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561A - 휴대용 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난방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0561A KR20240040561A KR1020220119667A KR20220119667A KR20240040561A KR 20240040561 A KR20240040561 A KR 20240040561A KR 1020220119667 A KR1020220119667 A KR 1020220119667A KR 20220119667 A KR20220119667 A KR 20220119667A KR 20240040561 A KR20240040561 A KR 20240040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module
- water
- quick connector
- exhaust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54 risk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9—Continuous flow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과, 연료의 연소에 의해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과,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과,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과,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과,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순환커넥터 또는 온수매트모듈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과, 연료의 연소에 의해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과,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과,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과,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과,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순환커넥터 또는 온수매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라 함은 장기간의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육로로 이웃나라를 여행할 수 있는 유럽 등지에서 활성화되었으나, 최근 국내에서도 주 5일 근무와 맞물려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레저형 차량 즉 캠핑카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캠핑카는 버스나 차내를 가옥과 같이 개조하여 차량을 겸할 수 있는 타입과, 트레일러와 같이 자동차에 의해 견인되는 웨건 타입으로 구분되며, 그 내부에는 여행 중 숙박 및 취사가 가능하도록 침실을 비롯하여 화장실, 주방 등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캠핑카에는 그 부대시설로서 샤워 등에 필요한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기와, 실내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시설, 취사를 위한 조리기구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대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에너지원으로 전기와 LPG를 필요로 한다.
동절기에 캠핑카 내에서 취침을 하는 경우, 난방을 위해 차량의 엔진을 켜두게 되면, 연료소모가 매우 많아 비용 부담이 크며, 엔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에 의한 공기 오염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 캠핑카 또는 장기간 운전을 해야 하는 상용차에서 무시동히터 또는 휴대용 난방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무시동히터란 시동을 켜지 않은 채 실내외 공기를 직접 가열해 차량 내부로 그 열을 전달하는 난방장치를 가리키며, 기존의 엔진열을 이용한 난방방식에 비해 연료의 소모량이 1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용부담과 환경 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캠핑카의 경우에는 차량 내에서 샤워를 할 수도 있고, 온수매트를 사용하는 경우 온수매트의 충전수를 가열할 필요도 있는데, 기존에는 온수 생성을 위한 별도의 온수기를 장착해야 하였으므로, 온수기의 가동에 따른 별도의 연료소모와, 보일러의 추가 장착에 따른 장착공간 확보 등의 문제가 있으며, 캠핑카 이외의 일반차량 또는 텐트 사용자의 경우에도 캠핑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휴대용 난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 상기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 및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의 순환 기능을 구현하는 순환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 상기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 및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로 난방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매트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발생모듈은, 상기 연소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배기라인; 및 상기 온수배기라인에 밀착되도록 상기 온수배기라인에 권취되고, 상기 온수순환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배기라인은, 일측이 상기 연소모듈과 결합되는 제1배기라인; 상기 제1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제2배기라인; 타측으로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제3배기라인;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배기라인의 타측과 상기 제2배기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는 제1절곡부; 및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배기라인의 일측과 상기 제3배기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코일은, 상기 제1배기라인과 상기 제2배기라인과 상기 제3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순환모듈은, 가열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수조; 상기 저장수조와 상기 온수발생모듈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냉수유입라인; 상기 온수발생모듈과 상기 온수퀵커넥터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전달라인; 상기 온수전달라인에서 이격되어 상기 온수퀵커넥터와 상기 저장수조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리턴라인; 및 상기 온수리턴라인에 구비되고,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순환모듈은, 상기 온수리턴라인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경로를 선택하되, 상기 온수리턴라인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배출입구와, 상기 배출입구에서 분기되어 선택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제1출구와 제2출구가 구비된 삼방밸브; 상기 제1출구와 상기 저장수조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회수라인; 및 상기 제2출구와 상기 온수회수라인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쿨링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공기유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물을 냉각시키는 쿨러; 상기 제2출구와 상기 쿨러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쿨링유입라인; 및 상기 쿨러와 상기 온수회수라인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쿨링배출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상기 온수순환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온수순환모듈에서 물의 순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센서; 상기 공기배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내장공간에 구비되고, 실내온도의 조절을 위해 상기 공기배출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센서; 상기 공기유입부에 인접하여 상기 내장공간에 구비되고, 위험 알림을 위해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센서; 및 전원의 충전을 위해 상기 온수발생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와 상기 물의 온도차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따르면,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통해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온수퀴커넥터를 통해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물이 하우징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모듈을 통해 무시동 상태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연소 반응을 안정되게 하여 공기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을 간편하게 하고, 공기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모듈을 통해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연소모듈을 통과하여 공기배출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발생모듈을 통해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간편하게 가열함은 물론 공급되는 물로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발생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한편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배기라인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고, 배기가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순환모듈을 통해 온수발생모듈에 냉각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배기가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순환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순환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순환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순환 과정에서 온수발생모듈에 의해 가열된 물이 간편하게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쿨링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삼방밸브의 동작에 따라 내장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물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온도센서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냉각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커넥터를 통해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리턴시키고, 온수순환모듈에서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매트모듈을 통해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로 난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온도센서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실내온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센서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실내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모듈들이 내장된 구조를 나타내므로,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실내공간에서 휴대용 난방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서 온수발생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서 제어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서 온수발생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서 제어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하우징(10)과,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과, 순환커넥터(6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장공간(111)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낸다.
하우징(10)은 내장공간(111)이 형성된 히터본체(11)와, 히터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12)와, 히터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고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13)와, 히터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고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6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히터본체(11)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내장공간(111)에 구비된 모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소모듈(20)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연소모듈(20)은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발화되는 연소기(21)와, 연소기(21)에 공급되는 연료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료라인(22)과, 연료라인(22)에 구비되고 연료를 연소기(21)로 펌핑하는 연료펌프(23)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연료라인(22)에 연결되고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공급원(24)과, 연소기(21)와 온수발생모듈(40)을 연결하되 연소기(2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소전달라인(27)과, 연소전달라인(27)에서 이격되어 온수발생모듈(40)에 연결되되 온수발생모듈(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소배기라인(28)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모듈(20)은 연료라인(22)에서 이격되어 연소기(21)에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소흡기라인(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소모듈(20)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연소흡기라인(26)과 연결되는 연소흡기커넥터(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소흡기커넥터(261)는 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연소기(21)에는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는 연료믹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연료펌프(23)는 연료펌핑신호에 따라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연료공급원(24)은 차량의 연료탱크로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연소모듈(20)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연료라인(22)과 연료공급유로(25)를 연결하는 연료커넥터(221)와, 연소배기라인(28)에서 전달되는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소배출유로(29)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연소배기라인(28)과 연소배출유로(29)를 연결하는 연소배기커넥터(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커넥터(221)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배기가스가 온수발생모듈(40)을 통과함에 따라 연소배출유로(29)는 이용자가 접촉하더라 화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소배기커넥터(281)는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송풍모듈(30)은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배출부(13)로 이동시킨다. 송풍모듈(3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온수발생모듈(40)은 연소모듈(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한다. 온수발생모듈(40)은 연소모듈(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킨다.
온수발생모듈(40)은 연소모듈(20)의 연소전달라인(27)에 결합되고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배기라인(42)과, 온수배기라인(42)에 밀착되도록 온수배기라인(42)에 권취되고 온수순환모듈(6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되는 열교환코일(43)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발생모듈(40)은 온수배기라인(42)과 열교환코일(43)이 내장되도록 모듈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는 모듈본체(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본체(41)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모듈본체(41)의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본체(41)의 내부로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배기라인(42)은 일측이 연소모듈(20)의 연소전달라인(27)과 결합되는 제1배기라인(421)과, 제1배기라인(421)에 밀착 지지되는 제2배기라인(422)과, 타측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제2배기라인(422)에 밀착 지지되는 제3배기라인(423)과,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제1배기라인(421)의 타측과 제2배기라인(422)의 타측을 연결시키는 제1절곡부(424)와,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제2배기라인(422)의 일측과 제3배기라인(423)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제2절곡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배기라인(421)과 제2배기라인(422)과 제3배기라인(423)의 밀착 구조를 통해 상호 열교환 작용으로 배기가스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제1절곡부(424)와 제2절곡부(425) 그리고 배기가스의 온도 하강 구조를 통해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완충 효과와 더불어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열교환코일(43)은 제1배기라인(421)과 제2배기라인(422)과 제3배기라인(423)에 밀착 지지된다. 열교환코일(43)의 입구는 온수순환모듈(60)의 냉수유입라인(611)과 결합되고, 열교환코일(43)의 출구는 온수순환모듈(60)의 온수전달라인(612)과 결합된다.
온수순환모듈(60)은 온수발생모듈(40)에서 가열된 물을 온수퀵커넥터(62)에 전달한다. 또한, 온수순환모듈(60)은 온수퀵커넥터(62)로 유입되는 물을 온수발생모듈(40)에 전달한다.
온수순환모듈(60)은 가열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수조(61)와, 저장수조(61)와 온수발생모듈(40)의 열교환코일(43)의 입구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냉수유입라인(611)과, 온수발생모듈(40)의 열교환코일(43)의 출구와 온수퀵커넥터(62)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전달라인(612)과, 온수전달라인(612)에서 이격되어 온수퀵커넥터(62)와 저장수조(61)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리턴라인(63)과, 온수리턴라인(63)에 구비되고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수전달라인(612)에서 배출되는 물은 순환커넥터(63a)를 거쳐 온수리턴라인(63)에 전달된다.
온수순환모듈(60)은 삼방밸브(694)와, 온수회수라인(65)과, 쿨링모듈(69)을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694)는 온수리턴라인(63)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경로를 선택한다. 삼방밸브(694)에는 온수리턴라인(63)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배출입구와, 배출입구에서 분기되어 선택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제1출구와 제2출구가 구비된다. 삼방밸브(694)는 배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배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출구와 제2출구 중 어느 하나를 배출입구와 연통시킬 수 있다. 온수회수라인(65)은 제1출구와 저장수조(61)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쿨링모듈(69)은 제2출구와 온수회수라인(65)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쿨링모듈(69)은 내장공간(111)에서 공기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저장수조(61)로 유입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쿨링모듈(69)은 내장공간(111)에서 공기유입부(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공기유입부(12)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물을 냉각시키는 쿨러(691)와, 제2출구와 쿨러(691)의 입구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쿨링유입라인(692)과, 쿨러(691)와 온수회수라인(65)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쿨링배출라인(693)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순환모듈(60)은 저장수조(61)에 결합되고 저장수조(61)에 공급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냉수공급라인(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수순환모듈(60)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냉수공급라인(66)과 연결되는 냉수커넥터(6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커넥터(661)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온수순환모듈(60)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냉수커넥터(661)에 연결되고 물이 저장되는 냉수공급원(67)과, 냉수공급원(67)과 냉수커넥터(661)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냉수공급유로(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물을 저장수조(61)에 공급할 수 있다.
순환커넥터(63a)는 온수퀵커넥터(62)에서 배출되는 물이 온수퀵커넥터(62)에 다시 공급되도록 온수퀵커넥터(6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순환커넥터(63a)는 온수퀵커넥터(62)에서 배출되는 물의 순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순환커넥터(63a)는 온수전달라인(612)에서 배출되는 물을 온수리턴라인(63)으로 전달한다.
순환커넥터(63a)는 온수퀵커넥터(62)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순환바디(632)와와, 순환바디(632)에 내장되고 온수퀵커넥터(62)와 순환바디(632)의 결합에 따라 온수전달라인(612)의 연결 부위와 온수리턴라인(63)의 연결 부위를 연결시키는 전달유로(6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은 내장공간(111)에 구비되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온수온도센서(631)와, 배기온도센서(70)와, 일산화탄소센서(80)와, 열전소자모듈(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온도센서(631)는 온수순환모듈(60)에서 온수리턴라인(63)에 구비된다. 온수온도센서(631)는 온수순환모듈(60)에서 물의 순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수온도센서(631)는 후술하는 온수제어부(96)의 제어 동작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배기온도센서(70)는 공기배출부(13)에 인접하여 내장공간(111)에 구비된다. 배기온도센서(70)는 실내온도의 조절을 위해 공기배출부(13)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배기온도센서(70)는 후술하는 세팅제어부(95)의 제어 동작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일산화탄소센서(80)는 공기유입부(12)에 인접하여 내장공간(111)에 구비된다. 일산화탄소센서(80)는 위험 알림을 위해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일산화탄소를 감지한다. 일산화탄소센서(80)는 후술하는 위험제어부(99)의 제어 동작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열전소자모듈(50)은 전원의 충전을 위해 온수발생모듈(40)에 결합된다. 열전소자모듈(50)은 배기가스의 온도와 물의 온도차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킨다. 열전소자모듈(50)은 후술하는 충전제어부(98)의 동작에 따라 충전배터리(94)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90)은 모듈들의 동작을 위한 전기적 접속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91)와,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실내온도세팅부(92)와, 모듈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배터리(94)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에 대응하여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팅제어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세팅제어부(95)는 실내공간의 온도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 범위의 최소값보다 낮은 경우, 연소모듈(20)에서 연소량을 증가시켜 공기배출부(1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세팅제어부(95)는 실내공간의 온도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연소모듈(20)의 연소량 또는 송풍모듈(30)의 송풍량을 세팅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세팅제어부(95)는 실내공간의 온도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 범위의 최대값보다 높은 경우, 연소모듈(20)에서 연소량을 감소시켜 공기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어모듈(90)은 실내공간에서의 송풍량을 설정하는 송풍세팅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대, 세팅제어부(95)는 실내공간의 설정온도에 대응하여 송풍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공간에서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모듈(90)은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에 따라 순환펌프(64)의 동작을 제어하여 온수발생모듈(4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수제어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온수제어부(96)는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리턴수온의 최소값보다 낮은 경우, 순환펌프(64)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교환코일(43)에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열교환코일(43)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수제어부(96)는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리턴수온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순환펌프(64)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교환코일(43)에서 물의 유속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수제어부(96)는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리턴수온 범위의 최대값보다 높은 경우, 순환펌프(64)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교환코일(43)에서 물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교환코일(43)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90)은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에 따라 삼방밸브(694)의 동작을 제어하여 쿨링모듈(69)로의 물의 순환 여부를 결정하는 쿨링제어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쿨링제어부(97)는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쿨링수온보다 낮은 경우, 삼방밸브(694)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제1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구를 폐쇄하여 온수리턴라인(63)을 통과하는 물이 온수회수라인(65)을 거쳐 저장수조(61)에 저장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쿨링제어부(97)는 온수온도센서(631)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쿨링수온 이상인 경우, 삼방밸브(694)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제1출구를 폐쇄하고 제2출구를 개방하여 온수리턴라인(63)을 통과하는 물이 쿨링모듈(69)과 온수회수라인(65)을 거쳐 저장수조(61)에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모듈(90)은 충전배터리(94)의 전원을 모니터링하고, 외부전원 또는 열전소자모듈(50)에서 발생되는 전원으로 충전배터리(94)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제어부(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송풍모듈(30)의 동작에 따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는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되었다가 연소모듈(20)을 거쳐 공기배출부(13)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소모듈(20)이 동작되므로, 연소모듈(20)에 의해 내장공간(111)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모듈(20)에서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소전달라인(27)을 거쳐 온수발생모듈(40)에 전달된다. 이때, 순환펌프(64)의 동작에 따라 열교환코일(43)에는 저장수조(61)에 저장된 물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코일(43)에서 물이 통과하면서 온수배기라인(42)을 냉각시키므로, 배기가스는 제1배기라인(421)과 제2배기라인(422)과 제3배기라인(423)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특히, 열교환코일(43)을 통과하는 물에 의해 온수배기라인(42)에서 제1배기라인(421)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1차로 냉각되면서 배기가스의 배출속도가 저하되고, 제2배기라인(422)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2차로 냉각되면서 배기가스의 배출속도가 저하되며, 제3배기라인(42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3차로 냉각되면서 배기가스의 배출속도가 저하되므로, 온수배기라인(42)에서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수배기라인(4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냉각된 상태에서 연소배기라인(28)과 연소배기커넥터(281)와 연소배출유로(29)를 차례로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냉수유입라인(611)을 통해 열교환코일(43)을 통과한 물은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은 온수전달라인(612)과 온수퀵커넥터(62)를 거친 다음, 순환커넥터(63a)의 전달유로(633)와 온수커넥터를 거쳐 온수리턴라인(63)으로 전달되면서 냉각된다. 여기서, 순환바디(632)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전달유로(633)를 통과하는 물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순환커넥터(63a)에서 이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온수온도센서(631)가 감지하는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쿨링수온 범위보다 낮은 경우, 쿨링제어부(97)는 삼방밸브(694)에서 배출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제1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구를 폐쇄하므로, 온수리턴라인(63)에 전달된 물은 순환펌프(64)의 펌핑력으로 온수회수라인(65)을 거쳐 저장수조(61)에 저장된다.
그리고 온수온도센서(631)가 감지하는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쿨링수온 이상인 경우, 쿨링제어부(97)는 삼방밸브(694)에서 배출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제1출구를 폐쇄하고 제2출구를 개방하므로, 온수리턴라인(63)에 전달된 물은 순환펌프(64)의 펌핑력으로 쿨링유입라인(692)과 쿨러(691)와 쿨링배출라인(693)을 거쳐 냉각된 다음, 온수회수라인(65)을 거쳐 저장수조(61)에 저장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은 하우징(10)과,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과, 온수매트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포함된 하우징(10)과,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포함된 하우징(10)과, 연소모듈(20)과, 송풍모듈(30)과, 온수발생모듈(40)과, 온수순환모듈(6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온수매트모듈(200)은 온수퀵커넥터(62)에서 배출되는 물이 온수퀵커넥터(62)에 다시 공급되도록 온수퀵커넥터(6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온수매트모듈(200)은 온수퀵커넥터(62)에서 배출되는 물로 난방 기능을 구현한다.
온수매트모듈(200)은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매트부재(201)와, 매트부재(201)에 내장되어 온수발생모듈(40)에 의해 가열된 물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온수순환유로(202)와, 온수순환유로(202)의 입구에 결합되는 온수유입유로(203)와, 온수순환유로(202)의 출구에 결합되는 온수배출유로(204)와, 온수유입유로(203)와 온수배출유로(204)가 결합된 상태에서 온수퀵커넥터(62)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트퀵커넥터(205)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퀵커넥터(205)가 온수퀵커넥터(62)와 결합됨에 따라 온수전달라인(612)과 온수유입유로(203)가 연결되어 온수발생모듈(40)에 의해 가열된 물이 온수유입유로(203)에 전달된다. 또한, 매트퀵커넥터(205)가 온수퀵커넥터(62)와 결합됨에 따라 온수리턴라인(63)과 온수배출유로(204)가 연결되어 온수순환유로(202)에서 배출되는 물을 온수리턴라인(6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온수배기라인(45)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열교환코일이 온수배기라인(45)의 ㄴ자형 배기라인 및 일자형 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온수배기라인(45)은 ㄴ자형 배기라인(451)과 일자형 배기라인(452)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ㄴ자형 배기라인(451)과 일자형 배기라인(452)은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이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 개의 관통홀(480, 481)이 형성된다.
ㄴ자형 배기라인(451)은 상단에 온수배기 유입구(454)가 형성되며 타단에 제1 연통구(455)가 형성된다. 일자형 배기라인(452)는 온수배기 유입구(454)와 마주보는 단부에 온수배기 배출구(456)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 연통구(457)가 형성된다.
ㄴ자형 배기라인의 관통홀(480)은 제1 연통구(455)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일자형 배기라인의 관통홀(481)은 제2 연통구(457)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일자형 배기라인에 형성된 관통홀(481)의 개수는 ㄴ자형 배기라인에 형성된 관통홀(480)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ㄴ자형 배기라인(451)과 일자형 배기라인(452)의 길이는 1 : 1.5 내지 1 : 2.5일 수 있다. 온수배기라인(45)은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효율로 배기가스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따르면,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을 통해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온수퀴커넥터를 통해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물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소모듈(20)을 통해 무시동 상태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연소 반응을 안정되게 하여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을 간편하게 하고,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송풍모듈(30)을 통해 공기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연소모듈(20)을 통과하여 공기배출부(13)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온수발생모듈(40)을 통해 연소모듈(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간편하게 가열함은 물론 공급되는 물로 배기가스를 간편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발생모듈(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연소모듈(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한편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온수배기라인(42)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배기가스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고, 배기가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순환모듈(60)을 통해 온수발생모듈(40)에 냉각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배기가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순환모듈(6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순환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순환모듈(6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순환 과정에서 온수발생모듈(40)에 의해 가열된 물이 간편하게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쿨링모듈(69)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삼방밸브(694)의 동작에 따라 내장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물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온도센서(631)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물의 냉각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순환커넥터(63a)를 통해 온수발생모듈(40)에서 가열된 물을 리턴시키고, 온수순환모듈(60)에서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온수매트모듈(200)을 통해 온수발생모듈(40)에서 가열된 물로 난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배기온도센서(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실내온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센서(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실내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모듈(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90)의 결합 관계를 통해 휴대용 난방시스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모듈들이 내장된 구조를 나타내므로,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실내공간에서 휴대용 난방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하우징
11: 히터본체
111: 내장공간
12: 공기유입부 13: 공기배출부 20: 연소모듈
21: 연소기 22: 연료라인 221: 연료커넥터
23: 연료펌프 24: 연료공급원 25: 연료공급유로
26: 연소흡기라인 261: 연소흡기커넥터 27: 연소전달라인
28: 연소배기라인 281: 연소배기커넥터 29: 배출유로
30: 송풍모듈 40: 온수발생모듈 41: 모듈본체
42: 온수배기라인 421: 제1배기라인 422: 제2배기라인
423: 제3배기라인 424: 제1절곡부 425: 제2절곡부
43: 열교환코일 50: 열전소자모듈 60: 온수순환모듈
61: 저장수조 611: 냉수유입라인 612: 온수전달라인
62: 온수퀵커넥터 63: 온수리턴라인 631: 온수온도센서
63a: 순환커넥터 632: 순환바디 633: 전달유로
64: 순환펌프 65: 온수회수라인 66: 냉수공급라인
661: 냉수커넥터 67: 냉수공급원 68: 냉수공급유로
69: 쿨링모듈 691: 쿨러 692: 쿨링유입라인
693: 쿨링배출라인 694: 삼방밸브 70: 배기온도센서
80: 일산화탄소센서 90: 제어모듈 91: 스위치
92: 실내온도세팅부 93: 송풍세팅부 94: 충전배터리
95: 세팅제어부 96: 온수제어부 97: 쿨링제어부
98: 충전제어부 99: 위험제어부
200: 온수매트모듈 201: 매트부재 202: 온수순환유로
203: 온수유입유로 204: 온수배출유로 205: 매트퀵커넥터
12: 공기유입부 13: 공기배출부 20: 연소모듈
21: 연소기 22: 연료라인 221: 연료커넥터
23: 연료펌프 24: 연료공급원 25: 연료공급유로
26: 연소흡기라인 261: 연소흡기커넥터 27: 연소전달라인
28: 연소배기라인 281: 연소배기커넥터 29: 배출유로
30: 송풍모듈 40: 온수발생모듈 41: 모듈본체
42: 온수배기라인 421: 제1배기라인 422: 제2배기라인
423: 제3배기라인 424: 제1절곡부 425: 제2절곡부
43: 열교환코일 50: 열전소자모듈 60: 온수순환모듈
61: 저장수조 611: 냉수유입라인 612: 온수전달라인
62: 온수퀵커넥터 63: 온수리턴라인 631: 온수온도센서
63a: 순환커넥터 632: 순환바디 633: 전달유로
64: 순환펌프 65: 온수회수라인 66: 냉수공급라인
661: 냉수커넥터 67: 냉수공급원 68: 냉수공급유로
69: 쿨링모듈 691: 쿨러 692: 쿨링유입라인
693: 쿨링배출라인 694: 삼방밸브 70: 배기온도센서
80: 일산화탄소센서 90: 제어모듈 91: 스위치
92: 실내온도세팅부 93: 송풍세팅부 94: 충전배터리
95: 세팅제어부 96: 온수제어부 97: 쿨링제어부
98: 충전제어부 99: 위험제어부
200: 온수매트모듈 201: 매트부재 202: 온수순환유로
203: 온수유입유로 204: 온수배출유로 205: 매트퀵커넥터
Claims (6)
-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
상기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 및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의 순환 기능을 구현하는 순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 내장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와, 체크밸브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퀵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모듈;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모듈;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물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연소모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온수발생모듈;
상기 온수발생모듈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전달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발생모듈에 전달하는 온수순환모듈; 및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다시 공급되도록 상기 온수퀵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수퀵커넥터에서 배출되는 물로 난방 기능을 구현하는 온수매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발생모듈은,
상기 연소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배기라인; 및
상기 온수배기라인에 밀착되도록 상기 온수배기라인에 권취되고, 상기 온수순환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기라인은,
일측이 상기 연소모듈과 결합되는 제1배기라인;
상기 제1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제2배기라인;
타측으로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제3배기라인;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배기라인의 타측과 상기 제2배기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는 제1절곡부; 및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배기라인의 일측과 상기 제3배기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코일은, 상기 제1배기라인과 상기 제2배기라인과 상기 제3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기라인은,
ㄴ자형 배기라인; 상기 ㄴ자형 배기라인과 결합된 일자형 배기라인; 및 상기 ㄴ자형 배기라인 및 상기 일자형 배기라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코일은, 상기 ㄴ자형 배기라인 및 상기 일자형 배기라인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모듈은,
가열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수조;
상기 저장수조와 상기 온수발생모듈을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냉수유입라인;
상기 온수발생모듈과 상기 온수퀵커넥터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전달라인;
상기 온수전달라인에서 이격되어 상기 온수퀵커넥터와 상기 저장수조를 연결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리턴라인; 및
상기 온수리턴라인에 구비되고,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667A KR20240040561A (ko) | 2022-09-21 | 2022-09-21 | 휴대용 난방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667A KR20240040561A (ko) | 2022-09-21 | 2022-09-21 | 휴대용 난방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0561A true KR20240040561A (ko) | 2024-03-28 |
Family
ID=9048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9667A KR20240040561A (ko) | 2022-09-21 | 2022-09-21 | 휴대용 난방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056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0348B1 (ko) | 2021-06-24 | 2022-02-14 | 문용 | 열전소자 충전 시스템 |
-
2022
- 2022-09-21 KR KR1020220119667A patent/KR202400405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0348B1 (ko) | 2021-06-24 | 2022-02-14 | 문용 | 열전소자 충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67592C (en) | Tank-tankless water heater | |
US6572026B2 (en) | Compact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110232862A1 (en) | Fresh water heating system for mobile applications | |
US20210268871A1 (en) | Control system for hydronic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JP2008275182A (ja) |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副蓄熱タンク | |
CN113465187A (zh) | 燃气热水器及其工作方法 | |
US20060196955A1 (en) | Domestic water pre-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 |
KR20240040561A (ko) | 휴대용 난방시스템 | |
KR100443502B1 (ko) | 복합형 가스 온수기 시스템 | |
US20150114317A1 (en) | Compact serviceable diesel heater method and apparatus | |
JP5667856B2 (ja) | 給湯機 | |
JP2004347196A (ja) | 給湯システム | |
KR101616782B1 (ko) | 실내난방시스템 및 천막난방시스템 | |
JP3836526B2 (ja) | 給湯システム | |
CN221324690U (zh) | 具有零冷水功能的燃气热水器 | |
JP4126818B2 (ja) | 暖房用温水供給装置 | |
CN218269559U (zh) | 一种燃气壁挂炉系统 | |
CN221944493U (zh) | 热交换系统和热水器 | |
US20230288075A1 (en) | Improved control system for hydronic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CN113685886B (zh) | 采暖炉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 |
CN218544818U (zh) | 燃气热水交换系统与即热式电加热系统的组合装置 | |
CN217876429U (zh) | 一种零冷水热水器 | |
JP3661648B2 (ja) | 貯湯式燃焼装置 | |
JPH0960974A (ja) | 給湯装置の熱交換器 | |
KR20210133357A (ko) | 휴대 가능한 온수 매트용 보일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