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26A -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26A
KR20240037526A KR1020220116136A KR20220116136A KR20240037526A KR 20240037526 A KR20240037526 A KR 20240037526A KR 1020220116136 A KR1020220116136 A KR 1020220116136A KR 20220116136 A KR20220116136 A KR 20220116136A KR 20240037526 A KR20240037526 A KR 20240037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d water
flow rate
temperat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수
이권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26A/ko
Publication of KR2024003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냉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를 기준 온도 이외의 설정 온도로 설정하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상기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Col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와 관련된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와 같이 음용을 위한 냉수를 제공하는 기기는 원수(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물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탱크 내부에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마련하고, 상기 유로와 인접한 위치에 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 유로 또는 냉각블록을 배치시켜 원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 커피 또는 차 등과 같이 다양한 음료를 개인의 기호에 맞춰 즐기는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음용수의 이용과 관련하여서도 어느 하나의 고정된 온도 또는 용량이 아니라, 본인의 기호에 맞는 적절한 사양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대우전자 주식회사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32953 호에는 종래 수온 선택형 정수기가 개시된다. 이때, 대우전자 주식회사의 수온 선택형 정수기는 설정 수온의 정수를 출수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급수 온도가 설정되고 급수버튼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냉, 온수밸브(52,56)의 개도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냉수밸브제어부(50)와 온수밸브제어부(54)를 통해 냉, 온수밸브(52,56)를 개방시켜 급수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냉수와 온수 사이의 온도를 가지는 미온수를 생성할 수는 있으나, 만약 사용자가 냉수 자체에 대하여 보다 냉각된 상태의 냉수를 원하더라도 이를 충족 시킬만큼 과냉각된 상태의 냉수를 토출시킬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코웨이 주식회사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05061 호에는 또다른 형태의 종래의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코웨이 주식회사의 정수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추출되는 물의 온도 및 추출량의 맞춤형 설정이 가능하도록 추출온도 및 추출량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하는 복수의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에 의하더라도 전술한 대우전자 주식회사의 수온 선택형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온수와 냉수 사이의 특정 온도를 가진 정수를 생성할 수는 있으나, 냉수 자체의 온도를 보다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32953 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05061 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여 추출량은 다소 적더라도 과냉각된 상태의 냉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냉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제어의 용이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유량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여 비록 충분히 냉각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냉수 추출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냉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제어의 용이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냉수 출수 버튼 외에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 또는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유량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냉수 기호 제어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사용자가 별도 설정값의 설정 없이 냉수의 출수를 요청하는 경우, 냉수가 기준 유량을 유지하며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특별한 기호가 없는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도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상기 탱크부롭부터 유출입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밸브부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제어의 정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탱크부 내에 배치되어 원수가 나선 경로를 따라 선회하며 탱크부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탱크부로 유입된 원수의 냉각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유동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수의 나선 경로를 따라 권선되어 연장되는 냉매 유로부를 포함함으로써 유동가이드부와 냉매 유로부를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원수와 냉매 유로부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전술한 냉수 생성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설정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설정 유량이 기준 유량 이상일 경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냉수의 추출량과 추출 온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려한 다양한 냉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단순한 출수 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지는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특별한 기호가 없는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도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를 기준 온도 이외의 설정 온도로 설정하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상기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냉수 출수 버튼 및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상기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유량을 기준 유량 이외의 설정 유량으로 설정하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상기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유량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냉수 출수 버튼 및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상기 설정 유량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값의 입력 없이 상기 냉수의 출수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냉수가 상기 기준 유량을 유지하며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유량 또는 상기 탱크부로부터 유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부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가 나선 경로를 따라 선회하며 상기 탱크부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탱크부 내에 상기 유동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유동가이드부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냉수의 출수 유량을 상기 기준 유량 이외의 설정 유량으로 설정하기 위한 유량 설정값을 제공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상기 유량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 및 출수 유량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값에 포함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유량이 상기 기준 유량 이상일 경우,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출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수 신호 또는 상기 설정값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출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지는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여 추출량은 다소 적더라도 과냉각된 상태의 냉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냉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제어의 용이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유량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여 비록 충분히 냉각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냉수 추출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냉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제어의 용이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냉수 출수 버튼 외에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 또는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유량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냉수 기호 제어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사용자가 별도 설정값의 설정 없이 냉수의 출수를 요청하는 경우, 냉수가 기준 유량을 유지하며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특별한 기호가 없는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도 함께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상기 탱크부롭부터 유출입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밸브부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제어의 정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탱크부 내에 배치되어 원수가 나선 경로를 따라 선회하며 탱크부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탱크부로 유입된 원수의 냉각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는, 유동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수의 나선 경로를 따라 권선되어 연장되는 냉매 유로부를 포함함으로써 유동가이드부와 냉매 유로부를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원수와 냉매 유로부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전술한 냉수 생성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설정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설정 유량이 기준 유량 이상일 경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냉수의 추출량과 추출 온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려한 다양한 냉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단순한 출수 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지는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특별한 기호가 없는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도 함께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유동가이드부 및 냉각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입력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유동가이드부 및 냉각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의 입력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와 인접한 냉각부(50)를 통해 탱크부(30) 내부의 원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 등 음용수를 제공하는 제품의 냉각 모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단일한 용량 및 온도를 가진 냉수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냉수의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에 기초하여 탱크부(30)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냉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 냉각부(50), 밸브부(60), 입력부(20) 및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탱크부(30)는 냉수 생성 장치(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내측에 소정 양의 원수와 함께 후술될 상기 유동가이드부(40) 및 냉각부(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탱크부(3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측면(31) 및 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측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부(30)는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2)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면(33) 및 제2 연결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면(33) 및 제2 연결면(3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만곡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부(30)는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양측에 각각 반원 형태의 곡선을 포함하여 단일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의 양측이 만곡짐에 따라 양측에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유동가이드부(40)의 배치에 최적화된 수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바닥면(38)과 상면(39)을 포함하여 밀폐된 형태의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면(39)은 수용공간(S)의 내측에 유동가이드부(40) 및 냉각부(50)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39)에는 냉각의 대상이 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5) 또는 에어벤트홀(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38)에는 냉각을 마친 냉수가 유출되는 출수구(37)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35), 에어벤트홀(36) 및 출수구(37)의 위치가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유입구(35)와 출수구(37)의 위치가 도시된 예와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탱크부(30)의 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 유동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가이드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5)를 통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 원수가 나선(spiral) 구조의 유로를 따라 선회하며 유동하면서 점차 탱크부(3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출수구(37)를 통해 유출되도록 원수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드부(40)는 원수가 탱크부(30)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선회함과 동시에 탱크부(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입체적인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처럼 유동가이드부(40)가 탱크부(30) 내에서 원수의 나선형 유동을 유도하는 것은 원수가 무작위적으로 유입 및 유출되는 대신, 수용공간(S)으로 먼저 유입된 냉수부터 순차적으로 냉각된 후 유출되도록(선입선출) 하여 냉각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동가이드부(40)는 상기 나선형 유동을 형성하여 후술될 나선 구조의 냉각부(50)에 대응되도록 원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냉각부(50)와 원수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제고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부(40)의 일례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동가이드부(40)는 지지부재(41), 구획부재(4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41)는 구획부재(42)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3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1)를 중심으로 지지부재(41)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 개의 구획부재(4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구획부재(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구획부재(42)는 지지부재(41)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재(41)에 접착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거나, 지지부재(41)와 복수 개의 구획부재(42)가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구획부재(42)는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구획부재(42) 중 지지부재(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 배치되는 두 개의 구획부재의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두개의 구획부재가 서로 연결된 부분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획부재를 따라 흐르는 원수는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이루어 데드 볼륨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탱크부(30)는 구획부재(42) 중에서 반원 형상의 연결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태의 제1 연결면(33) 및 제2 연결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유동가이드부(40)를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계에 따라 유동가이드부(40)는 생략되거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예를 들면 냉각부(50)가 도시된 나선형 구조와 달리, 탱크부(30)의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 블록(미도시) 및 열전 소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다른 형태의 유동가이드부(40)가 적용되거나 유동가이드부(40)의 배치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의 수용공간(S)에 저장된 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각부(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냉각부(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파이프 부재가 탱크부(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냉각부(50)는 유동가이드부(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경우, 냉각부(50)는 파이프 부재의 내측 공간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냉매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유동하는 냉매가 원수와 열교환하여 원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부(50)는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원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식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냉각부(50)는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탱크부(30)의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 블록(미도시) 및 열전 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열전 소자는 닫힌 회로에 전위치가 형성될 경우, 서로 다른 재질의 도선의 연결점에서 발열 또는 흡열이 일어나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원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탱크부(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열교환을 도모하기 위하여 열전 소자와 탱크부(30)는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블록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탱크부(30) 내부의 원수를 냉각하게 되면 소음이나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냉각부(50)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밸브부(60)는 개도(開度)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양한 공지의 유량 조절 밸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탱크부(30)의 수용공간(S) 측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부(60)에 포함된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는 후술될 제어부(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밸브부(60)에 의해 탱크부(30) 측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경우, 탱크부(30)로부터 외부로 출수되는 냉수의 양도 조절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탱크부(30) 측으로 보다 많은 양의 원수가 공급될수록 수용공간(S) 내의 원수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되어 출수구(37)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냉수가 출수될 수 있다. 이처럼, 밸브부(60)의 유량 조절 밸브가 충분히 개방되어 많은 양의 냉수가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될 경우, 출수되는 냉수의 양은 증가되지만, 수용공간(S) 내의 원수와 냉각부(50) 사이의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냉수가 출수되게 되므로 냉수의 온도는 다소 높을 수 있다. 반대로, 밸브부(60)의 유량 조절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적을 경우,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나, 대신 원수는 냉각부(50)와 충분히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차가운 온도를 가진 냉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10)의 밸브부(60) 조절 기능과 관련된 설명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밸브부(60)가 탱크부(30)의 유입구(35) 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밸브부(60)는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탱크부(30)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량 제어 밸브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밸브부(60)는 탱크부(30)의 출수구(37)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부(60)는 탱크부(30)의 출수구(37)와 연결된 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출수 밸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출수 밸브의 개방 정도에 따라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양은 물론 탱크부(30)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도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탱크부(30)의 수용공간 내로 유출입 되는 원수(또는 냉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센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70)는 차압 유량계, 용적 유량계, 전자 유량계 또는 초음파 유량계 등 다양한 공지의 유량 센서를 포함하여 탱크부(30) 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 또는 탱크부(30)로부터 유출되는 냉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70)는 밸브부(60)가 제어부(10)에 의해 목적하는 대로 정확히 제어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확인된 유량 정보를 기초로 밸브부(60)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밸브부(60) 제어의 정밀도를 보다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센서부(70)가 탱크부(30)의 후단에 배치되어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70)는 예를 들면 밸브부(60)와 탱크부(30) 사이와 같이 탱크부(30) 주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가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 또는 출수 유량을 기호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부(20)를 포함한다. 이때, 입력부(20)는 예를 들면 냉수 생성 장치(예를 들면, 정수기)의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물리식 버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터치식 버튼, 냉수 생성 장치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된 터치식 버튼 또는 별도의 리모콘에 구비된 물리식 버튼 등 출수 온도 또는 출수 유량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형태라면 형태의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온도(도 5의 경우, 0도, 2도, 4도)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22, 이하 '설정 온도 버튼'이라 함) 또는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설정 유량(도 5의 경우, 60ml, 70ml, 80ml)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24, '설정 유량 버튼'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0도가 표시된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0도의 냉수를 원한다는 내용의 설정값 정보가 제어부(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경우, 설정 온도 및 설정 유량을 모두 선택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 온도 버튼(22)및 설정 유량 버튼(24) 중 어느 하나만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0)는 상기 설정 온도 버튼(22)또는 설정 유량 버튼(24) 외에 출수 버튼(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수 버튼(26)은 사용자가 출수 온도 또는 출수 유량과 관련된 설정값의 입력 없이 간단하게 냉수의 출수를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사용자가 출수 버튼(26)을 선택할 경우, 설정 온도와 다른 기준 온도(예를 들면, 5도) 또는 설정 유량과 다른 기준 유량(예를 들면, 50ml)을 가진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60)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10)와 관련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의 제어부(10)를 설명하면서 제어부(10)를 통해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S10)도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냉수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60)의 유량 제어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S1)를 생성하거나, 냉각부(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S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밸브부(60) 제어와 관련된 일례로서, 제어부(10)는 사용자의 특별한 요청이 없는 경우(사용자가 입력부(20)의 출수 버튼(26)을 선택한 경우)에는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진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는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진 냉수가 출수될 수 있을 정도로만 유량 조절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신호(S1)를 밸브부(6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관련하여, 기준 온도와 기준 유량은 임의로 설정되는 사용자의 설정값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냉수의 온도 및 유량일 수 있다. 또는, 기준 온도와 기준 유량은 사용자가 금번 출수 버튼(26)을 선택하기 직전에 선택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과 동일한 온도 및 유량일 수도 있다.(이 경우, 사용자의 직전 선택 정보에 따라 기준 온도 또는 기준 유량이 반복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기준 온도와 기준 유량은 예를 들면 일주일 내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선택한 설정값에 대응되는 조건의 온도 및 유량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0)는 사용자가 본인의 기호에 맞는 특정 설정값을 설정한 경우(사용자가 특정 설정 온도 버튼(22)또는 설정 유량 버튼(24)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값에 부합되는 조건의 냉수가 출수될 수 있도록 밸브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련된 예시로서, 제어부(10)는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어 기준 온도는 5도인데 설정 온도가 0도인 경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60)의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기준 온도 시 보다 유량 조절 밸브의 개방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탱크부(30)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양은 기준 온도 시 보다 감소되는 대신 원수가 수용공간(S) 내에서 냉각부(50)와 보다 장시간 열교환을 형성할 수 있어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될 수 있다. (이하, '제1 제어'라 함)
다른 예시로서, 제어부(10)는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위한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어 기준 유량은 50ml인데 설정 유량이 80ml인 경우), 기준 유량보다 많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유량 조절 밸브를 기준 유량 대비 보다 개방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어부(10)는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위한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기준 유량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밸브부(60)가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처럼 밸브부(60)의 유량 조절 밸브의 유로가 보다 넓게 개방될 경우, 탱크부(30)로부터 단위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게 되므로 냉각부(50)와 원수의 열교환이 다소 충분치 않아 기준 유량 시 온도(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될 수 있다. (이하, '제2 제어'라 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모두 수행하는 제어부(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0)는 설정 온도 버튼(22)과 설정 유량 버튼(24)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냉수의 출수 온도와 출수 유량에 대하여 모두 기호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제1 제어와 제2 제어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는 제어부(10) 및 이에 대응되도록 설정 온도 버튼(22) 및 설정 유량 버튼(24)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입력부(20)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단순화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S10)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최초 입력부(20)를 통해 출수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1)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설정 온도 버튼(22) 또는 설정 유량 버튼(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설정 온도 버튼(22) 또는 설정 유량 버튼(24) 대신 출수 버튼(26)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어부(10)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는 입력부(2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설정값 정보(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포함) 인지 출수 신호(출수 버튼(26)을 선택한 경우 발생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S12)
만약 출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진 냉수가 출수될 수 있도록 밸브부(60)의 유량 제어 밸브를 소정 정도로 개방시킨다.(S13) 이때,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사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가 직전에 선택한 설정값 또는 특정 기간동안 가장 빈번히 선택된 설정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0) 측으로 설정값 정보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10)는 설정값에 내포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4) 확인 결과, 설정값에 포함된 설정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제어부(10)는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S15) 이 경우, 밸브부(60)의 개방 면적이 작아 비록 기준 유량 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기는 하나, 대신 수용공간(S) 내의 원수와 냉각부(50)가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할 수 있어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차가운 냉수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용량은 작더라도 보다 시원한 냉수를 마시고 싶은 경우, 이처럼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설정 온도 버튼(22)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의 확인 결과, 설정값에 포함된 설정 유량이 기준 유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10)는 밸브부(60)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의 출수를 허용하도록 밸브부(60)를 제어할 수 있다.(S16) 이처럼 기준 온도 대비 밸브부(60)의 개방 면적이 클 경우, 기준 온도 대비 많은 양의 냉수가 추출될 수 있으나 열교환 시간이 다소 충분치 않아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추출될 수 있다. 관련하여, 사용자는 다소 온도가 높더라도 많은 양의 냉수를 한번에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위와 같이 기준 유량 보다 큰 설정 유량을 선택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장치(100)는 일률적인 온도와 유량을 가진 냉수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밸브부(60)의 개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보다 차가운 냉수 또는 보다 많은 양의 냉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냉수 기호를 폭 넓게 수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제어부 20: 입력부
30: 탱크부 40: 유동가이드부
50: 냉각부 60: 밸브부
70: 센서부 100: 냉수 생성 장치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를 기준 온도 이외의 설정 온도로 설정하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설정 온도를 목적하는 상기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냉수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냉수 출수 버튼 및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상기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
  3.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유량을 기준 유량 이외의 설정 유량으로 설정하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상기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유량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냉수 생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냉수 출수 버튼 및 복수 개의 각기 다른 상기 설정 유량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값의 입력 없이 상기 냉수의 출수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냉수가 상기 기준 유량을 유지하며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냉수 생성 장치.
  6.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유량 또는 상기 탱크부로부터 유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부를 피드백 제어하는, 냉수 생성 장치.
  7.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가 나선 경로를 따라 선회하며 상기 탱크부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탱크부 내에 상기 유동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유동가이드부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부를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냉수의 출수 유량을 상기 기준 유량 이외의 설정 유량으로 설정하기 위한 유량 설정값을 제공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유량 보다 높은 설정 유량을 목적하는 상기 유량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냉수 생성 장치.
  10.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탱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출수 온도 및 출수 유량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값에 포함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유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 유량보다 적은 양의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유량이 상기 기준 유량 이상일 경우,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출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수 신호 또는 상기 설정값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출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기준 온도 및 기준 유량을 가지는 냉수가 출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20116136A 2022-09-15 2022-09-15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40037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36A KR20240037526A (ko) 2022-09-15 2022-09-15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36A KR20240037526A (ko) 2022-09-15 2022-09-15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26A true KR20240037526A (ko) 2024-03-22

Family

ID=9048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136A KR20240037526A (ko) 2022-09-15 2022-09-15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953A (ko) 1995-12-29 1997-07-22 배순훈 수온 선택형 정수기와 그 제어방법
KR20100105061A (ko)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953A (ko) 1995-12-29 1997-07-22 배순훈 수온 선택형 정수기와 그 제어방법
KR20100105061A (ko)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3138B2 (en) A dispensing system
EP2969899B1 (en) Beverage dispensing method indicating a sold-out condition and system therefor
EP3744822B1 (en) System comprising a beer maker for making a beer and 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beer maker and method for making a beer using a beer maker of the system
EP3695760B1 (en) Refrigerator
JP2019532876A (ja) 無容器カスタム飲料ベンディング
JP202353520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US20060112831A1 (en) Cold beverage dispenser
AU2017206144B2 (en) Water purifier
US10472221B2 (en) Liquid dispenser
US9441874B2 (en)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246389A1 (en) Beer maker
KR101522820B1 (ko) 탄산수 혼합 장치
KR20240037526A (ko)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EP2789575B1 (en) A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JP2003029846A (ja) 流量調整器および流量調整器を備えた飲料供給装置
KR20170047851A (ko) 냉수 인출을 겸한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한 물공급장치
JP6276938B2 (ja) 箱に入った袋のユニットを有する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
WO2019169485A1 (en) Beverage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distribution using same
KR20240064244A (ko)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40421A (ko) 냉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40003224A (ko) 냉수 탱크 조립체
JP2017081600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482335Y1 (ko)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KR20230095649A (ko)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