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116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116A
KR20240040116A KR1020247007434A KR20247007434A KR20240040116A KR 20240040116 A KR20240040116 A KR 20240040116A KR 1020247007434 A KR1020247007434 A KR 1020247007434A KR 20247007434 A KR20247007434 A KR 20247007434A KR 20240040116 A KR20240040116 A KR 2024004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heating
aerosol generating
conductive
generating system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부 이노우에
료지 후지타
스미에 미카미
카즈토시 세리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과제] 가열부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저항 발열부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한 쌍의 판 형상의 도전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전자 담배 및 네블라이저 등의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香味)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을 이용함으로써,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인 장치로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근래,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基材)를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으로서 사용하는 타입의 흡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에 삽입됨으로써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가 개시되어 있다.
중국 실용신안 제209807157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부는, 승온 속도가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기재의 가열에 시간이 걸려, 흡인 장치의 사용자에게 쾌적한 흡인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열부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신규하고 또한 개량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저항 발열부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한 쌍의 판 형상의 도전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다공질 구조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는, 0.3g/㎤ 미만의 카본을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도전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도전부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도전부는 금속 또는 카본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도전부는,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 및 상기 도전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저항 발열부의 외형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리브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 측을 향해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상기 선단 측의 형상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와 상기 도전부는,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어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는, PTC 히터이어도 된다.
상기 저항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서, 가열부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부가 구비하는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카본 다공체의 밀도와 전기 저항값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본 구성예에 따른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기재를 기재 내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성예에 따른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및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흡인 장치(100)에서는,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행해진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는, 협동하여 사용자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파악되어져도 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1)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111)는 와이어리스 전력 전송 기술에 의해 송전 측의 디바이스에 비접속 상태로 충전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되고, 새로운 전원부(111)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된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수반되는 수치를 검출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특히, 센서부(112)는 에어로졸의 생성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버튼을 포함하여도 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가열부(121)의 전기 저항값에 기초하여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수용부(14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일례로서, 통지부(113)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통지부(113)는, 전원부(111)의 상태가 충전 필요인 경우, 전원부(111)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흡인 장치(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에, 각각 상이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발광 패턴이란, 색, 및 점등/소등의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지부(113)는, 발광 장치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음을 출력하는 음 출력 장치, 및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통지부(113)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여도 된다.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통지될 수 있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는, 제어부(116)에 의한 각종 구성요소의 제어 정보 등의 흡인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에 관한 정보이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다른 일례는, 흡인 횟수, 흡인 시각, 또는 흡인 시간 누계 등의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부(115)는, 흡인 장치(100)와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은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하여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OS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새로운 OS의 정보를 수신하여도 된다.
제어부(116)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116)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전원부(111)로부터 다른 각 구성요소로의 급전, 전원부(111)의 충전, 센서부(112)에 의한 정보의 검출, 통지부(113)에 의한 정보의 통지, 기억부(114)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 그리고 통신부(115)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요소에의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는 처리 등,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밖의 처리도,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갖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유지지(保持)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142)를 가지며,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유지지한다. 예를 들어, 수용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底部)(143)를 저면으로 하는 통 형상체이며,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한다. 수용부(140)는, 통 형상체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경이 스틱형 기재(150)의 외경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간(141)으로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외주로부터 압박하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스틱형 기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갖는다. 관련된 유로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관련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스틱형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吸口部)(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됨으로써 무화(霧化)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어,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 시트상 또는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컨대, 민트 또는 허브 등)로부터 생성된, 비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하여도 된다. 흡인 장치(100)가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고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물 등의 액체이어도 된다.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다.
흡구부(152)는, 흡인할 때 사용자에게 물려지는 부재이다.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한 흡구부(152)를 사용자가 물고 흡인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을 통과하여, 즉, 기재부(151)를 통과하여,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사용자의 입안에 도달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상세한 바는 후술하지만, 가열부(121)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용부(140)의 저부(143)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꽂히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가열부(121)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부터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행해진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된 가열부(121)가 발열하고,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흡인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행해진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가열부(121)의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행해진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기간에서,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가열부(12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12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부(121)가 구비하는 가열부 본체(12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21)는 가열부 본체(1250)와, 고정부(1260)를 구비한다. 가열부 본체(1250)는, 고정부(1260)로 보유지지되고, 고정부(1260)를 거쳐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 등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 본체(1250)는 저항 발열부(1210)와, 제1 도전부(1220)와, 제2 도전부(1230)를 포함한다. 가열부 본체(1250)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를 통해 통전되는 저항 발열부(1210)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를 내부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가열부 본체(1250)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 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저항 발열부(1210) 및 제2 도전부(1230)가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저항 발열부(1210)는 저항 가열에 의해 발열하는 판 형상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저항 발열부(1210)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 사이에서 통전됨으로써 발열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이다.
PTC 히터는, 소정의 온도(퀴리 온도라고 칭해짐)에 도달하면 급격하게 전기 저항값이 상승하여,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특성(PTC 특성)을 갖는 저항체를 이용한 히터이다. PTC 히터는, PTC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온도로 통전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퀴리 온도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PTC 히터는, 대상을 퀴리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부(1210)는, PTC 특성을 갖는 티탄산바륨(BaTiO3)을 저항체로 하는 PTC 히터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저항 발열부(1210)는, 티탄산바륨의 퀴리 온도를 350℃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50℃ 미만의 온도로 스틱형 기재(150)를 가열할 수 있다.
PTC 특성을 갖는 티탄산바륨의 퀴리 온도, 또는 전기 저항값 등의 각종 특성은, 예를 들면, 티탄산바륨에 미량 첨가되는 첨가재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티탄산바륨에는, 칼슘(Ca) 혹은 스트론튬(Sr)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 또는 이트륨(Y), 네오디뮴(Nd), 사마륨(Sm), 혹은 디스프로슘(Dy) 등의 희토류 금속 원소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첨가된 이들 원소는, 티탄산바륨의 Ba 사이트 또는 Ti 사이트를 치환함으로써, 티탄산바륨의 소결체의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소결체의 구조가 제어됨으로써, 티탄산바륨은 퀴리 온도, 또는 전기 저항값 등의 각종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장치(100)에서는, 저항 발열부(1210)는,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저항 발열부(1210)는,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동일 체적에 대해서 질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열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저항 발열부(1210)는 보다 적은 발열량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열부(121)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다공질 구조란, 구멍이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예를 들면, 다공질 구조는, 구멍에 의한 용적의 합을 전체 용적으로 나눈 기공률이 10% 이상인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다공질 구조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저항 발열부(1210)는, 예를 들면, 티탄산바륨의 소결체에서의 티탄원 및 바륨원의 혼합 조건, 분산 조건, 및 소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저항 발열부(1210)는, 카본을 첨가하여 티탄산바륨을 소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저항 발열부(1210)가 갖는 다공질 구조의 기공률은, 카본의 첨가량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본을 첨가하지 않고, 다공질 구조가 형성되도록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경우, 다공질 구조의 기공률을 대략 1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티탄산바륨과 카본의 질량비를 90:10으로 제어하고, 다공질 구조가 형성되도록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경우, 다공질 구조의 기공률을 대략 5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티탄산바륨과 카본의 질량비를 75:25~10:90으로 제어하고, 다공질 구조가 형성되도록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경우, 다공질 구조의 기공률을 대략 75%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본의 첨가량을 제어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의 전기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티탄산바륨에 첨가되는 카본의 밀도가 0.3g/㎤ 이상으로 되는 경우, 티탄산바륨의 PTC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카본의 밀도의 상기 임계값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도 4는, 카본 다공체의 밀도와 전기 저항값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다공체는, 카본의 밀도가 0.3g/㎤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급격하게 전기 저항값이 저하된다. 이는, 밀도가 상승함으로써 카본의 네트워크가 보다 형성되기 쉬워지고, 전류가 흐르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티탄산바륨에 첨가한 카본의 밀도가 0.3g/㎤ 이상으로 되는 경우, 카본의 전기 저항값이 티탄산바륨의 전기 저항값보다 낮아짐으로써, 카본에만 전류가 흘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PTC 특성을 갖는 티탄산바륨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가 PTC 히터로서 기능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티탄산바륨에 첨가되는 카본의 밀도는 0.3g/㎤ 미만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티탄산바륨의 밀도는, 카본이 첨가되지 않은 기공률 10% 상태에서는 6g/㎤이다. 따라서, 기공률 50% 상태의 티탄산바륨의 밀도를 3g/㎤로 가정하면, 기공률 50%의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저항 발열부(1210)는, 3g/㎤의 티탄산바륨과 0.3g/㎤ 미만의 카본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기공률 75% 상태의 티탄산바륨의 밀도를 1.5g/㎤로 가정하면, 기공률 75%의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저항 발열부(1210)는 1.5g/㎤의 티탄산 바륨과 0.3g/㎤ 미만의 카본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저항 발열부(1210)의 다공질 구조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도 된다.
일례로서, 저항 발열부(1210)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PTC 히터를 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이어 붙임으로써,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선단 측에 기공률이 보다 높은 영역을 마련하고, 후단 측에 기공률이 보다 낮은 영역을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저항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선단 측 영역의 열용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선단 측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임으로써,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항 발열부(1210)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PTC 히터를 짧은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어 붙임으로써,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저항 발열부(1210)는, 저항 발열부(1210)의 중앙부에 기공률이 보다 높은 영역을 마련하고, 양단부에 기공률이 보다 낮은 영역을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저항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중앙에 가까운 영역의 열용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부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임으로써,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저항 발열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延在)되는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저항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의 긴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긴 형상의 짧은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는, 긴 형상의 긴 방향(즉, 상하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이에 의하면, 저항 발열부(1210)는, 단면이 동일 면적인 원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단면 형상의 둘레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발열부(1210)는, 가열부(121)와, 가열부(121)가 삽입되는 스틱형 기재(150)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부(1210)의 평판 형상의 두께는, 긴 형상의 짧은 방향(즉, 좌우 방향)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의 저항 발열부(1210)는, 선단 측을 향해(즉, 상 방향을 향해)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선단 측을 향해 이루어진 각의 형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즉, 상 방향 측)에 정점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해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저항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즉, 상 방향 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가열부(12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저항 발열부(1210)를 협지하는 한 쌍의 전극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평판 형상의 저항 발열부(1210)의 전후 방향의 대향하는 양 주면(主面)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단락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저항 발열부(1210)와 첩합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에 통전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의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소위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일례로서, 열팽창률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인바(invar)(등록상표) 등의 열팽창률이 낮은 니켈(Ni) 함유 철 합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저항 발열부(1210)가 발열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저항 발열부(1210)와의 사이의 접착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다른 예로서, 도전성을 갖는 카본 시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카본 시트로 구성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고온에서의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저항 발열부(1210)가 발열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저항 발열부(1210)와의 사이의 접착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본 시트는 경량이기 때문에,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가열부(121)를 보다 경량화함으로써, 가열부(121)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100)의 휴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금속 및 카본 시트의 적층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인바(등록상표)와 카본 시트의 적층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카본 시트가 저항 발열부(1210)와 대향하도록 적층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와의 열팽창률의 차에 의한 박리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저항 발열부(121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으로 저항 발열부(1210)를 덮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저항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을 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더욱 늘린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저항 발열부(1210)와 마찬가지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 측(즉, 상 방향 측)에 정점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해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의 선단 측과 반대인 후단 측(즉, 하 방향 측)은, 저항 발열부(1210)의 후단 측의 단부보다 하 방향으로 더욱 연재되어 마련되어도 된다.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의 하 방향으로 연재된 영역은, 예를 들어, 고정부(1260)에 삽입됨으로써, 가열부 본체(1250)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한다.
고정부(1260)는 가열부 본체(1250)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1260)는 슬릿 형상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의 삽입부(1261)를 갖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삽입부(1261)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 각각이 삽입되는 2개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여도 되고,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가 함께 삽입되는 하나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여도 된다. 고정부(1260)는, 삽입부(1261)에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가 삽입됨으로써, 가열부 본체(1250)를 보유지지함과 함께, 가열부 본체(1250)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260)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사출 성형 등으로 소망하는 형상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부재의 구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2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PEEK(Poly Ether Ether Ketone)로 구성되어도 된다. PEEK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매우 높은 내열성을 가짐과 함께, 치수 안정성이 높은 수지이다. 따라서, 고정부(1260)가 PEEK로 구성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가 발하는 열에 의한 고정부(1260)의 치수 변화가 보다 경감된다.
또한, 고정부(1260)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의 저항 발열부(1210)의 후단 측의 단부보다 하 방향으로 연재된 영역에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를 보유지지하여도 된다. 고정부(1260)는, 저항 발열부(1210)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가열부 본체(1250)를 보유지지함으로써, 저항 발열부(1210)로부터의 발열이 전파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부(1260)는, 내열성뿐만 아니라 가공성 및 비용을 고려하여 구성 재료를 보다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260)는, 금속 등보다 융점 또는 유리 전위점이 낮은 수지를 구성 재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1260)는, 저항 발열부(1210)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저항 발열부(1210)에서 발하여진 열이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으로 전파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열부(121)는, 저항 발열부(1210)의 적어도 일부를 다공질 구조로 함으로써, 열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발열량으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장치(100)는 가열부(121)의 승온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3. 변형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의 제1 내지 제3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교환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제1 도전부(1220)에 대한 설명은, 제2 도전부(1230)에 대한 설명에서 같은 조건의 다른 어구를 대체하여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1 변형예)
도 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도,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A)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 측인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저항 발열부(1210) 및 제2 도전부(1230)가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A)에서는, 제1 도전부(1220) 또는 제2 도전부(12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리브부(1240)가 더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부(1240)는, 제1 도전부(1220)의 긴 형상의 짧은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를 저항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가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리브부(1240)는, 제1 도전부(1220)의 늘려진 좌우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를 각각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리브부(1240)가 마련됨으로써, 제1 도전부(1220)는, 리브부(1240)를 절곡한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A)는, 제1 도전부(122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 본체(1250A)가 해당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A)에 의하면, 가열부(121)는, 전후 방향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된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도 6은, 제2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서도,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B)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인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저항 발열부(1210) 및 제2 도전부(1230)가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B)에서는, 제1 도전부(1220)에 제1 리브부(1241)가 마련되고, 제2 도전부(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는, 제1 도전부(1220)의 긴 형상의 짧은 방향(즉, 좌우 방향)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를 저항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 도전부(1230)의 긴 형상의 짧은 방향(즉, 좌우 방향)의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를 저항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가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는, 제1 도전부(1220)의 늘려진 우변의 가장자리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 도전부(1230)의 늘려진 좌변의 가장자리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마련됨으로써,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는,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절곡한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B)는,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121)가 해당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는 한 쌍의 전극판의 양쪽(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에 각각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2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B)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A)와 마찬가지로,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된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도 7은, 제3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서도,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C)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 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인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도전부(1220), 저항 발열부(1210) 및 제2 도전부(1230)가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따른 가열부 본체(1250C)에서는, 리브부(1240)에 더하여, 저항 발열부(1210)의 선단 측을 향해(즉, 상 방향을 향해)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을 따라 선단 리브부(1243)가 더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리브부(1243)는, 제1 도전부(1220)의 상 방향 측(즉, 저항 발열부(1210)의 선단 측)의 각 변의 가장자리부를 저항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부(1220)가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선단 리브부(1243)는, 제1 도전부(1220)의 상 방향 측의 2변의 가장자리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도전부(1220)는 오각형 형상의 하 방향의 변을 제외한 4변에 리브부(1240) 또는 선단 리브부(1243)가 형성되게 된다.
선단 리브부(1243)가 마련됨으로써, 제1 도전부(1220)는, 저항 발열부(1210)의 선단 측(즉, 상 방향 측)에 형성된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을 선단 리브부(1243)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C)는, 가열부(121)가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된 때에, 저항 발열부(1210),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 사이에 힘이 작용함으로써, 제1 도전부(1220) 및 제2 도전부(1230)가 저항 발열부(12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 본체(1250C)는, 스틱형 기재(150)로의 삽입에 대한 가열부(121)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저항 발열부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한 쌍의 판 형상의 도전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다공질 구조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상기 저항 발열부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저항 발열부는 0.3g/㎤ 미만의 카본을 더 포함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도전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도전부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고정부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고정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인,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도전부는 금속 또는 카본으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도전부는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구성되는, 상기 (8)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저항 발열부는 평판 형상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상기 (10)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저항 발열부 및 상기 도전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저항 발열부의 외형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리브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저항 발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 측을 향해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상기 선단 측의 형상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저항 발열부와 상기 도전부는,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저항 발열부는 PTC 히터인,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저항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21: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210: 저항 발열부
1220: 제1 도전부
1230: 제2 도전부
1240: 리브부
1241: 제1 리브부
1242: 제2 리브부
1243: 선단 리브부
1250: 가열부 본체
1260: 고정부
1261: 삽입부

Claims (18)

  1. 적어도 일부에 다공질 구조를 갖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저항 발열부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한 쌍의 판 형상의 도전부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구조는 기공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는 0.3g/㎤ 미만의 카본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도전부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금속 또는 카본으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는 평판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 및 상기 도전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저항 발열부의 외형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 측을 향해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저항 발열부의 상기 선단 측의 형상을 따라, 상기 도전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절곡한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와 상기 도전부는,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는 PTC 히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47007434A 2021-12-08 2021-12-0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40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5026 WO2023105654A1 (ja) 2021-12-08 2021-12-08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116A true KR20240040116A (ko) 2024-03-27

Family

ID=8672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434A KR20240040116A (ko) 2021-12-08 2021-12-0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116A (ko)
WO (1) WO20231056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350A (ja) * 1984-07-19 1986-02-13 松下電工株式会社 発熱体の製法
JPH07118370B2 (ja) * 1987-04-22 1995-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面発熱体の製造方法
JP3092210B2 (ja) * 1991-06-25 2000-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抵抗温度係数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8172B2 (ja) * 2011-05-10 2015-07-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ス加熱装置及びガス分解装置
JP6903221B2 (ja) * 2018-03-26 2021-07-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209807157U (zh) 2019-04-12 2019-12-2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Ptc发热体及低温烟具
CN212814273U (zh) * 2020-04-26 2021-03-30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发热组件、雾化器和电子雾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5654A1 (ja)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140B2 (en) Aerosol-generating system for delivering nicotine salt particles
EP2740508B1 (en) Low temperature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EP3136891B1 (en) A container having a heate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US20210186104A1 (en) Heater assembly having heater element isolated from liquid supply
KR102513150B1 (ko) 고정 레그를 갖는 히터 조립체
KR2024004011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31056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N218605060U (zh) 加热模组及气雾生成装置
WO20232759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2024000503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3275950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6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3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N117396092A (zh) 气溶胶生成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