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835A - Cradle assembl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radle assembl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835A
KR20240039835A KR1020220118659A KR20220118659A KR20240039835A KR 20240039835 A KR20240039835 A KR 20240039835A KR 1020220118659 A KR1020220118659 A KR 1020220118659A KR 20220118659 A KR20220118659 A KR 20220118659A KR 20240039835 A KR20240039835 A KR 2024003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arnish
disposed
groove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835A/en
Publication of KR2024003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8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60R2011/004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with visible part, e.g. flush mounted
    • B60R2011/00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with visible part, e.g. flush mounted using hidden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버튼을 거치하는 부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는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홀 및 제1 수용홀의 테두리로부터 제1 수용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홈을 포함하는 가니쉬 및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제1 수용홀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포함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베젤은, 가니쉬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부 및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돌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이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vehicle mounting assembl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parts for mounting a smart butto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is disposed on the rim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a garnish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a smart button and a protruding groov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rim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 bezel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a smart button, and the bezel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an outer portion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garnish, and has a radius. It may include an inner portion including a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long a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groove.

Figure P1020220118659
Figure P1020220118659

Description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CRADLE ASSEMBLY FOR VEHICLE}Vehicle mounting assembly {CRAD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스마트 버튼을 거치시키기 위한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smart button.

근래의 차량은 기술의 발전에 의해 키를 사용하는 방식 대신 스마트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시동을 거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버튼은 칵핏모듈의 가니쉬 중 기존의 키를 꽃아넣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Recently,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vehicles are starting by pressing a smart button instead of using a key. The smart button is placed in a position among the garnishes of the cockpit module tha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existing key is inserted.

스마트 버튼을 가니쉬에 거치 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스마트 버튼을 수용할 수 있는 홀을 설계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가니쉬가 제작되었는데, 이렇게 사출 제작된 가니쉬의 홀 주위에는 웰드마크(Weld mark)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도장작업을 통해 가니쉬 표면에 형성된 웰드마크를 가려야 했다.In order to mount the smart button on the garnish, the garnish was conventionally manufactured by designing a hole to accommodate the smart button and then injection-molding it, and a weld mark was formed around the hole of the garnish made by injection. Therefore, the weld marks formed on the garnish surface had to be covered through painting.

이러한 종래의 가니쉬 제작은 사출작업 후에 도장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이 증가되며, 제작시간과 제작비용 증가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Since this conventional garnish production requires additional painting work after the injection operation,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 increas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스마트 버튼을 거치하는 부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vehicle mounting assembl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parts for mounting a smart butt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는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홀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수용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홈을 포함하는 가니쉬;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홀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포함하는 베젤; 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가니쉬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부;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이너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rnish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a smart button and a protruding groov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 and a bezel disposed on an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ng hole disposed in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accommodating the smart button. It includes, wherein the bezel includes: an outer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garnish; and an inner portion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including a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long a radial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groove. may include.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아우터부의 외면에서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과 상기 이너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rt in a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r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and the first protrusion is provided in a hook shape. It can be.

상기 가니쉬는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돌기에 접촉되는 제1 보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기는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니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rnish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rib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It includes a concave portion where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inside and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garnish; may include.

상기 제1 보강리브는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수용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증가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rib may have a cross-s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in a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receiving hole.

상기 가니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보강리브의 최외측 모서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기의 상기 오목부의 일면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arnish to the outermost edge of the first reinforcement rib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to on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상기 돌출홈은,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돌기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1 홈; 및 상기 제2 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홈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되는 제2 홈; 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first protrusion and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roove. may include.

상기 제2 홈의 폭은 상기 제2 돌기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상기 베젤은,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과 상기 제1 돌기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돌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 보강리브; 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zel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rib that 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prevents the first protrusion from shaking;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 작업을 통해 홀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사출과정에서 홀을 형성하고, 도장작업을 통해 웰드마크를 가리는 것에 비해 부품의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hole through a punching opera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 can be reduced compared to forming a hole in a conventional injection process and covering the weld mark through a paint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이 가니쉬에 장착되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zel is mounted on the garnish, design freedo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가니쉬의 내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1 보강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베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가니쉬에 베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arnish.
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reinforcing rib.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a.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ezel.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zel is coupled to the garnish.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6.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that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drawing symbo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가니쉬의 내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제1 보강리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A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베젤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가니쉬에 베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arnish. 4A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reinforcing rib,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4A,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ezel,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zel is coupled to the garnish. It is an enlarged view,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100)는 스마트 버튼(180)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홀(122) 및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수용홀(12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홈(124)을 포함하는 가니쉬(120),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제1 수용홀(122)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스마트 버튼(180)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142a)을 포함하는 베젤(140), 가니쉬(1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마트 버튼(180)의 일부분을 홀딩하는 홀더(160) 및 제1 수용홀(122) 및 제2 수용홀(142a)을 통과하여 베젤(140) 및 홀더(160)와 연결되는 스마트 버튼(18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eiving hole 122 that accommodates the smart button 180 and a space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 garnish 120 including a protruding groove 124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nd ) and a bezel 140 including a second receiving hole 142a for accommodating the smart button 180, disposed inside the garnish 120 and holding a portion of the smart button 180. It may include a smart button 180 that passes through the holder 160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holes 122 and 142a and is connected to the bezel 140 and the holder 160.

가니쉬(Garnish)(120)는 차량의 칵핏 모듈(Cockpit module)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 중 하나일 수 있다. 가니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버튼(180)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Garnish 120 may be one of the part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cockpit module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1, the garnish 12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smart button 180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가니쉬(120)는 제1 수용홀(122), 돌출홈(124) 및 제1 보강리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rnish 120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hole 122, a protruding groove 124, and a first reinforcing rib 126.

제1 수용홀(122)은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22)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용홀(122)의 형상은 베젤(140) 또는 스마트 버튼(18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22)은 펀칭(Punching) 작업을 통해 가니쉬(1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hole 122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may have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may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ezel 140 or the smart button 180.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may be formed in the garnish 120 through a punching operation.

돌출홈(124)은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홈(124)은 제1 수용홀(12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로부터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rotruding groove 124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The protruding groove 124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to the outside of the edg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돌출홈(124)은 제1 홈(124a) 및 제2 홈(12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groove 124 may include a first groove 124a and a second groove 124b.

제1 홈(124a)은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될 경우, 베젤(140)의 후술할 제1 돌기(145a)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홈(124a)은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를 따라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홈(124a)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124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 90°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first groove 124a may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145a of the bezel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groove 124a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length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124a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s shown in FIG. 6, four first grooves 124a may be arranged at 90° intervals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2 홈(124b)은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될 경우, 베젤(140)의 후술할 제2 돌기(145b)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홈(124b)은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를 따라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홈(124b)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홈(124b)은 각각의 제1 홈(124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제2 홈(124b)은 각각의 제1 홈(124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홈(124b)은 제1 홈(124a)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second groove 124b can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145b of the bezel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groove 124b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length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124b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Each second groove 124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first groove 124a. For example, each second groove 124b may be disposed to the left of each first groove 124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groove 124b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124a.

제1 보강리브(126)는 가니쉬(120)의 내면(12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리브(126)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120)의 내면(120b)에서 가니쉬(12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강리브(126)는, 가니쉬(120)에 베젤(140)이 결합될 경우, 베젤(140)의 후술할 제1 돌기(145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보강리브(126)는 가니쉬(120)의 두께를 더하는 구성으로써, 가니쉬(120)에 베젤(140)이 결합되었을 때 가니쉬(120)와 베젤(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garnish 120. As shown in FIG. 4B,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garnish 120 toward the inside of the garnish 120. 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may contact the first protrusion 145a of the bezel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is a component that adds the thickness of the garnish 120 and prevents a gap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garnish 120 and the bezel 140 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can d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리브(126)는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서 제1 수용홀(12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증가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may have a cross-s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베젤(140)은 가니쉬(12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젤(140)은 가니쉬(120)에 결합되어 심미감을 더할 수 있는 구성요소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베젤(140)은 아우터부(142), 이너부(144) 및 제2 보강리브(14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zel 140 may be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bezel 140 can be used as one of the compon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garnish 120 to add aesthetics. The bezel 14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142, an inner portion 144, and a second reinforcing rib 146.

아우터부(142)는 가니쉬(120)의 외면(120a)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너부(144)가 제1 수용홀(122)에 배치되면,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은 가니쉬(120)의 외면(120a)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아우터부(142)는 가니쉬(120)의 외면(120a)으로부터 가니쉬(12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14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garnish 120. More specifically, when the inner part 144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art 142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garnish 120. The outer portion 142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garnish 120 toward the outside of the garnish 120.

아우터부(142)는 가니쉬(12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마트 버튼(180)이 베젤(140)에 내측에 위치하면, 아우터부(142) 중 스마트 버튼(180)에 인접한 부분은 볼록한 부분의 정점으로부터 스마트 버튼(18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버튼(180)을 누를 때, 베젤(140)이 손에 접촉하여 발생되는 피로감 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outer portion 142 may be provid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garnish 120. Accordingly, when the smart button 180 is located inside the bezel 140, the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142 adjacent to the smart button 180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smart button 180 from the apex of the convex portion. It can be prepared in any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smart button 180, fatigue caused by the bezel 140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and may be reduced.

아우터부(142)는 제2 수용홀(14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홀(14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으로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홀(142a)은 스마트 버튼(180)의 외관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The outer portion 142 may include a second receiving hole 142a.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may be formed inside in a circular shape.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may be provided with a size larg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rt button 180.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수용홀(142a)은 제1 수용홀(122)과 함께 스마트 버튼(180)을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홀(142a)은 제1 수용홀(122)과 연통될 수 있다. 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may be placed at a position to accommodate the smart button 180 together with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hole 142a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122.

이너부(144)는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부(144)는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부(144)는 아우터부(142)의 제2 수용홀(142a)을 통과하는 스마트 버튼(180)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part 144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art 142. Additionally, the inner portion 144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The inner part 144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interior so that the smart button 180 can pass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of the outer part 142.

이너부(144)는 장착돌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돌기(144a)는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돌기(144a)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가니쉬(120)의 돌출홈(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portion 144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144a. The mounting protrusion 144a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s shown in FIG. 4B, the mounting protrusion 144a protrudes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groove 124 of the garnish 120.

장착돌기(144a)는 제1 돌기(145a) 및 제2 돌기(14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protrusion 144a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45a and a second protrusion 145b.

제1 돌기(145a)는 아우터부(142)의 외면(120a)에서 내면(120b)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과 이너부(144)의 외면(120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145a)는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기(145a)는,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되었을 때,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과 함께 베젤(140)을 가니쉬(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돌기(145a)의 단부의 형상은 점점 작아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되면, 제1 돌기(145a)는 가니쉬(120)의 돌출홈(124)의 제1 홈(124a)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45a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art 142 and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inner part 144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outer part 142 to the inner surface 120b. It can be.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be provided in a hook shape. 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secure the bezel 140 to the garnish 120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ortion 142.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be provid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smaller. 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124a of the protruding groove 124 of the garnish 120.

제1 돌기(145a)는 오목부(145a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45a1)는 제1 돌기(145a)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부(145a1)는 제1 돌기(145a)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45a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12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가니쉬(120)의 일부분,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145a1. The concave portion 145a1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The concave portion 145a1 may be formed concavely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As shown in FIG. 7 , the concave portion 145a1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garnish 120 and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garnish 120, more specifically,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120)의 외면(120a)으로부터 제1 보강리브(126)의 최외측 모서리까지의 제1 거리(D1)는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으로부터 오목부(145a1)의 일면까지의 제2 거리(D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가니쉬(120)의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에 제1 돌기(145a)의 오목부(145a1)가 결합되면, 제1 돌기(145a)가 가니쉬(120)에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흔들림에도 베젤(140)이 가니쉬(1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보강리브(126)와 오목부(145a1)의 조합은 가니쉬(120)와 베젤(140) 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first distance D1 from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garnish 120 to the outermost edge of the first reinforcement rib 126 is concave from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ortion 142. It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distance D2 to one surface of the portion 145a1. Therefore, when the concave portion 145a1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of the garnish 120, the first protrusion 145a will be fixed to the garnish 120 with a strong fixing force. You can. Accordingly, the bezel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arnish 120 even when shaken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126 and the concave portion 145a1 can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stability between the garnish 120 and the bezel 140.

제1 돌기(145a)의 폭은 가니쉬(120)의 돌출홈(124)의 제1 홈(124a)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기(145a)가 제1 홈(124a)에 수용되면, 제1 돌기(145a)의 폭에 대응되는 제1 홈(124a)의 폭에 의해 제1 돌기(145a)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124a of the protruding groove 124 of the garnish 120. Therefore, when the first protrusion 145a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124a, the shaking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is prevented by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124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Thus, the state in which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제2 돌기(145b)는 아우터부(142)의 외면(120a)에서 내면(120b)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과 이너부(144)의 외면(120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기(145b)는 제2 수용홀(142a)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돌기(145b)는 각각의 제1 돌기(145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돌기(145b)는 각각의 제1 돌기(145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protrusion 145b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art 142 and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inner part 144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120a of the outer part 142 to the inner surface 120b. It can b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5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Each second protrusion 145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first protrusion 145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each second protrusion 145b may be disposed to the left of each first protrusion 145a, but is not limited to this.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결합되면, 제2 돌기(145b)는 가니쉬(120)의 돌출홈(124)의 제2 홈(124b)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124b)의 폭은 제2 돌기(145b)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기(145b)가 제2 홈(124b)에 수용되면, 제2 홈(124b)과 제2 돌기(145b)의 폭의 차이에 따른 틈이 제2 홈(124b)과 제2 돌기(145b)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기(145b)가 제2 홈(124b)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제2 돌기(145b)는 제1 돌기(145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2 돌기(145b)는 제1 돌기(145a)의 위치를 가이드 하여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bezel 140 is coupled to the garnish 120, the second protrusion 145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124b of the protruding groove 124 of the garnish 120. As shown in FIG. 6, 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124b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145b. Therefore, when the second protrusion 145b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groove 124b, a ga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second groove 124b and the second protrusion 145b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roove 124b and the second protrusion 124b. It can occur between (145b). Accordingly, while the second protrusion 145b moves inside the second groove 124b, the second protrusion 145b may ser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That is, the second protrusion 145b can guide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so that the bezel 14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garnish 120.

제2 보강리브(1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45a)의 오목부(145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리브(146)는 제1 돌기(145a)의 내부에서 제1 돌기(145a)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2 보강리브(146)는 각각의 제1 돌기(145a)의 오목부(145a1)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may be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45a1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may protrude to have a height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may be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45a1 of each first protrusion 145a.

제2 보강리브(146)는 아우터부(142)의 내면(120b)과 제1 돌기(145a)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돌기(145a)의 오목부(145a1)가 가니쉬(120)의 제1 수용홀(122)의 테두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보강리브(146)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강리브(146)는 베젤(140)이 가니쉬(120)에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may connect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outer portion 142 and the first protrusion 145a. As a result, shaking can be prevented by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while the concave portion 145a1 of the first protrusion 145a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of the garnish 120. there is. Accordingly,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6 can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that has the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bezel 140 fixed to the garnish 120.

홀더(160)는 가니쉬(120)의 내면(120b)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60)는 제1 수용홀(122) 및 제2 수용홀(142a)을 통과한 스마트 버튼(180)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홀더(160)는 스마트 버튼(180)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160)는 스마트 버튼(180)을 홀딩하여 스마트 버튼(180)의 흔들림을 방지시킬 수 있다.The holder 160 may be placed on the inner surface 120b of the garnish 120. The holder 160 can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mart button 18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The holder 160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interior so as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mart button 180. The holder 160 can hold the smart button 180 and prevent the smart button 180 from shaking.

스마트 버튼(180)은 가니쉬(120)와 베젤(140)에 형성된 제1 수용홀(122) 및 제2 수용홀(142a)을 통과하여 홀더(160)에 고정될 수 있다. 스마트 버튼(180)의 일면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제1 수용홀(122) 및 제2 수용홀(142a)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The smart button 180 may be fixed to the holder 160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holes 122 and 142a formed in the garnish 120 and the bezel 140. One side of the smart button 180 may be exposed by the first receiving hole 122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142a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100)는 종래의 사출작업에 의해 가니쉬(120)에 웰드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펀칭작업을 통해 가니쉬(120)에 제1 수용홀(122)을 형성시킴으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weld marks from being formed on the garnish 120 by a conventional injection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first receiving hole 122 in the garnish 120 through a punching operation. ) can be used to reduce cos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100)는 베젤(140)을 통해 디자인 요소를 추가시킬 수 있으므로, 심미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design elements through the bezel 140, thereby helping to create aesthetic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120: 가니쉬
120a: 외면 120b: 내면
122: 제1 수용홀 124: 돌출홈
124a: 제1 홈 124b: 제2 홈
126: 제1 보강리브 140: 베젤
142: 아우터부 142a: 제2 수용홀
144: 이너부 144a: 장착돌기
145a: 제1 돌기 145a1: 오목부
145b: 제2 돌기 146: 제2 보강리브
160: 홀더 180: 스마트 버튼
D1: 제1 거리 D2: 제2 거리
100: Vehicle holder assembly 120: Garnish
120a: exterior 120b: interior
122: first receiving hole 124: protruding groove
124a: first groove 124b: second groove
126: first reinforcing rib 140: bezel
142: Outer part 142a: Second receiving hole
144: inner part 144a: mounting protrusion
145a: first protrusion 145a1: concave portion
145b: second protrusion 146: second reinforcing rib
160: Holder 180: Smart button
D1: first distance D2: second distance

Claims (8)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홀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수용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홈을 포함하는 가니쉬;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홀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 버튼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포함하는 베젤; 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가니쉬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부; 및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이너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 garnish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a smart button and a protruding groov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a bezel disposed on an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ng hole disposed in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and accommodating the smart button; Including,
The bezel is,
an outer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garnish; and an inner portion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including a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long a radial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groove. A vehicle mounting assembly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아우터부의 외면에서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과 상기 이너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unting protrusions are,
Comprising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rt in a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r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The first protrusion is provided in a hook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는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돌기에 접촉되는 제1 보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기는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니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garnish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rib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Includes,
The first protrus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insid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garnish; Includ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리브는 상기 제1 수용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수용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증가되는 단면을 가지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reinforcing rib has a cross-s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in a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receivi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보강리브의 최외측 모서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기의 상기 오목부의 일면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3,
A first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arnish to the outermost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corresponds to a secon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to on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홈은,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돌기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1 홈; 및
상기 제2 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홈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되는 제2 홈; 을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otruding groove is,
a first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first protrusion and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roove; A vehicle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의 폭은 상기 제2 돌기의 폭보다 큰,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6,
A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아우터부의 내면과 상기 제1 돌기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돌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 보강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5,
The bezel is,
a second reinforcing rib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preventing the first protrusion from shaking; Includ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KR1020220118659A 2022-09-20 2022-09-20 Cradle assembly for vehicle KR202400398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59A KR20240039835A (en) 2022-09-20 2022-09-20 Cradle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59A KR20240039835A (en) 2022-09-20 2022-09-20 Cradle assembly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35A true KR20240039835A (en) 2024-03-27

Family

ID=9048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659A KR20240039835A (en) 2022-09-20 2022-09-20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8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0612B (en) Protective shell
KR20240039835A (en) Cradle assembly for vehicle
US747773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ver and structural body thereof
US20070151837A1 (en) Key mechanism
KR910000379Y1 (en) Telephone transceiver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US20010024061A1 (en) Wheel cover
US5511857A (en) Wheel cap for automobile
JP2018073572A (en) Gromm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0192913A (en) Decorative member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9936760B (en) Set-top box
CN211224260U (en) Reagent bottle holder and reagent bottle
US11203110B2 (en) Curved grip
US20040245006A1 (en) Housing structure
JP2012030433A (en) Tape cassette
JP2005235837A (en) Structure of preventing missing of substrate or electronic component, and portable machine
CN220996310U (en) Buckle structure and car body top structure
CN221127458U (en) Headset earphone
JP4140675B2 (en) Photo-interrupter
KR100698694B1 (en)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ir-bag module
KR102448721B1 (en) Engine starting device for vehicle
CN220662466U (en) Bumper mounting assembly and vehicle
CN219821630U (en) Bicycle lamp bracket with self-locking structure
JP4010285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strap attachment member
US20240117657A1 (en) Vehicle hood stay support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