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578A -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578A
KR20240038578A KR1020230092337A KR20230092337A KR20240038578A KR 20240038578 A KR20240038578 A KR 20240038578A KR 1020230092337 A KR1020230092337 A KR 1020230092337A KR 20230092337 A KR20230092337 A KR 20230092337A KR 20240038578 A KR20240038578 A KR 20240038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operated
driver
clutch
interlock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기
김대경
박상훈
김은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6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58403A1/ko
Publication of KR2024003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5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05Compound pedal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8Coordination of integrat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가 추가됨으로써 브레이크장치가 조작되는 것만으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어 후단으로 출력되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이 수월해지고, 미숙한 조작에 의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정지 동작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으로는 이앙기, 콤바인, 농용 트랙터 등이 있다. 이 중 농용 트랙터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해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행 가능한 농사용 차량이다.
일반적으로 농용 트랙터는 부하가 높은 작업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제반 시스템에 비하여 엔진의 출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더라도 실제 정지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농용 트랙터를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면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어 후단의 바퀴 쪽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에 농용 트랙터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감속을 실행시킴과 아울러 클러치페달을 밟아 엔진의 동력이 후단으로 가는 것을 차단시킨다.
또는, 운전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음과 함께 별도의 동력차단용 버튼을 조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상황은 운전자의 주의력 및 민첩함을 요구하기 때문에 운전자로 하여금 조작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또한, 능숙하지 못한 운전자는 조작의 미숙함으로 인하여 사고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83462호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정지(감속의 의미를 포함함)를 위한 운전 조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장치부분;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브레이크페달부분; 엔진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밸브;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과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 및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이 작동될 때 상기 클러치밸브를 연동하여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이하 '연동모드'라 함)로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은 차량의 우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우측브레이크장치; 및 차량의 좌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좌측브레이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은 상기 우측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우측브레이크페달; 및 상기 좌측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좌측브레이크페달;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 및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이 함께 조작됨으로써 상기 우측브레이크장치와 상기 좌측브레이크장치가 함께 작동될 때 상기 연동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핀; 및 상기 결속핀의 결속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을 상호 결속시킨 상태의 값을 가질 때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 중 어느 하나만 조작되는 제1조작상태인지,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이 함께 조작되는 제2조작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편브레이크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조작상태인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 또는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 중 적어도 하나의 정지 조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브레이크센서 및 상기 편브레이크센서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정지 조작상태이면서 상기 제2조작상태인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연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스위치(1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설정스위치(160)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전후진 변속을 위한 전후진변속기; 상기 전후진변속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전후진변속레버; 및 상기 전후진변속레버에 설치되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밸브를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설정스위치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이 조작될 때 또는 상기 동력차단스위치가 조작될 때에 동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를 다단으로 가감속시키기 위한 주변속기; 상기 주변속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주변속레버; 및 상기 주변속레버에 설치되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밸브를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설정스위치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이 조작되면서 차량이 정지될 때 또는 상기 동력차단스위치가 조작될 때에 동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밸브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PP)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어방법은 운전자가 설정스위치를 조작하여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이하 '연동모드'라 함)를 설정하였는지 확인하는 설정확인단계; 상기 설정확인단계에서 상기 연동모드가 확인된 후 운전자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 및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으로 확인되면, 클러치밸브를 작동시켜서 엔진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이 결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결속확인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는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동력차단단계는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상기 결속확인단계에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의 결속이 확인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를 위한 운전 조작이 직관적이고 간단해진다. 따라서 운전자가 보다 수월하게 농업용 작업차량의 정지에 필요한 운전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미숙한 정지 조작에 따른 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용 트랙터에서 엔진에서 출력되는 동력의 연결 및 차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농용 트랙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주지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는 브레이크장치부분(BP), 브레이크페달부분(PP), 브레이크센서(113), 결속핀(FP), 감지센서(114), 클러치밸브(131), 클러치페달(132), 전후진변속기(141), 전후진변속레버(142), 제1동력차단스위치(143), 주변속기(151), 주변속레버(152), 제2동력차단스위치(153), 설정스위치(160) 및 제어기(170) 등을 포함한다.
브레이크장치부분(BP)은 차량(본 실시예에서는 농용 트랙터에 대한 다른 명칭으로 사용됨. 이하 같다)을 정지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여기서 '정지'라 함은 브레이크장치부분(BP)의 작동에 따른 '감속'의 의미를 포괄하며, 이하에서도 같다.
본 발명의 예시에 의하면, 브레이크장치부분(BP)은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를 가진다.우측브레이크장치(111)는 차량의 우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우측브레이크장치(111)는 유압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우측바퀴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좌측브레이크장치(121)는 차량의 좌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좌측브레이크장치(121)는 유압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좌측바퀴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페달부분(PP)은 브레이크장치부분(BP)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부분(PP)은 좌측브레이크페달(122)과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을 가진다.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은 우측브레이크장치(11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을 오른발로 밟아서 우측브레이크장치(111)가 작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서 우측브레이크장치(111)는 제어기(170)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170)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의 족답량에 응답하여 우측브레이크장치(111)를 제어한다.좌측브레이크페달(122)은 좌측브레이크장치(12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오른발로 밟아서 좌측브레이크장치(121)가 작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서 좌측브레이크장치(121)는 제어기(170)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170)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족답량에 응답하여 좌측브레이크장치(121)를 제어한다.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은 운전자의 오른발 근방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센서(113)는 운전자에 의해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센서(113)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이 조작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센서(113)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조작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센서(113)는 쌍으로 구비되어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조작되는지를 모두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센서(113)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전송된다.
결속핀(FP)은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농용 트랙터(100)는 한정된 작업 구간 내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농용 트랙터(100)는 왕복 주행이 잦고, 그만큼 잦은 급선회가 필요하다. 그리고 급선회 시에는 작업의 적정성을 위해 최소의 회전 반경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농용 트랙터(100)는 좌측바퀴와 우측바퀴를 개별적으로 제동시키기 위한 편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우측브레이크페달(112)만 조작하면 우측브레이크장치(111)만 작동하여 우측바퀴에만 제동력이 발생한다. 동일하게, 운전자가 좌측브레이크페달(122)만 조작하면 좌측브레이크장치(121)만 작동하여 좌측바퀴에만 제동력이 발생한다. 그래서 운전자가 급선회가 아닌 차량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동시에 밟아줘야 한다.
만일, 실수로 정지 조작이 아닌 편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면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편브레이크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 주행에서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결속을 위해 결속핀(FP)이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운전자는 결속핀(FP)을 이용하여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킬 수도 있지만, 결속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운전자는 결속핀(FP)으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가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양 브레이크페달(112, 122)를 동시에 밟아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결속핀(FP)으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키거나 결속시키지 않는 것은 운전자의 선택 사항이다.
감지센서(114)는 결속핀(FP)이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일 예시에 의하면, 감지센서(114)는 위치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센서는 결속핀(FP)이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결속시키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센서(114)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어느 하나만 조작되는 제1조작상태(편브레이크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해서 활용된다. 바꿔 말하면, 감지센서(114)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되는 제2조작상태(제동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해서 활용된다. 즉, 감지센서(114)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어느 하나만 조작되는 제1조작상태인지,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되는 제2조작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편브레이크센서로 활용된다.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전송된다.
클러치밸브(131)는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거나 동력을 연결시킨다.
클러치페달(132)은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클러치페달(132)을 왼발로 밟아서 동력이 차단되도록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클러치페달(132)은 브레이크페달부분(BP)과 함께 조작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클러치페달(132)은 브레이크페달부분(BP)과는 별개로 구비되며, 운전자의 왼발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밸브(131) 및 클러치페달(132)과 관련하여서 도 2의 개략적인 예시를 참조해 볼 수 있다.
클러치밸브(131)는 클러치(C)를 조작하여 엔진(E) 측의 구동축(DS)과 바퀴(W) 측의 출력축(OS)을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물론, 클러치밸브(131)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32)을 조작함으로써 동작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32)을 밟으면 클러치밸브(131)는 구동축(DS)과 출력축(OS)의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러면, 엔진(E)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은 구동축(DS)에서 후단의 출력축(OS)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끊기게 된다.
반면에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32)로부터 발을 떼면 클러치밸브(131)는 구동축(DS)과 출력축(OS)을 결합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래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구동축(DS)에서 후단의 출력축(OS)로 전달된다.
물론, 클러치(C)의 형태(기어구조, 다판구조 등)와 클러치밸브(131)의 형태(클러치의 형태에 대응하는 조작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전후진변속기(141)는 차량의 전후진 변속을 위해 마련된다.
전후진변속레버(142)는 전후진변속기(14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운전자는 전후진변속레버(142)를 조작하여 전진 상태에서 후진 상태로 변속을 실행시키거나, 후진 상태에서 전진 상태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는 전후진변속레버(142)에 설치되어서 전후진변속레버(14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는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는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를 조작함으로써 동력을 차단하도록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는 버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제1동력차단스위치(143)의 버튼이 눌려지면, 클러치밸브(131)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반면에 제1동력차단스위치(143)의 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 클러치밸브(131)는 동력을 연결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전후진 변속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먼저 제1동력차단스위치(143)의 버튼을 눌러 동력을 차단시킨다. 그 상태에서, 운전자는 전후진변속레버(142)를 조작하여 전후진 변속을 실행시킨다. 이 후, 운전자는 제1동력차단스위치(143)의 버튼에 대한 누름을 해제한다. 그러면, 농용 트랙터(100)의 전후 주행 방향이 전환된다.
주변속기(151)는 차량의 속도를 다단으로 가감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주변속레버(152)는 주변속기(15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운전자는 주변속레버(152)를 조작하여 차량의 속도를 다단으로 가감속하기 위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는 주변속레버(152)에 설치되어서 주변속레버(15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는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는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를 조작함으로써 동력을 차단하도록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는 버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제2동력차단스위치(153)의 버튼이 눌려지면, 클러치밸브(131)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반면에 제2동력차단스위치(131)의 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 클러치밸브(131)는 동력을 연결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가감 변속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먼저 제2동력차단스위치(153)의 버튼을 눌러 동력을 차단시킨다. 그 상태에서, 운전자는 주변속레버(152)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킨다. 이 후, 운전자는 제2동력차단스위치(153)의 버튼에 대한 누름을 해제한다. 그러면, 농용 트랙터(100)의 변속 단수가 전환되면서 속도가 가감된다.
설정스위치(160)는 차량이 정지될 때 클러치밸브(131)를 연동하여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이하 '연동모드'라 함)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설정스위치(160)는 필요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설정스위치(160)는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설정스위치(160)를 조작하여 연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의하면,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제어기(170)는 연동모드에 따라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됨으로써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가 함께 작동되면서 차량이 정지될 때 동력이 차단되도록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한다.
제어기(170)는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를 가지는 브레이크장치부분(BP) 및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시에 따르면, 제어기(170)는 연동모드에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되면서 차량이 정지될 때 동력이 차단되도록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어기(170)는 편브레이크 상황에서는 동력을 차단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시에 의하면, 제어기(170)는 설정스위치(160)에 의해 연동모드로 설정되고,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상호 결속시킨 상태의 값을 가질 때에만 연동모드로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기(170)는 제1조작상태에서는 연동모드로 제어하지 않고, 제2조작상태에서인 경우에만 연동모드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70)는 브레이크센서(113) 및 편브레이크센서(114)로부터 온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조작상태이면서 제2조작상태로 확인된 경우에 연동모드로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는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작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첫째, 운전자는 클러치페달(132)을 조작하여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둘째, 운전자는 설정스위치(160)를 이용하여 연동모드를 설정한 후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조작함으로써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결속핀(FP)에 의해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결속되어 있을 전제 조건이 요구된다. 당연히, 이 상황에서는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의 작동에 의해 양쪽 바퀴로 제동력도 함께 가해진다.
셋째, 운전자는 제1동력차단스위치(143)나 제2동력차단스위치(153)를 조작하여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운전자는 위의 조작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방식을 활용하여 정지 상황에서 클러치밸브(131)가 동력을 차단시키도록 조종할 수 있다. 물론, 운전자의 다양한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기(170)가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여 동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예시는 브레이크 조작 상황에서의 정지를 위한 제어방법만이 발췌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아래의 설명에서는 브레이크센서(113)와 감지센서(114)가 구비되며, 브레이크센서(113)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됨을 가정하였다.
1. 설정확인<S21>
제어기(170)는 운전자가 설정스위치(160)를 조작하여 연동모드를 설정하였는지를 확인한다.
2. 조작확인<S22>
단계 S21에서 연동모드로 설정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기(170)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70)는 브레이크센서(113)로부터 온 정보가 우측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3. 결속확인<S23>
단계 S22에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으로 확인되면, 제어기(170)는 감지센서(114)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결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
4. 동력차단<S24>
제어기(170)는 단계S22에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이 조작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단계 S23에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결속이 확인되면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한다.
이후 상황이 종료되어서 운전자가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제어기(170)는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연결시킨다.
<응용예>
위의 실시예는 결속핀(FP)에 의해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결속된 경우에만 연동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브레이크센서(113)가 쌍으로 구비되어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의 조작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조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면, 제어기(170)로서는 굳이 감지센서(114)로부터 정보를 얻을 필요가 없다.
즉, 제어기(170)는 한 쌍의 브레이크센서(113)로부터 오는 정보만으로 편브레이크 상황인지 편브레이크 상황이 아니고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응용예에서는 감지센서(114) 및 이에 필요한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제어기(170)가 차량이 정지되기 위해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가 함께 작동한다는 정보만 알 수 있으면,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좌측브레이크장치(121)가 함께 작동되면서 차량이 정지될 때 동력이 차단되도록 구현되는 경우이면 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응용예에 따르면 제어기(114)가 양 브레이크센서(113)로부터 온 정보를 통해 편브레이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양 브레이크센서(113)가 편브레이크센서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부가적인 설명>
1. 도 3의 흐름도에 대한 설명에서는 브레이크센서(113)가 우측브레이크페달(112)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브레이크센서(113)가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2. 위의 설명들은 농용 트랙터(100)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앙기나 콤바인과 같은 다른 종류의 농업용 작업차량에도 얼마든지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3. 앞서의 설명들에서의 정지라는 개념은 속도 '0km/h로 되는 것'만을 의미한다기 보다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4. 도 1 내지 도 3의 예시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조작만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일정 족답량 이상으로 브레이크페달(112, 122)이 밟혔을 경우에만 연동모드로 제어되게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어기(170)에서 족답량에 대한 감지값과 연동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설정값을 비교하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구현되면, 제어기(170)는 감지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에만 연동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이런 응용 예시를 적용하면 클러치밸브(131)의 잦은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구체화된 예시들 외에도 다양한 예시들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다양한 응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위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국한되게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대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별도로 기재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농용 트랙터
111 : 우측브레이크장치 112 : 우측브레이크페달
113 : 브레이크센서 114 : 감지센서
121 : 좌측브레이크장치 122 : 좌측브레이크페달
131 : 클러치밸브 132 : 클러치페달
141 : 전후진변속기 142 : 전후진변속레버
143 : 제1동력차단스위치
151 : 주변속기 152 : 주변속레버
153 : 제2동력차단스위치
160 : 설정스위치
170 : 제어기

Claims (11)

  1.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장치부분(BP);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BP)을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브레이크페달부분(PP);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밸브(131);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과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페달(132); 및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BP) 및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제어기(17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PP)이 작동될 때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연동하여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이하 '연동모드'라 함)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BP)은
    차량의 우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우측브레이크장치(111); 및
    차량의 좌측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좌측브레이크장치(121); 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은
    상기 우측브레이크장치(11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및
    상기 좌측브레이크장치(12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및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됨으로써 상기 우측브레이크장치(111)와 상기 좌측브레이크장치(121)가 함께 작동될 때 상기 연동모드로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핀(FP); 및
    상기 결속핀(FP)의 결속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4); 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을 상호 결속시킨 상태의 값을 가질 때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어느 하나만 조작되는 제1조작상태인지,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함께 조작되는 제2조작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편브레이크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제2조작상태인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 또는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적어도 하나의 정지 조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센서(11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브레이크센서(113) 및 상기 편브레이크센서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정지 조작상태이면서 상기 제2조작상태인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스위치(1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설정스위치(160)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연동모드로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7. 제6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진 변속을 위한 전후진변속기(141);
    상기 전후진변속기(14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전후진변속레버(142); 및
    상기 전후진변속레버(142)에 설치되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스위치(14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설정스위치(160)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이 조작될 때 또는 상기 동력차단스위치(143)가 조작될 때에 동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8. 제6 항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다단으로 가감속시키기 위한 주변속기(151);
    상기 주변속기(15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주변속레버(152); 및
    상기 주변속레버(152)에 설치되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스위치(15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설정스위치(160)에 의해 상기 연동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이 조작될 때 또는 상기 동력차단스위치(153)가 조작될 때에 동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밸브(131)를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부분(PP)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장치부분(PP)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어방법.
  10. 운전자가 설정스위치(160)를 조작하여 브레이크-클러치 연동모드(이하 '연동모드'라 함)를 설정하였는지 확인하는 설정확인단계<S21>;
    상기 설정확인단계<S21>에서 상기 연동모드가 확인된 후 운전자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S22>; 및
    상기 조작확인단계<S22>에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으로 확인되면, 클러치밸브(131)를 작동시켜서 엔진(E)으로부터 출력되어 후단으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단계<S24>; 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이 결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결속확인단계<S2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확인단계<S22>에서는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동력차단단계<S24>는 상기 조작확인단계<S22>에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상기 결속확인단계<S23>에서 상기 우측브레이크페달(112)과 상기 좌측브레이크페달(122)의 결속이 확인된 경우에 수행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30092337A 2022-09-16 2023-07-17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38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662 WO2024058403A1 (ko) 2022-09-16 2023-07-24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7122 2022-09-16
KR1020220117122 2022-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578A true KR20240038578A (ko) 2024-03-25

Family

ID=9047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337A KR20240038578A (ko) 2022-09-16 2023-07-17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5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462A (ko) 2009-01-14 2010-07-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의 전자브레이크를 구비한 전후진 변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462A (ko) 2009-01-14 2010-07-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의 전자브레이크를 구비한 전후진 변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171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US6619460B1 (en) Braking arrangement and braking maneuver means
US9133604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KR101716724B1 (ko) 승용형 이앙기
US9096231B2 (en) Rollback prevention system for mobile machine
US8079934B2 (en) Engine stall prevention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128455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74451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ing the movement of a vehicle, in particular for an agricultural tractor
US20130256052A1 (en) Rollback prevention system for mobile machine
KR20240038578A (ko)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219939B1 (ko) 차량용 자동화 변속 장치
JP5227153B2 (ja) ブルドーザの制御装置
JPH0811689A (ja) 連結車両の制動装置の制御装置
CN112805491B (zh) 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装置及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方法
JP2015101163A (ja) 作業車両
JP4423860B2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KR102365179B1 (ko) Tmed 차량의 변속기 제어 방법
JPH0324359A (ja) 産業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2022011031A (ja) 作業車両
JP5027596B2 (ja) 作業車
JP3359829B2 (ja) 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CN117794794A (zh) 农业用作业车辆
JPH0540357Y2 (ko)
JPH0216900Y2 (ko)
JPH0266368A (ja) 車両の変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