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380A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380A
KR20240038380A KR1020220117126A KR20220117126A KR20240038380A KR 20240038380 A KR20240038380 A KR 20240038380A KR 1020220117126 A KR1020220117126 A KR 1020220117126A KR 20220117126 A KR20220117126 A KR 20220117126A KR 20240038380 A KR20240038380 A KR 20240038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display
mo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380A/en
Priority to US18/199,895 priority patent/US20240092169A1/en
Publication of KR2024003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38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40Hardware adaptations for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48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2Arrangements to cover or hid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2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칵핏부와, 칵핏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와,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곡선형의 이동경로를 갖도록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고, 개구부를 통해 출몰하는 디스플레이유닛과, 가이드부 상에서 디스플레이유닛이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ckpit portion having an opening, a guide portion mounted inside the cockpit portion, and a display device disposed inside the cockpit portion,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to have a curved movement path, and appears and exits through the opening. It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moves the display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moves on the guide unit.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블 무빙 방식으로 칵핏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display device that can adjust the height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ckpit in multiple stages using a swivel moving method.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이다. 차량의 실내 전방에 설치되는 칵핏 상에는 오디오/비디오용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A vehicle display device is one of the devices to ensure driver convenience. An audio/video display is installed on the cockpit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s interior.

팝업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칵핏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으로 출몰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사용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칵핏에 완전히 수납되기 위해서는 칵핏 내부의 수납공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이상으로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A pop-up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that appears vertically in the cockpit of a vehicle. In order for the display device to be completely stored in the cockpit when the display device is not in us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ockpit must be sufficiently secured to exceed the height of the display device.

팝업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에 적용되면 칵핏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어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이 때문에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팝업형으로 구현이 불가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When a pop-up typ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a vehicle, the thickness of the cockpit has to become thicker, which reduces the utilization of the vehicle's interior space. For this reason,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a large display device in a pop-up typ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5522호(2021.12.01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팝업 콘솔)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35522 (registered on December 1, 2021, title of invention: Pop-up conso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블 무빙 방식으로 칵핏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display device that can adjust the height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ckpit in multiple stages using a swivel mov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칵핏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곡선형의 이동경로를 갖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몰하는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ckpit portion having an opening; a guide unit mounted inside the cockpit unit, a display unit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moved along the guide unit to have a curved movement path, and appearing through the opening; and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moves on the guid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상의 복수 지점을 오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는 상기 복수 지점의 각 지점마다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moved along the guide part to go to and from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guide part,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s differ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ints.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화면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설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that output a screen, and the adjacent display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t angle.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은 화면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is formed as a flat surface.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복수 지점의 개수와 복수 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oints on the guide part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parts are the same.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브래킷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브래킷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디스플레이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bracket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bracket unit and moved along the guide unit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e unit.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상하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상하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3상하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3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that is formed with a first vertical width a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a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a secon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isplay unit, formed with a second vertical width,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a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And a thir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display unit, formed to have a third vertical width,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연결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nec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후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each formed a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상하폭은 상기 제1상하폭 및 상기 제3상하폭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op and bottom width is wider than the first top and bottom width and the third top and bottom width.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칵핏부에 장착되고, 탑승석을 향해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의 경로를 이루도록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곡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와 치합되는 가이드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art includes a guide body part mounted on the cockpit part and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ward the passenger seat; and a guide gear portion in which gears are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guide body portion to form a path of the display gear portion and meshed with the display gear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상기 가이드기어부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 parts are disposed on the guide body part along the guide gear part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축소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1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표준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2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확장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duction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isplay gear unit to reach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and when a standar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gear unit is controlled to drive so that it reaches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hird display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When an expansion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gear unit is driven to control the display gear unit to reach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The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본 발명에서 상기 축소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축소클러스터표시부와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소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duced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and a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and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rea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is displayed, and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area to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con.

본 발명에서 상기 표준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표준클러스터표시부와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준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ard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and a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and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is the screen are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riving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in graphic form, and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area to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 graphic form.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와 확장클러스터표시부 및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중앙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확장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메인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차량 상태,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메인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ansion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an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and a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to display an infotainment image, and the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riving environment, vehicle status, and speedometer,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displays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칵핏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촉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ckpit part is mounted around the opening,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rt, and includes a sealing part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유닛이 스위블 무빙 방식으로 칵핏부에서 이동되므로 칵핏부 내에서 디스플레이유닛의 수납 시 사용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is moved in the cockpit using a swivel moving method, the space used when storing the display unit in the cockpit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the vehicle's interior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칵핏부의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칵핏부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유닛의 대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cockpit can be reduced, so the display unit can be enlarg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ckp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각종 정보나 콘텐츠 등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화면의 찌그러짐이나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where various information or content i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hereby reducing screen distortion or dist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닛이 칵핏부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D-D’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어제스처감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제스처감지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스포츠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충전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차숙박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in the cockpit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in a reduce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in a standar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11.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in extended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D-D' in FIG. 16.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expansion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in a vehicle display device in a vehicle ignition-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t night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ar lod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닛이 칵핏부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소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C-C’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준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D-D’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영역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in the cockpit par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it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vehicle display device in reduced mode,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A-A' of FIG. 5, and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B-B' of FIG. 5.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ayout diagram showing, Figure 10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reduc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n example of a vehicle display device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11.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the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standar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isplay device in an extended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D-D' of FIG. 16, and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in the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n extended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칵핏부(100), 가이드부(200), 디스플레이유닛(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7 ,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ckpit unit 100, a guide unit 200, a display unit 300, and a driving unit 400.

칵핏부(100)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석하는 탑승석(C)의 전방에 배치된다. 칵핏부(100)에는 차량의 조향을 위한 핸들, 차량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 차량의 연료 상태를 표시하는 유량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ockpit unit 1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ssenger seat (C) where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sit. A steering wheel for steering the vehicle, a speedometer for displaying the vehicle's driving speed, and a flow meter for displaying the fuel status of the vehicle may be disposed in the cockpit unit 100.

칵핏부(100)는 상면에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몰될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1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몰 가능하게, 개구부(110)의 좌우폭은 디스플레이부(310)의 좌우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The cockpit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0 on its upper surface so that the display unit 310 of the display unit 300 can be displayed. To enable the display unit 310 to appear,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pening 110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isplay unit 310.

칵핏부(100)는 실링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120)는 개구부(110)의 둘레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부(310)와 접촉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ckpit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120. The sealing unit 120 is mounted around the opening 110,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310, and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실링부(120)는 개구부(110)와 디스플레이부(310)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칵핏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aling portion 120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ockpit portion 100 between the opening portion 110 and the display portion 310.

실링부(120)는 제1실링부(121)와 제2실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art 121 and a second sealing part 123.

제1실링부(121)는 개구부(110)에 디스플레이부(310)의 전면을 향해 장착된다. 제2실링부(123)는 개구부(110)에 디스플레이부(310)의 후면을 향해 장착된다. 제1실링부(121)와 제2실링부(12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1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개구부(11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part 121 is mounted in the opening 110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310. The second sealing part 123 is mounted in the opening 110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310. The first sealing part 121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23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opening 110 from the front and back of the display unit 310.

가이드부(200)는 칵핏부(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200)는 가이드몸체부(210)와 가이드기어부(220)를 포함한다. The guide unit 200 is mounted inside the cockpit unit 10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300. The guide portion 200 includes a guide body portion 210 and a guide gear portion 220.

가이드몸체부(210)는 칵핏부(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탑승석(C)을 향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가이드기어부(22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기어부(370)의 이동경로를 이루도록 가이드몸체부(210)의 곡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기어부(370)와 치합된다. The guide body portion 210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ckpit portion 100 and is formed as a concave curved surface toward the passenger seat (C). The guide gear portion 220 has teeth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guide body portion 210 to form the moving path of the display gear portion 370 of the display unit 300, and is meshed with the display gear portion 370.

가이드기어부(220)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부(210)를 따라 차량의 측방에서 바라볼 때 하방으로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310)가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스위블(Swivel) 무빙방식 이동이란 디스플레이부가 직선 형태로 이동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회전축(O)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처럼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guide gear portion 2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is concave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long the guide body portion 210, which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display portion 310 of the display unit 300 operates in a swivel moving manner. Let it be moved to . Here, swivel moving type movement means that the display unit is not moved in a straight line, but is moved as if it is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O shown in FIG. 3.

디스플레이부(310)는 가이드기어부(220)를 따라 이동되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에 의해, 가상의 회전축(O)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이동되면서 개구부(110)에서 출몰한다. The display unit 310 appears in the opening 110 while being rotated about the virtual rotation axis O by the display gear unit 370 that moves along the guide gear unit 220.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몸체부(210)는 곡면 형상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몸체부(210)의 형상과 관계 없이, 가이드기어부(220)가 차량의 측방에서 바라볼 때 하방으로 오목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기어부(220)와 맞물리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의 이동을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body portion 210 is illustrated as having a curved shape, but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guide body portion 210, the guide gear portion 220 has a curved shape that is concave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display gear unit 370, which is formed and engaged with the guide gear unit 220, can be implemented using a swivel moving method.

디스플레이유닛(300)은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면이 출력되는 전면이 차량의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선형의 이동경로를 갖도록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되고,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출몰한다. The display unit 300 is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100 and moves along the guide unit 200 so that the front where the screen is output has a curved movement path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opening 110 ) appears outside.

디스플레이유닛(300)은 가이드부(200) 상의 복수 지점을 오가도록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되고,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돌출높이는 가이드부(200) 상의 복수 지점의 각 지점마다 다르다. The display unit 300 is moved along the guide unit 200 to go to and from multiple points on the guide unit 200,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300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determined by the guide unit 200. Each of the plurality of points on the image is different.

디스플레이유닛(300)이 가이드부(200) 상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200) 상의 복수 지점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센서부(500)의 제1센서부(510), 제2센서부(520), 제3센서부(5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된다.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guide unit 200 where the display unit 300 moves on the guide unit 200 are the first sensor unit 510, the second sensor unit 520, and the sensor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3 Corresponds to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unit 530 is installed.

디스플레이유닛(300)은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를 포함한다. 이웃한 디스플레이부(310)는 설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The display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that output a scree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djacent display units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t angle.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는 서로 연결되어 멀티 비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는 하나의 비젼으로 하나의 영상 정보를 탑승자에서 제공하거나. 복수개의 비젼으로 구획되어 다양한 영상 정보를 동시에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used for multi-vision. Therefore,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provide one image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through one vision. It is divided into multiple visions and can provide various image information to passengers at the same time.

디스플레이유닛(300)은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와 디스플레이기어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bracket unit 350 and a display gear unit 370.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는 디스플레이부(310)를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는 디스플레이부(310)의 일측(도 6 기준 하측)을 지지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에서 하측인 제3디스플레이부(34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는 디스플레이부(31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The display bracket unit 350 supports the display unit 310. The display bracket unit 350 supports one side (lower side in FIG. 6) of the display unit 310. As an example, the display bracket unit 350 may support the third display unit 340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Of course, the display bracket unit 350 can support the entire display unit 310.

디스플레이기어부(370)는 디스플레이브래킷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부(400)에 의해 회전되면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된다. 디스플레이기어부(370)는 외측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가이드기어부(220)와 치합된다. The display gear unit 37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bracket unit 350,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400 and moved along the guide unit 200. The display gear unit 370 has gears formed on its outer surface and meshes with the guide gear unit 220.

디스플레이기어부(370)는 구동부(400)에 축연결되어 구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가이드기어부(220)를 따라 이동된다. 디스플레이기어부(37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출몰되는 높이가 조절된다. The display gear unit 370 is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and moves along the guide gear unit 220. The height at which the display unit 310 appear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adjusted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amount of the display gear unit 370.

구동부(400)는 가이드부(200) 상에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유닛(300)에 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부(400)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400)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의 중심부에 축연결되어, 디스플레이기어부(370)를 회전시킨다. The driving unit 400 provides power to the display unit 300 so that the display unit 300 moves on the guide unit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400 may be made of a motor. The driving unit 400 is axi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gear unit 370 and rotates the display gear unit 370.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to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320, a second display unit 330, and a third display unit 340.

디스플레이부(310)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이웃한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10 is shown as three pieces: a first display unit 320, a second display unit 330, and a third display unit 340, but the display unit 310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may be formed by consecutively connecting two, four or more adjacent display units.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 각각은 화면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석하는 탑승석(C)을 향하는 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 각각은 화면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has a flat front surface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Here, the front is the side facing the passenger seat (C) where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are seat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each have a flat front surface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 각각의 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가 곡면이 경우에 비해 영상 정보 등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formed as a flat surface, so that distortion of image information, etc.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is curved.

가이드부(200) 상의 복수 지점의 개수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의 개수는 동일하다. The number of points on the guide unit 200 and the number of display units 310 are the same.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와 같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므로, 가이드부(200) 상의 복수 지점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310)의 개수에 맞춰 3개로 설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are illustrated as consisting of three, such as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so the guide unit 200 The number of multiple points on the image is set to thr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play units 310.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10)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31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320, a second display unit 330, and a third display unit 340.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제1상하폭(L1)으로 형성된다.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면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1지점은 센서부(500)의 제1센서부(510)의 위치 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The first display unit 320 is formed to have a first vertical width L1.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when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Here, the first point is set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unit 510 of the sensor unit 500 or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상하폭(L2)으로 형성된다.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면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지점은 센서부(500)의 제2센서부(520)의 위치 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정된다.The second display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is formed with a second upper and lower width L2. The second display unit 330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when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Here, the second point is set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unit 520 of the sensor unit 500 or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3상하폭(L3)으로 형성된다.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면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3지점은 센서부(500)의 제3센서부(530)의 위치 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정된다.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is formed with a third upper and lower width L3.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when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Here, the third point is set as the position of the third sensor unit 530 of the sensor unit 500 or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에 따라 칵핏부(110)의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된다.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310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of the cockpit unit 110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드는 축소모드, 표준모드, 확장모드와 같이 3개의 모드로 예시된다. 도 4는 축소모드, 표준모드, 확장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310)의 배치를 각각 보여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높이가 3단으로 조절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e is exemplified by three modes: reduced mode, standard mode, and extended mode. Figure 4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310 in reduced mode, standard mode, and extended mode, respectively.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310 is adjusted in three stages.

축소모드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로서, 도 4에서 디스플레이부(310)의 상단이 가장 낮게 배치된 상태이다. 확장모드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서, 도 4에서 디스플레이부(310)의 상단이 가장 높게 배치된 상태이다. 표준모드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높이가 축소모드보다는 높고, 확장모드보다는 낮은 상태이다. The reduce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display unit 310 is the lowest, and the top of the display unit 310 is placed at the lowest level in FIG. 4 . The extende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310 has the highest protrusion height, and in FIG. 4, the top of the display unit 310 is placed at the highest level. In the standard mod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play unit 310 is higher than in the reduced mode and lower than in the extended mode.

본 실시예에서 축소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320)만이 칵핏부(100)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고, 표준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까지 칵핏부(100)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며, 확장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30) 모두가 칵핏부(100)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reduced mode is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ckpit unit 100, and the standar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cockpit unit ( 100), and in the expansion mode, the first display unit 320,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ird display unit 330 are all protruded outward from the cockpit unit 100. .

도 3은 축소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310)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가상의 회전축(O)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310)가 각도 α1 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310)는 표시모드로 변환된다. 축소모드인 디스플레이부(310)가 각도 α1 + α2 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310)는 확장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각도 α1은 17 ~ 23°로 이루어지고, 각도 α2는 12 ~ 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3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310 in reduced mode. When the display unit 310 rotates at an angle α1 around the virtual rotation axis O, the display unit 310 is converted to the display mode. When the display unit 310 in the reduced mode rotates at an angle α1 + α2, the display unit 310 is converted to the expanded mode. Here, angle α1 may be comprised of 17 to 23°, and angle α2 may be comprised of 12 to 18°.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제2상하폭(L2)은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제1상하폭(L1)과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제3상하폭(L3)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op and bottom width (L2)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s wider than the first top and bottom width (L1)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third top and bottom width (L3) of the third display unit 340. can be formed.

즉,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상하폭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축소모드 시에 제1디스플레이부(320)만이 개구부(110)로 돌출되어 화면을 출력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탑승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32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Therefore, in the reduced mode, only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into the opening 110 to output the screen, thereby minimizing the extent to which the display unit 300 blocks the occupant's front view.

또한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상하폭이 가장 크므로, 표준모드 시에 충분한 화면크기를 통해 각종 정보나 콘텐츠 등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고, 확장모드 시에 시네마 모드를 비롯한 인포테인먼트 기능 시에 대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rtical width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s the largest, various information and content can be smoothly provided through a sufficient screen size in standard mode, and in extended mode, large screens can be displayed when using infotainment functions including cinema mode. A screen can be provided.

확장모드 시에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노면과 이루는 각도가 85 ~ 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모드 시에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노면과 대략 90°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모드 시에 가장 큰 화면영역을 제공하는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전면이 탑승자의 시선방향과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을 이루게 되므로 시청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e extended mode, the angle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with the road surface may be 85 to 100°. In this embodiment, in the extended mode,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s arranged to form approximately 90° with the road surface. Accordingly, in the extended mode, the front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which provides the largest screen area, is perpendicular or almost perpendicular to the passenger's gaze direction, thereby improving viewing convenience.

도 8을 참조하면, 제1디스플레이부(32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H1이다.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칵핏부(100)에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이동되면서 개구부(110)를 통해 출몰되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H1)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상하폭인 제1상하폭(L1)보다 작게 된다(H1 < L1). Referring to FIG. 8,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is H1. Since the first display unit 320 is moved to the cockpit unit 100 in a swivel moving manner and appears through the opening 110, the height (H1) at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 is smaller than the first vertical width (L1), which is the vertical width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H1 < L1).

따라서 노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몰되는 종래 팝업 방식에 비해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움직이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가 칵핏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시에 이동경로를 이루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isplay unit 300 moves in a swivel moving metho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p-up method that appea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surface, the first display unit 320 forms a movement path when mov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ckpit unit 100. Space can be reduced.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기어부(370)는 가이드부(200)의 가이드기어부(220)에 치합된다. 디스플레이기어부(370)는 구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치합된 곡형의 가이드기어부(220)를 따라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310)가 개구부(110)에서 출몰된다. The display gear unit 370 of the display unit 300 is engaged with the guide gear unit 220 of the guide unit 200. The display gear unit 37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and moves along the meshed curved guide gear unit 220, so that the display unit 310 appears and retracts from the opening 1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H2이다.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칵핏부(100)에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이동되면서 개구부(110)를 통해 출몰되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H2)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제1상하폭(L1)과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제2상하폭(L)의 합(L1+L2)보다 작게 된다(H2 < L1 + L2).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pening 110 is H2.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re moved to the cockpit unit 100 in a swivel moving manner and appear through the opening 110, so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 The height H2 at which 330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upper and lower width L1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upper and lower width L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t becomes smaller than the sum (L1+L2) (H2 < L1 + L2).

따라서 노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몰되는 종래 팝업 방식에 비해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움직이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가 칵핏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시에 이동경로를 이루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isplay unit 300 moves in a swivel moving metho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p-up method that appea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surface,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mov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ckpit unit 100. When moving, the space forming the movement path can be reduced.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H3이다.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칵핏부(100)에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이동되면서 개구부(110)를 통해 출몰되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H3)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제1상하폭(L1)과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제2상하폭(L2)과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제3상하폭(L3)의 합(L1+L2+L3)보다 작게 된다(H3 < L1 + L2 + L3). Referring to FIGS. 16 and 17 ,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The height is H3.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are moved to the cockpit unit 100 in a swivel moving manner and appear through the opening 110,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 The height H3 at which the second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equal to the first upper and lower width L1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It becomes smaller than the sum (L1 + L2 + L3)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width (L2)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upper and lower width (L3) of the third display unit 340 (H3 < L1 + L2 + L3).

따라서 노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몰되는 종래 팝업 방식에 비해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움직이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가 칵핏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시에 이동경로를 이루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isplay unit 300 moves in a swivel moving metho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p-up method that appea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surface,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When mov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ckpit unit 100, the space forming the movement path can be reduced.

도 17을 참조하면, 평면의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전면과 평면의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는 β1이고, 평면의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전면과 평면의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는 β2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 β1은 140 ~ 150°이고, 각도 β2는 145 ~ 155°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of the planar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front of the planar third display unit 340 is β1,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ront of the planar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front of the planar third display unit 340 is β1.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s β2. In this embodiment, angle β1 may be 140 to 150°, and angle β2 may be 145 to 155°.

각도 β2는 각도 β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가장 낮게 배치된 상태이고, 탑승자의 눈은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확장모드 시에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화면을 탑승자가 온전히 볼 수 있도록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꺾임 각도(β2)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꺾임 각도(β1)보다 크게 형성된다. Angle β2 may be formed larger than angle β1. 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placed lowes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and the occupant's eyes are located above the third display unit 340, so in the extended mode, the third display unit ( The bending angle (β2) of 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bending angle (β1)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so that the occupants can fully view the screen of the third display unit 340.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가장 높게 배치된 상태이고, 확장모드 시에 탑승자의 눈은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거의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꺾임 각도(β1)는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꺾임 각도(β2)보다 작게 하여 확장모드에서도 화면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unit 320 is placed the highes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and in the extended mode, the passenger's eyes are positioned almost parallel to the first display unit 320, so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bending angle (β1) of the unit 320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bending angle (β2) of the third display unit 340 to prevent screen blind spots even in extended mode.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각각의 연결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표준모드에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로 이루어지는 화면영역, 확장모드에서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로 이루어지는 화면영역의 단절감을 없앨 수 있다.Each connec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s a result, the screen area consisting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in the standard mode, and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in the extended mod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feeling of disconnection in the screen area.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각각의 후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10)가 스위블 무빙방식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310)의 후면과 개구부(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rea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ird display unit 340 are formed as curved surfaces. Therefore, even when the display unit 310 is moved in a swivel moving mann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10 and the opening 100 can be maintained const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부(500),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다.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500 and a control unit 600.

도 6 및 도 21을 참조하면, 센서부(500)는 가이드몸체부(210)에 가이드기어부(220)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복수 개의 센서부(5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의 개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21 , a plurality of sensor units 500 are disposed on the guide body unit 210 along the guide gear unit 220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00. The number of sensor units 500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display units 310.

센서부(500)는 제1센서부(510), 제2센서부(520) 및 제3센서부(530)를 포함할다. 제1센서부(510), 제2센서부(520) 및 제3센서부(530)는 가이드기어부(220)를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각각 배치된다. The sensor unit 50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510, a second sensor unit 520, and a third sensor unit 530. The first sensor unit 510, the second sensor unit 520, and the third sensor unit 530 are respectively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long the guide gear unit 220.

제어부(600)는 센서부(500)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500.

제어부(600)는 탑승자 등으로부터 축소모드(심플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고, 제1센서부(510)에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310)의 이동이 중지되어 제1디스플레이부(320)만이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축소모드가 구현된다.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when a reduced mode (simple mod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assenger, etc., and the display gear unit 370 in the first sensor unit 51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When a detection signal that has been reached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is stopp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310 is stopped and a reduced mode is implemented in which only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제어부(600)는 탑승자 등으로부터 표준모드(노멀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고, 제2센서부(520)에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310)의 이동이 중지되어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함께 제2디스플레이부(330)까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표준모드가 구현된다.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when a standard mode (normal mod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assenger, etc., and the display gear unit 370 in the second sensor unit 5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When a detection signal that has been reached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is stopp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310 is stopped, and a standard mode is implemented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제어부(600)는 탑승자 등으로부터 확장모드(풀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고, 제3센서부(540)에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310)의 이동이 중지되어 제1디스플레이부(320) 및 제2딕스플레이부(330)와 함께 제3디스플레이부(330)까지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확장모드가 구현된다.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when an extended mode (full mode) command is received from a passenger, etc., and the display gear unit 370 in the third sensor unit 540 is positioned at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When a detection signal that has been reached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is stopp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310 is stopped, and the expansion mode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s well as the third display unit 330,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established. It is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310)의 돌출 작동을 설명한다. A protrusion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310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축소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제1디스플레이부(320)는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표준모드 또는 확장모드에서 축소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310)는 개구부(110)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5 to 10, when a reduce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isplay gear unit 370 to reach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320 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ird display unit 340 are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100. When moving from the standard mode or expanded mode to the reduced mode, the display unit 310 moves in the direction into the opening 110.

축소모드에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제1디스플레이부(320)만 개구부(110)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In the reduced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only the first display unit 3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opening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ird display unit 340 are connected to the cockpit unit 100. is placed inside.

축소모드 시 제1디스플레이부(320)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와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를 구비한다. 도 8에서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의 좌우폭은 W1이고,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의 좌우폭은 W2로 설정된다. W1와 W2는 동일 길이일 수 있고, 화면출력 정보에 따라 W1와 W2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In reduced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320 includes a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and a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In FIG. 8,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is set to W1,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is set to W2. W1 and W2 may have the same length, and W1 and W2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screen output information.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영역의 일측(도 9 기준 좌측)에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riving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on one side of the scree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left side in FIG. 9 ).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영역의 타측(도 9 기준 우측)에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의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에는 음악재생 상태, 통화 상태, 메신저 상태, SNS 상태,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may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icons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right side in FIG. 9 ). The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of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may include music playback status, call status, messenger status, SNS status, time information, etc.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에서 아이콘은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의 길이방향(도 9 기준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된다.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에는 청취 중인 음악의 제목, 가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a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FIG. 9).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can display the title and lyrics of the music being listened to.

도 10에서는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에 시간 정보가 출력되는 바와 같이,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와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In FIG. 10, as tim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and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can be changed.

축소모드 시에 디스플레이부(310)의 전력소비량은 표준모드 시 또는 확장모드 시보다 줄어든다. 따라서 탑승자는 차량의 전력량이 충분치 않거나 절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unit 310 in reduced mode is reduced compared to that in standard mode or extended mode. Therefore, passengers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etting the display mode to a reduced mode, such as when the vehicle's power is insufficient or when power saving is necessary.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표준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11 to 15, when a standar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isplay gear unit 370 to reach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o connect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display gear unit 370 to the second point. The second display unit 330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disposed inside the cockpit unit 100.

표준모드에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개구부(110)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In the standard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protrude outward from the opening 11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cockpit unit 100. is placed inside.

표준모드 시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와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를 구비한다. In the standard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ncludes a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1 and a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영역의 일측(도 14 기준 좌측)에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에서는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와 동일한 정보를 그래픽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1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driving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in graphic form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14) of the scree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can do.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1 can display the same information as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in more detail by using a graphic form.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는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영역의 타측(도 14 기준 우측)에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의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에는 음악 콘텐츠, 영화를 비롯한 영상물 콘텐츠 등을 비롯하여 통화 관련 콘텐츠, 메신저 관련 콘텐츠, SNS 관련 콘첸트,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다.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에서는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에서 표시하는 정보보다 자세히 표시된다.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can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 graphic form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14) of the screen areas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0. The infotainment content of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includes music content, video content including movies, call-related content, messenger-related content, SNS-related content, time information, etc.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displays inform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와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에서 제공하는 영상 정보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1 and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may be changed.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확장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16 to 20, when an extende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isplay gear unit 370 to reach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o connect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display gear unit 370 to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확장모드에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0) 중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와 제3디스플레이부(340)는 개구부(110)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하측 일부가 칵핏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In the extended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e outward from the opening 110, and the third display unit ( A lower portion of 340 is disposed inside the cockpit portion 100.

확장모드 시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 및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를 구비한다. In the expansion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is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and the expansion cluster. 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43 and a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가 이루는 화면영역의 중앙부(도 19 기준)에 인포테인먼트 영상, 일 예로 풀영상을 나타낸다.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화면영역에서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와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보다 넓게 형성된다.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에서는 영화를 포함한 영상물의 풀영상, 네비게이션 전체 모드 또는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풀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displays an infotainment image, for example, a full video,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based on FIG. 19). indicates.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343 and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in the screen areas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ird display unit 340. do.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can provide full images of video content including movies, full navigation mode, or full images of infotainment content.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화면영역에서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의 일측(도 19 기준 좌측)에 주행 환경, 차량 상태,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The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343 runs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19) of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in the screen areas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At least one of the environment, vehicle status, and speedometer can be displayed.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는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의 화면영역에서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의 타측(도 19 기준 우측)에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아이콘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is an infotainment display unit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19) of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in the screen areas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Conten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icon form or graphic form.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와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에서 제공하는 화면출력 정보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343 and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may be changed.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어제스처감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제스처감지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도 22,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1개 이상의 에어제스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제스처감지부는 칵핏부(100)에 설치되고, 탑승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S. 1, 2, 22, and 23,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ir gesture detection units.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cockpit unit 100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occupants.

제어부(600)는 에어제스처감지부에서 전달되는 제스처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gestur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에어제스처감지부는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 및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제스처감지부는 3개의 에어제스처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어제스처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a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and a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n this embodiment, the air gesture detection unit is illustrated as having three air gesture detection units, but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air gesture detection units.

복수 개의 에어제스처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 각 에어제스처감지부는 칵핏부(100) 상에서 복수 개소에 나뉘어 설치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소에서 각각 탑승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표시화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air gesture detection units are provided, each air gesture detection unit is divided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cockpit unit 100. As a result, the vehicle display device can recognize the movement of each occupant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0 based on this.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출몰되는 칵핏부(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복수 개의 에어제스처감지부 중 디스플레이유닛(30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란 차량 주행방향의 전방(도 22 기준 우측)이 아닌 칵핏부(100)가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의 전방(도 22 기준 좌측)을 의미한다.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ckpit unit 100 where the display unit 300 appears.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s disposed closest to the display unit 300 among the plurality of air gesture detection units.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300. Here, the front refers to the fro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ckpit unit 100 faces the occupants (left in FIG. 22) rather than the front in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right in FIG. 22).

탑승자는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를 통해 디스플레이유닛(300)을 비접촉식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직접 접촉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등의 보건위생 문제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탑승자는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를 통해 조작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10)의 화면영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ince the occupants can operate the display unit 300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the occurrence of health and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infection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300 can be reduced. The passenger can check the situation operated through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n real time through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310.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칵핏부(100)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디스플레이유닛(300)은 칵핏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나,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칵핏부(10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s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ckpit unit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unit 300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left side in FIG. 1) of the cockpit portion 100, but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portion 71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ockpit portion 100. do.

이로써 도 2의 좌측 탑승석(C)의 탑승자나 우측 탑승석(C)의 탑승자 모두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에 접근이 용이하여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As a result, both the occupants of the left passenger seat (C) and the occupants of the right passenger seat (C) of FIG. 2 can easily access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and easily use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상방에서의 탑승자의 움직임을 스캐닝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탑승자의 손은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의 상방에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을 조작하는 제스처를 취한다. 즉,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의 인식방향은 상방이고,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인식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가 칵핏부(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scans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from above. Referring to FIG. 22, the passenger's hand moves above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and makes a gesture to manipulate the display unit 300. That is, the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s upward, a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ckpit unit 100 in a direction facing the recognition direction. do.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칵핏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좌우폭이 30 ~ 40 cm이고, 전후폭이 1 ~ 2 cm일 수 있다.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는 호버링 제스처를 인식 가능하도록 호버링 제스처 인식 타입의 에어제스처감지부일 수 있다.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ckpit unit 100.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may have a left-right width of 30 to 40 cm and a front-to-back width of 1 to 2 cm.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may be an air gesture detection unit of a hovering gesture recognition type so as to recognize a hovering gesture.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보다 탑승자에 더 근접하도록 칵핏부(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이란 칵핏부(100)가 탑승자를 향하는 면(도 22 기준 좌측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까지 손을 뻗지 않고도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300)을 조작할 수 있다.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ockpit unit 100 so as to be closer to the passenger than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Here, the front refers to the side of the cockpit unit 100 facing the occupants (left side as of FIG. 22).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operate the display unit 300 using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without reaching out to 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탑승자는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를 통해 디스플레이유닛(300)을 비접촉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직접 접촉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등의 보건위생 문제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탑승자는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를 통해 조작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10)의 화면영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occupant can operate the display unit 300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Therefore, the occurrence of health and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infection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300 can be reduced. The passenger can check the situation operated through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in real time through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310.

도 1에서 보듯이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칵핏부(100)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도 2의 좌측 탑승석(C)의 탑승자나 우측 탑승석(C)의 탑승자 모두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에 접근이 용이하여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is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ckpit unit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result, both the occupants of the left passenger seat (C) and the occupants of the right passenger seat (C) of FIG. 2 can easily access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and easily use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상방에서의 탑승자의 움직임을 스캐닝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탑승자는 손을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의 상방에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을 조작하는 제스처를 취한다. 즉,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의 인식방향은 상방이고,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인식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가 칵핏부(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scans the occupant's movement from above. Referring to FIG. 22, the passenger moves his/her hand above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and makes a gesture to manipulate the display unit 300. That is, the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is upwar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ckpit unit 100 in a direction facing the recognition direction. do.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칵핏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좌우폭이 30 ~ 40 cm이고, 전후폭이 1 ~ 2 cm일 수 있다.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는 호버링 제스처를 인식 가능하도록 호버링 제스처 인식 타입의 에어제스처감지부일 수 있다.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ckpit unit 100.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may have a left-right width of 30 to 40 cm and a front-to-back width of 1 to 2 cm.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may be an air gesture detection unit of a hovering gesture recognition type so as to recognize a hovering gesture.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칵핏부(100)의 중앙구획부(150)에 설치된다. 중앙구획부(150)는 좌측 탑승석(C)과 우측 탑승석(C)을 구획하도록 칵핏부(100)의 중앙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ompartment 150 of the cockpit unit 100. The central compartment 15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cockpit 100 to partition the left passenger seat (C) and the right passenger seat (C).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복수 개의 에어제스처감지부 중 탑승자에게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중앙구획부(150)가 다른 칵핏부(100)의 영역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탑승자는 손을 멀리 뻗지 않고 낮은 위치에서 간편하게 디스플레이유닛(300)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탑승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의 이용은 안전운전에도 도움이 된다.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disposed closest to the passenger among the plurality of air gesture detection units. Additionally, since the central compartment 150 is located lower than the other areas of the cockpit 100, the occupants can easily operate the display unit 300 from a low position without stretching their hands too far. In particular, when a passenger is driving, the use of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helpful for safe driving.

탑승자는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를 통해 디스플레이유닛(300)을 비접촉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직접 접촉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등의 보건위생 문제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탑승자는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를 통해 조작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10)의 화면영역 또는 프로젝터 디스플레이부(73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터 디스플레이부(735)는 중앙구획부(15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10)에서 출력되는 정보와 동일하게 출력되거나, 다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The occupant can operate the display unit 300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Therefore, the occurrence of health and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infection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300 can be reduced. The passenger can check the operating situation through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n real time through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310 or the projector display unit 735. The projector display unit 735 may be installed on the central compartment 150 and may output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310 or may output different information.

도 1에서 보듯이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칵핏부(100)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구획부(150)에 설치된다. 이로써 도 2의 좌측 탑승석(C)의 탑승자나 우측 탑승석(C)의 탑승자 모두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에 접근이 용이하여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ompartment 150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ckpit unit 100. As a result, both the occupants of the left passenger seat (C) and the occupants of the right passenger seat (C) of FIG. 2 can easily access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and easily use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전방에서의 탑승자의 움직임을 스캐닝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탑승자는 손을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의 전방에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을 조작하는 제스처를 취한다. 즉,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의 인식방향은 전방이고,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인식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가 칵핏부(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scans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in front. Referring to FIG. 22, the passenger moves his hand in front of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and makes a gesture to manipulate the display unit 300. That is, the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forward, a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ckpit unit 100 in a direction facing the recognition direction. do.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칵핏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좌우폭이 30 ~ 40 cm이고, 전후폭이 1 ~ 2 cm일 수 있다.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는 호버링 제스처를 인식 가능하도록 호버링 제스처 인식 타입의 에어제스처감지부일 수 있다.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ckpit unit 100.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may have a left-right width of 30 to 40 cm and a front-to-back width of 1 to 2 cm.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may be an air gesture detection unit of a hovering gesture recognition type to recognize a hovering gesture.

제1에어제스처감지부(710), 제2에어제스처감지부(720), 제3에어제스처감지부(730) 각각은 에어센서부(760)와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gesture detection unit 710, the secon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20, and the third air gesture detection unit 730 may each include an air sensor unit 760 and an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

에어센서부(760)는 탑승자의 움직임을 스캐닝하고,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는 탑승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에어제스처를 인식한다. 제어부(600)는 에어제스처인식부(770)에서 인식된 에어제스처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300)의 표시화면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air sensor unit 760 scans the occupant's movement, and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recognizes air gestures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s movement.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air gesture recognized by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에어센서부(760)는 탑승자(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 즉 에어제스처를 스캐닝하여 에어제스처에 대응하는 움직임 이미지를 생성한다. 에어센서부(760)는 컬러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깊이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RGB-D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탑승자의 움직임은 탑승자의 손 움직임 외에 다른 신체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The air sensor unit 760 scans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driver or user), that is, the air gesture, and generates a move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air gesture. The air sensor unit 760 may be a color camera, an infrared camera, a depth camera, a stereo camera, an RGB-D camera, etc. Here, the passenger's movement is defin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ody movements other than the passenger's hand movements.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는 에어센서부(760)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이미지를 처리하여, 탑승자의 에어제스처, 예를 들어 탑승자의 손 움직임을 인식한다.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processes the motion image input from the air sensor unit 760 and recognizes the passenger's air gesture, for example, the passenger's hand movement.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는 에어센서부(760)로부터 탑승자의 에어제스처에 대응하는 움직임 이미지가 입력되면, 기울어짐 보정(Slant Correction), 왜곡 보정(Deskewing), 노이즈 제거(Denosing), 세선 처리(Thinning) 및 윤곽선 평활화(Contour Smoothing)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처리 과정은 영상 처리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 move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air gesture is input from the air sensor unit 760,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performs slant correction, deskewing, noise removal, and thin line processing. Preprocessing processes such as thinning and contour smoothing can be performed. Here, since each preprocessing process is already a known technology in the image processing fiel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는 탑승자의 에어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해, 전처리된 움직임 이미지로부터 탑승자의 에어제스처에 대응하는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움직임 패턴과 메모리(780)에 저장된 제스처 패턴을 비교하여, 추출된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탑승자의 에어제스처를 인식한다. 탑승자의 에어제스처에 대응하는 움직임 패턴은 손 동작과 관련된 움직임 패턴 외에 다른 신체 동작과 관련된 움직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recognize the passenger's air gesture,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extracts a movemen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air gesture from the preprocessed motion image and compares the extracted movement pattern with the gestur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780. Thus, the passenger's air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movement pattern is recognized. The movemen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air gesture may include a movement pattern related to other body movements in addition to the movement pattern related to the hand movement.

전처리된 움직임 이미지로부터 손 동작과 관련된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에어제스처 인식부(770)는 프레임 단위로 손의 외곽 형상과 관련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전 프레임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와 현재 프레임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값을 기반으로 손동작과 관련된 움직임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In order to extract movement patterns related to hand movements from the preprocessed movement image,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extracts feature vectors related to the outline shape of the hand on a frame-by-frame basis, and extracts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eature vectors can be calculated, and movement patterns related to hand gestures can be extracted based o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전처리된 움직임 이미지로부터 손의 외곽 형상과 관련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객체 추출 알고리즘, 배경 제거 알고리즘 등 공지의 영상 처리 알고리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한정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 기술로 대신한다.As a method of extracting feature vectors related to the outline shape of the hand from the preprocessed motion image, known image processing algorithms such as object extraction algorithm and background removal algorithm can be us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mage processing algorithm, its description is replaced by known techniques.

제어부(600)는 에어제스처 인식부(770)에 의해 인식된 탑승자의 에어제스처 인식결과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0)는 축소모드 실행 시에 제1디스플레이부(320)로 이루어지는 화면영역의 구성과 작동 등을 제어하고, 표준모드 실행 시에 제1디스플레이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330)로 이루어지는 화면영역의 구성과 작동 등을 제어하고, 확장모드 실행 시에 제1디스플레이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및 제3디스플레이부(340)로 이루어지는 화면영역의 구성과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0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passenger's air gesture recognized by the air gesture recognition unit 770. That is,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creen area consisting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when executing the reduced mode, and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3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 330), and control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creen area consisting of the first display unit 320, the second display unit 33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40 when executing the extended mod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제어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축소모드 실행 시에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의 화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323)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축소클러스터표시부(321)의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graphics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1 to the screen of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or changes the screen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23 to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You can move to the screen at (321).

제어부(600)는 표준모드 실행 시에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의 화면으로 이동시키거나,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333)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표준클러스터표시부(331)의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standard mode,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1 to the screen of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or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3 to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You can move to the screen at (331).

또한 제어부(600)는 확장모드 실행 시에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의 화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345)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확장클러스터표시부(343)의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when executing the expansion mode,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expanded cluster display unit 343 to the screen of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or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45 to the expanded cluster. It can be moved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343.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스포츠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충전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차숙박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in a vehicle ignition-on state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nd 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ar lod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in a vehicle display device in a vehicle ignition-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차량의 시동이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표준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4,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s ignition is turned on (S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s ignition is on, the display unit 300 is activate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activated display unit 300 is the standard mode (S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the standar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standard mode (S30). .

차량의 시동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탑승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었을 때 발생되는 시동장치(미도시)의 작동신호를 제어부(600)가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시동장치가 온되면 제어부(600)는 차량의 시동이 온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유닛(300)를 온 작동시켜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한다. The step S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gnition is turned 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600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n ignition device (not shown) generated when the passenger starts the vehicle. When the ignition device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gnition is on and turns on the display unit 300 to activate the display unit 300.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0). When the display unit 300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standard mode (S20).

만약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2센서부(52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2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표준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30).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 없이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If the display mode is not the standar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52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econd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standard mode (S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standard mod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탑승자가 차량의 시동을 켜는 경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 중 노멀모드인 표준모드로 설정됨으로써 다른 모드로의 변환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When a passenger turns on the vehic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set to the standard mode, which is the normal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change to another mode.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경우로 대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모드가 표준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표준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n may be alternatively applied to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That is, the control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activating the display unit 3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setting the display mode of the activated display unit 300 to standard. This can be carried out a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standard mode or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a standard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 standard mode.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t night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5,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S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changed to FIG.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reduced mode (S120), and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a reduced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S130).

차량에는 빛의 밝기를 통해 주야간을 식별하는 조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는 조도감지센서에서 전송되는 주야간 식별신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illumination sensor (not shown) that identifies day and night through the brightness of light. The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can be performed through a day/night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 illumination sensor.

제어부(600)는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이어서 판단한다(S120). 만약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OFF)된 상태라면 제어부(600)는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the control unit 600 then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a reduced mode (S120). If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ctivated, that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만약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1센서부(51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1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축소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130).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 없이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If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reduced mode (S1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와,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130) 사이에 탑승자에게 축소모드로의 변환을 수용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수용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a reduced mode (S1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a reduced mode (S130) ), a step may be added to confirm whether the occupants will accept the change to reduced mode. In this case, if the passenger accepts changing the display mode to the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display mode to the reduced mode.

차량이 야간 주행 상태인 경우, 또는 야간 주행 상태로 접어드는 경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 중 심플모드인 축소모드로 변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300)에서 나오는 불빛을 최소화하여 탑승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위험을 경감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s in a night driving state or enters a night driving state,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a reduced mode, which is a simple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300 so that the occupants can concentrate on driving. This can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스포츠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스포츠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 차량이 스포츠 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6,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S2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changed to FIG.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reduced mode (S220), and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a reduced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S230).

차량이 스포츠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는 탑승자가 스포츠 주행 모드를 선택함을 제어부(600)가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ports driving mode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600 recognizing that the passenger selects the sports driving mode.

제어부(600)는 스포츠 주행 모드가 입력되거나 스포츠 주행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20). 만약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OFF)된 상태라면 제어부(600)는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 When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that the sports driving mode is input or has been switched to the sports driving mode, it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a reduced mode (S220). If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ctivated, that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만약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1센서부(51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1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축소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230).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 없이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If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reduced mode (S2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와, 디스플레이모드가 축소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230) 사이에 탑승자에게 축소모드로의 변환을 수용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수용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축소모드로 변환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a reduced mode (S2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 reduce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a reduced mode (S230) ), a step may be added to confirm whether the occupants will accept the change to reduced mode. In this case, if the passenger accepts changing the display mode to the reduced mode, the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display mode to the reduced mode.

탑승자가 스포츠 주행 모드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또는 스포츠 주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 중 심플모드인 축소모드로 변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300)에서 나오는 불빛을 최소화하여 탑승자가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한다. When a passenger drives the vehicle in sports driving mode, or when the vehicle is switched to sports driving mode, the vehicle display device switches to a reduced mode, which is a simple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300 to allow the occupants to Ensures sufficient forward visibility.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7,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S3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changed to FIG.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n extended mode (S3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n extended mode,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330).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는 탑승자가 자율주행 모드를 선택함을 제어부(600)가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driving mode (S31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600 recognizing that the passenger select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제어부(600)는 자율주행 모드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20). 만약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OFF)된 상태라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시킨 후에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600 recognizes that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input, it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320). If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ctivated, that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n extended mode after activating the display unit 300.

만약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3센서부(53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3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확장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33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 없이 작동 제어를 종료한다.If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has reached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third sensor unit 53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extended mode (S3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n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ends operation control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와,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330) 사이에 탑승자에게 확장모드로의 변환을 수용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수용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3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330) ), a step may be added to confirm whether the occupants will accept the conversion to extended mode. In this case, if the passenger accepts chang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차량이 일반주행 모드에서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 중 풀모드인 확장모드로 변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통해 탑승자에게 클러스터 정보와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 등을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switches from the normal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the full mode, the extended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providing detailed cluster information and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to the occupants through the display unit 300. can be provided.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충전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충전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10), 차량이 충전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2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8,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S4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changed to extended mode.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recognition (S4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n extended mode,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430).

차량이 충전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10)는 충전덮개가 개방되거나 차량에 충전기가 연결됨을 충전센서(미도시)로 감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S4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charging mode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with a charging sensor (not shown) that the charging cover is opened or that a charge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제어부(600)는 충전센서로부터 충전덮개의 개방신호 또는 충전기 연결신호를 전송받으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20). 만약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OFF)된 상태라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시킨 후에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a charging cover opening signal or a charger connection signal from the charging sensor, it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420). If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ctivated, that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n extended mode after activating the display unit 300.

만약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3센서부(53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3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확장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43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가 없다. If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has reached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third sensor unit 53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extended mode (S4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n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does not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20)와,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430) 사이에 탑승자에게 확장모드로의 변환을 수용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수용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4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430) ), a step may be added to confirm whether the occupants will accept the conversion to extended mode. In this case, if the passenger accepts chang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40),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확장모드를 시네마모드로 실행하는 단계(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tended mode is a cinema mode (S44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nded mode is not a cinema mode, executing the extended mode as a cinema mode (S450). It can be included.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로 변환이 완료된 경우에 확장모드가 여러 모드 중 시네마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40). 만약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 중 시네마모드로 실행한다(S450). When the display mode has been completely converted to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extended mode is the cinema mode among several modes (S440). If the extended mode is not the cinema mode, the control unit 600 sets the display mode to the cinema mode among the extended modes (S450).

시네마모드가 실행되면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에서 영상이 출력되어 탑승자는 영화, 유튜브영상물 등을 포함한 각종 영상물을 풀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 충전과 같이 탑승자가 장시간 운전이 필요 없는 상황인 경우에 탑승자의 휴식을 위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시네마모드 실행 시에 시네마모드에 맞게 시트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When the cinema mode is activated, images are output from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allowing passengers to watch various videos, including movies and YouTube videos, in full screen. In this way, in situations where the occupants do not need to drive for a long time, such as while charging the vehic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to allow the occupants to rest. When running cinema mode,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eat can be adjusted to suit cinema mode.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이 차숙박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when the vehicle is in car lodging mod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차숙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10), 차량이 차숙박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2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9,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car lodging mode (S5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car lodging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changed to FIG.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n extended mode (S5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an extended mode, a step of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530).

차량이 차숙박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410)는 탑승자가 차숙박 모드를 선택함을 제어부(600)가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410 in which the vehicle determines the car lodging mode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600 recognizing that the passenger selects the car lodging mode.

제어부(600)는 차숙박 모드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한다(S520). 만약 디스플레이유닛(300)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OFF)된 상태라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유닛(300)을 활성화시킨 후에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600 recognizes that the car lodging mode is input, it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520). If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ctivated, that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n extended mode after activating the display unit 30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제3센서부(53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어부(370)가 가이드부(200)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는지 감지하고, 만약 제3지점에 도달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는 확장모드로 변환이 완료된다(S530).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별도로 구동할 필요가 없다. If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display gear unit 370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whether the display gear unit 370 has reached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200 through the third sensor unit 53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point has been reached, the drive unit 400 stop working. As a result, the display mode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converted to extended mode (S530). If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n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does not need to separately drive the driv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20)와,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530) 사이에 탑승자에게 확장모드로의 변환을 수용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수용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로 변환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300 is the extended mode (S5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not the extended mode, convert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S530) ), a step may be added to confirm whether the occupants will accept the conversion to extended mode. In this case, if the passenger accepts changing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display mode to the extended mode.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40),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확장모드를 시네마모드로 실행하는 단계(S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tended mode is a cinema mode (S54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nded mode is not a cinema mode, executing the extended mode as a cinema mode (S550). It can be included.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가 확장모드로 변환이 완료된 경우에 확장모드가 여러 모드 중 시네마모드인지를 판단한다(S540). 만약 확장모드가 시네마모드가 아니라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모드를 확장모드 중 시네마모드로 실행한다(S550). When the display mode has been completely converted to the extended mode,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extended mode is the cinema mode among several modes (S540). If the extended mode is not the cinema mode, the control unit 600 sets the display mode to the cinema mode among the extended modes (S550).

시네마모드가 실행되면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341)에서 영상이 출력되어 탑승자는 영화, 유튜브영상물 등을 포함한 각종 영상물을 풀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처럼 탑승자가 차량에서 숙박하는 상황과 같이 탑승자가 차량을 이동수단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탑승자의 휴식을 위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cinema mode is activated, images are output from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1, allowing passengers to watch various videos, including movies and YouTube videos, in full screen. In this way, when the occupants use the vehicle as a means other than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in a situation where the occupants stay in the vehic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may be controlled for the occupants to res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유닛(300)이 스위블 무빙 방식으로 칵핏부(100)에서 이동되므로 칵핏부(100) 내에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수납 시 사용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300 is moved in the cockpit unit 100 in a swivel moving manner, so the space used when storing the display unit 300 within the cockpit unit 100 can be reduced. The utilization of the vehicle's interior spa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칵핏부(100)의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칵핏부(100)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유닛(300)의 대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cockpit part 100 can be reduced, so the display unit 300 can be enlarg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ckpit part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310)에서 각종 정보나 콘텐츠 등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화면의 찌그러짐이나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where various information or content i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0 is formed as a flat surface, so that distortion or distortion of the scree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모드 중 특정 모드를 취사 선택할 수 있으므로 휴식편의성과 더불어 운전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by improving driving convenience as well as resting convenie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 칵핏부 110: 개구부
120: 실링부 121: 제1실링부
123: 제2실링부 200: 가이드부
210: 가이드몸체부 220: 가이드기어부
300: 디스플레이유닛 310: 디스플레이부
320: 제1디스플레이부 321: 축소클러스터표시부
323: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 330: 제2디스플레이부
331: 표준클러스터표시부 333: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
340: 제3디스플레이부 341: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
343: 확장클러스터표시부 345: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
350: 디스플레이브래킷부 370: 디스플레이기어부
400: 구동부 500: 센서부
510: 제1센서부 520: 제2센서부
530: 제3센서부 600: 제어부
100: Cockpit part 110: Opening part
120: sealing part 121: first sealing part
123: second sealing part 200: guide part
210: Guide body part 220: Guide gear part
300: display unit 310: display unit
320: first display unit 321: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323: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330: Second display unit
331: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333: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340: Third display unit 341: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343: Expansion cluster display unit 345: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350: Display bracket part 370: Display gear part
400: driving unit 500: sensor unit
510: first sensor unit 520: second sensor unit
530: Third sensor unit 600: Control unit

Claims (17)

개구부를 구비하는 칵핏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곡선형의 이동경로를 갖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몰하는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 cockpit portion having an opening;
A guide part mounted inside the cockpit part;
a display unit disposed inside the cockpit portion,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to have a curved movement path, and appearing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moves on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상의 복수 지점을 오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돌출높이는 상기 복수 지점의 각 지점마다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unit is moved along the guide unit to go to and from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guide unit,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s different at each of the plurality of poi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화면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설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that output a screen,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display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t angle.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은 화면이 출력되는 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has a flat front surface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복수 지점의 개수와 복수 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oints on the guide part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parts are the s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브래킷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브래킷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디스플레이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display unit is,
A display bracket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bracket unit and moved along the guide unit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e unit.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상하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1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상하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2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3상하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제3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3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 first display unit that is formed to have a first vertical width a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a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a secon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isplay unit, formed with a second vertical width,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a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and
A thir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display unit, formed with a third vertical width,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display gear unit reaches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A vehicle display device that u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연결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each connec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후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each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하폭은 상기 제1상하폭 및 상기 제3상하폭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The second vertical width is wider than the first vertical width and the third vertical wid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칵핏부에 장착되고, 탑승석을 향해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의 경로를 이루도록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곡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와 치합되는 가이드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The guide part,
A guide body portion mounted on the cockpit portion and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ward the passenger seat;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eeth are formed along a curved surface of the guide body part to form a path of the display gear part, and a guide gear part meshed with the display gear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상기 가이드기어부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re disposed on the guide body along the guide gear unit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according to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축소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1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표준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2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칵핏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확장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의 상기 제3지점에 도달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control unit,
When a reduction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gear unit is driven to control the drive to reach the first point on the guide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It is placed inside the cockpit section,
When a standar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gear unit is driven to control the drive to reach the second point on the guide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hird display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t is placed inside the cockpit section,
When an extended mode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gear unit is driven to control the drive to reach the third point on the guide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축소클러스터표시부와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소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축소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reduced mode, a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and a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The reduced cluster displa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rea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driving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The reduced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area and displays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c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표준클러스터표시부와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준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표준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standard mode, a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and a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The standard cluster displa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rea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driving environment, navigation information, and speedometer in graphic form,
The standard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area to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 graphic for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모드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화면영역은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와 확장클러스터표시부 및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화면영역의 중앙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확장클러스터표시부는 상기 메인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행 환경, 차량 상태, 속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인포테인먼트표시부는 상기 메인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expansion mode, the screen area formed by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ncludes a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an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and a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The main 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and displays an infotainment image,
The extended cluster displa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driving environment, vehicle status, and speedometer,
The sub-infotainmen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to display infotainment content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칵핏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촉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ckpit portion is mounted around the opening,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ortion, and includes a seal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KR1020220117126A 2022-09-15 2022-09-1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3838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126A KR20240038380A (en) 2022-09-16 2022-09-1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18/199,895 US20240092169A1 (en) 2022-09-15 2023-05-19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126A KR20240038380A (en) 2022-09-16 2022-09-1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380A true KR20240038380A (en) 2024-03-25

Family

ID=9047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126A KR20240038380A (en) 2022-09-15 2022-09-1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3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230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display apparatus
US8953042B2 (en) Vehicle-mounted device identifying apparatus
EP3040229B1 (en) Vehicle including display apparatus
JP5905691B2 (en) Vehicle operation input device
US9542029B2 (en) Vehicle multi-mode vertical-split-screen display
JP3711864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6668221B2 (en) User discrimination control of vehicle infotainment system
JP531001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periphery visual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9641523A (en) For controlling the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of motor vehicle and with the motor vehicle of display device
JP6886106B2 (en) Electronic mirror systems, automotive doors and automotive
CN107298050B (en) Image display device
US10780781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09507799A (en) Vehicle-mounted HUD display methods and system
JP2018103834A (en) On-vehicle system
CN112776601B (en) Vehicle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40038380A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37580A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37579A (en)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N212500139U (en)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streaming media inside rear-view mirror and vehicle
EP3734502B1 (en) Display method
JPH07266923A (en) Display device of vehicle
JP6816475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240092169A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026471B2 (en) Vehicle visual equipment adjustment device
KR20170011300A (en) Input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