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38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387A
KR20240041387A KR1020220119862A KR20220119862A KR20240041387A KR 20240041387 A KR20240041387 A KR 20240041387A KR 1020220119862 A KR1020220119862 A KR 1020220119862A KR 20220119862 A KR20220119862 A KR 20220119862A KR 20240041387 A KR20240041387 A KR 2024004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layer
yarns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박찬재
오선옥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387A/ko
Priority to US18/340,661 priority patent/US20240103583A1/en
Priority to CN202311228751.4A priority patent/CN117742026A/zh
Publication of KR2024004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67Gla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58Electromagnetic radiat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6With additional leno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75Carbon fib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폴더블 영역 및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연질부와 상이하게 직조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fabric)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은 플렉서블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일부가 벤딩 또는 폴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에 포함된 하부 기판은 폴리이미드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 패널에 포함된 상부 기판은 박막 봉지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블 영역의 면 품질(surface quality)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더블 영역 및 상기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연질부와 상이하게 직조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fabric)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얀(yarn)으로 구성된 복수의 씨실들(weft yarns) 및 상기 씨실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날실들(warp yarn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질부의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질부의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각각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 라인을 갖고, 상기 비폴딩 영역은 상기 폴더블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씨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을 둘러싸고,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날실들 각각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고정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금속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주자직(satin weave), 바스켓직(basket weave) 및 모사직(mock leno weave) 중 적어도 하나로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주자직으로 직조되고, 상기 경질부는 평직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지지층 및 제2 지지층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더블 영역 및 상기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얀(yarn)으로 구성된 복수의 씨실들 및 상기 씨실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날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평직, 능직, 주자직, 바스켓직 및 모사직 중 적어도 하나로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금속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더블 영역 및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연질부와 상이하게 직조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가 직물로 형성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 부재에 포함된 직물의 직조 방법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제1 지지 부재 및 제1 지지 부재에 연결된 고정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이 광을 방출함에 따라,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제2 방향(D2)과 수직일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평면이 정의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들(PX)에 신호 및/또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즉, 폴더블 영역(FA))에서 접힐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DD)를 접을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는 폴더블 영역(FA) 및 폴더블 영역(FA)의 적어도 일측에 인접하고 접히지 않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영역(FA)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폴딩 라인(FL)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접히지 않는 영역을 비폴딩 영역이라 지칭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비폴딩"이라는 표현은 가요성이 없어 단단한 경우뿐만 아니라, 가요성이 있기는 하나 폴더블 영역(FA)보다 작은 가요성을 가져 접히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하나의 표시 영역(D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이 폴딩 라인(FL)을 따라 접어졌을 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이 마주보도록,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영역(DA)이 폴딩 라인(FL)을 따라 접어졌을 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폴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하나의 폴더블 영역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복수 회 접어질 수 있거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폴더블 영역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윈도우 부재(WN), 편광 부재(POL), 표시 패널(DP), 제1 접착 부재(AM1), 제1 지지 부재(300), 제2 접착 부재(AM2), 탄성 부재(310), 제3 접착 부재(AM3), 제2 지지 부재(320), 방열 부재(330), 충격 흡수 부재(340) 및 절연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폴더블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함에 따라,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표시 패널(DP))도 폴더블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편광 부재(POL)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예를 들어, 도 1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외부에서 표시 패널(DP)로 입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편광 부재(POL)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 상에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 상에 윈도우 부재(WN)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N)는 표시 영역(DA)에 대응되는 투과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N)는 굽힘이 가능 하도록 고분자 물질, 유리 박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제1 지지 부재(300) 사이에 제1 접착 부재(AM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접착층(AM1a) 및 제2 접착층(AM1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층(AM1a) 및 제2 접착층(AM1b)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M1a) 및 제2 접착층(AM1b)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접착층(AM1a) 및 제2 접착층(AM1b)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AM1)의 상면은 표시 패널(D)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제1 접착 부재(AM1)의 저면은 제1 지지 부재(3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착 부재(AM1)는 표시 패널(DP)과 제1 지지 부재(3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AM1)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압감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제1 지지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부분은 표시 장치(DD)의 접힘과 펼침에 대응하여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지지 부재(300)는 표시 패널(DP)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300)는 표시 패널(DP)의 폴딩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300)는 표시 패널(DP)의 저면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DP)을 지지할 수 있고,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부분은 표시 패널(DP)이 폴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하부에 탄성 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310)는 제1 지지 부재(300)와 제2 지지 부재(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310)는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310)는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부분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310)는 폴더블 영역(FA 과 중첩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부분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인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310)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 또는 상대적으로 큰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310)는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와 탄성 부재(310) 사이에 제2 접착 부재(AM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M2)의 상면은 제1 지지 부재(3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제2 접착 부재(AM2)의 저면은 탄성 부재(3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 부재(AM2)는 제1 지지 부재(300)와 탄성 부재(310)를 부착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310)와 제2 지지 부재(320) 사이에 제3 접착 부재(AM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M3)는 서로 이격되는 제3 접착층(AM3a) 및 제4 접착층(AM3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접착층(AM3a) 및 제4 접착층(AM3b)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M3a) 및 제4 접착층(AM3b)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접착층(AM3a)은 탄성 부재(310)와 제2 지지 부재(320)의 제1 지지층(321)을 부착시킬 수 있고, 제4 접착층(AM3b)은 탄성 부재(310)와 제2 지지 부재(320)의 제2 지지층(322)을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M2) 및 제3 접착 부재(AM3) 각각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 압감 접착제,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부재(310)의 하부에 제2 지지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2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지지층(321) 및 제2 지지층 (3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층(321) 및 제2 지지층(322)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층(321) 및 제2 지지층(322)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접히는 경우, 제2 지지 부재(320)의 제1 지지층(321) 및 제2 지지층(32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20)는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부분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20)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32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US)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지지 부재(320)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지 부재(320)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부에 방열 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33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방열층(331) 및 제2 방열층(3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층(331) 및 제2 방열층(332)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방열층(331)의 상면은 제1 지지층(32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제2 방열층(332)의 상면은 제2 지지층(322)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방열층(331) 및 제2 방열층(332)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방열 부재(330)는 열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33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 부재(3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방열 부재(330)의 하부에 충격 흡수 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4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쿠션층(341) 및 제2 쿠션층(3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쿠션층(341) 및 제2 쿠션층(342)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쿠션층(341) 및 제2 쿠션층(342) 각각은 폴더블 영역(FA)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쿠션층(341)의 상면은 제1 방열층(33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제2 쿠션층(342)의 상면은 제2 방열층(332)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4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340)는 표시 장치(DD)가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재(340)는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타이렌 폼 등과 같은 폼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40)의 저면 상에 절연 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350)는 필름 또는 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350)는 표시 장치(DD)에 이음(rattl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표시 패널(DP)은 기판(110), 버퍼층(120), 게이트 절연층(140), 트랜지스터(TR), 층간 절연층(160), 평탄화층(180), 화소 정의막(PDL), 발광 소자(200) 및 봉지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R)는 액티브층(130), 게이트 전극(150), 소스 전극(170a) 및 드레인 전극(170b)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 소자(200)는 하부 전극(190), 발광층(210) 및 상부 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봉지층(230)은 제1 박막 봉지층(231), 제2 박막 봉지층(232) 및 제3 박막 봉지층(2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의 저면 상에 패널 보호층(PPL)이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패널 보호층(PPL)에 포함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보호층(PPL)은 다른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110)은 투명 물질 또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연성을 갖는 투명 수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으로 이용될 수 있는 투명 수지 기판의 예로는 폴리이미드 기판을 들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판(110)은 석영 기판, 합성 석영 기판, 불화칼슘 기판, 소다라임 유리 기판, 무알칼리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버퍼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기판(110)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들이 트랜지스터(TR)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12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버퍼층(120) 상에 액티브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130)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예를 들어,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30)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버퍼층(120) 상에 게이트 절연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4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130)을 충분히 덮을 수 있으며, 액티브층(130)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4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130)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액티브층(130)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4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탄화물(SiC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실리콘 산탄화물(SiOxC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40) 상에 게이트 전극(15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50)은 액티브층(130)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15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40) 상에 층간 절연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은 기판(110) 상에서 게이트 전극(150)을 충분히 덮을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150)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간 절연층(160)은 기판(110) 상에서 게이트 전극(150)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게이트 전극(150)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16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탄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산탄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 상에 소스 전극(170a) 및 드레인 전극(170b)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70a)은 게이트 절연층(140) 및 층간 절연층(160)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30)의 상기 소스 영역에 접속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170b)은 게이트 절연층(140) 및 층간 절연층(160)의 제2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30)의 상기 드레인 영역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170a) 및 드레인 전극(170b) 각각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층(130), 게이트 전극(150), 소스 전극(170a) 및 드레인 전극(170b)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TR)가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 상에 평탄화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180)은 소스 전극(170a) 및 드레인 전극(170b)을 충분히 덮을 수 있다. 평탄화층(18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탄화층(18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8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based resin),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based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imide-based resin), 실록산계 수지(siloxane-based resin) 등과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평탄화층(180) 상에 하부 전극(19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190)은 평탄화층(18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170b)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19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평탄화층(180) 상에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하부 전극(19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PDL)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전극(190) 상에 발광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210)은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된 하부 전극(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21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발광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층(21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의 다른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 물질들을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백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층(210) 상에 상부 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22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영역(DA)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극(22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전극(190), 발광층(210) 및 상부 전극(220)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200)가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220) 상에 제1 박막 봉지층(23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231)은 발광층(21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박막 봉지층(231)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막 봉지층(231)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231) 상에 제2 박막 봉지층(2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 봉지층(232)은 표시 패널(DP)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박막 봉지층(232)은 가요성을 갖는 유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막 봉지층(232) 상에 제3 박막 봉지층(2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박막 봉지층(233)은 제1 박막 봉지층(231)과 함께 발광층(21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박막 봉지층(233)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박막 봉지층(231) 및 제2 박막 봉지층(232)과 함께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박막 봉지층(233)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DD)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PDP),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무기 발광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LED) 또는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 부재에 포함된 직물의 직조 방법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1 지지 부재(300)는 직물(F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중첩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FB)은 제1 지지 부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얀(yarn)으로 구성된 복수의 씨실들(WF)(weft yarns) 및 씨실들(WF)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날실들(WP)(warp yarns)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F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은 경질부(R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부(FP) 및 경질부(RP)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제2 방향(D2)과 수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질부(F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중 적어도 하나는 경질부(R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와 상이하게 직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가요성을 갖도록 직조되고,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는 가요성을 갖지 않도록 직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가요성을 갖도록 직조되고,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는 가요성을 갖되 연질부(FP)보다 낮은 가요성을 갖도록 직조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씨실들(WF) 및 날실들(WP)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꼬아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 및 경질부(RP) 각각은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주자직(satin weave), 바스켓직(basket weave) 및 모사직(mock leno weave) 중 적어도 하나로 직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의 (A)에 상기 능직이 도시되고, 도 9의 (B)에 상기 바스켓직이 도시되고, 도 9의 (C)에 상기 모사직이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 및 경질부(RP) 각각은 다른 방법으로 직조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 및 경질부(RP) 각각은 하나의 직조 방법으로 직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방법(즉, 2개 이상의 방법)으로 직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는 상기 평직으로 직조되고(도 7 참조),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상기 주자직으로 직조될 수 있다(도 8 참조).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직은 날실과 씨실이 한 올씩 상하로 번갈아 교차된 것이다. 상기 평직에서 상기 날실과 상기 씨실이 교차하는 교차점은 격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능직은 날실 및 씨실이 연속해서 2올 이상을 건너 서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날실 및 상기 씨실이 교차되는 교차점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자직은 상기 능직보다 날실과 씨실을 더 많이 부출시켜 교차가 적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씨실이 4개 이상의 상기 날실 위를 지나가고, 하나의 상기 날실 아래로 들어가는 구조이다.
상기 바스켓직은 2올 이상의 날실과 씨실이 그룹지어 한 올처럼 평직을 구성한다.
상기 모사직은 복수 개의 실들을 모아서 날실 및 씨실로 사용하여 상기 평직처럼 형성된다.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이 많을수록 직물이 단단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이 적을수록 직물의 신축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자직, 상기 능직 및 상기 평직의 순서로 신축성 및 탄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직물(FB)은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기능 및/또는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금속 섬유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단조(forging) 작업 또는 프레스(press) 작업을 통해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 표시 장치(DD)의 면 품질(surface quality)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은 동일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은 서로 상이한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중 일부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금속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를 사용하고,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다른 일부는 상기 일부와 다른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 표시 장치(DD)의 면 품질이 개선되고, 경질부(RP)를 관통하는 홀(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는 홀)의 형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에 중합체 수지가 함침되어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 및 경질부(RP) 각각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에 포함된 층들의 개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에 포함된 층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의 연질부(FP)에 포함된 층들의 개수는 제1 지지 부재(300)의 경질부(RP)에 포함된 층들의 개수와 상이할 수도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을 돕기 위해,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격자부(lattice portion)를 갖는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격자부의 굴곡진 형상으로 인해 상기 지지 부재가 폴딩되는 경우,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에 주름(crease)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의 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영역(FA) 및 폴더블 영역(FA)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NFA1, NFA1)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배치되고,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1)과 중첩하고, 연질부(FP)와 상이하게 직조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하는 직물(FB)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300)가 직물(FB)로 형성됨으로써, 표시 장치(DD)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제1 지지 부재 및 제1 지지 부재에 연결된 고정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300)는 직물(F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중첩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지지 부재(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얀(yarn)으로 구성된 씨실들(WF) 및 씨실들(WF)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날실들(WP)을 포함할 수 있다.
날실들(WP) 각각은 제1 지지 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실들(WP) 각각은 제1 지지 부재(300)의 외부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된 날실들(WP) 각각의 일 부분은 제1 지지 부재(3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실들(WP) 각각의 양 끝단에 고정 구조물(400)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 구조물(400)이 날실들(WP) 각각의 양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구조물(400)은 날실들(WP)을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장치(DD))의 주름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구조물(400)은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구조물(400)은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301)는 직물(F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300)의 직물(FB)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중첩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지지 부재(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제1 지지 부재(301)의 직물(FB)은 얀(yarn)으로 구성된 씨실들(WF) 및 씨실들(WF)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날실들(WP)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301)의 직물(FB)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FB)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중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씨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을 둘러싸고,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FB)은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씨실들(WF`) 및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씨실들(WF`) 각각을 둘러싸고,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코팅층(CL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FB)은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날실들(WP`) 및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날실들(WP`) 각각을 둘러싸고,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코팅층(C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코팅층(CL1)으로 둘러싸인 씨실들(WF`) 및 제2 코팅층(CL2)으로 둘러싸인 날실들(WP`)은 디지타이저 또는 압력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팅층(CL1) 및 제2 코팅층(CL2) 각각의 상기 중합체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302)는 직물(F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302)의 직물(FB)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중첩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지지 부재(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제1 지지 부재(302)의 직물(FB)은 얀(yarn)으로 구성된 씨실들(WF) 및 씨실들(WF)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날실들(WP)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FP)의 씨실들(WF) 및/또는 날실들(WP) 중 적어도 하나는 경질부(RP)의 씨실들(WF) 및/또는 날실들(WP)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질부(RP)에서 직물(FB)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질부(FP)에서 직물(FB)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D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대각선 방향(DD1)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D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부(FP)에서 직물(FB)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질부(RP)에서 직물(FB)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D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대각선 방향(DD1)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D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303)는 직물(F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302)의 직물(FB)은 폴더블 영역(FA)과 중첩하는 연질부(FP)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중첩하는 경질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지지 부재(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제1 지지 부재(303)의 직물(FB)은 얀(yarn)으로 구성된 씨실들(WF) 및 씨실들(WF)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날실들(WP)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F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은 경질부(RP)의 씨실들(WF) 및 날실들(WP) 각각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부(FP) 및 경질부(RP) 각각의 씨실들(WF) 각각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DD1)으로 연장되고, 날실들(WP) 각각은 제1 대각선 방향(DD1)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D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FA: 폴더블 영역 NFA1, NFA2: 비폴딩 영역
300, 301, 302, 303: 제1 지지 부재
320: 제2 지지 부재 FP: 연질부
RP: 경질부 FB: 직물
WF: 씨실 WP: 날실
400: 고정 구조물

Claims (20)

  1. 폴더블 영역 및 상기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연질부와 상이하게 직조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fabric)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얀(yarn)으로 구성된 복수의 씨실들(weft yarns) 및 상기 씨실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날실들(warp yar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질부의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질부의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각각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 라인을 갖고, 상기 비폴딩 영역은 상기 폴더블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씨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을 둘러싸고,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들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날실들 각각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고정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금속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주자직(satin weave), 바스켓직(basket weave) 및 모사직(mock leno weave) 중 적어도 하나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주자직으로 직조되고, 상기 경질부는 평직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지지층 및 제2 지지층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폴더블 영역 및 상기 폴더블 영역에 인접하는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폴더블 영역과 중첩하는 연질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경질부를 포함하는 직물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얀(yarn)으로 구성된 복수의 씨실들 및 상기 씨실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날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질부의 상기 씨실들 및 상기 날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각각은 평직, 능직, 주자직, 바스켓직 및 모사직 중 적어도 하나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금속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19862A 2022-09-22 2022-09-22 표시 장치 KR20240041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62A KR20240041387A (ko) 2022-09-22 2022-09-22 표시 장치
US18/340,661 US20240103583A1 (en) 2022-09-22 2023-06-23 Display device
CN202311228751.4A CN117742026A (zh) 2022-09-22 2023-09-2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62A KR20240041387A (ko) 2022-09-22 2022-09-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387A true KR20240041387A (ko) 2024-04-01

Family

ID=9025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862A KR20240041387A (ko) 2022-09-22 2022-09-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3583A1 (ko)
KR (1) KR20240041387A (ko)
CN (1) CN11774202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3583A1 (en) 2024-03-28
CN117742026A (zh)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5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36883B1 (ko) 표시 장치
KR102654691B1 (ko) 표시 장치
KR20200075208A (ko) 표시 장치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US11626567B2 (en) Display device
CN111816680A (zh) 显示设备
KR20220048500A (ko) 전자 장치
CN112669704A (zh) 显示装置
US20230371218A1 (en) Display device
KR20240041387A (ko) 표시 장치
KR102662389B1 (ko) 표시 장치
US11668983B2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05690A (ko) 표시 장치
CN114495711A (zh) 显示设备
EP4145247A2 (en) Display device
KR20240048607A (ko) 표시 장치
KR20240032239A (ko) 표시 장치
KR20240040136A (ko) 표시 장치
KR20230088600A (ko) 전자 장치
KR20230036599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240059038A (ko) 표시 장치
KR20230148888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KR20240027924A (ko) 표시 장치
KR20220080862A (ko)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