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486A - Lashing bridge - Google Patents

Lashing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486A
KR20240037486A KR1020220116043A KR20220116043A KR20240037486A KR 20240037486 A KR20240037486 A KR 20240037486A KR 1020220116043 A KR1020220116043 A KR 1020220116043A KR 20220116043 A KR20220116043 A KR 20220116043A KR 20240037486 A KR20240037486 A KR 20240037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ashing bridge
internal space
containe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김태우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486A/en
Publication of KR2024003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4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는, 선체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열 간에 배치되며, 단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칼럼, 및 칼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컨테이너의 선적 완료 시, 칼럼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돌출부재는, 컨테이너의 외부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선체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The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rows of containers loaded on a ship hull, and includes a column with an internal space formed at the end but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is open, and a column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where the container Upon completion of loading, it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that protrudes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lumn, and the protruding member prevents the container from leaving the hull by supporting the exterior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래싱브리지{LASHING BRIDGE}LASHING BRIDGE

본 발명은 래싱브리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적재된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쓰러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래싱브리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hing brid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shing bridge that can prevent containers from falling over and being lost by supporting loaded containers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side of the hull.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container ship)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다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container ship is a ship that transports containers, loading large amounts of containers and performing maritime transportation.

컨테이너 운반선의 상부 갑판 상에서 컨테이너들은 안전한 결합을 위해 운반선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층으로 적재된다.On the upper deck of a container carrier, container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arrier and stacked in multiple layers for safe combination.

이 때, 컨테이너는 복수의 층으로 적재되어 풍랑이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특히, 풍랑에 의해 선체가 좌우로 흔들려 컨테이너가 전복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컨테이너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At this time, the containers are loaded in multiple layers and are greatly affected by storms and winds. In particular, the hull may shake left and right due to wind and waves, causing the container to overturn, and there is a risk of the container overturning due to strong wind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운반선은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안전을 위한 구조물인 래싱브리지(lashing bridge)를 구비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도록 하며, 래싱브리지와 컨테이너는 래싱로드에 의해 결합된다. To prevent this, container carriers are equipped with a lashing bridge, a structure for the safety of loaded containers, to secure the containers, and the lashing bridge and containers are coupled by a lashing rod.

하지만, 래싱브리지는 컨테이너의 열 간에만 세워져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할 뿐, 선박의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lashing bridge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erected only between the rows of containers and only supports the load of the containers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but cannot support the containers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ip.

즉, 선박의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래싱로드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컨테이너가 선체의 측면으로 쓰러짐에 따라 선박을 이탈하여 유실되거나 선박이 좌초될 우려가 있어 왔다.That is, when the lashing rod is disengaged due to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ship,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iner may fall to the side of the hull and be lost from the ship or the ship may run aground.

이에, 컨테이너가 선체의 측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래싱브리지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to develop lashing bridge technology that can safely load containers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over the side of the hull.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834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1834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적재된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쓰러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래싱브리지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shing bridge that can prevent containers from falling over and being lost by supporting loaded containers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side of the hul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열 간에 배치되며, 단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칼럼, 및 칼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컨테이너의 선적 완료 시, 칼럼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돌출부재는, 컨테이너의 외부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선체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umn disposed between rows of containers loaded on a ship hull, an internal space formed at the end and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open, and a column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When loading of the container is completed, it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that protrudes in a side direction of the column, and the protruding member supports the exterior of the container and thereby prevents the container from leaving the hull.

또한, 칼럼은 양측이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일단부가 칼럼과 제1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각각의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 빔을 포함하고, 수직 빔은,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회동되어 칼럼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전개됨에 따라, 내부 공간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In addition, the column has a pair of internal spaces each open on both sides,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each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umn through a first hinge, and the other end of each connecting member. and a pair of vertical beams connected through a second hinge, wherein the vertical beams each protrude from the internal space in both directions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and expa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column.

또한, 연결부재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제공되고, 수직 빔은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ertical beam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hrough a second hinge.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빔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선체의 데크 상에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deck of the hull.

또한, 돌출부재는, 칼럼의 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 및 기어의 전방 및 후방에서 기어와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 로드를 포함하며, 한 쌍의 이동 로드는,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칼럼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대 운동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mber includes a gear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end of the column, and a pair of moving rods provided to mesh with the gear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gear,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moving rod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lumn or enters the internal space, and each moves relative to another direction.

또한, 돌출부재는, 칼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칼럼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 빔을 포함하고, 수평 빔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웃하는 칼럼 또는 이웃하는 칼럼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른 수평 빔과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member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and a horizontal beam that protrudes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column as the rotating member rotates, and the horizontal beam is provided to be flex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djacent to the It is possible to combine and disengage with other horizontal beams protruding from the column or neighboring colum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적재된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쓰러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falling over and being lost by supporting the loaded container agains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ide of the hull.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가 설치된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시의 도 2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시의 도 4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선박 운항 시의 도 4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hip on which a lashing bridg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lashing bridge of Figure 2 during container loading or unloading.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shing bridge of Figure 4 during container loading or unloading.
Figure 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shing bridge of Figure 4 when the ship is in opera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t least one”, etc. may represent one of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래싱브리지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thickness, and shap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n actual lashing bridge may have a different size and shape.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wiring is briefly shown for convenience, and other connection types may be applied, and the upper, lower, and side parts are indicated based on certain components,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it may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ndicated direction depending on the rotation or arrangement of the device.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는 래싱로드의 결합이 해제된 이후에도 선박에서 컨테이너가 이탈되지 않도록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지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upport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p even after the lashing rod is disconnected.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를 사용하면, 선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쓰러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Using 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falling over and being lost by supporting the container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가 설치된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hip on which a lashing bridg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100)는, 컨테이너를 고박하기 위한 래싱장비가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칼럼(110) 및 돌출부재(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lashing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lashing equipment for securing containers is installed, and may be composed of a column 110 and a protruding member 120.

먼저, 칼럼(110)은, 갑판 위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결합하기 위해 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선체의 가로방향, 즉, 선체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열 간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column 110 is a configuratio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to safely combine containers loaded on the deck, and can b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that is, between rows of containers loaded on the hull.

컨테이너는 래싱브리지(100) 사이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재되며, 래싱로드에 의해 래싱브리지(100)와 결합된다. Containers are loaded between the lashing bridge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nd are coupled to the lashing bridges 100 by a lashing rod.

칼럼(110)의 단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n internal space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olumn 110, and the sides of the internal space may be open.

이러한 칼럼(110)의 단부 형상은 평단면이 '工' 형상일 수 있으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end shape of this column 110 may have a '工' shape in flat cross-section, and may be provided to have internal spaces formed on both sides.

돌출부재(120)는, 상기 칼럼(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칼럼(1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 시 칼럼(11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있다가 컨테이너의 선적 완료 시, 칼럼(1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120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and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lumn 110. It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when loading or unloading the container and then enters the container. Upon completion of shipment,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column 110.

이러한 돌출부재(120)는, 컨테이너의 외부를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선체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This protruding member 120 functions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leaving the hull by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상술한 돌출부재(120)는 실시예에 따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trud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follow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도 2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선박 운항 시의 도 2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ading or unloading a container,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lashing bridge of Figure 2 when a ship is in opera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재(120)는 연결부재(210) 및 수직 빔(2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120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210 and a vertical beam 220.

이 때, 칼럼(110)은 양측이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연결부재(210)는 상기 내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일단부가 칼럼(110)과 제1 힌지(201)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umn 110 has a pair of internal spaces each open on both sides, and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internal spaces, so that one end connects the column 110 and the first hinge 201. It can be provided as a pair connected via.

수직 빔(220)은 각각의 연결부재(210)의 타단부와 제2 힌지(202)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vertical beam 220 may be provided as a pai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connecting member 210 through the second hinge 202.

이러한 수직 빔(220)은, 연결부재(210)의 타단부가 회동되어 칼럼(110)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전개됨에 따라 내부 공간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vertical beam 22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ternal space in both directions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rotates and expa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column 110, respectively.

일 예로서, 연결부재(2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제공되고, 수직 빔(220)은 복수의 연결부재(210)의 타단부와 제2 힌지(20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s 210 are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ertical beam 22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10 through the second hinge 202. .

이러한 돌출부재(120)의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운항 시에만 돌출부재(120)를 칼럼(110)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현 가능하다.When adopting this structure of the protruding member 120, it is possible to protrude the protruding member 120 out of the column 110 only during navigation,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즉, 선적 및 하역 시에는 도 2와 같이 칼럼(110)의 내부 공간에 돌출부재(120)가 인입되어 있다가 운항 시에만 도 3과 같이 선택적으로 칼럼(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at is,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as shown in FIG. 2, and may selectivel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lumn 110 as shown in FIG. 3 only during navigation.

연결부재(210)와 수직 빔(22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구조를 통해 칼럼(110) 외부로 돌출되어 컨테이너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shapes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vertical beam 220 are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ny shape that protrudes out of the column 110 through a hinge structure and can support the side of the container can be appli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는, 수직 빔(22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선체의 데크 상에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eam 22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23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deck of the hull. .

즉, 고정부재(230)의 일부분이 선체에 매립되도록 마련함에 따라, 수직 빔(220)의 돌출된 부분을 한번 더 데크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칼럼(110)에 대한 수직 빔(220)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That is, as part of the fixing member 230 is provided to be embedded in the hull, the fixing force of the vertical beam 220 to the column 110 is strengthened by fixing the protruding part of the vertical beam 220 on the deck once again. do.

이로 인해, 선체를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혹은 컨테이너의 하중에 대한 수직 빔(220)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수직 빔(220)이 선박의 측 방향으로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vertical beam 220 can be further improved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or the load of the container, thereby suppressing the vertical beam 220 from b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ip. It work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시의 도 4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선박 운항 시의 도 4의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shing bridge of Figure 4 during container loading or unloading, and Figure 6 is a lashing bridge of Figure 4 during ship operation. This is a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재(120)는, 칼럼(110)의 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310) 및 기어(310)의 전방 및 후방에서 기어(310)와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 로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o 6 ,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120 includes a gear 310 and a gear 310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vertically penetrating the end of the column 110. It may include a pair of moving rods 320 provided to mesh with the gear 310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이 때, 한 쌍의 이동 로드(320)는, 기어(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칼럼(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moving rods 320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lumn 110 or enter the internal space,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310, and may be arranged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

즉, 도 5 상에서 기어(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돌출부재(120)가 칼럼(110) 외부로 돌출되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고, 도 6 상에서 기어(3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출부재(120)가 다시 칼럼(11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gear 310 rotates clockwise in FIG. 5, the protruding member 120 protrudes out of the column 110 to be in the same state as in FIG. 6, and the gear 31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6. When rotated,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again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resulting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일 예로서, 이동 로드(32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치합될 수 있으며, 칼럼(110)의 내부 공간에 다수 개의 기어(310)가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a plurality of moving rods 320 may be provided and engaged with one gear 310, and a plurality of gears 310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이와 같이, 기어(310)와 이동 로드(320)의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칼럼(110)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 로드(320)가 돌출되어 컨테이너의 외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As such, the shape of the gear 310 and the moving rod 32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s the gear 310 rotates, the moving rod 320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of the column 110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y shape that can support the function is applicabl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재(120)는, 칼럼(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회전부재(410) 및 회전부재(410)가 회전됨에 따라 칼럼(1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 빔(4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120 rotates the rotating member 41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and the column 110 as the rotating member 410 rotates. ) may include a horizontal beam 420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이 때, 수평 빔(42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칼럼(110) 또는 이웃하는 칼럼(110)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른 수평 빔(420)과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beam 420 may be provided to be flex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neighboring column 110 or another horizontal beam 420 protruding from the neighboring column 110. It can be provided.

예를 들면, 수평 빔(420)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획들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으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beam 420 may be provided as a telescopic type tha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ection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수평 빔(420)은 칼럼(1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이웃하는 칼럼(110)에 형성된 결합 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이웃하는 래싱브리지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eam 42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110 in only one direction,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column 110 to connect neighboring lashing bridges. can be provided.

이 외에도, 각각의 칼럼(1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수평 빔(420)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이웃하는 수평 빔(420)이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horizontal beams 420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pace of each column 110 in both directions, and neighboring horizontal beams 4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coupled and uncoupled from each other.

일 예로서, 이웃한 수평 빔(420)은 각 단부에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좌측의 수평 빔(420)의 단부는 하강하고, 우측의 수평 빔(420)의 단부가 상승하면서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neighboring horizontal beams 4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corresponding grooves or protrusions at each end,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420 on the left is lowered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420 on the right is lowered. The ends may be arrang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as they rise.

이러한 수평 빔(420)의 단부의 형상 및 그 결합 방식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shape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420 and its connection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aving the same fun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는 수평 빔(4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지지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430 as a separate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beam 420.

지지부재(430)는 선체의 데크 상에서 이웃하는 칼럼(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 빔(420)의 하중에 의해 수평 빔(420)이 하방으로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30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columns 110 on the deck of the hull and can function to prevent the horizontal beam 420 from sagging or deforming downward due to the load of the horizontal beam 420. there is.

지지부재(430)는 선체 내부에 매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선체의 데크에 매립되어 있다가 힌지 구조를 통해 회동되어 데크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수평 빔(4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430 may be embedded inside the hull and provided with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430 may be embedded in the deck of the hull and then rotated through a hinge structure to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 deck, thereby forming a horizontal beam (420). )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이러한 지지부재(430)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 각도를 가지는 대각선 형상 혹은 X자 형상 등 수평 빔(42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upport member 430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load of the horizontal beam 420, such as a diagon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or an X-shape.

지지부재(430)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H형강 및 I형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30 may be provided in a hollow shape so as to reduce its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In addition, H-beam steel, I-beam steel, etc. may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의 경우, 수평 빔(420)이 이웃하는 칼럼(1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컨테이너의 모든 측면을 칼럼(110)과 수평 빔(420)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선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orizontal beam 420 adopt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neighboring columns 110 across, all sides of the container are connected to the column 110 and the horizontal beam ( By supporting it through 420),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and preventing it from leaving the ship.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브리지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Using the lashing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provide the following advantages.

종래의 컨테이너 운반선의 경우, 컨테이너와 래싱브리지 사이에 결합되는 래싱로드의 결합이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 갑판 상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이 선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쓰러지거나 선체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tainer carrier, when the coupling of the lashing rod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ashing bridge is released by external force, the containers loaded on the deck fall laterally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or fall outside the hull. There was a problem with it coming off.

반면, 본 발명의 래싱브리지는 칼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선체의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sh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lum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the container even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ull.

이에 따라, 컨테이너가 선체의 측 방향으로 쓰러져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가 선박 외부로 이탈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container falls to the side of the ship and the ship capsiz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falling outside the ship and being lost.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래싱브리지
110 : 칼럼
120 : 돌출부재
201 : 제1 힌지
202 : 제2 힌지
210 : 연결부재
220 : 수직 빔
230 : 고정부재
310 : 기어
320 : 이동 로드
410 : 회전부재
420 : 수평 빔
430 : 지지부재
100: Lashing Bridge
110: column
120: Protruding member
201: first hinge
202: second hinge
210: connecting member
220: vertical beam
230: fixing member
310: gear
320: moving rod
410: Rotating member
420: horizontal beam
430: support member

Claims (6)

선체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열 간에 배치되며, 단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칼럼; 및
상기 칼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컨테이너의 선적 완료 시, 상기 칼럼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선체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래싱브리지.
a column disposed between rows of containers loaded on a ship hull, the column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at an end and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being open; and
It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 and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that protrudes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lumn when shipping of the container is completed,
The protruding member is,
A lashing bridge that prevents the container from leaving the hull by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양측이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칼럼과 제1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 빔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빔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회동되어 상기 칼럼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전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래싱브리지.
According to claim 1,
The column has a pair of internal spaces open on both sides,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each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umn through a first hinge; and
It includes a pair of vertical beam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connecting member through a second hinge,
The vertical beam is,
A lashing bridge that protrudes from the internal space in both directions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and expa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colum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수직 빔은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래싱브리지.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necting members are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vertical beam is a lashing bridge connected to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hrough the second hing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빔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래싱브리지.
According to clause 2,
A lashing bridg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deck of the hu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칼럼의 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기어와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동 로드는,
상기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칼럼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는 래싱브리지.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member is,
a gear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that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end of the column; and
It includes a pair of moving rods provided to mesh with the gear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gear, respectively,
The pair of moving rods i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a lashing bridge protrudes out of the column or enters the internal space and moves relative to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칼럼의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칼럼의 상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 빔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빔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웃하는 상기 칼럼 또는 이웃하는 상기 칼럼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른 수평 빔과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래싱브리지.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member is,
a rotating member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umn; and
It includes a horizontal beam that protrudes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column as the rotating member rotates,
The horizontal beam is,
A lashing bridge that is provided to be flex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neighboring column or another horizontal beam protruding from the neighboring column.
KR1020220116043A 2022-09-15 2022-09-15 Lashing bridge KR202400374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43A KR20240037486A (en) 2022-09-15 2022-09-15 Lashing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43A KR20240037486A (en) 2022-09-15 2022-09-15 Lashing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86A true KR20240037486A (en) 2024-03-22

Family

ID=9048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043A KR20240037486A (en) 2022-09-15 2022-09-15 Lashing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4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834U (en) 2010-09-02 2012-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ashing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834U (en) 2010-09-02 2012-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ashing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0854B (en) HOPFAELLBART LASTUNDERLAG
US7140821B2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KR101836903B1 (en) Combination lashing bridge and containership having the same
US20080105676A1 (en) 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KR20240037486A (en) Lashing bridge
KR101590789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 turnover jig and mothod for fixing the block thereof
KR102530022B1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KR20150018323A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containers to be transported on the deck of a cargo ship
KR101984661B1 (en) Ship
KR102605871B1 (en) Lashing bridge
KR102179904B1 (en) Container Ship
KR102657299B1 (en) Folding deck unit for vessel
CN108100168B (en) deck supporting structure and livestock ship
KR102530035B1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KR101580802B1 (en) Panel Lifting Jig
KR102605873B1 (en) Lashing bridge
KR102605681B1 (en) Lashing bridge
KR102605683B1 (en) Lashing bridge
KR102605872B1 (en) Lashing bridge
KR101973373B1 (en) Ship
US3903822A (en) Barge which can be stacked on barge-carrying ships
CN116968875A (en) Container binding-free storage limiting and fixing device for container ship
KR20240002144A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KR20170130868A (en) Separated deck house and cargo loading ship having the same
KR19990017542A (en) Hatch Cover of Container Ship