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264A - Pet toilet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Pet toilet trai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264A
KR20240039264A KR1020220117598A KR20220117598A KR20240039264A KR 20240039264 A KR20240039264 A KR 20240039264A KR 1020220117598 A KR1020220117598 A KR 1020220117598A KR 20220117598 A KR20220117598 A KR 20220117598A KR 20240039264 A KR20240039264 A KR 2024003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oilet
training device
pad
toilet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초희
Original Assignee
김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초희 filed Critical 김초희
Priority to KR102022011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264A/en
Publication of KR2024003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2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는, 패드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 안내부와, 설치 안내부에 설치된 패드의 상면으로 반려동물이 이동하고, 패드에 배설하는 반려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 및 용변 감지부에서 감지된 용변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식을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A pet toilet training device is provided.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includes an installation guide that guides the installation of the pad, a toile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et mov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uide and the pet's excretion on the pad, and a toilet detection unit. It includes a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a preset snack according to the toilet detected by the unit.

Description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Pet toilet training device}Pet toilet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이 설정된 위치에서 용변을 배설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용변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차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that detects when a pet excretes a toilet in a set location and provides differential snacks to the pet according to the toilet. It's about devices.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이라 함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며 사람의 장난감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보는 의미가 담겨져 있고, 강아지나 고양이 등에 이르기까지 주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동물을 포함하고 있다.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is an animal that lives with humans. It respects the various benefits that animals provide to humans and carries the meaning of viewing them as beings that live together rather than as toys for humans. Depending on the owner's taste, it can range from dogs to cats, etc. Contains a variety of animals.

그리고 상기 반려동물이 대부분 실내에서 생활함에 따라 배변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교육 효과를 높이고, 반려동물의 지능을 개발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행되고 있다.And since most of the above-mentioned companion animals live indoors, they require various education such as toilet training, so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 and develop the intelligence of companion animals.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 훈련은 보통 신문지를 다수 겹쳐 깔아 높고, 반려동물이 배변 기미를 보이면 신문지에 반려동물을 올려 놓고서 반려동물이 용변을 마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에 의해 반려동물이 신문지 위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길들이게 된다. 이때, 신문지를 대신하여 배변판이나 배변패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문지를 여려 장 겹쳐 놓는 것은 아래 신문지로 반려동물의 소변이 젖게 하여 신문지에 소변 냄새를 묻혀둠으로써 추후 배변 시, 반려동물이 신문지에 묻은 자신의 소변 냄새를 맡고서 배변 장소로 오도록 유도하기 위함이지만, 이러한 배변 훈련 방법은 견주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원활한 배변 훈련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Toilet training of the above-mentioned pet is usually done by laying down a large number of newspapers, and when the pet shows signs of defecation, the pet is placed on the newspaper and waits for the pet to finish defecating, thereby creating the habit of the pet defecating on the newspaper. It becomes tame. At this time, a toilet board or toilet pad may be used instead of newspaper. Here, stacking several sheets of newspaper on top of one another allows the pet's urine to get wet with the newspaper below, leaving the urine smell on the newspaper, thereby encouraging the pet to come to the defecation area after smelling its own urine on the newspaper when defecating later. However, this method of toilet training has the problem of requiring a lot of time and effort from the dog owner, making smooth toilet training difficult.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5261호에 애견 대변 훈련 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애견 대변 훈련 장치에 있어서 반려견이 배변패드에 대변을 누었을 때 온도센서 거치대에서 온도를 인식하여 본체에 들어있는 간식이 배출구로 간식이 나오게 하는 장치이다.As a prior a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og stool training device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5261. This prior art is a dog toilet train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temperature at the temperature sensor holder when the dog defecates on the toilet pad, and causes the snack contained in the main body to come out through the outle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반려견의 용변에 따른 간식을 차등하여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differentiated snacks according to the dog's toileting.

따라서, 반려동물의 용변에 따라 간식을 달리 제공하여 훈련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technology to train pets by providing them with different snacks depending on their toileting need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52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526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이 설정된 위치에서 용변을 배설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용변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차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that can detect when a pet excretes a toilet at a set location and differentially provide snacks to the pet according to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는, 패드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 안내부와, 상기 설치 안내부에 설치된 패드의 상면으로 반려동물이 이동하고, 상기 패드에 배설하는 반려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 및 상기 용변 감지부에서 감지된 용변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식을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A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cludes an installation guide that guides the installation of the pad, the pet mov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uide, and excretes on the pad. It includes a toile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toile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a preset snack according to the toilet detected by the toilet detection unit.

상기 설치 안내부는, 상기 패드가 안착되는 설치 안내부재 및 상기 설치 안내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설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guide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uide member on which the pad is seated and an installation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and supports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상기 설치 안내부재의 일측에 돌출되고, 반려동물의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urine inducing member that guides the pet's urine.

상기 용변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무게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toilet detec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heat sensor, a sound sensor, and a weight sensor.

상기 패드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 반려동물의 용변 용변을 판단하는 영상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apture device that photographs the companion animal on the pad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defecating using the captured image.

상기 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패드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자세와 저장부재에 저장된 반려동물의 용변 보는 자세가 일치하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apture device includes a camera that photographs a companion animal on the pad, and when the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captured by the camera matches the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the companion animal is determined to be defecating. It may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that makes a decision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result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반려동물의 용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구분하는 구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ivision unit that distinguishes whether the pet's excremen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is feces or urine.

상기 간식 제공부는, 상기 대변에 대응하는 간식이 저장된 제1 저장부재와, 상기 소변에 대응하는 간식이 저장된 제2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저장부재와 제2 저장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nack provi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storage member in which snacks corresponding to the stool are stored, a second storage member in which snacks corresponding to the urine are stored,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급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1 저장부재 및 상기 제2 저장부재에 저장된 간식의 재고를 파악하는 재고 파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inventory measuring member that determines the inventory of snack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설정된 위치에서 용변을 배설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용변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차등하여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용변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t excretes a toilet at a set location, this is detected and snacks are differentially provided to the pet according to the toilet, thereby achieving the result of the pet's toilet training. can be increased.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를 나타낸 흐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용변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간식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low diagram showing a companion animal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toilet detection unit of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nack provision portion of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를 나타낸 흐름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용변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의 간식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flow diagram showing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toilet detection unit of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toilet training device for a p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nack provision portion of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100)는, 반려동물의 용변 교육을 훈련하는 장치로, 설치 안내부(110), 용변 감지부(120), 간식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3, the pet toilet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device for training a pet to use the toilet, and includes an installation guide 110, a toilet detection unit 120, and a snack. It may include a provision unit 130.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110)는 패드(10)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패드(10)는 반려동물이 용변을 볼 수 있는 신문지, 배변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110)는 화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려동물이 용변을 볼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110 may guide installation of the pad 10. Here, the pad 10 may include newspaper, a defecation pad, etc. on which the pet can relieve itself. 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110 may be placed in a bathroom.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done anywhere where a pet can relieve itself.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110)는 설치 안내부재(111), 설치 지지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110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and an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재(111)는 패드(10)가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재(111)는 사각형상의 판재 또는 내부가 격자 형상으로 관통된 판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재(111)는 패드(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ad 10 may be seated on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may be a rectangular plate or a plate with a lattice-shaped interio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supporting the pad 10.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지지부재(112)는 설치 안내부재(111)의 하면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설치 지지부재(112)가 설치 안내부재(111) 하면의 각 모서리에 배치됨으로써 설치 지지부재(112)의 높이만큼 설치 안내부재(111)의 하면과 화장실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안내부재(111)가 화장실에 배치된 경우, 설치 안내부재(111)의 하면과 화장실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 안내부재(111) 하부의 화장실 바닥면의 물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지지부재(11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지지부재(11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 지지부재(11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설치 지지부재(11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패드(10)로 올라오는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한 설치 지지부재(112)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That is,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is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and the floor of the toilet can be maintained by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there is. For example, when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is placed in a bathroom,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and the floor of the toilet can be maintained constant, so the toilet floor surface below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Cleaning with water can be easy.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may be formed in a shape of repeating peaks and valley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may b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atterns. In this way,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is formed in a shape of repeating peaks and valleys or a plurality of protruding patterns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coming up to the pad 10 Damage to the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2 due to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 안내부(110)는 소변 유도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변 유도부재(113)는 숫놈인 반려동물의 소변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안내부재(111)의 일측에 돌출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guide 110 may further include a urine inducing member 113. In some embodiments, the urine inducing member 113 is for guiding the urine of a male companion animal and may protrude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용변 감지부(120)는 패드(10)로 배설하는 반려동물의 용변을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용변 감지부(120)는, 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무게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n some embodiments, the toilet detection unit 120 may detect the toilet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ng on the pad 10 . In some embodiments, the toilet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heat sensor, a sound sensor, and a weight sensor.

몇몇 실시예에서 열감지 센서(121)는 설치 안내부재(1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패드(10)에 올라간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용변을 배설할 때, 배설되어 떨어지는 용변의 열을 열감지 센서(121)에서 감지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으로부터 떨어지는 용변의 열을 열감지 센서(121)에서 감지하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 센서(121)에서 용변의 열을 1~2 초 이내로 감지하면, 반려동물의 용변을 대변으로 판단하고, 열감지 센서(121)에서 용변의 열을 3초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하면, 반려동물의 용변을 소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ermal sensor 121 may b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For example, when the pet is on the pad 10 and the pet defecates, the heat of the excreted feces can be detected by the heat detection sensor 121. That is, when the heat detection sensor 121 detects the heat of the toilet dropping from the pet, it is determined that the pet is toileting, and this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if the heat detection sensor 121 detects the heat of the toilet within 1 to 2 seconds, the pet's toilet is judged to be feces, and if the heat detection sensor 121 continuously detects the heat of the toilet for more than 3 seconds, You can judge your pet's defecation by looking at its urine.

몇몇 실시예에서 소리감지 센서(122)는 설치 안내부재(11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 안내부(110) 주변의 화장실 벽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패드(10)에 올라간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용변 중 소변을 볼 때 발생하는 (이 용변을 배설할 때, 반려동물이 끙끙거리며 내뱉는) 소리를 소리감지 센서(122)에서 감지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소변을 볼 때, 발생하는 (끙끙거리며 내뱉는) 소리를 소리감지 센서(122)에서 감지하면,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ound detection sens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laced on the bathroom wall around the installation guide 110. For example, while the pet is on the pad 10,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pet urinates (the pet grunts when excreting this toilet) is detected by the sound detection sensor 122. In other words, if the sound detection sensor 122 detects the sound (grunting or expelling) generated when the pet urin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pet is urinating, and this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unit. It can be sent to .

몇몇 실시예에서 무게감지 센서(123)는 설치 안내부재(1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려고 패드(10)에 올라가면, 패드(10)에 올라간 반려동물의 무게를 무게감지 센서(123)에서 감지하고, 무게감지 센서(123)에서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가 일정시간 유지될 경우,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게감지 센서(123)를 통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반려동물의 용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무게감지 센서(123)와 열감지 센서(121)를 통해 반려동물의 용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eight sensor 123 may b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For example, when a pet goes up on the pad 10 to relieve itself, the weight of the pet on the pad 10 is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123, and the weight of the pet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123 is detected. If the weight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et is toileting, and a signal of this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t is defecating through the weight sensor 123,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et's defecation is feces or urine, so the weight sensor 123 and the heat sensor 121 ), you can also determine whether your pet's defecation is feces or urine.

몇몇 실시예에서 용변 감지부(120)는 영상 촬영장치(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장치(124)는 용변을 보려고 패드(10)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 반려동물의 용변을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장치(124)는 카메라, 판단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ilet detec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apture device 124. In some embodiments, the image capture device 124 may capture a photograph of a pet that climbs onto the pad 10 to relieve itself,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pet is defecating from the captured image. In some embodiments, the image capturing device 124 may include a camera, a determin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패드(10)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설치 안내부재(111)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화장실의 벽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amera may capture a companion animal on the pad 10. In some embodiments, the camera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111 or may be plac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몇몇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자세와 저장부재에 저장된 반려동물의 용변 보는 자세가 일치하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은 용변을 볼 때, 취하는 특정 자세가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취하는 특정 자세에 따라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pet is toileting if the posture of the pet captured by the camera matches the toileting posture of the pet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In other words, since companion animals have a specific posture when going to the bathroom,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going to the bathroom based on the specific posture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taking.

몇몇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구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분부는 판단부에서 판단된 반려동물의 용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은 대변을 볼 때의 특정 자세와 소변을 볼 때의 특정 자세가 다르므로 특정 자세에 따라 반려동물의 용변을 구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etermin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vision unit. In some embodiments, the classification unit may distinguish whether the pet's excremen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is feces or urine. For example, a pet's specific posture when defecating and urinating are different, so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pet's toileting behavior based on its specific posture.

몇몇 실시예에서 전송부는 판단부에서 판단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용변 감지부(12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간식 제공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results determined by the toilet detection unit 120.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식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화장실 외부의 거실에 배치되거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식 제공부(130)는 별도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구분부에서 구분된 대변과 소변에 따라 서로 다른 간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제1 저장부재(131), 제2 저장부재(132), 하우징(133)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der 130 may provide preset snack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be placed in a living room outside the bathroom or attached to a wall.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be placed in a separate loc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ding unit 130 may provide different snacks according to the stool and urine classified in the dividing unit. 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storage member 131, a second storage member 132, and a housing 133.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저장부재(131)는 대변에 대응하는 간식을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저장부재(131)는 간식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상단부에 간식이 투입되는 제1 입구와, 제1 몸체의 하단부에 간식이 배출되는 제1 출구와, 제1 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모터의 동력으로 제1 개폐부재가 제1 출구를 개방하면, 제1 몸체의 공간에 저장된 간식이 제1 출구로 배출되고, 제1 출구로 간식이 배출되면, 제1 개폐부재가 제1 출구를 폐쇄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may store snacks corresponding to feces and discharge th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includes a first body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store snacks, a first entrance through which snacks are introduc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nd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snacks are discharg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It may include one outlet and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outlet. Therefore,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opens the first outlet with the power of the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snack stored in the space of the first body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and when the snack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the fir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loses the first outlet and waits for the next operation.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저장부재(132)는 소변에 대응하는 간식을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저장부재(132)는 간식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단부에 간식이 투입되는 제2 입구와, 제2 몸체의 하단부에 간식이 배출되는 제2 출구와, 제2 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모터의 동력으로 제2 개폐부재가 제2 출구를 개방하면, 제2 몸체의 공간에 저장된 간식이 제2 출구로 배출되고, 제2 출구로 간식이 배출되면, 제2 개폐부재가 제2 출구를 폐쇄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may store snacks corresponding to urine and discharge th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includes a second body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store snacks, a second entrance through which snacks are introduc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entrance through which snacks are discharg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t may include two outlets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outlet. Therefore,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opens the second outlet with the power of the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snack stored in the space of the second body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and when the snack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the second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loses the second outlet and waits for the next operation.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33)은 제1 저장부재(131) 및 제2 저장부재(132)를 감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33)은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부는 하우징(133)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1 출구 또는 제2 출구로 배출되는 간식이 하우징(133)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housing 133 may surround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In some embodiments, housing 133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In some embodiments, the discharge un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33 and may guide snack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or the second outlet to be discharged outside the housing 133.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급수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급수부재(134)는 하우징(133) 일측에 배치되고, 반려동물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급수부재(134)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물통에 저장된 물이 급수부재(134)로 공급되어 급수부재(134)에 항상 일정한 물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mber 134.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supply member 13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33 and can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animal.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supply member 134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member 134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so that a constant amount of water is always stored in the water supply member 134. You can.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재고 파악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고 파악부재(135)는 제1 저장부재(131)와 제2 저장부재(132)에 저장된 간식의 재고를 파악하고, 파악된 자료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고 파악부재(135)는 재고 파악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고 파악 카메라는 제1 저장부재(131)와 제2 저장부재(132)에 각각 내장되고, 제1 저장부재(131)와 제2 저장부재(132)에 저장된 간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고 파악부재(135)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는 제1 저장부재(131)와 제2 저장부재(132)의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장부재(131)와 제2 저장부재(132)에 저장된 간식에 의해 한 쌍의 센서에서 신호를 주고받지 못할 경우, 각 저장부재에 간식이 일정량 이상 보관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한 쌍의 센서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경우, 각 저장부재에 간식이 일정량 이하로 보관된 상태로 판단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재고 파악부재(135)로 전송된 자료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파악부재(135)로부터 전송된 자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되고, 관리자는 전송되는 자료를 분석하여 각 저장부재에 저장된 간식의 재고를 용이하게 파악함은 물론 각 저장부재에 간식의 보충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제어부와 관리자의 단말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tock tracking member 135. 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ory tracking member 135 may check the inventory of snack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and transmit the determined data to the control unit. In some embodiments, inventory tracking member 135 may include an inventory tracking camera. 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ory tracking camera is built into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respectively, and photographs the snack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The captured video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some embodiments, inventory tracking member 135 may be a sensor. In some embodiments, sensors may be arranged in pairs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Therefore, when a pair of sensors does not transmit or receive signals due to the snack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131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132, it can be determined that a certain amount of snacks are stored in each storage member or more. , when signals are exchanged between a pair of sensors, it is determined that snacks are stored below a certain amount in each storage member, and this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data transmitted to the inventory tracking member 135 to the manager's terminal. For example, data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tracking member 135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the manager analyzes the transmitted data to easily determine the inventory of snacks stored in each storage member. Of course, the timing of snack replenishment in each storage member can be adjusted. Here, the network may mean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control unit and the manager's terminal to enable data exchange.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and Internet. ),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패드(10)에 쌓인 용변은 사용자가 패드(10)를 둘둘 말아 처리하거나, 용변을 변기에 버려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an dispose of the waste accumulated on the pad 10 by wrapping the pad 10 around it or disposing of the waste in the toilet.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는 리모콘 또는 핸드폰의 앱을 통해 작동되어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에 음성녹음, 음성송출, 간식토출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리모콘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 앉아 일어서 등을 교육할 때, 앉아, 일어서 등의 행동을 취하면 간식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교육시, 간식의 공급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be operated through a remote control or an app on a mobile phone to provide snacks to the pet. In addition, voice recording, voice transmission, and snack dispensing functions can be added to the remote control, and when training your pet's behavior, such as sitting and standing, through the remote control, snacks can be ejected when the pet performs actions such as sitting and standing. . Therefore, when training a companion animal, snacks are supplied quickly,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간식 제공부(130)의 하우징(133)에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설치하고, 화면과 소리를 통해 반려동물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a display and a speaker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33 of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an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to educate a companion animal through screens and sounds.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장치(124)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는 자세로 인식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간식 제공부(130)에서 간식이 토출되도록 설정해둘 수도 있고, 간식이 떨어지는 시간도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image capture device 124 is recognized as the pet's toileting position, the snack provision unit 130 may be set to dispense snack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You can also set the time for the snacks to drop.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10: 패드
110: 설치 안내부
111: 설치 안내부재
112: 설치 지지부재
113: 소변 유도부재
120: 용변 감지부
121: 열감지 센서
122: 소리감지 센서
123: 무게감지 센서
124: 영상 촬영장치
130: 간식 제공부
131: 제1 저장부재
132: 제2 저장부재
133: 하우징
134: 급수부재
135: 재고 파악부재
100: Pet toilet training device
10: pad
110: Installation guide
111: Installation guide member
112: Installation support member
113: Urine induction member
120: toilet detection unit
121: Heat detection sensor
122: Sound detection sensor
123: Weight detection sensor
124: Video recording device
130: Snack provision department
131: First storage member
132: Second storage member
133: housing
134: Absence of water supply
135: Lack of inventory control

Claims (10)

패드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 안내부;
상기 설치 안내부에 설치된 패드의 상면으로 반려동물이 이동하고, 상기 패드에 배설하는 반려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 및
상기 용변 감지부에서 감지된 용변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식을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n installation guide that guides installation of the pad;
A toile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et's movem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guide and the pet's excretion on the pad; and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including a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a preset snack according to the toilet detected by the toilet dete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안내부는,
상기 패드가 안착되는 설치 안내부재; 및
상기 설치 안내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설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guide,
an installation guide member on which the pad is seated; and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including an installation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and supports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안내부재의 일측에 돌출되고, 반려동물의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urine inducing member that guides the pet to urin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무게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toilet detection unit,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that includes one or more of a heat sensor, a sound sensor, and a weight senso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 반려동물의 용변을 판단하는 영상 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4,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capture device that photographs the pet on the pad and determines the pet's toilet using the captured imag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패드에 올라간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자세와 저장부재에 저장된 반려동물의 용변 보는 자세가 일치하면, 반려동물이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video recording device is,
A camera that photographs a companion animal on the pa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pet is toileting when the posture of the pet captured by the camera matches the toileting posture of the pet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and
A companion animal toilet training device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result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o a control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반려동물의 용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구분하는 구분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lassification unit that distinguishes whether the pet's toile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is feces or urin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간식 제공부는,
상기 대변에 대응하는 간식이 저장된 제1 저장부재;
상기 소변에 대응하는 간식이 저장된 제2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저장부재와 제2 저장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snack provision department,
A first storage member storing snacks corresponding to the stool;
a second storage member storing snacks corresponding to the urine; and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급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재 및 상기 제2 저장부재에 저장된 간식의 재고를 파악하는 재고 파악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변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pet toilet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ventory measuring member that determines the inventory of snack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KR1020220117598A 2022-09-19 2022-09-19 Pet toilet training device KR202400392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98A KR20240039264A (en) 2022-09-19 2022-09-19 Pet toilet trai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98A KR20240039264A (en) 2022-09-19 2022-09-19 Pet toilet trai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264A true KR20240039264A (en) 2024-03-26

Family

ID=9047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598A KR20240039264A (en) 2022-09-19 2022-09-19 Pet toilet trai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26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261A (en) 2019-10-16 2021-04-26 한태경 dog poop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261A (en) 2019-10-16 2021-04-26 한태경 dog poop trai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KR101972224B1 (en) Bowel Movement Device For a Pet
KR101815496B1 (en) Defecation training device for pets and defec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ets comprising the same
US20020078899A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KR102357639B1 (en) Smart excrement disposal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20070283895A1 (en) Portable toilet
WO2014162154A2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6354243B1 (en) Animal litter container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NL2011942C2 (en) Method and animal housing for separating manure.
KR101855966B1 (en)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20240039264A (en) Pet toilet training device
JP2002345358A (en) System for monitoring pet and rearing container for pet
CN209749426U (en) Pet cage with self-cleaning function
KR102018837B1 (en) Device for toilet training
TW200533283A (en) Flush toilet for dogs
KR100609506B1 (en) Evacuation cleaning apparatus for pet
US20220000065A1 (en) Kennel Including a Communication System, Cleaning System, Sanitizing System, Bathroom System,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473718B1 (en) Apparatus for pet toilet training
JP7060955B2 (en) Dog toilet
KR102078698B1 (en) division type excretion disposal apparatus of pet dog
JP7060954B2 (en) Dog toilet
KR102572042B1 (en) Training apparatus for bowel movement for pet animal in a flush toilet
EP0384531A1 (en) A device for feeding dairy animals
JP2017517277A (en) Toilet-type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for male d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