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488A -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488A
KR20240039488A KR1020220118131A KR20220118131A KR20240039488A KR 20240039488 A KR20240039488 A KR 20240039488A KR 1020220118131 A KR1020220118131 A KR 1020220118131A KR 20220118131 A KR20220118131 A KR 20220118131A KR 20240039488 A KR20240039488 A KR 20240039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tension
joint
auxili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윤
Original Assignee
이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윤 filed Critical 이희윤
Priority to KR102022011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488A/ko
Publication of KR2024003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1Hunting, fishing h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중심 파이프와, 중심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주 조인트와, 제1주 조인트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중심 파이프와 함께 지붕 골조를 형성하되, 길이방향 일단이 제1주 조인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붕 파이프와, 지붕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주 조인트와, 제2주 조인트에 결합되어 벽 골조를 형성하는 벽 파이프와, 중심 파이프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주 조인트를 관통 연결하는 사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FRAME MODULE OF EXPANDABLE CABIN TENT}
본 발명은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캠핑, 낚시 등과 같은 야외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햇빛과 바람 등을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텐트의 수요도 함께 늘어가고 있다.
텐트는 개폐 가능한 내부공간을 갖는 텐트천과, 내부공간이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텐트천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태에 따라 돔형 텐트, 터널형 텐트, 캐빈형 텐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빈형 텐트의 경우, 그 프레임이 규격화된 크기에 맞춰 정형화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기본적 형태로만 설치가 가능하여 텐트의 형태 변형을 도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0013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중심 파이프와, 중심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주 조인트와, 제1주 조인트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중심 파이프와 함께 지붕 골조를 형성하되, 하향 경사지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제1주 조인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붕 파이프와, 지붕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주 조인트와, 제2주 조인트에 결합되어 벽 골조를 형성하며, 지붕 파이프와 둔각을 이루는 벽 파이프와, 중심 파이프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주 조인트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사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드 파이프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보조 조인트와, 제1보조 조인트에 길이방향 일단이 결합되는 제1보조 파이프와, 제1보조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보조 조인트와, 제2보조 조인트에 길이방향 일단이 결합되는 제2보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주 조인트는 중심 파이프가 관통 가능한 원통 형상의 중심부와,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연장부와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어 제1연장부와 둔각을 이루는 제2연장부와,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 둔각부분에 위치하도록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둘레턱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조 조인트는 사이드 파이프의 둘레 일부를 커버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호 형상의 결합부와, 결합부에서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이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주 조인트 및 제2보조 조인트는 제1주 조인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이루는 각도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들 간의 연결관계가 단순화된 구성을 가지며 적은 부품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인트를 통한 견고한 연결 구조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파이프의 내측으로 조인트가 삽입되는 방식을 채용하여 무게를 절감하면서도 연결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인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인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조인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조인트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이 적용된 텐트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1)은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텐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파이프부(10) 및 둘 이상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부(10)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조인트부(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부(10)는 지붕의 골조로 사용되는 중심 파이프(11)와 지붕 파이프(12) 및 벽의 골조로 사용되는 벽 파이프(13)와 사이드 파이프(1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파이프(11)는 프레임 모듈(1)의 중심으로서 위치할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중심 파이프(1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붕 파이프(12)는 길이방향 일단이 중심 파이프(11)에 결합되어 기본 공간의 지붕 골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지붕 파이프(1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중심 파이프(1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지붕 파이프(12)는 복수의 쌍으로 마련되어 중심 파이프(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중심 파이프(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붕 파이프(12)는 길이방향 일단에 제1주 조인트(21)가 결합되어 제1주 조인트(21)에 의해 중심 파이프(11)와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타단에 제2주 조인트(22)가 결합되어 제2주 조인트(22)에 의해 벽 파이프(13)와 결합될 수 있다.
벽 파이프(13)는 그 길이방향 일단이 지붕 파이프(12)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기본 공간의 벽 골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벽 파이프(13)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지붕 파이프(1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또한, 벽 파이프(13)는 지붕 파이프(12)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지붕 파이프(12)와 둔각을 이루도록 지붕 파이프(12)의 길이방향 타단에 절곡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벽 파이프(13)는 길이방향 일단에 제2주 조인트(22)가 결합되어 제2주 조인트(22)에 의해 지붕 파이프(12)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파이프(14)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주 조인트(22)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파이프(14)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중심 파이프(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파이프(14)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사이드 파이프(14a)는 중심 파이프(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중심 파이프(1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벽 파이프(13)와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사이드 파이프(14b)는 중심 파이프(11)의 타측에 위치하며 중심 파이프(1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벽 파이프(13)와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파이프(14)에 의해 벽 골조 및 지붕 골조는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중심 파이프(11) 및 사이드 파이프(14)는 다단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20)는 중심 파이프(11)와 한 쌍의 지붕 파이프(12)를 연결하는 제1주 조인트(21) 및 지붕 파이프(12)와 벽 파이프(13)를 일대일로 연결하는 제2주 조인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주 조인트(21)는 한 쌍의 짝을 이룬 지붕 파이프(12)와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 파이프(11)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주 조인트(21)는 한 쌍의 지붕 파이프(12)가 상호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지붕 파이프(12)의 내측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주 조인트(22)는 지붕 파이프(12)와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붕 파이프(12)마다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주 조인트(22)는 하나의 지붕 파이프(12) 및 하나의 벽 파이프(1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지붕 파이프(12) 및 벽 파이프(13)의 내측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 조인트(21, 22)를 통한 견고한 연결 구조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파이프의 내측으로 조인트가 삽입되는 방식을 채용하여 무게를 절감하면서도 연결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은 제1보조 파이프(15), 제2보조 파이프(16), 제1보조 조인트(23) 및 제2보조 조인트(24)가 추가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파이프부(10)는 확장 공간의 골조로 사용되는 제1보조 파이프(15)와 제2보조 파이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 파이프(15)는 제1보조 조인트(23)에 의해 어느 하나의 사이드 파이프(14)에 결합되어 확장 공간의 지붕 골조를 이룰 수 있다. 제1보조 파이프(15)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일단이 제1보조 조인트(23)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보조 파이프(16)는 제2보조 조인트(24)에 의해 제1보조 파이프(15)와 결합되어 확장 공간의 벽 골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보조 파이프(16)는 제1보조 파이프(15)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 파이프(16)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방향 일단이 제2보조 조인트(24)와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타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부(20)는 기본 공간의 지붕 골조 또는 벽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와 제1보조 파이프(15)를 연결하는 제1보조 조인트(23)와 제1보조 파이프(15)와 제2보조 파이프(16)를 연결하는 제2보조 조인트(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 조인트(23)는 제1보조 파이프(15)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보조 파이프(15)마다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보조 조인트(23)는 사이드 파이프(14)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보조 파이프(15)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보조 조인트(24)는 제1보조 파이프(15)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보조 파이프(15)마다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보조 조인트(24)는 하나의 제1보조 파이프(15) 및 하나의 제2보조 파이프(16)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보조 파이프(15) 및 제2보조 파이프(16)의 내측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부(10)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보조 조인트(24)에 관통 결합되어 제1보조 파이프(15) 및 제2보조 파이프(16)가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하는 연결 파이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 파이프(17)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단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은 제1보조 파이프(15) 및 제1보조 조인트(23)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보조 파이프(15)는 제1보조 조인트(23)에 의해 지붕 파이프(12)에 결합되어 확장 공간의 지붕 골조를 이룰 수 있다. 제1보조 파이프(15)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일단이 제1보조 조인트(2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보조 조인트(23)는 지붕 파이프(12)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보조 파이프(15)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보조 파이프(15)가 사이드 파이프(14)에 결합되는 경우 기본 공간의 측면 방향으로 확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제1보조 파이프(15)가 제일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붕 파이프(12)에 결합되는 경우 기본 공간의 후면 또는 전면 방향으로 확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확장 공간의 형태 및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와 위치에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품들 간의 연결관계가 단순화된 구성을 가지며 적은 부품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 조인트(2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 조인트(21)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주 조인트(21)는 원통 형상의 중심부(211), 중심부(211)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212), 중심부(211)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되 제1연장부(212)와 둔각을 이루는 제2연장부(213) 및 제1연장부(212)와 제2연장부(213)를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부(212) 및 제2연장부(213)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중심부(211)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중심 파이프(11)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211)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부(21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둘레를 따라 둘레턱(2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레턱(2122)은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도록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212)는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2121)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홈(2121)은 둘레턱(2122)을 피해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홈(2121)에는 보강돌기(2123)가 돌출 형성되되, 보강돌기(2123)의 돌출 정도는 둘레턱(2122)보다 덜 돌출될 수 있다.
제2연장부(213)는 중심부(211)를 중심으로 제1연장부(212)와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연장부(213)는 제1연장부(212)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부(214)는 원호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제1연장부(212) 및 제2연장부(213) 사이 둔각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중심부(211), 제1연장부(212) 및 제2연장부(2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주 조인트(21)는 강도 및 내구성의 저하 없이도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연장부(212) 및 제2연장부(213)는 보강돌기(2123, 2133)를 피해 상호 대칭되게 위치한 한 쌍의 홈(2121, 2131)을 연결하는 중공(2124, 2134)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보강부(214)는 중심부에 중공(214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2124, 2134, 2141)에는 파이프와 조인트의 조립을 돕는 로프(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주 조인트(22) 및 제2보조 조인트(24)는 제1주 조인트(21)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각이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주 조인트(22)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각은 둔각으로 제1주 조인트(21)의 제1연장부(212)와 제2연장부(213) 사이각과 동일할 수 있고, 제2보조 조인트(24)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각은 직각일 수 있으며, 제1주 조인트(21)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각과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 조인트(23)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 조인트(23)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제1보조 조인트(23)는 원호 형상의 결합부(231) 및 결합부(231)의 외주연에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31)는 파이프의 일부 둘레를 커버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력에 의해 파이프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개구된 삽입 공간(23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연장부(23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결합부(231)와의 연결 부위의 둘레를 따라 둘레턱(2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레턱(2322)은 제1보조 파이프(15)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도록 제1보조 파이프(15)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직 연장부(232)는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2321)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홈(23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홈(2321)에는 보강돌기(23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보강돌기(2123)의 돌출 정도는 둘레턱(2322)보다 덜 돌출될 수 있다.
수직 연장부(232)는 보강돌기(2323)를 피해 상호 대칭되게 위치한 한 쌍의 홈(2321)을 연결하며, 로프가 삽입 가능한 중공(23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보조 조인트(23)는 강도 및 내구성의 저하 없이도 경량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 공간 또는 확장 공간을 이루는 모든 파이프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이 적용된 텐트(T)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도 1과 같은 기본적인 형태의 프레임 모듈에 파이프와 조인트를 추가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할 수 있으며, 프레임 모듈에 텐트천을 고정함으로써 텐트(T)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프레임 모듈
10 : 파이프부
20 : 조인트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중심 파이프와,
    상기 중심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주 조인트와,
    상기 제1주 조인트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상기 중심 파이프와 함께 지붕 골조를 형성하되, 하향 경사지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주 조인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붕 파이프와,
    상기 지붕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주 조인트와,
    상기 제2주 조인트에 결합되어 벽 골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붕 파이프와 둔각을 이루는 벽 파이프와,
    상기 중심 파이프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주 조인트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사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파이프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보조 조인트와,
    상기 제1보조 조인트에 길이방향 일단이 결합되는 제1보조 파이프와,
    상기 제1보조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보조 조인트와,
    상기 제2보조 조인트에 길이방향 일단이 결합되는 제2보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 조인트는,
    상기 중심 파이프가 관통 가능한 원통 형상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둔각을 이루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 둔각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와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둘레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조인트는,
    상기 사이드 파이프의 둘레 일부를 커버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호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이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 조인트 및 상기 제2보조 조인트는,
    상기 제1주 조인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이루는 각도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KR1020220118131A 2022-09-19 2022-09-19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KR20240039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131A KR20240039488A (ko) 2022-09-19 2022-09-19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131A KR20240039488A (ko) 2022-09-19 2022-09-19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488A true KR20240039488A (ko) 2024-03-26

Family

ID=9047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131A KR20240039488A (ko) 2022-09-19 2022-09-19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4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34B1 (ko) 2020-12-21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2인용 야외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34B1 (ko) 2020-12-21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2인용 야외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7313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EP2165026A1 (en)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CA1272425A (en) Building structures
KR20240039488A (ko) 확장 가능한 캐빈형 텐트의 프레임 모듈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KR102110820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US8051867B2 (en) Gable closure system for tents
KR102195528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398147Y1 (ko) 그늘막 텐트
KR20130013527A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20220051576A (ko) 텐트
KR20210000162U (ko) 조립식 인테리어 파티션
KR20220051759A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KR102230499B1 (ko) 텐트
KR200154898Y1 (ko) 텐트 골격
KR102230500B1 (ko) 텐트
KR102641496B1 (ko) 자연목에 장착되는 친환경 안전골조 시스템
KR102316416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195530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102360471B1 (ko) 낙수 받이 구조물
KR101782027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KR102574424B1 (ko) 확장 가능한 텐트
KR20060105950A (ko)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JP2501927Y2 (ja) テントの支柱構造
KR200359126Y1 (ko)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