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870A -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9870A KR20240039870A KR1020220118742A KR20220118742A KR20240039870A KR 20240039870 A KR20240039870 A KR 20240039870A KR 1020220118742 A KR1020220118742 A KR 1020220118742A KR 20220118742 A KR20220118742 A KR 20220118742A KR 20240039870 A KR20240039870 A KR 202400398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insert
- lens
- manufacturing
- ma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29C33/302—Assembling a large number of mould elements to constitute one c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는, 제1 금형부와, 상기 제1 금형부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에 형성되는 옵틱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만나는 영역에는 상기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메인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에 인서트되는 인서트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금형은,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주행 방향의 도로나 사물을 잘 인지하고,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조명장치가 구비된다.
헤드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차량의 전방에 있는 도로와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아우터렌즈(Outer Lens)에는,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배광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옵틱이 형성된다.
그런데 아우터렌즈를 사출 성형 시에, 옵틱이 형성될 부분에 수지 미충전으로 에어포켓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포켓에 갇힌 공기나 가스가 폭발하여 플로마크 등 렌즈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출 조건, 사출 속도를 제어하거나, 옵틱의 높이, 크기 등 형상을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 따르면 렌즈 결함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거나, 옵틱 형상 변경으로 옵틱의 디자인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렌즈 사출 성형 시에, 옵틱을 변형하지 않고도 플로마크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로마크 등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렌즈 품질을 향상시키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옵틱의 형상 변형없이 옵틱의 결함을 최소하여 옵틱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는, 제1 금형부와, 상기 제1 금형부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렌즈에 형성되는 옵틱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만나는 영역에는 상기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메인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에 인서트되는 인서트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금형은,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은 모두 상기 인서트금형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금형에는,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인서트금형과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마주보는 영역 사이의 공간에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을 수지 주입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인서트금형은, 상기 제2 금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 중, 상기 수지 주입 방향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는 상기 요철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골과,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금형은,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골과,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금형과 상기 인서트금형이 서로 만나는 파팅라인은, 상기 메인금형 골과 상기 인서트금형 골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금형을 상기 메인금형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인서트금형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금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금형의 다공에 유입된 가스를 상기 인서트금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다공에 충진된 가스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흡입부재와, 상기 메인금형에 관통되고, 상기 인서트금형과 상기 흡입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마크 등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렌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옵틱의 형상 변형없이 옵틱의 결함을 최소할 수 있으므로, 옵틱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서트금형이 적용되지 않은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실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서트금형이 적용되지 않은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실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서트금형에 고정부재와 흡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서트금형이 적용되지 않은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실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1)는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형부(10)는 가동 금형인 상부금형이고, 제2 금형부는 고정 금형인 하부금형일 수 있다. 다만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는 상기한 바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금형부(10)는 하부 금형, 제2 금형부는 상부 금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가 만나는 영역에는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는 일면에 돌출되는 복수의 옵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는 아우터렌즈(Outer Lens)일 수 있고, 옵틱은 아우터렌즈의 배광법규를 만족시키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에 의해 내부 공간인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수지(R)가 주입된 후 경화되어 렌즈가 제조될 수 있다.
제2 금형부는 제1 금형부(10)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렌즈에 형성되는 옵틱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요철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금형부는, 메인금형(20)과, 메인금형(20)에 인서트되는 인서트금형(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서트금형(30)은,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금형부는 렌즈의 옵틱을 형성하기 위해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Ⅱ)과, 요철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Ⅰ)을 포함한다.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은 제1 금형부(10)와 함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고, 인서트금형(30)에는 요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금형(30)은, 제2 금형부에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Ⅱ) 전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도 1 참조), 제2 금형부에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Ⅱ)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2 참조).
인서트금형(30)은 메인금형(20)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금형(30)은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금형(30)은 금속 분말을 소결시키고 분말 사이의 틈새가 공기 유동 통로가 되도록 형성된 다공성 소재일 수 있다. 인서트금형(30)은 렌즈 성형 시에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금속 분말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인서트금형(30)의 재질은 다공성 소재라면 금속 분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에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인서트금형(30)이 구비함으로써, 렌즈의 옵틱의 플로마크(Flow Mark) 등의 결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비교예를 참조하면, 하부금형(4)에 다공성 소재의 인서트금형이 없는 경우, 수지(R)가 주입되었을 때 하부 금형(4)의 요철부의 골(6) 부분에 수지(R)가 충진되지 않아 에어포켓(A')이 발생할 수 있다. 에어포켓(A')에 공기 또는 가스가 갇히고, 렌즈 성형 과정에서 공기 또는 가스가 압축되면 폭발되어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렌즈 특히 옵틱 부분의 외관이 불량할 수 있다. 도 6의 미설명 부호인 3은 상부금형이고, 도면부호 5는 요철부의 산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에어포켓(A)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다공성소재로 이루어진 인서트금형(30)을 사용함으로써, 수지(R) 미충진으로 에어포켓(A)이 발생하더라고 에어포켓(A) 내부의 공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포켓(A)에 압축된 공기 또는 가스의 폭발에 의해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마크 등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렌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옵틱의 형상 변형없이 결함을 최소할 수 있으므로, 옵틱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제2 금형부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2 금형부는 렌즈의 옵틱을 형성하기 위해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Ⅱ)과, 요철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Ⅰ)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복수의 요철 영역은 모두 인서트금형(3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금형(30)은,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골(31)과,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산(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금형(30)의 요철 영역은 인서트금형 골(31)과 인서트금형 산(3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D1 방향은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의 사이에 수지(R)가 주입되는 방향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형부의 요철 영역은 인서트금형 산(32)과 인서트금형 골(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이 서로 만나는 파팅라인(PL1)은, 인서트금형 골(31)이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가 마주보는 영역 사이의 공간에 수지(R)가 주입되는 방향인 수지 주입 방향(D1)을 기준으로, 제1 실시예의 파팅라인(PL1)은 최전단에 위치하는 인서트금형 골(31)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금형부가 인서트금형(30)의 골(31)에서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으로 분할되어 제2 금형부의 강도가 취약해지지 않을 수 있고, 동시에 성형물인 렌즈의 옵틱에서 옵틱의 산에 파팅라인이 형성됨으로써, 파팅라인이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의 외관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2 금형부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은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금형(30)은,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메인금형(20)에는, 복수의 요철 영역 중 나머지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금형(20)은 인서트금형(30)과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금형(20)은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가 아닌 일반적인 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1)는 제2 금형부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이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에어포켓(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옵틱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가 마주보는 영역 사이의 공간에 수지(R)가 주입되는 방향을 수지 주입 방향(D1)이라 정의한다.
이때 인서트금형(30)은, 제2 금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수지 주입 방향(D1)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는 요철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금형부(10)와 제2 금형부 사이에 수지(R)가 주입될 때, 에어포켓(A)이 주로 발생하는 부분이 수지 주입 방향(D1)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는 요철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어포켓(A)이 주로 발생하는 부분에 다공성 소재인 인서트금형(30)을 배치함으로써 에어포켓(A)의 가스나 공기를 배출하기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금형(20)은,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골(21)과,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산(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금형(20)의 요철 영역은 메인금형 골(21)과 메인금형 산(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인서트금형(30)은,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골(31)과, 제1 금형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산(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금형(30)의 요철 영역은 인서트금형 골(31)과 인서트금형 산(3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형부의 요철 영역은 인서트금형 산(32)과, 인서트금형 골(31)과, 메인금형 산(22) 및 메인금형 골(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금형(20)과 인서트금형(30)이 서로 만나는 파팅라인(PL2)은, 메인금형 골(21)과 인서트금형 골(31)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금형부가 인서트금형(30)의 골(31)에서 메인금형(20)의 골(21)에서 분할됨으로써 제2 금형부의 강도가 취약해지지 않을 수 있고, 동시에 성형물인 렌즈의 옵틱에서 옵틱의 산에 파팅라인이 형성됨으로써, 파팅라인(PL2)이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의 외관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인서트금형(30)을 메인금형(20)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인서트금형(30)에 고정되고 메인금형(2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40)는 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금형(20)이 하원판(25)에 설치되는 코어 금형인 경우, 고정부재(40)는 하원판과 메인금형(20)을 관통하여 인서트금형(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40)는 인서트금형(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40)의 종류와 고정 형태를 도시된 실시예와 전술한 설명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서트금형(30)을 메인금형(2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흡입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50)는 인서트금형(30)의 다공에 유입된 가스를 인서트금형(3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입부(50)는 종류와 구성에 제한이 없고, 인서트금형(30)에 연결되어 에어포켓(A)의 공기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50)는, 흡입부재(51)와, 가스배출홀(5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재(51)는 인서트금형(30)의 다공에 충진된 가스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입부재(51)는 제2 금형부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나 가스를 흡입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흡입부재(51)의 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스배출홀(52)은 메인금형(20)에 관통되고, 인서트금형(30)과 흡입부재(5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배출홀(52)은 인서트금형(30)에 형성된 기공에 연통될 수 있고, 기공에 잔존하는 공기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흡입부재(51)의 작동에 의해 에어포켓(A)의 공기나 가스가 인서트금형(30)을 통과하여 가스배출홀(52)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험 예는, 시험편 렌즈를 사출 성형 시에, 다공성 소재의 금형을 사용한 경우와, 다공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플로마크 발생 정도를 실험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의 e 영역과, f 영역과, g 영역 및 h 영역은 옵틱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플로마크가 발생하기 쉬운 영역이다. 이 중 e 영역과, g 영역 및 h 영역은 다공성 소재 금형인 인서트금형(30)이 적용되는 영역이고, f 영역은 다공성 소재 금형인 인서트금형이 적용되지 않은 영역이다.
각 영역의 확대 이미지 중, 좌측 이미지는 시험편에 다공성 소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이고, 우측 이미지는 시험편 중 e 영역과, g 영역 및 h 영역에 다공성 소재 금형인 인서트금형(30)을 적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각 확대 이미지의 점선 영역은 플로마크가 발생한 영역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다공성 소재 금형이 적용된 영역인 e 영역과, g 영역 및 h 영역에는 플로마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다공성 소재 금형이 적용되지 않은 영역인 f 영역은 플로마크가 발생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 결과를 통해 다공성 소재인 인서트금형(30)을 사용하는 경우 플로마크를 개선하여 렌즈에 결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마크 등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렌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옵틱의 형상 변형없이 옵틱의 결함을 최소할 수 있으므로, 옵틱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10: 제1 금형부
20: 메인금형
21: 메인금형 골
22: 메인금형 산
30: 인서트금형
31: 인서트금형 골
32: 인서트금형 산
40: 고정부재
50: 흡입부
51: 흡입부재
52: 가스배출홀
D1: 수지 주입 방향
A: 에어포켓
D1: 수지 주입 방향
PL1: 파팅라인
PL2: 파팅라인
10: 제1 금형부
20: 메인금형
21: 메인금형 골
22: 메인금형 산
30: 인서트금형
31: 인서트금형 골
32: 인서트금형 산
40: 고정부재
50: 흡입부
51: 흡입부재
52: 가스배출홀
D1: 수지 주입 방향
A: 에어포켓
D1: 수지 주입 방향
PL1: 파팅라인
PL2: 파팅라인
Claims (10)
- 제1 금형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렌즈에 형성되는 옵틱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요철 영역이 형성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만나는 영역에는 상기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메인금형; 및
상기 메인금형에 인서트되는 인서트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금형은, 복수의 요철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다공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은 모두 상기 인서트금형에 형성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에는,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인서트금형과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마주보는 영역 사이의 공간에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을 수지 주입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인서트금형은,
상기 제2 금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요철 영역 중, 상기 수지 주입 방향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는 상기 요철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골; 및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메인금형 산을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은,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골; 및
상기 제1 금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인서트금형 산을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과 상기 인서트금형이 서로 만나는 파팅라인은,
상기 메인금형 골과 상기 인서트금형 골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을 상기 메인금형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인서트금형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금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의 다공에 유입된 가스를 상기 인서트금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다공에 충진된 가스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흡입부재; 및
상기 메인금형에 관통되고, 상기 인서트금형과 상기 흡입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하는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8742A KR20240039870A (ko) | 2022-09-20 | 2022-09-20 |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8742A KR20240039870A (ko) | 2022-09-20 | 2022-09-20 |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9870A true KR20240039870A (ko) | 2024-03-27 |
Family
ID=9048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8742A KR20240039870A (ko) | 2022-09-20 | 2022-09-20 |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9870A (ko) |
-
2022
- 2022-09-20 KR KR1020220118742A patent/KR2024003987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7658B1 (ko) | 2단계 사출성형공정을 이용해 동일한 수지층들로 성형된 두꺼운 렌즈 | |
US8393772B2 (en) | Vehicle lamp | |
US7303807B2 (en) | Cover of lighting unit for vehicle | |
US5707132A (en) | Vehicular lamp and machine and method for moulding the same | |
US8714796B2 (en) | Outer casing for headlight and headlight | |
EP1008801B1 (en) | A projection-type automobile light | |
US20130148363A1 (en) | High sag thick lens for use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 |
US5836674A (en) | Lens structure for lamps | |
KR102489648B1 (ko) |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 |
CN105538599A (zh) | 双色成形法和双色成形用模具以及双色成形品 | |
US20050127543A1 (en) | Method for producing light-guiding led bodies in two spatially and temporally separate steps | |
KR20240039870A (ko) | 렌즈 제조용 금형장치 | |
US6439872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enses for vehicle lamps | |
KR102299923B1 (ko) | 수지 성형품 | |
ITRM980104A1 (it) | Proiettore di autoveicolo comprendente una lampadina a due filamenti per generare un fascio interrotto ed un fascio non interrotto | |
US6059432A (en) | Injection molded vehicle lamp and method of making | |
CN113412180A (zh) | 导光板的制造方法、导光板及车辆用灯具 | |
JPH07288004A (ja) | 車両用灯具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
JP2021146606A (ja) | エクステンション部材 | |
JP6768255B2 (ja) | 成形金型 | |
US20220026037A1 (en) |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ed primary optic, headlamp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 |
JPS6333286Y2 (ko) | ||
JPH0715046Y2 (ja) | 2輪車用灯具 | |
WO2016002601A1 (ja) | 金型及び灯具用エクステンション | |
JP4626575B2 (ja) | 車両用灯具のリフレク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