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052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052A
KR20240043052A KR1020230059244A KR20230059244A KR20240043052A KR 20240043052 A KR20240043052 A KR 20240043052A KR 1020230059244 A KR1020230059244 A KR 1020230059244A KR 20230059244 A KR20230059244 A KR 20230059244A KR 20240043052 A KR20240043052 A KR 2024004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holder
optical axis
control unit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8/447,5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07145A1/en
Priority to CN202311212642.3A priority patent/CN117761946A/en
Publication of KR2024004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0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초점조절부, 상기 초점조절부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입사공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경부, 및 상기 조리개 구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사공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조리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경부는 상기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focus control uni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having a lens barrel therein, and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It includes an aperture aperture unit including an incident aperture, and an apert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perture aperture unit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aperture, wherein the aperture aperture unit is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do.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Recently, camera modules have been basically adopt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촬영 환경에 따라 광의 입사량을 변화시키도록 기계식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소형 제품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조리개를 별도로 구비하기 어렵다.In the case of a general digital camera, it is equipped with a mechanical aperture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depending on the shooting environment, but in the case of a camera module used in small product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eparate aperture.

일 예로, 조리개를 구동 시키기 위한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무거워져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개 모듈 자체가 자동 초점 기능의 구동 부하로 작용하게 되어, 자동 초점 기능의 구동 전압이 높아지게 된다.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camera module may become heavy due to the various parts used to drive the aperture, which may deteriorate the auto focus function. In other words, the iris module itself acts as a driving load for the autofocus function, and the driving voltage for the autofocus function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조리개 모듈의 채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자동 초점 기능의 구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that can minimize the driving load of the autofocus func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adoption of an aperture mo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초점조절부; 상기 렌즈 모듈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되는 입사공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경부; 및 상기 조리개 구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사공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조리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경부는 상기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focus control uni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having a lens module therein; an aperture aperture portion including an entrance hole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on the lens module passes; and an apert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perture aperture unit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aperture, wherein the aperture aperture unit can move relative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 모듈의 채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자동 초점 기능의 구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riving load of the autofocus function that may occur due to adoption of the apertur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리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초점조절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a) 및 (b)는 무빙홀더가 이동하여 입사공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평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erture modul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erture modul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perture aperture part and the aperture control part are connected.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
Figure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ocus control unit has moved in Figure 8(a).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8.
Figures 10(a) and (b) are diagrams showing how the moving holder moves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Figure 1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erms referr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m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ddition, change, or deletion of components,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ing' a certain elemen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fact that a certain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se configuration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means that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전자장치에 탑재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 단말기, 노트북, VR 장치, 안경 등에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전자장치들이 전술된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게임기 등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laptop, VR device, glasses, etc. However, electronic devices on which a camera module can be mounted are not limited to the devic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camera module can be mounted on 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game conso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제1렌즈 모듈 및 제2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모듈 및 제2렌즈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 modules.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first lens module and a second lens module each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lens module and the second lens module.

카메라 모듈은 외부 충격에 의한 제1렌즈 모듈 및 제2렌즈 모듈의 요동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비 구동상태에서의) 제1렌즈 모듈 및 제2렌즈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 형태로, 카메라 모듈은 자석과 요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제1렌즈 모듈에 배치되고, 요크부재는 제2렌즈 모듈 및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요크부재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요크부재 상이에 배치되어, 렌즈 모듈의 비구동상태에서 하우징에 대한 제1렌즈 모듈의 위치 및 제1렌즈 모듈에 대한 제2렌즈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minimize fluctuation of the first lens module and the second lens module due to external impact.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lens module and the second lens module (in a non-driving state). In a specific example form,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magnet and a yoke member. The magnet may be placed on the first lens module, and the yoke member may be placed on the second lens module and the housing. The magne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yoke membe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the second yoke membe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st lens modu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the second lens with respect to the first lens module when the lens module is not drive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dules can always be kept constant.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켜 초점변위 폭을 증대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 모듈들의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camera module configured as above can drive a plurality of lens modul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increase the focal displacement width and minimize the fluctuation of the lens modules due to external shoc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illustration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렌즈(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200), 렌즈 배럴(200) 수용을 수용하고 광축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흔들림보정부(400), 렌즈 배럴(200)과 흔들림보정부를 수용하고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초점조절부(300), 렌즈 배럴(200)에 입사되는 입사 되는 광량을 조절가능한 조리개 모듈(500) 및 초점조절부(300)를 수용하는 하우징(110)과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arrel 200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not shown) are disposed, and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and a shake correction unit 400 that is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focus control unit 300 that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and the shake correction unit and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a lens barrel (200) ) may include a housing 110 and a case 120 that accommodate an aperture module 500 and a focus control unit 3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렌즈 배럴(20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미도시)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00)의 내부에서 광축(Z축)을 따라 배열되어 렌즈 배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0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lens barrel 200 may accommodate a plurality of lenses (not shown) inside the lens barrel 200, and the plurality of lenses are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Z-axis) inside the lens barrel 200 to form a lens barrel 200. ) can be installed. A plurality of lenses are arranged in the required number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ens barrel 200, and each lens may have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ame or different refractive index.

렌즈 배럴(200)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흔들림보정부(400)에 수용되고, 흔들림보정부(400)는 초점조절부(300)에 수용되며, 초점조절부(300)는 하우징(110)에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The lens barrel 200 is accommodated i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focus control unit 300 is in the housing 110. Can be accepted sequentially.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된 대략 박스의 형상으로, 내부 공간에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초점조절부(300)에는 흔들림보정부(400)가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흔들림보정부(400)에는 렌즈 배럴(200)이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roughly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top, and the focus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focus control unit 300 may accommodate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lens barrel 200 may be accommodated and mounted i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렌즈 배럴(200)은 초점 조정을 위해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초점조절 구동부(710)는 초점조절부(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렌즈 배럴(200)은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ens barrel 20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 adjustment unit 300 for focus adjustment. The focus control driving unit 7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ove the focus control unit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lens barrel 200 can move along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렌즈 배럴(200)은 사용자의 손 떨림 등의 보정을 위해서 흔들림보정부(400)와 함께 광축과 수직한 제1 방향 및 광축과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s barrel 20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in order to correct the user's hand tremor, etc. You can.

일 예로, 렌즈 배럴(200)은 후술할 흔들림보정 구동부(720)에 의해서 흔들림보정부(400)와 함께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ens barrel 200 can move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by the shake compensation driver 7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Image sens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not shown) that conver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barrel 200 into an electrical signal.

이미지센서는 렌즈 배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The image sensor is a device that conver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barrel 20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for exampl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센서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는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image sensor can be output a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of a portable device.

일 예로, 이미지센서는 기판(150)에 실장되어 하우징(110)의 광축 방향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50 and placed below the housing 1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3.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초점조절 구동부(710)는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초점조절 마그넷(710a)와 코일(71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2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위치센서(미도시),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ogether,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may include a focus control magnet 710a and a coil 710b that generate a driving for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dditionally, a position sensor (not shown), such as a Hall sensor,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lens barrel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초점조절 마그넷(710a)과 초점조절 코일(710b)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초점조절 마그넷(710a)는 초점조절부(300)에 장착되고, 초점조절 코일(710b)는 그와 마주하도록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ocusing magnet 710a and the focusing coil 710b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or example, the focusing magnet 710a may be mounted on the focusing unit 300, and the focusing coil 710b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to face each other.

구체적으로, 초점조절 마그넷(710a)는 초점조절부(300)의 일 면에 배치되고, 초점조절 코일(710b)와 위치센서는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기판(150)에 구비되어, 초점조절부(300)의 상기 일 면에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cus control magnet 710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focus control coil 710b and the position sensor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150 mounted on the housing 110 to control focus. It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one side of the unit 300.

위와 같은 구조에서, 광축 방향 기준으로, 초점조절 마그넷(710b)은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초점조절 코일(710b)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초점조절부(300)와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재라 지칭될 수 있다.In the above structure,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ocus control magnet 710b is a moving member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focus control coil 710b is fixed to the housing and moves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It can be referred to as a non-fixing member.

다만, 초점조절 마그넷(710a)와 초점조절 코일(710b)의 장착 위치는, 초점조절부(30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전자기적 영향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ocusing magnet 710a and the focusing coil 710b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influence to drive the focusing unit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초점조절 코일(710b)에 전원이 인가되면, 초점조절 마그넷(710a)와 초점조절 구동부(710b)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서 초점조절부(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센서는 초점조절부(3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 할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ocusing coil 710b, the focusing unit 300 can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influence between the focusing magnet 710a and the focusing driving unit 710b.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can sense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er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초점조절부(300)는 렌즈 배럴(200)이 수용되는 캐리어(310) 및 캐리어(310)를 광축 방향 상부에서 커버하는 캐리어 커버(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cusing unit 300 may include a carrier 310 in which the lens barrel 200 is accommodated, and a carrier cover 320 that covers the carrier 310 at the to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초점조절부(300)는 렌즈 배럴(200)을 수용하므로, 초점조절부(300)가 초점조절 구동부(710)에 의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렌즈 배럴(200)도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Since the focus control unit 300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the lens barrel 200 also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배럴(200)은 흔들림보정부(400)에 수용되고 초점조절부(300)는 렌즈 배럴(200)과 흔들림보정부(400)를 함께 수용하는 구조이므로,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렌즈 배럴(200)과 흔들림보정부(400)도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s barrel 200 is accommodated i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and the focus control unit 300 has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and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together, so that focus control is possible. When the uni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lens barrel 200 and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als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즉, 초점조절 구동부(710)가 작동하면, 초점조절부(300), 흔들림보정부(400), 렌즈 배럴(200) 및 후술할 조리개 모듈(500)의 조리개 구경부(미도시)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8(b) 참조).That is, when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operates, the focus control unit 300,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the lens barrel 200, and the aperture aperture unit (not shown) of the aperture modul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ligned together with the optical axis. It can move in any direction (see Figure 8(b)).

한편, 초점조절부(300)가 이동할 때, 초점조절부(30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그 사이에 초점조절 구름부재(710c)가 배치된다. 초점조절 구름부재(710c)는 볼 형태의 볼 베어링일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the focus control rolling member 710c is disposed therebetween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housing 110. The focusing rolling member 710c may be a ball bearing in the form of a ball.

초점조절 구름부재(710c)는 초점조절 마그넷(710a)(또는, 초점조절 코일(710b))의 양 측에 배치되어, 초점조절부(300)와 하우징(110) 사이의 이동을 지지하고, 이동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The focusing cloud member 710c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ocusing magnet 710a (or focusing coil 710b) to support movement between the focusing unit 300 and the housing 110 and when moving.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can be reduced.

또한, 기판(150)에는 구동요크(711)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요크(711)는 초점조절 코일(710b)을 사이에 두고 초점조절 마그넷(71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drive yoke 711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50. For example, the drive yoke 71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ocus control magnet 710a with the focus control coil 710b interposed therebetween.

구동요크(711)와 초점조절 마그넷(710a) 사이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기 ‹š문에, 요크와 초점조절 마그넷(710a) 사이의 인력에 의해 초점조절 구름부재(710c)는 초점조절부(300) 및 하우징(11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ince an attractive force 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etween the drive yoke 711 and the focusing magnet 710a, the focusing cloud member 710c is formed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yoke and the focusing magnet 710a. Can remain in contact with the focus adjustment unit 300 and the housing 110.

또한, 구동요크(711)는 초점조절 마그넷(710a)의 자기력이 집속 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요크(711)와 초점조절 마그넷(710a)은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yoke 711 also functions to focus the magnetic force of the focusing magnet 710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magnetic flux from occurring. For example, the drive yoke 711 and the focus adjustment magnet 710a may form a magnetic circuit.

한편, 사용자의 손 떨림 등의 요인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 배럴(200)은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과, 광축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correct image shake caused by factors such as the user's hand tremor, the lens barrel 200 may mov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흔들림보정부(400)는 영상 촬영시 사용자의 손 떨림 등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할 때, 그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배럴(2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상쇄 또는 보정)한다.For example, when shaking occurs due to the user's hand shaking when shooting an image,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compensates for (offset or corrects) the shake by giving a relative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shake to the lens barrel 20. do.

흔들림보정부(400)는 렌즈 배럴(200)을 수용한다. 렌즈 배럴(200)이 수용된 흔들림보정부(400)는 광축 방향 상부에서 초점조절부(300)에 수용될 수 있다. 흔들림보정부(400)는 후술할 흔들림 보정 구동부(720)에 의해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in which the lens barrel 200 is accommodated may be accommodated in the focusing unit 300 at the upper par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may move relative to the focus control unit 300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by the shake correction driver 7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즉, 흔들림보정부(400)는 초점조절부(300)에 수용되어 렌즈 배럴(200)과 함께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at is,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focus adjustment unit 300 and can move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200.

일 예로, 흔들림보정부(400)는 렌즈 배럴(200)을 수용하고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렌즈 배럴(200)과 함께 상대 운동하는 렌즈 홀더(410)와, 렌즈 홀더(410) 및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렌즈 배럴(200)과 함께 상대 운동하는 홀더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includes a lens holder 410 that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and moves relative to the lens barrel 200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cus adjustment unit 300, and a lens holder ( It may include a holder frame 420 that moves relative to the lens barrel 200 in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cus control unit 410 and 300 .

렌즈 홀더(410)는 흔들림보정 구동부(720),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1 흔들림보정 구동부(721)에 의해 구동되어, 렌즈 배럴(200)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홀더 프레임(420) 및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The lens holder 410 is driven by the shake correction driver 720, specifically the first shake correction driver 7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oves the holder frame 420 and the focus control unit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200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move relative to (300).

홀더 프레임(420)은 흔들림보정 구동부(720),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2 흔들림보정 구동부(722)에 의해 구동되어, 렌즈 배럴(200)과 함께 제2 방향으로 렌즈 홀더(410) 및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The holder frame 420 is driven by the shake correction driver 720, specifically the second shake correction driver 7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oves the lens holder 410 and the focus control unit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200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move relative to (300).

흔들림보정 구동부(720)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흔들림보정 구동부(720)은 제1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흔들림보정 구동부(721)와 제2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흔들림보정 구동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ke correction driver 720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generate driving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shake correction. As an example, the shake correction driver 720 may include a first shake correction driver 72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hake correction driver 722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렌즈 홀더(410)은 제1 흔들림보정 구동부(721)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홀더 프레임(420)은 제2 흔들림보정 구동부(722)에 의해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ens holder 41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hake correction driver 721, and the holder frame 420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shake correction driver 722.

제1, 제2 흔들림보정 구동부(721, 722) 각각은 제1,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넷(721a, 722a)과 제1,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1b, 72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흔들림보정 구동부(721, 722)는 각각 위치센서(미도시)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drivers 721 and 72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magnets 721a and 722a and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coils 721b and 722b.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drivers 721 and 722 may each include a position sensor (not shown), such as a Hall sensor.

제1, 제2 흔들림보정 마그넷(721a, 722a) 각각은 제1,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1b, 722b) 각각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magnets 721a and 722a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coils 721b and 722b, respectively.

일 예로, 제1,제2흔들림 보정 마그넷(721a, 722a)은 흔들림보정부(400)에 장착되고, 제1,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1b, 722b)은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기판(150)에 구비되어, 각각의 제1,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넷(721a, 722a)과 각각 마주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rrection magnets 721a and 722a are mounted on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rrection coils 721b and 722b are mounted on the housing 110 on a substrate ( 150) and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at position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rrection magnets 721a and 722a,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에서, 광축과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또는 제2 흔들림보정 마그넷(721a, 722b)은, 렌즈 배럴(200)과 함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며, 제1 또는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1b, 722b)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based 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or second shake correction magnets 721a and 722b are moving members that move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200. The first or second shake compensation coils 721b and 722b may be fixed members fixed to the housing 110.

다만, 제1, 제2 흔들림보정 마그넷(721a, 722a)과 제1,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2a, 722b)의 장착 위치는, 흔들림보정부(400)를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구동 시키도록 전자기적 영향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라면 위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magnets 721a and 722a and the first and second shake compensation coils 722a and 722b are such that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is driven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structure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influen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locations.

제1 흔들림보정 코일(721b)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흔들림보정 마그넷(721a)과 제1 흔들림보정 코일(721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서 렌즈 홀더(410), 즉, 흔들림보정부(40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센서는 흔들림보정부의 제1방향 위치를 센싱 할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shake correction coil 721b, the lens holder 410, that is, the shake correction unit ( 400)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can sense the position of the shake correction unit in the first direction.

마찬가지로,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2b)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 흔들림보정 마그넷(722a)과 제2 흔들림보정 코일(722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서 홀더 프레임(420), 즉, 흔들림보정부(4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센서는 흔들림보정부의 제2방향 위치를 센싱 할 수 있다.Likewis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shake correction coil 722b, the holder frame 420, that is, the shake beam, is damaged by electromagnetic influence between the second shake correction magnet 722a and the second shake correction coil 722b. The government 400 can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can sense the second direction position of the shake compensation unit.

흔들림보정부(400)에는 렌즈 배럴(200)이 장착되므로 흔들림보정부(4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렌즈 배럴(200)도 함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흔들림보정부(400)는 초점조절부(300)에 수용되므로, 흔들림보정부(400)와 그에 장착된 렌즈 배럴(200)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Since the lens barrel 200 is mounted on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when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lens barrel 200 also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You can. At this time, since the shake compensating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focusing unit 300, the shake compensating unit 400 and the lens barrel 200 mounted thereon are connected to the focusing unit 300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You can move relative to it.

즉, 이러한 구조를 통해, 흔들림보정부(40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는 초점조절부(300)에 대해 렌즈 배럴(200)과 함께 상대 운동하여 사용자의 손 떨림 등에 의한 흔들림을 상쇄시킬 수 있다.That is, through this structure,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moves relative to the focus adjuster 300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200 to offset shake caused by the user's hand tremor, etc. You can do it.

또한, 흔들림보정부(400)가 이동할 때, 흔들림보정부(400)와 초점조절부(30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그 사이에 흔들림보정 구름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흔들림보정 구름부재는 볼 형태의 볼 베어링일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shake compensating unit 400 moves, a shake compensating cloud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ake compensating unit 400 and the focus adjusting unit 300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m. The shake compensation rolling member may be a ball bearing in the form of a ball.

흔들림보정 구름부재는 렌즈 홀더(410)과 홀더 프레임(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을 저감하고 제1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흔들림보정 구름부재와 홀더 프레임(420)과 초점조절부(300)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을 저감하고 제2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흔들림보정 구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ake compensation cloud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holder 410 and the holder frame 420 to reduce friction whe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o control the focus with the first shake compensation cloud member and the holder frame 420 that guides the user in the first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shake compensation rol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rts 300 to reduce friction when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o guide the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may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The case 120 is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The case 1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일 예로, 케이스(12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하여, 카메라 모듈(10)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디바이스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ase 120 may function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camera module 10 from affecting other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portable device.

또한, 휴대가능한 디바이스에는 카메라 모듈(10)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portable devices are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amera module 10, the case 120 can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se electronic components do not affect the camera module.

케이스(12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The case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an be grounded to a ground pad provid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조리개 모듈(500)은 렌즈 배럴(200)로 입사되는 광량(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The aperture module 500 is a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amount) incident on the lens barrel 200.

일 예로, 조리개 모듈(500)은 조리개 조절부에 의해 복수의 블레이드(540)가 구동되어 서로 다른 사이즈의 입사공(505)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505)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빛이 렌즈 배럴(200)로 입사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perture module 500 may continuously implement incident holes 505 of different sizes by driving a plurality of blades 540 by an aperture control unit. The user can form one of the entrance holes 505 of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shooting environment, through which light can enter the lens barrel 200.

도 5는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조리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erture module, 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erture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은 입사공(505)이 구비된 조리개 구경부와, 입사공(505)의 크기를 변경시는 조리개 조절부를 포함한다.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perture aperture unit provided with an entrance aperture 505 and an aperture control unit when changing the size of the entrance aperture 505.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조리개 구경부는 베이스(510), 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링 형상의 회전판(520), 회전판(520)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540) 및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광축 방향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구성된 조리개 커버(5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구경부는 복수의 블레이드(540)와 회전판(520)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540)와 조리개 커버(55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블레이드(540)와 인접 부재를 이격 시키는 조리개 스페이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ogether,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includes a base 510, a ring-shaped rotating plate 520 rotatably seated on the base 510, and a plurality of blades 540 rotated by the rotating plate 520. And it may include an aperture cover 550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is an aperture spacer 530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lades 540 and the rotating plate 520 or the plurality of blades 540 and the aperture cover 550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blades 540 from adjacent members. ) may further be included.

조리개 구경부는 렌즈 배럴(200)의 광축 방향 기준 상부, 즉, 빛이 입사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렌즈 배럴(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lens barrel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in front of the lens barrel 200 based on the path through which light enters.

베이스(510), 회전판(520), 스페이서(530), 복수의 블레이드(540) 및 베이스 커버(550)은 광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510, the rotating plate 520, the spacer 530, the plurality of blades 540, and the base cover 55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조리개 커버(550)에 구비된 커버홀(555), 조리개 스페이서(530)에 구비된 스페이서홀(535), 회전판(520)의 플레이트홀(523) 및 베이스(510)에 구비된 베이스홀(515)는 광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입사공(505)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입사공(505)을 통과한 광이 렌즈 배럴(200)로 입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hole 555 provided in the aperture cover 550, the spacer hole 535 provided in the aperture spacer 530, the plate hole 523 of the rotating plate 520, and the base hole provided in the base 510. 515 is arranged so that at least part of it overlaps the incident hole 505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rough this structure, light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hole 505 can be incident on the lens barrel 200.

베이스(510)는 회전판(5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510)는 초점조절부(300), 구체적으로, 렌즈 배럴(200)을 수용하는 캐리어 (310)를 광축 방향 상부에서 커버하는 캐리어 커버(3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5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rotating plate 520 can be rotated. The base 510 may be coupled to the focusing unit 300, specifically, the carrier cover 320 that covers the carrier 310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200 at the to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조리개 커버(550)는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광축 방향 상부에서 베이스(510)와 결합될 수 있다.The aperture cover 550 may be coupled to the base 5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조리개 스페이서(530)는 블레이드축(511)이 삽입되는 수용홀(531)이 구비되어 베이스(510)에 결합된다. 수용홀(531)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의 블레이드(540)가 회전하더라도 베이스(510)에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The aperture spacer 530 has a receiving hole 531 into which the blade shaft 511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base 510.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531 are provided so that even i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rotate, they may not rotate on the base 510.

회전판(520)은 플레이트홀(523)이 구비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52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조리개 조절부와 연결되는 회전레버(5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520)은 회전레버25)를 통해서 조리개 조절부와 연결되며, 조리개 조절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The rotating plate 520 has a ring shape with a plate hole 523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510. The rotating plate 520 may include a rotating lever 525 that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The rotating plate 520 is connected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through the rotation lever 25 and is provided to rotate by the aperture control unit.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입사공(505)을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회전판(520)에서 원주방향으로 나열되고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의 중심을 향하는 면들이 입사공(505)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각각의 배치각도에 따라 입사공(5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form an entrance hole 505. The plurality of blades 540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otating plate 520, and the surfaces facing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blades may define the incident hole 505.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505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change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gle of each.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도면과 같이 부메랑 형상 또는 직선 등, 중심을 향하는 면이 합쳐져 입사공(505)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boomerang shape or a straight line, as long as the surfaces facing the center are combined to form the incident hole 505, as shown in the drawing.

다시 말해, 복수의 블레이드(540) 간의 배열에 의해서 입사공(505)을 형성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즉, 도면과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540)가 모두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복수의 블레이드(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형상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t is sufficient to form the entrance hole 505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blades 540.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all have the same shape, bu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rest.

도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540)가 4개를 구비하여, 2쌍으로 2층(layer) 적층된 구조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 보다 더 많거나 작은 수의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경우라도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lades 540 are provided with four, and are described as a structure in which two pairs of two layers are stacked.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lurality of blades 540 are provided with more or fewer blades than four. Even in cases where is applied, all are applicable as long as they are provided to form an entrance hole.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베이스(510)에서 광축 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블레이드축(511)이 삽입되는 블레이드홀(541)을 포함한다. 블레이드축(511)은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초점조절부(300)과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블레이드(540) 각각이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lades 540 include a blade hole 541 into which the blade axis 511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5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inserted. The blade shaft 511 may b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blades 540. Since the base 510 is coupled to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may not rotate, it may provide a rotation axis around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rotates.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540)은 회전판(520)에서 광축 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축(522)이 삽입되는 가이드홀(542)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축(522)은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홀(542)은 가이드축(522)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타원형상 또는 슬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lades 540 further include a guide hole 542 into which the guide shaft 522 protruding upward from the rotating plate 5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inserted. The guide shaft 522 may b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blades 540 . For example, the guide hole 542 may be provided in an oval shape or slit shape to be guided by the guide shaft 522.

회전판(520)의 회전레버(525)는 조리개 조절부의 무빙홀더(5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판(520)은 조리개 조절부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tion lever 525 of the rotation plate 520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holder 570 of the aperture control unit. Through this, the rotating plate 520 can be rotated by the aperture control unit.

가이드홀(542)에 가이드축(522)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판(520)이 회전하면, 복수의 블레이드(540) 각각은 가이드홀(542)에 삽입된 가이드축(522)에 의해 구동되어 블레이드축(44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회전을 통해서 입사공(505)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도 10 참조).When the rotating plate 520 rotates with the guide shaft 522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42,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is driven by the guide shaft 522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42 to form a blade. It rotates around axis 441.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505 can be changed through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see FIG. 10).

즉, 복수의 블레이드(540) 각각은 가이드축(522)에 의해서 블레이드축(5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540)의 중심을 향하는 면들의 형상이 변경되어 입사공(5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rotates about the blade axis 511 by the guide axis 522, an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urfaces facing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blades 540 is chang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incident hole 505. ) may change in size.

조리개 조절부는 회전판(520)과 연결되어 회전판(520)을 회전시키는 무빙홀더(570)와 무빙홀더(570)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 시키는 홀더구동부(58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ertur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ving holder 570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520 and rotates the rotating plate 520, and a holder driving unit 580 that drives the moving holder 57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조리개 구경부는 광축 방향 기준 렌즈 배럴(200)의 상부(빛이 입사되는 경로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초점 조절 시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에 수용된 렌즈 배럴(200)도 함께 이동한다.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lens barrel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front of the path where light enters). Also, during focus adjustment, as the focus adjuster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lens barrel 200 accommodated therein also moves.

만약, 초점 조절 시 조리개 구경부는 고정되고 렌즈 배럴(200)만 이동하게 되면, 조리개 구경부의 입사공(505)과 렌즈 배럴(200)의 사이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입사공(505)과 렌즈 배럴(200)의 간격이 변경되면, F값의 미세한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렌즈 배럴(200) 광축 방향 상부로 이동하면서 조리개 구경부와 충돌할 우려가 있다. If, during focus adjustment, the aperture aperture is fixed and only the lens barrel 200 moves,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hole 505 of the aperture aperture and the lens barrel 200 may chang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hole 505 and the lens barrel 200 is changed, a slight change in F value may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as the lens barrel 200 moves up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입사공(505)이 구비된 조리개 구경부가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개 구경부는 초점조절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provided with the entrance hole 505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ing portion 300. As an example, the aperture aperture unit may be coupled to the focusing unit 300.

이와 같이, 초점 조절 시 조리개 모듈(500)의 조리개 구경부와 렌즈 배럴(200)은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리개 모듈(500)의 입사공과 렌즈 배럴(2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djusting focus,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of the aperture module 500 and the lens barrel 200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 adjuster 300, so that the aperture portion of the aperture module 500 moves between the entrance hole of the aperture module 500 and the lens barrel 200. The interval can be kept constant.

한편,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 조리개 모듈(500)의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초점조절부(30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 시키는 초점조절 구동부(710)의 부하가 증가되어 소비전력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aperture aperture part and the iris control unit of the iris module 500 move toge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that drives the focus control unit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 increases and power consumption increases.

구체적으로, 입사공(505)과 렌즈 배럴(200)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초점조절부(300)의 이동시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가 함께 이동하게 되면, 초점조절부(300)를 구동시키는 초점조절 구동부(710)의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aperture 505 and the lens barrel 200, when the aperture aperture unit and the aperture control unit move together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is moved, the focus control unit 300 The load on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that drives can be increased.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은, 입사공이 구비된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를 광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조리개 모듈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구조에서 비교적 낮은 구동 전압으로도 초점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n aperture aperture portion with an entrance aperture and an aperture control portion separ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by focusing even with a relatively low driving voltage in a camera module structure with an aperture module. Control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도 7은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perture aperture part and the aperture control part are connec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은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가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and the aperture control portion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일 예로, 조리개 구경부는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perture apertur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to enable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즉,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조리개 구경부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초점조절 시의 구동부하를 저감 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focus adjusting unit 30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ly the aperture aperture part is provided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driving load during focusing.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은 조리개 구경부가 초점조절부(300)에 결합되어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리개 조절부는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초점조절부(300)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erture aperture part is coupled to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aperture control part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move the focus control unit 300. (300) and may not move.

또한, 무빙홀더(570)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입사공(5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도 10 참조).Additionally, when the moving holder 57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505 may change (see FIG. 10).

다시 말해,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는, 광축 방향으로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조리개 조절부의 무빙홀더(570))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입사공(505)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perture aperture part and the aperture control part are connect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moving holder 570 of the aperture control part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505 is adjuste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일 예로, 도 7 좌측의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무빙홀더(570)는 광축 방향 상방으로 돌출되는 레버구동축(575)이 구비된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the partially enlarged view on the left side of FIG. 7, the moving holder 570 is provided with a lever drive shaft 575 that protrudes up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때, 회전레버(525)의 말단은 레버구동축(575)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 예로, 회전레버(525)의 말단에는 레버구동축(575)을 광축 방향으로 수용하는 레버홀(526)이 구비되어 회전레버(525)와 레버구동축(575)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rotation lever 525 is connected to the lever drive shaft 575 so that it can move relative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example, a lever hole 52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lever 525 to accommodate the lever drive shaft 575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 lever 525 and the lever drive shaft 575 can be connected.

이를 통해서, 조리개 구경부는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perture aperture part can move relative to the aperture control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회전레버(525)와 무빙홀더(570)는 서로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무빙홀더(570)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판(520)이 회전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540)가 회전하여 입사공(5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도 10 참조).Through this structure, the rotation lever 525 and the moving holder 570 ar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hen the moving holder 57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rotating plate 520 rotates,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blades 540 may rotate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505 (see FIG. 10).

한편 무빙홀더(570)는 하우징(110)에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10)과 초점조절부(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holder 570 may be placed in the housing 110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may be placed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focus control unit 300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can be placed.

그리고, 케이스(120)는 상부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125)가 구비되어, 레버구동축(575)이 리세스(125)를 통해서 상부로 돌출되어 회전레버(525)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120 is provided with a recess 125 formed by recessing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lever driving shaft 575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recess 125 and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lever 525.

도 8(a)는 도 7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초점조절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cus adjuster in a moving state in FIG. 8(a).

도 8(a)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 초점조절 시 초점조절 구동부(710)에 의해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초점조절부(300)에 구비된 조리개 구경부도 함께 광축 방향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ogether, when focusing in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moves the focus control unit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moving to , the aperture aperture provided in the focus adjusting unit 300 can also be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초점조절을 위해 초점조절 구동부(710)가 구동되면, 초점조절부(300)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초점조절부(300)는 렌즈 흔들림보정부(400)을 수용하고 흔들림보정부(400)는 렌즈 배럴(200)을 수용하므로,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렌즈 배럴(200)도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focus control driver 710 is driven for focus control,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focus control unit 300 accommodates the lens shake correction unit 400, and the shake compensation unit 400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00, so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ens barrel 200 also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조리개 구경부는 광축 방향 기준 이동부재 (초점조절부(300), 흔들림보정부(400), 렌즈 배럴(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초점조절 기능 시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aperture aperture part is coupled to a moving member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e of the focus control unit 300, shake compensation unit 400, and lens barrel 200), and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during the focusing function. You can move to .

즉, 초점조절을 위해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흔들림보정부(400), 렌즈 배럴(200) 및 조리개 구경부도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for focus adjustment, the shake correction unit 400, the lens barrel 200, and the aperture aperture unit can als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반면, 조리개 조절부는 광축 방향 기준 고정부재(하우징(110) 또는 케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초점조절 기능과는 무관하게 광축 방향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erture control unit is coupled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reference fixing member (either the housing 110 or the case 120), so that the heigh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be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focus adjustment function.

일 예로, 조리개 구경부는 초점조절부(300)의 캐리어(310)를 커버하는 캐리어 커버(320)에 장착되고, 조리개 조절부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erture aperture unit may be mounted on the carrier cover 320 that covers the carrier 310 of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apertur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10.

이때,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상대운동 할 수 있도록 연결되므로, 초점조절부(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조리개 구경부는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조리개 조절부에 대하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한다.At this time, the aperture aperture unit and the aperture control unit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so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aperture aperture unit moves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to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relative motion in one direction.

즉, 초점조절부(300)가 구동하면, 초점조절부(300)와 조리개 구경부는 함께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운동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is driv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and the aperture aperture unit can both move relative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조리개 구경부는 초점조절부(300)와 광축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다. 즉, 조리개 구경부의 이동 거리(l)은 초점조절부(300)의 이동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can b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s the focusing portion 300. That is, the moving distance (l) of the aperture aperture unit may be the same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focusing unit 300.

이러한 구조를 통해, 초점조절부(300)가 구동할 때, 조리개 구경부의 입사공(505)과 렌즈 배럴(200)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when the focusing unit 300 is driven,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hole 505 of the aperture aperture unit and the lens barrel 200 can be constant.

한편, 조리개 구경부와 조리개 조절부는 상술한 구체적인 결합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리개 구경부가 초점조절부(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한 구조라면 모두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aperture aperture unit and the aperture control unit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upling positions described above, and any structure in which the aperture aperture unit can move relative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300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You must understand.

도 9는 도 8의 B의 확대도이고, 도 10(a) 및 (b)는 무빙홀더가 이동하여 입사공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2는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평면 단면도이다.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ure 8, Figures 10(a) and (b) are diagrams showing the moving holder moving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and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 Figure 1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도 9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홀더구동부(580)는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그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홀더구동 코일(580b)을 구비하며,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홀더구동 코일(580b)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together, the holder driving unit 580 includes a holder driving magnet 580a and a holder driving coil 580b disposed to face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and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홀더구동 마그넷(580a)은 무빙홀더(570)의 일면에 형성된 마그넷 수용홈(571) 장착되고, 홀더구동 코일(580b)은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기판(150)에 구비되어, 무빙홀더(570)의 상기 일 면에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is mounted in the magnet receiving groove 571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150 mounted on the housing 110, moving holder ( It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one side of 570.

또한, 홀더구동부(580)는 무빙홀더(570)의 이동시 마찰을 저감할 수 있도록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볼 형태의 볼 베어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driving unit 580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control rolling member 585 to reduce friction when moving the moving holder 570. The aperture control rolling member 585 may be a ball bearing in the form of a ball.

이때, 홀더구동 마그넷(580a)은 무빙홀더(570)와 함께 광축 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부재이고, 홀더구동 코일(580b)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무빙홀더(570)와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재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may be a mov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may be a fixed member that is fixed to the housing and does not move with the moving holder 570. there is.

홀더구동 코일(580b)에 전원이 인가되면,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홀더구동 코일(580b)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서 홀더구동부(580)는 무빙홀더(570)을 광축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무빙홀더(570)는 홀더구동 코일(580b)에 대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운동 가능하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the holder driving unit 580 moves the moving holder 570 to the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ue to electromagnetic influence between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and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It can be moved in any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holder 570 can move relative to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하우징(110)에는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마주하는 위치에 홀더요크(58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요크(581)는 홀더구동 코일(580b)을 사이에 두고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도9 참조).Additionally, a holder yoke 581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t a position facing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As an example, the holder yoke 58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with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interposed therebetween (see FIG. 9).

홀더요크(581)와 홀더구동 마그넷(580a) 사이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홀더요크(581)와 홀더구동 마그넷(580a) 사이의 인력에 의해 조리개동 구름부재(585)는 무빙홀더(570) 및 하우징(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홀더구름홈(574) 및 하우징구름홈(114)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11참조).Since an attractive force 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etween the holder yoke 581 and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the aperture rolling member 585 is caused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holder yoke 581 and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 can remain in contact with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using 110,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and the housing rolling groove 1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e FIG. 11).

또한, 홀더요크(581)는 홀더구동 마그넷(580a)의 자기력이 집속 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요크(581)와 홀더구동 마그넷(580a)은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yoke 581 also functions to focus the magnetic force of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magnetic flux from occurring. For example, the holder yoke 581 and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may form a magnetic circuit.

한편, 홀더구동 마그넷(580a)과 홀더구동 코일(580b)의 장착 위치는, 무빙홀더(570)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 시키도록 전자기적 영향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holder driving magnet 580a and the holder driving coil 580b are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they have a structure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influence to drive the moving holder 57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레버부동부(570)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구동축(575)도 함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와 연결된 회전판(520)의 회전레버(525)가 회전하면서, 회전판(520)의 가이드축(52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축(522)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블레이드(540)는 블레이드홀(5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입사공(5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도 10(b)).When the lever floating part 57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lever driving shaft 575 also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the rotating lever 525 of the rotating plate 520 connected to it rotates, and the rotating plate ( The guide shaft 522 of 520) also rotates. As the guide shaft 522 rotates, the plurality of blades 540 rotate around the blade hole 541, so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505 may change (FIG. 10(b)).

이때, 케이스(120)의 리세스(125)는 상기 무빙홀더의 이동 경로(Y축)를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서, 무빙홀더(570)이 케이스(120)의 상부면과 간섭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ss 125 of the case 120 is formed parallel to the moving path (Y-axis) of the moving holder, so that the moving holder 570 moves stab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20. We can provide a space that guides you to do so.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측면과 무빙홀더(570)는 서로 마주하는 일면에서 함몰된 조리개조절 구름홈(미도시) 구비될 수 있고, 홀더구름홈에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ogether, th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moving holder 570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aperture control groove (not shown) on one side facing each other, and an aperture control cloud in the holder cloud groove. Member 585 may be disposed.

조리개조절 구름홈은 무빙홀더(570)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하우징구름홈(114)과 무빙홀더(570)에 형성되는 홀더구름홈(5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erture control groove may include a housing groove 114 formed by recessing one sid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moving holder 570 and a holder groove 574 formed on the moving holder 570.

홀더구름홈(574)은 마그넷 수용홈(57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홀더연장부(573)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holder extension portion 573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agnet receiving groove 571.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조리개구동 구름홈에 적어도 총 3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하우징구름홈(114)에 1점 접촉되고, 홀더구름홈(574)에 2점 접촉될 수 있다.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may be supported at a total of three points in the aperture driving cloud groove. As an example,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cloud groove 114 at one point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lder cloud groove 574 at two points.

또한,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의 중심은 광축 방향 기준으로 홀더구름홈(574)과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안정적으로 조리개조절 구름홈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enter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may overlap with the holder cloud groove 574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rough this,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can be stably seated and moved in the aperture control cloud groove.

일 예로, 홀더구름홈(574)은 측면 단면이 “L” 형상으로 구비되어,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의 하부면과 측부면 각각이 홀더구름홈(574)에 접촉될 수 있다(도 11 참조). As an example,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has a side cross-section in an “L” shape, so that each of the lower and side surfaces of the aperture control rolling member 585 can be in contact with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FIG. 11 reference).

이를 통해, 하우징(110)과 무빙홀더(570) 사이에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가 배치되더라도, 그에 따라 발생하는 하우징(110)과 무빙홀더(570) 사이의 마주하는 이격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is placed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moving holder 570, the resulting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moving holder 570 can be minimized. there is.

한편, 도 10에서는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가 총 3점 접촉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의 상부가 케이스(120)에 1점 더 접촉되어 총 4점 접촉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10,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is shown as being in contact with a total of three points. However, the upper part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se 120 at one more point, making a total of four points in contact. .

일 예로, 조리개 조절 구름부재(585)는 하우징구름홈(114)에 1점 접촉되고, 홀더구름홈(574)에 2점 접촉되며, 케이스(120)에 1점 접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perture control rolling member 585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rolling groove 114 at one point,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at two points, and the case 120 at one point.

위와 같이 4점 접촉되는 경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무빙홀더(57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초점조절부(300)가 구동하여 조리개 구경부가 광축 방향으로 상부로 이동할 때, 회전레버(425)의 레버홀(426)과 무빙홀더(570)의 레버구동축(575) 사이의 마찰에 의해 무빙홀더(570)가 딸려 올라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585)는 하우징구름홈(114)과 홀더구름홈(574)사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our-point contact as above,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585 can support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holder 570. When the focus control unit 300 is driven and the aperture aperture part mov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moving holder is moved by friction between the lever hole 426 of the rotary lever 425 and the lever drive shaft 575 of the moving holder 570. (570)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Also, in this case, the aperture control rolling member 585 can roll more stably between the housing rolling groove 114 and the holder rolling groove 574.

하우징(110)은 무빙홀더(57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된 홀더안내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홀더(570)와 마주하는 내측면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함몰되어 홀더안내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with a holder guide groove 115 provid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ing holder 570 (see FIG. 12).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moving holder 57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depr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form the holder guide groove 115.

무빙홀더(570)는 하우징(110)의 홀더안내홈(115)에 적어도 배치되어 무빙홀더(570)와 하우징(110)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무빙홀더(57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The moving holder 570 is disposed at least in the holder guide groove 115 of the housing 110 to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using 110, and the moving holder ( 570) can reduce the space it occupies.

또한, 홀더안내홈(115)은 무빙홀더(570)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홀더안내홈(11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guide groove 115 is formed by recessing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moving holder 570, and is made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er guide groove 115 is accommodated. It can extend in one direction.

홀더안내홈(115)은 무빙홀더(57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양단부가 절삭된 형태의 제1노치(115a)와 제2노치(115b)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lder guide groove 115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notch 115a and a second notch 115b whose both ends are cut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moving holder 570.

또한, 하우징(110)은 홀더안내홈(115)의 하부에서 무빙홀더(570)를 지지하는 홀더가이더(117)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가이더(117)는 홀더안내홈(115)을 향해서 광축 방향 상부로 돌출되고, 무빙홀더(570)의 하부에는 홀더가이더(117)가 수용되는 가이더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홀더가이더(117)가 삽입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guider 117 that supports the moving holder 570 at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guide groove 115. The holder guider 117 protrud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ward the holder guide groove 115, and a guider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holder guider 117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holder 570, so that the holder guider 117 ) can be inserted.

홀더가이더(117)는 제1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무빙홀더(57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holder guider 117 extends lo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570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홀더가이더(117)는 무빙홀더(570)의 하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홀더가이더(117)와 무빙홀더(570)의 가이더홈과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of the holder guider 117 that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holder 570 is curved, so that friction occurring between the holder guider 117 and the guide groove of the moving holder 570 can be reduced.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무빙홀더(570)의 하부면에 가이더홈이 형성되고, 홀더가이더(117)가 삽입되는 형태로 면 접촉할 수도 있고, 무빙홀더(570)의 하부면이 홀더가이더(117)의 곡면과 접촉하여 선 접촉할 수 있다. 즉, 무빙홀더(570)가 홀더가이더(117)에 지지될 수 있는 구조라면, 무빙홀더(570)와 홀더가이더(117)의 지지구조는 면 접촉 및 선 접촉인지 여부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guider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lder guider 117 may be inserted into surface contac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holder 57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lder guider 117. ) can make line contact by contacting the curved surface. That is, if the moving holder 57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holder guider 117,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moving holder 570 and the holder guider 117 is not limited to whether they are in surface contact or line contac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any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For example,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to other embodiments unless the contrary is explicitly stated.

10: 카메라 모듈
110: 하우징
120: 케이스
200: 렌즈 모듈
300: 초점조절부
400: 흔들림보정부
500: 조리개 모듈
10: Camera module
110: housing
120: case
200: Lens module
300: Focusing unit
400: Shake correction unit
500: Aperture module

Claims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초점조절부;
상기 렌즈 배럴로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경부; 및
상기 조리개 구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사공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조리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경부는 상기 조리개 조절부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housing;
a focus control uni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having a lens barrel therein;
an aperture aperture portion including an incident hole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on the lens barrel passes; and
It includes an apert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perture aperture unit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A camera module wherein the aperture aperture unit is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apertur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구경부는 상기 초점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초점조절부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camera module wherein the aperture aperture unit is coupled to the focus control unit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focus control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리개 조절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A camera module wherein when the focus control un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movement of the aperture control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is restri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조절부는 상기 조리개 구경부에 상기 광축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camera module wherein the aperture control unit is provided at the aperture aperture unit to enable relative movement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조절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리개 구경부와 연결되는 무빙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입사공의 크기가 변경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aperture control unit,
It includes a moving holder provid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perture aperture portion,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changes when the moving hold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조절부는,
상기 무빙홀더에 수용되는 홀더구동 마그넷; 및
상기 홀더구동 마그넷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홀더구동 마그넷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홀더구동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홀더구동 코일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aperture control unit,
A holder driving magnet accommodated in the moving holder; and
It further includes a holder driving coil disposed to face the holder driving magnet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holder driving magnet,
The moving holder is a camera module that moves relative to the holder driving coil in the first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구경부는,
상기 무빙홀더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상기 입사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aperture aperture part,
A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moving holder and rotatably provided; and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that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and form the incident hole of various sizes.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rotating plate rotates when the moving hold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무빙홀더를 향해 연장된 회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회전레버의 말단과 연결되는 레버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레버의 말단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레버구동축에 대해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In paragraph 7
The rotating plate includes a rotating lever extending toward the moving holder,
The moving holder includes a lever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lever,
A camera module wherein an end of the rotation lever is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lever driv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의 말단은 상기 레버구동축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In paragraph 8
A camera module in which an end of the rotation lever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ever driving shaf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축은 광축 방향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말단에는 레버구동축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레버홀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The lever drive shaft protrudes up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camera module in which a lever hol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on lever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lever drive shaf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홀더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구름홈과, 상기 하우징 구름홈과 마주하도록 상기 무빙홀더에 형성되는 홀더구름홈을 포함하는 조리개조절 구름홈; 및
상기 홀더구름홈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홀더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는 조리개조절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는 상기 조리개조절 구름홈에 적어도 3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an aperture control groove including a housing groove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facing the moving holder and a holder groove formed on the moving holder to face the housing groove; and
It further includes; an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disposed in the holder cloud groove to support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in the first direction,
A camera module wherein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aperture control cloud groove at at least three poin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하부는 상기 홀더구름홈과 접촉하여,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의 중심이 상기 무빙홀더와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The lower part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cloud groove, and the center of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overlaps the moving holder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구름홈은 상기 제1 방향의 단면이 “L”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리개조절 구름부재는 상기 홀더구름홈과 2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In paragraph 12
The holder rolling groove has an “L” shape in cross s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aperture control cloud member is a camera module that contacts the holder cloud groove at two poin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무빙홀더가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된 홀더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무빙홀더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housing includes a holder receiving portion provid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ing hold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camera module wherein the holder accommodating part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a movement path of the moving hold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수용부의 하부에서 구비되어 상기 무빙홀더의 하부를 지지하는 홀더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이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빙홀더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무빙홀더의 이동반경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무빙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14,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holder guider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holder,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er guider protrudes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holder,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moving radius of the moving hol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입사공과 상기 렌즈 배럴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의 간격은 일정한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When the focus control un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camera modul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hole and the lens barre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constant.
KR1020230059244A 2022-09-26 2023-05-08 Camera module KR2024004305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47,592 US20240107145A1 (en) 2022-09-26 2023-08-10 Camera module
CN202311212642.3A CN117761946A (en) 2022-09-26 2023-09-20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844 2022-09-26
KR20220121844 202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52A true KR20240043052A (en) 2024-04-02

Family

ID=9071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244A KR20240043052A (en) 2022-09-26 2023-05-08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0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281B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555978B2 (en)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KR102531644B1 (en) Camera module
KR101670139B1 (en) Camera module
US10931857B2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31597A (en) Camera module
JP4764075B2 (en)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lens barrel provided with the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KR20200093997A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72591B1 (en) Camera module
KR102559342B1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969654B2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09069968A2 (en) Image shake correction device
KR20190053037A (en) Camera module
KR102139766B1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51928A (en) Camera module
US20220128832A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KR20190129656A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3052A (en) Camera module
KR20230098760A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92924A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49137B1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40107145A1 (en) Camera module
KR102494326B1 (en) Camera Module
KR102163058B1 (en) Camera module
KR20200009105A (en) Camera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