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49A -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49A
KR20240037549A KR1020220116195A KR20220116195A KR20240037549A KR 20240037549 A KR20240037549 A KR 20240037549A KR 1020220116195 A KR1020220116195 A KR 1020220116195A KR 20220116195 A KR20220116195 A KR 20220116195A KR 20240037549 A KR20240037549 A KR 20240037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ixing
fixture
vertical pipe
scaffol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곤 김
이종린
Original Assignee
동 곤 김
이종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곤 김, 이종린 filed Critical 동 곤 김
Priority to KR102022011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49A/ko
Publication of KR2024003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긴 봉 형상을 갖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비계 구조물에서 수직으로 길게 세워지는 수직 파이프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고정봉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각각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와 다른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하여 고정구가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가 고정봉에 의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계 구조물 해체시 수평 파이프를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에 수직 파이프가 결속되어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을 통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속이 유도되므로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Safety fixing and dismantling device for scaffolding structures}
본 발명은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봉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각각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와 다른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하여 고정구가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가 고정봉에 의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계 구조물 해체시 수평 파이프를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에 수직 파이프가 결속되어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라,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신축되는 건축물의 외벽에서 작업자가 안전을 보장하며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구조물인 비계(飛階) 구조물(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시설물)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비계 구조물은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수직 비계 파이프(이하, "수직 파이프"라 함)와 그 수직 파이프와 연결되는 수평 비계 파이프(이하, "수평 파이프"라 함) 및 수직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수직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플렌지로 구축된다.
하지만, 상기 비계 구조물은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강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과 함께 비계 구조물을 해체 분리하는 과정에서 수직 파이프를 결속 고정하는 수평 파이프를 하나씩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의 결속이 해제되는 순간 직립된 수직 파이프가 한쪽으로 넘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직 파이프가 한쪽으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이 해제되는 수직 파이프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봉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각각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와 다른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하여 고정구가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가 고정봉에 의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계 구조물 해체시 수평 파이프를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에 수직 파이프가 결속되어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을 통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속이 유도되므로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는 긴 봉 형상을 갖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비계 구조물에서 수직으로 길게 세워지는 수직 파이프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봉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구는 비계 구조물에서 뼈대 기능을 수행하는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봉의 타단에 형성되는 다른 고정구는 다른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에 의해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가 상기 고정봉에 의지하여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구는 내부에 수직 파이프가 내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내입홈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관통된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의 끝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몸체와,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내입홈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되, 내부에 상기 몸체의 내입홈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가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몸체의 제1고정공과 연통되는 제2고정공이 형성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상기 몸체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를 폐쇄하면 상기 몸체의 내입홈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가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에 가압되어 견고히 고정되는데, 이때 연통되는 상기 몸체의 제1고정공과 상기 고정체의 제2고정공으로 내입되어 상기 몸체와 고정체가 폐쇄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몸체의 제1고정공과 상기 고정체의 제2고정공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몸체와 고정체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에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의 결속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고정구의 몸체에 수직 파이프를 결속 고정시키는 안전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 상에 형성되어 탄성 결속편을 회전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부재와, 일단은 상기 결속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결속링이 형성되되 일측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결속링에 내입되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탄성 결속편과, 상기 탄성 결속편의 타단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탄성 결속편의 일단에 내부가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링과, 상기 몸체 상에 상기 회전링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링과 회전공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의 일단을 상기 몸체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볼트와, 상기 결속볼트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에 상기 결속볼트를 결속하는 결속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입홈 내측에는 수직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 마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결속편의 결속링을 감싸되, 우수한 탄력과 마찰력을 갖는 수지 재질의 탄성 마찰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봉의 끝단에 위치되되, 끝단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에 의하면, 고정봉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각각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와 다른 수직 파이프에 설치 고정하여 고정구가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가 고정봉에 의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계 구조물 해체시 수평 파이프를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에 수직 파이프가 결속되어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 결속수단의 탄성 결속편을 통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속이 유도되므로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는 긴 봉 형상을 갖는 고정봉(10);과, 상기 고정봉(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비계 구조물에서 수직으로 길게 세워지는 수직 파이프(1)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비계 구조물은 뼈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수직 파이프(1)가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며, 그 수직 파이프(1)들의 사이에는 수직 파이프(1)를 서로 연결하여 수직 파이프(1)들을 견고히 고정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2)를 통해 간편히 비계 구조물으로 조립 설치되도록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는 조립 설치된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봉(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구(20)는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봉(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다른 고정구(20)는 다른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의해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봉(10)에 의지하여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는 내부에 수직 파이프(1)가 내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내입홈(21a)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관통된 제1고정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몸체(21)와, 일단은 상기 몸체(2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21) 내부의 내입홈(21a)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되, 내부에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1)가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고정홈(22a)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연통되는 제2고정공(22b)이 형성되는 고정체(22)와, 상기 고정체(22)가 상기 몸체(21)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21)의 내부를 폐쇄하면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체(22)의 고정홈(22a)에 가압되어 견고히 고정되는데, 이때 연통되는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상기 고정체(22)의 제2고정공(22b)으로 내입되어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가 폐쇄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상기 고정체(22)의 제2고정공(22b)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핀(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20)에 수직 파이프(1)의 결속 고정이 요구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결속 고정하고자 하는 수직 파이프(1)를 내입 배치한 후, 상기 고정체(22)를 상기 몸체(21)가 위치된 안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몸체(21)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체(22)에 가압 고정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상기 고정체(22)의 제2고정공(22b)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핀(23)을 배치하여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가 수직 파이프(1)를 견고히 가압 고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반대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에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의 결속 해제가 요구되면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로부터 상기 고정핀(23)을 이탈 회수하여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고정체(22)를 바깥쪽으로 회동 복귀시켜 상기 고정구(20)에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이 간편히 해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0)의 고정핀(23)의 끝단은 상기 제1고정공(21b)에 결속되도록 구현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핀(23)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에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고정구(20)의 몸체(21)에 수직 파이프(1)를 결속 고정시키는 안전 결속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은 상기 몸체(21) 상에 형성되어 탄성 결속편(32)을 회전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부재(31)와, 일단은 상기 결속부재(31)를 통해 상기 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결속링(32a)이 형성되되 일측은 개방된 개구부(32b)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개구부(32b)를 통해 상기 결속링(32a)에 내입되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탄성 결속편(32)과,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타단에 형성되는 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은 상기 고정구(20)에 수직 파이프(1)가 내입 고정되면, 상기 탄성 결속편(32)을 수직 파이프(1) 측으로 강제 회동시켜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결속링(32a)의 내부에 내입 결속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결속링(32a)의 개구부(32b)로 수직 파이프(1)에 내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링(32a)이 탄성 팽창하면서 순간적으로 상기 개구부(32b)가 벌어져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결속링(32a)의 내부로 용이하게 내입되며, 그 내입된 수직 파이프(1)는 상기 결속링(32a)이 탄성 복원(수축)되면서 상기 결속링(32a)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3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회전을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거나, 도구를 통해 상기 파지부(33)를 간편히 걸어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용이한 회전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 결속수단(30)을 통해 수직 파이프(1)를 결속 고정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종래의 비계 구조물은 해체하기 위해 수직 파이프(1)를 결속 고정하는 수평 파이프(2)를 하나씩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이 해제하게 되는데, 그 순간 수직으로 직립된 수직 파이프(1)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파이프(1)를 결속하는 수평 파이프(2)를 모두 해제한 후에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구(20)를 통한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에 수직 파이프(1)가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되므로,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1)를 작업자가 파지하지 않더라도 수직 파이프(1)가 한쪽으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조립을 해제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종래와 같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1)가 넘어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수직 파이프(1)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해체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1)는 망치와 같은 도구로 타격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으로부터 간편히 분리하는 방식으로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31)는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일단에 내부가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링(31a)과, 상기 몸체(21) 상에 상기 회전링(31a)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31b)과, 상기 회전링(31a)과 회전공(31b)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일단을 상기 몸체(21)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볼트(31c)와, 상기 결속볼트(31c)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21)에 상기 결속볼트(31c)를 결속하는 결속너트(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부재(31)의 결속볼트(31c)에 상기 탄성 결속편(32) 일단의 상기 회전링(31a)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므로 상기 탄성 결속편(32)이 상기 몸체(21)에 결속되어 상기 결속볼트(31c)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 내측에는 수직 파이프(1)의 외주면과 접촉 마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편(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에 수직 파이프(1)가 결속 고정되면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형성되는 상기 마찰편(40)이 수직 파이프(1)의 외주면에 밀착 마찰되면서 상기 고정구(20)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1)가 매우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에 다수의 수직 파이프(1)가 매우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되므로 수직 파이프(1)를 매개체로 구축되는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매우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결속링(32a)을 감싸되, 우수한 탄력과 마찰력을 갖는 수지 재질의 탄성 마찰튜브(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 마찰튜브(50)는 고유의 탄력을 통해 상기 탄성 결속편(32)이 장기간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면서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탄성력이 점차 상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마찰튜브(50)의 우수한 마찰력을 통해 상기 탄성 결속편(32)에 결속되는 수직 파이프(1)의 견고한 결속 고정을 유도하여 수직 파이프(1)가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10)의 끝단에 위치되되, 끝단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고정고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직 파이프(1)에는 수평 파이프(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플렌지(3)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봉(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고리(60)는 수직 파이프(1) 상에 형성되는 연결 플렌지(3)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봉(10)에 의지하여 더욱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는 고정봉(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구(20)를 각각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1)와 다른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하여 고정구(20)가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1)가 고정봉(1)에 의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비계 구조물 해체시 수평 파이프(2)를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에 수직 파이프(1)가 결속되어 한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을 통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1)의 안정적인 결속이 유도되므로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비계 구조물의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비계 구조물의 구축 및 해체에 사용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 파이프(1)와, 그 수직 파이프(1)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직 파이프(1)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2)를 매개체로 비계 구조물이 구축되면, 그 구축된 비계 구조물의 수직 파이프(1) 사이로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를 배치한 후, 고정봉(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구(20)를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하고 상기 고정봉(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다른 고정구(20)를 다른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하는 방식으로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를 다수 배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에 형성되는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을 통해 상기 고정구(20)에 고정된 수직 파이프(1)를 결속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 구조물의 해체가 요구되면 수직 파이프(1)에 연결된 수평 파이프(2)를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을 해제하며, 마지막에 수직 파이프(1)를 고정하는 본 발명의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100)의 고정구(20)의 결속을 해제하는데, 이때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의 탄성 결속편(32)이 수직 파이프(1)를 결속하고 있어 결속이 해제된 수직 파이프(1)가 한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한다.
그런 후, 상기 탄성 결속편(32)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1)를 망치 등과 같은 도구로 타격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으로부터 간편히 분리 회수하는 방식으로 비계 구조물의 해체가 매우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수직 파이프 2. 수평 파이프
3. 연결 플렌지
10. 고정봉 20. 고정구
21. 몸체 21a. 내입홈
21b. 제1고정공 22. 고정체
22a. 고정홈 22b. 제2고정공
23. 고정핀 30. 안전 결속수단
31. 결속부재 31a. 회전링
31b. 회전공 31c. 결속볼트
31d. 결속너트 32. 탄성 결속편
32a. 결속링 32b. 개구부
33. 파지부 40. 마찰편
50. 탄성 마찰튜브
100.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Claims (6)

  1. 긴 봉 형상을 갖는 고정봉(10); 및
    상기 고정봉(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비계 구조물에서 수직으로 길게 세워지는 수직 파이프(1)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봉(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구(20)는 비계 구조물에서 뼈대 기능을 수행하는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봉(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다른 고정구(20)는 다른 수직 파이프(1)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의해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봉(10)에 의지하여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비계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구(20)는,
    내부에 수직 파이프(1)가 내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내입홈(21a)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관통된 제1고정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몸체(21)와,
    일단은 상기 몸체(2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21) 내부의 내입홈(21a)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되, 내부에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1)가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고정홈(22a)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연통되는 제2고정공(22b)이 형성되는 고정체(22)와,
    상기 고정체(22)가 상기 몸체(21)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21)의 내부를 폐쇄하면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에 내입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고정체(22)의 고정홈(22a)에 가압되어 견고히 고정되는데, 이때 연통되는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상기 고정체(22)의 제2고정공(22b)으로 내입되어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가 폐쇄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몸체(21)의 제1고정공(21b)과 상기 고정체(22)의 제2고정공(22b)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몸체(21)와 고정체(22)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핀(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에 결속 고정된 수직 파이프(1)의 결속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고정구(20)의 몸체(21)에 수직 파이프(1)를 결속 고정시키는 안전 결속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 결속수단(30)은,
    상기 몸체(21) 상에 형성되어 탄성 결속편(32)을 회전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부재(31)와,
    일단은 상기 결속부재(31)를 통해 상기 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결속링(32a)이 형성되되 일측은 개방된 개구부(32b)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에 결속된 수직 파이프(1)가 상기 개구부(32b)를 통해 상기 결속링(32a)에 내입되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탄성 결속편(32)과,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타단에 형성되는 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1)는,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일단에 내부가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링(31a)과,
    상기 몸체(21) 상에 상기 회전링(31a)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31b)과,
    상기 회전링(31a)과 회전공(31b)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일단을 상기 몸체(21)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볼트(31c)와,
    상기 결속볼트(31c)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21)에 상기 결속볼트(31c)를 결속하는 결속너트(31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내입홈(21a) 내측에는 수직 파이프(1)의 외주면과 접촉 마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편(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속편(32)의 결속링(32a)을 감싸되, 우수한 탄력과 마찰력을 갖는 수지 재질의 탄성 마찰튜브(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10)의 끝단에 위치되되, 끝단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고정고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KR1020220116195A 2022-09-15 2022-09-15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KR20240037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95A KR20240037549A (ko) 2022-09-15 2022-09-15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95A KR20240037549A (ko) 2022-09-15 2022-09-15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49A true KR20240037549A (ko) 2024-03-22

Family

ID=9048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195A KR20240037549A (ko) 2022-09-15 2022-09-15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326B1 (ko)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US6729821B2 (en) Expansion bolt
WO2022239974A1 (ko) 비계 버팀대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US5625983A (en) Dismountable anchoring device
KR20240037549A (ko) 비계 구조물의 안전 고정 및 해체장치
KR20100004164U (ko) 안전핀을 구비한 원터치 파이프 클램프
JP2019023388A (ja) 支持具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KR102362725B1 (ko) 창호 시공용 낙하방지망 조립체
JP5639349B2 (ja) トレミー管の連結構造
CN111219046A (zh) 一种复合型脚手架搭设结构及其施工工艺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0758717B1 (ko)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1934674B1 (ko)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GB2571738A (en) Clamp for lifting elongate rigid materials such as tubing and pipework
KR200380015Y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JP3549325B2 (ja) 屋根上作業用防護柵の構築工法
CN220522090U (zh) 一种安全平网的安装支架
KR20100046867A (ko) 가설난간대
KR100645108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JP6692529B1 (ja) 飛散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養生方法
KR20240040539A (ko) 안전 바를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