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56A -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56A
KR20190129656A KR1020180091352A KR20180091352A KR20190129656A KR 20190129656 A KR20190129656 A KR 20190129656A KR 1020180091352 A KR1020180091352 A KR 1020180091352A KR 20180091352 A KR20180091352 A KR 20180091352A KR 20190129656 A KR20190129656 A KR 2019012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module
aperture
optical axi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7281B1 (en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274,47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69430B2/en
Priority to CN201920671259.7U priority patent/CN209946607U/en
Priority to CN201910387895.1A priority patent/CN110471237B/en
Publication of KR2019012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is modul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ris module includes: a base; a plurality of blades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in order to overlap each other in sequence and are rotated around individual rotation axes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of different sizes by mutual combination; and a driving part having a magnet par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a driving blade 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magnet part. The remaining blades other than the driving blade may be driven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driving bla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of weight.

Description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erture modul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촬영 환경에 따라 광의 입사량을 변화시키도록 기계식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소형 제품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특징 및 공간의 한계로 조리개를 별도로 구비하기 어렵다.Recently, camera modules are basically employ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 computers. In general, a digital camera has a mechanical aperture to change an incident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a shooting environment. However, a camera module used for a small product such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a separate aperture due to structural features and space limitations. Difficult to do

일 예로, 조리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무거워져 자동 초점(Auto Focus) 또는 손떨림 보정(Opticla Image Stabilization)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자체에 조리개 구동을 위한 코일 등 전원 연결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자동 초점 조정 시에 렌즈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원 연결부가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camera module may be heavy due to various components for driving the aperture, thereby degrading the auto focus or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aperture itself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part such as a coil for driving the aperture, a problem may occur such that the power connection part is caught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ns during auto focus adjustment.

또한, 작은 공간에 다양한 구경을 갖는 조리개모듈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으로 정확한 구경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perture module having various apertures must be installed in a small space, accurate apertures may not be realized due to space constrain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개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구경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inimize the increase in weight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the aperture module, to provide an aperture modul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accurately implement a variety of apertures.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겹치게 구비되고 각각 개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마그네트부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마그네트부에 직접 연동되는 구동 블레이드이고, 상기 구동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블레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perture module includes: a base; A plurality of blades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in order to overlap each other and are rotated based on respective rotation axes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by mutual combination; And a driving unit having a magnet part, where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a driving blade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magnet part, and the remaining blades except the driving blade are driven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blade. Can be.

또한,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겹치게 구비되고 각각 개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N: 자연수)의 일부인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서 광축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과 광축 사이의 거리(L)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중심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인 상기 개구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와 만나도록 상기 개구의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erture module of one embodiment, the base; And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in order to overlap each othe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rotates with respect to an individual rotational axis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of different sizes by mutual combination. Has an opening that is a part of a regular N-square (N: natural number), and is centered on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on axis and the optical ax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tical axis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The position of the opening can be formed so as to meet any one of the vertices of the opening whose radius is the distance 2L between the center and the optical axis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a square.

또한,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수용되는 렌즈모듈; 및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조리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모듈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와 연동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부;와 상기 마그네트부와 대향하게 상기 렌즈모듈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of one embodiment, the lens modul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n aperture module configured to continuously form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by a plurality of blades, wherein the aperture module includes: a magnet unit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blades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the magnet unit is opposite to the magnet unit. It may include a; coil provided in the lens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모듈을 장착하더라도 구동부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여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autofocus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by minimizing the weight increase of the driving unit even when the aperture module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모듈은 다양한 구경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implement various aper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모듈은 다단 구조의 조리개 구경 변경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구경 변경도 정확하게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implement not only the aperture aperture change of the multi-stage structure but also the continuous aperture 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입사공의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입사공(개구)의 구비 위치를 특정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조리개모듈의 입사공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의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입사공(개구)의 구비 위치를 특정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의 조리개모듈의 입사공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의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입사공(개구)의 구비 위치를 특정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6의 조리개모듈의 입사공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는 도 16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조리개모듈의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입사공(개구)의 구비 위치를 특정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ide view of FIG. 3A,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aperture module is driven to change the diameter of the incident hol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ades provided in the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chanism for specifying a location of an entrance hole (opening) provided in blades of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aperture module is driven to change an incident hole diameter of the aperture module of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blades provided in the aperture module shown in FIG. 8;
FIG.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chanism for specifying a location of an entrance hole (opening) provided in the blades of the aperture module illustrated in FIG. 8;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aperture module is driven to change an incident hole diameter of the aperture module of FIG. 1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blades provided in the aperture module shown in FIG. 12;
FIG.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 mechanism for specifying a location of an entrance hole (opening) provided in the blades of the aperture module illustrated in FIG. 12.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to 17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aperture module is driven to change an incident hole diameter of the aperture module of FIG. 16.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ades provided in the aperture module shown in FIG. 16,
FIG. 1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chanism for specifying a location of an entrance hole (opening) provided in the blades of the aperture module illustrated in FIG. 16.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gges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ddi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of the elements, but also the spirit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aid to be included in the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tablet P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ide view of FIG. 3A.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200), 캐리어(300), 가이드부(400),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 하우징(110) 및 케이스(120)를 포함한다.1 to 3B, the camera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module 200, a carrier 300, a guide part 400, and an aperture module 500, 600, 700, and 800. ), The housing 110 and the case 120.

렌즈모듈(20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210) 및 렌즈배럴(210)을 수용하는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배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에 수용된다.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barrel 210 hav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holder 220 for receiving the lens barrel 210. The plurality of lenses is disposed inside the lens barrel 210 along the optical axis. The lens modul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arrier 300.

렌즈모듈(200)은 초점 조정을 위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점 조정부에 의해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200 ma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adjust the focus. For example, the lens module 200 may be moved along the carrier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focus adjuster.

초점 조정부는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710)와 코일(730)을 포함한다. 아울러, 렌즈모듈(200), 즉, 캐리어(3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위치센서(750),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ocus controller includes a magnet 710 and a coil 730 that generate a driving for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a position sensor 750, for example, a hall sensor,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lens module 200, that is, th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rrier 300.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magnet 710 is mounted to the carrier 300. For example, the magnet 710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arrier 300.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기판(9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il 730 and the position sensor 750 are mounted to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coil 730 and the position sensor 75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10 to face the magnet 710. The coil 730 and the position sensor 750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900, and the substrate 90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The magnet 710 is a moving member mounted to the carrier 300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carrier 300, and the coil 730 and the position sensor 750 are fixed members fixed to the housing 110.

코일(7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710)와 코일(7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치센서(750)는 캐리어(3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730, the carrier 300 may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influence between the magnet 710 and the coil 730. 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750 may sense th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carrier 300.

캐리어(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렌즈모듈(200)도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Since the lens modul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arrier 300, the lens module 200 is also moved along the carrier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carrier 300.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에 구름부재(B)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는 볼 형태일 수 있다.When the carrier 300 is moved, a rolling member B is dispose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housing 110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housing 110. The rolling member B may have a ball shape.

구름부재(B)는 마그네트(710)(또는 코일(730))의 양측에 배치된다.The rolling member B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gnet 710 (or coil 730).

기판(900)에는 요크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요크는 코일(73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A yoke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900. For example, the yok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magnet 710 with the coil 730 interposed therebetween.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The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7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따라서,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olling member B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rrier 300 and the housing 110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710.

또한, 요크는 마그네트(7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yoke also functions to focu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710. This can prevent the leakage magnetic flux from occurring.

일 예로, 요크와 마그네트(7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For example, the yoke and the magnet 710 form a magnetic circuit.

한편,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모듈(2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방향(X축)과, 광축 및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Y축)으로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rrect the shaking of the image due to the user's hand shake, etc., the lens module 200 is a first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 axis), and the firs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moved in two directions (Y-axis).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모듈(20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For example, the shake correction unit compensates for the shake by applying a relative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shake to the lens module 200 when a shake occurs during image capturing by a user's hand shake.

캐리어(300)에는 가이드부(400)가 광축방향 상부에 올려지도록 수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400)의 상부에는 홀더(220)가 올려진다. 그리고,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의 광축 방향 사이 및 가이드부(400)와 홀더(220)의 광축 방향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 역할을 하는 볼 부재(C)가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part 400 is accommodated in the carrier 300 so as to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holder 220 is mounted on the guide part 400. The ball member C serving as a rolling bea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guide part 400 and between the guide part 400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holder 220.

렌즈모듈(200)이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부(400)가 렌즈모듈(200)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lens module 20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guide part 400 is configured to guide the lens module 200.

일 예로, 렌즈모듈(200)은 가이드부(40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고,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 내에서 제2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s module 200 moves relative to the guide part 40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guide part 400 and the lens module 200 move together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arrier 300. Can be.

흔들림 보정부는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을 포함한다. 그리고, 렌즈모듈(20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shake corr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810a and 830a and a plurality of coils 810b and 830b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shake cor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810c and 830c, for example, a hall sensor,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of the lens module 200.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 중에서, 일부의 마그네트(810a)와 일부의 코일(810b)은 제1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 마그네트(830a)와 나머지 코일(830b)은 제2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Among the plurality of magnets 810a and 830a and the plurality of coils 810b and 830b, some of the magnets 810a and some coils 810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to generate driving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maining magnets 830a and the remaining coils 830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모듈(200)에 장착되고,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마주보는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magnets 810a and 830a may be mounted on the lens module 200, and the plurality of coils 810b and 830b facing the plurality of magnets 810a and 830a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810c and 830c may include a housing ( 11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ils 810b and 830b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810c and 830c are provided in the substrate 900, and the substrate 900 is mounted in the housing 110.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모듈(200)과 함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The plurality of magnets 810a and 830a are moving members that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ens module 200, and the plurality of coils 810b and 830b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810c and 830c are housings. It is a fixed member fixed to (110).

한편, 본 발명에는 가이드부(400) 및 렌즈모듈(200)을 지지하는 볼 부재(c)가 제공된다. 볼 부재(c)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가이드부(400) 및 렌즈모듈(200)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ll member (c) for supporting the guide portion 400 and the lens module 200. The ball member c serves to guide the guide part 400 and the lens module 200 in the shake correction process.

볼 부재(c)는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 및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ll member 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guide part 400,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lens module 200, and between the guide part 400 and the lens module 200.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c)가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c)는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When the driving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occurs, the ball member (c) dispose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guide portion 400, an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lens module 200 is rolling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do. Accordingly, the ball member c guides the movement of the guide part 400 and the lens module 200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c)가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c)는 렌즈모듈(2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occurs, the ball member c disposed between the guide portion 400 and the lens module 200 and between the carrier 300 and the lens module 200 is the second direction. Cloud movement. Accordingly, the ball member c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ns module 200 in the second direction.

렌즈모듈(200)과 캐리어(300)는 하우징(11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렌즈모듈(200)과 캐리어(300)가 수용된다.The lens module 200 and the carrier 300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housing 110 has an open top and bottom shape, and the lens module 200 and the carrier 300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may be disposed below the housing 110.

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2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case 1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serves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In addition, the case 120 may function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se 120 may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camera module do not affect other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amera module, the case 120 may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s do not affect the camera module.

케이스(12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The case 120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grounded to a ground pad provid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은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The aperture module 500, 600, 700, or 800 is a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the incident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module 200.

일 예로,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에는 서로 다른 사이즈의 입사공(590-591, 592, 593, 690-691, 692, 693, 790-791, 792, 793, 890-891, 892, 893)을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이즈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구현하여 빛이 입사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erture modules 500, 600, 700, and 800 have different sizes of entrance holes 590-591, 592, 593, 690-691, 692, 693, 790-791, 792, 793, 890-891, A plurality of blades capable of implementing 892, 893 is provided.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may be adjusted by implemen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ized entrance holes using a plurality of blades according to a shooting environment.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은 렌즈모듈(200)과 결합하며,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iaphragm modules 500, 600, 700, and 800 are coupled to the lens module 200 and are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an incident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module 200.

고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빛이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도 조건에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 high illuminance environment,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light may be incident on the lens module 200. In a low illuminance environmen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may be incident on the lens module 200. Can keep the quality of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은 렌즈모듈(200)과 결합하여 렌즈모듈(200)과 함께 광축 방향(Z축 방향),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모듈(200)과 조리개모듈(500, 600, 700, 800)이 함께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게 된다.The aperture module 500, 600, 700, and 800 may be combined with the lens module 200 together with the lens module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movabl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m does not change by allowing the lens module 200 and the aperture module 500, 600, 700, and 800 to move together during focusing and shake correction.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500)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이들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500)을 상술한다.4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n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개모듈(500)은 베이스(510),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 및 조리개 구동부(마그네트부(520) 및 카메라 모듈(1000)의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코일(521b)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510),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를 커버하고 광이 입사하는 개구(531)을 구비하는 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perture module 500 includes a base 510,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nd an aperture driving unit (magnet unit 520 and a housing 110 of the camera module 1000). It includes a coil (521b) provided in). The cover 530 may include a base 510 and a cover 530 that covers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nd has an opening 531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3매의 블레이드(540, 560, 580)를 구비하고, 블레이드(540, 560, 580)는 원형 또는 정다각형(정N각형, N은 자연수)의 개구를 갖거나, 원형과 정다각형이 서로 합쳐진 형상의 개구를 갖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원이 상호 연결된 형상의 개구를 갖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blades 540, 560, and 580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the blades 540, 560, and 580 have openings of circular or regular polygons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The circular and regular polygons may have openings of a shape in which the circular and regular polyg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the openings of different sizes may have openings of the interconnecting shape.

마그네트부(52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코일(521b)과 상호작용하여 광축(Z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마그네트부(520)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magnet part 520 may interact with the coil 521b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 axis). In the drawing, the magnet 52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도면을 참고하면, 가령, 마그네트부(520)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마그네트부(520)와 연동되어 각각 회전축(514, 516, 518)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회전하면서 입사공(590-591, 592, 593)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or example, the magnet part 520 may reciproc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terlocked with the magnet part 520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rotation shafts 514, 516, and 518, respectively. As the three blades 540, 560, and 580 rotate, the sizes of the entrance holes 590-591, 592, and 593 may be changed.

조리개 구동부는 광축에 수직하는 일 축(도면에서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510)에 배치된 마그네트부(520) 및 마그네트부(5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 코일(521b)를 포함한다.The aperture driver may include a coil fixed to the housing 110 to face the magnet 520 and the magnet 520 disposed on the base 510 so as to be movable along one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X axis in the drawing). 521b).

코일(521b)은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기판(900)은 카메라 모듈(1000)의 바닥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il 521b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900, and the substrate 900 is fixed to the housing 110. The substrate 9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amera module 1000.

또한, 본 실시예는 마그네트부(520)를 직선운동시킬 때, 마그네트부(5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Closed) 제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센서(521c)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센서(521c)는 마그네트(521a)와 대향하게 코일(521b)의 중심 또는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521c)는 기판(900)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a closed loop control method that detects and feeds back the position of the magnet 520 when the magnet 520 is linearly moved. Therefore, the position sensor 521c may be provided for the closed loop control. The position sensor 521c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center or the side of the coil 521b to face the magnet 521a. The position sensor 521c may be installed on the substrate 900.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와 함께 광축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521b)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The magnet 520 is a moving member that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ase 510, and the coil 521b is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housing 110.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조리개모듈(500)의 외측, 즉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0)에 배치되므로, 조리개모듈(5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Since the coil 521b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o the aperture module 500 is disposed outside the aperture module 500, that is, the housing 110 of the camera module, the weight of the aperture module 500 may be reduced.

다시 말해,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고정부재로 제공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또는 손떨림 보정 구동 시에 코일(521b)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개모듈(500)의 채용에 따른 렌즈모듈(200)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il 521b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o the aperture module 500 is provided as the fixing member, the coil 521b does not move during the auto focus adjustment or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and accordingly, the aperture module 500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lens module 200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can be minimized.

또한,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고정부재인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모듈(200)과 조리개모듈(500)이 움직이더라도 조리개 구동부의 코일(521b)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il 521b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o the aperture module 50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10, which is a fixed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00, the lens module may be used during auto focusing and shake correction. Even if the aperture 200 and the aperture module 500 move, the aperture 510b does not affect the coil 521b.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auto focus adjustment function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가 배치되는 이동가이드부(512)가 구비된다. 이동가이드부(512)는 베이스(5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렌즈모듈(200)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510 is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part 512 on which the magnet part 520 is disposed. The movement guide part 512 may exte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base 510 to face the lens module 200.

마그네트부(520)는 코일(521b)과 마주보게 배치된 마그네트(521a) 및 마그네트(521a)가 부착된 마그네트 홀더(522)를 포함한다. 마그네트(521a)는 코일(521b)과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The magnet part 520 includes a magnet 521a disposed to face the coil 521b and a magnet holder 522 to which the magnet 521a is attached. The magnet 521a is provided to face the coil 521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의 이동가이드부(512)와 결합된다. 그리고, 렌즈모듈(200)의 홀더(220)에는 마그네트부(520)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225)와 마그네트(521a) 사이의 인력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이동가이드부(5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요크(미도시)는 베이스(5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가령, 베이스(510) 또는 베이스(510)에서 돌출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부(512)에서 마그네트부(520)와 대향하게 요크(미도시)가 구비되고, 마그네트부(520)에 구비되는 마그네트(521a)와 요크(미도시)와의 인력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이동가이드부(512)에 밀착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렌즈모듈(200) 또는 베이스(510)에 요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세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인 삼성전기(주)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2018-0074710호에 개시된 다양한 구조의 요크(도면 번호 225, 226, 227+519, 515, 518)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magnet part 520 is coupled to the movement guide part 512 of the base 510. In addition, the holder 220 of the lens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yoke 225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agnet part 520. The magnet 520 may slid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magnet 5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vement guide 512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yoke 225 and the magnet 521a. The yok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base 510. For example, the yoke (not shown) is provided to face the magnet 520 in the base 510 or the movement guide 512 protruding from the base 510, and the magnet 521a provided in the magnet 520. ) And the magnet 520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yoke (not shown) may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ovement guide part 512.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yoke in the lens module 200 or the base 510, the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bu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8- filed by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he same applicant as the present application Yokes of various structures disclosed in 0074710 (Fig. Nos. 225, 226, 227 + 519, 515, 518) and the like can be appli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부(520)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회전에 의해 이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겹치는 위치가 변경되면서 입사공의 사이즈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마그네트부(520)가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가이드부(512)의 일측 단부로 이동하면 입사공의 사이즈가 크거나 작은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par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to third parts provided to them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The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changed to chang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Thus,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to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part 5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may be changed to be larger or smaller.

베이스(510)의 상부에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광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겹치게 적층되며 - 물체 측에서 이미지 측으로 순서대로 제1 블레이드(540), 제2 블레이드(560) 및 제3 블레이드(580)가 적층됨 - , 베이스(510)의 상면에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제1 내지 제3 구멍(543, 563, 583)이 각각 끼움되는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겹치는 위치가 변경되면서 입사공의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e 5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the first blade 540 and the second blade 560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And the third blades 580 are stacked. The first to third holes 543, 563, and 583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fit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510, respectively.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514, 516, 518)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rotate about the first to third shafts 514, 516, and 518, and thus,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may be changed while the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of 580 are changed.

마그네트부(520)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와 연동되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magnet part 52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so that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th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514, 516, and 518. It provides a driving force that can rotate around.

마그네트부(520)의 마그네트 홀더(522)에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 중 어느 하나에 일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홀에 끼움되는 제1 구동돌기(5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구동돌기(523)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블레이드들은 제1 구동돌기(523)와 직접적으로 연동된 블레이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동되어 마그네트부(520)의 운동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연동 회전할 수 있다.The magnet holder 522 of the magnet part 520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fitted into a guide hole provided in one direction in one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Then, the remaining blades that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blades that are directly linked to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part 520. The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블레이드 중 광축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제2 블레이드(560)의 제1 가이드홀(565)에 제1 구동돌기(523)가 끼움되어 마그네트부(520)의 이동에 따라 제2 블레이드(560)가 제2 축돌기(51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레이드(560)의 제2 가이드홀(567)에 제3 블레이드(580)에 구비되는 제2 구동돌기(589)가 끼움됨으로써 제2 블레이드(560)가 회전하면 제3 블레이드(580)도 제3 축돌기(518)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블레이드(580)의 제2 구동돌기(589)는 제1 블레이드의 제3 가이드홀(547)에도 끼움됨으로써 제1 블레이드(540)는 제1 축돌기(51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결국, 3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각각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이며, 마그네트부(520)의 제1 구동돌기(523)와 직접 연결되는 가이드홀은 제1 또는 제2 블레이드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제2 구동돌기도 제1 또는 제2 블레이드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565 of the second blade 560 positio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mong the three blades to move the magnet part 520. Accordingly, the second blade 560 may rotate about the second shaft protrusion 516 as a central axis. In addition, when the second blade 560 rotates by inserting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589 provided in the third blade 580 into the second guide hole 567 of the second blade 560, the third blade 580. ) May rotate with the third shaft 518 as a central axis. Furthermore,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589 of the third blade 580 is also fitted into the third guide hole 547 of the first blade, so that the first blade 540 has the first shaft protrusion 514 as the central axis. Can rotate As a result, the thre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rotate around the first to third shafts 514, 516, and 518, respectively. 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guide hol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of the magnet part 52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blade, and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blade.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such as can be provided in the blade.

여기서,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와 이들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구멍(543, 563, 683)은 단면이 둥근 형상일 수 있고, 돌기가 구멍에 삽입된 후에는 블레이드의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돌기와 구멍의 공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514, 516, and 518 and the first to third holes 543, 563, and 683 to which they are inserted may have a rounded cross section, and after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holes,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tolerance of projections and holes so that only blade rotation is possible.

그리고, 제1 또는 제2 구동돌기(523, 589)가 끼워지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은 제1 또는 제2 구동돌기(523, 589)의 이동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일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홀(565)는 마그네트부(520)의 이동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마그네트부(520) - 즉, 제1 구동돌기(523) - 의 이동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가이드홀(567) 및 제3 가이드홀(547)은 제2 구동돌기(589)가 끼움되어 회전운동하므로 제2 가이드홀(567) 및 제3 가이드홀(547)은 제2 구동돌기(589)의 이동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567, and 547 in which the first or second driving protrusions 523 and 589 are fitted, ar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r second driving protrusions 523 and 589. Since the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should be rotatable, they may be provided long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guide hole 565 needs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part 520, the first guide hole 565 may be provid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inclin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gnet part 520, that is,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Can be.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hole 567 and the third guide hole 547 are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58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567 and the third guide hole 547 is a second drive. The protrusion 589 may be provided to be elonga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은 일방향으로 길게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이 일방향으로 길게 곡선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들은 소정 원의 호와 동일한 곡률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567, and 547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567, and 547 are curved in one direction, they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arc of a predetermined circle.

제1 가이드홀(565)은 일 방향(X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마그네트부(520)와 직접 연결되며, 마그네트부(520)의 제1 구동돌기(523)가 직선운동하므로 제1 가이드홀(565)이 일방향으로 길게 곡선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마그네트부(520)의 이동량에 제2 블레이드(560)의 회전량(회전각도)이 거의 비례할 수 있다(제1 가이드홀(565)이 직선인 경우에는 제1 가이드홀(565)의 위치에 따라 진입각도 - 진입각도는 구동돌기가 이동하면서 가이드홀의 내벽을 밀어줄 때, 가이드홀의 내벽과 구동돌기의 진행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를 의미함 - 가 수시로 변경되므로 마그네트부(520)의 이동량에 제2 블레이드(560)의 회전량(회전각도)이 비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홀(565)이 곡선형인 경우에는 구동부의 제어가 더욱 간편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hole 56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gnet part 520 reciprocating in one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since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of the magnet part 520 moves linearly, the first guide hole 565. When the 565 is curved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amount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lade 560 may be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magnet part 520 (the first guide hole 565 is a straight line). In the case of the entrance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hole 565-The entry angle means the angle formed by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protrusion when the driving protrusion is pushed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so the amount of rotation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lade 560 cannot b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agnet portion 520). Accordingly, when the first guide hole 565 is curved, control of the driving unit may be more simple.

또한, 제2 및 제3 가이드홀(567, 547)에는 제3 축돌기(5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3 블레이드(580)가 끼워지므로, 제3 블레이드(580)는 제2 블레이드(56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제1 블레이드(540)는 제3 블레이드(58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blade 580, which rotates the third shaft protrusion 518 as the rotation axis, is fit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567 and 547, the third blade 580 is the second blade 56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he first blade 54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hird blade (580).

제2 및 제3 가이드홀(567, 547)이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회전운동하는 제2 구동돌기(589)와 곡선형의 제2 및 제3 가이드홀(567, 547)의 내벽이 상호 밀어주게 되므로 진입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설계가 가능하다 - 특히 제2 및 제3 가이드홀(567, 547)이 소정 원의 호 형상인 경우 -. 이에 따라 제2 구동돌기(589)가 일방향 또는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힘이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 가이드홀(547, 567)이 곡선형인 경우에는 구동부의 제어가 더욱 간편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567 and 547 ar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he inner walls of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s 589 and the curved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567 and 547 that rotate in rotation are formed. Since it is mutually pushed, it is possible to design such that the entry angle is always kept constant-especially when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567 and 547 have an arc shape of a predetermined circle. Accordingly, the force required when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589 rotates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one directio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547 and 567 are curved, control of the driving unit may be more simple.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상호 접촉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므로 마찰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전방지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provided with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resp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sl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tistatic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prevent friction electricity.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형성하는 입사공의 중심은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각각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며, 이들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이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겹쳐져 형성하는 입사공의 중심이 광축과 대략 일치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coincide with the optical axis. That is,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rotated about th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514, 516, and 518, respectively, based on the rotational axes thereof, and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provided to them according to their rotational driving. The center of the incident hole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coupled to the base 510 such that the center of the incident hole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optical axis.

여기서,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도록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중심은 광축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spinnerets 514, 516, and 518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vertices of the equilateral triangle. Accordingly, the centers of the triangle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shafts 514, 516, and 518 may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optical axis.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는 정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회전에 따라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겹쳐서 형성하는 입사공은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일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have a regular hexagonal shape. Accordingly, the incident hole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be hexagons or regular hexagons.

여기서,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호 겹쳐서 형성하는 입사공은 정N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실시예로, 복수의 블레이드는 N개 또는 N/2개로 구비될 수 있고, 블레이드는 개구가 없는 부메랑 형상으로 내측에 직선부가 적어도 1개 또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실시예로, 복수의 블레이드는 N개 또는 N/2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복수의 개구가 모두 크기가 같은 정N각형일 수 있다.Here, the incident hol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s overlapping each other may be a regular N-square. In this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blades may be provided with N or N / 2, and the blades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two straight parts inside the boomerang shape having no opening. In a secon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provided with N or N / 2 pieces,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regular N-squares having the same size.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는 마그네트부(520)의 일 방향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부(5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진다면, 일방향의 반대인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coupled to the base 510 such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overlaps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aperture driver.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magnet 520.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ncreases when the magnet 520 moves in one directio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may decrease when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n entrance hole through which light passes.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전체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공은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overlap to form an entrance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formed. They can overlap to form relatively small incident holes. The entrance hole may have a round shape or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light may be incident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도 5a 내지 도 5c에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를 상호 구별하기 위해, 제1 블레이드(540)는 실선, 제2 블레이드(560)는 1점 쇄선, 제3 블레이드(580)는 점선으로 표기한다.)5A to 5C, in order to distinguish the first to third blades from each other, the first blade 540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the second blade 560 is indicated by a dashed dashed line, and the third blade 58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do.)

도 5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의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정확하게 전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큰 입사공(590-59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one end portion,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provided by the aperture driver. 581 can all overlap precisely to form the largest entrance hole 590-591 in diameter.

도 5b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과 타측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대략 중간 정도인 입사공(590-592)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end part,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ing part. 514, 516, and 518 are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partially overlapped to form entrance holes 590-592 having a medium diameter.

도 5c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작은 입사공(590-59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portion opposite to one side,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The first and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incident holes 590-593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그네트부(520)는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500)은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agnet 520 may be mov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5A, 5B, and 5C, and accordingly,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various sizes. The incident hole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또한, 도 5a 내지 도 5c의 도시에서는,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로 갈수록 입사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구성했으나, 입사공의 사이즈 변경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마그네트부(520)가 대략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크고,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가장 작은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고, 마그네트부(520)가 타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중간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5A to 5C, the magnet part 5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becomes smaller or larger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bu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manner. Do. For example, when the magnet part 520 is approximately in the middle par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s the largest, and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to one end, the entrance hole of the smallest size is realized, and the magnet part 520 is the other side. When moved to the end, it can be designed to realize a medium sized entrance hole.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500)은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하면서도 입사공의 형상이 모든 크기에서 정확하게 정방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를 정육각형으로 구비하고 이들이 형성하는 모든 크기의 입사공도 정육각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aperture modul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mplement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continuously while allowing the shape of the entrance holes to be exactly square in all siz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provided as regular hexagons, and incident holes of all sizes formed by the hexagons may be implemented as regular hexagons.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가 모두 겹친 상태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를 상정하고 - 도 5a의 경우 - ,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540, 560, 58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인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에서 광축(OX)의 반대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와 광축 사이의 거리(L) 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O)으로 하고 중심(O)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OL)과 정육각형인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1개의 꼭지점이 만나도록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의 위치를 설계하면(물론,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인 정육각형의 중심은 항상 광축(OX)과 일치함)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가 겹쳐서 형성하는 모든 크기의 입사공이 정육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one end, and thus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overlap with each other is the largest is the case. In the first to third spinnerets 514, 516, and 518 which are rotation axes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540, 560, and 580, the first to third spinnere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tical axis OX. 514, 516, 518 and a circle (OL) having a center (O)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optical axis and a radius (2L) between the center (O) and the optical axis (R) and a regular hexagon If the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are designed so that one vertex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eet (of course,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581), the center of the regular hexagon is always coincident with the optical axis OX. The entrance holes of all size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may be implemented as regular hexagons.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60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500)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의 형상만 상이하므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고, 다른 구성의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에 설명된 것으로 갈음하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erture modul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8 to FIG. 1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mbodiment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nd the first to third blades are the same. Since only the shape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are different,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first to third blade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4 to 7, and the first to third configurations. Only the three blades will be described.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는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는 마그네트부(520)의 일 방향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부(5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진다면, 일방향의 반대인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are coupled to the base 510 such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overlaps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aperture driver.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gnet part 520 moves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ncreases when the magnet 520 moves in one directio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may decrease when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n entrance hole through which light passes.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의 전체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공은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overlap to form an entrance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be formed. They can overlap to form relatively small incident holes. The entrance hole may have a round shape or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light may be incident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도 9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의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정확하게 전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큰 입사공(690-69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one end portion,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are provided by the aperture driver. 681 can all overlap precisely to form the largest entrance hole 690-691 in diameter.

도 9b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과 타측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대략 중간 정도인 입사공(690-692)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when the magnet part 520 is position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end part,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514, 516, and 518 may be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partially overlap to form an entrance hole 690-692 having a diameter of about a middle.

도 9c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작은 입사공(690-69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portion opposite to one side,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The first and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incident holes 690-693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그네트부(520)는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600)은 입사공의 크기를 3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agnet part 520 may be mov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9A, 9B, and 9C. The size may be changed to three stages, or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may be continuously implemented.

또한, 도 9a 내지 도 9c의 도시에서는,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로 갈수록 입사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구성했으나, 입사공의 사이즈 변경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마그네트부(520)가 대략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크고,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가장 작은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고, 마그네트부(520)가 타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중간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9A to 9C, the magnet part 5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becomes smaller or larger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bu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manner. Do. For example, when the magnet part 520 is approximately in the middle par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s the largest, and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to one end, the entrance hole of the smallest size is realized, and the magnet part 520 is the other side. When moved to the end, it can be designed to realize a medium sized entrance hole.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600)에서 제1 내지 제3 구멍(643, 663, 683),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665, 667, 647)은 도 4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500)의 제1 내지 제3 구멍(543, 563, 583),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과 형상과 기능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n the aperture module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holes 643, 663, and 683 and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665, 667, and 647 are the apertures of the embodiment of FIGS. 4 to 7. Since the shapes, functions, and the like of the first to third holes 543, 563, and 583 and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567, and 547 of the module 500 are all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600)은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하면서도 특정 위치에서의 입사공의 형상이 정방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를 거의 원형으로 구비하고 이들이 형성하는 가장 작거나 가장 큰 사이즈의 입사공은 원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aperture modul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mplement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continuously while making the shape of the entrance holes at a specific position squar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9A to 9C,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be almost circular, and the smallest or largest sized entrance holes they form may be circular. .

먼저,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가 모두 겹친 상태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를 상정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에 동일한 크기의 원형 개구의 사이즈(반지름 'R'인 원이며, 이하, '대구경'으로 지칭함)를 결정한다. 여기서, 대구경 원의 중심은 광축(OX)과 일치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one end and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have the largest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in the overlapping state. The size of the circular opening of the same size (circle having a radius '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rge diameter') is determined for the three blades 640, 660, and 680. Here, the center of the large-diameter circle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OX.

그리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인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에서 광축(OX)의 반대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와 광축 사이의 거리(L) 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O)으로 하고 중심(O)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OL)과 원형인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만나는 합점(MP)을 확인한다.The first to third axes of the first to third shafts 514, 516, and 518 which are rotation axes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tical axis OX. A circle (OL) having a center (O)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projections (514, 516, 518) and the optical axis, and a circle (OL) having a radius of the distance (2L) between the center (O) and the optical axis The sum point MP where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eet is determined.

다음으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640, 660, 680)가 모두 겹친 상태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경우의 반지름(r)을 확인하고, 광축(OX)과 합점(MP)을 연결하는 선 상에 중심(O')이 있고 반지름이 'r'인 원(이하, '소구경'이라 지칭함)을 그려주면 대구경의 외측으로 소구경이 약간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형성하는 가장 큰 사이즈(반지름 R인 입사공)와 가장 작은 사이즈(반지름 r인 입사공)의 입사공이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Next, the radius r 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 third blades 640, 660, and 680 are all overlapped is the smallest is checked, and the optical axis OX and the summation point MP are determined. Drawing a circle having a center (O ') and a radius' 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ll diameter ') on the connecting line, the first to the second small diameters extend outwardly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Three openings 641, 661, 681 may be provided, and the largest size (incident hole of radius R) and the smallest size (radius r of incidenc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681. The entrance hole of the ball)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shape.

여기서, 대구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소구경의 원주의 1/3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소정 위치에서 겹치게 되면 중심이 광축(OX)인 소구경 원형의 입사공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may correspond to 1/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mall diamet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overlap at predetermined positions, a small diameter circular incident hole having a center of the optical axis OX may be accurately formed.

도 12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70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500)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의 형상만 상이하므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고, 다른 구성의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에 설명된 것으로 갈음하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12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in other embodiments of the aperture module 700 according to FIGS. 4 to 7, and are provided on the first to third blades. Since only the shape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are different,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first to third blade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4 to 7, and the first to third configurations. Only the three blades will be described.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740, 760, 780)는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740, 760, 780)는 마그네트부(520)의 일 방향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부(5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진다면, 일방향의 반대인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blades 740, 760, and 780 are coupled to the base 510 such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overlaps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aperture driver.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blades 740, 760, and 7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magnet 520.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ncreases when the magnet 520 moves in one direction,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may decrease when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n incident hole through which light passes.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681)의 전체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공은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681 may overlap to form an entrance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may be formed. They can overlap to form relatively small incident holes. The incident hole may have a round shape or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light may be incident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도 13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740, 760, 780)의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가 전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큰 원형의 입사공(790-79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A, when the magnet part 520 is positioned at one end portion,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740, 760, and 780 are provided by the aperture driver. 781 may all overlap to form a circular incident hole 790-791 having the largest diameter.

도 13b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과 타측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740, 760, 7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대략 중간 정도인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형상의 입사공(790-792)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B,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end part, the first to third blades 740, 760, and 7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514, 516 and 518 are rotated about the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are partially overlapped to form hexagonal or regular hexagonal incidence holes 790-792 having a medium diameter. Can be formed.

도 13c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740, 760, 7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작은 육면체 또는 정육각형 형상의 입사공(790-79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C,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portion opposite to one side, the first to third blades 740, 760, and 7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514, 516, and 518 are rotated about the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are partially overlapped to form incident holes 790-793 having the smallest hexahedron or regular hexagon shape. can do.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그네트부(520)는 도 13a, 도 13b, 도 13c에 도시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700)은 입사공의 크기를 3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agnet part 520 may move to a position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13A, 13B, and 13C, and accordingly, the aperture modul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n entrance hole. The size may be changed to three stages, or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may be continuously implemented.

또한, 도 13a 내지 도 13c의 도시에서는,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로 갈수록 입사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구성했으나, 입사공의 사이즈 변경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마그네트부(520)가 대략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크고,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가장 작은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고, 마그네트부(520)가 타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중간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13A to 13C, the magnet part 5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becomes smaller or larger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but the size change of the entrance hole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Do. For example, when the magnet part 520 is approximately in the middle par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s the largest, and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to one end, the entrance hole of the smallest size is realized, and the magnet part 520 is the other side. When moved to the end, it can be designed to realize a medium sized entrance hole.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700)에서 제1 내지 제3 구멍(743, 763, 783),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765, 767, 747)은 도 4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500)의 제1 내지 제3 구멍(543, 563, 583),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과 형상과 기능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n the aperture module 7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holes 743, 763, and 783 and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765, 767, and 747 are the apertures of the embodiment of FIGS. 4 to 7. Since the shapes, functions, and the like of the first to third holes 543, 563, and 583 and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567, and 547 of the module 500 are all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700)은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하면서도 대부분 위치에서의 입사공의 형상이 정방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를 일부는 원의 호(반지름 R)로 구비하고 나머지는 정육각형으로 구비하여 이들이 형성하는 가장 큰 사이즈의 입사공은 원형으로 구현하고 소정 사이즈 이하의 입사공은 정육각형로 구현하며 그 사이의 입사공은 원형과 정육각형이 혼합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aperture modul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mplement an entrance hole of various sizes continuously while making the shape of the entrance hole at most positions squa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3A-13C,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are partially provided with arcs of a circle (radius R) and the remainder are regular hexagons, the largest of which are formed. The incident holes of the size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incident holes below a predetermined size may be implemented in a regular hexagon, and the incident holes therebetween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in which the circular and regular hexagons are mixed.

이의 구현 방법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3 개구(541, 561, 581)를 정육각형으로 구비하고 이들이 형성하는 모든 크기의 입사공도 정육각형으로 구현'하기 위한 설계 방법과 거의 동일하며, 다만,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를 일부는 원의 호로 구비하고 나머지는 정육각형의 일부로 구비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is almost the same as the design method for 'having the first to third openings 541, 561, and 581 having a regular hexagon and implementing incident holes of all sizes formed by the regular hexag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However, since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are partially provided as arcs and the remaining parts as regular hexagon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한편, 도 15에서 제1 내지 제3 개구(741, 761, 781)의 일부를 형성하는 코너부(CP)는 정육각형의 일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다소 둥근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FIG. 15, the corner portion CP forming part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741, 761, and 781 may maintain a partial shape of the regular hexagon or may be deformed to a somewhat rounded shape.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80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500)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마그네트부(520)에 구비되는 제1 구동돌기(523')의 위치가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제1 구동돌기(523')가 삽입되는 제2 블레이드(860)의 제1 가이드홀(865)의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수반하여 제1 및 제2 블레이드(840, 860)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가이드홀(867, 847)의 구비 위치 및 형상이 다소 변경된 것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의 형상이 상이한 것이므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고, 다른 구성의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에 설명된 것으로 갈음하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16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pertur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erture modul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6 to 19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mbodiment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nd the first driving is provided in the magnet part 520.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523 'is shifted to the opposite sid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hole 865 of the second blade 860 into which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23' is inserted.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867 and 847 provided in the second blades 840 and 860 are somewhat changed, and the shape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blades. Since this is different,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first to third blade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configuration is replaced with that described in FIGS. 4 to 7, and only the first to third blades are described. do.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는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는 마그네트부(520)의 일 방향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상술한 3개의 실시예(500, 600, 700)와 같이 마그네트부(5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진다면, 일방향의 반대인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are coupled to the base 510 such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overlaps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aperture driver.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magnet 520. Accordingly, if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increases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in one direction, as in the three embodiments 500, 600, and 7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5,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one direction When moving to,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may be reduced.

다만, 이러한 구동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마그네트부(520)가 액추에이터의 이동 구간에서 대략 중간에 있을 때 입사공의 사이즈가 가장 크게 형성되도록 구현한다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를 대략 중간 정도로 구현하고, 마그네트부(520)가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끝단부로 이동할 때 입사공의 사이즈를 가장 작은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마그네트부(52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졌다가 작아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driving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is formed to be the largest when the magnet part 520 is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actuator's moving section. When moving to the negative,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s about the middle, and when the magnet 520 moves to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may be implemented as the smallest size, in this case, the magnet 520 Even when moving in one direction,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may increase and decrease.

이와 같이, 마그네트부(520)의 일방향 이동에 따라 입사공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크거나 작아지도록 변경하거나,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졌다 작아지거나 작아졌다 커지도록 하는 것은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800)로 마그네트부(520)의 일방향 이동 -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 또는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 방향으로 이동 - 에 따라 입사공의 사이즈가 커졌다 작아지는 구조를 설명한다.As such,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s may be changed to be larger or smaller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one-way movement of the magnet part 520, or the sizes of the incident holes may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 structure. Hereinaf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 increases and decreases according to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magnet part 520-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direction or from the other end portion to the one end portion direction. Explain.

또한,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incident holes through which light passes.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의 전체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공은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overlap to form an incident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be formed. They can overlap to form relatively small incident holes. The incident hole may have a round shape or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light may be incident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도 17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구동부의 구동 경로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의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가 거의 전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큰 입사공(890-89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A,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a driving path of the driving part, the first to third openings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may be formed by the aperture driving part. Almost all of the 841, 861, and 881 may overlap to form the entrance hole 890-891 having the largest diameter.

도 17b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641, 661, 6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대략 중간 정도인 입사공(890-892)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B,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one end portion,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may be th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514 and 516 by the aperture driver. , 518 may be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641, 661, and 681 may partially overlap to form an entrance hole 890-892 having a diameter of about a middle.

도 17c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부(520)가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로,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가 일부 중첩되어 직경이 가장 작은 입사공(890-89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C, when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portion opposite to one side,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are first to third shaft protrusions by the aperture driver. 514, 516, and 518 are rotated about the axis,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partially overlap to form the incident holes 890-893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그네트부(520)는 도 17a, 도 17b, 도 17c에 도시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800)은 입사공의 크기를 3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agnet part 520 may be mov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17A, 17B, and 17C, and accordingly, the aperture modul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n entrance hole. The size may be changed to three stages, or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may be continuously implemented.

또한, 도 17a 내지 도 17c의 도시에서는, 마그네트부(520)가 대략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크고,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가장 작은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고, 마그네트부(520)가 타측 끝단부로 이동하면 중간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하도록 설계한 것이나, 입사공의 사이즈 변경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로 갈수록 입사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S. 17A to 17C, when the magnet part 520 is approximately in the middle,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s the largest, and when the magnet part 520 moves to one end, the smallest sized entrance hole is realized. And, if the magnet 520 is moved to the other end portion is designed to implement a medium sized entrance hol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in other ways. For example, the magnet 5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becomes smaller or larger as it go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800)에서 제1 내지 제3 구멍(843, 863, 883)은 도 4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500)의 제1 내지 제3 구멍(543, 563, 583)과 형상과 기능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800)에서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865, 867, 847)은 도 4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의 조리개모듈(500)의 제1 내지 제3 가이드홀(565, 567, 547)과 형상과 구비 위치가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능은 모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first to third holes 843, 863, and 883 of the aperture module 8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first to third holes 543 and 563 of the aperture module 500 of FIGS. 4 to 7. 583) and the shape and function are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865, 867, and 847 in the aperture module 8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first to third guide holes 565 of the aperture module 500 of FIGS. 4 to 7. , 567, 547 and the shape and location are somewhat different, but since the functions are all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800)은 다양한 사이즈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continuous) 구현하면서도 특정 위치에서의 입사공의 형상이 정방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를 거의 원형으로 구비하고 이들이 형성하는 가장 작은 사이즈, 중간 사이즈 및 가장 큰 사이즈의 입사공은 원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단 구경 변형 구조의 조리개인 경우에는 모든 구경의 조리개를 원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aperture modul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mplement the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continuously while making the shape of the entrance holes at a specific position squa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8A-18C, the smallest, medium, and largest sized entrance holes having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are nearly circular and they form are circular. Can be implement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individual aperture of the three-stage aperture deformation structure, the apertures of all apertures may be circular.

먼저, 마그네트부(520)가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모두 겹친 상태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를 상정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에 동일한 크기의 원형 개구의 사이즈(반지름 'R'인 원이며, 이하, '대구경'으로 지칭함)를 결정한다. 여기서, 대구경 원의 중심은 광축(OX)과 일치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magnet part 520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and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are formed to have the largest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in the overlapping state is assumed to be the first to third. The blades 840, 860, and 880 have the same size of circular openings (circles with radius '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rge diameter'). Here, the center of the large-diameter circle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OX.

그리고,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인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에서 광축(OX)의 반대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축돌기(514, 516, 518)와 광축 사이의 거리(L) 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O)으로 하고 중심(O)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OL, 이하, '가상원'이라 지칭함)과 원형인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가 만나는 합점(MP)을 확인한다.The first to third axes of the first to third shafts 514, 516, and 518, which are rotation axes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are opposite to the optical axis OX. A circle (OL, hereinafter, ') having a center (O) at a position separated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protrusions (514, 516, 518) and the optical axis and a radius (2L) between the center (O) and the optical axis. And the summation point MP where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which are circular, meet.

다음으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모두 겹친 상태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경우의 반지름(r)을 확인하고, 광축(OX)과 합점(MP)을 연결하는 선 상에 제1중심(O1)이 있고 반지름이 'r'인 원(이하, '소구경'이라 지칭함)을 그려주면 대구경의 외측으로 소구경이 약간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대구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소구경의 원주의 1/3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소정 위치에서 겹치게 되면 중심이 광축(OX)인 소구경 원형의 입사공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radius r 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are all overlapped is the smallest is checked, and the optical axis OX and the summation point MP are determined. Drawing a circle having a first center (O1) and a radius '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ll diameter') on a connecting line may realize a shape in which a small diameter slightly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In this case,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may correspond to 1/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mall diamet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overlap at predetermined positions, a small diameter circular incident hole having a center of the optical axis OX may be accurately formed.

그리고, 추가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겹쳐서 형성하는 입사공의 크기가 중간인 경우의 반지름(r2)을 확인하고, 반지름이 2L인 가상원의 원호 위에 중심이 위치하고 반지름이 'r2'인 원(이하, '중구경'이라 지칭함)을 그려주면 대구경의 외측으로 중구경이 약간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대구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중구경의 원주의 1/3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840, 860, 880)가 소정 위치에서 겹치게 되면 중심이 광축(OX)인 중구경 원형의 입사공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us r2 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incident hole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is medium is checked, and the center is positioned on the arc of the imaginary circle having a radius of 2L. Drawing a circle having a radius of 'r2'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ddle diameter') may implement a shape in which the medium diameter slightly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In this case, the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large diameter may correspond to 1/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edium diamet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to third blades 840, 860, and 880 overla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 incident hole of a medium-diameter circular circle having an optical axis OX may be accurately formed.

이에 따라, 대구경의 외측으로 소구경과 중구경이 각각 약간씩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개구(841, 861, 881)가 형성하는 가장 큰 사이즈, 중간 사이즈 및 가장 작은 사이즈의 입사공이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and 881 may be provid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in small and medium diamet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to third openings 841, 861, The largest, middle and smallest sized entrance holes formed by 881 may be circular.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모듈을 통해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조리개모듈을 장착하더라도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리개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3단 또는 연속적으로 조래개모듈의 입사공 크기를 변경하면서도 대부분의 경우에 입사공이 정방형(정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hange the incident amount of light through the aperture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auto focus adjustment function even if the aperture module is mounted In addition, the weight increase due to the adoption of the aperture modul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ile changing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of the lap module in three stages or continuously, in most cases it can be implemented to form a square (square polygon or circle).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육각형(정육각형) 또는 원형의 개구를 갖는 3매의 블레이드에 의해 구현되는 입사공을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의 형상은 다각형(삼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일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매수도 3매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hole implemented by three blades having hexagonal (ordinary hexagonal) or circular open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opening is polygonal (triangular, pentagonal, Octagon, etc.), and the number of blades may be three or mo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하우징
120: 케이스
200: 렌즈모듈
300: 캐리어
400: 가이드부
500, 600, 700, 800: 조리개모듈
1000: 카메라 모듈
110: housing
120: case
200: lens module
300: carrier
400: guide part
500, 600, 700, 800: Aperture module
1000: camera module

Claims (17)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겹치게 구비되고 각각 개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마그네트부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마그네트부에 직접 연동되는 구동 블레이드이고, 상기 구동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블레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조리개모듈.
Base;
A plurality of blades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in order to overlap each other and are rotated based on respective rotation axes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by mutual combination; And
It includes; a drive unit having a magne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a drive blade that is directly linked to the magnet portion, the remaining blades other than the drive blade is driven directly or in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drive blade drive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개별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면 정다각형 형상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perture module having a regular polygonal shape when the individual rotary shafts of the plurality of bla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의 개별 회전축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정다각형의 무게중심은 광축과 대략 일치하는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egular polygon formed by the connection of the individual rotating shaft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approximately the aperture module and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회전각도는 대략 동일한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angle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approximately the same apertur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복수의 개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가 상호 조합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복수의 입사공이 형성되는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each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same size and shape,
The aperture modul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of different siz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상기 개구는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N: 자연수)의 일부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apertu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blades is at least part of the diaphragm (N: natural number) of the aperture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서 광축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과 광축 사이의 거리(L)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중심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인 상기 개구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와 만나도록 상기 개구의 위치가 형성되는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6,
A circle having a radius of a distance 2L between the center and the optical axis, the center of which is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onal axis and the optical 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The aperture module is formed in the position of the opening so as to meet any one of the vertices of the opening is a part of a squa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상기 개구는 정N각형(N: 자연수)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ertu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blades is an aperture module (N: natural number) of the aperture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상기 개구는 일부는 원의 호이고 나머지는 정N각형(N: 자연수)의 일부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ertu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blades is part of the circular arc and the rest of the diaphragm (N: natural number) of the aperture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3매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three pieces aperture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겹쳐서 형성하는 복수의 입사공은 모두 원형 또는 정N각형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incident holes formed by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blades are all diaphragm or regular N-square aperture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마그네트부의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osition sensor provided to face the magnet of the magnet so as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agn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상기 개구는 서로 다른 크기의 원형 구멍이 적어도 2개 상호 연결된 형상인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apertu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blades is a diaphragm module having a shape in which at least two circular holes of different sizes are interconnec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구멍은 대구경과 반지름이 상기 대구경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소구경을 포함하고,
대구경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겹쳐서 형성하는 상기 입사공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의 상기 입사공 크기와 동일한 크기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구경은, 합점과 광축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중심이 있고 반지름이 'r'인 원인 조리개모듈.
(합점: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서 광축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과 광축 사이의 거리(L) 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중심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상기 개구가 만나는 점)
The method of claim 13,
The circular hole includes a large diameter and at least one small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The large diameter is the same size as the incidence hole size when the incidence hol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s overlap each other are the largest,
At least one of the small diameter, the diaphragm module having a center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ummation point and the optical axis and the radius 'r'.
(Summer point: a circle centered on a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on axis and the optical 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and a circle having a radius 2L between the center and the optical axis And the opening where the opening me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는 광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조리개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 module linearly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겹치게 구비되고 각각 개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N: 자연수)의 일부인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서 광축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과 광축 사이의 거리(L)만큼 이격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중심과 광축 사이의 거리(2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적어도 일부가 정N각형인 상기 개구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와 만나도록 상기 개구의 위치가 형성되는 조리개모듈.
Base; And
And a plurality of blades which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rotated based on respective rotation axes to form a plurality of incident holes of different sizes by mutual combin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has an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part of a regular N-square (N: natural number),
A circle having a radius of a distance 2L between the center and the optical axis, the center of which is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onal axis and the optical 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The aperture module is formed in the position of the opening so as to meet any one of the vertices of the opening is a part of a square.
하우징에 수용되는 렌즈모듈; 및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의 조리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모듈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와 연동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부;와 상기 마그네트부와 대향하게 상기 렌즈모듈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 lens modul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nd a diaphragm module of claim 1 to 16, which continuously forms incident holes of various sizes by a plurality of blades.
The aperture module,
And a magnet unit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blades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a coil provided in the lens module to face the magnet unit.
KR1020180091352A 2018-05-10 2018-08-06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07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74,471 US11169430B2 (en) 2018-05-10 2019-02-13 Stop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920671259.7U CN209946607U (en) 2018-05-10 2019-05-10 Diaphragm module and camera module
CN201910387895.1A CN110471237B (en) 2018-05-10 2019-05-10 Diaphragm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88 2018-05-10
KR20180053688 2018-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56A true KR20190129656A (en) 2019-11-20
KR102207281B1 KR102207281B1 (en) 2021-01-25

Family

ID=6872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352A KR102207281B1 (en) 2018-05-10 2018-08-06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7281B1 (en)
CN (1) CN209946607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1248B2 (en) 2018-06-28 2020-06-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12697B2 (en) 2018-08-28 2020-10-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9430B2 (en) * 2018-05-10 2021-11-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top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038A (en) * 2007-08-08 2010-06-28 아트피셜 머슬, 인코퍼레이션 Optical lens image stabilization systems
KR20110026337A (en) * 2009-09-07 2011-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Shutter device and micro camera have the same
KR20120032433A (en) * 2010-09-28 2012-04-05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Camera blade driving device
KR20120052453A (en) * 2010-11-15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40146919A (en) * 2013-06-18 2014-12-29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Subminiature iris apparatus
KR101700771B1 (en)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70093055A (en) * 2016-02-04 2017-08-1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Camera lens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038A (en) * 2007-08-08 2010-06-28 아트피셜 머슬, 인코퍼레이션 Optical lens image stabilization systems
KR20110026337A (en) * 2009-09-07 2011-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Shutter device and micro camera have the same
KR20120032433A (en) * 2010-09-28 2012-04-05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Camera blade driving device
KR20120052453A (en) * 2010-11-15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40146919A (en) * 2013-06-18 2014-12-29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Subminiature iris apparatus
KR20170093055A (en) * 2016-02-04 2017-08-1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Camera lens assembly
KR101700771B1 (en)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1248B2 (en) 2018-06-28 2020-06-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12697B2 (en) 2018-08-28 2020-10-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946607U (en) 2020-01-14
KR102207281B1 (en)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281B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85053B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0471237B (en) Diaphragm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58710B1 (en) Camera module
US10931857B2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53037A (en) Camera module
KR102248522B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48523B1 (en) Aperture module
US10812697B2 (en) Camera module
KR102139766B1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07281B1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90139394A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01784A (en)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63058B1 (en) Camera module
KR20200022303A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20371A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