내부에 연장다리(110)가 삽입되는 축소홀(251)을 가질 수 있다.
홀축소블록(250)은 제1 고정홀(212)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홀(212)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홀축소블록(250)은 제1 고정홀(212)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관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홀축소블록(250)의 내부에 형성된 축소홀(251)에 테트라포트(101)의 연장다리(110)가 삽입될 수 있다.
홀축소블록(250)은 상측을 통해 제1 고정홀(2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홀(212)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타입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축소블록(250)은 제1 고정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고정홀(212)의 하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어초본체(210)는 중심부재(211) 및 돌출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재(211)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중심부재(211)는 평면상에서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부재(211)에는 육각링 형상의 내입홈부분(L)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213)는 중심부재(211)의 테두리부분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고, 중심부재(211)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213)에는 상면에 선형의 내입홈부분(L)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재(213)에는 복수 개의 내입홈부분(L)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내입홈부분(L)은 다수의 모서리 또는 굴곡부분을 형성하여 조류 등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213)의 내입홈부분(L)은 조류 등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수중지반(G)에 설치되고, 수상에 배치된 수상구조물(F)은 계류장치(W)를 매개로 복합형 앵커블록(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을 중심에 두고 3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수상구조물(F)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3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120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으나,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을 중심에 두고 4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수상구조물(F)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4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90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량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수상구조물(F)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블록(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앵커부(100)는, 하측이 수중지반(G)에 안착되고, 상측에 어초형성부(200)가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홀(150)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2)로 구성될 수 있다.
앵커부(100)가 베이스플레이트(102)로 설치되는 경우, 수중지반(G)은 모래+점토로 구성되거나, 모래 또는 점토로 구성된 연성지반(연약지반)일 수 있다. 연성지반의 경우, 지내력이 약하여 설치된 복합형 앵커블록(10)에 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복합형 앵커블록(10)의 전도가 일어날 수 있는바,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충분한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수중지반(G)이 모래+점토로 구성될 경우, 지내력은 15 ton/m2 정도 일 수 있고, 수중지반(G)이 모래 또는 점토로 구성될 경우, 지내력은 10 ton/m2 정도 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저면이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저면이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저면이 상측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저면이 가장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일측에는 수상구조물(F)과 연결되는 계류장치(W)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50)은 베이스플레이트(102)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내입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50)은 삽입블록(27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초형성부(200)는 제2 어초본체(250) 및 삽입블록(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초본체(250)는 어초형성부(200)의 상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블록(270)은 제2 어초본체(250)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2 고정홀(15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삽입블록(270)은 제2 어초본체(25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어초본체(250)의 하면의 모서리부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어초본체(250)의 하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사각형 형상의 4개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삽입블록(27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블록(270)은 제2 고정홀(15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어초본체(250)는 상층부분(251), 중층부분(253), 하층부분(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층부분(251), 중층부분(253), 하층부분(255)은 조류 등의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층부분(251)과 중층부분(253)의 경계부분 및 중층부분(253)과 하층부분(255)의 경계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층부분(251)에서 하층부분(255) 방향인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상층부분(251)은 제2 어초본체(25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입홈부분(L)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층부분(251)은 복수 개의 내입홈부분(L)이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내입홈부분(L)은 다수의 모서리 또는 굴곡부분을 형성하여 조류 등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층부분(251)은 내입된 내입홈부분(L)이 형성되면서 조류 등의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층부분(253)은 상층부분(251)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서식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중층부분(253)은 내부에 빈공간인 서식공간(V)이 형성될 수 있고, 서식공간(V)에는 어류 등이 수생생물이 서식할 수 있다. 중층부분(253)의 측면에는 서식공간(V)과 연통되는 연통홀(253a)이 형성되어 서식공간(V)으로 어류 등의 출입할 수 있다.
하층부분(255)은 중층부분(253)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면에서 삽입블록(270)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층부분(255)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삽입블록(27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베이스본체(130) 및 제2 고정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본체(130)는 앵커부(100)의 저판을 형성하고, 수중지반(G)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50)은 베이스본체(130)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삽입블록(27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테이퍼구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구간(170)은 베이스본체(130)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의 테이퍼구간(170)은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의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수상구조물(F)의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빈번하게 작용하는바, 베이스플레이트(102)는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침하가 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102)의 테이퍼구간(170)의 경사면(171)에는 수상구조물(F)과 연결되는 계류장치(W)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2)의 테이퍼구간(170)이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의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테이퍼구간(170)이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수중지반(G)과의 접촉면적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침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각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본체(13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테이퍼구간(170)은 직각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102)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본체(130)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테이퍼구간(170)은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복합형 앵커블록(10)에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설치높이가 변경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중량이 변경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2)가 테이퍼구간(170)을 포함할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설치높이가 변경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중량이 변경되고, 나아가, 베이스플레이트(102)가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저면의 접촉면적도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제1 설치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2)는 제1 설치높이(H1) 보다 높은 제2 설치높이(H2)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중량이 증가하고, 수중지반(G)과 접촉되는 저면의 접촉면적도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앵커부(100)는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100U)인 베이스플레이트(102)로 구성되면서 중량이 상이한 복수 개의 베이스플레이트(102) 중 어느 하나가 어초형성부(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앵커유닛(100U)인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중량이 달라지면 베이스플레이트(102)의 높이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앵커부(100)의 금형을 제작시, 설계시 예상한 가장 큰 중량 및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2)의 최대높이에 맞도록 금형을 제작한다.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 및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2)를 앵커유닛(100U)으로 활용시, 제작된 앵커부(100)의 금형의 내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2)의 높이를 줄이는 보조블록을 채운 상태에서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2)의 높이를 줄여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앵커부(100)의 금형을 활용하여 중량 및 높이 등을 달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앵커부(10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은 수중지반(G)에 설치되고, 수상에 배치된 수상구조물(F)은 계류장치(W)를 매개로 복합형 앵커블록(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을 중심에 두고 3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수상구조물(F)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3개의 복합형 앵커블록(10)이 120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2)의 테이퍼구간(170)은 평면상에서 수상구조물(F)의 계류장치(W)가 설치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복합형 앵커블록 100: 앵커부
100U: 앵커유닛 101: 테트라포트
102: 베이스플레이트 110: 연장다리
130: 베이스본체 150: 제2 고정홀
170: 테이퍼구간 171: 경사면
200: 어초형성부 210: 제1 어초본체
211: 중심부재 212; 제1 고정홀
213: 돌출부재 230: 지지다리
250: 홀축소블록 251: 축소홀
250: 제2 어초본체 251: 상층부분
253: 중층부분 253a: 연통홀
255: 하층부분 270: 삽입블록
F: 수상구조물 G: 수중지반
H1: 제1 설치높이 H2: 제2 설치높이
L: 내입홈부분 V: 서식공간
W: 계류장치

Claims (13)

  1. 수중지반에 설치되어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복합형 앵커블록이고,
    수중지반에 설치되고, 중량물로 구성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적어도 조류 또는 해조류의 부착부분을 형성하는 어초형성부;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 및 상기 어초형성부는 어느 일측이 타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합형 앵커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중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앵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합형 앵커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중심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다리를 가지는 테트라포트로 구성되는 복합형 앵커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어초형성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장다리 중 상부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다리가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홀을 가지는 제1 어초본체; 및
    상기 제1 어초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중지반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연장다리가 삽입되는 축소홀을 가지는 홀축소블록;을 더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초본체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테두리부분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하측이 수중지반에 안착되고, 상측에 상기 어초형성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복합형 앵커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형성부는,
    상기 어초형성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어초본체; 및
    상기 제2 어초본체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블록;을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초본체는,
    내입홈부분이 형성되는 상층부분;
    상기 상층부분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서식공간이 형성되는 중층부분; 및
    상기 중층부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면에서 상기 삽입블록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층부분;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앵커부의 저판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지반에 안착되는 베이스본체;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블록이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구간;을 더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블록.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설치높이가 변경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량이 변경되는 복합형 앵커블록.
KR1020220122486A 2022-09-27 2022-09-27 복합형 앵커블록 KR20240043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86A KR20240043416A (ko) 2022-09-27 2022-09-27 복합형 앵커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86A KR20240043416A (ko) 2022-09-27 2022-09-27 복합형 앵커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416A true KR20240043416A (ko) 2024-04-03

Family

ID=9066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486A KR20240043416A (ko) 2022-09-27 2022-09-27 복합형 앵커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4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175B1 (ja) 消波・魚礁ブロック
JP6297500B2 (ja) タイヤアセンブリ及びタイヤを用いて海洋環境に支持構造体を設ける方法
JP7002762B2 (ja) 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とこの洋上風力発電装置のタワー部の交換方法、及び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の製造方法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1234042B1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KR20240043416A (ko) 복합형 앵커블록
KR20100064452A (ko) 다수개 연결형 인공어초
CN202819309U (zh) 海上一体化养殖系统
KR101056619B1 (ko) 애쉬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철원기둥 인공어초와 그 제조방법
WO1996025561A1 (fr) Structure souple de pose sur fond sous-marin et procede de mise en place
KR200473630Y1 (ko)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JP2008008047A (ja) 液状化防止構造およびその工法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100441614B1 (ko) 인공 부어초
KR102316148B1 (ko) 테트라포드 조립체
CN102870721B (zh) 海上一体化养殖系统
KR101082412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조립체
JP5330216B2 (ja) 人工魚礁
KR200370059Y1 (ko) 호안 보호용 구조체
JP2006067952A (ja) 藻礁・漁礁と藻礁・漁礁を海底に設置する方法
JP2024054656A (ja) 築磯構造体、基礎構造および基礎構造の施工方法
KR200275040Y1 (ko) 인공 부어초
JP2827092B2 (ja) 人工漁礁
KR200176858Y1 (ko)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